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738A - 정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정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74738A KR20170074738A KR1020160091446A KR20160091446A KR20170074738A KR 20170074738 A KR20170074738 A KR 20170074738A KR 1020160091446 A KR1020160091446 A KR 1020160091446A KR 20160091446 A KR20160091446 A KR 20160091446A KR 20170074738 A KR20170074738 A KR 201700747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belt
- fixing
- fixing device
- lubricant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relating to the driving mechanism for the intermediate support, e.g. gears, couplings, belt tension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3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stationary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착 벨트의 구동 개시시의 토크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정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는, 회전 가능한 정착 벨트; 상기 정착 벨트의 외주면에 압접되어 상기 정착 벨트와의 사이에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가압 롤러; 및 상기 정착 벨트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압 롤러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판 형상의 기준면과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가압 롤러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급지부로부터 급지된 기록 매체는 전사부로 이송되며, 현상 장치에서 형성된 토너상이 상기 기록 매체로 2차 전사된다. 토너상이 기록 매체에 전사된 후, 정착부(정착 장치)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배치된 토너가 용해 및 정착된다. 토너가 정착된 기록 매체는 하류의 배지부로부터 배지된다.
종래의 정착 장치, 예컨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포함된 정착 장치는 벨트 닙 방식으로 형성되고, 닙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부재로서 무단상 정착 벨트와, 탄성 롤러(가압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정착 장치는 정착 벨트의 내주면측에 배치된 고정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부재는 탄성 롤러에 의한 하중을 인가 받을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1-42670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정착 장치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정착 장치의 사용이 중단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다시 사용하는 경우, 정착 벨트와 고정 부재가 밀착되어 정착 벨트의 구동을 개시하기 위한 토크가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정착 장치, 예를 들어 벨트 닙 방식의 정착 장치에 있어서, 정착 벨트의 구동이 개시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정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는, 회전 가능한 정착 벨트; 상기 정착 벨트의 외주면에 압접되어 상기 정착 벨트와의 사이에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가압 롤러; 및 상기 정착 벨트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압 롤러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판 형상의 기준면과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가압 롤러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열과, 상기 제1 열과 상기 정착 벨트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닙부에서 상기 정착 벨트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가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호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이격 거리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가 0.55mm이상이고,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르는 인접한 상기 돌출부 상호간의 피치가 1.1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기준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윤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띠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구비하도록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준면과 상기 정착 벨트의 상기 내주면 사이에 윤활제를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는 상기 정착 벨트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의 양 단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기록 매체에 전기 토너상이 형성되는 영역인 화상 형성 영역 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착 닙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며, 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액정 폴리머 또는 폴리 페닐렌 설파이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의 적어도 일부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퍼플루오로 알콕시 불소 합성 수지 또는 이들의 변성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가 0.2mm 이상 0.5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스테인레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는 0.1mm 이상 0.3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정착 벨트가 진입하는 상기 정착 닙부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 공급부; 및 상기 정착 벨트가 배출되는 상기 정착 닙부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정착 벨트가 회전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정착 벨트의 형상을 규정하고,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윤활제의 막두께를 규제하는 막두께 규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막두께 규제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가압 롤러 및 상기 정착 벨트의 외주면끼리 접촉하는 닙면 보다 상기 정착 벨트의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정착 벨트의 외주면에 부착된 상기 기록 매체를 분리하는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정착 벨트가 배출되는 상기 정착 닙부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분리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막두께 규제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정착 벨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막두께 규제부는 상기 가이드면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상기 윤활제를 스크레이핑하는 에지부 및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에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지부에서 스크레이핑된 상기 윤활제를 수용하는 윤활제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에지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접하는 접선과 소정의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착 벨트의 외주면에 부착된 상기 기록 매체를 분리하는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정착 벨트가 배출되는 상기 닙부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지부는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분리 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착 벨트의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 증대를 억제할 수 있는 정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닙 방식의 정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닙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부재의 접촉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돌출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부재의 접촉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돌출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벨트의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두께 규제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두께 규제 부재의 에지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닙 방식의 정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닙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부재의 접촉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돌출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 부재의 접촉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돌출부를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벨트의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두께 규제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막두께 규제 부재의 에지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마젠타, 옐로우, 시안, 블랙의 각 색을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기록 매체(P)를 이송하는 기록 매체 이송 유닛(10),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장치(20), 토너상을 기록 매체(P)에 2차 전사하는 전사 유닛(30), 둘레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정전 잠상 담지체인 감광체 드럼(40), 및 토너상을 기록 매체(P)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50)를 포함할수 있다.
기록 매체 이송 유닛(10)은 최종적으로 화상이 기록되는 기록 매체(P)를 수용함과 동시에, 기록 매체(P)를 이송 경로(R1)까지 이송할 수 있다. 이때, 기록 매체(P)는 카셋트(K)에 적층되어 수용될 수 있다. 기록 매체 이송 유닛(10)은 기록 매체(P)에 전사되는 토너상이 2차 전사 영역(R2)에 도달하는 시점에 맞추어 기록 매체(P)를 2차 전사 영역(R2)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현상 장치(20)는 각 색에 따라 4개 배치될 수 있다. 각 현상 장치(20)는 토너를 감광체 드럼(40)에 담지시키는 현상 롤러(21)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 장치(20)에서는 토너와 캐리어가 혼합 교반되어 충분히 대전된 후, 토너와 캐리어의 혼합에 의해 생성되는 현상제를 현상 롤러(21)에 담지시킨다. 이후, 현상 롤러(21)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가 감광체 드럼(40)과 대향하는 영역까지 반송되면, 현상 롤러(21)에 담지된 현상제 중 토너가 감광체 드럼(40)의 둘레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으로 이동하여 정전 잠상이 현상될 수 있다.
전사 유닛(30)은 현상 장치(20)에 의해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P)로 2차 전사하기 위해 2차 전사 영역(R2)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전사 유닛(30)은 전사 벨트(31), 전사 벨트(31)를 회전시키는 회전 롤러(31a, 31b, 31c, 31d), 감광체 드럼(40)과 함께 전사 벨트(31)를 끼우는 1차 전사 롤러(32), 및 회전 롤러(31d)와 함께 전사 벨트(31)를 끼우는 2차 전사 롤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사 벨트(31)는 회전 롤러(31a, 31b, 31c, 31d)에 의해 회전되는 무단상 벨트이다. 1차 전사 롤러(32)는 전사 벨트(31)의 내주측으로부터 감광체 드럼(40)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2차 전사 롤러(33)는 전사 벨트(31)의 외주측으로부터 회전 롤러(31d)에 압력을 인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감광체 드럼(40)은 주위면에 화상이 형성되는 정전 잠상 담지체로서, 칼라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예를 들어 마젠타, 옐로우, 시안, 블랙의 각 색에 대응하는 4개의 감광체 드럼(30)이 전사 벨트(21)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감광체 드럼(40) 각각의 둘레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장치(20), 대전 롤러(41), 노광 유닛(42), 및 클리닝 유닛(43)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대전 롤러(41)는 소정의 전위를 이용하여 감광체 드럼(40)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킬 수 있다. 노광 유닛(42)은 대전 롤러(41)에 의해 대전된 감광체 드럼(40)의 표면을 노광시킬 수 있으며, 이때, 감광체 드럼(40)의 표면은, 기록 매체인 용지(P)에 형성하기 위한 화상에 대응되도록 노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광체 드럼(40)의 표면 중 노광 유닛(42)에 의해 노광된 부분의 전위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전 잠상이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현상 장치(20)는, 각각의 현상 장치(20)에 대응하여 배치된 토너 탱크(22)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토너 탱크(22)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 감광체 드럼(40)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고, 토너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4개의 토너 탱크(22) 내에는 마젠타, 옐로우, 시안, 및 블랙의 토너가 각각 충전될 수 있다. 클리닝 유닛(43)은 감광체 드럼(40)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전사 벨트(31)에 1차 전사된 후에 감광체 드럼(40) 상에 잔존하는 토너를 회수할 수 있다.
정착 장치(50)는 전사 벨트(31)로부터 기록 매체(P)에 2차 전사된 토너상을 기록 매체(P)에 부착 및 정착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정착 장치(50)는 예를 들어 기록 매체(P)를 가열하는 정착 벨트(51), 정착 벨트(51)에 압력을 인가하는 가압 롤러(탄성 롤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 벨트(51) 및 가압 롤러(5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착 벨트(51)와 가압 롤러(52) 사이에 접촉 영역인 정착 닙부(5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정착 닙부(53)에 기록 매체(P)를 이송 방향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토너상을 기록 매체(P)에 용해시켜 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정착 장치(50)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 기록 매체(P)를 화상 형성 장치(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롤러(71, 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1)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에 피기록 화상의 화상 신호가 입력되면, 화상 형성 장치(1)의 제어부는 수신한 화상 신호에 따라 대전 롤러(41)를 이용하여 감광체 드럼(40)의 표면을 소정의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시킬 수 있다.
다음, 노광 유닛(42)를 이용하여 감광체 드럼(40)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현상 장치(20)에서는 정전 잠상이 현상되어 토너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토너상은 감광체 드럼(40)과 전사 벨트(31)가 대향되는 영역에서, 감광체 드럼(40)으로부터 전사 벨트(31)를 향하여 1차 전사된다. 전사 벨트(31)에는 4개의 감광체 드럼(40) 상에 형성된 토너상이 차례로 적층되어, 하나의 적층 토너상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적층 토너상은 회전 롤러(31d)와 2차 전사 롤러(33)가 대향하는 2차 전사 영역(R2)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상기 2차 전사 영역(R2)에서 기록 매체 이송 유닛(10)으로부터 이송된 기록 매체(P)로 2차 전사될 수 있다.
적층 토너상이 2차 전사된 기록 매체(P)는 정착 장치(50)로 이송될 수 있다. 정착 벨트(51)와 가압 롤러(52) 사이에 기록 매체(P)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상술한 기록 매체(P)에 열과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적층 토너상은 기록 매체(P)에 용해 및 정착될 수 있다.
다음, 기록 매체(P)는 배출 롤러(71, 72)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를 참조하여 정착 장치(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장치(50)는 정착 벨트(51), 가압 롤러(52), 접촉 부재(고정 부재)(54) 및 가열원(히터)(5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착 장치(50)는 정착 벨트(51)의 외주면(51a)에 부착되어 있는 기록 매체(P)를 정착 벨트(51)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부재(56)를 구비할 수 있다. 분리 부재(56)는 기록 매체(P)의 이송 경로(R3)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정착 벨트(51)가 배출되는 정착 닙부(53)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정착 닙부(5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벨트(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해 기록 매체(P)가 끼워지는 부분이다. 정착 닙부(53)는 정착 벨트(51)의 외주면(51a)과 가압 롤러(52)의 외주면(52a)이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부분(접촉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정착 닙부(53)의 내부 압력은, 일반적으로 0.049MPa 이상, 0.196MPa 이하(0.5kgf/cm2 이상, 2.0kgf/cm2 이상)일 수 있다. 정착 닙부(53)의 내부 압력이란, 정착 벨트(51)와 가압 롤러(52)에 의해 끼워지도록 배치된 기록 매체(P)로 인가되는 압력이다.
정착 벨트(51)는 가요성(flexibility)을 구비하는 원통형상의 회전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착 벨트(51)에 포함될 수 있는 금속 재료로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등이 있다. 또한, 정착 벨트(51)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 벨트(5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되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 벨트(51)는 베이스부(57)와, 베이스부(57) 상에 적층된 탄성층(58)과, 탄성층(58) 상에 적층된 표면층(59)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57)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니켈 등의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57)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폴리아미이미드(PAI),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액정 폴리머(LCP) 등의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층(58)은, 예를 들어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표면층(59)은 불소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불소 합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TFE), 퍼플루오로 알콕시 불소 합성 수지(PFA), 또는 이들 변성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베이스부(57)의 두께는, 예를 들어를 들어 20μm 이상, 120μm 이하일 수 있으며, 탄성층(58)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0μm, 400μm 이하일 수 있으며, 표면층(59)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μm 이상, 50μm 이하일 수 있다.
가압 롤러(52)는 탄성을 갖는 원통형상의 회전체로서, 예를 들어 고무(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 롤러(52)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탄성층(61)과, 상기 탄성층(61) 상에 형성된 표면층(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롤러(52)의 내부에는 회전축(60)이 삽입 및 통과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촉 부재(54)는 정착 벨트(51)의 내측에 배치되어, 가압 롤러(52)와 함께 정착 벨트(51)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접촉 부재(54)는, 예를 들어 용수철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탄성력이 인가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력을 이용하여 가압 롤러(52)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 롤러(52)에 탄성력이 인가되어 접촉 부재(54)측으로 가압될 할 수도 있다. 또한, 가압 롤러(52)에 탄성력이 인가되어 접촉 부재(54)측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접촉 부재(54)에 탄성력이 인가되어 가압 롤러(52)측으로 가압될 수도 있다.
접촉 부재(54)는 원통 형상 정착 벨트(51)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정착 벨트(51)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조체(63), 상기 구조체(63)에 고정된 지지체(64), 및 상기 지지체(64)에 지지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구조체(63), 지지체(64) 및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은, 예를 들어 ㄷ자형상일 수 있다. 구조체(63)는, 기록 매체(P)의 이송 방향(R3)과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63a)과, 상기 한 쌍의 측벽(63a)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본체부(63b)를 구비할 수 있다. 구조체(63)의 본체부(63b)는 판상 형상일 수 있으며, 본체부(63b)의 두께 방향은 정착 벨트(51)의 회전 중심(O51)과, 가압 롤러(52)의 회전 중심 O52를 연결하는 직선(L1)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지지체(64)는 기록 매체(P)의 이송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64a)과, 상기 한 쌍의 측벽(64a)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본체부(64b)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체(64)의 본체부(64b)는 판 형상일 수 있으며, 본체부(64b)의 두께 방향은 직선(L1)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지지체(64)는 구조체(63)에 지지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구조체(63)의 가압 롤러(52)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지지체(64)의 본체부(64b)는 구조체(63)의 본체부(63b)를 커버하고, 지지체(64)의 한 쌍의 측벽(64a)은 구조체(63)의 한 쌍의 측벽(63a)를 커버할 수 있다.
고정 슬라이딩 부재(65)는 기록 매체(P)의 이송 방향 과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65a)과, 상기 한 쌍의 측벽(65a) 일 단부를 연결하는 본체부(접촉부)(65b)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는 판 형상일 수 있으며, 본체부(65b)의 두께 방향은 직선(L1)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고정 슬라이딩 부재(65)는 지지체(64)에 지지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지지체(64)의 가압 롤러(52)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는 지지체(64)의 본체부(64b)를 커버하고,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한 쌍의 측벽(65a)은 지지체(64)의 한 쌍의 측벽(64a)을 각각 커버할 수 있다.
고정 슬라이딩 부재(65)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 상에 형성된 표면층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베이스부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는 액정 폴리머(LCP), 폴리 페닐렌 설파이드(PPS; polyphenylene sulfide) 등의 내열성을 갖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 표면(표층)에는 불소 합성 수지가 도포될 수 있다. 불소 합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퍼플루오로 알콕시(PFA; Perfluoroalkoxy) 불소 합성 수지, 또는 이들의 변성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접촉 부재(54)에 구비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접촉되는 접촉부이다. 가압 롤러(52)는 구동 모터(미도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정착 닙부(53)에서 가압 롤러(52)의 외주면(52a)은 정착 벨트(51)의 외주면(51a)과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압 롤러(52)에 의한 회전력이 정착 벨트(51)로 전달되어 정착 벨트(51) 또한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정착 닙부(53)에 있어서, 정착 벨트(51)는 가압 롤러(52)에 의한 압력을 인가 받아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에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딩될 수 있다. 정착 벨트(51)는 정착 닙부(53)에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를 따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정착 닙부(53)에서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은 기록 매체(P)의 이송 방향(R3)과 일치할 수 있다. 정착 닙부(53)의 닙면(N)은 정착 벨트(51)와 가압 롤러(52) 사이에 상정된 가상의 면이다.
여기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에는, 도 3,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면(66)으로부터 가압 롤러(52)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67)가 배치될 수 있다. 기준면(66)은 본체부(65b)에서 가압 롤러(52)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일 면으로서, 예를 들어를 들어 기준면(66)은 직선(L1)과 직교하는 면일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67)는, 평면에서 보아 예를 들어 직사각형일 수 있으며, 복수의 돌출부(67)은, 예를 들어 동일한 치수 및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착 닙부(53)에서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과 직교하는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에 대한 돌출부(67)의 길이(LX67)는, 예를 들어 0.55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폭방향(X)을 따르는 돌출부(67)간의 피치(배치 간격)(P67)는, 예를 들어 1.1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67)은, 폭방향(X)을 따라 등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복수 개의 열(제1열(X1), 제2열(X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폭방향(X)을 따라 열을 이루는 복수의 돌출부(67)는 Y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열(X2)의 돌출부(67)는 제1열(X1)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67) 사이의 간극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열(X1)과 제2 열(X2)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는 정착 닙부에서 정착 벨트(51)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67)의 길이(LX67)는 돌출부(67)간의 간극(D67)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67)는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서 복수의 돌출부(67)를 응시하는 경우, 폭방향(X)에 따른 전체 폭에 걸쳐 돌출부(67)가 별도의 간극 없이 배치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P)의 이송 방향에서 본체부(65b)의 전체 길이 방향을 따라 정착 벨트(51)와 접촉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압 롤러(52)에 의한 하중을 균일화할 수 있고, 정착 닙부(53)내에서 하중이 걸리지 않는 부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67)의 높이 H67은, 예를 들어 5μm 이상 30μm 이하일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67)의 높이 H67는 기준면(66)으로부터 돌출부(67)의 상부 평면까지의 높이 차이이다.
복수의 돌출부(67)를 구비하는 고정 슬라이딩 부재(65)가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 에칭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복수의 돌출부(67)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67)를 구비하는 고정 슬라이딩 부재(65)가 합성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에칭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복수의 돌출부(67)를 성형할 수 있다. 화학 약품을 이용하여 물질의 표면을 부식시키고 에칭 가공을 수행하여, 접촉부의 표면에 주름 가공을 수행함으로써 돌출부(67)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에칭 가공을 수행하여 접촉부의 표면에 기하학 모양을 성형함으로써 복수의 돌출부(67)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가공을 이용하여 복수의 돌출부(67)를 성형하는 경우,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레이더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각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잡한 형상을 구비하는 복수의 돌출부(67)를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베이스부가 알루미늄의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가, 예를 들어 0.2mm 이상 0.5mm 이하인 경우, 프레스 가공이 수행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스프링 백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돌출부(67)을 보다 선명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베이스부가 스테인레스 판재를 포함하고, 상술한 베이스부의 두께가, 예를 들어 0.1mm 이상 0.3mm 이하인 경우, 프레스 가공이 수행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스프링 백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돌출부(67)를 보다 선명하게 성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50)에 구비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에서 기준면(66)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67)가 배치됨에 따라,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과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착 벨트(51)의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와 정착 벨트(51) 사이의 마찰이 저감되므로, 정착 벨트(51)를 구동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에너지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와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 사이에 슬라이딩 시트 등의 다른 부재를 배치하지 않고도, 슬라이딩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제조 비용을 감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착 벨트(51)의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에 기준면(66)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67)가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돌출부(67) 주위 즉, 복수의 돌출부(67) 사이의 간극부에 배치된 기준면(비접촉부)(66)의 상부에 윤활제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착 벨트(51)의 슬라이딩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정착 벨트(51)의 시간에 따른 열화를 방지하고, 정착 장치(50)의 품질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과 접촉하는 돌출부(67)의 길이는 폭방향(X)을 따라 0.55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복수의 돌출부(67)의 피치(P67)는 1.1mm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정착 장치(5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돌출부(67)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정착 벨트(51)와 고정 슬라이딩 부재(65) 사이의 밀착력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착 벨트(51)를 구동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의 증대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를 이용함으로써, 정착 벨트(51)가 구동되는 상태에서 가압 롤러(52)에 의해 인가되는 하중을 균일화할 수 있으며, 정착 닙부(53) 내에서 하중이 걸리지 않는 부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67)를 구비하는 경우, 정착 닙부(53)에서 내부 압력은 0.098 Mpa 이하일 수 있다.
이어서, 도 5(b)를 참조하여 돌출부의 제1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돌출부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평면에서 보아 마름모 형태를 이루는 돌출부(68)일 수도 있다.
마름모꼴 돌출부(68)의 2개의 대각선 중 긴쪽의 대각선(L2)은, 예를 들어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을 따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68)의 2개의 대각선 중 짧은 쪽의 대각선(L3)은, 예를 들어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 직교하는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을 따르는 돌출부(68)의 길이(LX68)는, 예를 들어 0.55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에 인접한 돌출부(68)간의 피치(P68)는, 예를 들어 1.1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68)의 길이(LX68)는 돌출부(68)간의 간극(D68) 보다 클 수 있다.
이어서, 도 5(c)를 참조하여, 돌출부의 제2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변형예에 따른 돌출부(69)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일 수도 있다.
복수의 돌출부(69)는 정착 벨트(51)의 폭방향(제1 방향)(X)을 따라 나란히 열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을 따라 열을 이루는 복수의 돌출부(69)는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제2 방향)(Y)을 따라 복수개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을 따라 인접한 열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69)는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을 따라 서로 대응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69)는 격자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69)가 열을 이루는 방향은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 및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타 방향일 수도 있다. 또한, 격자상을 형성하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은 직교하는 방향일 수도 있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교차하는 방향일 수도 있다.
돌출부(69)의 직경(LX69)은, 예를 들어 0.55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폭방향(X)에 인접하는 돌출부(69)간의 피치(P69)는, 예를 들어 1.1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69)의 직경(LX69)은 돌출부(69)간의 간극(D69)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슬라이딩 부재의 돌출부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슬라이딩 부재(81)의 본체부(접촉부)(81b)에는 복수의 돌출부(82, 83)가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82)는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으로 연장되고,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83)는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을 따라 연장되며,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의 양 단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83)는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을 따라 돌출부(8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50)에서, 고정 슬라이딩 부재(81)의 본체부(81b)와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 사이에는 윤활제가 배치될 수 있다.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83)는 고정 슬라이딩 부재(81)의 본체부(81b)와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 사이에 배치되는 윤활제를 지지하기 위한 윤활제 지지부일 수도 있다.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83)는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을 따라 기록 매체(P)의 화상 형성 영역 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가압 롤러(52)에 의한 하중을 받는 닙 하중 영역 보다 내측에 배치될수 있다. 기록 매체(P)의 화상 형성 영역이란, 기록 매체(P)에 대해 토너상이 형성될 수 있는 영역이다. 닙 하중 영역이란, 정착 벨트(51)와 가압 롤러(52)가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이다.
돌출부(82)의 폭(LY82)은, 예를 들어 0.55m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 인접하는 돌출부(82)간의 피치(P82)는, 예를 들어 1.1mm 이상일 수 있다.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83)의 폭은, 예를 들어 돌출부(82)의 폭(LY82)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의 양 단부측에 띠 형상의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83)가 배치되는 경우, 본체부(65b)와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 사이에 배치된 윤활제는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에 따른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착 닙부(53)에서,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을 따라 외측으로 발생될 수 있는 윤활제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띠 형상의 돌출부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한 띠 형상의 돌출부(85~87)는, 도 6에 도시된 띠 형상의 돌출부(82)의 변형예(제3 변형예 내지 제5 변형예)이다. 도 7에서는 띠 형상의 돌출부(85~87) 중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부에서 일단부까지 도시한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변형예에 따른 띠 형상의 돌출부(85)는 기록 매체(P)의 폭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구비하며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띠 형상의 돌출부(85)는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 대해 직교하고 있지 않다. 띠 형상의 돌출부(85)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 길이에 걸쳐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띠 형상의 돌출부(85)의 경사각은,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 일정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의 변형예에 따른 띠 형상의 돌출부(86)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부(86a) 및 단부부(86b)를 구비할 수 있다. 중앙부(86a)는 돌출부(8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예를 들어 전체 길이의 1/3 정도의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중앙부(86a)는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 대해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부부(86b)는 중앙부(86a) 양 단부측에서, 중앙부(86a)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단부부(86b)에서 중앙부(86a)측에 인접한 부분은 정착 닙부(53)의 입구측, 즉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앙부(84a)로부터 이격된 부분은 정착 닙부(53)의 출구측, 즉,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때, 단부부(86b)와 중앙부(86a)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예를 들어 5도 이상, 30도 이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띠 형상의 돌출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중앙부에서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 직교하는 부분을 구비하지 않고, 중앙으로부터 양단부에 걸쳐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길이 방향의 중앙을 정점으로 하여 V자 모양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중앙부측이 정착 닙부(53)의 입구측, 즉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의 상류에 배치되고, 외측 부분이 정착 닙부(53)의 출구측, 즉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띠 형상의 돌출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된 중앙부에서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 직교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외측을 향할수록 만곡되는 만곡 형상이 정착 닙부(53)의 출구측, 즉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5의 변형예에 따른 띠 형상의 돌출부(87)는 파형을 이루도록 만곡될 수도 있다. 돌출부(87)는 복수의 만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서로 반대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부가 정착 벨트(51)의 폭방향(X)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된 양 단부는 외측을 향할수록 정착 닙부(53)의 출구측, 즉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의 하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정착 벨트를 구동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정착 벨트(51)를 구동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서 횡축은 정착 닙부에서의 부하(N)를 나타내고, 종축은 정착 벨트(51)를 구동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N·m)를 나타낸다.
실시예 1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복수의 돌출부(67)가 형성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를 구비하는 정착 장치를 이용한다. 비교예 1로서,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평면 형상의 고정 슬라이딩 부재를 구비하는 정착 장치를 이용한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돌출부의 유무 이외에는 동일하다. 이후, 정착 벨트(51)를 구동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토크의 최대값을 측정하여 그래프화한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정착 닙부(53)의 부하를 바꾸어 복수회 토크를 측정하였다. 도 8에서, 실시예 1의 측정 결과는 그래프 G1으로 표시되고, 비교예 1의 측정 결과는 그래프 G2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부하 300(N) 정도에서 측정된 실시예 1의 토크는 비교예 1에서 측정된 토크와 비교하여 30%이상 저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90)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90)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정착 장치(90)는 정착 벨트(51), 가압 롤러(52), 접촉 부재(54) 및 가열원(히터)(5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착 장치(90)는 정착 벨트(51)의 외주면(51a)에 부착되는 기록 매체(P)를 정착 벨트(51)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부재(56)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부재(56)는 기록 매체(P)의 이송 경로(R3)에서 정착 닙부(53)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 부재(54)는 정착 벨트(5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압 롤러(52)와 함께 기록 매체(P)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접촉 부재(54)는 원통 형상의 정착 벨트(51)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체(63), 상기 구조체(63)에 지지되는 지지체(64), 상기 지지체(64)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 슬라이딩 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슬라이딩 부재(65)는 복수의 돌출부(67)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정착 장치(90)는 접촉 부재(54)의 외면을 커버하는 반사판(92)을 구비할 수 있다. 반사판(92)은 정착 벨트(51)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은 “ㄷ”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반사판(92)은 기록 매체(P)의 이송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측벽(92a)과, 상기 한 쌍의 측벽(92a)의 일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92b)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단면에서, 한 쌍의 측벽(92a) 단부(구체적으로 가열원측 단부)는 연결부(92b)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벽(92a)은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한 쌍의 측벽(65a)를 커버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반사판(92)은 가열원(55)으로부터 인가된 복사열을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을 향해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으로부터 인가된 복사열을 상기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을 향해 반사할 수 있다.
또한, 정착 장치(90)는,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접촉부에서 정착 벨트(51)가 이동하는 방향(Y)을 따라, 접촉부인 본체부(65b)의 상류측 즉, 정착 닙부(53)의 입구측에 배치된 윤활제 공급부(93)와, 본체부(65b)의 하류측 즉, 정착 닙부(53)의 출구측에 배치된 막두께 규제부(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 공급부(93)는, 예를 들어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 있어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에 구비된 본체부(65b) 상류측 단부 즉, 정착 닙부(53)의 입구측 에 배치될 수 있고,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윤활제 공급부(93)는 정착 벨트(51)의 축 방향을 따라 정착 벨트(51)의 폭에 대응된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윤활제 공급부(93)의 내부에는 윤활제가 충전될 수 있고, 윤활제 공급부(93)의 외면으로 침출된 윤활제가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내주면(51b)에 부착된 윤활제는 정착 벨트(51)의 이동에 수반하여 이동하고, 본체부(63b)와 내주면(51b) 사이에 공급될 수 있다.
막두께 규제부(94)는, 예를 들어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 있어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 하류측 단부 즉 정착 닙부(53)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지지체(64)에 지지될 수 있다. 막두께 규제부(94)는 정착 벨트(51)의 축 방향을 따라 정착 벨트(51)의 폭에 대응된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막두께 규제부(94)는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접촉하여 정착 벨트(51)가 회전 이동될 때, 정착 벨트(51)의 형상을 규제할 수 있다. 막두께 규제부(94)는 정착 벨트(5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주면(51b)을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막두께 규제부(94)는 본체부(65b)를 통과하여 정착 닙부(53)의 출구측으로 이동한 윤활제의 막두께를 규제할 수 있다. 즉,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부착되는 윤활제는 막두께 규제부(94)에 의해 정착 닙부(53)의 출구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막두께 규제부(94)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수 있다. 부직포는, 예를 들어 내열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는, 예를 들어 300℃ 이상의 내열성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내열성과 함께 난연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연소성 UL94의 등급 중 V-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의 두께는, 예를 들어 0.8mm 이상, 4.5m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무게는, 예를 들어 200g/m2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부직포에는 내열성 섬유인 아라미드 섬유가 포함될 수 있다.
막두께 규제부(94)는, 예를 들어 막대 모양의 부재에 부직포가 권취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막두께 규제부(94)는 복수매의 부직포가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막두께 규제부(94)는 합성 수지 등 기타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90)에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상류 즉, 정착 닙부(53)의 입구측으로부터 윤활제가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윤활제는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와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와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 사이의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고, 정착 벨트(51)의 토크 증대를 억제할 수 있으며, 정착 장치(90)의 구동을 개시하는 경우 및 구동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토크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90)에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와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 사이에 윤활제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윤활제가 배치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와 정착 벨트(51) 사이의 마찰에 의한 마찰 분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찰 분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형성된 표면층이 박리되어 마모 분진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9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윤활제가 배치되어 마찰 분진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잉여 윤활제와 함께 정착 닙부(53)의 출구측으로 이동하는 마찰 분진의 양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착 벨트(51)의 내측부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90)에 따르면,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부착된 윤활제의 막두께는 막두께 규제부(94)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소정 두께 이상의 윤활제는 막두께 규제부(94)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정 두께 이상의 윤활제는 정착 닙부(53)의 출구측으로 이동할 수 없다. 막두께 규제부(94)는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부착된 잉여 윤활제는 상술한 부직포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와 정착 벨트(51)의 마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소량의 마모 분진 또한, 막두께 규제부(94)에 포함된 부직포에 의해 윤활제와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잉여 윤활제 및 마모 분진이 제거됨에 따라, 잉여 윤활제 및 마모 분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착 벨트(51)의 내부에서,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잉여 윤활제 및 마모 분진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윤활제 및 마모 분진이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반사판(92)에 부착되는 잉여 윤활제 및 마모 분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반사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열원(55)으로부터의 복사열이 정착 벨트(51)에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정착 벨트(51)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기록 매체(P)에 토너상을 보다 확실하게 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90)에서, 막두께 규제부(94)가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접촉되기 때문에, 회전 이동하는 정착 벨트(51)의 형상이 규정될 수 있다. 정착 벨트(51)는 막두께 규제부(94)에 의해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압력을 인가 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착 벨트(51)의 형상이 규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착 벨트(51)의 회전 변위가 규정될 수 있다. 회전 변위란, 정착 벨트(51)가 회전 이동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정착 벨트(51)의 위치 변화로서, 정착 벨트(51)의 두께 방향에 대한 이동 변위를 의미한다. 일 예시에 따른 정착 장치(90)에서, 정착 벨트(51)의 회전 변위가 규정될 수 있으므로, 정착 벨트(51)의 외주면(51a)측에 배치된 분리 부재(56)와 정착 벨트(51) 사이의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착 벨트(51)의 회전 형상(주회 궤도)을 안정시켜 정착 벨트(51)와 분리 부재(56)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갑작스러운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90)에 따르면, 정착 닙부(53)의 출구측 근방에 배치된 정착 벨트(51)의 회전 형상이 보다 안정적으로 규정될 수 있으므로, 정착 벨트(51)의 외주면(51a)에 분리 부재(56)의 선단부를 보다 근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착 벨트(51)의 외주면(51a)에 부착되는 기록 매체(P)를 보다 확실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막두께 규제부(94)는 정착 벨트(51)에 부착된 잉여 윤활제 및 마모 분진이 막두께 규제부(94)를 통과하여 정착 닙부(53)의 출구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착 벨트(51)의 회전 형상을 보다 안정적으로 규제시킬 수 있으므로, 추가 구성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장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0은 변형예에 따른 막두께 규제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두께 규제부(94)는 정착 벨트(51)측으로 돌출되는 규제부(94a)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규제부(94a)는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대향하는 면을 포함하는 형상 규제부로서, 일 예시에 따르면 정착 벨트(5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규제부(94a)는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 보다 가압 롤러(52)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일 예시에 따른 규제부(94a)는 닙면(N) 보다 가압 롤러(52)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규제부(94a)와 정착 벨트(51)가 접촉되는 위치는, 닙면(N) 보다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규제부(94a)가 닙면(N)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경우, 막두께 규제부(94)가 정착 벨트(51)에 보다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정착 벨트(51)의 회전 변위를 보다 확실하게 규정할 수 있다. 또한,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부착될 수 있는 잉여 윤활제 및 마모 분진을 보다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정착 장치(100)가 제3 실시예의 정착 장치(90)와 다른 점은 막두께 규제부(102)의 구조가 다른 점, 및 막두께 규제부(102)에서 회수된 윤활제를 수용하는 윤활제 수용부(103)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제4 실시예의 정착 장치(100)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정착 장치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100)는 막두께 규제부(102)를 구비하는 막두께 규제 부재(101)를 포함할 수 있다. 막두께 규제 부재(101)는 정착 벨트(51)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막두께 규제 부재(101)는 정착 벨트(51)의 축 방향을 따라 정착 벨트(51)의 폭에 대응된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막두께 규제 부재(101)는 막두께 규제부(102) 외에 지지부(101a)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101a)는 접촉 부재(54)에 대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부(101a)는, 예를 들어 기둥 형상(角柱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착 벨트(51)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101a)는, 예를 들어 지지체(64)의 하류측(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의 하류측) 측벽(64a)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01a)는 접촉 부재(54)의 구조체(63)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막두께 규제부(102)는 지지부(101a)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막두께 규제부(102)는 지지부(101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막두께 규제부(102)는 가이드면(102a), 에지부(102b) 및 경사면(102c)을 포함할 수 있다. 막두께 규제부(102)는 정착 벨트(51)의 직경 방향을 따라 지지부(101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막두께 규제부(102)는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가이드면(102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102a)은, 예를 들어 정착 벨트(51)의 회전 중심(O51)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면(102a)은 정착 벨트(5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가이드면(102a)의 길이는, 예를 들어 정착 벨트(51)의 원주의 길이의 10% 일 수 있다.
또한, 가이드면(102a)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102a)에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또한 난연성이 뛰어난 합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액정 폴리머(LCP), 폴리 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면(102a)은 부직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2는 막두께 규제 부재(101)의 에지부(102b)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면(102a)의 일 단부인 에지부(102b)는 분리 부재(56)의 선단부와,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본체부(65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에지부(102b)에서, 정착 벨트(51)의 회전 중심(O51)과 대향하는 일 면은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접하는 접선(L51b)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102c)일 수 있다. 접선(L51b)에 대한 경사면(102c)을 따르는 직선(L102c)의 경사 각도(θ102c)는, 예를 들어 15도 이상 45도 이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정착 장치(100)는 막두께 규제부(102)로부터 회수된 윤활제를 수용하는 윤활제 수용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 수용부(103)는 정착 벨트(51)의 이동 방향(Y)에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하류측 즉, 정착 닙부(53)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에지부(102b) 보다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윤활제 수용부(103)는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측에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윤활제 수용부(103)는,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측벽(65a)(도 1 참조)과 막두께 규제부(102)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 잉여 윤활제를 수용할 수 있다. 정착 벨트(51)에 부착되어 이동한 윤활제는 막두께 규제부(102)의 에지부(102b)와 만나 정착 벨트(5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윤활제는 에지부(102b)의 경사면(102c)을 따라 이동하여 윤활제 수용부(103)에 수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제4 실시예의 정착 장치(100)를 이용하여 잉여 윤활제 및 마모 분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의 정착 장치(100)에서는 막두께 규제 부재(101)와 지지체(64)가 별도의 구성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막두께 규제 부재(101)와 지지체(64)가 일체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에 따라, 정착 장치에서의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고, 장치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하기와 같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정착 장치에 있어서, 정착 벨트(51)는 합성 수지제 베이스부(57)를 구비할 수 있으며, 윤활제 공급부(93)가 흑색 윤활제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흑색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으며, 흑색 표면 처리가 불가능한 합성 수지를 정착 벨트(51)의 기재로 채용하는 경우, 정착 벨트(51)의 내주면(51b)에 흑색 윤활제를 도포함으로써, 정착 벨트(51)에 대한 복사열의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정착 장치를 이용한 기록 매체에 대한 화상의 정착을 안정시킬 수 있다. 흑색 윤활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또는 흑색의 염료 등이 첨가된 불소계 윤활제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의 방법에 의해 윤활제를 흑색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 슬라이딩 부재(65)의 접촉부인 본체부(65b)에 돌출부가 포함되거나, 제3 및 제4 실시예에 따른 정착 장치(90, 100)에 있어서 본체부(65b)에 돌출부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의 형상은 직사각형, 마름모꼴 형상, 원형, 띠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다리꼴 형상, 타원형 등 기타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의 배치 간격은 1.1mm 이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1.1mm 미만일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의 배치 간격은 일정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폭방향(X)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와 정착 벨트의 접촉 길이는 0.55mm 이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0.55mm 미만일 수도 있다.
1 화상 형성 장치
50, 90, 100 정착 장치
51 정착 벨트
51a 정착 벨트의 외주면
51b 정착 벨트의 내주면
52 가압 롤러
53 정착 닙부
54 접촉 부재
56 분리 부재
65 고정 슬라이딩 부재
65b 고정 슬라이딩 부재의 본체부(접촉부)
66 기준면
67~69 돌출부
81 고정 슬라이딩 부재
81b 본체부(접촉부)
82, 85~87 띠 형상의 돌출부
83 띠 형상의 돌출부(윤활제 지지용 돌출부)
94,102 막두께 규제부
101 막두께 규제 부재
102a 가이드면
102b 에지부
103 윤활제 수용부
P 매체
X 정착 벨트의 폭 방향
Y 정착 닙부에서 정착 벨트의 이동 방향
50, 90, 100 정착 장치
51 정착 벨트
51a 정착 벨트의 외주면
51b 정착 벨트의 내주면
52 가압 롤러
53 정착 닙부
54 접촉 부재
56 분리 부재
65 고정 슬라이딩 부재
65b 고정 슬라이딩 부재의 본체부(접촉부)
66 기준면
67~69 돌출부
81 고정 슬라이딩 부재
81b 본체부(접촉부)
82, 85~87 띠 형상의 돌출부
83 띠 형상의 돌출부(윤활제 지지용 돌출부)
94,102 막두께 규제부
101 막두께 규제 부재
102a 가이드면
102b 에지부
103 윤활제 수용부
P 매체
X 정착 벨트의 폭 방향
Y 정착 닙부에서 정착 벨트의 이동 방향
Claims (20)
- 회전 가능한 정착 벨트;
상기 정착 벨트의 외주면에 압접되어 상기 정착 벨트와의 사이에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가압 롤러; 및
상기 정착 벨트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가압 롤러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판 형상의 기준면과 상기 기준면으로부터 상기 가압 롤러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1 열과, 상기 제1 열과 상기 정착 벨트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며,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닙부에서 상기 정착 벨트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는,
정착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가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호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 사이의 이격 거리 이상인,
정착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가 0.55mm이상이고,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르는 인접한 상기 돌출부 상호간의 피치가 1.1mm 이상인,
정착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윤활제를 더 포함하는,
정착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띠 형상인,
정착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구비하도록 경사진 경사부를 포함하는,
정착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준면과 상기 정착 벨트의 상기 내주면 사이에 윤활제를 배치하기 위한 복수의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는 상기 정착 벨트가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의 양 단부측에 각각 배치되는
정착 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지지용 돌출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기록 매체에 전기 토너상이 형성되는 영역인 화상 형성 영역 보다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착 닙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정착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표면층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적어도 일부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액정 폴리머 또는 폴리 페닐렌 설파이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의 적어도 일부는 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퍼플루오로 알콕시 불소 합성 수지 또는 이들의 변성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착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가 0.2mm 이상 0.5mm 이하인,
정착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판 형상의 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스테인레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는 0.1mm 이상 0.3mm 이하인,
정착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벨트가 진입하는 상기 정착 닙부의 입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에 윤활제를 공급하는 윤활제 공급부; 및
상기 정착 벨트가 배출되는 상기 정착 닙부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상기 정착 벨트가 회전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정착 벨트의 형상을 규정하고,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윤활제의 막두께를 규제하는 막두께 규제부;를 더 포함하는
정착 장치.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막두께 규제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가압 롤러 및 상기 정착 벨트의 외주면끼리 접촉하는 닙면 보다 상기 정착 벨트의 직경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정착 장치. -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벨트의 외주면에 부착된 상기 기록 매체를 분리하는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정착 벨트가 배출되는 상기 정착 닙부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분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정착 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막두께 규제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가이드면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정착 벨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정착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막두께 규제부는 상기 가이드면의 일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상기 윤활제를 스크레이핑하는 에지부 및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에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지부에서 스크레이핑된 상기 윤활제를 수용하는 윤활제 수용부를 구비하는,
정착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는 상기 정착 벨트의 내주면에 접하는 접선과 소정의 경사각을 구비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정착 장치. -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벨트의 외주면에 부착된 상기 기록 매체를 분리하는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리 부재는 상기 정착 벨트가 배출되는 상기 닙부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지부는 상기 접촉 부재와 상기 분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정착 장치. - 제1 항 내지 제1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착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5/297,666 US10031452B2 (en) | 2015-12-22 | 2016-10-19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CN201680076405.0A CN108463777B (zh) | 2015-12-22 | 2016-10-19 | 定影装置以及包括该定影装置的图像形成设备 |
PCT/KR2016/011715 WO2017111278A1 (en) | 2015-12-22 | 2016-10-19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EP16879145.7A EP3380895B1 (en) | 2015-12-22 | 2016-10-19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US16/016,045 US10452011B2 (en) | 2015-12-22 | 2018-06-22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249896 | 2015-12-22 | ||
JP2015249896A JP6792331B2 (ja) | 2015-12-22 | 2015-12-22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4738A true KR20170074738A (ko) | 2017-06-30 |
Family
ID=5923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1446A KR20170074738A (ko) | 2015-12-22 | 2016-07-19 | 정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3380895B1 (ko) |
JP (1) | JP6792331B2 (ko) |
KR (1) | KR20170074738A (ko) |
CN (1) | CN10846377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167282A (ja) * | 2016-03-15 | 2017-09-21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874357B2 (ja) * | 2016-12-20 | 2021-05-19 | 株式会社リコー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972925B2 (ja) * | 2017-10-29 | 2021-11-24 | 沖電気工業株式会社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7269529B2 (ja) * | 2019-03-13 | 2023-05-09 | 株式会社リコー | 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987A (ja) * | 1992-06-17 | 1994-01-14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
JP3254117B2 (ja) * | 1995-10-04 | 2002-02-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像加熱装置 |
US5890034A (en) * | 1997-02-28 | 1999-03-30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Develop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artridge for use in the developing device |
JPH10319774A (ja) * | 1997-05-14 | 1998-12-04 | Canon Inc | 像定着装置とその通電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JP2000356918A (ja) * | 1999-06-15 | 2000-12-26 | Nitto Denko Corp | 電子写真記録装置用エンドレスベルト |
JP3634679B2 (ja) * | 1999-07-30 | 2005-03-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加熱装置 |
DE60115737T2 (de) * | 2000-02-21 | 2006-07-27 | Canon K.K. | Magnetischer Toner und Bildherstellungsverfahren unter Verwendung desselben |
JP2002299007A (ja) * | 2001-03-30 | 2002-10-11 | Canon Inc | 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2002323819A (ja) * | 2001-04-24 | 2002-11-08 | Canon Inc | 加熱定着装置 |
JP2003076178A (ja) * | 2001-09-06 | 2003-03-14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4178939B2 (ja) * | 2002-12-17 | 2008-11-12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定着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装置 |
JP4532933B2 (ja) * | 2004-02-27 | 2010-08-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像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4529579B2 (ja) * | 2004-08-05 | 2010-08-25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定着装置 |
JP4574319B2 (ja) * | 2004-10-20 | 2010-11-04 | キヤノン株式会社 | 定着装置 |
JP2007057851A (ja) * | 2005-08-24 | 2007-03-08 | Canon Finetech Inc |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KR100861128B1 (ko) * | 2007-03-20 | 2008-09-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정착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KR100884399B1 (ko) * | 2007-04-04 | 2009-02-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정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JP5125267B2 (ja) * | 2007-07-09 | 2013-01-23 |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 定着器用の摺動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定着器並びに画像形成装置 |
JP2009251311A (ja) * | 2008-04-07 | 2009-10-29 | Sharp Corp |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US20100300484A1 (en) * | 2009-05-28 | 2010-12-02 | Kabushiki Kaisha Toshiba | Cleaning device and cleaning performance maintaining method |
JP5407620B2 (ja) * | 2009-07-15 | 2014-02-05 | 株式会社リコー | オイル塗布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定着装置ならびに電子写真装置 |
JP5556343B2 (ja) * | 2009-09-03 | 2014-07-23 | 株式会社リコー |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5440097B2 (ja) * | 2009-10-30 | 2014-03-1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定着装置 |
JP5573277B2 (ja) * | 2010-03-25 | 2014-08-20 |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 搬送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5754230B2 (ja) * | 2011-04-28 | 2015-07-2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定着装置 |
JP5943231B2 (ja) * | 2012-01-26 | 2016-07-05 | 株式会社リコー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US9026024B2 (en) * | 2012-02-09 | 2015-05-05 | Ricoh Company, Ltd. | Fix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of endless rotary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
JP2014013377A (ja) * | 2012-06-06 | 2014-01-23 | Ricoh Co Ltd |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2014186315A (ja) * | 2013-02-22 | 2014-10-02 | Nok Corp | 定着用押圧部材及び定着装置 |
JP6124118B2 (ja) * | 2013-03-15 | 2017-05-10 | 株式会社リコー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149468B2 (ja) * | 2013-03-29 | 2017-06-21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定着装置 |
JP2015210456A (ja) * | 2014-04-30 | 2015-11-24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2015
- 2015-12-22 JP JP2015249896A patent/JP6792331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07-19 KR KR1020160091446A patent/KR20170074738A/ko unknown
- 2016-10-19 CN CN201680076405.0A patent/CN108463777B/zh active Active
- 2016-10-19 EP EP16879145.7A patent/EP338089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7116650A (ja) | 2017-06-29 |
CN108463777B (zh) | 2021-09-14 |
EP3380895A4 (en) | 2020-04-15 |
JP6792331B2 (ja) | 2020-11-25 |
EP3380895A1 (en) | 2018-10-03 |
CN108463777A (zh) | 2018-08-28 |
EP3380895B1 (en) | 2023-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52011B2 (en)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5737629B2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6735044B2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20180203384A1 (en)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6229422B2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6983489B2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9217989B2 (en) |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 |
KR20170074738A (ko) | 정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
US9952542B2 (en) |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5084082A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20197669A (ja) | 加熱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4002306A (ja) |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7073089B2 (ja) |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6109732A (ja) | 定着装置 | |
KR100690102B1 (ko) | 현상 장치, 이 현상 장치를 이용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화상 형성 장치 | |
JP6299997B2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0223417A (ja) | 定着部材、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6102973B2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7298149B2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6170367A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6226230B2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8106045A (ja) | 定着装置 | |
JP6794655B2 (ja) |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21060536A (ja) | ベル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5227910A (ja) | ローラ、定着ローラ、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