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654B1 - 장식장치 - Google Patents

장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654B1
KR102073654B1 KR1020140163145A KR20140163145A KR102073654B1 KR 102073654 B1 KR102073654 B1 KR 102073654B1 KR 1020140163145 A KR1020140163145 A KR 1020140163145A KR 20140163145 A KR20140163145 A KR 20140163145A KR 102073654 B1 KR102073654 B1 KR 102073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s
pattern
case
install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936A (ko
Inventor
심의성
Original Assignee
심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의성 filed Critical 심의성
Priority to KR102014016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6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식이 용이하며, 장식 과정 중 차질을 빚거나 생화 또는 조화를 낭비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수정 작업 없이 한번에 완벽하고 정형화되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생화나 조화가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장치{ornamen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장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환, 제단, 실내, 실외 등을 장식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 중 일명 '오아시스'라 칭하는 플로랄폼에 여러 송이의 꽃을 꽂아 장식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플로랄폼의 장식은 꽃의 줄기를 절화한 다음 플로랄폼에 꽂은 후 고정핀이나 철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므로서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식은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우며 전문가라고 할지라도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플로랄폼에 꽃을 장식하는 방법을 숙지하고 있는 전문가에 의해 완성된 상태로 판매되기 때문에 판매단가가 불필요하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플로랄폼에 전문가 처럼 꽃을 꽂아 정형화되게 장식하기 위해서는 2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인이 플로랄폼만 구입하여 꽃을 꽂아 장식하고자 할 경우 꽃들의 간격과 배열이 일정치 않고 꽃들이 단조로운 패턴과 정형화되지 않은 형태로 장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일반인이 플로랄폼만 구입하여 꽃을 꽂아 장식하고자 할 경우, 플로랄폼에 장식하고자 하는 꽃의 개수와 꽃의 종류를 완벽하게 파악하지 못한 상태에서 장식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플로랄폼을 장식하는 과정 중 꽃이 부족해 장식 작업의 차질을 빚거나, 또는 꽃이 남아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20653호(2000.12.05)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0355호(2001.09.2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식이 용이하며, 장식 과정 중 차질을 빚거나 생화 또는 조화를 낭비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수정 작업 없이 한번에 완벽하고 정형화되게 장식할 수 있는 장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생화나 조화가 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치부는 물을 흡수하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부에 공급할 수 있는 물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생화 또는 조화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 또는 지지부에는 생화나 조화가 꽂힐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치부의 외면에는 생화나 조화가 꽂힐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고 생화나 조화의 장식을 위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는 패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은 바둑판 패턴, 물결 패턴, 문자 패턴, 그림 패턴, 문양 패턴, 도형 패턴, 오로라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패턴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생화나 조화가 설치되 설치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접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설치부에 생화나 조화를 꽂을 경우 개방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는 물을 흡수하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부에 공급할 수 있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는, 플로랄폼으로 형성되는 설치부 또는 지지부에 생화나 조화가 꽂힐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된 상태로 포장하여 판매하되, 표시부가 1종 이상의 패턴을 갖도록 하고 이러한 설치부 또는 지지부를 표시부의 패턴 별로 개별 포장하여 판매함에 따라, 구매자는 자신이 장식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맞는 패턴이 형성된 장식장치를 한 개 이상으로 구매하여 직접 생화나 조화로 장식하더라도 전문가가 작업한 것 처럼 정형화되게 장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를 판매함에 있어, 장식이 완성된 이미지 사진 및 장식을 위해 사용된 생화 또는 조화의 종류 및 개수가 인쇄된 인쇄지를 함께 제공하거나 또는, 설치부 또는 지지부에 형성된 패턴의 주변면에 꽃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를 표시하여 제공할 경우, 구매자가 장식 과정 중 생화 또는 조화가 부족하여 차질을 빚게 되거나, 꽃이 남아 낭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추가적인 수정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장식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장식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 원가, 재료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시부의 패턴대로 생화나 조화를 꽂기만 하면 설치부에 설치된 생화들이나 조화들이 바둑판, 물결, 문자, 그림, 문양, 도형, 오로라 등의 형상을 형성하게 되면서 입체적이고 다각화되어 장식효과가 보다 향상되도록 하면서 장식에 따른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바둑판, 물결, 문자, 그림, 문양, 도형, 오로라 등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생화 또는 조화의 배열이 구매자에 의한 임의 배열이 아니라 설치부 또는 지지부에 형성된 표시부의 패턴대로 배열하기 때문에, 완성된 바둑판, 물결, 문자, 그림, 문양, 도형, 오로라 등의 형상이 추상적이지 않고 정형화된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는, 종래와 같이 판매자가 설치부에 생화 또는 조화를 꽂아 완제품으로 판매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자가 직접 생화 또는 조화를 꽂아 장식하므로서 완성되기 때문에 인건비 및 구매단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가 포장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가 포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에 적용된 설치부에 장식물이 꽂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에 적용된 설치부에 장식물이 표시부의 패턴대로 꽂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에 적용된 장식지를 통해 설치부를 장식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에 지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가 포장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가 포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에 적용된 설치부에 장식물이 꽂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에 적용된 설치부에 장식물이 표시부의 패턴대로 꽂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1)는 케이스(10), 설치부(20), 덮개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홈(10a)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형상 및 크기는 수용홈(10a)에 수용되는 설치부(2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수용되는 설치부(20)의 변형,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부(20)는 화원 또는 화훼 상품을 취급하는 동 거래업계에서 사용되는 구성으로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플로랄폼 등과 같은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20)는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케이스(10)의 수용홈(10a)에 수용되거나 또는 케이스(10)의 수용홈(10a)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부(20)는 물을 흡수하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10)의 수용홈(10a)에 수용되며, 상기 케이스(10)는 일종의 수조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부(20)에 공급할 수 있는 물이 저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1)를 구매하는 구매자가 상기 설치부(20)에 생화를 꽂아 장식할 경우, 상기 생화가 시들지 않고 오랫 동안 싱싱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설치부(20)는 경축용 화환, 근조용 화환에 적용되거나 또는, 실내나 실외 장식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부(20)를 실내나 실외 장식 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화분이나 선반 또는 천장에 설치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설치부(20)의 형상 및 크기는 장식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오아이스부(20)에는 생화나 조화가 꽂힐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다수개의 표시부(21)가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부(21)는 상기 설치부(20)에 점 형태로 인쇄되어 형성되거나 홈 형태로 형성되어, 구매자는 상기 표시부(21)를 통해 생화나 조화를 용이하게 꽂을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표시부(21)는 상기 설치부(20)에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1)의 패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 그림 패턴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부(21)의 패턴은 그림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바둑판 패턴, 물결 패턴, 문자 패턴, 그림 패턴, 문양 패턴, 도형 패턴, 오로라 패턴, 무늬 패턴, 무지개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치부(20)에는 상기 9가지 패턴 중 어느 하나의 패턴만 형성될 수 있고, 또는 2가지 이상의 패턴이 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표시부(21)의 패턴은 상기 9가지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장식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상기 패턴의 주변면에는 국화, 장미 등의 꽃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상기 설치부(20)에 형성된 표시부(21)의 패턴과 꽃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대로 생화나 조화를 꽂아, 상기 생화나 조화의 조합된 형상이 상기 바둑판, 물결, 문자, 그림, 문양, 도형, 오로라 중 하나 이상의 형상을 이루도록 장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30)는 상기 수용홈(10a)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그 형상이 상기 케이스(10)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30)는 상기 케이스(10)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어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부(30)는 그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케이스(10)의 외면, 즉 상기 개방된 부분의 가장자리면에 열 접착, 고주파 접착, 접착제를 통한 접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덮개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되는 크기를 갖도록 제작된다. 이로 인해 구매자는 가위나 칼 등의 도구 없이도 상기 돌출된 부분을 통해 케이스(10)에서 덮개부(30)를 용이하게 분리한 다음 케이스(10)에서 설치부(20)를 간편하게 인출하여 장식하거나 또는 상기 설치부(20)가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장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부(20)는 상기 표시부(21)의 패턴 별로 개별 포장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30)는 구매자가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 설치부(20)를 구매할 수 있도록 투명한 비닐재질에 의해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구매자는 자신이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 설치부(20)를 여러개 구매하여 생화 또는 조화로 장식하므로서, 경축용 화환, 근조용 화환, 장식용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부(20)에 생화나 조화가 꽂힐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21)가 1종 이상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설치부(20)를 표시부(21)의 패턴 별로 개별 포장하여 판매함에 따라, 구매자가 자신이 장식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맞는 패턴이 형성된 설치부(20)를 한 개 이상으로 구매하여 직접 생화나 조화로 장식하더라도 전문가가 작업한 것 처럼 정형화되게 장식하여 경축용 화환, 근조용 화환, 실내 또는 실외 장식 용도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표시부(21)의 패턴대로 생화나 조화를 꽂기만 하면 상기 설치부(20)에 꽂힌 생화들이나 조화들이 바둑판, 물결, 문자, 그림, 문양, 도형, 오로라 등의 형상을 형성하게 되어 장식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면서 장식에 따른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바둑판, 물결, 문자, 그림, 문양, 도형, 오로라 등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생화나 조화의 배열이 구매자에 의한 임의 배열이 아니라 상기 설치부(20)에 형성된 표시부(21)의 패턴대로 배열하기 때문에, 완성된 바둑판, 물결, 문자, 그림, 문양, 도형, 오로라 등의 형상이 추상적이지 않고 정형화된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1)는 종래와 같이 판매자가 플로랄폼에 생화 또는 조화를 꽂아 완제품으로 판매되는 것이 아니라 구매자가 직접 생화 또는 조화를 꽂아 장식하므로서 완성되기 때문에 인건비 및 구매단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의 일 일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에 적용된 장식지를 통해 설치부를 장식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부(20)의 외면에는 생화나 조화가 꽂힐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41)가 형성되고 생화나 조화의 장식을 위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는 장식지(40)가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상기 표시부(41)는 전술한 표시부(21)와 동일하게 상기 장식지(40)에 점 형태로 인쇄되어 형성되거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식지(40)에 바둑판 패턴, 물결 패턴, 문자 패턴, 그림 패턴, 문양 패턴, 도형 패턴, 오로라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는 상기 표시부(41)에 꽂힌 생화나 조화를 장식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이미지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미지는 문자 이미지에 한정되지 않고, 경축용, 근조용, 실내 또는 실외 장식용 등 장식 용도에 맞는 그림 이미지, 문양 이미지 등 다양한 이미지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패턴을 갖는 표시부(41)에 생화 또는 조화를 꽂아 설치부(20)를 장식하고, 상기 이미지를 통해 상기 생화 또는 조화를 추가로 장식하므로서, 보다 화려하고 아름답거나, 또는 보다 근엄한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의 일 일시예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장치에 지지부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부(20) 대신 지지부(60)에 표시부(61)를 형성하여 설치부(20)를 장식하는 것으로, 지지부(60)는 상기 설치부(20)와 동일한 형상 및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일면이 상기 설치부(20)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60)의 표시부(61)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60)와 설치부(20)의 가장자리면에만 접착제를 도포하므로서, 상기 접착제로 인해 상기 표시부(61)가 막히지 않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61)는 상기 지지부(60)에 홀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표시부(61)를 통해 상기 설치부(20)에 생화 또는 조화를 용이하게 꽂을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61)는 지지부(60)에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61)는 전술한 표시부(21)와 동일하게 바둑판 패턴, 물결 패턴, 문자 패턴, 그림 패턴, 문양 패턴, 도형 패턴, 오로라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상기 설치부(20)에 비교적 많은 양의 생화 또는 조화를 설치하더라도 생화 또는 조화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설치부(20)에 장식된 생화 또는 조화가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식모듈을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생화 또는 조화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에 따라, 설치부(20)를 플로랄폼 이외에도 젤리소일 등과 같이 생화 또는 조화를 꽂을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물건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젤리소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젤리소일이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생화 또는 조화가 장식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장식장치 10 : 케이스
20 : 설치부 21,41,61 : 표시부
30 : 덮개부 40 : 장식지
50 : 장식물 60 : 지지부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며 생화나 조화가 설치되 설치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접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설치부에 생화나 조화를 꽂을 경우 개방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는 물을 흡수하는 상태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설치부에 공급할 수 있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설치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생화 또는 조화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 또는 지지부에는 생화나 조화가 꽂힐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장식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설치부의 외면에는 생화나 조화가 꽂힐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부가 형성되고 생화나 조화의 장식을 위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는 장식지가 장착되는 장식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표시부는 패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패턴은 바둑판 패턴, 물결 패턴, 문자 패턴, 그림 패턴, 문양 패턴, 도형 패턴, 오로라 패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패턴인 장식장치.
KR1020140163145A 2014-11-21 2014-11-21 장식장치 KR102073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145A KR102073654B1 (ko) 2014-11-21 2014-11-21 장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145A KR102073654B1 (ko) 2014-11-21 2014-11-21 장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36A KR20160060936A (ko) 2016-05-31
KR102073654B1 true KR102073654B1 (ko) 2020-02-05

Family

ID=5609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145A KR102073654B1 (ko) 2014-11-21 2014-11-21 장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6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7675A (ja) * 2008-09-03 2010-03-18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法、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の保持ブロック、及び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教具
JP2014100448A (ja) * 2012-11-20 2014-06-05 Kimiyo Sato 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53U (ko) 1999-05-11 2000-12-05 엄우원 화환용 꽃꽂이대
KR200250355Y1 (ko) 2001-07-27 2001-11-22 조성만 꽃이 장식된 케익
KR20130119678A (ko) * 2012-04-24 2013-11-01 김찬수 수분을 공급하는 꽃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7675A (ja) * 2008-09-03 2010-03-18 National Agriculture & Food Research Organization 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法、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の保持ブロック、及び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教具
JP2014100448A (ja) * 2012-11-20 2014-06-05 Kimiyo Sato 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936A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9486B2 (en) Apparatus for creating decorative floral arrangements incorporating cut flowers with stems taken from living plants
US20170055733A1 (en) Floral display box
KR102073654B1 (ko) 장식장치
US20050091917A1 (en) Process for arranging cut flowers and floral arrangement apparatus
US20080302792A1 (en) Decorative container
JP2020074711A (ja) フラワーディスプレイ用具
JP2015139695A (ja) 装飾屏風
KR20160060920A (ko) 장식모듈 및 이의 장식방법
US75268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a grid over the opening of a floral vase/container
US20180016090A1 (en) Storage box for tree ornaments
CN214727833U (zh) 包含平面干燥植物的装饰结构及工艺品
KR20120102885A (ko) 3단 접이식 경조사용 화환 지게
RU174654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декоративная цветочная вставка
US20070023311A1 (en) Decorative floral sleeve
KR100741487B1 (ko) 수용함이 구비된 화환
JP3182412U (ja) 装飾用ボード並びに装飾キッド
JP3175218U (ja) 葉状の慶弔用供花
CN201109528Y (zh) 半透酒包装盒
JP3114575U (ja) 装飾品
KR200267647Y1 (ko) 어항덮개
KR20120004584U (ko) 꽃 포장용 케이스
KR100864081B1 (ko) 금속지지선을 이용하여 고목기에 크리스탈을 장식하는 방법
KR200181209Y1 (ko) 차 도구 받침대
JP2008104601A (ja) グラスおよびコースターの陳列方法
JP2004159716A (ja) 花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