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2711A -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2711A
KR20190012711A KR1020170096123A KR20170096123A KR20190012711A KR 20190012711 A KR20190012711 A KR 20190012711A KR 1020170096123 A KR1020170096123 A KR 1020170096123A KR 20170096123 A KR20170096123 A KR 20170096123A KR 20190012711 A KR20190012711 A KR 20190012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atin
oil
food
sheet
hydrogenat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성
Original Assignee
조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성 filed Critical 조대성
Priority to KR1020170096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2711A/ko
Publication of KR20190012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0Applying plastic materials and superficially modelling the surface of thes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2Stencil printing; Silk-screen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09D11/037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characterised by the pig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6Printing inks based on fatty 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상온에서 고체인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와 일정량의 물과 함께 가열&용해 후 상온에서 굳히면 탄력이 있는 고체로 변하는 젤라틴의 특성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Description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seat for food decoration using hydrogenated oil and gelatin}
본 발명은 상온에서 고체인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와 일정량의 물과 함께 가열&용해 후 상온에서 굳히면 탄력이 있는 고체로 변하는 젤라틴의 특성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0℃이상에서 가열&용해한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와 식용색소, 이산화티타늄 등 식품원료를 혼합한 지용성 색소를 식품용기에 널리 쓰이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 표면에 실크스크린인쇄방식으로 이미지를 인쇄하여 상온에서 건조시켜 이미지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젤라틴과 정제수 등을 혼합하여 45℃이상에서 가열&용해 후 이산화티타늄을 혼합한, 흰색을 띠는 젤라틴 혼합액을 부어서 굳힌 후 형성된 시트를 떼어내면, 필름에 인쇄됐던 이미지가 시트에 판박이처럼 전사[transferring, transfer]되어 케익, 떡, 쿠키 등 식품 위에 장식이 가능한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seat for food decoration using hydrogenated oil and gelatin]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각종 사회관계망의 확대에 따라 접근 가능한 정보가 증가하면서 소비자는 과거에 비해 다양한 욕구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케익, 떡, 쿠키 같은 식품도 예외가 아니어서, 미각[taste sense, 味覺]적으로 좋은 맛을 추구하던 단계를 넘어 시각[light sense, 視覺]적으로도 좋고 특별한 제품을 찾게 되었다.
그래서, 단순한 케익, 떡, 쿠키 등에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를 표현하여 소비자에게 맛과 함께 시각적으도 즐거움을 주는 한편 돌잔치, 백일, 생일등과 관련된 메시지를 표현하여왔다.
그동안 사용되어오던 케익, 떡, 쿠키 등에 이미지를 표현하는 기술에 관해 살펴보면 첫 번째는 정제수, 계란, 밀가루 등이 포함된 반죽에 식용색소를 혼합해 일명 짤주머니라고 불리는 고깔 모양의 비닐봉투에 담아 뾰족한 끝 부분을 작게 잘라 구멍을 만들어 케익, 떡, 쿠키 위에 직접 짜서 그리는 아이싱[icing] 기술과, 두 번째는 레이저로 아크릴 판이나 두꺼운 종이에 일정한 모양을 컷팅해서 케익, 떡, 쿠기 위에 올려놓은 후 설탕가루, 쌀가루 등을 컷팅[cutting] 된 구멍에 뿌려서 이미지를 표현하는 스텐실[stencil] 기술이 사용되었고, 세 번째는 전분, 글리세린, 정제수등을 포함한 반죽을 비닐코팅 된 종이위에 넓게 펴서 건조시켜 만든 일명 식용종이[또는 아이싱시트] 위에 수용성[water soluble, 水溶性] 식용잉크를 사용하는 식용프린터를 이용해 이미지를 인쇄한 후 케익, 떡, 쿠기 위에 올려서 장식하는 기술이 사용되어왔다.
상기한 세가지 기술을 살펴보면 첫번째와 두번째의 경우는 수작업(手作業)으로 이루어져 세밀한 이미지 표현이 어려우며 또한 대량 생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고, 세 번째의 경우에는 수용성[water soluble, 水溶性] 식용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케익, 떡과 같이 수분[moisture, 水分]을 포함한 경우에는 보관 중 이미지의 색이 번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존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seat for food decoration using hydrogenated oil and gelati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케익, 떡, 쿠키 등이 갖고 있는 수분[moisture, 水分]에 의한 이미지의 색번짐 현상을 방지하며, 다양한 제품의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여 종래의 기술이 갖는 한계점을 해결하고 소비자의 다양해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첫째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와 함께 혼합하여 제조된 지용성색소를 사용함으로써 수분[moisture, 水分]에 의한 색번짐 현상을 방지하고, 둘째 실크인쇄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세밀한 이미지 표현이 가능하게 하며, 셋째 젤라틴을 이용함으로써 탄력이 있는 고체 시트를 형성하여 케익, 떡, 쿠키 등에 사용가능한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seat for food decoration using hydrogenated oil and gelatin]을 제공 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수분[moisture, 水分]에 의한 이미지의 번짐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세밀하고 다양한 이미지가 표현된 장식용 시트의 생산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케익, 떡, 쿠키 등에 생일, 기념일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이벤트에 특별한 메시지를 담고 싶어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관련 상품개발로 인한 시장 확대와 제조업체의 생산성 제고[提高]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하에서는 [도1]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지용성 색소 혼합물 제조단계
지용성 색소 혼합물 제조단계에서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 식용색소, 이산화티타늄 등은 표현하고자 하는 색에 따라 30℃이상에서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다.
아래는 배합비율의 바람직한 예이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비율과 색소 혼합을 통해 다양한 색의 표현이 가능하다.
핑크색-경화유 34%, 이산화티타늄 17%, 코치닐추출색소 15%, 치자황색소 14% 치자분말 15% 밀납 5%.
노랑색-경화유 43%, 이산화티타늄 12%, 치자황색소혼합제제 36%, 비타민B2혼합제제 9%.
2.이미지층 형성 단계
1단계에서 혼합한 지용성 색소 혼합물을 실크스크린인쇄방식으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 표면에 이미지를 인쇄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켜 이미지층을 형성한다.
3.젤라틴 혼합액 제조
젤라틴과 정제수를 1:3의 비율로 혼합한 후 45℃이상 가열하여 용해하고, 전체양의 1% 비율로 이산화티타늄을 혼합하여 흰색을 띠는 젤라틴 혼합액을 제조한다. 상기 배합비율은 바람직한 예이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4.시트형성
3단계에서 제조된 흰색의 젤라틴 혼합액을 2단계에서 제작된 합성수지 필름위에 부어서 굳힌 후 직사광선이 없는 상온 또는 온도 15℃ 내외, 상대습도는 45% 이하의 공간에서 자연 건조하여 시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 표면에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와 식용색소, 이산화티타늄 등 식품원료를 혼합한 지용성 색소 혼합물을 실크스크린인쇄방식으로 인쇄하여 이미지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젤라틴, 정제수, 이산화티타늄 등 식품 원료를 혼합 후 가열&용해시킨 흰색을 띠는 젤라틴 혼합액을 부어서 굳힌 후 형성된 시트층을 때어내면, 필름에 인쇄됐던 이미지가 시트에 판박이처럼 전사[transferring, transfer]되어 케익, 떡, 쿠키 등 위에 장식이 가능하도록 한,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seat for food decoration using hydrogenated oil and gelatin]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⑴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 식용색소, 이산화티타늄 등을 혼합하는 지용성 색소 혼합물 제조단계, ⑵ 지용성 색소 혼합물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 표면에 실크스크린인쇄방식으로 이미지층을 형성하는 인쇄단계, ⑶ 젤라틴, 정제수, 이산화티타늄 등을 혼합하여 가열&용해시킨 흰색을 띠는 젤라틴 혼합액 제조단계, ⑷ 젤라틴 혼합액을 ⑵단계에서 제조한 이미지층위에 부어서 굳힘으로써 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⑴ 지용성 색소 혼합물 제조단계에서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는 상온에서 고체상태인 팜유[palm oil] 또는 카카오버터[cacao butter] 등을 포함하며,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팜유[palm oil]가 바람직하다. ⑶ 젤라틴 혼합액 제조단계에서 흰색의 혼합액에 다양한 컬러의 색소를 조합하여 컬러시트를 형성하는 것도 포함하며, 부폐등의 방지를 위한 식품보존료[food preservative, 食品保存料]의 첨가와 후각의 효과를 위한 향신료등의 첨가와 산패[酸敗, rancidity] 방지를 위한 첨가물의 첨가도 포함한다. 또한 젤라틴 대용으로 해초를 주 원료로 하는 한천 [寒天, agar, agar-agar] 도 사용가능하지만 본 발명 효과의 증대를 위해서 젤라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⑴ 지용성 색소 혼합물 제조단계에서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는 혼합되는 색소의 특성(수용성 또는 지용성)에 관계없이 최종적으로 지용성을 띠게 하는 역할과 더불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 표면에 정착(fix)역할을 하며, 이산화티타늄은 함께 혼합된 색의 발색[發色]을 돕는 역할을 한다. ⑶ 젤라틴 혼합액 제조단계에서 젤라틴은 시트의 탄성을 형성하고, 합성수지에 인쇄된 이미지를 시트에 옮겨 전사[transferring, transfer]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타늄은 혼합액에 흰색을 띠게 하여 합성수지 표면에서 시트로 옮겨 전사[transferring, transfer]된 이미지가 더욱 선명하게 보여지는 역할을 한다.

Claims (3)

  1. ⑴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 식용색소, 이산화티타늄 등을 혼합하는 지용성 색소 혼합물 제조 단계.
    ⑵ ⑴단계에서 만들어진 지용성 색소 혼합물을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PE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 표면에 실크스크린인쇄방식으로 인쇄하는 이미지층 형성 단계.
    ⑶ 젤라틴, 정제수, 이산화티타늄 등 식품 원료를 혼합 후 가열&용해시켜 흰색을 띠는 젤라틴 혼합액 제조 단계
    ⑷ ⑶단계에서 제조된 흰색의 젤라틴 혼합액을 ⑵단계에서 제작된 합성수지 필름위에 부어서 굳힌 후 직사광선이 없는 상온 또는 온도 15℃ 내외, 상대습도는 45% 이하의 공간에서 자연 건조하여 시트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seat for food decoration using hydrogenated oil and gelatin]
  2. 제 1항에 있어 ⑴단계는 30℃이상에서 가열&용해한 경화유[hydrogenated oil. 硬化油] 사용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seat for food decoration using hydrogenated oil and gelatin]
  3. 제 1항에 있어 ⑵단계는 실크스크린인쇄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seat for food decoration using hydrogenated oil and gelatin]
KR1020170096123A 2017-07-28 2017-07-28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KR20190012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23A KR20190012711A (ko) 2017-07-28 2017-07-28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123A KR20190012711A (ko) 2017-07-28 2017-07-28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711A true KR20190012711A (ko) 2019-02-11

Family

ID=6536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123A KR20190012711A (ko) 2017-07-28 2017-07-28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27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781Y1 (ko) * 2023-03-24 2024-02-28 김선영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781Y1 (ko) * 2023-03-24 2024-02-28 김선영 스텐실과 스티커를 이용하여 제조된 떡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10681A1 (en) Method of adorning foodstuff
US20100166934A1 (en) Edible inks
CN105188394A (zh) 硬质滚抛包衣和包括该硬质滚抛包衣的糖食
CN103275547A (zh) 一种在巧克力表面喷墨印刷用的可食用油墨及其制备方法
JP3653037B2 (ja) パッド印刷を用いた立体画像を有するキャンデーを製造する方法及びこれから製造されたキャンデー
JPH10215792A (ja) 可食性フィルム
KR20190012711A (ko) 경화유와 젤라틴을 이용한 식품 장식용 시트 제조방법
US10925296B2 (en) Edible print substrat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10151061A1 (en) Food decoration
GB2486702A (en) Edible ink for screen printing onto edible substrates
JP7004884B1 (ja) 装飾材、菓子類及び装飾材の作成方法
JP4050222B2 (ja) 組み合わせチョコレート
KR101426437B1 (ko) 이미지 인쇄용 초콜릿 시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인쇄방법
JP3938137B2 (ja) 文字や絵を食品に転写する方法、転写シートの製造法および文字や絵が転写された食品
US20100159080A1 (en) Gelatin based substrate for application of oil or water soluble edible paint
JP2012125184A (ja) スポンジケーキ、ロールケーキ及びスポンジケーキの製造方法
JPS5921797B2 (ja) 高含水率可食物体の絵付け法
KR101337678B1 (ko) 초콜릿 표면 인쇄를 위한 식용색소 인쇄용 박리(剝離)형 코팅필름
US20240149180A1 (en) Creamy substance
JPS59168078A (ja) 可食性転写印刷インキ
JPS635492Y2 (ko)
JP3129541U (ja) 表面に印刷が施されたグミキャンディ
CN100488374C (zh) 一种用于食品制作的转印纸
JPH08308533A (ja) 食用インキ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244857A (ja) 模様付焼成小麦粉食品用ミックス及び模様付焼成小麦粉食品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