KR20160029701A - 차량용 등기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701A
KR20160029701A KR1020150124958A KR20150124958A KR20160029701A KR 20160029701 A KR20160029701 A KR 20160029701A KR 1020150124958 A KR1020150124958 A KR 1020150124958A KR 20150124958 A KR20150124958 A KR 20150124958A KR 20160029701 A KR20160029701 A KR 20160029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distribution
distribution pattern
emitting elements
projectio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토히로 고마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6002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 B60Q1/1415Dimming circuits
    • B60Q1/142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 B60Q1/143Automatic dimming circuits, i.e. switching between high beam and low beam due to change of ambient light or light level in road traffic combined with another condition, e.g. using vehicle recognition from camera images or activation of w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63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switching light sources
    • F21S48/125
    • F21S48/1721
    • F21S48/1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B60Q1/1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 B60Q1/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due to steering position with electrical actu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4Variable non-standard intensity, i.e. emission of various beam intensities different from standard intensities, e.g. continuous or stepped transitions of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05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or switching of the light beam
    • B60Q2300/056Special anti-blinding beams, e.g. a standard beam is chopped or moved in order not to bl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1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preceding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2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oncoming vehicle
    • F21W21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21W2102/10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 F21W2102/17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 F21W2102/19Arrangement or contour of the emitted light for regions other than high beam or low beam for cur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 렌즈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하이빔용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로서, 회전시에 진행 방향 전방을 충분히 조사 가능한 부가 배광 패턴을 저비용으로 형성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영 렌즈(12)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14)의 각각으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 렌즈(12)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하이빔용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나서, 투영 렌즈(12) 및 복수의 발광 소자(14)를 수평면 내에서 회동시킴으로써 부가 배광 패턴의 형성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자차가 회전로를 주행할 때에 진행 방향 전방을 충분히 조사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이것을, 종래와 같이 발광 소자(14)를 추가 배치하여 그 점소등 제어를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실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등기구{VEHICLE LAMP}
본원 발명은 프로젝터형 차량용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투영 렌즈의 후방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투영 렌즈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하도록 구성된 프로젝터형 차량용 등기구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차량용 등기구로서, 로우빔용 배광 패턴에 대하여 하이빔용 부가 배광 패턴을 부가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차량용 등기구는, 그 광원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각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 렌즈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가로로 긴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49080호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등기구에 있어서는, 투영 렌즈 및 복수의 발광 소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부가 배광 패턴도 그 형성 위치가 고정되어 버려, 이 때문에 자차가 회전로를 주행할 때에 진행 방향 전방을 충분히 조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회전시에 진행 방향 전방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 소자를 추가 배치하고, 그 점소등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그 추가분만큼 등기구가 비용 상승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 렌즈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하이빔용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로서, 회진시에 진행 방향 전방을 충분히 조사 가능한 부가 배광 패턴을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가동식 등기구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목적 달성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에 대해 하이빔용 부가 배광 패턴을 부가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로서,
투영 렌즈와, 상기 투영 렌즈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투영 렌즈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상기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영 렌즈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수평면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가 배광 패턴의 형성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발광 소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나 레이저 다이오드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투영 렌즈」 혹은 「복수의 발광 소자」의 수평면 내에서의 이동 양태는, 그 이동에 의해 부가 배광 패턴의 형성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그 구체적인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는, 투영 렌즈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의 각각으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 렌즈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하이빔용의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지만, 투영 렌즈와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수평면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부가 배광 패턴의 형성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차가 회전로를 주행할 때에 진행 방향 전방을 충분히 조사할 수 있다.
더구나 이것을, 종래와 같이 발광 소자를 추가 배치하여 그 점소등 제어를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등기구가 비용 상승해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 렌즈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하이빔용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로서, 회전시에 진행 방향 전방을 충분히 조사 가능한 부가 배광 패턴을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 소자가 개별로 점등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들 복수의 발광 소자를 동시 점등시켜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이것을 하이빔용 배광 패턴의 형성에 알맞은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이들 복수의 발광 소자 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상기 부가 배광 패턴의 일부가 누락된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이것을 로우빔용 배광 패턴과 하이빔용 배광 패턴의 중간에 위치하는 형상의 중간적 배광 패턴의 형성에 알맞은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간적 배광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대향차 드라이버 등에 글레어를 부여해 버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투영 렌즈 및 복수의 발광 소자가 수평면 내에서 일체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부가 배광 패턴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 후에, 부가 배광 패턴의 형성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투영 렌즈와 복수의 발광 소자가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는 구성으로 하면, 이동시키는 대상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그 만큼 이동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부가 배광 패턴의 형성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 발광 소자에 대한 공급 전류값의 비율이 변화되는 구성으로 하면, 자차가 회전로를 주행할 때에 진행 방향 전방을 효율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한정된 공급 전류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회전로의 시인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차량용 등기구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기 차량용 등기구의 각 발광 소자에 대한 공급 전류값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자차의 직진시에 상기 차량용 등기구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부가 배광 패턴을 투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자차의 좌회전시에 형성되는 부가 배광 패턴을 도시한 도 6과 동일한 도면.
도 8은 자차의 우회전시에 형성되는 부가 배광 패턴을 도시한 도 6과 동일한 도면.
도 9는 상기 실시형태의 제1 변형례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도시한 도 3과 동일한 도면.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의 제2 변형례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를 도시한 도 3과 동일한 도면.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차량용 등기구(10)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프로젝터형 등기구 유닛으로서, 로우빔용 배광 패턴에 대하여 하이빔용 부가 배광 패턴을 부가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차량용 등기구(10)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축(Ax)을 갖는 투영 렌즈(12)와, 이 투영 렌즈(12)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14)를 구비하고 있고, 각 발광 소자(14)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 렌즈(12)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투영 렌즈(12)는, 그 전면이 볼록면이고 그 후면이 평면인 평볼록 비구면 렌즈로서, 그 후측 초점(F)을 포함하는 초점면인 후측 초점면 상에 형성되는 광원상을, 반전상으로 하여 등기구 전방의 가상 수직 스크린 상에 투영하도록 되어 있다. 이 투영 렌즈(12)는, 그 외주 플랜지부에 있어서 렌즈 홀더(18)에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소자(14)는,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F)보다 약간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두 동일한 구성을 갖는 11개의 발광 소자(14)가, 광축(Ax)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 각 발광 소자(14)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로서, 직사각 형상(예컨대 정방형)의 발광면(14a)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들 각 발광 소자(14)는, 그 발광면(14a)을 등기구 정면 방향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공통의 기판(16)에 지지되어 있다. 그 때, 이들 각 발광 소자(14)는, 그 발광면(14a)의 중심을 광축(Ax)의 약간 아래쪽에 위치시키고, 그 상단 가장자리를 광축(Ax)의 약간 위쪽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발광 소자(14)로부터 출사하여 투영 렌즈(12)를 향하는 광은, 그 후측 초점면을 어느 정도의 넓이를 가지며 통과하지만, 그 광선속(光線束)의 범위는 서로 인접한 발광 소자(14) 상호간에 있어서 약간 중복되는 것이 된다.
11개의 발광 소자(14)는, 개별로 점등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 이들 11개의 발광 소자(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유닛(ECU)(20)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전자 제어 유닛(20)에 의해 자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그 점소등 제어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그 투영 렌즈(12) 및 11개의 발광 소자(14)가 일체가 되어 수평면 내에서 회동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렌즈 홀더(18) 및 기판(16)이 공통의 베이스 부재(22)에 지지되어 있고, 이 베이스 부재(22)는 회동 기구(24)에 지지되어 있다.
이 회동 기구(24)는, 투영 렌즈(12) 및 11개의 발광 소자(14)를 베이스 부재(22)와 함께, 도 3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Ax1) 주위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축선(Ax1)은, 투영 렌즈(12)의 후방에서 또한 그 후측 초점(F)보다도 전방에 있어서 광축(Ax)과 교차하도록 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 회동 기구(24)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 보디에 지지되어 있고, 전자 제어 유닛(20)에 의해 자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그 구동 제어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이 동일하지 않고, 자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그 비율이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 이 공급 전류값의 제어도, 전자 제어 유닛(20)에 의해 자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차의 주행 상황은, 예컨대, 자차의 조향각 데이터, 내비게이션 데이터, 전방 주행로의 화상 데이터 등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진시에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의 분포가 좌우 대칭의 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중앙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이 가장 크고, 그 좌우 양측을 향해 공급 전류값(I)이 서서히 작아지며,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이 가장 작게 되어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회전시에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의 분포가 우측으로 치우친 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중앙으로부터 약간 우측 부근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이 가장 크고, 그 좌우 양측을 향해 공급 전류값(I)이 서서히 작아지며, 좌단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이 가장 작게 되어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회전시에 있어서 전방 주행로의 커브가 심해졌을 때에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의 분포가 좌측으로 내려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우단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이 가장 크고, 그 좌측을 향해 공급 전류값(I)이 서서히 작아지며, 좌단에 위치하는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이 가장 작게 되어 있다.
한편,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전시에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의 분포가 좌측으로 치우친 산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전시에 있어서 전방 주행로의 커브가 심해졌을 때에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의 분포가 우측으로 내려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6은 자차가 직진로를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차량용 등기구(10)로부터 전방을 향해 조사되는 광에 의해, 차량 전방 25 m의 위치에 배치된 가상 수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부가 배광 패턴을 투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 때, 도 6의 (a)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의 부가 배광 패턴(PA1)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의 (b)는 중간적 배광 패턴(PM1)의 부가 배광 패턴(PAm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은, 도시하지 않은 다른 등기구 유닛으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에 대하여, 차량용 등기구(10)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형성되는 부가 배광 패턴(PA1)이 부가된 것으로 되어 있다.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은, 좌측 배광의 로우빔용 배광 패턴으로서, 그 상단 가장자리에 좌우 높이가 다른 컷오프 라인(CL1, CL2)을 갖고 있다. 이 컷오프 라인(CL1, CL2)은, 등기구 정면 방향의 소점(消點)인 H-V를 수직 방향으로 통과하는 V-V선을 경계로 하여 좌우 높이가 다르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V-V선보다도 우측의 대향차선측 부분이 하단 컷오프 라인(CL1)으로서 형성됨과 동시에, V-V선보다도 좌측의 자차선측 부분이, 이 하단 컷오프 라인(CL1)으로부터 경사부를 통해 단이 높아진 상단 컷오프 라인(CL2)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에 있어서, 하단 컷오프 라인(CL1)과 V-V선과의 교점인 엘보점(E)은, H-V의 0.5∼0.6° 정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부가 배광 패턴(PA1)은, 컷오프 라인(CL1, CL2)으로부터 위쪽으로 넓어지는 가로로 긴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때, 이 부가 배광 패턴(PA1)은, V-V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측으로 균등하게 넓어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부가 배광 패턴(PA1)이 로우빔용 배광 패턴(PL)에 대하여 추가 형성됨으로써,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부가 배광 패턴(PA1)은, 11개의 배광 패턴(Pa)의 합성 배광 패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배광 패턴(Pa)은, 각 발광 소자(14)로부터의 출사광에 의해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발광 소자(14)의 광원상의 반전 투영상으로서 형성되는 배광 패턴이다.
그 때, 이들 각 배광 패턴(Pa)은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것은 각 발광 소자(14)의 발광면(14a)이 직사각 형상의 외형 형상을 갖고 있는 것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각 배광 패턴(Pa)은, 서로 인접한 배광 패턴(Pa) 상호간에서 약간 중복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각 발광 소자(14)가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면보다 약간 후방에 배치되어 있고, 서로 인접한 발광 소자(14) 상호간에서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면을 통과하는 광선속의 범위가 약간 중복되는 것에 따른 것이다.
또한, 이들 각 배광 패턴(Pa)은, 그 하단 가장자리의 위치가 컷오프 라인(CL1, CL2)과 약간 중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각 발광 소자(14)의 발광면(14a)의 중심이 광축(Ax)의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고, 그 상단 가장자리가 광축(Ax)의 약간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따른 것이다.
11개의 배광 패턴(Pa)은, 그 중심에 위치하는 배광 패턴(Pa)이 가장 밝고, 그 좌우 양측에 인접한 배광 패턴(Pa)이 다음으로 밝으며, 그리고 좌우 양단에 위치하는 배광 패턴(Pa)을 향해 서서히 밝기가 감소되고 있다.
이것은,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의 분포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의 산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광도 분포를 갖는 부가 배광 패턴(PA1)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한정된 공급 전류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직진시에 있어서의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중간적 배광 패턴(PM1)은,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에 대하여, 부가 배광 패턴(PA1) 대신에 그 일부가 누락된 부가 배광 패턴(PAm1)을 갖는 배광 패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가 배광 패턴(PAm1)은, 11개의 배광 패턴(Pa) 중 우측에서부터 3번째와 4번째 배광 패턴(Pa)이 누락된 배광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 부가 배광 패턴(PAm1)은, 11개의 발광 소자(14) 중 좌측에서부터 3번째와 4번째 발광 소자(14)를 소등함으로써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부가 배광 패턴(PAm1)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용 등기구(10)로부터의 조사광이 대향차(2)에 닿지 않도록 하고, 이에 따라 대향차(2)의 드라이버에게 글레어를 부여해 버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대향차(2)의 위치가 변화됨에 따라, 소등의 대상이 되는 발광 소자(14)를 순차 전환함으로써 부가 배광 패턴(PAm1)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대향차(2)의 드라이버에게 글레어를 부여해 버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향차(2)의 존재는, 도시하지 않은 차재 카메라 등에 의해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방 주행로에 전 주행차가 존재하거나, 그 갓길 부분에 보행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것을 검출하여 일부의 배광 패턴(Pa)을 누락시킴으로써 글레어를 부여해 버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자차가 좌측 회전로(즉 좌측으로 커브한 회전로)를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차량용 등기구(10)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상기 가상 수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부가 배광 패턴을 투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 때, 도 7의 (a)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PH2)의 부가 배광 패턴(PA2)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의 (b)는 중간적 배광 패턴(PM2)의 부가 배광 패턴(PAm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부가 배광 패턴(PA2)은, 도 6의 (a)에 도시된 부가 배광 패턴(PA1)에 대하여, 그 형성 위치가 좌측으로 변화되고 있고, 또한, 그 광도 분포의 피크 위치가 좌측에서부터 3번째 배광 패턴(Pa)의 위치로 변화되고 있다.
이 부가 배광 패턴(PA2)의 형성 위치의 변화는, 회동 기구(24)의 구동에 의해 투영 렌즈(12) 및 11개의 발광 소자(14)를 좌측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부가 배광 패턴(PA2)의 광도 분포의 피크 위치의 변화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치우친 산 형상의 분포로 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부가 배광 패턴(PA2)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한정된 공급 전류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좌회전시에 진행 방향 전방을 충분히 조사하고, 이에 따라 하이빔용 배광 패턴(PH2)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좌측 회전로의 커브가 심해졌을 때에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을,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내려가는 분포로 함으로써, 부가 배광 패턴(PA2)의 광도 분포의 피크 위치를 더욱 좌측으로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중간적 배광 패턴(PM2)은, 하이빔용 배광 패턴(PH2)에 대하여, 부가 배광 패턴(PA2) 대신에 그 일부가 누락된 부가 배광 패턴(PAm2)을 갖는 배광 패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가 배광 패턴(PAm2)은, 11개의 배광 패턴(Pa) 중 우측에서부터 첫 번째 배광 패턴(Pa)이 누락된 배광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 부가 배광 패턴(PAm2)은, 11개의 발광 소자(14) 중 좌측에서부터 첫 번째 발광 소자(14)를 소등함으로써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적 배광 패턴(PM2)을 형성함으로써, 좌회전시에 차량용 등기구(10)로부터의 조사광이 대향차(2)에 닿지 않도록 하고, 이에 따라 대향차(2)의 드라이버에게 글레어를 부여해 버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자차가 우측 회전로(우측으로 커브한 회전로)를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차량용 등기구(10)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상기 가상 수직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부가 배광 패턴을 투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 때, 도 8의 (a)는 하이빔용 배광 패턴(PH3)의 부가 배광 패턴(PA3)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의 (b)는 중간적 배광 패턴(PM3)의 부가 배광 패턴(PAm3)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부가 배광 패턴(PA3)은, 도 6의 (a)에 도시된 부가 배광 패턴(PA1)에 대하여, 그 형성 위치가 우측으로 변화되고 있고, 또한, 그 광도 분포의 피크 위치가 우측에서부터 3번째 배광 패턴(Pa)의 위치로 변화되고 있다.
이 부가 배광 패턴(PA3)의 형성 위치의 변화는, 회동 기구(24)의 구동에 의해 투영 렌즈(12) 및 11개의 발광 소자(14)를 우측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부가 배광 패턴(PA3)의 광도 분포의 피크 위치의 변화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을,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치우친 산 형상의 분포로 함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부가 배광 패턴(PA3)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한정된 공급 전류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우회전시에 진행 방향 전방을 충분히 조사하고, 이에 따라 하이빔용 배광 패턴(PH3)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다.
우측 회전로의 커브가 심해졌을 때에는,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을,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내려가는 분포로 함으로써, 부가 배광 패턴(PA3)의 광도 분포의 피크 위치를 더욱 우측으로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8의 (b)에 도시된 중간적 배광 패턴(PM3)은, 하이빔용 배광 패턴(PH3)에 대하여, 부가 배광 패턴(PA3) 대신에 그 일부가 누락된 부가 배광 패턴(PAm3)을 갖는 배광 패턴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가 배광 패턴(PAm3)은, 11개의 배광 패턴(Pa) 중 우측에서부터 4번째와 5번째 배광 패턴(Pa)이 누락된 배광 패턴으로 되어 있다. 이 부가 배광 패턴(PAm3)은, 11개의 발광 소자(14) 중 좌측에서부터 4번째와 5번째 발광 소자(14)를 소등함으로써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중간적 배광 패턴(PM3)을 형성함으로써, 우회전시에 차량용 등기구(10)로부터의 조사광이 대향차(2)에 닿지 않도록 하고, 이에 따라 대향차(2)의 드라이버에게 글레어를 부여해 버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0)는, 투영 렌즈(12)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14)의 각각으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 렌즈(12)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하이빔용 부가 배광 패턴(PA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투영 렌즈(12)와 복수의 발광 소자(14)를 수평면 내에서 일체적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부가 배광 패턴(PA2, PA3)의 형성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차가 회전로를 주행할 때에 진행 방향 전방을 충분히 조사할 수 있다.
게다가 이것을, 종래와 같이 발광 소자(14)를 추가 배치하여 그 점소등 제어를 행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등기구가 비용 상승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발광 소자(14)로부터의 출사광을 투영 렌즈(12)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하이빔용 부가 배광 패턴(PA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등기구(10)에 있어서, 회전시에 진행 방향 전방을 충분히 조사 가능한 부가 배광 패턴(PA2, PA3)을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발광 소자(14)가 개별로 점등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들 복수의 발광 소자(14)를 동시 점등시켜 부가 배광 패턴(PA1, PA2, PA3)을 형성함으로써, 이것을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 PH2, PH3)의 형성에 알맞은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이들 복수의 발광 소자(14) 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킴으로써, 부가 배광 패턴(PA1, PA2, PA3)의 일부가 누락된 부가 배광 패턴(PAm1, PAm2, PAm3)을 형성할 수 있고, 이것을 로우빔용 배광 패턴(PL)과 하이빔용 배광 패턴(PH1, PH2, PH3)의 중간에 위치하는 형상의 중간적 배광 패턴(PM1, PM2, PM3)의 형성에 알맞은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간적 배광 패턴(PM1, PM2, PM3)을 형성함으로써, 대향차 드라이버 등에게 글레어를 부여해 버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전방 주행로를 폭넓게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투영 렌즈(12) 및 복수의 발광 소자(14)가 수평면 내에서 일체적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부가 배광 패턴(PA1, PA2, PA3, PAm1, PAm2, PAm3)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한 후에, 그 형성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가 배광 패턴(PA1, PA2, PA3, PAm1, PAm2, PAm3)의 형성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의 비율이 변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차가 회전로를 주행할 때에 진행 방향 전방을 효율적으로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한정된 공급 전류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회전시의 시인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가 배광 패턴(PA1, PA2, PA3, PAm1, PAm2, PAm3)의 형성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의 비율이 변화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각 발광 소자(14)에 대한 공급 전류값(I)이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1개의 발광 소자(14)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이 이외의 개수의 발광 소자(14)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발광 소자(14)가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F)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후측 초점(F)의 전방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실시형태의 제1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변형례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110)를 도시한 도 3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차량용 등기구(110)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차량용 등기구(10)와 동일하지만, 베이스 부재(122) 주변의 구성이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하다.
즉 본 변형례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회동 기구(24)가 존재하지 않고, 베이스 부재(122)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 보디에 직접 지지되어 있다. 또한, 투영 렌즈(12)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18)는 베이스 부재(122)에 직접 지지되어 있지만, 11개의 발광 소자(14)를 지지하는 기판(16)은, 도 9에 있어서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기구(126)를 통해 베이스 부재(122)에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본 변형례에 있어서는, 자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슬라이드 기구(126)를 구동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14)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부가 배광 패턴(PA1, PAm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변위한 부가 배광 패턴(PA2, PA3, PAm2, PAm3)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변형례의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이동시키는 대상을 11개의 발광 소자(14) 및 기판(16)만으로 하여, 그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만큼 이동 기구로서의 슬라이드 기구(126)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투영 렌즈(12)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제2 변형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변형례에 따른 차량용 등기구(210)를 도시한 도 3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차량용 등기구(210)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차량용 등기구(10)와 동일하지만, 베이스 부재(222) 주변의 구성이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와 상이하다.
즉 본 변형례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회동 기구(24)가 존재하지 않고, 베이스 부재(222)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 보디에 직접 지지되어 있다. 또한, 11개의 발광 소자(14)를 지지하는 기판(16)은 베이스 부재(222)에 직접 지지되어 있지만, 투영 렌즈(12)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18)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 아암(228)을 구비한 회동 기구(224)를 통해 베이스 부재(222)에 지지되어 있다.
회동 기구(224)는, 투영 렌즈(12)를 렌즈 홀더(18)와 함께, 도 10에 있어서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Ax2) 주위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축선(Ax2)은,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F)보다도 후방에서 광축(Ax)과 교차하도록 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변형례에 있어서는, 자차의 주행 상황에 따라 회동 기구(224)를 구동하여 투영 렌즈(12)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부가 배광 패턴(PA1, PAm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변위한 부가 배광 패턴(PA2, PA3, PAm2, PAm3)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 변형례의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례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이동시키는 대상을 투영 렌즈(12) 및 렌즈 홀더(18)만으로 하여, 그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어, 그 만큼 이동 기구로서의 회동 기구(224)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 때, 회동 아암(228)의 회동 중심이 되는 축선(Ax2)은, 투영 렌즈(12)의 후측 초점(F)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투영 렌즈(12)가 회동될 때의 회동 반경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투영 렌즈(12)의 회동에 의해 상기 투영 렌즈(12)와 각 발광 소자(14)와의 거리가 크게 변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례에 있어서 제원(諸元)으로서 나타낸 수치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들을 적절하게 다른 값으로 설정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그 변형례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의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2 : 대향차 10, 110, 210 : 차량용 등기구
12 : 투영 렌즈 14 : 발광 소자
14a : 발광면 16 : 기판
18 : 렌즈 홀더 20 : 전자 제어 유닛(ECU)
22, 122, 222 : 베이스 부재 24, 224 : 회동 기구
126 : 슬라이드 기구 228 : 회동 아암
Ax : 광축 Ax1, Ax2 : 축선
CL1 : 하단 컷오프 라인 CL2 : 상단 컷오프 라인
E : 엘보점 F : 후측 초점
I : 공급 전류값
PA1, PA2, PA3, PAm1, PAm2, PAm3 : 부가 배광 패턴
Pa : 배광 패턴 PH1, PH2, PH3 : 하이빔용 배광 패턴
PL : 로우빔용 배광 패턴 PM1, PM2, PM3 : 중간적 배광 패턴

Claims (5)

  1. 로우빔용 배광 패턴에 대해 하이빔용 부가 배광 패턴을 부가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등기구로서,
    투영 렌즈와, 상기 투영 렌즈의 후방에서 좌우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을 상기 투영 렌즈를 통해 전방을 향해 조사함으로써 상기 부가 배광 패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영 렌즈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수평면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부가 배광 패턴의 형성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개별로 점등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렌즈 및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수평면 내에서 일체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영 렌즈와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는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배광 패턴의 형성 위치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의 상기 발광 소자에 대한 공급 전류값의 비율이 변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등기구.
KR1020150124958A 2014-09-05 2015-09-03 차량용 등기구 KR201600297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81656A JP2016058166A (ja) 2014-09-05 2014-09-05 車両用灯具
JPJP-P-2014-181656 2014-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701A true KR20160029701A (ko) 2016-03-15

Family

ID=55437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958A KR20160029701A (ko) 2014-09-05 2015-09-03 차량용 등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69527A1 (ko)
JP (1) JP2016058166A (ko)
KR (1) KR2016002970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7450B2 (ja) * 2015-08-07 2019-10-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DE102016200339A1 (de) * 2016-01-14 2017-07-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cheinwerfersystem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Kurvenlichtfunktion
CN106541886A (zh) * 2016-10-26 2017-03-29 江苏金米智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定位的车辆远近光灯自动切换控制系统
DE102017103884A1 (de) * 2017-02-24 2018-08-3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Beleuchtungseinrichtung, elektronisches Gerät mit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und Verwendung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JP7139309B2 (ja) * 2017-03-10 2022-09-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照明装置
JP6985082B2 (ja) * 2017-09-25 2021-12-22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JP6955418B2 (ja) 2017-10-13 2021-10-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R3074257B1 (fr) * 2017-11-27 2020-11-13 Valeo Vision Module lumineux pour l’eclairage et/ou la signal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DE102017130578A1 (de) * 2017-12-19 2019-06-1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ichtquelle
FR3075710A1 (fr) * 2017-12-22 2019-06-28 Valeo Vision Dispositif d'eclairage emettant un faisceau de croisement directionnel et procede de commande associe
JP7101526B2 (ja) * 2018-04-24 2022-07-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車両用灯具
FR3090817B1 (fr) 2018-12-19 2020-12-04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de véhicule automobile
FR3090816B1 (fr) * 2018-12-19 2021-07-02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pour véhicule automobile
US11513431B2 (en) * 2019-01-25 2022-11-29 Cepton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 projection
FR3095494B1 (fr) * 2019-04-26 2021-09-10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éclairage adaptatif pour projecteur de véhicule
JPWO2021070787A1 (ko) * 2019-10-08 2021-04-15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9080A (ja) 2010-05-25 2011-12-08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9113A (ja) * 2008-01-29 2009-08-13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99781B2 (ja) * 2008-08-11 2013-05-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装置
US10227033B2 (en) * 2010-03-19 2019-03-12 Lumileds Llc Lighting assembly for vehicle
JP6008637B2 (ja) * 2012-07-25 2016-10-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9080A (ja) 2010-05-25 2011-12-08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69527A1 (en) 2016-03-10
JP2016058166A (ja)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9701A (ko) 차량용 등기구
JP4535965B2 (ja) 車両用灯具
JP5816031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US20160185276A1 (en) Vehicle lamp
JP6051533B2 (ja)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US9050926B2 (en)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headlamp device
JP5133862B2 (ja) 車両用照明灯具
WO2013031210A1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2013161567A (ja) 車両用前照灯および車両用前照灯装置
KR20180006611A (ko) 차량용 등기구
JP6448306B2 (ja) 車両用灯具
JP2010140663A (ja) 車両用照明灯具
JP6630112B2 (ja) 車両用灯具
EP2172694B1 (en) Vehicular lamp
JP6415242B2 (ja) 車両用灯具
JP2001260744A (ja) 車両用灯具および車両用灯具システム
JP6459305B2 (ja) 車両用前照灯
JP6142540B2 (ja) 車両用前照灯
WO2015170403A1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6142541B2 (ja) 車両用前照灯
JP6314462B2 (ja) 車両用前照灯
JP6318593B2 (ja) 車両用前照灯
JP6266332B2 (ja) 車両用灯具
JP6866018B2 (ja) 車両の走行用前照灯
JP5478227B2 (ja) 車両用照明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