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834A -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및 작업 상황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및 작업 상황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834A
KR20170118834A KR1020177026241A KR20177026241A KR20170118834A KR 20170118834 A KR20170118834 A KR 20170118834A KR 1020177026241 A KR1020177026241 A KR 1020177026241A KR 20177026241 A KR20177026241 A KR 20177026241A KR 20170118834 A KR20170118834 A KR 20170118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estimating
job
abnormality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115B1 (ko
Inventor
다카시 나카무라
히로시 후쿠나가
료타 다마야
마사히로 가케노
고지 사카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8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43Devices enhancing safety during maintenance
    • B66B5/005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의 이상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는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는, 승강기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을 추정하는 작업 추정부와, 센서 장치가 상기 작업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특징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작업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감시 시간의 동안에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및 작업 상황 감시 방법
이 발명은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및 작업 상황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은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를 개시한다. 당해 작업 상황 감시 장치는 가속도 센서가 검지하는 가속도의 값과 미리 설정된 이상(異常) 기준치를 비교하여 작업자의 이상을 검지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3-171383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은, 가속도 센서가 검지하는 가속도의 값과 미리 설정된 이상 기준치를 비교하는 것만으로 작업자의 이상을 검지한다. 이 때문에, 미리 설정된 이상 기준치를 넘는 충격이 작업자에게 가해졌을 때(미리 설정된 이상 기준치를 넘는 충격을 가속도 센서가 검지했을 때)밖에 이상을 검지할 수 없다.
이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이 발명의 목적은,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의 이상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는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및 작업 상황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는, 승강기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을 추정하는 작업 추정부와, 센서 장치가 상기 작업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특징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작업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감시 시간의 동안에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를 구비했다.
이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방법은, 승강기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을 추정하는 작업 추정 공정과, 센서 장치가 상기 작업 추정 공정에 있어서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특징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작업 추정 공정에 있어서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감시 시간의 동안에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공정을 구비했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센서 장치가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특징량에 관한 정보를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감시 시간의 동안에 출력하지 않는 경우, 이상이 검지된다. 이 때문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의 이상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의 경보 판정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에 있어서의 이상 검지 조건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의 경보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당해 부분의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승강기는 엘리베이터이다. 도시하지 않은 승강로는 건축물의 각 층을 관통한다. 예를 들면, 권상기(1)는 승강로의 상부에 마련된다. 주 로프(2)는 권상기(1)에 감겨진다. 엘리베이터 칸(3)은 승강로의 내부에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칸(3)은 주 로프(2)의 일단에 지지된다. 균형 추(4)는 승강로의 내부에 마련된다. 균형 추(4)는 주 로프(2)의 타단에 지지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는 승강로의 내부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5)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진다.
제어 장치(5)는 권상기(1)에 회전 지령을 출력한다. 권상기(1)는 당해 회전 지령에 기초하여 회전한다. 주 로프(2)는 권상기(1)의 회전에 추종하여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칸(3)과 균형 추(4)는, 주 로프(2)의 이동에 추종하여 승강한다.
예를 들면, 감시 센터(6)는 당해 건축물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감시 센터(6)는 당해 건축물로부터 떨어진 엘리베이터의 보수 회사에 마련된다.
예를 들면, 작업 상황 감시 시스템(7)은 제어 장치(5)에 인접한다. 예를 들면, 작업 상황 감시 시스템(7)은 감시 센터(6)에 마련된다. 작업 상황 감시 시스템(7)은 기억 장치(8)와 작업 상황 감시 장치(9)를 구비한다.
기억 장치(8)는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과 이상 검지 조건에 관한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한다. 작업 상황 감시 장치(9)는 작업 추정부(9a)와 이상 검지부(9b)와 경보부(9c)를 구비한다.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시에 있어서, 작업자는 센서 장치(10)를 휴대한다.
이 때, 작업 추정부(9a)는 제어 장치(5)로부터 입력된 엘리베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을 추정한다. 예를 들면, 작업 추정부(9a)는 일본특개 2013-245061호 공보에 개시된 방법으로 작업 내용을 추정한다.
이상 검지부(9b)는 작업 추정부(9a)에 의해 가장 최초 작업의 개시가 추정되었을 때 센서 장치(1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이상 검지부(9b)는 센서 장치(10)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있을 때 작업 추정부(9a)에 의해 추정된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대응지어진 이상 검지 조건에 관한 정보의 출력을 기억 장치(8)에 요구한다. 이상 검지부(9b)는 기억 장치(8)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한 이상 검지 조건을 현시점의 이상 검지 조건으로서 설정한다.
센서 장치(10)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센서 장치(10)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른 가속도(加速度)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센서 장치(10)는 작업자의 움직임에 따른 각속도(角速度)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상 검지부(9b)는 센서 장치(10)로부터 입력된 정보의 내용이 현시점의 이상 검지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경보부(9c)는 이상 검지부(9b)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알람을 발행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센서 장치(10)로부터 입력된 정보의 내용이 현시점의 이상 검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경보부(9c)는 알람을 발행하지 않는다. 센서 장치(10)로부터 입력된 정보의 내용이 현시점의 이상 검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경보부(9c)는 감시 센터(6)에 알람을 발행한다.
이상 검지부(9b)는 작업 추정부(9a)에 의해 가장 마지막 작업의 완료가 추정되었을 경우에, 센서 장치(10)와의 사이의 무선 통신을 차단한다.
다음에, 도 2를 이용하여, 작업 상황 감시 장치(9)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작업 상황 감시 장치(9)는 처리 회로(11)를 구비한다. 처리 회로(1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a)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1b)를 구비한다. 작업 상황 감시 장치(9)의 각 부의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a)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1b)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하여, 작업 상황 감시 장치(9)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에서는, 작업 추정부(9a)는 작업의 개시를 추정한다. 그 후,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이상 검지부(9b)는 센서 장치(10)의 출력의 감시를 개시한다. 그 후,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경보부(9c)는 경보 판정 처리를 행한다.
그 후,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작업 추정부(9a)는 작업의 완료를 추정한다. 그 후,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이상 검지부(9b)는 센서 장치(10)의 출력의 감시를 종료한다. 그 후, 동작이 종료된다.
다음에, 도 4를 이용하여, 경보 판정 처리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의 경보 판정 처리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11에서는, 작업 추정부(9a)는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을 추정한다. 그 후,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작업 추정부(9a)는 모든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2에서 모든 작업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이상 검지부(9b)는 이상 검지 조건을 설정한다. 그 후,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이상 검지부(9b)는 이상 검지 조건이 성립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14에서 이상 검지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1로 돌아간다. 스텝 S14에서 이상 검지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경보부(9c)는 알람을 발행한다. 그 후, 동작이 종료된다.
스텝 S12에서 모든 작업이 완료되었을 경우도, 동작이 종료된다.
다음에, 도 5를 이용하여, 이상 검지 조건을 설명한다.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에 있어서의 이상 검지 조건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이상 검지 조건은 제1 이상 검지 조건과 제2 이상 검지 조건으로 이루어진다. 제1 이상 검지 조건과 제2 이상 검지 조건은,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대응지어진다.
제1 이상 검지 조건은, 특징량에 관한 조건이다. 특징량은 각 작업에 있어서 특징적인 센서 장치(10)의 출력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특징량은 사전에 설정된다. 예를 들면, 특징량은 작업자가 센서 장치(10)를 휴대한 상태에서 각 작업을 수회 실시했을 때 축적된 센서 장치(10)의 출력의 로그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센서 장치(10)가 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특징량은 가속도의 평균, 가속도의 분산, 가속도의 최대치, 가속도의 최소치 등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제2 이상 검지 조건은 충격이 가해진 후에 관한 조건이다. 충격은 일정치 이상의 센서 장치(10)의 출력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센서 장치(10)가 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충격은 1G 이상의 가속도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도 5에 있어서, 작업 장소인 「장소 A」는 작업 내용인 「작업 α」와「작업 β」와「작업 γ」에 대응지어진다.
예를 들면, 작업 내용인 「작업 α」에 대해서는, 제1 이상 검지 조건의 「감시 시간 X1분 경과해도 특징량이 관측되지 않음」이 대응지어진다. 「감시 시간 X1」은 「작업 α」가 완료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작업 내용인 「작업 β」에 대해서는, 제1 이상 검지 조건의 「감시 시간 X2분 경과해도 특징량이 관측되지 않음」이 대응지어진다. 「감시 시간 X2」는 「작업 β」가 완료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작업 내용인 「작업 γ」에 대해서는, 제1 이상 검지 조건의 「감시 시간 X3분 경과해도 특징량이 관측되지 않음」이 대응지어진다. 「감시 시간 X3」는 「작업 γ」이 완료되기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작업 내용인 「작업 α」와 「작업 β」와 「작업 γ」에 대해서는, 제2 이상 검지 조건인 「수분 이내에 센서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있어서 통상의 행동시에 관측되는 출력이 관측되지 않음」이 대응지어진다. 「수분」은 1분 또는 2분 정도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작업 내용인 「작업 α」와 「작업 β」와 「작업 γ」에 대해서는, 제2 이상 검지 조건인 「수분 이내에 작업자의 조작에 의한 엘리베이터 신호의 변화가 관측되지 않음」이 대응지어진다. 「수분」은 1분 또는 2분 정도로 설정된다.
다음에, 도 6을 이용하여, 제1 이상 검지 조건에 기초한 경보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의 경보 판정 처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스텝 S21에서는, 작업 추정부(9a)는 작업의 개시를 추정한다. 그 후, 스텝 S22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이상 검지부(9b)는 센서 장치(10)로부터의 정보에 있어서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대응한 특징량을 포함하는 출력이 관측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2에서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대응한 특징량을 포함하는 출력이 관측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이상 검지부(9b)는 당해 작업의 미완료를 파악한다. 그 후, 스텝 S24로 진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이상 검지부(9b)는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감시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24에서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감시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2로 돌아간다. 스텝 S22에서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대응한 특징량을 포함하는 출력이 관측되었을 경우는, 스텝 S25로 진행한다. 스텝 S25에서는, 이상 검지부(9b)는 당해 작업의 완료를 파악한다. 그 후, 동작이 종료된다.
스텝 S24에서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감시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는, 스텝 S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6에서는, 이상 검지부(9b)는 어떠한 이상의 발생(예를 들면, 작업자가 쓰러져 있는 등)을 검지한다. 이 때, 경보부(9c)는 알람을 발행한다. 그 후,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센서 장치(10)가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대응한 특징량에 관한 정보를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감시 시간의 동안에 출력하지 않는 경우, 이상이 검지된다. 이 때문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의 이상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전에 의해 움직일 수 없게 되어 작업의 계속이 곤란해져 있는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명적이지 않지만 어떠한 충격을 받아 작업의 계속이 곤란해져 있는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10)가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 중 어느 일방에만 대응한 특징량에 관한 정보를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 중 어느 일방에만 대응한 감시 시간의 동안에 출력하지 않는 경우, 이상을 검지해도 된다. 이 경우도, 작업자의 이상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또, 이상 검지부(9b)는 각 작업의 완료를 파악한다. 이 때문에, 각 작업이 빨리 완료되었을 때 이상을 잘못 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는, 알람 발행이 행해진다. 이 때문에, 작업자의 이상을 감시 센터(6) 등에 알릴 수 있다.
또, 이상 검지부(9b)는 작업 추정부(9a)가 처음 작업의 개시를 추정했을 때 센서 장치(10)와의 무선 통신을 확립한다. 이상 검지부(9b)는 작업 추정부(9a)가 마지막 작업의 완료를 추정했을 때 센서 장치(10)의 무선 통신을 차단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 이상을 잘못 검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보수 작업이 행해지고 있을 때 이상의 검지를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유무를 판정할 때의 특징량은,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 때문에, 작업자의 이상을 보다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 중 어느 일방에만 따라서 특징량을 변화시켜도 된다. 이 경우도, 작업자의 이상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유무를 판정할 때의 감시 시간은,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에 따라서 변화한다. 이 때문에, 작업자의 이상을 보다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장소와 작업 내용 중 어느 일방에만 따라서 감시 시간을 변화시켜도 된다. 이 경우도, 작업자의 이상을 확실히 검지할 수 있다.
또, 이상 검지부(9b)와 센서 장치(10)의 접속에 있어서는, 미리 등록된 센서 장치(10)를 접속 대상으로 해도 된다. 주변의 센서 장치(10)의 모두를 접속 대상으로 해도 된다. 이상 검지부(9b)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센서 장치(10)의 통전 및 통전의 차단을 관리해도 된다.
또, 센서 장치(10)에 마련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경보 지령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작업자의 자발적인 조작에 의해 감시 센터(6) 등에 알람을 발행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는,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작업자의 이상을 확실히 검지하는 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1: 권상기 2: 주 로프
3: 엘리베이터 칸 4: 균형 추
5: 제어 장치 6: 감시 센터
7: 작업 상황 감시 시스템 8: 기억 장치
9: 작업 상황 감시 장치 9a: 작업 추정부
9b: 이상 검지부 9c: 경보부
10: 센서 장치 11: 처리 회로
11a: 프로세서 11b: 메모리

Claims (10)

  1. 승강기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을 추정하는 작업 추정부와,
    센서 장치가 상기 작업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특징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작업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감시 시간의 동안에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 이상(異常)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를 구비한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부에 의해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 알람을 발행하는 경보부를 구비한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업 추정부는 상기 승강기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처음 작업의 개시 및 마지막 작업의 완료를 추정하고,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작업 추정부에 의해 처음 작업의 개시가 추정되었을 때 상기 센서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작업 추정부에 의해 마지막 작업의 완료가 추정되었을 때 상기 센서 장치의 무선 통신을 차단하는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작업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따라서 이상의 유무를 판정할 때의 특징량을 변화시키는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부는, 상기 작업 추정부에 의해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따라서 알람 발행의 유무를 판정할 때의 감시 시간을 변화시키는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6. 승강기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을 추정하는 작업 추정 공정과,
    센서 장치가 상기 작업 추정 공정에 있어서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특징량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작업 추정 공정에 있어서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감시 시간의 동안에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 공정을 구비한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공정에 있어서 이상이 검지되었을 때 알람을 발행하는 경보 공정을 구비한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방법.
  8.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작업 추정 공정은, 상기 승강기의 제어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처음 작업의 개시 및 마지막 작업의 완료를 추정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 검지 공정은, 상기 작업 추정 공정에 있어서 처음 작업의 개시가 추정되었을 때 상기 센서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작업 추정 공정에 있어서 마지막 작업의 완료가 추정되었을 때 상기 센서 장치의 무선 통신을 차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방법.
  9.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공정은, 상기 작업 추정 공정에 있어서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따라서 알람 발행의 유무를 판정할 때의 특징량을 변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방법.
  10.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검지 공정은, 상기 작업 추정 공정에 있어서 추정된 작업 장소 또는 작업 내용에 따라서 알람 발행의 유무를 판정할 때의 감시 시간을 변화시키는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방법.
KR1020177026241A 2015-06-09 2016-05-31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및 작업 상황 감시 방법 KR102012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6510A JP6398879B2 (ja) 2015-06-09 2015-06-09 昇降機の作業状況監視装置および作業状況監視方法
JPJP-P-2015-116510 2015-06-09
PCT/JP2016/065993 WO2016199620A1 (ja) 2015-06-09 2016-05-31 昇降機の作業状況監視装置および作業状況監視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834A true KR20170118834A (ko) 2017-10-25
KR102012115B1 KR102012115B1 (ko) 2019-08-19

Family

ID=57503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6241A KR102012115B1 (ko) 2015-06-09 2016-05-31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및 작업 상황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398879B2 (ko)
KR (1) KR102012115B1 (ko)
CN (1) CN107531454B (ko)
DE (1) DE112016002605T5 (ko)
HK (1) HK1243692A1 (ko)
WO (1) WO20161996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934B (zh) * 2017-09-11 2022-06-28 奥的斯电梯公司 升降机系统的维护轨迹的跟踪
JP6369664B1 (ja) * 2017-12-20 2018-08-0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保守作業の支援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保守作業の支援システム
WO2019186848A1 (ja) * 2018-03-28 2019-10-03 三菱電機株式会社 監視装置及び異常推定プログラム
WO2020016913A1 (ja) * 2018-07-17 2020-01-23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保守作業時の警告情報を出力させる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
JP7051662B2 (ja) * 2018-10-30 2022-04-1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安否管理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1383A (ja) 2012-02-20 2013-09-0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携帯端末装置、作業管理システムおよび作業管理方法
JP2013245061A (ja) * 2012-05-25 2013-12-0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保全作業推定装置および保全作業推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7984A (ja) * 1994-05-10 1995-11-21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ビル設備の遠隔監視装置
CN101450762B (zh) * 2007-12-06 2010-10-13 中国恩菲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提升机的监控器
JP5260955B2 (ja) * 2007-12-26 2013-08-1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異常検知支援システム
DE112009005523A5 (de) * 2008-09-01 2014-11-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anlage
WO2010044166A1 (ja) * 2008-10-17 2010-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JP5463964B2 (ja) * 2010-03-05 2014-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作業内容推定装置及び作業内容推定方法
BR112016006290B1 (pt) * 2013-09-23 2021-08-03 Dinacell Electrónica, S.L. Método e arranjo automatizado de controle e avaliação da operação de um elevad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1383A (ja) 2012-02-20 2013-09-0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携帯端末装置、作業管理システムおよび作業管理方法
JP2013245061A (ja) * 2012-05-25 2013-12-0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保全作業推定装置および保全作業推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1454B (zh) 2020-04-07
HK1243692A1 (zh) 2018-07-20
KR102012115B1 (ko) 2019-08-19
CN107531454A (zh) 2018-01-02
WO2016199620A1 (ja) 2016-12-15
JP6398879B2 (ja) 2018-10-03
DE112016002605T5 (de) 2018-03-01
JP2017001799A (ja)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8834A (ko)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및 작업 상황 감시 방법
EP2537790B1 (en) Elevator device
JP4659482B2 (ja) エレベーターの地震時自動復帰装置
JP5816102B2 (ja) 電子安全エレベータ
JP2013171383A (ja) 携帯端末装置、作業管理システムおよび作業管理方法
JP6510600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診断運転方法、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遠隔診断運転プログラム
JP6717390B2 (ja) エレベーターの自動復旧システム
JP2006225104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937568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07792738B (zh) 具有自动恢复功能的电梯的控制盘及维护用终端
JP655543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2165769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JP6527846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489090B2 (ja) 自動復旧機能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の制御盤及び保守用端末
JP625628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10516B2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点検支援システム
JP5518643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13703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2490052B1 (ko) 진단 기능을 구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EP3381853B1 (en) Elevator overtrave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JP2017095251A (ja) エレベーター保守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保守システム
KR102181403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2217332B1 (ko) 엘리베이터의 수복 지원 시스템
JP2017024856A (ja) エレベータの保全作業時間報知装置
JP6459778B2 (ja) 転倒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