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392A -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392A
KR20170027392A KR1020150123940A KR20150123940A KR20170027392A KR 20170027392 A KR20170027392 A KR 20170027392A KR 1020150123940 A KR1020150123940 A KR 1020150123940A KR 20150123940 A KR20150123940 A KR 20150123940A KR 20170027392 A KR20170027392 A KR 20170027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pattern
vehicle
low beam
lamp
high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라이팅
Priority to KR1020150123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392A/ko
Publication of KR2017002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1S48/174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H05B37/0227
    • F21W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이 빔 램프 유닛, 상기 전방에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로우 빔 램프 유닛 및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상하 좌우로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Lamp for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을 조절하여 원거리 시인성을 더 확보하거나, 근거리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를 더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안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이 야간에 헤드 램프를 켜고 주행할 때 주행 방향 전방에 위치한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여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차량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한 방안으로서,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의 변경으로 인하여 변경 전 위치에 대한 운전자의 원거리 시인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에 대한 보완도 요구된다할 것이다.
또한, 야간 주행 환경에서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을 동원한다고 하더라도, 운전자의 근거리 시야 중에서 사각 지대가 여전히 존재할 수 있으며, 야간 주행의 안전을 위해 전술한 사각 지대에도 조명이 도달되어 대상물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6698호 (2008.01.2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을 조절하여 원거리 시인성을 더 확보하거나, 근거리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를 더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이 빔 램프 유닛, 상기 전방에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로우 빔 램프 유닛 및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상하 좌우로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조절 유닛 및 상기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2 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로우 빔 패턴의 기준 위치인 디폴트 영역과 상기 사각 지대 간에 미리 정해진 가용 이동 범위 내에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때,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위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위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직진 또는 코너링 여부, 코너링 주행 시에 코너링 각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이 빔 램프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 다이나믹 타입 또는 메트릭스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사각 지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위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사각 지대의 위치 및 크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영역 이하인 경우,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위해 제어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을 통해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게 하는 단계,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 중 각 로우 빔 램프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때, 상기 사각 지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각 지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을 조절하여 원거리 시인성을 더 확보하거나, 근거리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를 더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우 빔 램프 유닛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차량용 램프에 기초한 로우 빔 패턴을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로우 빔 패턴 중 제2 차량용 램프의 빔 패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4의 로우 빔 패턴 중 제1 차량용 램프의 빔 패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빔 패턴을 조합한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3의 차량용 램프에 기초한 하이 빔 패턴 중 제2 차량용 램프의 빔 패턴이 도 7의 로우 빔 패턴에 일 실시 예로 추가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3의 차량용 램프에 기초한 하이 빔 패턴 중 제1 차량용 램프의 빔 패턴이 도 7의 로우 빔 패턴에 일 실시 예로 추가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빔 패턴을 조합한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총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1 차량용 램프의 로우 빔 패턴이 조정되는 것을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1 차량용 램프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에 따른 총 빔 패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빔 패턴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1 차량용 램프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빔 패턴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어 시스템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빔 패턴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1 차량용 램프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2 차량용 램프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4는 도 22 및 도 23의 빔 패턴을 조합한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도 19의 제어 시스템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다른 예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빔 패턴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2 차량용 램프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빔 패턴을 총 빔 패턴에 반영한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9는 도 26의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1 차량용 램프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0은 도 27 및 도 29의 빔 패턴을 조합한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의한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빔 패턴 및 사각 지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의한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다른 예로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34는 도 33의 빔 패턴 및 사각 지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을 조절하여 원거리 시인성을 더 확보하거나, 근거리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를 더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할 때, 운전자의 전방 시야 중 사각 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각 지대를 로우 빔 패턴의 조정으로 보완할 수 있는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시된다.
또한,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고,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조절할 때, 전방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방 차량의 위치를 피해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함에 따라 운전자의 전방 시야 중 전방 차량이 위치된 부분에 암영대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암영대의 발생이 운전자의 전방 시야 중 사각 지대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사각 지대에 대해서도, 로우 빔 패턴의 조정으로 보완할 수 있는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시된다.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이 빔 램프 유닛은, 하이 빔 패턴을 고정된 광 조사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구조, 및 하이 빔 패턴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응형으로 조정되는 구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물론, 하이 빔 램프 유닛이 하이 빔 패턴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응형으로 조정되는 구조로서 구성된다고 하더라도, 전방 차량이 출현되지 않거나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응형으로 하이 빔 패턴을 조정하는 기능이 '온 상태'에 있지 않아 기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하이 빔 패턴을 고정된 광 조사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구조와 동일하게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게 된다.
여기서, 하이 빔 패턴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응형으로 조정되는 구조로 하이 빔 램프 유닛을 구성하는 경우, 하이 빔 패턴을 적응형으로 조정하는 방식이 다이나믹 타입 또는 매트릭스 타입으로 구분된다. 이에, 이하 설명에서 다이나믹 타입에 따른 하이 빔 램프 유닛을 먼저 다루고, 그 다음 부분에서 매트릭스 타입에 따른 하이 빔 램프 유닛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로우 빔 램프 유닛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는 하이 빔 램프 유닛(110), 로우 빔 램프 유닛(120),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조절 유닛은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의 광 조사 방향을 상하 좌우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통합형으로 구성되거나,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의 광 조사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제1 조절 유닛(130) 및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의 광 조사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2 조절 유닛(140)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한다. 또한,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차량용 램프에 적어도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며, 도 1에서는 두 개로 구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차량이 야간에 주행하거나 터널과 같이 어두운 장소를 주행할 때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차량의 전방 양측에 구비되는 헤드 램프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허나,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이 헤드 램프인 경우는 예로 든것일 뿐이고,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포그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다양한 램프일 수 있다.
이러한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하이 빔 패턴을 고정된 광 조사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거나, 하이 빔 패턴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적응형으로 조정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이 적응형으로 하이 빔 패턴을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광을 조사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실행한다.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하이 빔 패턴의 광이 조사되는 광축을 조정할 수 있는 광축 조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여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축 조정 모듈을 구동하여 하이 빔 패턴의 광이 조사되는 광축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축 조정 모듈은 하이 빔 램프 유닛(110)에 구성된 하나 이상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엑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엑추에이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광축 조정 모듈은 하이 빔 램프 유닛별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하이 빔 램프 유닛들을 통합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광축 조정 모듈이 복수의 하이 빔 램프 유닛들을 통합하는 구조로 구성된다함은, 차량용 램프 내의 복수의 하이 빔 램프 유닛들을 통합하는 구조이거나, 차량용 램프 내의 복수의 하이 빔 램프 유닛들과 차량 전방의 다른 헤드 램프인 타측 차량용 램프 내의 복수의 하이 빔 램프 유닛들을 모두 통합하는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축 조정 모듈은 하이 빔 패턴을 차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킬 뿐 아니라,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니 이들의 조합된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도 있다.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은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한다.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은 발광부, 실드 및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는 광원, 리플렉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플렉터는 내부 반사면이 광원의 발광면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실드는 평판 형상을 가지며 발광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드는 전단 양측이 렌즈의 후방측 초면 면을 따라 렌즈의 양측을 향하여 서서히 변위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빔 패턴에 따른 컷 오프 라인을 형상할 수 있도록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단차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드는 발광부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면에 차단된 광이 렌즈를 향하도록 반사시키는 반사층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사층은 증착 공정 등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드가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면에 반사층이 구성되어 실드의 상면에 의해 차단된 광은 렌즈의 상측 방향으로 반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실드에 의해 반사되어 렌즈로 향하는 광은 로우 빔 패턴의 근거리 시야가 향상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실드의 구동을 통해 로우 빔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절 유닛(130) 및 제2 조절 유닛(140)은 전술한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을 상하 좌우로 조절하여 로우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조절 유닛(130)은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의 광 조사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며, 제2 조절 유닛(140)은 로우 빔 패턴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상하로 조절한다.
즉, 제1 조절 유닛(130) 및 제2 조절 유닛(140)의 구동 조합을 통해, 로우 빔 패턴의 조정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은 차량용 램프 및 제어 장치(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용 램프는 헤드 램프의 경우를 예로 들 경우, 차량 전방의 좌측에 위치한 헤드 램프인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차량 전방의 우측에 위치한 헤드 램프인 제2 차량용 램프(200)로 구분 가능하다.
제어 장치(300)는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를 고정된 광축으로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경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여부에 따라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어 장치(300)는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를 고정된 광축으로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위치 감지부(320), 및 감지된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110)에 대한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 모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위치 감지부(320)는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과 같은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 위치 감지부(320)는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 등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일례로 차량 위치 감지부(320)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헤드 램프 또는 테일 램프에서 발생된 광의 파장이나 폭 등을 판단하거나 중앙선이나 도로 경계선 등의 위치를 판단하여 전방 차량의 위치나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거리 감지 센서(예: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차량용 램프에 기초한 로우 빔 패턴을 일 실시 예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5는 도 4의 로우 빔 패턴 중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빔 패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6은 도 4의 로우 빔 패턴 중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빔 패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빔 패턴을 조합한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로우 빔 램프 유닛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4의 로우 빔 패턴은 디폴트로 정해진 기준 패턴이고, 이를 기준으로 로우 빔 패턴이 상하 좌우로 조정될 수 있다.
도 5의 빔 패턴은 도 4의 로우 빔 패턴 중 제2 차량용 램프(200)로부터 조사되는 로우 빔 패턴이고, 도 6의 빔 패턴은 도 4의 로우 빔 패턴 중 제1 차량용 램프(100)로부터 조사되는 로우 빔 패턴을 나타낸다.
도 7의 빔 패턴은 도 5 및 도 6의 각 빔 패턴을 조합한 결과이며, 제1 차량용 램프(100)로부터 조사되는 로우 빔 패턴과 제2 차량용 램프(200)로부터 조사되는 로우 빔 패턴은 중심부에서 상호 중첩되는 영역이 확인된다.
도 8은 도 3의 차량용 램프에 기초한 하이 빔 패턴 중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빔 패턴이 도 7의 로우 빔 패턴에 일 실시 예로 추가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3의 차량용 램프에 기초한 하이 빔 패턴 중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빔 패턴이 도 7의 로우 빔 패턴에 일 실시 예로 추가된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빔 패턴을 조합한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의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에 제2 차량용 램프(200)의 하이 빔 패턴이 추가된 것이고, 도 9의 빔 패턴은 로우 빔 패턴에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이 추가된 것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의 각 하이 빔 패턴은 디폴트로 정해진 기준 패턴이고, 이를 기준으로 각 하이 빔 패턴이 조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로부터 차량 전방에 조사되는 총 빔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로우 빔 패턴 및 하이 빔 패턴을 모두 조합한 결과로서, 도 10에 도시된 총 빔 패턴이 구성된다.
도 11은 도 10의 총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전술한 디폴트의 로우 빔 패턴과 디폴트의 하이 빔 패턴이 조합된 결과인, 총 빔 패턴이 차량 전방에 조사되는 경우, 운전자 전방 시야 중에서 K 영역과 같은 사각 지대가 발생된다.
물론, K 영역은 대향 차량이 있는 경우를 감안해서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조명에 따른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암영대 구간이기는 하나, 대향 차량이 없는 경우까지 암영대 구간으로 두어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좁힐 필요는 없다.
따라서, K 영역은 대향 차량이 없는 경우에 운잔자의 전방 시야를 좁히는 사각 지대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이 조정되는 것을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에 따른 총 빔 패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K 영역의 사각 지대에 대해, 운전자가 전방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디폴트 위치에서 상측으로 위치 이동함에 따라, 조정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 일부가 K 영역을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폴트 위치에 있던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K 영역에 걸치도록 위치 이동함으로써, K 영역이 더 이상 운전자의 전방 시야 중 사각 지대로 존재하지 않게 된다.
차량 전방에 대향 차량이 출현하는 경우,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술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에 따른 눈부심이 방지되도록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디폴트 위치로 다시 복원하는 조정이 바람직하다.
도 12 및 도 13과 같은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이 지향하는 광 조사 방향이 K 영역에 걸치도록 제2 조절 유닛(1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다시 디폴트 위치로 복원할 때도, 제2 조절 유닛(140)을 제어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이 지향하는 광 조사 방향을 디폴트 구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차량(V1) 전방에 전방 차량(V2)이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θ)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즉 전방 차량(V2)이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있는 경우 제1 차량용 램프(100)의 광축 조절 모듈을 제어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이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전방 차량(V2)의 운전자 시야에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이 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빔 패턴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은 디폴트 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되며, 이를 통해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과 제2 차량용 램프(200)의 하이 빔 패턴은 상호 중첩되는 구간 없이 일정 거리 폭으로 이격되어 이격된 사이를 암영대 구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암영대 구간이 전방 차량(V2)의 운전자 시야에 도달되도록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를 조절함으로써, 전방 차량(V2)의 운전자는 현 차량(V1)의 조명 영향으로 눈부심을 느끼지 않게 된다.
하지만, 현 차량(V1)의 운전자는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이 디폴트 위치에서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형성된 암영대 구간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야 중에서 상기 암영대 구간이라는 사각 지대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전방 차량(V2)의 운전자 시야에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이 도달하지 않도록 하여 전방 차량(V2)의 운전자가 눈부심 현상을 느끼지 않도록 하면서도,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이 전방 차량(V2)의 위치에 따라 조정될 경우, 현 차량(V1) 운전자의 전방 시야에서 발생되는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 유닛(130)의 제어를 통해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상기 사각 지대 또는 상기 사각 지대의 일부에 걸치도록 상측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이 상측으로 이동되는 폭은 전방 차량(V2)의 운전자 시야에 노출되지 않은 임계한도까지 설정 가능하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차량(V2)이 차량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중심 라인으로부터 일정 각도(θ) 범위를 벗어나 위치하는 경우, 즉 전방 차량(V2)이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있는 경우 제1 차량용 램프(100)의 실드 구동 제어를 통해 빔 패턴을 변경함으로써, 전방 차량(V2)의 운전자 시야에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이 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빔 패턴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시야 중에서 운전자의 주행을 방해할 정도로 노출되는 사각 지대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이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빔 패턴의 조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운전자의 안전 운행이 가능한 상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제1 조절 유닛(130) 및 제2 조절 유닛(140) 중 하나 이상은 로우 빔 패턴의 기준 위치인 디폴트 영역과 사각 지대 간에 미리 정해진 가용 이동 범위 내에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빔 패턴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도 18을 참고하면,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패턴 상측에 빔이 도달하지 않고 있으므로, 이 부분도 운전자의 사각 지대라면 사각 지대라고도 할 수 있으나, 이 부분은 운전자의 주행에 도움이 되는 전방 시야에 속한다고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이에, 운전자의 주행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전방 시야를 한정할 필요가 있고, 제1 조절 유닛(130) 및 제2 조절 유닛(140)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조정되는 로우 빔 패턴도 디폴트로 이미 정해진 디폴트 영역으로부터 일정 폭에 해당되는 가용 이동 범위 내에서만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제어 장치(400)는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를 고정된 광축으로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조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는 경우, 전방 차량의 위치를 감지하는 차량 위치 감지부(420), 현 차량의 주행 상태를 감지하는 주행 상태 감지부(430), 및 감지된 전방 차량의 위치 및 현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에 대한 광 조사 방향을 변경하여 구동 제어하는 제어 모듈(4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410)은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에 각각 구성된 제1 조절 유닛(130) 및 제2 조절 유닛(140) 중 하나 이상을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때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위해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 상태라 함은 차량의 주행 속도, 직진 또는 코너링 여부, 코너링 주행 시에 코너링 각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제어 시스템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빔 패턴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2는 도 21의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3은 도 21의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4는 도 22 및 도 23의 빔 패턴을 조합한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00)는 차량(V1)의 주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차량(V1)이 우측으로 코너링하고 있는 상태라는 점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차량(V1)이 우측 코너링하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방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1을 참고하면, 제어 장치(300)는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을 제어하여 차량(V1)의 주행 전방에 위치한 코너 양측에 하이 빔 패턴의 광이 각각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하이 빔 패턴의 사이는 원거리 시야의 사각 지대로 형성된다.
이러한 원거리 시야의 사각 지대에 대한 운전자의 시인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22 및 도 23과 같이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12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미도시)이 지향하는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2를 참고하면,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120)과 대응되는 제2 조절 유닛(140)을 제어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120)이 지향하는 광 조사 방향이 상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를 통해, 전술한 각 하이 빔 패턴 사이에 존재하는 원거리 시야의 사각 지대 중 일부 구간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미도시)과 대응되는 제2 조절 유닛(140)을 제어하여,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미도시)이 지향하는 광 조사 방향이 상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를 통해, 전술한 각 하이 빔 패턴 사이에 존재하는 원거리 시야의 사각 지대 중 나머지 구간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총 빔 패턴은 전술한 각 하이 빔 패턴 사이에 존재하던 원거리 시야의 사각 지대가 보완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도 25는 도 19의 제어 시스템에 따른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다른 예로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빔 패턴을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7은 도 26의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8은 도 27의 빔 패턴을 총 빔 패턴에 반영한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29는 도 26의 빔 패턴에 따른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에 적응하여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결과를 일례로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0은 도 27 및 도 29의 빔 패턴을 조합한 결과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장치(300)는 차량(V1)의 주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차량(V1)이 좌측으로 코너링하고 있는 상태라는 점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차량(V1)이 좌측 코너링하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최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전방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6을 참고하면, 제어 장치(300)는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각 하이 빔 램프 유닛을 제어하여 차량(V1)의 주행 전방에 위치한 코너 양측에 하이 빔 패턴의 광이 각각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하이 빔 패턴의 사이는 원거리 시야의 사각 지대로 형성된다.
이러한 원거리 시야의 사각 지대에 대한 운전자의 시인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27 및 도 28과 같이 제1 차량용 램프(1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12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미도시)이 지향하는 광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7를 참고하면,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미도시)과 대응되는 제2 조절 유닛(140)을 제어하여,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미도시)이 지향하는 광 조사 방향이 상측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를 통해, 전술한 각 하이 빔 패턴 사이에 존재하는 원거리 시야의 사각 지대 중 일부 구간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9를 참고하면,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미도시)과 대응되는 제2 조절 유닛(140)을 제어하여, 제2 차량용 램프(200)의 로우 빔 램프 유닛(미도시)이 지향하는 광 조사 방향이 11시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를 통해, 전술한 각 하이 빔 패턴 사이에 존재하는 원거리 시야의 사각 지대 중 나머지 구간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총 빔 패턴은 전술한 각 하이 빔 패턴 사이에 존재하던 원거리 시야의 사각 지대가 보완된 상태임을 나타낸다.
또한,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을 통해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되게 한다.
이후,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단계는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때, 사각 지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300)는 사각 지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도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감지된 사각 지대를 향해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 중 각 로우 빔 램프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는 제1 차량용 램프(100) 및 제2 차량용 램프(200)에 포함된 각 하이 빔 램프 유닛이 매트릭스 타입인 경우에 대한 설명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의한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일례로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빔 패턴 및 사각 지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1)이 1시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HL1 내지 HL 5 중에서 HL 5만 점등하고, 제2 차량용 램프(200)의 하이 빔 램프 유닛(미도시)은 HR 1 내지 HR 5 중에서 HR 4, 5만 점등시켜서 차량(V1)의 1시 방향에 대해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집중적으로 조사한다.
이에 따라,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L 5, HR 4, 5에 대한 하이 빔 패턴과 로우 빔 패턴이 조합되는 전방 시야 중에서, K 영역과 같은 사각 지대가 발생된다.
이러한 K 영역의 사각 지대에 대해서도, 운전자의 시인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위 다이나민 타입으로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로우 빔 패턴이 상기 K 영역의 사각 지대에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K 영역의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에 의한 하이 빔 패턴의 조정을 다른 예로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빔 패턴 및 사각 지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V1)이 11시 방향으로 주행하는 경우, 제1 차량용 램프(100)의 하이 빔 램프 유닛(110)은 HL1 내지 HL 5 중에서 HL 1, 2만 점등하고, 제2 차량용 램프(200)의 하이 빔 램프 유닛(미도시)은 HR 1 내지 HR 5 중에서 HR 1만 점등시켜서 차량(V1)의 11시 방향에 대해 하이 빔 패턴의 광을 집중적으로 조사한다.
이에 따라,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HL 1, 2, HR 1에 대한 하이 빔 패턴과 로우 빔 패턴이 조합되는 전방 시야 중에서, K' 영역과 같은 사각 지대가 발생된다.
이러한 K' 영역의 사각 지대에 대해서도, 운전자의 시인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위 다이나민 타입으로 로우 빔 패턴을 조정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로우 빔 패턴이 상기 K' 영역의 사각 지대에 중첩되도록 하여 상기 K' 영역의 사각 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을 조절하여 원거리 시인성을 더 확보하거나, 근거리에 대한 운전자의 시야를 더 충분히 확보하기 위한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제1 차량용 램프 110: 하이 빔 램프 유닛
120: 로우 빔 램프 유닛 130: 제1 조절 유닛
140: 제2 조절 유닛 200: 제2 차량용 램프
300, 400: 제어 장치 310, 410: 제어 모듈
320, 420: 차량 위치 감지부 430: 주행 상태 감지부

Claims (13)

  1. 차량이 주행하는 전방에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하이 빔 램프 유닛;
    상기 전방에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을 조사하는 로우 빔 램프 유닛; 및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상하 좌우로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조절 유닛; 및
    상기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로우 빔 램프 유닛의 광 조사 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제2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로우 빔 패턴의 기준 위치인 디폴트 영역과 상기 사각 지대 간에 미리 정해진 가용 이동 범위 내에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때,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위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위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는 상기 차량의 주행 속도, 직진 또는 코너링 여부, 코너링 주행 시에 코너링 각도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차량용 램프.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 빔 램프 유닛은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변경되는 경우, 다이나믹 타입 또는 메트릭스 타입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램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사각 지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위해 제어되는 차량용 램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사각 지대의 위치 및 크기가 미리 정해진 기준 영역 이하인 경우,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위해 제어되지 않는 차량용 램프.
  10.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을 통해 차량의 주행 전방에 하이 빔 패턴 및 로우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게 하는 단계;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에 따라 변경되는 전방 시야의 사각 지대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사각 지대를 향해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일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차량용 램프들 중 각 로우 빔 램프 유닛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하이 빔 패턴으로 광이 조사되거나, 상기 하이 빔 패턴의 광 조사 방향이 전방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때, 상기 사각 지대를 감지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 지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13. 제10 항 또는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로우 빔 패턴의 위치 변경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제어 방법.
KR1020150123940A 2015-09-02 2015-09-02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KR20170027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940A KR20170027392A (ko) 2015-09-02 2015-09-02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940A KR20170027392A (ko) 2015-09-02 2015-09-02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392A true KR20170027392A (ko) 2017-03-10

Family

ID=58410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940A KR20170027392A (ko) 2015-09-02 2015-09-02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3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287A (ko) * 2018-07-10 2021-06-01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모듈 구성형 자동차 헤드램프 광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98B1 (ko) 2001-12-10 2008-01-21 젠텍스 코포레이션 조명, 전조등, 제어가능한 전조등, 및 차량용 외부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전방 조명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98B1 (ko) 2001-12-10 2008-01-21 젠텍스 코포레이션 조명, 전조등, 제어가능한 전조등, 및 차량용 외부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전방 조명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287A (ko) * 2018-07-10 2021-06-01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모듈 구성형 자동차 헤드램프 광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4257B2 (ja) 車両用灯具
JP5362460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JP5424771B2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システム
EP2657079B1 (en) Vehicle headlamp apparatus
JP5221200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20206043A1 (en) Vehicle head lamp light distribution controller
JP6246810B2 (ja) アダプティブ・ライティング(配光可変照明)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US9193297B2 (en) Vehicle light distribution control device and vehicle light distribution control method
US9199573B2 (en) Vehicle light distribution control device and vehicle light distribution control method
JP524818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1122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97537B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27392A (ko)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KR20150134879A (ko) 차량용 램프
JP5547317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JP5547319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JP5478962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KR101929736B1 (ko) 차량용 램프
JP5547316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および前照灯用制御装置
KR101603599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4952B1 (ko) 차량용 램프,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제어 방법
KR101618557B1 (ko) 차량용 램프 및 그 제어 방법
JP2010092754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KR20160059681A (ko) 차량용 램프
KR20240106280A (ko) 차량용 램프 및 그 동작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