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1913A - Tlr7 작용제로서 사용되는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 - Google Patents

Tlr7 작용제로서 사용되는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1913A
KR20170041913A KR1020177007194A KR20177007194A KR20170041913A KR 20170041913 A KR20170041913 A KR 20170041913A KR 1020177007194 A KR1020177007194 A KR 1020177007194A KR 20177007194 A KR20177007194 A KR 20177007194A KR 20170041913 A KR20170041913 A KR 2017004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ethyl
pyrrolo
pyrimidin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609B1 (ko
Inventor
쟈오쫑 딩
하오 위
페이 순
리팡 위
링 양
Original Assignee
치아타이 티안큉 파마수티컬 그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410405136.0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367576A/zh
Application filed by 치아타이 티안큉 파마수티컬 그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치아타이 티안큉 파마수티컬 그룹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4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1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65/28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LR7 작용제로서의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그의 제조 방법,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약물을 제조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TLR7 작용제로서 사용되는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PYRROLOPYRIMIDINE COMPOUNDS USED AS TLR7 AGONIST}
본 발명은 TLR7 작용제로서의 신규한 피롤로피리미딘 고리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톨-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는 여러 면역 세포에 의하여 발현되고, 고도로 보존적인 구조 모티프(structural motif): 미생물 병원체에 의해 발현되는 병원체 연관 분자 패턴 (PAMP: Pathogen Associated Molecular Pattern) 또는 사멸 세포에 의해 방출되는 손상 연관 분자 패턴(DAMP: Damage Associated Molecular Pattern)을 인식한다. PAMP 또는 DAMP는 톨-유사 수용체를 자극하여 AP-1, NF-κB 및 인터페론 조절자(regulator) 등과 같은 전사 인자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신호의 단계적 증폭(signal cascade)을 촉발한다 (펄스 반응 함수). 이는 인터페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 및 효과기 사이토카인(effector cytokine)의 생산을 포함하여 여러 세포 반응을 야기하고, 그에 의하여 면역 반응이 형성된다. 지금까지, 13가지 형태의 톨-유사 수용체가 발견되었다. 톨-유사 수용체 1, 2, 4, 5 및 6은 주로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반면, 톨-유사 수용체 3, 7, 8 및 9는 엔도좀(endosome) 내에서 발현된다. 서로 다른 톨-유사 수용체는 서로 다른 병원체로부터 유래된 리간드를 인식한다. 톨-유사 수용체 7 (TLR7)이 형질세포 모양 수지상 세포(pDC: plasmcytoid dendritic cell)에 의해 발현되고 리간드를 인식하여 인터페론 α(IFN-α)의 분비를 유도한다. 톨-유사 수용체 7 (TLR7) 및 톨-유사 수용체 8 (TLR8)은 상동성이 높으므로, 대부분의 경우에서 TLR7의 리간드는 또한 TLR8의 리간드이다. TLR8 자극은 주로 종양괴사인자 α (TNF-α) 및 화학유인물질(chemoattractant)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유도한다. 인터페론 α는 만성 B형 간염 또는 C형 간염을 치료하는 약물의 하나인 반면, TNF-α는 그의 과도 분비가 심각한 부작용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이다. 따라서, TLR7 및 TLR8에 대한 선택성은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TLR7 작용제의 개발에서 중요하다. 이미퀴모드(imiquimod), 레시퀴모드(resiquimod), GS-9620 같은 여러 TLR7 작용제가 보고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나은 선택성, 활성 및 안전성을 갖는 신규한 TLR7 작용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TLR7 작용제로서 일련의 신규한 피롤로피리미딘 유도체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의 배경지식은 하기의 저널들: Hoffmann, J. A., Nature, 2003, 426, p33-38; Akira, S., Takeda, K., 및 Kaisho,T., Annual. Rev. Immunology, 2003, 21, 335-376; Ulevitch, R. J., Nature Reviews: Immunology, 2004, 4, 512-520; Coffman, R. L., Nat. Med. 2007, 13, 552-559; Paul A. Roethle, J. Med. Chem. 2013, 56(18), 7324-7333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며,
Figure pct00002
여기에서,
L1 및 L2 는 각각 독립적으로 -O-, -CH2-, -S-, -NH-, -NHC(=O)-, -C(=O)-, -C(=O)NH-, -S(=O)-, -S(=O)2-, -NHS(=O)2- 및 -S(=O)2N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H2-, -NH-, -NHC(=O)-, -C(=O)NH-, -NHS(=O)2- 및 -S(=O)2NH-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고;
R1은 수소,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고;
R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실, 티올, 아미노, COOH, -CONH2,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하이드록실, 티올, 아미노, COOH, -CONH2,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고;
B는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3은 C0-6 알킬렌, 이미노, -O-, -S-, -S(=O)- 및 -S(=O)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0-6 알킬렌 및 이미노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고;
R3은 수소, 아미노,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아미노,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거나;
R3 및 L3은 함께 고리 B에서 인접하는 원자와 포화 또는 불포화 5 내지 8원 고리를 형성하고, 5 내지 8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고;
n은 0, 1, 2, 3, 4 또는 5이고;
R4는 할로겐, 시아노, -R, -OR, =O, -SR, -NR2, =NR, -C(할로겐)3, -CR(할로겐)2, -CR2(할로겐), -OCN, -SCN, -N=C=O, -NCS, -NO, -NO2, -NRC(=O)R, -NRC(=O)OR, -NRC(=O)NRR, -C(=O)NRR, -C(=O)OR, -OC(=O)NRR, -OC(=O)OR, -C(=O)R, -S(=O)2OR, -S(=O)2R, -OS(=O)2OR, -S(=O)2NRR, -S(=O)R, -NRS(=O)2R, -NRS(=O)2NRR, -NRS(=O)2OR, -OP(=O)(OR)2, -P(=O)(OR)2, -C(=O)R, -C(=S)R, -C(=O)OR, -C(=S)OR, -C(=O)SR, -C(=S)SR, -C(=O)NRR, -C(=S)NRR, -C(=NR)NRR 및 -NRC(=NR)NR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독립적으로 H, C1-8 알킬, C3-8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8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알킬 및 헤테로아릴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1이 -CH2- 또는 -NH-인 경우, R3은 H가 아니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O-, -CH2-, -S-, -NH-, -C(=O)-, -S(=O)- 및 -S(=O)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H2- 및 -NH-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O-, -CH2-, -S- 및 -N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H2- 및 -NH-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L1 및 L2는 각각 독립적으로 -O- 및 -CH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H2-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1은 수소,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3-6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6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3-6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6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1은 C1-6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1-6 알킬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실, 티올, 아미노, CHO, COOH, -CONH2,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3-6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6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하이드록실, 티올, 아미노, CHO, COOH, -CONH2,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3-6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6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실, 아미노, -CONH2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하이드록실, 아미노, -CONH2 및 C1-6 알킬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2는 수소, 시아노 및 -CONH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ONH2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B는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B는 5 내지 7원 아릴 및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B는 페닐, 피리딜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티에닐, 티아졸릴, 퓨릴, 옥사졸릴, 티아디아졸릴, 이속사졸릴, 옥시디아졸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이소티아졸릴 및 트리아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B는 페닐 및 피리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L3은 C0-6 알킬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0-6 알킬렌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3은 수소, 아미노,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3-8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8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아미노,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3-8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8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거나; R3 및 L3은 함께 고리 B에서 인접하는 원자와 포화 또는 불포화 5 내지 8원 고리를 형성하고, 5 내지 8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3은 수소, 아미노, C1-6 알킬, C3-8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8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아미노, C1-6 알킬, C3-8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8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거나; R3 및 L3은 함께 고리 B에서 인접하는 원자와 포화 또는 불포화 5 내지 8원 고리를 형성하고, 5 내지 8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4는 할로겐, 시아노, -R, -OR, =O, -SR, -NR2, =NR, -C(할로겐)3, -CR(할로겐)2, -CR2(할로겐), -OCN, -SCN, -N=C=O, -NCS, -NO, -NO2, -NRC(=O)R, -C(=O)NRR, -C(=O)OR, -OC(=O)NRR, -C(=O)R, -S(=O)2OR, -S(=O)2R, -OS(=O)2OR, -S(=O)2NRR, -S(=O)R, -NRS(=O)2R, -C(=O)R, -C(=O)OR 및 -C(=O)NR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4는 할로겐, 시아노, -R, -OR, =O, -NR2, =NR, -C(할로겐)3, -CR(할로겐)2 및 -CR2(할로겐)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식 (I)의 화합물의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R4는 할로겐, -R, -OR 및 =O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구체예들에 있어서, 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또 다른 양태에 있어서,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를 위한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가 제공된다.
일부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뎅기열 바이러스(dengue fever virus), 황열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 웨스트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tick borne encephalitis virus), 쿤진 바이러스(Kunjin virus), 머레이 계곡 뇌염 바이러스(Murray Valley encephalitis virus), 세인트루이스 뇌염 바이러스(St Louis encephalitis virus), 옴스크 출혈열 바이러스(Omsk Hemorrhagic Fever virus), 소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bovine viral diarrhea virus), 지카 바이러스(Zika virus),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virus) 감염이다. 하나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다. 추가의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감염은 B형 간염 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별도의 치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정제(tablet), 알약(pill), 캡슐(capsule), 분말(powder), 과립(granule), 연고(ointment), 에멀젼(emulsion), 현탁액(suspension), 용액(solution), 좌약(suppository), 주사제(injection), 흡입제(inhalant), 겔(gel), 미소구(microsphere), 에어로졸(aerosol) 등과 같은 고체, 반-고체, 액체 도는 기체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그의 입체 이성질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한 전형적인 경로에는 경구(oral), 직장(rectal), 경점막(transmucosal), 경장 투여(enteral administration) 또는 국소(local), 경피(transcutaneous), 흡기(inhalant), 비경구(parenteral), 설하(sublingual), 질내(intravaginal), 비내(intranasal), 안내(intraocular), 복강내(intraperitoneal), 근육내(intramuscular), 피하(subcutaneous), 정맥내(intravenous) 투여가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인 혼합, 용해, 과립화, 드라지 코팅(dragee coating), 현탁분리(levigation), 에멀젼, 동결-건조 등과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것으로서, 활성 화합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와 혼합될 수 있다. 담체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환자에게 경구 투여하기에 용이한 정제, 알약, 트로키정(troche), 드라지, 캡슐, 액체, 겔, 슬러리, 현탁액 등으로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고체 경구 조성물은 통상의 혼합, 충진 또는 압축 공정에 의해, 예를 들어, 하기 공정: 활성 화합물을 고체 부형제와 혼합하고, 그 결과 얻어진 혼합물을 선택적으로 분쇄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적절한 보조제를 첨가하고, 그 후 혼합물을 과립으로 가공하여 정제 또는 드라지의 코어를 수득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보조제에는 결합제(binder), 희석제(diluent), 붕해제(disintegrant), 활제(lubricant), 활택제(glidant), 감미제(sweetener), 교정제(corrigent)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별도의 예에는 미정질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글루코스 용액(glucose solution), 아카시아 겔(acacia gel), 젤라틴 용액(gelatine solution), 수크로오스 및 전분 페이스트(sucrose and starch paste); 활석(talcum), 전분(starch),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칼슘 스테아레이트(calcium stearate) 또는 스테아린산(stearic acid); 락토오스(lactose), 수크로오스(sucrose), 전분, 만니톨(mannitol), 소르비톨(sorbitol) 또는 디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소듐크로스카멜로스(croscarmellose sodium), 전호화 전분(pregelatinized starch),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 glycolate), 알긴산(alginic acid), 옥수수 전분(maize starch), 감자 전분(potato starch),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한천(agar),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가교화 폴리비닐피롤리돈(crosslinked polyvinylpyrrolidone) 등이 포함된다. 드라지의 코어는 선택적으로 잘 알려진 공정을 통하여, 특히 장용성 코팅제(enteric coating)로 코팅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멸균 용액, 현탁액 또는 동결건조된 제품 같은 적절한 단위 투약 형태(unit dosage form)로서 비경구 투여에 유용할 수 있다. 충진제(filler), 완충제(buffer) 또는 계면활성제(surfactant) 등과 같은 적절한 부형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술되는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임의의 적절한 경로 및 과정으로,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정맥내 투여)에 의하여 투여될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0.0001 내지 20 ㎎/㎏ 체중/일, 예를 들어, 0.001 내지 10 ㎎/㎏ 체중/일의 범위 이내일 수 있다.
식 (I)의 화합물의 빈도는 개개 환자의 요건에 의존적이며, 예를 들어 매일 1회 또는 2회 또는 그 이상이다. 투여는, 예를 들어 수일의 기간 동안 간헐적일 수 있으며, 환자는 식 (I)의 화합물의 1일 투여량을 수령하고, 계속해서 수일의 기간 또는 그 이상 동안, 환자는 식 (I)의 화합물의 1일 투여량을 수령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B형 간염 바이러스로 감염된 HDI 마우스 모델 중에서의 생체 내 약력학(혈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B형 간염 바이러스로 감염된 HDI 마우스 모델 중에서의 생체 내 약력학(간)을 나타낸 것이다.
정의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구문은 하기 의미를 갖는다. 특정한 용어 또는 구문은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경우에도 불명료하거나 불명확한 것으로 고려되지 않는다. 이는 일반 의미에 따라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상표명(trade name)은 대응하는 제품 또는 활성 성분을 의미한다.
용어 "선택적(optional)" 또는 "선택적으로(optionally)"는 그에 후속하여 기술되는 사건이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사건이 일어나거나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틸이 "선택적으로" 할로겐으로 치환된다는 표현은 에틸이 비치환되거나(CH2CH3), 일-치환되거나(mono-substituted)(예를 들어, CH2CH2F), 다-치환되거나(예를 들어, CHFCH2F, CH2CHF2 등) 완전히 치환 (CF2CF3)되는 것을 의미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갖는 임의의 기에 대하여, 존재하지 않고/않거나 합성될 수 없는 치환 또는 치환 방식은 도입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표현 Cm-n은 이것이 m 내지 n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3-10 시클로알킬"은 상기 시클로알킬이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C0-6 알킬렌"은 상기 알킬렌이 0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에서 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경우 알킬렌은 결합(bond)이다.
여기에서 숫자 범위는 그 안의 정수들 각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C1-10"은 상기 기가 1개의 탄소 원자, 2개의 탄소 원자, 3개의 탄소 원자, 4개의 탄소 원자, 5개의 탄소 원자, 6개의 탄소 원자, 7개의 탄소 원자, 8개의 탄소 원자, 9개의 탄소 원자 또는 1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치환된(substituted)"은, 특정한 원자의 원자가(valence)가 정상이고 치환 후의 화합물이 안정하다고 가정하면, 주어진 원자 상의 하나 이상의 수소가 치환기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치환기가 케톤기 (즉, =O)인 경우, 2개의 수소 원자가 대체되고, 케톤 치환은 방향족기에서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1회에 걸쳐 임의의 변수 (예를 들어, R)가 조성물 또는 구조에서 발생하는 경우, 이는 각 경우에서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의 기가 0 내지 2 R로 치환되는 경우, 기는 선택적으로 최대 2개의 R로 치환될 수 있고, R은 각 경우에서 독립적인 옵션(opntion)을 갖는다. 게다가, 치환기 및/또는 그의 변형의 조합은 단지 이러한 조합이 안정한 화합물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경우에만 허용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헤테로(hetero)"는 헤테로 원자 또는 헤테로 원자 라디칼 (즉,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라디칼), 즉 탄소와 수소 이외의 원자 또는 이러한 원자를 포함하는 라디칼을 의미하며, 여기에서 헤테로 원자는 독립적으로 O, N, S, P, Si, Ge, Al 및 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2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가 포함되는 구체예에 있어서, 2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는 동일할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헤테로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용어 "할로(halo)" 또는 "할로겐(halogen)"은 F, Cl, Br 및 I를 의미한다.
용어 "하이드록실(hydroxyl)"은 -OH기를 의미한다.
용어 "시아노(cyano)"는 -CN기를 의미한다.
용어 "티올(thiol)"은 -SH기를 의미한다.
용어 "아미노(amino)"는 -NH2기를 의미한다.
용어 "알킬(alkyl)"은 단일 결합을 통해 분자의 나머지에 연결되는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선형 또는 분지된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알킬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2-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t-부틸, n-펜틸, 2-메틸부틸, 네오펜틸, n-헥실, 2-메틸헥실, -CH2-시클로프로필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알킬렌(alkylene)"은 모(parent) 알킬의 동일한 탄소 원자 또는 2개의 서로 다른 탄소 원자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의 제거로부터 파생되는 잔기를 갖는 선형, 분지된 또는 고리의 포화된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알킬렌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메틸렌 (-CH2-), 1,1-에틸렌 (-CH(CH3)-), 1,2-에틸렌 (-CH2CH2-), 1,1-프로필렌 (-CH(CH2CH3)-), 1,2-프로필렌 (-CH2CH(CH3)-), 1,3-프로필렌 (-CH2CH2CH2-), 1,4-부틸렌 (-CH2CH2CH2CH2-)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이미노(imino)"는 -NH-를 의미한다.
용어 "알케닐(alkenyl)"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갖는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선형 또는 분지된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알케닐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비닐, 1-프로페닐, 2-프로페닐, 1-부테닐, 이소부테닐, 1,3-부타디에닐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알키닐(alkynyl)"은 적어도 하나의 삼중 결합을 갖는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선형 또는 분지된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알키닐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에티닐 (-C≡CH), 1-프로피닐 (-C≡C-CH3), 2-프로피닐 (-CH2-C≡CH), 1,3-부타디이닐 (-C≡C-C≡CH)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cyclohydrocarbyl)"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고리를 포함하는 탄소 및 수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포화 또는 불포화 비-방향족 고리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은 단환(monocyclic), 융합된 다환(fused polycyclic), 가교환(bridge cyclic) 또는 스피로환(spirocyclic)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바이시클로[2.2.1]헵틸, 스피로[3.3]헵틸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heterocyclohydrocarbyl)"은 고리 원자의 일부가 N, O, S(O)n (여기에서, n은 0, 1 또는 2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 원자이고, 고리 원자의 나머지가 C인 비-방향족 단환, 융합된 다환, 가교환 또는 스피로환계 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리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가지지만 완전히 공액화된(conjugated) π-전자계는 갖지 않을 수 있다). 3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의 예에는 옥시라닐(oxiranyl), 티이라닐(thiiranyl), 아지라닐(aziranyl)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4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의 예에는 아제티디닐(azetidinyl), 옥세타닐(oxetanyl), 티에타닐(thietanyl)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5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의 예에는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tetrahydrofuranyl), 테트라하이드로티오페닐(tetrahydrothiophenyl), 피롤리디닐(pyrrolidinyl), 이속사졸리디닐(isoxazolidinyl), 옥사졸리디닐(oxazolidinyl), 이소티아졸리디닐(isothiazolidinyl), 1,1-디옥소이소티아졸리디닐(1,1-dioxoisothiazolidinyl), 티아졸리디닐(thiazolidinyl), 이미다졸리디닐(imidazolidinyl), 테트라하이드로피라졸릴(tetrahydropyrazolyl), 피롤리닐(pyrrolinyl), 디하이드로퓨라닐(dihydrofuranyl), 디하이드로티오페닐(dihydrothiophenyl)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6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의 예에는 피페리디닐(piperidinyl),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tetrahydropyranyl),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tetrahydrothiopyranyl), 몰포리닐(morpholinyl), 피페라지닐(piperazinyl), 1,4-티옥사닐(1,4-thioxanyl), 1,4-디옥사닐(1,4-dioxanyl), 티오몰포리닐(thiomorpholinyl), 1,2-/1,4-디티아닐(1,2-/1,4-dithianyl), 디하이드로피리딜(dihydropyridyl),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tetrahydropyridyl), 디하이드로피라닐(dihydropyranyl),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tetrahydropyranyl), 디하이드로티오피라닐(dihydrothiopyranyl)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7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의 예에는 아자시클로헵타닐(azacycloheptanyl), 옥사시클로헵타닐(oxacycloheptanyl), 티에파닐(thiepanyl), 옥사아자바이시클로[2.2.1]헵틸(oxaazabicyclo[2.2.1]heptyl), 아자스피로[3.3]헵틸(azaspiro[3.3] heptyl)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아릴(aryl)"은 공액화된 π 전자 시스템을 갖고 모든 고리 원자가 탄소인, 단환 또는 융합된 다환 방향족 고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아릴은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 또는 6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아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페닐, 나프틸, 안트릴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헤테로아릴(heteroaryl)"은 C인 다른 고리 원자와 함께 N, O 및 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 원자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단환 또는 융합된 다환 시스템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피롤릴, 퓨릴, 티에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피록사졸릴피리딜, 피리미딜, 피라지닐, 퀴놀리닐, 이소퀴놀리닐, 테트라졸릴, 트리아졸릴, 트리아지닐, 벤조퓨라닐, 벤조티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pharmaceutically acceptable)"은 신뢰할 수 있는 의학적 판단의 관점 이내이고, 과도한 독성, 자극, 알러지 반응 또는 다른 문제나 합병증 없이 인간 및 동물 조직과 접촉하기에 적절하고 허용 가능한 이득과 위험도(benefit/risk ratio)를 갖는 화합물, 재료, 조성물 및/또는 투여량 형태를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서, 예를 들어, 하기 예가 언급될 수 있다: 금속 염, 암모늄 염, 유기 염기, 무기 산, 유기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 등으로 형성된 염. 금속 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알칼리금속의 염, 예를 들어 나트륨 염, 칼륨 염 등; 알칼리토금속의 염, 예를 들어 칼슘 염, 마그네슘 염, 바륨 염 등; 알루미늄 염 등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염기로 형성되는 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메틸피리딘, 2,6-디메틸피리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 산으로 형성되는 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산으로 형성되는 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푸마르산, 옥살산, 말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설폰산, 벤젠설폰산, 파라-톨루엔설폰산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형성되는 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아르기닌, 리신, 오르니틴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산성 아미노산으로 형성되는 염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포함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통상의 화학 공정을 통하여 산성 또는 염기성 기를 포함하는 모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유리 산 또는 염기의 형태로 화합물과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물 중의 화학당량적(stoichiometric)으로 적절한 염기 또는 산과의 반응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토니트릴 등과 같은 비수성 매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화합물은 수화물 형태를 포함하여 비용매화되거나 용매화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화된 형태는 비용매화된 형태에 상당하고, 이들 둘 다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화합물은 다형체 또는 비정질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부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원자 (광학 중심) 또는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라세미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및 개별적 이성질체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라세미체, 양쪽성 비라세미체(ambiscalemic) 및 비라세미체(scalemic)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은 Maehr, J. Chem. Ed. 1985, 62: 114-120으로부터 취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실선 및 파단 모서리(broken wedge)는 입체중심(stereocenter)의 절대 배치(absolute configuration)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에틸렌성 이중 결합(들) 또는 다른 기하학적 비대칭 중심(들)을 포함하는 경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E Z 기하 이성질체가 포함된다. 유사하게, 모든 호변이성 형태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특정한 기하 이성질체 또는 입체 이성질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시스 및 트랜스 이성질체, (-)- 및 (+)-거울상 이성질체, (R)- 및 (S)-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D)-이성질체, (L)-이성질체 및 라세미체 혼합물,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가 강화된(enriched) 혼합물과 같은 그의 다른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러한 화합물이 본 발명에 포함되고, 모든 혼합물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알킬과 같은 치환기는 다른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알킬과 같은 치환기는 다른 비대칭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모든 그의 이성질체 및 혼합물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광학 (R)- 및 (S)-이성질체와 마찬가지로 DL 이성질체가 키랄 합성 또는 키랄 시약 또는 다른 통상적인 기술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는 비대칭 합성 또는 키랄 보조제(chiral auxiliary)로의 유도체화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고, 여기에서 그 결과의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이 분리되고 소정의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가 보조기(auxiliary group)의 절단(cleavage)에 의하여 수득된다. 대안적으로, 분자 내에 염기성 관능기 (예를 들어 아미노) 또는 산성 관능기 (예를 들어, 카르복실)가 존재하는 경우, 부분입체 이성질체 염이 적절한 광학적으로 활성인 산(optical acid) 또는 염기로 형성된 후,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분별 결정 또는 크로마토그래피로 부분입체 이성질체 선별(diastereomeric resolution)이 수행되어 순수한 거울상 이성질체를 회수할 수 있다. 게다가, 부분입체 이성질체로부터의 거울상 이성질체의 분리는 일반적으로 키랄 고정상(chiral stationary phase)을 사용하며, 화학적 유도체화(예를 들어, 아민으로부터 형성되는 카바메이트)와 광합적으로 결합되는 크로마토그래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상기 화합물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원자에서 비-자연적(non-natural) 비율로 원자 동위원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은 삼중수소 (3H), 요오드-125(125I) 또는 탄소-14(14C) 등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될 수 있다. 방사성이건 아니건 간에, 화합물의 모든 방사성 동위원소의 대체물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는 현저한 자극을 주지 않고, 활성 화합물의 생활성(bioactivity) 및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그러한 담체를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활성 성분과 함께 투여되며 그의 투여에 이로운 비활성 물질(inert substance)을 의미하고, 인간 또는 동물 (예를 들어 가축)에의 사용을 위한 미합중국 식품의약국의 승인을 받은 하기 재료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활택제, 감미제, 희석제, 보존제, 염료/착색제, 방향제(flavoring agent), 계면활성제, 습윤제(wetting agent), 분산제, 붕해제, 현탁화제(suspending agent), 안정화제(stabilizing agent), 등장화제(isotonic agent), 용매 또는 에멀젼화제.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탄산칼슘, 인산칼슘, 여러 종류의 당 및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식물유(vegetable oil)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이 포함된다. 담체에 관한 다른 정보는 그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는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에서 찾을 수 있다.
용어 "부형제(excipient)"는 일반적으로 유효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데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및/또는 매질(medium)을 의미한다.
약제학적 또는 약동학적 활성제에 대해서, 용어 "유효량(effective amount)" 또는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독성이지 않으나 소정의 효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약물 또는 시약의 양을 의미한다. 본원에서의 경구 제형에 대하여, 조성물 중의 활성 물질에 대한 "유효량"은 조성물 중의 다른 활성 물질과 조합하여 소정의 효과를 달성하는 데 요구되는 양을 의미한다. 유효량은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수령인의 연령 및 일반적인 상태뿐만 아니라 특정 활성 물질에도 의존적이다. 특정한 사례에서의 유효량은 통상적인 시험을 통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용어 "활성 성분(active ingredient)", "치료제(therapeutic agent)", "활성 물질(active substance)" 또는 "활성제(active agent)"는 표적 장애, 질환 또는 상태를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데 유용한 화학적 실체(entity)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에 설명되는 특정한 구체예, 다른 화학적 합성 공정과 마찬가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등가물과의 조합을 통한 구체예를 포함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잘 알려진 여러 합성 공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는 본원의 실시예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구체예의 화학 반응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학적 변화 및 소정의 시약 및 재료에 대하여 적절한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하여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종종 공지의 구체예에 기초하여 합성 단계 또는 반응 절차의 변경 또는 선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임의의 합성 반응식(scheme)을 설계함에 있어서 하나의 중요한 인자는 반응기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아미노)에 대하여 적절한 보호기를 선택하는 것이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는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Wiley and Sons, 1991 by Greene and Wuts를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문헌은 그 전체로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일반식 (I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표준 절차로 유기 합성의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일반 반응식 1
2,4-디클로로-5H-피롤로[3,2-d]피리미딘 (1-1) (상용 시약)으로부터 출발하여, SEM 보호 및 후속하는 NH3로의 치환을 수행하여 2-클로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1-2)을 수득하였다. 나트륨 존재하에 n-부탄올 같은 여러 알코올 (일반식 R1OH)을 사용하여 알콕시화 나트륨을 형성시킨 후, 이를 치환시켜 중간체 (1-3)를 수득하였다. 상기 중간체를 NBS와 반응시켜 브롬화물 (1-4)을 수득하였다. n-부틸리튬의 작용하에 브롬화물 (1-4)을 Br의 교환으로 리튬 염으로 전환시켰다. 리튬 염을 알데히드 (R5는 포름알데히드기 또는 선택적인 보호기를 수반하는 L3 내지 R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와 반응시켜 이차 알코올 (1-5)을 수득하였다. 상기 이차 알코올 (1-5)을 0 내지 3 단계 변형,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트리에틸실란으로의 환원 및 탈보호시켜 최종 생성물 (II)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 (III)의 화합물은 유기 합성의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 의하여 표준 절차에 따라 하기 반응식 2를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일반 반응식 2
중간체 (2-1) (R6은 카르복실레이트 메틸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됨)로부터 출발하여, NBS와의 반응을 통하여 브롬화물 (2-2)을 수득하였다. 상기 브롬화물 (2-2)을 추가로 1 내지 3 단계 반응 (DIBAL-H로의 알데히드의 환원, 후속하는 메탄올 용매에 용해시킨 피롤을 사용한 NaBH3CN 환원을 통한 아민화 등과 같은)을 수행하여 다른 브롬화물 (2-3)을 수득하였다. 상기 브롬화물 (2-3)을 Zn(CN)2/Zn/ Pd2(dba)3/dppf/DMF의 조건하에서 2-시아노 화합물 (2-4)로 전환하였다. SEM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제거하여 최종 생성물 (III)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반응식 1 및 2의 단계의 순서가 달라질 수 있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속한다는 것은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이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상용적으로 획득 가능한 것이고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은 일반적으로 비활성 분위기 하 무수 용매 중에서 수행된다. 양성자 자기 공명(proton magnetic resonance)의 데이터는 Bruker Avance III 400 (400 ㎒) 분광분석기로, 테트라메틸실란 저자장(tetramethylsilane low field)에서 (ppm)으로 나타낸 화학 이동(chemical shift)으로 기록하였다. 질량분석(mass spectrometry)은 Agilent 1200 plus 6110 (&1956A)로 측정되었다. LC/MS 또는 Shimadzu MS는 DAD: SPD-M20A(LC) 및 Shimadzu Micromass 2020 검출기를 포함한다. 질량분광분석기에는 양성 모드(positive mode) 또는 음성 모드에서 작동하는 전자분무 이온화기(ESI: electrospray ionization)가 장착된다.
하기 약어들이 본원에 사용되었다: aq: 수성; SEMCl: (2-(클로로메톡실)에틸)트리메틸실란; eq: 당량; 1,3-DPPP: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DCM: 디클로로메탄; PE: 석유에테르;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NMP: N-메틸피롤리디논; EtOAc: 에틸아세테이트; i-PrOH: 이소프로판올; EtOH: 에탄올; MeOH: 메탄올;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BPO: 벤질퍼옥사이드; BOC: t-부틸옥시카르보닐; HOAc: 아세트산; NaCNBH3: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LAH: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9-BBN: 9-보라바이시클로노난; MsCl: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RT: 실온; O/N: 밤새도록; Boc2O: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FA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TEA: 트리에틸아민; DIBAL-H: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NBS: 브로모숙신이미드; DPPF: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Ph3P: 트리페닐포스파인; Pd(OAc)2: 팔라듐아세테이트; Pd(PPh3P)2CL2: 비스(트리페닐포스파인)팔라듐 클로라이드; Pd2(dba)3: 트리스(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XANTPHOS: 4,5-비스(디페닐포스피노)-9,9-디메틸크산텐; n-BuLi: n-부틸리튬.
화합물은 수작업으로 또는 ChemDraw® 소프트웨어로 지명하였다. 공급업자의 카탈로그에 제공된 상용적으로 입수 가능한 화합물의 명칭을 사용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은 Shimadzu SIL-20A 자동-샘플채취기(auto-sampler) 및 일본 Shimadzu DAD: SPD-M20A 검출기가 장착된 Shimadzu LC20AB 시스템으로 Xtimate C18 (3m 충진제, 2.1x300 ㎜)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0-60AB_6분 방법: 선형 경사를 적용하였고, 여기에서 용리는 100%A (A는 0.0675% TFA 수성 용액임)로 개시되고, 60%B (B는 MeCN 중의 0.0625% TFA임) (총 공정은 4.2 분임)로 종결되었으며, 용리를 위하여 1분 동안 60% B를 사용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은 100:0에 도달하도록 추가로 0.8 분 동안 평형화시켰으며, 총 운전 시간은 6분이다. 10-80AB_6 방법: 선형 경사를 적용하였고, 여기에서 용리는 90% A (A는 0.0675% TFA 수성 용액임)로 개시되고, 80% B (B는 아세토니트릴 중의 0.0625% TFA임) (총 공정은 4.2 분임)로 종결되었으며, 용리를 위하여 80% B를 1분 동안 사용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은 90:10에 도달하도록 추가로 0.8 분 동안 평형화시켰으며, 총 운전 시간은 6분이다. 컬럼 온도는 50℃이고 속도는 0.8 ㎖/분이다.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의 주사파(scanning wave)는 200 내지 400 ㎚이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 분석은 Sanpont-group의 실리카겔 GF254 상에서 수행하였다. 반점은 자외광으로 검출하였으며, 일부 경우에 있어서 다른 공정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박층은 요오드 (약 1 g의 요오드가 10 g의 실리카겔 내로 첨가되고 완전히 혼합됨), 바닐린 알데히드(vanillin aldehyde) (약 1 g의 바닐린 알데히드가 100 ㎖ 10% H2SO4 에 용해됨), 닌히드린 (Aldrich로부터 획득 가능) 또는 특정한 전개제(developer) ((NH4)6Mo7O24ㆍ4H2O, 5 g (NH4)2Ce(IV)(NO3)6, 450 ㎖ H2O 및 50 ㎖ 농 H2SO4가 완전히 혼합됨)로 전개하고, 화합물을 검출하였다. Still, W. C.; Kahn, M.; and Mitra, M.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1978, 43, 2923-2925에서 기술된 바와 유사한 공정으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Silicycle로부터의 40-63 ㎛ (230-400 #) 실리카겔 상에서 수행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서의 공통 용매는 디클로로메탄/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메탄올 및 헥산/에틸아세테이트 혼합물을 포함한다.
Gilson UV/VIS-156 검출기를 갖춘 Gilson-281 Prep LC 322 시스템 상에서 조제용 크로마토그래피 분석(preparative chromatography analysis)을 수행하였고,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은 Agella Venusil ASB Prep C18, 5m, 150X21.2 ㎜; Phenomenex Gemini C18, 5 m, 150X30 ㎜; Boston Symmetrix C18, 5m, 150X30 ㎜; 또는 Phenomenex Synergi C18, 4 m, 150×30 ㎜이다. 속도가 약 25 ㎖/분인 경우 저 경사(low gradient) 아세토니트릴/물을 사용하여 화합물을 용리시켰으며, 여기에서 물은 0.05% HCl, 0.25% HCOOH 또는 0.5% NH3ㆍH2O를 포함하고, 총 운전 시간은 8 내지 15 분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의도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2-부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10
반응식:
Figure pct00011
실시예 1 절차:
단계 A: 2,4-디클로로-5H-피롤로[3,2-d]피리미딘 (4g, 21.4 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30 ㎖) 중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소듐하이드라이드 (1.03 g, 60% 광유 혼합물, 25.6 mmol)를 분량적으로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액체를 실온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키고 (2-(클로로메톡실)에틸)트리메틸실란 (3.9 g, 23.5 mmol)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추가로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 (120 ㎖)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00 ㎖X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포화 수성 탄산나트륨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아세테이트/석유에테르 5% 내지 1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2,4-디클로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 (5.8 g, 85%)을 수득하였다.
MS(ESI)M/Z: 318[M+H+].
단계 B: 1000 ㎖ 고압 반응기 중에서, 2,4-디클로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 (5 g, 15.8 mmol), 이소프로판올 (15 ㎖) 및 수성 암모니아 (250 ㎖)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100 내지 11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이를 물 (250 ㎖)로 희석시키고 여과하여 2-클로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4 g, 85%)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추가로 정제하지 않았다.
MS(ESI)M/Z: 299[M+H+].
단계 C: 2-클로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4 g, 13.4 mmol) 및 소듐부톡사이드 (5.15 g, 53.6 mmol)를 n-부탄올 (55 ㎖) 중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100℃까지 질소 분위기 하에서 가열시키고 8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이를 물 (200 ㎖)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00 ㎖X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아세테이트/석유에테르 15% 내지 2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4.1 g, 91%)을 수득하였다.
MS(ESI)M/Z: 337[M+H+].
단계 D: 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4 g, 12 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 ㎖) 중에 용해시켰다. NBS (2.2 g, 12.5 mmol)를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에 포화 용액으로 제형화하고, 이를 상기 용액에 20 분에 걸쳐 0℃ 이하의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30 분 동안 0℃에서 교반시키고, 염수 (150㎖)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00 ㎖X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에틸아세테이트/석유에테르 5% 내지 15%)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7-브로모-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3.85 g, 78%)을 수득하였다.
MS(ESI)M/Z: 415, 417[M+H+].
단계 E: -78℃에서, n-부틸리튬 (2.5 M, 12 ㎖, 30 mmol)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40 ㎖) 중의 7-브로모-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3 g, 7.25 mmol)의 용액 내로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중의 1,3-벤젠디알데히드 (1.26 g, 9 mmol)의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추가로 30 분 동안 -78℃에서 교반시킨 후, 포화 염화암모늄 수성 용액 (15 ㎖) 내로 부어넣고 에틸아세테이트 (60 ㎖X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분취 HPLC로 정제하여 1.1g의 3-((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하이드록실)메틸)벤즈알데히드 염을 수득하였다.
MS(ESI)M/Z: 471[M+H+].
단계 F: 0℃에서, 에탄올 (2.5 ㎖) 중의 3-((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하이드록실)메틸)벤즈알데히드 (200 ㎎, 0.43 mmol) 및 1-메틸피페라진 (87 ㎎, 0.87 mmol)의 용액에 소듐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40 ㎎, 0.64 mmol)를 교반시키면서 분량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 (10 ㎖)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5 ㎖X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수득하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MS(ESI)M/Z: 555[M+H+].
단계 G: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 중의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메탄올 (100 ㎎) 용액에 트리에틸실란 (0.4 ㎖)을 교반시키면서 분량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5℃에서 1 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 하에서 교반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메탄올 (5㎖) 중의 탄산칼륨 (100 ㎎)의 무수 용액 중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추가로 50℃에서 30 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분취 HPLC로 정제하여 36 ㎎의 2-부톡시-7-(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수득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7.33 내지 7.21(m, 4H), 4.55(t, J=6.8㎐, 2H), 4.01(s, 2H), 3.67(s, 2H), 3.29 내지 3.24(m, 4H), 2.87 내지 2.80(m, 7H), 1.87 내지 1.80(m, 2H), 1.56 내지 1.49(m, 2H), 1.02(t, J=6.8㎐, 3H).
MS(ESI)m/z: 409[M+H+].
실시예 2
2-부톡시-7-(3-(몰포리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12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3-(몰포리노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F에서의 1-메틸피페라진 대신 몰포린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42[M+H+].
단계 B: 2-부톡시-7-(3-(몰포리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1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8.41(s, 2H), 7.35 내지 7.24(m, 5H), 4.49(t, J=6.8㎐, 2H), 4.03(s, 2H), 3.82(s, 2H), 3.77 내지 3.75(m, 4H), 2.77 내지 2.73(m, 4H), 1.83 내지 1.79(m, 2H), 1.55 내지 1.49(m, 2H), 1.01(t, J=6.8㎐, 3H).
MS(ESI)m/z: 396[M+H+].
실시예 3
7-(3-(아미노메틸)벤질)-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13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3-(아미노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F의 1-메틸피페라진 대신 암모늄아세테이트를 사용하였다.
LCMS(ESI)m/z: 472[M+H+].
단계 B: 7-(3-(아미노메틸)벤질)-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1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7.31 내지 7.15(m, 4H), 7.06(s, 1H), 4.32(t, J=6.6㎐, 2H), 4.00(s, 2H), 3.80(s, 2H), 1.79 내지 1.73(m, 2H), 1.56 내지 1.50(m, 2H), 1.01(t, J=7.4㎐, 3H).
MS(ESI)m/z: 326[M+H+].
실시예 4
2-부톡시-7-(3-(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14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3-(피롤리딘-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F에서 1-메틸피페라진 대신 피롤리딘을 사용하였다.
단계 B: 2-부톡시-7-(3-(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1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8.50(s,2H), 7.41 내지 7.28(m, 5H), 4.45(t, J=6.8㎐, 2H), 4.31(s, 2H), 4.06(s, 2H), 3.31 내지 3.29(m, 4H), 2.10 내지 2.07(m, 4H), 1.81 내지 1.76(m, 2H), 1.54 내지 1.49(m, 2H), 1.01(t, J=6.8㎐, 3H).
MS(ESI)m/z: 380[M+H+].
실시예 5
2-부톡시-7-(4-((3,3-디플루오로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15
단계 A: 4-((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하이드록실)메틸)벤즈알데히드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ㅎ하였, 여기에서 단계 E에서 1,3-벤젠디알데히드 대신 1,4-벤젠디알데히드를 사용하였다.
LCMS(ESI)m/z: 471[M+H+].
단계 B: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3,3-디플루오로피롤리딘-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F에서 1-메틸피페라진 대신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62[M+H+].
단계 C: 2-부톡시-7-(4-((3,3-디플루오로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1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7.28 내지 7.15(m, 4H), 7.04(s, 1H), 4.30(t, J=6.4㎐, 2H), 3.97(s, 2H), 3.59(s, 2H), 2.88 내지 2.71(m, 4H), 2.30 내지 2.19(m, 2H), 1.78 내지 1.71(m, 2H), 1.55 내지 1.46(m, 2H), 0.98(t, J=7.2㎐, 3H).
MS(ESI)m/z: 416[M+H+].
실시예 6
2-부톡시-7-(4-((3-플루오로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16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3-플루오로피롤리딘-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에서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3-플루오로피롤리딘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44[M+H+].
단계 B: 2-부톡시-7-(4-((3-플루오로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7.30 내지 7.24(m, 4H), 7.06(s, 1H), 5.24 내지 5.08(m, 1H), 4.32(t, J=6.4㎐, 2H), 3.99(s, 2H), 3.69 내지 3.57(m, 2H), 2.88 내지 2.65(m, 4H), 2.45 내지 2.43(m, 1H), 2.25 내지 2.11(m, 1H), 2.02 내지 1.91(m, 1H), 1.78 내지 1.73(m, 2H), 1.57 내지 1.50(m, 2H), 1.01(t, J=7.2㎐, 3H).
MS(ESI)m/z: 398[M+H+].
실시예 7
1-(4-((4-아미노-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벤질)피롤리딘-3-올
Figure pct00017
단계 A: 1-(4-((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하이드록실)메틸)벤질)피롤리딘-3-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에서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피롤리딘-3-올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42[M+H+].
단계 B: 1-(4-((4-아미노-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벤질)피롤리딘-3-올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5에 따른 단계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8.43(s, 2H), 7.45 내지 7.39(m, 4H), 7.25(s, 1H), 4.53(m, 1H), 4.44 내지 4.27(m, 2H), 4.04(s, 2H), 3.54 내지 3.47(m, 1H), 3.38 내지 3.36(m, 4H), 3.22 내지 3.19(m, 1H), 2.28 내지 2.24(m, 1H), 2.05 내지 2.01(m, 1H), 1.82 내지 1.76(m, 2H), 1.56 내지 1.50(m, 2H), 1.01(t, J=7.2㎐, 3H).
MS(ESI)m/z: 396[M+H+].
실시예 8
2-부톡시-7-(4-(피페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18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피페리딘-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에서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피페리딘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40[M+H+].
단계 B: 2-부톡시-7-(4-(피페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7.28(d, J=8.0㎐, 2H), 7.22(d, J=8.0㎐, 2H), 7.04(s, 1H), 4.30(t, J=6.6㎐, 2H), 3.98(s, 2H), 3.47(s, 2H), 2.42(s, 4H), 1.77 내지 1.73(m, 2H), 1.60 내지 1.57(m, 4H), 1.52 내지 1.46(m, 4H), 0.99(t, J=7.4㎐, 3H).
MS(ESI)m/z: 394[M+H+].
실시예 9
2-부톡시-7-(4-(몰포리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19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몰포리노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에서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몰포린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42[M+H+].
단계 B: 2-부톡시-7-(4-(몰포리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7.28(d, J=8.0㎐, 2H), 7.22(d, J=8.0㎐, 2H), 7.03(s, 1H), 4.29(t, J=6.6㎐, 2H), 3.96(s, 2H), 3.67 내지 3.64(m, 4H), 3.46(s, 2H), 2.43(s, 4H),1.77 내지 1.72(m, 2H), 1.55 내지 1.45(m, 2H), 0.98(t, J=7.4㎐, 3H).
MS(ESI)m/z: 396[M+H+].
실시예 10
2-부톡시-7-(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20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에서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1-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55[M+H+].
단계 B: 2-부톡시-7-(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7.29(d, J=8.0㎐, 2H), 7.22(d, J=8.0㎐, 2H), 7.04(s, 1H), 4.31(t, J=6.6㎐, 2H), 3.97(s, 2H), 3.50(s, 2H), 2.49 내지 2.26(m, 11H), 1.79 내지 1.72(m, 2H),1.56 내지 1.47(m, 2H), 0.99(t, J=7.4㎐, 3H).
MS(ESI)m/z: 409[M+H+].
실시예 11
2-부톡시-7-(4-((디메틸아미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21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디메틸아미노)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에서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디메틸아민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00[M+H+].
단계 B: 2-부톡시-7-(4-((디메틸아미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8.48(s, 2H), 7.41(s, 4H),7.26(s, 1H), 4.43(t, J=6.8㎐, 2H), 4.22(s, 2H), 4.06(s, 2H), 2.79(s, 6H), 1.79(m, J=6.8㎐, 2H), 1.55 내지 1.49(m, 2H), 1.01(t, J=6.8㎐, 3H).
MS(ESI)m/z: 354[M+H+].
실시예 12
2-부톡시-7-(4-((디에틸아미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22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디에틸아미노)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에서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디에틸아민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28[M+H+].
단계 B: 2-부톡시-7-(4-((디에틸아미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8.48(s, 2H), 7.42(s, 4H), 7.25(s, 1H), 4.41(t, J=6.8㎐, 2H), 4.28(s, 2H), 4.06(s, 2H), 3.20 내지 3.15(m, 4H), 1.82 내지 1.77(m, 2H), 1.55 내지 1.49(m, 2H), 1.34(t, J=6.8㎐, 6H), 1.01(t, J=6.8㎐, 3H).
MS(ESI)m/z: 382[M+H+].
실시예 13
2-부톡시-7-(4-((디프로필아미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23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디프로필아미노)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에서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디프로필아민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56[M+H+].
단계 B: 2-부톡시-7-(4-((디프로필아미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7.29 내지 7.19(m, 4H), 7.04(s, 1H), 4.32(t, J=6.5㎐, 1H), 3.99(s, 2H), 3.55(s, 2H), 2.41 내지 2.37(m, 4H), 1.78 내지 1.74(m, 2H), 1.57 내지 1.47(m, 6H), 1.00(t, J=7.4㎐, 3H), 0.87(t, J=7.4㎐, 6H).
MS(ESI)m/z: 410[M+H+].
실시예 14
7-(4-(아제티딘-1-일메틸)벤질)-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24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아제티딘-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에서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아제티딘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12[M+H+].
단계 B: 7-(4-(아제티딘-1-일메틸)벤질)-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메탄올-d4, 400㎒): δ 7.28(d, J=8.0㎐, 2H), 7.18(d, J=8.0㎐, 2H), 7.04(s, 1H), 4.31(t, J=6.8㎐, 2H), 3.98(s, 2H), 3.59(s, 2H), 3.30 내지 3.27(m, 4H), 2.15 내지 2.10(m, 2H), 1.78 내지 1.73(m, 2H), 1.56 내지 1.52(m, 2H), 1.01(t, J=6.8㎐, 3H).
MS(ESI)m/z: 366[M+H+].
실시예 15
2-부톡시-7-(4-((3-메톡실아제티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25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3-메톡실아제티딘-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에서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3-메톡실아제티딘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42[M+H+].
단계 B: 2-부톡시-7-(4-((3-메톡실아제티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7.28(d, J=8.0㎐, 2H), 7.18(d, J=8.0㎐, 2H), 7.04(s, 1H), 4.31(t, J=6.8㎐, 2H), 4.06 내지 4.04(m, 1H), 3.98(s, 2H), 3.60(s, 2H), 3.54 내지 3.52(m, 2H), 3.24(s, 3H), 3.04 내지 3.02(m, 2H), 1.78 내지 1.73(m, 2H), 1.56 내지 1.52(m, 2H), 1.01(t, J=6.8㎐, 3H).
MS(ESI)m/z: 396[M+H+].
실시예 16
2-부톡시-7-(4-((4-메틸-1,4-디아제판-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26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4-메틸-1,4-디아제판-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는 단계 B의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1-메틸-1,4-디아제판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69[M+H+].
단계 B: 2-부톡시-7-(4-((4-메틸-1,4-디아제판-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8.41 (s, 3H), 7.34 내지 7.24 (m, 5H), 4.52 (t, J=6.8㎐, 2H), 3.99 (s, 2H), 3.76 (s, 2H), 3.38 내지 3.36 (m, 2H), 3.29 내지 3.27 (m, 2H), 2.95 (s, 2H), 2.87 내지 2.84 (m, 5H), 2.07 내지 2.05 (m, 2H), 1.84 내지 1.80 (m, 2H), 1.55 내지 1.49 (m, 2H), 1.03 내지 0.99 (t, J=8.0㎐, 3H).
MS(ESI)m/z: 423[M+H+].
실시예 17
2-부톡시-7-(4-((2,6-디메틸몰포리닐)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27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2,6-디메틸몰포리닐)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의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2,6-디메틸몰포린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70[M+H+].
단계 B: 2-부톡시-7-(4-((2,6-디메틸몰포리닐)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7.30 내지 7.28 (d, J=8.0㎐, 2H), 7.23 내지 7.21 (d, J=8.0㎐, 2H), 7.06 (s, 1H), 4.34 내지 4.30 (t, J=8.0㎐, 2H), 3.99 (s, 2H), 3.69 내지 3.64 (m, 2H), 3.47 (s, 2H), 2.73 (d, J=12.0㎐, 2H), 1.77 내지 1.70 (m, 4H), 1.54 내지 1.51 (m, 2H), 1.11 (d, J=10.4㎐, 6H), 1.00 (t, J=8.0㎐, 3H).
MS(ESI)m/z: 424[M+H+].
실시예 18
7-(4-((1S,4S)-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메틸)벤질)-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28
단계 A: (4-((1S,4S)-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메틸)페닐)(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의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1S,4S)-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54[M+H+].
단계 B: 7-(4-((1S,4S)-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메틸)벤질)-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 8.38 (brs, 2H), 7.45 (d, J=8.4㎐, 2H), 7.37 (d, J=8.4㎐, 2H), 7.29 (s, 1H), 4.66 (s, 1H), 4.47 (t, J=6.8㎐, 2H), 4.36 내지 4.27 (m, 1H), 4.24 내지 4.23 (m, 2H), 4.16 내지 4.13 (m, 1H), 4.04 (s, 2H), 3.82 내지 3.81 (m, 1H), 3.33 내지 3.31 (m, 2H), 2.33 내지 2.29 (m, 1H), 2.14 내지 2.11 (m, 1H), 1.83 내지 1.76 (m, 2H), 1.56 내지 1.48 (m, 2H), 1.01 (t, J = 7.2㎐, 3H).
MS(ESI)m/z: 408[M+H+].
실시예 19
2-부톡시-7-(4-((4-메톡실피페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29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4-메톡실피페리딘-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의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4-메톡실피페리딘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70[M+H+].
단계 B: 2-부톡시-7-(4-((4-메톡실피페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 8.45 (s, 2H), 7.43 내지 7.38 (m, 4H), 7.28 (s, 1H), 4.45 (t, J=6.4㎐, 2H), 4.21 (s, 2H), 4.05 (s, 2H), 3.52 내지 3.53 (m, 1H), 3.33 내지 3.39 (m, 3H), 3.26 내지 3.24 (m, 2H), 3.13 내지 3.10 (m, 2H), 1.99 내지 1.92 (m, 4H), 1.84 내지 1.77 (m, 2H), 1.56 내지 1.50 (m, 2H), 1.01 (t, J=7.2㎐, 3H).
MS(ESI)m/z: 424[M+H+].
실시예 20
2-부톡시-7-(4-((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30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의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1-이소프로필피페라진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83[M+H+].
단계 B: 2-부톡시-7-(4-((4-이소프로필피페라진-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300㎒): δ : 8.45 (s, 2H), 7.31 내지 7.25 (m, 5H), 4.49 (t, J=8.4㎐, 2H), 3.99 (s, 2H), 3.64 (s, 2H), 3.42 내지 3.40 (m, 1H), 3.21 내지 3.25 (m, 4H), 2.66 내지 2.82 (m, 4H), 1.84 내지 1.79 (m, 2H), 1.56 내지 1.51 (m, 2H), 1.35 (d, J=8.8㎐, 6H), 1.04 내지 0.99 (t, J=10.0㎐, 3H).
MS(ESI)m/z: 437[M+H+].
실시예 21
2-부톡시-7-(4-(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31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4-(피롤리딘-1-일메틸)페닐)메탄올을 실시예 5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B의 3,3-디플루오로피롤리딘 대신 피롤을 사용하였다.
LCMS(ESI)m/z: 526[M+H+].
단계 B: 2-부톡시-7-(4-(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8.41 (s, 2H), 7.46 (d, J=8.0㎐, 2H), 7.40 (d, J=8.0㎐, 2H), 7.30 (s, 1H), 4.48 (t, J=6.8㎐, 2H), 4.33 (s, 2H), 4.05 (s, 2H), 3.32 내지 3.30 (m, 4H), 2.10 내지 2.06 (m, 4H), 1.83 내지 1.89 (m, 2H), 1.55 내지 1.48 (m, 2H), 1.02 (t, J=7.2㎐, 3H).
MS(ESI)m/z: 380[M+H+].
실시예 22
2-부톡시-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32
6-(피롤리딘-1-일메틸)니코틴알데히드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식:
Figure pct00033
단계 A: 실온에서, CCl4 (100 ㎖) 중의 메틸 6-메틸니코티네이트 (10 g, 0.0662 mol)의 용액에 NBS (13.0 g, 0.0728 mol) 및 BPO (1.6 g, 0.0066 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5℃까지 가열시키고 12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냉각 후, 물을 첨가하고 (80 ㎖)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200 ㎖ X 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티오황산나트륨 수성 용액 (80 ㎖)으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 에틸아세테이트 = 20 / 1)로 정제하여 갈색 고체로서 메틸 6-(브로모메틸)니코티네이트 (5.2 g, 수율 34 %)을 수득하였다.
1 HNMR ( CDCl 3 , 400㎒): δ 9.18 (d, J=1.6㎐, 1H), 8.32 (dd, J 1 =8.0㎐, J 2 =2.0㎐, 1H), 7.55 (d, J=8.0㎐, 1H), 4.60 (s, 2H), 3.97 (s, 3H).
MS(ESI)m/z: 230,232[M+H+].
단계 B: 0℃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 ㎖) 중의 피롤리딘 (3.09 g, 43.47 mmol) 및 트리에틸아민 (3 ㎖, 21.73 mmol)의 용액에 메틸 6-(브로모메틸)니코티네이트 (5.0 g, 21.73 mmol)를 분량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 (80 ㎖)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00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 에틸아세테이트 = 10 / 1)로 정제하여 갈색 고체로서 메틸 6-(피롤리딘-1-일메틸)니코티네이트 (4.1g, 수율 86 %)를 수득하였다.
1 HNMR ( CDCl 3 , 400㎒): δ 9.11 (d, J=2.0㎐, 1H), 8.22 (dd, J 1 =8.0㎐, J 2 =2.0㎐, 1H), 7.48 (d, J=8.0㎐, 1H), 3.91 (s, 3H), 3.81 (s, 2H), 2.58 내지 2.53 (m, 4H), 1.81 내지 1.77 (m, 4H).
MS(ESI)m/z: 221[M+H+].
단계 C: 0℃ 이하의 온도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70 ㎖) 중의 메틸 6-(피롤리딘-1-일메틸)니코티네이트 (3.0 g, 13.62 mmol)의 용액에 리튬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1.03 g, 27.24 mmol)를 분량적으로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였다. 반응을 약 0℃에서 2 시간 동안 그리고 실온에서 추가로 30 분 동안 수행하였다. TLC로 반응물의 소모가 나타났다. 혼합물을 0℃까지 냉각시키고 물 (1 ㎖)을 매우 천천히 첨가하였다. 계속해서 15% 수산화나트륨 수성 용액 (1 ㎖) 및 물 (3 ㎖)을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였다. 그 결과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무수 Mg2SO4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건조될 때까지 농축시켜 (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탄올 (2.5 g)을 수득하였다.
1 HNMR ( CDCl 3 , 400㎒): δ 8.41 (d, J=1.6㎐, 1H), 7.67 (dd, J 1 =8.0㎐, J 2 =2.0㎐, 1H), 7.37 (d, J=8.0㎐, 1H), 4.67 (s, 2H), 3.75 (s, 2H), 2.57 내지 2.543 (m, 4H), 1.81 내지 1.76 (m, 4H).
단계 D: (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탄올 (2.5 g, 13 mmol)을 무수 디클로로메탄 (50 ㎖) 중에 용해시켰다. 0℃에서 이산화망간 (5.0 g, 58 mmol)을 분량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중의 1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6-(피롤리딘-1-일메틸)니코틴알데히드 (2.2g, 조생성물)를 수득하였다.
LCMS(ESI)m/z: 191[M+H+].
2-부톡시-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제조하기 위한 반응식:
Figure pct00034
실시예 22 절차:
단계 E: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탄올을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고, 여기에서 단계 E의 1,3-벤젠디알데히드 대신 6-(피롤리딘-1-일메틸)니코틴알데히드를 사용하였다.
LCMS(ESI)m/z: 527[M+H+].
단계 F: 2-부톡시-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1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백색 고체로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8.62 (s, 1H), 8.40 (brs, 1H), 7.77 (d, J=8.0㎐, 1H), 7.40 (d, J=8.0㎐, 1H), 7.35 (s, 1H), 4.48 (s, 2H), 4.45 (t, J=6.4㎐, 2H), 4.08 (s, 2H), 3.42 내지 3.38 (m, 4H), 2.13 내지 2.10 (m, 4H), 1.83 내지 1.76 (m, 2H), 1.55 내지 1.49 (m, 2H), 1.01 (t, J=7.2㎐, 3H).
MS(ESI)m/z: 381[M+H+].
실시예 23
2-부톡시-7-(3-(2-(피롤리딘-1-일)에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35
3-(2-(피롤리딘-1-일)에틸)벤즈알데히드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식:
Figure pct00036
단계 A: 질소 분위기 하에서, 디옥산 (200 ㎖) 중의 메틸 3-브로모벤조에이트 (17.0 g, 79.0 mmol), 트리부틸비닐틴 (tributylvinyltin) (33 g, 102 mmol) 및 Pd(PPh3)4 (4.5g, 4 mmol)의 용액을 110℃에서 6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반응을 10 % 플루오르화칼륨 수성 용액 (100 ㎖)의 첨가로 퀀칭시켰다. 그 결과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10 분 동안 교반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50 ㎖ X 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중의 2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15 g의 조생성물 메틸 3-비닐벤조에이트를 수득하였다.
MS(ESI)m/z: 163[M+H+].
단계 B: 질소 분위기 하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 ㎖) 중의 메틸 3-비닐벤조에이트의 용액에 9-BBN (0.5 M, 166 ㎖, 83 mmol)을 적가 깔대기 (dropping funnel)를 통하여 교반시키면서 첨가하고, 온도를 -30℃ 이하로 유지시켰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16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계속해서 혼합물을 -30℃까지 냉각시키고, 여기에 H2O2 수성 용액 (30 질량%, 19 ㎖)을 적가하고, 15% 수산화나트륨 수성 용액 (40 ㎖)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그 결과 혼합물을 추가 1 시간 동안 주변 온도에서 교반시키고, 물 (200 ㎖)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200 ㎖ X 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오일로서 9 g의 조생성물 메틸 3-(2-하이드록실에틸)벤조에이트를 수득하였고, 이는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1 HNMR ( CDCl 3 , 400㎒): δ 7.92 내지 7.90 (m, 2H), 7.45 내지 7.37 (m, 2H), 3.92 (s, 3H), 3.89 (t, J=6.5㎐, 2H), 2.93 (t, J=6.5㎐, 2H).
MS(ESI)m/z: 181[M+H+].
단계 C: 약 0℃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 (90 ㎖) 중의 메틸 3-(2-하이드록실에틸)벤조에이트 (10 g)의 용액에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 (34g, 299 mmol) 및 트리에틸아민 (12g, 118 mmol)을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 (50 ㎖)로 퀀칭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00 ㎖ X 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중의 10 %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2.7 g의 메틸 3-(2-((메틸설포닐)옥시)에틸)벤조에이트를 수득하였다.
MS(ESI)m/z: 259[M+H+].
단계 D: 피롤리딘 (2.3 g, 31.3 mmol) 및 탄산칼륨 (2.2 g, 16 mmol)을 무수 아세토니트릴 (20 ㎖) 중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아세토니트릴 (5 ㎖) 중의 메틸 3-(2-((메틸설포닐)옥시)에틸)벤조에이트 (2.7 g, 10.4 mmol)의 용액을 10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액체를 70℃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이를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물 (20 ㎖)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20 ㎖ X 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메탄올 / 디클로로메탄은 2 % 내지 5 %임)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메틸 3-(2-(피롤리딘-1-일)에틸)벤조에이트 (1.7 g, 71%)를 수득하였다.
MS(ESI)m/z: 234[M+H+].
단계 E: 3-(2-(피롤리딘-1-일)에틸)벤즈알데히드를 실시예 22에 따른 단계 C, D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MS(ESI)m/z: 204[M+H+].
단계 F: 2-부톡시-7-(3-(2-(피롤리딘-1-일)에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22에 따른 단계 E, F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8.42 (s, 2H), 7.30 내지 7.13 (m, 5H), 4.38 (t, J=6.4㎐, 2H), 4.01 (s, 1H), 3.41 (t, J=7.6㎐, 2H), 3.35 내지 3.32 (m, 4H), 3.01 (t, J=7.6㎐, 2H), 2.09 내지 2.05 (m,4H), 1.81 내지 1.74 (m, 2H), 1.57 내지 1.48 (m, 2H), 1.01 (t, J=7.6㎐, 3H).
MS(ESI)m/z: 394[M+H+].
실시예 24
2-부톡시-7-(4-(1-(피롤리딘-1-일)에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37
4-(1-(피롤리딘-1-일)에틸)벤즈알데히드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식:
Figure pct00038
단계 A: 메탄올 (100 ㎖) 중의 4-시아노아세토페논 (4 g, 27.56 mmol) 및 피롤리딘 (2.94 g, 41.33 mmol)의 용액에 아세트산 (0.5 ㎖) 및 소듐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5.2 g, 82.67 mmol)를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온도를 0℃ 이하로 유지시켰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 오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 에틸아세테이트 = 1 / 3)으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2.8 g의 4-(1-(피롤리딘-1-일)에틸)벤조니트릴을 수득하였다.
MS(ESI)m/z: 201[M+H+].
단계 B: -20 내지 -10℃에서, 무수 톨루엔 (100 ㎖) 중의 4-(1-(피롤리딘-1-일)에틸)벤조니트릴 (2 g, 10 mmol)의 용액에 DIBAL-H (1 M, 20 ㎖, 20 mmol)의 용액을 1 시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액체를 추가로 3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포화 염화암모늄 수성 용액으로 퀀칭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그 결과 고체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 에틸아세테이트= 50/1 내지 10/1)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4-(1-(피롤리딘-1-일)에틸)벤즈알데히드 (680 ㎎, 33.5%)를 수득하였다.
(ESI)m/z: 204[M+H+].
단계 C: 2-부톡시-7-(4-(1-(피롤리딘-1-일)에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22에 따른 단계 E, F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8.50 (s, 2H), 7.44 내지 7.38 (m, 4H), 7.27 (s, 1H), 4.45 (t, J=6.4, 2H), 4.33 내지 4.28 (m, 1H), 4.04 (s, 2H), 3.37 내지 3.33 (m, 2H), 3.14 내지 3.11 (m, 2H), 2.04 내지 2.02 (m, 4H), 1.83 내지 1.78 (m, 2H), 1.72 내지 1.70 (m, 3H), 1.55 내지 1.49 (m, 2H), 1.01 (t, J=7.4, 3H).
MS(ESI)m/z: 394[M+H+].
실시예 25
2-부톡시-7-(4-(1-메틸피페리딘-4-일)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39
터트-부틸 4-(4-포르밀페닐)피페리딘-1-포르메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식:
Figure pct00040
단계 A: 질소 분위기 하에서, 1,2-디메톡실에탄 (40 ㎖) 중의 4-브로모피리딘 (3.0 g, 19.0 mmol), (4-(메톡시카르보닐)페닐)붕산 (2.63 g, 14.6 mmol), Pd(PPh3)2Cl2 (0.35 g, 0.5 mmol) 및 탄산나트륨 (6.91 g, 65.2 mmol)의 혼합물을 90℃까지 가열하고 10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그 결과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 에틸아세테이트 = 6/1 - 2/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메틸 4-(피리딘-4-일)벤조에이트 (2.7 g, 수율: 86.8%)를 수득하였다.
MS(ESI)m/z: 214[M+H+].
단계 B: 메탄올 (40 ㎖) 중의 메틸 4-(피리딘-4-일)벤조에이트 (3.8 g, 17.8 mmol) 및 PtO2 (0.2 g)의 용액에 2 ㎖ 염산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약 50℃까지 가열시키고, 수소 분위기 (50 psi) 하에서 16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그 결과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켜 추가의 정제 없이 염산염으로서 조생성물 메틸 4-(피페리딘-4-일)벤조에이트 (4.0 g)를 수득하였다.
MS(ESI)m/z: 220[M+H+].
단계 C: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 ㎖) / 물 (50 ㎖) 중의 메틸 4-(피페리딘-4-일) 벤조에이트 (5.0 g, 22.8 mmol) 및 탄산칼륨 (25.0 g, 182.2 mmol)의 혼합된 용액에 디-터트-부틸 디카보네이트 (10.0 g, 45.8 mmol)를 분량적으로 교반시키면서 첨가하고, 온도를 10℃ 이하로 유지시켰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0.5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 (50 ㎖)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50 ㎖ X 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 에틸아세테이트 = 6/1 내지 1/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터트-부틸 4-(4-(메톡시카르보닐)페닐)피페리딘-1-포르메이트 (1.9 g, 수율: 26.4%)를 수득하였다.
1 HNMR ( CDCl 3 ,400㎒): δ 7.98 (d, J=8.4㎐, 2H), 7.28 (d, J=7.6㎐, 2H), 4.27 (s, 1H), 3.91 (s, 3H), 2.84 내지 2.68 (m, 3H), 1.85 (d, J=12.8㎐, 2H), 1.66 내지 1.59 (m, 2H), 1.49 (s, 9H).
MS(ESI)m/z: 320[M+H+].
단계 D: 터트-부틸 4-(4-포르밀페닐)피페리딘-1-포르메이트를 실시예 22에 따른 단계 C, D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MS(ESI)m/z: 312.1[M+Na+].
단계 F: 2-부톡시-7-(4-(피페리딘-4-일)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22에 따른 단계 E, F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MS(ESI)m/z: 380.2[M+H+].
2-부톡시-7-(4-(1-메틸피페리딘-4-일)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의 제조:
Figure pct00041
단계 G: 5분 동안의 교반 후, 메탄올 (5 ㎖) 중의 2-부톡시-7-(4-(피페리딘-4-일)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100 ㎎, 0.264 mmol) 및 HCHO (20 ㎎, 0.666 mmol)의 용액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50 ㎎, 0.79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0.5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잔사를 조제용 HPLC로 정제하여 7.48 ㎎의 2-부톡시-7-(4-(1-메틸피페리딘-4-일)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수득하였다.
1 HNMR (메탄올, 400㎒): δ 7.21 (d, J=8.0㎐, 2H), 7.11 (d, J=8.0㎐, 2H), 7.00 (s, 1H), 4.32 내지 4.28 (m, 2H), 3.94 (s, 2H), 3.00 내지 2.97 (m, 2H), 2.52 내지 2.47 (m, 1H), 2.32 (s, 3H), 2.19 내지 2.15 (m, 2H), 1.80 내지 1.72 (m, 6H), 1.53 내지 1.48 (m, 2H), 0.98 (t, J=7.4㎐, 3H).
MS(ESI)m/z: 394[M+H+].
실시예 26
2-부톡시-7-(4-(1-메틸피롤리딘-2-일)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42
tert-부틸 2-(4-포르밀페닐)피롤리딘-1-포르메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반응식:
Figure pct00043
단계 A: 0℃에서 N2 조건 하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 중의 NaH (446 ㎎, 18.6 mmol)의 혼합물에 1-알릴-피롤-2-온 (1.14 g, 9.11 mmol)을 첨가하였고, 계속해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 중의 메틸 4-브로모벤조에이트의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계속해서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6N 염산으로 희석하였다. 그 결과의 혼합물을 110℃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수성상을 에틸아세테이트 (50 ㎖)로 세척하였다. 혼합물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pH가 약 9가 될 때까지 염기성화시키고, 계속해서 에틸아세테이트 (50 ㎖X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건조될 때까지 진공 하에서 농축시켜 황색 고체로서 2.0 g의 5-(4-브로모페닐)-3,4-디하이드로-2H-피롤을 수득하고 이는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단계 B: 0℃에서 메탄올 (20 ㎖) 중의 5-(4-브로모페닐)-3,4-디하이드로-2H-피롤 (2.0 g, 9.0 mmol)의 용액에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 (684 ㎎, 18.1 mmol)를 교반시키면서 천천히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2:1)는 출발 물질의 소모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의 혼합물을 물 (30 ㎖)로 희석하였다. 상기 단계의 혼합물에 탄산칼륨 (1.51 g, 10.9 mmol) 및 Boc2O (2.3g, 10.5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0℃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플레이트 (전개 시약: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2/1)는 출발 물질의 소모를 나타내었다. 계속해서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 (50 ㎖X2)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tert-부틸 2-(4-브로모페닐)피롤리딘-1-포르메이트 (1.5g, 수율: 51.1%)를 수득하였다.
단계 C: -78℃에서 질소 조건 하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 중의 tert-부틸 2-(4-브로모페닐)피롤리딘-1-포르메이트 (0.6 g, 1.839 mmol)의 용액에 n-BuLi (1.5 ㎖, 2.76 mmol)를 교반시키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고, 여기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192 ㎎, 2.63 mmo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그 결과의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추가로 30 분 동안 교반하였고, 3 ㎖ 중탄산나트륨 수성 용액으로 퀀칭하였다. 혼합물을 물 (30 ㎖)로 희석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25 ㎖X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고, 건조될 때까지 여과하고 증류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15:1-10:1)로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tert-부틸 2-(4-포르밀페닐)피롤리딘-1-포르메이트 (0.4g, 수율: 79.1%)를 수득하였다.
MS(ESI)m/z: 276.0[M+1+].
2-부톡시-7-(4-(피롤리딘-2-일)벤질)-5H-피롤로[3,2-d]2피리미딘-4-아민의 제조:
단계 D: 2-부톡시-7-(4-(피롤리딘-2-일)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22에 따른 단계 E, F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MS(ESI)m/z: 366.2[M+1+].
2-부톡시-7-(4-(1-메틸피롤리딘-2-일)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의 제조:
단계 E: 2-부톡시-7-(4-(1-메틸피롤리딘-2-일)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25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7.27(d, J=8.0㎐, 2H), 7.22(d, J=8.0㎐, 2H), 7.03(s, 1H), 4.30(t, J=7.4㎐, 2H), 3.97(s, 2H), 3.31 내지 3.19(m, 1H), 3.07 내지 3.03(m, 1H), 2.31 내지 2.87(m, 1H), 2.18 내지 2.15(m, 1H), 2.13(s, 3H), 1.89 내지 1.72(m, 5H), 1.54 내지 1.48(m, 2H), 0.98(t, J=7.4㎐, 3H).
MS(ESI)m/z: 380[M+1+].
실시예 27
1-(4-((4-아미노-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페닐)-4-메틸피페라진-2-온
Figure pct00044
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즈알데히드의 제조:
Figure pct00045
단계 A: 디옥산 (30 ㎖) 중의 4-브로모-벤즈알데히드 (1.8 g, 9.73 mmol), 4-메틸피페라진-2-온 (1.44 g, 12.6 mmol), Pd2(dba)3 (768 ㎎, 0.84 mmol), 크산트포스(Xantphos ; 435 ㎎, 0.75 mmol) 및 탄산세슘 (5.48 g, 16.8 mmol)의 용액에 물 (1 방울)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조건 하에서 90℃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 후,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건조될 때까지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4-(4-메틸-2-옥소피페라진-1-일)벤즈알데히드(1.8 g, 84.8%)를 수득하였다.
MS(ESI)m/z: 219[M+H+].
1-(4-((4-아미노-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페닐)-4-메틸피페라진-2-온의 제조:
단계 B: 1-(4-((4-아미노-2-부톡시-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페닐)-4-메틸피페라진-2-온을 실시예 22에 따른 단계 E, F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7.36(s, 1H), 7.30(d, J=8.4㎐, 2H), 7.22(d, J=8.4㎐, 2H), 4.52(t, J=6.4㎐, 2H), 4.02(s, 2H), 3.72 내지 3.69(m, 2H), 3.27(s, 2H), 2.89 내지 2.86(m, 2H), 2.44(s, 3H), 1.83 내지 1.79(m, 2H), 1.54 내지 1.48(m, 2H), 1.00(t, J=7.4㎐, 3H).
MS(ESI)m/z: 409[M+H+].
실시예 28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46
tert-부틸 7-포르밀-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를 위한 반응식:
Figure pct00047
단계 A: 질소 조건 하에서 0℃에서, 무수 디클로로메탄 (300 ㎖) 중의 2-(4-브로모페닐)에틸아민 (27 g, 0.13 mol) 및 트리에틸아민 (16.4 g, 0.16 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34 g, 0.16 mol)을 점차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계속해서 물로 희석하였다. 유기층을 단리하고 건조될 때까지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백색 고체로서 N-(4-브로모페네틸)-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37 g, 96.1%)를 수득하였다.
MS(ESI)m/z: 296,298[M+H+].
단계 B: 농축된 황산(200 ㎖)/아세트산 (300 ㎖) 중의 N-(4-브로모페네틸)-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37 g, 0.12 mmol)의 현탁액에 파라포름알데히드 (10.2 g, 0.34 mol)를 분량적으로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계속해서 얼음물(ice water) (1ℓ) 내로 부어넣고 에틸아세테이트 (400 ㎖X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연속적으로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성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였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고 감압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중의 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1-(7-브로모-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일)-트리플루오로에틸 케톤 (33 g, 89.3%)를 수득하였다.
MS(ESI)m/z: 308,310[M+H+].
단계 C: 무수 메틸피롤리딘-2-온 (300 ㎖) 중의 1-(7-브로모-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일)-트리플루오로에틸 케톤 (30 g, 0.1 mol)의 용액에 시안화구리 (18 g, 0.2 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0℃에서 질소 조건 하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천천히 얼음물 (500 ㎖) 내로 부어넣고 에틸아세테이트 (200 ㎖X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였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고 25 g의 조생성물 2-트리플루오로아세틸-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카르보니트릴을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MS(ESI)m/z: 255[M+H+].
단계 D: 2-트리플루오로아세틸-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카르보니트릴 (25 g, 0.1 mol) 및 탄산칼륨 (25 g, 0.18 mol)을 메탄올 (300 ㎖) 및 물 (60 ㎖)의 혼합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26 g, 0.12 mol)를 분량적으로 10 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물 (200 ㎖)로 희석시켰고 에틸아세테이트 (200 ㎖X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고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중의 5%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tert-부틸 7-시아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카르복실레이트 (14 g, 54%)를 수득하였다.
MS(ESI)m/z: 259[M+H+].
단계 E: 질소 조건 하에서 -10℃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 ㎖) 중의 tert-부틸 7-시아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카르복실레이트 (1 g, 3.9 mmol)의 용액에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1 M, 6 ㎖, 6.0 mmol)를 점차적으로 첨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0℃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물 (0.24 ㎖)로 퀀칭하였다. 계속해서 15% 수산화나트륨 수성 용액 (0.24 ㎖)을 첨가하였고, 이어서 0.6 ㎖ 물을 첨가하였다. 그 결과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로 15 분 동안 교반하였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였고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 중의 10% 에틸아세테이트)로 정제하여 황색 오일로서 tert-부틸 7-포르밀-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카르복실레이트 (700 ㎎, 70%)를 수득하였다.
MS(ESI)m/z: 262[M+H+].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의 제조:
단계 F: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22에 따른 단계 E, F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8.49(s, 2H), 7.23 내지 7.15(m, 3H), 7.10(s, 1H), 4.44(t, J=6.5㎐, 2H), 4.30(s, 2H), 3.98(s, 2H), 3.47(t, J=6.1㎐, 2H), 3.08(t, J=6.1㎐, 2H), 1.83 내지 1.76(m, 2H), 1.55 내지 1.49(m, 2H), 1.01(t, J=7.4㎐, 3H).
MS(ESI)m/z: 352[M+H+].
실시예 29
2-부톡시-7-((2-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48
출발 물질로서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2-부톡시-7-((2-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7.11 내지 7.09(m, 1H), 7.03 내지 7.00(m, 3H), 4.32(t, J=6.4㎐, 2H), 3.92(s, 2H), 3.55(s, 2H), 2.91 내지 2.88(m, 2H), 2.73 내지 2.71(m, 2H), 2.43(s, 3H), 1.80 내지 1.73(m, 2H), 1.56 내지 1.52(m, 2H), 1.01(t, J=7.6㎐, 3H).
MS(ESI)m/z:366[M+H+].
실시예 30
2-부톡시-7-((2-에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49
출발 물질로서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2-부톡시-7-((2-에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8.43(s, 2H), 7.25 내지 7.18(m, 3H), 7.10(s, 1H), 4.45(t, J=6.4㎐, 2H), 4.34(s, 2H), 3.99(s, 2H), 3.51(t, J=6.0㎐, 2H), 3.32 내지 3.26(m, 2H), 3.15(t, J=6.0㎐, 2H), 1.84 내지 1.77(m, 2H), 1.58 내지 1.48(m, 2H), 1.42(t, J=8.0㎐, 3H), 1.01(t, J=6.0㎐, 3H).
MS(ESI)m/z: 380[M+H+].
실시예 31
2-부톡시-7-((2-이소프로필-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50
출발 물질로서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2-부톡시-7-((2-이소프로필-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7-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7.10 내지 7.08(m, 1H), 7.03 내지 7.00(m, 3H), 4.32(t, J=6.4㎐, 2H), 3.93(s, 2H), 3.70(s, 2H), 2.90 내지 2.86(m, 3H), 2.83 내지 2.80(m, 2H), 1.80 내지 1.73(m, 2H), 1.56 내지 1.50(m, 2H), 1.17(d, J=6.4㎐, 6H), 1.01(t, J=7.6㎐, 3H).
MS(ESI)m/z: 394[M+H+].
실시예 32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51
N-t-부톡시카르보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포름알데히드의 제조를 위한 반응식:
Figure pct00052
단계 A: N,N-디메틸포름아미드/메탄올 (용적/용적=1/1) (200 ㎖) 중의 6-브로모이소퀴놀린 (10 g, 48 mmol)의 용액에 아세트산나트륨 (5.0 g, 61 mmol), 트리페닐포스파인 (3.0 g, 11.4 mmol) 및 아세트산팔라듐 (2.8 g, 12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CO를 수반하는 300 kPa의 클레이브(clave) 내에 두었고, 100℃까지 가열하였다. 15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반응의 완결을 LC-MS로 결정하고 반응물을 규조토로 여과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용리). 그 결과의 혼합물을 감압 하에서 농축시키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5/1)로 정제하여 메틸 이소퀴놀린-6-카르복실레이트 (8.9g, 수율: 98%)를 수득하였다.
MS(ESI)m/z: 188[M+H+].
단계 B: 질소 조건 하에서, 메탄올 (100 ㎖) 중의 메틸 이소퀴놀린-6-카르복실레이트 (10 g, 53.5 mmol)의 용액에 아세트산 (2 ㎖) 및 PtO2(200 ㎎)를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수소 조건 하에서, 혼합물을 40℃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촉매를 규조토로 여과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추가의 정제 없이 메틸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카르복실레이트 (9 g, 수율: 88%)를 수득하였다.
MS(ESI)m/z: 192[M+H+].
단계 C: 메틸 N-t-부톡시카르보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카르복실레이트를 실시예 25에 따른 단계 C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MS(ESI)m/z: 292 [M+H+].
단계 D: N-t-부톡시카르보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포름알데히드를 실시예 22에 따른 단계 C, D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MS(ESI)m/z: 262 [M+H+].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의 제조:
단계 E: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실시예 22에 따른 단계 E, F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7.12 내지 7.09(m, 1H), 7.08(s, 1H), 7.04(s, 1H), 6.96(d, J=7.6㎐, 1H), 4.32(t, J=7.4㎐, 2H), 3.98(s, 2H), 3.93(s, 2H), 3.13(t, J=6.2㎐, 2H), 2.85 내지 2.82(m, 2H), 1.79 내지 1.73(m, 2H), 1.58 내지 1.48(m, 2H), 1.01(s, 3H).
MS(ESI)m/z: 352[M+H+].
실시예 33
2-부톡시-7-((2-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53
출발 물질로서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2-부톡시-7-((2-메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7.10 내지 7.09(m, 2H), 7.03(s, 1H), 6.96(d, J=8.4㎐, 1H), 4.32(t, J=6.6㎐, 2H), 3.93(s, 2H), 3.60(s, 2H), 2.92 내지 2.89(m, 2H), 2.77 내지 2.74(m, 2H), 2.46(s, 3H), 1.81 내지 1.73(m, 2H), 1.58 내지 1.48(m, 2H), 1.01(t, J=7.4㎐, 3H).
MS(ESI)m/z: 366[M+H+].
실시예 34
2-부톡시-7-((2-에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54
출발 물질로서 2-부톡시-7-((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25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2-부톡시-7-((2-에틸-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6-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7.11 내지 7.08(m, 2H), 7.03(s, 1H), 6.97(d, J=8.0㎐, 1H), 4.32(t, J=6.6㎐, 2H), 3.94(s, 2H), 3.63(s, 2H), 2.93 내지 2.88(m, 2H), 2.79 내지 2.76(m, 2H), 2.65 내지 2.60(m, 2H), 1.79 내지 1.75(m, 2H), 1.56 내지 1.52(m, 2H), 1.21(t, J=7.2㎐, 3H), 1.01(t, J=7.2㎐, 3H).
MS(ESI)m/z: 380[M+H+].
실시예 35
7-벤질-2-(2-메톡실에톡실)-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55
단계 A: (4-아미노-2-(2-메톡실에톡실)-5-((2-(트리메틸실릴에틸)-5H-피롤[3,2-d]피리미딘-7-일)(페닐)메탄올을 실시예 1에 따른 단계 C, D, E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MS(ESI)m/z: 445[M+H+].
단계 B: 7-벤질-2-(2-메톡실에톡실)-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1에 따른 단계 G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8.39(s, 1H), 7.29 내지 7.19(m, 6H), 4.61 내지 4.58(m, 2H), 4.00(s, 1H), 3.79 내지 3.76(m, 2H), 3.42(s, 3H).
MS(ESI)m/z: 299[M+H+].
실시예 36
2-(2-메톡실에톡실)-7-((6-메틸피리딘-3-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56
2-(2-메톡실에톡실)-7-((6-메틸피리딘-3-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35에 따른 단계 A, B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8.34(s, 3H), 7.66(dd, J=2.4㎐/J=8.0㎐, 1H), 7.31(s, 1H), 7.24(d, J=8.0㎐, 1H), 4.57 내지 4.55(m, 2H), 4.01(s, 2H), 3.77 내지 3.75(m, 2H), 3.41(s, 3H), 2.51(s, 3H).
MS(ESI)m/z: 314[M+H+].
실시예 37
7-((5-클로로피리딘-2-일)메틸)-2-(2-메톡실에톡실)-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57
7-((5-클로로피리딘-2-일)메틸)-2-(2-메톡실에톡실)-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35에 따른 단계 A, B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8.45(s, 1H), 8.40(s, 1H), 7.77(dd, J=2.4㎐/J=8.0㎐, 1H), 7.38(d, J=8.0㎐, 1H), 7.32(s, 1H), 4.52(t, J=4.0㎐, 2H), 4.17(s, 2H), 3.75(t, J=4.0㎐, 2H), 3.42(s, 3H).
MS(ESI)m/z: 334[M+H+].
실시예 38
2-(2-메톡실에톡실-)-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58
2-(2-메톡실에톡실)-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35에 따른 단계 A, B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8.62(s, 1H), 8.41(s, 2H), 7.79 내지 7.76(m, 1H), 7.36(d, J=8.4㎐, 1H), 7.28(s, 1H), 4.49 내지 4.44(m, 4H), 4.05(s, 2H), 3.74 내지 3.72(m, 2H), 3.39(s, 3H), 3.33 내지 3.30(m, 4H), 2.10 내지 2.07(m, 4H).
MS(ESI)m/z: 383[M+H+].
실시예 39
1-(4-((4-아미노-2-(2-메톡실에톡실)-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페닐)-4-메틸피페라진-2-온
Figure pct00059
1-(4-((4-아미노-2-(2-메톡실에톡실)-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페닐)-4-메틸피페라진-2-온을 실시예 35에 따른 단계 A, B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7.35(s, 1H), 7.31(d, J=8.4㎐, 2H), 7.22(d, J=8.4㎐, 2H), 4.65 내지 4.62(m, 2H), 4.01(s, 2H), 3.77 내지 3.76(m, 2H), 3.70 내지 3.67(m, 2H), 3.35(s, 3H), 3.32 내지 3.28(m, 2H), 2.90 내지 2.88(m, 2H), 2.45(s, 3H).
MS(ESI)m/z: 411[M+H+].
실시예 40
2-부톡시-7-((5-(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2-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Figure pct00060
2-부톡시-7-((5-(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2-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포르메이트를 실시예 22의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400㎒): δ 8.61(s, 1H), 8.46(brs, 2H), 7.91(d, J=8.0㎐, 1H), 7.47(d, J=7.6㎐, 1H), 7.37(s, 1H), 4.44(t, J=6.4㎐, 2H), 4.35(s, 2H), 4.22(s, 2H), 3.33 내지 3.27(m, 4H), 2.09 내지 2.06(m, 4H), 1.83 내지 1.76(m, 2H), 1.57 내지 1.50(m, 2H), 1.01(t, J=7.6㎐, 3H).
MS(ESI)m/z: 381[M+H+].
실시예 41
4-아미노-2-부톡시-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61
실시예 41 절차:
Figure pct00062
실시예 41 절차:
단계 A: 질소 분위기 하에서 -78℃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0 ㎖) 중의 7-브로모-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10.00 g, 24.07 mmol)의 용액에 n-BuLi (6.17 g, 96.2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여기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00 ㎖) 중의 6-클로로니코틴알데히드 (10.22 g, 72.21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추가로 1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 (150 ㎖)에 천천히 부어넣고, 실온에서 20 분 동안 교반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00 ㎖X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상을 포화 염수 (50 ㎖X2)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5/1 내지 1/3)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6-클로로피리딘-3-일)메탄올 (5.00g, 43.45%)를 수득하였다.
1 HNMR (400㎒, 클로로포름-d) δ 8.52(d, J=2.3㎐, 1H), 7.87(dd, J=2.4, 8.2㎐, 1H), 7.34(d, J=8.0㎐, 1H), 6.65(s, 1H), 6.14(s, 1H), 5.97(br.s., 2H), 5.39 내지 5.26(m, 2H), 4.31(t, J=6.7㎐, 2H), 3.62 내지 3.49(m, 2H), 1.86 내지 1.71(m, 2H), 1.51(qd, J=7.5, 14.9㎐, 2H), 1.28(t, J=7.2㎐, 1H), 1.06 내지 0.87(m, 5H), 0.00(s, 9H).
MS(ESI)m/z: 478[M+H+].
단계 B: 실온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 ㎖) 중의 (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6-클로로피리딘피리딘-3-일)메탄올 (5.00 g, 10.46 mmol)의 용액에 트리에틸실란 (6.08 g, 52.30 mmol)을 분량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변 온도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중탄산나트륨 포화 수성 용액 (150 ㎖)에 부어넣고 추가로 30 분 동안 교반시키고 후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100 ㎖X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상을 염수 (20 ㎖X2)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3/1)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2-부톡시-7-((6-클로로피리딘-3-일)메틸)-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2.30 g, 47.59%)을 수득하였다.
1 HNMR (300㎒, 클로로포름-d) δ 8.52(d, J=2.3㎐, 1H), 7.88(dd, J=2.4, 8.1㎐, 1H), 7.35(d, J=8.3㎐, 1H), 6.64(s, 1H), 6.14(s, 1H), 5.89(br.s., 2H), 5.40 내지 5.23(m, 2H), 4.31(t, J=6.6㎐, 2H), 3.66 내지 3.47(m, 2H), 1.88 내지 1.70(m, 2H), 1.60 내지 1.46(m, 2H), 1.07 내지 0.82(m, 5H), 0.00(s, 9H).
MS(ESI)m/z: 462[M+H+].
단계 C: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 중의 2-부톡시-7-((6-클로로피리딘-3-일)메틸)-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2.30 g, 4.98 mmol)의 용액에 아세트산 팔라듐 (111.75 ㎎, 0.5 mmol),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205.30 ㎎, 0.5 mmol), 트리에틸아민 (1.51 g, 14.93 mmol) 및 메탄올 (797.43 ㎎, 24.89 mmol)을 첨가하였다. 현탁액을 진공화시키고 CO로 수회 폭기시켰다. 혼합물을 100℃까지 가열시키고 CO 분위기 (3 MPa) 하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플레이트 (전개 시약: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1/1)는 출발 물질의 소모를 나타내었다. 불용물을 여과해내고 농축을 수행하였다. 조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석유에테르/에틸아세테이트=1/1)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메틸 5-((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피콜리네이트 (1.10g, 45.48%)를 수득하였다.
1 HNMR (400㎒, 클로로포름-d) δ 8.76(d, J=1.8㎐, 1H), 8.06(d, J=8.0㎐, 1H), 7.85(dd, J=2.0, 8.0㎐, 1H), 6.82(s, 1H), 5.71(br.s., 2H), 5.35(s, 2H), 4.33(t, J=6.5㎐, 2H), 4.19 내지 4.08(m, 3H), 4.00(s, 3H), 3.60 내지 3.51(m, 2H), 1.85 내지 1.74(m, 2H), 1.53(qd, J=7.4, 15.0㎐, 2H), 1.28(t, J=7.2㎐, 2H), 1.02 내지 0.90(m, 5H), 0.00(s, 9H).
MS(ESI)m/z: 486[M+H+].
단계 D: 0℃ 이하의 온도에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 ㎖) 중의 메틸 5-((4-아미노-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피콜리네이트 (800.00 ㎎, 1.65 mmol)의 용액에 브로모숙신아미드 (293.18 ㎎, 1.65 mmol)를 분량적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물 (30 ㎖)로 희석시키고 디클로로메탄 (20 ㎖X2)으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플레이트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메틸 5-((4-아미노-6-브로모-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피콜리네이트 (160.00 ㎎, 17.18%)를 수득하였다.
1 HNMR (400㎒, 클로로포름-d) δ 8.83(s, 1H), 8.03(d, J=8.0㎐, 1H), 7.86(d, J=8.0㎐, 1H), 5.85(br.s., 2H), 5.55(s, 2H), 4.34(t, J=6.5㎐, 2H), 4.10(s, 2H), 4.00(s, 3H), 3.71 내지 3.60(m, 2H), 1.84 내지 1.72(m, 4H), 1.59 내지 1.47(m, 2H), 0.98(q, J=7.8㎐, 5H), 0.01(s, 9H).
MS(ESI)m/z: 565,567[M+H+].
단계 E: 질소 분위기 하에서 -78℃에서,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8 ㎖) 중의 메틸 5-((4-아미노-6-브로모-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피콜리네이트 (150.00 ㎎, 0.266 mmol)의 용액에 디이소부틸알루미늄하이드라이드 (56.28 ㎎, 0.396 mmol)를 교반시키면서 적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메탄올 (5 ㎖)로 퀀칭시키고, 물 (20 ㎖)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30 ㎖X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진공 하에서 건조 상태까지 농축시켜 추가의 정제 없이 약 150 ㎎의 조생성물 5-((4-아미노-6-브로모-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피리딘알데히드를 수득하였다.
1 HNMR (400㎒, 클로로포름-d) δ 10.05(s, 1H), 8.87(s, 1H), 7.96 내지 7.80(m, 2H), 5.72(br.s, 2H), 5.56(s, 2H), 4.34(t, J=6.5㎐, 2H), 4.12(s, 2H), 3.71 내지 3.62(m, 2H), 1.84 내지 1.72(m, 2H), 1.56 내지 1.48(m, 2H), 1.06 내지 0.81(m, 5H), 0.01(s, 9H).
MS(ESI)m/z: 535,537[M+H+].
단계 F: 테트라하이드로퓨란(5㎖) 중의 5-((4-아미노-6-브로모-2-부톡시-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7일)메틸)피리딘알데히드 (150.00 ㎎, 0.281 mmol), 피롤리딘 (29.94 ㎎, 0.421 mmol), 아세트산 (0.2 ㎖)의 용액에 소듐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35.27 ㎎, 0.56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을 얼음/물 혼합물 (용적비 = 1/1, 15 ㎖)에 부어넣고, 20 분 동안 교반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40 ㎖X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상을 염수 (20 ㎖X2)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조제용(preparative) HPLC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로서 150 ㎎의 6-브로모-2-부톡시-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을 수득하였다.
MS(ESI)m/z: 589,591[M+H+].
단계 G: 무수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에 6-브로모-2-부톡시-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4-아민 (150.00 ㎎, 254.39 μmol), Pd2(dba)3 (23.30 ㎎, 25.44 μmo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14.10 ㎎, 25.44 μmol), 시안화아연 (59.74 ㎎, 508.78 μmol) 및 Zn (33.27 ㎎, 508.78 μ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로 대체시키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110℃로 3 시간 동안 가열시켰다. 냉각 후, 혼합물을 물 (30 ㎖)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25 ㎖X3)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상을 염수 (30 ㎖)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사를 조제용 TLC로 정제하여 4-아미노-2-부톡시-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 (120 ㎎, 88.05%)을 수득하였다.
MS(ESI)m/z: 536[M+H+].
단계 H: 20℃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 중의 4-아미노-2-부톡시-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2-(트리메틸실릴)에톡실)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 (120 ㎎, 0.224 mmol)을 20℃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진공 하에서 건조 상태까지 농축시켰다. 잔사를 조제용 HPLC로 정제하여 8.7 ㎎의 4-아미노-2-부톡시-7-((6-(피롤리딘-1-일메틸)피리딘-3-일)메틸)-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을 수득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8.52(s, 1H), 7.79(d, J=8.0㎐, 1H), 7.43(d, J=8.0㎐, 1H), 4.33(t, J=6.8㎐, 2H), 4.17(s, 2H), 3.76(s, 2H), 2.61(s, 4H), 1.82 내지 1.72(m, 6H), 1.54 내지 1.49(m, 2H), 1.02 내지 0.99(t, J=7.2㎐, 3H).
MS(ESI)m/z: 406 [M+H+].
실시예 42
4-아미노-2-부톡시-7-(4-(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63
4-아미노-2-부톡시-7-(4-(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을 실시예 41의 단계 A, B, C, D, E, F, G, H에 따른 실시예 41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7.34 내지 7.32(d, J=8.4㎐, 2H), 7.26 내지 7.24(d, J=8.4㎐, 2H), 4.36 내지 4.33(t, J=6.8㎐, 2H), 4.13(s, 2H), 3.62(s, 2H), 2.57(brs, 4H), 1.82 내지 1.77(m, 6H), 1.52 내지 1.49(m, 2H), 1.00(t, J=7.2㎐, 3H).
MS(ESI)m/z: 405 [M+H+].
실시예 43
4-아미노-2-부톡시-7-(4-(몰포리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64
4-아미노-2-부톡시-7-(4-(몰포리노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 염산염을 단계 A, B, C, D, E, F, G H에 따른 실시예 41의 절차로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 7.55(d, J=7.8㎐, 2H), 7.43(d, J=7.8㎐, 2H), 4.60(t, J=6.5㎐, 2H), 4.38(s, 2H), 4.23(s, 2H), 4.06 내지 4.02(m, 2H), 3.80 내지 3.73(m, 2H), 3.47 내지 3.35(m, 2H), 3.28 내지 3.14(m, 2H), 1.89 내지 1.82(m, 2H), 1.59 내지 1.51(m, 2H), 1.03(t, J=7.4㎐, 3H).
LCMS(ESI)m/z: 421[M+H+].
실시예 44
4-아미노-2-부톡시-7-(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
Figure pct00065
4-아미노-2-부톡시-7-(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 염산염을 실시예 41의 단계 A, B, C, D, E, F, G H에 따른 실시예 41의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 7.61(d, J=7.8㎐, 2H), 7.42(d, J=7.8㎐, 2H), 4.60(t, J=6.5㎐, 2H), 4.47(s, 2H), 4.23(s, 2H), 3.89 내지 3.45(m, 8H), 3.02(s, 3H), 1.92 내지 1.80(m, 2H), 1.61 내지 1.44(m, 2H), 1.03(t, J=7.3㎐, 3H).
LCMS(ESI)m/z: 434[M+H+].
실시예 45
4-아미노-2-부톡시-7-(4-(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6-포름아미드
Figure pct00066
실시예 45 절차:
Figure pct00067
단계 A: 4-아미노-2-부톡시-7-(4-(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6-카르보니트릴 (90 ㎎, 0.22 mmol) 및 수산화나트륨 (34 ㎎, 0.85 mmol)을 메탄올 (10 ㎖) 및 물 (10 ㎖)의 혼합된 용매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80℃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냉각 후, 혼합물을 물 (10 ㎖)로 희석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15 ㎖X2)로 추출하였다. 결합된 유기층을 건조 상태때까지 진공 하에서 농축시키고 조제용 HPLC로 정제하여 10 ㎎의 4-아미노-2-부톡시-7-(4-(피롤리딘-1-일메틸)벤질)-5H-피롤로[3,2-d]피리미딘-6-포름아미드를 수득하였다.
1 HNMR (메탄올-d4, 400㎒): δ 7.46(d, J=8.0㎐, 2H), 7.32(d, J=8.0㎐, 2H), 4.58(t, J=6.4㎐, 2H), 4.39(s, 2H), 4.34(s, 2H), 3.34 내지 3.32(m, 2H), 3.18 내지 3.16(m, 2H) 2.17 내지 2.16(m, 2H), 2.03 내지 2.00(m, 2H), 1.86 내지 1.82(m, 2H), 1.56 내지 1.50(m, 2H), 1.02(t, J=7.2㎐, 3H).
MS(ESI)m/z: 423 [M+H+].
실험예 1: 톨-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7 및 톨-유사 수용체 8 시험관 내 수용체 결합 활성 스크리닝
시약:
HEK-blue hTLR7 세포 및 HEK-blue hTLR8 세포 (InvivoGen에서 이용가능)
DMEM 배지
열 비활성화 우태 혈청
항 마이코플라즈마 시약 NormocinTM
블레오마이신
블라스티시딘
개요:
1. 96-웰 화합물 플레이트의 제조:
화합물을 DMSO로 액체 워크스테이션(liquid work station) POD를 사용하여 10 mmol/ℓ의 농도에서 출발하여 3-배로 경사 희석하였고 10개 지점에서 희석하였다(제2 컬럼 내지 제11 컬럼, 그리고 각 지점에서 중복되었음). 제12 컬럼에서, 1 ㎕의 5 ㎎/㎖ 양성 화합물 R848을 양성 대조로 첨가하고; 제1 컬럼에서, 1 ㎕의 DMSO를 음성 대조로 첨가하였다. 각 웰은 1 ㎕의 DMSOmf 포함하였다.
2. 배양 플라스크 내의 세포를 수집하고 세포 밀도를 250,000 세포/㎖로 희석시켰다.
3. 200 ㎕ (50,000 세포/웰)의 세포 현탁액을 제조된 화합물 플레이트로 첨가하였고, 각 웰 내에서의 DMSO의 최종 농도는 0.5% 이었다.
4. 세포 및 화합물을 포함하는 배양 플레이트를 CO2 인큐베이터 내에서 24 시간 동안 37℃, 5% CO2에서 인큐베이션했다.
5. 24 시간 인큐베이션 후, 20 ㎕의 상청액을 각 웰로부터 취하여 96-웰 투명 분석 플레이트로 옮겼다. 분석 플레이트의 각 웰에 180 ㎕의 Quanti-Blue 시약을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 내에서 37℃, 5%CO2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했다.
6. 1 시간 후, 20 ㎕의 상청액 중의 알칼리 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의 함량을 Microplate Reader OD650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7. 각 화합물의 EC50을 Prism 소프트웨어로 수득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68
적요: 1nM≤A≤100nM; 100nM<B≤1000nM; 1000nM<C≤50μM.
실시예 21 화합물과 대조 톨-유사 수용체 7 작용제(agonist) GS-9620의 직접 대면 실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69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1 화합물은 대조 톨-유사 수용체 7 작용제 GS-9620에 비하여 톨-유사 수용체 7에 대한 더 높은 시험관 내 수용체 결합 활성을 나타냈고, 대조 톨-유사 수용체 7 작용제 GS-9620에 비하여 톨-유사 수용체 8에 대한 더 낮은 시험관 내 수용체 결합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말초혈액 단핵세포 분석
이 실험의 목적은 인간 말초혈액 단핵세포(PBMC)의 화합물로의 자극 24 시간 후 사이토카인의 발현 수준을 결정하는 것이다. 세포 상청액을 희석없이 분석하였고, IFN-α 및 TNF-α의 수준을 직접적으로 결정하였다. 화합물을 먼저 20 mM DMSO 스톡 용액(stock solution) 내로 배합하고 세포 배지로 10-배로 총 11개의 희석 지점으로 경사 희석시켰다. 9개의 희석 지점 (가장 높은 농도는 200 μmol/ℓ임)에서의 화합물을 96-웰 플레이트 내로 각 웰 당 50 ㎕로 첨가하였다. 신선한 인간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150 ㎕로 450,000 개의 세포를 포함하는 각 웰에 접종시켰다. 세포 배양 플레이트를 인큐베이터 내에서 37℃, 5% CO2에서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인큐베이션 후, 배양 플레이트를 1200 rpm에서 5 분 동안 원심분리시키고 상청액을 수집하고 결정을 위하여 -20℃에서 저장하였다. 사이토카인의 결정을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er)로 BD-Pharmingen의 사이토메트릭 비드 어레이(Cytometric Bead Array; CB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사이토카인 자극 시험에서 최저 검출 한계 보다 3배 이상 더 큰 최저 약물 농도를 MEC(Minimal Effective Concentration, 최소유효농도) 값으로 지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70
적요: 0.01nM≤A≤1nM; 1nM<B≤10nM; 10nM<C≤100μM.
실시예 21 화합물과 대조 톨-유사 수용체 7 작용제 GS-9620의 직접 대면 실험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71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1 화합물은 PBMC에서 톨-유사 수용체 7 작용제 GS-9620에 비하여 더 높은 시험관 내 IFN-α 유도 활성 및 GS-9620과 동등한 TNF-α 유도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랫트에서의 약동학
12 개체의 수컷 SD 랫트를 각 군에 3 SD 랫트로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2 개 군의 동물에 각각 10%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수성 용액 (농도는 0.5 ㎎/㎖임)으로 대조 톨-유사 수용체 7 작용제 GS-9620 및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1 화합물을 정맥 내 주사로 1 ㎎/㎏ 투여하였다. 다른 2개 군에는 0.5% 메틸셀룰로오스/0.2% 트윈 80 순수(pure water) 현탁액 (농도는 1 ㎎/㎖임)으로 GS-9620 및 실시예 21 화합물을 경구로 5 ㎎/㎏ 투여하였다. 투여 후 연속하여 혈장 2, 15, 30 분 및 1, 2, 4, 8, 24 시간에, 정맥내 주사된 각 랫트에서 전혈 샘플을 수집하여 이를 혈장으로 제조하였다. 투여 후 연속하여 15, 30 분 및 1, 2, 4, 8, 24 시간에, 경구 투여된 각 랫트에서 전혈 샘플을 수집하여 이를 혈장으로 제조하였다. GS-9620 및 실시예 21의 혈장 농도를 LC-MS/MS로 결정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72
결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대조 톨-유사 수용체 7 작용제 GS-9620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1 화합물은 랫트에서 더 긴 반감기 및 더 높은 노출(exposure)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B형 간염 바이러스로 감염된 오리(duckling) 모델에서의 생체 내 약동학
실험 설계 및 절차: 1일령의 베이징 오리(Beijing duck)에 오리 B형 간염 바이러스 양성 오리 혈청을 정맥 내로 투여하였다. 7일 후, 각 군 당 6 개체의 오리로의 그룹화된 동물에 투여하였다. 대조군: 통상의 염수. 시험 샘플: GS-9620 및 실시예 21 화합물, 각 샘플 당 2개 투여 군: 20 ㎎/㎏ 및 5 ㎎/㎏. 샘플에 20 ㎎/㎏ 군은 매 3일 마다, (매 3일 마다 1회 투여) 5 ㎎/㎏ 군은 매일 1회 16 일 동안 위장내로 투여하였다. 양성 대조 약물 라미부딘(lamivudine)을 위장내 투여를 위해 GlaxoSmithKline에서 제조되어, 50 ㎎/㎏으로 1일 2회 16 일 동안 투여하였다. 오리 B형 간염 바이러스로 감염된 대조군에 대하여는, 용매를 약물 대신 사용하였다. 감염 7 일 후, 투여 전 (T0), 투여 후 8 일차 (T8), 투여 후 16 일차 (T16) 및 투여 종지 후 3 일차 (P3)에 혈액을 수집하였고, 오리 혈청을 분리하고 저장을 위해 동결하였다. 오리 혈청을 오리 B형 간염 바이러스 DNA (DHBV-DNA)의 결정에 사용하였고, 오리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GS-9620, 실시예 21 화합물 및 양성 대조 라미부딘의 효능을 비교하였다. 오리 혈청 DNA (DHBV-DNA) 결정: 배치 중의 상이한 오리 혈청에 대해 실시간 형광 정량적 PCR로 오리 혈액 DHBV-DNA 수준을 결정하였다. 통계적 분석: 평가를 위한 오리 혈청 DHBV-DNA에 대한 약물의 억제의 유의미성을 산출하기 위해 대응 및 군집 분석(paired and grouped analysis)을 사용하였다. 효능을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73
동일한 시점에서의 바이러스 대조군과 비교한 군집(grouped) t-검정. * p<0.05, ** p < 0.01.
결과: 대조 톨-유사 수용체 7 작용제 GS-9620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1 화합물은 동일한 조건 하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로 감염된 오리새끼 모델에서 더 나은 효능을 나타내었고; 20 ㎎/㎏ (매 3 일 마다 1회 투여)에 대하여는, 억제 속도가 대략적으로 동등하였고; 5 ㎎/㎏ (매일 1회 투여)에 대하여는, 실시예 21 화합물의 억제 속도가 유의미하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고; 투여 종지 후 3 일에서, GS-9620 20 ㎎/㎏ 군 (매 3일 마다 1회 투여)은 HBV-DNA 복제의 리바운드(rebound)가 나타난 반면 대응하는 실시예 21 화합물 군에서는 리바운드가 발견되지 않았다.
실험예 5: B형 간염 바이러스로 감염된 HDI(hydrodynamic injection) 마우스 모델에서의 생체 내 약동학
실험 설계 및 절차:
경로: 위장내 투여
투여 시간: 1일차 내지 7일차, 총 7일
투여 군: 그룹 1: 비히클, 10% HP-β-CD; 그룹 2: GS-9620, 20㎎/㎏; 그룹 3: 실시예 21 화합물, 20 ㎎/㎏
1, 3, 5 및 7일차에서, 투여 4 시간 후 혈장 샘플을 수집하고; 7일차에서, 투여 4 시간 후 간 샘플을 수집하였다. 상세사항을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74
B형 간염 바이러스로 감염된 HDI(hydrodynamic injection) 마우스 모델에서의 생체 내 약동학의 상세한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결과: 혈장 및 간에서의 HBV 복사 수(copy number)의 데이터는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시예 21 화합물이 대조 톨-유사 수용체 7 작용제 GS-9620에 비하여 더 나은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Claims (16)

  1. 식 (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00075

    여기에서
    L1 및 L2 는 서로 독립적으로 -O-, -CH2-, -S-, -NH-, -NHC(=O)-, -C(=O)-, -C(=O)NH-, -S(=O)-, -S(=O)2-, -NHS(=O)2- 및 -S(=O)2NH-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기들이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고;
    R1은 수소,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고;
    R2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실, 티올, 아미노, COOH, -CONH2,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하이드록실, 티올, 아미노, COOH, -CONH2,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고;
    B는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3는 C0-6 알킬렌, 이미노, -O-, -S-, -S(=O)- 및 -S(=O)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0-6 알킬렌 및 이미노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고;
    R3는 수소, 아미노,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아미노, C1-10 알킬, C2-10 알케닐, C2-10 알키닐, C3-10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10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거나;
    R3 및 L3이 함께 고리 B에서 인접하는 원자와 포화 또는 불포화 5 내지 8원 고리를 형성하고, 5 내지 8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고;
    n은 0, 1, 2, 3, 4 또는 5이고;
    R4는 할로겐, 시아노, -R, -OR, =O, -SR, -NR2, =NR, -C(할로겐)3, -CR(할로겐)2, -CR2(할로겐), -OCN, -SCN, -N=C=O, -NCS, -NO, -NO2, -NRC(=O)R, -NRC(=O)OR, -NRC(=O)NRR, -C(=O)NRR, -C(=O)OR, -OC(=O)NRR, -OC(=O)OR, -C(=O)R, -S(=O)2OR, -S(=O)2R, -OS(=O)2OR, -S(=O)2NRR, -S(=O)R, -NRS(=O)2R, -NRS(=O)2NRR, -NRS(=O)2OR, -OP(=O)(OR)2, -P(=O)(OR)2, -C(=O)R, -C(=S)R, -C(=O)OR, -C(=S)OR, -C(=O)SR, -C(=S)SR, -C(=O)NRR, -C(=S)NRR, -C(=NR)NRR 및 -NRC(=NR)NR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은 독립적으로 H, C1-8 알킬, C3-8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8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알킬 및 헤테로아릴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1이 -CH2- 또는 -NH-인 경우, R3은 H가 아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L1 및 L2가 각각 독립적으로 -O-, -CH2-, -S-, -NH-, -C(=O)-, -S(=O)- 및 -S(=O)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H2- 및 -NH-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L1 및 L2가 각각 독립적으로 -O- 및 -CH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H2-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수소,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3-6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6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3-6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6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이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 4 항에 있어서, R1이 C1-6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1-6 알킬이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할로겐, 시아노, 하이드록실, 아미노, -CONH2 및 C1-6 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하이드록실, 아미노, -CONH2 및 C1-6 알킬이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 6 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시아노 및 -CONH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ONH2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B가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제 8 항에 있어서, B가 페닐 및 피리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L3이 C0-6 알킬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C0-6 알킬렌이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R3이 수소, 아미노,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3-8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8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에서 상기 아미노, C1-6 알킬, C2-6 알케닐, C2-6 알키닐, C3-8 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3 내지 8원 헤테로시클로하이드로카르빌, 아릴 및 헤테로아릴이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거나;
    R3 및 L3이 함께 고리 B에서 인접하는 원자와 포화 또는 불포화 5 내지 8원 고리를 형성하고, 5 내지 8원 고리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R4로 치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R4가 할로겐, 시아노, -R, -OR, =O, -SR, -NR2, =NR, -C(할로겐)3, -CR(할로겐)2, -CR2(할로겐), -OCN, -SCN, -N=C=O, -NCS, -NO, -NO2, -NRC(=O)R, -C(=O)NRR, -C(=O)OR, -OC(=O)NRR, -C(=O)R, -S(=O)2OR, -S(=O)2R, -OS(=O)2OR, -S(=O)2NRR, -S(=O)R, -NRS(=O)2R, -C(=O)R, -C(=O)OR 및 -C(=O)NR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3. 제 12 항에 있어서, R4가 할로겐, 시아노, -R, -OR, =O, -NR2, =NR, -C(할로겐)3, -CR(할로겐)2 및 -CR2(할로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4. 하기 식의 화합물:
    Figure pct00076

    Figure pct00077

    Figure pct00078

    Figure pct00079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15. 바이러스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
  16.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77007194A 2014-08-15 2015-08-14 Tlr7 작용제로서 사용되는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 KR102215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405136.0A CN105367576A (zh) 2014-08-15 2014-08-15 作为tlr7激动剂的吡咯并嘧啶化合物
CN201410405136.0 2014-08-15
CN201510392499 2015-07-06
CN201510392499.X 2015-07-06
PCT/CN2015/086909 WO2016023511A1 (zh) 2014-08-15 2015-08-14 作为tlr7激动剂的吡咯并嘧啶化合物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042A Division KR20190098277A (ko) 2014-08-15 2015-08-14 Tlr7 작용제로서 사용되는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1913A true KR20170041913A (ko) 2017-04-17
KR102215609B1 KR102215609B1 (ko) 2021-02-15

Family

ID=553038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042A KR20190098277A (ko) 2014-08-15 2015-08-14 Tlr7 작용제로서 사용되는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
KR1020177007194A KR102215609B1 (ko) 2014-08-15 2015-08-14 Tlr7 작용제로서 사용되는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042A KR20190098277A (ko) 2014-08-15 2015-08-14 Tlr7 작용제로서 사용되는 피롤로피리미딘 화합물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2) US9962388B2 (ko)
EP (1) EP3190113B1 (ko)
JP (2) JP6328341B2 (ko)
KR (2) KR20190098277A (ko)
CN (4) CN112898308A (ko)
AU (3) AU2015303558B2 (ko)
BR (1) BR112017002811B1 (ko)
CA (1) CA2958097C (ko)
CL (1) CL2017000379A1 (ko)
DK (1) DK3190113T3 (ko)
EA (1) EA032824B1 (ko)
ES (1) ES2875313T3 (ko)
HR (1) HRP20210927T1 (ko)
HU (1) HUE054672T2 (ko)
IL (2) IL250586B (ko)
LT (1) LT3190113T (ko)
MX (1) MX2017002028A (ko)
MY (1) MY190026A (ko)
PH (2) PH12017500281A1 (ko)
PL (1) PL3190113T3 (ko)
PT (1) PT3190113T (ko)
SG (2) SG10201809918RA (ko)
SI (1) SI3190113T1 (ko)
UA (1) UA117634C2 (ko)
WO (1) WO2016023511A1 (ko)
ZA (1) ZA20180373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724A (ko) * 2016-02-05 2018-09-21 치아타이 티안큉 파마수티컬 그룹 주식회사 피롤로[3,2-d]피리미딘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중간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82904A1 (en) 2014-06-30 2020-07-22 Glykos Finland Oy Saccharide derivative of a toxic payload and antibody conjugates thereof
PL3190113T3 (pl) * 2014-08-15 2021-10-25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Co., Ltd. Związki pirolopirymidynowe stosowane jako agonista TLR7
RU2745269C2 (ru) 2015-05-08 2021-03-22 Ф. Хоффманн-Ля Рош Аг Новые соединения и производные сульфонимидоилпуринона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вирусной инфекции
MA44334A (fr) 2015-10-29 2018-09-05 Novartis Ag Conjugués d'anticorps comprenant un agoniste du récepteur de type toll
CN108349982B (zh) * 2015-11-05 2020-05-05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作为tlr7激动剂的7-(噻唑-5-基)吡咯并嘧啶化合物
CN107043380A (zh) 2016-02-05 2017-08-15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tlr7激动剂的马来酸盐、其晶型c、晶型d、晶型e、制备方法和用途
CN107043379A (zh) * 2016-02-05 2017-08-15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tlr7激动剂的晶型a、其制备方法和医药用途
CN107043377A (zh) 2016-02-05 2017-08-15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tlr7激动剂的三氟乙酸盐、晶型b及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和用途
WO2017210489A1 (en) 2016-06-01 2017-12-07 M3 Biotechnology, Inc. Compounds
JOP20190024A1 (ar) 2016-08-26 2019-02-19 Gilead Sciences Inc مركبات بيروليزين بها استبدال واستخداماتها
MA46038B1 (fr) 2016-08-29 2021-05-31 Hoffmann La Roche Composés de sulfonimidoylpurinone substitués dans la position 7 pour le traitement et la prophylaxie d'infection virale
WO2018047081A1 (en) 2016-09-09 2018-03-15 Novartis Ag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inhibitors of endosomal toll-like receptors
ES2894605T3 (es) 2016-09-13 2022-02-15 Hoffmann La Roche Tratamiento combinado con un agonista de TLR7 y un inhibidor del ensamblaje de la cápside del VHB
CN117402852A (zh) 2016-10-14 2024-01-16 精密生物科学公司 对乙肝病毒基因组中的识别序列特异性的工程化大范围核酸酶
WO2018078149A1 (en) * 2016-10-31 2018-05-03 F. Hoffmann-La Roche Ag Novel cyclicsulfonimidoylpurinone compounds an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US11084818B2 (en) 2016-11-11 2021-08-10 Hepo Pharmaceutical Co., Ltd.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 preparation method, intermedia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EP3546457B1 (en) * 2016-11-28 2021-07-14 Jiangsu Hengrui Medicine Co., Ltd. Pyrazolo-heteroaryl derivative, preparation method and medical use thereof
WO2018210298A1 (zh) 2017-05-18 2018-11-22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杂芳基并吡唑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US10494370B2 (en) 2017-08-16 2019-12-0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a pyridine or pyrazine moiety,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US10487084B2 (en) 2017-08-16 2019-11-26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a heterobiaryl moiety,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US10508115B2 (en) 2017-08-16 2019-12-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heteroatom-linked aromatic moieties,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US10457681B2 (en) 2017-08-16 2019-10-29 Bristol_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a tricyclic moiety,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US10472361B2 (en) 2017-08-16 2019-11-1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having a benzotriazole moiety, conjugates thereof,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CN111448190B (zh) 2017-11-14 2023-09-26 百时美施贵宝公司 取代的吲哚化合物
RS64728B1 (sr) 2017-12-18 2023-11-30 Bristol Myers Squibb Co Jedinjenja 4-azaindola
WO2019126081A1 (en) 2017-12-19 2019-06-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Amide substituted indole compounds useful as tlr inhibitors
US11878975B2 (en) 2017-12-19 2024-01-2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Substituted indole compounds useful as TLR inhibitors
WO2019126082A1 (en) 2017-12-19 2019-06-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6-azaindole compounds
CA3086431A1 (en) 2017-12-20 2019-06-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Amino indole compounds useful as tlr inhibitors
US11420958B2 (en) 2017-12-20 2022-08-23 Bristol-Myers Squibb Company Aryl and heteroaryl substituted indole compounds
ES2904773T3 (es) * 2017-12-20 2022-04-06 Bristol Myers Squibb Co Compuestos de diazaindol
CN111566120B (zh) 2017-12-20 2023-09-29 捷克共和国有机化学与生物化学研究所 活化sting转接蛋白的具有膦酸酯键的3’3’环状二核苷酸
US11203610B2 (en) 2017-12-20 2021-12-21 Institute Of Organic Chemistry And Biochemistry Ascr, V.V.I. 2′3′ cyclic dinucleotides with phosphonate bond activating the sting adaptor protein
WO2019155042A1 (en) 2018-02-12 2019-08-15 F. Hoffmann-La Roche Ag Novel sulfone compounds an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CA3091142C (en) 2018-02-26 2023-04-11 Gilead Sciences, Inc. Substituted pyrrolizine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19195181A1 (en) 2018-04-05 2019-10-10 Gilead Sciences, Inc. Antibodies and fragments thereof that bind hepatitis b virus protein x
TW202005654A (zh) 2018-04-06 2020-02-01 捷克科學院有機化學與生物化學研究所 2,2,─環二核苷酸
TWI818007B (zh) 2018-04-06 2023-10-11 捷克科學院有機化學與生物化學研究所 2'3'-環二核苷酸
KR20200140867A (ko) 2018-04-06 2020-12-16 인스티튜트 오브 오가닉 케미스트리 앤드 바이오케미스트리 에이에스 씨알 브이.브이.아이. 3'3'-사이클릭 다이뉴클레오티드
US11142750B2 (en) 2018-04-12 2021-10-12 Precision Biosciences, Inc. Optimized engineered meganucleases having specificity for a recognition sequence in the Hepatitis B virus genome
WO2019209811A1 (en) 2018-04-24 2019-10-3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acrocyclic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WO2019211799A1 (en) 2018-05-03 2019-11-07 Institute Of Organic Chemistry And Biochemistry Ascr, V.V.I. 2'3'-cyclic dinucleotide analogue comprising a cyclopentanyl modified nucleotide
US20210220362A1 (en) * 2018-05-25 2021-07-22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Co., Ltd. Tlr7 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bination thereof for treating lung cancer
WO2020028097A1 (en) 2018-08-01 2020-02-06 Gilead Sciences, Inc. Solid forms of (r)-11-(methoxymethyl)-12-(3-methoxypropoxy)-3,3-dimethyl-8-0x0-2,3,8,13b-tetrahydro-1h-pyrido[2,1-a]pyrrolo[1,2-c] phthalazine-7-c arboxylic acid
US11554120B2 (en) 2018-08-03 2023-01-1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1H-pyrazolo[4,3-d]pyrimidine compounds as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and methods and uses therefor
CN116098905A (zh) * 2018-10-12 2023-05-12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治疗结直肠癌的tlr7激动剂及其药物组合
TWI721624B (zh) 2018-10-31 2021-03-1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經取代之6-氮雜苯并咪唑化合物
PE20211655A1 (es) 2018-10-31 2021-08-24 Gilead Sciences Inc Compuestos de 6-azabencimidazol sustituidos como inhibidores de hpk1
JP7287708B2 (ja) 2019-02-08 2023-06-06 プロジェニ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oll-like受容体7または8アゴニストとコレステロールの結合体およびその用途
JP7350872B2 (ja) 2019-03-07 2023-09-26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オーガニック ケミストリー アンド バイオケミストリー エーエスシーアール,ヴイ.ヴイ.アイ. 3’3’-環状ジヌクレオチドおよびそのプロドラッグ
US11766447B2 (en) 2019-03-07 2023-09-26 Institute Of Organic Chemistry And Biochemistry Ascr, V.V.I. 3′3′-cyclic dinucleotide analogue comprising a cyclopentanyl modified nucleotide as sting modulator
US20220152078A1 (en) 2019-03-07 2022-05-19 Institute Of Organic Chemistry And Biochemistry Ascr, V.V.I. 2'3'-cyclic dinucleotides and prodrugs thereof
TW202102220A (zh) * 2019-03-15 2021-01-16 愛爾蘭商健生科學愛爾蘭無限公司 類鐸受體促效劑給藥方案
TWI751516B (zh) 2019-04-17 2022-01-0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類鐸受體調節劑之固體形式
TWI751517B (zh) 2019-04-17 2022-01-0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類鐸受體調節劑之固體形式
AU2020263448A1 (en) 2019-04-23 2021-11-18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Co., Ltd. Sol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LR7 agonist
TWI826690B (zh) 2019-05-23 2023-12-21 美商基利科學股份有限公司 經取代之烯吲哚酮化物及其用途
EP4008720A4 (en) 2019-08-02 2023-08-02 BeiGene, Ltd. IMIDAZO [2,1-F][1,2,4] TRIAZINE-4-AMINE DERIVATIVES AS A TLR8 AGONIST
WO2021034804A1 (en) 2019-08-19 2021-02-25 Gilead Sciences, Inc.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tenofovir alafenamide
US20230015906A1 (en) * 2019-09-29 2023-01-19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Co., Ltd. Drug combination containing tlr7 agonist
JP7398556B2 (ja) 2019-09-30 2023-12-14 ギリアード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Hbvワクチン及びhbvを治療する方法
CN116057068A (zh) 2019-12-06 2023-05-02 精密生物科学公司 对乙型肝炎病毒基因组中的识别序列具有特异性的优化的工程化大范围核酸酶
WO2021154665A1 (en) 2020-01-27 2021-08-0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1H-PYRAZOLO[4,3-d]PYRIMIDINE COMPOUNDS AS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EP4097100A1 (en) 2020-01-27 2022-12-0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1h-pyrazolo[4,3-d]pyrimidine compounds as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JP2023512208A (ja) 2020-01-27 2023-03-24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トール様受容体7(TLR7)アゴニストとしての1H-ピラゾロ[4,3-d]ピリミジン化合物
KR20220132601A (ko) 2020-01-27 2022-09-30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EP4097103A1 (en) 2020-01-27 2022-12-0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1h-pyrazolo[4,3-d]pyrimidine compounds as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US20230122249A1 (en) 2020-01-27 2023-04-2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1H-PYRAZOLO[4,3-d]PYRIMIDINE COMPOUNDS AS TOLL-LIKE RECEPTOR 7 (TLR7) AGONISTS
JP2023512205A (ja) 2020-01-27 2023-03-24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トール様受容体7(TLR7)アゴニストとしての1H-ピラゾロ[4,3-d]ピリミジン化合物
KR20220132592A (ko) 2020-01-27 2022-09-30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큅 컴퍼니 톨-유사 수용체 7 (TLR7) 효능제로서의 1H-피라졸로[4,3-d]피리미딘 화합물
JP2023512230A (ja) 2020-01-27 2023-03-24 ブリストル-マイヤーズ スクイブ カンパニー トール様受容体7(TLR7)アゴニストとしてのC3置換1H-ピラゾロ[4,3-d]ピリミジン化合物
US20230100429A1 (en) 2020-03-02 2023-03-30 Progeneer Inc. Live-pathogen-mimetic nanoparticles based on pathogen cell wall skelet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115605493A (zh) 2020-03-20 2023-01-13 吉利德科学公司(Us) 4′-c-取代的-2-卤代-2′-脱氧腺苷核苷的前药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20230035031A (ko) 2020-06-05 2023-03-10 킨네이트 바이오파마 인크.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수용체 키나아제의 억제제
US20230277525A1 (en) 2020-08-04 2023-09-07 Progeneer Inc Conjugate of functional drug and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of which active site is temporarily inactivated and use thereof
EP4194006A1 (en) 2020-08-04 2023-06-14 Progeneer Inc. Mrna vaccine comprising adjuvant capable of kinetic control
EP4194008A1 (en) 2020-08-04 2023-06-14 Progeneer Inc. Kinetically acting adjuvant ensemble
WO2022156678A1 (zh) * 2021-01-20 2022-07-28 上海维申医药有限公司 大环tlr7激动剂、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及其用途
EP4316518A1 (en) 2021-03-29 2024-02-07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Co., Ltd. Drug combination of toll-like receptor 7 agonist and anti-pd-l1 antibody
KR20240006683A (ko) 2021-05-13 2024-01-15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TLR8 조절 화합물과 항-HBV siRNA 치료제의 조합물
EP4359389A1 (en) 2021-06-23 2024-05-01 Gilead Sciences, Inc. Diacylglyercol kinase modulating compounds
CN117377671A (zh) 2021-06-23 2024-01-09 吉利德科学公司 二酰基甘油激酶调节化合物
CN117355531A (zh) 2021-06-23 2024-01-05 吉利德科学公司 二酰基甘油激酶调节化合物
KR20240005901A (ko) 2021-06-23 2024-01-12 길리애드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디아실글리세롤 키나제 조절 화합물
CN114409654A (zh) * 2021-12-30 2022-04-29 安徽普利药业有限公司 一种btk抑制剂的中间体合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6522A2 (en) * 2011-02-04 2012-08-09 Duquesne University Of The Holy Spirit Bicyclic and tricyclic pyrimidine tyrosine kinase inhibitors with antitubulin activity and methods of treating a patient
WO2014081645A1 (en) * 2012-11-20 2014-05-30 Glaxosmithkline Llc Novel compounds
WO2014081644A1 (en) * 2012-11-20 2014-05-30 Glaxosmithkline Llc Novel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1448A1 (fr) 1996-07-03 1998-01-15 Japan Energy Corporation Nouveaux derives de purine
US6329381B1 (en) 1997-11-28 2001-12-11 Sumitomo Pharmaceuticals Company, Limited Heterocyclic compounds
WO2007024707A2 (en) * 2005-08-22 2007-03-0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lr agonists
ES2552471T3 (es) * 2007-02-07 2015-11-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njugados de agonistas de TLR sintéticos y usos de los mismos
CN101784548B (zh) 2007-06-29 2013-07-17 吉里德科学公司 嘌呤衍生物及其作为toll样受体7的调节剂的用途
CA2707030A1 (en) 2007-08-03 2009-02-12 Pfizer Limited Imidazopyridinones
WO2010077613A1 (en) 2008-12-09 2010-07-08 Gilead Sciences, Inc. Modulators of toll-like receptors
DE102011008352A1 (de) * 2011-01-12 2012-07-12 Merck Patent Gmbh 5-([1,2,3]Triazol-4-yl)-7H-pyrrolo-[2,3-d]pyrimidinderivate
EP2674170B1 (en) * 2012-06-15 2014-11-19 Invivogen Novel compositions of TLR7 and/or TLR8 agonists conjugated to lipids
PT2906563T (pt) * 2012-10-10 2018-05-23 Janssen Sciences Ireland Uc Derivados de pirrolo[3,2-d]pirimidina para o tratamento de infeções virais e outras doenças
BR112015011439A2 (pt) 2012-11-20 2017-07-11 Glaxosmithkline Llc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composição de vacina, e, uso de um composto
CA2938476A1 (en) 2014-02-20 2015-08-27 Glaxosmithkline Intellectual Property (No.2) Limited Pyrrolo[3,2-d]pyrimidine derivatives as inducers of human interferon
AU2015253225B2 (en) 2014-05-01 2017-04-06 Novartis Ag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Toll-Like Receptor 7 agonists
MX362341B (es) 2014-05-01 2019-01-11 Novartis Ag Compuestos y composiciones como agonistas del receptor tipo toll 7.
PL3190113T3 (pl) * 2014-08-15 2021-10-25 Chia Tai Tianqing Pharmaceutical Group Co., Ltd. Związki pirolopirymidynowe stosowane jako agonista TLR7
CN105732635A (zh) 2014-12-29 2016-07-06 南京明德新药研发股份有限公司 一类Toll样受体7激动剂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6522A2 (en) * 2011-02-04 2012-08-09 Duquesne University Of The Holy Spirit Bicyclic and tricyclic pyrimidine tyrosine kinase inhibitors with antitubulin activity and methods of treating a patient
WO2014081645A1 (en) * 2012-11-20 2014-05-30 Glaxosmithkline Llc Novel compounds
WO2014081644A1 (en) * 2012-11-20 2014-05-30 Glaxosmithkline Llc Novel compoun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 Med. Chem. 2004, 12권, 12호, 3187-3195 페이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724A (ko) * 2016-02-05 2018-09-21 치아타이 티안큉 파마수티컬 그룹 주식회사 피롤로[3,2-d]피리미딘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중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50586B (en) 2020-09-30
CN112898308A (zh) 2021-06-04
US20170273983A1 (en) 2017-09-28
AU2019253788B2 (en) 2020-05-28
MX2017002028A (es) 2017-08-14
AU2019253788A1 (en) 2019-11-14
WO2016023511A1 (zh) 2016-02-18
PL3190113T3 (pl) 2021-10-25
PH12017500281B1 (en) 2017-07-03
US9962388B2 (en) 2018-05-08
CN110759916B (zh) 2021-02-19
NZ730011A (en) 2023-08-25
BR112017002811A2 (pt) 2017-12-19
PT3190113T (pt) 2021-06-17
EA201790389A1 (ru) 2017-06-30
SG10201809918RA (en) 2018-12-28
BR112017002811B1 (pt) 2022-09-06
CN110759916A (zh) 2020-02-07
IL276908A (en) 2020-10-29
HRP20210927T1 (hr) 2021-09-03
AU2015303558A1 (en) 2017-03-30
JP6328341B2 (ja) 2018-05-23
AU2015303558B2 (en) 2018-07-12
JP6639551B2 (ja) 2020-02-05
SI3190113T1 (sl) 2021-09-30
SG11201701169XA (en) 2017-03-30
KR102215609B1 (ko) 2021-02-15
EP3190113A1 (en) 2017-07-12
JP2018123160A (ja) 2018-08-09
EA032824B1 (ru) 2019-07-31
US10555949B2 (en) 2020-02-11
PH12017500281A1 (en) 2017-07-03
KR20190098277A (ko) 2019-08-21
EP3190113A4 (en) 2018-01-24
ES2875313T3 (es) 2021-11-10
UA117634C2 (uk) 2018-08-27
US20180303832A1 (en) 2018-10-25
JP2017524037A (ja) 2017-08-24
HUE054672T2 (hu) 2021-09-28
CA2958097A1 (en) 2016-02-18
CN110938076A (zh) 2020-03-31
CN106661034B (zh) 2019-11-29
AU2019253788C1 (en) 2020-09-17
CN106661034A (zh) 2017-05-10
EP3190113B1 (en) 2021-05-19
CL2017000379A1 (es) 2018-04-27
ZA201803736B (en) 2020-08-26
PH12020551089A1 (en) 2021-05-10
AU2018236899A1 (en) 2018-10-18
CA2958097C (en) 2019-05-14
IL250586A0 (en) 2017-04-30
NZ761639A (en) 2023-08-25
AU2018236899B2 (en) 2019-07-25
CN110938076B (zh) 2021-08-10
MY190026A (en) 2022-03-22
LT3190113T (lt) 2021-08-25
DK3190113T3 (da)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53788B2 (en) Pyrrolopyrimidine compounds used as TLR7 agonist
JP6932394B2 (ja) 含窒素複素環化合物、製造方法、中間体、医薬組成物及び応用
JP6524355B2 (ja) Tlr7アゴニストとしての7−(チアゾール−5−イル)ピロロピリミジン化合物
CN113286794B (zh) Kras突变蛋白抑制剂
KR20190035925A (ko) 아미노-피롤로피리미디논 화합물 및 이의 사용 방법
CA2897843A1 (en) Pyrazolopyrimidine compounds
TWI558709B (zh) Pyrrolopyrimidine ring compounds, their us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O2019196918A1 (zh) 五元杂环并嘧啶类化合物、药物组合物及用途
NZ730011B2 (en) Pyrrolopyrimidine compounds used as tlr7 agonist
TW202045508A (zh) 作為tlr7致效劑的咪唑并[2,1-f][1,2,4]三𠯤-4-胺衍生物
NZ761639B2 (en) Pyrrolopyrimidine compounds used as tlr7 agon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7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16

Effective date: 20201028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