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056A - 로킹/언로킹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킹/언로킹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056A
KR20170125056A KR1020177027014A KR20177027014A KR20170125056A KR 20170125056 A KR20170125056 A KR 20170125056A KR 1020177027014 A KR1020177027014 A KR 1020177027014A KR 20177027014 A KR20177027014 A KR 20177027014A KR 20170125056 A KR20170125056 A KR 20170125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ignal
unlocking
control un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494B1 (ko
Inventor
신이치로 히다카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5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L11/182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26Methods for pairing a vehicle and a charging station, e.g. establishing a one-to-one relation between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a wireless power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72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with means for preventing jamming or interference of a remote switch control sign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05B49/004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actuating mechanical switch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10Emission reduction
    • B60L2270/14Emission reduction of noise
    • B60L2270/147Emission reduction of noise electro magnetic [EMI]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7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in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로킹/언로킹 시스템(1)은, 차량에 설치되어, 지상에 설치된 지상 코일(11)로부터 제1 주파수로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차량 코일(21)을 갖는 수전 장치(2)와, 상기 차량(V)에 설치되어,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스위치(31)와, 조작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소정 거리 내에 있는 키 장치(8)와 제1 주파수 근방의 제2 주파수로 무선 통신하고, 키 장치(8)와의 무선 통신이 성공함에 따라서, 차량(V)에 설치된 로크를 로킹/언로킹하는 로킹/언로킹 제어부(41)와,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조작 신호를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출력하는 신호 판단부(52)와,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가 신호 판단부(52)에 입력되도록 배선을 접속시키는 배선 스위치(51)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로킹/언로킹 시스템
본 발명은, 비접촉 수전 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의 로킹/언로킹을 행하는 로킹/언로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상측의 코일과 차량측의 코일을 사용하여 비접촉으로 충전되는 차량에 있어서, 기계적인 키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 기기인 키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차량의 로킹/언로킹을 행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차량의 도어의 스위치가 눌러지면 충전 동작을 휴지하고, 충전 동작의 휴지에 따라서 키와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비접촉 충전에 의한 혼신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1699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로킹/언로킹에 관한 제어부를, 비접촉 충전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와 통신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로킹/언로킹에 관한 구성에 있어서, 종래 구성으로부터 복잡한 사양 변경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한 혼신 시의 유저의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로킹/언로킹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로킹/언로킹 시스템은, 비접촉 전력 전송 시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로부터의 조작 신호가 로킹/언로킹에 관한 제어부에 입력되지 않고, 일단, 비접촉 전력 전송에 관한 제어부에 입력되게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킹/언로킹 시스템이 적용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킹/언로킹 시스템이 구비하는 배선 스위치의, 수전 장치가 비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의 상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킹/언로킹 시스템이 구비하는 배선 스위치의, 수전 장치가 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의 상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킹/언로킹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로킹/언로킹 시스템이 구비하는 배선 스위치의, 수전 장치가 비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의 상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로킹/언로킹 시스템이 구비하는 배선 스위치의, 수전 장치가 수전 동작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로킹/언로킹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비접촉 충전 시스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킹/언로킹 시스템(1)이 적용된 비접촉 급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V)과, 차량(V)의 키가 되는 키 장치(8)와, 비접촉으로 차량(V)에 급전하는 급전 장치(10)를 구비한다. 차량(V)은,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차 등,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차량이다.
급전 장치(10)는, 급전용 주차 스페이스(PS)에 배치된 지상 코일(11)과, 지상 코일(11)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12)와, 급전 장치(10)가 행하는 처리에 필요한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3)와, 무선 통신부(14)를 구비한다. 지상 코일(11)은, 차량(V)에 설치된 차량 코일(21)에 비접촉으로 송전한다. 지상 코일(11) 및 차량 코일(21)은 각각, 권회된 도전선을 포함하고, 1차 코일 및 2차 코일로서 기능한다.
전력 제어부(12)는, 정류부(121)와, 역률 개선(PFC) 회로(122)와, 인버터(123)를 구비한다. 전력 제어부(12)는, 교류 전원(SS)으로부터 송전되는 교류 전력을, 고주파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지상 코일(11)에 전력을 송전한다.
정류부(121)는, 교류 전원(SS)으로부터의 출력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PFC 회로(122)에 출력한다. PFC 회로(122)는, 정류부(121)로부터의 출력 파형을 정형함으로써 역률을 개선하여, 인버터(123)에 출력한다.
인버터(123)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등의 스위칭 소자를 갖는 펄스폭 변조(PWM)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회로이다. 인버터(123)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전환함으로써, 직류 전력을 예를 들어 85kHz 정도의 저주파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지상 코일(11)에 공급한다.
무선 통신부(14)는, 제어부(13)에 의한 제어에 따라, 차량(V)에 설치된 무선 통신부(6)와 쌍방향으로 통신을 행한다. 제어부(13)는, 무선 통신부(14) 및 무선 통신부(6) 사이의 통신에 의해 급전 장치(10)로부터의 급전의 개시를 통지하는 신호를 차량(V)측에 송신하거나, 급전 장치(10)로부터의 급전의 개시를 요구하는 신호를 차량(V)측으로부터 수신하거나 한다. 또한, 제어부(13)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인버터(123)의 스위칭 제어를 행하고, 지상 코일(11)에 공급하는 전력을 제어한다.
차량(V)은, 수전 장치(2)와, 도어부(3)와, 로킹/언로킹 제어부(41)와, LF(Low Frequency) 발신기(42)와, RF(Radio Frequency)와, 수전 제어부(5)와, 무선 통신부(6)와, 통지 장치(7)를 구비한다. 수전 장치(2)는, 차량 코일(21)과, 정류부(22)와, 릴레이부(23)와, 배터리(24)와, 인버터(25)와, 모터(26)를 구비한다.
차량 코일(21)은 차량(V)의 저면에 설치된다. 차량 코일(21)은, 차량(V)이 주차 스페이스(PS)에 적정하게 주차되면, 지상에 설치된 지상 코일(11)과 소정 거리 떨어져서 서로 대향한 상태로 된다. 차량 코일(21)은, 지상 코일(11)에 전력 제어부(12)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지상 코일(11)과의 사이에서 자기적인 결합을 일으키고, 전자기 유도에 의해 지상 코일(11)로부터 비접촉 전력 전송된다. 즉, 차량 코일(21)은, 지상 코일로부터 제1 주파수로 비접촉으로 수전한다.
정류부(22)는, 차량 코일(21)에 있어서 수전된 교류 전력을 직류로 정류한다. 릴레이부(23)는, 수전 제어부(5)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온/오프가 전환되는 릴레이 스위치를 구비한다. 릴레이부(23)는,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로 함으로써, 배터리(24)측과 정류부(22)측을 분리한다. 배터리(24)는, 서로 접속된 복수의 이차 전지로 구성된다.
인버터(25)는, IGBT 등의 스위칭 소자를 갖는 PWM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회로이다. 인버터(25)는, 스위칭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를 전환함으로써, 배터리(24)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차량(V)의 구동력으로서 모터(26)에 공급한다. 모터(26)는, 예를 들어 삼상의 교류 전동기로 구성된다.
도어부(3)는, 차량(V)의 외면에 설치되어,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스위치(31)와, 차량(V)의 도어에 설치되어,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도어의 로킹/언로킹을 행하는 로크(32)를 구비한다.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조작 스위치(31)의 조작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소정 거리 내에 있는 키 장치(8)와 무선 통신하고, 키 장치(8)와의 무선 통신이 성공함에 따라서, 로크(32)를 로킹/언로킹한다.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로크(32)의 로킹/언로킹에 관한 처리를 제어하는 일렉트로닉 컨트롤 유닛(ECU)이다.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LF 발신기(42) 및 RF 수신기(43)를 사용하여, 키 장치(8)와 무선 통신한다. LF 발신기(42)는,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의한 제어에 따라, 소정의 LF 신호를 발신한다. RF 수신기(43)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출력한다.
키 장치(8)는, 키 제어부(81)와, LF 수신기(82)와, RF 발신기(83)를 구비한다. 키 제어부(81)는, LF 수신기(82) 및 RF 발신기(83)를 사용하여, 차량(V)의 로킹/언로킹 제어부(41)와 무선 통신한다. LF 수신기(82)는, LF 신호를 수신하고, 키 제어부(81)에 출력한다. 키 제어부(81)는, 소정의 LF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RF 발신기(83)가 키 장치(8)의 식별자(ID)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발신하도록 RF 발신기(83)를 제어한다.
여기서, LF 발신기(42)와 LF 수신기(82) 사이의 통신은, 제1 주파수 근방의 제2 주파수로 행해진다. LF 발신기(42)는, 예를 들어 130kHz 정도의 저주파의 LF 신호를 발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주파수 근방」이란, 제2 주파수의 통신에 있어서, 제1 주파수의 신호에 의해 혼신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주파수인 것을 의미한다.
RF 발신기(83)는, 예를 들어 300MHz 정도의 극초단파의 RF 신호를 발신한다.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수신된 RF 신호를 RF 수신기(43)에 의해 입력된다.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RF 신호에 포함되는 ID가, 미리 기억된 ID에 일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키 장치(8)와의 무선 통신이 성공한 것으로 판정한다.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키 장치(8)와의 무선 통신이 성공함에 따라서, 로크(32)를 로킹/언로킹한다.
수전 제어부(5)는, 주로, 배터리(24)를 충전하기 위하여 차량 코일(21)의 수전 동작을 제어하는 ECU이다. 수전 제어부(5)는, 배선 스위치(51)와, 신호 판단부(52)와, 충전 제어부(53)를 구비한다. 배선 스위치(51)는, 예를 들어 수전 제어부(5)에 탑재되어, 조작 스위치(31)와 로킹/언로킹 제어부(41) 사이에 접속된다. 배선 스위치(51)는, 기계적으로 배선을 전환하는 기계 스위치와, 수전 제어부(5)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기계 스위치를 전환하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된다. 배선 스위치(51)는, 조작 스위치(31)와 로킹/언로킹 제어부(41) 사이에 접속된다.
배선 스위치(5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 장치(2)의 비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가 직접적으로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입력되도록 배선을 접속시킨다. 배선 스위치(51)는, 수전 장치(2)의 비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일단부가 조작 스위치(31)에 접속된 배선(L1)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접속된 배선(L2)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배선(L2)은, 배선 스위치(51)를 경유하여 타단부가 신호 판단부(52)에 접속된다. 배선(L2)은, 배선 스위치(51)에 있어서, 배선(L2)의 타단부가 접속됨으로써, 배선(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 스위치(5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가 직접적으로 신호 판단부(52)에 입력되도록 배선을 접속시킨다. 배선 스위치(51)는, 배선(L1)의 타단부가, 신호 판단부(52)에 접속되는 접점(N)에 접속됨으로써, 조작 스위치(31)와 신호 판단부(5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킴과 함께, 배선(L1)과 배선(L2)을 분리한다.
신호 판단부(52)는,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입력된 조작 신호를 기억한다. 신호 판단부(52)는, 조작 스위치(31)의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있어서, 입력된 조작 신호를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출력한다. 또한, 신호 판단부(52)는, 조작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무선 통신부(6)를 통해 급전 장치(10)에 급전의 정지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을 억제한다.
신호 판단부(52)는, 급전 장치(10)와의 통신 또는 수전 장치(2)의 수전 상태로부터,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이 소정의 상태(예를 들어 0W)까지 억제되어, 억제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신호 판단부(52)는,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의 억제가 완료됨에 따라서, 기억한 조작 신호를,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출력한다.
충전 제어부(53)는, 급전 장치(10)에 의한 급전의 개시를 요구하는 신호 등을, 무선 통신부(6, 14)를 통해, 제어부(13)에 송신함으로써, 지상 코일(11)로부터의 급전을 개시시킨다. 수전 장치(2)는, 충전 제어부(53)에 의한 제어에 따라, 정류부(22) 및 릴레이부(2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코일(21)에 있어서 지상 코일(11)로부터 수전한 전력을 배터리(24)에 공급하고, 배터리(24)를 충전한다.
충전 제어부(53)는, 인버터(25)의 스위칭 제어나, 배터리(24)의 충전 상태(SOC) 등을 관리하는 컨트롤러와 CAN(Controller Area Network)으로 접속되어 있다. 충전 제어부(53)는, 배터리(24)가 만충전에 도달한 것을 통지하는 신호를, CAN을 통해 이 컨트롤러로부터 수신하면, 급전의 종료를 요구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6, 14)를 통해, 제어부(13)에 송신한다.
통지 장치(7)는, 광을 발하는 광원, 문자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경고음이나 로킹/언로킹음 등의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등에 의해 구성된다. 통지 장치(7)는,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광이나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유저에 대하여 정보를 통지한다.
(로킹/언로킹 시스템(1)의 동작)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킹/언로킹 시스템(1)의 동작 일례를 설명한다.
스텝 S1에 있어서, 수전 제어부(5)는, 급전 장치(10)와의 통신 또는 수전 장치(2)의 수전 상태로부터, 수전 장치(2)가 급전 장치(10)로부터의 수전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전 동작 중인 경우, 스텝 S2로 처리를 진행하고, 비수전 동작 중인 경우 스텝 S7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7에 있어서, 수전 제어부(5)는,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가 직접적으로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입력되도록 배선 스위치(51)를 전환하고, 처리를 종료하여 수전 제어부(5)의 처리를 스텝 S11로부터 반복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수전 제어부(5)의 신호 판단부(52)는, 조작 스위치(31)가 조작되었는지 여부, 즉,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에 있어서는 수전 장치(2)가 수전 동작 중이기 때문에, 배선 스위치(51)는,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가 직접적으로 신호 판단부(52)에 입력되도록 배선을 접속시키고 있다. 신호 판단부(52)는,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조작 신호를 기억하여 스텝 S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조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처리를 종료하여 수전 제어부(5)의 처리를 스텝 S1로부터 반복한다.
스텝 S3에 있어서, 신호 판단부(52)는, 조작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무선 통신부(6)를 통해 급전 장치(10)에 급전의 일시적인 정지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을 일시적으로 억제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신호 판단부(52)는, 급전 장치(10)와의 통신 또는 수전 장치(2)의 수전 상태로부터, 급전 장치(10)의 급전 동작, 즉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이 소정의 상태까지 억제되어, 억제가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억제가 완료된 경우, 스텝 S5로 처리를 진행하고, 억제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스텝 S3으로 처리를 복귀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신호 판단부(52)는,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의 억제가 완료됨에 따라서, 스텝 S2에 있어서 기억한 조작 신호를,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출력한다.
스텝 S21에 있어서,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조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스텝 S22로 처리를 진행하고, 조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처리를 종료하여 스텝 S21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22에 있어서,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소정의 LF 신호를 LF 발신기(42)에 제2 주파수로 발신시킨다.
스텝 S31에 있어서, LF 발신기(42)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있는 키 장치(8)의 LF 수신기(82)는, 스텝 S22에 있어서 발신된 LF 신호를 수신하고, 키 제어부(81)에 출력한다. 스텝 S32에 있어서, 키 제어부(81)는, 소정의 LF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RF 발신기(83)가 키 장치(8)의 ID를 포함하는 RF 신호를 발신하도록 RF 발신기(83)를 제어한다.
스텝 S23에 있어서,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스텝 S32에 있어서 발신된 RF 신호가, RF 수신기(43)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RF 수신기(43)가 RF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스텝 S24로 처리를 진행하고, 수신하지 않은 경우, 처리를 종료하여 스텝 S21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24에 있어서,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RF 수신기(43)에 의해 수신된 RF 신호에 포함되는 ID가, 미리 기억된 ID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ID가 일치하는 경우, 키 장치(8)와의 무선 통신이 성공한 것으로 보고 스텝 S25로 처리를 진행하고, ID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처리를 종료하여 스텝 S21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25에 있어서,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키 장치(8)와의 무선 통신이 성공함에 따라서, 로크(32)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로크(32)를 로킹/언로킹한다. 또한, 로킹/언로킹 제어부(41)는, 유저에 대하여 로킹/언로킹을 통지하는 로킹/언로킹음의 재생을 명령하는 로킹/언로킹 신호를 통지 장치(7)에 출력한다.
스텝 S6에 있어서, 수전 제어부(5)는, 스텝 S5의 처리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선 통신부(6)를 통해 급전 장치(10)에 급전의 일시적인 정지의 해제를 요구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수전 제어부(5)는,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의 일시적인 억제를 해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로킹/언로킹 시스템(1)에 의하면, 조작 스위치(31)와 로킹/언로킹 제어부(41) 사이에 배선 스위치(51)가 접속된다. 이에 의해,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가 신호 판단부(52)에 입력되고, 비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조작 신호가 직접적으로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입력된다. 따라서, 로킹/언로킹 시스템(1)에 의하면,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한 키 장치(8)와의 통신에 있어서의 혼신 시의 유저의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로킹/언로킹에 관한 종래 구성에 있어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흐름도에 있어서,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는 로킹/언로킹 제어부(41) 및 키 제어부(81)의 처리는, 일반적인 처리이며, 종래 구성으로부터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로킹/언로킹 시스템(1)은, 로킹/언로킹 제어부(41)의 갱신이 필요없고, 경미한 변경만으로,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한 혼신 시의 유저의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로킹/언로킹 시스템(1)에 의하면, 신호 판단부(52)가 조작 신호를 기억하여,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이 억제됨에 따라, 기억한 조작 신호를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출력한다. 따라서, 로킹/언로킹 시스템(1)에 의하면,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한 혼신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킹/언로킹 시스템(1)에 의하면, 배선 스위치(51)를 기계 스위치로 구성함으로써, 수전 장치(2)의 비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수전 제어부(5)가 기동하지 않더라도 차량(V)의 로크(32)를 로킹/언로킹할 수 있다. 따라서, 로킹/언로킹 시스템(1)에 의하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변형예)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전 제어부(5)가, 조작 신호에 따라서 급전 장치(10)에 급전의 정지를 요구함으로써,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을 억제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은 반드시 제어될 필요는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로킹/언로킹 시스템(1)을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 설명하지 않는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중복되기 때문에 생략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로킹/언로킹 시스템(1)에 있어서, 통지 장치(7)는, 수전 제어부(5)의 신호 판단부(52)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유저에 대하여 정보를 통지할 수 있도록, 신호 판단부(52)에 접속된다.
배선 스위치(5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 장치(2)의 비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가 직접적으로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입력되도록 배선을 접속시킨다. 배선 스위치(5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전 장치(2)의 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가 직접적으로 신호 판단부(52)에 입력되도록 배선을 접속시킨다.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로킹/언로킹 시스템(1)의 동작 일례를 설명한다.
스텝 S11에 있어서, 수전 제어부(5)는, 급전 장치(10)와의 통신 또는 수전 장치(2)의 수전 상태로부터, 수전 장치(2)가 급전 장치(10)로부터의 수전 동작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수전 동작 중인 경우, 스텝 S12로 처리를 진행하고, 비수전 동작 중인 경우 스텝 S15로 처리를 진행한다. 스텝 S15에 있어서, 수전 제어부(5)는,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되는 조작 신호가 직접적으로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입력되도록 배선 스위치(51)를 전환하고, 처리를 종료하여 수전 제어부(5)의 처리를 스텝 S11로부터 반복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수전 제어부(5)의 신호 판단부(52)는,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조작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에 있어서 배선 스위치(51)는, 조작 스위치(31)로부터 출력된 조작 신호가 직접적으로 신호 판단부(52)에 입력되도록 배선을 접속시키고 있다. 신호 판단부(52)는,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조작 신호를 기억하여 스텝 S13으로 처리를 진행하고, 조작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처리를 종료하여 수전 제어부(5)의 처리를 스텝 S11로부터 반복한다.
스텝 S13에 있어서, 신호 판단부(52)는, 조작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수전 장치(2)가 수전 동작 중임을 경고하는 경고음의 재생을 명령하는 경고 신호를 통지 장치(7)에 출력한다. 통지 장치(7)는, 스텝 S41에 있어서 경고 신호가 입력되면, 스텝 S42에 있어서 경고음을 재생하고, 수전 장치(2)가 수전 동작 중임을 유저에 대하여 통지한다.
스텝 S14에 있어서, 신호 판단부(52)는, 스텝 S12의 처리로부터 미리 설정된 설정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스텝 S12에 있어서 기억한 조작 신호를, 로킹/언로킹 제어부(41)에 출력한다. 설정 시간은, 예를 들어 스텝 S13에 있어서 재생을 명령한 경고음이 정지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스텝 S21 내지 S25 및 스텝 S31 내지 S32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4의 흐름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통지 장치(7)는, 스텝 S41에 있어서, 스텝 S25에 있어서 출력된 로킹/언로킹 신호가 입력되면, 스텝 S42에 있어서 로킹/언로킹음을 재생하고, 로크(32)가 로킹/언로킹된 것을 유저에 대하여 통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로킹/언로킹 시스템(1)에 의하면, 수전 장치(2)가 수전 동작 중에 조작 스위치(31)가 조작됨에 따라, 통지 장치(7)가 로킹/언로킹음을 재생한다. 따라서, 유저에 대하여 수전 장치(2)가 수전 동작 중이기 때문에 차량(V)와 키 장치(8)의 통신에 있어서 혼신의 가능성이 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예를 들어 키 장치(8)와의 통신에 있어서 혼신이 발생했다고 해도, 급전 장치(10)로부터의 급전에 기인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어, 혼신 시의 위화감이 저감된다.
(기타 실시 형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에 의해 기재하였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어, 이미 설명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32)는, 이그니션 스위치에 있어서의 로크 등, 도어의 로크 이외의 다양한 로크여도 된다.
상기 외에도, 상기 각 구성을 서로 응용한 구성 등, 본 발명은 여기에서는 기재하지 않은 각종 실시 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전 동작 시와 비수전 동작 시에 배선을 변경함으로써, 비접촉 전력 전송에 의한 혼신 시의 유저의 위화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로킹/언로킹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V: 차량
1: 로킹/언로킹 시스템
2: 수전 장치
5: 수전 제어부
7: 통지 장치
8: 키 장치(키)
11: 지상 코일
21: 차량 코일
31: 조작 스위치
32: 로크
41: 로킹/언로킹 제어부
51: 배선 스위치
52: 신호 판단부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되어, 지상에 설치된 지상 코일로부터 제1 주파수로 비접촉으로 수전하는 차량 코일을 갖는 수전 장치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조작 신호를 출력하는 조작 스위치와,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소정 거리 내에 있는 키 장치와 제1 주파수 근방의 제2 주파수로 무선 통신하고, 상기 키 장치와의 무선 통신이 성공함에 따라서, 상기 차량에 설치된 로크를 로킹/언로킹하는 로킹/언로킹 제어부와,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로킹/언로킹 제어부에 출력하는 신호 판단부와,
    상기 수전 장치의 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조작 신호가 상기 신호 판단부에 입력되도록 배선을 접속시키는 배선 스위치를 구비하는, 로킹/언로킹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판단부에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상기 수전 장치의 수전 동작을 억제하는 수전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신호 판단부는, 입력된 상기 조작 신호를 기억하고, 상기 수전 제어부에 의한 상기 수전 장치의 수전 동작의 억제가 완료됨에 따라서, 기억한 상기 조작 신호를 상기 로킹/언로킹 제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언로킹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유저에 대하여 정보를 통지하는 통지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지 장치는, 상기 신호 판단부에 상기 조작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서, 상기 수전 장치가 수전 동작 중인 것을 유저에 대하여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언로킹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스위치는, 기계 스위치이며, 상기 수전 장치의 비수전 동작 시에 있어서, 상기 조작 스위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조작 신호가 상기 로킹/언로킹 제어부에 입력되도록 배선을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언로킹 시스템.
KR1020177027014A 2015-04-07 2015-04-07 로킹/언로킹 시스템 KR1018264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0797 WO2016162936A1 (ja) 2015-04-07 2015-04-07 施解錠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056A true KR20170125056A (ko) 2017-11-13
KR101826494B1 KR101826494B1 (ko) 2018-02-06

Family

ID=5707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014A KR101826494B1 (ko) 2015-04-07 2015-04-07 로킹/언로킹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36296B2 (ko)
EP (1) EP3282553B1 (ko)
JP (1) JP6477865B2 (ko)
KR (1) KR101826494B1 (ko)
CN (1) CN107529345B (ko)
CA (1) CA2981571C (ko)
MX (1) MX365693B (ko)
RU (1) RU2660175C1 (ko)
WO (1) WO2016162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5241B2 (ja) * 2017-07-13 2021-06-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送電装置及び電力伝送システム
JP7044556B2 (ja) * 2018-01-10 2022-03-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および外部装置
JP2019157393A (ja) * 2018-03-08 2019-09-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装置、出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8923499B (zh) * 2018-08-08 2020-08-28 安力云科技(广州)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音频防盗的共享充电宝、充电装置及其控制方法
PL238856B1 (pl) * 2018-12-20 2021-10-11 Lubelska Polt Układ do bezstykowego transferu energii pomiędzy pojazdami elektrycznymi
CN112009421A (zh) * 2019-05-29 2020-12-01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的上锁及解锁方法及系统
JP2022016299A (ja) * 2020-07-10 2022-01-21 島田理化工業株式会社 非接触給電用インバータ装置、非接触給電用インバータ装置の制御方法、非接触送電装置、非接触送受電装置、非接触給電システムならびに非接触送受電システム
TWI777539B (zh) * 2021-04-30 2022-09-11 晶豐科技有限公司 免持鑰匙系統的安全解鎖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452A (ja) 2007-09-27 2009-04-23 Denso Corp 充電システム
JP5120381B2 (ja) * 2007-10-10 2013-0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081783B2 (ja) 2008-10-08 2012-1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充電システム
CN102448765B (zh) * 2009-05-28 2014-09-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充电系统、车辆以及充电系统的控制方法
DE102009033237A1 (de) * 2009-07-14 2011-01-20 Conductix-Wampfler Ag Vorrichtung zur induktiven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JP5590669B2 (ja) * 2010-07-27 2014-09-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及び電気錠システム
DE102010054470A1 (de) * 2010-12-14 2012-06-14 Conductix-Wampfler Ag Vorrichtung zur induktiven Übertragung elektrischer Energie
US9379780B2 (en) * 2010-12-16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energy transfer and continuous radio station signal coexistence
JP5711075B2 (ja) * 2011-01-14 2015-04-3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通信システム
US8265816B1 (en) * 2011-05-27 2012-09-11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to disable an electric vehicle
JP5810632B2 (ja) * 2011-05-27 2015-1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BR112013031015A2 (pt) * 2011-06-03 2016-11-29 Toyota Motor Co Ltd veículo, dispositivo elétrico, e sistema de transmissão/recepção de energia
JP5658103B2 (ja) * 2011-07-12 2015-01-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給電プラグのロック装置
JP2013198322A (ja) * 2012-03-21 2013-09-30 Tokai Rika Co Ltd 車載非接触充電システム
JP6004320B2 (ja) * 2012-04-11 2016-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錠システム
KR101387226B1 (ko) * 2012-06-22 2014-04-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JP5730262B2 (ja) * 2012-10-18 2015-06-03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車載システム、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システム
RU2518914C1 (ru) * 2012-11-19 2014-06-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ОАО "АВТОВАЗ") Бортовое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14116999A (ja) 2012-12-06 2014-06-26 Denso Corp 混信防止装置
JP2014193062A (ja) * 2013-03-28 2014-10-06 Tokai Rika Co Ltd ケーブルロック装置
CN105027388A (zh) * 2013-03-29 2015-11-04 日产自动车株式会社 非接触式供电系统以及供电装置
KR101689495B1 (ko) * 2013-03-29 2016-12-23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비접촉 급전 시스템
BR112015024999B1 (pt) * 2013-03-29 2022-09-27 Nissan Motor Co., Ltd Método de alimentação de energia a uma bobina de recepção de energia
WO2014157095A1 (ja) * 2013-03-29 2014-10-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給電装置、車両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EP2985875B1 (en) * 2013-03-29 2017-07-12 Nissan Motor Co., Ltd Contactless electricity supply system
WO2014162648A1 (ja) * 2013-04-01 2014-10-09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スケジュールの変更方法、車両、充電制御装置、及び情報入出力装置
DE102013208005A1 (de) * 2013-05-02 2014-11-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kontaktlosen Ladeeinrichtung
JP2014230301A (ja) * 2013-05-17 2014-12-08 株式会社エネルギー応用技術研究所 急速充電用電力供給システム
JP6249205B2 (ja) * 2013-07-01 2017-12-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給電装置の制御方法
JP5958432B2 (ja) * 2013-07-23 2016-08-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US9078060B2 (en) * 2013-07-25 2015-07-07 Deere & Company Sealed speaker enclosure
JP5835290B2 (ja) * 2013-08-26 2015-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システム及びペアリング方法
JP5910642B2 (ja) * 2014-01-22 2016-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非接触充電システム
US9626258B2 (en) * 2014-03-26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wireless charging management
CN106165247B (zh) * 2014-04-08 2017-11-07 日产自动车株式会社 非接触供电系统以及非接触受电装置
US9225317B1 (en) * 2014-12-22 2015-12-2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High-speed level shifter with voltage swing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981571C (en) 2019-01-15
JP6477865B2 (ja) 2019-03-06
WO2016162936A1 (ja) 2016-10-13
EP3282553A4 (en) 2018-04-25
MX2017012582A (es) 2018-01-25
KR101826494B1 (ko) 2018-02-06
CA2981571A1 (en) 2016-10-13
CN107529345B (zh) 2018-11-02
JPWO2016162936A1 (ja) 2018-02-01
RU2660175C1 (ru) 2018-07-05
US10336296B2 (en) 2019-07-02
US20180072266A1 (en) 2018-03-15
CN107529345A (zh) 2017-12-29
EP3282553A1 (en) 2018-02-14
EP3282553B1 (en) 2019-07-24
MX365693B (es)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494B1 (ko) 로킹/언로킹 시스템
JP5810632B2 (ja) 非接触給電装置
KR101234126B1 (ko) 공명형 비접촉 충전장치, 비접촉 송전장치 및 비접촉 수전장치
US10052963B2 (en) Contact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676591B1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
CN104813565B (zh) 非接触供电装置、非接触供电系统以及非接触供电方法
EP2677626B9 (en) Inverter-charger combined device for electric vehicles and method thereof
JP6566131B2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のコイル位置検出方法及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2014121126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20230347759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JP2014121125A (ja) 非接触給電システム
JP2016063600A (ja) 受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