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769B1 -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769B1
KR102165769B1 KR1020197019036A KR20197019036A KR102165769B1 KR 102165769 B1 KR102165769 B1 KR 102165769B1 KR 1020197019036 A KR1020197019036 A KR 1020197019036A KR 20197019036 A KR20197019036 A KR 20197019036A KR 102165769 B1 KR102165769 B1 KR 102165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unit
abnormality
detailed data
monitoring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9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203A (ko
Inventor
유타카 마츠에다
아키히로 나카야
가즈나리 모리
다쿠야 하시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8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Abstract

사람에 의한 원격 감시하에서, 이상이 발생해 있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1)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15)와, 취득부(15)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정보를 표시부(19)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20)와, 조작부(21)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지령을 엘리베이터(1)에 송신하는 원격 지령부(22)와, 엘리베이터(1)로부터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1)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중 당해 이상에 관련되는 상세 데이터를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하는 감시 대상 결정부(18)를 구비한다. 취득부(15)는 엘리베이터(1)로부터 이상이 발보되기 전에는 상세 데이터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고, 당해 엘리베이터(1)로부터 이상이 발보된 후에 상세 데이터를 취득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엘리베이터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미리 설정된 조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5-170663호 공보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면, 보수 작업자에 의해서 엘리베이터가 복구될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편리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렇지만, 사람에 의한 판단에 기초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시켰을 경우, 본래는 휴지(休止)해야 할 상태인 엘리베이터가 운전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그 목적은 사람에 의한 원격 감시하에서, 이상이 발생해 있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기기 및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조작부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지령을 엘리베이터에 송신하는 원격 지령부와, 원격 지령부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는 운전 제어부와, 엘리베이터로부터 이상이 발보(發報)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의 기기 및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중 당해 이상에 관련되는 상세 데이터를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하는 감시 대상 결정부를 구비하고, 취득부는 엘리베이터로부터 이상이 발보되기 전에는 상세 데이터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고, 당해 엘리베이터로부터 이상이 발보된 후에 상세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 대상 결정부는 엘리베이터로부터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의 기기 및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중 당해 이상에 관련되는 상세 데이터를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취득부는 엘리베이터로부터 이상이 발보되기 전에는 상세 데이터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고, 당해 엘리베이터로부터 이상이 발보된 후에 상세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에 의한 원격 감시하에서, 이상이 발생해 있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 있다.
도 1은 엘리베이터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감시 센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중복하는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엘리베이터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것처럼, 엘리베이터(1)는 승강로(2), 권상기(3), 로프(4), 엘리베이터 칸(5), 균형 추(6) 및 제어반(7)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로(2)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건물의 각 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권상기(3)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기계실 등에 마련되어 있다. 로프(4)는 권상기(3)에 감겨 있다.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 추(6)는, 로프(4)에 의해서 승강로(2) 내에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칸(5) 및 균형 추(6)는, 권상기(3)가 구동함으로써 승강한다. 권상기(3)는 제어반(7)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어반(7)은 권상기(3) 및 보수 장치(8)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보수 장치(8)는 감시 센터(9)와 통신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제어반(7)은 보수 장치(8)를 통해서 감시 센터(9)와 통신 가능하다.
제어반(7) 및 보수 장치(8)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가 설치된 건물에 마련되어 있다. 감시 센터(9)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가 설치된 건물과는 다른 건물에 마련되어 있다. 감시 센터(9)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관리 회사에 마련된 서버 등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보수 장치(8)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제어반(7)은 엘리베이터(1)에 마련된 각종의 기기(10) 및 각종의 센서(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기기(10)는, 예를 들면, 권상기(3), 문 개폐 장치 및 제어반(7)의 냉각 팬 등을 포함한다. 센서(11)는, 예를 들면, 온도 센서, 가속도 센서, 저울 장치, 도어 스위치 및 승강로 내의 종점(終点) 스위치 등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제어반(7)은 운전 제어부(12), 이상 검출부(13) 및 발보부(14)를 가진다. 감시 센터(9)는 취득부(15), 기억부(16), 이상 특정부(17), 감시 대상 결정부(18), 표시부(19), 표시 제어부(20), 조작부(21) 및 원격 지령부(22)를 가진다.
운전 제어부(12)는 엘리베이터(1)의 동작을 제어한다. 운전 제어부(12)는, 예를 들면, 권상기(3)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을 제어한다. 운전 제어부(12)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문 개폐 장치를 통해서, 엘리베이터(1)의 도어의 개폐를 제어한다.
이상 검출부(13)는 기기(10) 및 센서(11)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1)의 기기에 발생한 이상을 검출한다. 이상 검출부(13)는, 예를 들면, 검출된 이상에 대응하는 이상 코드를 출력한다. 이상 코드는, 예를 들면, 이상의 종류 및 발생 지점 등을 특정하는 미리 설정된 정보이다.
이상 검출부(13)에 의해 이상이 검출되었을 경우, 운전 제어부(12)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를 휴지시킨다.
발보부(14)는 보수 장치(8)를 통해서, 엘리베이터(1)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감시 센터(9)에 발보한다. 발보부(14)는, 예를 들면, 이상 검출부(13)에 의해 이상이 검출되었을 때, 당해 이상에 대응하는 이상 코드를 감시 센터(9)에 발보한다.
취득부(15)는 보수 장치(8)를 통해서, 엘리베이터(1)의 기기(10) 및 센서(11)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취득부(15)는, 예를 들면, 통상시에는, 기기(10) 및 센서(11)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중 필요 최저한의 데이터만을 취득한다.
기억부(16)는, 예를 들면, 취득부(15)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를 기억한다. 기억부(16)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이상 코드에 관련되는 기기(10) 및 센서(11)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이상 특정부(17)은, 예를 들면, 발보부(14)에 의해 발보된 정보 및 기억부(16)의 내용에 기초하여, 이상이 발생한 기기(10) 및 이상의 영향 범위를 특정한다. 이상의 영향 범위란, 예를 들면, 어느 기기(10)에 이상이 발생했던 것에 기인하여 동작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다른 기기(10)이다. 이상의 영향 범위란, 예를 들면, 어느 기기(10)에 이상이 발생했던 것에 기인하여 검출치가 변화할 수 있는 센서(11)이다.
감시 대상 결정부(18)는 발보부(14)에 의해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엘리베이터(1)의 기기(10) 및 센서(11)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중 당해 이상에 관련되는 상세 데이터를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이상에 관련되는 상세 데이터는, 예를 들면, 모터의 온도, 모터의 전류치, 모터의 토크, 문 열림 비율, 문 개폐의 소요 시간, 제어반(7)의 온도 및 제어반(7)의 전류치 등이다.
감시 대상 결정부(18)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권상기(3)의 모터의 온도, 전류치 및 토크 등을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해도 된다. 감시 대상 결정부(18)는, 예를 들면, 문 개폐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문 개폐 장치의 도어 모터의 온도, 전류치 및 토크 등을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해도 된다. 감시 대상 결정부(18)는, 예를 들면, 문 개폐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문 열림 비율 및 문 개폐의 소요 시간 등을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해도 된다. 감시 대상 결정부(18)는, 예를 들면, 제어반(7)의 동작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제어반(7)의 온도 및 전류치 등을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해도 된다.
취득부(15)는 발보부(14)에 의해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가 발보되기 전에는, 상세 데이터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는다. 취득부(15)는 발보부(14)에 의해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가 발보된 후에, 상세 데이터를 경시(經時)적으로 취득한다.
표시부(19)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패널 등이다. 표시부(19)는, 예를 들면, 감시 센터(9)에 접속된 다른 기기여도 된다. 표시부(19)는, 예를 들면, 문자 정보뿐만이 아니라, 도형 및 색을 이용한 시각적인 정보를 표시 가능하다.
표시 제어부(20)는 표시부(19)의 동작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취득부(15)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정보를 표시부(19)에 표시시킨다. 표시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상세 데이터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리얼타임으로 표시부(19)에 표시시킨다.
조작부(21)는, 예를 들면, 누름 버튼, 키보드, 터치 패널 및 각종 포인팅 디바이스 등이다. 조작부(21)는, 예를 들면, 감시 센터(9)에 접속된 다른 기기여도 된다.
조작부(21)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상태를 원격 감시하는 감시원에 의해서 조작된다. 원격 지령부(22)는 조작부(21)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지령을 엘리베이터(1)의 제어반(7)에 송신한다. 운전 제어부(12)는 원격 지령부(22)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1)를 동작시킨다. 제어 지령에는, 예를 들면, 각종의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지령이 포함된다. 제어 지령에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지령 및 휴지시키기 위한 지령이 포함된다.
취득부(15)는, 예를 들면, 발보부(14)에 의해 이상이 발보된 후, 추가로, 엘리베이터(1)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이 원격 지령부(22)에 의해서 송신된 후에, 상세 데이터의 취득을 개시한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엘리베이터(1)로부터 이상이 발보되면(스텝 S101), 제어반(7)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를 휴지시킨다(스텝 S102). 감시 센터(9)는 이상이 발생한 기기(10) 및 이상의 영향 범위를 특정한다(스텝 S103). 감시 센터(9)는 감시 대상으로 하는 상세 데이터를 결정한다(스텝 S104).
감시원은 조작부(21)를 조작함으로써, 원격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1)를 재기동시킨다(스텝 S105). 그 후, 감시 센터(9)는 상세 데이터의 수집을 개시한다(스텝 S106). 감시원은 표시부(19)에 표시되는 상세 데이터를 감시한다(스텝 S107). 감시원은, 예를 들면, 상세 데이터의 변화에 따라 조작부(21)를 조작함으로써, 원격 조작에 의한 연명(延命) 제어를 행한다(스텝 S108).
연명 제어란, 예를 들면, 이상 검출부(13)에 의해 이상이 검출되지 않도록 엘리베이터(1)의 기기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제어이다. 연명 제어는, 예를 들면, 통상시 보다도 엘리베이터 칸(5)의 주행 속도가 저하되도록 권상기(3)의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다. 연명 제어는, 예를 들면, 통상시 보다도 문 개폐의 소요 시간이 길어지도록 도어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다. 연명 제어는, 예를 들면, 제어반(7)의 온도가 저하되도록 냉각 팬을 상시 동작시키는 것이다. 연명 제어는, 예를 들면, 제어반(7)의 온도가 저하되도록 냉각 팬의 회전수를 올리는 것이다.
감시원은, 예를 들면, 표시부(19)에 표시되는 상세 데이터로부터 엘리베이터(1)의 계속 운전이 불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9). 엘리베이터(1)의 계속 운전이 가능한 경우, 스텝 S106부터 스텝 S108이 반복된다. 엘리베이터(1)의 계속 운전이 불가능한 경우, 감시원은, 조작부(21)를 조작함으로써, 원격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1)를 휴지시킨다(스텝 S110).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감시 대상 결정부(18)는 엘리베이터(1)로부터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1)의 기기(10) 및 센서(11)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중 당해 이상에 관련되는 상세 데이터를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취득부(15)는 엘리베이터(1)로부터 이상이 발보되기 전에는 상세 데이터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고, 당해 엘리베이터(1)로부터 이상이 발보된 후에 상세 데이터를 경시적으로 취득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사람에 의한 원격 감시하에서, 이상이 발생해 있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 있다. 또, 이상 발생시에만 상세 데이터의 취득이 행해지기 때문에, 통상시의 제어반(7) 및 감시 센터(9)의 통신 부하 및 연산 부하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취득부(15)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로부터 이상이 발보되고 또한 당해 엘리베이터(1)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이 원격 지령부(22)에 의해서 송신된 후에, 상세 데이터의 취득을 개시한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재기동에 의해 일시적으로 이상의 정도가 경감된 상태로 연명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상세 데이터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정보를 리얼타임으로 표시부(19)에 표시시킨다. 이 때문에,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감시원은 엘리베이터의 계속 운전이 불가능한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상세 데이터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정보에, 상세 데이터의 임계치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정보를 겹쳐서 표시시켜도 된다. 즉, 표시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모터의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꺾은선 그래프에 온도의 임계치를 나타내는 직선을 겹쳐서 표시시켜도 된다. 상세 데이터의 임계치는, 예를 들면, 안전성의 관점으로부터 엘리베이터(1)의 운전을 계속해도 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값이다. 이 경우, 감시원은 엘리베이터의 계속 운전이 불가능한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감시 대상 결정부(18)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엘리베이터 칸(5)의 이동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1)의 권상기(3)의 모터의 온도, 전류치 및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이 경우, 권상기를 연명 제어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해 있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감시 대상 결정부(18)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문 개폐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1)의 도어 모터의 온도, 전류치 및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또, 감시 대상 결정부(18)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문 개폐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1)의 문 열림 비율 및 문 개폐의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한쪽을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이들 경우, 문 개폐 장치를 연명 제어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해 있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감시 대상 결정부(18)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1)의 제어반(7)의 동작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1)의 제어반(7)의 온도 및 전류치 중 적어도 한쪽을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한다. 이 경우, 냉각 팬을 제어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해 있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계속시킬 수 있다.
도 4는 감시 센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감시 센터(9)에 있어서의 취득부(15), 기억부(16), 이상 특정부(17), 감시 대상 결정부(18), 표시부(19), 표시 제어부(20), 조작부(21) 및 원격 지령부(22)의 각 기능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처리 회로는 전용 하드웨어(50)여도 된다. 처리 회로는 프로세서(51) 및 메모리(5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처리 회로는 일부가 전용 하드웨어(50)로서 형성되고, 추가로 프로세서(51) 및 메모리(52)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4는 처리 회로가, 그 일부가 전용 하드웨어(50)로서 형성되고, 프로세서(51) 및 메모리(52)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처리 회로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1개의 전용 하드웨어(50)인 경우, 처리 회로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것들을 조합한 것이 해당한다.
처리 회로가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51) 및 적어도 1개의 메모리(52)를 구비하는 경우, 취득부(15), 기억부(16), 이상 특정부(17), 감시 대상 결정부(18), 표시부(19), 표시 제어부(20), 조작부(21) 및 원격 지령부(22)의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는 프로그램으로서 기술(記述)되어, 메모리(52)에 격납된다. 프로세서(51)는 메모리(52)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각부의 기능을 실현한다. 프로세서(5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DSP라고도 한다. 메모리(52)는, 예를 들면, RAM, ROM, 플래쉬 메모리, EPROM, EEPROM 등의, 불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플렉서블 디스크, 광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미니 디스크, DVD 등이 해당한다.
이와 같이, 처리 회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감시 센터(9)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덧붙여, 제어반(7)의 각 기능도, 도 4에 나타내는 처리 회로와 같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원격 조작 가능한 엘리베이터에 적용할 수 있다.
1: 엘리베이터 2: 승강로
3: 권상기 4: 로프
5: 엘리베이터 칸 6: 균형 추
7: 제어반 8: 보수 장치
9: 감시 센터 10: 기기
11: 센서 12: 운전 제어부
13: 이상 검출부 14: 발보부
15: 취득부 16: 기억부
17: 이상 특정부 18: 감시 대상 결정부
19: 표시부 20: 표시 제어부
21: 조작부 22: 원격 지령부
50: 전용 하드웨어 51: 프로세서
52: 메모리

Claims (8)

  1. 엘리베이터의 기기 및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와,
    조작부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지령을 엘리베이터에 송신하는 원격 지령부와,
    상기 원격 지령부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키는 운전 제어부와,
    엘리베이터로부터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의 기기 및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데이터 중 당해 이상에 관련되는 상세 데이터를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하는 감시 대상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취득부는 엘리베이터로부터 이상이 발보되기 전에는 상기 상세 데이터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취득하지 않고, 당해 엘리베이터로부터 이상이 발보되고 또한 당해 엘리베이터를 재기동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이 상기 원격 지령부에 의해서 송신된 후에, 상기 상세 데이터의 취득을 개시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상세 데이터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정보를 리얼타임으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상세 데이터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정보에 상기 상세 데이터의 임계치를 나타내는 시각적인 정보를 겹쳐서 표시시키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결정부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의 권상기의 모터의 온도, 전류치 및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결정부는 엘리베이터의 문 개폐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의 도어 모터의 온도, 전류치 및 토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결정부는 엘리베이터의 문 개폐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의 문 열림 비율 및 문 개폐의 소요 시간 중 적어도 한쪽을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결정부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의 동작에 관련되는 이상이 발보되었을 경우에, 당해 엘리베이터의 제어반의 온도 및 전류치 중 적어도 한쪽을 감시 대상으로서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8. 삭제
KR1020197019036A 2016-12-26 2016-12-26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KR102165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88665 WO2018122909A1 (ja) 2016-12-26 2016-12-26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203A KR20190089203A (ko) 2019-07-30
KR102165769B1 true KR102165769B1 (ko) 2020-10-14

Family

ID=6270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9036A KR102165769B1 (ko) 2016-12-26 2016-12-26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10809B2 (ko)
KR (1) KR102165769B1 (ko)
CN (1) CN110072792B (ko)
WO (1) WO2018122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3795A1 (ja) * 2020-06-29 2022-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
KR102631067B1 (ko) * 2023-04-17 2024-01-30 (주)에코산전 추세비교분석을 통한 고장 예측 및 진단이 가능한 계장제어반 운영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계장제어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8834A (ja) 2012-11-30 2014-06-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ストランド破断検出装置及びロープストランド破断検出方法
JP2016222420A (ja) 2015-06-01 2016-12-28 株式会社明電舎 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93873A (ja) * 1982-05-07 1983-1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異常通報装置
JPH07228443A (ja) * 1994-02-15 1995-08-29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の点検装置
JP3412717B2 (ja) * 1994-09-21 2003-06-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2003114A (ja) * 2000-06-16 2002-01-09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保守点検装置
JP4509522B2 (ja) * 2003-10-02 2010-07-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JP2005170663A (ja) 2003-12-15 2005-06-30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8308253A (ja) * 2007-06-12 2008-12-25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閉じ込め防止装置
JP5755076B2 (ja) * 2011-08-12 2015-07-29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遠隔監視システム
CN103626003A (zh) * 2012-08-27 2014-03-12 深圳市一兆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梯故障检测方法和系统
JP2014213988A (ja) * 2013-04-24 2014-11-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
WO2016143072A1 (ja) * 2015-03-10 2016-09-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CN205076589U (zh) * 2015-10-20 2016-03-09 昆山通博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异常预警以及监管查询系统
CN105692383B (zh) * 2016-04-11 2017-10-13 北京感瞰科技有限公司 电梯故障诊断装置、方法以及控制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08834A (ja) 2012-11-30 2014-06-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ストランド破断検出装置及びロープストランド破断検出方法
JP2016222420A (ja) 2015-06-01 2016-12-28 株式会社明電舎 エレベータの診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2909A1 (ja) 2018-07-05
CN110072792A (zh) 2019-07-30
JPWO2018122909A1 (ja) 2019-06-24
CN110072792B (zh) 2020-08-18
JP6610809B2 (ja) 2019-11-27
KR20190089203A (ko)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G192362A1 (en) Electric safety elevator
CN109789993B (zh) 带有具有例如乘客自主撤离的选择的两个单元的电梯安全监督实体
KR102012115B1 (ko) 승강기의 작업 상황 감시 장치 및 작업 상황 감시 방법
KR102165769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US11040854B2 (en) Resetting governor sub-systems
US9745169B2 (en)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afety system
JP2019038650A (ja) エレベータの遠隔診断運転方法、エレベータ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遠隔診断運転プログラム
CN107792738B (zh) 具有自动恢复功能的电梯的控制盘及维护用终端
JP6555434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18177395A (ja) 昇降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6610516B2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点検支援システム
JP2009202992A (ja) エレベータの押し釦予防保全装置
KR20170116748A (ko) 엘리베이터의 부품교체시기 알람 장치
EP3381853B1 (en) Elevator overtravel testing systems and methods
JP4509522B2 (ja) エレベータの監視システム
JP2018024490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536756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KR102269815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2017024856A (ja) エレベータの保全作業時間報知装置
JP2020079126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及びドア制御方法
CN111479767A (zh) 防止遗漏可否诊断运转的重置的电梯的控制盘以及电梯系统
JP6731188B2 (ja) 昇降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US20230146745A1 (en) Avoiding entrapment in an elevator
JP5677897B2 (ja) 電子化安全対応エレベータ
JP6650131B2 (ja) 昇降装置の遠隔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