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139A -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139A
KR20170067139A KR1020160149035A KR20160149035A KR20170067139A KR 20170067139 A KR20170067139 A KR 20170067139A KR 1020160149035 A KR1020160149035 A KR 1020160149035A KR 20160149035 A KR20160149035 A KR 20160149035A KR 20170067139 A KR20170067139 A KR 20170067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mp module
road surface
lamp
surfac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3789B1 (ko
Inventor
박종렬
한혜진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11441583.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2477752A/zh
Priority to CN201611107868.7A priority patent/CN106965742A/zh
Priority to EP16202628.0A priority patent/EP3178698A1/en
Publication of KR20170067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 F21S48/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48/12
    • F21S48/1742
    • F21S48/22
    • F21S48/3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05B37/020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2Steer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Othe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42Turn sign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 F21W2101/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에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노면 패턴을 형성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알릴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부;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진행 방향 표시부; 및 상기 감지된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는, 제1 램프 모듈; 및 상기 제1 램프 모듈과 같거나 높은 광도를 가지며 상기 제1 램프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진행 방향을 나타내도록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램프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Automotive lamp and co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주변에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노면 패턴을 형성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알릴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및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 중에서 턴 시그널 램프는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이 교차로 등지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거나 주행 차선을 변경하는 것과 같이 차량의 진행 방향이 변경될 때 점멸되어 차량의 턴 방향을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며, 백업 램프는 차량의 후진시에 점등되어 차량이 후진하는 것을 다른 차량에게 알려 주변 차량이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턴 시그널 램프가 점멸되어 차량의 턴 방향을 알리는 경우라도 턴 방향에서 마주오거나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른 차량의 경우에는 이를 인지하기 어렵고, 백업 램프가 점등되어 차량의 후진을 알리는 경우에도 차량의 측방에 위치한 다른 차량은 이를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차량의 운전자가 턴 시그널 램프의 점멸이나 백업 램프의 점등을 용이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특허공보 제2778270호 (1998.05.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노면 패턴을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부;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진행 방향 표시부; 및 상기 감지된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는, 제1 램프 모듈; 및 상기 제1 램프 모듈과 같거나 높은 광도를 가지며 상기 제1 램프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진행 방향을 나타내도록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램프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제어 방법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제1 램프 모듈을 통해 상기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점멸 패턴 또는 점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램프 모듈과 같거나 높은 광도를 가지는 제2 램프 모듈을 통해 상기 진행 방향을 나타내도록 상기 차량 주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의 턴 방향이나 후진을 나타내는 노면 패턴을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에 의해 형성되는 노면 패턴에 포함되는 광 조사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모듈 및 제2 램프 모듈의 구조가 도시된 개략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에 의해 형성되는 노면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의 좌우 광조사각이 도시된 개략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의 좌우 광조사각에 따른 노면 패턴의 형성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에 의해 형성되는 노면 패턴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의 상하 광조사각이 도시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모듈의 광 조사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가 도시된 개략도.
도 1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에 의해 형성되는 노면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의 좌우 광조사각이 도시된 개략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의 상하 광조사각이 도시된 개략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따른 제1 램프 모듈의 광 조사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에 의해 형성되는 노면 패턴의 위치가 도시된 개략도.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에 의해 노면 패턴이 형성되는 과정이 도시된 개략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블록도.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일부가 제거된 노면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진행 방향 감지부(100), 진행 방향 표시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진행 방향 감지부(100)는 차량의 턴 방향이나 전진 또는 후진 등과 같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의 턴 방향은 교차로 등지에서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 주행 차선 변경, 유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행 방향 감지부(100)는 변속단 등을 통해 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을 감지할 수 있고, 핸들 또는 바퀴의 회전 각도, 운전자의 조작, 차선 감지 등을 통해 차량의 턴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는 경우,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양측에 설치될 수 있고, 차량의 후진을 표시하는 경우,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후방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턴 방향 및 후진을 표시하도록 각각 설치될 수도 있고,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차량의 턴 방향 및 후진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공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진행 방향 표시부(200)가 차량의 헤드 램프(10)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양측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 2는 차량의 전방 양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경우의 일 예이며, 나머지도 설치 위치나 방향 등에 있어서 일부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이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의 레이 아웃에 따라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의 설치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도 3과 같이 제1 램프 모듈(210)이 차량이 교차로 등지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진행하거나 주행 차선을 변경할 때 점멸되는 점멸 패턴(P1)을 형성하고, 제2 램프 모듈(220)은 제1 램프 모듈(210)과 연동하여 제1 램프 모듈(210)이 동작할 때 차량 주변의 노면에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는 노면 패턴(P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3에서는 노면 패턴(P2)이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면 패턴(P2)은 도 4와 같이 단일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은 모두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동일한 색상의 광이 조사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은 동일한 렌즈(예를 들어, 아우터 렌즈)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이 동일한 렌즈를 공유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이 동일한 색상의 렌즈를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전술한 진행 방향 표시부(20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복수의 램프(예를 들어, 헤드 램프, 포지션 램프 등)가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렌즈는 서로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에 각각 대응되는 렌즈들이 이중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의 설치 간격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의 렌즈를 각각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렌즈의 제조 공정이나 조립 공정이 증가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외관 디자인 저하를 방지하면서 렌즈의 사출이나 조립, 제조 공정의 편의성을 위하여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이 75mm 이내의 설치 간격을 가지도록 하여 동일한 렌즈에 대응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기 때문에 주로 황색 계열의 색상을 가지는 렌즈에 대응되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로부터 조사되는 광 자체가 요구되는 색상을 가지며 투명의 렌즈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은 동일한 렌즈를 공유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며, 이를 위해 공용 기판에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을 함께 설치하거나 동일한 램프 하우징 내에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공용 기판(200a)에 함께 설치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에서는 제1 램프 모듈(210)이 광원(210a) 및 리플렉터(210b)를 포함하고, 제2 램프 모듈(220)도 광원(220a) 및 리플렉터(220b)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직광 타입의 램프인 경우 리플렉터(210b, 220b)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때, 도 5 및 도 6에서 제2 램프 모듈(220)의 광원(220a) 및 리플렉터(220b)는 후술할 제2 램프 모듈(20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부(221, 222, 223)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나머지도 설치 위치나 설치 방향 등에서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는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이 동일 선상이 아닌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각 램프 모듈(210, 220)이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상호 조사되는 광으로 인한 광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제1 램프 모듈(210) 및 제2 램프 모듈(220)이 공용 기판(200a)에 설치되는 경우 구조가 간소화될 수 있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은 차량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상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의 배열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점멸 패턴(P1) 및 노면 패턴(P2)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주행 차선을 변경하거나 도 9와 같이 교차로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거나 도 10과 같이 주차장으로부터 차량이 전진하여 진출하는 경우 등과 같이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고자 할 때 형성되어 차량의 턴 방향에서 마주오는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도 8은 서로 다른 차선에서 주행 중인 복수의 차량이 동일한 차선으로 주행 차선을 변경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이 경우 동일한 차선으로 주행 차선을 변경하고자 하는 복수의 차량이 각각 노면 패턴(P2)을 형성함으로써 각 차량의 운전자가 동일한 차선으로 주행 차선을 변경하는 주변 차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크기 또는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도 3에서는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은 도 11과 같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전방 양측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진행 방향이 표시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 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은 점멸 패턴(P1) 및 노면 패턴(P2)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20)은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광원부(221, 222, 2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원부(221, 222, 223)는 각각 전술한 도 5 및 도 6과 같은 광원(220a) 및 리플렉터(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부(221, 222, 223)는 각 광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 또는 각도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부(221, 222, 223) 중 차량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광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은 지면으로부터 가장 낮은 높이에 설치되거나 광축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가장 크게 설치될 수 있고, 차량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광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은 지면으로부터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거나 광축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가장 작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서는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을 형성하기 때문에 복수의 광원부(221, 222, 223)가 사용된 것으로서, 광 조사 패턴의 개수에 따라 광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부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모듈(220)은 차량의 중심 라인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좌우 광조사각을 가지며, 노면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상하 광조사각을 가질 수 있다.
제2 램프 모듈(220)은 0 내지 45도의 좌우 광조사각을 가질 수 있으며, 5 내지 60도의 상하 광조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20)의 좌우 광조사각은 20 내지 45도이고, 상하 광조사각은 15 내지 45도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20)의 좌우 조사각이 20 내지 45도이고, 상하 조사각이 15 내지 45도인 것은 주변 차량 또는 보행자의 시인성을 고려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교차로 등지에서 차량이 우회전하여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차량 전방의 우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의 제1 램프 모듈(210)에 의해 점멸 패턴(P1)이 형성되는 동시에 점멸되는 동시에 제2 램프 모듈(220)에 의해 노면 패턴(P2)이 차량이 회전할 수 있는 최대 회전각를 고려하여 차량의 중심 라인(C)과 소정의 좌우 광조사각(θ1)을 가지며 형성된다.
이때, 노면 패턴(P2)이 차량의 중심 라인(C)과 이루는 좌우 광조사각(θ1)이 20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로의 차선과 흡사하여 도 13과 같이 우회전 차로에서 마주오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측방에서 노면 패턴(P2)을 바라 보았을 때 노면 패턴(P2)의 방향성을 인지하기가 어려운 면이 있기 때문에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노면 패턴(P2)의 시인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노면 패턴(P2)이 차량의 중심 라인(C)으로부터 20도보다 큰 좌우 광조사각(θ1)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다.
또한, 차량의 핸들을 최대로 회전하였을 때 차량 바퀴의 회전 각도는 30 내지 40도이므로 좌우 광조사각(θ1)이 차량이 회전할 수 있는 범위인 45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노면 패턴(P2)의 좌우 광조사각(θ1)이 45도보다 큰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차량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장애물(예를 들어, 건물이나 차량 등)에 의해 노면 패턴(P2)이 가려질 수 있고, 전술한 도 10과 같이 주변에 대형 차량이 주차된 경우에는 주변에 주차된 차량에 노면 패턴(P2)이 형성되어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알리기 어렵기 때문에 노면 패턴(P2)이 차량의 중심 라인(C)과 이루는 좌우 광조사각(θ1)은 20 내지 45도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도 8과 같이 서로 다른 차선에서 주행 중인 복수의 차량이 동일한 차선으로 주행 차선으로 변경하는 경우 각 차량 운전자의 시야각을 고려하여 노면 패턴(P2)이 차량의 중심 라인(C)과 이루는 좌우 광조사각(θ1)이 45보다 작아야 서로 동일한 주행 차선으로 변경하는 것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20)의 좌우 광조사각(θ1)이 20 내지 45도인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램프 모듈(220)은 도로의 종류, 차선 폭, 장애물의 위치 등과 같은 도로 환경에 따라 0 내지 45도의 광 조사각을 가질 수 있으며, 일 예로 제2 램프 모듈(220)은 도로 환경에 따라 0 내지 45, 5 내지 45도, 10 내지 45도 또는 20 내지 45 등과 같은 다양한 좌우 광조사각(θ1)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2 램프 모듈(220)의 좌우 광조사각(θ1)이 0도 보다 큰 것은 인접한 두 차량이 각각 노면 패턴(P2)을 형성할 때 좌우 광 조사각(θ1)이 0도 보다 작은 경우 노면 패턴(P2)이 차량 내측을 향하도록 조사되어 인접한 두 차량 중 어느 차량에서 형성된 노면 패턴(P2)이 혼선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차량이 도로 경계선 근처에 주차된 상태에서 전진하여 출차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노면 패턴(P2)이 도로 중앙선 상에 형성되거나 도로 중앙선을 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출차하려는 차량이 어느 차량인지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도 15와 같이 노면 패턴(P2)의 중심부(CP)는 차량의 전방 끝단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축으로부터 도로 중앙선(CL)이 형성되는 2.7 내지 3m 거리 이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노면 패턴(P2)의 중심부(CP)가 차량의 전방 끝단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축으로부터 2.7 내지 3m 이내에 형성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최소 차폭이 2.7 내지 3m이기 때문이며, 차량의 차폭이 달라지는 경우 노면 패턴(P2)의 중심부(CP)의 위치는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도 15에서 노면 패턴(P2)은 단일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노면 패턴(P2)이 복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램프 모듈(220)의 좌우 광조사각(θ1)이 20 내지 45도를 가지도록 하여 도 16과 같이 차량의 턴 방향에서 마주오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측방에서 노면 패턴(P2)을 바라 보았을 때 노면 패턴(P2)의 방향성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노면 패턴(P2)이 장애물 등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노면 패턴(P2)을 인지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20)의 상하 조사각이 15 내지 45도를 가진다는 것은 전술한 도 16과 같이 전술한 복수의 광원부(221, 222, 223) 각각의 광축과 노면이 이루는 각도(θ21, θ22, θ23)가 15도 내지 45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하며, 차량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광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의 광축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45보다 작으며 차량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광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의 광축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15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램프 모듈(210)에 의해 형성되는 점멸 패턴(P2)은 도 17과 같이 상하 방향으로 10도 정도까지 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제2 램프 모듈(220)은 제1 램프 모듈(210)과 광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5도 정도의 간격을 두고 15보다 큰 상하 광조사각(θ21, θ22, θ23)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램프 모듈(220)이 45도보다 큰 상하 광조사각(θ21, θ22, θ23)으로 조사되는 경우에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범퍼나 램프 내 하우징 등과 같은 구조물 의해 광 조사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상하 광조사각(θ21, θ22, θ23)은 45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램프 모듈(220)이 45보다 큰 상하 광조사각(θ21, θ22, θ23)으로 조사되는 경우에는 차량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 노면 패턴(P2)이 형성되어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하 광조사각(θ21, θ22, θ23)은 45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20)의 상하 광조사각(θ21, θ22, θ23)은 제1 램프 모듈(210)에 의해 형성되는 점멸 패턴(P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각도,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범퍼나 램프 내 하우징 등과 같은 구조물의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2 램프 모듈(220)의 상하 광조사각(θ21, θ22, θ23)은 15 내지 45도로 한정되지 않고, 제2 램프 모듈(220)의 상하 광조사각(θ21, θ22, θ23)은 5 내지 60도, 10 내지 55도 또는 15 내지 45도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램프 모듈(220)의 좌우 광조사각을 20 내지 45도로 설정하고, 상하 광조사각을 15 내지 45도로 설정함으로써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노면 패턴(P2)을 용이하게 차량의 턴 방향을 인지하여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제1 램프 모듈(210)의 광도는 제2 램프 모듈(220)의 광도와 같거나 높을 수 있으며, 이는 제2 램프 모듈(220)이 상대적으로 차량으로부터 먼 거리에 광을 조사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1 램프 모듈(210)보다 제2 램프 모듈(220)이 낮은 광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노면 패턴(P2)으로서의 충분한 밝기가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램프 모듈(220)이 4,300 내지 13,000cd의 밝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주변 밝기 등과 같은 주변 환경을 고려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이 시야가 감소되어 노면 패턴(P2)을 통한 차량의 진행 방향 표시가 요구되는 초저녁때 자연 채광 기준으로 도로의 조도는 대략 100lux로서, 초저녁때의 조도가 전술한 노면 패턴(P2)이 필요한 상황 중 가장 밝은 상황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 상황에서 노면 패턴(P2)이 주변 노면과 구분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시인성을 갖기 위해서는 적어도 200lux 이상의 밝기를 가져야 하고, 이를 위해 제2 램프 모듈(220)은 적어도 4,300cd보다 높은 광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지하 주차장이나 도로 가로등의 표준 조도 기준을 고려하면 도로, 즉 노면의 조도는 대략 최대 100lux로서, 이 상황에서 노면 패턴(P2)이 주변 노면과 구분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시인성을 갖기 위해서는 적어도 200lux 이상의 밝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램프 모듈(220)이 적어도 4,300cd보다 높은 광도를 가진다는 것은 차량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형성되는 광 조사 패턴의 조도가 적어도 200lux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광도에서 최대로 먼 거리의 노면에 광을 조사하였을 때 최저 조도를 가지게 되는데, 이 경우 진행 방향 표시부(220)의 설치 최대 높이인 1200mm로부터 15도의 상하 광조사각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진행 방향 표시부(220)로부터 노면까지의 거리가 대략 4636mm가 되며, 이 거리에서 전술한 200lux 이상의 조도를 가지게 하기 위한 최저 광도(조도와 거리(m)의 제곱을 곱한 값)는 대략 4,300cd보다 높은 값을 가져야 하는 것이다.
이때, 진행 방향 표시부(200)의 설치 최대 높이라는 것은 진행 방향 표시부(22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부(221, 222, 223) 중 가장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광원부의 설치 높이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제3 광원부(223)의 설치 높이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진행 방향 표시부(220)의 설치 최대 높이가 1200mm인 것은 진행 방향 표시부(220)의 설치 높이가 1200mm보다 높은 경우 운전자의 시야각을 벗어나 시인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2 램프 모듈(220)의 광도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노면 패턴(P2)이 반사되어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눈부심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제2 램프 모듈(220)은 13,000cd보다 낮은 광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우천시 도로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 램프 모듈(220)은 13,000cd보다 낮은 광도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램프 모듈(220)의 광도가 4,300 내지 13,000cd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면 패턴(P2)이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을 포함하도록 제2 램프 모듈(220)이 복수의 광원부(221, 222, 223)을 포함하는 경우 각 광원부(221, 222, 223)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밝기 차이가 큰 경우 차량용 램프(1)을 외부에서 보았을 때 광의 밝기가 고르지 않아 외관 디자인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최소 광도와 최대 광도의 차이가 적을 수록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노면 패턴(P2)이 충분한 시인성을 가지면서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램프(1) 외관 디자인 저하가 방지될 수 있도록 5,000 내지 10,000cd의 광도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0 내지 8,500cd의 광도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전술한 제1 실시예는 진행 방향 표시부(200)가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는 경우로서, 진행 방향 표시부(200)가 차량의 후진을 표시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후진을 표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후진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테일 램프(2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제1 램프 모듈(230) 및 제2 램프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8에서는 제1 램프 모듈(230) 및 제2 램프 모듈(240)이 좌우 방향으로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용 램프(1)의 레이 아웃 등에 따라 제1 램프 모듈(230) 및 제2 램프 모듈(240)의 설치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도 19와 같이 제1 램프 모듈(230)이 차량이 주차장 등지에서 후진할 때 점등되어 점등 패턴(P3)을 형성하고, 제2 램프 모듈(240)은 제1 램프 모듈(230)과 연동하여 차량의 후진을 표시하는 노면 패턴(P4)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노면 패턴(P4)은 제2 램프 모듈(24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부(241, 242, 243)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광 조사 패턴(P41, P42, P43)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0과 같이 노면 패턴(P4)은 단일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램프 모듈(230) 및 제2 램프 모듈(24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이유로 동일한 렌즈를 공유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75mm 이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램프 모듈(240)에 의해 형성되는 노면 패턴(P4)은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고, 노면 패턴(P4)에 포함된 광 조사 패턴의 개수에 따라 광 조사 패턴을 형성하는 광원의 개수도 달라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데, 차량 후방에는 진행 방향 표시부(20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복수의 램프(예를 들어,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지션 램프 등)가 서로 구획된 복수의 공간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램프 모듈(230) 및 제2 램프 모듈(240)은 서로 구획된 복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함께 설치되어 동일한 렌즈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램프 모듈(230) 및 제2 램프 모듈(240)이 동일한 렌즈를 공유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램프 모듈(230) 및 제2 램프 모듈(240)은 동일한 색상의 렌즈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후진을 표시하기 때문에 주로 백색, 청색, 황색 등의 색상을 가지는 렌즈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램프 모듈(230) 및 제2 램프 모듈(240)로부터 조사되는 광 자체가 요구되는 색상을 가지며 투명의 렌즈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램프 모듈(230) 및 제2 램프 모듈(240)은 전술한 도 5 및 도 6과 유사하게 공용 기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구조가 간소화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때, 도 19 및 도 20에서는 노면 패턴(P4)은 차량 후방에 양측에 각각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도 21과 같이 주차장 등지에서 차량이 후진할 때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접근하는 다른 차량이 차량의 후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21은 주변에 대형 차량이 주차된 경우의 일 예로서, 이 경우에도 다른 차량이 후진 차량을 볼 수 없는 상황에서도 노면 패턴(P4)을 통해 후진 차량을 인지하여 사전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노면 패턴(P4)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노면 패턴(P2)과 유사하게 차량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상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열 방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19에서는 차량의 후진을 표시하는 노면 패턴(P4)의 각 광 조사 패턴(P41, P42, P43)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2와 같이 각 광 조사 패턴(P41, P42, P43)이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을뿐만 아니라 모양도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4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이유로 4,300 내지 13,000cd의 광도를 가지며, 도 23 및 도 24와 같이 좌우 광조사각(θ3)이 20 내지 45도이고, 상하 광조사각(θ41, θ42, θ43)이 15 내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40)의 좌우 광조사각(θ3)이 20 내지 45도인 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차량이 회전할 수 있는 범위, 차량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장애물, 주변 차량의 크기 등에 따른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의 시인성을 고려한 것이며, 상하 광조사각(θ41, θ42, θ43)이 15 내지 45도인 것은 도 25와 같이 제1 램프 모듈(230)의 광 조사 영역이 상하 방향으로 10도 정도까지 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5도 정도의 간격을 두고 15보다 큰 각도를 가지게 하여 광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45도보다 작게 하여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 범퍼나 램프 내 하우징 등과 같은 구조물 의해 광 조사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과 매우 근접한 위치에 노면 패턴(P4)이 형성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40)의 좌우 광조사각(θ3)이 20보다 작은 경우에는 도로의 차선과 흡사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측방에서 노면 패턴(P4)을 바라 보았을 때 노면 패턴(P4)의 방향성을 인지하기 어렵고, 제2 램프 모듈(240)의 좌우 광조사각(θ3)이 45보다 큰 경우에는 차량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장애물에 의해 노면 패턴(P4)이 가려질 수 있고, 전술한 도 21과 같이 주변에 대형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 노면 패턴(P4)의 좌우 광조사각(θ3)이 45도보다 큰 경우에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알리기 어렵기 때문에 노면 패턴(P4)이 차량의 중심 라인(C)과 이루는 각도는 20 내지 45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램프 모듈(240)이 4,300 내지 13,000cd의 광도를 가지며, 도 23 및 도 24와 같이 좌우 광조사각(θ3)이 20 내지 45도이고, 상하 광조사각(θ41, θ42, θ43)이 15 내지 45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이유로 제2 램프 모듈(240)은 0 내지 45, 5 내지 45도, 10 내지 45도 또는 20 내지 45 등의 다양한 좌우 광조사각(θ3)을 가질 수 있고, 5 내지 60도, 10 내지 55도 또는 15 내지 45도 등의 다양한 상하 광조사각(θ41, θ42, θ43)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40)은 노면 패턴(P4)이 충분한 시인성을 가지면서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램프(1) 외관 디자인 저하가 방지될 수 있도록 5,000 내지 10,000cd의 광도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500 내지 8,500cd의 광도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 차량이 도로 경계선 근처에 주차된 상태에서 후진으로 출차하는 경우, 경우에 따라 노면 패턴(P4)이 도로 중앙선 상에 형성되거나 도로 중앙선을 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출차하려는 차량이 어느 차량인지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도 26과 같이 노면 패턴(P4)의 중심부(CP)는 차량의 후방 끝단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축으로부터 도로 중앙선(CL)이 형성되는 2.7 내지 3m 거리 이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노면 패턴(P2)의 중심부(CP)가 차량의 후방 끝단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축으로부터 2.7 내지 3m 이내에 형성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최소 차폭이 2.7 내지 3m이기 때문이며, 차량의 차폭이 달라지는 경우 노면 패턴(P2)의 중심부(CP)의 위치는 거리는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도 26에서 노면 패턴(P4)은 단일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노면 패턴(P4)이 복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40)은 제1 램프 모듈(230)과 같거나 높은 광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 램프 모듈(240)이 상대적으로 차량으로부터 먼 거리에 광을 조사해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제1 램프 모듈(230)보다 제2 램프 모듈(240)이 낮은 광도를 가지는 경우에는 노면 패턴(P4)으로서의 충분한 밝기가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40)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지하 주차장이나 도로 가로등에 의한 노면의 조도가 최대 100lux일 때 충분한 시인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200lux의 조도를 조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4,300cd보다 높은 광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도록 13,000cd보다 낮은 광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진행 방향 표시부(200)가 차량의 턴 방향과 후진을 표시하는 경우를 각각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턴 방향 및 후진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턴 방향 및 후진을 함께 표시할 수 있도록 공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진행 방향 감지부(1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진행 방향 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차량의 턴방향 또는 후진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300)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포함된 제1 램프 모듈(210, 230)과 그에 대응되는 제2 램프 모듈(220, 240)를 서로 연동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행 방향 감지부(100)가 차량의 턴 방향으로서 턴 시그널 스위치의 조작을 감지하고 차량의 후진으로서 후진단(R)을 감지하며,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제어부(300)가 제1 램프 모듈(210, 230) 및 제2 램프 모듈(240)을 함께 동작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차량의 턴 방향 또는 후진이 감지되었을 때 제1 램프 모듈(210, 230)와 그에 대응되는 제2 램프 모듈(220, 240)를 동시에 점등 또는 소등시키게 되며, 제1 램프 모듈(210, 230)이 고장이 감지되어 제1 램프 모듈(210, 2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고장 등에 의해 소등된 경우에도 제2 램프 모듈(220, 240)도 함께 소등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포함된 제1 램프 모듈(210, 230)과 그에 대응되는 제2 램프 모듈(220, 240)에 의한 패턴이 동시에 점등 또는 점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적어도 하나는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 다른 하나는 점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2 램프 모듈(220, 240)를 점등시킬 때 진행 방향에 대한 인지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P41, P42, P43)을 차량으로부터 가까운 위치로부터 먼 위치까지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진행 방향 표시부(200)가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는 경우 도 27과 같이 차량에 가까운 광 조사 패턴(P21)부터 먼 광 조사 패턴(P23)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전술한 제2 실시예와 같이 진행 방향 표시부(200)가 차량의 후진을 표시하는 경우 도 28과 같이 차량에 가까운 광 조사 패턴(P41)부터 먼 광 조사 패턴(P43)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면 패턴(P2, P4)을 형성할 때 주변 밝기에 따라 제2 램프 모듈(220, 240)의 광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제2 램프 모듈(220, 240)은 4,300 내지 13,000cd의 밝기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제어부(300)는 조도 센서 등에 의한 감지 결과로부터 제2 램프 모듈(220, 240)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정하여 제2 램프 모듈(220, 240)의 광도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노면 패턴(P2, P4)은 차량으로부터 일정 거리까지 형성되기 때문에 주변 차량이 존재하는 경우 주변 차량에 노면 패턴(P2, P4)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도 29와 같이 진행 방향 감지부(100), 진행 방향 표시부(200) 및 제어부(300)와 더불어 주변 차량 감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진행 방향 감지부(100), 진행 방향 표시부(200) 및 제어부(300)는 전술한 도 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 차량 감지부(40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등과 같은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주변 차량을 감지할 수 있으며, 차량으로부터 노면 패턴(P2, P4)이 형성되는 거리 이내에 주변 차량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고, 제어부(300)는 주변 차량이 감지될 때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제2 램프 모듈(220, 240)에 각각 포함된 복수의 광원(221, 222, 223)(241, 242, 243) 중 적어도 하나를 소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진행 방향 표시부(200)와 같이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는 경우 도 30과 같이 주변 차량이 노면 패턴(P2)이 형성되는 거리 이내에 존재할 때 제2 램프 모듈(220)의 복수의 광원(221, 222, 223) 중 적어도 하나를 소등시켜 노면 패턴(P2)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진행 방향 표시부(200)와 같이 차량의 후진을 표시하는 경우 도 31과 같이 주변 차량이 노면 패턴(P4)이 형성되는 거리 이내에 존재할 때 제2 램프 모듈(240)의 복수의 광원(241, 242, 243) 중 적어도 하나를 소등시켜 노면 패턴(P4)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32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를 통해 차량의 턴 방향에 따라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우선 차량의 턴 방향을 감지한다(S110). 이때, 차량의 턴 방향은 차량이 교차로 등지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거나 주행 차선을 변경하는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감지된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제1 램프 모듈(210)을 통해 점멸 패턴(P1)을 형성하고, 제1 램프 모듈(210)보다 높은 광도를 가지는 제2 램프 모듈(220)을 통해 차량 주변, 즉 차량 전방 또는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노면 패턴(P2)을 형성하게 된다(S120).
이때,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는 노면 패턴(P2)을 형성하는 제2 램프 모듈(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20 내지 45도의 좌우 광조사각을 가지며 15 내지 45도의 상하 광조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 모듈(220)은 주변 밝기 등을 고려하여 4,300 내지 13,000cd의 밝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노면 패턴(P2)에 포함된 복수의 광 조사 패턴(P21, P22, P23)은 동시에 형성되거나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상이한 모양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S120단계에서 노면 패턴(P2)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1 램프 모듈(210)이 소등되는 경우(S130), 제2 램프 모듈(220)도 소등된다(S140).
이때, 전술한 S130단계에서 제1 램프 모듈(210)이 소등된다는 것은 제1 램프 모듈(210)이 전체적으로 소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고장 등에 의하여 제1 램프 모듈(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소등된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로서, 도 33은 전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를 통해 차량이 후진할 때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의 일 예이다.
도 3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우선 차량의 후진을 감지한다(S210). 감지된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제1 램프 모듈(230)을 통해 점등 패턴(P3)을 형성하고, 제1 램프 모듈(230)보다 높은 광도를 가지는 제2 램프 모듈(240)을 통해 차량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노면 패턴(P2)을 형성하게 된다(S220).
이때, 차량의 후진을 표시하는 노면 패턴(P4)을 형성하는 제2 램프 모듈(2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20 내지 45도의 좌우 광조사각을 가지며 15 내지 45도의 상하 광조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 모듈(240)은 주변 밝기 등을 고려하여 4,300 내지 13,000cd의 밝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노면 패턴(P4)에 포함된 복수의 광 조사 패턴(P41, P42, P43)은 동시에 형성되거나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상이한 모양 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S220단계에서 노면 패턴(P4)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1 램프 모듈(230)이 소등되는 경우(S230), 제2 램프 모듈(240)도 소등된다(S240)
이때, 전술한 S230단계에서 제1 램프 모듈(230)이 소등된다는 것은 제1 램프 모듈(230)이 전체적으로 소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고장 등에 의하여 제1 램프 모듈(23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소등된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진행 방향 감지부
200: 진행 방향 표시부
300: 제어부
400: 주변 차량 감지부

Claims (26)

  1.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부;
    상기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진행 방향 표시부; 및
    상기 감지된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는,
    제1 램프 모듈; 및
    상기 제1 램프 모듈과 같거나 높은 광도를 가지며 상기 제1 램프 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차량 주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진행 방향을 나타내도록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 방향 감지부는,
    상기 차량의 턴 방향 및 후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램프 모듈 및 상기 제2 램프 모듈은,
    점멸되거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 패턴은,
    복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 조사 패턴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차량용 램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 조사 패턴은,
    소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는,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복수의 램프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의 공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램프 모듈 및 상기 제2 램프 모듈은,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가 설치되는 공간에 대응되는 렌즈를 공유하거나 동일한 색상의 렌즈를 가지는 차량용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램프 모듈 및 상기 제2 램프 모듈을 동시에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차량용 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램프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소등될 때 상기 제2 램프 모듈을 소등시키는 차량용 램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주변 밝기에 따라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광도를 조정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광도는,
    4,300 내지 13,000cd인 차량용 램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광도는,
    5,000 내지 10,000cd인 차량용 램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광도는,
    5,500 내지 8,500cd인 차량용 램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좌우 광조사각은,
    0 내지 45도인 차량용 램프.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좌우 광조사각은,
    5 내지 45도인 차량용 램프.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좌우 광조사각은,
    10 내지 45도인 차량용 램프.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좌우 광조사각은,
    20 내지 45도인 차량용 램프.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상하 광조사각은,
    5 내지 60도인 차량용 램프.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상하 광조사각은,
    10 내지 55도인 차량용 램프.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상하 광조사각은,
    15 내지 45도인 차량용 램프.
  20. 제 1 항에 있어서,
    주변 차량을 감지하는 주변 차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램프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소등시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차량용 램프.
  21.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
    제1 램프 모듈을 통해 상기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점멸 패턴 또는 점등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램프 모듈과 같거나 높은 광도를 가지는 제2 램프 모듈을 통해 상기 진행 방향을 나타내도록 상기 차량 주변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는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램프 모듈 및 상기 제2 램프 모듈을 동시에 점등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램프 모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이 소등될 때 상기 제2 램프 모듈을 소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주변 밝기에 따라 상기 제2 램프 모듈의 광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 패턴은,
    복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광 조사 패턴을 소정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 패턴은,
    복수의 광 조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광 조사 패턴이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주변 차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노면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 조사 패턴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KR1020160149035A 2015-12-07 2016-11-09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3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441583.3A CN112477752A (zh) 2015-12-07 2016-12-06 车辆用灯具
CN201611107868.7A CN106965742A (zh) 2015-12-07 2016-12-06 车辆用灯具及其控制方法
EP16202628.0A EP3178698A1 (en) 2015-12-07 2016-12-07 Automotive lamp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72977 2015-12-07
KR1020150172977 2015-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139A true KR20170067139A (ko) 2017-06-15
KR101863789B1 KR101863789B1 (ko) 2018-06-01

Family

ID=5921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035A KR101863789B1 (ko) 2015-12-07 2016-11-09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3789B1 (ko)
CN (2) CN1124777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22725A (ja) * 2020-07-02 2022-02-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路面描画用灯具ユニッ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270B2 (ja) 1991-03-07 1998-07-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走行方向表示装置
JP2000198384A (ja) * 1999-01-11 2000-07-18 Mazda Motor Corp 車両の前照灯制御装置
JP2010095048A (ja) * 2008-10-14 2010-04-30 Toyota Central R&D Labs Inc 車両用照明装置
KR20130006067A (ko) * 2011-07-08 2013-01-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방향 지시등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6687A (ko) * 2014-03-12 2015-09-2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304A (ko) * 1996-12-26 1998-09-25 임경춘 주위환경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점등 제어장치
JP4170928B2 (ja) * 2004-02-18 2008-10-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JP2009107576A (ja) * 2007-10-31 2009-05-21 Yamaha Motor Co Ltd 車両用灯火装置
US20130155713A1 (en) * 2011-12-20 2013-06-20 Calvin Chuen Kam Law Flexible Light Bar With Epoxy
JP2014220091A (ja) * 2013-05-08 2014-11-20 市光工業株式会社 車両用灯具駆動回路
US9931977B2 (en) * 2015-11-27 2018-04-03 Sl Corporation Vehicle lamp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270B2 (ja) 1991-03-07 1998-07-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走行方向表示装置
JP2000198384A (ja) * 1999-01-11 2000-07-18 Mazda Motor Corp 車両の前照灯制御装置
JP2010095048A (ja) * 2008-10-14 2010-04-30 Toyota Central R&D Labs Inc 車両用照明装置
KR20130006067A (ko) * 2011-07-08 2013-01-16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방향 지시등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06687A (ko) * 2014-03-12 2015-09-2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789B1 (ko) 2018-06-01
CN106965742A (zh) 2017-07-21
CN112477752A (zh)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1719B1 (en) Light distribution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headlamp
JP5341465B2 (ja) 車両用前照灯
EP3178698A1 (en) Automotive lamp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295833B1 (ko) 차량용 방향 지시등 및 그 제어 방법
KR100380500B1 (ko) 차량용 등기구 장치
US10076995B2 (en) Automotive lamp
KR101794022B1 (ko)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조등 어셈블리
US10752167B2 (en) Warning signal controlling device for blind zones when vehicles making a lane change
KR101195110B1 (ko) 헤드램프 조립체 및 이의 제어방법
US93288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 lamp for vehicle
WO2019035433A1 (ja) 自動運転車両
US20220341560A1 (en) Vehicle drawing device
EP2394851A2 (en) Vehicle lighting system
KR101863788B1 (ko) 차량용 램프
KR10186378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JP2001091618A (ja) 車両の制御装置
KR102236476B1 (ko) 차량용 램프
KR20160112429A (ko) 차량용 램프
KR102415520B1 (ko) 차량용 램프
JP6700904B2 (ja) 車両の配光制御装置
KR20130136107A (ko) 자동차
KR102415521B1 (ko) 차량용 램프
KR102397538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JP4589061B2 (ja) 照明装置
KR20150125808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