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557A - 규정 장치 - Google Patents

규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557A
KR20180001557A KR1020177030579A KR20177030579A KR20180001557A KR 20180001557 A KR20180001557 A KR 20180001557A KR 1020177030579 A KR1020177030579 A KR 1020177030579A KR 20177030579 A KR20177030579 A KR 20177030579A KR 20180001557 A KR20180001557 A KR 20180001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defining
pallet
robo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837B1 (ko
Inventor
유지 오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유소키 고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유소키 고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유소키 고교
Publication of KR2018000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9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tasks executed
    • B25J9/1687Assembly, peg and hole, palletising, straight line, weaving pattern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65G57/22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in layers each of predetermined arrangement
    • B65G57/2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in layers each of predetermined arrangement the arrangement providing for spaces between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로봇(2)에 의해 쌓아 올려지는 워크의 사이의 틈을 채운다. 가동 부재(12)는, 로봇에 의해 쌓아 올려지는 워크의 적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11a, 11b)에 마련되어 있다. 규정 부재(13a, 13b)는, 워크의 적재 영역(A11)의 방향으로 뻗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동 부재(12)에 마련되어 있다. 규정 부재(14a, 14b)는, 워크의 적재 영역(A11)의 방향으로 뻗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정 부재(13a)에 마련되어 있다. 규정 부재(15a, 15b)는, 워크의 적재 영역(A11)의 방향으로 뻗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정 부재(13b)에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규정 장치
본 발명은 규정 장치(adjustment devic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2016년 2월 8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16-021952의 우선권을 주장하여, 문헌의 참조에 의한 반영이 인정되는 지정국에 대해서는, 그 출원에 기재된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반영된다.
특허문헌 1에는, 보다 많은 워크를 팔레트 위에 올려두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팔레트를 원활하게 반송 가능하게 하고, 또, 간소한 구성에 의해 워크를 적재 영역에 담도록 이동시키는 적재 교정 장치가 개시되어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개 2014-156296호 공보
팔레타이징 로봇에 의해, 팔레트 위에 적재되는 워크는, 팔레타이징 로봇의 파지부의 두께나 파지부의 개폐 동작 영역의 확보와 워크의 치수 공차 흡수를 위해 이웃끼리가 틈을 가진 채로 쌓아 올려진다. 이웃끼리가 틈을 가진 채로 쌓인 워크는, 불안정하며, 예를 들면, 적하물 붕괴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거기서 본 발명은, 로봇에 의해 쌓아 올려지는 워크의 사이의 틈을 채우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상기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는 수단을 복수 포함하고 있지만, 그 예를 들면, 이하와 같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규정 장치는, 베이스 부재와, 로봇에 의해 쌓아 올려지는 워크의 쌓아 올라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마련된 가동 부재와, 상기 워크가 쌓아 올려지는 영역을 향해 뻗은, 일방 또는 양방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부재에 마련된 제 1의 규정 부재 및 제 2의 규정 부재와, 상기 워크가 쌓아 올려지는 영역을 향해 뻗은, 일방 또는 양방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의 규정 부재에 마련된 제 3의 규정 부재 및 제 4의 규정 부재와, 상기 워크가 쌓아 올려지는 영역을 향해 뻗은, 일방 또는 양방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의 규정 부재에 마련된 제 5의 규정 부재 및 제 6의 규정 부재,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봇에 의해 쌓아 올려지는 워크의 사이의 틈을 채울 수 있다. 상기한 이외의 과제, 구성, 및 효과는,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밝힌다.
[도 1] 본 발명의 규정 장치를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2] 규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워크의 규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 워크의 규정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5] 가동 부재의 워크의 적재 방향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의 그 1이다.
[도 6] 가동 부재의 워크의 적재 방향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의 그 2이다.
[도 7] 규정 부재의 단부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8] 워크가 작을 경우의 규정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9] 쌓아 올려진 워크의 외주 측면이 4변형이 아닐 경우의 규정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0] 워크의 팔레트 위의 규정 위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 팔레트 위에 규정 단수의 워크가 쌓아 올려졌을 때의 규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2] 물류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규정 장치를 이용한 물류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물류 시스템은, 규정 장치(1)와, 로봇(2)과, 팔레트(3)와, 컨베이어(4, 5)와, 수납부(6a)와, 흡착부(6b)와, 지지 부재(6c)와, 동력부(6d)와, 제어 장치(7)을 가지고 있다.
규정 장치(1)는, 팔레트(3) 위에 쌓아 올려지는 워크(W1)를 규정한다. 워크(W1)는, 예를 들면, 조립하기 전의 골판지(corrugated cardboard)이며, 결속끈에 의해 복수 매가 1묶음으로 되어 있다.
워크(W1)는, 로봇(2)에 의해, 팔레트(3) 위에 쌓아 올려진다. 이하에서 설명하지만, 워크(W1)는, 이웃끼리가 틈을 가진 채로 팔레트(3) 위에 쌓아 올려진다(도 3을 참조). 규정 장치(1)는, 그 틈을 채우도록 워크(W1)를 외주 측면으로부터 누른다(도 4를 참조).
로봇(2)은, 예를 들면, 팔레타이징 로봇이다. 로봇(2)은, 워크(W1)가 쌓아 올려지는 영역(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팔레트(3) 및 워크(W1)의 영역)을 끼고, 규정 장치(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로봇(2)은, 몸통부(2a)와, 암(2b)과, 파지부(2c)를 가지고 있다.
워크(W1)는, 컨베이어(4)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하취 영역(A1)으로 반송된다. 로봇(2)은, 파지부(2c)가 하취 영역(A1)에 위치하도록 몸통부(2a) 및 암(2b)을 동작해, 하취 영역(A1)으로 보내진 워크(W1)를 파지부(2c)에서 파지하여, 팔레트(3) 위에 쌓아 올린다. 도 1의 예에서는, 로봇(2)은, 4개의 워크(W1)를 1단으로 하여, 팔레트(3) 위에 쌓아 올리고 있다.
팔레트(3)는, 워크(W1)가 쌓이는 짐칸이다. 팔레트(3)는, 수납부(6a)의 아래 또는 팔레트(3)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상류에 수납되어 있으며, 거기로부터 +x축 방향으로 반송되어,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팔레트(3)의 위치(이하, 팔레트 배치 위치라고 부를 수 있다)에 배치된다.
컨베이어(4)는, +x축 방향으로 워크(W1)를 반송한다. 컨베이어(4)에 의해 반송된 워크(W1)는, 하취 영역(A1)에 배치된다.
컨베이어(5)는, 팔레트(3) 위에 규정 단수의 워크(W1)가 쌓이면, 팔레트(3)를 +x축 방향으로 반송한다. 규정 단수의 워크(W1)를 쌓은 팔레트(3)가, +x축 방향으로 반송되면, 다음의(빈) 팔레트(3)가, 수납부(6a)의 아래 또는 팔레트(3)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상류로부터, 팔레트 배치 위치로 보내진다. 그리고, 로봇(2)은, 빈 팔레트(3)에, 다시 워크(W1)를 쌓아 올려 나간다.
수납부(6a)에는, 간지(間紙)가 수납된다. 수납부(6a)에 수납된 간지는, 복수의 흡착부(6b)에 의해 흡착된다. 간지를 흡착한 복수의 흡착부(6b)는, 예를 들면, 모터인 동력부(6d)에 의해, 지지 부재(6c)를 따라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 간지는, 로봇(2)의 파지부(도 1에 나타낸 파지부(2c)와는 다른 파지부이며, 도 1에서는, 부호를 붙이지 않음)에 의해 파지되어, 워크(W1) 위에 올려진다. 간지는, 워크(W1)가 1단 또는 소정 단수 쌓일 때마다, 워크(W1) 위에 올려진다. 또, 간지가 올려지는 워크(W1)의 소정 단수는, 팔레트(3)가 컨베이어(5)에 의해 반송될 때의 워크(W1)의 규정 단수와는 다른 단수이다(소정 단수 < 규정 단수).
제어 장치(7)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메모리 등을 가진 컴퓨터이며,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 규정 장치(1)의 동작, 로봇(2)의 동작, 컨베이어(5, 6)의 동작 등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7)는, 예를 들면, 제어반이다. 또, 제어 장치(7)는, 많은 구성 요소에 분할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로봇(2)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로봇(2)이 구비되고, 규정 장치(1)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규정 장치(1)가 구비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의 물류 시스템의 개략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빈 팔레트(3)가, 수납부(6a)의 아래로부터, 팔레트 배치 위치로 내보내진다.
워크(W1)는, 컨베이어(4)에 의해, 하취 영역(A1)으로 반송된다. 로봇(2)은, 하취 영역(A1)으로 반송된 워크(W1)를 파지해, 팔레트(3) 위에 쌓아올린다.
규정 장치(3)는, 로봇(2)에 의해, 워크(W1)가 1단 쌓아 올려지면, 그 단의 워크(W1)의 틈을 채워, 규정한다. 예를 들면, 도 1의 예의 경우, 규정 장치(1)는, 동일 수평면상에 4개의 워크(W1)가 쌓아 올려지면, 그 4개의 워크(W1)의 외주 측면을 눌러 틈을 채워, 규정한다. 규정 장치(1)는, 워크(W1)가 1단 쌓아 올려질 때마다 상방으로 이동해, 그 쌓아 올려진 단의 워크(W1)를 규정한다.
로봇(2)은, 팔레트(3) 위에, 규정 단수까지 워크(W1)를 쌓아 올린다. 팔레트(3)는, 워크(W1)가 규정 단수 쌓아 올려지면, 컨베이어(5)에 의해, +x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다음의 빈 팔레트(3)가, 수납부(6a)의 아래로부터, 팔레트 배치 위치로 내보내진다. 로봇(2)과 규정 장치(1)는, 상기한 워크(W1)의 적재 동작과 규정 동작 등을 반복한다.
또한, 로봇(2)은, 워크(W1)가 1단 또는 소정 단수 쌓일 때마다, 수납부(6a)에 수납되어 있는 간지를 워크(W1) 위에 올려둔다.
도 2는, 규정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규정 장치(1)는, 베이스 부재(11a, 11b)와, 가동 부재(12)와, 규정 부재(13a, 13b, 14a, 14b, 15a, 15b)와, 동력부(M1 ~ M7)를 가지고 있다. 도 2에는, 워크(W1)가 쌓아 올려지는 적재 영역(A11)이 나타나 있다.
베이스 부재(11a, 11b)는, 기둥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 부재(11a, 11b)는, 그 길이 방향이, 지면과 직교(거의 직교를 포함, 이하 같음)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베이스 부재는 2개이지만, 1 또는 3개 이상 있어도 좋다.
가동 부재(12)는, 기둥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가동 부재(12)는, 그 길이 방향이, 베이스 부재(11a, 11b)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베이스 부재(11a, 11b)에 마련되어 있다. 가동 부재(12)는, 로봇(2)에 의해 쌓아 올려지는 워크(W1)의 적재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11a, 11b)에 마련되어 있다.
규정 부재(13a, 13b)는, 기둥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규정 부재(13a, 13b)는, 워크(W1)의 적재 방향(z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있으며, 또한, 워크(W1)의 적재 영역(A11)의 방향으로 뻗도록, 가동 부재(12)에 마련되어 있다. 규정 부재(13a, 13b)는,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동 부재(12)에 마련되어 있다.
규정 부재(14a, 14b)는, 기둥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규정 부재(14a, 14b)는, 워크(W1)의 적재 영역(A11)의 방향으로 뻗도록,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정 부재(13a)에 마련되어 있다.
규정 부재(15a, 15b)는, 기둥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규정 부재(15a, 15b)는, 워크(W1)의 적재 영역(A11)의 방향으로 뻗도록,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정 부재(13b)에 마련되어 있다.
규정 부재(13a, 13b)와, 규정 부재(13a)에 연결되어 있는 규정 부재(14a, 14b)와, 규정 부재(13b)에 연결되어 있는 규정 부재(15a, 15b)는, 동일 평면상(거의 동일 평면을 포함, 이하 같음)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력부(M1 ~ M7)는, 예를 들면, 모터이다. 동력부(M1)는, 가동 부재(12)를 수직 방향(거의 수직 방향을 포함, 이하 같음)으로 이동한다.
동력부(M2)는, 규정 부재(13a)를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동력부(M3)는, 규정 부재(13b)를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규정 부재(13a, 13b)는, ±x축 방향에서, 적재 영역(A11)에 쌓아 올려진 워크(W1)를 규정할 수 있다.
동력부(M4)는, 가동 부재(12)와 규정 부재(13a)와의 연결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규정 부재(13a)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동력부(M5)는, 가동 부재(12)와 규정 부재(13b)와의 연결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규정 부재(13b)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에 의해, 규정 부재(13a, 13b)는, 그 길이 방향이 z축 방향을 향한다(도 11을 참조).
동력부(M6)는, 규정 부재(14a, 14b)의 각각이 연동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규정 부재(14a, 14b)는, ±y축 방향에서, 적재 영역(A11)으로 쌓아 올려진 워크(W1)를 규정할 수 있다.
동력부(M7)는, 규정 부재(15a, 15b)의 각각이 연동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 규정 부재(15a, 15b)는, ±y축 방향에서, 적재 영역(A11)으로 쌓아 올려진 워크(W1)를 규정할 수 있다.
도 3은, 워크의 규정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에는, 도 2의 규정 장치(1)를 +z축 방향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향하여 봤을 때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 도 3에서, 도 2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있다. 또한, 도 3에는, 도 2의 규정 장치(1)의 형상 등을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워크(W11 ~ W14)는, 로봇(2)의 파지부(2c)의 두께나 파지부(2c)의 개폐 동작 영역의 확보와 워크(W11 ~ W14)의 치수 공차 흡수를 위해, 이웃끼리가 틈을 가진 채로 쌓아 올려진다.
도 4는, 워크의 규정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서, 도 3과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있다.
규정 장치(1)는, 워크(W11 ~ W14)가 1단 쌓아 올려지면, 그 1단 쌓아 올려진 워크(W11 ~ W14)를 규정한다. 예를 들면, 규정 장치(1)는, 워크(W11)과 워크(W13)와의 사이의 틈과, 워크(W12)와 워크(W14)와의 사이의 틈이 없어지도록, 규정 부재(13a, 13b)를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 규정 장치(1)는, 워크(W11)과 워크(W12)와의 사이의 틈과, 워크(W13)와 워크(W14)와의 사이의 틈이 없어지도록, 규정 부재(14a, 14b)와 규정 부재(15a, 15b)를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규정 장치(1)는, 워크 사이의 틈을 채우므로, 쌓아 올려진 워크는, 안정하다. 또, 워크가 안정하므로, 간지도 안정하여 워크 위에 올려질 수 있다. 또, 간지 매수를 저감할 수 있으며, 더욱이는, 간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다.
도 5는, 가동 부재(12)의 워크의 적재 방향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의 그 1이다. 도 5에는, 도 2의 규정 장치(1)를 -x축 방향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향하여 봤을 때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 도 5에서, 도 2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있다. 또, 도 5에서는, 도 2의 규정 장치(1)의 형상 등을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규정 장치(1)는, 로봇(2)에 의해, 1단의 워크가 쌓아 올려지면(예를 들면, 도 1의 예에서는, 동일 수평면상에 4개의 워크(W1)가 쌓아 올려지면), 그 쌓아 올려진 워크를 규정한다. 예를 들면, 규정 장치(2)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워크(W21, W22)와, 그 워크(W21, W22)의 지면 깊숙한 안쪽에 있는 2개의 워크와의 상부에, 워크(W23, W24)와, 그 워크(W23, W24)의 지면 깊숙한 안쪽에 있는 2개의 워크가 쌓아 올려지면, 그 쌓아 올려진 4개의 워크(최상단의 워크)를 규정한다.
규정 장치(1)는, 최상단의 워크를 규정할 때, 규정 부재(13a, 13b)가, 최상단에 있는 워크의 측면과, 그 1개 하단의 워크의 측면에 위치(오버랩)하도록, 가동 부재(12)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규정 장치(1)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규정 부재(13a)가, 최상단의 워크(W23, W24)의 측면과, 그 1개 하단의 워크(W21, W22)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가동 부재(12)를 이동시킨다.
즉, 규정 장치(1)는, 규정 부재(13a, 13b)와, 규정 부재(14a, 14b)와, 규정 부재(15a, 15b)를, 최상단의 워크의 측면과, 그 1개 하단의 워크의 측면으로 꽉 누르면서, 워크를 규정한다. 이에 의해, 워크는, 팔레트(3)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여 쌓아 올려진다.
도 6은, 가동 부재(12)의 워크의 적재 방향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의 그 2이다. 도 6에서, 도 5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있다.
로봇(2)은, 규정 장치(1)에 의해, 최상단의 워크가 규정되면, 최상단의 워크의 위에 다음의 단의 워크를 쌓아 올린다. 예를 들면, 로봇(2)은,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워크(W24)의 워크의 위에, 워크(W25)를 쌓아 올린다.
규정 장치(1)는, 최상단의 워크를 규정한 후, 로봇(2)에 의해, 최상단의 워크의 위에 다음의 단의 워크가 쌓아 올려져 있는 사이에, 가동 부재(12)를 상방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규정 장치(1)는, 워크(W23, W24)의 측면과, 워크(W21, W22)의 측면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규정 부재(13a)(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상태의 규정 부재(13a))를, 로봇(2)이 최상단의 워크(W23, W24)의 상부에 다음의 단의 워크를 쌓아 올리고 있는 사이에, 워크(W23, W24)의 상면 근방에 위치하도록, 가동 부재(12)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대기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규정 장치(1)는, 규정 부재(13a)의 화살표(A21)로 나타내는 중심선이, 워크(W24)의 높이의 절반보다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가동 부재(12)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대기시킨다. 또, 규정 장치(1)는, 규정 부재(13a)의 상면이, 워크(W23, W24)의 상면보다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가동 부재(12)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대기시킨다.
이에 의해, 다음의 단의 워크의 규정을 실시할 때의, 가동 부재(12)의 이동 시간이 단축된다. 예를 들면, 가동 부재(12)의 이동 거리는, 도 6의 화살표(A22)에 나타내는 거리에서 끝나기 때문에, 다음의 단의 워크의 규정을 실시할 때의, 가동 부재(12)의 이동 시간이 단축된다. 그리고, 로봇(2)은, 팔레트(3) 위에 빨리 규정 단수의 워크를 쌓아 올릴 수 있다.
또, 상기한 것처럼, 규정 부재(13a, 13b, 14a, 14b, 15a, 15b)는,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규정 부재의 상면은, 워크(W23, W24)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로봇(2)은, 규정 부재(13a, 13b, 14a, 14b, 15a, 15b)와 간섭하는 것 없이, 최상단의 워크의 위에, 다음의 단의 워크를 쌓아 올릴 수 있다. 또, 로봇(2)은, 규정 부재(1)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회피 동작이나 대기 시간이 불요하게 된다.
도 7은, 규정 부재(14b, 15b)의 단부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7에는, 도 2의 규정 장치(1)를 +y축 방향으로부터 -y축 방향으로 향하여 봤을 때의 일부가 나타나 있다. 도 7에서, 도 2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또, 도 7에서는, 도 2의 규정 장치(1)의 형상 등을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규정 부재(14b)와 규정 부재(15b)의 단부는, 교차하도록(겹치도록) 구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A)에 나타낸 것처럼, 규정 부재(14b)는, 규정 부재(15b)와 대항하는 측의 단부에, 조부(爪部)(14ba, 14bb)를 가지고 있다. 규정 부재(15b)는, 규정 부재(14b)와 대향하는 측의 단부에, 조부(15ba, 15b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 나타낸 것처럼, 규정 부재(14b)의 조부(14ba, 14bb)와, 규정 부재(15b)의 조부(15ba, 15bb)는, 서로가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7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규정 부재(14a)도 규정 부재(14b)와 마찬가지의 조부를 가지고 있다. 규정 부재(15a)도 규정 부재(15b)와 마찬가지의 조부를 가지고 있다.
또, 규정 부재(14a, 14b)와 규정 부재(15a, 15b)의 단부의 형상은, 도 7에 나타낸 조부의 형상에 한하지 않는다. 즉, 규정 부재(14a, 14b)와 규정 부재(15a, 15b)의 단부는, 서로가 가까워졌을 때에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도 7의 (A)의 예에서는, 규정 부재(14b)와 규정 부재(15b)는, 각각 2개의 조부(14ba, 14bb)와 조부(15ba, 15bb)를 가지고 있었지만, 규정 부재(14b)는, 조부(14ba)만을 가지고, 규정 부재(15b)는, 조부(15ba)만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도 8은, 워크가 작을 경우의 규정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8에서, 도 4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워크(W31 ~ W34)는, x축 방향의 크기가 작게 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워크(W31)의 x축 방향의 길이와, 워크(W33)의 x축 방향의 크기의 합계는, 규정 부재(14a)의 x축 방향의 길이와, 규정 부재(15a)의 x축 방향의 길이의 합계보다 작게 한다.
규정 부재(14a, 14b)와 규정 부재(15a, 15b)는, 도 7에서 설명한 것처럼, 서로가 대향하고 있는 단부에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규정 장치(1)는, 워크(W31 ~ W34)의 x축 방향의 크기가 작아져도,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규정 부재(14a, 14b)의 단부(조부)와, 규정 부재(15a, 15b)의 단부(조부)를 교차시킴으로써, 워크(W31 ~ W34)를 규정할 수 있다.
즉, x축 방향으로 세운 워크의 x축 방향에서의 합계의 길이(예를 들면, 워크(W31, W33)의 x축 방향의 길이)가, 규정 부재(14a, 14b)와 규정 부재(15a, 15b)의 x축 방향의 길이보다 작아져도, 규정 장치(1)는, 규정 부재(14a, 14b)와 규정 부재(15a, 15b)의 단부를 교차시킴으로써, 워크를 적절하게 규정할 수 있다.
도 9는, 쌓아 올려진 워크의 외주 측면이 4변형이 아닐 경우의 규정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9에서, 도 4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도 4나 도 8에서 설명한 규정 동작에서는, 워크의 외주 측면은 4변형이었다. 규정 장치(1)는, 6개의 규정 부재(13a, 13b, 14a, 14b, 15a, 15b)를 구비함으로써, 워크의 외주 측면이 4변형 이외여도, 워크를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규정 장치(1)는,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워크(W41 ~ W46)의 외주 측면이 8면일 경우에도, 워크(W41 ~ W46)를 적절하게 규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규정 장치(1)는, 6개의 규정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규정 부재에서 워크의 외주의 6개의 측면을 누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주 측면이 4변형 이외의 워크를 규정할 수 있다.
도 10은, 워크의 팔레트(3) 위의 규정 위치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0에는, 도 4의 우측 절반이 나타나 있다. 도 10에서, 도 4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또, 도 10에는, 팔레트(3)와, 팔레트(3) 위에 쌓인 워크(W51 ~ W53)가 나타나 있다.
규정 장치(1)는, 워크(W51 ~ W53)를, y축 방향에서 규정하기 위한 2개의 규정 부재(15a, 15b)를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규정 장치(1)는, 화살표(A31a)와 화살표(A31b)와의 2방향으로부터, 워크(W51 ~ W53)를 규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규정 장치(1)는, y축 방향에서, 워크(W51 ~ W53)를 팔레트(3) 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규정 장치(1)는, 워크(W51 ~ W53)를, 팔레트(3)의 y축 방향의 중앙부에서 규정할 수 있다. 또는, 규정 장치(1)는, 워크(W51 ~ W53)를, 팔레트(3)의 변(3a) 측에 기대어 규정할 수 있다. 또는, 규정 장치(1)는, 워크(W51 ~ W53)를, 팔레트(3)의 변(3b) 측에 기대어 규정할 수 있다.
또, 도 10에는 나타나 있지 않은 규정 부재(14a, 14b)도 마찬가지로, y축 방향에서, 워크를 팔레트(3) 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규정할 수 있다. 또, 규정 부재(13a, 13b)도 마찬가지로, x축 방향에서, 워크를 팔레트(3) 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규정할 수 있다.
도 11은, 팔레트(3) 위에 규정 단수의 워크가 쌓아 올려졌을 때의 규정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에서, 도 2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가 붙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규정 부재(13a, 13b)는 도 2에서 설명한 것처럼, 동력부(M4, M5)에 의해, 그 길이 방향이 워크의 적재 방향과 평행(거의 평행을 포함함, 이하 같음)하도록 들어 올려진다. 규정 부재(13a, 13b)는, 팔레트(3) 위에 규정 단수의 워크가 쌓아 올려지면, 그 길이 방향이 워크의 적재 방향과 평행으로 되도록 들어 올려진다. 그리고, 규정 단수의 워크가 쌓아 올려진 팔레트(3)는, 컨베이어(5)에 의해 별도의 장소에 이동된다. 이에 의해, 팔레트(3)는, 워크가 규정 단수 쌓이면, 규정 장치(1)에 간섭하는 것 없이, 컨베이어(5)에 의해 반송된다.
가동 부재(12)는, 팔레트(3)의 반송과 동시(거의 동시를 포함함, 이하 같음)에, 이하에서 설명하는 소정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된다. 규정 부재(13a, 13b)는, 가동 부재(12)가 이하에서 설명하는 소정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되고, 빈 팔레트(3)가 팔레트 배치 위치에 배치되면, 그 길이 방향이 워크의 적재 영역(A11)의 방향(y축 방향)을 향하도록 내려진다.
이와 같이, 가동 부재(12)는, 팔레트(3)가 반송되고 있는 사이에(워크가 별도의 영역으로 이동되고 있는 사이에),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다음의 팔레트(3) 위에의, 워크의 적재 개시 시간이 단축된다. 또, 규정 부재(13a, 13b)는, 빈 팔레트(3)가 팔레트 배치 위치로 배치된 후, 그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을 향하도록 내려진다. 이에 의해, 규정 부재(13a, 13b)는, 팔레트 배치 위치로 반송되는 빈 팔레트(3)와 간섭하지 않는다.
가동 부재(12)의 소정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동 부재(12)의 소정 위치로는, 규정 부재(13a, 13b)의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을 향하도록 내려졌을 때, 규정 부재(13a, 13b, 14a, 14b, 15a, 15b)의 상면이, 팔레트 배치 위치로 배치된 빈 팔레트(3)의 상면보다 아래쪽으로 되는 위치이다. 이에 의해, 팔레트 배치 위치로 배치된 빈 팔레트(3)의 상방에는, 1단째의 워크를 쌓아 올리는 로봇(2)의 동작을 방해하는 영역(스페이스)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봇(2)은, 쓸데없는 움직임(예를 들면, 빈 팔레트(3)의 상방으로 규정 부재가 있을 경우, 그 규정 부재를 회피하는 움직임)을 하는 것 없이, 워크를 쌓아 올릴 수 있다.
도 12는, 물류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물류 시스템은, 도 12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의 동작을 반복 실행한다.
먼저, 제어 장치(7)는, 빈 팔레트(3)를, 팔레트 배치 위치에 반송한다.(스텝 S1). 예를 들면, 제어 장치(7)는, 빈 팔레트를, 도 1에 나타내고 있는 팔레트(3)의 위치로 반송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7)는, 규정 장치(1)의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있는 규정 부재(13a, 13b)를 수평 방향으로 내린다(스텝 S2).
다음으로, 제어 장치(7)는, 컨베이어(4)에 의해, 워크를 하취 영역(A1)으로 반송하고, 하취 영역(A1)에 반송한 워크를, 로봇(2)으로 팔레트(3) 위로 1단 쌓아 올린다(스텝 S3). 예를 들면, 제어 장치(7)는,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동일 수평면상에 4개의 워크(W1)를 쌓아 올린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7)는, 스텝 S3에서 쌓아 올린 1단의 워크를, 규정 장치(1)에 의해 규정한다(스텝 S4). 예를 들면, 제어 장치(7)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규정 장치(1)에 의해, 워크 사이의 틈을 채운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7)는, 로봇(2)에 의해, 스텝 S4에서 규정한 워크의 위에, 다음단의 워크를 쌓아 올린다(스텝 S5a).
또, 제어 장치(7)는, 스텝 S5a의 처리와 동시에, 규정 장치(1)의 규정 부재(13a, 13b)가 최상단의 워크의 상면 근방으로 위치하도록, 가동 부재(12)를 상승한다(스텝 S5b). 예를 들면, 제어 장치(7)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가동 부재(12)를 상승한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7)는, 팔레트(3) 위의 워크가 규정 단수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6). 제어 장치(7)는, 팔레트(3) 위의 워크가 규정 단수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했을 경우(S6의「No」), 처리를 스텝 S4에 이행한다. 제어 장치(7)는, 팔레트(3) 위의 워크가 규정 단수로 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6의「Yes」), 처리를 스텝 S7로 이행한다.
제어 장치(1)는, 스텝 S6에서, 팔레트(3) 위의 워크가 규정 단수로 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S6의「Yes」), 규정 단수째의 워크를 규정한다(스텝 S7).
다음으로, 제어 장치(7)는, 규정 부재(13a, 13b)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린다(스텝 S8). 예를 들면, 제어 장치(7)는,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규정 부재(13a, 13b)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린다.
다음으로, 제어 장치(7)는, 컨베이어(5)에 의해, 규정 단수의 워크를 쌓은 팔레트(3)를 반출한다(스텝 S9a). 예를 들면, 제어 장치(7)는, 도 1의 +x축 방향에 팔레트(3)를 반출한다.
또, 제어 장치(7)는, 스텝 S9a의 처리와 동시에, 규정 장치(1)의 가동 부재(12)를 하방으로 이동한다(스텝 S9b). 예를 들면, 제어 장치(7)는, 규정 장치(1)의 규정 부재(13a, 13b)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린 상태 그대로, 가동 부재(12)를, 상기한 소정 위치까지 하방 이동한다.
제어 장치(7)는, 당해 플로우차트의 처리를 종료하고, 다시 스텝 S1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어 장치(7)는, 워크가 쌓아 올려진 팔레트(3)의 반출(스텝 S9a의 처리)와, 빈 팔레트(3)의 팔레트 배치 위치에의 반입(스텝 S1의 처리)을 동시에 행해도 좋다.
또, 도 12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제어 장치(7)는, 워크(W1)가 1단 또는 소정 단수 쌓일 때마다, 수납부(6a)에 수납되어 있는 간지를, 로봇(2)에 의해 워크(W1) 위에 올려둔다.
이와 같이, 규정 장치(1)는, 베이스 부재(11a, 11b)와, 로봇(2)에 의해 쌓아 올려지는 워크의 적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11a, 11b)에 마련된 가동 부재(12)를 가진다. 또, 규정 장치(1)는, 워크의 적재 영역(A11)의 방향으로 뻗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동 부재(12)에 마련된 규정 부재(13a, 13b)를 가진다. 그리고, 규정 장치(1)는, 워크의 적재 영역(A11)의 방향으로 뻗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정 부재(13a)에 마련된 규정 부재(14a, 14b)와, 워크의 적재 영역(A11)의 방향으로 뻗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정 부재(13b)에 마련된 규정 부재(15a, 15b)를 가진다. 이에 의해, 규정 장치(1)는, 로봇(2)에 의해 쌓아 올려지는 워크의 사이의 틈을 채울 수 있다. 또, 워크는, 틈을 채워 팔레트(3) 위에 쌓아 올려지므로, 팔레트(3)는, 안정하게 반출될 수 있다.
또, 상기에서는, 규정 부재(14b, 15b)는, 규정 부재(13a, 13b)에 대해 이동하려고 했지만, 규정 부재(13a, 13b)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즉, 규정 부재(14a, 15a) 만이, 규정 부재(13a, 13b)에 대해 이동하여도 좋다. 이 때, 규정 부재(14b, 15b)는, 동일선 상에 없어도 좋다.(예를 들면, 가동 부재(12)에 대한 규정 부재(14b)의 거리와, 가동 부재(12)에 대한 규정 부재(15b)의 거리는 달라져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서도, 규정 장치(1)는, 로봇(2)에 의해 쌓아 올려지는 워크의 사이의 틈을 채울 수 있다. 규정 부재(14a, 15a)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규정 부재(13a, 13b)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 규정 부재(13a, 13b)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가동 부재(12)에 대해, 일방이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대향하는 규정 부재의 일방을 고정함으로써, 규정 장치(1)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워크를 팔레트 위로 쌓는 방법은,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로봇(2)은, 팔레트(3) 위에 4정배(4丁配)풍차쌓기로 워크를 쌓고, 규정 장치(1)는, 그 워크를 규정할 수 있다.
또, 규정 부재(14a, 14b)의 각각은 연동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했지만, 독립하여 이동시켜도 좋다. 또, 규정 부재(15a, 15b)의 각각은 연동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했지만, 독립하여 이동시켜도 좋다.
또, 규정 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규정 장치(1)을 도 11에 나타낸 자세로 해도 좋다. 이에 의해, 규정 장치(1)에 의한, 로봇(2)의 워크의 적재의 방해를 회피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형태를 이용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범위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 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하는 것이 가능함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또,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 트거 청구의 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또, 상술한 플로우차트의 각 처리 단위는, 물류 시스템의 처리를 이해 용이하게 하기 위해, 주요한 처리 내용에 따라 분할한 것이다. 처리 단위의 분할의 방법이나 명칭에 따라, 본원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류 시스템의 처리는, 처리 내용에 따라서, 더욱 많은 처리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또, 1개의 처리 단위가 더욱 많은 처리를 포함하도록 분할할 수도 있다.
1 규정 장치
2 로봇
2a 몸통부
2b 암
2c 파지부
3 팔레트
4, 5 컨베이어
6a 수납부
6b 흡착부
6c 프레임
7 제어 장치
W1 워크
A1 하취 영역
11a, 11b 베이스 부재
12 가동 부재
13a, 13b, 14a, 14b, 15a, 15b 규정 부재
M1 ~ M7 동력부
A11 적재 영역
14ba, 14bb, 15ba, 15bb 조부

Claims (6)

  1. 베이스 부재와,
    로봇에 의해 쌓아 올려지는 워크의 쌓아 올라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에 마련된 가동 부재와,
    상기 워크가 쌓아 올려지는 영역을 향해 뻗은, 일방 또는 양방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부재에 마련된 제 1의 규정 부재 및 제 2의 규정 부재와,
    상기 워크가 쌓아 올려지는 영역을 향해 뻗은, 일방 또는 양방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의 규정 부재에 마련된 제 3의 규정 부재 및 제 4의 규정 부재와,
    상기 워크가 쌓아 올려지는 영역을 향해 뻗은, 일방 또는 양방이, 서로가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의 규정 부재에 마련된 제 5의 규정 부재 및 제 6의 규정 부재,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최상단의 상기 워크를 규정한 후, 상기 로봇에 의해 다음의 단의 상기 워크가 쌓아 올려지는 사이에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규정 부재 및 상기 제 2의 규정 부재는, 그 길이 방향이 상기 워크의 적재 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되도록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에 의해 쌓아 올려진 상기 워크는, 상기 제 1의 규정 부재 및 상기 제 2의 규정 부재의 길이 방향이 상기 워크의 적재 방향과 거의 평행으로 되도록 가동한 후에 별도의 영역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워크가 별도의 영역으로 이동되고 있는 사이에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의 규정 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 5의 규정 부재의 단부는 교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4의 규정 부재의 단부와 상기 제 6의 규정 부재의 단부는 교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규정 부재, 상기 제 2의 규정 부재, 상기 제 3의 규정 부재, 상기 제 4의 규정 부재, 상기 제 5의 규정 부재, 및 상기 제 6의 규정 부재는, 거의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정 장치.
KR1020177030579A 2016-02-08 2016-08-18 규정 장치 KR101898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21952 2016-02-08
JP2016021952A JP5969150B1 (ja) 2016-02-08 2016-02-08 規正装置
PCT/JP2016/074131 WO2017138169A1 (ja) 2016-02-08 2016-08-18 規正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57A true KR20180001557A (ko) 2018-01-04
KR101898837B1 KR101898837B1 (ko) 2018-09-13

Family

ID=5670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579A KR101898837B1 (ko) 2016-02-08 2016-08-18 규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081501B2 (ko)
JP (1) JP5969150B1 (ko)
KR (1) KR101898837B1 (ko)
CN (1) CN107182208B (ko)
MY (1) MY172374A (ko)
SG (1) SG11201806448VA (ko)
TW (1) TWI582030B (ko)
WO (1) WO2017138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2891B1 (ja) * 2017-10-20 2019-01-16 スターテクノ株式会社 パレット把持装置及びパレット把持システム
JP6452893B1 (ja) * 2017-10-20 2019-01-16 スターテクノ株式会社 パレット移送装置
JP6355869B1 (ja) * 2018-01-23 2018-07-11 不二輸送機工業株式会社 規正装置、及び規正方法
CN112340470A (zh) * 2019-08-07 2021-02-09 腾升科技股份有限公司 直立单元体的整列机
TR202008802A1 (tr) * 2020-06-08 2021-12-21 Elektroteks Elektronik Tekstil Sanayi Ve Ticaret Ltd Sirketi Yatak i̇malatinda kullanilmak üzere bi̇r taşima mekani̇zmasi
CN112158591B (zh) * 2020-10-27 2022-04-22 沈阳华钛实业有限公司 一种带限位的机械手抓取装置
TWI774276B (zh) * 2021-03-17 2022-08-11 賽柏投資有限公司 堆疊排齊裝置及其排齊物件的方法
TWI840739B (zh) * 2022-01-21 2024-05-01 迅得機械股份有限公司 具有暫存功能的升降裝置
JP7330344B1 (ja) 2022-10-31 2023-08-21 カワダロボティクス株式会社 スティック状梱包品のピッキングシステムおよび二次梱包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3258A (en) * 1996-12-20 1999-04-13 Lantech Technology Investment Corp. Building and wrapping a stabilized load
JP2014156296A (ja) 2013-02-14 2014-08-28 Kawasaki Heavy Ind Ltd 積み上げ矯正装置及び方法
US20160001992A1 (en) * 2013-03-15 2016-01-07 Suzushi Takao Transport Device For Article Transport Box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778A (en) * 1974-10-22 1976-04-23 Kao Corp Hansotsuminino nisugatajidoshuseisochi
US4454705A (en) * 1981-03-06 1984-06-19 Benno Edward L Packaging method
US4647028A (en) * 1985-08-19 1987-03-03 Yang Tai Her Versatile clamping assembly for workbench or the like
DE3678241D1 (de) * 1985-10-15 1991-04-25 Kao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alettieren von aus schichten gebildeten einheiten.
JPH06298366A (ja) * 1993-04-13 1994-10-25 Fujitsu Ltd ガイド幅自動切り替え機構
DE4328604C2 (de) * 1993-08-25 1995-12-07 Gaemmerler Hagen Drehbare Stapelkammer in einem Kreuzleger für Druckprodukte
JP2946281B2 (ja) 1995-04-20 1999-09-06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スタッカークレーン
DK1445224T4 (da) * 2003-01-14 2013-09-02 Ferag Ag Anordning til dannelse af stabler af genstande i fladeform
JP4324849B2 (ja) * 2003-07-17 2009-09-02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把持装置
CN100594404C (zh) * 2006-01-24 2010-03-17 庄添财 自动取料机
US7798763B2 (en) * 2006-11-28 2010-09-21 Ouellette Machinery Systems, Inc. Conveyor system apparatus for stacking arrayed layers of objects
KR100930536B1 (ko) * 2009-03-29 2009-12-14 (주)한국수송기산업 사료포대 적재시스템
JP5190053B2 (ja) * 2009-12-25 2013-04-24 有限会社山本機械 幅寄せ装置、パレタイズ搬送システムおよびパレタイジング方法
JP5202557B2 (ja) * 2010-03-05 2013-06-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ペリクルハンドリング治具
EP2619118B1 (fr) 2010-09-22 2017-02-15 Bobst Mex Sa Dispositif de transport de paquets pour machine de cerclage
JP5385947B2 (ja) * 2011-06-27 2014-01-08 有限会社山本機械 幅寄せ装置、パレタイズ搬送システムおよびパレタイジング方法
KR101082323B1 (ko) * 2011-07-04 2011-11-10 (주)위파 포장박스용 로드 포머
JP5930051B2 (ja) 2012-09-06 2016-06-08 村田機械株式会社 移載装置
CN202864187U (zh) 2012-09-20 2013-04-10 上海精星仓储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化立体仓库的托盘码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3258A (en) * 1996-12-20 1999-04-13 Lantech Technology Investment Corp. Building and wrapping a stabilized load
JP2014156296A (ja) 2013-02-14 2014-08-28 Kawasaki Heavy Ind Ltd 積み上げ矯正装置及び方法
US20160001992A1 (en) * 2013-03-15 2016-01-07 Suzushi Takao Transport Device For Article Transport Box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806448VA (en) 2018-08-30
CN107182208B (zh) 2018-12-18
US10081501B2 (en) 2018-09-25
CN107182208A (zh) 2017-09-19
TWI582030B (zh) 2017-05-11
WO2017138169A1 (ja) 2017-08-17
MY172374A (en) 2019-11-21
US20180044123A1 (en) 2018-02-15
KR101898837B1 (ko) 2018-09-13
JP2017141068A (ja) 2017-08-17
TW201728520A (zh) 2017-08-16
JP5969150B1 (ja)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837B1 (ko) 규정 장치
KR102397716B1 (ko) 물품 반송 장치
JP5083382B2 (ja) 自動倉庫
EP3708504A1 (en) Egg package transfer device
JP7075645B2 (ja) 移載装置
WO2019044878A1 (ja) 卵パックの箱詰めシステム
TW201710044A (zh) 儲存系統
KR20230019866A (ko) 패키지를 조립하기 위한 패키징 시스템
JP2694784B2 (ja) 自動荷積み装置
JP7539686B2 (ja) パレタイズ装置
JP2616590B2 (ja) 荷積み装置
US11542108B2 (en) Method for operating a palletizing plant and palletizing plant
CN220076907U (zh) 实现捆扎护角一体的装置
JP7555800B2 (ja) 対象物の配置位置決定方法、制御装置、プログラム、荷役装置、及び、荷役システム
JP3230924U (ja) パレタイザ
JP7294198B2 (ja) 物品保管設備
RU2811482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 машина для перераспределения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з группы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JP2508344B2 (ja) 荷積み装置
CN113226670B (zh) 物品移载设备
KR20120085497A (ko) 골판지 원단 적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골판지 원단 적재 방법
US20230278795A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JP2605909B2 (ja) 荷扱い装置
JP2024033506A (ja) ロボットハンド及びワーク搬送装置
JP4058962B2 (ja) セパレートシートの縁辺部折り曲げ成形方法及び装置
JPH05201546A (ja) 荷積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