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8143A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38143A KR20170038143A KR1020160102339A KR20160102339A KR20170038143A KR 20170038143 A KR20170038143 A KR 20170038143A KR 1020160102339 A KR1020160102339 A KR 1020160102339A KR 20160102339 A KR20160102339 A KR 20160102339A KR 20170038143 A KR20170038143 A KR 201700381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peripheral speed
- operation lever
- holding
- sp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60K20/08—Dashboard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04—Selector apparatus for automatic transmissions with means for range selection and manual shifting, e.g. range selector with tiptronic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1—Arrangements of two or more controlling members with respect to one another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3/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two or more controlling members and also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6—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one or a limited number of definite positions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7—Detents for range selecto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50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2700/00—Control mechanisms or elements therefor applying a mechanical movement
- G05G2700/12—Control mechanisms with one controlling member and one controlled member
- G05G2700/18—Systems wherein the control element may be placed in two or more posi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85—Restriction of shift, gear selection, or gear engagement
- Y10T74/20104—Shift element interlock
- Y10T74/2011—Shift element interlock with detent, recess, notch, or groov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조작 레버류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적합한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레버 유닛을 제공한다.
작업차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유단계로 전후 요동하는 조작 레버(25)와, 조작 레버(25)를 각각의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47)를 구비하고, 보유 지지 기구(47)는 조작 레버(25)와 연동하는 연동 부재(48)와, 연동 부재(48)를 개재하여 조작 레버(25)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49)를 구비하고, 조작 레버(25)와 보유 지지 기구(47)가, 조작 레버(25)의 요동 지지축(5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분산 배비되고, 조작 레버(25)와 연동 부재(48)가 연계 기구(55)를 개재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작업차에 있어서,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유단계로 전후 요동하는 조작 레버(25)와, 조작 레버(25)를 각각의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47)를 구비하고, 보유 지지 기구(47)는 조작 레버(25)와 연동하는 연동 부재(48)와, 연동 부재(48)를 개재하여 조작 레버(25)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49)를 구비하고, 조작 레버(25)와 보유 지지 기구(47)가, 조작 레버(25)의 요동 지지축(5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분산 배비되고, 조작 레버(25)와 연동 부재(48)가 연계 기구(55)를 개재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유단계로 전후 요동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를 각각의 상기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를 구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업차의 일례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트랙터가 있다. 이 트랙터는 핸드 시프트식의 조작 레버(변속 레버), 조작 레버를 전후향의 제2 지지축을 개재하여 좌우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 지지 부재 및 레버 지지 부재를 좌우 방향의 제1 지지축을 개재하여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 등을 구비하고, 지지 브래킷에 대하여 조작 레버와 레버 지지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일체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트랙터에 있어서, 지지 브래킷은, 좌측의 후륜 펜더에 고정 장비되는 측면에서 보아 부채형의 좌측벽을 구비하고, 이 좌측벽의 상부 테두리에, 조작 레버의 각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림 결합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 지지 부재는, 그 상단부에 스프링에 의해 좌우향의 지지축 주위로 하방으로 요동 가압되는 요동 아암을 구비하고 있다. 요동 아암은, 그 자유단부측에 걸림 결합 핀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가 임의의 조작 위치로 조작되면, 조작 레버측의 걸림 결합 핀이, 지지 브래킷에 구비한 복수의 걸림 결합 오목부 중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걸림 결합 오목부에 걸림 삽입함으로써, 조작 레버가 임의의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트랙터에 있어서는, 핸드 시프트식의 조작 레버, 조작 레버와 전후 방향으로 일체 요동하는 레버 지지 부재, 복수의 걸림 결합 오목부를 구비하는 지지 브래킷의 좌측벽 및 레버 지지 부재에 구비한 요동 아암 등에 의해 핸드 시프트식의 조작 레버와, 이 조작 레버를 각각의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가 좌우로 배열하는 배치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조작 레버 및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 등으로 구성되는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레버 유닛으로서의 좌우폭이 넓어져, 그 배치 공간으로서 좌우폭이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로 인해,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레버 유닛으로서의 배치 개소가, 좌우폭이 넓은 공간을 갖는 개소에 한정됨으로써, 조작 레버류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즉, 조작 레버류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적합한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레버 유닛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작업차는,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유단계로 전후 요동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를 각각의 상기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와 연동하는 연동 부재와, 상기 연동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조작 레버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지지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분산 배비되고,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연동 부재가 연계 기구를 개재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가, 조작 레버의 요동 지지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서, 예를 들어 차체의 전후 방향, 또는 차체의 상하 방향 등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분산 배비되는 점에서, 조작 레버 및 보유 지지 기구 등으로 구성되는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레버 유닛으로서의 좌우폭을,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가 일체적으로 좌우로 나란히 배비되는 구성에 비교하여 좁힐 수 있다.
또,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 및 보유 지지 기구 등을 다른 조작 레버 등과 함께 소정의 조작부에 집중 배비하는 경우에, 다른 조작 레버 등의 장비에 의해 소정의 조작부에 있어서,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의 일체 배비를 허용하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도,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의 분산 배비를 허용하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를 다른 조작 레버 등과 함께 소정의 조작부에 집중 배비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가 분산 배비되어도,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의 연동 부재가 연계 기구를 개재하여 연동 연결되는 점에서,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한 조작 레버의 각 조작 위치에서의 유단계 보유 지지를, 연계 기구를 개재하여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레버류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적합한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레버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하게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운전 좌석이 좌우의 리어 펜더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운전 좌석과 좌우 한쪽의 상기 리어 펜더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분산 배비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분산 배비되는 경우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조작 레버의 하방에 배비되는 보유 지지 기구에 의해, 운전자의 발밑 공간이 좁아져 불편해진다는 문제를 초래하지 않고, 조작 레버와 보유 지지 기구를, 운전 좌석과 좌우 한쪽의 리어 펜더 사이의 좁은 공간에 무리없이 배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하게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조작 레버는, 그 조작 방향이, 차체 전방측으로 조작될수록 차체 횡방 외측으로 변위하는 전방 외향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조작 방향이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운전 좌석에 착좌한 상태에서의 조작 레버의 조작이 행하기 쉬워진다.
즉, 조작 레버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하게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요동 지지축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가 짧은 핑거 시프트식이며, 그 요동 범위가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조작 레버가, 요동 지지축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가 긴 핸드 시프트식인 경우, 또는 요동 범위가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조작 레버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조작 레버의 설치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좁힐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레버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하게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연동 부재는, 그 요동 지지축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요동 지지축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와 마찬가지로 짧게 설정되고,
상기 보유 지지 기구는, 복수의 상기 조작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연동 부재 또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 형성되는 레버 보유 지지용의 복수의 오목부의 간격이,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범위에 따라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보유 지지 기구를 핸드 시프트식의 조작 레버, 또는 요동 범위가 넓은 조작 레버에 대응시키는 경우에 비교하여 보유 지지 기구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보유 지지 기구의 설치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좁힐 수 있다.
그 결과, 보유 지지 기구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하게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마찰 저항을 부여하는 마찰 부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조작 레버의 불필요한 신속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레버 보유 지지용의 각 오목부의 간격을 짧게 한 보유 지지 기구에 대하여 조작 레버의 신속한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조작 레버의 단 스킵 조작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유 지지 기구의 소형화에 기인한 조작 레버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적합하게 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식의 포텐시오미터를 구비하고,
상기 포텐시오미터는, 그 검출축이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요동 지지축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와 연동 요동하는 검출 아암이 상기 검출축에 고착되어 있다.
이 수단에 의하면, 포텐시오미터의 검출축과 조작 레버의 요동 지지축이 동 축심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조작 레버의 조작각에 대한 검출 아암의 조작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전압값의 변화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레버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포텐시오미터를 사용한 조작 레버의 위치 검출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우측면도.
도 2는 트랙터의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운전부의 횡단 평면도.
도 4는 주변속 레버용의 제1 가이드 홈의 형상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
도 5는 전진 상태에서의 주변속 레버의 조작 위치와 주변속 유닛의 변속 상태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후진 상태에서의 주변속 레버의 조작 위치와 주변속 유닛의 변속 상태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 및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좌측면도.
도 8은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 및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우측면도.
도 9는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 및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
도 10은 주변속 레버의 구성 및 주변속 레버와 제2 센서의 연계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11은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 및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
도 12는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 및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트랙터의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운전부의 횡단 평면도.
도 4는 주변속 레버용의 제1 가이드 홈의 형상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
도 5는 전진 상태에서의 주변속 레버의 조작 위치와 주변속 유닛의 변속 상태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후진 상태에서의 주변속 레버의 조작 위치와 주변속 유닛의 변속 상태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 및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좌측면도.
도 8은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 및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우측면도.
도 9는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 및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평면도.
도 10은 주변속 레버의 구성 및 주변속 레버와 제2 센서의 연계 구조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
도 11은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 및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사시도.
도 12는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 및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의 일례로서, 본 발명을 작업차의 일례인 트랙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에 기재한 부호 F의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이 트랙터의 전방측이며, 부호 U의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이 트랙터의 상측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예시하는 트랙터는, 차체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전방부 프레임(1), 전방부 프레임(1)의 후부에 연결하는 엔진(2), 엔진(2)의 후단부 하부에 연접하는 하우징 유닛(3), 전방부 프레임(1)의 좌우로 위치하는 좌우의 전륜(4), 하우징 유닛(3)의 좌우로 위치하는 좌우의 후륜(5), 좌우의 후륜(5)을 덮는 좌우의 리어 펜더(6), 차체의 후부에 위치하는 탑승식의 운전부(7) 및 운전부(7)를 덮는 캐빈(8)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랙터는, 하우징 유닛(3)의 후부에, 작업 장치 연결용 링크 기구(9), 링크 기구(9)를 개재하여 작업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승강 구동하는 전자 유압 제어식의 승강 장치(10) 및 작업 장치에의 작업 동력의 취출을 가능하게 하는 PTO축(11)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유닛(3)은, 엔진(2)으로부터의 동력을 단속하는 주 클러치(12) 및 주 클러치(12)를 경유한 동력을 변속하는 기어식 변속 장치(13) 등을 내장하고 있다. 기어식 변속 장치(13)는 엔진(2)으로부터의 동력을 좌우의 전륜(4)과 좌우의 후륜으로 전달하는 주행 전동계(13A)와, 엔진(2)으로부터의 동력을 PTO축(11)으로 전달하는 작업 전동계(13B)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전동계(13A)는, 4단의 변속이 가능한 전자 유압 제어식의 주변속 기구(14), 주변속 기구(14)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을 단속하는 전자 유압 제어식의 주행 클러치(15), 주행 클러치(15)를 경유한 동력을 전진용과 후진용으로 전환하는 전후진 전환 기구(16), 전후진 전환 기구(16)로부터의 전진 동력을 고저 2단으로 변속하는 전자 유압 제어식의 전진용 변속 기구(17), 전진용 변속 기구(17)에 의한 변속 후의 전진 동력, 또는 전후진 전환 기구(16)로부터의 후진 동력을 고저 2단으로 변속하는 전자 유압 제어식의 부변속 기구(18), 부변속 기구(18)에 의한 변속 후의 동력을 고저 2단으로 변속하는 초감속 기구(19) 및 초감속 기구(19)로부터 좌우의 후륜(5)으로의 전동을 중계하는 후륜용 차동 기구(20)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주변속 기구(14), 주행 클러치(15), 전진용 변속 기구(17) 및 부변속 기구(18)가 주변속 유닛(21)으로서 기능한다. 작업 전동계(13B)는 PTO축(11)으로의 전동을 단속하는 PTO 클러치(22)를 구비하고 있다. 초감속 기구(19)로부터 좌우의 전륜(4)으로의 전동은 전륜용 차동 기구(23) 등을 통하여 행하여진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7)는 전륜 조타용의 스티어링 휠(24), 주변속 유닛용의 조작 레버인 주변속 레버(25), 전후진 전환용의 조작 레버인 셔틀 레버(26), 초감속 기구용의 조작 레버인 크리프 레버(27), 승강 장치용의 조작 레버인 높이 설정 레버(28), 승강 장치용의 조작구인 승강 스위치(29), PTO 클러치용의 조작구인 PTO 스위치(30), 액셀러레이터 페달(31) 및 좌우의 리어 펜더(6)의 사이에 위치하는 운전 좌석(3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주변속 레버(25), 높이 설정 레버(28), 승강 스위치(29) 및 PTO 스위치(30)는 차체 후부에 구비한 작업용 3개의 보조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에 조작 연계된 작업용 3개의 보조 레버(33)와 함께, 운전 좌석(32)의 우측방 개소에 구비한 제1 조작부(34)에 집중 배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왼손으로 스티어링 휠(24)을 조작하면서, 오른손으로 주변속 레버(25) 또는 높이 설정 레버(28) 등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즉, 스티어링 휠(24) 및 주변속 레버(25) 등의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셔틀 레버(26)는 스티어링 휠(24)의 좌측 하방에, 스티어링 휠(24)에 인접하여 배비되어 있다. 크리프 레버(27)는 운전 좌석(32)의 좌측방 개소에 구비한 제2 조작부(35)에 배비되어 있다. 액셀러레이터 페달(31)은, 운전 좌석(32)의 우측 경사 전방 개소에 위치하는 플로어 부분에 배비되어 있다.
도 2 및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의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제어 작동에 의해, 주변속 레버(25)의 조작 위치에 따른 이하의 변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1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1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저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저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2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1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저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고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3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2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저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저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4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2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저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고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5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3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저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저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6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3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저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고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7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4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저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저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8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4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저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고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9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1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고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고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10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2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고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고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11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3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고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고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12속 위치로 조작되면, 주변속 기구(14)의 4속 상태와, 주행 클러치(15)의 입력 상태와, 부변속 기구(18)의 고속 상태와,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고속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그리고, 셔틀 레버(26)가 전진 위치로 조작된 전진 상태에서는, 전후진 전환 기구(16)로부터의 전진 동력이 전진용 변속 기구(17)를 경유하는 점에서,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변속 상태가 유효해진다. 그 결과, 주변속 유닛(21)의 변속 상태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25)의 12단의 각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12단의 전진 변속 상태의 선택 전환이 가능해진다.
한편, 셔틀 레버(26)가 후진 위치로 조작된 후진 상태에서는, 전후진 전환 기구(16)로부터의 후진 동력이 전진용 변속 기구(17)를 경유하지 않는 점에서, 전진용 변속 기구(17)의 변속 상태가 무효가 된다. 그 결과, 주변속 유닛(21)의 변속 상태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25)의 12단의 조작 위치 중 소정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8단의 후진 변속 상태의 선택 전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주변속 유닛(21)은 주변속 레버(25)가 중립 위치로 조작되면, 주행 클러치(15)의 단절 상태가 얻어지도록 조작된다. 이에 의해, 주변속 유닛(21)의 변속 상태로서, 주행 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가 얻어진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설정 레버(28)는 우측의 리어 펜더(6)와 운전 좌석(32)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36)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6)은, 우측의 리어 펜더(6)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36)은, 전방측일수록 차체 우방 외측에 위치하는 전방측 우방 외향 자세의 제1 지지 부재(37), 제1 지지 부재(37)의 후방 하부로부터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띠판 형상의 제2 지지 부재(38), 제1 지지 부재(37)를 따르는 전방측 우방 외향 자세로 제2 지지 부재(38)의 전방상부에 위치하는 제3 지지 부재(39) 및 제1 지지 부재(37)의 좌단부 상부에 위치하는 아치 형상의 가드 부재(40) 등을 구비하고 있다.
높이 설정 레버(28)는 제1 지지 부재(37)의 종벽부(37A)와 직교하는 지지축(41)에 외부 끼움하는 보스부(28A), 보스부(28A)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인위 조작용의 조작부(28B) 및 보스부(28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계부(28C) 등을 갖고 있다. 높이 설정 레버(28)는 조작부(28B)의 보스부(28A)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가 짧은 핑거 시프트식으로, 지지축(41)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 요동한다. 높이 설정 레버(28)는 보스부(28A)와 지지축(41) 사이에 개재하는 마찰식의 제1 보유 지지 기구(42)의 작용에 의해 임의의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계부(28C)는 제1 센서(43)의 검출축(43A)에 고착된 검출 아암(44)과 연동 요동한다. 연계부(28C)는 그 자유단부측에 검출 아암(44)과의 연계용의 긴 구멍(28D)을 갖고 있다.
제1 센서(43)는 제3 지지 부재(39)에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에 의해 제1 센서(43)는 검출축(43A)이 높이 설정 레버(28)의 지지축(41)과 평행해지는 자세로 높이 설정 레버(28)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센서(43)에는 회전식의 포텐시오미터가 채용되어 있다. 검출 아암(44)은 그 자유단부에, 연계부(28C)의 긴 구멍(28D)에 삽입 관통되는 좌우향의 연계 핀(44A)을 갖고 있다. 연계부(28C) 및 검출 아암(44)은, 긴 구멍(28D)과 연계 핀(44A)의 연계에 의해, 연계부(28C)와 검출 아암(44)의 연동 요동에 수반하는 연계부(28C)와 검출 아암(44)의 상대 변위가 허용되고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부터, 높이 설정 레버(28)의 조작 위치를 제1 센서(43)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 설정 레버(28), 제1 보유 지지 기구(42) 및 제1 센서(43) 등에 의해 무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1 레버 유닛(45)이 구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1 센서(43)는 검출한 높이 설정 레버(28)의 조작 위치를 제어 장치에 출력한다. 제어 장치는 제1 센서(43)의 검출 등에 기초하여 승강 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높이 설정 레버(28)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까지 작업 장치를 승강 구동한다. 이에 의해, 작업 장치를 높이 설정 레버(28)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위치시키는 포지션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6)은 제1 레버 유닛(45)과 함께 유단계 위치 보유 지지형의 제2 레버 유닛(46)을 지지하고 있다. 제2 레버 유닛(46)은, 12단의 조작 위치에 걸쳐 유단계로 전후 요동하는 주변속 레버(25) 및 주변속 레버(25)를 각각의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디텐트식의 제2 보유 지지 기구(47)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보유 지지 기구(47)는 주변속 레버(25)와 연동하는 연동 부재(48) 및 연동 부재(48)를 개재하여 주변속 레버(25)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49) 등을 구비하고 있다.
보유 지지 부재(49)는 부채형이고, 그 상부측의 원호 형상의 외측 테두리부에, 주변속 레버(25)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레버 보유 지지용의 복수의 오목부(49A)가 형성되어 있다. 보유 지지 부재(49)는 그 하부가 지지 프레임(36)의 제2 지지 부재(38)에 고정되어 있다.
연동 부재(48)는 보유 지지 부재(49)의 하부측에 구비한 좌우향의 지지축부(49B)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 요동한다. 연동 부재(48)는 그 자유단부에, 좌우향의 지지축(50)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요동하는 요동 아암(51) 및 요동 아암(51)을 하강 가압하는 인장 스프링(52)을 구비하고 있다. 요동 아암(51)은, 그 자유단부에 레버 보유 지지용의 핀(53)을 좌우향 자세로 구비하고 있다. 레버 보유 지지용의 핀(53)은, 인장 스프링(52)의 작용에 의해, 보유 지지 부재(49)의 각 오목부(49A)에 택일적으로 들어간다.
주변속 레버(25) 및 제2 보유 지지 기구(47)는 주변속 레버(25)의 요동 지지축(54)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분산 배비되어 있다. 그로 인해, 제2 레버 유닛(46)에 있어서는,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의 연동 부재(48)가 연계 기구(55)를 개재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레버 유닛(46)으로서의 좌우폭을,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가 일체적으로 좌우로 나란히 배비되는 구성에 비교하여 좁힐 수 있다.
또,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가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이에 의해, 주변속 레버(25) 및 제2 보유 지지 기구(47)를, 높이 설정 레버(28) 등과 함께 제1 조작부(34)에 집중 배비하는 경우에, 높이 설정 레버(28) 등의 장비에 의해, 제1 조작부(34)에 있어서,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의 일체 배비를 허용하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도,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의 분산 배비를 허용하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를, 높이 설정 레버(28) 등과 함께 제1 조작부(34)에 집중 배비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가 분산 배비되어도,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의 연동 부재(48)가 연계 기구(55)를 개재하여 연동 연결되는 점에서, 제2 보유 지지 기구(47)에 의한 주변속 레버(25)의 각 조작 위치에서의 유단계 보유 지지를, 연계 기구(55)를 개재하여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분산 배비되는 경우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주변속 레버(25)의 하방에 배비되는 제2 보유 지지 기구(47)에 의해, 운전자의 발밑 공간이 좁아져 불편해진다는 문제를 초래하지 않고,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를, 운전 좌석(32)과 우측의 리어 펜더(6) 사이의 좁은 공간에 무리없이 배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25)는 제1 조작부(34)의 전단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높이 설정 레버(28)는 제1 조작부(34)에 있어서의 주변속 레버(25)의 우측 후방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승강 스위치(29)는 제1 조작부(34)에 있어서의 주변속 레버(25)의 후방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PTO 스위치(30)는 제1 조작부(34)에 있어서의 주변속 레버(25)의 우측방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3개의 보조 레버(33)는 제1 조작부(34)에 있어서의 높이 설정 레버(28)의 우측 후방 개소에 위치하고 있다.
도 3 및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25)는 제1 지지 부재(37)의 종벽부(37A)와 직교하는 요동 지지축(54)을 지지점으로 하여 전후 요동한다. 이에 의해, 주변속 레버(25)는 그 조작 방향이, 차체 전방측으로 조작될수록 차체 횡방 외측으로 변위하는 전방측 우방 외향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주변속 레버(25)의 조작 방향이 설정됨으로써, 주변속 레버(25)의 조작 방향이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으로 설정되는 경우에 비교하여 운전 좌석(32)에 착좌한 상태에서의 주변속 레버(25)의 조작이 행하기 쉬워진다.
우측의 리어 펜더(6)는 지지 프레임(36), 주변속 레버(25)의 요동 지지점측 및 높이 설정 레버(28)의 요동 지지점측 등을 차체 내측으로부터 덮어 가리는 사이드 커버(56)가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56)는 주변속 레버(25)의 요동 지지점측과 대향하는 운전 좌석측의 전방측벽부(56A)를, 주변속 레버(25)의 조작 방향을 따르는 전방측 우방 외향 자세로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주변속 레버(25) 등을 제1 조작부(34)에 집중 배비하면서도, 운전 좌석(32)에 대한 우측 전방의 승강 영역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운전부(7)에 대한 차체 우측으로부터의 승강이 행하기 쉬워진다. 또, 운전 좌석(32)의 우측 경사 전방 개소의 플로어 부분에 위치하는 액셀러레이터 페달(31)의 답입 조작이 행하기 쉬워진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25)는 요동 지지축(54)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가 짧은 핑거 시프트식으로, 그 요동 범위가 좁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변속 레버(25)가, 요동 지지축(54)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가 긴 핸드 시프트식인 경우, 또는 그 요동 범위가 넓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주변속 레버(25)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주변속 레버(25)의 설치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좁힐 수 있다. 그 결과, 주변속 레버(25)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2 보유 지지 기구(47)에 있어서, 연동 부재(48)는 그 요동 지지축인 지지축부(49B)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가, 주변속 레버(25)의 요동 지지축(54)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와 마찬가지로 짧게 설정되어 있다. 보유 지지 부재(49)는 레버 보유 지지용의 각 오목부(49A)의 간격이, 주변속 레버(25)의 요동 범위에 따라 짧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보유 지지 기구(47)를 핸드 시프트식의 주변속 레버(25), 또는 요동 범위가 넓은 주변속 레버(25)에 대응시키는 경우에 비교하여 제2 보유 지지 기구(47)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2 보유 지지 기구(47)의 설치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좁힐 수 있다. 그 결과, 제2 보유 지지 기구(47)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제2 레버 유닛(46)은 주변속 레버(25)의 조작에 마찰 저항을 부여하는 마찰 부여 기구(58)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주변속 레버(25)의 불필요한 신속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레버 보유 지지용의 각 오목부(49A)의 간격을 짧게 한 제2 보유 지지 기구(47)의 보유 지지 부재(49)에 대하여, 주변속 레버(25)의 신속한 조작에 연동하여 연동 부재(48)가 빠르게 요동한 경우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연동 부재(48)의 핀(53)이 조작 목표의 오목부(49A)를 뛰어넘는 주변속 레버(25)의 단 스킵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보유 지지 기구(47)의 소형화에 기인한 주변속 레버(25)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찰 부여 기구(58)는 마찰판(59), 한 쌍의 평좌금(60), 한 쌍의 접시 스프링(61) 및 너트(6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마찰판(59), 한 쌍의 평좌금(60) 및 한 쌍의 접시 스프링(61)은, 주변속 레버(25)의 요동 지지축(54)에 외부 끼움되어 있다. 너트(62)는 요동 지지축(54)의 수나사부(54A)에 나사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마찰 부여 기구(58)는 요동 지지축(54)의 수나사부(54A)에 대한 너트(62)의 나사 삽입량이 조절됨으로써, 주변속 레버(25)의 조작에 부여하는 마찰 저항을 조정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레버 유닛(46)은, 주변속 레버(25)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센서(6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센서(63)에는 회전식의 포텐시오미터가 채용되어 있다. 제2 센서(63)는 그 검출축(63A)이 제1 지지 부재(37)의 종벽부(37A)와 직교하는 자세로 제1 지지 부재(37)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센서(63)는 그 검출축(63A)이 주변속 레버(25)의 요동 지지축(54)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센서(63)의 검출축(63A)에는 주변속 레버(25)와 연동 요동하는 검출 아암(64)이 고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센서(63)의 검출축(63A)과 주변속 레버(25)의 요동 지지축(54)이 동축심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주변속 레버(25)의 조작각에 대한 검출 아암(64)의 조작각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주변속 레버(25)의 조작 위치의 변경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전압값의 변화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주변속 레버(25)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제2 센서(63)로서 회전식의 포텐시오미터를 채용한 주변속 레버(25)의 위치 검출을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주변속 레버(25)는 검출 아암(64)과의 연계용 긴 구멍(25A)을 갖고 있다. 검출 아암(64)은, 그 자유단부에, 주변속 레버(25)의 긴 구멍(25A)에 삽입 관통되는 횡방향의 연계 핀(64A)을 갖고 있다. 주변속 레버(25) 및 검출 아암(64)은 긴 구멍(25A)과 연계 핀(64A)의 연계에 의해, 주변속 레버(25)와 검출 아암(64)의 연동 요동에 수반하는 주변속 레버(25)와 검출 아암(64)의 상대 변위가 허용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25)는 제1 레버 유닛(45)의 차체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보유 지지 기구(47)는 제1 레버 유닛(45)의 차체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연계 기구(55)는 주변속 레버(25)와 제2 보유 지지 기구(47)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레버 유닛(45) 등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1 레버 유닛(45) 등을 우회하는 형상으로 굽힘 형성된 로드(65)를 구비하고 있다.
주변속 레버(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조작 방향이 전방측 우방 외향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2 보유 지지 기구(47)에 있어서, 보유 지지 부재(49)의 설치 자세는, 레버 보유 지지용의 각 오목부(49A)가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전후향 자세로 설정되어 있다. 연동 부재(48)의 요동 방향은,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연계 기구(55)는 로드(65)의 양단부에, 주변속 레버(25) 또는 연동 부재(48)에 대한 연결용의 볼 조인트(66)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요동 방향이 상이한 주변속 레버(25)와 연동 부재(48)의 연동이 원활하게 행하여지도록 하고 있다.
연동 부재(48)는 연계 기구용의 연결 축부(48A)에, 압축 스프링(67)의 작용으로 로드 후단부의 볼 조인트(66)를 연동 부재측에 가압하는 가압 기구(68)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로드 후단부의 볼 조인트(66)의 융통에 의한 로드(65)의 변위가 규제되어, 그 변위에 의한 로드(65)의 제1 레버 유닛(45) 등과의 간섭이 방지되고 있다.
도 3, 도 4 및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56)는 그 상면에 주변속 레버용의 제1 가이드 홈(56B) 및 높이 설정 레버용의 제2 가이드 홈(56C) 등을 갖고 있다. 제1 가이드 홈(56B)은, 중립 보유 지지부(56a)와 제1 가이드부(56b)와 제2 가이드부(56c)와 제3 가이드부(56d)를 갖고 있다. 중립 보유 지지부(56a)는 주변속 레버(25)의 중립 위치에서의 보유 지지를 가능하게 한다. 제1 가이드부(56b)는, 주변속 레버(25)가 중립 위치와 전진 8속 위치 또는 후진 4속 위치 사이에서 요동 조작되는 경우에 주변속 레버(25)를 안내한다. 제2 가이드부(56c)는, 주변속 레버(25)의 전진 8속 위치와 전진 9속 위치 사이 또는 후진 4속 위치와 후진 5속 위치 사이에서 요동 조작되는 경우에 주변속 레버(25)를 안내한다. 제3 가이드부(56d)는 주변속 레버(25)의 전진 9속 위치와 전진 12속 위치 사이 또는 후진 5속 위치와 후진 8속 위치 사이에서 요동 조작되는 경우에 주변속 레버(25)를 안내한다.
중립 보유 지지부(56a)는, 제1 가이드부(56b)의 중립 위치로부터 제1 가이드부(56b)와 직교하는 차체 우측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변속 레버(25)가 중립 보유 지지부(56a)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주변속 레버(25)의 중립 위치로부터 증속 방향으로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56b) 및 제3 가이드부(56d)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가이드부(56c)는,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주변속 레버(25)의 전진 8속 위치와 전진 9속 위치 사이 또는 후진 4속 위치와 후진 5속 위치 사이에서의 요동 조작에 필요로 하는 조작 시간이 길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주변속 유닛(21)의 구조상, 다른 변속 동작에 대하여 비교적 시간이 걸리는 주변속 유닛(21)의 전진 8속과 전진 9속 사이 또는 후진 4속과 후진 5속 사이에서의 변속 동작이, 주변속 레버(25)의 전진 8속 위치와 전진 9속 위치 사이 또는 후진 4속 위치와 후진 5속 위치 사이에서의 요동 조작에 대하여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속 레버(25)는 기단부측 레버 부재(69) 및 자유단부측 레버 부재(7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주변속 레버(25)는 기단부측 레버 부재(69)의 자유단부측에, 제2 센서(63)와의 연계용 긴 구멍(25A)을 갖고 있다. 기단부측 레버 부재(69)는 요동 지지축(54)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그 상하 중간부에 보스부(69A)를 갖고 있다. 자유단부측 레버 부재(70)는 보스부(69A)를 걸치는 하단부가, 요동 지지축(54)과 직교하는 자세의 지지축(71)을 개재하여 보스부(69A)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자유단부측 레버 부재(70)는 기단부측 레버 부재(69)에 대한 지지축(71)을 지지점으로 한 요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스부(69A)에는 자유단부측 레버 부재(70)를 차체 우측 방향으로 요동 가압하는 비틀림 스프링(72)이 외부 끼움되어 있다. 보스부(69A)는 자유단부측 레버 부재(70)의 좌방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연장 돌출부(69B)를 갖고 있다. 자유단부측 레버 부재(70)의 요동 범위는, 자유단부측 레버 부재(70)의 하단부가 기단부측 레버 부재(69)에 접촉하는 우측 한계 위치와, 자유단부측 레버 부재(70)의 하단부가 연장 돌출부(69B)에 접촉하는 좌측 한계 위치 사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주변속 레버(25)는 제1 가이드 홈(56B)을 따른 요동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주변속 레버(25)는 중립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비틀림 스프링(72)의 작용에 의해 중립 보유 지지부(56a)에 보유 지지된다.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드 부재(40)는 주변속 레버(25) 및 높이 설정 레버(28)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가드 부재(40)에 의해, 운전자가 주변속 레버(25) 또는 높이 설정 레버(28)에 예측치 못하게 접촉하는 것에 기인한 주변속 레버(25) 또는 높이 설정 레버(28)의 오조작이 방지되고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 예시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다른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1〕본 발명은 조작 레버(25)가 높이 설정 레버(28)이며, 높이 설정 레버(28)를 복수의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47)를 구비하고, 작업 장치의 높이 설정을 유단계로 행하도록 구성한 작업차에 적용해도 된다.
〔2〕본 발명은 조작 레버(25)가 무단 변속 장치용 변속 레버이며, 변속 레버를 복수의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47)를 구비하고, 무단 변속 장치의 의사적인 유단 변속 조작이 가능한 작업차에 적용해도 된다.
〔3〕본 발명은 조작 레버(25) 및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47) 등이, 크리프 레버(27) 등과 함께, 운전 좌석(32)의 좌측방 개소에 구비한 제2 조작부(35)에 배비되는 작업차에 적용해도 된다.
〔4〕본 발명은 조작 레버(25) 및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47) 등이 운전 좌석(32)의 좌우로 배비되는 좌우의 암레스트에 내장되는 작업차에 적용해도 된다.
〔5〕조작 레버(25)의 조작 단수 및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47)에 있어서의 오목부(49A)의 수량은, 조작 레버(25)의 조작 대상으로 되는 변속 장치 등의 구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6〕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47)는 연동 부재(48)가 부채형이고, 그 상부측의 원호 형상의 외측 테두리부에, 주변속 레버(25)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레버 보유 지지용의 복수의 오목부(49A)가 형성되면서, 또한 보유 지지 부재(49)가 레버 보유 지지용의 핀(53)을 갖는 요동 아암(51) 및 요동 아암(51)을 연동 부재(48)의 오목부(49A)를 향하여 요동 가압하는 인장 스프링(52) 등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7〕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47)는 조작 레버(25)와 보유 지지 기구(47)가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분산 배비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8〕조작 레버(25)는 그 조작 방향이, 차체의 전후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9〕조작 레버(25)는 그 요동 지지축(54)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가 긴 핸드 시프트식이어도 된다.
〔10〕연계 기구(55)는 로드(65)가 조작 레버(25)와 연동 부재(48)에 똑바로 걸쳐지는 형상이어도 된다.
〔11〕연계 기구(55)는 가압 기구(68)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유단계로 전후 요동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를 각각의 상기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를 구비한, 트랙터, 승용 전식기, 승용 예초기, 콤바인 및 운반차 등의 작업차에 적용할 수 있다.
6: 리어 펜더
25: 조작 레버
32: 운전 좌석
47: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
48: 연동 부재
49: 보유 지지 부재
49A: 오목부
49B: 지지축부(요동 지지축)
54: 요동 지지축
55: 연계 기구
58: 마찰 부여 기구
63: 회전식의 포텐시오미터
63A: 검출축
64: 검출 아암
25: 조작 레버
32: 운전 좌석
47: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
48: 연동 부재
49: 보유 지지 부재
49A: 오목부
49B: 지지축부(요동 지지축)
54: 요동 지지축
55: 연계 기구
58: 마찰 부여 기구
63: 회전식의 포텐시오미터
63A: 검출축
64: 검출 아암
Claims (7)
- 복수의 조작 위치에 걸쳐 유단계로 전후 요동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를 각각의 상기 조작 위치로 보유 지지하는 디텐트식의 보유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조작 레버와 연동하는 연동 부재와, 상기 연동 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조작 레버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지지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분산 배비되고,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연동 부재가 연계 기구를 개재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는, 작업차. - 제1항에 있어서, 운전 좌석이 좌우의 리어 펜더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조작 레버와 상기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운전 좌석과 좌우 한쪽의 상기 리어 펜더 사이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분산 배비되어 있는, 작업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그 조작 방향이, 차체 전방측으로 조작될수록 차체 횡방 외측으로 변위하는 전방 외향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작업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요동 지지축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가 짧은 핑거 시프트식으로, 그 요동 범위가 좁게 설정되어 있는, 작업차.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는, 그 요동 지지축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가,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요동 지지축으로부터의 연장 돌출 길이와 마찬가지로 짧게 설정되고,
상기 보유 지지 기구는, 복수의 상기 조작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연동 부재 또는 상기 보유 지지 부재에 형성되는 레버 보유 지지용의 복수의 오목부의 간격이, 상기 조작 레버의 요동 범위에 따라 짧게 설정되어 있는, 작업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마찰 저항을 부여하는 마찰 부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작업차.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식의 포텐시오미터를 구비하고,
상기 포텐시오미터는, 그 검출축이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요동 지지축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와 연동 요동하는 검출 아암이 상기 검출축에 고착되어 있는,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192058A JP6478889B2 (ja) | 2015-09-29 | 2015-09-29 | 作業車 |
JPJP-P-2015-192058 | 2015-09-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8143A true KR20170038143A (ko) | 2017-04-06 |
KR101889606B1 KR101889606B1 (ko) | 2018-08-17 |
Family
ID=5840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2339A KR101889606B1 (ko) | 2015-09-29 | 2016-08-11 | 작업차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328798B2 (ko) |
JP (1) | JP6478889B2 (ko) |
KR (1) | KR10188960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36436A (zh) * | 2019-06-27 | 2020-12-29 | 丰疆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插秧机和插秧机油门控制方法 |
KR102016287B1 (ko) * | 2019-07-02 | 2019-08-29 | 안국수 | 굴삭기용 콘솔박스 |
JP7531294B2 (ja) * | 2020-03-24 | 2024-08-09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車 |
CN112687152B (zh) * | 2020-12-23 | 2022-05-17 | 航天科工系统仿真科技(北京)有限公司 | 车辆驾驶模拟器档位模拟装置 |
CN117128311B (zh) * | 2023-10-20 | 2023-12-29 | 山东亿嘉农业机械装备股份有限公司 | 一种拖拉机主副变速箱操纵机构总成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43917U (ko) * | 1987-03-11 | 1988-09-21 | ||
JP2004190697A (ja) | 2002-12-06 | 2004-07-08 | Kubota Corp |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
JP2007333036A (ja) * | 2006-06-13 | 2007-12-27 | Kubota Corp | 作業車の変速操作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16680A (en) * | 1978-05-19 | 1980-08-12 | Kubota, Ltd. | Travel speed change apparatus for a farm vehicle |
JPS60159452A (ja) * | 1984-01-31 | 1985-08-20 | Fuji Heavy Ind Ltd | 無段変速機の変速操作機構 |
JPH0736558A (ja) * | 1993-07-22 | 1995-02-07 | Nippon Cable Syst Inc | コントロールレバー装置 |
JPH08337130A (ja) * | 1995-06-13 | 1996-12-24 | Iseki & Co Ltd | 乗用管理機の変速操作装置 |
JP3359829B2 (ja) * | 1996-11-28 | 2002-12-24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機の変速操作装置 |
JPH10287145A (ja) * | 1997-04-16 | 1998-10-27 | Kubota Corp | 作業車の走行用伝動構造 |
JPH11348588A (ja) * | 1998-06-12 | 1999-12-21 | Kubota Corp | 作業車の走行用変速操作装置 |
JP2002087099A (ja) * | 2000-09-13 | 2002-03-26 | Kubota Corp | 水田作業機の変速操作装置 |
JP4240836B2 (ja) * | 2001-03-30 | 2009-03-18 |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 手動変速機の変速操作部 |
JP4317397B2 (ja) * | 2003-07-10 | 2009-08-19 |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 フロート弁装置の製造方法 |
US20050223834A1 (en) * | 2004-03-30 | 2005-10-13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 Inline automatic/manual shifter |
JP2008232223A (ja) * | 2007-03-19 | 2008-10-02 | Toyota Motor Corp | 自動変速機のレンジ切替装置 |
-
2015
- 2015-09-29 JP JP2015192058A patent/JP6478889B2/ja active Active
-
2016
- 2016-08-11 KR KR1020160102339A patent/KR1018896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9-27 US US15/277,174 patent/US1032879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43917U (ko) * | 1987-03-11 | 1988-09-21 | ||
JP2004190697A (ja) | 2002-12-06 | 2004-07-08 | Kubota Corp |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
JP2007333036A (ja) * | 2006-06-13 | 2007-12-27 | Kubota Corp | 作業車の変速操作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70088202A1 (en) | 2017-03-30 |
KR101889606B1 (ko) | 2018-08-17 |
JP6478889B2 (ja) | 2019-03-06 |
US10328798B2 (en) | 2019-06-25 |
JP2017065403A (ja) | 2017-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89606B1 (ko) | 작업차 | |
JP6499111B2 (ja) | 作業車両 | |
KR101590434B1 (ko) | 승용형 이앙기 | |
US20080023250A1 (en) | Ergonomic machine control console | |
JP2008017803A5 (ko) | ||
JP2008017803A (ja) | 作業機昇降操作装置 | |
JP2001082597A (ja) | 作業車の走行変速構造 | |
JP4594754B2 (ja) |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 |
JP4423062B2 (ja) | トラクタの変速操作構造 | |
JP5117844B2 (ja) |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 |
KR20170083911A (ko) |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 |
JP4408781B2 (ja) |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 |
JP3479414B2 (ja) | 作業車の変速操作装置 | |
JP5346367B2 (ja) | 水田作業機 | |
JP4996405B2 (ja) | 作業車両 | |
JP2011193816A (ja) | 田植機 | |
US20230339317A1 (en) | Transmission device for work vehicle | |
KR100714813B1 (ko) | 작업차량의 변속조작장치 | |
KR20170083912A (ko) | 작업차의 주행 조작 장치 | |
JP6961399B2 (ja) | 作業車輌 | |
JPH0713105U (ja) | 作業用走行車における変速レバーガイド構造 | |
JP4797382B2 (ja) | 作業車両の変速調節装置 | |
JP4222928B2 (ja) | 作業車の走行用操作装置 | |
JP3406679B2 (ja) | 歩行型耕耘機におけるロータリクラッチレバーのニュートラル作動機構 | |
JP2019006135A (ja) | 作業車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