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81Y1 -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 Google Patents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81Y1
KR200497781Y1 KR2020230000593U KR20230000593U KR200497781Y1 KR 200497781 Y1 KR200497781 Y1 KR 200497781Y1 KR 2020230000593 U KR2020230000593 U KR 2020230000593U KR 20230000593 U KR20230000593 U KR 20230000593U KR 200497781 Y1 KR200497781 Y1 KR 200497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rice
cakes
letter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05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김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영 filed Critical 김선영
Priority to KR20202300005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면에 이미지나 글자가 표시되는 복수의 떡;을 포함하되, 상기 떡은, 상면에 식용 가능한 가루나 앙금에 의해 이미지나 글자가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제1타입 떡; 및 떡을 감싸는 포장지에 이미지 스티커나 글자 스티커가 부착되어 상면에 이미지나 글자가 표시되는 제2타입 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RICE CAKE SET MADE USING STICKERS AND STENCIL}
본 고안은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에 관한 것이다.
떡이란 곡식을 가루 내어 물과 반죽하여 쪄서 만든 음식으로 오곡에 갖가지 과일·나물 등의 독특한 향기와 맛, 자연색소들을 이용해 영양가 높고 맛이 좋아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는 음식이다.
떡은 현대사회에 들어 케이크, 빵, 피자와 같은 서양 먹거리에 밀려 대중들로부터 소외받게 되었다. 하지만, 최근 건강을 중요시하는 웰빙(well-being) 바람에 힘입어 서양 먹거리에 비하여 영양이 우수한 떡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다양한 맛과 형태를 가지는 떡을 개발하여 현대인의 입맛과 취향에 맞게 현대화시킴으로써 대중적인 음식으로 새롭게 거듭나고 있다.
특히, 떡은 돌, 결혼, 회갑 등 다양한 행사에 사용되며, 간혹 잣, 밤, 대추 등을 이용하여 수공으로 축 회갑, 근하신년 등의 글자를 수 놓는 방식으로 장식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문양이나 그림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고객이 원하는 문구, 로고, 그림 등을 표면에 제대로 표현할 수 없었다. 또한, 손으로 직접 수를 놓는 방식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떡의 표면에 문양을 직접 인쇄할 경우 작업과정에서 떡이 손상되어 상품 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절편으로 빚어 올리는 기법, 앙금으로 모양을 내는 기법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절편으로 빚어 올리는 기법의 경우 완성품의 문양이 정교하지 못하고 문양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상품의 가치가 높지 않고 앙금으로 모양을 내는 기법의 경우 화려하고 이쁘지만 꽃 이외의 장식을 표현하는데 있어 다양한 표현이 어렵고 고난이도의 전문 기술을 습득하기까지 긴 숙련의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5326호(2013.06.10.)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떡의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현대인의 취향에 맞게 떡 상면에 다양한 이미지와 글자를 표시하여, 기념일에 사용될 수 있는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에 이미지나 글자가 표시되는 복수의 떡;을 포함하되, 상기 떡은, 상면에 식용 가능한 가루나 앙금에 의해 이미지나 글자가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제1타입 떡; 및 떡을 감싸는 포장지에 이미지 스티커나 글자 스티커가 부착되어 상면에 이미지나 글자가 표시되는 제2타입 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타입 떡은, 소정 크기의 시트지에 이미지 형상이나 글자 형상에 따른 음각이 형성된 스텐실을 통해, 상면에 식용 가능한 가루나 앙금에 의해 이미지나 글자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떡이 3행 3열로 배열되되, 1행의 3개의 떡과, 3행의 3개의 떡은 상기 제1타입 떡으로 이루어지고, 2행의 3개의 떡은 상기 제2타입 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떡이 3행 3열로 배열되되, 1행의 3개의 떡은, 각각의 상면에 동일한 글자가 형성되는 상기 제1 타입 떡으로 이루어지고, 2행의 3개의 떡은, 각각의 상면에 한 글자씩 글자 스티커가 부착되는 상기 제2타입 떡으로 이루어지고, 3행의 3개의 떡은. 각각의 상면에 동일한 이미지가 형성되는 상기 제1타입 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떡이 3행 3열로 배열되되, 1행의 3개의 떡 각각의 상면에는, 동일한 글자가 형성되는 상기 제1 타입 떡으로 이루어지고, 2행의 3개의 떡 각각의 상면에는, 이름의 한 글자씩 글자 스티커가 부착되는 상기 제2타입 떡으로 이루어지고, 3행의 3개의 떡 각각의 상면에는, 동일한 이미지가 형성되는 상기 제1타입 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떡의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현대인의 취향에 맞게 떡 상면에 다양한 이미지와 글자를 표시하여, 기념일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따른 형상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라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형성유닛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실(2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커(31)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1)는, 상면에 스텐실(20)과 스티커(31)에 의해 글자나 이미지가 표시된 복수의 떡(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1)는 상면에 이미지나 글자가 표시되는 복수의 떡(10)을 포함한다.
복수의 떡(10)은 스텐실(20) 또는 스티커(31)에 의해 상면에 이미지나 글자가 세겨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떡(10)은 제1타입 떡(11) 및 제2타입 떡(12)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떡(10)은, 복수개의 제1타입 떡(11)과 복수개의 제2타입 떡(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타입 떡(11)은 상면에 식용 가능한 가루나 앙금에 의해 이미지나 글자가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타입 떡(11)은 스텐실(20)에 의해 떡(10)의 상면에 식용 가능한 가루나 앙금으로 이미지나 글자가 형성될 수 있다.
스텐실(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시트지(21)에 이미지 형상이나 글자 형상에 따른 음각(22)(즉, 홀 형태로 개방된 부분)이 형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시트지(21)는 종이나 플라스틱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지(21)에는, 도 2a와 같이, 기 설정된 글자 형태인 글자음각(221)이 형성될 수 있고, 도 2b와 같이, 기 설정된 이미지 형태인 이미지음각(222)이 형성될 수 있다.
음각(22)이 형성된 시트지(21)를 떡(10)의 상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시트지(21) 상면에서 식용 가루나 앙금을 뿌리면, 떡(10)의 상면에 음각(22) 형태를 따라 가루나 앙금이 도포될 수 있다. 이처럼, 제1타입 떡(11)은 스텐실(20)을 통해 각각의 떡(10) 상면에 식용 가능한 가루나 앙금이 이미지나 글자 형태로 일체화될 수 있다.
제2타입 떡(12)은 포장지(30)에 의해 감싸지며 포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타입 떡(12)은, 포장지(30)에 의해 떡(10)이 포장된 상태에서, 떡(10)의 상면에 해당하는 포장지(30)에 이미지 스티커(31)나 글자 스티커(31)가 부착되어, 떡(10)의 상면에 해당하는 포장지(30)에 이미지나 글자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떡(10)은 행과 열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타입 떡(11)과 복수의 제2타입 떡(12)은 복수의 열과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개의 떡(10)이 3행 3열로 배열될 때, 1행의 3개의 떡(10)과, 3행의 3개의 떡(10)은 제1타입 떡(11)으로 이루어지고, 2행의 3개의 떡(10)은 제2타입 떡(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행의 3개의 떡(10)은, 각각의 상면에 동일한 글자가 형성되는 제1타입 떡(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일 잔치 떡(10)일 경우, 1행에 배열된 3개의 제1타입 떡(11)의 상면에 스텐실(20)을 통해 식용 가루나 앙금으로 '白'자가 표시될 수 있다.
2행의 3개의 떡(10)은, 각각의 상면에 해당하는 포장지(30)에 한 글자씩 글자 스티커(31)가 부착되는 제2타입 떡(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일 잔치 등 잔치 떡(10)일 경우, 2행에 배열된 3개의 제2타입 떡(12)의 상면에 포장지(30)와 스티커(31)에 의해 이름의 한글자씩 차례대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치 주인공의 이름이 '전소율'인 경우, 2행 1열에 배열된 제2타입 떡(12)을 감싸고 있는 포장지(30)에는 '전' 스티커(31)가 부착되어 2행 1열에 배열된 제2타입 떡(12)의 상면에는 '전' 자가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행 2열에 배열된 제2타입 떡(12)을 감싸고 있는 포장지(30)에는 '소' 스티커(31)가 부착되어 2행 2열에 배열된 제2타입 떡(12)의 상면에는 '소' 자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2행 3열에 배열된 제2타입 떡(12)을 감싸고 있는 포장지(30)에는 '율' 스티커(31)가 부착되어 2행 3열에 배열된 제2타입 떡(12)의 상면에는 '율' 자가 표시될 수 있다.
3행의 3개의 떡(10)은, 각각의 상면에 동일한 이미지가 형성되는 제1타입 떡(1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일 잔치 떡(10)일 경우, 3행에 배열된 3개의 제1타입 떡(11)의 상면에는 스텐실(20)을 통해 식용 가루나 앙금으로 꽃모양이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스텐실(20)과 스티커(31)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떡(10) 상면에 이미지나 글자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가이드부(4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형상가이드부(40)에 의해 가이드라인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형성유닛(5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형상가이드부(40)와 홈형성유닛(50)을 통해 떡(10)의 상면에 식용 가능한 가루나 앙금으로 이미지나 글자를 형성할 수 있다.
형상가이드부(40)는 떡(10)의 상면에 이미지나 글자 형상으로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가이드부(40)는 레이저모듈(41) 및 떡크기가이드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모듈(41)은 떡(10)의 상면에 레이저 빔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나 글자 형상이 레이저라인(L)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레이저모듈(41)은 하우징(411), 레이저부(412) 및 좌표표시부(413)를 포함한다.
하우징(411)은 떡(10)보다 큰 크기의 정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411)은 떡(10)의 상측에서 소정 거리 떡(10)과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떡(10)의 상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하우징(411)의 하면에는 레이저부(412)와 좌표표시부(413)가 설치될 수 있다.
레이저부(412)는 하우징(411)의 하면 전체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레이저부(412)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이미지나 글자 모양에 따라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레이저부(412)는 사용자단말기와 연결되어,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이미지나 글자 모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좌표표시부(413)는 센싱부(421)와 기 설정 거리 이내에서 마주보게되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좌표표시부(413)는 레이저부(412)와 교번하여 하우징(411)의 하면 전체에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떡크기가이드부(42)는 떡(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떡(1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떡(10)의 각 모서리 부분이 떡크기가이드부(42)가 설치될 수 있다. 떡크기가이드부(42)는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떡(10)의 테두리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떡크기가이드부(42)의 상면에는 센싱부(421)가 설치될 수 있다.
센싱부(421)는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되는 좌표표시부(413)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부(421)는 복수의 좌표표시부(413) 중 상하로 동일 선상에서 마주보는 좌표표시부(413)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좌표표시부(413) 중 센싱부(421)와 신호를 송수신한 좌표표시부(413) 복수개를 통해 떡(10)의 크기를 계략적으로 예상하고, 떡(10)의 크기 이내의 크기로 기 입력받은 이미지나 글자 크기가 조절되어, 레이저부(412)에서 레이저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좌표표시부(413)로 둘러쌓인 내측 영역에 이미지나 글자가 들어갈 수 있도록 이미지나 글자 크기가 조절되어 레이저 빔이 조사될 수 있다. 따라서, 떡(10)의 상면에는 이미지나 글자 형태의 레이저라인(L)이 표시될 수 있다.
홈형성유닛(50)은 떡(10)에 표시된 레이저라인(L)을 따라 떡(10)의 상부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홈형성유닛(50)은 파지부(51), 칼날부(52), 피스톤부(53), 실린더부(54) 및 구동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5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칼날부(52)는 떡(10)의 상면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떡(10)의 상부를 소정 길이 파낼 수 있는 조각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칼날부(52)는 파지부(51)의 일 단부 설치되되, 파지부(51) 내측으로 소정 길이가 인입되거나 소정 길이가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칼날부(52)는 제1 칼날부(521), 제2 칼날부(522) 및 제3 칼날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칼날부(521)는 둥근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칼날부(522)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칼날부(523)는 원기둥 형태의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칼날부(521) 또는 제2 칼날부(522)를 통해 떡(10)의 상면에 표시된 레이저라인(L)을 따라 떡(10)을 파내어, 레이저라인(L)을 따라 떡(10)에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칼날부(521) 또는 제2 칼날부(522)에 의해 형성된 홈의 내주면을 제3 칼날부(523)를 통해 다듬을 수 있다. 이렇게, 칼날부(52)에 의해 형성된 떡(10)의 홈에 식용 가루나 앙금을 뿌려서 이미지나 글자 형상을 형성할 수 d있다.
피스톤부(53), 실린더부(54) 및 구동부(55)는 파지부(51) 내부에 설치되어, 칼날부(52)를 파지부(51) 외부로 인출시키거나 파지부(51) 내부로 인입시켜, 칼날부(5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피스톤부(53)는 칼날부(52)의 일 단부와 고정될 수 있다. 피스톤부(53)는 실린더부(54)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입될 수 있다. 피스톤부(53)가 실린더부(54)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파지부(51) 외측으로 돌출되는 칼날부(52)의 길이는 짧아지고, 피스톤부(53)가 실린더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파지부(51) 외측으로 돌출되는 칼날부(52)의 길이는 길어질 수 있다. 구동부(55)는 피스톤부(53)의 인출 및 인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10: 떡 11: 제1타입 떡
12: 제2타입 떡 20: 스텐실
21: 시트지 22: 음각
221: 글자음각 222: 이미지음각
30: 포장지 31: 스티커
40: 형상가이드부 41: 레이저모듈
411: 하우징 412: 레이저부
413: 좌표표시부 42: 떡크기가이드부
421: 센싱부 L: 가이드라인
50: 홈형성유닛 51: 파지부
52: 칼날부 521: 제1 칼날부
522: 제2 칼날부 523: 제3 칼날부
53: 피스톤부 54: 실린더부
55: 구동부

Claims (5)

  1. 상면에 이미지나 글자가 표시되는 복수의 떡;을 포함하되,
    상기 떡은,
    상면에 식용 가능한 가루나 앙금에 의해 이미지나 글자가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제1타입 떡; 및
    떡을 감싸는 포장지에 이미지 스티커나 글자 스티커가 부착되어, 떡의 상면에 해당하는 포장지에 이미지나 글자가 표시되는 제2타입 떡;을 포함하되,
    상기 제2타입 떡을 감싸는 포장지에 글자 스티커가 부착될 때, 한 글자씩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타입 떡은,
    상면에 이미지나 글자가 형상가이드부의 레이저 빔에 의해 조사되고, 조사되는 이미지나 글자를 따라 홈이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시트지에 이미지 형상이나 글자 형상에 따른 음각이 형성된 스텐실을 통해, 상면에 형성된 홈에 대하여 식용 가능한 가루나 앙금이 뿌려져 이미지나 글자가 일체화되어 형성되되,
    상기 형상가이드부는,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레이저부 및 좌표표시부를 포함하는 레이저모듈; 및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떡에 밀착되며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떡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떡크기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모듈은, 상기 떡크기가이드부와 상기 좌표표시부 사이의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떡의 크기를 계산하여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것인,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떡이 3행 3열로 배열되되,
    1행의 3개의 떡과, 3행의 3개의 떡은 상기 제1타입 떡으로 이루어지고,
    2행의 3개의 떡은 상기 제2타입 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떡이 3행 3열로 배열되되,
    1행의 3개의 떡은, 각각의 상면에 동일한 글자가 형성되는 상기 제1 타입 떡으로 이루어지고,
    2행의 3개의 떡은, 각각의 상면에 해당하는 포장지에 한 글자씩 글자 스티커가 부착되는 상기 제2타입 떡으로 이루어지고,
    3행의 3개의 떡은, 각각의 상면에 동일한 이미지가 형성되는 상기 제1타입 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떡이 3행 3열로 배열되되,
    1행의 3개의 떡 각각의 상면에는, 동일한 글자가 형성되는 상기 제1 타입 떡으로 이루어지고,
    2행의 3개의 떡 각각의 상면에 해당하는 포장지에는, 이름의 한 글자씩 글자 스티커가 부착되는 상기 제2타입 떡으로 이루어지고,
    3행의 3개의 떡 각각의 상면에는, 동일한 이미지가 형성되는 상기 제1타입 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KR2020230000593U 2023-03-24 2023-03-24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KR200497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593U KR200497781Y1 (ko) 2023-03-24 2023-03-24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0593U KR200497781Y1 (ko) 2023-03-24 2023-03-24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7781Y1 true KR200497781Y1 (ko) 2024-02-28

Family

ID=9004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0593U KR200497781Y1 (ko) 2023-03-24 2023-03-24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8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505A (ko) * 2009-09-30 2011-04-06 김문정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KR101275326B1 (ko) 2011-08-22 2013-06-17 윤희선 과즙떡 제조방법
KR20170022267A (ko) * 2015-08-20 2017-03-02 이원철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KR20190012711A (ko) * 2017-07-28 2019-02-11 조대성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505A (ko) * 2009-09-30 2011-04-06 김문정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KR101275326B1 (ko) 2011-08-22 2013-06-17 윤희선 과즙떡 제조방법
KR20170022267A (ko) * 2015-08-20 2017-03-02 이원철 이미지가 드로잉된 떡 케이크의 제조방법
KR20190012711A (ko) * 2017-07-28 2019-02-11 조대성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4243A (en) Holder for baked goods and the like and method of arranging same
US2005027689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processed food
KR200497781Y1 (ko)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EP1680337B1 (en) Sheet for wrapping flowers
RU2728455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чатного пряника
US20170055564A1 (en) Tofu, tool for shaping tofu and method for shaping tofu
US20060121169A1 (en) Artistic pasta and method of making
US5871143A (en) Decorative cardboard hollow shell
FR2751451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images ou autres sur un support alimentaire au moyen d'un equipement informatique
KR20060011768A (ko) 김밥성형틀 및 그를 사용하여 만든 김밥
WO2004063024A3 (en) Floral packaging material having prints thereon
KR101917653B1 (ko) 심미성 및 조형성을 높인 압화물 제작방법
KR101202789B1 (ko)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JP3239949U (ja) 絵柄付き食品
KR200166924Y1 (ko) 축하용 롤라이스 케익
JP2007129997A (ja) スナック菓子への模様形成方法
JPH1066545A (ja) 装飾穴付き海苔及び海苔付きのお握り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029400A1 (ja) 食品型及び型及び食品型の製造方法及び型の製造方法及び注文サーバ並びにその食品型を利用した食品加工装置及び型を利用した材料加工装置
KR102073654B1 (ko) 장식장치
ES2734173A1 (es) Máquina para la impresión de alimentos
GB2295531A (en) Stencil for foodstuffs
CN113968043A (zh) 一种食品包装盒及食品包装盒的制作方法
KR200352184Y1 (ko) 김 포장용기
CZ32992U1 (cs) Perníkový výrobek s aplikací jedlého papíru s potiskem
JP2006238729A (ja) 表示入り食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