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621A -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 - Google Patents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621A
KR20180003621A KR1020177036713A KR20177036713A KR20180003621A KR 20180003621 A KR20180003621 A KR 20180003621A KR 1020177036713 A KR1020177036713 A KR 1020177036713A KR 20177036713 A KR20177036713 A KR 20177036713A KR 20180003621 A KR20180003621 A KR 20180003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crew shaft
substrate
cut
fix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5642B1 (ko
Inventor
다카시 스기하라
히로시 다구치
츠토무 히야마
Original Assignee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3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8Soldering within a furn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 B23K1/203Fluxing, i.e. applying flux onto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23K3/082Flux dispensers; Apparatus for applying flu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B23K3/087Soldering or brazing jigs, fixtures or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42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솔더링 장치 또는 플럭스 도포 장치에 설치되고, 각 장치를 장기 사용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부착물이 고착되어도, 종래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너트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너트를 사용한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를 제공한다. 너트(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나사축(5)에 나사 결합된다. 너트(10)는, 그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나사축(5)과 맞물리지 않는 1개 이상의 비맞물림부(11)를 갖는다. 비맞물림부(11)는, 너트(1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는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 너트(10)를 나사축(5)에 대해 진퇴시킴으로써, 비맞물림부(11)가 고착물(6)을 제1 배출구(12a) 또는 제2 배출구(12b)로부터 절삭 제거하도록 작용한다.

Description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의 프린트 배선 기판에의 실장에 관하여, 솔더링 장치나, 플럭스를 도포하는 플럭스 도포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너트를 사용한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솔더링 처리 또는 플럭스 도포에 의해 기화된 플럭스의 일부 또는 플럭스가 부착되어 나사축 등에 고착되어도 나사축의 회전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너트를 사용한,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린트 배선 기판 상에 전자 부품을 솔더링하는 솔더링 장치나, 프린트 배선 기판 상에 플럭스를 도포하는 플럭스 도포 장치에는, 프린트 배선 기판의 폭으로 조정 가능한 기판 반송용 레일이 구비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또한, 반송되는 프린트 배선 기판이 자중에 의해 휘지 않도록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프린트 배선 기판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나사축에 대한 고정 위치를 변경 가능한 지지 부재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리플로우 장치의 솔더링 처리에 있어서는, 미리 땜납 페이스트가 인쇄된 기판이, 리플로우 장치 내에 반송되어, 가열된다. 땜납 페이스트에는, 분말 땜납 및 플럭스가 포함된다. 플럭스는, 로진, 틱소제 및 활성제 등의 고형 성분을 용제에 의해 용해시킨 것이다.
상술한 가열 공정에 의해, 플럭스가 기화되어 리플로우 장치 내에 가득 찬다. 더 상세하게는, 예비 가열 존에서는, 플럭스 성분 중, 특히 용제가 기화되어 플럭스 흄으로 된다. 또한 플럭스 성분 중, 로진 등의 고형 성분은 본 가열 존에서 고온에 노출되면, 역시 기화되어 흄으로 되어 장치 내를 부유한다.
예를 들어, 기화된 플럭스 흄의 일부가, 프린트 배선 기판을 반송하는 반송용 레일을 기판 사이즈에 대응한 레일 폭으로 하는 부재(나사축이나 너트 등) 또는 기판을 지지하기 위해 그 고정 위치를 조정 가능한 부재(나사축이나 너트 등)의 표면에 부착되면, 온도의 저하에 수반하여 유동성이 있는 액체의 플럭스 흄으로 된다. 액화된 플럭스 흄은, 결국은 고화된다. 고화된 플럭스 흄은 박리되기 어렵고, 단단하게 부착되어 버리므로,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서는 간단하게는 박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너트의 진행이 곤란해져, 나사축에 대한 고정 위치의 조정을 현저하게 곤란하게 한다.
또한, 용융된 땜납을 분류시켜 솔더링 처리를 행하는 분류 솔더링 장치에 있어서는, 용융된 땜납의 비산에 의해, 프린트 배선 기판을 반송하는 반송용 레일을 기판 사이즈에 대응한 레일 폭으로 하는 부재(나사축이나 너트 등) 등에 비산된 땜납이 볼 형상으로 단단하게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과 마찬가지로,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서는 간단하게는 박리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너트의 진행이 곤란해져, 나사축에 대한 고정 위치의 조정을 현저하게 곤란하게 한다.
또한, 플럭스 도포 장치에 있어서도, 적하된 플럭스가, 나사축에 부착되어 고착되고, 나사축의 회전에 의해서는 간단하게 고착된 플럭스가 박리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나사축에 대한 너트의 고정 위치를 진퇴시켜 변경할 수 없다고 하는 마찬가지의 문제를 갖는다.
한편, 나사 또는 너트에 부착된 도막 등을 박리하는 기능을 갖는 너트로서, 나사산의 일부를 소정의 길이만큼 잘라낸 나사 또는 너트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내지 5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46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6-5364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1-629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7215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2-80009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에 개시된 장치는, 상기 문제에 대해 전혀 대책을 실시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3 내지 5에 개시되는 나사 또는 너트는, 도막 등이 고착된 경우에 있어서, 나사를 풀기 위해, 일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할 뿐이며, 나사축에 대해 너트의 고정 위치를 진퇴시켜 변경하는 조작을 행하는 장치에 구비되는 것에 대해서는 전혀 상정하고 있지 않아, 상기 문제에 대해 대책을 실시하고 있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며, 솔더링 장치 또는 플럭스 도포 장치 내에 있는 기판 사이즈에 대응하여 그 고정 위치를 바꾸는 부재(나사축이나 너트)에 부착되어 고화된 플럭스 흄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나사축에 부착물이 고착된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나사축이나 너트에 고착된 부착물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용한 본 발명의 기술 수단은, 다음과 같다.
(1) 반송되는 기판의 폭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솔더링 장치의 기판 휨 방지 기구의 조정 부재이며, 조정 부재는, 회전 구동되는 나사축과, 나사축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나사축에 대한 고정 위치를 진퇴 가능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연결용 플랜지부를 갖는 너트와, 기판을 지지하여 기판의 휨을 방지함과 함께 연결용 플랜지부를 통해 너트에 고정되는 기판 지지부를 구비하고, 너트는 그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나사부를 가짐과 함께, 너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축에 맞물리지 않는 1개 이상의 비맞물림부를 갖고, 나사축을 회전시켜 기판 지지부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나사축에 부착된 부착물이, 나사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비맞물림부의 단면에 의해 절삭되는 솔더링 장치.
(2) 비맞물림부는, 너트의 선단 및 후단에 배출구를 갖고, 부착물을 절삭한 측의 배출구로부터, 더 많은 절삭된 부착물을 배출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솔더링 장치.
(3) 나사축에 대한 너트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비맞물림부의 상하 위치를 바꾸는 일 없이 부착물을 절삭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솔더링 장치.
(4) 반송되는 기판의 폭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플럭스 도포 장치의 조정 부재이며, 조정 부재는, 회전 구동되는 나사축과, 나사축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나사축에 대한 고정 위치를 진퇴 가능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연결용 플랜지부를 갖는 너트와, 기판의 폭에 대응하여 기판 반송용 레일의 폭을 변경함과 함께 연결용 플랜지부를 통해 너트에 고정되는 기판 반송용 레일의 지지부를 구비하고, 너트는 그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나사부를 가짐과 함께, 너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축에 맞물리지 않는 1개 이상의 비맞물림부를 갖고, 나사축을 회전시켜 기판 지지부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나사축에 부착된 부착물이, 나사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비맞물림부의 단면에 의해 절삭되는 플럭스 도포 장치.
(5) 비맞물림부는, 너트의 선단 및 후단에 배출구를 갖고, 부착물을 절삭한 측의 배출구로부터, 더 많은 절삭된 부착물을 배출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플럭스 도포 장치.
(6) 나사축에 대한 너트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비맞물림부의 상하 위치를 바꾸는 일 없이 부착물을 절삭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플럭스 도포 장치.
본 발명에 사용되는 너트에 의하면, 당해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축에 부착물이 고착되어 있어도, 비맞물림부의 작용에 의해 부착물을 박리할 수 있다. 너트에 의해 박리된 부착물이, 다시 다른 나사축(나사의 골)에 고착되지 않고 비맞물림부에 박리 제거되거나 또는 절삭 제거되므로, 박리된 부착물(절삭 칩)에 의해 나사축의 회전이 저해되지 않게 되어, 나사축의 회전이 원활해진다. 그 결과, 종래와 비교하여 용이하게 너트의 고정 위치를 변경(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에 의하면, 각 장치 내에 있는, 기판의 폭에 대응하여 그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부재(나사축이나 너트)에 부착되어 고화된 플럭스 흄을 절삭하면서 제거하므로, 나사축에 대한 너트의 진퇴가 용이해져, 너트의 고정 위치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축에 부착되는 플럭스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기판 사이즈에 대응하여 기판 반송용 레일 또는 기판 지지 부재 등의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부착된 플럭스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메인터넌스에 필요한 시간 및 경비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는, 나사축이 회전함으로써 너트의 고정 위치를 변경 가능한 구성이므로, 너트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비맞물림부의 상하 위치는 바뀌지 않으므로, 박리된 고착물을 다시 나사축의 회전에 말려들게 하여 너트의 진퇴를 방해하는 일 없이, 너트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로서의 솔더링 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a는 너트(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b는 너트(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너트(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 2b의 A-A 단면도이다.
도 4a는 너트(10)를 솔더링 장치(1)에 설치하였을 때의 조정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 4b는 너트(10)를 솔더링 장치(1)에 설치하였을 때의 조정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로서의 플럭스 도포 장치(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의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솔더링 장치(1)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더링 장치(1)는, 예를 들어 땜납 페이스트가 소정의 전극에 도포된 프린트 배선 기판(3) 등을 가열 처리하여 솔더링하는 장치이다. 솔더링 장치(1)는, 반송용 레일(61L, 61R)과, 프린트 배선 기판(3)의 폭에 대응하여 프린트 배선 기판(3)을 연직 하측 방향으로부터 지지하는 기판 지지부(66)와, 프린트 배선 기판(3)의 폭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조정 부재를 구비한다. 이 조정 부재로서, 나사축(5, 50)과, 나사축(5, 50)에 대해 각각 고정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너트(10)가 구비된다.
반송용 레일(61L)은 고정 레일로서, 반송용 레일(61R)은 가동 레일로서 설정된다. 반송용 레일(61R)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조정 부재로서, 솔더링 장치(1)에는 이하의 부재를 구비한다. 반송용 레일(61R)은, 레일 지지부(62)에 의해 지지된다. 레일 지지부(62)는, 너트(10)의 연결 구멍(14)과 나사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너트(10)는, 나사축(5)에 나사 결합된다. 나사축(5)은, 한 쌍의 베어링부(63A)에 의해 그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부재(64A)에 의해 회전된다. 나사축(5)의 정역 방향의 회전에 의해, 이것과 맞물리는 너트(10)는 나사축(5)을 따라 진퇴한다. 이에 의해, 반송용 레일(61R)은, 나사축(5)을 따라 진퇴한다. 반송용 레일(61L)은, 레일 지지부(65)에 의해 지지되지만, 이 레일 지지부(65)는 나사축(5)과는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도시하지 않음), 나사축(5)이 회전해도 반송용 레일(61L)은 이동하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64A)를 회전시키면, 너트(10)가 진퇴하고, 나사축(5)과 너트(10)의 나사 결합 위치가 바뀌어, 나사축(5)에 대한 너트(1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반송용 레일(61L, 61R)간의 폭을 프린트 배선 기판(3)의 폭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도면 중의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3)의 사이즈가 큰 경우, 프린트 배선 기판(3)은, 반송 중에 자중에 의해 휘어(처져) 버린다. 이 프린트 배선 기판(3)의 휨 방지 기구로서, 솔더링 장치(1)에는, 기판 지지부(66)가 설치된다. 기판 지지부(66)의 나사축(50)에 대한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조정 부재로서, 솔더링 장치(1)에는, 이하의 부재를 구비한다. 기판 지지부(66)는, 지지부(67)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부(67)는, 너트(10)의 연결 구멍(14)과 나사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너트(10)는 나사축(50)에 나사 결합된다. 나사축(50)은, 한 쌍의 베어링부(63B)에 의해 그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부재(64B)에 의해 회전된다. 나사축(50)의 정역 방향의 회전에 의해, 이것과 맞물리는 너트(10)는 나사축(50)을 따라 진퇴한다. 이에 의해, 기판 지지부(66)는 나사축(50)을 따라 진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64B)를 회전시키면, 너트(10)가 진퇴하고, 나사축(50)과 너트(10)의 나사 결합 위치가 바뀌어, 나사축(50)에 대한 너트(1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판 지지부(66)는, 프린트 배선 기판(3)의 폭에 대응하여, 그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너트(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나사축(5, 50)(도 1 참조)에 나사 결합되어, 나사축(5, 50)에 대해 너트(1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a에 있어서, 너트(10)의 나사골(16)은 가는 선의 원호로 나타나 있다. 너트(10)의 나사산(17)은, 굵은 선의 원호로 나타나고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너트(10)는, 나사축(5, 50)에 맞물리지 않는, 본 예에서는 4개소의 비맞물림부(11)를 갖는다. 너트(10)의 한쪽 단부는, 다른 부재에 대한 연결용 플랜지부(13)를 갖는다. 비맞물림부(11)는, 너트(10)의 나사산을 외측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잘라내어 이루어진다. 플랜지부(13)에는, 다른 부재와 나사 등에 의해 연결할 수 있도록 본 예의 경우 4개소의 연결 구멍(14)을 구비한다.
본 예와 같이 비맞물림부(11)를 4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략 90도의 각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개의 비맞물림부(11)는, 후술하는 부착물을, 그것이 더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효율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
비맞물림부(11)의 형상은, 원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맞물림부(11)의 직경(폭)은 불문하지만, 그 잘려 내어지는 깊이는, 너트(10)의 나사골보다 깊은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산(17)과 비맞물림부(11)가 이루는 각도 θ(도 2a 참조)는 불문하지만, 9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비맞물림부(11)에 의해 후술하는 부착물이 더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효율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맞물림부(11)는, 너트(10)의 나사축(5, 50)(이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음)에 대한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너트(1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길이(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너트(10)의 한쪽 단부측의 개구로 제1 배출구(12a)가 형성되고, 다른 쪽의 단부측의 개구로 제2 배출구(12b)가 형성된다.
너트(10)에는, 비맞물림부(11)를 4개소 설치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비맞물림부(11)는 1개 이상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비맞물림부(11)가 2개인 경우, 한 쌍의 비맞물림부(11)는 너트(10)의 반경 방향에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맞물림부(11)를 3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략 120도의 각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맞물림부(11)를 복수 설치하면, 나사축(5, 50)과 너트(10)가 접촉하는 면적이 작아지므로, 나사축(5, 50)과 너트(10) 사이의 부착물이 더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효율적으로 박리할 수 있다.
[소재]
너트(10)는, 놋쇠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지만, 스테인리스를 사용해도 된다. 스테인리스를 사용하는 경우는 가공 후에 표면을 공지의 수단에 의해 질화 처리하면, 표면이 단단하고 매끄러워지므로 더 바람직하다. 이하 너트의 소재에 대해서는 마찬가지이다. 너트(10) 및 나사축(5, 50)은,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사다리꼴 나사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볼 나사, 삼각 나사여도 된다.
[제조 방법]
너트(10)에 기지의 방법으로 나사산을 형성한 후, 비맞물림부(11)는 너트(10)에 엔드밀 등에 의해 가공 형성된다. 너트(10)에 구멍을 뚫은 후, 버어를 제거한다. 비맞물림부(11)는, 너트(10)의 나사산을 잘라내도록 형성된다. 비맞물림부(11)는, 나사축(5, 50)에 대한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너트(10)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기까지의 전체 길이(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계속해서, 도 1,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솔더링 장치(1)에 설치한 너트(10)의 고정 위치의 조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설명을 위해, 비맞물림부(11)는 1개소만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용 레일(61L)은 폭 방향의 위치가 고정된 고정 레일이고, 반송용 레일(61R) 및 기판 지지부(66)는 가동 레일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축(5, 50) 및 너트(10)는 반송용 레일(61R) 및 기판 지지부(66)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다. 회전 부재(64A, 64B)를 회전시키면, 너트(10)가 진퇴한다. 예를 들어, 프린트 배선 기판(3)의 폭이 큰 경우, 회전 부재(64A, 64B)를 도면의 우측으로부터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반송용 레일(61R) 및 기판 지지부(66)가 반송용 레일(61L)로부터 멀어지는 측(도면 중의 우측)으로, 너트(10)가 이동한다. 또한, 프린트 배선 기판(3)의 폭이 작은 경우, 회전 부재(64A, 64B)를 도면의 우측으로부터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반송용 레일(61R) 및 기판 지지부(66)가 반송용 레일(61L)에 근접하는 측(도면 중의 좌측)으로 너트(10)가 이동한다.
나사축(5)과 너트(10)의 나사 결합 위치가 바뀜으로써, 나사축(5)에 대한 너트(1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반송용 레일(61L, 61R)간의 폭을 프린트 배선 기판(3)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음과 함께, 프린트 배선 기판(3)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기판 지지부(66)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더링 장치(1)를 장기 사용함으로써 나사축(5)의 산이나 골의 부분에 플럭스 흄 등이 부착된다. 이 부착물은, 결국은 고화되어 고착물(6)로 된다. 너트(10)를 진퇴시킴으로써 고착물(6)이 주로 너트(10)의 비맞물림부(11)의 단면에 의해 박리되어, 절삭된다. 절삭된 고착물(6)(절삭 칩)은 비맞물림부(11) 내에 모이고, 제1 배출구(12a) 또는 제2 배출구(12b)로부터 낙하된다. 제1 배출구(12a)와 제2 배출구(12b) 중 어느 쪽으로부터라도 절삭 칩을 배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프린트 배선 기판(3)의 대소에 맞추어, 너트(10)의 고정 위치를 도면 중 좌우 어느 쪽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이 절삭 칩은 너트(10)의 진행 방향측으로부터 주로 절삭 제거된다. 예를 들어, 너트(10)가 도면 중 좌측으로 이동할 때, 절삭 칩은, 제1 배출구(12a)로부터 많이 배출된다. 또한 너트(10)를 도면 중 좌측으로 진행시키면, 절삭 칩은, 비맞물림부(11)에 모여, 제2 배출구(12b)로부터도 배출된다. 한편, 너트(10)가 도면 중 우측으로 이동할 때, 절삭 칩은, 제2 배출구(12b)로부터 많이 배출된다. 또한 너트(10)를 도면 중 우측으로 진행시키면, 절삭 칩은, 비맞물림부(11)에 모여, 제1 배출구(12a)로부터도 배출된다. 이에 의해, 박리된 절삭 칩이 다시 너트(10)나 나사축(5)에 부착되어 너트(10)의 진퇴를 방해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와 같이 너트(10)가 나사축(5) 위를 진행하도록 나사축(5)을 회전시키면, 비맞물림부(11)가, 그 고착물(6)을 절삭하여 제거하도록 작용한다. 도 4b와 같이, 비맞물림부(11)에 의해 절삭된 고착물(6)은 비맞물림부(11) 내에 모여, 제1 배출구(12a) 또는 제2 배출구(12b)로부터 낙하한다. 이에 의해, 나사축(5)에 대한 너트(10)의 고정 위치를 비교적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기판 지지부(66)의 동작도 반송용 레일(61R)의 동작과 동일하다. 그 동작은 도시하지 않지만, 나사축(50)을 회전시키면 너트(10)가 나사축(50)에 부착된 고착물(6)을 절삭하고, 절삭한 고착물(6)을 제1 배출구(12a) 또는 제2 배출구(12b)로부터 낙하시키면서 진퇴함으로써, 그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너트(10)에 의하면, 솔더링 장치(1)를 장기 사용하였을 때에 나사축(5, 50)에 고착물(6)이 있어도, 너트(10)가 나사축(5, 50) 위를 진행하도록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비맞물림부(11)가 고착물(6)을 절삭하여 제거하도록 작용한다. 그 때문에, 나사축(5, 50)이나 너트(10)에 부착되어 고화된 플럭스 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너트(10)의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축(5, 50)이나 너트(10)에 부착된 고착물(6)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반송되는 프린트 배선 기판(3)의 폭에 대응하여, 반송용 레일(61R) 또는 기판 지지부(66)의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부착된 고착물(6)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메인터넌스에 필요한 시간 및 경비를 삭감할 수 있다.
너트(10)가 비맞물림부(11)를 갖고 회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나사축(5, 50)이 회전함으로써 너트(10)의 나사축(5, 50)에 대한 고정 위치를 변경 가능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너트(1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비맞물림부(11)의 상하 위치는 바뀌지 않는다. 그 때문에, 박리된 고착물(6)이 다시 나사축(5, 50)의 회전에 말려들어 너트(10)의 진퇴를 방해하는 일 없이, 너트(1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로서의 플럭스 도포 장치(2)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플럭스 도포 장치(2)는, 반송용 레일(61L, 61R)과, 프린트 배선 기판(30)의 폭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조정 부재를 구비한다. 이 조정 부재로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나사축(5)과, 나사축(5) 나사 결합되어 나사축(5)에 대한 고정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너트(10)가 구비된다.
반송용 레일(61L)은 고정 레일로서, 반송용 레일(61R)은 가동 레일로서 설정된다. 반송용 레일(61R)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조정 부재로서, 플럭스 도포 장치(2)에는 이하의 부재를 구비한다. 반송용 레일(61R)은, 레일 지지부(62)에 의해 지지된다. 레일 지지부(62)는, 너트(10)의 플랜지부(13)의 연결 구멍(14)과 나사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너트(10)는, 나사축(5)에 나사 결합된다. 나사축(5)은, 한 쌍의 베어링부(63A)에 의해 그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 부재(64A)에 의해 회전된다. 나사축(5)의 회전에 의해, 이것과 맞물리는 너트(10)는 나사축(5)을 따라 진퇴한다. 이에 의해, 반송용 레일(61R)은, 나사축(5)을 따라 진퇴한다. 반송용 레일(61L)은, 레일 지지부(65)에 의해 지지되지만, 이 레일 지지부(65)는 나사축(5)과는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도시하지 않음), 나사축(5)이 회전해도 반송용 레일(61L)은 이동하지 않고 그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64A)를 회전시키면, 너트(10)가 진퇴하고, 나사축(5)과 너트(10)의 나사 결합 위치가 바뀌어, 나사축(5)에 대한 너트(1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반송용 레일(61L, 61R)간의 폭을 프린트 배선 기판(30)의 사이즈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다.
너트(10)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제1 실시 형태의 너트(10)와 동일한 동작을 한다. 이때, 나사축(5)에 플럭스 흄 등의 고착이 있어도, 너트(10)가 나사축(5) 위를 진행하도록 회전 부재(64A)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비맞물림부(11)가 그 고착을 제거하여, 제1 배출구(12a) 또는 제2 배출구(12b)로부터 배출하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나사축(5)이나 너트(10)에 부착되어 고화된 플럭스 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너트(10)의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럭스 도포 장치(2)의 메인터넌스에 필요한 시간 및 경비를 삭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나사축에 부착물이 고착되어 있어도, 비맞물림부의 작용에 의해 부착물을 박리할 수 있으므로, 나사축에 부착물이 고착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럭스 흄이 고착되는 솔더링 장치나 플럭스 도포 장치, 도료가 고착되는 도료 도포 장치 등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1 : 솔더링 장치
2 : 플럭스 도포 장치
5, 50 : 나사축
10 : 너트
11 : 비맞물림부
12a : 제1 배출구
12b : 제2 배출구
13A : 플랜지부
14A : 연결 구멍
61L, 61R : 반송용 레일
62, 65 : 레일 지지부
63A, 63B : 베어링부
64A, 64B : 회전 부재
66 : 기판 지지부
67 : 지지부

Claims (6)

  1. 반송되는 기판의 폭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솔더링 장치의 기판 휨 방지 기구의 조정 부재이며,
    상기 조정 부재는,
    회전 구동되는 나사축과,
    당해 나사축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나사축에 대한 고정 위치를 진퇴 가능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연결용 플랜지부를 갖는 너트와,
    상기 기판을 지지하여 기판의 휨을 방지함과 함께, 상기 연결용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너트에 고정되는 기판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는 그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나사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너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나사축에 맞물리지 않는 1개 이상의 비맞물림부를 갖고,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켜 상기 기판 지지부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상기 나사축에 부착된 부착물이,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비맞물림부의 단면에 의해 절삭되는, 솔더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맞물림부는,
    상기 너트의 상기 선단 및 상기 후단에 배출구를 갖고,
    상기 부착물을 절삭한 측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더 많은 절삭된 상기 부착물을 배출하는, 솔더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에 대한 상기 너트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상기 비맞물림부의 상하 위치를 바꾸는 일 없이 상기 부착물을 절삭하는, 솔더링 장치.
  4. 반송되는 기판의 폭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플럭스 도포 장치의 조정 부재이며,
    상기 조정 부재는,
    회전 구동되는 나사축과,
    당해 나사축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기 나사축에 대한 고정 위치를 진퇴 가능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연결용 플랜지부를 갖는 너트와,
    상기 기판의 폭에 대응하여 기판 반송용 레일의 폭을 변경함과 함께 상기 연결용 플랜지부를 통해 상기 너트에 고정되는 상기 기판 반송용 레일의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너트는 그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나사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너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상기 나사축에 맞물리지 않는 1개 이상의 비맞물림부를 갖고,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켜 상기 기판 반송용 레일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상기 나사축에 부착된 부착물이, 상기 나사축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비맞물림부의 단면에 의해 절삭되는, 플럭스 도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맞물림부는,
    상기 너트의 상기 선단 및 상기 후단에 배출구를 갖고,
    상기 부착물을 절삭한 측의 상기 배출구로부터, 더 많은 절삭된 상기 부착물을 배출하는, 플럭스 도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에 대한 상기 너트의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
    상기 비맞물림부의 상하 위치를 바꾸는 일 없이 상기 부착물을 절삭하는, 플럭스 도포 장치.
KR1020177036713A 2015-05-25 2016-02-17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 KR101855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5390 2015-05-25
JP2015105390 2015-05-25
PCT/JP2016/054595 WO2016189902A1 (ja) 2015-05-25 2016-02-17 はんだ付け装置及びフラックス塗布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621A true KR20180003621A (ko) 2018-01-09
KR101855642B1 KR101855642B1 (ko) 2018-05-04

Family

ID=5739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713A KR101855642B1 (ko) 2015-05-25 2016-02-17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93439B2 (ko)
EP (1) EP3307034A4 (ko)
KR (1) KR101855642B1 (ko)
CN (2) CN107615897A (ko)
MY (1) MY176685A (ko)
PH (1) PH12017502125A1 (ko)
TW (1) TWI638700B (ko)
WO (1) WO20161899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8299B1 (ja) * 2017-11-29 2019-05-08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噴流はんだ高さ確認治具及びその取り扱い方法
CN110203712A (zh) * 2019-04-26 2019-09-06 湖南中冶长天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焊接型辊臂及其焊接定位工装
CN112469208B (zh) * 2020-10-23 2021-11-23 温州瓯斯达电器实业有限公司 电热蚊香液加热器的pcb电路板元件对点焊接设备
DE102021129079B3 (de) 2021-11-09 2022-11-24 Ersa Gmbh Transportsystem zum Transportieren von Lötgut durch eine Lötanlage und Lötanlage
DE102021129127A1 (de) 2021-11-09 2023-05-11 Ersa Gmbh Transportsystem zum Transportieren von Lötgut durch eine Lötanlage und Lötanlage
CN114603227B (zh) * 2022-03-23 2023-12-05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波峰焊设备及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15155868A (zh) * 2022-07-11 2022-10-11 厦门视界至尚新材料有限公司 一种板材防水用涂漆设备及其工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1379U (ko) 1972-02-12 1973-11-02
JPS55147517U (ko) * 1979-04-11 1980-10-23
JPS6173818U (ko) 1984-10-18 1986-05-19
JPS61146611U (ko) * 1985-03-05 1986-09-10
JPS6280009U (ko) 1985-11-09 1987-05-22
JPS6327712U (ko) * 1986-08-06 1988-02-23
JPS6464747A (en) 1987-09-02 1989-03-10 Mazda Motor Feeding device for machine tool
JP3095291B2 (ja) 1992-07-16 2000-10-03 平田機工株式会社 ハンダ装置
JPH06198428A (ja) * 1992-12-29 1994-07-19 Nippon Seiki Co Ltd 発泡式フラックス塗布装置
JP3815863B2 (ja) 1997-08-21 2006-08-30 株式会社杉浦製作所 雌ねじ部材
JP3541132B2 (ja) 1998-11-11 2004-07-07 Thk株式会社 ボールねじ
JP2000174430A (ja) * 1998-12-03 2000-06-23 Tdk Corp リフロー炉における基板反り防止装置
JP3739602B2 (ja) 1999-07-12 2006-01-25 イワタボルト株式会社 ボルト
JP2001044619A (ja) * 1999-08-04 2001-02-16 Koyo Thermo System Kk 連続熱処理炉
JP4497588B2 (ja) * 1999-08-27 2010-07-07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はんだ付け装置
JP4596660B2 (ja) * 2001-02-20 2010-12-08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搬送装置および加熱装置
MY131417A (en) * 2002-11-25 2007-08-30 Senju Metal Industry Co Solder reflow oven
JP2008291924A (ja) * 2007-05-24 2008-12-04 Sumitomo Kinzoku Kozan Siporex Kk パネル取付用ナット及び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取付構造
CN202106163U (zh) * 2011-04-27 2012-01-11 昆山市苏俊电子有限公司 一种焊接工装治具
CN103801792B (zh) * 2012-11-12 2016-08-10 台达电子电源(东莞)有限公司 喷雾机
KR101888383B1 (ko) 2013-10-08 2018-08-14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기판 반송 장치
CN103600163B (zh) * 2013-11-22 2015-08-19 沈阳大学 窄间隙埋弧焊熔渣清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7034A4 (en) 2019-06-12
TW201707835A (zh) 2017-03-01
US20180141168A1 (en) 2018-05-24
PH12017502125B1 (en) 2018-05-28
US10293439B2 (en) 2019-05-21
WO2016189902A1 (ja) 2016-12-01
PH12017502125A1 (en) 2018-05-28
TWI638700B (zh) 2018-10-21
CN107615897A (zh) 2018-01-19
KR101855642B1 (ko) 2018-05-04
MY176685A (en) 2020-08-19
CN113000959A (zh) 2021-06-22
EP3307034A1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642B1 (ko) 솔더링 장치 및 플럭스 도포 장치
KR101838860B1 (ko) 솔더링 장치
US9796035B2 (en) Screen printing machine,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screen printing method
CN104439598B (zh) 一种自动浸焊机及浸焊方法
JP5928649B1 (ja) はんだ付け装置及びフラックス塗布装置
WO2008150913A3 (en) Multiple laser wavelength and pulse width process drilling
JP5928635B2 (ja) はんだ付け装置
JP2016080164A5 (ja) はんだ付け装置
TWI713741B (zh) 晶圓之加工方法
JP2011115707A (ja) 薄膜塗工装置
JP2005262288A (ja) はんだ領域形成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連続めっき装置
JP2010125480A (ja) 溶接用ノズル
JP7468890B2 (ja) 基板処理装置
JP5208618B2 (ja) 回路基板の端面被覆装置
JPS6228109A (ja) プリント配線体の切断方法
JP2001162368A (ja) ろう付け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3894696A (zh) 一种无爪分段传动波峰焊设备
JP2002064116A (ja) Bga型半導体装置における半田ボールへのフラックス塗布装置
JP2011142133A (ja) はんだダム形成装置及びはんだダム形成方法
JP2005236000A (ja) 自動はんだ付け装置
WO2006118138A1 (ja) プリント基板の多機能型はんだ付け装置およびはんだ付け方法
TWM506835U (zh) 自走式熔射處理裝置
Vianco Wave Soldering
KR20160060413A (ko) 실납외경용 경사흠집장치
JPH10173332A (ja) 噴流式半田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