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1750B1 -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1750B1
KR101121750B1 KR1020090087984A KR20090087984A KR101121750B1 KR 101121750 B1 KR101121750 B1 KR 101121750B1 KR 1020090087984 A KR1020090087984 A KR 1020090087984A KR 20090087984 A KR20090087984 A KR 20090087984A KR 101121750 B1 KR101121750 B1 KR 101121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weight
pattern
rice
choco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052A (ko
Inventor
서보룡
김문정
Original Assignee
김문정
서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정, 서보룡 filed Critical 김문정
Priority to KR1020090087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17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1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1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떡 표면을 연마하여 평탄화한 후 현대인의 취향에 맞게 떡 표면에 다양하고 세밀하며 다채로운 색상을 갖도록 문양이나 그림을 형성함으로써 섭취자의 취향과 심미감을 향상시켜 떡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고, 용이한 작업성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 문양

Description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Fattern forming method of rice cake}
본 발명은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떡 표면을 연마하여 평탄화한 후 현대인의 취향에 맞게 떡 표면에 다양하고 세밀하며 다채로운 색상을 갖도록 문양이나 그림을 형성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떡이란 곡식을 가루 내어 물과 반죽하여 쪄서 만든 음식으로 오곡에 갖가지 과일, 나물 등의 독특한 향기와 맛, 자연색소들을 이용해 영양가 높고 맛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음식이었으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잔치, 제사, 고사, 명절 등에 빠지지 않고 사용되는 음식 중에 하나였다.
또한, 예로부터 떡을 음식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여 귀신에게 바치는 제물로 사용하거나 액막이로 사용되기도 하였고, 한가윗날 송편의 모양새와 쪄진 상태로 여자들이 미래의 낭군이나 태어날 아기를 점치기도 하였으며, 매 절기마다 의미를 부여하여 떡을 만들어 먹는 등 한국인의 전통을 드러내는 중요한 음식이었다.
상기와 같은 전통적인 종류의 떡은 현대사회에 들어 케익, 빵, 피자와 같은 서양 먹거리에 밀려 대중들로부터 소외 받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 건강을 중요시 하는 웰빙 바람에 힘입어 서양 먹거리에 비하여 영양이 우수한 떡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다양한 맛과 형태를 가지는 떡을 개발하여 현대인의 입맛과 취향에 맞게 현대화함으로써 대중적인 음식으로 새롭게 거듭나고 있었다.
떡의 종류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시루에 쪄서 완성한 찐 떡, 찐 다음 떡판이나 절구를 이용하여 쳐서 완성하는 친떡, 기름에 지져서 완성된 지진 떡, 찰가루 반죽을 삶아 건져낸 삶은 떡 등 크게 네 종류로 나누었다.
찌는 떡(찐떡)은 다른 말로 시루떡이라고도 하는데, 멥쌀이나 찹쌀을 물에 담갔다가 가루로 만들어 시루에 안친 뒤 김을 올려 익히며, 찌는 방법에 따라 다시 설기떡(무리떡)과 켜 떡으로 구분한다. 설기떡은 찌는 떡의 가장 기본으로, 멥쌀가루에 물을 내려서 한 덩어리가 되게 찌는 떡이고, 켜떡은 멥쌀이나 찹쌀가루를 시루에 고물로 얹어가며 켜켜로 안쳐 찐 떡이였다.
치는 떡(친떡) 곡물을 탈각해서 곡립상태나 가루 상태로 만들어서 시루에 찐 다음 절구나 안반 등에서 친 것으로 흰떡, 절편, 차륜병(수레바퀴모양의 절편), 개피떡, 인절미, 단자류 등이 있었다.
지진 떡은 찹쌀가루를 반죽하여 모양을 만들어 기름에 지진 떡으로 전병, 화전, 주악, 부꾸미 등이 있으며, 삶은 떡은 찹쌀을 반죽하여 빚기도 하지만 주악이나 약과 모양으로 썰고, 더러는 구멍떡으로 만들어서 끓는 물에 삶아 건져서 고물을 묻힌 떡이다. 종류로는 경단류와 단자류, 잡과병류, 기타 쇄백자, 산약병, 풍소병 등이 있었다.
종래에는 팥, 콩, 참께, 송화가루, 대추, 밤, 약쑥 등의 영양재료로 삶음, 증숙, 볶음, 박피 등의 선택 조리하여 파쇄한 재료로 표면에 겹겹이 살포하여 증숙하거나, 증숙한 떡 쌀을 매질 성형하여 표면 전체에 무친 떡도 있으며, 간혹 잣, 밤, 대추 등으로 수공으로 축 회갑, 근하신년 등의 글자를 수놓는 방식으로 떡을 장식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나 그림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손으로 직접 수를 놓는 방식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는 전통적인 방식은 떡의 대중화에 발맞춰 현대인의 취향에 맞게 떡을 디자인하고 생산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방법으로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현대인의 취향에 맞게 떡 표면에 다양하고 세밀하며 다채로운 색상을 갖도록 문양이나 그림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떡의 문양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떡 표면에 여러 형태의 문양, 그림 등이 형성되어 섭취자의 취향과 심미감을 향상시켜 떡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 떡의 문양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이한 작업성으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우수한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떡 표면을 연마하여 평탄화한 후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S1) 떡 표면을 1차코팅하는 단계;
(S2) 상기 1차코팅된 떡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
(S3) 상기 평탄화된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S4) 상기 문양이 인쇄된 떡 표면을 2차코팅하는 단계; 및
(S5) 상기 2차코팅된 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코팅에는 한천함유 코팅액 또는 초콜릿 함유 코팅액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문양은 실크스크린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코팅에는 한천, 물, 설탕 및 물엿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표면에 문양이 형성된 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떡은 현대인의 취향에 맞게 떡 표면에 다양하고 세밀하며 다채로운 색상을 갖도록 문양이나 그림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섭취자의 취향과 심미감을 향상시켜 떡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고, 용이한 작업성으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떡은 찐떡, 친떡, 지진떡, 삶은떡 등 통상적으로 '떡'이라 부르는 모든 종류의 떡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지 않아도 만드는 방법이나 종류에 상관없이 일반적으로 말하는 떡 종류를 모두 의미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은 반죽을 빚어 만들기 때문에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맛을 내기 위한 각종 고물가루들이 뿌려져 있어 세밀하고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하고 떡의 표면에 세밀하고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떡 표면을 연마하여 평탄화하는 단계를 거친 후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떡 표면을 1차코팅하는 단계, 상기 1차코팅된 떡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 상기 평탄화된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문양이 인쇄된 떡 표면을 2차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2차코팅된 떡을 건조하는 단계로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1차코팅은 통상 떡을 제조하는 일련의 과정을 마친 상태의 떡의 표면에 실시하는 것으로, 상기 1차코팅 이전의 떡 제조과정은 떡의 종류에 따라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 1차코팅
먼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떡 표면을 코팅액을 이용하여 1차코팅한다.
상기 1차코팅에 사용되는 코팅액으로는 한천 함유 코팅액 또는 초콜릿 함유 코팅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선택은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천 함유 코팅액으로는 한천, 물, 설탕 및 물엿을 포함하는 한천 기본 코팅액에 색소 흡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착색 향상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색 향상 성분으로는 멥쌀가루, 찹쌀가루, 타피오카 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백옥분, 식용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말티플, 밀가루, 탈지분유 등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한천 함유 코팅액은 한천 10~20중량%, 물 40~60중량%, 설탕 20~40중량% 및 물엿 1~10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 5~2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양을 형성하고자하는 떡의 수분함량 정도, 점성 정도나 떡을 제조한 곡물류의 종류에 따라 그 배합비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문양을 형성하고자 하는 떡이 설기떡일 경우 한천 10~20중량%, 물 40~60중량%, 설탕 20~40중량% 및 물엿 1~10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멥쌀가루 10중량부 및 식용 C.M.C 1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찰떡일 경우 한천 10~20중량%, 물 40~60중량%, 설탕 20~40중량% 및 물엿 1~10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감자전분 15중량부 및 백옥분 1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수분 함유가 높은 떡일 경우 한천 10~20중량%, 물 40~60중량%, 설탕 20~40중량% 및 물엿 1~10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타피오카 전분 10중량부 및 감자전분 1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잡곡떡의 경우 한천 10~20중량%, 물 40~60중량%, 설탕 20~40중량% 및 물엿 1~10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말티플 10중량부 및 밀가루 10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과일이 함유된 떡(공지된 떡보다 수분의 함량이 10~20중량% 더포함되어 질게 쪄진 떡, 이하 동일)의 경우 한천 10~20중량%, 물 40~60중량%, 설탕 20~40중량% 및 물엿 1~10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식용 C.M.C 5중량부 및 탈지분유 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초콜릿 함유 코팅액으로는 초콜릿 버터, 화이트초콜릿, 생크림 및 설탕을 포함하는 초콜릿 기본 코팅액에 색소 흡착력 향상을 위한 착색 향상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착색 향상 성분은 전술한 한천 함유 코팅액과 동일한 성분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초콜릿 함유 코팅액은 초콜릿 버터 20~30중량%, 화이트초콜릿 30~40중량%, 생크림 10~20중량% 및 설탕 10~20중량%의 초코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 5~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문양을 형성하고자하는 떡의 수분함량 정도, 점성 정도나 떡을 제조한 곡물류의 종류에 따라 그 배합비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문양을 형성하고자 하는 떡이 설기떡일 경우 초콜릿 버터 20~30 중량%, 화이트초콜릿 30~40중량%, 생크림 10~20중량% 및 설탕 10~20중량%의 초콜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멥쌀가루 5중량부 및 백옥분 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찰떡일 경우 초콜릿 버터 20~30중량%, 화이트초콜릿 30~40중량%, 생크림 10~20중량% 및 설탕 10~20중량%의 초콜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감자전분 5중량부 및 백옥분 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수분 함유가 높은 떡일 경우 초콜릿 버터 20~30중량%, 화이트초콜릿 30~40중량%, 생크림 10~20중량% 및 설탕 10~20중량%의 초콜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타피오카 전분 10중량부 및 감자전분 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잡곡떡(현미, 콩, 깨, 수수와 같은 잡곡이 10~30중량% 포함된 떡, 이하 동일)일 경우 초콜릿 버터 20~30중량%, 화이트초콜릿 30~40중량%, 생크림 10~20중량% 및 설탕 10~20중량%의 초콜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말티플 5중량부 및 백옥분 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고, 과일이 함유된 떡(사과, 딸기 등이 과일이 5~10중량% 포함된 떡, 이하 동일)일 경우 초콜릿 버터 20~30중량%, 화이트초콜릿 30~40중량%, 생크림 10~20중량% 및 설탕 10~20중량%의 초콜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식용 C.M.C 5중량부, 타피오카 5중량부 및 백옥분 5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한천 함유 코팅액이나 초콜릿 함유 코팅액은 떡 표면에 부은 후 20~30분간 굳힌 다음 이후 평탄화 과정을 거치게 된다.
(S2) 평탄화
상기와 같이 1차코팅액이 도포되어 굳은 떡 표면은 이후 평탄화 과정을 거치 게 된다.
상기 평탄화는 타피오카 전분을 도포하여 연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질이 보드라운 붓에 타피오카 전분을 찍어 떡 표면에 5~6회 엷게 도포한다.
(S3) 문양 형성
상기와 같이 떡 표면을 평탄화한 이후에는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한다.
상기 문양 형성 방법으로는 통상의 인쇄기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다양하고 세밀한 문양 형성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인쇄기법 중 제작과정이 비교적 간편하고 단시간 내에 대량 인쇄가 가능하며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는 실크스크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크스크린 방법은 먼저 프레임을 제작한 후, 상기 프레임에 실크망사를 붙이고 감광액을 도포하여 건조한 후, 색소를 이용하여 문양이 제도된 필름을 실크망사 위에 압착한 다음, 빛을 쬔 다음 세척하여 실시된다.
상기 실크스크린 방법을 이용한 문양 형성 과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실크스크린 인쇄시 사용되는 제판을 제작하기 위해 제도필름에 제도한 후 문양의 크기 범위에 따라 프레임을 제작한다. 이때, 프레임 재질은 문양을 새겨 넣은 후 프레임에 뭍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하기 용이한 알루미늄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프레임이 제작되면 실크망사를 프레임의 위로 팽팽하게 붙여주고, 감광액을 도포시킨 후 약 30분 정도 암실에서 건조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실크망사는 일반적으로 표면이 매끄러운 종이, 비닐 등에 인쇄할 때는 200~400메쉬(mesh)의 높은 밀도를 가지는 실크망사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불규칙하고 거친 표면에 문양이 선명하고 정확하게 인쇄되도록 80~200메쉬의 낮은 밀도를 가지는 실크망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감광액이 건조된 실크망사 위에 색소를 이용하여 문양이 제도 된 필름을 압착시켜 30초~1분간 불빛에 쬔 후, 실크망사를 알콜로 세척하게 되면 떡 표면에 문양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문양 제도에 사용되는 색소로는 식용색소 및 호료(糊料)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용색소로는 백년초, 구기자, 가지, 치자, 호박, 녹차잎, 솔잎, 쑥, 푸른 콩 등의 천연재료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재료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재료의 뿌리나 열매를 상온에서 일정시간 동안 건조시켜 입자크기를 300메쉬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한 천연재료(35~60중량%)에 물(35~60중량%) 및 식초(2~5중량%)를 혼합하여 1~2시 동안 가열한 후 농축하여 끓인 후 수분을 날려보내는 농축과정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호료는 식용색소의 점도와 고착시간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하며, 구체적으로 찹쌀가루, 타피오카 전분, 식용 C.M.C, 한천, 쌀가루, 밀가루, 해초, 쵸콜릿 등을 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호료 20~40중량%에 물 60~80중량%를 혼합한 후 5~20분간 끓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은 식용색소와 호료는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문양 제도에 사용된다.
(S4) 2차코팅
상기와 같이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한 후에는 2차코팅액을 이용하여 2차코팅한다.
상기 2차코팅액은 한천 10~20중량%, 물 40~60중량%, 설탕 20~40중량% 및 물엿 1~1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2차코팅액은 끓인 후 문양이 형성된 떡 표면에 도포되며, 이후 건조 과정을 거쳐 떡 표면의 문양 형성이 완료된다.
(S5) 건조
상기와 같이 1차코팅 후 평탄화 과정을 거쳐 매끄러워진 떡 표면에 실크스크린 방법에 의해 문양을 형성한 후 그 표면을 다시 2차코팅한 떡은 건조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목적하는 문양이 형성된 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실온건조 또는 냉동건조할 수 있으며, 한천 함유 코팅액을 사용하여 1차코팅한 경우에는 실온건조하고, 초콜릿 함유 코팅액을 사용하여 1차코팅한 경우에는 냉동건조하는 것이 더욱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표면에 문양이 형성된 떡을 제공하는 바, 본 발명에 따라 표면에 문양이 형성된 떡은 떡 표면에 다양하고 세밀하며 다채로운 색상을 갖는 문양이나 그림을 형성함으로써 섭취자의 취향과 심미감을 향상시 켜 떡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고, 용이한 작업성으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설기떡, 찰떡, 수분 함유가 높은 떡, 잡곡떡, 과일이 함유된 떡은 당업계에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설기떡 표면에 한천 15중량%, 물 50중량%, 설탕 30중량% 및 물엿 5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멥쌀가루 10중량부 및 식용 C.M.C 10중량부가 혼합된 1차코팅액을 도포하여 20분간 경화시켰다.
그 다음, 모질이 보드라운 평붓에 타피오카 전분을 찍어 상기 경화된 설기떡 표면에 5~6회 엷게 도포하여 평탄화하였다.
상기 평탄화된 설기떡 표면에 도 1에 도시된 문양의 크기로 알루미늄 프레임을 제작하고, 프레임에 실크망사를 붙인 후 감광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다음, 백년초, 구기자, 가지, 치자, 호박, 녹차잎, 솔잎, 쑥 및 푸른 콩 추출물과 타피오카 전분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색소를 이용하여 도 1의 문양이 제도된 필름을 실크 망사 위에 압착하고, 30초간 불빛을 쬔 후 알콜로 세척하여 문양을 형성하였다.
상기 문양이 형성된 설기떡 표면에 한천 15중량%, 물 50중량%, 설탕 30중량% 및 물엿 5중량%의 2차코팅액을 도포하여 20분간 경화시킨 후 실온건조하여 표면에 도 1의 문양이 형성된 설기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설기떡을 대신하여 찰떡을 사용하고, 찰떡 표면에 한천 15중량%, 물 50중량%, 설탕 30중량% 및 물엿 5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감자전분 15중량부 및 백옥분 10중량부가 혼합된 1차코팅액을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문양이 형성된 찰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설기떡을 대신하여 수분 함유가 높은 떡을 사용하고, 수분 함유가 높은 떡 표면에 한천 15중량%, 물 50중량%, 설탕 30중량% 및 물엿 5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타피오카 전분 10중량부 및 감자전분 10중량부가 혼합된 1차코팅액을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문양이 형성된 수분 함유가 높은 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설기떡을 대신하여 잡곡떡을 사용하고, 잡곡떡 표면에 한천 15중량%, 물 50중량%, 설탕 30중량% 및 물엿 5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말티플 10중량부 및 밀가루 10중량부가 혼합된 1차코팅액을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문양이 형성된 잡곡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설기떡을 대신하여 과일떡을 사용하고, 과일떡 표면에 한천 15중량%, 물 50중량%, 설탕 30중량% 및 물엿 5중량%의 한천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식용 C.M.C 5중량부 및 탈지분유 5중량부가 혼합된 1차코팅액을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문양이 형성된 과일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설기떡 표면에 초콜릿 버터 30중량%, 화이트초콜릿 20중량%, 생크림 20중량%, 설탕 20중량%의 초콜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멥쌀가루 5중량부 및 백옥분 5중량부가 혼합된 1차코팅액을 도포하여 20분간 경화시켰다.
그 다음, 모질이 보드라운 평붓에 타피오카 전분을 찍어 상기 경화된 설기떡 표면에 5~6회 엷게 도포하여 평탄화하였다.
상기 평탄화된 설기떡 표면에 도 1에 도시된 문양의 크기로 알루미늄 프레임을 제작하고, 프레임에 실크망사를 붙인 후 감광액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다음, 백년초, 구기자, 가지, 치자, 호박, 녹차잎, 솔잎, 쑥 및 푸른 콩 추출물과 타피오카 전분을 1:1의 비율로 혼합한 색소를 이용하여 도 1의 문양이 제도된 필름을 실크 망사 위에 압착하고, 30초간 불빛을 쬔 후 알콜로 세척하여 문양을 형성하였다.
상기 문양이 형성된 설기떡 표면에 한천 15중량%, 물 50중량%, 설탕 30중량% 및 물엿 5중량%의 2차코팅액을 도포하여 20분간 경화시킨 후 실온건조하여 표면에 도 1의 문양이 형성된 설기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6에서 설기떡을 대신하여 찰떡을 사용하고, 찰떡 표면에 초콜릿 버터 30중량%, 화이트초콜릿 20중량%, 생크림 20중량%, 설탕 20중량%의 초콜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감자전분 5중량부 및 백옥분 5중량부가 혼합된 1차코팅액을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문양이 형성된 찰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6에서 설기떡을 대신하여 수분 함유가 높은 떡을 사용하고, 수분 함유가 높은 떡 표면에 초콜릿 버터 30중량%, 화이트초콜릿 20중량%, 생크림 20중량%, 설탕 20중량%의 초콜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타피오카 전분 10중량부 및 감자전분 5중량부가 혼합된 1차코팅액을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문양이 형성된 수분 함유가 높은 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6에서 설기떡을 대신하여 잡곡떡을 사용하고, 잡곡떡 표면에 초콜릿 버터 30중량%, 화이트초콜릿 20중량%, 생크림 20중량%, 설탕 20중량%의 초콜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말티플 5중량부 및 백옥분 5중량부가 혼합된 1차코팅액을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문양이 형성된 잡곡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6에서 설기떡을 대신하여 과일떡을 사용하고, 과일떡 표면에 초 콜릿 버터 30중량%, 화이트초콜릿 20중량%, 생크림 20중량%, 설탕 20중량%의 초콜릿 기본 코팅액 100중량부에 착색 향상 성분으로 식용 C.M.C 5중량부, 타피오카 5중량부 및 백옥분 5중량부가 혼합된 1차코팅액을 도포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문양이 형성된 과일떡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0에서 제조하여 표면에 문양이 형성된 떡과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설기떡, 찰떡, 수분 함유가 높은 떡, 잡곡떡, 과일떡을 이용하여 20~40대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섭취하도록 한 후,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만족도는 5점 척도법(5점:매우좋음, 4점:좋음,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나쁨)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구분 심미감 전체적인 만족도
실시예 1의 설기떡 4.0 4.8 4.5
실시예 7의 찰떡 4.2 4.7 4.6
실시예 3의 수분 함유가 높은 떡 4.3 4.8 4.6
실시예 9의 잡곡떡 4.5 5.0 4.8
실시예 5의 과일떡 4.0 5.0 4.7
일반 설기떡 4.0 3.0 3.5
일반 찰떡 4.1 3.5 3.7
일반 수분 함유가 높은 떡 4.3 3.0 3.8
일반 잡곡떡 4.5 3.2 3.6
일반 과일떡 4.0 3.3 3.5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표면에 문양을 형성한 실시예의 떡은 기존의 떡들과 비교하여 유사한 맛을 보이면서 섭취자의 심미감과 취향을 만족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만족도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떡의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과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표면에 문양이 형성된 설기떡의 정면 사진이다.

Claims (11)

  1. 삭제
  2. (S1) 떡 표면을 1차코팅하는 단계;
    (S2) 상기 1차코팅된 떡 표면을 평탄화하는 단계;
    (S3) 상기 평탄화된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단계;
    (S4) 상기 문양이 인쇄된 떡 표면을 2차코팅하는 단계; 및
    (S5) 상기 2차코팅된 떡을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1)의 1차코팅은 한천 함유 코팅액 또는 초콜릿 함유 코팅액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천 함유 코팅액은 ⅰ) 한천, ⅱ) 물, ⅲ) 설탕, ⅳ) 물엿 및 ⅴ) 멥쌀가루, 찹쌀가루, 타피오카 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백옥분, 식용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말티플, 밀가루 및 탈지분유 중 선택된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콜릿 함유 코팅액은 ⅰ) 초콜릿 버터, ⅱ) 화이트초콜릿, ⅲ) 생크림, ⅳ) 설탕 및 ⅴ) 멥쌀가루, 찹쌀가루, 타피오카 전분,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백옥분, 식용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말티플, 밀가루 및 탈지분유 중 선택된 2종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2)의 평탄화는 1차코팅된 떡 표면에 타피오카 전분을 도포하여 연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3)의 문양은 실크스크린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3)의 문양은 식용색소 및 호료를 혼합한 색소를 착색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4)의 2차코팅은 한천, 물, 설탕 및 물엿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S5)의 건조는 실온건조 또는 냉동건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11. 제2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표면에 문양이 형성된 떡.
KR1020090087984A 2009-09-17 2009-09-17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KR101121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984A KR101121750B1 (ko) 2009-09-17 2009-09-17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984A KR101121750B1 (ko) 2009-09-17 2009-09-17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052A KR20110030052A (ko) 2011-03-23
KR101121750B1 true KR101121750B1 (ko) 2012-03-22

Family

ID=4393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984A KR101121750B1 (ko) 2009-09-17 2009-09-17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1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451A (ko) * 2019-01-11 2020-07-21 이태규 입체형 서화(書畵)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입체형 서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979A (ko) * 2000-10-31 2002-05-08 유재필 휴대용 떡 제조방법
KR200314783Y1 (ko) 2003-01-08 2003-05-27 이경환
KR20030078147A (ko) * 2002-03-28 2003-10-08 오진숙 식품면에 문양 무늬 새김방법
KR20090089748A (ko) * 2008-02-19 2009-08-24 전병권 유연성과 보존성을 유지하는 쵸코찰떡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979A (ko) * 2000-10-31 2002-05-08 유재필 휴대용 떡 제조방법
KR20030078147A (ko) * 2002-03-28 2003-10-08 오진숙 식품면에 문양 무늬 새김방법
KR200314783Y1 (ko) 2003-01-08 2003-05-27 이경환
KR20090089748A (ko) * 2008-02-19 2009-08-24 전병권 유연성과 보존성을 유지하는 쵸코찰떡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7451A (ko) * 2019-01-11 2020-07-21 이태규 입체형 서화(書畵)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입체형 서화
KR102209246B1 (ko) 2019-01-11 2021-01-28 이태규 입체형 서화(書畵)를 제작하는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입체형 서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052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009B1 (ko) 천연색소를 포함하는 유색누룽지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유색누룽지
JP3667874B2 (ja) 昆布を添加したパンの製造方法
KR100985093B1 (ko) 뽕잎을 함유하는 한과의 제조방법
KR20170022267A (ko)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KR20190134145A (ko) 율피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1121750B1 (ko) 떡 표면의 문양 형성 방법
KR101996799B1 (ko) 발효 현미를 이용한 누룽지 스낵의 제조방법 및 그 누룽지 스낵
KR20110035505A (ko)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KR20220108688A (ko) 쑥 페스트리의 제조방법
KR102048156B1 (ko) 멸치와 누룽지를 이용한 경단의 제조방법
KR20170085182A (ko) 닥나무 성분 함유 무가당 감자떡 및 그 제조방법
KR100848548B1 (ko) 파프리카 또는 피망을 이용한 천연식용색소, 면, 수제비,떡볶이떡, 가래떡, 아이스크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30086115A (ko) 천연 식재료가 도포된 초컬릿 한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09598B1 (ko) 인삼새싹 및 검은콩을 이용한 김부각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038B1 (ko) 울금과 새싹보리를 이용한 칼국수의 제조방법
KR20200105214A (ko) 저염식 된장의 제조방법
KR20130062794A (ko) 방아잎 경단의 제조방법
KR102291108B1 (ko) 영양소가 강화된 기정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61567A (ko) 배건과를 이용한 떡 제조방법
KR102605986B1 (ko) 식감을 개선한 수제 호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74513B1 (ko) 지방 함량 및 열량이 낮은 디저트 한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72033B1 (ko) 맑은 팥 칼국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347220A (zh) 一种干熟土豆制成的卷粉及制作方法
KR19990016881A (ko) 향미와 유색미를 이용한 곡차의 제조방법
CN105660787A (zh) 一种芙蓉糕的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