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434A - 친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 Google Patents

친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434A
KR20170088434A KR1020177018144A KR20177018144A KR20170088434A KR 20170088434 A KR20170088434 A KR 20170088434A KR 1020177018144 A KR1020177018144 A KR 1020177018144A KR 20177018144 A KR20177018144 A KR 20177018144A KR 20170088434 A KR20170088434 A KR 20170088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axis
rear conduit
cleaner head
duc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4231B1 (ko
Inventor
글렌 콜린 프로서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88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1)용 바닥 도구(4)가 개시되는 바, 이 바닥 도구(4)는 청소기 헤드(7) 및 덕트 어셈블리(8)를 포함한다. 청소기 헤드(7)는, 오물 동반 유체가 청소기 헤드(7) 안으로 흡인될 때 통과하는 흡인 입구(15), 및 오물 동반 유체가 배출될 때 통과하는 출구(16)를 갖는다. 덕트 어셈블리(8)는, 출구(16)로부터 유체를 덕트 어셈블리(8)에 연결될 수 있는 봉(wand)(5)에 전달하고, 전방 도관(9)과 후방 도관(10)을 포함한다. 전방 도관(9)은 제 1 축선(A - A)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청소기 헤드(7)에 연결된다. 후방 도관(10)은 봉(5)에 연결될 수 있고, 제 1 축선(A - A)에 수직인 제 2 축선(B - B) 주위로 전방 도관(9)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바닥 도구(4)가 바닥에 놓여 있고 후방 도관(10)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을 때, 전방 도관(9)과 후방 도관(10)은 제 2 축선(B - B) 위에서 또한 주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친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친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는 다양한 부속물에 연결될 수 있는 봉(wan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 부속물이, 청소될 표면 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바닥 도구이다. 이 바닥 도구는, 오물 동반 유체가 흡인될 때 통과하는 흡인 입구를 갖는 청소기 헤드, 및 오물 동반 유체를 청소기 헤드로부터 봉에 전달하는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도구가 봉을 사용하여 바닥 표면 위에서 움직일 때 청소기 헤드가 그 바닥 표면과 비교적 평평한 프로파일을 유지하도록, 덕트 어셈블리는 하나 이상의 도관 및 회전 가능한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바닥 도구의 일 문제는, 바닥 도구를 앞으로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미는 힘이 과도하게 클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를 제공하며, 이 바닥 도구는, 오물 동반 유체가 청소기 헤드 안으로 흡인될 때 통과하는 입구, 및 오물 동반 유체가 배출될 때 통과하는 출구를 갖는 청소기 헤드; 및 상기 출구로부터 유체를 덕트 어셈블리에 연결될 수 있는 봉(wand)에 전달하기 위한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을 포함하고, 전방 도관은 제 1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청소기 헤드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 도관은 상기 봉에 연결될 수 있고, 후방 도관은 상기 제 1 축선에 수직인 제 2 축선 주위로 전방 도관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후방 도관은 회전하면 전방 도관 내에서 또는 전방 도관 주위에서 움직이게 되며, 상기 바닥 도구가 바닥에 놓여 있고 후방 도관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을 때, 전방 도관과 후방 도관은 상기 제 2 축선 위에서 또한 주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제 2 축선 위에서 또한 주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는 도관을 제공함으로써 바닥 도구의 청소기 헤드에 작용하는 하향력이 감소하여 바닥 도구의 움직임성이 개선된다.
바닥 도구에 대한 하향력의 감소의 일부는, 진공 청소기의 사용 중에 전후방 도관 내에서 발생되는 흡인에 의해 달성된다. 전후방 도관 내의 압력 감소에 의해 도관이 약간 수축하게 된다. 전후방 도관이 제 2 축선 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관이 이렇게 약간 수축하면 진공 청소기가 바닥 표면으로부터 약간 들리게 된다. 그 결과, 바닥 도구를 미는데 필요한 힘이 감소되어, 바닥 도구의 움직임성이 개선된다.
바닥 도구에 작용하는 하향력은 전후방 도관에 대한 제 2 축선의 위치로 인해 더 감소된다. 전후방 도관은 제 2 축선 아래에서 또한 주위에서가 아니다, 제 2 축선 위에서 또한 주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축선은 청소기 헤드에 대해 하측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봉을 사용하여 바닥 도구를 앞으로 밀려고 할 때, 봉에 가해지는 힘은 제 2 축선에서 후방 도관으로부터 전방 도관에 전달된다. 그 힘은 수직 방향 성분과 수평 방향 성분으로 분해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수평 방향 성분에 의해 바닥 도구가 앞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나, 청소기 헤드에 대한 제 2 축선의 높이에 따라, 수평 방향 성분에 의해 청소기 헤드가 제 2 축선 주위로 선회할 수도 있다. 특히, 제 2 축선이 비교적 높으면, 수평 방향 성분에 의해 청소기 헤드가 하방으로 선회하여, 바닥 도구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미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전후방 도관을 제 2 축선 위에서 또한 주위에서 아치형으로 함으로써, 제 2 축선의 수직 방향 위치가 청소기 헤드에 대해 낮아지게 된다. 그 결과, 청소기 헤드가 아래쪽 방햐으로 선회하는 것이 방지되거나 상당히 감소될 수 있어, 바닥 도구는 더 잘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바닥 도구와 청소될 표면 사이의 양호한 접촉은 양호한 전체적인 청소 효율을 얻는데 바람직함을 이해할 것이다. 바닥 도구가 충분한 하향력으로 청소 대상 표면에 유지되지 않으면, 바닥 도구의 청소 효율은 감소될 수 있다. 제 2 축선 주위에서 또한 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는 전후방 도관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추가적인 단점은,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 흡인되는 유체 유동의 경로가 곧지 않다는 것이다. 대신에, 유체가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될 때 유체 유동은 여러 번 돌고 방향을 바꾸게 된다. 그 결과, 덕트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속도가 감소될 수 있고, 그래서 청소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청소 효율과 움직임성 사이의 유리한 절충은 본 발명의 바닥 도구로 얻어졌다.
바닥 도구는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의 양측에 위치되는 2개의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의 양측에 휠을 제공함으로써, 바닥 도구의 조향과 균형이 개선된다. 휠은 바닥 도구와 청소 대상 표면 사이의 접촉점을 제공할 수 있다. 휠은 미는 힘의 수직 방향 성분에 저항하도록 제 2 축선의 바로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휠은 경사져 있고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 아래에서 수렴할 수 있다. 도관 아래에서 수렴할 때, 휠들 사이의 간격이 도관 아래에서 가장 작도록 휠이 축선 주위로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수렴형 휠을 제공할 때, 전방 도관과 후방 도관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두 휠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바닥 도구는, 바닥 도구의 크기, 특히 높이를 부적절하게 크게 하지 않는 휠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휠은 돔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도관이 제 1 축선 주위로 청소기 헤드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휠은 계속 구름 지지를 제공하게 된다. 휠은 제 1 축선에 수직인 평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아치형 지지부를 제공한다. 따라서, 바닥 도구가 다른 방향으로 조향될 때, 지지부가 한 휠에서 다른 휠로 이동할 때 원활한 천이가 일어나게 된다.
휠의 표면은 공통 구와 일치할 수 있다. 더욱이, 공통 구의 중심은 제 1 축선과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도관이 청소기 헤드에 대해 회전할 때, 전방 도관은 청소 표면 위쪽에서 동일한 높이를 유지한다. 이는, 바닥 도구가 다른 방향으로 조향될 때 청소기 헤드가 불필요하게 들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샤시를 더 포함할 수 잇다. 2개의 휠이 상기 샤시에 고정되어 있고, 샤시는 상기 전방 도관에 연결되어 있고 전방 도관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도관은 상기 전방 도관 주위로 움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전방 도관은 후방 도관 내부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러한 특별한 구성에 의해, 사용 중에, 유체가 더 작은 단면의 전방 도관으로부터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 더 큰 단면의 후방 도관에 전달되는 이점이 얻어진다. 이 결과, 덕트 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이 덜 제한된다. 추가로, 후방 도관의 단부가 돌출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후방 도관이 전방 도관 내에서 움직이려고 할 때 유체 유동 경로 안으로 돌출하게 될 어깨부를 갖지 않으므로, 덕트 어셈블리 내에 오물과 부스러기가 잡히는 일이 없게 된다.
바닥 도구는, 상기 후방 도관이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고, 후방 도관은 회전하면 전방 도관 주위로 움직이고, 후방 도관이 상측 위치에 있을 때 전방 도관의 대부분은 후방 도관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소기 헤드의 출구는 평면 내에 있고, 상기 제 1 축선은 상기 평면에 수직이다. 더욱이, 상기 바닥 도두가 바닥에 놓여 있을 때 상기 평면은 바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상기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은 함께 3개의 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오물 동반 유체가 상기 3개의 곡부를 통과하면서 돌게 된다. 오물 동반 유체는 청소기 헤드를 떠날 때 처음에 상방으로 돌게 되고 그런 다음 제 2 축선 위에서 또한 주위에서 하방으로 돌게 된다. 그 후, 유체는 후방 도관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될 때 다시 상방으로 돌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청소 기구용 바닥 도구를 제공하는데, 이 바닥 도구는, 오물 동반 유체가 청소기 헤드 안으로 흡인될 때 통과하는 입구, 및 오물 동반 유체가 배출될 때 통과하는 출구를 갖는 청소기 헤드; 및 상기 청소기 헤드로부터 유체를 덕트 어셈블리에 연결될 수 있는 봉에 전달하기 위한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전방 도관, 후방 도관, 및 상기 전방 도관과 후방 도관의 양측에 위치되는 2개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도관은 제 1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청소기 헤드에 연결되며, 제 1 축선은 출구의 평면에 수직이고, 후방 도관은 상기 봉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후방 도관은 상기 제 1 축선에 수직인 제 2 축선 주위로 전방 도관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후방 도관은 회전하면 전방 도관 내에서 또는 전방 도관 주위에서 움직이게 되며, 상기 후방 도관은 제 2 축선 주위로 회전하면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사이에서 위아래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전방 도관이 상기 제 1 축선 주위로 회전하면 상측 위치의 후방 도관이 좌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바닥 도구가 바닥에 놓여 있고 후방 도관이 상측 위치에 있을 때, 전방 도관과 후방 도관은 상기 제 2 축선 위에서 또한 주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전 청구항에 따른 바닥 도구에 연결되는 봉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를 더 제공하는 바, 봉이 위아래로 움직이면 후방 도관이 위아래로 움직이고, 또한 봉이 좌우측으로 비틀리면, 전방 도관이 제 1 축선 주위로 회전하여, 후방 도관은 상측 위치에 있을 때 좌우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진공 청소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청소기 헤드의 분해도이다.
도 3은 청소기 헤드의 상면도로, 그 청소기 헤드의 후방 도관은 상측 위치에 있다.
도 4는 도 3에서 A - A 선을 따른 청소기 헤드의 측단면도로, 후방 도관은 상측 위치에 있다.
도 5는 도 3에서 A - A 선을 따른 청소기 헤드의 측단면도로, 후방 도관은 하측 위치에 있다.
도 1은 본체(2), 봉 어셈블리(3) 및 바닥 도구(4)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1)를 도시한다. 본체(2)는 봉 어셈블리(3)에 연결되어 있고, 이 봉 어셈블리(3)는 바닥 도구(4)에 연결되어 있다.
봉 어셈블리(3)는, 바닥 도구(4)와 진공 청소기(2)를 서로 유체 연결하기 위한 호스(6) 및 봉(5)을 포함한다.
바닥 도구(4)는 도 2 내지 5에 더 상세히 나타나 있다. 바닥 도구(4)는 청소기 헤드(7) 및 덕트 어셈블리(8)를 포함한다.
청소기 헤드(7)는 하우징(14), 입구(15), 출구(16) 및 브러시 바아(17)를 포함한다. 하우징(14)은 브러시 바아(1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챔버(18)를 형성한다. 입구(15)는 하우징(14)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고 출구(16)는 하우징(14)의 후방부에 제공되어 있다.
덕트 어셈블리(8)는 전방 도관(9), 후방 도관(10), 샤시(11) 및 2개의 휠(12, 13)을 포함한다.
전방 도관(9)은 입구(19), 출구(20) 및 피봇 브라켓(21)을 포함한다. 전방 도관(9)은 청소기 헤드(7)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청소기 헤드(7)의 출구(16)는 전방 도관(9)의 입구(19)에 연결되어 유체 유동 경로를 제공한다. 전방 도관(9)은 도 3에 나타나 있는 제 1 축선(A - A)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전방 도관(9)에는 입구(19)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켓 또는 환형 시일(26)이 제공되어 있다. 환형 시일(26)은 청소기 헤드(7)의 출구(16)와 전방 도관(9)의 입구(19) 사이에 압축 시일을 형성하여 바닥 도구(4)에서 공기 누출을 방지한다.
후방 도관(10)은 입구(22), 출구(23) 및 피봇 브라켓(24)을 포함한다. 후방 도관(10)은 또한 봉 어셈블리(3)에 연결되기 위한 후방 연결부(25)를 포함한다. 후방 도관(10)은 전방 도관(9)에 피봇식으로 또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후방도관(10)의 피봇 브라켓(24)은 전방 도관(9)의 피봇 브라켓(21)에 장착되고 스크류(나타나 있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피봇 브라켓(21, 24)에 의해, 후방 도관(10)은 도 3에서 B - B 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제 2 축선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후방 도관(10)이 제 2 축선(B - B) 주위로 회전함에 따라 전방 도관(9)이 후방 도관(10) 안으로 또한 밖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후방 도관(10)이 전방 도관(9)을 둘러싼다. 환형 립 시일(27)이 전방 도관(9)의 출구(20) 주위에 제공되어 있다. 환형 립 시일(27)은 후방 도관(10)에 접촉하고, 전방 도관(9)과 후방 도관(10)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여 바닥 도구(4)에서 공기 누출을 방지한다.
후방 도관(10)이 제 2 축선(B - B) 주위로 회전하면, 후방 도관(10)이 상측 위치(도 4)와 하측 위치(도 5) 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착 위치에서, 후방 도관(10)은 전방 도관(9)을 많이 둘러싼다. 하측 위치에서, 후방 도관(10)은 전방 도관(9)을 적게 둘러싼다. 후방 도관(10)이 상측 위치에서 하측 위치로 움직이면, 덕트 어셈블리(8)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 경로가 길어지게 된다. 반대로, 후방 도관(10)이 하측 위치에서 상측 위치로 움직이면, 덕트 어셈블리(8)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 경로가 짧아지게 된다.
도 4 및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방 도관(9) 및 후방 도관(10)은 제 2 축선(B - B) 위에서 또한 그 주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전방 도관(9)과 후방 도관(10)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 경로는 3개의 곡부로 되어 있다. 오물 동반 유체는 전방 도관(9)에 들어갈 때 상방으로 돌고 이어서 오물 동반 유체가 전방 도관(9)에서 후방 도관(10)으로 갈 때에는 하방으로 돌게 된다. 오물 동반 유체는 다시 후방 도관(10)을 통해 이동하면서 상방으로 돌아 봉(5) 쪽으로 가게 된다.
샤시(11)는 전방 도관(9)에 부착되고 전방 도관(9)과 함께 제 1 축선(A - A)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휠(12, 13)이 샤시(11)에 장착된다. 각 휠(12, 13)은 돔형으로 되어 있고, 샤시(1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한 휠(12)은 제 1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하고 다른 휠(13)은 제 2 회전 축선 주위로 회전한다. 이들 회전 축선은 평행하지 않고 공통의 평면 내에 있다. 휠(12, 13)은 샤시(11) 쪽으로 경사져 있고 전방 도관(9)과 후방 도관(10) 아래에서 수렴해 있는데, 즉 휠(12, 13) 사이의 거리는 도관(9, 10) 아래에서 가장 작다. 수렴형 휠(12, 13)을 제공할 때, 전방 도관(9)과 후방 도관(10)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두 휠(12, 13) 사이에 형성된다.
샤시(11) 및 휠(12, 13)은 청소될 표면 상에 바닥 도구(4)를 지지한다. 휠(12, 13)과 청소될 표면 사이의 접촉점은 전방 도관(9)과 후방 도관(10) 아래에 있다.
각 돔형 휠(12, 13)은 구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두 휠(12, 13)은 이들 휠(12, 13)의 표면이 공통 구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즉, 서로 떨어져 있고 경사져 있음). 따라서 두 휠(12, 13)의 표면은 가상의 구로 형성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도관(9)이 제 1 축선(A - A) 주위로 회전할 때, 휠(12, 13)은 전방 도관(9)을 청소 표면 위쪽의 동일한 높이에서 계속 지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청소기 헤드(7)의 들림이 일어나지 않고 청소 표면과의 평평한 프로파일이 유지된다.
사용시, 바닥 도구(4)는 봉(5)을 사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움직이게 된다. 바닥 도구(4)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질 때 청소기 헤드(7)는 바닥 표면과 비교적 평평한 프로파일을 유지한다. 사용자는 봉(5)을 밀거나 끌어 당겨 바닥 도구(4)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다. 바닥 표면에 대한 봉(5)의 각도 변화는 후방 도관(10)이 제 2 축선(B - B) 주위로 움직임으로써 일어나게 된다. 사용자는 또한 봉(5)을 비틀어 바닥 도구(4)를 좌우로 조향할 수 있다. 봉(5)을 통한 비틀림 작용에 의해, 전방 도관(9)이 제 1 축선(A - A) 주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하여 바닥 도구(4)는 사용자에 의해 봉(5)을 통해 전달되는 밀고/끌어당기고 비트는 힘에 의해 안내된다.
바닥 도구(4)가 사용자에 의해 움직일 때, 휠(12, 13)이 회전하여 구름 지지를 제공한다. 휠(12, 13) 중의 적어도 하나가 바닥과의 접촉을 유지하여 구름 지지를 제공하는 한에서, 봉(5)의 좌측 또는 우측 움직임이 청소기 헤드에 전달될 때 전방 도관(9)과 샤시(11)가 회전하게 된다.
피봇 축선 아래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는 도관을 갖는 종래의 바닥 도구와는 대조적으로, 제 2 축선(B - B) 위에서 또한 그 주위에서 전방 도관(9)과 후방 도관(10)을 아치형으로 만듦으로써 바닥 도구(4)의 움직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사용 중에, 부분 진공이 덕트 어셈블리(8) 안에 생성된다. 이 부분 진공은 전방 도관(9)과 후방 도관(10) 내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후방 도관(10)은 사용자가 봉(5)을 유지하면 위치 고정되고, 전방 도관(9)은 후방 도관(10)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인다. 압력 감소로 인해, 전방 도관(9)은 고정된 후방 도관(10) 쪽으로 몰리게 되어, 도관(9, 10)은 더 작은 부피를 차지하게 된다. 전방 도관(9)은 제 2 축선(B - B) 위에서 또한 그 주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어, 전방 도관(9)이 후방 도관(10) 쪽으로 움직이면 청소기 헤드(7)가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약간 들리게 된다. 청소기 헤드(7)가 이렇게 약간 들림으로해서, 바닥 도구(4)에 가해지는 하향력이 감소되고 그래서 바닥 도구(4)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미는 힘이 줄어든다.
바닥 도구(4)의 움직임성은 청소기 헤드(7)에 대한 제 2 축선(B - B)의 높이(즉, 수직 방향 위치)에 의해서도 개선된다. 사용 중에, 사용자에 의해 봉(5)을 통해 가해지는 미는 힘은 후방 도관(10)에 전달된다. 그리고 후방 도관(10)은 그 미는 힘을 피봇 브라켓(21, 24)을 통해 전방 도관(9)에 전달하게 된다. 그 힘은 제 2 축선(B - B)에서 수평 방향 성분과 수직 방향 성분으로 분해될 수 있다. 피봇 브라켓(21, 24)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축선(B - B)은 전방 도관(9)과 청소기 헤드(7) 사이의 연결의 중심 아래에 위치된다. 그 결과, 수평 방향 성분은 청소기 헤드(7)의 하향 선회를 방지하는 높이에서 전방 도관(9)으로부터 청소기 헤드(7)에 전달된다. 따라서, 바닥 도구(4)에 대한 하향력이 감소된다. 이와는 달리, 제 2 축선(B - B)이 전방 도관(9)과 청소기 헤드(7) 사이의 연결부의 중심 위쪽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수평 방향 성분에 의해 청소기 헤드(7)는 아래쪽으로 선회하고 그래서 청소기 헤드(7)에 작용하는 하향력이 증가하게 된다.
도 1의 진공 청소기(1)는 원통형 또는 캐니스터형 진공 청소기이지만, 바닥 도구(4)는 스틱형 또는 직립형 진공 청소기와 같은 다른 종류의 진공 청소기에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나 있는 실시 형태에서, 청소기 헤드(7)는 브러시 바아(17)를 갖는다. 그러나, 청소기 헤드(7)는 청소될 표면을 교란시키기거나 다른 방식으로 작용하는 대안적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브러시 바아(17)는 청소기 헤드(7)에서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Claims (17)

  1.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로서,
    오물 동반 유체가 청소기 헤드 안으로 흡인될 때 통과하는 입구, 및 오물 동반 유체가 배출될 때 통과하는 출구를 갖는 청소기 헤드; 및
    상기 출구로부터 상기 유체를 덕트 어셈블리에 연결될 수 있는 봉(wand)에 전달하기 위한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을 포함하고, 전방 도관은 제 1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청소기 헤드에 연결되며, 상기 후방 도관은 상기 봉에 연결될 수 있고, 후방 도관은 상기 제 1 축선에 수직인 제 2 축선 주위로 전방 도관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후방 도관은 회전하면 전방 도관 내에서 또는 전방 도관 주위에서 움직이게 되며,
    상기 바닥 도구가 바닥에 놓여 있고 후방 도관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을 때, 전방 도관과 후방 도관은 상기 제 2 축선 위에서 또한 주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의 양측에 위치되는 2개의 휠을 더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경사져 있고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 아래에서 수렴하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돔형으로 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공통 구와 일치하는 표면을 갖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샤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휠이 상기 샤시에 고정되어 있고, 샤시는 상기 전방 도관에 연결되어 있고 전방 도관과 함께 회전할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도관은 상기 전방 도관 주위로 움직일 수 있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도관은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고, 후방 도관은 회전하면 전방 도관 주위로 움직이고, 후방 도관이 상측 위치에 있을 때 전방 도관의 더 많은 부분이 후방 도관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는 평면 내에 있고, 상기 제 1 축선은 상기 평면에 수직인,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도두가 바닥에 놓여 있을 때 상기 평면은 바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은 함께 3개의 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오물 동반 유체가 상기 3개의 곡부를 통과하면서 돌게 되 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12. 청소 기구용 바닥 도구로서,
    오물 동반 유체가 청소기 헤드 안으로 흡인될 때 통과하는 입구, 및 오물 동반 유체가 배출될 때 통과하는 출구를 갖는 청소기 헤드; 및
    상기 청소기 헤드로부터 상기 유체를 덕트 어셈블리에 연결될 수 있는 봉에 전달하기 위한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전방 도관, 후방 도관, 및 상기 전방 도관과 후방 도관의 양측에 위치되는 2개의 휠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도관은 제 1 축선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청소기 헤드에 연결되며, 제 1 축선은 출구의 평면에 수직이고, 후방 도관은 상기 봉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후방 도관은 상기 제 1 축선에 수직인 제 2 축선 주위로 전방 도관에 대해 회전할 수 있고, 후방 도관은 회전하면 전방 도관 내에서 또는 전방 도관 주위에서 움직이게 되며,
    상기 후방 도관은 제 2 축선 주위로 회전하면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사이에서 위아래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전방 도관이 상기 제 1 축선 주위로 회전하면 상측 위치의 후방 도관이 좌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며,
    상기 바닥 도구가 바닥에 놓여 있고 후방 도관이 상측 위치에 있을 때, 전방 도관과 후방 도관은 상기 제 2 축선 위에서 또한 주위에서 아치형으로 되어 있는, 청소 기구용 바닥 도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경사져 있고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 아래에서 수렴하는, 청소 기구용 바닥 도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은 공통 구와 일치하는 표면을 갖는, 청소 기구용 바닥 도구.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도관은 회전하면 전방 도관 주위로 움직이게 되며, 후방 도관이 상측 위치에 있을 때 전방 도관의 대부분은 후방 도관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도관 및 후방 도관은 함께 3개의 곡부를 형성하여, 상기 덕트 어셈블리를 통해 전달되는 오물 동반 유체가 상기 3개의 곡부를 통과하면서 돌게 되는,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바닥 도구에 연결되는 봉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로서,
    상기 봉이 위아래로 움직이면 후방 도관이 위아래로 움직이고, 또한 봉이 좌우측으로 비틀리면, 전방 도관이 제 1 축선 주위로 회전하여, 후방 도관은 상측 위치에 있을 때 좌우측으로 움직이게 되는, 진공 청소기.
KR1020177018144A 2014-12-02 2015-09-21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KR102014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21418.3A GB2532961B (en) 2014-12-02 2014-12-02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GB1421418.3 2014-12-02
PCT/GB2015/052711 WO2016087811A1 (en) 2014-12-02 2015-09-21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434A true KR20170088434A (ko) 2017-08-01
KR102014231B1 KR102014231B1 (ko) 2019-08-26

Family

ID=5234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144A KR102014231B1 (ko) 2014-12-02 2015-09-21 진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92555B2 (ko)
EP (1) EP3226737B1 (ko)
JP (1) JP6352890B2 (ko)
KR (1) KR102014231B1 (ko)
CN (1) CN105640428B (ko)
GB (1) GB2532961B (ko)
RU (1) RU2670037C1 (ko)
WO (1) WO2016087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2159A1 (it) * 2016-03-31 2017-10-01 New Ermes Europe Srl Testa di aspirazione con canale di aspirazione perfezionato
US11224319B2 (en) 2017-12-11 2022-01-18 New Ermes Europe S.R.L. Base plate for a vacuum cleaner suction head for the suction of fine dust and large debris
JP1641037S (ko) 2018-09-18 2019-09-09
IT202000001555A1 (it) 2020-01-28 2021-07-28 New Ermes Europe Srl Dispositivo adattatore per aspirapolvere elettrico senza filo
USD953673S1 (en) 2020-02-17 2022-05-31 New Ermes Europe S.R.L. Head of a vacuum clean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106A (ja) * 1999-11-08 2000-04-18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2001224535A (ja) * 2000-02-16 2001-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20060137134A1 (en) * 2004-12-23 2006-06-29 Horst Dilger Floor nozzle for vacuum cleaners
JP2011019915A (ja) * 2009-07-16 2011-02-03 Dyson Technology Ltd 表面処理ヘッド
KR20130124975A (ko) * 2011-02-28 2013-11-15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표면 처리기기용 청소기 헤드
WO2014117885A1 (en) * 2013-02-04 2014-08-07 Koninklijke Philips N.V. Vacuum cleaner nozzle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9143A (en) * 1978-07-27 1980-02-09 Tokyo Electric Co Ltd Inlet body of vacuum cleaner
JPS55170047U (ko) * 1979-05-24 1980-12-06
US4336628A (en) * 1980-06-05 1982-06-29 The Hoover Company Nozzle with pivoted wand
JPH1156721A (ja) 1997-08-20 1999-03-02 Masaharu Arimitsu 「電気掃除機の吸引ノズルと吸引ノズルの接続パイプについて」
JP3066354B2 (ja) * 1997-12-26 2000-07-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3066353B2 (ja) 1997-11-28 2000-07-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3642939B2 (ja) 1998-01-20 2005-04-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吸込口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3642940B2 (ja) 1998-01-23 2005-04-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吸込口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H11206635A (ja) 1998-01-26 1999-08-03 Toshiba Tec Corp 吸込口体とこの吸込口体を有する電気掃除機
JP3597366B2 (ja) 1998-01-26 2004-12-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00217755A (ja) 1999-01-28 2000-08-08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EP1031312A1 (en) * 1999-02-22 2000-08-30 POLTI S.p.A. Articulation for pipes in cleaning appliances
JP3977967B2 (ja) 1999-10-22 2007-09-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
JP2000093367A (ja) 1999-10-26 2000-04-04 Hitachi Ltd 電気掃除機
JP3066377B2 (ja) 1999-11-08 2000-07-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2001128909A (ja) 1999-11-08 2001-05-15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3701528B2 (ja) 1999-11-08 2005-09-2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2001149281A (ja) 1999-11-30 2001-06-05 Toshiba Tec Corp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3656816B2 (ja) 1999-11-30 2005-06-08 東芝テック株式会社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3594178B2 (ja) 1999-12-20 2004-11-24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01169977A (ja) 1999-12-21 2001-06-26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JP2001198060A (ja) 2000-01-19 2001-07-24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01231723A (ja) 2000-02-22 2001-08-28 Toshiba Tec Corp 吸込口体およびこの吸込口体を用いた循環式電気掃除機
JP3457639B2 (ja) * 2000-05-04 2003-10-20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真空掃除機
JP2001321310A (ja) 2000-05-16 2001-11-20 Hitachi Ltd 電気掃除機
DE10111867A1 (de) * 2001-03-13 2002-09-19 Vorwerk Co Interholding Kippgelenkausbildung eines Staubsauger-Saugkanals
JP2003153833A (ja) * 2001-11-22 2003-05-27 Toshiba Tec Corp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JP4334292B2 (ja) 2003-07-31 2009-09-30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用吸込口体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DE102005045543A1 (de) 2005-09-23 2007-03-29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odenstaubsauger
DE102006031486A1 (de) * 2006-07-07 2008-01-10 Wessel-Werk Gmbh Düse für Bodenstaubsauger
DE102006033021A1 (de) 2006-07-17 2008-01-2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ktro-Staubsauger mit einem Grundgerät und einem Vorsatzgerät
JP4823875B2 (ja) 2006-11-29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4805108B2 (ja) 2006-11-29 2011-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GB2444898A (en) * 2006-12-22 2008-06-25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nozzle
DE102007010517B4 (de) * 2007-03-05 2013-04-11 Wessel-Werk Gmbh Düse für einen Bodenstaubsauger
DE102007057349B4 (de) * 2007-11-28 2012-01-12 Wessel-Werk Gmbh Bodendüse für Staubsauger
JP2010094246A (ja) 2008-10-16 2010-04-30 Sharp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GB2466290B (en) * 2008-12-19 2012-10-03 Dyson Technology Ltd Floor tool for a cleaning appliance
GB2470920A (en) 2009-06-09 2010-12-15 Dyson Technology Ltd Agitating menas for a cleaning head
GB0912359D0 (en) * 2009-07-16 2009-08-26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head
JP2010022855A (ja) 2009-10-30 2010-02-04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FR2965164B1 (fr) * 2010-09-24 2012-10-12 Seb Sa Patin d'equilibrage de suceur d'aspirateur
US8869349B2 (en) * 2010-10-15 2014-10-28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teering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device
JP6032459B2 (ja) * 2012-02-17 2016-11-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気掃除機
DE102013102763A1 (de) * 2013-03-19 2014-09-25 Miele & Cie. Kg Staubsaugerbodendüs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Staubsaugerbodendüse sowie Staubsauger mit einer solchen Staubsaugerbodendüse
WO2014146734A1 (en) * 2013-03-21 2014-09-25 Aktiebolaget Electrolux Vacuum cleaner nozzle with hinged rigid parts
CN203724041U (zh) * 2014-01-22 2014-07-23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一种吸尘器地刷
CN203914783U (zh) * 2014-06-24 2014-11-05 林小泉 高效地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7106A (ja) * 1999-11-08 2000-04-18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JP2001224535A (ja) * 2000-02-16 2001-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20060137134A1 (en) * 2004-12-23 2006-06-29 Horst Dilger Floor nozzle for vacuum cleaners
JP2011019915A (ja) * 2009-07-16 2011-02-03 Dyson Technology Ltd 表面処理ヘッド
KR20130124975A (ko) * 2011-02-28 2013-11-15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표면 처리기기용 청소기 헤드
WO2014117885A1 (en) * 2013-02-04 2014-08-07 Koninklijke Philips N.V. Vacuum cleaner nozz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70037C1 (ru) 2018-10-17
GB201421418D0 (en) 2015-01-14
US10292555B2 (en) 2019-05-21
EP3226737A1 (en) 2017-10-11
GB2532961B (en) 2017-03-22
KR102014231B1 (ko) 2019-08-26
JP6352890B2 (ja) 2018-07-04
CN105640428B (zh) 2018-08-28
CN105640428A (zh) 2016-06-08
JP2016107083A (ja) 2016-06-20
GB2532961A (en) 2016-06-08
WO2016087811A1 (en) 2016-06-09
US20160150927A1 (en) 2016-06-02
EP3226737B1 (en) 2018-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8434A (ko) 친공 청소기용 바닥 도구
KR101495693B1 (ko) 표면 처리기기용 청소기 헤드
CN1953691B (zh) 用于清洁器具的附件
US10258211B2 (en) Floor tool for a cleaning appliance
EP3241475B1 (en) Suction head with improved adherence to the surface to be vacuumed
US8931136B2 (en) Canister vacuum cleaner
US20200315414A1 (en) Floor tool unit, surface treating appliance and vacuum cleaner
JP5686907B2 (ja) 円筒型真空掃除機
CN102802483A (zh) 带有可移动轮的真空吸尘器
US20130152337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sideways pivoting handle
JP2014502907A (ja) 円筒型真空掃除機
KR20150109903A (ko) 진공 청소기
CN102258349B (zh) 真空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