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952B1 -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952B1
KR102394952B1 KR1020150123942A KR20150123942A KR102394952B1 KR 102394952 B1 KR102394952 B1 KR 102394952B1 KR 1020150123942 A KR1020150123942 A KR 1020150123942A KR 20150123942 A KR20150123942 A KR 20150123942A KR 102394952 B1 KR102394952 B1 KR 10239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eam pattern
lamp
lamp unit
high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394A (ko
Inventor
백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Priority to KR102015012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9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이 빔 램프 유닛, 상기 전방에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로우 빔 램프 유닛 및 상기 전방에 상기 하이 빔 패턴 및 상기 로우 빔 패턴 외에 추가적인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보조 램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상기 전방의 다른 차량 위치에 따라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될 때, 작동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에 기초한 근거리의 운전자 시야를 더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이 야간에 헤드 램프를 켜고 주행할 때 주행 방향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여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한 방안으로서,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의 변경으로 인하여 변경 전 위치에 대한 운전자의 원거리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에 대한 보완도 요구된다할 것이다.
또한, 야간 주행 환경에서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을 동원한다고 하더라도, 운전자의 근거리 시야 중에서 사각 지대가 여전히 존재할 수 있으며, 야간 주행의 안전을 위해 전술한 사각 지대에도 조명이 도달되어 대상물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6698호 (2008.01.2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보조 램프 유닛을 통해 로우 빔 패턴에 기초한 근거리의 운전자 시야를 더 확보하는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이 빔 램프 유닛, 상기 전방에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로우 빔 램프 유닛 및 상기 전방에 상기 하이 빔 패턴 및 상기 로우 빔 패턴 외에 추가적인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보조 램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상기 전방의 다른 차량 위치에 따라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될 때, 작동된다.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은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직진 또는 코너링 여부, 코너링 주행 시에 코너링 각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광 조사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은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하이 빔 램프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상기 다른 차량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 다이나믹 타입 또는 메트릭스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은 상기 차량의 코너 측에 광을 조사하는 코너링 램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을 통해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는 단계, 상기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상기 주행 전방의 다른 차량 위치에 따라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가 된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 중 각 보조 램프 유닛을 온 상태로 작동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각 보조 램프 유닛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 중 각 로우 빔 램프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폭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코너링 램프 유닛을 통해 로우 빔 패턴에 기초한 근거리의 운전자 시야를 더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2 차량용 램프를 일례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각 차량용 램프에 기초한 빔 패턴을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각 차량용 램프를 제1 작동 예로 구동하는 경우, 상세 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의 각 차량용 램프를 제2 작동 예로 구동하는 경우, 상세 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1의 각 차량용 램프를 제3 작동 예로 구동하는 경우, 상세 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의 각 차량용 램프에 기초한 빔 패턴을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코너링 램프 유닛의 작동을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코너링 램프 유닛의 작동을 다른 예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코너링 램프 유닛을 통해 로우 빔 패턴에 기초한 근거리의 운전자 시야를 더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할 때, 운전자의 전방 시야 중 사각 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각 지대를 로우 빔 패턴의 조정으로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로우 빔 패턴의 조정이 상향 이동되어 사각 지대를 커버한다면, 로우 빔 패턴의 상향 조정에 따라 상대적으로 디폴트로 조사되던 로우 빔 패턴으로 커버되던 근거리 영역의 일부가 암영 구간이 되어 근거리 시인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은 코너링 램프 유닛을 작동시켜서, 로우 빔 패턴의 이동에 따른 근거리 영역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고,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때, 전방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 차량의 위치를 피해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함에 따라 운전자의 전방 시야 중 전방 차량이 위치된 부분에 암영대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암영대의 발생이 운전자의 전방 시야 중 사각 지대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각 지대에 대해서도, 로우 빔 패턴의 조정이 가능하다.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이 빔 램프 유닛은, 하이 빔 패턴을 고정된 광 조사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구조, 및 하이 빔 패턴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응형으로 조정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물론, 하이 빔 램프 유닛이 하이 빔 패턴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응형으로 조정되는 구조로서 구성된다고 하더라도, 전방 차량이 출현되지 않거나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응형으로 하이 빔 패턴을 조정하는 기능이 '온 상태'에 있지 않아 기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이 빔 패턴을 고정된 광 조사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구조와 동일하게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게 된다.
여기서, 하이 빔 패턴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응형으로 조정되는 구조로 하이 빔 램프 유닛을 구성하는 경우, 하이 빔 패턴을 적응형으로 조정하는 방식이 다이나믹 타입 또는 매트릭스 타입으로 구분된다. 이에, 이하 설명에서 다이나믹 타입에 따른 하이 빔 램프 유닛을 먼저 다루고, 그 다음 부분에서 매트릭스 타입에 따른 하이 빔 램프 유닛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은, 제1 차량용 램프(100), 제2 차량용 램프(200) 및 제어 모듈(300)을 포함한다.
제1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헤드 램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의 전방 좌측에 구비되는 헤드 램프인 것을 예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물론, 제1 차량용 램프(100)가 헤드 램프인 경우는 예로 든것일 뿐이며,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다양한 램프일 수 있다.
제1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이 빔 램프 유닛(110), 상기 전방에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로우 빔 패턴 유닛, 및 상기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상기 로우 빔 패턴 외에 추가적인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보조 램프 유닛(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이라 함은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 해당되는 범위를 일컫는 것이고, 이에 차량의 직진 방향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전방 시야 범위 내에 존재하는 차량의 측방도 포함된다.
또한, 보조 램프 유닛(130)은 안개 램프 유닛, 코너링 램프 유닛, DRL(Daytime Running Light) 램프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즉, 안개 램프 유닛은 본 차량의 전조등 보다 아래에 설치되어 전방 시야를 보조적으로 확보하는 데에 이용되며, 눈 또는 비가 오거나 안개가 끼는 날씨에 유용하게 활용되는 램프 유닛으로서, 보조 램프 유닛(130)으로 동작될 수 있다.
코너링 램프 유닛은 본 차량의 코너링 시 회전하는 코너 부분의 야간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램프 유닛으로서, 보조 램프 유닛(130)으로 동작될 수 있다.
DRL(Daytime Running Light) 램프 유닛은 낮에 차량 운전시, 다른 운전자나 보행자가 본 차량을 쉽게 인지하여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전조등 주위에 별도로 장착되는 램프 유닛으로서, 보조 램프 유닛(130)으로 동작될 수 있다.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제1 차량용 램프(100)에 적어도 하나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하이 빔 패턴으로 고정된 광 조사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거나, 하이 빔 패턴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응형으로 조정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이 적응형으로 하이 빔 패턴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실행한다.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하이 빔 패턴의 광이 조사되는 광축을 조정할 수 있는 광축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축 조정 모듈을 구동하여 하이 빔 패턴의 광이 조사되는 광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축 조정 모듈은 하이 빔 램프 유닛(110)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엑추에이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광축 조정 모듈은 하이 빔 램프 유닛별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하이 빔 램프 유닛들을 통합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광축 조정 모듈이 복수의 하이 빔 램프 유닛들을 통합하는 구조로 구성된다함은, 차량용 램프 내의 복수의 하이 빔 램프 유닛들을 통합하는 구조이거나, 차량용 램프 내의 복수의 하이 빔 램프 유닛들과 차량 전방의 다른 헤드 램프인 타측 차량용 램프 내의 복수의 하이 빔 램프 유닛들을 모두 통합하는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축 조정 모듈은 하이 빔 패턴을 차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뿐 아니라,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니 이들의 조합된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은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한다.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은 발광부, 실드 및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는 광원,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플렉터는 내부 반사면이 광원의 발광면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실드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발광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드는 전단 양측이 렌즈의 후방측 초면 면을 따라 렌즈의 양측을 향하여 서서히 변위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빔 패턴에 따른 컷 오프 라인을 형상할 수 있도록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드는 발광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면에 차단된 광이 렌즈를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층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사층은 증착 공정 등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면에 반사층이 구성되어 실드의 상면에 의해 차단된 광은 렌즈의 상측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드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로 향하는 광은 로우 빔 패턴의 근거리 시야가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실드의 구동을 통해 로우 빔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을 상하 좌우로 조절하여 로우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조절 유닛이 제1 차량용 램프(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 유닛은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1 조절 유닛 및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을 좌우 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 조절 유닛으로 구분되거 구성되거나, 통합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램프 유닛(130)은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차량 전방의 다른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될 때 '작동 온' 상태가 되어서 차량 전방의 근거리 영역에 대한 광폭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 모듈(300)은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는지, 차량 전방의 다른 차량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되는지를 감지한 후, 감지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각 차량용 램프에 전달하여 보조 램프 유닛(130)의 작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300)은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를 고정된 광축으로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경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여부에 따라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110, 2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2 차량용 램프(200)를 일례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차량용 램프(200)도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헤드 램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차량용 램프(200)는 차량의 전방 우측에 구비되는 헤드 램프인 것으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2 차량용 램프(200)는 헤드 램프로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위치와 대향되는 위치인 차량 전방의 우측에 구비됨에 따라, 제1 차량용 램프(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갖춰질 수 있다. 이에, 제2 차량용 램프(200)도 하이 빔 램프 유닛(210), 로우 빔 램프 유닛(220) 및 보조 램프 유닛(230)을 포함한다.
보조 램프 유닛(230)은 벤딩라이트, 안개등, 코너링 램프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보조 램프 유닛(230)의 구체적 예로서 코너링 램프 유닛(231)를 들기로 한다.
제2 차량용 램프(200)의 코너링 램프 유닛(231)도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차량 전방의 다른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될 때 '작동 온' 상태가 되어서 차량 전방의 근거리 영역에 대한 광폭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코너링 램프 유닛(231)은 어두운 길에서 코너링 시, 회전하는 코너 부분의 시인성 확보를 위하여 스티어링 휠 방향으로 별도의 빔 패턴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코너링 램프 유닛(231)은 SBL(Static Bending Light)로 명명되기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링 램프 유닛(231)은 빔 패턴을 스티어링 휠 방향으로 광을 비스듬히 조사하기 위하여, 로우 빔 램프 유닛(2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코너링 램프 유닛(231)은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코너링 램프 유닛(231)의 장착 형태 및 광 조사되는 빔 패턴도 그 종류별도 다양하다.
도 3은 도 1의 각 차량용 램프에 기초한 빔 패턴을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는 디폴트의 로우 빔 패턴과 디폴트의 하이 빔 패턴을 차량 전방에 조사하는 경우, 운전자 전방 시야 중에서 사각 지대가 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각 지대는 대향 차량이 있는 경우를 감안해서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조명에 따른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암영대 구간일 수 있다. 허나, 대향 차량이 없는 경우까지 암영대 구간으로 두어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좁힐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사각 지대는 대향 차량이 없는 경우에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좁히는 사각 지대가 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사각 지대에 대해,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로우 빔 램프 유닛(120, 220)이 지향하는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사각 지대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가 눈부심을 느끼지 않도록 감안된 암영대 구간이거나 차량용 램프의 조사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이기 때문에,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 상단에 위치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디폴트 위치에서 상측으로 위치 이동함에 따라, 조정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 일부가 상기 사각 지대를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근거리 영역을 지향하는 로우 빔 패턴의 광폭이 줄어든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보조 램프 유닛(130)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줄어든 로우 빔 패턴의 광폭을 제1 차량용 램프(100) 유닛의 보조 램프 유닛(130)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보조 램프 유닛(130)을 작동시킬 때,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보조 램프 유닛(230)도 함께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보조 램프 유닛(130)과,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보조 램프 유닛(230)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로우 빔 램프 유닛은 전술한 사각 지대를 커버하기 위하여 해당 로우 빔 패턴을 이동하도록 제어된다. 이때, 각 로우 빔 램프 유닛은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보조 램프 유닛이 작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로우 빔 램프 유닛과 각 보조 램프 유닛은 전방 시야 중 근거리 영역에 조명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유닛들이다. 즉,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이 조정됨에 따른 사각 지대를 지향하여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영역을 조명하던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폭 만큼 상기 근거리 영역을 조명하지 못하는 공 영역이 발생할 수 있고, 발생된 공 영역을 향해 광 조사가 가능한 보조 램프 유닛을 작동시켜서 운전자의 근거리 영역에 대한 시야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보조 램프 유닛을 통해 근거리 영역에 대한 조명을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보조 램프 유닛(130)이 작동된 경우에는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보조 램프 유닛(130)을 통해 근거리 영역에 대한 조명이 커버되는 폭만큼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폭을 더 확장할 수 있고,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보조 램프 유닛(130)이 작동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보조 램프 유닛(130)을 통해 근거리 영역에 대한 조명이 커버되지 않으므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폭을 미리 정해진 기준 폭으로만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보조 램프 유닛(230)이 작동된 경우에는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보조 램프 유닛(230)을 통해 근거리 영역에 대한 조명이 커버되는 폭만큼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폭을 더 확장할 수 있고,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보조 램프 유닛(230)이 작동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보조 램프 유닛(230)을 통해 근거리 영역에 대한 조명이 커버되지 않으므로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폭을 미리 정해진 기준 폭으로만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각 차량용 램프를 제1 작동 예로 구동하는 경우, 상세 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로부터 디폴트 상태의 하이 빔 패턴과 로우 빔 패턴이 차량 전방에 조사되는 경우, 차량 전방의 240미터 근처에 도달되는 원거리 시인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각 차량용 램프를 제2 작동 예로 구동하는 경우, 상세 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로부터 디폴트 상태의 하이 빔 패턴과 디폴트 상태에 비해 광 조사 방향을 1도 업한 상태의 로우 빔 패턴이 차량 전방에 조사되는 경우, 차량 전방의 240미터 근처에 도달되는 빔 영역(A)이 상기 도 4에 비해 넓은 것이 확인된다.
도 6은 도 1의 각 차량용 램프를 제3 작동 예로 구동하는 경우, 상세 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량용 램프(200)의 코너링 램프 유닛(230)을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전방의 다른 차량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될 때 작동하는 경우, 제2 차량용 램프(200) 전방의 근거리 영역에 대한 빔 영역(B)이 확장된 것이 확인된다.
즉, 로우 빔 패턴의 조정과, 코너링 램프 유닛(230)의 활용을 통해, 하이 빔 패턴의 원거리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근거리 영역의 빔 폭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은 1 차량용 램프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를 고정된 광축으로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위치 감지부(400), 및 감지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110, 210)에 대한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위치 감지부(400)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과 같은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 위치 감지부(400)는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일례로 차량 위치 감지부(40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헤드 램프 또는 테일 램프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나 폭 등을 판단하거나 중앙선이나 도로 경계선 등의 위치를 판단하여 전방 차량의 위치나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거리 감지 센서(예: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의 각 차량용 램프에 기초한 빔 패턴을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V1) 전방에 전방 차량(V2)이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θ)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즉 전방 차량(V2)이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있는 경우 제1 차량용 램프(100)의 광축 조절 모듈을 제어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이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전방 차량(V2)의 운전자 시야에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이 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은 디폴트 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며, 이를 통해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과 제2 차량용 램프(200)의 하이 빔 패턴은 상호 중첩되는 구간 없이 일정 거리 폭으로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를 암영대 구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암영대 구간이 전방 차량(V2)의 운전자 시야에 도달되도록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를 조절함으로써, 전방 차량(V2)의 운전자는 현 차량(V1)의 조명 영향으로 눈부심을 느끼지 않게 된다.
하지만, 현 차량(V1)의 운전자는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이 디폴트 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형성된 암영대 구간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 중에서 상기 암영대 구간이라는 사각 지대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전방 차량(V2)의 운전자 시야에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이 도달하지 않도록 하여 전방 차량(V2)의 운전자가 눈부심 현상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도,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이 전방 차량(V2)의 위치에 따라 조정될 경우, 현 차량(V1)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서 발생되는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상기 사각 지대 또는 상기 사각 지대의 일부에 걸치도록 상측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폭은 전방 차량(V2)의 운전자 시야에 노출되지 않은 임계한도까지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 모듈(300)은 제1 차량용 램프(100)의 코너링 램프 유닛(미도시)과, 제2 차량용 램프(200)의 코너링 램프 유닛(231)을 '작동 온' 상태로 작동시켜서 차량의 각 스티어링 휠 방향으로 코너링 빔 패턴의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상향 이동에 따른 근거리 영역의 빔 폭이 줄어든 것을 보정하는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은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를 고정된 광축으로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위치 감지부(400), 현 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주행 상태 감지부(500), 및 감지된 전방 차량의 위치 및 현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110, 210)에 대한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 상태라 함은 차량의 주행 속도, 직진 또는 코너링 여부, 코너링 주행 시에 코너링 각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는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에 포함된 각 하이 빔 램프 유닛(110, 210)이 매트릭스 타입인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코너링 램프 유닛의 작동을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1)이 1시 방향으로 코너링 주행하는 경우,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된 HL1 내지 HL 5 중에서 상기 1시 방향을 향해 광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HL 5만 점등하고, 제2 차량용 램프(200)의 하이 빔 램프 유닛(210)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된 HR 1 내지 HR 5 중에서 상기 1시 방향을 향해 광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HR 4, 5만 점등시켜서 차량(V1)의 1시 방향에 대해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V1)이 1시 방향으로 코너링 주행하는 것은 1시 방향의 코너링 각도로 우측 코너링을 하는 것이거나, 1시 방향의 코너링 각도로서 우측의 차선으로 차선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HL 5, HR 4, 5에 대한 하이 빔 패턴과 로우 빔 패턴이 조합되는 전방 시야 중에서, 사각 지대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사각 지대에 대해서도, 운전자의 시인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위 다이나믹 타입으로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로우 빔 패턴이 상기 사각 지대에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 지대의 최소화를 위해 로우 빔 패턴이 이동되는 경우, 이동된 로우 빔 패턴이 원 위치에 해당되는 근거리 영역의 빔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줄어든 근거리 영역의 빔 폭을 보완하기 위하여, 차량의 스티어링 휠 방향을 향해 광 조사하는 코너링 램프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줄어든 근거리 영역의 빔 폭을 다시 확장할 수 있다.
차량(V1)이 1시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패턴이 상측으로 이동되거나, 우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운전자의 1 시 방향 코너링에 대해 시인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패턴이 이동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2 차량용 램프(200)의 코너링 램프 유닛(230)을 작동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에 의한 코너링 램프 유닛의 작동을 다른 예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1)이 11시 방향으로 코너링 주행하는 경우,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된 HL1 내지 HL 5 중에서 상기 11시 방향을 향해 광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HL 1, 2만 점등하고, 제2 차량용 램프(200)의 하이 빔 램프 유닛(210)은 매트릭스 타입의 HR 1 내지 HR 5 중에서 상기 11시 방향을 향해 광 조사하는 것이 가능한 HR 1만 점등시켜서 차량(V1)의 11시 방향에 대해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V1)이 11시 방향으로 코너링 주행하는 것은 11시 방향의 코너링 각도로 좌측 코너링을 하는 것이거나, 11시 방향의 코너링 각도로서 좌측의 차선으로 차선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HL 1, 2, HR 1에 대한 하이 빔 패턴과 로우 빔 패턴이 조합되는 전방 시야 중에서, 사각 지대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사각 지대에 대해서도, 운전자의 시인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위 다이나믹 타입으로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로우 빔 패턴이 상기 사각 지대에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각 지대의 최소화를 위해 로우 빔 패턴이 이동되는 경우, 이동된 로우 빔 패턴이 원 위치에 해당되는 근거리 영역의 빔 폭이 줄어들 수 있다.
줄어든 근거리 영역의 빔 폭을 보완하기 위하여, 차량의 스티어링 휠 방향을 향해 광 조사하는 코너링 램프 유닛을 작동시켜 상기 줄어든 근거리 영역의 빔 폭을 다시 확장할 수 있다.
차량(V1)이 11시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이 상측으로 이동되거나, 좌측으로 평행 이동하여 운전자의 11 시 방향 코너링에 대해 시인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이 이동되는 것에 대응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의 코너링 램프 유닛(미도시)을 작동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10 및 도 11을 참고로 한 예에서는 전방의 다른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에 구비된 복수의 서브 램프 유닛을 일부 점등 및 나머지 소등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차량(V1)이 코너링 주행을 할 때, 전술한 방식과 같이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에 구비된 복수의 서브 램프 유닛을 일부 점등 및 나머지 소등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에 구비된 복수의 서브 램프 유닛을 전부 점등하는 것으로도 제어 가능하다. 즉,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에 구비된 복수의 서브 램프 유닛을 전부 점등한 채로 차량(V1)이 코너링 주행을 할 때, 차량(V1)의 코너링 방향과 대응되는 코너링 램프 유닛을 '작동 온'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차량(V1)의 코너링 방향과 대응되는 코너링 램프 유닛만을 '작동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차량(V1)의 코너링 방향과 상관 없이 차량(V1)의 좌 우측에 구비된 각 코너링 램프 유닛을 모두 '작동 온' 상태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을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을 통해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되게 한다(S100).
이후,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단계는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때, 사각 지대를 감지할 수 있다(S102).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시스템은 사각 지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도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감지된 사각 지대를 향해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 중 각 로우 빔 램프 유닛(120, 220)을 제어할 수 있다(S104).
이후, S104 단계에서 로우 빔 램프 유닛(120, 220)의 제어가 실시되어 로우 빔 패턴이 조정된 경우, 차량용 램프들 중 각 보조 램프 유닛(130,230)을 온 상태로 작동 제어한다(S106).
이후, 차량 주행이 종료되면 상기 단계들의 실행도 종료된다(S108).
또한 S102 단계에서 하이 빔 패턴의 광이 조사되거나, 주행 전방의 다른 차량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보조 램프 유닛(130, 230)을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S102-1).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에 기초한 근거리의 운전자 시야를 더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제1 차량용 램프 110: 하이 빔 램프 유닛
120: 로우 빔 램프 유닛 130: 보조 램프 유닛
200: 제2 차량용 램프 210: 하이 빔 램프 유닛
220: 로우 빔 램프 유닛 230: 보조 램프 유닛
231: 코너링 램프 유닛 300: 제어 모듈
400: 차량 위치 감지부 500: 주항 상태 감지부

Claims (11)

  1.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이 빔 램프 유닛;
    상기 전방에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로우 빔 램프 유닛; 및
    상기 전방에 상기 하이 빔 패턴 및 상기 로우 빔 패턴 외에 추가적인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보조 램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상기 전방의 다른 차량 위치에 따라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될 때, 작동되고,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발생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광 조사 방향이 조절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은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작동 상태가 변경되는 차량용 램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직진 또는 코너링 여부, 코너링 주행 시에 코너링 각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차량용 램프.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은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폭이 조절되는 차량용 램프.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 빔 램프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상기 다른 차량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 다이나믹 타입 또는 메트릭스 타입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램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은 상기 차량의 코너 측에 광을 조사하는 코너링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을 통해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는 단계;
    상기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상기 주행 전방의 다른 차량 위치에 따라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변경되는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가 된 것으로 결정될 때, 상기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 중 각 보조 램프 유닛을 온 상태로 작동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각 보조 램프 유닛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 중 각 로우 빔 램프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램프 유닛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폭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KR1020150123942A 2015-09-02 2015-09-02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KR102394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942A KR102394952B1 (ko) 2015-09-02 2015-09-02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942A KR102394952B1 (ko) 2015-09-02 2015-09-02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394A KR20170027394A (ko) 2017-03-10
KR102394952B1 true KR102394952B1 (ko) 2022-05-09

Family

ID=58410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942A KR102394952B1 (ko) 2015-09-02 2015-09-02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95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1867A (ja) 2001-05-14 2002-11-19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09087811A (ja) 2007-10-01 2009-04-23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0149836A (ja) 2008-11-25 2010-07-08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4715769B2 (ja) 2007-02-23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前照灯点灯装置、配光可変型前照灯システム及び車載用前照灯灯具
KR101485802B1 (ko) * 2013-11-28 2015-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JP5680922B2 (ja) 2009-09-29 2015-03-04 ヴァレオ ビジョンValeo Vision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1809B2 (en) 1998-09-18 2005-03-01 Gentex Corporation Headlamp control to prevent glare
KR20140015029A (ko) * 2012-07-27 2014-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433224B1 (ko) * 2012-12-20 2014-08-25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의 복합 빔 구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1867A (ja) 2001-05-14 2002-11-19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4715769B2 (ja) 2007-02-23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前照灯点灯装置、配光可変型前照灯システム及び車載用前照灯灯具
JP2009087811A (ja) 2007-10-01 2009-04-23 Koito Mfg Co Ltd 車両用前照灯
JP2010149836A (ja) 2008-11-25 2010-07-08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
JP5680922B2 (ja) 2009-09-29 2015-03-04 ヴァレオ ビジョンValeo Vision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の制御方法
KR101485802B1 (ko) * 2013-11-28 2015-01-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394A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9028B2 (ja) ヘッドランプの配光制御手段
US9278644B2 (en) ADB head-lamp system and beam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JP4624257B2 (ja) 車両用灯具
EP1970249A2 (en) Vehicl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system
US9013058B2 (en) Vehicle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ethod
EP2266838B1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JP5552381B2 (ja) 制御装置、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JP2009214812A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10090893A (ko) 차량용 전조등 어셈블리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전조등 어셈블리
JP524818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00018366A (ko) 전조등 및 안개등 자동조절장치
JP2009269511A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97537B1 (ko) 차량용 램프
KR102394952B1 (ko)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KR20160112429A (ko) 차량용 램프
JP6700904B2 (ja) 車両の配光制御装置
KR101627569B1 (ko) 차량용 램프
KR20130136107A (ko) 자동차
JP5547317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KR20170062107A (ko) 차량용 램프
JP554731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US20240092252A1 (en) Vehicle lighting device
KR20170027392A (ko)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KR10160359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49608A1 (en) Vehicle headligh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