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871A - 플라스틱 성형체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871A
KR20170067871A KR1020177012867A KR20177012867A KR20170067871A KR 20170067871 A KR20170067871 A KR 20170067871A KR 1020177012867 A KR1020177012867 A KR 1020177012867A KR 20177012867 A KR20177012867 A KR 20177012867A KR 20170067871 A KR20170067871 A KR 20170067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lastic molded
molded article
cap
irregula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5865B1 (ko
Inventor
츠토무 이와사키
마사키 아오야
사토오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6Integral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4Coverings or ex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4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with drip catchers or drip-preven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6Haloge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29C2059/023Micro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33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93Other properties 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2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3/28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by reaction with 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는, 비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갖고 있고, 해당 표면에는 조면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해당 조면을 형성하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에는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성형체에서는, 뛰어난 발액성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고, 액체가 반복 접촉한 경우에도 초기와 동일한 정도의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성형체{PLASTIC MOLDED BODY}
본 발명은 비(非)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유리나 금속 등에 비하여 성형이 용이하고, 여러 가지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보틀 등의 용기나 용기에 장착되는 캡 등의 포장 분야는, 플라스틱의 용도의 대표적인 분야이다.
그런데, 상기의 용기에 액체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액 흘러내림(liquid dripping)의 문제가 있어, 용기 내에 수용된 액체를 마우스부로부터 주출(注出)할 때, 주출된 액체가 용기 마우스부의 외벽면을 따라서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는 것과 같은 고안이 요구된다.
또, 용기의 표면에 접촉하는 액체의 종류에 따라서는, 액(液) 부착의 문제도 있다. 예를 들면, 고점성의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에 있어서는, 해당 액체가 용기의 내면에 부착해 버리기 때문에, 용기로부터 액의 배출성이 문제가 된다. 즉, 용기를 기울여도 액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거나(액의 전락성(轉落性)이 낮다), 용기의 액의 전량을 배출하는 것이 곤란해져, 상당한 양의 액이 용기 내에 잔존해 버리는 등의 불편함을 발생시켜 버린다. 이 때문에, 표면의 액 부착을 억제하는 수단도 요구되고 있다.
액 흘러내림이나 액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표면의 액체에 대한 미끄러짐성을 높이기 위해 발액성(撥液性)을 부여하는 것이며, 액에 대한 발액성을 향상시키려면, 이러한 플라스틱으로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함불소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함불소 수지는 매우 고가이고, 게다가 성형이 곤란하기 때문에, 그 용도가 매우 한정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불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불소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성형체에 대하여, 발액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액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는, 표면에 발액성의 피막을 설치하는 수단과, 표면에 요철(凹凸)을 형성하는 수단이 대표적이고, 최근에는 이들을 병용한 수단도 제안되고 있다.
즉, 표면에 발액성의 박막(예를 들면 불소나 규소 등을 포함하는 화합물 또는 수지를 함유하는 막)을 표면에 설치하는 수단은, 표면에 발액성의 물질을 존재시킴으로써, 액 흘러내림이나 액 부착을 방지한다는 것이지만, 이러한 수단으로는 발액성에 한계가 있어, 예를 들면, 액체의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키기에는 불충분하고, 액 흘러내림을 유효하게 방지하거나 또는 액체의 전락성을 충분히 높이는 것에는 이르지 못했다. 또, 균일한 두께의 막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발액성에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 표면에 요철을 설치하는 수단은, 표면 형상에 의해 물리적으로 발액성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즉, 요철면 상을 액이 흐를 때에는, 오목부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어, 요철면과 액체와의 접촉 상태가 고액(固液) 접촉 및 기액(氣液) 접촉이 되고, 게다가, 기체(공기)는 가장 소수성이 높은 물질이다. 이 때문에, 요철의 소밀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현저하게 높은 발액성이 발현되고, 액 끊김성(drainability)이 향상하여, 액 흘러내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더 나아가서는 액체의 전락성도 유효하게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에 있어서도, 액이 반복해서 요철면 상을 흘러가면, 점차 오목부에 액이 괴여 에어 포켓이 점차 사라져 가고, 이 결과, 액 끊김성이나 액체의 전락성이 점차 저하되어 가게 된다.
근년에는, 상기와 같이 발액성의 물질을 표면에 존재시키는 수단과 표면에 요철을 형성해 두는 수단을 병용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즉,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발액성의 물질을 존재시켜 둠으로써, 오목부에 액체가 괴인다는 불편함을 유효하게 회피하여, 발액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플라스틱 필름 표면에, 산화 실리콘막 등의 무기 경질막을 설치하고, 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설치하여, 이 요철면 상에, 불화탄화수소기와 클로로실릴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이용하여 불소를 포함하는 화학 흡착 단분자막을 형성함으로써, 발수발유성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발수발유성을 갖는 플루오로알킬계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지 성형체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발수발유성 수지 성형체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2에서도, 액 끊김성이나 액체의 전락성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에 성공하지는 못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액체를 반복 접촉시킴으로써, 불소를 포함하는 화학 흡착 단분자막이 서서히 제거되어 가고, 이것에 수반하여, 오목부에도 서서히 액체가 괴여가며,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을 서서히 잃어가게 된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표면에 플루오로알킬계 계면활성제가 블리딩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발수발액성이 발현되는 것이지만, 블리딩한 플루오로알킬 계면활성제는, 액이 반복해서 표면에 접촉하면, 역시, 서서히 제거되어 가고, 결국,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 등은 서서히 저하되어 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자 등은 앞서, 표면에 1차 요철이 형성되고, 이 1차 요철의 적어도 일부에 미세한 2차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프랙탈(fractal)적인 계층 표면 요철 구조를 갖는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안했다(일본국 특원2013-220998호).
이 성형체에서는, 1차 요철의 영역 내에, 더욱 미세한 2차 요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1차 요철 내로의 액체의 침입이 유효하게 억제되어 1차 요철에 의한 발액성이 안정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단에 의해서도,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의 저하를 억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2차 요철 내로의 액체의 침입을 완전하게 방지하지는 못하여, 2차 요철에 형성되는 에어 포켓에 의한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은 서서히 저하해 가고, 따라서, 1차 요철 내에 서서히 액체가 침입하여, 이 결과,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의 저하를 피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액체가 반복 접촉한 경우에도,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이 보다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국 특허 제3358131호 일본국 특개2014-6517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뛰어난 발액성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어, 액체가 반복 접촉한 경우에도 초기와 동일한 정도의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을 나타내는 표면을 구비한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에 의해, 액 흘러내림이나 액 부착이 유효하게 방지된 표면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갖고 있고, 해당 표면에는 조면(粗面)이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성형체에 있어서, 해당 조면을 형성하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에는,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에 있어서는,
(1) 상기 조면은, 1차 요철면과, 해당 1차 요철면 내에 형성된 해당 1차 요철보다도 미세한 2차 요철면을 갖고 있고, 해당 2차 요철면을 형성하고 있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상기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있는 것,
(2) 상기 2차 요철면 내에는, 더욱 미세한 3차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3차 요철면을 형성하고 있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상기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있는 것,
(3) 상기 조면 상에 수적(水滴)을 떨어뜨렸을 때, 단위 면적당의 고(固)-액(液) 계면의 투영 면적으로 표시되는 면적비(Φs)는, 0.05∼0.8의 범위에 있는 것,
(4) 상기 조면이 직사각형 요철 구조인 것,
(5) 상기 조면을 형성하는 요철 구조의 진폭에 상당하는 산술 평균 거칠기를 Ra, 해당 요철 구조의 1/2 피치(R0)의 평균 길이를 RSm이라고 했을 때, 상기 조면이 Ra/RSm≥50×10-3을 만족하는 것,
(6) 상기 플라스틱 성형체는, 액상 물질의 수용에 사용되는 포장 재료인 것,
(7) 상기 포장 재료가, 보틀, 캡 또는 스파우트의 형태를 갖고 있고, 액상 물질과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조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는, 폴리올레핀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비불소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지는 조면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조면을 형성하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조면부(미세한 요철면)에 액체가 흐르는 경우, 조면에 의한 에어 포켓의 생성(기(氣)-액(液) 접촉)과 불소 원자에 의한 발액성 향상이 맞물려, 높은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이 확보되는 것인데, 이 불소 원자는, 표면의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편입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조면)으로부터 탈락하는 일 없이 안정되게 표면(조면) 상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반복해서 액체를 흘린 경우에도 안정된 발액성을 나타낸다.
즉, 후술하는 실시예에도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조면이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에서는, 그 표면을 소정의 각도(25°)로 기울여 액체(소스)를 반복 적하하여 표면을 더럽힌 후, 액체의 접촉각을 측정하는 시험에서, 100회 이상 적하를 반복한 경우에도, 초기의 접촉각과 거의 동등하고, 발액 성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것은, 불소 원자가 조면을 형성하고 있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편입되어 있기 때문에, 액이 반복 접촉한 경우에도 발액성을 나타내는 불소 원자가 제거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표면을 조면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 이와 같은 조면을 불소 원자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 표면 처리했을 때, 또는 표면을 형성하는 비불소계 수지에 함불소계 계면활성제를 배합했을 때,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반복해서 액체를 접촉시키면, 조면 상에 불소 원자 함유 성분이 탈락해 가기 때문에 발액성은 서서히 저하되어 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는, 발액성이 안정되게 유지되는 조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성형체의 형태나 용도에 따라, 이와 같은 조면을 적절한 장소에 형성함으로써, 그 안정적인 발수성에 의해, 예를 들면 안정된 액 끊김성을 발현하여, 액 흘러내림 등을 일으키는 일 없이 내용액을 배출할 수 있고, 또, 벽면에 내용액을 부착 잔존시키는 일 없이 내용액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히 내용액을 배출할 때의 액 흘러내림, 부착 잔존, 배출성(전락성)이 큰 문제가 되는 포장 분야, 예를 들면 캡이나 스파우트, 또는 보틀 등의 용기 등의 포장재에 유효하게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에 있어서 형성되는 발액성의 조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조면에서의 액적의 접촉 패턴을 Cassie-Baxter 모델 및 Wenzel 모델로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에 형성되는 가장 적합한 조면의 형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의 일례인 포장체(보틀과 캡의 조합)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의 일례인 힌지 캡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힌지 캡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불소 플라스마 에칭 처리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형성되는 조면의 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에 있어서 표면에 형성되는 조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 1에서, 이 표면은 비불소계의 수지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표면에는,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지는 조면(100)이 형성되어 있고(도 1에 있어서, 조면(100) 중의 볼록부의 정수리부는 S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 조면(100)을 형성하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는, 후가공에 의해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를 -(CH2)n-으로 표시하면, 이 분자쇄의 일부에는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예를 들면 -CHF- 또는 -CF2- 또는 -CF3 등의 함불소 부분이 생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불소 원자를 편입하기 위한 후가공은, 후술하는 불소 플라스마 에칭에 의해 실시된다.
상기와 같은 조면(100)에서의 액의 발액성을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즉, 상기의 조면(100)에서의 액적의 접촉 패턴을 나타내는 도 2에 있어서, 액적이 조면(100) 상에 놓인 Cassie 모드에서는, 조면(100) 중의 오목부가 에어 포켓으로 되어 있고, 액적은 고체와 기체(공기)와의 복합 접촉이 된다. 즉, 이와 같은 복합 접촉에서는, 액적의 접촉계면에서의 반경(R)은 작고, 소수성이 가장 높은 공기에 액체가 접촉하기 때문에 높은 발수성이 발현된다.
이와 같은 Cassie 모드에서의 조면(100)의 접촉각의 이론식 (1)은 다음과 같다.
cosθ=(1-ΦS)cosπ+ΦScosθE
=ΦS-1+ΦScosθE (1)
   θE: 접촉각
θ: 겉보기 접촉각
ΦS: 면적비(단위 면적당의 고-액 계면의 투영 면적)
이 이론식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ΦS가 작을수록 겉보기 접촉각 θ는 180도에 가까워져, 초발액성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액적이 조면(1a) 중의 오목부에 침입한 경우에는, 액적은 복합 접촉이 아닌, 고체하고 만의 접촉이며, Wenzel 모드로 나타내어진다. 이와 같은 Wenzel 모드에서는, 액적의 접촉 계면에서의 접촉 반경(R)은 크고, 그 요철 표면의 접촉각의 이론식 (2)는 다음과 같다.
cosθ=rcosθE (2)
 θE: 접촉각
θ: 겉보기 접촉각
r: 요철도(=실접촉 면적/액적의 투영 면적)
이 이론식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r이 클수록 겉보기 접촉각 θ는 180도에 가까워져, 초발액성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에서, 발액성에 대해서는, 상기와 같이, Wenzel 모드와 Cassie 모드 중 어느 상태에서도 발액성이 향상되는 것은 알려져 있지만, 전락성 및 반복 전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Wenzel 모드가 아닌, Cassie 모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즉, 오목부의 에어 포켓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 발명자 등은 생각하고 있다. 즉, Wenzel 모드는 액상(液相)과 고상(固相)의 계면이 크고, 결과, 계면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흡착력도 커지므로, 접촉각은 커서 발액은 하고 있지만, 액적이 용이하게 전락하는 일은 없다. Cassie 모드는 계면이 작기 때문에, 액적이 전락할 때 넘지 않으면 안 되는 에너지 장벽이 낮아 용이하게 전락하고, 몇 번이라도 반복 전락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Cassie 모드에서의 액적의 접촉을 유효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 조면(100)을 형성하고 있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불소 원자를 편입시킴으로써, 화학적으로 발액성을 부여하고 있다. 즉, 조면(100) 중의 오목부에 액체가 침입해 버리면, 액적의 접촉 패턴은 Wenzel 모드가 되어 버리고, 이 결과, Cassie 모드에 의한 초발액성은 손상되어 버리지만, 본 발명에서는, 불소 원자의 분자쇄 중으로의 편입에 의해, 이 조면(1a)에는 화학적으로 발액성이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 내로의 액체의 침입이 유효하게 억제되어 Cassie 모드에 의한 초발액성이 안정되게 유지되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면(100)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면, 볼록부의 정수리부나 오목부의 바닥부에 있어서, 화학적 발액성을 발현시키기 위한 불소 원자가, 이 면을 형성하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편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조면(100)에 액이 반복 접촉한 경우에도, 이 불소 원자가 제거되는 일은 없고, 화학적 발액성이 안정되게 유지되어, 결국, Cassie 모드에 의한 초발액성이 저하하는 일 없이 초기와 마찬가지로 높은 레벨로 유지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뛰어난 액 끊김성(액 흘러내림 방지)이나 액의 전락성(액의 배출성)을 장기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막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표면의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불소 원자를 편입하고 있기 때문에, 막두께 조정 등은 필요 없고, 막두께에 의한 발액성의 불균일도 생기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또, 상기의 조면(100)의 요철의 정도는, Cassie 모드에 의한 발액성이 충분히 발휘되도록, 조면(100) 중의 단위 면적당의 볼록부 정수리부(S)의 면적으로 표시되는 면적비(Φs)가 0.05 이상, 바람직하게는 0.08 이상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성형성이나 기계적 강도의 관점에서, 면적비(Φ)는 0.8 이하, 특히 0.5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조면(100)에 수적을 적하했을 때, 단위 면적당의 고-액 계면의 투영 면적으로 표시되는 면적비(Φs)는, 바람직하게는 0.05∼0.8, 보다 바람직하게는 0.08∼0.5의 범위에 있고, Cassie 모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조면(100)에 있어서의 깊이(d)는 5∼200㎛, 특히 10∼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적합하다.
또, 조면(100)으로는, 도 8과 같은 요철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액적은, 식 (3)에 의해, 요철 선단각(α)과 요철의 1/2 피치(R0)로 표시되는 라플라스 압력(Δp)에 의해 지지되어, 에어 포켓을 형성한다. 즉, 요철 선단각(α)이 작아지고, 1/2 피치(R0)가 작아져, 요철 구조가 침봉상(狀)이 되면, 라플라스 압력이 커지므로 액적은 요철에 침입하기 어려워져, 발액성이 발휘된다.
따라서, 도 8로부터, 요철 구조의 진폭을 나타내는 산술 평균 거칠기(Ra)가 크고, 1/2 피치(R0)에 대응하는 평균 길이(RSm)가 작은 쪽이, 라플라스 압력이 커서 발액성이 발휘되므로, Ra/RSm이 50×1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1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Δp=-γcos(θ-α)/(R0+hcosα) (3)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지는 조면(100)의 형성은, 일반적으로, 금속제의 스탬퍼를 이용한 전사법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레지스트법 등에 의해 상술한 미세한 요철에 대응하는 조면부를 갖는 스탬퍼를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고, 이것을 플라스틱 성형체의 표면의 소정 부분에 꽉 눌러 조면부를 전사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조면(100)을 플라스틱 성형체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스탬퍼의 요철면은, 요철이 역전한 상태로 플라스틱 성형체의 표면(1)에 형성되게 된다.
또, 도 1에 있어서, 조면(100)의 요철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어 포켓을 안정되게 형성한다는 관점에서, 도 1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볼록부 및 오목부가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오목부가 V자 형상과 같은 형태로 되어 있으면, 액적이 오목부 내로 들어가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표면을 형성하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으로의 편입은, 불소 플라스마를 이용한 에칭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불소 플라스마 에칭은, 그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CF4 가스나 SiF4 가스 등을 사용하고, 조면(100)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성형체의 표면을, 한 쌍의 전극 사이에 배치하며, 고주파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불소 원자의 플라스마(원자상 불소)를 생성시키고, 이것을 조면(100)을 형성하는 부분에 충돌시킴으로써, 불소 원자는 표면(조면(1a))을 형성하고 있는 비불소 수지의 분자쇄 중에 편입된다. 즉, 표면의 수지가 기화 내지 분해되고, 동시에, 불소 원자가 편입되게 된다.
따라서,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있는 영역에는, 에칭에 의해, 초미세한 요철이 형성되게 된다. 이 초미세한 요철에서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일반적으로, 100㎚ 이하이며, Ra/RSm≥5×10-3이다.
인가하는 고주파 전압이나 에칭 시간 등의 조건은, 조면(100)의 조도(면적비(Φs))에 따라 적절한 범위로 설정되는데,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실시되는 발액 내구 시험에서, 액적(소스)을 100회 반복 적하한 후에 접촉각을 측정한 경우에 있어서, 초기의 접촉각의 90% 이상의 접촉각이 나타내어지는 것으로 하면 되고, 이와 같은 조건을, 미리 실험실 시험 등에 의해 설정해 두면 된다. 조면(100)의 조도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단위 면적당의 불소 원자와 카본과의 원소비(F/C)가 40% 이상, 특히 50∼300%의 범위에 있을 때, 표면 강도를 손상시키지 않고, 상기와 같은 안정된 초발액성을 확보할 수 있다. 원소비는, X선 광전자 분광 장치를 이용하여, 표면의 원소 조성을 분석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 조면(100)으로는, 도 1이나 도 8에 나타내어져 있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프랙탈적인 계층 구조에 의해 조면(10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큰 볼록부(160a)와 오목부(160b)로 형성되어 있는 1차 요철(160) 위에 미세한 2차 요철(16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즉, 2차 요철(165) 상에 액적(170)이 놓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액적(170)과 2차 요철(165)과의 사이에도 에어 포켓(2차 에어 포켓)이 형성된다. 즉, 액적(170)과 2차 요철(165)과의 사이의 2차 에어 포켓이 1차 요철(160)의 오목부(160b)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여, 1차 요철(160)과 액적(17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 포켓의 소실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Cassie 모드에서의 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유지되게 되어, 전락성이나 액 끊김성(액 흘러내림 방지성)을 더욱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계층 구조를 갖는 조면(100)에 있어서, 1차 요철(160)의 표면 부분에 있는 2차 요철(165)은, 이 2차 요철(165) 상의 액적이 1차 요철(160)의 오목부(160b) 내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2차 에어 포켓이 형성되는 크기의 표면 거칠기를 갖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산술 평균 거칠기와 평균 길이의 비, Ra/RSm이 50×1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0×10-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의 1차 요철(160)은, 전술한 도 1에 나타내어져 있는 형태의 조면(100)과 마찬가지의 면적비(Φ)나 요철의 깊이(d)를 갖고 있으면 되고, 이것에 의해, Cassie 모드에 의한 발액성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 2차 요철(165)은, 1차 요철(160)의 오목부(160b) 내로의 액적(170)의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한다는 점에서는, 1차 요철(160)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최적이지만, 적어도 1차 요철(160)의 볼록부(160a)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은 계층 구조를 갖는 조면(100)은, 1차 요철 형성용 스탬퍼의 요철면에, 블라스트(blast) 처리 등에 의해 미세한 2차 요철면을 형성해 두고, 이러한 스탬퍼를 이용한 전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2차 요철(165)이 형성되어 있는 1차 요철(160) 상의 적어도 일부분, 특히 1차 요철(160)의 볼록부(160a)의 정수리부가 되는 부분이나 오목부(160b)의 바닥부가 되는 부분에는, 불소 플라스마 에칭에 의해, 표면을 형성하고 있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불소 원자가 편입되게 되는데, 이러한 영역에는, 불소 원자가 편입될 때의 에칭에 의해, 2차 요철이 더욱 미세화된 3차 요철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3차 요철의 산술 평균 거칠기(Ra)는, 일반적으로, 앞서 기술한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초미세한 요철과 마찬가지로 100㎚ 이하이며, Ra/RSm≥5×10-3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 플라스틱 성형체의 표면은, 비불소계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비불소계 수지, 즉, 불소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수지로는, 전술한 요철로 이루어지는 조면(100)을 형성하고 또한 불소 플라스마 에칭에 의해 불소 원자의 분자쇄 중으로의 편입이 가능한 한, 임의의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성형체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수지를 선택하면 되고, 다층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포장재 분야에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등으로 대표되는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가 표면 형성용의 수지로서 대표적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는, 전술한 조면(100)이 나타내는, 긴 수명이고 또한 뛰어난 발액성을 살려서 여러 가지의 형태로 할 수 있고, 특히 액 끊김성이 양호해지므로, 음료, 조미액, 각종 약액을 수용하는 포장체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포장체의 적합예를 나타내는 도 4에 있어서, 이 포장체는, 마우스부(1)를 구비한 플라스틱 보틀과, 마우스부(1)에 장착된 캡(나사 캡)(3)으로 구성되고, 플라스틱 보틀 내에는 액체가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체에 있어서, 플라스틱 보틀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마우스부(1)의 아래쪽은 만곡한 숄더부로 이어지고, 이 숄더부는 몸통부로 이어지며, 몸통부의 하단은 바닥부에 의해 닫혀져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보틀에 있어서, 그 외면에는, 캡(3)을 홀딩하기 위한 나사산(5)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산(5)의 하측에는 환상 돌기(7)가 형성되며, 환상 돌기(7)의 아래쪽에는, 반송 시 등에 있어서, 보틀을 홀딩하기 위한 서포트 링(9)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캡(3)은, 정판부(頂板部)(10)와, 정판부(10)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강하하고 있는 통상(筒狀) 측벽(11)을 갖고 있고, 정판부(10)의 내면(특히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밀봉용 라이너(13)가 설치되어 있으며, 통상 측벽(11)의 내면에는 보틀의 마우스부(1)의 나사산(5)과 걸어맞추는 나사산(1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캡(3)은 나사 걸어맞춤에 의해 마우스부(1)에 장착되고, 캡(3)을 장착했을 때, 마우스부(1)의 위쪽 부분은 라이너(13)에 밀착하고, 이것에 의해, 보틀 내가 밀봉되게 된다.
또, 이와 같은 밀봉을 확실히 하기 위해, 라이너(13)는, 비교적 긴 이너 링(13a)과 비교적 짧은 아우터 링(13b)을 갖고 있고, 이 사이의 공간에 마우스부(1)의 상단 부분이 들어가고, 이 상단 부분의 내측 측면, 상단면 및 외측 측면의 상단 부분이 라이너(13)에 밀착하여 시일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도 4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캡(3)의 통상 측벽(11)의 하단에는, 파단 가능한 약화 라인을 통하여 탬퍼 에비덴트 밴드(TAMPER EVIDENT BAND)(TE 밴드)가 설치되어 있고, 이 캡(3)을 개전(開栓)하여 마우스부(1)로부터 제거하면, TE 밴드가 캡(3)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일반의 수요자에게 캡(3)의 개봉 이력을 명시하여, 장난 등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포장체에서는, 캡(3)을 보틀의 마우스부(1)로부터 떼어낸 후, 해당 보틀을 기울여 마우스부(1)로부터 보틀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의 주출이 실시된다. 이 점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캡(3)(나사 캡)이 장착되는 포장체의 주출구는 보틀의 마우스부(1)의 상단면(X)이 된다.
즉,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를, 이와 같은 플라스틱 보틀에 적용한 경우, 해당 보틀의 마우스부(1)의 상단면(이하, 단지 「주출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X)에, 전술한 요철면(100)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보틀의 마우스부(1)가 주출구(X)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는 캡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이 힌지 캡은, 도 4에 나타내어져 있는 포장체와 마찬가지의 플라스틱 보틀의 마우스부(1)에 캡(도면에서 50으로 나타낸다)을 장착함으로써 사용되는데, 도 4의 예에서는, 캡이 나사 걸어맞춤에 의해 마우스부(1)에 장착되는 나사 캡이라고 칭해지는 것인 것에 대해, 이 예에서 채용되는 캡(50)은, 소위 힌지 캡이라고 칭해진다.
즉, 캡(50)은, 보틀의 마우스부(1)에 끼워넣음 등에 의해 고정되는 캡 본체(51)와, 힌지 밴드(53)를 통하여 캡 본체(51)에 힌지 연결된 힌지 뚜껑(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캡 본체(51)는, 천판(天板)(61)과, 천판(61)의 둘레 가장자리부로부터 강하한 통상 측벽(63)으로 이루어지고, 천판(61)의 내면에는, 통상 측벽(63)과는 간격을 두고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환상 돌기(65)가 설치되어 있다. 즉, 타전(打栓)에 의해, 통상 측벽(63)과 환상 돌기(65)와의 사이의 공간에 보틀 마우스부(1)의 위쪽 부분이 끼워넣어지고, 이것에 의해, 캡 본체(51)는 단단히 보틀 마우스부(1)에 고정되게 된다.
또, 천판(61)의 중앙 부분에는, 내용액을 주출할 때의 유로가 되는 개구(67)가 형성되어 있고, 천판(61)의 상면에는 이 개구(67)를 둘러싸도록 하여 주출통(69)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포장체가 제조되고, 이것이 판매되어 사용될 때까지는, 이 개구(67)는 폐색 상태에 있으며, 일반 수요자가 최초로 보틀로부터 내용액을 주출할 때에, 이 부분의 벽을 잡아떼서 개구(67)를 형성하게 되어 있다.
한편, 힌지 뚜껑(55)은, 정판부(71)와, 정판부(7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스커트부(73)로 이루어져 있고, 스커트부(73)의 단부가 힌지 밴드(53)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힌지 밴드(53)가 캡 본체(51)의 통상 측벽(63)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 힌지 밴드(53)를 지점(支點)으로 한 선회에 의해, 힌지 뚜껑(55)의 개폐가 실시되게 되어 있다.
또, 이 힌지 뚜껑(55)의 정판부(71)의 내면(도 6에 있어서 상면)에는 시일 링(75)이 형성되어 있고, 정판부(71)의 힌지 밴드(53)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개봉용 플랜지(77)가 설치되어 있다.
즉, 힌지 뚜껑(55)을 닫았을 때, 시일 링(75)의 외면이 주출통(69)의 내면에 밀착하고, 이것에 의해, 내용액을 주출하기 위한 개구(67)가 형성되어 있을 때의 시일성이 확보되게 되어 있다.
또, 힌지 뚜껑(55)을 개폐하기 위한 선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개봉용 플랜지(77)는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힌지 캡에서는, 힌지 뚜껑(55)을 열어 주출통(69)으로부터의 내용액의 주출이 실시되기 때문에, 이 주출통(69)의 상단은 약간 나팔상으로 바깥쪽에 퍼진 형태를 갖고 있다.
또, 이 주출통(69)의 상단 부분, 특히 힌지 밴드(53)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주출구(X)가 되는 부분이다. 즉, 힌지 밴드(53)가 존재하는 측에는, 열린 힌지 뚜껑(55)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힌지 밴드(53)가 존재하고 있는 측과 반대측으로 내용액이 주출되기 때문이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힌지 캡에 있어서는, 주출통(69)의 상단의 적어도 주출구(X)가 되는 부분에, 전술한 조면(100)이 형성되게 된다.
또, 조면(100)은, 주출통(69)의 내면 아래쪽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힌지 뚜껑(55)의 시일 링(75)이 밀착하는 부분까지는 연장되어 있지 않는 것이 좋다. 이 부분까지 조면(100)이 연장되어 있으면 시일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5 및 6에 있어서는, 개구(67)를 형성한 후의 시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부재로서 힌지 뚜껑(55)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 힌지 뚜껑(55) 대신에 나사 뚜껑이 사용되고 있는 구조의 캡도 있다. 즉, 나사 뚜껑은, 나사 걸어맞춤에 의해 캡 본체(51)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것이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출통(69)의 상단의 전체 둘레가 주출구(X)가 되기 때문에,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조면(100)이 형성되게 된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마우스부(1)를 갖는 플라스틱 보틀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플라스틱 보틀과 마찬가지로, 각종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이 보틀의 마우스부(1)의 상단면이 주출구(X)가 되고, 이 부분에 요철면으로 이루어지는 조면(100)을 형성하기 때문에, 요철면(100)의 형태 안정성, 강도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캡측이 주출구(X)가 되어 요철면(10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 보틀은, 유리제 또는 금속제여도 된다.
또한, 캡(3, 50)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재료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플라스틱 캡과 마찬가지로, 각종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또, 보틀이 주출구(X)가 되어 조면(10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 캡은 금속제의 나사 캡이어도 된다.
또한, 캡(3) 등에 설치되어 있는 라이너재(13)도, 공지의 탄성 재료,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나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술한 보틀의 마우스부(1)의 주출구(X)나, 캡(3, 50)의 주출구(X)에의 전술한 조면(10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 주출구(X)에 소정의 스탬퍼를 꽉 눌러 소정의 요철을 형성한 후, 불소 플라스마 에칭이 실시된다.
이 플라스마 에칭은, 도 7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주출구(X)의 하부(용기 마우스부(1)의 상부나 주출통(69)의 상부)에 한쪽의 전극(200)을 고정하고, 주출구(X)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다른쪽의 전극(201)을 대향시켜, 이 전극 간에 함불소 가스를 흘리면서, 고주파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도 4∼6에서는, 보틀이나 캡에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를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물론,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주머니 형상의 용기에 장착되어, 주출구로서 사용되는 스파우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보틀이나 캡 등에 조면(100)을 형성하려면, 미리, 소정의 성형 수단으로 보틀이나 캡 등을 성형해 두고, 소정의 부위에 전술한 스탬퍼를 이용한 전사에 의해 조면(100)을 형성하면 된다.
또, 조면(100)에 있어서의 요철의 형태는, 이들 요철 상을 액이 흐르도록 설계되어 있는 한, 그 형태는 임의이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 성형체는, 뛰어난 발액성이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어, 액체가 반복 접촉한 경우에도, 초기와 동일한 정도의 액 끊김성이나 액 전락성을 나타내는 조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히 캡이나 용기 등의 포장재에 유효하게 적용되며, 특히 주출구에 전술한 조면(100)을 형성함으로써, 각종 액체를 액 흘러내림 없이 배출할 수 있다. 또, 용기의 내면 전체에 전술한 조면(100)을 형성한 경우에는, 케첩이나 마요네즈 등으로 대표되는 점조한 페이스트상 제품을 원활하게, 게다가 용기 내에 잔존하는 일 없이 깨끗이 배출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뛰어난 특성을 다음의 예로 설명한다.
(1) 기판;
·재료
저밀도 폴리에틸렌
     그레이드: LJ8041(재팬 폴리에틸렌)
·크기 세로 58mm×가로 58mm×두께 3mm
(2) 스탬퍼;
·제조 방법
·1차 요철 스탬퍼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마스터를 제작하고, Ni 전주(電鑄)에 의해 1차 요철이 각설(刻設)된 스탬퍼를 얻었다.
·1차 요철
Φs=0.2(s=20um, d=30um, 피치=100um)
·2차 요철 스탬퍼
  Cu 전주로 제작한 마스터에 대하여 웨트 에칭을 실시해 조면을 형성하고, Ni 전주에 의해 2차 요철이 각설된 스탬퍼를 얻었다.
·2차 요철
   Ra/RSm=264×10-3
(Ra=933㎚, RSm=3.5㎛)
·1차 요철+2차 요철 프랙탈 스탬퍼
상기 1차 요철 스탬퍼에 대해 숏 블라스트를 시공함으로써, 1차 요철 위에 2차 요철이 각설된 스탬퍼를 얻었다.
·1차 요철
  Φs=0.2(s=20um, d=30um, 피치=100um)
·2차 요철
Ra/RSm=92×10-3
(Ra=305㎚, RSm=3.3㎛)
(3) 전사 성형;
할로겐 램프에 의한 적외선 복사 가열에 의해 스탬퍼를 240℃로 가열하고, 기판에 1초간 꽉 눌러, 그 후 냉각함으로써 1차 요철과 2차 요철을 전사 성형했다.
(4) 불화 탄소 플라스마 처리
·플라스마 장치
방전 방식: 표면파 플라스마
전원: 1500W@2.45GHz
처리 조건
진공도: 4Pa
원료 가스: CF4 100sccm
플라스마 조사 시간: 20초, 200초
(5) 성능 평가
(5-1) 요철 형상 평가
·측정 방법
전사된 기판 표면에 대하여, 1차 요철 및 2차 요철은 백색 간섭계를 이용하고, 3차 요철은 원자간력 현미경(AFM)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면적비(Φs), 산술 평균 거칠기(Ra), 평균 길이(RSm)를 산출한다.
·백색 간섭계의 측정 조건
측정 장치: ZYGO사 NewView7300
대물 렌즈 50배
접안 렌즈 2.0배
장파장 컷오프치(λc)=13.846155㎛
단파장 컷오프치(λs)=346.155㎚
·AFM의 측정 조건
측정 장치: Veeco사 NanoScope III
장파장 컷오프치(λc)=0.0824㎛
(5-2) 불소 원자 함유량 평가
·측정 방법
X선 광전자 분광 장치(XPS)를 이용하여, 기판 표면의 와이드 밴드 스펙트럼 해석을 실시하여, 표면에 존재하는 원소량을 측정하고, 불소 원자와 탄소 원자량의 비(F/C)를 산출한다.
·측정 장치:
Thermo Fisher Scientific사 제조 K-Alpha
(5-3) 발액-전락 성능 평가
·시험 방법
기판 표면에 대하여, 실액(實液) 4μL를 적하하고, 측면에서 액적 형상을 촬영한다. 화상 해석으로 접촉각을 측정한다.
기판 표면을 서서히 기울여 가서, 액적이 전락했을 때의 기울기 각도를 전락각으로 한다.
·실액
간장
소스
식용유
·측정 장치: 교와 가이멘 가가쿠사 DropMaster700
·평가 기준
접촉각 130° 이상인 경우, 발액성 있음으로 판단한다.
전락각 20° 이하인 경우, 전락성 있음으로 판단한다.
(5-4) 발액 내구 성능 평가
·시험 방법
25°로 기울인 기판에 대하여, 한 방울이 40μL인 실액을 임의의 횟수, 적하하여 기판 표면을 오염시킨다.
오염된 기판 표면에 대하여 실액의 접촉각을 측정한다(적하량 4μL)
·실액
소스
식용유
·측정 장치: 교와 가이멘 가가쿠 제조
·평가 기준
적하 횟수와 접촉각의 관계로부터, 적하 횟수 0회의 접촉각(θ0)과 100회의 접촉각(θ100)을 비교하여, θ100/θ0≥0.9의 경우, 발액 내구성이 있다고 판단한다.
각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100: 조면 160: 1차 요철
160a:오목부 160b: 볼록부
165: 2차 요철 170: 액적

Claims (8)

  1. 비불소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갖고 있고, 상기 표면에는 조면(粗面)이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성형체에 있어서, 상기 조면을 형성하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에는,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성형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은, 1차 요철면과, 상기 1차 요철면 내에 형성된 상기 1차 요철보다도 미세한 2차 요철면을 갖고 있고, 상기 2차 요철면을 형성하고 있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상기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있는 플라스틱 성형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요철면 내에는, 더욱 미세한 3차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3차 요철면을 형성하고 있는 비불소계 수지의 분자쇄 중에 상기 불소 원자가 편입되어 있는 플라스틱 성형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 상에 수적을 떨어뜨렸을 때, 단위 면적당의 고(固)-액(液) 계면의 투영 면적으로 표시되는 면적비(Φs)는, 0.05∼0.8의 범위에 있는 플라스틱 성형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이 직사각형 요철 구조인 플라스틱 성형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면을 형성하는 요철 구조의 진폭에 상당하는 산술 평균 거칠기를 Ra, 상기 요철 구조의 1/2 피치(R0)의 평균 길이를 RSm이라고 했을 때, 상기 조면이, Ra/RSm≥50×10-3을 만족하는 플라스틱 성형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성형체는, 액상 물질의 수용에 사용되는 포장 재료인 플라스틱 성형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재료가, 보틀, 캡 또는 스파우트의 형태를 갖고 있고, 액상 물질과 접촉하는 부분에 상기 조면이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성형체.
KR1020177012867A 2014-10-29 2015-10-08 플라스틱 성형체 KR101925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20663 2014-10-29
JP2014220663A JP6467866B2 (ja) 2014-10-29 2014-10-29 プラスチック成形体
PCT/JP2015/078605 WO2016067875A1 (ja) 2014-10-29 2015-10-08 プラスチック成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871A true KR20170067871A (ko) 2017-06-16
KR101925865B1 KR101925865B1 (ko) 2018-12-06

Family

ID=5585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867A KR101925865B1 (ko) 2014-10-29 2015-10-08 플라스틱 성형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37835B2 (ko)
EP (1) EP3214117B1 (ko)
JP (1) JP6467866B2 (ko)
KR (1) KR101925865B1 (ko)
CN (1) CN107108931B (ko)
WO (1) WO2016067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70342B2 (ja) * 2017-01-23 2021-05-12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注出具
JP2018177350A (ja) 2017-04-20 2018-11-15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包装材料
JP7102847B2 (ja) * 2018-03-27 2022-07-20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ノズル
KR20200136973A (ko) 2018-03-27 2020-12-08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발액성이 뛰어난 표면을 갖는 포장 부재
US20210316495A1 (en) 2018-10-02 2021-10-14 Toyo Seikan Group Holdings, Ltd. Liquid-repellent plastic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21053799A1 (ja) * 2019-09-19 2021-03-25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ノズル
JP7325912B2 (ja) * 2019-11-20 2023-08-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注出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5632A (ja) * 1986-07-30 1988-02-16 Kuraray Co Ltd フツ素化高分子シ−ト状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DE69218811T2 (de) * 1991-01-23 1997-07-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sser- und ölabweisender adsorbierter Film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3358131B2 (ja) 1992-10-05 2002-1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撥水撥油性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
JP3487888B2 (ja) * 1993-12-28 2004-01-19 花王株式会社 撥水表面を有する固体およびその生成方法
JPH0854006A (ja) * 1994-08-09 1996-02-27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水中摩擦抵抗低減表面形成方法
JP5453591B2 (ja) * 2009-01-27 2014-03-26 国立大学法人 香川大学 撥水撥油防汚性部材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物品
KR20120067448A (ko) * 2010-12-16 2012-06-2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플라즈마를 이용한 몰드의 표면 처리 방법
JP2013052546A (ja) 2011-09-01 2013-03-21 Fujifilm Corp 撥液表面を有する構造体、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ノズルプレート、ならびに、該構造体および該ノズルプレートのクリーニング方法
EP2784000B1 (en) 2011-11-21 2017-06-14 Toyo Seikan Group Holdings, Ltd. Pouring member used for discharging viscous fluid, and method for manufactoring such pouring member
JP2014065175A (ja) * 2012-09-25 2014-04-17 Toppan Printing Co Ltd 撥水撥油性樹脂成形体、包装容器及び製造方法
WO2014087695A1 (ja) * 2012-12-07 2014-06-12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撥水性を備えた熱可塑性樹脂シート及び成形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67866B2 (ja) 2019-02-13
CN107108931B (zh) 2022-07-22
WO2016067875A1 (ja) 2016-05-06
EP3214117A1 (en) 2017-09-06
EP3214117A4 (en) 2018-06-27
KR101925865B1 (ko) 2018-12-06
EP3214117B1 (en) 2023-09-13
JP2016088947A (ja) 2016-05-23
CN107108931A (zh) 2017-08-29
US20180257817A1 (en) 2018-09-13
US10737835B2 (en)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865B1 (ko) 플라스틱 성형체
JP5807692B2 (ja) 液注出用プラスチック成形体
KR20160070791A (ko) 요철 표면을 갖는 플라스틱 성형체
TWI540083B (zh) 具有可防止上蓋被移除之閂鎖機構之飲料容器
JP6759531B2 (ja) ノズル
CN107406176B (zh) 喷嘴
JP6870342B2 (ja) 注出具
JP6733134B2 (ja) ノズル
CN104870321A (zh) 改良瓶子
JPWO2018079607A1 (ja) プラスチック成形体
JP2006521251A (ja) 容器用閉鎖装置
JP2020138740A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
JP6973849B2 (ja) キャップ、閉止装置、および飲料入り閉止装置
CN210285238U (zh) 一种液体容器
JP2004217250A (ja) 複合容器蓋
JP5252420B2 (ja) キャップ
JP2021024590A (ja) 容器内容液を滴下吐出する包装材
JP2021037650A (ja) 撥液性物品
JP2001080658A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2018069199A (ja) 液滴下ノズル
KR20180086002A (ko) 파우치용 스파우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