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788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788B1
KR101863788B1 KR1020160152051A KR20160152051A KR101863788B1 KR 101863788 B1 KR101863788 B1 KR 101863788B1 KR 1020160152051 A KR1020160152051 A KR 1020160152051A KR 20160152051 A KR20160152051 A KR 20160152051A KR 101863788 B1 KR101863788 B1 KR 10186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vehicle
reflector
lamp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286A (ko
Inventor
한혜진
유진희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7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3/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signalling purposes
    • F21W2103/60Projection of signs from lighting devices, e.g. symbols or information being projected onto the road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부,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차량 주변의 노면에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진행 방향 표시부, 및 상기 감지된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 각각은,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반사 영역 내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위치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백업 램프 및 브레이크 램프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 중에서 턴 시그널 램프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어 차량이 교차로 등지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여 진행하거나 주행 차선을 변경하는 것 등과 같이 차량의 진행 방향이 변경될 때 점멸되어 차량의 턴 방향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하며, 백업 램프는 차량의 후진시에 점등되어 차량이 후진하는 것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알려 이에 대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턴 시그널 램프가 점멸되어 차량의 턴 방향을 알리는 경우라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의 위치에 따라 이를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고, 백업 램프가 점등되어 차량의 후진을 알리는 경우에도 차량의 측방에 위치한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는 이를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턴 시그널 램프의 점멸이나 백업 램프의 점등을 용이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특허공보 제2778270호 (1998.05.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주변의 노면에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패턴을 형성하여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부,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차량 주변의 노면에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진행 방향 표시부, 및 상기 감지된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 각각은,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반사 영역 내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위치하는 반사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차량 주변의 노면에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가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구성이 도시된 블럭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도시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도시된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3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도시된 개략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도시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이 도시된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 차선 변경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차로에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차장에서의 진출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진행 방향 감지부(100), 진행 방향 표시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램프(1)가 차량의 턴 방향을 표시하는 턴 시그널 램프나 후진을 표시하는 백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진행 방향 감지부(100)는 차량의 턴 방향이나 후진 등과 같은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진행 방향 감지부(100)는 변속단 등을 통해 후진을 감지하고, 핸들이나 바퀴의 회전 각도, 운전자의 턴 시그널 레버 조작, 차선 감지 등을 통해 차량의 턴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진행 방향 감지부(100)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도 2와 같이 차량 전방의 헤드 램프(10)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차량의 테일 램프(20)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도 4와 같이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30)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진행 방향 표시부(200)가 차량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차량의 턴 방향이나 후진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차량의 턴 방향 및 후진을 각각 표시하도록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고,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차량의 턴 방향 및 후진을 표시하도록 공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행 방향 표시부(200)는 광원(201) 및 반사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201)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맞는 광량이나 색상을 가지는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원(201)으로 LED와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201)은 반사부(202)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반사부(202)는 광원(201)의 광 조사각을 고려하여 광원(201)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충분히 반사시킬 수 있을 정도의 반사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사부(202)는 광원(20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 및 광원(2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은 광원(201)의 동작에 따라 소정 주기로 점멸되거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등과 같은 다양한 점등 패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의 점등 패턴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는 복수의 반사면(F1)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는 반사된 광의 스프레드 특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반사면(F1)이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는 복수의 반사면(F2)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는 차량 주변 노면의 소정 영역에 광이 집중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반사면(F2)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는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반사 영역, 즉 복수의 반사면(F1)이 형성되는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복수의 반사면(F1)은 광의 스프레드 특성이 향상되도록 각 반사면(F1) 간의 단차나 각 반사면(F1)의 곡률 등이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복수의 반사면(F2) 간의 단차나 각 반사면(F2)의 곡률 등보다 큰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는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는 소정의 단차를 가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에 의해 반사된 광 및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에 의해 반사된 광 간의 배광 각도가 다르기 때문이며, 이와 더불어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 및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 각각에 의해 반사된 광 사이의 광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외곽 경계선은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외곽 경계선과 이격되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외곽 경계선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반사부(202)에 의해 반사되어 진행하는 광의 조사 영역을 고려한 것이다.
즉, 광원(201)이 반사부(202)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에 의해 반사되는 광은 차량 주변의 노면에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지면에 수평한 선에 대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진행하게 되며, 이 경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에 의해 반사되는 광이 차단되지 않고 진행될 수 있도록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외곽 경계선이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외곽 경계선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도 7과 같이 반사부(202)에 의해 반사된 광을 안내하는 동시에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내부를 가리는 역할을 하는 베젤(400)을 구비할 수 있으며, 베젤(400)은 반사부(202)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안내하는 개구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베젤(400)의 개구부(410) 외주단이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하측단에 정렬되는 경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에 의해 반사된 광의 일부가 베젤(400)에 의해 차단되어 광 사용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외곽 경계선이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외곽 경계선과 이격되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a)의 외곽 경계선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에 의해 반사된 광이 차단되지 않고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1)에 포함되는 복수의 반사면(F1) 중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02b)의 하측에 위치하는 반사면은 광을 반사시키는 역할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더미 반사면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점멸 또는 점등되는 제1 패턴(P1)과 더불어 차량 주변의 노면에 점멸 또는 점등되는 노면 패턴인 제2 패턴(P2)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패턴(P2)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사되는 광의 좌우 광조사각 및 상하 광조사각은 도로의 종류, 차선 폭 장애물 위치, 램프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2 패턴(P2)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사되는 광은 0 내지 45도의 좌우 광조사각을 가지며, 5 내지 60도의 상하 광조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좌우 광조사각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광이 조사되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고, 상하 광조사각은 지면을 기준으로 광이 조사되는 각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도 8은 차량이 우회전하는 경우 차량 전방 및 후방의 우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된 경우의 일 예이고, 도 9는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 차량 후방의 양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된 경우의 일 예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단일의 광원과 단일의 반사부를 포함하여 제2 패턴(P2)이 단일의 패턴 영역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복수의 광원 및 복수의 반사부를 포함하여 제2 패턴(P2)이 복수의 패턴 영역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복수의 램프 모듈(210, 220,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복수의 램프 모듈(210, 220, 230)을 각각 제1 램프 모듈(210), 제2 램프 모듈(220) 및 제3 램프 모듈(230)이라 칭하기로 하며,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은 차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패턴(P2)은 복수의 패턴 영역(P21, P22, P2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패턴 영역(P21, P22, P23)은 제1 램프 모듈(21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패턴 영역(P21), 제2 램프 모듈(220)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패턴 영역(P22) 및 제3 램프 모듈(230)에 의해 형성되는 제3 패턴 영역(P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패턴 영역(P21)이 차량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며, 제3 패턴 영역(P23)으로 갈수록 차량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패턴(P2)이 3개의 패턴 영역(P21, P22, P23)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패턴(P2)에 포함되는 패턴 영역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램프 모듈(210)은 제1 광원(211) 및 제1 반사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원(211)은 제1 반사부(212)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제1 반사부(212)는 제1 광원(21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a) 및 제1 광원(21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제2 패턴(P2) 내의 제1 패턴 영역(P2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a) 및 제1 패턴 영역(P2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는 각각 복수의 반사면(F11, F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패턴 영역(P2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의 복수의 반사면(F12)은 도 14와 같이 제1 패턴 영역(P21)에 광이 집중되도록 하여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a)의 복수의 반사면(F11)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프레드 특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제1 패턴 영역(P2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의 복수의 반사면(F12)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집광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제2 램프 모듈(220)은 제2 광원(221) 및 제2 반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원(221)은 제2 반사부(222)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제2 반사부(222)는 제2 광원(22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a) 및 제2 광원(22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제2 패턴(P2) 내의 제2 패턴 영역(P2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a) 및 제2 패턴 영역(P2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b)는 각각 복수의 반사면(F21, F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패턴 영역(P2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b)의 복수의 반사면(F22)은 도 15와 같이 제1 패턴 영역(P22)에 광이 집중되도록 하여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a)의 복수의 반사면(F21)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프레드 특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제2 패턴 영역(P2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b)의 복수의 반사면(F22)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집광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제3 램프 모듈(230)은 제3 광원(231) 및 제3 반사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광원(231)은 제3 반사부(232)의 상측에 위치하여 하측으로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제3 반사부(232)는 제3 광원(23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a) 및 제3 광원(231)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제2 패턴(P2) 내의 제3 패턴 영역(P23)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a) 및 제2 패턴 영역(P23)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b)는 각각 복수의 반사면(F31, F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패턴 영역(P23)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b)의 복수의 반사면(F32)은 도 16과 같이 제3 패턴 영역(P23)에 광이 집중되도록 하여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패턴(P1)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a)의 복수의 반사면(F31)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프레드 특성을 향상시키게 되며, 제3 패턴 영역(P23)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b)의 복수의 반사면(F23)은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집광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 각각의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a, 222a, 232a)가 각각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 각각의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a, 222a, 232a)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은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2, 230) 각각은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222b, 232b)가 도 17과 같이 각 광원(211, 221, 231)의 광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θ1, θ2, θ3)를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때, 각 광원(211, 221, 231)의 광축은 각 광원(211, 221, 231)의 발광면에 수직하며 발광면의 중심을 관통하는 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램프 모듈(210)이 차량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제1 패턴 영역(P21)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1 광원(211)의 광축과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사이의 각도(θ1)가 가장 작게 되고, 제3 램프 모듈(230)이 차량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제3 패턴 영역(P23)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3 광원(231)의 광축과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32b) 사이의 각도(θ3)가 가장 크게 되며, 제2 램프 모듈(220)이 제1 패턴 영역(P21) 및 제3 패턴 영역(P22)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2 패턴 영역(P22)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2 광원(221)의 광축과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22b) 사이의 각도(θ2)가 θ1 및 θ3 사이의 각도를 가지게 되어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에서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222b, 232b)가 각각 광원(211, 221, 231)의 광축과 이루는 각도는 θ1<θ2<θ3가 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 각각에서 제1 내지 제3 광원(211, 221, 231)과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222b, 232b)가 이루는 각도는 제1 내지 제3 광원(211, 221, 231)의 광축과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222b, 232b)의 상하단을 잇는 선 사이의 각도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에 의해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의 사이의 간격은 θ1, θ2, θ3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18과 같이 제1 및 제2 패턴 영역(P21, P22) 사이의 간격(d1)과 제2 및 제3 패턴 영역(P22, P23) 사이의 간격(d2)이 동일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θ2-θ1)>(θ3-θ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 사이의 간격(d1, d2)이 동일해지도록 하는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인성이 확보되는 조건 하에서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 중 서로 인접한 패턴 영역 사이의 간격은 차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제2 및 제3 패턴 영역(P22, P23) 사이의 간격(d2)이 제1 및 제2 패턴 영역(P21, P22) 사이의 간격(d1)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의 시인성이 확보된다는 것은 제1 내지 제3 패턴 영역(P21, P22, P23)이 제2 패턴(P2)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θ2-θ1)<(θ3-θ2)인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제3 패턴 영역(P23)이 제2 패턴 영역(P22)으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어 형성되어 제2 패턴(P2) 내의 패턴 영역으로 인식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θ2-θ1)>(θ3-θ2)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300)는 진행 방향 감지부(10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차량 전방 및 후방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를 제어하여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00)는 감지된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차량의 전방이나 후방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여 전술한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가 차량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때, 도 19 내지 도 22는 제2 패턴(P2)이 복수의 패턴 영역(P21, P22, P23)을 포함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패턴(P2)이 단일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9는 차량이 주행 차선을 변경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도 19를 참조하면, 후방에 위치한 차량이 제1 패턴(P1)과 더불어 형성되는 제2 패턴(P2)을 통해 앞서 주행하는 차량이 변경하려는 차선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안전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0은 차량이 교차로 등지에서 턴 방향을 표시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도 20을 참조하면, 차량이 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전방 우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차로 등지에서 차량의 턴 방향으로부터 마주오는 다른 차량이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1은 차량이 주차장에서 전진하여 진출할 때 턴 방향을 표시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도 21을 참조하면, 차량이 주차장에서 우회전하여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전방 우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21에서 제2 패턴(P2)은 차량 주변에 대형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상황에서도 차량의 턴 방향에서 마주오는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차량의 진행 방향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진출을 인지하지 못하여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차량이 주차장에서 후진으로 진출하는 경우의 일 예로서, 도 22를 참조하면, 차량이 주차장에서 후진하여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차량의 후방 양측에 설치된 진행 방향 표시부(200)에 의해 각각 제1 패턴(P1) 및 제2 패턴(P2)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도 22에서 제2 패턴(P2)은 차량 주변에 대형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2 패턴(P2)에 의해 차량의 후진을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2 패턴(P2) 내의 제1 내지 제 3패턴 영역(P21, P22, P23)이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 3패턴 영역(P21, P22, P23)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램프 모듈(210, 220, 230)에서 제2 패턴(P2)을 형성하는 리플렉터(212b, 222b, 232b)의 반사면의 크기나 반사 각도 등을 통해 제1 내지 제 3패턴 영역(P21, P22, P23)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차량의 턴 방향이나 후진을 점등 패턴 또는 점멸 패턴 등과 같은 제1 패턴(P1)을 통해 표시할뿐만 아니라 차량 주변의 노면에 형성되는 패턴인 제2 패턴(P2)을 통해 표시하기 때문에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이 제1 패턴(P1)을 인지하기 어려운 위치에서도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이에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사고나 인명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진행 방향 감지부
200: 진행 방향 표시부
300: 제어부

Claims (10)

  1. 차량의 진행 방향을 감지하는 진행 방향 감지부;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차량 주변의 노면에 상기 진행 방향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제2 패턴을 형성하는 진행 방향 표시부; 및
    상기 감지된 진행 방향에 따라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진행 방향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 각각은,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반사 영역 내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다른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가 위치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는,
    각각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는,
    각각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반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하측으로 발생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외곽 경계선은,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외곽 경계선과 이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의 외곽 경계선 내부에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은,
    복수의 패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모듈은,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의 상기 제1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는,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각각은,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의 광축이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른 차량용 램프.
  9. 제 6 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턴 영역 중 서로 인접한 패턴 영역 사이의 간격은,
    차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동일하거나 증가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램프 모듈 중 서로 인접한 패턴 영역을 형성하는 램프 모듈 간의 상기 제2 패턴을 형성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의 광축이 이루는 각도 차이는,
    상기 인접한 패턴 영역이 형성되는 위치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60152051A 2016-11-15 2016-11-15 차량용 램프 KR101863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51A KR101863788B1 (ko) 2016-11-15 2016-11-15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051A KR101863788B1 (ko) 2016-11-15 2016-11-15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286A KR20180054286A (ko) 2018-05-24
KR101863788B1 true KR101863788B1 (ko) 2018-06-01

Family

ID=62296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051A KR101863788B1 (ko) 2016-11-15 2016-11-15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9543A1 (fr) * 2019-07-31 2021-02-05 Valeo Vision Dispositif lumineux indicateur de changement de direction a surface generatrice de caustique controlee formant un motif sur une surface cible
DE102018206040A1 (de) * 2018-04-20 2019-10-2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Kommunikation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Verkehrsteilnehmer sowie Kraftfahrzeu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5048A (ja) * 2008-10-14 2010-04-30 Toyota Central R&D Labs Inc 車両用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270B2 (ja) 1991-03-07 1998-07-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走行方向表示装置
JP3193889B2 (ja) * 1997-06-18 2001-07-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KR101295833B1 (ko) * 2011-07-08 2013-08-12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방향 지시등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4341B1 (ko) * 2013-08-06 2020-01-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미지를 구현하는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5048A (ja) * 2008-10-14 2010-04-30 Toyota Central R&D Labs Inc 車両用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286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64355B (zh) 车辆用灯具
KR101295833B1 (ko) 차량용 방향 지시등 및 그 제어 방법
JP5341465B2 (ja) 車両用前照灯
US20160257243A1 (en) Automotive lamp
KR101195110B1 (ko) 헤드램프 조립체 및 이의 제어방법
EP3178698A1 (en) Automotive lamp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3288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 lamp for vehicle
EP2230128B1 (en) Automotive headlamp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pattern
KR101863788B1 (ko) 차량용 램프
KR102236476B1 (ko) 차량용 램프
WO2017051558A1 (ja) 自動二輪車および自動二輪車のライト点灯装置
KR20170062103A (ko) 차량용 램프
KR10186378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36107A (ko) 자동차
KR102415521B1 (ko) 차량용 램프
KR102397538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US9267656B2 (en) Head lamp for vehicle
KR101224515B1 (ko) 헤드램프 조립체
KR102417820B1 (ko) 보행자 신호등
CN219828605U (zh) 车辆
KR102394952B1 (ko)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KR20190081720A (ko) 차량용 램프
KR20170079106A (ko) 차량용 램프
KR20160074904A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0018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