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1510A -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광학 배리어 필름 및 색 변환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광학 배리어 필름 및 색 변환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1510A
KR20170131510A KR1020177029973A KR20177029973A KR20170131510A KR 20170131510 A KR20170131510 A KR 20170131510A KR 1020177029973 A KR1020177029973 A KR 1020177029973A KR 20177029973 A KR20177029973 A KR 20177029973A KR 20170131510 A KR20170131510 A KR 20170131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tical
layer
isocyanate
ma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키 하라다
겐지 무네우치
하야토 이다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 matt or rough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12Combinations of only three kinds of elements
    • F21V13/14Combinations of only three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filters or photoluminescent elements,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6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having an anti-static effect, e.g. electrically conducting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필름 기재와, 당해 필름 기재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매트층을 구비하고, 매트층이 (A) 폴리올 수지,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C)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Description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광학 배리어 필름 및 색 변환 필름
본 발명은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광학 배리어 필름 및 색 변환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정 디스플레이의 색 재현 영역 향상 및 소비 전력 저하 등을 위해서, 컬러 필터의 명도 및 콘트라스트비의 향상,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백라이트의 사용이 시도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백색광의 발생 방법에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3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백색광을 합성하는 방법과, 청색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청색의 광을, 색 변환 재료에 통과함으로써, 백색광으로 변환하는 방법이 있다.
청색의 광을 백색광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GaN계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을 사용한 경우, 상기 색 변환 재료로서 YAG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그러나, YAG 형광체를 사용하여 변환된 백색광은, 폭넓은 발광 스펙트럼을 갖고, 액정 컬러 필터와의 매칭이 나쁘기 때문에, 색 재현 영역이 좁고, 소비 전력도 적지 않다.
이들의 형광체에 대하여, 최근 들어, 상기 색 변환 재료로서 코어·쉘 발광 나노 결정을 사용함으로써, 색 재현 영역의 향상과 소비 전력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코어·쉘 발광 나노 결정은, 바인더 수지와 혼합되어, 혼합물을 투명 기재 상에 도포함으로써, 색 변환 필름으로서 백라이트 유닛에 내장할 수 있다.
그러나, 코어·쉘 발광 나노 결정을 포함하는 색 변환 재료는, 공기 및 수분에 의해 산화적 손상을 받고, 그 결과 광 변환 성능이 열화된다.
그로 인해, 코어·쉘 발광 나노 결정을 사용한 색 변환 필름에는, 공기 및 수분으로부터 코어·쉘 발광 나노 결정을 보호하기 위한 배리어층이 필요해진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에 있어서, 이러한 색변환 필름은 도광판과 프리즘 시트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백라이트 유닛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진애 등의 이물이 각 부재 사이에 존재하면, 흠집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진애 등의 이물의 부착에 수반하는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재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부재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투명한 기재층의 표면에 광학층을 적층한 광학 시트에 있어서, 광학층을 구성하는 중합체 조성물 중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4). 또한, 광 확산 시트의 표면 및/또는 이면에, 대전 방지제의 도포 시공에 의한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084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49657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제2010-52811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98707호 공보 일본 특허 제4227436호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중합체 조성물 중에 대전 방지제를 함유시킨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면,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 대전 방지층 표면에 대전 방지제가 과잉으로 블리드 아웃해버려, 외관 불량 또는 다른 부재로의 대전 방지제 전사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중합체 조성물 중의 대전 방지제의 양을 저감시키면,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과잉 블리드 아웃은 해소되는 경향이 있지만,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광학 필름 표면에 다른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것은, 필름 제조 공정을 증가시키게 되고, 비용 상승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를 얻음과 함께,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대전 방지제의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이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광학 배리어 필름 및 색 변환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름 기재와, 당해 필름 기재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매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매트층이 (A) 폴리올 수지,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C)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광학 필름은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갖는 것이고,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대전 방지제가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임으로써, 필름 기재와 매트층의 밀착성 및 내광성을 균형있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이 (D) 미립자를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가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트층의 표면 저항률이 1.0×1013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광학 필름과, 상기 필름 기재의 상기 매트층과 반대측에 배치된 증착막층을 구비하고, 상기 증착막층이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광학 배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산화규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색 변환층과, 당해 색 변환층의 양면 상에 형성된 한 쌍의 광학 배리어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배리어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이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광학 배리어 필름인, 색 변환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폴리올 수지,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C)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하는 공정과, 도포 후의 상기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상기 필름 기재 상에 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를 얻음과 함께,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대전 방지제가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이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광학 배리어 필름 및 색 변환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배리어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배리어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배리어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색 변환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색 변환 필름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동등의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광학 필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광학 필름(10)은 필름 기재(1)와, 당해 필름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매트층(2)을 구비한다. 매트층(2)은 표면에 요철을 갖고,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산란할 수 있다.
또한, 매트층(2)은 (A) 폴리올 수지,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C)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이하, 간단히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매트층을 형성함으로써, 매트층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성분은 수산기를 갖기 때문에, (A) 성분 및 (B) 성분의 반응에 있어서 남은 이소시아네이트기와 (C) 성분이 갖는 수산기가 결합하고, (C) 성분을 (A) 성분과 (B) 성분의 반응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광학 필름이 고온 고습 환경 하에 장시간 폭로되었다고 해도, 대전 방지제가 매트층(2)(광학 필름(10)) 표면에 과잉으로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필름 기재(1) 상에 상기 매트층(2)을 형성함으로써,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고온 고습 환경 하에서의 대전 방지제가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10)을 백라이트 유닛의 부재로서 사용했을 때에 매트층(2)과 대향하는 부재와의 블로킹을 방지할 수 있다.
(A) 폴리올 수지
폴리올 수지는 복수의 수산기를 갖는 수지이다. 상기 폴리올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카프로락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탈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페놀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아크릴계 폴리올 수지는,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를 적어도 1종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의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 단량체로서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 성분은, 추가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 단량체,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폴리올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 내지 5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임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C) 성분이 (A) 성분과 (B) 성분의 반응물에 반응한 경우에 블리드 아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폴리올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 이하임으로써, 수지 조성물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는 5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가 5 이상임으로써, (B) 성분과의 반응이 진행되기 쉬워지고, 필름 기재(1)와 매트층(2) 사이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가가 1000 이하임으로써, 매트층(2)의 균열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폴리올 수지가 갖는 수산기와 반응하는 것이 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고, 상기 폴리올 수지를 경화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그의 유도체, 및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그의 유도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인 경우, 필름 기재(1)와 매트층(2) 사이에 한층 높은 밀착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의 유도체인 경우, 매트층(2)의 내광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환과 당해 방향환에 직접 결합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탄화수소 화합물이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그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는 지방족 탄화수소기와 당해 지방족 탄화수소기에 직접 결합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탄화수소 화합물이며, 상기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와는 다른 화합물이다.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결합하고 있지 않은 방향환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이고,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가 방향환을 갖는 경우, 밀착성의 효과와 내광성 향상의 효과를 균형있게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방향환을 갖지 않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그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방향환을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그의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2개 이상 갖고 있음으로써, 폴리올 수지와 대전 방지제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개재하여 결합하여, 대전 방지제의 블리드 아웃을 더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이상의 관점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에 있어서의 각 유도체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이 부가된 부가체여도 되고, 이소시아누레이트체여도 된다. 트리메틸올프로판이 부가된 부가체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수산기와의 반응 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고, 필름 기재(1)와 매트층(2)의 밀착성이 한층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분자량은 100 내지 2000이어도 되고, 300 내지 1000이어도 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분자량이 상기 범위에 있음으로써, (A) 성분 및 (C) 성분의 수산기와의 반응이 양호하게 진행되기 쉬워져, 대전 방지 효과를 얻음과 함께,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C)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
(C) 성분으로서의 대전 방지제는 수산기를 갖고, 당해 수산기는 상기 폴리올 수지의 수산기와 반응하지 않고 남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다.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어 4급 암모늄염, 고분자-금속염 복합물 및 도전성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 성분으로서의 대전 방지제의 수산기 당량(1당량의 수산기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제의 질량(g))은 100 내지 1000g/eq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내지 900g/eq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내지 800g/eq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산기 당량이 100g/eq 이상임으로써, (A) 성분, (B) 성분 및 용매와 (C) 성분과의 상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수산기 당량이 1000g/eq 이하임으로써, 반응성이 향상되고,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C) 성분으로서의 대전 방지제의 분자량은, 200 내지 2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내지 1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200 이상임으로써,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분자량이 20000 이하임으로써,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C) 성분으로서의 대전 방지제는, 수산기를 1 내지 100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50 갖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분자 중의 수산기의 수가 1 이상임으로써, 대전 방지제의 수산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분자 중의 수산기의 수가 100 이하임으로써, (A) 성분, (B) 성분 및 용매와의 상용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는, 양호한 대전 방지성을 얻는 관점에서,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4급 암모늄염은 4급 암모늄 양이온(R4-aR'aN+)과 1개 또는 복수의 음이온(X-)을 포함하고, 매트층(2)에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때, X-로서는, 예를 들어 Cl-, Br-, I-, F-, HSO4 -, SO4 2-, NO3 -, PO4 3-, HPO4 2-, H2PO4 -, SO3 - 및 OH- 등을 들 수 있다. 4급 암모늄 양이온 중의 R 및 R'은 각각 치환기를 나타낸다. R은,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20 정도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은 고분자 화합물기이고, 상기 고분자 화합물기는 수산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 화합물기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알킬렌계 고분자 화합물기, 폴리에테르계 고분자 화합물기 및 알킬계 고분자 화합물기 등을 들 수 있다. a는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또한, 4급 암모늄염은, 4급 암모늄염을 관능기로서 분자 내에 포함하는 아크릴계 재료로서 적합하게 제공된다. 상기 아크릴계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다가 알코올의 수산기 일부를 (메트)아크릴산에 의해 에스테르화하여 얻어지는 화합물, 다가 알코올 및 (메트)아크릴산으로부터 얻어지는 히드록시에스테르와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 합성되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C) 성분으로서의 대전 방지제는, 양호한 투명성을 얻거나, 또는 대전 방지 효과의 온도 의존성을 경감하는 관점에서는, 금속염-고분자 복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염-고분자 복합물은 금속염과 고분자 화합물과의 복합물이다. 금속염으로서는, Li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및 Mg염 등의 제2족 원소염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폴리알킬렌옥시드 및 폴리알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수산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제가 수산기를 가짐으로써,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결합하고, 대전 방지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밖에,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의 구조는, 대전 방지 효과 및 블리드 아웃 억제의 관점에서, 수산기 당량 등의 특징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D) 미립자
매트층(2)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D)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립자는 무기 미립자 또는 유기 미립자일 수 있다. 무기 미립자로서는 실리카, 클레이, 탈크, 탄산칼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규산알루미늄, 산화티타늄, 합성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및 스멕타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미립자로서는 스티렌 수지, 우레탄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실리콘 수지 및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구상 입자를 얻기 쉽고, 매트층(2)의 표면 요철 형상을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유기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는 1종만 사용해도 되고, 복수종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0.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매트층(2)의 표면에, 광의 산란에 충분하고, 또한, 다른 부재를 상처 입히지 않도록 제어된 요철을 부여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매트층(2)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A) 내지 (D) 성분 이외에, 용매, 레벨링제 및 활제 등의 첨가제, (A) 성분과는 다른 수지 등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B) 성분을 1 내지 3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2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 성분을 1질량부 이상 함유함으로써, (A) 성분과 반응하지 않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남고, (C) 성분으로서의 대전 방지제의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또한, (B) 성분을 30질량부 이하 함유함으로써, 이소시아네이트기에 의한 (C) 성분의 과잉한 포착을 억제하고, (C) 성분을 매트층(2)의 표면에 적절하게 편재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양호한 대전 방지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C) 성분을 1 내지 5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4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 성분을 1질량부 이상 함유함으로써, 충분한 대전 방지성이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C) 성분을 50질량부 이하 함유함으로써,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이 (D) 성분을 함유하는 경우,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2 내지 20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50질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D) 성분을 2질량부 이상 함유함으로써, 매트층(2)의 표면에 요철을 얻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D) 성분을 200질량부 이하 함유함으로써, 매트층(2)과 접하는 다른 부재에 상처를 입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상기 매트층(2)의 표면 저항률은 1.0×1013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1012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1012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표면 저항률이 1.0×1013Ω/□ 이하인 경우,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매트층(2)의 볼록부를 제외한 두께는 0.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매트층(2)의 두께가 0.1㎛ 이상임으로써, 균일한 막이 얻어지기 쉽고, 광학적 기능이 충분히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매트층(2)의 두께가 20㎛ 이하임으로써, 미립자를 사용한 경우의 매트층(2)의 표면에 미립자가 노출하고, 요철 부여 효과가 얻어지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필름 기재(1)로서는, 여러 가지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 기재(1)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등의 광학 부재에 통상 사용되는 투명 필름 기재여도 되고, 투명성 및 굴절률 등의 광학 특성, 나아가 내충격성,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의 제물성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유기 고분자를 포함하는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유기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셀룰로오스계, 폴리아미드계, 아크릴계 및 기타의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셀로판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6-나일론 및 6,6-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계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기타의 고분자 화합물로서는,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필름 기재(1)의 두께는 5 내지 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기재의 두께가 5㎛ 이상임으로써, 필름 기재(1)의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백라이트 조립 공정에서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필름 기재(1)의 두께가 300㎛ 이하임으로써, 롤 투 롤로 도포한 경우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이어서,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필름 기재(1) 상에 도포하는 공정과, 도포 후의 상기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필름 기재(1) 상에 매트층(2)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도포 공정에서는, 상기 수지 조성물(매트층 조성물)이 필름 기재(1) 상에 도포되어, 도막이 형성된다. 매트층 조성물을 필름 기재(1)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그라비아 코터,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터, 나이프 코터, 바 코터, 와이어 바 코터, 다이 코터 및 딥 코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매트층 조성물을 필름 기재(1) 상에 도포한 후, 도막을 건조함으로써, 도막 중의 용매가 제거된다. 이때 건조 수단으로서는 가열, 송풍 및 열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막을 건조 후, 건조한 도막을, 추가로 가열함으로써, 필름 기재(1) 상에 매트층(2)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배리어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광학 배리어 필름(20)은 필름 기재(1)와, 당해 필름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매트층(2)과, 상기 필름 기재(1)의 다른 쪽 면 상에 형성된 증착막층(3)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증착막층(3)은 필름 기재(1)의 다른 쪽 면 상에 증착에 의해 형성된다. 증착막층(3)은 금속 산화물을 함유한다. 상기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구리, 은, 이트륨, 탄탈륨, 규소 및 마그네슘 등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은, 저렴하여 배리어 성능이 우수한 점에서, 산화규소(SiOx, x는 1.0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x가 1.0 이상이면 양호한 배리어성이 얻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 증착막층(3)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내지 500nm이다. 증착막층(3)은 필름 기재(1)의 매트층(2)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필름 기재(1)의 면 상에 직접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필름 기재(1)의, 증착막층(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 상에 매트층(2)을 상술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광학 배리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광학 배리어 필름(20)의 제조 방법은, 필름 기재(1)의 제1면 상에 증착막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필름 기재(1)의 제2면 상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과, 도포 후의 상기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필름 기재(1)의 제2면 상에 매트층(2)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배리어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 광학 배리어 필름(20)은 필름 기재(1')와, 상기 필름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증착막층(3)과, 상기 증착막층(3) 상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4)을 개재하여 부착된 필름 기재(1)와, 당해 필름 기재(1) 상에 형성된 매트층(2)을 구비한다. 도 3에 있어서, 필름 기재(1')와 당해 필름 기재(1') 상에 형성된 증착막층(3)을 맞춰서 배리어 필름 기재(6)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3에 있어서, 필름 기재(1')는 매트층(2)이 형성되지 않는 점에서 필름 기재(1)와 상이하지만, 필름 기재(1')에는 필름 기재(1)와 동종의 재료가 선택되고,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배리어 필름(20)을 제조할 때에는, 먼저, 배리어 필름 기재(6)의 증착막층(3)측의 면 상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또한, 도포면 상에 다른 필름 기재(1)가 접합되어, 필요에 따라 에이징함으로써, 도포층이 점착층 또는 접착층(4)이 된다. 점착층 또는 접착층(4)의 두께는 1㎛ 이상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서는, 고분자 필름용의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서 일반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 또는 접착제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고무계, 페놀계 및 우레탄계 등의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매트층(2)의 형성 방법은 상기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광학 배리어 필름(20)의 제조 방법은, 배리어 필름 기재(6)의, 증착막층(3)측의 면 상에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도포 후의 상기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배리어 필름 기재(6) 상에 필름 기재(1)를 접합해서 에이징하는 공정과, 필름 기재(1)의 배리어 필름 기재(6)와 반대측의 면 상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과, 도포 후의 상기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필름 기재(1)의 배리어 필름 기재(6)와 반대측의 면 상에 매트층(2)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광학 배리어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광학 배리어 필름(20)은 필름 기재(1')와, 당해 필름 기재(1')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증착막층(3)과, 상기 필름 기재(1')의 다른 쪽 면 상에 점착층 또는 접착층(4)을 개재하여 부착된 필름 기재(1)와, 당해 필름 기재(1) 상에 형성된 매트층(2)을 구비한다. 도 4에 있어서, 필름 기재(1')와 당해 필름 기재(1') 상에 형성된 증착막층(3)을 아울러서 배리어 필름 기재(6)라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름 기재(1) 및 필름 기재(1')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매트층(2)의 형성 방법, 증착막층(3)의 형성 방법 및 필름 기재(1)를 배리어 필름 기재(6)에 부착하는 방법은 상기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광학 배리어 필름(20)의 제조 방법은, 배리어 필름 기재(6)의, 증착막층(3)과 반대측의 면 상에 상기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도포 후의 상기 점착제 또는 접착제를 개재하여 배리어 필름 기재(6) 상에 필름 기재(1)를 접합해서 에이징하는 공정과, 필름 기재(1)의 배리어 필름 기재(6)와 반대측의 면 상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공정과, 도포 후의 상기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필름 기재(1)의 배리어 필름 기재(6)과 반대측의 면 상에 매트층(2)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색변환 필름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색변환 필름(30)은 색 변환층(5)과, 당해 색 변환층(5)의 양면 상에 형성된 한 쌍의 광학 배리어 필름(20)을 구비한다. 도 5에서는, 양쪽의 광학 배리어 필름에 상기 광학 배리어 필름(20)을 사용하고 있지만, 한쪽에만 상기 광학 배리어 필름(20)을 사용해도 된다.
색변환층(5)은 수지 및 형광체를 포함한다. 색변환층(5)의 두께는 몇십 내지 몇백 ㎛이다. 상기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광경화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형광체로서는, 특히 발광 효율적인 코어·쉘형 양자 도트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코어·쉘형 양자 도트는, 발광부로서의 반도체 결정 코어가 보호막으로서의 쉘에 의해 피복된 것이다. 예를 들어, 코어에는 셀렌화카드뮴(CdSe), 쉘에는 황화아연(ZnS)이 사용 가능하다.
수지에 형광체를 분산하여 제조한 형광체 분산액을 한쪽의 광학 배리어 필름(20)의 매트층(2)과 반대측의 면 상에 도포한 후, 도포면에 다른 쪽의 광학 배리어 필름(20)을 접합하여, 도포층을 경화함으로써 색 변환층(5)이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색 변환 필름(30)은 청색 LED(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한 백라이트 유닛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색 변환 필름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40)은 광원(42)과, 도광판(46)과, 도광판(46) 상에 배치된 색 변환 필름(30)을 구비한다. 색 변환 필름(30)은 요철면(즉, 매트층(2)의 요철면)이 도광판(46)과 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40)은 색 변환 필름(30)의 요철 면 상에 도광판(46) 및 반사판(44)이 이 순으로 배치되고, 광원(42)은 도광판(46)의 측방(도광판(46)의 면 방향)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40)에서는, 색 변환 필름(30)의 요철면으로의 대전 방지제의 과잉한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외관 불량 또는 다른 부재로의 대전 방지제의 전사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장기에 걸쳐 충분한 대전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광판(46) 및 반사판(44)은 광원(42)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고, 유도하는 것이고, 공지된 재료가 사용된다. 도광판(46)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시클로올레핀 필름 등이 사용된다. 광원(42)에는, 예를 들어 청색 발광 다이오드 소자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이 발광 다이오드 소자는, 자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또한 저파장의 발광 다이오드여도 된다. 광원(42)으로부터 조사된 광은, 도광판(46)(D1 방향)에 입사한 후, 반사 및 굴절 등을 수반하여 색 변환층(5)(D2 방향)에 입사한다. 색 변환층(5)을 통과한 광은, 색 변환층(5)을 통과하기 전의 광에 색 변환층(5)에서 발생한 황색 광이 혼합됨으로써, 백색광이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학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이하에 나타내는 재료를 혼합하고, 매트층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투명 필름 기재(두께: 25㎛,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품명: 데이진 테트론 필름 HPE, 데이진 듀퐁 필름사제) 상에 와이어 바 코터에 의해 상기 매트층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막을 80℃ 30초간 건조하고, 50℃ 72시간 에이징함으로써, 투명 필름 기재 상에 두께 3㎛의 매트층을 형성하고,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아크릴계 폴리올 수지(DIC사제, 상품명: 아크리딕 A-814) 100질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DIC사제, 상품명: 버녹 DN-980,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8.5질량부
·대전 방지제(4급 암모늄염,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제, 상품명: 레지스타트 PU-101, 수산기 당량: 316.1g/eq) 10질량부
·미립자(폴리우레탄, 평균 입경 2㎛) 10질량부
·용제(아세트산에틸) 70질량부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대전 방지제로서, 레지스타트 PU-101 10질량부 대신에,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대전 방지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매트층 조성물을 제조하고,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내지 5)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버녹 DN-980 대신에,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매트층 조성물을 제조하고,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버녹 DN-980 대신에,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4와 동일하게 하여 매트층 조성물을 제조하고,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 방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광학 필름을, 하기의 방법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표면 저항률)
JIS-K6911에 준거하여 고저항 저항률계(다이아 인스트루먼츠사제, 하이레스타 MCP-HT260)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광학 필름의 매트층의 표면 저항률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1 또는 2에 나타내었다.
(매트층 표면으로의 블리드 아웃)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광학 필름을 온도 65℃ 상대 습도 95%의 환경 하에서 1000시간 유지하고, 상온 환경에 취출하였다. 취출한 각 광학 필름의 매트층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또는 2에 나타내었다.
A: 블리드 아웃에 기인하는 외관 불균일이 보이지 않는다.
B: 블리드 아웃에 기인하는 외관 불균일이 보인다.
C: 블리드 아웃에 기인하는 외관 불균일이 현저하게 보인다.
(블리드 아웃 물질의 전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광학 필름을 온도 65℃ 상대 습도 95%의 환경 하에서 1000시간 유지하고, 상온 환경에 취출하였다.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을 모방한 두께 188㎛의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과 취출한 각 광학 필름을, 매트층과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이 접하도록 겹치고, 이들에 25kgf/㎠의 하중을 가하여, 30초 방치하였다. 그 후, 각 광학 필름으로부터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박리한 후의 폴리카르보네이트 필름 표면(박리면)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표면의 관찰 결과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또는 2에 나타내었다.
A: 블리드 아웃 물질의 전사가 보이지 않는다.
B: 블리드 아웃 물질의 전사가 보인다.
C: 블리드 아웃 물질의 전사가 현저하게 보인다.
(밀착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광학 필름을 온도 65℃ 상대 습도 95%의 환경 하에서 1000시간 유지하고, 상온 환경에 취출하였다. 취출한 각 광학 필름의 매트층측의 표면에 대하여 JIS K 5400에 따라, 100매스의 바둑판 눈 시험을 행하여, 필름 기재 상에 빠지지 않고 남아있는 바둑판 눈 형상의 매트층의 매스의 수를 셌다. 각 광학 필름의 매트층과 필름 기재의 밀착성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남아있는 매스의 수와 밀착성의 평가 결과를 표 1 또는 2에 나타내었다.
A: 필름 기재 상에 빠지지 않고 남아있는 바둑판 눈 형상의 매트층의 비율이 10할이다.
B: 필름 기재 상에 빠지지 않고 남아있는 바둑판 눈 형상의 매트층의 비율이 5할 이상 10할 미만이다.
C: 필름 기재 상에 빠지지 않고 남아있는 바둑판 눈 형상의 매트층의 비율이 5할 미만이다.
(내광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각 광학 필름에, 자외선 카본 아크를 광원으로 한 자외선 오토 페이드 미터(스가 시껭끼 가부시끼가이샤제, U48AU)를 사용하여, 매트층측에서 자외선을 100시간 조사하였다. 자동 분광 광도계(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제, U-4100)를 사용하여, 자외선 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각 광학 필름의 투과 분광 스펙트럼을 제조하고, 파장 450nm의 자외선의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자외선 조사 전후에서의 황변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고, 황변의 평가 결과를 내광성의 평가 결과로 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또는 2에 나타내었다.
A: 자외선 조사 전후에서의 투과율의 저감이 1% 미만이다.
B: 자외선 조사 전후에서의 투과율의 저감이 1% 이상 3% 미만이다.
C: 자외선 조사 전후에서의 투과율의 저감이 3% 이상이다.
Figure pct00001
표 1 중의 대전 방지제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에소타드 C/25: 라이온·스페셜티·케미컬즈사제, 4급 암모늄염(수산기 당량: 334.5g/eq)
·PEL-25: 닛본 칼리트사제, 고분자-Li염 복합물(수산기 당량: 758.1g/eq)
·라이트에스테르 DQ100: 교에샤 가가꾸사제, 4급 암모늄염(수산기 없음)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도꾜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제(수산기 없음)
Figure pct00002
표 2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상세는 이하와 같다.
·타케네이트 D-110N: 미쯔이 가가꾸사제,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트리메틸올프로판 부가체).
·타케네이트 D-101A: 미쯔이 가가꾸사제,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실시예 1 내지 5와 같이,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를 사용함으로써 대전 방지성(낮은 표면 저항률)과 블리드 아웃 억제를 양립한 광학 필름이 얻어졌다. 이들과 같이, 대전 방지성과 블리드 아웃 억제가 양립된 광학 필름은, 광학 배리어 필름 및 색 변환 필름의 재료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내광성이 약간 떨어지지만, 밀착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4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서 방향환을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내광성과 밀착성을 균형있게 구비하는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 광학 배리어 필름 및 색 변환 필름은 청색 LED를 포함하는 광원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필름 기재
2: 매트층
3: 증착막층
4: 점착층 또는 접착층
5: 색 변환층
10: 광학 필름
20: 광학 배리어 필름
30: 색 변환 필름.

Claims (9)

  1. 필름 기재와, 당해 필름 기재의 한쪽 면 상에 형성된 매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매트층이 (A) 폴리올 수지,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C)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광학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이 (D) 미립자를 더 함유하는, 광학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가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층의 표면 저항률이 1.0×1013Ω/□ 이하인, 광학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과,
    상기 필름 기재의 상기 매트층과 반대측에 배치된 증착막층
    을 구비하고, 상기 증착막층이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광학 배리어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이 산화규소를 포함하는, 광학 배리어 필름.
  8. 색 변환층과, 당해 색 변환층의 양면 상에 형성된 한 쌍의 광학 배리어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광학 배리어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이 제6항 또는 제7항에 기재된 광학 배리어 필름인, 색 변환 필름.
  9. (A) 폴리올 수지, (B)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및 (C) 수산기를 갖는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필름 기재 상에 도포하는 공정과,
    도포 후의 상기 수지 조성물을 가열하여, 상기 필름 기재 상에 매트층을 형성하는 공정
    을 구비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77029973A 2015-03-30 2016-03-03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광학 배리어 필름 및 색 변환 필름 KR201701315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9275 2015-03-30
JP2015069275 2015-03-30
JPJP-P-2015-205590 2015-10-19
JP2015205590 2015-10-19
PCT/JP2016/056648 WO2016158192A1 (ja) 2015-03-30 2016-03-03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バリアフィルム及び色変換フィル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510A true KR20170131510A (ko) 2017-11-29

Family

ID=5700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973A KR20170131510A (ko) 2015-03-30 2016-03-03 광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광학 배리어 필름 및 색 변환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82065B2 (ko)
EP (1) EP3279708A4 (ko)
JP (1) JP6717295B2 (ko)
KR (1) KR20170131510A (ko)
CN (1) CN107430223B (ko)
TW (1) TWI707929B (ko)
WO (1) WO20161581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1619B2 (en) * 2014-10-16 2020-02-25 Toppan Printing Co., Ltd. Quantum dot protective film, quantum dot film using same, and backlight unit
KR20190090833A (ko) * 2016-12-06 2019-08-02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광학 배리어 필름, 색 변환 필름 및 백라이트 유닛
CN107163275A (zh) * 2017-07-11 2017-09-15 苏州城邦达力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磁屏蔽膜的哑光性油墨膜及其制备方法
JP7330738B2 (ja) * 2019-04-16 2023-08-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低光沢な外観を呈する積層体及び表面コーティング剤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0547A (ja) 1974-11-25 1976-05-26 Mitsui Shipbuilding Eng Kaichukozobutsuyojitsukensuiso
US4623589A (en) * 1985-02-13 1986-11-18 Usm Corporation Particulate polymeric materials and methods for using particulate polymeric materials
US5312671A (en) 1991-05-21 1994-05-17 Arkwright Incorporated Antistatic drafting films
JP3790571B2 (ja) 1995-11-06 2006-06-28 株式会社きもと 光拡散性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用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3270410A (ja) 2002-03-15 2003-09-25 Kimoto & Co Ltd 光拡散性シート
JP2004198707A (ja) 2002-12-18 2004-07-15 Keiwa Inc 光学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4227436B2 (ja) 2003-02-21 2009-02-18 恵和株式会社 光拡散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6049657A (ja) 2004-08-06 2006-02-16 Citizen Electronics Co Ltd Ledランプ
JP2007011317A (ja) * 2005-05-31 2007-01-18 Dainippon Ink & Chem Inc 光拡散フィルム
JP2007256802A (ja) 2006-03-24 2007-10-04 Fujifilm Corp 光学シート、並びに光源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8255340A (ja) * 2007-03-14 2008-10-23 Fujifilm Corp セルロースアシレートフィルム、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2010528118A (ja) 2007-03-19 2010-08-19 ナノ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ナノ結晶を被包するための方法
JP2009058859A (ja) * 2007-09-03 2009-03-19 Sumitomo Chemical Co Ltd 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積層体
US20100247866A1 (en) 2007-09-27 2010-09-30 Koji Nakahata Uneven surface film and light diffusive sheet
JP2009173722A (ja) * 2008-01-23 2009-08-06 Toyo Ink Mfg Co Ltd 帯電防止性アクリル系感圧式接着剤および該感圧式接着剤を用いた帯電防止性感圧式接着フィルム
JP2009231273A (ja) 2008-02-27 2009-10-08 Seiko Instruments Inc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JP2010164690A (ja) 2009-01-14 2010-07-2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積層フィルム
KR20100102290A (ko) 2009-03-11 2010-09-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용 표면보호필름 및 이것이 구비된 편광판
JP5377283B2 (ja) * 2009-12-28 2013-1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5123330B2 (ja) * 2010-01-07 2013-01-23 住友化学株式会社 表面形状転写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CN101851414B (zh) * 2010-04-15 2012-10-10 宁波激智新材料科技有限公司 应用于光学扩散薄膜的组合物、光学扩散薄膜及液晶显示装置
EP2638321B1 (en) * 2010-11-10 2019-05-08 Nanosys, Inc. Quantum dot films, lighting devices, and lighting methods
JP5707105B2 (ja) 2010-11-19 2015-04-2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用黄色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CN102565893B (zh) * 2010-12-09 2014-04-09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一种光学扩散膜及其制备方法
FR2973939A1 (fr) * 2011-04-08 2012-10-12 Saint Gobain Element en couches pour l’encapsulation d’un element sensible
US9042016B2 (en) * 2011-10-12 2015-05-26 Fujifilm Corporation Optical film, method of producing optical film, antireflectiv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3189562A (ja) * 2012-03-14 2013-09-26 Lintec Corp 粘着シート
TWI645967B (zh) * 2012-03-26 2019-01-01 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Surface protection film
WO2013191822A1 (en) * 2012-06-19 2013-12-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polymerizable non-ionic surfactant exhibiting reduced fingerprint visibility
KR101971123B1 (ko) 2012-08-23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나노 형광체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
CN103197363B (zh) * 2012-08-30 2015-10-14 湖北航天化学技术研究所 一种防划伤光学扩散膜及其制备方法
JP5914288B2 (ja) 2012-10-02 2016-05-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光学積層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KR101555411B1 (ko) * 2012-10-12 2015-09-2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명 도전성 필름 및 그 용도
JP6196450B2 (ja) 2013-01-29 2017-09-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飾用シート、電飾用印刷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飾看板
JP5847743B2 (ja) * 2013-02-20 2016-01-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バリア性積層体およびガスバリアフィルム
CN109976025A (zh) * 2013-09-13 2019-07-05 凸版印刷株式会社 波长转换片和背光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9708A4 (en) 2018-08-15
TW201700653A (zh) 2017-01-01
JP6717295B2 (ja) 2020-07-01
CN107430223B (zh) 2020-12-04
US10982065B2 (en) 2021-04-20
US20180024278A1 (en) 2018-01-25
CN107430223A (zh) 2017-12-01
JPWO2016158192A1 (ja) 2018-01-25
WO2016158192A1 (ja) 2016-10-06
EP3279708A1 (en) 2018-02-07
TWI707929B (zh) 202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225B1 (ko) 파장 변환 시트용 보호 필름, 파장 변환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JP6460275B2 (ja) 波長変換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101691340B1 (ko) 양자 도트 보호 필름, 그것을 사용한 양자 도트 필름 및 백라이트 유닛
KR102575802B1 (ko) 배리어 필름, 파장 변환 시트, 및, 파장 변환 시트의 제조 방법
CN106536197B (zh) 层叠膜及层叠体、以及波长转换片材、背光单元及电致发光单元
US10982065B2 (en) Optical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barrier film and color conversion film
JP5900720B1 (ja) 量子ドット保護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量子ドットフィルム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CN109863020B (zh) 阻气膜及颜色转换部件
KR102520352B1 (ko) 배리어 필름,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파장 변환 시트, 백라이트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19069827A1 (ja) 蛍光体保護フィルム、波長変換シート及び発光ユニット
KR20220007614A (ko) 배리어 필름, 그것을 이용한 파장 변환 시트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JP6627305B2 (ja) ガスバリアフィルム及び色変換部材。
JP6641946B2 (ja) 光学バリアフィルム、色変換フィルム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KR20240072259A (ko) 파장 변환 시트용 필름, 파장 변환 시트, 백라이트 및 표시 장치
JP2017078747A (ja) 光学バリアフィルム及び色変換フィルム
JP6776591B2 (ja) 波長変換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11353642B2 (en) Optical filter, multiplex optical filter, and light emitting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20230053722A (ko) 파장 변환 시트용 필름,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파장 변환 시트, 백라이트 및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