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464A -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464A
KR20180001464A KR1020170078035A KR20170078035A KR20180001464A KR 20180001464 A KR20180001464 A KR 20180001464A KR 1020170078035 A KR1020170078035 A KR 1020170078035A KR 20170078035 A KR20170078035 A KR 20170078035A KR 20180001464 A KR20180001464 A KR 20180001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rganic
substrate
emitting device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아키 하라다
마사야 시도
요시로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이토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8000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01L51/522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3/14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6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not provided in groups F21S43/235 - F21S43/25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21S43/315Optical layout thereof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08Adhesive means
    • H01L51/5246
    • H01L51/5275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10K50/822Cath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투과성을 갖는 유기 EL을 사용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유기 EL 패널 표면에서의 반사광이 후방측으로 새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광 장치(10)는, 투명 부재(100)를 따라 배치된다. 발광 장치(10)는, 투명 부재(10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투광성의 기판(23)과, 기판(23)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의 양극(21)과, 양극(21) 상에 배치되는 유기물층(24)과, 유기물층(24) 상에 배치되는 비투광성의 음극(26)을 갖는 유기 EL 패널(12)을 구비한다. 유기물층(24) 및 음극(26)은,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된다. 음극(26)은, 유기물층(24)보다 넓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발광 장치{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을 사용한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의 리어 윈도우의 내측에 유기 EL 패널을 배치하여,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나 테일 램프 등의 표지등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유기 EL 패널을 리어 윈도우의 내측에 배치하는 경우, 유기 EL 패널의 발광이 글레어광이 되어 운전자를 현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광을 유기 EL 패널의 전방측(즉 리어 윈도우측)에만 조사할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유기 EL 패널의 존재에 의한 후방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 후방이 들여다보이도록 유기 EL 패널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목적을 위해, 음극을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하여 투과성을 갖도록 구성된 유기 EL 패널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9872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5173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음극을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한 유기 EL 패널에 있어서는, 유기 EL 패널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의 일부가 음극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유기 EL 패널의 후방측으로 새어, 운전자를 현혹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투과성을 갖는 유기 EL을 사용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유기 EL 패널 표면에서의 반사광이 후방측으로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어떤 양태의 발광 장치는, 투명 부재를 따라 배치되는 발광 장치로서, 투명 부재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투광성의 기판과, 기판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의 양극과, 양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물층과, 유기물층 상에 배치되는 비투광성의 음극을 갖는 유기 EL 패널을 포함한다. 유기물층 및 음극은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음극은 유기물층보다 넓게 형성된다.
기판의 굴절률을 n1, 기판의 두께를 d로 했을 때에, 음극에 있어서의 유기물층보다 광폭 부분의 폭 LN이 이하의 식 LN≥2dtan(arcsin(1/n1))으로 규정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도 또한, 발광 장치이다. 이 장치는, 투명 부재를 따라 배치되는 발광 장치로서, 투명 부재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투광성의 기판과, 기판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의 양극과, 양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물층과, 유기물층 상에 배치되는 비투광성의 음극과, 유기물층 및 음극을 덮는 밀봉 부재와, 밀봉 부재 상에 형성되는 차광막을 갖는 유기 EL 패널을 포함한다. 유기물층, 음극 및 차광막은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되며, 차광막은 유기물층보다 넓게 형성된다.
기판의 굴절률을 n1, 기판의 두께를 d, 밀봉 부재의 두께를 D로 했을 때에, 차광막에 있어서의 유기물층보다 광폭 부분의 폭 LF가 이하의 식 LF≥2dtan(arcsin(1/n1))+Dtan(arcsin(1/n1))으로 규정되어도 좋다.
투명 부재와 기판 사이에, 기판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의 층이 형성되도록, 유기 EL 패널을 투명 부재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를 갖추어도 좋다.
유기 EL 패널은, 기판 상에 하프 미러, 양극, 유기물층, 음극의 순으로 적층된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갖추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과성을 갖는 유기 EL을 사용한 발광 장치에 있어서, 유기 EL 패널 표면에서의 반사광이 후방측으로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음극의 폭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기판의 두께와 음극의 광폭 부분의 폭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차광막의 폭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기판의 두께 d와 차광막의 광폭 부분의 폭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밀봉 부재의 두께와 차광막의 광폭 부분의 폭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발광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은 각 부재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실제의 각 부재의 치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1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발광 장치(10)는,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 테일 램프 등의 차량용 등기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장치(10)는, 차량의 리어 윈도우 등의 투명 부재(100)를 따라 배치된다. 투명 부재(100)는, 발광 장치(10)가 부착되는 제1 면(100a)과, 제1 면(100a)에 대향하는 제2 면(100b)을 갖는다. 투명 부재(100)가 차량의 리어 윈도우인 경우, 제1 면(100a)은 리어 윈도우의 차내측의 면이 되고, 제2 면(100b)은 리어 윈도우의 차외측의 면이 된다.
발광 장치(10)는, 유기 EL 패널(12)과, 유기 EL 패널(12)을 투명 부재(100)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로서의 양면테이프(11)를 구비한다.
유기 EL 패널(12)은, 투명 부재(10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투광성의 기판(23)과, 기판(23)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의 양극(21)과, 양극(21) 상에 배치되는 유기물층(24)과, 유기물층(24) 상에 배치되는 비투광성의 음극(26)과, 양극(21), 유기물층(24) 및 음극(26)을 덮는 투광성의 밀봉 부재(28)를 갖는다. 밀봉 부재(28)는, 예컨대 산화규소여도 좋다.
유기 EL 패널(12)은, 기판(23)의 주연부를 따라 접착된 양면테이프(11)에 의해, 투명 부재(100)의 제1 면(100a)에 부착된다. 이 양면테이프(11)의 두께로 인해, 기판(23)과 투명 부재(100) 사이에 공기층(30)이 형성된다.
양극(21)으로서는, ITO(산화인듐주석) 등의 투명 전극이 이용된다. 음극(26)으로서는, 알루미늄 등의 비투광성의 금속 전극이 이용된다. 양극(21) 및 음극(26)을 이용하여 유기물층(24)에 전압을 인가하면, 양극(21)으로부터 정공이, 음극(26)으로부터는 전자가 주입되고, 유기물층(24)에서 이들이 결합할 때에 생기는 에너지로 형광성 유기 화합물이 여기되어, 발광한다. 유기물층(24)에서 발광한 광 중 양극(21)으로 향하는 광은, 양극(21)을 통과하여 기판(23)의 출사면(23a)으로부터 출사된다. 한편, 유기물층(24)에서 발광한 광 중 음극(26)으로 향하는 광은, 음극(26)에서 반사된 후, 유기물층(24), 양극(21)을 통과하여 기판(23)의 출사면(23a)으로부터 출사된다. 이와 같이, 유기 EL 패널(12)은, 기본적으로 한쪽 방향(「전방」이라 함)으로만 광을 출사한다. 기판(23)의 출사면(23a)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공기층(30)을 통과하여 제1 면(100a)으로부터 투명 부재(100) 내로 입사되고, 제2 면(100b)으로부터 출사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물층(24) 및 음극(26)은,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열(列) 모양의 유기물층(24) 및 음극(2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기물층(24) 및 음극(26)을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유기물층(24) 및 음극(26)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통해 발광 장치(10)가 들여다보인다. 이에 따라, 발광 장치(10)를 차량의 리어 윈도우를 따라 배치한 경우에는, 운전석으로부터의 후방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10)에 있어서는, 음극(26)은, 유기물층(24)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즉, 음극(26)의 단부는, 유기물층(24)의 단부보다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음극(26)에 있어서의 유기물층(24)보다 광폭 부분과 양극(21) 사이에는 절연층(2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유기물층(24)의 양 옆에 절연층(25)이 형성되어 있고, 유기물층(24) 및 절연층(25) 상에 음극(26)이 설치되어 있다. 절연층(25)은, 예컨대 Ca(DPM)2여도 좋다.
유기물층(24)에서 발광한 광의 일부는, 기판(23)의 출사면(23a)에서 반사된다. 출사면(23a)으로의 입사각이 작은 반사광은 음극(26)에서 차광되지만, 입사각이 큰 반사광은 음극(26)에서 차광되지 않고, 열 모양의 음극(26) 사이의 영역을 통과하여, 유기 EL 패널(12)의 후방으로 샐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1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음극(26)을 유기물층(24)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출사면(23a)에서의 반사각이 큰 반사광을 음극(26)의 광폭 부분에서 차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23)의 출사면(23a)에서의 반사광이 유기 EL 패널(12)의 후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 또는 적어도 억제할 수 있다. 발광 장치(10)를 차량의 리어 윈도우를 따라 배치한 경우에는, 자차의 발광 장치(10)가 발한 광이 운전석 방향을 향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운전자를 현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음극(26)의 폭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기판(23)의 출사면(23a)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후방으로 새지 않기 때문에 최저한 필요한 음극(26)의 폭에 대해서 고찰한다. 또한, 도 2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양극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물층(24)의 단부로부터 출사된 후, 입사각(θI)으로 기판(23)의 출사면(23a)에 입사되어 반사되고, 음극(26)의 단부를 통과하는 광(L1)이, 밀봉 부재(28)와 공기 간의 계면(28a)에 입사각(θI')으로 입사되어, 전반사(굴절각 θR=90°)되는 조건을 고려한다. 광(L1)의 입사각(θI)보다 작은 입사각으로 출사면(23a)에 입사되는 광(L2)은, 음극(26)에서 차광되기 때문에, 유기 EL 패널(12)의 후방으로는 새지 않는다. 한편, 광(L1)의 입사각(θI)보다 큰 입사각으로 출사면(23a)에 입사되는 광(L3)은, 밀봉 부재(28)의 계면(28a)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유기 EL 패널(12)의 후방으로는 새지 않는다.
기판(23)의 굴절률을 n1, 밀봉 부재(28)의 굴절률을 n2, 공기의 굴절률을 nair=1로 한다. 또한, 기판(23)의 두께를 d로 하고, 음극(26)에 있어서의 유기물층(24)보다 광폭 부분의 폭을 LN으로 한다. 이 때, 이하의 (1)∼(3)식이 성립된다.
LN≥2dtanθI (1)
n1sinθI=n2sinθI' (2)
n2sinθI'=nairsinθR (3)
(1)∼(3)식으로부터, 이하의 (4)식을 유도할 수 있다.
LN≥2dtan(arcsin(1/n1)) (4)
따라서, (4)식을 만족시키도록 음극(26)의 광폭 부분의 폭 LN을 설정함으로써, 기판(23)의 출사면(23a)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후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기판(23)의 두께 d와 음극(26)의 광폭 부분의 폭 LN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LN=2dtan(arcsin(1/n1))을 n1=1.5로서 플롯한 것이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사광이 후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판(23)의 두께 d가 커질수록, 음극(26)의 광폭 부분의 폭 LN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기판(23)의 두께 d가 0.05 ㎜∼1.0 ㎜인 경우, 음극(26)의 광폭 부분의 폭 LN을 0.09 ㎜∼1.8 ㎜ 이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4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발광 장치(40)도, 차량의 리어 윈도우 등의 투명 부재(100)를 따라 배치되고,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 테일 램프 등의 차량용 등기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발광 장치(40)는, 유기 EL 패널(12)과, 유기 EL 패널(12)을 투명 부재(100)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로서의 양면테이프(11)를 구비한다. 양면테이프(11)의 두께로 인해, 기판(23)과 투명 부재(100) 사이에 공기층(30)이 형성된다.
유기 EL 패널(12)은, 투명 부재(100)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투광성의 기판(23)과, 기판(23)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의 양극(21)과, 양극(21) 상에 배치되는 유기물층(24)과, 유기물층(24) 상에 배치되는 비투광성의 음극(26)과, 양극(21), 유기물층(24) 및 음극(26)을 덮는 투광성의 밀봉 부재(28)와, 밀봉 부재(28) 상에 형성되는 차광막(42)을 갖는다. 차광막(42)은, 예컨대 Al을 증착한 점착 시트로 형성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40)에 있어서, 유기물층(24), 음극(26) 및 차광막(42)은,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복수의 열 모양의 유기물층(24) 및 음극(26)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렬되어 있고, 각 열 모양의 유기물층(24) 및 음극(26)의 위쪽에 밀봉 부재(28)를 개재하여 열 모양의 차광막(4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기물층(24), 음극(26) 및 차광막(4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통해 발광 장치(40)가 들여다보인다. 이에 따라, 발광 장치(40)를 차량의 리어 윈도우를 따라 배치한 경우에는, 운전석으로부터의 후방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40)에 있어서는, 음극(26)은, 유기물층(24)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차광막(42)은, 유기물층(24)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즉, 차광막(42)의 단부는, 유기물층(24)의 단부보다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유기물층(24)에서 발광한 광의 일부는, 기판(23)의 출사면(23a)에서 반사된다. 출사면(23a)으로의 입사각이 작은 반사광은 음극(26)에서 차광되지만, 입사각이 큰 반사광은 음극(26)에서 차광되지 않고, 열 모양의 음극(26) 사이의 영역을 통과하여, 유기 EL 패널(12)의 후방으로 샐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4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 부재(28) 상에 스트라이프 모양의 차광막(42)을 설치하고, 상기 차광막(42)을 유기물층(24)보다 넓게 형성함으로써, 출사면(23a)에서의 반사각이 큰 반사광을 차광막(42)의 광폭 부분에서 차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23)의 출사면(23a)에서의 반사광이 유기 EL 패널(12)의 후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 또는 적어도 억제할 수 있다. 발광 장치(40)를 차량의 리어 윈도우를 따라 배치한 경우에는, 자차의 발광 장치(40)가 발한 광이 운전석 방향을 향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운전자의 현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차광막(42)의 폭의 설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는, 기판(23)의 출사면(23a)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후방으로 새지 않기 때문에 최저한 필요한 차광막(42)의 폭에 대해서 고찰한다. 또한, 도 5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양극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물층(24)의 단부로부터 출사된 후, 입사각(θI)으로 기판(23)의 출사면(23a)에 입사되어 반사된 광(L4)이, 밀봉 부재(28)와 공기 간의 계면(28a)에서의 차광막(42)의 단부에서 전반사(굴절각 θR=90°)되는 조건을 고려한다. 광(L4)의 입사각(θI)보다 작은 입사각으로 출사면(23a)에 입사되는 광(L5)은, 차광막(42)으로 차광되기 때문에, 유기 EL 패널(12)의 후방으로는 새지 않는다. 한편, 광(L4)의 입사각(θI)보다 큰 입사각으로 출사면(23a)에 입사되는 광(L6)은, 밀봉 부재(28)의 계면(28a)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유기 EL 패널(12)의 후방으로는 새지 않는다.
기판(23)의 굴절률을 n1, 공기의 굴절률을 nair=1로 한다. 또한, 기판(23)의 두께를 d로 하고, 밀봉 부재(28)의 두께를 D로 하며, 차광막(42)에 있어서의 유기물층(24)으로부터 광폭 부분의 폭을 LF로 한다. 이 때, 이하의 (5) 및 (6)식이 성립된다.
LF≥2dtanθI+DtanθI (5)
n1sinθI=sinθR (6)
(5) 및 (6)식으로부터, 이하의 (7)식을 유도할 수 있다.
LF≥2dtan(arcsin(1/n1))+Dtan(arcsin(1/n1)) (7)
따라서, (7)식을 만족시키도록 차광막(42)의 광폭 부분의 폭 LF를 설정함으로써, 기판(23)의 출사면(23a)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후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기판(23)의 두께 d와 차광막(42)의 광폭 부분의 폭 LF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LF=2dtan(arcsin(1/n1))+Dtan(arcsin(1/n1))을 n1=1.5, 밀봉 부재(28)의 두께 D=0.2 ㎜로서 플롯한 것이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사광이 후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판(23)의 두께 d가 커질수록, 차광막(42)의 광폭 부분의 폭 LF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기판(23)의 두께 d가 0.05 ㎜∼1.0 ㎜인 경우, 차광막(42)의 광폭 부분의 폭 LF를 0.27 ㎜∼2.0 ㎜ 이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 7은 밀봉 부재(28)의 두께 D와 차광막(42)의 광폭 부분의 폭 LF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LF=2dtan(arcsin(1/n1))+Dtan(arcsin(1/n1))을 n1=1.5, 기판(23)의 두께 d=0.1 ㎜로서 플롯한 것이다.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사광이 후방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밀봉 부재(28)의 두께 D가 커질수록, 차광막(42)의 광폭 부분의 폭 LF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밀봉 부재(28)의 두께 D가 0.05 ㎜∼1.0 ㎜인 경우, 차광막(42)의 광폭 부분의 폭 LF를 0.22 ㎜∼1.1 ㎜ 이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80)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발광 장치(80)도, 차량의 리어 윈도우 등의 투명 부재(100)를 따라 배치되고,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 테일 램프 등의 차량용 등기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발광 장치(80)는, 유기 EL 패널(12)과, 유기 EL 패널(12)을 투명 부재(100)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로서의 투명 프레임(82)을 구비한다. 투명 프레임(82)은, 투명 수지로 형성된 바닥이 있는 직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그 바닥면(82a)에 유기 EL 패널(12)의 밀봉 부재(28)가 접착된다. 투명 프레임(82)은, 지지부(82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지지부(82b)가 투명 부재(100)의 제1 면(100a)에 부착됨으로써, 유기 EL 패널(12)이 고정된다. 투명 프레임(82)의 지지부(82b)는, 유기 EL 패널(12)의 기판(23)과 투명 부재(100)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기판(23)과 투명 부재(100) 사이에는 공기층(30)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발광 장치(10), 도 4에 도시된 발광 장치(40) 및 도 8에 도시된 발광 장치(80)에서는, 모두 유기 EL 패널(12)의 기판(23)과 투명 부재(100) 사이에 공기층(30)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EL 패널(12)의 기판(23)과 투명 부재(10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고, 예컨대 기판(23) 및 투명 부재(100)와 굴절률이 비슷한 테이프를 사이에 둔 경우, 기판(23)의 출사면(23a)이나 투명 부재(100)의 제1 면(100a)에서의 반사광은 적어지지만, 투명 부재(100)의 제2 면(100b)에서의 반사광이 스트라이프 모양의 음극(26) 사이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샐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상기 실시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에서는, 유기 EL 패널(12)의 기판(23)과 투명 부재(100) 사이에 굳이 공기층(30)을 형성하여, 투명 부재(100)의 제1 면(100a)에서의 반사광이 후방으로 새기 어렵게 하고 있다. 공기층(30)의 두께는, 50 ㎛∼10 ㎝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가 행한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50 ㎛ 이하인 경우, 후방으로 새는 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차량에 탑재하는 것을 고려하면, 공기층(30)의 두께를 지나치게 크게 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고, 1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23)의 출사면(23a)에서의 반사광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음극(26)이나 차광막(42)에 의해 차광되기 때문에, 후방으로는 새기 어렵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유기 EL 패널(12)의 기판(23)과 투명 부재(100) 사이에 공기층(30)을 형성하였지만, 공기층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23)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의 층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9의 (a) 및 (b)는 발광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의 (a)는 도 1에서 설명한 발광 장치(10)를 나타낸다. 도 9의 (b)는 변형예에 따른 발광 장치(90)를 나타낸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발광 장치(10)는, 기판(23) 상에, 양극(21), 유기물층(24), 음극(26)의 순으로 적층된 적층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적층 구조의 경우, 유기물층(24)에서 발광한 광의 휘도 분포는 램버시안 분포가 된다.
한편, 도 9의 (b)에 도시된 발광 장치(9)는, 기판(23) 상에 하프 미러(92), 양극(21), 유기물층(24), 음극(26)의 순으로 적층된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갖춘다. 이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는, 유기물층(24)으로부터 발하는 광을 다중 반사시킴으로써 특정 파장의 광을 증강 선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의 경우, 정면 방향이 높고, 정면 이외의 방향이 낮은 휘도 분포가 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발광 장치(10)에 있어서, 정면 이외의 방향을 향하는 광 중 기판(23)의 출사면(23a)으로의 입사각이 작은 광은, 출사면(23a)에서 반사 후에 음극(26)의 광폭 부분에서 차광되지만,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충분한 음극(26)의 폭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입사각이 큰 광은 출사면(23a)에서 반사 후에 음극(26)의 광폭 부분에서 차광되지 않고, 후방으로 샐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9의 (b)에 도시된 발광 장치(90)에서는,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채용하고 있음으로써, 출사면(23a)으로의 입사각이 큰 광의 휘도는 작아진다. 따라서, 출사면(23a)에서 반사 후에 후방으로 새는 광을 저감할 수 있다. 반대로 말하면, 본 변형예에 따른 발광 장치(90)에 의하면, 음극(26)의 폭을 도 9의 (a)에 도시된 발광 장치(10)만큼 크게 하지 않더라도, 후방으로 새는 광이 저감되게 된다. 즉, 본 변형예에 따른 발광 장치(90)에 의하면, 음극(26)의 폭을 작게 하여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투과성이 높은 발광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실시형태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로서, 각 구성 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한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이다.
10, 40, 80, 90 : 발광 장치 11 : 양면테이프
12 : 유기 EL 패널 21 : 양극
23 : 기판 24 : 유기물층
25 : 절연층 26 : 음극
28 : 밀봉 부재 30 : 공기층
42 : 차광막 82 : 투명 프레임
100 : 투명 부재

Claims (6)

  1. 투명 부재를 따라 배치되는 발광 장치로서,
    상기 투명 부재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투광성의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의 양극과, 상기 양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물층과, 상기 유기물층 상에 배치되는 비투광성의 음극을 갖는 유기 EL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 및 상기 음극은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음극은 상기 유기물층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2. 투명 부재를 따라 배치되는 발광 장치로서,
    상기 투명 부재와 대향하여 배치되는 투광성의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투광성의 양극과, 상기 양극 상에 배치되는 유기물층과, 상기 유기물층 상에 배치되는 비투광성의 음극과, 상기 유기물층 및 상기 음극을 덮는 밀봉 부재와, 상기 밀봉 부재 상에 형성되는 차광막을 갖는 유기 EL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 상기 음극 및 상기 차광막은 스트라이프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차광막은 상기 유기물층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상기 기판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의 층이 형성되도록, 상기 유기 EL 패널을 상기 투명 부재에 부착하는 부착 구조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패널은, 기판 상에 하프 미러, 양극, 유기물층, 음극의 순으로 적층된 마이크로 캐비티 구조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굴절률을 n1, 상기 기판의 두께를 d로 했을 때에,
    상기 음극에 있어서의 상기 유기물층보다 광폭 부분의 폭 LN이 이하의 식,
    LN≥2dtan(arcsin(1/n1))
    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굴절률을 n1, 상기 기판의 두께를 d, 상기 밀봉 부재의 두께를 D로 했을 때에,
    상기 차광막에 있어서의 상기 유기물층보다 광폭 부분의 폭 LF가 이하의 식,
    LF≥2dtan(arcsin(1/n1))+Dtan(arcsin(1/n1))
    으로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장치.
KR1020170078035A 2016-06-27 2017-06-20 발광 장치 KR201800014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6898A JP6758949B2 (ja) 2016-06-27 2016-06-27 発光装置
JPJP-P-2016-126898 2016-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464A true KR20180001464A (ko) 2018-01-04

Family

ID=6067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035A KR20180001464A (ko) 2016-06-27 2017-06-20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18591B2 (ko)
JP (1) JP6758949B2 (ko)
KR (1) KR20180001464A (ko)
CN (1) CN1075462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9771A1 (ja) * 2016-03-04 2017-09-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発光システム
US11335890B2 (en) 2016-12-19 2022-05-17 Pioneer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 and light-emitting system
WO2019225334A1 (ja) 2018-05-24 2019-11-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7174902B2 (ja) * 2018-08-10 2022-11-1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720A (ja) * 1998-01-14 1999-07-27 Harness Syst Tech Res Ltd 表示装置
JP2010176927A (ja) * 2009-01-27 2010-08-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有機el発光装置
JP2014232766A (ja) * 2013-05-28 2014-12-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15195173A (ja) * 2014-03-24 2015-11-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標識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5563B2 (ja) * 2002-02-27 2009-12-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el素子と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表示装置
KR100519024B1 (ko) * 2003-07-31 2005-10-05 경 태 김 광변색 화합물을 이용한 자동차용 눈부심 방지 거울
CN100470855C (zh) * 2004-01-07 2009-03-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Led照明光源
EP1797606A1 (en) * 2004-09-27 2007-06-20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Illumination system
JP2007035536A (ja) * 2005-07-29 2007-02-08 Rohm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KR101448004B1 (ko) 2008-04-22 2014-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649225B1 (ko) 2009-03-24 2016-08-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5672695B2 (ja) * 2009-12-18 2015-02-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5805181B2 (ja) * 2011-04-20 2015-11-04 株式会社Jole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JP2014154566A (ja) * 2013-02-04 2014-08-25 Toshiba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US20150091076A1 (en) * 2013-10-02 2015-04-02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Isolation formation first process simplification
WO2017149733A1 (ja) * 2016-03-03 2017-09-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720A (ja) * 1998-01-14 1999-07-27 Harness Syst Tech Res Ltd 表示装置
JP2010176927A (ja) * 2009-01-27 2010-08-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有機el発光装置
JP2014232766A (ja) * 2013-05-28 2014-12-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発光装置
JP2015195173A (ja) * 2014-03-24 2015-11-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標識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46240A (zh) 2018-01-05
US10418591B2 (en) 2019-09-17
US20170373278A1 (en) 2017-12-28
CN107546240B (zh) 2020-07-10
JP2018006382A (ja) 2018-01-11
JP6758949B2 (ja)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1464A (ko) 발광 장치
KR10254605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EP1662301A1 (en) Lighting device and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he lighting device
US11215335B2 (en) Light source unit of vehicle lighting system and vehicle lighting system
KR101783780B1 (ko) 광학 접착 필름 및 이를 갖는 평판 표시 장치
KR102062754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0156337B2 (en) Light device, especially a signal lamp, for motor vehicles
JP2005142002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6079978A (ja) 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6352736B2 (ja) サイドマーカーランプ
JP5459728B2 (ja) 液晶表示装置
JP5846345B1 (ja) 面状発光ユニット
KR101056438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및 광학 필터
WO2015079912A1 (ja) 面状発光ユニット
KR20150102249A (ko) 투명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3574314B (zh) 车辆用灯具
JP7052537B2 (ja) 表示装置
JP6684276B2 (ja) 有機elパネル
JP2015011882A (ja) Oledパネル及び照明器具
JP6167883B2 (ja) 面発光ユニット
US11959613B2 (en) Light source unit of vehicle lighting system and vehicle lighting system
JP2017091868A (ja) 面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照明装置
JP6947514B2 (ja) 発光システム
JP2014229547A (ja) 発光装置
JP6167884B2 (ja) 面発光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