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385A - 탈세포화 조직을 사용한 유착 방지재 및 대용 생체막 - Google Patents

탈세포화 조직을 사용한 유착 방지재 및 대용 생체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385A
KR20170128385A KR1020177027526A KR20177027526A KR20170128385A KR 20170128385 A KR20170128385 A KR 20170128385A KR 1020177027526 A KR1020177027526 A KR 1020177027526A KR 20177027526 A KR20177027526 A KR 20177027526A KR 20170128385 A KR20170128385 A KR 20170128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adhesion
saturated
biocompatible polymer
biocompa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321B1 (ko
Inventor
히데키 사가
타카노리 우치다
쇼코 토코로자키
켄-이치로 히와타리
하루키 오바라
아키코 키시다
쯔요시 기무라
준 네기시
테츠야 히가미
세이이치 후나모토
Original Assignee
잇빤 자이단호진 가가쿠오요비겟세이료호겐쿠쇼
훗카이도 코리츠 다이가쿠 호진 삿포르 이카 다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잇빤 자이단호진 가가쿠오요비겟세이료호겐쿠쇼, 훗카이도 코리츠 다이가쿠 호진 삿포르 이카 다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고쿠리츠 다이가쿠호우징 도쿄이카시카다이가쿠 filed Critical 잇빤 자이단호진 가가쿠오요비겟세이료호겐쿠쇼
Publication of KR20170128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3Proteins; Polypeptides;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L31/046Fibrin; Fibrin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05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24Anti-adhesion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10Polypeptides; Proteins
    • A61L24/106Fibrin; Fibrinog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 또는 피브린 글루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 또는 피브린 글루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의 제조방법;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 또는 피브린 글루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 키트;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 또는 피브린 글루를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 또는 피브린 글루를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의 제조방법; 및,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 또는 피브린 글루를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 키트.

Description

탈세포화 조직을 사용한 유착 방지재 및 대용 생체막
본 발명은 유착 방지재, 특히 조직 재생을 동반하는 대용 생체막에 관한 것이다.
수술 후의 조직 유착은 순환기과, 소화기외과, 정형외과, 산부인과, 안과 등의 넓은 영역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면, 개복 수술 후의 복강 내의 유착은 생리적인 생체의 수복 반응이며, 유착을 전혀 없게 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수술 후의 유착에 의해서 유착성 장폐색이 일정 빈도로 발생된다. 유착성 장폐색은 일반적으로는 상복부보다 하복부와 같은 박리면이 많은 수술에 많다. 또, 그 빈도는 수술 시간이나 출혈량과도 어느 정도 비례한다고 되어 있다. 유착성 장폐색의 발생을 방지, 감소시키기 위해서, 외과의사가 정성스럽고, 애호적인 수술 조작, 최소한의 박리, 최소한의 출혈, 최소한의 수술 시간, 수술 중의 오염방지, 최소한의 이물 잔존, 흡수성 봉합사의 사용, 적절한 배액(drainage), 감염 방지, 수술 후의 조기이상 등이 요구되고, 긴급한 오염 수술에서는 추가로, 충분한 복강 내 세정, 수술 후의 체위, 수술 후의 항생제 사용 등이 요구되고 있다. 각각이 유착성 장폐색의 방지에 어느 정도 유효하지만, 이것만으로 장폐색의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는 없다(비특허문헌 1).
산부인과 영역에 있어서는 난관의 유착은 장래의 임임성 저하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어, 중요한 문제의 하나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수술 후 유착 방지가 시도되고 있지만, 완벽한 유착 방지법이 확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비특허문헌 2).
심장혈관 외과영역에 있어서는, 수술 후의 심외막(심장표면)과 흉벽의 유착, 또, 심막과 심외막의 유착은 재수술 시에, 심장과 대혈관에 대한 손상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비특허문헌 3). 유착은 재수술 시의 거의 모든 조작에 악영향을 미친다. 유착은 유착 박리에 의한 출혈, 장기ㆍ혈관의 손상, 심장표면 구조의 시인성을 저하시킨다. 장시간의 수술은 환자로의 침습을 증대시키고, 출혈량의 증가는 대량 수혈에 수반하는 장기장애를 악화시킨다. 수술 후에 심외막과 흉벽이 견고하게 유착되었을 경우, 심장, 특히, 우심실의 수축 장애를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이 점에서도, 심외막이 주위 구조물과 유착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일단, 개방한 자기심막을 재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시행할 수 없는 경우가 많고, 또, 일반적으로는 억지로 재폐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다(비특허문헌 4). 따라서 개심수술 후, 심막의 폐쇄에 무엇인가의 심막 대용재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실리콘막, 폴리우레탄, 근막, 팽창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PTFE) 시트, 소, 돼지, 말 등의 이종심막, Dacron, 경막 등이 사용되어 왔지만, 심막의 유착은 고도이고, 이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주위조직에 염증반응을 야기하고, 종격염의 발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비특허문헌 5). 이물로서 잔존하면, 감염 균의 온상이 되고, 또, 원격기에 있어서 석회화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생체 적합성이 높은 심막 대용재, 또는 재생을 촉진시키는 대용 생체막의 개발이 소망되고 있다.
미국에 있어서 복부 유착의 치료에 연간 13억 달러가 소비된다는 보고가 있고(비특허문헌 6), 의료 경제적인 면으로부터도 가능한 한 유착을 경감시키는 처치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게다가, 유착을 경감시킴으로써 수술 후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환자의 QOL(Quality Of Life) 향상과 의료비의 삭감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로서는 수술 후의 조직 유착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외과의사를 고민케 하는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유착을 방지하는 물리적 배리어로서는 현재, 국내에서 임상적 사용이 인가되어 있는 재료로서, 히알루론산 나트륨/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seprafilm(등록상표)) 등의 배리어와, 산화 재생 셀룰로우스(Interceed(등록상표)), 또는 폴리테트라 불화 에틸렌(e-PTFE)(Gore-Tex Surgical Membrane(등록상표)) 등의 유착 방지재가 있다. 미국에서 인가되어 있는 대용 심막재료로서, 폴리락트산/폴리에틸렌글리콜(REPEL-CV(등록상표)) 등의 유착 방지재가 있다. 어느 쪽의 재료도 유효성은 한정적이어서, 외과의사를 충족시키기 까지는 이르지 않고 있다(비특허문헌 7∼8). 또, Gore-Tex Surgical Membrane(등록상표)는 이물로서 영구히 잔존하기 때문에 주위조직에 염증반응을 야기하고, 섬유성 조직을 증생시키기 때문에, 재수술 시에 조직 구성을 시인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부터도 생체 적합성이 높은 심막 대용재, 또는 재생을 촉진시키는 대용 생체막의 제품화가 소망되고 있다.
생체조직 접착제인 피브린 글루를 유착 방지목적으로 사용하는 예도 보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9∼10). 그렇지만, 피브린 글루는 조직 유착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특허문헌 1∼3), 외과의사를 고민케 하는 큰 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실리콘, 테프론(등록상표), 폴리우레탄 등의 생체 비흡수성의 재료는 조직 간의 유착 방지 효과는 높지만, 비흡수성 재료이기 때문에 생체 조직면에 잔존하고, 조직의 수복을 늦출 뿐만 아니라, 염증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 때문에, 생체 흡수성의 소재를 사용한 유착 방지막, 예를 들면, 젤라틴을 사용한 유착 방지막(특허문헌 4∼5), 알긴산이나 히알루론산을 사용한 유착 방지막(특허문헌 6),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사용한 유착 방지막(특허문헌 7∼8)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생체 흡수성의 유착 방지막은 생체에 잔존하지는 않지만, 유착 방지 효과가 불충분해서 유착이 발생하기 쉽다는, 강도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환자의 조직에 봉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타인 또는 다른 종의 동물 조직을 이식하는 경우의 거절반응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생체 유래 조직으로부터 세포를 제거한 탈세포화 조직이 개발되고 있다. 탈세포화 방법으로서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방법(특허문헌 9∼10), 효소를 사용하는 방법(특허문헌 11), 산화제를 사용하는 방법(특허문헌 12), 고정수압 처리에 의한 방법(특허문헌 13∼15), 동결융해 처리에 의한 방법(특허문헌 16∼17), 고장성 전해질 용액으로 처리하는 방법(특허문헌 18) 등이 알려져 있다. 탈세포화 조직은 피부(특허문헌 16∼17), 각막(특허문헌 14), 혈관(특허문헌 19) 등으로의 응용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 공표특허공보 H11-50243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327592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3-5001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06578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2616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1676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05153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842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S60-501540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3-518981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2-507907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2003-5250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097552호 국제공개 제2008/111530호 팸플릿 일본 공표특허공보 2013-50227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8550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1148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210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503696호
Tsuneo Fukushima et al., Surgical Therapy, 2006; 94(6):919-924 Akira Fujishita et al., Gynecologic and Obstetric Surgery, 2002; 13:91-98 Dobell AR., et al., Ann Thorac Surg.1984; 37:273-8 Cunningham J N, Jr., et al.,J Thorac Cardiovasc Surg. 1975; 70:119-25 Hiroshi Sakuma et al., Artificial Organs, 2000; 29(1):233-238 Ray NF. et al., J. Am. Coll. Surg. 1998; 186:1-9 Lodge AJ, et al., Ann Thorac Surg. 2008; 86:614-621 Haensig et al., Medical Devices: Evidence and Research 2011; 4:17-25 Takamichi Sato et al., Obstetrics and Gynecology, 1990; 57(12):2398-2404 Kiyoji Okuda et al., The World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93; 45(9):759-764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수술 부위에 적용했을 때에 유착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재료(유착 방지재), 및 수술 후의 결손부에 적용했을 때에 생체 기능을 대용하는 재료(대용 생체막)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또, 막의 강도가 높고 봉합이 가능하고, 수술 후의 생체 조직 유착을 저감시킬 수 있고, 생체로의 적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생체 유래 조직의 탈세포화 조직을 유착 방지재로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과제가 해결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생체 유래 조직을 탈세포화한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복합화시킨 유착 방지재이다.
본 발명자들은 또, 탈세포화 조직과 피브린 글루를 복합화해서 제작한 대용 생체막이나 유착 방지재가, 조직 결손부 또는 조직 사이에 적용되었을 경우에 조직의 대체물 또는 배리어가 되고, 주위의 조직과의 유착을 방지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에는 하기 (1) 내지 (6)이 포함된다.
(1)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
(2)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복합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의 제조방법.
(3)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 키트.
(4)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
(5)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복합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의 제조방법
(6)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 키트.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는 이하가 포함된다.
[1]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
[2] 상기 [1]에서, 탈세포화 조직이 심막, 방광, 양막, 경막, 복막, 횡격막, 근막, 소장 점막하 조직 및 피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생체 유래 조직을 탈세포화한 조직인 유착 방지재;
[3] 상기 [1] 또는 [2]에서, 탈세포화 조직이 생체 유래 조직에 고정수압 처리,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해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인 유착 방지재;
[4] 상기 [3]에서, 고정수압 처리가, 생체 유래 조직에 매체 중에서 50∼1,500MPa의 정수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천연 유래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인, 유착 방지재;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피브린 글루인 유착 방지재.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서,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복합화되어 있는 유착 방지재;
[8] 상기 [7]에서,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유착 방지재;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서, 유착 방지재가 유착 방지막이며, 막 두께가 10∼5,000㎛인 유착 방지재;
[10]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복합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의 제조방법;
[11] 상기 [10]에서,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제조방법;
[12]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 키트;
[13] 상기 [12]에서, 탈세포화 조직이 심막, 방광, 양막, 경막, 복막, 횡격막, 근막, 소장 점막하 조직 및 피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조직을 탈세포화한 조직인 키트;
[14] 상기 [12] 또는 [13]에서, 탈세포화 조직이 생체 유래 조직에 고정수압 처리,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해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인 키트;
[15] 상기 [14]에서, 고정수압 처리가, 생체 유래 조직에 매체 중에서 50∼1,500MPa의 정수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트;
[16] 상기 [1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피브린 글루인 키트;
[17] 상기 [12]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서,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복합화되어 있는 키트;
[18] 상기 [17]에서,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키트;
[19] 상기 [12]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서, 유착 방지재가 유착 방지막이고, 막 두께가 10∼5,000㎛인 키트;
[20]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
[21] 상기 [20]에서, 탈세포화 조직이 심막, 방광, 양막, 경막, 복막, 횡격막, 근막, 소장 점막하 조직 및 피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생체 유래 조직을 탈세포화한 조직인 대용 생체막;
[22] 상기 [20]또는 [21]에서, 탈세포화 조직이 생체 유래 조직에 고정수압 처리,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해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인 대용 생체막;
[23] 상기 [22]에서, 고정수압 처리가, 생체 유래 조직에 매체 중에서 50∼1,500MPa의 정수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
[24] 상기 [20]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천연 유래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인 대용 생체막;
[25] 상기 [20]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피브린 글루인 대용 생체막;
[26] 상기 [20]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서,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복합화되어 있는 대용 생체막;
[27] 상기 [26]에서,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대용 생체막;
[28] 상기 [20]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서, 막 두께가 10∼5,000㎛인 대용 생체막;
[29]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복합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의 제조방법;
[30] 상기 [29]에서,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제조방법;
[31]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 키트;
[32] 상기 [31]에서, 탈세포화 조직이 심막, 방광, 양막, 경막, 복막, 횡격막, 근막, 소장 점막하 조직 및 피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조직을 탈세포화한 조직인 키트;
[33] 상기 [31] 또는 [32]에서, 탈세포화 조직이 생체 유래 조직에 고정수압 처리,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해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인 키트;
[34] 상기 [33]에서, 고정수압 처리가, 생체 유래 조직에 매체 중에서 50∼1,500MPa의 정수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트;
[35] 상기 [31] 내지 [34] 중 어느 하나에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피브린 글루인 키트;
[36] 상기 [31] 내지 [35] 중 어느 하나에서,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복합화되어 있는 키트;
[37] 상기 [36]에서,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키트; 및
[38] 상기 [31] 내지 [37] 중 어느 하나에서, 대용 생체막의 막 두께가 10∼5,000㎛인 키트.
본 발명의 대용 생체막 또는 유착 방지재는 조직 결손부에 적용했을 경우에 결손된 조직의 대체물로서 기능하는 효과나, 적용부와 접촉하는 조직에 대해서 유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유착이 대폭 감소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대용 생체막 또는 유착 방지재는 조직에 봉합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고, 조직으로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랫트의 심장 유착 모델에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를 적용 후, 7일째의 평가를 나타낸다. 도에서, E 및 F는 심근 조직을, G 및 H는 심막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는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이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는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는 생체 유래 조직을 탈세포화한 탈세포화 조직과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복합화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화란 탈세포화 조직으로부터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용이하게 탈리하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탈세포화 조직과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화학결합할 수도 있고,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물리 흡착할 수도 있고,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함침될 수도 있다. 물리 흡착의 일례는 도포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가 바람직하다.
1. 탈세포화 조직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에는 시트 형상의 탈세포화 조직이 사용되고, 탈세포화 조직에 사용하는 생체 유래 조직 및 사용하는 부위는 척추동물 유래이고, 유착 방지재에 사용 가능한 크기 및 두께가 수득되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탈세포화 조직은 척추동물(도너)로부터 생체 유래 조직을 회수하고, 탈세포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입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생체 유래 조직은 탈세포화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서, 도너 유래의 세포나 병원체(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제거된다. 그 때문에 탈세포화 처리한 생체 유래 조직은 도너와 다른 종류의 동물에 이식했을 경우라도 이종 면역 반응이 억제된다. 따라서 생체 유래 조직을 회수하는 동물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생체 유래 조직은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인간 이외의 동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포유류의 가축이나 조류의 가축이 바람직하다. 포유류의 가축으로서는 소, 말, 낙타, 라마, 당나귀, 야크, 양, 돼지, 염소, 사슴, 알파카, 개, 너구리, 족제비, 여우, 고양이, 토끼, 햄스터, 모르모트, 랫트, 다람쥐 및 미국너구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조류의 가축으로서는 잉꼬, 앵무새, 닭, 집오리, 칠면조, 거위, 호로새, 꿩, 타조, 에뮤 및 메추리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입수의 안정성으로부터 돼지, 토끼 또는 소가 바람직하다.
생체 유래 조직은 세포 외에 매트릭스 구조를 가지고, 탈세포화 처리가 가능한 조직이 예시된다. 그러한 조직으로서는 간장, 신장, 뇨관, 방광, 요도, 혀, 편도, 식도, 위, 횡격막, 소장, 대장, 복막, 항문, 췌장, 심장, 심막, 혈관, 비장, 폐, 뇌, 경막, 뼈, 척수, 연골, 정소, 양막, 자궁, 난관, 난소, 태반, 각막, 골격근, 힘줄, 신경, 및 피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조직이 예시된다. 탈세포화 조직이 시트 형상인 경우에는 생체로의 적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조직으로서는 심막, 방광, 양막, 경막, 복막(대 망막, 소망막), 횡격막, 점막하층(예를 들면 소장 점막하 조직) 및 피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조직이 예시된다. 시트 형상이 아닌 조직이더라도 시트 형상으로 가공하면 생체로의 적용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그러한 시트 형상이 아닌 조직도 탈세포화 처리가 가능한 조직에 포함된다. 피부, 심막 및 양막이 더욱 바람직하다. 피부는 통상, 표피, 진피, 피하조직 등으로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진피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물로부터의 생체 유래 조직의 회수에는 도너의 동물종이나 생체 유래 조직에 적합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동물로부터 회수된 생체 유래 조직은 탈세포화 처리가 이루어진다. 탈세포화 처리는 도너 유래의 세포나 병원체를 제거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한 방법으로서는 계면활성제 처리(Singelyn J.M., et al., Biomaterials, 2009, 30, 5409-5416; Singelyn J.M,, et al., J. Am. Coll. Cardiol., 2012, 59, 751-763; Sonya B., et al., Sci. Transl. Med., 2013, 5, 173ra25), 효소 처리, 삼투압 처리, 동결융해 처리, 산화제 처리, 고정수압 처리(Sasaki S., et al., Mol. Vis., 2009, 15, 2022-2028; Yoshihide H., et al., Biomaterials, 2010, 31, 3941-3949; Seiichi F., et al., Biomaterials, 2010, 31, 3590-3595; Negishi J., et al., J. Artif. Organs, 2011, 14, 223-231; 일본특허 제4092397호; 일본 공개트특허공보 2008-11153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5029호7) 및 이것들의 조합이 예시되고, 도너의 동물종이나 생체 유래 조직의 종류에 대응해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고정수압 처리는 매체 중의 생체 유래 조직에 정수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도너 유래의 세포나 병원체를 파괴하기 때문에 탈세포화 시에 인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약제를 필요로 하지 않고,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약제를 사용해서 탈세포화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라도 탈세포화 처리 후의 조직을 충분하게 세정하는 것에 의해서, 약제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다.
탈세포화 처리는 탈세포화 생체 유래 조직을 세정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탈세포화 생체 유래 조직을 세정하는 방법은 탈세포화 처리의 종류에 대응해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세정 방법으로서는 세정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27246호),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방법(일본 특허 제4189484호)이 예시된다.
고정수압 처리를 실시할 때의 압력은 도너 유래의 세포나 병원체가 파괴되는 압력일 수도 있고, 도너의 동물종이나 생체 유래 조직의 종류에 대응해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정수압으로서는 2∼1,500MPa가 예시된다. 인가하는 정수압이 50MPa보다도 높은 경우에는, 생체 유래 조직으로부터의 탈세포화가 충분하게 수행된다. 그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50∼1,500MPa, 더 바람직하게는 80∼1,300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90∼1,200MPa, 가장 바람직하게는 95∼1,100MPa이다.
고정수압의 인가에 사용하는 매체로서는 물, 생리식염수,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그 수용액, 글리세린 또는 그 수용액, 및 당류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액으로서는 초산 완충액, 인산 완충액, 시트르산 완충액, 붕산 완충액, 타르타르산 완충액, 트리스 완충액, HEPES 완충액, 및 MES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당류 수용액의 당류로서는 에리트로오스, 크실로오스, 아라비노오스, 알로오스, 탈로오스, 글루코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에리트리톨, 크실리톨, 만니톨, 솔비톨, 갈락티놀,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트레할로오스, 덱스트란, 알긴산, 및 히알루론산 등을 들 수 있다.
고정수압 처리의 온도는 얼음이 생성하지 않고, 열에 의한 조직으로의 대미지가 없는 온도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탈세포화 처리가 원활하게 수행되고, 조직으로의 영향도 적다는 점에서 0∼45℃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4∼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7℃, 가장 바람직하게는 15∼35℃이다.
고정수압 처리의 시간은 너무 짧으면 탈세포화 처리가 충분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긴 경우에는 에너지의 낭비로 이어지기 때문에, 5∼60분이 바람직하고, 7∼30분이 더 바람직하다.
탈세포화의 유무는 조직학적 염색(헤마톡실린-에오진 염색) 또는 잔존 DNA 정량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고정수압이 인가된 생체 유래 조직은 조직 중의 세포가 파괴되어 있고, 이 세포는 세정액에 의해 제거된다. 세정액은 고정수압의 인가에 사용한 매체와 동일 액일 수도 있고, 다른 세정액일 수도 있고, 복수의 종류 세정액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세정액은 핵산 분해효소, 유기용매 또는 킬레이트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핵산 분해효소는 정수압이 인가된 생체 유래 조직으로부터의 핵산성분에 대해서, 유기용매는 지질에 대해서, 각각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킬레이트제는 탈세포화 조직 중의 칼슘이온이나 마그네슘 이온을 불활성화하는 것에 의해, 탈세포화 조직을 환부에 적용했을 경우의 석회화를 방지할 수 있다.
유기용매로서는 지질의 제거 효과가 높기 때문에, 수용성의 유기용매가 바람직하고,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및 디메틸설폭사이드가 바람직하다. 킬레이트제로서는 에틸렌디아민4초산(EDTA), 니트릴로3초산(NTA), 디에틸렌트리아민5초산(DTPA), 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3초산(HEDTA), 트리에틸렌테트라민6초산(TTHA), 1,3-프로판디아민4초산(PDTA), 1,3-디아미노-2-하이드록시프로판4초산(DPTA-OH), 하이드록시에틸이미노2초산(HIDA), 디하이드록시에틸글리신(DHEG), 글리콜에테르디아민4초산(GEDTA), 디카복시메틸글루타민산(CMGA), 3-하이드록시-2,2’-이미노디숙신산(HIDA), 및 디카복시메틸아스파라긴산(ASDA) 등의 이미노카복실산계 킬레이트제 또는 그 염;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및 락트산 등의 하이드록시카복시산계 킬레이트제 또는 그 염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의 킬레이트제의 염으로서는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을 들 수 있다.
다음에, 탈세포화 처리 후의 조직은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관점으로부터 동결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결건조의 조건은 탈세포화 후의 조직으로부터 수분이 제거되고 있는 조건이라면 좋고, 생체 유래 조직의 종류에 대응해서 적당하게 선택할 수 있다. 조건으로서는 호모그래프트 동결보존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프리징(freezing) 동결(-1℃/분, 90분 이상), 및 진공건조장치에 의한 동결건조가 예시된다.
세정 효율이 상승하는 점에서, 세정액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지방산 비누, 알콕시카복시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콕시카복시산염, 알킬설폰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알킬인산 에스테르염, α-설포 지방산 에스테르염, N-아실글루탐산염, 아실-N-메틸타우린염, N-알킬사르코신염, 콜산염, 데옥시콜산염 등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아민, 알킬디에탄올아민, 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알킬피리디늄염, 알킬벤질디메틸암모늄염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알킬카복시베타인, 알킬아마이드프로필베타인, 알킬아마이드프로필설포베타인, 알킬이미다졸륨베타인, 3-[(3-콜아마이드프로필)디메틸암모니오]-2-하이드록시-1-프로판설포네이트(CHAPSO), 3-[(3-콜아마이드프로필)디메틸암모니오]-1-프로판설포네이트(CHAPS) 등의 양성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트레할로오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에테르, 알킬(폴리)글리세린에테르, 지방산 알칸올아마이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알칸올아마이드,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알킬말토사이드, 알킬티오글루코사이드, 알킬말토피라노사이드, 알카노일-N-메틸-D-글루코사민, N,N-비스(3-D-글루콘아미도프로필)콜아마이드(BIGCHAP), N,N-비스(3-D-글루콘아미도프로필)데옥시콜아마이드(deoxy-BIGCHAP)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세포의 제거의 점에서, 알킬설폰산염, 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황산 에스테르염, α-설포 지방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가 바람직하고, 알킬설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고정수압이 인가된 생체 유래 조직을 세정할 경우의 온도는 열에 의한 조직으로의 대미지가 없는 온도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세정성이 양호하고, 조직으로의 영향도 적은 점에서 0∼45℃가 바람직하고, 1∼40℃가 더 바람직하고, 2∼35℃가 가장 바람직하다. 세정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세정액을 진탕 또는 교반할 수 있다.
2. 생체 적합성 고분자
본 발명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란 생체에 투여했을 때에 현저하게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고, 친수성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을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i)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이상이고, (ii) 랫트에 경구투여하는 경우의 LD50이 2,000mg/kg 이상이고, (iii) 물에 대해서, 용해 또는 확장 젖음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량평균 분자량이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라고도 한다) 분석에 의해서 산출한 중량평균 분자량으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용매로 해서 GPC 측정을 실시했을 경우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 또는 물을 용매로 해서 GPC 측정을 실시했을 경우의 풀루란 환산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말한다. 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함침 또는 물리 흡착에 의해 복합화하는 경우,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작은 경우에는, 복합화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이 바람직하고, 2,000 이상이 더 바람직하다.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서는 천연 유래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 천연 유래의 것을 가공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 및 인공적으로 합성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 대별된다. 생체 적합성 고분자 가운데, 천연 유래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 또는 천연 유래의 것을 가공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콘도로이친 설페이트, 데르마탄, 헤파린, 헤파란, 알긴산, 히알루론산, 데르마탄황산, 케라탄황산, 키틴, 키토산, 펙틴, 아밀로스아밀로펙틴, 글리코겐, 덱스트린, 덱스트란, β1,3-글루칸 등의 다당류 또는 그 염;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카복시메틸 키토산 등의 다당류 유도체 또는 그 염; 콜라겐, 젤라틴, 에라스틴, 피브리노겐, 피브린 또는 피브린 글루, 피브로넥틴, 라미닌, 비트로넥틴, 엔탁틴, 트롬보스폰딘, 테나신, 카세인, 아비딘, 카드헤린, 뮤신, 프로테오글리칸 등의 폴리펩티드 또는 당단백질 등을 들 수 있다.
생체 적합성 고분자 가운데, 인공적으로 합성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알라닌, 폴리아스파라긴, 폴리아스파라긴산, 폴리아르기닌, 폴리이소로이신, 폴리오르니틴, 폴리글리신, 폴리글루탐산, 폴리트립토판, 폴리타이로신, 폴리히스티딘, 폴리프로필렌인, 폴리리신 및 등의 합성 폴리펩티드 또는 그 염;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트산, 폴리하이드록시뷰티르산, 폴리ε-카프로락톤, 폴리타르타르산 등의 폴리(하이드록시카복시산);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에테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메트)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푸마르산, 포스포릴콜린기 함유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 등의 래디컬 중합 폴리머 및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생체 적합성 고분자 중에서도, 수술 후에 체내에 흡수되어서 환자에 대한 부담이 적기 때문에, 생체 흡수성 고분자가 바람직하다. 생체 흡수성 고분자로서는 천연 유래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 천연 유래의 것을 가공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 합성 폴리펩티드 또는 그 염, 폴리(하이드록시카복시산)을 들 수 있고, 체내로의 흡수성의 점으로부터, 천연 유래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바람직하고, 유착의 방지성의 점으로부터, 다당류 또는 그 염, 폴리펩티드 또는 당단백질이 더 바람직하고, 알긴산, 히알루론산, 피브린 글루가 더욱 바람직하다.
3. 피브린 글루
피브린 글루란 피브리노겐에 효소인 트롬빈이 작용해서 형성되는 패스티 형상의 응괴를, 조직의 폐쇄, 장기 손상부의 접착 및 지혈 등에 이용하는 제제를 말한다. 피브린 글루의 종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피브리노겐이나 트롬빈 등의 구성성분이 혈액을 유래로 하는 것일 수도 있고, 재조합 기술로 제작된 것 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Bolheal(일반재단법인 화학 및 혈청요법연구소제)이 예시된다. B Bolheal 은 피브리노겐 동결 건조분말, 피브리노겐 용해액, 트롬빈 동결 건조분말 및 트롬빈 용해액으로 구성된다.
4. 복합화
탈세포화 조직과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화로서는 탈세포화 조직과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화학결합, 탈세포화 조직 표면에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물리 흡착,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함침 등을 들 수 있지만,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있기 때문에,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함침이 바람직하다. 탈세포화 조직 표면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물리 흡착하는 경우에는 탈세포화 조직 표면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부착 또는 도포할 수 있다. 또,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함침시키기 위해서는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함유하는 용액에 탈세포화 조직을 침지시킬 수 있지만, 침지 효율을 올리기 위해서는 탈세포화 조직을 동결건조하고 나서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침지 시에 가압 또는 감압(국제공개 제WO2013/032009호 팸플릿)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유착 방지재의 막 두께가 너무 얇은 경우에는, 충분한 막강도가 수득되지 않을 경우가 있고, 또,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요철이 있는 환부에 부착하기 어렵고, 수술 후의 환부에 위화감을 제공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유착 방지재의 막 두께는 10∼5,000㎛가 바람직하고, 30∼2,000㎛가 더 바람직하고, 50∼1,000㎛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는 특히 수술 시의 유착을 방지하는데도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관지, 폐, 심장, 간장, 비장, 췌장, 신장, 자궁, 난소 등의 질환에 대한 개흉 수술, 개복 수술, 내시경 수술; 아킬레스건이나 손의 힘줄, 신경 등의 봉합 수술; 제왕출산 후의 봉합 시 등의 수술에 의해서 손상된 생체 유래 조직 표면이 유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는 유착 가능성 있는 조직에 부착해서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조직에 봉합할 수도 있다. 또, 조직 결손부에 적용했을 경우에는 적용부와 접촉하는 조직에 대해서 유착 방지하는 동시에, 결손된 조직의 대체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대용 생체막으로서도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탈세포화 조직과 피브린 글루를 복합화하는 경우에는, 탈세포화 조직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하는 방법, 및 피브린 글루의 유효성분 분말(피브리노겐 분말, 트롬빈 분말)을 살포하는 방법, 탈세포화 조직에 피브리노겐을 함침시킨 후, 트롬빈을 작용시키는 방법이 예시된다. 도포할 때는, 탈세포화 조직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하는 것이 예시된다. 즉, 탈세포화 조직의 편면 또는 양면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하는 것이 예시된다. 도포면은 적용 후에 조직과의 접촉이나 유착이 상정되는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심막의 결손부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심외막으로의 유착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심외막에 접하는 면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하는 것, 흉막으로의 유착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흉막에 접하는 면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하는 것, 또는 양쪽의 면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하는 것이 예시된다. 도포 시에는 피브리노겐 또는 트롬빈의 어느 하나 한쪽을 먼저 도포한 후에 다른 한쪽을 도포할 수도 있고, 그것들을 동시에 도포할 수도 있다. 스프레이 기구를 사용한 분무 도포도 선택할 수 있다. 탈세포화 조직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하는 영역은, 탈세포화 조직의 일부 영역일 수도 있고, 전체일 수도 있다. 탈세포화 조직의 전체에 걸쳐서 유착 방지 효과를 발휘시키는 경우에는, 전체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하는 경우에는, 피브린 글루의 성분으로 탈세포화 조직의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고, 탈세포화 조직의 내부에 피브린 글루의 성분을 침투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을 코팅하는 동시에 내부에도 침투시킨다.
탈세포화 조직에 피브린 글루를 적용할 때의 트롬빈 또는 피브리노겐 농도는 탈세포화 조직의 표면에서 피브린 글루에 의한 겔을 형성하는 농도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피브리노겐의 경우에는 4㎎/㎖∼250㎎/㎖가 예시된다. 트롬빈의 경우에는 1U/㎖∼1,200U/㎖가 예시된다.
적용부위는 세포조직을 가지는 부위나 유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조직이라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 원료가 된 생체 유래 조직과 동일한 조직에 적용할 수도 있고, 다른 부위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심막, 심장, 심외막, 흉막, 복벽, 복막, 방광, 양막, 자궁, 경막, 횡격막, 소장, 대장, 위, 항문, 췌장, 비장, 간장, 신장, 폐, 피부, 식도, 인대, 및 힘줄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심막, 및 복벽이 예시된다.
본 발명에는 탈세포화 조직과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개별적으로 제제화된 대용 생체막 키트, 또는 유착 방지재 키트가 포함된다. 당해 키트는 의사가 사용시에 탈세포화 조직과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조합시키고, 복합화해서 환부에 적용한다. 탈세포화 조직이 동결건조되고 있는 경우에는, 탈세포화 조직에 용매를 함침시키고고, 복원시킨 후에 환부에 적용하고,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도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당해 키트에는 복원용의 용매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키트에 피브린 글루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피브리노겐 용액 또는 트롬빈 용액으로 복원할 수도 있다. 당해 키트는 피브리노겐 또는 트롬빈의 어느 한쪽이 복합화된 탈세포화 조직, 및 다른 한쪽의 제제로 구성될 수 있다. 그 경우, 복합화된 탈세포화 조직을 환부에 적용 후에 다른 한쪽의 제제를 적용하는 것이 예시된다. 예를 들면, 피브리노겐을 복합화한 탈세포화 조직, 및 트롬빈 제제로 구성되는 키트의 경우, 당해 탈세포화 조직을 적용 후에 트롬빈 제제를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특별하게 한정이 없는 한, 실시예 중의 「부」나 「%」는 질량 기준에 의한 것이다.
[탈세포화 조직]
돼지의 피부로부터 진피층을 분리하고, 시트 형상의 진피(막 두께 400㎛)를 얻었다. 폴리에틸렌제 척이 부착된 백에, 이 진피와, 고정수압 처리의 매체로서 생리식염수를 넣고, 연구 개발용 고압 처리장치(Kobe Steel, Ltd., 상품명: Dr.Chef)를 사용해서 1000MPa의 정수압을 15분간 인가했다. 고정수압 처리한 진피를, 핵산 분해효소로서 DNase를 20ppm 함유하는 생리식염수 중, 4℃에서 96시간 진탕하는 것에 의해 세정하고, 추가로 80% 에탄올 중, 4℃에서 72시간 진탕한 후, 생리식염수 중, 4℃에서 2시간 진탕하고, 시트 형상의 탈세포화 조직 (이하, 습윤 시트라고 한다)을 얻었다. 습윤 시트와, 습윤 시트를 동결건조시킨 것(이하, 동결건조 시트라고 한다)을 시험에 사용했다.
실시예 1
동결건조 시트를, 알긴산나트륨의 2% 생리식염수 용액에, 실온에서 2시간 침지시키고, 실시예 1의 유착 방지막을 얻었다.
실시예 2
동결건조 시트를, 폴리에틸렌글리콜4000의 40% 생리식염수 용액에, 실온에서 2시간 침지시키고, 실시예 2의 유착 방지막을 얻었다.
실시예 3
동결건조 시트를, 젤라틴의 10% 생리식염수 용액에, 실온에서 2시간 침지시키고, 실시예 3의 유착 방지막을 얻었다.
비교예 1
습윤 시트를 비교예 1의 유착 방지막으로 했다.
비교예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26166호의 실시예에 준거하고, 젤라틴 분말(Nippi사, 상품명 MediGelatin)의 2.7질량% 수용액을 글래스판에 도포한 후, 에어 건조하고, 추가로 140℃의 진공 오븐 중에서 10시간 가열처리하는 것에 의해 열가교시키고, 막 두께 100㎛의 비교예 2의 유착 방지막을 얻었다.
비교예 3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16765호의 실시예 1에 준거하고,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1질량% 수용액을 글래스판에 도포하고, 추가로 그 상층에, 키토산 1질량%와 초산 0.6질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도포한 후, 에어 건조하고, 막 두께 150㎛의 비교예 2의 유착 방지막을 얻었다.
비교예 4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84216호의 실시예 1에 준거하고, 레이온 부직포를 모노클로로 초산으로 카복시메틸화하고(에테르화도 0.84, 중량분자량 160,000), 글래스판에 도포해서 히알루론산 나트륨의 1질량% 수용액을 글래스판에 도포하고, 추가로 그 상층에, 키토산 1질량%와 초산 0.6질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도포한 후, 에어 건조해서 시트를 얻었다. 이 시트를, 4% 염산 메탄올 용액(수분 10% 함유)에, 25℃에서 6시간 침지시켰다. 그후, 50% 메탄올 수용액, 80% 메탄올 수용액, 100% 메탄올로 차례로, 세정하고, 건조하고, 막 두께 300㎛의 비교예 4의 유착 방지막을 얻었다.
1. 봉합성의 평가
Wistar 랫트(숫컷, 6∼12주령)을 마취하고, 복부를 제모하고 나서, 포비돈 요드 용액(상품명 Isodine)로 피부를 소독했다. 복부 부위를 멸균 메스로 절개하고, 세로 15mm, 가로 15mm의 피부 포켓을, 좌우 2군데 작성했다. 피부 포켓 하의 근육층과 복막을 세로 10mm, 가로 10mm의 정방형으로 절개하고, 노출한 장기표면을 멸균 거즈로 찰과상을 입히고 장기에 손상을 제공했다. 우측 복부의 제거 부위에, 유착 방지막을 봉합사(Johnson and Johnson K. K., 상품명 Ethicon6-0PROLENE)을 사용해서 봉합했다. 강도가 불충분해서 봉합할 수 없었던 것은, 유착 방지막을 봉합하지 않고 제거 부위에 그대로 부착시켰다. 컨트롤로서, 좌측 복부의 제거 부위에는 유착 방지막을 사용하지 않고, 복막을 봉합했다. 그 후에 피부의 절개층을 봉합사로 봉합했다. 하기의 기준으로 유착 방지막의 봉합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강도가 있고 복막에 봉합할 수 있다
×: 강도가 불충분하고 복막에 봉합할 수 없다
2. 유착 방지성의 평가
수술한 랫트를 7일간 사육 후, 개복해서 수술 부위를 적출하고, 간장 또는 소장과 유착 방지막 또는 복막과의 유착에 대해서 하기의 기준으로 유착 방지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5: 유착이 전혀 관찰되지 않고, 유착 방지성이 매우 양호
4: 가늘어서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을 정도의 유착 밖에 관찰되지 않고, 유착 방지성이 양호
3: 좁은 범위로 가볍게 견인을 필요로 하는 유착이 1군데 관찰되고, 유착 방지성이 약간 불량
2: 약간 견인을 필요로 하는 유착이 1군데, 또는 가볍게 견인을 필요로 하는 유착이 2∼3군데 관찰되어 유착 방지성이 불량
1: 약간 견인을 필요로 하는 유착이 2군데 이상, 또는 가볍게 견인을 필요로 하는 유착이 4군데 이상 관찰되고, 유착 방지성이 매우 불량
0: 강한 유착이 관찰되고, 유착 방지성을 관찰할 수 없다
유착 방지막의
봉합성
유착 방지막의
유착 방지성
컨트롤의
유착 방지성
실시예1 5 1
실시예2 5 0
실시예3 4 1
비교예1 2 1
비교예2 × 2 0
비교예3 × 3 1
비교예4 × 2 1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착 방지막은 봉합이 가능한 정도의 강도와, 뛰어난 유착 방지성을 가지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1. 탈세포화 심막의 조제
탈세포화 돼지 심막은 고정수압법,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법을 사용해서 제작했다. 고정수압법은 돼지 심막을 생리식염수와 함께, 폴리에틸렌 백에 넣고 밀봉했다. Dr.Chef(Kobe Steel, Ltd.)을 사용해서 3000∼10, 000atm의 고정수압 처리를 실시했다. 계면활성제 처리법은 0.05% SDS(Sodium Dodecyl Sulfate, Wako Pure Chemical Industries, Ltd., 이온성 계면활성제), 0.5% SDS, 0.5% CHAPS (3- [(3-Cholamidopropyl)dimethylammonio]-1-propanesulfonate, DOJINDO사, 양성 계면활성제), 또는 1% Triton X-100(Sigma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을 사용해서 처리했다. 고정수압,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한 돼지 심막은 핵산 분해효소 함유 세정액, 및 알코올 함유 세정액에 의해 세정했다. 단, 0.5% SDS로 처리한 돼지 심막은 핵산 분해효소 함유 세정액로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았다. 세정 종료 후, 탈세포화 돼지 심막을, 15mm×15mm의 사이즈로 잘랐다. 잘라낸 심막을 진공건조장치(Eyela Corporation.)를 사용해서 24시간 이상 감압 동결건조했다.
2. 랫트 심장 유착 모델 실험
Wistar 랫트(수컷, 10-12주령)를, 0.1ml Somnopentyl 근육 주사를 사용해서 마취 처리했다. 측흉부를 제모하고, Isodine으로 소독했다. 마취 하의 랫트 기관에 삽관하고, 벤틸레이터에 접속했다. 랫트를 옆으로 누이고, 측흉부를 절개하고, 근육층, 및 심막을 제거했다. 심장표면을 부직포로 찰과상을 입혀서 염증반응을 유발시켰다. 각 유착 방지재를 사용해서 심장을 덮고, 랫트의 절개부를 봉합하고, 자발호흡이 안정되고 나서 발관을 실시했다.
3. 그룹구성 및 관찰
건조 탈세포화 돼지 심막의 양면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해서 유착 방지재를 제작했다. 피브린 글루는 도포기구를 사용해서 80㎎/㎖ 피브리노겐 용액과 250U/㎖ 트롬빈 용액을 혼합해서 제작했다. 피브리노겐 용액은 Bolheal(등록상표, 일반재단법인 화학과 혈청요법연구소제)의 피브리노겐 동결건조분말과 피브리노겐 용해액을 사용해서 조제했다. 트롬빈 용액은, Bolheal의 트롬빈 동결건조분말과 트롬빈 용해액을 사용해서 조제했다.
컨트롤 그룹으로서, (1) 유착 방지재 비적용 그룹을 검토했다. 또, (2) 심장 찰과부에 Bolheal을 도포한 그룹, 및 (3) 건조 탈세포화 돼지 심막을 생리식염수에 침지시킨 그룹을 사용했다. 관찰 기간은, 1주일과 4주일의 2그룹 실시했다. 랫트를 안락사시키고, 흉부를 절개해 유착을 소견 평가했다. 또, (4) 유착 방지재와 심장을 HE염색에 의해 조직학적으로 평가했다.
4. 결과
유착 방지재 비적용 그룹에서는 심장과 흉벽에 강고한 유착이 인정되었다. Bolheal 도포그룹과 탈세포화 돼지 심막 생리식염수 침지그룹은 컨트롤과 동등한 유착이 인정되었다. 유착 방지재 그룹은 심장주변에 유착은 거의 인정되지 않고, 경미한 유착이 몇예 관찰되었을뿐이었다. 7일째의 HE 염색(도 1)으로부터, 유착 방지재 그룹은 거의 염증반응이 인정되지 않으며, 또 탈세포화 조직내로의 세포 침윤이 인정되었다. 이것에 의해 뛰어난 유착 방지성을 가지는 동시에, 생체 적합성이 높은 대용 생체막으로서 유용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1) 유착 방지재 비적용 그룹: 강고한 유착을 인정했다(n=5)
(2) Bolheal 도포그룹: 강고한 유착을 인정했다(n=5)
(3) 탈세포화 돼지 심막 생리식염수 침지그룹: 강고한 유착을 인정했다(n=5)
(4)유착 방지재 그룹(고정수압 처리): 유착이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n=5)
(5) 유착 방지재 그룹(0.05% SDS 계면활성제 처리): 유착이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n=4)
(6) 유착 방지재 그룹(0.5% SDS 계면활성제 처리): 유착이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n=5)
(7)유착 방지재 그룹(0.5% CHAPS 계면활성제 처리): 유착이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n=5)
(8)유착 방지재 그룹(1% Triton X-100 계면활성제 처리): 유착이 거의 인정되지 않았다(n=5)
실시예 5
탈세포화 조직은 고정수압법을 사용해서 제작했다. 돼지 심막, 소 심막, 돼지 횡격막, 돼지 복막, 돼지 방광, 또는 돼지 진피를 생리식염수와 함께, 폴리에틸렌 백에 넣어 밀봉했다. Dr.Chef(Kobe Steel, Ltd.)를 사용해서 3,000∼10,000atm의 고정수압 처리를 실시했다. 고정수압 처리한 돼지 심막, 소 심막, 돼지 횡격막, 돼지 복막, 돼지 방광, 또는 돼지 진피는 핵산 분해효소 함유 세정액, 알코올 함유 세정액에 의해 세정했다.
탈세포화 조직, 및 피브린 글루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는 아래와 같이 제작했다. 3.0cm×2.5cm로 탈세포화 심막, 탈세포화 횡격막, 탈세포화 복막, 탈세포화 방광, 탈세포화 진피를 절단하고, 탈세포화 조직으로 했다. 탈세포화 조직의 양면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해서 유착 방지재를 제작했다. 피브린 글루는 도포기구를 사용해서 80㎎/㎖ 피브리노겐 용액과 250U/㎖ 트롬빈 용액을 혼합해서 제작했다. 피브리노겐 용액은 Bolheal의 피브리노겐 동결 건조분말과 피브리노겐 용해액을 사용해서 조제했다. 트롬빈 용액은 Bolheal의 트롬빈 동결 건조분말과 트롬빈 용해액을 사용해서 조제했다. 기존의 유착 방지재는 국내에서 임상적 사용이 인가되고 있는 Seprafilm(등록상표, Sanofi사)을 사용했다.
심장 조직 유착 모델은 5∼6개월령의 일본 백색종 웅성 토끼를 사용해서 제작했다. 자일라진과 케타민 염산염 마취 하에서 기관에 기관 튜브를 삽관해서 인공호흡기에 접속했다. 제2∼5 늑골 노치(rib notch)를 가이드로, 흉골을 5cm 절개했다. 개흉부 직하의 심막 2.0cm×1.5cm를 절개했다. 심외막에 금속 줄을 10분간 접촉시켰다. 개흉 상처의 흉골, 늑골, 근육, 피부를 봉합해서 가슴을 닫았다. 1개월 간의 통상 사육 후, 개흉해서 심외막 찰과부와 흉벽 사이의 유착 상태를 평가했다. 심외막 찰과부와 흉벽 사이를 박리할 때의 정도에 의해, 이하의 척도로 스코어화해서 유착을 평가했다.
유착 그레이드 0: 유착없음
유착 그레이드 1: 유착을 용이하게 박리 가능
유착 그레이드 2: 유착을 둔적(bluntly)으로 박리 가능
유착 그레이드 3: 유착을 예적(sharply)으로 박리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5에서는 이하의 시험 그룹을 평가했다. (1) 컨트롤 그룹, (2) 피브린 글루 그룹, (3) 탈세포화 조직(돼지 심막) 그룹, (4) 유착 방지재(돼지 심막) 그룹, (5) 유착 방지재(소 심막) 그룹, (6)유착 방지재(돼지 횡격막) 그룹, (7) 유착 방지재(돼지 복막) 그룹, (8) 유착 방지재(돼지 방광) 그룹, (9) 유착 방지재(돼지 진피) 그룹, (10) Seprafilm 그룹. (1)은 유착 방지재 비적용 그룹이다. (2)의 적용 방법은 도포기구를 사용해서 심막 결손부의 심외막에 80㎎/㎖ 피브리노겐 용액과 250U/㎖트롬빈 용액을 1:1의 비율로 혼합해서 도포했다. (3)∼(9)의 적용 방법은 심막 결손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자기심막과 시험 그룹을 봉합 고정했다. (10)의 적용 방법은 심막 결손부의 심외막에 부착했다. 이하에 유착 스코어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냈다.
(1) 컨트롤 그룹: 유착 그레이드 3, 3, 3, 3(n=4)
(2) 피브린 글루 그룹: 유착 그레이드 3, 3, 2(n=3)
(3) 탈세포화 조직(돼지 심막) 그룹: 유착 그레이드 3, 3, 1, 0(n=4)
(4) 유착 방지재(돼지 심막) 그룹: 유착 그레이드 0, 0, 0, 0(n=4)
(5) 유착 방지재(소 심막) 그룹: 유착 그레이드 0, 0, 0, 0, 0(n=5)
(6) 유착 방지재(돼지 횡격막) 그룹: 유착 그레이드 2, 0, 0, 0, 0(n=5)
(7) 유착 방지재(돼지 복막) 그룹: 유착 그레이드 0, 0, 0, 0, 0(n=5)
(8) 유착 방지재(돼지 방광) 그룹: 유착 그레이드 0, 0, 0, 0, 0(n=5)
(9) 유착 방지재(돼지 진피) 그룹: 유착 그레이드 0, 0, 0, 0, 0(n=5)
(10) Seprafilm 그룹: 유착 그레이드 3, 3, 2(n=3)
상기 결과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세포화 조직과 피브린 글루를 복합화함으로써 매우 뛰어난 유착 방지 효과를 확인했다.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돼지 심막, 소 심막, 돼지 복막, 돼지 방광, 돼지 진피)는 Mann-Whitne의 U검정에 의해 컨트롤 그룹, 피브린 글루 그룹, 탈세포화 조직그룹, Seprafilm 그룹의 전부와 비교해서 유의차를 인정했다(*:p<0.05). 또,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돼지 횡격막)는 Mann-Whitney의 U검정에 의해 컨트롤 그룹, 피브린 글루 그룹, Seprafilm 그룹의 전부와 비교해서 유의차를 인정했다(*:p<0.05). 이 결과는, 탈세포화 조직과 피브린 글루의 조합이 대용 심막으로서 기능한 것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대용 생체막으로서의 효과에 대해서도 실증되었다.
실시예 6
탈세포화 조직은 고정수압법을 사용해서 제작했다. 돼지 심막을 생리식염수와 함께, 폴리에틸렌 백에 넣고 밀봉했다. Dr.Chef(Kobe Steel, Ltd.)를 사용해서 3,000∼10,000atm의 고정수압 처리를 실시했다. 고정수압 처리한 돼지 심막은 핵산 분해효소 함유 세정액, 알코올 함유 세정액에 의해 세정했다.
탈세포화 조직, 및 피브린 글루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는 다음과 같이 제작했다. 2.0cm×2.0cm로 탈세포화 심막을 절단하고, 탈세포화 조직으로 했다. 탈세포화 조직의 양면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해서 유착 방지재를 제작했다. 피브린 글루는 도포기구를 사용해서 80㎎/㎖ 피브리노겐 용액과 250U/㎖트롬빈 용액을 혼합해서 제작했다. 피브리노겐 용액은 Bolheal의 피브리노겐 동결 건조분말과 피브리노겐 용해액을 사용해서 조제했다. 트롬빈 용액은 Bolheal의 트롬빈 동결 건조분말과 트롬빈 용해액을 사용해서 조제했다.
복강 내 조직 유착 동물모델은 8∼9주령 SD계 웅성 랫트를 사용해서 제작했다. 염산 메데토미딘과 염산 케타민 마취 하에서 검상돌기로부터 하방 약 2.5cm의 부분부터 중위선을 따라서 하부에 약 3cm 절개해서 개복했다. 맹장을 노출시키고, 거즈로 표면의 직경 1.5cm의 원 내부를 50회 찰과상를 입히고, 메스 블레이드로 찰과부를 추가로 50회 상처를 입혀서 점상 출혈시켰다. 다음에 전기메스로 맹장의 찰과부에 접하는 복벽의 표면 직경 1.5cm의 원 내부를 소작(燒灼)했다. 맹장의 찰과부와 복벽의 소작부(cauterized part)가 접하도록 7-0나일론 봉합사로 4군데를 고정했다. 개복 상처의 복벽과 피부를 봉합해서 복부를 닫았다. 30일간의 통상 사육 후, 개복해서 맹장 찰과부와 복벽 소작부(cauterized part) 사이의 유착 상태를 평가했다. 맹장 찰과부와 복벽 소작부(cauterized part) 사이를 박리할 때의 정도, 출혈량, 유착의 에리어, 및 유착의 타입에 의해, 표 1의 척도로 스코어화해서 유착을 평가했다. 유착 스코어는 평가 항목 A∼D의 스코어의 토탈로 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6에서는, 이하의 처치 그룹을 평가했다. (1) 컨트롤 그룹, (2) 유착 방지재 그룹. (2)의 유착 방지재는 맹장 찰과부와 복벽 소작부(cauterized part)의 사이에 고정했다. 유착 스코어를 평가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내의 유착 스코어는 표 1의 A∼D의 스코어를 합친 것을 나타냈다.
Figure pct00002
표 3로부터 확실한 바와 같이, 탈세포화 조직과 피브린 글루를 복합화함으로써 복부에 있어서도 매우 뛰어난 유착 방지 효과를 확인했다.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는 Mann-Whitney의 U검정에 의해 컨트롤 그룹과 비교해서 유의차를 인정했다(*:p<0.01).
실시예 7
1. 탈세포화 조직의 조제
탈세포화 조직은 고정수압법을 사용해서 제작했다. 소의 심막을 생리식염수와 함께, 폴리에틸렌 백에 넣고 밀봉했다. Dr.Chef(Kobe Steel, Ltd.)를 사용해서 3,000∼10,000atm의 고정수압 처리 실시했다. 고정수압 처리한 소 심막은 핵산 분해효소 함유 세정액, 알코올 함유 세정액에 의해 세정하고, 소 심막 유래의 탈세포화 조직을 얻었다. 탈세포화 조직의 막 두께는 400㎛이었다.
2. 유착 방지재의 제작(탈세포화 조직과 피브린 글루의 복합화)
1.에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을 동결건조 후, 양면에 피브린 글루를 도포해서 유착 방지재를 제작했다. 피브린 글루는 도포기구를 사용해서 80㎎/㎖ 피브리노겐 용액과 250U/㎖ 트롬빈 용액을 혼합해서 제작했다. 피브리노겐 용액은 Bolheal의 피브리노겐 동결건조 분말과 피브리노겐 용해액을 사용해서 조제했다. 트롬빈 용액은, Bolheal의 트롬빈 동결건조 분말과 트롬빈 용해액을 사용해서 조제했다.
3. 토끼 복막 유착 모델 실험
복막 유착 모델 실험은 15∼20개월령의 일본백색종 웅성 토끼를 사용해서 다음과 같이 실시했다. 우선, 마취 처치후, 복부 체모를 제거하고, 복부피부표면을 소독했다. 소독한 피부를 메스를 사용해서 절개하고, 피부와 복벽을 박리했다. 복벽을 1.5cm x 2cm 제거하고, 맹장의 위치를 확인했다. 맹장표면을 전기메스에 의해 소작(燒灼)하고, 맹장 소작부(cauterized part)를 체표측으로 하고, 맹장을 복벽 결손부에 봉합 고정했다. 복벽 결손부에, 유착 방지재 2cm × 2.5cm를 봉합했다. 근육층, 피부의 상처를 닫고, 각성 처치를 실시하고, 보행 확인 후에 토끼를 사육 케이지로 되돌려 보내고, 소정 기간 사육했다.
1주일의 통상 사육의 시험기간 후, 개복해서 유착 방지재와 맹장간의 유착 상태를 평가했다. 유착 방지재와 맹장을 박리할 때의 정도에 의해, 이하의 척도로 스코어화해서 유착을 평가했다. 평가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유착 방지성 평가기준>
유착 그레이드 0: 유착 없음
유착 그레이드 1: 유착을 용이하게 박리가능
유착 그레이드 2: 유착을 둔적으로(bluntly) 박리 가능
유착 그레이드 3: 유착을 예적으로(sharply) 박리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8
통상 사육의 시험기간을 1주에서 4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해서 실시했다. 평가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9
탈세포화 조직을, 소의 심막을 탈세포화한 조직으로부터, 돼지의 소장 점막하 조직을 탈세포화한 조직으로 변경한 것과, 그 탈세포화 조직의 막 두께가 100㎛인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해서 실시했다. 평가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통상 사육의 시험기간을 1주에서 4주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9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평가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5
실시예 7의 탈세포화 조직의 조제에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을 피브린 글루와의 복합화는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해서 토끼 복막 유착 모델 실험을 실시했다. 통상 사육의 시험기간은 1주일로 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실시예 7의 탈세포화 조직의 조제에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을 피브린 글루와의 복합화는 실시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해서 토끼 복막 유착 모델 실험을 실시했다. 통상 사육의 시험기간은 4주일로 했다. 결과를 표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착 방지재는 뛰어난 유착 방지성을 가지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유착 방지재, 특히 조직 재생을 따르는 대용 생체막으로서 이용가능하다.

Claims (38)

  1.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
  2. 제1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이 심막, 방광, 양막, 경막, 복막, 횡격막, 근막, 소장 점막하 조직 및 피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생체 유래 조직을 탈세포화한 조직인 유착 방지재.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이 생체 유래 조직에 고정수압 처리,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해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인 유착 방지재.
  4. 제3 항에 있어서,
    고정수압 처리가 생체 유래 조직에 매체 중에서 50∼1,500MPa의 정수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천연 유래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인 유착 방지재.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피브린 글루인 유착 방지재.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복합화되어 있는 유착 방지재.
  8. 제7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유착 방지재.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착 방지재가 유착 방지막이고, 막 두께가 10∼5,000㎛인 유착 방지재.
  10.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복합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의 제조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제조방법.
  12.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재 키트.
  13. 제12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이 심막, 방광, 양막, 경막, 복막, 횡격막, 근막, 소장 점막하 조직 및 피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조직을 탈세포화한 조직인 키트.
  14. 제12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이 생체 유래 조직에 고정수압 처리,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해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인 키트.
  15. 제14 항에 있어서,
    고정수압 처리가 생체 유래 조직에 매체 중에서 50∼1,500MPa의 정수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트.
  16. 제12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피브린 글루인 키트.
  17. 제12 항 내지 제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복합화되어 있는 키트.
  18. 제17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키트.
  19. 제12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착 방지재가 유착 방지막이고, 막 두께가 10∼5,000㎛인 키트.
  20.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
  21. 제20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이, 심막, 방광, 양막, 경막, 복막, 횡격막, 근막, 소장 점막하 조직 및 피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생체 유래 조직을 탈세포화한 조직인 대용 생체막.
  22. 제20 항 또는 제21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이 생체 유래 조직에 고정수압 처리,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해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인 대용 생체막.
  23. 제22 항에 있어서,
    고정수압 처리가 생체 유래 조직에 매체 중에서 50∼1,500MPa의 정수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
  24. 제20 항 내지 제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천연 유래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인 대용 생체막.
  25. 제20 항 내지 제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피브린 글루인 대용 생체막.
  26. 제20 항 내지 제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복합화되어 있는 대용 생체막.
  27. 제26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대용 생체막.
  28. 제20 항 내지 제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막 두께가 10∼5,000㎛인 대용 생체막.
  29.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복합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의 제조방법.
  30. 제29 항에 있어서,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제조방법.
  31. 탈세포화 조직,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대용 생체막 키트.
  32. 제31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이 심막, 방광, 양막, 경막, 복막, 횡격막, 근막, 소장 점막하 조직 및 피부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조직을 탈세포화한 조직인 키트.
  33. 제31 항 또는 제32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이 생체 유래 조직에 고정수압 처리, 또는 계면활성제 처리해서 수득된 탈세포화 조직인 키트.
  34. 제33 항에 있어서,
    고정수압 처리가 생체 유래 조직에 매체 중에서 50∼1,500MPa의 정수압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트.
  35. 제31 항 내지 제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피브린 글루인 키트.
  36. 제31 항 내지 제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에 생체 적합성 고분자가 복합화되어 있는 키트.
  37. 제36 항에 있어서,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복합화가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탈세포화 조직으로의 함침 또는 도포인 키트.
  38. 제31 항 내지 제3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용 생체막의 막 두께가 10∼5,000㎛인 키트.
KR1020177027526A 2015-03-12 2016-03-07 탈세포화 조직을 사용한 유착 방지재 및 대용 생체막 KR102376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9922 2015-03-12
JP2015049922 2015-03-12
PCT/JP2016/057014 WO2016143746A1 (ja) 2015-03-12 2016-03-07 脱細胞化組織を用いた癒着防止材及び代用生体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385A true KR20170128385A (ko) 2017-11-22
KR102376321B1 KR102376321B1 (ko) 2022-03-17

Family

ID=5688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526A KR102376321B1 (ko) 2015-03-12 2016-03-07 탈세포화 조직을 사용한 유착 방지재 및 대용 생체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33661B2 (ko)
EP (1) EP3269402A4 (ko)
JP (1) JP6793113B2 (ko)
KR (1) KR102376321B1 (ko)
CN (1) CN107530476A (ko)
BR (1) BR112017018772B1 (ko)
CA (1) CA2978401C (ko)
TW (1) TWI715560B (ko)
WO (1) WO20161437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484A (ko)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사용성이 개선된 유착방지막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822A1 (en) * 2017-07-14 2019-01-17 Wuhan Kangchuang Technology Co., Ltd. COMPOSITE MEMBRANE COMPRISING A DECELLULARIZED AMNIOTIC MEMBRAN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CN109886782A (zh) * 2019-02-01 2019-06-14 广州市格利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活体在线交易方法、运营管理平台
CN114144206B (zh) * 2019-08-01 2023-03-24 Km生物医药股份公司 使用生物相容性聚合物的组织纤维化抑制剂
AU2020358081A1 (en) * 2019-10-03 2022-04-14 Bioaesthetics Corporation Polymer-permeated graf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2206350A (zh) * 2020-09-23 2021-01-12 张飞 一种用于制作生物瓣膜的牛心包组织的预处理办法
CN112516371A (zh) * 2020-12-23 2021-03-19 医工瑞思(福建)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组织特异性伤口敷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I823351B (zh) * 2021-07-09 2023-11-21 高雄醫學大學 人工網膜
WO2024098892A1 (zh) * 2022-11-08 2024-05-16 江苏臻亿医疗科技有限公司 抗钙化动物源性生物材料、制备方法及其在人工心脏瓣膜、生物补片的应用

Citation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01540A (ja) 1983-06-10 1985-09-19 ユニバ−シテイ パテンツ,インコ−ポレイテイド 細胞外マトリクスの体移植片並びに該移植片の製造及び使用のための手段及び方法
JPH11502431A (ja) 1995-01-16 1999-03-02 バクスタ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手術後の癒着を防止するための架橋化フィブリンの自己支持シート様材料
JP2000116765A (ja) 1998-10-15 2000-04-25 Kuraray Co Ltd 癒着防止用材料
JP2001327592A (ja) 2000-05-22 2001-11-27 Aventis Behring Gmbh 抗癒着特性が改善された組織接着剤
JP2002507907A (ja) 1997-06-27 2002-03-12 バーダー、アウグスチヌス 生合成移植片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500170A (ja) 1999-06-01 2003-01-07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フィブリンモノマー・シーラントを用いる術後癒着の予防
JP2003518981A (ja) 1999-12-29 2003-06-17 チルドレンズ メディカル センタ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臓器脱細胞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2003525062A (ja) 1998-09-30 2003-08-26 メ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移植で使用される組織の無機質化を減少させる方法
JP2004051531A (ja) 2002-07-19 2004-02-19 Denki Kagaku Kogyo Kk 水難溶性化した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を含有する癒着防止材
JP2004065780A (ja) 2002-08-08 2004-03-04 Gunze Ltd 生体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癒着防止材
JP2004097552A (ja) 2002-09-10 2004-04-02 National Cardiovascular Center 超高静水圧印加による移植用生体組織の処理方法
JP2005185507A (ja) 2003-12-25 2005-07-14 Yoshihiro Takami 皮膚の分離無細胞化方法、無細胞化真皮マトリ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無細胞化真皮マトリックスを用いた複合培養皮膚
JP2005211480A (ja) 2004-01-30 2005-08-11 Yoshihiro Takami 皮膚の分離無細胞化方法、無細胞化真皮マトリ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無細胞化真皮マトリックスを用いた複合培養皮膚
WO2008111530A1 (ja) 2007-03-09 2008-09-18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脱細胞化軟組織の調製方法、移植片、及び培養部材
US20100190254A1 (en) * 2006-12-05 2010-07-29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Three-dimensional porous hybrid scaffold and manufacture thereof
JP2010221012A (ja) 2009-02-25 2010-10-07 Kobe Univ 高張電解質溶液による生体組織の脱細胞化処理方法
JP2010284216A (ja) 2009-06-09 2010-12-24 Hogi Medical:Kk 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064050A1 (en) * 2009-02-04 2012-03-15 Yale University Tissue Engineering of Lung
KR20120134096A (ko) * 2009-10-07 2012-12-11 케레시스 이에이치에프 상처 치료 및/또는 다른 조직의 치유 적용을 위한 스캐폴드 재료
JP2013502275A (ja) 2009-08-18 2013-01-24 ライフセル コーポレーション 組織の処理方法
JP2013503696A (ja) 2009-09-02 2013-02-04 ライフセル コーポレーション 無細胞性組織マトリックスに由来する血管移植片
JP2013517292A (ja) * 2010-01-14 2013-05-16 オーガノジェネ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物工学によって作られた組織コンストラクトならびにそれを生成および使用するための方法
JP2013524837A (ja) * 2010-04-28 2013-06-20 ザ ジェイ. デヴィッド グラッドストーン インスティテューツ 心筋細胞を発生させるための方法
JP2013226166A (ja) 2012-04-24 2013-11-07 Gunze Ltd 生体吸収性癒着防止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465A (ja) * 1983-03-04 1984-09-11 株式会社 バイオ・エンジニアリング・ラボラトリ−ズ 癒着阻止性医用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US4801299A (en) 1983-06-10 1989-01-31 University Patents, Inc. Body implants of extracellular matrix and mea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implants
DE69724827T2 (de) 1996-12-10 2004-08-12 Purdue Research Foundation, West Lafayette Rohrförmige transplantatkonstruktionen aus submucosalem gewebe
US6254627B1 (en) 1997-09-23 2001-07-03 Diseno Y Desarrollo Medico S.A. De C.V. Non-thrombogenic stent jacket
US20030225355A1 (en) * 1998-10-01 2003-12-04 Butler Charles E. Composite material for wound repair
AU2001255741B2 (en) * 2000-04-28 2005-08-04 Baylor College Of Medicine Decellularized vascular prostheses
EP1494597A4 (en) 2002-04-01 2006-05-03 Univ Texas COMPOSITE MATERIAL FOR THE WOUND REPAIR
CN100368534C (zh) * 2003-05-01 2008-02-13 四川大学华西医院 生物衍生羊膜、复合生物衍生羊膜及其制备方法
US20070269791A1 (en) 2003-12-25 2007-11-22 Yoshisiro Takami Method of Preparing Isolated Cell-Free Skin, Cell-Free Dermal Matrix,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Composite Cultured Skin with The Use of the Cell-Free Dermal Matrix
ES2532666T3 (es) * 2005-07-29 2015-03-30 Solasia Pharma K.K. Compuestos y métodos para el tratamiento del cáncer
CN2894145Y (zh) * 2006-01-06 2007-04-25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伴音静音电路及具有所述静音电路的电视机
JP2007268239A (ja) 2006-03-07 2007-10-18 National Cardiovascular Center 人工血管
AU2008237733A1 (en) 2007-04-16 2008-10-23 Tissue Science Laboratories Plc Vascular implant
JP2009050297A (ja) 2007-08-23 2009-03-12 Tokyo Medical & Dental Univ 脱細胞処理液、脱細胞化組織の調製方法、移植片、及び培養部材
US8883210B1 (en) 2010-05-14 2014-11-11 Musculoskeletal Transplant Foundation Tissue-derived tissuegenic implants, and methods of fabricating and using same
WO2014034759A1 (ja) * 2012-08-31 2014-03-06 国立大学法人京都大学 加圧処理を用いた組織の脱細胞化方法
WO2014109185A1 (ja) 2013-01-08 2014-07-17 一般財団法人化学及血清療法研究所 脱細胞化血管シートを用いた人工血管
CN103405811B (zh) 2013-08-16 2015-10-28 陕西佰傲再生医学有限公司 一种防粘连生物膜及其制备方法
CN103520780B (zh) * 2013-10-24 2015-03-25 陕西瑞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生物羊膜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01540A (ja) 1983-06-10 1985-09-19 ユニバ−シテイ パテンツ,インコ−ポレイテイド 細胞外マトリクスの体移植片並びに該移植片の製造及び使用のための手段及び方法
JPH11502431A (ja) 1995-01-16 1999-03-02 バクスタ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手術後の癒着を防止するための架橋化フィブリンの自己支持シート様材料
JP2002507907A (ja) 1997-06-27 2002-03-12 バーダー、アウグスチヌス 生合成移植片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525062A (ja) 1998-09-30 2003-08-26 メドトロニック・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移植で使用される組織の無機質化を減少させる方法
JP2000116765A (ja) 1998-10-15 2000-04-25 Kuraray Co Ltd 癒着防止用材料
JP2003500170A (ja) 1999-06-01 2003-01-07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フィブリンモノマー・シーラントを用いる術後癒着の予防
JP2003518981A (ja) 1999-12-29 2003-06-17 チルドレンズ メディカル センタ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臓器脱細胞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JP2001327592A (ja) 2000-05-22 2001-11-27 Aventis Behring Gmbh 抗癒着特性が改善された組織接着剤
JP2004051531A (ja) 2002-07-19 2004-02-19 Denki Kagaku Kogyo Kk 水難溶性化した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を含有する癒着防止材
JP2004065780A (ja) 2002-08-08 2004-03-04 Gunze Ltd 生体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癒着防止材
JP2004097552A (ja) 2002-09-10 2004-04-02 National Cardiovascular Center 超高静水圧印加による移植用生体組織の処理方法
JP2005185507A (ja) 2003-12-25 2005-07-14 Yoshihiro Takami 皮膚の分離無細胞化方法、無細胞化真皮マトリ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無細胞化真皮マトリックスを用いた複合培養皮膚
JP2005211480A (ja) 2004-01-30 2005-08-11 Yoshihiro Takami 皮膚の分離無細胞化方法、無細胞化真皮マトリ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無細胞化真皮マトリックスを用いた複合培養皮膚
US20100190254A1 (en) * 2006-12-05 2010-07-29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Three-dimensional porous hybrid scaffold and manufacture thereof
WO2008111530A1 (ja) 2007-03-09 2008-09-18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脱細胞化軟組織の調製方法、移植片、及び培養部材
US20120064050A1 (en) * 2009-02-04 2012-03-15 Yale University Tissue Engineering of Lung
JP2010221012A (ja) 2009-02-25 2010-10-07 Kobe Univ 高張電解質溶液による生体組織の脱細胞化処理方法
JP2010284216A (ja) 2009-06-09 2010-12-24 Hogi Medical:Kk カルボキシメチルセルロース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502275A (ja) 2009-08-18 2013-01-24 ライフセル コーポレーション 組織の処理方法
JP2013503696A (ja) 2009-09-02 2013-02-04 ライフセル コーポレーション 無細胞性組織マトリックスに由来する血管移植片
KR20120134096A (ko) * 2009-10-07 2012-12-11 케레시스 이에이치에프 상처 치료 및/또는 다른 조직의 치유 적용을 위한 스캐폴드 재료
JP2013517292A (ja) * 2010-01-14 2013-05-16 オーガノジェネシ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物工学によって作られた組織コンストラクトならびにそれを生成および使用するための方法
JP2013524837A (ja) * 2010-04-28 2013-06-20 ザ ジェイ. デヴィッド グラッドストーン インスティテューツ 心筋細胞を発生させるための方法
JP2013226166A (ja) 2012-04-24 2013-11-07 Gunze Ltd 生体吸収性癒着防止材料

Non-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kira Fujishita et al., Gynecologic and Obstetric Surgery, 2002; 13:91-98
Cunningham J N, Jr., et al.,J Thorac Cardiovasc Surg. 1975; 70:119-25
Dobell AR., et al., Ann Thorac Surg.1984; 37:273-8
Haensig et al., Medical Devices: Evidence and Research 2011; 4:17-25
Hiroshi Sakuma et al., Artificial Organs, 2000; 29(1):233-238
Kiyoji Okuda et al., The World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993; 45(9):759-764
Lodge AJ, et al., Ann Thorac Surg. 2008; 86:614-621
Ray NF. et al., J. Am. Coll. Surg. 1998; 186:1-9
Takamichi Sato et al., Obstetrics and Gynecology, 1990; 57(12):2398-2404
Tsuneo Fukushima et al., Surgical Therapy, 2006; 94(6):919-92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484A (ko) 2020-03-27 2021-10-07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사용성이 개선된 유착방지막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18772B1 (pt) 2021-09-21
TWI715560B (zh) 2021-01-11
BR112017018772A2 (pt) 2018-04-17
WO2016143746A1 (ja) 2016-09-15
EP3269402A4 (en) 2018-12-05
JP6793113B2 (ja) 2020-12-02
TW201639585A (zh) 2016-11-16
KR102376321B1 (ko) 2022-03-17
CN107530476A (zh) 2018-01-02
CA2978401A1 (en) 2016-09-15
EP3269402A1 (en) 2018-01-17
US11033661B2 (en) 2021-06-15
CA2978401C (en) 2022-04-12
US20180078679A1 (en) 2018-03-22
JPWO2016143746A1 (ja)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321B1 (ko) 탈세포화 조직을 사용한 유착 방지재 및 대용 생체막
US20230302198A1 (en) Decellularized biomaterial from non-mammalian tissue
US8741354B2 (en) Composite extracellular matrix materials and medical products formed therefrom
KR102501235B1 (ko) 탈세포화 조직
JP2015508696A (ja) コラーゲン被覆組織ベース膜
CN106880872A (zh) 天然细胞外基质生物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Gujjar et al. Stabilized human amniotic membrane for enhanced sustainability and biocompatibility
CN113301928B (zh) 生物支架和用于制备其的方法
US10052400B2 (en) Method for preparing neutralized matrix of non-antigenic collagenous material
JP7472142B2 (ja) 生体適合性高分子を用いた組織の線維化抑制剤
WO2017205740A1 (en) Process for preparing tissue regeneration matrix
KR101591279B1 (ko) 혈관용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Wang et al. The Next Step in In-Vivo Liver Engineering: Generation of an In vivo Liver Lobe Scaffold Which is Structurally Intact and Physiologically Reperfusable
TWI533860B (zh) 細胞移除後生物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