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793A -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793A
KR20180004793A KR1020177035471A KR20177035471A KR20180004793A KR 20180004793 A KR20180004793 A KR 20180004793A KR 1020177035471 A KR1020177035471 A KR 1020177035471A KR 20177035471 A KR20177035471 A KR 20177035471A KR 20180004793 A KR20180004793 A KR 20180004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intake
opening
chamber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5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3057B1 (ko
Inventor
젠조 야마구치
사토시 다부치
교코 마스다
신이치 기노시타
가즈히로 우에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80004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24Ducts with special cross-sections, e.g. non-circular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8Air inlets for cooling; Shutters or bli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3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engin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2Filtering, cooling, or silencing cooling-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4Combined air cleaners and silen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4Heavy duty vehicles, e.g. trucks, trains, agricultural or construction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10Guiding or ducting cooling-air, to, or from, liquid-to-air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00Air cooling
    • F01P2001/005Cooling engine rooms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룸의 흡기 개구를 통한 소음의 방사를 억제할 수 있는 건설 기계를 제공한다. 건설 기계는, 실간 개구를 가지면서 엔진 룸(10) 내의 수용 공간을 주실(11)과 흡기실(13)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25, 29)와, 엔진 룸(10) 내의 공기의 흡입 방향(X)의 흡입에 의해, 흡기 개구(17), 흡기실(13), 실간 개구 및 주실(11)의 순서대로 흐르는 냉각풍(C)을 발생시키도록 주실(11) 내에 배치되는 팬(21)과, 흡기 개구(17)를 둘러싸도록 외벽(15)에 연결되고, 흡기 개구(17)에 연결되는 덕트 통로(32)를 둘러싸는 내주면(31)과 외주면(33)을 갖는 덕트(30)를 구비한다. 덕트(30)는 팬(21)의 흡입 방향(X)과 상이한 덕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덕트(30)의 외주면(33)의 주위에 덕트 주위 공간(40)이 형성되도록 흡기실(13) 내에 배치된다.

Description

건설 기계
본 발명은 엔진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엔진을 구비한 건설 기계에서는, 엔진 룸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문제가 된다. 특히, 엔진 룸 내의 팬(냉각 팬)에 의해 생성되어 엔진 룸의 흡기 개구로부터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건설 기계의 주위(공사 현장 등)의 소음이나, 캡내 귓전에서의 소음이 문제가 된다.
특허문헌 1의 도 1에는, 냉각풍 흡입 덕트에 흡음재를 설치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도 1에는, 흡기 개구의 근방에 흡음재를 설치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술은, 흡기 개구를 통해서 냉각풍을 도입하면서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헬름홀츠 레조네이터나 사이드 브랜치 등의 간섭형 소음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3 및 4에는, 사이드 브랜치를 사용해서 소음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되는 흡음재에 의해 억제 가능한 소음의 주파수는 한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당해 흡음재는, 고주파음(200Hz보다도 큰 주파수의 소리)은 억제할 수 있지만, 저주파음(약 100Hz 내지 200Hz)은 거의 억제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3 및 4에 기재되는 헬름홀츠 레조네이터나 사이드 브랜치 등의 간섭형 소음 장치만에 의한 저주파음의 억제에는, 대형 소음 장치를 요한다. 이러한 소음 장치를 엔진 룸 내에 배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브랜치는, 100Hz 내지 200Hz의 소음을 억제하기 위해서 0.425m 내지 0.85m 정도의 길이를 가질 필요가 있다. 게다가, 당해 소음 장치의 소음 효과가 발휘되는 주파수의 범위가 좁다.
일본 특허 공개 평9-12377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8-261338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58-18395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036778호 공보
본 발명은, 흡기 개구를 갖는 엔진 룸을 구비한 건설 기계이며, 상기 엔진 룸으로부터 상기 흡기 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넓은 주파수에 걸쳐 콤팩트한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는 건설 기계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제공되는 것은, 건설 기계이며, 상기 엔진 룸으로부터 상기 흡기 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넓은 주파수에 걸쳐 콤팩트한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는 건설 기계가 제공된다. 제공되는 것은, 건설 기계이며, 엔진과,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외벽을 갖고, 당해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 룸과, 상기 수용 공간을,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주실과 상기 외벽에 형성된 흡기 개구를 통해서 당해 외벽의 외부와 연통되고, 또한 상기 주실과 수평인 방 배열 방향으로 배열하는 흡기실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이며, 상기 주실과 상기 흡기실을 연통시키는 실간 개구를 갖고, 상기 방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실간 개구의 면적이 상기 흡기실의 면적보다도 작은 구획 부재와, 상기 엔진 룸 내의 공기를 흡입 방향으로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팬이며, 상기 흡입에 의해 상기 흡기 개구, 상기 흡기실, 상기 실간 개구 및 상기 주실의 순서대로 흐르는 냉각풍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주실 내에 배치되는 팬과, 상기 흡기 개구를 둘러싸도록 상기 외벽에 연결되어, 당해 흡기 개구에 연결되는 덕트 통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갖는 덕트를 구비한다. 상기 덕트는, 상기 흡입 방향과 상이한 덕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덕트의 상기 외주면의 주위에 덕트 주위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흡기실 내에 배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의 엔진 룸 내의 구조를 수평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엔진 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엔진 룸의 주요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소음 저감 효과와 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소음 저감 효과와 주파수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엔진 룸 내의 구조를 수평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엔진 룸 내의 구조를 수평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엔진 룸 내의 구조를 수평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엔진 룸 내의 구조를 수평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엔진 룸 내의 구조를 수평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엔진 룸 내의 구조를 수평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엔진 룸 내의 구조를 수평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건설 기계의 주요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건설 기계는, 도시되지 않는 상부 선회체와, 도 1에 도시되는 엔진(23)과, 당해 엔진(23)을 수용하는 엔진 룸(10)과, 당해 엔진 룸(10) 내에 수용되는 복수의 요소이며 구획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구비한다.
상기 엔진 룸(10)은, 외벽인 벽부(15)를 갖고, 당해 벽부(15)는 상기 엔진(23) 등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둘러싼다. 당해 엔진 룸(10)은, 상기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배치된다. 상기 구획 부재는, 상기 수용 공간을 서로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는 주실(11)과 흡기실(13)로 구획한다. 주실(11)은, 상기 엔진(23) 및 그 주변의 요소를 수용한다. 상기 흡기실(13)은, 상기 벽부(15)에 형성된 흡기 개구(17)를 통해서 당해 벽부(15)의 외부에 연통된다. 상기 벽부(15)는, 예를 들어 엔진 가드 및 카운터 웨이트의 일부 등에 의해 구성된다. 벽부(15)는, 상기 흡기실(13)의 상벽부를 구성하는 흡기실 상벽부(15a)를 포함한다.
상기 흡기 개구(17)는, 상기 벽부(15) 중 상기 흡기실(13)을 둘러싸는 부분,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벽부에 형성된다. 당해 흡기 개구(17)는, 당해 벽부(15)를 관통함으로써 당해 벽부(15)의 외부와 상기 흡기실(13)의 내부를 연통한다. 흡기 개구(17)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흡기실 상벽부(15a)에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흡기 개구(17)는, 위에서 보았을 때,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사각형, 상세하게는 사다리꼴이다. 상기 벽부(15) 중 상기 주실(11)의 상벽을 구성하는 부분에는 배기 개구(19)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요소는, 팬(21)과, 라디에이터(25)와, 필터(27)와, 도풍 부재(29)와, 덕트(30)를 포함한다.
상기 팬(21)은, 상기 주실(11) 내에 배치되어, 상기 엔진(23)에 의해 구동되어서 상기 주실(11) 내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냉각풍(C)을 발생시킨다. 팬(21)이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팬(21)의 위치에서의 냉각풍(C)의 흐름의 방향)을 팬 흡입 방향(X)이라 한다. 팬 흡입 방향(X)은, 수평 방향 또는 대략 수평 방향이다.
상기 엔진(23)은, 팬(21)의 구동원이다. 상기 엔진(23)은, 건설 기계의 구동원이며, 엔진(23)에 설치된 유압 펌프의 구동원이다. 엔진(23)은, 주실(11) 내에 배치되고, 상기 팬(21)보다도 팬 흡입 방향(X)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상기 라디에이터(25)는, 당해 라디에이터(25) 내를 흐르는 유체와 상기 냉각풍(C)의 열교의 사이 당해 유체를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라디에이터(25)에 냉각되는 유체는, 예를 들어 엔진(23)의 냉각수이며, 예를 들어 유압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유이다.
상기 라디에이터(25)는, 상기 팬(21)보다도 상류측(X1)에 배치된다. 라디에이터(25)는, 당해 라디에이터(25)의 상하 방향 중간 부분을 구성하는 라디에이터 본체(25c)와, 라디에이터(25)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측 구획부(25a)와, 라디에이터(25)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측 구획부(25b)를 갖는다. 상기 라디에이터 본체(25c)는, 상기 냉각풍(C)의 통과를 허용하면서 당해 냉각풍(C)과 상기 유체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게 한다. 상기 상측 구획부(25a) 및 상기 하측 구획부(25b)는, 상기 라디에이터 본체(25c)의 상측 및 하측의 위치에서 각각 상기 수용 공간을 상기 주실(11)과 상기 흡기실(13)로 구획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측 구획부(25a) 및 상기 하측 구획부(25b)와 마찬가지의 위치에서 상기 수용 공간을 주실(11)과 흡기실(13)로 구획하는 부재가, 라디에이터(25)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 도풍 부재(29)는, 상기 라디에이터(25)와 함께 상기 구획 부재를 구성한다. 당해 도풍 부재(29)는, 상기 팬(21)이 발생시킨 냉각풍(C)이 상기 라디에이터(25)의 라디에이터 본체(25c)를 적절하게 통과하도록, 냉각풍(C)을 유도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풍 부재(29)는, 라디에이터(25) 중 냉각풍(C)이 통과 가능한 부분인 상기 라디에이터 본체(25a)를 둘러싸도록 상기 라디에이터(25)를 관통하는 통 형상을 이룬다. 도풍 부재(29)는, 흡기실(13) 내에 위치하는 입구 단부(29a)와, 상기 팬(21)을 둘러싸는 출구 단부(29b)를 갖고, 당해 입구 단부(29a)와 당해 출구 단부(29b)를 연결하도록 상기 팬 흡입 방향(X)으로 연장된다. 도풍 부재(29)는, 라디에이터(25)보다도 흡기실(13)측에 돌출되는 부분(29c)을 갖고, 이 돌출된 부분(29c)은, 상기 라디에이터(25)의 근방의 공간을 당해 도풍 부재(29)의 외측에서의 흡기실(13) 내의 공간과 당해 도풍 부재(29)의 내측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필터(27)는, 상기 도풍 부재(29)의 입구 단부(29a)의 내측에 배치되고, 당해 필터(27)를 냉각풍(C)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당해 냉각풍(C)에 포함되는 진애를 포착한다. 상기 입구 단부(29a)는, 상기 주실(11)과 상기 흡기실(13)을 연통시키는 실간 개구를 둘러싸고, 당해 실간 개구는 상기 주실(11)과 상기 흡기실(13)과의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필터(27)는, 상기 라디에이터(25)보다도 상기 팬 흡입 방향(X)의 상류측에 위치한다. 주실(11)과 흡기실(13)이 배열하는 방 배열 방향(예를 들어 팬 흡입 방향(X))으로 보았을 때, 상기 필터(27)가 위치하는 상기 실간 개구는, 상기 흡기실(13)의 면적보다도 작은 면적을 갖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당해 방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 필터(27)의 외곽은, 상기 흡기실(13)의 외곽의 내측에 수렴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덕트(30)는, 상기 흡기실(13) 내에서 상기 흡기 개구(17)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통 형상 부재이다. 덕트(30)는, 당해 덕트(30)의 내측 통로인 덕트 통로(32)를 둘러싸는 내주면(31)과, 외주면(33)을 갖고, 상기 덕트 통로(32)는 상기 흡기 개구(17)에 연결된다. 덕트(30)는, 상기 흡기 개구(17)와 연속하는 상단 개구(35)와, 당해 상단 개구(35)로부터 상기 흡기실(13)의 내측(도 1에서는 하측)으로 이격된 하단 개구(37)를 갖는다.
상기 덕트(30)는, 상기 팬(21)으로부터 상기 엔진 룸(10)의 외부에 소리가 직접 방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는 상기 팬(21)으로부터 방사되는 소리가 덕트(30)에 닿기 쉽도록 배치된다. 상기 덕트(30)는, 상기 흡기 개구(17)로부터 흡기실(13) 내를 향해서 하향으로 연장된다. 당해 덕트(30)가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팬 흡입 방향(X)(이 실시 형태에서는 수평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며, 상기 팬 흡입 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직교하는 방향」은, 엄밀하게 직교하는 방향 외에, 실질상 직교하고 있다고 간주되는 방향도 포함한다. 덕트(30)는, 예를 들어 직선적으로 하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덕트(30)는, 엔진 룸(10) 내에서 당해 덕트(30)와 상기 팬(21)과의 사이에 상기 도풍 부재(29) 이외의 요소가 없다고 가정한 경우, 구체적으로는 상기 필터(27) 및 상기 라디에이터(25)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한 경우에, 상기 엔진 룸(10)의 외부로부터 상기 흡기 개구(17)를 통한 상기 팬(21)의 직시를 가로막도록 배치된다.
상기 덕트(30)는, 상기 외주면(33)의 주위에 덕트 주위 공간(40)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 덕트 주위 공간(40)은, 흡기실(13)의 일부이며, 공기는 존재하지만 고체가 없는 부분이다. 덕트 주위 공간(40)은, 상기 외주면(33)에 인접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 주위 공간(40)은, 반드시 상기 외주면(33)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지 않아도 된다. 덕트 주위 공간(40)은, 적어도 상기 외주면(33)보다도 팬 흡입 방향(X)의 상류측, 및 상기 외주면(33)보다도 팬 흡입 방향(X)의 하류측에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예시되는 상기 덕트 주위 공간(40)은, 상기 외주면(33)의 후방측(팬 흡입 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이면서 또한 수평 방향 중 한쪽측, 도 2에서의 하측)에 형성된다. 그러나, 당해 덕트 주위 공간(40)은, 덕트(30)보다도 전방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덕트(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덕트(30)로부터 필터(27)에 냉각풍(C)이 흐르기 쉽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덕트(30)의 선단의 개구, 즉 하단 개구(37)는, 팬 흡입 방향(X)으로 보았을 때, 필터(27)의 외측 단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단 개구(37)는, 상기 필터(27)의 상단보다도 상측에 배치된다. 덕트 하단 개구(37) 중 적어도 상기 팬 흡입 방향(X)의 하류측의 부분(예를 들어 하류측 단부)은, 필터(27)의 상단보다도 상측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덕트 하단 개구(37)의 전체가 상기 필터(27)의 상단보다도 상측에 배치된다. 덕트(30)가 연장되는 방향에서의 덕트(30)의 길이(L)(덕트 상단 개구(35)부터 덕트 하단 개구(37)까지의 상하 방향의 거리)는, 예를 들어 0.2m 이상 0.3m 이하이다.
상기 덕트(30)는, 당해 덕트(30) 내를 냉각풍(C)이 흐르기 쉽도록, 또한 덕트 주위 공간(40)에 소리를 전달하기 쉽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30)가 연장되는 방향(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 덕트(30)가 둘러싸는 상기 덕트 통로(32)의 단면적은, 흡기 개구(17)의 면적과 동등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 덕트(30)의 내주면(31)이 둘러싸는 공간의 단면적은, 덕트 상단 개구(35)로부터 덕트 하단 개구(37)에 걸쳐 일정하다. 상하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내주면(31)의 단면 형상 및 위치는, 흡기 개구(17)의 형상 및 위치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21)은 그 회전에 따라 냉각풍(C)을 생성한다. 당해 냉각풍(C)은, 엔진 룸(10)의 외부, 흡기 개구(17), 덕트(30), 흡기실(13), 필터(27), 주실(11)의 순서대로 흐른다. 주실(11)에 도입된 냉각풍(C)은, 라디에이터(25)의 라디에이터 본체(25c), 팬(21), 엔진(23)보다도 상측의 배관, 배기 개구(19), 엔진 룸(10)의 외부의 순서대로 흐른다.
상기 팬(21)은 그 작동에 따라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 소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21), 라디에이터(25), 필터(27), 흡기실(13)의 순서대로 전해진다. 주실(11)로부터 흡기실(13)에의 상기 소리의 경로의 단면적은, 필터(27)의 위치에서 급확대하여, 이 위치에서 소리가 회절(분산)된다. 화살표 S1 및 화살표 S2와 같이, 흡기실(13)에 전해진 소리의 일부는, 덕트(30) 및 흡기 개구(17)를 지나서, 엔진 룸(10)의 외부로 방사된다.
화살표 S3과 같이, 필터(27), 흡기실(13), 덕트(30)의 주변부의 순서대로 진행하는 소리의 경로의 단면적은, 덕트(30)에서의 소리의 입구인 하단 개구(37)에서 급축소하므로, 당해 하단 개구(37) 및 그 주변에서 소리가 반사한다. 이렇게 반사한 반사 소리와, 당해 반사 소리와는 위상이 상이한 소리의 간섭에 의해 소음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반해, 상기 특허문헌 1의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흡기실로부터 흡기 개구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서서히 소리의 경로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덕트에서는, 덕트의 입구에서 소리의 반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 반사에 의한 소음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도 3에 화살표 S4 및 화살표 S5로 나타낸 바와 같이, 덕트 주위 공간(40)에 들어간 소리, 즉 당해 덕트 주위 공간(40)의 공기에 전해진 소리는, 당해 덕트 주위 공간(40)을 둘러싸는 벽에서 반사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덕트 주위 공간(40) 중 상기 덕트(30)보다도 상기 팬 흡입 방향(X)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공간에 각각 진입한 소리는, 벽부(15)의 특히 흡기실 상벽부(15a), 구획부(25a) 등에서 반사한다. 이렇게 반사한 반사 소리와, 당해 반사 소리와는 위상이 상이한 소리의 간섭에 의해 소음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덕트(30)는, 그 주위에 상기 덕트 주위 공간(40)을 형성함으로써 간섭형의 소음 장치(구체적으로는 사이드 브랜치와 비슷한 장치)를 구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특허문헌 2의 도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상기 화살표 S5로 나타내는 반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 반사에 의한 소음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도 3에 화살표 S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필터(27)보다도 하측이면서 또한 팬 흡입 방향(X)의 하류측의 흡기실(13) 내의 공간에 전해진 소리는, 이 공간을 둘러싸는 벽, 예를 들어 벽부(15), 라디에이터(25)의 구획부(25b), 및 도풍 부재(29)의 하면 등에서 반사한다. 이렇게 반사한 반사 소리와, 당해 반사 소리와는 위상이 상이한 소리의 간섭에 의해 소음 효과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도풍 부재(29)는, 당해 도풍 부재(29)의 하측의 흡기실(13) 내의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간섭형 소음 장치(사이드 브랜치와 비슷한 장치)를 구축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소음 저감 효과의 비교)
도 4는, 다양한 흡기 구조에서의, 주파수가 100Hz 내지 200Hz의 소음의 저감 효과(dB)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덕트(30)의 길이(L)가 각각 0.1m, 0.2m 및 0.3m인 3종류의 구조, 즉 실시예에 관한 구조와, 비교예 1에 관한 구조와, 비교예 2에 관한 구조에서의 소음 저감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비교예 1에 관한 구조는, 상기 덕트(30)를 갖지 않는, 즉 상기 덕트 길이(L)가 0인 점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에 관한 구조와 공통된다. 비교예 2에 관한 구조는, 상기 실시예 1에 관한 구조에서의 상기 덕트(30) 대신에 0.2m의 길이(L)를 가지는 종래의 사이드 브랜치가 상기 흡기 개구(17)에 배치된 것이다.
도 4는, 비교예 1에 관한 구조의 저감 효과를 기준(0dB)으로 해서 이것에 대한 다른 구조의 저감 효과를 상대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는, 상기 실시예 1에 관한 구조가 저주파음에 대해서 우수한 저감 효과를 발휘한다는 사실을 밝혀준다. 또한, 실시예 1 중 길이(L)=0.2m인 구조와 비교예 2에 관한 구조를 비교하면, 비교예 2에 따른 단순한 사이드 브랜치는 0.2m의 길이를 가져도 거의 소음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데 반해, 실시예 1에 관한 덕트(30)는 0.2m의 길이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소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효과는, 필터(27) 및 덕트 하단 개구(37)에서의 유로 단면적의 급확대 및 급축소에 의한 효과와, 덕트 주위 공간(40)에 형성되는 사이드 브랜치에 의한 효과와의 중첩에 기초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 효과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도 5는, 다양한 흡기 구조에서의, 주파수가 0Hz 내지 500Hz인 소음의 저감 효과(dB)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구조이며 덕트(30)의 길이(L)가 각각 0.1m, 0.2m, 0.3m, 0.4m 및 0.5m인 5종류의 구조와, 상기의 비교예 1(L=0m)에 따른 구조에 관한 저감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하는 덕트(30)의 길이(L)는, 덕트 주위 공간(40)에 형성되는 사이드 브랜치의 길이이기도 하다. 덕트(30)의 길이(L)가 0m인 비교예 1의 구조는, 사이드 브랜치를 갖지 않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5의 그래프에 나타내는 비교예 1의 저감 효과는, 상기 단면적의 급확대 및 급축소만을 기초로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비교예 1에 따른 구조에 비해, 실시예 1에 따른 구조는, 특정한(좁은, 핀포인트의) 주파수에서 현저한 저감 효과를 발휘하고, 또한 저주파수 영역(약 100Hz 내지 200Hz)의 거의 전역에서 높은 저감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21), 필터(27), 흡기실(13) 및 덕트(30)의 순서대로 진행되는 소리의 경로의 단면적이 필터(27)에서 급확대되고 덕트 하단 개구(37)에서 급축소된다. 그 결과, 덕트(30)의 하단 개구(37)에서 소리가 반사된다(화살표 S3 참조). 또한, 당해 구조에서는, 덕트 주위 공간(40)에 침입해서 흡기실(13)을 구성하는 벽에서 반사되는 소리인 반사 소리(화살표 S3, 화살표 S4, 화살표 S5 참조)와, 이 반사 소리와는 위상이 상이한 소리의 간섭이, 특히 저주파음(약 100Hz 내지 200Hz)에서의 소음 효과를 만들어 내고, 이에 의해, 흡기 개구(17)를 통한 엔진 룸(10)의 외부에의 소음의 방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구조, 즉 덕트(30)나 덕트 주위 공간(40)을 갖지 않고 흡기 개구(17)의 근방에 단순한 사이드 브랜치가 설치되는 구조에 비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는 콤팩트한 구성으로 상기 저주파음의 소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덕트(30)는, 흡기실(13)측에 형성된 흡기 개구(17)로부터 흡기실(13) 내를 향해서 팬 흡입 방향(X)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주실(11)로부터 흡기실(13)에 전해지는 소리(200Hz를 초과하는 고주파음을 포함함)가 덕트(30)에 닿기 쉽게 하고, 이에 의해, 흡기 개구(17)를 통해서 엔진 룸(10)의 외부에 소음이 직접 방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액티브 컨트롤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은, 소음 효과가 얻어지는 주파수의 현저한 제한, 종래의 건설 기계에 대하여 기기를 추가함으로 인한 비용 상승이나 스페이스의 압박, 열해, 내구성 및 내후성 등, 많은 과제를 수반하지만, 당해 액티브 컨트롤을 요하지 않는 상기 구조는, 상기 과제를 수반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덕트(30)가 둘러싸는 덕트 통로(32)는, 당해 덕트(3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보았을 때 흡기 개구(17)의 면적과 동등한 단면적을 갖기 때문에, 덕트 주위 공간(40)에서의 반사 소리에 의한 소음 효과의 취득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냉각풍(C)의 유량을 확보하기 쉽게 한다. 덕트(30)가 둘러싸는 덕트 통로(32)가 흡기 개구(17)의 면적보다도 큰 단면적을 갖는 경우, 당해 덕트(30)는 덕트 주위 공간(40)에의 소리의 진입을 가로막음으로써, 덕트 주위 공간(40)에서의 반사 소리(화살표 S4 및 화살표 S5 참조)를 저감시켜 상기 간섭에 의한 소음 효과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덕트(30)가 둘러싸는 덕트 통로(32)가 흡기 개구(17)의 면적보다도 작은 단면적을 갖는 경우, 당해 덕트(30)는 냉각풍(C)의 통풍 저항으로 되어 냉각풍(C)의 유량을 저감시킬 우려가 있다.
상기 덕트(30)의 선단 개구, 즉 하단 개구(37)는, 팬 흡입 방향(X)으로 보았을 때 실간 개구를 둘러싸는 도풍 부재(29)의 입구 단부(29a)보다도 외측에 위치함으로써, 덕트(30)로부터 필터(27)에의 냉각풍(C)의 유입을 원활하게 해서 냉각풍(C)의 유량의 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덕트(30)는, 팬 흡입 방향(X)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주실(11)로부터 흡기실(13)에 전해지는 소리가 당해 덕트(30)에 보다 닿기 쉽고, 이에 의해, 엔진 룸(10)의 외부에 소음이 직접 방사되는 것을 보다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주요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하, 당해 구조와, 도 1에 도시되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구조의 상위점을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 이후의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 중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구조와 공통되는 요소에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에는 포함되지 않는 통기 부재인 다공 부재(250)를 구비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다공 부재(250)는, 다수의 구멍을 포함하는 평면 형상(판상)의 부재이며 통기성을 갖는다. 다공 부재(250)는, 예를 들어 금속제이며, 예를 들어 펀칭 메탈이며, 또한 예를 들어 금속망 등이다. 다공 부재(250)는, 덕트(30)의 하단 개구(37)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덮도록 덕트(30)에 설치된다. 다공 부재(250)는, 정류 효과를 발휘한다. 다공 부재(250)의 구멍을 공기가 통과하면, 구멍의 근방에 미세한 공기의 소용돌이가 발생하여, 소리의 에너지가 흩어져 없어진다(미소한 감쇠가 발생함). 다공 부재(250)는,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을 억제한다. 상기 덕트(30)는 특정한 주파수의 소음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덕트(30)의 길이(L)가 0.2m인 경우에는 500Hz, 길이(L)가 0.4m인 경우에는 315Hz의 소음이 각각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반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덕트(30)에 의해 악화된 주파수의 소음이 개선되도록 다공 부재(250)의 구멍의 직경(예를 들어 약 5mm 이상) 및 개구율(예를 들어 30% 이상)이 설정된다.
당해 다공 부재(250)는, 당해 다공 부재(250)를 통과하는 소리의 에너지를 흩어져 없어지게 하고, 이에 의해, 흡기 개구(17)를 통해서 엔진 룸(10)의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주요한 구조를 나타낸다. 제3 실시 형태도 다공 부재(35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6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평면 형상의 다공 부재(250)와 달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다공 부재(350)는, 덕트(30)의 선단의 개구로부터 덕트(30)보다도 외측에 돌출되고,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30)의 하단 개구(37)보다도 하측에, 즉 덕트(3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입체 형상을 이룬다. 다공 부재(350)는, 예를 들어 하향으로 직선적으로 돌출되는 통 형상을 이룬다. 이 입체 형상은, 다공 부재(350)의 구멍의 개구 면적의 총합을 덕트(30)의 하단 개구(37)의 면적보다도 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다공 부재(30)에 포함되는 구멍의 총 개구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은, 당해 다공 부재(350)에서의 냉각풍(C)에 대한 통풍 저항을 작게 해서 냉각풍(C)의 충분한 유량을 확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주요한 구조를 나타낸다. 당해 구조는, 제2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다공 부재(250)를 구비하는 것 외에도, 또한 흡음재(460)를 구비한다. 흡음재(460)는, 당해 흡음재(460)에 닿는 소리, 특히 고주파음을 흡수함으로써, 예를 들어 다공 부재(250)에서 발생하는 바람 소리를 억제한다. 흡음재(460)는, 덕트(30)의 내주면(31)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된다. 흡음재(460)는, 예를 들어 상기 내주면(31) 중 팬 흡입 방향(X)의 상류측 부분에 고정(예를 들어 접착)된다. 흡음재(460)는, 예를 들어 다공질체(우레탄, 글라스울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제5 실시 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주요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 구조는, 도 8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와 다음의 점에서 상이하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흡음재(460)는, 덕트(30)의 내주면(31)을 덮도록 배치되지만,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흡음재(560)는, 도 7에 나타내는 다공 부재(350)와 마찬가지로 덕트(30)의 하단 개구(37)로부터 흡기실(13) 내에 돌출되는 다공 부재(350)의 내주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흡음재(560)는, 다공 부재(350)로부터 필터(27)에 흐르는 냉각풍(C)(도 1 참조)의 통풍 저항이 되기 어렵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당해 흡음재(560)는, 다공 부재(350)의 내주면 중 팬 흡입 방향(X)의 상류측의 부분을 덮도록 당해 부분에 고정(예를 들어 접착)된다. 상기 흡음재(560)는, 당해 흡음재(560)를 저주파음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당해 흡음재(560) 자신이 덕트 주위 공간(40)으로의 당해 저주파음의 진입을 저해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한다.
도 9에 나타내는 구조에서도, 다공 부재(350)에 고정되는 흡음재(560)는, 당해 흡음재(460)에 닿는 소리, 예를 들어 다공 부재(350)에서 발생하는 바람 소리가 엔진 룸(10)의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주요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 구조는, 다음의 점에서만, 도 9에 나타내는 제5 실시 형태의 구조와 상이하다. 즉,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흡음재(560)는, 다공 부재(350)의 내주면을 덮는 데 반해, 제6 실시 형태의 흡음재(660)는, 다공 부재(350)의 외주면을 덮도록 당해 외주면에 고정되고, 내주면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당해 흡음재(660)는, 당해 다공 부재(350)의 외주면 중 팬 흡입 방향(X)의 상류측의 부분을 덮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흡음재(660)는, 다공 부재(350)의 내부에서의 냉각풍(C)(도 1 참조)의 유로, 및 다공 부재(350)로부터 필터(27)에의 냉각풍(C)의 유로를 가로막지 않고, 따라서, 냉각풍(C)의 유량의 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다공 부재(350)보다도 상류측의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해서 흡음재(66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주요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 구조는, 도 8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의 구조와 다음의 점에서만 상이하다. 즉, 제7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흡음재(460), 즉 다공질체에 의해 구성된 흡음재 대신에, 다공판(761)과 공기층(763)으로 구성된 흡음재(760)를 포함한다. 다공판(761)은,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판이다. 다공판(761)은, 빗물 등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도장된 금속이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계 합금 등에 의해 구성된다. 다공판(761)의 각 구멍의 직경 및 개구율은, 다공 부재(250)에서의 바람 소리의 억제를 가능하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구멍의 직경은 약 3mm 이하가 적합하고, 개구율은 약 3% 이하가 적합하다. 공기층(763)은, 다공판(761)과 덕트(30)의 내주면(3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의 층, 즉 고체물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이며 간극이다. 이렇게 구성된 흡음재(760)는, 예를 들어 우레탄 등의 다공질체에 의해 구성되는 흡음재에 비해, 빗물 등에 의해 열화되기 어렵다.
상기 실시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끼리를 조합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구조, 즉, 덕트(30)의 내주면(31)을 덮도록 흡음재(460)가 배치되는 구조에 대하여, 도 10에 도시하는 제6 실시 형태와 같이 다공 부재(350)에 설치되는 흡음재(660)가 부가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의 형상을 적절히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흡기 개구(17)가 아니라, 위에서 보아 직사각형,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곡선을 포함하는 선으로 둘러싸인 형상의 흡기 개구가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의 수의 변경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흡기 개구(17) 및 덕트(30)가 상기 벽부(15)에서의 복수의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도 된다.
또는,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의 일부의 생략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필터(27)는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주실(11)과 흡기실(13)을 연통하는 실간 개구는, 도풍 부재(29)의 입구 단부(29a)에 의해 둘러싸이는 개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기 개구는, 상기 흡기 개구(17)와 같이 흡기실 상벽부(15a)에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흡기 개구는, 예를 들어 흡기실의 하면을 획정하는 하벽부, 흡기실의 측면(예를 들어 건설 기계의 우측면, 좌측면, 후방면 또는 전방면)을 획정하는 측벽부, 또는 그것들의 근방 등에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는, 상기 덕트(30)와 같이 흡기 개구(17)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당해 흡기 개구(17)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어도 된다. 당해 덕트는, 흡기 개구의 위치에 따라서는, 당해 흡기 개구로부터 횡 방향, 상향, 또는 비스듬히 상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도 12는, 그 예인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의 주요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 제8 실시 형태도 흡기 개구(17)를 포함하는데, 당해 흡기 개구(17)는, 흡기실(13)의 하면을 획정하는 하벽부에 형성된다. 덕트(30)는, 팬 흡입 방향(X)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 이 제8 실시 형태에서는 비스듬히 상향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측을 향함에 따라서 덕트(30)가 주실(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해 덕트(30)가 연장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덕트 주위 공간(4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30)의 외주면(33)의 일부에만 인접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주위 공간은 덕트의 외주면 전체 둘레에 인접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덕트 주위 공간(40)에 형성되는 사이드 브랜치의 길이와, 덕트(30)의 길이(L)가 동등하지만, 이것들은 상이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덕트(30)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본 당해 덕트(30)의 내측의 덕트 통로(32)의 단면적 및 단면 형상은, 당해 덕트(30)의 상단 개구(35)와 하단 개구(37)에 걸쳐 일정하지만, 이것들은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다공 부재(350)는, 덕트(30)의 하단 개구(37)로부터 덕트(30)가 연장되는 방향(하향)으로 돌출되지만, 당해 다공 부재(350)는 또한, 덕트(30)가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예를 들어 팬 흡입 방향(X))으로 돌출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흡기 개구를 갖는 엔진 룸을 구비한 건설 기계이며, 상기 엔진 룸으로부터 상기 흡기 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넓은 주파수에 걸쳐 콤팩트한 구성으로 억제할 수 있는 건설 기계가 제공된다. 제공되는 것은, 건설 기계이며, 엔진과,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외벽을 갖고, 당해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 룸과, 상기 수용 공간을,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주실과 상기 외벽에 형성된 흡기 개구를 통해서 당해 외벽의 외부와 연통되고, 또한 상기 주실과 수평한 방 배열 방향으로 배열하는 흡기실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이며, 상기 주실과 상기 흡기실을 연통시키는 실간 개구를 갖고, 상기 방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실간 개구의 면적이 상기 흡기실의 면적보다도 작은 구획 부재와, 상기 엔진 룸 내의 공기를 흡입 방향으로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팬이며, 상기 흡입에 의해 상기 흡기 개구, 상기 흡기실, 상기 실간 개구 및 상기 주실의 순서대로 흐르는 냉각풍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주실 내에 배치되는 팬과, 상기 흡기 개구를 둘러싸도록 상기 외벽에 연결되고, 당해 흡기 개구에 연결되는 덕트 통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갖는 덕트를 구비한다. 상기 덕트는, 상기 흡입 방향과 상이한 덕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덕트의 상기 외주면의 주위에 덕트 주위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흡기실 내에 배치된다.
이 건설 기계에 의하면, 실간 개구를 가지면서 수용 공간 내를 주실과 흡기실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와, 흡기실 내에서 덕트 주위 공간을 형성하도록 당해 흡기실의 흡기 개구를 둘러싸는 덕트와의 조합이, 상기 엔진 룸으로부터 상기 흡기 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넓은 주파수에 걸쳐 콤팩트한 구성으로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덕트 통로는, 상기 덕트 연장 방향에서 보아 상기 흡기 개구의 단면적과 동등한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덕트 주위 공간에서의 반사 소리에 의한 소음 효과의 취득을 확실하게 하고, 또한 냉각풍의 유량을 확보하기 쉽게 한다.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연장 방향의 양단이며 상기 흡기 개구를 둘러싸는 기단부와 그 반대측에서 덕트 출구를 둘러싸는 선단을 갖고, 당해 선단은 상기 흡입 방향에서 보아 상기 실간 개구의 외측 단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덕트로부터 필터에의 냉각풍의 유입을 원활하게 해서 냉각풍의 유량의 확보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건설 기계는, 상기 덕트 출구를 덮는 통기 부재를 더 구비하고, 당해 통기 부재는 당해 통기 부재를 통한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통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다공 부재는, 당해 통기 부재를 통과하는 소리의 에너지를 흩어져서 없어지게 하고, 이에 의해, 상기 흡기 개구를 통해서 엔진 룸의 외부로 방사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당해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덕트의 상기 선단보다도 상기 덕트 통로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돌출되는 통기 부재는, 당해 통기 부재의 통기 면적, 예를 들어 당해 통기 부재에 포함되는 통기용 구멍의 총 개구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당해 통기 부재에서의 냉각풍에 대한 통풍 저항을 작게 해서 냉각풍의 충분한 유량을 확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건설 기계는, 상기 덕트의 상기 내주면 및 상기 통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덮도록 배치되는 흡음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흡음재는, 당해 흡음재에 닿는 소리를 흡수해서, 예를 들어 통기 부재에서 발생하는 바람 소리를 억제할 수 있다.
당해 흡음재는, 예를 들어 상기 통기 부재의 외주면 중 상기 흡입 방향의 상류측의 부분에 고정되는 것이 적합하다. 또는, 당해 흡음재는, 상기 덕트의 상기 내주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금속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덕트의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있는 다공판과, 상기 다공판과 상기 덕트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덕트 연장 방향은, 상기 흡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주실로부터 흡기실에 전해지는 소리가 당해 덕트에 닿기 쉽고, 이에 의해, 엔진 룸의 외부에 소음이 직접 방사되는 것을 보다 유효하게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9)

  1. 건설 기계이며,
    엔진과,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외벽을 갖고, 당해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엔진 룸과,
    상기 수용 공간을, 상기 엔진을 수용하는 주실과 상기 외벽에 형성된 흡기 개구를 통해서 당해 외벽의 외부와 연통되고, 또한 상기 주실과 수평인 방 배열 방향으로 배열하는 흡기실로 구획하는 구획 부재이며, 상기 주실과 상기 흡기실을 연통시키는 실간 개구를 갖고, 상기 방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실간 개구의 면적이 상기 흡기실의 면적보다도 작은 구획 부재와,
    상기 엔진 룸 내의 공기를 흡입 방향으로 흡입하도록 작동하는 팬이며, 상기 흡입에 의해 상기 흡기 개구, 상기 흡기실, 상기 실간 개구 및 상기 주실의 순서대로 흐르는 냉각풍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주실 내에 배치되는 팬과,
    상기 흡기 개구를 둘러싸도록 상기 외벽에 연결되고, 당해 흡기 개구에 연결되는 덕트 통로를 둘러싸는 내주면과 외주면을 갖는 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덕트는, 상기 흡입 방향과 상이한 덕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덕트의 상기 외주면의 주위에 덕트 주위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흡기실 내에 배치되는, 건설 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통로는, 상기 덕트 연장 방향에서 보아 상기 흡기 개구의 단면적과 동등한 단면적을 갖는, 건설 기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 연장 방향의 양단이며 상기 흡기 개구를 둘러싸는 기단부와 그 반대측에서 덕트 출구를 둘러싸는 선단을 갖고, 당해 선단은 상기 흡입 방향에서 보아 상기 실간 개구의 외측 단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건설 기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출구를 덮는 통기 부재를 더 구비하고, 당해 통기 부재는 당해 통기 부재를 통한 공기의 유통을 허용하는 통기성을 갖는 건설 기계.
  5. 제4항에 기재된 건설 기계의 흡기 구조이며,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덕트의 상기 선단보다도 상기 덕트 통로의 외측에 돌출되는, 건설 기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상기 내주면 및 상기 통기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을 덮도록 배치되는 흡음재를 더 구비하는, 건설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상기 통기 부재의 외주면 중 상기 흡입 방향의 상류측의 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건설 기계.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상기 덕트의 상기 내주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음재는, 금속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덕트의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있는 다공판과, 상기 다공판과 상기 덕트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을 갖는 건설 기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연장 방향은, 상기 흡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건설 기계.
KR1020177035471A 2015-06-24 2016-06-06 건설 기계 KR102013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26715 2015-06-24
JP2015126715A JP6530977B2 (ja) 2015-06-24 2015-06-24 建設機械の吸気構造
PCT/JP2016/066813 WO2016208372A1 (ja) 2015-06-24 2016-06-06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793A true KR20180004793A (ko) 2018-01-12
KR102013057B1 KR102013057B1 (ko) 2019-08-21

Family

ID=5758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5471A KR102013057B1 (ko) 2015-06-24 2016-06-06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52279B2 (ko)
EP (1) EP3315341B1 (ko)
JP (1) JP6530977B2 (ko)
KR (1) KR102013057B1 (ko)
CN (1) CN107848404B (ko)
WO (1) WO20162083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9985B2 (en) * 2017-05-15 2020-05-05 Polaris Industries Inc. Three-wheeled vehicle
US10550754B2 (en) 2017-05-15 2020-02-04 Polaris Industries Inc. Engine
JP6717265B2 (ja) * 2017-06-08 2020-07-0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030435B2 (ja) * 2017-07-18 2022-03-0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USD904227S1 (en) 2018-10-26 2020-12-08 Polaris Industries Inc. Headlight of a three-wheeled vehicle
CN109372048A (zh) * 2018-12-13 2019-02-22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发动机舱、动力装置和双轮铣槽机
JP7260311B2 (ja) * 2019-01-31 2023-04-1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104093B2 (ja) * 2020-04-16 2022-07-2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3958U (ja) 1982-05-31 1983-12-07 株式会社土屋製作所 建設用車輛のエアクリ−ナ消音室
JPH09123771A (ja) 1995-10-30 1997-05-1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の冷却風吸入ダクト
JPH09150636A (ja) * 1995-11-29 1997-06-10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の冷却風吸入ダクト
JP2000016094A (ja) * 1998-07-02 2000-01-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01301473A (ja) * 2000-04-19 2001-10-31 Komatsu Ltd エンジンルームの空気口構造
JP2004036778A (ja) 2002-07-04 2004-02-05 Kobe Steel Ltd 圧力脈動吸収装置
JP2008261338A (ja) 2008-04-23 2008-10-30 Komatsu Ltd 車両の空気口の消音装置
JP2013104276A (ja) * 2011-11-16 2013-05-3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のフィルタ装置
JP2013180642A (ja) * 2012-03-01 2013-09-1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吸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6528U (ja) * 1991-11-29 1993-06-22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吸気ダクト装置
JPH11117761A (ja) * 1997-10-13 1999-04-27 Komatsu Ltd 吸音ダクト
JPH11240342A (ja) * 1998-02-24 1999-09-07 Kobe Steel Ltd 建設機械の防音構造
US6242188B1 (en) * 1999-07-30 2001-06-05 Applied Gene Technologies, Inc. Sample processing to release nucleic acids for direct detection
JP2002021565A (ja) * 2000-07-11 2002-01-23 Komatsu Ltd 建設車両のエンジン囲い
JP4276363B2 (ja) * 2000-07-31 2009-06-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ファン装置の騒音低減機構に用いられる多孔質吸音材の成形方法
CN1806103B (zh) * 2003-06-16 2011-06-15 神钢建设机械株式会社 建筑机械
JP4539133B2 (ja) * 2004-03-01 2010-09-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排気構造
JP4506665B2 (ja) * 2004-12-27 2010-07-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構造
US7841314B2 (en) * 2004-12-27 2010-11-30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oling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JP4412276B2 (ja) * 2004-12-27 2010-02-1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構造
US7507270B2 (en) * 2005-07-15 2009-03-24 Deere & Company Agricultural working vehicle with air scoop for air intake system
JP4594942B2 (ja) * 2007-01-16 2010-12-08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構造
US7997238B2 (en) * 2007-04-18 2011-08-16 Cnh America Llc Engine and cooling system arrangement for a harvester
JP5297457B2 (ja) * 2008-07-17 2013-09-25 名古屋油化株式会社 緩衝吸音材および吸音構造
JP5699653B2 (ja) 2010-03-08 2015-04-15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5831111B2 (ja) * 2011-10-03 2015-12-0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排気構造
JP5966635B2 (ja) * 2012-06-05 2016-08-1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吸気構造
JP2017002509A (ja)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建設機械の冷却構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3958U (ja) 1982-05-31 1983-12-07 株式会社土屋製作所 建設用車輛のエアクリ−ナ消音室
JPH09123771A (ja) 1995-10-30 1997-05-1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の冷却風吸入ダクト
JPH09150636A (ja) * 1995-11-29 1997-06-10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の冷却風吸入ダクト
JP2000016094A (ja) * 1998-07-02 2000-01-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冷却装置
JP2001301473A (ja) * 2000-04-19 2001-10-31 Komatsu Ltd エンジンルームの空気口構造
JP2004036778A (ja) 2002-07-04 2004-02-05 Kobe Steel Ltd 圧力脈動吸収装置
JP2008261338A (ja) 2008-04-23 2008-10-30 Komatsu Ltd 車両の空気口の消音装置
JP2013104276A (ja) * 2011-11-16 2013-05-30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のフィルタ装置
JP2013180642A (ja) * 2012-03-01 2013-09-12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吸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30977B2 (ja) 2019-06-12
CN107848404B (zh) 2021-03-19
CN107848404A (zh) 2018-03-27
EP3315341A1 (en) 2018-05-02
EP3315341B1 (en) 2019-11-13
JP2017007579A (ja) 2017-01-12
EP3315341A4 (en) 2018-12-19
WO2016208372A1 (ja) 2016-12-29
US10352279B2 (en) 2019-07-16
KR102013057B1 (ko) 2019-08-21
US20180156167A1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4793A (ko) 건설 기계
CN101270712B (zh) 消音管
KR101923759B1 (ko) 건설 기계
JP4594942B2 (ja)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5831111B2 (ja) 建設機械の排気構造
JP5699653B2 (ja)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2010024824A (ja) 建設機械用ノイズサイレンサー
US8646553B2 (en) Construction machine provided with heat exchanger
US10156059B2 (en) Construction machine including engine
JP5474447B2 (ja) 建設機械の冷却構造
JP6229694B2 (ja) エンジンを備えた建設機械
JP4982165B2 (ja) 消音装置
KR101705906B1 (ko) 건설중장비의 엔진룸 냉각장치
KR20180011800A (ko) 패키지형 공랭식 스크루 압축기
JP4729870B2 (ja) 建設機械
JP5823912B2 (ja) クレーンの上部旋回体
JP6717265B2 (ja) 建設機械
KR101100262B1 (ko) 건설기계용 엔진룸 흡음장치
JP4811050B2 (ja) ホイール式作業機械
JP2016017708A (ja) エンジン駆動式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JP2013181323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