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2267A -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2267A
KR20170022267A KR1020150117033A KR20150117033A KR20170022267A KR 20170022267 A KR20170022267 A KR 20170022267A KR 1020150117033 A KR1020150117033 A KR 1020150117033A KR 20150117033 A KR20150117033 A KR 20150117033A KR 20170022267 A KR20170022267 A KR 20170022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ice cake
cake
ric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3735B1 (ko
Inventor
이원철
Original Assignee
이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철 filed Critical 이원철
Priority to KR102015011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735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4Products made from materials other than rye or wheat flour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2/00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 A21D2/08Treatment of flour or dough by adding materials thereto before or during baking by adding organic substances
    • A21D2/14Organic oxygen compounds
    • A21D2/18Carbohydrat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21D6/001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랫면이 비치는 흰색 유산지 아래에 이미지가 표시된 밑그림부를 배치하고, 상기 유산지 상면에 드로잉 반죽을 넣은 짜주머니로 상기 밑그림부의 이미지를 따라 드로잉(drawing)하여 이미지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부가 드로잉된 유산지를 냉동실에서 얼리는 단계; 떡 케이크 가루를 시루에 넣고 20 내지 30분간 찐 후, 떡 케이크의 상면에 상기 이미지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유산지를 뒤집어 배치하고 1 내지 3분간 더 쪄서 상기 이미지부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떡 케이크를 상기 이미지부가 바닥을 향하도록 평평한 곳에 1 내지 3분간 엎어 두어 상기 떡 케이크에 상기 이미지부를 고착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떡 케이크에서 유산지를 떼어 내는 단계; 를 포함하여, 떡 케이크의 표면에 다양하고 정교한 이미지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미지 형성 작업시 떡 케이크에 직접 압력을 가하지 않아 떡 케이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 가치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MAKING METHOD FOR RICE CAKE HAVING IMAGE}
본 발명은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양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가 디자인, 프린트 또는 인쇄된 도안지의 상면에 아랫면이 비치는 유산지를 배치한 후 상기 유산지 위에 도안지의 디자인된 이미지를 따라 짜주머니로 그림을 그려 이미지부를 형성하여 얼리고, 1차로 찐 떡 케이크의 상면에 얼린 이미지부를 배치하고 2차로 쪄서 떡 케이크의 상면에 미리 제작된 이미지부가 고착되도록 한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이란 곡식을 가루 내어 물과 반죽하여 쪄서 만든 음식으로 오곡에 갖가지 과일·나물 등의 독특한 향기와 맛, 자연색소들을 이용해 영양가 높고 맛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음식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잔치·제사·고사·명절 등에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음식 중에 하나였다.
또한, 예로부터 떡을 음식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여 귀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사용하거나 액막이로 사용되기도 하였고, 한가윗날 송편의 모양새와 쪄진 상태로 여자들이 미래의 낭군이나 태어날 아기를 점치기도 하였으며, 매 절기마다 의미를 부여하여 떡을 만들어 먹는 등 한국민의 전통을 드러내는 중요한 음식이다.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종류의 떡은 현대사회에 들어 케이크, 빵, 피자와 같은 서양 먹거리에 밀려 대중들로부터 소외받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 건강을 중요시하는 웰빙(well-being) 바람에 힘입어 서양 먹거리에 비하여 영양이 우수한 떡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다양한 맛과 형태를 가지는 떡을 개발하여 현대인의 입맛과 취향에 맞게 현대화 시킴으로써 대중적인 음식으로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
떡의 종류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시루에 쪄서 완성한 찐 떡, 찐 다음 떡판이나 절구를 이용하여 쳐서 완성하는 친떡, 기름에 지져서 완성된 지진 떡, 찰가루 반죽을 삶아 건져낸 삶은 떡 등 크게 네 종류로 나누었다.
찌는 떡(찐떡)은 다른 말로 시루떡이라고도 하는데, 멥쌀이나 찹쌀을 물에 담갔다가 가루로 만들어 시루에 안친 뒤 김을 올려 익히며, 찌는 방법에 따라 다시 설기떡(무리떡)과 켜 떡으로 구분한다. 설기떡은 찌는 떡의 가장 기본으로, 멥쌀가루에 물을 내려서 한 덩어리가 되게 찌는 떡이고, 켜떡은 멥쌀이나 찹쌀가루를 시루에 고물로 얹어가며 켜로 안쳐 찐 떡이다.
치는 떡(친떡) 곡물을 탈각해서 곡립 상태나 가루 상태로 만들어서 시루에 찐 다음 절구나 안반 등에서 친 것으로 흰떡·절편·차륜병(수레바퀴모양의 절편)·개피떡·인절미·단자류 등이 있다. 지진 떡은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모양을 만들어 기름에 지진 떡으로 전병·화전·주악·부꾸미 등이 있으며, 삶은 떡은 찹쌀을 반죽하여 빚기도 하지만 주악이나 약과 모양으로 썰고, 더러는 구멍떡으로 만들어서 끓는 물에 삶아 건져서 고물을 묻힌 떡이다. 종류로는 경단류와 단자류, 잡과병류, 기타 쇄백자, 산약병 및 풍소병 등이 있다.
종래에는 팥, 콩, 참깨, 송화가루, 대추, 밤, 약쑥 등의 영양재료로 삶음, 증숙, 볶음 및 박피 등의 선택 조리하여 파쇄한 재료로 표면에 겹겹이 살포하여 증숙하거나, 증숙한 떡 쌀을 매질 성형하여 표면 전체에 무친 떡도 있다.
특히, 떡 케이크는 돌 케이크, 결혼케이크, 회갑 등 다양한 행사에 사용되며, 간혹 잣, 밤, 대추 등을 이용하여 수공으로 축 회갑, 근하신년 등의 글자를 수 놓는 방식으로 장식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나 그림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고객이 원하는 문구, 로고, 그림 등을 표면에 제대로 표현할 수 없었다. 또한, 손으로 직접 수를 놓는 방식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떡의 표면에 문양을 직접 인쇄할 경우 작업과정에서 떡이 손상되어 상품 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절편으로 빚어 올리는 기법, 앙금으로 모양을 내는 기법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절편으로 빚어 올리는 기법의 경우 완성품의 문양이 정교하지 못하고 문양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상품의 가치가 높지 않고 앙금으로 모양을 내는 기법의 경우 화려하고 이쁘지만 꽃 이외의 장식을 표현하는데 있어 다양한 표현이 어렵고 고난이도의 전문 기술을 습득하기까지 긴 숙련의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한편, 스텐실과 등사기법을 사용하여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으나, 스텐실 기법은 문양을 표현할 때 마다 아크릴패턴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아크릴판을 커팅한 것을 다시 쌀가루 채워서 찌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표현이 정교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등사기법은 작업공정이 매우 까다로워 실질적으로 떡 케이크의 문양을 형성하는데 활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떡의 대중화에 발맞춰 현대인의 취향에 맞게 다양하고 정교한 문양과 그림 등의 이미지를 가지되 제품의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아 상품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공개특허 2011-0035505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떡 케이크의 표면에 다양하고 세밀한 이미지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어 우수한 생산성과 효율성으로 제품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미지 형성 작업시 떡 케이크에 직접 압력을 가하지 않아 떡 케이크가 으스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아랫면이 비치는 흰색 유산지 아래에 디자인된 이미지가 표시된 밑그림부를 배치하고, 상기 유산지 상면에 드로잉 반죽을 넣은 짜주머니로 상기 밑그림부의 이미지를 따라 드로잉(drawing)을 하여 이미지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부가 드로잉된 유산지를 냉동실에서 얼리는 단계; 떡 케이크 가루를 시루에 넣고 20 내지 30분간 찐 후, 떡 케이크의 상면에 상기 이미지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유산지를 뒤집어 배치하고 1 내지 3분간 더 쪄서 상기 이미지부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떡 케이크를 상기 이미지부가 바닥을 향하도록 평평한 곳에 1 내지 3분간 엎어 두어 상기 떡 케이크에 상기 이미지부를 고착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떡 케이크에서 유산지를 떼어 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드로잉 반죽은, 색소가 첨가된 색 반죽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드로잉 반죽은, 고운 건식 멥쌀가루 35.0 내지 40.0중량%, 전분 4.0 내지 4.5중량%, 설탕 5.0 내지 6.0중량%, 소금 0.2 내지 0.8중량%, 달걀흰자 0.5 내지 1.5중량% 및 우유 45.0 내지 55.0중량%를 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에 배치된 밑그림부의 이미지를 보고 그림을 그리듯이 이미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떡 케이크의 표면에 다양하고 정교한 문양이나 그림과 같은 이미지를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이미지부는 떡 케이크의 표면에 물리적인 압력을 직접 가해 형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의 이미지 형성 방법시 떡 케이크가 으스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품 가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이미지부를 제조하기 위한 드로잉(drawing) 반죽을 마련한다(S10). 일례로, 100% 멥쌀 떡 케이크에 사용하는 재료로서 상기 드로잉 반죽의 재료 배합 비는 고운 건식 멥쌀가루 35.0 내지 40.0중량%, 전분 4.0 내지 4.5중량%, 설탕 5.0 내지 6.0중량%, 소금 0.2 내지 0.8중량%, 달걀흰자 0.5 내지 1.5중량% 및 우유 45.0 내지 55.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멥쌀가루는 떡 케이크의 기본성분과 동일한 성분이며, 이미지부로 제조하여 떡 케이크에 부착하면 서로 잘 융합되어 떡 케이크 본연의 맛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멥쌀은 입자가 굵어 섬세한 문양을 그려내기 어렵기 때문에, 건조한 상태의 멥쌀을 최대한 곱게 제분한 후 고운 체로 쳐서 고운 입자만을 걸러 낸 고운 건식 멥쌀가루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때, 상기 고운 건식 멥쌀가루의 함량이 35.0중량% 미만이면 너무 묽어서 문양이나 그림을 그릴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40.0중량%를 초과하면 2차 찜 과정을 거쳐 떡 케이크가 완성된 후 떡 케이크로부터 이미지부가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분은 물과 섞여 열이 가해지면 응고하며 점착력을 갖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상기 드로잉 반죽의 응집력을 높여 떡 케이크 위에 부착시 고착력을 높일 수 있으며, 후술하는 드로잉 반죽에 다양한 색소를 첨가한 경우 수분이 가해져 쪄지는 동안 서로 다른 색깔의 반죽들이 섞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전분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이면 이미지부의 서로 다른 색깔의 반죽들이 섞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4.5중량%를 초과하면 드로잉 반죽이 지나치게 응집되어 이미지부가 떡 케이크 보다 수축되어 떡 케이크 위에 제대로 부착되지 못하고 떡 케이크로부터 뜨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소금은 이미지부의 맛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소금의 함량이 0.2중량% 미만이면 떡 케이크와 맛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0.8중량%를 초과해도 떡 케이크와 맛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설탕은 문양부의 맛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설탕의 함량이 5.0중량% 미만이면 풍미가 떨어지고 당이 녹아 다시 응고되는 과정에서 이미지부의 형태를 제대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해 이미지부가 퍼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6.0중량%를 초과하면 녹은 당이 딱딱하게 카라멜로 굳으면서 이미지부가 수축되거나 딱딱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달걀흰자는 전분과 같이 열이 가해지면 응고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드로잉 반죽의 응집력을 높이며, 후술하는 드로잉 반죽에 다양한 색소를 첨가한 경우 수분이 가해져 쪄지는 동안 서로 다른 색깔의 반죽들이 섞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달걀흰자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이미지부의 선명도가 저하되며 서로 다른 색깔의 반죽들이 섞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중량%를 초과하면 시루에서 찐 후 유산지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거나 찌는 과정에서 이미지부의 응집력이 너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찌는 과정에서 멥쌀가루는 수분을 흡수하여 부피가 늘어나는 반면에 상기 달걀흰자는 원래의 부피를 유지하면서 딱딱해져 두 성 분간의 분리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우유는 달걀흰자와 같이 열이 가해지면 응고하는 단백질 성분을 포함하며, 드로잉 반죽의 응집력을 높이며, 드로잉 반죽에 다양한 색소를 첨가한 경우 수분이 가해져 쪄지는 동안 서로 다른 색깔의 반죽들이 섞이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며 풍미를 더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우유의 함량이 45.0중량% 미만이면 이미지부의 맛이 떨어지며 이미지부가 떡 케이크 보다 먼저 굳어 떡 케이크에 고착되지 않고 분리되거나 서로 다른 색깔의 반죽들이 섞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미지부의 이미지가 번지는 형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유의 함량이 55.0중량%를 초과하면 드로잉 반죽이 너무 질어져 이미지부의 문양이나 그림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잉 반죽의 재료 배합 비는 더 바람직하게는 고운 건식 멥쌀가루 38.1중량%, 전분 4.3중량%, 설탕 5.5중량%, 소금 0.5중량%, 달걀흰자 0.8중량% 및 우유 50.8중량%일 수 있다.
상기 드로잉 반죽은, 먼저 달걀흰자를 100%까지 머랭으로 만든다, 이는, 본 실시 예에서는 소량의 달걀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리 공기를 넣어 충분히 팽창시킨 후 반죽에 골고루 퍼지게 함으로서 이미지부의 형상이 번지지 않고 반죽이 걸쭉해지면서 힘이 생기도록 하여 문양이나 그림을 드로잉하기 좋은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상기 재료 배합비에 따라 멥쌀가루, 전분, 설탕 및 소금을 혼합하고 최대한 곱게 고운 체로 쳐서 고운 입자들을 걸러낸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 가루에 우유와 달걀흰자 머랭을 섞어 흰 반죽을 만든다.
이때, 필요시 흰 반죽 중 일부를 덜어내어 원하는 색상을 내는 1개 이상의 색소를 색을 내고자 하는 양만큼 첨가하여 색 반죽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색소는 백년초, 녹차잎가루, 가지, 치자, 오징어먹물, 푸른콩, 검은콩, 호박, 딸기 등의 천연색소 또는 다양한 인공색소 등의 식용색소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색소는 드로잉 반죽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렇게 제조된 드로잉 반죽을 삼각짜주머니에 넣고 끝 부분을 잘라내어 반죽 배출구로 사용한다(S20). 이때, 짜주머니로 기존의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섬세한 작업이 곤란하므로 얇은 OPP(연신폴리프로필렌; oriented polypropylene) 비닐이나 유산지 등으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아랫면이 비치는 흰색 유산지 아래에 작업하고자 하는 문양, 도안 또는 문구 등의 다양하고 섬세한 디자인의 이미지가 그려진 도안지와 같은 밑그림부를 배치한 후(S30), 유산지 상면에 상기 드로잉 반죽을 넣은 짜주머니로 상기 밑그림부의 이미지를 따라 드로잉(drawing)을 하여 이미지부를 마련한다(S40). 본 실시 예에서는 밑에 깔린 이미지를 보고 따라 그리는 형태로 이미지부의 제조가 이루어지므로, 보다 정교한 문구나 문양도 쉽고 간편하게 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미지부가 형성된 유산지를 냉동실에 넣고 얼린다(S50).
다음으로 떡 케이크를 제조한다(S60). 이를 위해 먼저 떡 케이크 가루를 마련한다. 일례로서, 상기 떡 케이크 가루는, 멥쌀 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0중량부의 물을 넣고 손으로 비벼 풀어준 다음, 풀어준 멥쌀 가루를 적어도 2번 이상 체에 내려 거르고 이 멥쌀 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2중량부의 소금과 12 내지 13중량부의 설탕을 첨가하여 마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맵쌀가루 850g, 소금 10g, 물 140g 및 설탕 105g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 재료 배합의 가루를 사용하면 백설기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 예는 단호박가루와 같은 야채가루나 다양한 종류의 과일가루, 생야채나 과일, 퓨레 등에서 원하는 성분을 더 혼합하여 다양한 맛을 내는 백설기 케이크로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떡 케이크 가루와 추가 성분을 김이 오른 시루에 넣고 20 내지 30분간, 바람직하게는 약 25분간 쪄 떡 케이크를 제조한다(S60). 이후, 상기 떡 케이크의 상면에 상기 이미지부가 밀착되도록 냉동실에 얼려 둔 유산지를 거꾸로 뒤집어 눌러서 배치한 후, 시루에서 1 내지 3분간, 바람직하게는 2분간 더 쪄서 상기 이미지부를 익힘과 동시에 상기 떡 케이크의 상면에 부착시킨다(S70). 이때, 이미지부를 익히는 시간이 1분 미만인 경우 이미지부가 제대로 익지 않을 뿐만 아니라 떡 케이크의 상면에 제대로 부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분을 초과하면 너무 많이 익어 유산지 위로 수분이 많이 떨어져 유산지의 분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떡 케이크를 상기 이미지부가 바닥을 향하도록 바닥이 평평한 곳에 1 내지 3분간, 바람직하게는 약 2분간 엎어 두어 상기 떡 케이크에 상기 이미지부를 단단히 고착화시킨다(S80).
다음으로, 상기 떡 케이크를 다시 반대로 엎고 떡 케이크에서 유산지만 떼어 내어(S90) 이미지가 형성된 떡 케이크를 완성한다.
실험 예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에서 드로잉 반죽의 재료 및 그 배합비를 아래 표 1과 같이 설정하였다. 각각의 재료로 유산지 상면에 이미지를 드로잉 하여 이미지부를 제조하고 냉동실에서 얼린 후, 떡 케이크 상면에 부착하고 유산지를 제거하여 그 상태를 비교하였다.
# 멥쌀가루
(g)
찹쌀가루
(g)
전분(g) 설탕(g) 소금(g) 달걀흰자
(g)
우유(g) 물(g)
1 1002
(42.4
중량%)
- - 130
(5.5
중량%)
12
(0.5
중량%)
20
(0.8
중량%)
1200
(50.8
중량%)
-
2 - 1002
(42.4
중량%)
- 130
(5.5
중량%)
12
(0.5
중량%)
20
(0.8
중량%)
1200
(50.8
중량%)
-
3 900
(38.1
중량%)
- 102
(4.3
중량%)
130
(5.5
중량%)
12
(0.5
중량%)
20
(0.8
중량%)
- 1200
(50.8
중량%)
4 900
(38.1
중량%)
- 102
(4.3
중량%)
130
(5.5
중량%)
12
(0.5
중량%)
- 1200
(51.6
중량%)
-
5 900
(38.1
중량%)
- 102
(4.3
중량%)
130
(5.5
중량%)
12
(0.5
중량%)
20
(0.8
중량%)
- 1200
(50.8
중량%)
* 샘플 1-4: 비교 예, 샘플 5: 실시 예
샘플 1은 주성분을 멥쌀가루만 사용하고 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다. 샘플 1의 드로잉 반죽의 재료 배합 비는 고운 건식 멥쌀가루 1002g(42.3중량%), 설탕 130g(5.5중량%), 소금 12g(0.5중량%), 달걀흰자 20g(0.8중량%) 및 우유 1200g(50.8중량%)이다. 샘플 1의 경우 이미지부에 드로잉 된 이미지가 퍼져 선명하지 않았으며, 이미지부가 떡 케이크 위에 부착된 후 떡 케이크 보다 빨리 굳어 떡 케이크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샘플 2는 주성분을 찹쌀가루만 사용하고 멥쌀가루 및 전분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다. 샘플 2의 드로잉 반죽의 재료 배합비는 찹쌀가루 1002g(42.3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샘플 1과 같다. 샘플 2의 경우 찹쌀가루의 끈기가 너무 강해 이미지부가 떡 케이크에 압착된 후 유산지 분리가 제대로 되지 않았으며, 유산지를 강제로 분리한 후 이미지부의 이미지가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깨짐으로써 상품 가치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샘플 3은 샘플 1에서 우유 대신 물을 사용한 것이며, 이때 멥쌀가루의 양은 900g(38.1중량%)로 줄였고 추가로 전분은 102g(4.3중량%)를 사용하였다. 샘플 3의 경우 이미지부에 번짐 현상이 발생되었고, 떡 케이크 위에 부착된 이미지부가 떡 케이크 보다 빨리 굳어 떡 케이크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샘플 4는 샘플 3에서 달걀흰자를 빼고 달걀흰자가 빠진 양만큼 우유를 더 사용한 것이다. 달걀흰자를 사용하지 않은 샘플 4의 경우 이미지부의 이미지가 샘플 3에 비해 선명하지 않고 맛도 저하되었다. 이것은 달걀흰자의 경우 머랭을 내면 색이 하얗게 되고 떡이 익으면 달걀흰자가 더 하얗게 응고되는데, 이러한 작용이 드로잉 반죽에 포함된 색소의 색을 더욱 선명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샘플 5는 본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드로잉 반죽을 사용한 것으로서, 이미지부에 드로잉 된 이미지가 퍼지지 않고 선명하고 표현되었으며, 1차로 찐 떡 케이크의 상면에 이미지부를 부착하고 2차로 찐 후 유산지의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이미지부가 떡 케이크에 부착된 상태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한편, 샘플 5의 재료 배합비로 이미지부를 제조하되, 처음부터 떡 케이크 상면에 부착하여 떡 케이크와 같이 동시에 한번에 쪄 낸 경우, 이미지부의 이미지가 퍼져 최초 디자인된 문양의 형태를 알아보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S10 ; 드로잉 반죽 마련 단계
S20 ; 드로잉 반죽을 짜주머니에 채우는 단계
S30 ; 도안지 위에 유산지를 배치하는 단계
S40 ; 이미지를 드로잉 하는 단계
S50 ; 이미지부를 얼리는 단계
S60 ; 시루에 1차로 쪄서 떡 케이크를 제조하는 단계
S70 ; 이미지부를 부착하고 시루에 2차로 찌는 단계
S80 ; 이미지부를 고착화시키는 단계
S90 ; 유산지를 제거하는 단계

Claims (3)

  1. 아랫면이 비치는 흰색 유산지 아래에 이미지가 표시된 밑그림부를 배치하고, 상기 유산지 상면에 드로잉 반죽을 넣은 짜주머니로 상기 밑그림부의 이미지를 따라 드로잉(drawing)하여 이미지부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부가 드로잉된 유산지를 냉동실에서 얼리는 단계;
    떡 케이크 가루를 시루에 넣고 20 내지 30분간 찐 후, 떡 케이크의 상면에 상기 이미지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유산지를 뒤집어 배치하고 1 내지 3분간 더 쪄서 상기 이미지부를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떡 케이크를 상기 이미지부가 바닥을 향하도록 평평한 곳에 1 내지 3분간 엎어 두어 상기 떡 케이크에 상기 이미지부를 고착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떡 케이크에서 유산지를 떼어 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반죽은, 색소가 첨가된 색 반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잉 반죽은, 고운 건식 멥쌀가루 35.0 내지 40.0중량%, 전분 4.0 내지 4.5중량%, 설탕 5.0 내지 6.0중량%, 소금 0.2 내지 0.8중량%, 달걀흰자 0.5 내지 1.5중량% 및 우유 45.0 내지 55.0중량%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KR1020150117033A 2015-08-20 2015-08-20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KR101823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033A KR101823735B1 (ko) 2015-08-20 2015-08-20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033A KR101823735B1 (ko) 2015-08-20 2015-08-20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267A true KR20170022267A (ko) 2017-03-02
KR101823735B1 KR101823735B1 (ko) 2018-01-30

Family

ID=5842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033A KR101823735B1 (ko) 2015-08-20 2015-08-20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7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96A1 (ko) * 2022-07-07 2024-01-11 김미라 디자인 이미지가 구현된 빵의 제조 방법
KR200497781Y1 (ko) * 2023-03-24 2024-02-28 김선영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4598C2 (ru) * 2020-02-19 2021-09-03 Елена Владимировна Деккер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екора для торта и декор для торта
KR20240009023A (ko) 2022-07-12 2024-01-22 박금화 명화 쌀찜카스테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명화 쌀찜카스테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505A (ko) 2009-09-30 2011-04-06 김문정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505A (ko) 2009-09-30 2011-04-06 김문정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96A1 (ko) * 2022-07-07 2024-01-11 김미라 디자인 이미지가 구현된 빵의 제조 방법
KR200497781Y1 (ko) * 2023-03-24 2024-02-28 김선영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735B1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914B1 (ko) 인삼 월병 및 그 제조방법
KR101823735B1 (ko)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CN108719532A (zh) 一种珍珠奶茶的加工方法
KR100869423B1 (ko) 무설탕 기능성 호두 설기떡의 제조방법
KR20140069535A (ko) 과일 돈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131336A (ko) 연을 이용한 삼색 한과의 제조방법
KR20110035505A (ko)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KR100532033B1 (ko) 쌀 씨리얼, 쌀 강정 및 그 제조 방법
KR101810364B1 (ko) 배 절편의 착색방법
KR101953021B1 (ko) 배를 이용한 타르트 제조방법
US6455089B1 (en) Method for producing macaroni-type articles
KR101927849B1 (ko) 자색 고구마를 포함하는 한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한과
KR101407839B1 (ko) 물회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회
KR101346789B1 (ko) 감귤 호두과자와 그 제조방법
KR101325643B1 (ko) 따개비 및 게가 첨가된 녹차 칼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8881B1 (ko) 황금색을 띠는 앙금의 제조방법과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금색을 띠는 앙금 및 상기 황금색을 띠는 앙금을 포함하는 식품
CN110089712A (zh) 一种采用复配原料品种制备的纯花生酱及其制备方法
CN104489524A (zh) 一种鸭血块蚕豆酱及其制备方法
KR102138206B1 (ko) 이미지를 포함하는 마카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21750B1 (ko)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KR102553958B1 (ko) 팥 스프레드 및 이를 포함하는 다층형 스프레드 제조방법
KR20150084501A (ko) 캡사이신이 함유된 매운맛 떡볶이용 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94381B1 (ko) 기능성혼합약과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기능성 혼합약과
KR20060089174A (ko) 파프리카 또는 피망을 이용한 천연식용색소, 면, 수제비,떡볶이떡, 가래떡, 아이스크림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107518290A (zh) 一种特色竹筒饭的关键做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