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177679A1 -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177679A1
WO2021177679A1 PCT/KR2021/002508 KR2021002508W WO2021177679A1 WO 2021177679 A1 WO2021177679 A1 WO 2021177679A1 KR 2021002508 W KR2021002508 W KR 2021002508W WO 2021177679 A1 WO2021177679 A1 WO 20211776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athogen
nanoparticles
toll
receptor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250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용택
이상남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26013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111170A/ko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AU202123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AU2021231160A1/en
Priority to CN202180018664.9A priority patent/CN115666637A/zh
Priority to US17/909,066 priority patent/US20230100429A1/en
Priority to CA3170551A priority patent/CA3170551A1/en
Priority to JP2022552767A priority patent/JP2023516372A/ja
Priority to EP21765344.3A priority patent/EP4115901A4/en
Publication of WO20211776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1776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55Liposomes; Vesicles, e.g. nanoparticles; Spheres, e.g. nanospheres;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88Adjuvants of undefined constitution
    • A61K2039/55594Adjuvants of undefined constitution from bacteria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 based on a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pecifically, using a freeze-dried preparation of a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that is easily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and an immune activation material capable of inducing live pathogen efficacy. It relates to the manufactured pathogen-external wall component-based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their use,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he like.
  • a vaccine is a drug that imparts acquired immunity to animals, including humans, and uses substances that can induce immunogenicity such as killed or attenuated pathogens, proteins, synthetic peptides, etc. It is widely used to prevent or treat cancer) and allergic diseases.
  • live vaccines attenuated vaccines, dead vaccines, and recombinant vaccines.
  • live vaccines and attenuated vaccines take a long time to manufacture the virus, have high production costs, and are accompanied by safety problems.
  • the vaccine component using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has a fatal limitation in that it has excellent safety but weak immunogenicity compared to a killed or inactivated vaccine or a live attenuated vaccine.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mmunotherapeutic agents,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novel pathogen-based vaccine that can be mass-produced, has high stability and excellent immunogenicity,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ulations at the same tim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mass-produced, has high safety and high immunogenicity, and at the same time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ulations, mimics live pathogens, its use, its us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like.
  •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ive pathogen mimic nanoparticles comprising a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is based primarily on the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athogen, activates the immune response of cells through pathogen recognition, and then After being delivered to the inside of immune cells through action,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s related to live/death signals of living pathogens are activated to enhance immunogenicity through signal transduction and activation of cellular immune responses. can be increased,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having high immunogenicity (FIG. 1).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nanoparticles mimicking live pathogens,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s a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and a pathogen cell wall skeleton-based nano-dispersion.
  • the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is in an inactive state by binding a lipid to the activation site.
  • the lipids are preferably Fatty acids, Steroids, Glycerides, Phospholipids, Cholesterol, Fat-soluble vitamins, etc., The lipid binds to the activation site of the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to make it inactiv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from being absorbed into the blood vessel in the body. no limits.
  •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based nano-dispersion means a form in which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from which lipids and membrane proteins are removed is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 the aqueous solution is a generic term for all solutions prepared using water as a solvent,
  • a buffer solution, a cationic buffer solution, etc. if the solvent is water, there is no limitation.
  • the components of the outer wall of the pathogen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es and strain, and after physically crushing the pathogen, nuclease, protease, washing with organic solvent, etc. Insoluble residues obtained through a purification process including ), sugar chains, peptidoglycan, and the like. However, as long as it is an element included in the component of the outer wall of the pathogen in general,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ze-dried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asily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 the pathogen is a generic term for disease-causing microorganisms, preferably pathogenic bacteria, viruses, fungi, etc., more preferably BCG ( bacille Calmette-Guerin) strain, Mycobacterium genus, Nocardia genus, Corynebacterium genus, Rhodococcus genus, Gordona genus, coronavirus,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BCG Bacille Calmette-Guerin
  • the binding of the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to the lipid is in a cleavable form, and the binding of the cleavable form is preferably carbamate. , disulfide, ester, peptide, azide, amide, hydrazone, thioether, phosphodiester, thioke It is a form in which the chemical bond of the binding site is cleaved, or the chemical bond of the binding site is cleaved in response to enzymes and pH of the tumor microenvironment or intracellular endosomes and lysosomes , redox potential, ROS, ATP, ultrasound, magnetic field, light, etc.
  • the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ivation site is exposed by the cleavage and the function is dynamically restored within 4 days.
  • the enzyme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variety of enzymes present in the cell, but preferably Acid phosphatase, Acid phyrophosphatase, Phosphodiesterase, Phosphoprotein phosphatase, Phosphatidic acid phosphatase, Arylsulfatase, Proteases, Cathepsins, Acid de Collagenase, Arylamidase, Peptlease Lipases, Triglyceride lipase, Phospholipase, Esterase, Carboxyesterase Clucocerebrosidase, Galactocerebrosidase, Sphingomyelinase, Glycosidases, alpha-Glucosidase, beta-Glucosidase, beta-
  • the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is preferably an imidazoquinoloine series, a hydroxyadenine series, a pteridone series, or an aminopyrimidine. (aminopyrimidine) series, benzoazepine series, thia-oxoguanosine series, derivatives thereof,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a known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
  • the nanoparticles may be in a form in which a nano-dispersion based on an outer wall component of a pathogen forms spherical nanoparticles, and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s are bound to the spherical nanoparticles.
  • it may be in a form that is nested irrespective of bonding, or it may be in a form attached to the surface of nanoparticles, or it may be in a form that is sandwiched between nanoparticle structures, or bonds through electrostatic interaction. It may be in a form that has been ma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in a form that can be included in th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nanoparticles preferably have a diameter of 20 to 500 nm, more preferably 50 to 300 nm.
  • the nanoparticles may be in the form of nanoliposomes, nanoemulsions, nanomicelles, polymer nanoparticles, and the like.
  • the nanoparticles contain a substance that activates humoral immunity, a substance that activates cellular immunity, immunostimulatory agents, an adjuvant, etc. as an outer cell wall component
  • it may further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preferably a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a toll-like receptor agonist, a saponin, an antiviral peptide , inflammasome inducer, NOD ligand (NOD ligand), CDS ligand (cytosolic DNA sensor ligand), STING (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ligand, antigen, emulsion, Alum, chemical anticancer drug ,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combinations thereof,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mune antigen adjuvant (adjuvant) composition comprising the nanopart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ccine composition comprising the adjuvant composition and the antigen.
  • the antigen is preferably a protein, recombinant protein, glycoprotein, gene, peptide, polysaccharide, lipopolysaccharide, polynucleotide, cell, cell lysate, bacterium, virus, cancer antigen I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a commonly known antigen.
  • the vaccine composition can be used to prevent or treat disease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tuberculosis, and cancer caused by microorganisms, and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cancer is cancer growth, metastasis, recurrence, etc. It is characterized by inhibiting or inhibiting resistance to anticancer therap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part of a commonly used cancer treatment method.
  • the cancer is bladder cancer, breast cancer, colorectal cancer, rectal cancer, lung cancer, colon cancer, thyroid cancer, oral cancer, pharyngeal cancer, laryngeal cancer, cervical cancer, brain cancer, ovarian cancer, kidney cancer, liver cancer, pancreatic cancer, It may be prostate cancer, skin cancer, tongue cancer, uterine cancer, stomach cancer, bone cancer, blood cance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vaccin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chemical anticancer agent or an immune checkpoint inhibit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a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n individual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nanopart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ventive and / or therapeutic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nanoparticle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for producing a medicament used for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diseases of the nanoparticles.
  • the disease is preferably an infectious disease, tuberculosis, cancer, etc., since the immunogenicity of the existing vaccin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including the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a disease known to be preventable or treatable,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disrupting the pathogen; (b) removing lipids from the lysate; (c) removing the membrane protein from the lipid-removed lysate; (d) centrifuging the lysate from which the membrane protein has been removed to separate the components of the outer wall of the pathogen; (e) preparing a freeze-dried preparation by freeze-drying the isolated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athogen; (f) mixing the freeze-dried preparation, a surfactant, and a positively charged buffer; And (g) to the mixture of step (f), lipid (lipid), lipid conjugates (lipid conjugates), or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s in which lipids are bound to the activation site are added and sonicated to prepare nanoparticles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live pathogen-mimetic nano-molecules, comprising the step of:
  • the surfactant used to stably disperse the freeze-dried preparation of step (f) in an aqueous solution is typically sodium dodecyl sulfate (SDS), didodecyldimethylammonium bromide (DMAB), Pluronic F68, Pluronic F127, polyvinyl alcohol (PVA), Tween-80, Span-85, oleic acid,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the type of surfactant is generally known.
  • the positively charged buffer solution used to stably disperse the freeze-dried preparation of step (f) in an aqueous solution is typically L-Lysine (L-Lys) buffer, L-Arginine. (L-Arg) buffer, L-Histidine (L-His) buffer, L-Tyrosine (L-Tyr) buffer, L-Aspartic acid (L-Asp) buffer, L-Glutamine (L-Glu) A buffer solution, etc., and combinations thereof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a generally known positively charged buffer solution.
  • the preparation method is a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toll-like receptor agonist, saponin, anti Viral peptide, inflammasome inducer, NOD ligand (NOD ligand), CDS ligand (cytosolic DNA sensor ligand), STING (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ligand, antigen, emulsion, Alum , a chemical anticancer agent, an immune checkpoint inhibitor, a combination thereof, and further adding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thereof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sonicating the mixture.
  • the freeze-dried preparation of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comprising the pathogen cell wall skeleton from which the lipid and membrane protein are remo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ctive ingredient that is, nano-dispersion based on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 nano-dispersion based on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In general, by making the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athogen having a strong fat-soluble component easily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it is possible to prepare nanoparticles mimicking living pathogens in various formulations using this.
  • various substances that can additionally induce cellular immunity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low immunogenicity of existing vaccines by inducing humoral immunity as well as cellular immunity using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s. can In addition, since the cell itself is not used, stability can be increased,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the live pathogen mimicking nanoparticles based on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vaccin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tub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based nano-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confirming the degree of stabilization when various types of surfactants and positively charged buffers are used in synthesizing the BCG-CWS nano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stands for non-detec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immune cell activation characteristics of the BCG-CWS nano-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ELISA.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analysis of CWS-T7/8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and DLS.
  • ND stands for non-detec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mount of change in AST and ALT in blood with time after administration of CWS-T7/8a or its constituent substances to mice using ELIS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hange in antibody titer using ELISA after mixing CWS-T7/8a or its constituent materials with an antigen and administering to m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degree of activation of cellular immunity in the spleen using flow cytometry and ELISA after mixing CWS-T7/8a or its constituent substances with antig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ce, respectively. the drawing shown.
  • FIG. 9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ctivation level of antigen-specific T cells in the blood using a flow cytometer after mixing CWS-T7/8a or its constituent materials with an antig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nd administering to mice. the drawing shown.
  • the degree of cellular immune activation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confirmed using flow cytometry and ELISA.
  •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extent to which cancer growth is inhibited and survival rate after mixing CWS-T7/8a or its constituent substances with cancer cell antige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mouse transplanted with cancer cells. A drawing showing the results.
  • FIG. 12 is a graph illustrating the degree of inhibition of cancer growth and survival rate after administration of CWS-T7/8a or its constituent substances with cancer cell antigens to mice induced to develop can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rmed result.
  • the freeze-dried formulation of the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athogen from which lipids and membrane proteins have been remov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in various formulations by easily dispersing the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athogen having strong fat solubility in an aqueous solution.
  • Nanoparticles such as nanoliposomes, nanomicelles, solid nanoparticles, and nanoemulsions can be prepared by easily including various substances such as substances that can induce cellular immunity, immune activating substances, and chemical anticancer drugs. have.
  •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based materials refers to an agonist of Toll-like receptor 7 or 8, imidazoquinoloine (imidazoquinoloine) series. , hydroxyadenine (8-hydroxyadenine) series, pteridone series, aminopyrimidine (2-aminopyrimidine) series, benzoazepine series, thiaoxoguanosine (7-thia-8-oxoguanosine) ) series, and the imidazoquinoline-based compound is a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of the type mentioned in WO 2018 196823, WO 2011 049677, WO 2011 027022, WO 2017 102652, WO 2019 040491, etc.
  • the hydroxyadenine-based compound is WO 2012 080730, WO 2013 068438, WO 2019 036023, WO 2019 035969, WO 2019 035970, WO 2019 035971, WO 2019 035968, CN 108948016, US 2014 8846697, WO 2016 023511, WO 2017 133683, WO 2017 133686, WO 2017 133684, WO 2017 133687, WO 2017 076346, WO 2018 210298, WO 2018 095426, WO 2018 068593, WO 2018 078149, WO 2018 041763, etc.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 the compound of the pteridone series includes compound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the types mentioned in US 2010 0143301, WO 2016 007765, WO 2016 044182, WO 2017 035230, WO 2017 219931, WO 2011 057148, CN 1087 94486, etc. ,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aminopyrimidine-based compounds are WO 2010 133885, WO 2012066335, WO 2012 066336, WO 2012 067268, WO 2013 172479, WO 2012 136834, WO 2014 053516, WO 2014 053595, US 2018 0215720, WO 2012 156498, WO 2014 076221, WO 2016 141092, WO 2018 045144, WO 2015 014815, WO 2018 233648, WO 2014 207082, WO 2014 056593, WO 2018 002319, WO 2013 117615, etc.
  • the benzoazepine-based compounds are WO 2007 024612, WO 2010 014913, WO 2010 054215, WO 2011 022508, WO 2011 022509, WO 2012 097177, WO 2012 097173, WO 2016 096778, WO 2016 142250, WO 2017 202704, WO 2017 202703 , WO 2017 216054, WO 2017 046112, WO 2017 197624, and the lik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 the thioxoguanosine-based compoun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compound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of the types mentioned in WO 2016 180691, WO 2016 055553, WO 2016 180743, WO 2016 091698, and the like.
  • toll-like receptor 7 or 8 compound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mentioned in PCT/US2009/035563, PCT/US2015/028264, PCT/US2016/020499, WO 2015 023598, PCT/US 2015/039776, etc. may be included.
  • imiquimod Imiquimod
  • Resiquimod resiquimod
  • dactolisib Dactolisib
  • gadiquimod Toll-like receptors such as (Gardiquimod), Sumanirole, Motolimod, vesatolimod, loxoribine, SM360320, CL264, 3M-003, IMDQ, Compound 54 All 7 or 8 agonists are included.
  • various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s in which lipids are conjugated to the activation site can be prepared by the method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97656, and more specifically, such as cholesterol
  • the lipid component is an amine group (NH 2 ) site, which is the activation site of the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and carbamate, disulfide, ester, peptide, and azide.
  • amide, hydrazone, thioether, phosphodiester, thioketal, and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binations thereof can be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a carbamate bond (Scheme 1) and a disulfide bond (Scheme 2).
  • R is a branch containing an aliphatic or aromatic group, -NH- ⁇ -CO- ⁇ -CONH- ⁇ -CSNH- ⁇ -COO- ⁇ -CSO- ⁇ -SO 2 NH- ⁇ -SO 2 -, -SO -, -O-, etc. may be included.
  • R is a branch containing an aliphatic or aromatic group, -NH- ⁇ -CO- ⁇ -CONH- ⁇ -CSNH- ⁇ -COO- ⁇ -CSO- ⁇ -SO 2 NH- ⁇ -SO 2 -, -SO -, -O-, etc. may be included.
  • Toll-like receptor 7/8 agonist-based materials refers to an agonist of Toll-like receptor 7 or 8, single stranded ribonucleic acids (ssRNAs) , natural ligands such as guanosine (G)-rich, uridine (U)-rich and adenosine (A)-rich oligonucleotides, small-interfering RNA (siRNA), microRNA (miRNA), and the like.
  • ssRNAs single stranded ribonucleic acids
  • G guanosine
  • U uridine
  • A adenosine
  • siRNA small-interfering RNA
  • miRNA microRNA
  • the term “toll-like receptor agonist” may be one capable of causing a signal transduction response through TLR-1, for example, a tri-acylated lipopeptide (LP ); phenol-soluble modul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lipopeptide; S-(2,3-bis(palmitoyloxy)-(2-RS)-propyl)-N-palmitoyl-(R)-Cys-(S)-Ser-(S)-Lys(4)-OH ; lipopeptides from Borrelia burgdorfei; trihydrochloride (Pam3Cys) lipopeptides mimicking the acetylated amino terminus of OspA lipopeptides; It may be any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mbinations thereof.
  • LP tri-acylated lipopeptide
  • phenol-soluble modul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lipopeptide
  • TLR-2 agonist such as Pam3Cys-Lip
  • TLR-2 agonist such as Poly(I:C), Poly(ICLC), Poly(IC12U), or ampligen.
  • TLR-4 agonist such as Shigella flexineri outer membrane protein preparation, AGP, CRX-527, MPLA, PHAD, 3D-PHAD, GLA, or the like, or flagellin, flagellin fragment, etc.
  • TLR-5 agonist may also be a TLR-5 agonist.
  • TLR-9 agonist such as an immunostimulatory oligonucleot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ny Toll-like receptor agonist that can be easily guessed by a person in the art.
  • saponin is an amphipathic glycoside present in various plant species, for example, QS21, Quil A, QS7, QS17, ⁇ -eskin, digitonin, combinations thereof, etc. ca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tiviral peptide is a peptide capable of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a virus, and may be, for example, KLK,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flammasome inducer” may be TDB (trehalose-6,6-dibehenate), NLRC4, Nalp3,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OD ligand” may be M-TriLYS (NOD2 agonist-synthetic muramyl tripeptide), NOD2 agonist (N-glycolylated muramyldipeptid), mDAP, MDP,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CDS ligand may be Poly(dA:d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TING ligand may be cGAMP, di-AMP, di-GMP,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lipid is a fatty acid series, steroids series, glycerides series, phospholipids series, cholesterol series, fat-soluble vitamins (Fat-soluble) vitam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lipid conjugate refers to all compounds bound to the lipid.
  • the substances that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may be individual complex immunomodulatory substances, for example, CL401 (agonists of TLR-2 and TLR-7), CL429 (agonists of TLR-2 and NOD2), etc.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hemical anticancer agen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pound used for cancer treatment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aclitaxel, Docetaxel, 5-Flurouracil, Alendronate, Doxorubicin, Simvastatin, Hydrazinocurcumin, Amphotericin B, Ciprofloxacin, Rifabutin, Rifampicin.
  • immune checkpoint inhibitor refers to a generic term for cancer treatment methods that activate the immune function of immune cells in the body to fight cancer cells, and for example, anti-PD-1, anti- PD-L1, anti-CTLA-4, anti-KIR, anti-LAG3, anti-CD137, anti-OX40, anti-CD276, anti-CD27, anti-GITR, anti-TIM3, anti-41BB, anti-CD226, anti-CD40, anti-CD70, anti-ICOS, anti-CD40L, anti-BTLA, anti-TCR, anti-TIGIT,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term “antigen” refers to all substances that cause an immune response in the body, preferably pathogens (bacteria, viruses, etc.), compounds, pollen, cancer cells, shrimp, etc. or some peptides thereof. Or a protein, more preferably a cancer antigen pept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a substance capable of causing an immune response in the body.
  • the antigen is preferably a protein, recombinant protein, glycoprotein, gene, peptide, polysaccharide, lipopolysaccharide, polynucleotide, cell, cell lysate, bacteria, virus, etc., more preferably, cancer antigen peptide can be
  • the glycoprotein is an antibody, an antibody fragment, a structural protein, a regulatory protein, a transcription factor, a toxin protein, a hormone, a hormone analog, an enzyme, an enzyme fragment, a transport protein, a receptor, a receptor fragment, a biodefense inducer, It may be a storage protein, a movement protein, an exploitative protein, a reporter protein, or the like. However, if it is a substance capable of inducing an immune response by acting as an antigen in the living body, i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erm "vaccine” refers to a biological preparation containing an antigen that induces an immune response in a living body, and is injected or orally administered to a person or animal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such as cancer, tuberculosis, and infectious disease. It refers to an immunogen that creates immunity in the body.
  • the animal is a human or non-human animal, and the non-human animal refers to, but is not limited to, a pig, a cow, a horse, a dog, a goat, a sheep, and the like.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suppresses or delays the onset of disease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tuberculosis, and cancer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in which symptoms such as infectious diseases, tuberculosis, cancer, etc. are improved or beneficially changed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individual” refers to a subject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and the subject is not limited.
  • cancer refers to various hematologic cancers, malignant solid tumors, and the like, which can expand locally by infiltration and systematically through metastasis.
  • specific examples of cancer include colorectal cancer, adrenal cancer, bone cancer, brain cancer, breast cancer, bronchial cancer, colon and/or rectal cancer, gallbladder cancer, gastrointestinal cancer, head and neck cancer, kidney cancer, laryngeal cancer, liver cancer , lung cancer, neural tissue cancer, pancreatic cancer, prostate cancer, parathyroid cancer, skin cancer, stomach cancer, thyroid cancer, and the like.
  • cancers include adenocarcinoma, adenoma, basal cell carcinoma, cervical dysplasia and intraepithelial carcinoma, Ewing sarcoma, squamous cell carcinoma, axillary cell carcinoma, malignant brain tumor, blast carcinoma, intestinal ganglion neuroma, hyperplastic corneal nerve carcinoma, islet cell carcinoma, Kaposi cancer, leiomyoma, leukemia, lymphoma, malignant carcinoma, malignant melanoma, malignant hypercalcemia, Marpanoidhabitus cancer, sheep cancer, metastatic skin cancer, mucosal neuroma, myelodysplastic syndrome, myeloma, filamentous sarcoma, neuroblastoma, osteosarcoma, bone Primary and other sarcomas, ovarian cancer, pheochromocytoma, polycythemia vera, primary brain tumor, small cell lung cancer, ulcerative and papillary squamous cell carcinoma, seminothelioma, soft tissue
  • GIS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 RCC renal cell carcinoma
  • HCC hepatocellular carcinoma
  • pancreatic neuroendocrine cancer pancreatic neuroendocrine cancer
  • the term "vaccine composi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e form of capsules, tablets, granules, injections, ointments, powders or beverages, and the vaccine composi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targets humans. .
  • the vaccine com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oral dosage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capsules, tablets, aqueous suspensions, etc.,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respectively.
  • 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may include binders, lubricants, disintegrants, excipients, solubilizers, dispersants, stabilizers, suspending agents, pigments, fragrances, etc., for oral administration, and in the case of injections, buffers, preservatives, pain-free agents
  • a topical agent, solubilizer, isotonic agent, stabilizer, etc. may be mixed and used, and in the case of topical administration, a base, excipient, lubricant, preservative, etc. may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in various ways by mixing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s described above.
  • oral administration in the case of oral administration, it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tablets, troches, capsules, elixirs, suspensions, syrups, wafers, etc., and in the case of injections, it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unit dose ampoules or multiple doses. have.
  • it can be formulated as a solution, suspension, tablet, capsule,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 and the like.
  • examples of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suitable for formula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d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or mineral oil may be used.
  • fillers, anti-agglomeration agents, lubricants, wetting agents, fragrances, emulsifiers, preservatives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vaccin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t not limited to, oral,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erial, intramedullary, intrathecal, intracardiac, transdermal, subcutaneous, intraperitoneal, intranasal, intestinal, topical, sublingual or rectal.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s preferred.
  • parenteral includes subcutaneous, intradermal, intravenous, intramuscular, intra-articular, intra-synovial, intrasternal, intrathecal, intralesional and intracranial injection or infusion techniques.
  • 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a suppository for rectal administration.
  • the vaccin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activity of the specific compound used, age, weight, general health, sex, diet,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drug formulation, and the severity of the specific disease to be prevented or treated
  •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s condition, weight, disease severity, drug form, administration route and period,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0.0001 to 500 mg/day per day kg or 0.001 to 500 mg/kg.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the vaccin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s pills, dragees, capsules, solutions, gels, syrups, slurries, and suspensions.
  • the vaccin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previously known "adjuvant (adjuvant)".
  • adjuvant generally refers to any substance that increases the body's humoral and/or cellular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and any substance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but for example, Freund's It is possible to increase its immunity by further including an adjuvant or incomplete adjuvant.
  • optionally repeated antigen stimulation may be performed following the initial dose, if necessary.
  • a nano-dispersion was first prepared using a bacille Calmette-Guerin (BCG) strain (central vaccine). More specifically, after dispersing the strain in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the cells were disrupted using an ultrasonic disperser (Sonics & Materials).
  • BCG bacille Calmette-Guerin
  • BCG-CWS BCG-outer wall component
  • the obtained BCG-CWS was re-dispersed using ethanol, and then rapidly frozen using liquid nitrogen. And the frozen cells were prepared in powder form by removing ethanol using a freeze dryer.
  • BCG-CWS prepared in powder form was added to a 40 mM L-(+)-Lysine solution to a concentration of 1 mg/mL, and dispersed at 60 ° C. for 24 hours using an ultrasonic disperser to obtain BCG-CWS nano A dispersion was prepared.
  • the mechanism of action of the nanodispersion based on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iefly shown in FIG. 1 .
  • the BCG-CWS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dispersed in various surfactants and positively charged buffers.
  • BCG-CWS nanodispersion was mixed with surfactants such as sodium dodecyl sulfate (SDS), Tween, Pluronic F, PVA (polyvinyl alcohol), Span, and oleic acid and various types of positively charged buffers to confirm Each was added, and PDI (Polydispersity Index)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 BCG-CWS nano-dispersion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has immune cell activation properties
  • 1, BCG-CWS nano-dispersion in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BMDC) 5, 10, 25, and 50 ⁇ g/mL were treated respectively.
  • BMDC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 TNF- ⁇ tumor necrosis factor- ⁇
  • IL-6 interleukin-6
  • LPS lipopolysaccharide
  •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retion of TNF- ⁇ and IL-6 was increased in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treated with BCG-CWS nanodispersant, and through this,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based nanodispersion effectively activates immune cell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nano-dispersion based on the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 Example 3 Preparation of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using nano-dispersion based on pathogen outer wall components
  • aqueous layer was extracted from the mixed solution using 500 mL of DCM. The extraction process was repeated 3 times to obtain high purity. Then, the organic layer contained in the extracted solution was removed using 1 L of brine (high concentration of brine), and then 100 g of anhydrous Na 2 SO 4 (Sodium sulfate, anhydrous sodium sulfate, SIGMA). ) and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The dried material is put into column chromatography filled with 300 g of silica gel and extracted using an n-hexane solution containing 5 - 20% EtOAc to prepare a cholesterol compound. did.
  • resiquimod Resiquimod
  • DCM dimethyl methacrylate
  • TEA tetramethyl methacrylate
  • distilled water was added so as to be 20 times the volume of the total solution, and the aqueous layer was repeatedly extracted 5 times or more using 3.3 g of DCM.
  • the organic layer contained in the extracted solution was removed using 1 L of brine, and then dri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7 g of anhydrous Na 2 SO 4 .
  • the dried material was added to column chromatography filled with 100 g of silica gel, and extracted using an n-hexane solution supplemented with 10 - 50% EtOAc, and the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 and cholesterol were A conjugate was synthesized and named T7/8a.
  • BCG-CWS nanoparticle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prepare live pathogen-mimetic nano-molecules using BCG-CWS nanodispersion and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s
  • the dispersion and T7/8a were added and dissolved in a chloroform solution in a 1:1 ratio (w:w), and the solution was transferred to a round-bottom flask, and then the organic solvent was completely removed to form a film using a rotary evaporator. evaporated.
  • 40 mM L-(+)-Lysine solution to which Span-85 was adde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1% in the flask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BCG-CWS nanodispersion was 1 mg/mL, 300 at 60 ° C.
  • BCG-CWS nano-dispersion and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s were prepared to mimic a living pathogen mimicking nanoparticles, and named CWS-T7/8a.
  • the live pathogen mimicking nanoparticles had an average diameter of about 120 nm and were negatively charged.
  • BMDM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 -SLM 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and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 CWS-T7/8a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 the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primarily based on the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athogen, activating the cellular immune response through pathogen recognition, and then secondaryly delivered into the immune cell through phagocytosis and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s related to live/death signals of delivered live pathogen mimic nanoparticles are separated from cholesterol in endo-lysosome to activate signal transduction and cellular immune response It was confirmed that the cytokines involved in the inflammatory immune response were secreted from the immune cells through the action of activating the immune system (FIG. 1).
  • live pathogen mimic nanoparticles CWS-nanodispersion, resquimod (R848) (free drug), and CWS-nanodispersion and resquimod (R848) (free drug) drug
  •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 AST aspartate transaminase
  • ALT alanine transaminase
  • AST and ALT which are indicators of hepatotoxicity, were initially increased, but in the case of CWS-nanodisperse and live pathogen mimic nanoparticles, the concentrations of AST and ALT It was confirmed that almost no change.
  • the live pathogen mimicry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 little toxicity in the body, and not only effectively induce an inflammatory immune response in immune cells, but also increase the cellular immune response.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used as an immune activator.
  • Example 3 In order to use the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3 as a vaccine, 0.2 mg/mL of the antigen protein Ovalbumin (OVA) was mixed with the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in a 1:1 volume ratio, followed by a stirrer The mixture was stirred at 4 °C at a speed of 300 rpm for 30 minutes, allowing the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to interact with the antigen.
  • Ovalbumin Ovalbumin
  • CWS-nanodisperse, resquimod, and cholesterol-resquimod-containing liposomes T7/8a liposome
  • Example 4.1 In order to confirm the antigenicity and efficacy of the vaccin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1, 100 ⁇ L of the vaccine was injected twice at an interval of 2 weeks into C57BL/6 mice. And one week after the last injection, blood and spleen were extracted from the mice. Then, the extracted blood was centrifuged at 12,000 rpm to separate plasma, and the antibody titer (IgG titer)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7 .
  • the vaccine prepared using the live pathogen mimicking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high antibody titers in all indicators compared to the antigen alone or other controls.
  • splenocytes were extracted from the spleen extra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2 and 6-well plate (Corning ) to 1 ⁇ 10 6 cells. ) was seeded and incubated. Then, 40 ⁇ g of OVA was added to the cultured spleen cells and cultured for 2 days. Then, the supernatant of the cell culture medium was obtained, the concentration of IFN ⁇ was measured using ELISA, and CD4 + T cells and CD8 + T cells were measured using a flow cytometer (FAC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8 .
  • the vaccine prepared using the live pathogen mimicking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d the highest IFN ⁇ secretion and the ratio of CD4 + T cells and CD8 + T cells compared to the antigen alone or other controls. confirmed that.
  • PBMCs Peripheral Blood Monocytic Cells
  • recombinant S1 protein (Arigo) of SARS-CoV-2 was mixed with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in a 1:1 volume ratio, and then heated at 4 °C through a stirrer.
  • a vaccine was prepared by stirring at a speed of 300 rpm for 30 minutes so that the live pathogen mimicking nanoparticles and the antigen could interact.
  • the prepared vaccine was injected twice in 100 ⁇ L each to C57BL/6 mice at an interval of 2 weeks.
  • blood and spleen were extracted from the mice, and the efficacy of the vaccine was confi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s 4.2 and 4.3.
  •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0 .
  • the vaccine using the live pathogen mimicking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ratio and antibody titer of T cells, which are immune cells, compared to the vaccine using only the antigen, and through this, the live pathoge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icacy of the vaccine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using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in various existing vaccines.
  • the vaccin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1 was injected twice at 100 ⁇ L intervals in C57BL/6 mice at 1 week intervals. And a week later, 5 ⁇ 10 5 cells of B16-OVA cancer cells were subcutaneously injected into C57/BL6 mice to induce cancer, and the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cancer were confirm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1 .
  • the vaccine using the live pathogen-mimicking nanopart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 on cancer. I could confirm that I could.
  • the outer wall component of pathogens has a strong hydrophobic property and is dispersed only in the organic phase.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easily prepared in the form of various nanoparticles such as nanoliposomes, nanoemulsions, nanomicelles, and polymer nanoparticles by having a dispersed property.
  • the nano-dispersion based on the outer wall component of the pathogen prepa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immune cell activation effect of the pathogen itself, so it can be used to prepare various pharmaceutical formulatio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diseases as an immune activating therapeutic agent.
  • the nano-dispersion based on the component of the outer wall of the pathog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ily dispersed in aqueous solution, it can be prepared as a vaccine of various formulations, as well as by mixing with various antigens and/or adjuvants. Since it can significantly increase immunogenicity, it can be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immune activation of various diseases.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applicable to the field of vaccines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균의 외벽 성분(pathogen cell wall skeleto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균 외벽 성분의 동결 건조 제제, 상기 동결 건조 제제와 생병원체 효능을 유도할 수 있는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다양한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이의 용도, 이의 제조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용액에 용이하게 분산되는 병원균 외벽 성분의 동결 건조 제제와 생병원체 효능을 유도할 수 있는 면역활성화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이의 용도, 이의 제조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백신(vaccine)이란 인간을 비롯한 동물에 후천성 면역을 부여하는 의약품으로서, 사멸되거나 약독화된 병원체, 단백질, 합성 펩티드 등과 같은 면역원성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을 이용하여, 미생물 감염병은 물론 악성 종양(암), 알레르기 질환 등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백신은 생백신, 약독화백신, 사백신, 재조합 백신이 있으며, 이 중 생백신 및 약독화백신의 경우 바이러스의 제조 시일이 오래 걸리고 생산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성이 뛰어나고 생산 효율이 좋은 재조합 백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재조합 백신의 경우에는 기존 바이러스 유래 백신과 비교하여 면역원성이 낮아 치료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4-0041134). 이러한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이용한 새로운 대체 의약품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외벽 성분을 이용한 의약품 제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첫째, 대부분의 병원균의 외벽성분은 지용성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다양한 의약품 제형으로 개발하기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병원균 외벽성분을 이용한 백신 성분은 불활성화 사백신(killed or inactivated vaccine) 또는 약독화 백신(live attenuated vaccine)에 비해서 안전성(safety)은 우수하나, 면역원성이 약하다는 치명적인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면역 치료제의 개발을 위해서는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높은 안정성 및 우수한 면역원성을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한 병원균 기반 신규 개념의 백신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높은 안전성 및 높은 면역원성을 가지며, 동시에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가 가능한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이의 용도, 이의 제조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병원균 외벽 성분, 및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를 포함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는 일차적으로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기반으로 하여, 병원체 인식을 통하여 세포의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고, 이후 식포작용을 통하여 면역 세포의 내부로 전달된 후, 살아있는 병원균의 live/death 신호와 관련이 있는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가 작동되어 신호 전달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통하여 면역원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높은 면역원성을 가지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도 1).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 및 병원균의 외벽 성분(pathogen cell wall skeleton) 기반 나노분산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제공한다. 상기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는 활성화 부위에 지질이 결합되어 비활성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질은 바람직하게는 지방산(Fatty acids) 계열, 스테로이드(Steroids) 계열, 글리세라이드(Glycerides) 계열, 인지질(Phospholipids) 계열, 콜레스테롤(Cholesterol) 계열, 지용성 비타민(Fat-soluble vitamin) 계열 등이나, 상기 지질은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의 활성화 부위에 결합하여 비활성화 상태로 만드는 동시에,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가 체내에서 혈관으로 흡수되지 않게 하는 용도이기 때문에, 알려져 있는 지질의 종류라면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나노분산체는 지질 및 막단백질이 제거된 병원균 외벽 성분이 수용액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하며, 상기 수용액(aqueous solution)은 용매를 물로 하여 제조된 모든 용액을 총칭하며, 바람직하게는 완충용액(buffer), 양이온성 완충용액 등이나, 용매가 물이라면 제한이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병원균 외벽 성분은 종(species)과 균주(strain)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병원균을 물리적으로 파쇄한 후에 뉴클리에이즈(nuclease), 프로테이즈(protease) 및 유기용제 세척 등을 포함하는 정제과정(purification process)을 거쳐 얻어진 비가용성 잔여물들(insoluble residues)을 총칭하며, 일반적으로 생체고분자(biopolymer)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 예로, 긴-사슬지방산(long-chain fatty acid), 당사슬(sugar chain), 펩티도글리칸(peptide glyca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병원균의 외벽 성분에 포함되어 있는 요소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병원균 외벽 성분은 동결 건조되어 수용액에 쉽게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병원균은 질병을 유발하는 미생물을 총칭하며, 바람직하게는 병원성 세균(pathogenic bacteria), 바이러스(virus), 곰팡이(fungi) 등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BCG(bacille Calmette-Guerin) 균주, 미코박테리움속 세균, 노카르디아속 세균, 코리네박테리움속 세균, 로도코커스속 세균, 고르도나 속 세균, 코로나 바이러스 등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와 지질의 결합은 분리가 가능한(cleavable) 형태이며, 상기 분리가 가능한 형태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카바메이트(carbamate), 다이설파이드(disulfide), 에스터(ester), 펩타이드(peptide), 아자이드(azide), 아마이드(amide), 하이드라존(hydrazone), 티오이써(thioether), 포스포디에스터(phosphodiester), 티오케탈(thioketal), 이의 조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나, 종양미세환경, 또는 세포내의 엔도좀 및 라이소좀의 효소 및 pH에 반응하여, 결합 부위의 화학적 결합이 절단(cleavage)되는 형태이거나, 온도, redox potential, ROS, ATP, ultrasound, magnetic filed, light 등의 특정 자극에 의하여 절단이 되는 형태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는 상기 절단에 의하여 활성화 부위가 노출되어 4 일내에 동력학적으로 기능이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효소는 세포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효소라면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Acid phosphatase, Acid phyrophosphatase, Phosphodiesterase, Phosphoprotein phosphatase, Phosphatidic acid phosphatase, Arylsulfatase, Proteases, Cathepsins, Collagenase, Arylamidase, Peptidase, Acid ribonuclease, Acid deoxyribonuclease, Lipases, Triglyceride lipase, Phospholipase, Esterase, Carboxyesterase Clucocerebrosidase, Galactocerebrosidase, Sphingomyelinase, Glycosidases, alpha-Glucosidase, beta-Glucosidase, beta-Galactosidase, alpha-Mannosidase, alpha-ucosidase, beta-Xylosidase, alpha-N-Acetylhexosaminidase, beta-N-Acetylhexosaminidase, Sialidase, Lysozyme, Hyaluronidase, beta-Glucuronidase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는 바람직하게는 이미다조퀴놀린(imidazoquinoloine) 계열, 하이드록시아데닌(hydroxyadenine) 계열, 프테리돈(pteridone) 계열, 아미노피리미딘(aminopyrimidine) 계열, 벤조아제핀(benzoazepine) 계열, 타이아옥소구아노신(thia-oxoguanosine) 계열, 이들의 유사체(derivative) 등이나, 알려져 있는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병원균의 외벽 성분 기반 나노분산체가 구형의 나노 입자를 형성하고, 상기 구형의 나노 입자에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가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결합과 관계없이 내포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나노 입자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나노 입자 구조 사이에 끼어들어가 있는 형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정전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나노 입자에 포함될 수 있는 형태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 nm의 직경을 가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나노리포좀, 나노에멀젼, 나노마이셀, 고분자 나노 입자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체액성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물질, 세포성 면역을 활성화시키는 물질, 면역유도제(immunostimulatory agents), 면역보조제(아쥬번트, adjuvant) 등을 세포 외벽 성분 이외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agonist), 톨-유사 수용체 작용자(toll-like receptor agonist), 사포닌, 항바이러스성 펩티드, 인플라마좀 인듀서(inflammasome inducer), NOD 리간드(NOD 리간드), CDS 리간드(cytosolic DNA sensor ligand),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리간드, 항원, 에멀젼(emulsion), 알룸(Alum), 화학 항암제, 면역관문억제제, 이들의 조합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 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항원보강제(adjuvant)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면역항원보강제 조성물 및 항원을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항원은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재조합 단백질, 당단백질, 유전자, 펩티드, 다당류, 지질다당류, 폴리뉴클레오티드, 세포, 세포 용해물(lysate), 박테리아, 바이러스, 암 항원 등이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항원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환, 결핵, 암 등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암의 예방 또는 치료는 암의 증식, 전이, 재발 등을 억제하거나, 항암 치료 요법에 대한 내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암 치료 방법의 일환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방광암, 유방암, 대장암, 직장암, 폐암, 결장암, 갑상선암,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자궁경부암, 뇌암, 난소암, 신장암, 간암, 췌장암, 전립선암, 피부암, 혀암, 자궁암, 위암, 골암, 혈액암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화학 항암제 또는 면역관문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 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 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 입자의 질병의 예방 및/또는 치료에 이용되는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질병은 바람직하게는 감염성 질환, 결핵, 암 등이나, 본 발명의 나노 입자를 포함함으로써 기존 백신의 면역원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백신을 이용하여 예방 또는 치료를 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 질병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a) 병원균을 파쇄하는 단계; (b) 상기 파쇄물로부터 지질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지질이 제거된 파쇄물로부터 막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막단백질이 제거된 파쇄물을 원심분리하여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e) 상기 분리된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동결건조시켜 동결 건조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동결 건조 제제, 계면활성제 및 양전하성 완충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의 혼합물에 지질(lipid), 지질 결합체(lipid conjugates), 또는 활성화 부위에 지질이 결합된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를 첨가하고 초음파 처리하여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live pathogen-mimetic nano-molecules)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동결 건조 제제를 수용액에 안정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로는 대표적으로 SDS(sodium dodecyl sulfate), DMAB(didodecyldimethylammonium bromide), Pluronic F68, Pluronic F127, PVA(polyvinyl alcohol), Tween-80, Span-85, 올레인산(Oleic acid) 등과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계면활성제의 종류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동결 건조 제제를 수용액에 안정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양전하성 완충용액으로는 대표적으로 L-Lysine(L-Lys) 완충용액, L-Arginine(L-Arg) 완충용액, L-Histidine(L-His) 완충용액, L-Tyrosine(L-Tyr) 완충용액, L-Aspartic acid(L-Asp) 완충용액, L-Glutamine(L-Glu) 완충용액 등과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양전하성 완충용액의 종류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g) 단계 이후에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agonist), 톨-유사 수용체 작용자(toll-like receptor agonist), 사포닌, 항바이러스성 펩티드, 인플라마좀 인듀서(inflammasome inducer), NOD 리간드(NOD 리간드), CDS 리간드(cytosolic DNA sensor ligand),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리간드, 항원, 에멀젼(emulsion), 알룸(Alum), 화학 항암제, 면역관문억제제, 이들의 조합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질(lipid) 및 막단백질이 제거된 병원균의 외벽 성분(pathogen cell wall skeleton)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균 외벽 성분의 동결 건조 제제, 즉,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나노분산체는 일반적으로 강한 지용성 성분을 가지는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수용액에 용이하게 분산되게 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형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세포성 면역을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들을 손쉽게 포함시킴으로써, 병원균 외벽 성분을 이용하여 체액성 면역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세포성 면역도 함께 유도함으로써 기존 백신의 낮은 면역원성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세포 자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이용함으로써 감염성 질환, 결핵, 암 등의 다양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백신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나노분산체의 작용 기전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CG-CWS 나노분산체를 합성함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계면활성제와 양전하성 완충용액을 이용하였을 때 안정화된 정도를 확인한 도면이다. A는 non-detection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CG-CWS 나노분산체의 면역세포 활성화 특성을 ELISA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WS-T7/8a를 투과전자현미경 및 DL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WS-T7/8a 또는 그 구성 성분들을 각각 마우스의 면역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을 ELISA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ND는 non-detection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WS-T7/8a 또는 그 구성 물질들을 각각 마우스에 투여한 후에 시간에 따른 혈액 내 AST와 ALT 변화량을 ELISA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WS-T7/8a 또는 그 구성 물질들을 각각 항원과 혼합하여 마우스에 투여한 후에 항체가의 변화를 ELISA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WS-T7/8a 또는 그 구성 물질들을 각각 항원과 혼합하여 마우스에 투여한 후에 비장에서 세포성 면역의 활성화 정도를 유세포 분석기 및 ELISA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WS-T7/8a 또는 그 구성 물질들을 각각 항원과 혼합하여 마우스에 투여한 후에 혈액 내의 항원 특이적 T 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WS-T7/8a 또는 그 구성 물질들을 각각 코로나 바이러스(SARS-CoV-2) 재조합 단백질과 혼합하여 마우스에 투여한 후에 혈액 내의 항체가는 ELISA로, 비장에서의 세포성 면역 활성화 정도는 유세포 분석기 및 ELISA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WS-T7/8a 또는 그 구성 물질들을 각각 암 세포의 항원과 혼합하여 암 세포가 이식된 마우스에 투여한 후에 암의 성장이 억제되는 정도 및 생존률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WS-T7/8a 또는 그 구성 물질들을 각각 암 세포의 항원과 혼합하여 암의 발생이 유도된 마우스에 투여한 후에 암의 성장이 억제되는 정도 및 생존률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지질 및 막단백질이 제거된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균 외벽 성분의 동결 건조 제제는 강한 지용성을 가지고 있는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수용액에 용이하게 분산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포성 면역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 면역 활성화 물질, 화학 항암제 등 다양한 물질을 용이하게 포함시켜 나노리포좀, 나노마이셀, 고형 나노 입자, 나노에멀젼 등의 나노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질 및 막단백질이 제거된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병원균 외벽 성분의 동결 건조 제제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감염성 질환, 결핵, 암 등의 다양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백신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 물질(Toll-like receptor 7/8 agonist-based materials)”이란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의 작용자로서, 이미다조퀴놀린(imidazoquinoloine) 계열, 하이드록시아데닌(8-hydroxyadenine) 계열, 프테리돈(pteridone) 계열, 아미노피리미딘(2-aminopyrimidine) 계열, 벤조아제핀(benzoazepine) 계열, 타이아옥소구아노신(7-thia-8-oxoguanosine) 계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이미다조퀴놀린 계열의 화합물은 WO 2018 196823, WO 2011 049677, WO 2011 027022, WO 2017 102652, WO 2019 040491 등에서 언급된 유형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하이드록시아데닌 계열의 화합물은 WO 2012 080730, WO 2013 068438, WO 2019 036023, WO 2019 035969, WO 2019 035970, WO 2019 035971, WO 2019 035968, CN 108948016, US 2014 8846697, WO 2016 023511, WO 2017 133683, WO 2017 133686, WO 2017 133684, WO 2017 133687, WO 2017 076346, WO 2018 210298, WO 2018 095426, WO 2018 068593, WO 2018 078149, WO 2018 041763 등에서 언급한 유형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프테리돈 계열의 화합물은 US 2010 0143301, WO 2016 007765, WO 2016 044182, WO 2017 035230, WO 2017 219931, WO 2011 057148, CN 1087 94486 등에서 언급한 유형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미노피리미딘 계열 화합물은 WO 2010 133885, WO 2012066335, WO 2012 066336, WO 2012 067268, WO 2013 172479, WO 2012 136834, WO 2014 053516, WO 2014 053595, US 2018 0215720, WO 2012 156498, WO 2014 076221, WO 2016 141092, WO 2018 045144, WO 2015 014815, WO 2018 233648, WO 2014 207082, WO 2014 056593, WO 2018 002319, WO 2013 117615 등에서 언급한 유형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벤조아제핀 계열 화합물은 WO 2007 024612, WO 2010 014913, WO 2010 054215, WO 2011 022508, WO 2011 022509, WO 2012 097177, WO 2012 097173, WO 2016 096778, WO 2016 142250, WO 2017 202704, WO 2017 202703, WO 2017 216054, WO 2017 046112, WO 2017 197624 등에서 언급한 유형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타이아옥소구아노신 계열 화합물은 WO 2016 180691, WO 2016 055553, WO 2016 180743, WO 2016 091698 등에서 언급한 유형의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에도 PCT/US2009/035563, PCT/US2015/028264, PCT/US2016/020499, WO 2015 023598, PCT/US 2015/039776 등에서 언급한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화합물 또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추측하여 사용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이미퀴모드(Imiquimod), 레시퀴모드(Resiquimod), 닥토리십(Dactolisib), 가디퀴모드(Gardiquimod), 수마니롤(Sumanirole), 모톨리모드 (Motolimod), 베사톨리모드(vesatolimod), 록소리바인(loxoribine), SM360320, CL264, 3M-003, IMDQ, Compound 54 등의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의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활성화 부위에 지질이 결합(conjugation)된 다양한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는 국내공개특허인 10-2020-0097656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콜레스테롤과 같은 리피드 성분이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의 활성화 부위인 아민기(NH 2) 부위와 카바메이트(carbamate), 다이설파이드(disulfide), 에스터(ester), 펩타이드(peptide), 아자이드(azide), 아마이드(amide), 하이드라존(hydrazone), 티오이써(thioether), 포스포디에스터(phosphodiester), 티오케탈(thioketal)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결합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카바메이트 결합(반응식 1)과 다이설파이드 결합(반응식 2)를 나타낸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21002508-appb-img-000001
상기 R은 aliphatic 또는 aromatic 그룹을 포함하는 곁가지이며, -NH-、-CO-、-CONH-、-CSNH-、-COO-、-CSO-、-SO 2NH-、-SO 2-, -SO-, -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KR2021002508-appb-img-000002
상기 R은 aliphatic 또는 aromatic 그룹을 포함하는 곁가지 이며, -NH-、-CO-、-CONH-、-CSNH-、-COO-、-CSO-、-SO 2NH-、-SO 2-, -SO-, -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 물질(Toll-like receptor 7/8 agonist-based materials)”이란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의 작용자로서, single stranded ribonucleic acids (ssRNAs), guanosine(G)-rich, uridine(U)-rich 및 adenosine(A)-rich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small-interfering RNA(siRNA), microRNA (miRNA) 등의 네츄럴 리간드(natural ligands)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톨-유사 수용체 작용자(toll-like receptor agonist)”란 TLR-1을 통해 신호전달 반응을 야기시킬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일례로, 트리-아실화된 지질펩티드(LP); 페놀-가용성 모듈린(modulin);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지질펩티드; S-(2,3-비스(팔미토일옥시)-(2-RS)-프로필)-N-팔미토일-(R)-Cys-(S)-Ser-(S)-Lys(4)-OH; 보렐리아 부르그도르페이(Borrelia burgdorfei) 유래 지질펩티드; OspA 지질펩티드의 아세틸화된 아미노 말단을 모방하는 트리히드로클로라이드(Pam3Cys) 지질펩티드;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도 있다. 또는 Pam3Cys-Lip 등의 TLR-2 작용자일 수도 있고, Poly(I:C), Poly(ICLC), Poly(IC12U), ampligen 등의 TLR-2 작용자일 수도 있다. 또는 시겔라 플렉시네리(Shigella flexineri) 외막 단백질 제조물, AGP, CRX-527, MPLA, PHAD, 3D-PHAD, GLA 등과 같은 TLR-4 작용자일 수도 있으며, 또는 플라젤린(flagellin), 플라젤린 단편 등과 같은 TLR-5 작용자일 수도 있다. 또는 면역 자극성 올리뉴클레오티드 등과 같은 TLR-9 작용자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종사하는 사람이 용이하게 추측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톨-유사 수용체 작용자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포닌(saponin)”은 다양한 식물 종에 존재하는 양친매성 배당체(amphipathic glycoside)로서, 일례로 QS21, Quil A, QS7, QS17, β-에스킨, 디지토닌, 이들의 조합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항바이러스성 펩티드"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펩티드로서, 일례로 KLK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플라마좀 인듀서”는 TDB(trehalose-6,6-dibehenate), NLRC4, Nalp3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NOD 리간드”는 M-TriLYS(NOD2 아고니스트-합성 무라밀 트리펩티드), NOD2 아고니스트(N-glycolylated muramyldipeptid), mDAP, MDP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CDS 리간드”는 Poly(dA:dT)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STING 리간드”는 cGAMP, di-AMP, di-GMP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지질(lipid)"은 지방산(Fatty acids) 계열, 스테로이드(Steroids) 계열, 글리세라이드(Glycerides) 계열, 인지질(Phospholipids) 계열, 콜레스테롤(Cholesterol) 계열, 지용성 비타민(Fat-soluble vitamin) 계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지질 결합체"란 상기 지질과 결합되어 있는 모든 화합물을 총칭한다.
또한, 상기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물질은 각각의 복합 면역조절화 물질일 수 있으며, 일례로 CL401(TLR-2 및 TLR-7의 작용자), CL429(TLR-2 및 NOD2 작용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화학 항암제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이라면 제한이 없으며, 그 일례로 Paclitaxel, Docetaxel, 5-Flurouracil, Alendronate, Doxorubicin, Simvastatin, Hydrazinocurcumin, Amphotericin B, Ciprofloxacin, Rifabutin, Rifampicin, Efavirenz, Cisplatin, Theophyline, Pseudomonas exotoxin A, Zoledronic acid, Trabectedin, Siltuximab, Dasatinib, Sunitinib, Apatinib, 5,6-Dimethylxanthenone-4-acetic acid, Silibinin, PF-04136309, Trabectedin, Carlumab, BLZ945, PLX3397, Emactuzumab, AMG-820, IMC-CS4, GW3580, PLX6134, N-acetyl-l-cystein, Vitamin C, bortezomib, aspirin, salicylates, Indolecarboxamide derivatives, quinazoline analogues, Thalidomide, prostaglandin metabolites, 2ME2, 17-AAG, Camptothecin, Topotecan, Pleurotin, 1-methylpropyl, 2-imidazolyl dissulphide, Tadalafil, Sildenafil, L-AME, Nitroaspirin, Celecoxib, NOHA, Bardoxolone methyl, D,L-1-methyl-tryptophan, Gemcitabine, Axitinib, Sorafenib, Cucurbitacin B, JSI-124, Anti IL-17 antibodies, Anti-glycan antibodies, Anti-VEGF antibodies, Bevacizumab, Antracycline, Tasquinimod, Imatinib, cyclophosphamide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 있어서,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란 인체가 가지고 있는 면역 세포의 면역 기능을 활성화시켜 암 세포와 싸우게 하는 암 치료 방법을 총칭하며, 그 일례로 anti-PD-1, anti-PD-L1, anti-CTLA-4, anti-KIR, anti-LAG3, anti-CD137, anti-OX40, anti-CD276, anti-CD27, anti-GITR, anti-TIM3, anti-41BB, anti-CD226, anti-CD40, anti-CD70, anti-ICOS, anti-CD40L, anti-BTLA, anti-TCR, anti-TIGIT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항원(antigen)”이란 체내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모든 물질을 총칭하며, 바람직하게는 병원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 화합물질, 꽃가루, 암세포, 새우 등 또는 이들의 일부 펩타이드 또는 단백질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 항원 펩타이드이나, 체내에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항원은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재조합 단백질, 당단백질, 유전자, 펩티드, 다당류, 지질다당류, 폴리뉴클레오티드, 세포, 세포 용해물(lysate),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암 항원 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당백질은 항체, 항체의 단편, 구조 단백질, 조절 단백질, 전사인자, 독소 단백질, 호르몬, 호르몬 유사체, 효소, 효소의 단편, 수송 단백질, 수용체(receptor), 수용체의 단편, 생체방어 유도 물질, 저장 단백질, 이동 단백질(movement protein), 익스플로이티브 단백질(exploitive protein), 리포터 단백질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생체에서 항원으로 작용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백신(vaccine)"이란 생체에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항원을 함유하는 생물학적인 제제로서, 암, 결핵, 감염증 등의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사람이나 동물에 주사하거나 경구 투여함으로써 생체에 면역이 생기게 하는 면역원을 말한다. 상기 동물은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로서, 상기 비인간 동물은 돼지, 소, 말, 개, 염소, 양 등을 지칭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예방(prevention)”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감염성 질환, 결핵, 암 등의 질환을 억제시키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치료(treatment)”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감염성 질환, 결핵, 암 등의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체(individual)”란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수 있는 대상을 말하며, 그 대상에는 제한이 없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암(cancer)”이란 침윤에 의해 국부적으로 그리고 전이를 통해 체계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각종 혈액암, 악성 고형 종양 등을 총칭한다.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지만, 암의 구체적인 예로는 대장암, 부신암, 골암, 뇌암, 유방암, 기관지암, 결장암 및/또는 직장암, 담낭암, 위장관암, 두부 및 목의 암, 신장암, 후두암, 간암, 폐암, 신경조직암, 췌장암, 전립선암, 부갑상선암, 피부암, 위암, 갑상선암 등이 포함된다. 암의 다른 예로는, 선암, 선종, 기저 세포암, 자궁경부 이형성증 및 상피 내암, Ewing 육종, 편평세포암종, 액선 세포암, 악성 뇌종양, 모세포암, 장의 신경절신경종, 과다형성 각막신경암, 섬세포암, Kaposi 암, 평활근종, 백혈병, 림프종, 악성 암양종, 악성 흑색종, 악성 고칼슘혈증, Marpanoidhabitus 암, 수양암, 전이성 피부암, 점막 신경종, 골수이형성 증훈군, 골수종, 사상식육종, 신경아세포종, 골육종, 골원성 및 기타 육종, 난소암, 크롬 친화성 세포종, 진성 적혈구 증가증, 원발성 뇌종양, 소세포성 폐암, 궤양성 및 유두상 편평상피암, 정낭피종, 연조직 육종, 망막아종, 횡문근아세포종, 신세포 종양 또는 신세포암, 망상세포성 육종, 및 빌름스 종양이 포함된다. 또한 성상 세포종, 위장 기저 종양(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신경교종 또는 신경교아종,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 RCC),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 췌장 신경내분비암 등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백신 조성물(vaccine composition)"이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백신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백신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 현탁액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약제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투여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 투약 앰플 또는 다수회 투약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 제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또한 직장 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신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 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0 mg/kg 또는 0.001 내지 5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신 조성물은 추가로 기존에 알려져 있는 “아쥬번트(adjuva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쥬번트는 일반적으로 항원에 대한 체액 및/또는 세포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는 임의의 물질을 총칭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프로인트(Freund)의 완전 보조제 또는 불완전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그 면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신 조성물의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초기 용량에 이어 임의로 반복된 항원 자극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나노분산체의 제조
병원균의 외벽 성분(cell wall skeleton; CWS)을 기반으로 하는 나노분산체를 제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BCG(bacille Calmette-Guerin) 균주(중앙백신)를 이용하여 나노분산체를 제조하였다. 보다 자세하게는, 인산염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균주를 분산시킨 후에, 초음파 분산기(Sonics & Materials)를 이용하여 균체를 파쇄하였다. 그리고 1000 xg로 3분간 원심분리하여 파쇄된 균체를 획득한 후, 파쇄된 균체에 1 % Triton X-100 용액을 첨가하고 90 ℃에서 초음파 분산기(Emerson)를 이용하여 2 시간 동안 초음파를 가해주며 중탕하여 지질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10,000 xg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펠릿(pellet)에는 1 % SDS를 첨가하고 다시 90 ℃에서 초음파 분산기(Emerson)를 이용하여 2 시간 동안 초음파를 가해주며 중탕하여 막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후, 10,000 xg로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하여, 지질 및 막단백질 성분이 제거된 BCG-외벽 성분(BCG-CWS)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BCG-CWS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다시 분산시킨 후에,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급속 냉동하였다. 그리고 냉동된 균체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에탄올은 제거하고 파우더 형태로 제조하였다. 그리고 파우더 형태로 제조된 BCG-CWS를 1 mg/mL의 농도가 되도록 40 mM의 L-(+)-Lysine 용액에 첨가하고,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하여 60 ℃에서 24 시간 동안 분산시켜 BCG-CWS 나노분산체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나노분산체의 작용 기전은 도 1에 간략히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BCG의 외벽 성분은 강한 소수성 성질을 가지고 있어, 유기상에서만 분산되는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BCG-CWS는 다양한 계면활성제와 양전하성 완충용액(buffer)에 용이하게 분산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SDS(sodium dodecyl sulfate), Tween, Pluronic F, PVA(polyvinyl alcohol), Span, 올레인산(Oleic acid) 등의 계면활성제와 다양한 종류의 양전하성 완충용액에 BCG-CWS 나노분산체를 각각 첨가하고, PDI(Polydispersity Index)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BCG-CWS 나노분산체는 다양한 계면활성제와 양전하성 완충용액에 용이하게 분산되며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수용액에 분산되는 다양한 병원성 외벽 성분 기반 나노분산체를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나노분산체의 면역세포 활성화 특성 확인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BCG-CWS 나노분산체가 면역세포 활성화 특성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골수 유래 수지상세포(bone marrow-derived dendritic cells; BMDC)에 BCG-CWS 나노분산체를 1, 5, 10, 25, 및 50 μ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였다. 그리고 7 일 동안 배양하며 염증성 반응의 대표적인 지표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와 IL-6(interleukin-6)의 분비량을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LPS(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BCG-CWS 나노분산체를 처리한 골수 유래 수지상세포에서 TNF-α와 IL-6의 분비량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나노분산체가 면역세포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나노분산체를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나노분산체를 이용한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제조
3.1.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와 콜레스테롤 결합체의 합성
50 g(0.5 molar equivalent, AmBeed. USA)의 Bis(2,5-dioxopyrrolidin-1-yl)(disulfanediylbis(ethane-2,1-diyl))dicarbonate)와 1 L의 DCM(dichloromethane, 다이클로로메테인, SIGMA)을 상온에서 반응기(reactor)에 첨가하고 혼합하였다. 혼합된 용액에 콜레스테롤(Cholesterol) 49 g(0.55 molar equivalent, AVANTI Polar lipid)과 TEA(Triethylamine, 트리에틸아민, SIGMA) 23 g(1.0 molar equivalent)을 첨가하고 다시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5 L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500 mL의 DCM을 이용하여 혼합이 완료된 용액에서 수용성 층(aqueous layer)을 추출하였다. 높은 순도를 얻기 위해 상기 추출 과정을 3 회 반복하였다. 그리고 추출이 완료된 용액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층(organic layer)은 1 L의 brine(높은 농도의 소금물)을 이용하여 제거해준 후, 100 g의 anhydrous Na 2SO 4(Sodium sulfate, 무수 황산 나트륨, SIGMA)를 이용하여 감압하여 건조하였다. 건조가 완료된 물질은 300 g의 실리카 겔(silica gel)이 충진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Column chromatography)에 넣고, 5 - 20 %의 EtOAc가 첨가된 n-헥산 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콜레스테롤 화합물을 준비하였다. 이후,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Toll-like receptor 7/8 agonist; TLR 7/8 agonist)와 콜레스테롤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 중의 하나인 레시퀴모드(Resiquimod) 7.0 g과 DCM 6.5 g, 콜레스테롤 화합물 0.6 g, 및 TEA 0.3 g을 상온에서 반응기에 첨가하고 10 시간 이상 교반하였다. 이후 전체 용액 부피의 20 배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해준 후, 3.3 g의 DCM을 이용하여 수용성 층을 5 회 이상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이 완료된 용액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 층은 1 L의 brine을 이용하여 제거해준 후에 7 g의 anhydrous Na 2SO 4를 이용하여 감압하여 건조하였다. 건조된 물질은 100 g의 실리카 겔이 충진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첨가하고, 10 - 50 %의 EtOAc가 첨가된 n-헥산 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와 콜레스테롤의 결합체를 합성하였으며, 이를 T7/8a라 명명하였다.
3.2. BCG-CWS 나노분산체 및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를 포함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제조
BCG-CWS 나노분산체 및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를 이용하여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live pathogen-mimetic nano-molecules)를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BCG-CWS 나노분산체와 T7/8a를 1 : 1 비율(w:w)로 클로로포름 용액에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옮겨 담은 후, 회전증발농축기를 이용하여 필름 형태가 되도록 유기용매를 완전히 증발시켰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크에 최종 농도가 1 %가 되도록 Span-85가 첨가된 40 mM의 L-(+)-Lysine 용액을 BCG-CWS 나노분산체가 1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해준 후 60 ℃에서 300 rpm으로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완전히 분산시켰다. 그리고 1 시간 동안 안정화시켜 BCG-CWS 나노분산체 및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를 포함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제조하였으며, CWS-T7/8a라 명명하였다.
3.3.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특성 확인
DLS(dynamic light scattering)와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는 약 120 nm의 평균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음전하를 띠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3.4.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면역 반응 활성화 효과 확인
실시예 3.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가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골수 유래 수지상 세포와 골수 유래 대식 세포(Bone marrow-derived macrophage, BMDM)에 CWS 나노분산체(CWS-SLM), T7/8a, 그리고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CWS-T7/8a)를 각각 다른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하였다. 그리고 7 일 동안 배양하며 염증성 반응의 대표적인 지표인 TNF-α, IL-6, 및 IL-12의 분비량을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후 모든 실험은 최소 세 번 이상 반복하였으며, 결과는 평균값 ±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s t-test로 확인하였고, *는 P < 0.05, **는 P < 0.01, ***는 P < 0.001, ****는 P < 0.0001을 나타낸다. P < 0.05이면,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면역 세포에서 염증성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인 TNF-α와 IL-6의 분비가 크게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포성 면역 반응의 중요 지표인 IL-12(p70)의 분비도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는 일차적으로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기반으로 하여, 병원체 인식을 통한 세포성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키고, 이후, 이차적으로 식포작용을 통하여 면역 세포 내부로 전달되고, 전달된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live/death 신호와 관련이 있는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가 엔도라이소좀(endo-lysosome)내에서 콜레스테롤과 분리되어 신호 전달 및 세포성 면역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통하여 면역 세포에서 염증성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이 분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3.5.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독성 평가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CWS-나노분산체, 레스퀴모드(R848)(free drug), 그리고 CWS-나노분산체와 레스퀴모드(R848)(free drug)를 각각 레스퀴모드의 농도가 25 μg이 되도록 50 μL의 인산염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에 첨가해준 후에, C57BL/6 마우스의 오른쪽 옆구리에 피하 주사하였다. 그리고 시간 간격에 따라 마우스로부터 혈액을 추출하고, 12,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ELISA를 이용하여 분리된 혈장 내에 포함되어 있는 AST(aspartate transaminase)와 ALT(alanine transaminase)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free drug로서 레스퀴모드를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초기에 간독성의 지표인 AST와 ALT가 증가되나, CWS-나노분산체와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경우에는 AST 및 ALT의 농도가 거의 변화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는 체내에서 거의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면역 세포에서 염증성 면역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뿐만 아니라, 세포성 면역 반응 또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면역 활성화제로 사용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생병원체 모방 나노입자를 활용한 백신의 제조 및 응용
4.1.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백신의 제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백신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항원 단백질인 Ovalbumin(OVA) 0.2 mg/mL을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와 1:1 부피비로 혼합하여준 후에, 교반기를 통하여 4 ℃에서 300 rpm의 속도로 30 분간 교반하여,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와 항원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CWS-나노분산체, 레스퀴모드, 그리고 콜레스테롤-레스퀴모드 결합체를 포함하는 리포좀(T7/8a liposome)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항원 단백질과 반응시켜 준비하였다.
4.2.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백신의 항체 생성 효능 확인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백신의 항원성 및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에 백신을 2 주 간격으로 100 μL씩 2회 주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사하고 일주일 후에, 마우스로부터 혈액과 비장(spleen)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혈액을 12,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분리하고, 항체가(IgG titer)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하여 제조된 백신이 항원 단독, 또는 다른 대조군들과 비교하여 모든 지표에서 높은 항체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4.3.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백신의 T 세포 활성화 효능 확인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백신의 T 세포 활성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4.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비장으로부터 비장세포(splenocyte)를 추출하여 1×10 6 cells가 되도록 6-well plate(Corning)에 씨딩하고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양된 비장 세포에 OVA 40 μg을 첨가하고, 2 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세포 배양액의 상층액을 획득하여, ELISA를 이용하여 IFNγ의 농도를 측정하고, 유세포 분석기(FACS)를 이용하여 CD4 + T 세포와 CD8 + T 세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하여 제조된 백신이 항원 단독, 또는 다른 대조군들과 비교하여 IFNγ 분비량 및 CD4 + T 세포와 CD8 + T 세포의 비율이 모두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4.4.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백신의 항원 특이적 T 세포 생성 효능 확인
항원 특이적 T 세포의 생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4.2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혈액으로부터 Percoll을 이용하여 PBMC(Peripheral Blood Monocytic Cell)를 분리하였다. 그리고 OVA의 작용 부위로 알려져 있는 SIINFEKLE과 반응하는 형광 항체(Fluorescence antibody)를 PBMC에 처리하고,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하여 제조된 백신이 항원 단독, 또는 다른 대조군들과 비교하여 혈액 내의 항원 특이적 T 세포의 비율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4.5.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코로나 백신의 제조 및 효능 확인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코로나 백신을 제조하기 위하여, SARS-CoV-2의 재조합 S1 단백질(Arigo)을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와 1:1 부피비로 혼합하여준 후에, 교반기를 통하여 4 ℃에서 300 rpm의 속도로 30 분간 교반하여,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와 항원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백신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제조된 백신을 C57BL/6 마우스에 2 주 간격으로 100 μL 씩 2 회 주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사하고 일주일 후에, 마우스로부터 혈액과 비장을 추출하고, 실시예 4.2 및 실시예 4.3과 동일한 방법으로 백신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원을 단독으로 투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모든 지표에서 높은 항체가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원을 단독으로 투여한 대조군에서는 PBS와 유사한 IFNγ 분비량 및 CD4 + T 세포와 CD8 + T 세포의 비율을 나타내는 반면,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코로나 백신의 경우에는 IFNγ 분비량 및 CD4 + T 세포와 CD8 + T 세포의 비율이 모두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백신은 항원만을 이용한 백신과 비교하여, 면역 세포인 T 세포의 비율 및 항체가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다양한 기존 백신에 활용하여 백신 효능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항암 면역치료 효과 확인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백신의 암 예방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백신을 C57BL/6 마우스에 1 주 간격으로 100 μL 씩 2 회 주사하였다. 그리고 일주일 후에 5×10 5 cells의 B16-OVA 암 세포를 C57/BL6 마우스에 피하주사하여, 암을 유발시키고 암의 성장 및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백신을 접종한 실험군의 경우에는 암의 성장이 저해되었으며, 생존률도 유의성 있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백신의 암 치료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C57BL/6 마우스에 5×10 5 cells의 B16-OVA 암 세포를 피하주사하여 암을 유발시키고, 암의 크기가 50 mm 3에 도달하였을 때, 실시예 4.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백신을 1 주 간격으로 100 μL 씩 2 회 주사하였다. 그리고 암의 성장 및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암의 성장은 50 mm 3에서 증가된 암의 크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백신을 접종한 실험군의 경우에는 암의 성장이 저해되었으며, 생존률도 유의성 있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백신은 암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를 활용한 백신을 면역항암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병원균의 외벽 성분은 강한 소수성 성질을 가지고 있어 유기상에서만 분산되는 특징을 가지나,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나노분산체는 지용성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용액에 용이하게 분산되는 성질을 가짐으로써 나노리포좀, 나노에멀젼, 나노마이셀, 고분자 나노 입자 등 다양한 나노 입자 형태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나노분산체는 병원균 자체의 면역세포 활성화 효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의약품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면역 활성화 치료제로서 다양한 질환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나노분산체에 추가적으로 다양한 아쥬번트를 포함함으로써 체액성 면역뿐만 아니라 세포성 면역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도 있고, 그 면역원성 효과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기반으로 하는 나노분산체는 수용액에 용이하게 분산되므로, 다양한 제형의 백신으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항원(antigen) 및/또는 아쥬번트(adjuvant)와 혼합함으로써 면역원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질환의 면역 활성화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백신 분야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1)

  1.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 및 병원균의 외벽 성분(pathogen cell wall skeleton) 기반 나노분산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로서,
    상기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는 활성화 부위에 지질이 결합되어 비활성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균 외벽 성분은 동결 건조된 병원균 외벽 성분을 수용액에 분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3. 제 1 항에서,
    상기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와 지질의 결합은 분리가 가능한(cleavable)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 가능한 형태의 결합은 카바메이트(carbamate), 다이설파이드(disulfide), 에스터(ester), 펩타이드(peptide), 아자이드(azide), 아마이드(amide), 하이드라존(hydrazone), 티오이써(thioether), 포스포디에스터(phosphodiester), 티오케탈(thioketal)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는 이미다조퀴놀린(imidazoquinoloine) 계열, 하이드록시아데닌(hydroxyadenine) 계열, 프테리돈(pteridone) 계열, 아미노피리미딘(aminopyrimidine) 계열, 벤조아제핀(benzoazepine) 계열, 타이아옥소구아노신(thia-oxoguanosine) 계열 및 이들의 유사체(derivativ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와 지질의 결합은 종양미세환경, 또는 세포내의 엔도좀 및 라이소좀의 효소 및 pH에 반응하여, 결합 부위의 화학적 결합이 절단(cleavage)되고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의 활성화 부위가 노출되어 4 일내에 동력학적으로 기능이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20 내지 500 nm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나노리포좀, 나노에멀젼, 나노마이셀, 및 고분자 나노 입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입자는 톨-유사 수용체 작용자(toll-like receptor agonist), 사포닌, 항바이러스성 펩티드, 인플라마좀 인듀서(inflammasome inducer), NOD 리간드(NOD 리간드), CDS 리간드(cytosolic DNA sensor ligand),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리간드, 항원, 알룸(Alum), 화학 항암제, 면역관문억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10. 제 1 항의 나노 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항원보강제(adjuvant) 조성물.
  11. 제 10 항의 면역항원보강제 조성물 및 항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백신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항원은 단백질, 재조합 단백질, 당단백질, 유전자, 펩티드, 다당류, 지질다당류, 폴리뉴클레오티드, 세포, 세포 용해물(lysate),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화학 항암제 또는 면역관문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암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백신 조성물은 암의 증식, 전이, 재발 또는 항암 치료 요법에 대한 내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조성물.
  16. (a) 병원균을 파쇄하는 단계;
    (b) 상기 파쇄물로부터 지질을 제거하는 단계;
    (c) 상기 지질이 제거된 파쇄물로부터 막단백질을 제거하는 단계;
    (d) 상기 막단백질이 제거된 파쇄물을 원심분리하여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분리하는 단계;
    (e) 상기 분리된 병원균의 외벽 성분을 동결건조시켜 동결 건조 제제를 제조하는 단계;
    (f) 상기 동결 건조 제제, 계면활성제 및 양전하성 완충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의 혼합물에 지질(lipid), 지질 결합체(lipid conjugates), 또는 활성화 부위에 지질이 결합된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를 첨가하고 초음파 처리하여 나노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은 (g) 단계 이후에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agonist), 톨-유사 수용체 작용자(toll-like receptor agonist), 사포닌, 항바이러스성 펩티드, 인플라마좀 인듀서(inflammasome inducer), NOD 리간드(NOD 리간드), CDS 리간드(cytosolic DNA sensor ligand), STING(stimulator of interferon genes) 리간드, 항원, 알룸(Alum), 화학 항암제, 면역관문억제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첨가하고 혼합하여 초음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계면활성제는 SDS(sodium dodecyl sulfate), DMAB(didodecyldimethylammonium bromide), Pluronic F68, Pluronic F127, PVA(polyvinyl alcohol), Tween-80, Span-85, 올레인산(Oleic acid)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양전하성 완충용액은 L-Lysine(L-Lys) 완충용액, L-Arginine(L-Arg) 완충용액, L-Histidine(L-His) 완충용액, L-Tyrosine(L-Tyr) 완충용액, L-Aspartic acid(L-Asp) 완충용액, L-Glutamine(L-Glu) 완충용액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의 제조 방법.
  20. 제 1 항의 나노 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
  21. 제 1 항의 나노 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PCT/KR2021/002508 2020-03-02 2021-02-26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WO20211776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21231160A AU2021231160A1 (en) 2020-03-02 2021-02-26 Live-pathogen-mimetic nanoparticles based on pathogen cell wall skelet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N202180018664.9A CN115666637A (zh) 2020-03-02 2021-02-26 基于病原体细胞壁骨架的模拟活病原体的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
US17/909,066 US20230100429A1 (en) 2020-03-02 2021-02-26 Live-pathogen-mimetic nanoparticles based on pathogen cell wall skelet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CA3170551A CA3170551A1 (en) 2020-03-02 2021-02-26 Live-pathogen-mimetic nanoparticles based on pathogen cell wall skelet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22552767A JP2023516372A (ja) 2020-03-02 2021-02-26 病原菌外壁成分基盤の生病原体模倣ナノ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21765344.3A EP4115901A4 (en) 2020-03-02 2021-02-26 MIMETIC NANOPARTICLES OF LIVING PATHOGEN BASED ON PATHOGEN CELL WALL SKELET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780 2020-03-02
KR20200025780 2020-03-02
KR1020210026013A KR20210111170A (ko) 2020-03-02 2021-02-25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21-0026013 2021-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679A1 true WO2021177679A1 (ko) 2021-09-10

Family

ID=7761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2508 WO2021177679A1 (ko) 2020-03-02 2021-02-26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00429A1 (ko)
EP (1) EP4115901A4 (ko)
JP (1) JP2023516372A (ko)
CN (1) CN115666637A (ko)
AU (1) AU2021231160A1 (ko)
CA (1) CA3170551A1 (ko)
WO (1) WO2021177679A1 (ko)

Citations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4612A2 (en) 2005-08-19 2007-03-01 Array Biopharma Inc. 8-substituted benzoazepines as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0014913A1 (en) 2008-08-01 2010-02-04 Ventirx Pharmaceuticals, Inc. Toll-like receptor agonist formulations and their use
WO2010054215A1 (en) 2008-11-06 2010-05-14 Ventirx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synthesis of benzazepine derivatives
US20100143301A1 (en) 2008-12-09 2010-06-10 Gilead Sciences, Inc. Modulators of toll-like receptors
WO2010133885A1 (en) 2009-05-21 2010-11-25 Astrazeneca Ab Novel pyrim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and further diseases
WO2011022508A2 (en) 2009-08-18 2011-02-24 Ventir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benzoazepines as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1022509A2 (en) 2009-08-18 2011-02-24 Ventir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benzoazepines as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1027022A1 (en) 2009-09-03 2011-03-10 Kone Corporation Door arrangement and guide of a door
WO2011049677A1 (en) 2009-09-02 2011-04-28 Irm Llc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tlr activity modulators
WO2011057148A1 (en) 2009-11-05 2011-05-12 Irm Llc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tlr-7 activity modulators
WO2012066335A1 (en) 2010-11-19 2012-05-24 Astrazeneca Ab Phenol compounds als toll -like receptor 7 agonists
WO2012066336A1 (en) 2010-11-19 2012-05-24 Astrazeneca Ab Benzylamine compounds as toll -like receptor 7 agonists
WO2012067268A1 (en) 2010-11-19 2012-05-24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Cyclic amide compound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disease
WO2012080730A1 (en) 2010-12-17 2012-06-21 Astrazeneca Ab Purine derivatives
WO2012097173A2 (en) 2011-01-12 2012-07-19 Ventir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benzoazepines as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2097177A2 (en) 2011-01-12 2012-07-19 Ventir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benzoazepines as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2136834A1 (en) 2011-04-08 2012-10-11 Janssen R&D Ireland Pyrim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2156498A1 (en) 2011-05-18 2012-11-22 Janssen R&D Ireland Quinazol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and further diseases
WO2013068438A1 (en) 2011-11-09 2013-05-16 Janssen R&D Ireland Pur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3117615A1 (en) 2012-02-08 2013-08-15 Janssen R&D Ireland Piperidino-pyrim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3172479A1 (en) 2012-05-18 2013-11-21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Carboxylic acid compounds
KR20140041134A (ko) 2012-09-27 2014-04-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 나노입자 기반의 복합백신
WO2014053516A1 (en) 2012-10-01 2014-04-10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1,2,4-triaz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4053595A1 (en) 2012-10-05 2014-04-10 Janssen R&D Ireland Acylaminopyrim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and further diseases
WO2014056593A1 (de) 2012-10-12 2014-04-17 Audi Ag Verfahren zum konfigurieren einer steuereinheit, steuereinheit und fahrzeug
WO2014076221A1 (en) 2012-11-16 2014-05-22 Janssen R&D Ireland Heterocyclic substituted 2-amino-quinazol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US8846697B2 (en) 2006-05-31 2014-09-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urine analogs
WO2014207082A1 (en) 2013-06-27 2014-12-31 Janssen R&D Ireland Pyrrolo[3,2-d]pyrim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and other diseases
WO2015014815A1 (en) 2013-07-30 2015-02-05 Janssen R&D Ireland THIENO[3,2-d]PYRIMIDINES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5023598A1 (en) 2013-08-12 2015-02-19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Inc. Wall-moun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positioning objects
WO2016007765A1 (en) 2014-07-11 2016-01-14 Gilead Sciences, Inc. Modulators of toll-like receptors for the treatment of hiv
WO2016023511A1 (zh) 2014-08-15 2016-02-18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作为tlr7激动剂的吡咯并嘧啶化合物
WO2016044182A1 (en) 2014-09-16 2016-03-24 Gilead Sciences, Inc. Solid forms of a toll-like receptor modulator
WO2016055553A1 (en) 2014-10-11 2016-04-14 F. Hoffmann-La Roche Ag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WO2016091698A1 (en) 2014-12-08 2016-06-16 F. Hoffmann-La Roche Ag 3-substituted 5-amino-6h-thiazolo[4,5-d]pyrimidine-2,7-dion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WO2016096778A1 (en) 2014-12-18 2016-06-23 F. Hoffmann-La Roche Ag Benzazepine sulfonamide compounds
WO2016141092A1 (en) 2015-03-04 2016-09-09 Gilead Sciences, Inc. Toll-like receptor modulating 4,6-diamino-pyrido[3,2-d]pyrimidine compounds
WO2016142250A1 (en) 2015-03-06 2016-09-15 F. Hoffmann-La Roche Ag Benzazepine dicarboxamide compounds
WO2016180743A1 (en) 2015-05-12 2016-11-17 F. Hoffmann-La Roche Ag Novel substituted aminothiazolopyrimidinedione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WO2016180691A1 (en) 2015-05-08 2016-11-17 F. Hoffmann-La Roche Ag Novel oxathiolane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WO2017035230A1 (en) 2015-08-26 2017-03-02 Gilead Sciences, Inc. Deuterated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7046112A1 (en) 2015-09-17 2017-03-23 F. Hoffmann-La Roche Ag Sulfinylphenyl or sulfonimidoylphenyl benzazepines
WO2017076346A1 (zh) 2015-11-05 2017-05-11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作为tlr7激动剂的7-(噻唑-5-基)吡咯并嘧啶化合物
WO2017102652A1 (en) 2015-12-14 2017-06-22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egylated imidazoquinolines as tlr7 and tlr8 agonists
WO2017133686A1 (zh) 2016-02-05 2017-08-10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吡咯并[3,2-d]嘧啶类化合物的制备方法及其中间体
WO2017133687A1 (zh) 2016-02-05 2017-08-10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tlr7激动剂的三氟乙酸盐、晶型b、制备方法和用途
WO2017133684A1 (zh) 2016-02-05 2017-08-10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tlr7激动剂的晶型a、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7133683A1 (zh) 2016-02-05 2017-08-10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tlr7激动剂的马来酸盐、其晶型c、晶型d、晶型e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7197624A1 (en) 2016-05-19 2017-11-23 Shenzhen Hornetcorn Biotechnology Company,Co., Ltd Purine-scaffold tlr7 ligands and conjugate thereof
WO2017202703A1 (en) 2016-05-23 2017-11-30 F. Hoffmann-La Roche Ag Benzazepine dicarboxamide compounds with secondary amide function
WO2017202704A1 (en) 2016-05-23 2017-11-30 F. Hoffmann-La Roche Ag Benzazepine dicarboxamide compounds with tertiary amide function
WO2017216054A1 (en) 2016-06-12 2017-12-21 F. Hoffmann-La Roche Ag Dihydropyrimidinyl benzazepine carboxamide compounds
WO2017219931A1 (zh) 2016-06-22 2017-12-28 四川科伦博泰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二氢蝶啶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用途
WO2018002319A1 (en) 2016-07-01 2018-01-04 Janssen Sciences Ireland Uc Dihydropyranopyrimidin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8041763A1 (en) 2016-08-29 2018-03-08 F. Hoffmann-La Roche Ag 7-substituted sulfonimidoylpurinon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WO2018045144A1 (en) 2016-09-02 2018-03-08 Gilead Sciences, Inc. Toll like receptor modulator compounds
WO2018068593A1 (zh) 2016-10-12 2018-04-19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大尺寸照片加载方法及系统
WO2018078149A1 (en) 2016-10-31 2018-05-03 F. Hoffmann-La Roche Ag Novel cyclicsulfonimidoylpurinone compounds an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WO2018095426A1 (zh) 2016-11-28 2018-05-31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吡唑并杂芳基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US20180215720A1 (en) 2017-01-30 2018-08-02 Sunil Abraham David Pyrimidines and uses thereof
KR20180093813A (ko) * 2017-02-13 2018-08-22 단디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이미다조퀴놀린계열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의 용도
WO2018196823A1 (en) 2017-04-27 2018-11-01 Birdie Biopharmaceuticals, Inc. 2-amino-quinoline derivatives
CN108794486A (zh) 2017-05-05 2018-11-13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稠环基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WO2018210298A1 (zh) 2017-05-18 2018-11-22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杂芳基并吡唑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CN108948016A (zh) 2017-05-19 2018-12-07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嘌呤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WO2018233648A1 (zh) 2017-06-21 2018-12-27 南京明德新药研发股份有限公司 作为TLR8激动剂的异噻唑并[4,3-d]嘧啶-5,7-二胺衍生物
WO2019035970A1 (en) 2017-08-16 2019-0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6-AMINO-7,9-DIHYDRO-8H-PURIN-8-ONE DERIVATIVES FOR USE AS TOLL 7 RECEPTOR IMMUNOSTIMULATING AGONISTS (TLR7)
WO2019035969A1 (en) 2017-08-16 2019-0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 RECEPTOR 7 (TLR7) AGONISTS COMPRISING A TRICYCLIC FRAGMENT, CONJUGATES CONTAINING SAME, RELATED METHODS AND USES THEREOF
WO2019035971A1 (en) 2017-08-16 2019-0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6-AMINO-7,9-DIHYDRO-8H-PURIN-8-ONE DERIVATIVES AS TOLL 7 RECEPTOR IMMUNOSTIMULATING AGONISTS (TLR7)
WO2019036023A1 (en) 2017-08-16 2019-0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6-AMINO-7,9-DIHYDRO-8H-PURIN-8-ONE DERIVATIVES AS IMMUNOSTIMULANT TOLL (TLR7) RECEPTOR 7 AGONISTS
WO2019035968A1 (en) 2017-08-16 2019-0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6-AMINO-7,9-DIHYDRO-8H-PURIN-8-ONE DERIVATIVES AS TOLL RECEPTOR 7 (TLR7) AGONISTS AS IMMUNOSTIMULANTS
WO2019040491A1 (en) 2017-08-22 2019-02-28 Dynavax Technologies Corporation MODIFIED ALKYL CHAIN IMIDAZOQUINOLINE TLR7 / 8 AGONIST COMPOUNDS AND USES THEREOF
KR20190061741A (ko) * 2017-11-28 2019-06-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톨-유사 수용체3 리간드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기반 면역 자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25780A (ko) 2018-08-31 2020-03-10 이금기 엘리베이터 상부용 안전난간
KR20200097656A (ko) 2019-02-08 2020-08-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와 콜레스테롤의 결합체 및 그 용도
KR20210026013A (ko)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인텍메디 다기능 체외진단기기

Patent Citations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4612A2 (en) 2005-08-19 2007-03-01 Array Biopharma Inc. 8-substituted benzoazepines as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US8846697B2 (en) 2006-05-31 2014-09-3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urine analogs
WO2010014913A1 (en) 2008-08-01 2010-02-04 Ventirx Pharmaceuticals, Inc. Toll-like receptor agonist formulations and their use
WO2010054215A1 (en) 2008-11-06 2010-05-14 Ventirx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synthesis of benzazepine derivatives
US20100143301A1 (en) 2008-12-09 2010-06-10 Gilead Sciences, Inc. Modulators of toll-like receptors
WO2010133885A1 (en) 2009-05-21 2010-11-25 Astrazeneca Ab Novel pyrim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and further diseases
WO2011022508A2 (en) 2009-08-18 2011-02-24 Ventir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benzoazepines as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1022509A2 (en) 2009-08-18 2011-02-24 Ventir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benzoazepines as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1049677A1 (en) 2009-09-02 2011-04-28 Irm Llc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tlr activity modulators
WO2011027022A1 (en) 2009-09-03 2011-03-10 Kone Corporation Door arrangement and guide of a door
WO2011057148A1 (en) 2009-11-05 2011-05-12 Irm Llc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tlr-7 activity modulators
WO2012066335A1 (en) 2010-11-19 2012-05-24 Astrazeneca Ab Phenol compounds als toll -like receptor 7 agonists
WO2012066336A1 (en) 2010-11-19 2012-05-24 Astrazeneca Ab Benzylamine compounds as toll -like receptor 7 agonists
WO2012067268A1 (en) 2010-11-19 2012-05-24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Cyclic amide compound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disease
WO2012080730A1 (en) 2010-12-17 2012-06-21 Astrazeneca Ab Purine derivatives
WO2012097173A2 (en) 2011-01-12 2012-07-19 Ventir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benzoazepines as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2097177A2 (en) 2011-01-12 2012-07-19 Ventirx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benzoazepines as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2136834A1 (en) 2011-04-08 2012-10-11 Janssen R&D Ireland Pyrim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2156498A1 (en) 2011-05-18 2012-11-22 Janssen R&D Ireland Quinazol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and further diseases
WO2013068438A1 (en) 2011-11-09 2013-05-16 Janssen R&D Ireland Pur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3117615A1 (en) 2012-02-08 2013-08-15 Janssen R&D Ireland Piperidino-pyrim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3172479A1 (en) 2012-05-18 2013-11-21 Dainippon Sumitomo Pharma Co., Ltd. Carboxylic acid compounds
KR20140041134A (ko) 2012-09-27 2014-04-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백질 나노입자 기반의 복합백신
WO2014053516A1 (en) 2012-10-01 2014-04-10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1,2,4-triaz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4053595A1 (en) 2012-10-05 2014-04-10 Janssen R&D Ireland Acylaminopyrim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and further diseases
WO2014056593A1 (de) 2012-10-12 2014-04-17 Audi Ag Verfahren zum konfigurieren einer steuereinheit, steuereinheit und fahrzeug
WO2014076221A1 (en) 2012-11-16 2014-05-22 Janssen R&D Ireland Heterocyclic substituted 2-amino-quinazol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4207082A1 (en) 2013-06-27 2014-12-31 Janssen R&D Ireland Pyrrolo[3,2-d]pyrimid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and other diseases
WO2015014815A1 (en) 2013-07-30 2015-02-05 Janssen R&D Ireland THIENO[3,2-d]PYRIMIDINES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5023598A1 (en) 2013-08-12 2015-02-19 Dirtt Environmental Solutions Inc. Wall-moun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positioning objects
WO2016007765A1 (en) 2014-07-11 2016-01-14 Gilead Sciences, Inc. Modulators of toll-like receptors for the treatment of hiv
WO2016023511A1 (zh) 2014-08-15 2016-02-18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作为tlr7激动剂的吡咯并嘧啶化合物
WO2016044182A1 (en) 2014-09-16 2016-03-24 Gilead Sciences, Inc. Solid forms of a toll-like receptor modulator
WO2016055553A1 (en) 2014-10-11 2016-04-14 F. Hoffmann-La Roche Ag Compound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WO2016091698A1 (en) 2014-12-08 2016-06-16 F. Hoffmann-La Roche Ag 3-substituted 5-amino-6h-thiazolo[4,5-d]pyrimidine-2,7-dion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WO2016096778A1 (en) 2014-12-18 2016-06-23 F. Hoffmann-La Roche Ag Benzazepine sulfonamide compounds
WO2016141092A1 (en) 2015-03-04 2016-09-09 Gilead Sciences, Inc. Toll-like receptor modulating 4,6-diamino-pyrido[3,2-d]pyrimidine compounds
WO2016142250A1 (en) 2015-03-06 2016-09-15 F. Hoffmann-La Roche Ag Benzazepine dicarboxamide compounds
WO2016180691A1 (en) 2015-05-08 2016-11-17 F. Hoffmann-La Roche Ag Novel oxathiolane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WO2016180743A1 (en) 2015-05-12 2016-11-17 F. Hoffmann-La Roche Ag Novel substituted aminothiazolopyrimidinedione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WO2017035230A1 (en) 2015-08-26 2017-03-02 Gilead Sciences, Inc. Deuterated toll-like receptor modulators
WO2017046112A1 (en) 2015-09-17 2017-03-23 F. Hoffmann-La Roche Ag Sulfinylphenyl or sulfonimidoylphenyl benzazepines
WO2017076346A1 (zh) 2015-11-05 2017-05-11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作为tlr7激动剂的7-(噻唑-5-基)吡咯并嘧啶化合物
WO2017102652A1 (en) 2015-12-14 2017-06-22 Glaxosmithkline Biologicals S.A. Pegylated imidazoquinolines as tlr7 and tlr8 agonists
WO2017133686A1 (zh) 2016-02-05 2017-08-10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吡咯并[3,2-d]嘧啶类化合物的制备方法及其中间体
WO2017133687A1 (zh) 2016-02-05 2017-08-10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tlr7激动剂的三氟乙酸盐、晶型b、制备方法和用途
WO2017133684A1 (zh) 2016-02-05 2017-08-10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tlr7激动剂的晶型a、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7133683A1 (zh) 2016-02-05 2017-08-10 正大天晴药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tlr7激动剂的马来酸盐、其晶型c、晶型d、晶型e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7197624A1 (en) 2016-05-19 2017-11-23 Shenzhen Hornetcorn Biotechnology Company,Co., Ltd Purine-scaffold tlr7 ligands and conjugate thereof
WO2017202703A1 (en) 2016-05-23 2017-11-30 F. Hoffmann-La Roche Ag Benzazepine dicarboxamide compounds with secondary amide function
WO2017202704A1 (en) 2016-05-23 2017-11-30 F. Hoffmann-La Roche Ag Benzazepine dicarboxamide compounds with tertiary amide function
WO2017216054A1 (en) 2016-06-12 2017-12-21 F. Hoffmann-La Roche Ag Dihydropyrimidinyl benzazepine carboxamide compounds
WO2017219931A1 (zh) 2016-06-22 2017-12-28 四川科伦博泰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二氢蝶啶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用途
WO2018002319A1 (en) 2016-07-01 2018-01-04 Janssen Sciences Ireland Uc Dihydropyranopyrimidin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WO2018041763A1 (en) 2016-08-29 2018-03-08 F. Hoffmann-La Roche Ag 7-substituted sulfonimidoylpurinon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WO2018045144A1 (en) 2016-09-02 2018-03-08 Gilead Sciences, Inc. Toll like receptor modulator compounds
WO2018068593A1 (zh) 2016-10-12 2018-04-19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大尺寸照片加载方法及系统
WO2018078149A1 (en) 2016-10-31 2018-05-03 F. Hoffmann-La Roche Ag Novel cyclicsulfonimidoylpurinone compounds and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virus infection
WO2018095426A1 (zh) 2016-11-28 2018-05-31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吡唑并杂芳基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US20180215720A1 (en) 2017-01-30 2018-08-02 Sunil Abraham David Pyrimidines and uses thereof
KR20180093813A (ko) * 2017-02-13 2018-08-22 단디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이미다조퀴놀린계열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의 용도
WO2018196823A1 (en) 2017-04-27 2018-11-01 Birdie Biopharmaceuticals, Inc. 2-amino-quinoline derivatives
CN108794486A (zh) 2017-05-05 2018-11-13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稠环基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WO2018210298A1 (zh) 2017-05-18 2018-11-22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杂芳基并吡唑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CN108948016A (zh) 2017-05-19 2018-12-07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嘌呤酮类衍生物、其制备方法及其在医药上的应用
WO2018233648A1 (zh) 2017-06-21 2018-12-27 南京明德新药研发股份有限公司 作为TLR8激动剂的异噻唑并[4,3-d]嘧啶-5,7-二胺衍生物
WO2019035970A1 (en) 2017-08-16 2019-0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6-AMINO-7,9-DIHYDRO-8H-PURIN-8-ONE DERIVATIVES FOR USE AS TOLL 7 RECEPTOR IMMUNOSTIMULATING AGONISTS (TLR7)
WO2019035969A1 (en) 2017-08-16 2019-0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TOLL RECEPTOR 7 (TLR7) AGONISTS COMPRISING A TRICYCLIC FRAGMENT, CONJUGATES CONTAINING SAME, RELATED METHODS AND USES THEREOF
WO2019035971A1 (en) 2017-08-16 2019-0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6-AMINO-7,9-DIHYDRO-8H-PURIN-8-ONE DERIVATIVES AS TOLL 7 RECEPTOR IMMUNOSTIMULATING AGONISTS (TLR7)
WO2019036023A1 (en) 2017-08-16 2019-0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6-AMINO-7,9-DIHYDRO-8H-PURIN-8-ONE DERIVATIVES AS IMMUNOSTIMULANT TOLL (TLR7) RECEPTOR 7 AGONISTS
WO2019035968A1 (en) 2017-08-16 2019-02-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6-AMINO-7,9-DIHYDRO-8H-PURIN-8-ONE DERIVATIVES AS TOLL RECEPTOR 7 (TLR7) AGONISTS AS IMMUNOSTIMULANTS
WO2019040491A1 (en) 2017-08-22 2019-02-28 Dynavax Technologies Corporation MODIFIED ALKYL CHAIN IMIDAZOQUINOLINE TLR7 / 8 AGONIST COMPOUNDS AND USES THEREOF
KR20190061741A (ko) * 2017-11-28 2019-06-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톨-유사 수용체3 리간드를 포함하는 나노복합체 기반 면역 자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25780A (ko) 2018-08-31 2020-03-10 이금기 엘리베이터 상부용 안전난간
KR20200097656A (ko) 2019-02-08 2020-08-1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와 콜레스테롤의 결합체 및 그 용도
KR20210026013A (ko) 2019-08-29 2021-03-10 주식회사 인텍메디 다기능 체외진단기기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KAMURA TAKASHI; FUKIAGE MASAFUMI; HIGUCHI MEGUMI; NAKAYA AKIHIRO; YANO IKUYA; MIYAZAKI JUN; NISHIYAMA HIROYUKI; AKAZA HIDEYUKI; : "Nanoparticulation of BCG-CWS for application to bladder cancer therapy",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ELSEVIER, AMSTERDAM, NL, vol. 176, 31 December 2013 (2013-12-31), AMSTERDAM, NL, pages 44 - 53, XP028665634, ISSN: 0168-3659, DOI: 10.1016/j.jconrel.2013.12.027 *
See also references of EP4115901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1231160A1 (en) 2022-09-22
EP4115901A1 (en) 2023-01-11
EP4115901A4 (en) 2024-04-10
US20230100429A1 (en) 2023-03-30
JP2023516372A (ja) 2023-04-19
CN115666637A (zh) 2023-01-31
CA3170551A1 (en)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5013440B1 (pt) composições compreendendo dinucleotídeos de purina cíclicos com estereoquímicas
WO2010151076A2 (ko) 폴리감마글루탐산-키토산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면역보강제 조성물
KR102323540B1 (ko) 톨-유사 수용체 7 또는 8 작용자와 콜레스테롤의 결합체 및 그 용도
CN104470938A (zh) 二糖合成脂质化合物及其用途
US20220008411A1 (en) Toll-like receptor 7 or 8 agonist-cholesterol complex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EP3288538A1 (en) Methods for potentiating an immune response using depot-forming and non-depot-forming vaccines
RU2733124C1 (ru) Мультидоменная везикула, содержащая материал, контролирующий иммуносупрессивный фактор, способ её производства и содержащая её иммуномодул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Li et al. Guanidinylated cationic nanoparticles as robust protein antigen delivery systems and adjuvants for promoting antigen-specific immune responses in vivo
ES2331025T3 (es) Hexosilceramidas como adyuvantes y sus usos en composiciones farmaceuticas.
WO2018147710A1 (ko) 이미다조퀴놀린계열 물질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의 용도
WO2021177679A1 (ko)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11170A (ko) 병원균 외벽 성분 기반 생병원체 모방 나노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17377A (ko) 동력학적 제어가 가능한 아주번트를 포함하는 mRNA 백신
RU2790702C1 (ru) Комплекс агониста толл-подобного рецептора 7 или 8 и холестерин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WO2022031011A1 (ko) 동력학적으로 작용하는 아주번트 앙상블
KR20220017376A (ko) 동력학적으로 작용하는 아주번트 앙상블
WO2022031021A1 (ko) 동력학적 제어가 가능한 아주번트를 포함하는 mrna 백신
WO2023022384A1 (ko) 면역 유도용 다층 소포체, 이를 포함하는 면역 유도용 약학 조성물 및 면역 유도용 다층 소포체의 제조방법
KR20210100854A (ko) 동력학적 제어가 가능한 면역기능 조절제를 이용한 수지상세포의 활성화 방법
Ebensen et al. Infection Prevention: Oil-and Lipid-Containing Products in Vaccinology
Rincón-Restrepo Engineering nanoparticle-based vaccines: Implications for the quality of humoral and cellular immunity
TW202128155A (zh) 醫藥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7653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5276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f document number: 3170551

Country of ref document: C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231160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10226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7653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