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331A - 냉각 어레이를 갖는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냉각 어레이를 갖는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331A
KR20170013331A KR1020167036633A KR20167036633A KR20170013331A KR 20170013331 A KR20170013331 A KR 20170013331A KR 1020167036633 A KR1020167036633 A KR 1020167036633A KR 20167036633 A KR20167036633 A KR 20167036633A KR 20170013331 A KR20170013331 A KR 20170013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ntact area
thermoelectric
integrated circuit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할릴 킬릭
Original Assignee
햇 테크놀로지 에이. 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햇 테크놀로지 에이. 에스. filed Critical 햇 테크놀로지 에이. 에스.
Publication of KR20170013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8Cooling arrangements using the Peltier effect
    • H01L35/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thermoelectric or thermomagnetic element covered by groups H10N10/00 - H10N15/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thermoelectric or thermomagnetic element covered by groups H10N10/00 - H10N15/00
    • H10N19/101Multiple thermocouples connected in a cascade arrang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어레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 컴포넌트(thermoelectric component)(1)의 구현을 위한 도핑(doped) 및 구분(distinguished) 영역을 갖는 유전체 기판으로 구성되는,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냉각 장치를 위한,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냉각 어레이는, 열전 컴포넌트가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영역(contact area),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냉각 섹션(cooling section)을 포함하고, 냉각 섹션이 제1 접촉 영역과 제2 접촉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제어 유닛을 통해 제1 접촉 영역과 제2 접촉 영역에 의해 전압이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써멀 엘리먼트(thermal element)(29)로 구성되며, 써멀 엘리먼트(29)가 브리지 엘리먼트(53, 58, 59, 73, 83, 84, 92)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핑 층 및 제2 도핑 층으로 구성되고, 브리지 엘리먼트(53, 58, 59, 73, 83, 84, 92)는 제1 도핑 층 및/또는 제2 도핑 층 위에만 부분적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어레이의 의하면, 집적회로의 내부로부터 충분히 자유로운 열 흐름(heat flow)이 보장되기 때문에, 컴팩트하고 및/또는 더 효율적인 집적회로들이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각 어레이를 갖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WITH COOLING ARRAY}
본 발명은 냉각 어레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 컴포넌트(thermoelectric component)의 구현을 위한 도핑(doped) 및 구분(distinguished) 영역을 갖는 기판으로 구성되는,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냉각 장치들을 위한,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integrated circuit cooling array)에 관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적어도 마이크로전자 컴포넌트(microelectronic component)가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에 의해 냉각되는 기판 위에 또는 기판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현을 위한 집적회로들은 일반적으로 금속, 반도체들 또는 유전체 매체들의 복잡한 배치로 구성되고, 유전체 매체로 구성된 기판 위에 소정의 레이아웃 및 형성 순서로 배치된다. 그 상황에서 매우 제한된 공간에서 전자 회로들을 구현하는 옵션이 존재하는데, 층 구성 및 도핑을 위한 서로 다른 방법을 포함하는 반도체 기술에 기인한다. 이런 방법의 사용으로, 서브미크론(submicron) 레벨로 잘 정의된(well-defined) 두께 및 잘 정의된 형태의 층 뿐만 아니라 잘 정의된 도핑을 생산한다. 스퍼터 증착, 빔 증착, 증기 코팅, 이온 플레이팅(물리적 기상 증착), 화학적 기상 증착, 갈바닉 코팅, 이온 주입, 중성자 변환 도핑 및 확산 도핑의 방법이 여기서 언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매우 제한된 공간에서 고도로 복잡한 전자 회로들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졌지만, 전자 회로의 성능증가에 따라, 전력 소모도 증가한다. 증가된 전력 소모는 다시 집적회로의 마이크로전자 엘리먼트들의 증가된 열 방출, 및 결과적으로 전체의 열 발생을 수반한다. 하지만, 집적회로에서 방출되는 열은 집적회로에 해로우며, 때로는 영구적일 수도 있는, 임계 온도에 도달할 때 이들의 기능 능력(functioning ability)의 손실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집적회로의 성능 및 따라서 그 복잡성이 감소되어야 하고, 또는 집적회로의 능동적인 냉각이 발생해야 한다. 능동적인 냉각 시스템과 관련하여, 특히 콤팩트하고 매우 효율적인 집적회로가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집적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이 먼저 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냉각 시스템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집적회로의 전력 소비 및 복잡성은 능동적인 냉각 시스템에서도 제한된다.
집적회로 내부에서의 능동적인 냉각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위 펠티어(Peltier) 엘리먼트들의 사용에 의해 가능하다. 펠티어 엘리먼트들은 가변하는 전기 전도도를 갖는 2개의 컴포턴트들로 구성되는, 써멀 엘리먼트들(thermal elements)의 직렬 시퀀스(serial sequence)이다. 두 컴포넌트들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소위 브리지(bridge)에 의해 연결된다. 2개의 써멀 엘리먼트들은 각각 브리지에 의해 연결되고, 각 브리지는 동일 또는 인접하는 써멀 엘리먼트의 제1 컴포넌트와 제2 컴포넌트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한다. 2개의 컴포넌트들은 일반적으로 n-도핑 반도체 소재(n-doped semiconducting material) 및 p-도핑 반도체 소재이다. 이러한 2개의 컴포넌트들은 종종 금속성 브리지에 의해 대부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p-도핑 반도체 소재의 전도대(conduction band)의 에너지 준위는 동일하지만 n-도핑 반도체 소재의 전도대의 에너지 준위는 다르기 때문에, 전자들(electrons)이 컴포넌트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컴포넌트로 통과할 때, 열 에너지가 주변으로부터 흡수되거나 또는 열 에너지가 주변으로 방출되고, 이는 전자들이 제1 컴포넌트로부터 제2 컴포넌트로 통과하는지 또는 반대로 통과하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따라서, 전류가 흐르는 동안, 브리지와 컴포넌트 사이의 접촉 영역으로부터 주변들(surroundings)로의 열 방출 또는 주변들로부터의 열 흡수가 발생하며, 열 전달의 방향은 제1 및 제2 컴포넌트들의 소재들 및 전류 흐름의 방향에 의존한다. 그 주변들은 집적회로의 임베딩(embedding) 소재 및 추가 마이크로전자 컴포넌트들에 의해 형성된다.
펠티어 엘리먼트의 더 따뜻한(warmer) 측으로부터 방출된 열은 외부 냉각 시스템의 보조로, 예를 들어 냉각 디바이스(device) 및 그 위에 배치된 팬의 보조로 소산되어야 한다. 펠티어 엘리먼트가 집적회로 내에 배치되면, 열은 열 채널들(heat channels)을 통해 집적회로의 표면으로 전달되고, 다음에 소산될 수 있다.
펠티어 엘리먼트들을 통해 집적회로 내에서 달성될 수 있는 이러한 냉각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집적회로의 전력 소비 및 복잡성은 제한된다. 이것은 집적회로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시간 단위당 충분한 열의 소산(dissipation)에 대한 제한, 또는 증가된 냉각에 의해 선택적으로, 즉 국부적으로(locally) 감소될 수 없는 국부적인 열 스파이크들(local heat spikes)의 발생으로 기인한 것일 수 있다.
미국 특허출원 제2009/0321909 A1호는 층 구조 및 냉각 어레이를 갖는 집적회로를 개시한다. 상기 집적회로는 집적회로를 구성하는 마이크로전자 컴포넌트들을 특징으로 하는 2개의 층들을 포함한다. 펠티어 엘리먼트는 집적회로의 특정 영역을 냉각시키기 위해 층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다른 미국 특허출원 제2006/0102223 A1호는 집적회로용 냉각 어레이를 개시하며, 격자(grated) 표면을 갖는 절연 소재로 제조된 기판과, 기판 표면의 높이 상에 배치된 열전 엘리먼트들(thermal electric elements)을 포함하며, 열전 엘리먼트들의 하나의 컴포넌트는 n-도핑되어 상기 높이의 일측 상에 배치되며, 열전 엘리먼트들의 제2 컴포넌트는 p-도핑되어 상기 높이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두 컴포넌트들은 각 높이의 상부에 배치된 금속성 브리지(metallic bridge)에 의해 연결된다. 2개의 높이들 사이에는 다른 금속성 브리지가 각각 제1 및 제2 컴포넌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컴포넌트들, 상기 제2 컴포넌트들 및 상기 브리지들은 펠티어 엘리먼트를 형성한다.
영국 특허출원 제2 364 439 A호는 기판, 기판 위에 배치된 집적회로 및 기판의 배면 상에 배치된 집적회로를 냉각시키기 위한 열전 냉각 어레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칩을 개시한다. 냉각 어레이는 펠티어 엘리먼트이다.
최종적으로, 미국 특허출원 제201370255741 A1호는 임베디드((embedded) 열 교환기 및 임베디드 열전 냉각 어레이를 갖는 집적회로를 개시하며, 열 교환기는 열전 냉각 어레이와 결합되는 히트 싱크 섹션(heat sink section)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각 어레이는 펠티어 엘리먼트이다.
미국 특허출원 제2009/0321909 A1호 미국 특허출원 제2006/0102223 A1호 영국 특허출원 제2 364 439 A호 미국 특허출원 제201370255741 A1호
이러한 배경에 대하여, 당면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열 소산(heat dissipation)에 기인하여 그리고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동일 기판 위에 구현되고 냉각될 마이크로전자 컴포넌트들이 선택적으로 국부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하여,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두드러지게 더욱 컴팩트화될 수 있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능한 적은 전력 소비로 집적회로의 마이크로전자 컴포넌트들의 개선된 냉각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열전 컴포넌트(thermoelectric component)는 적어도 제1 접촉 영역, 적어도 제2 접촉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냉각 섹션을 포함하고, 냉각 섹션은 제1 및 제2 접촉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제어 유닛을 통해 제1 접촉 영역 및 제2 접촉 영역에 의해 전압이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써멀 엘리먼트(thermal element)로 구성되며, 써멀 엘리먼트는 브리지 엘리먼트에 의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핑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핑 층으로 구성되며, 브리지 엘리먼트는 제1 도핑 층 및/또는 제2 도핑 층 위에만 부분적으로 놓이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서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전 컴포넌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영역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냉각 섹션은 이러한 2개의 접촉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다. 냉각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써멀 엘리먼트로 구성된다. 써멀 엘리먼트는 브리지 엘리먼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도핑 층 및 제2 도핑 층으로 구성된다. 브리지 엘리먼트는 제1 도핑 층 및/또는 제2 도핑 층 위에만 부분적으로 놓이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냉각 섹션에는 제어 유닛을 통해 제1 접촉 영역 및 제2 접촉 영역을 통해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냉각 섹션이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들로 구성된다면, 인접하는 써멀 엘리먼트들은 또한 브리지 엘리먼트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도핑 층은 바람직하게 n-도핑 반도체 층이며, 제2 도핑 층은 바람직하게 p-도핑 반도체 층이고, 또한 역방향 순서가 가능하다. 이러한 냉각 어레이는 써멀 엘리먼트의 브리지 엘리먼트가 제1 도핑 층 또는 제2 도핑 층 또는 두 층들 위에만 부분적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필수적인 "칩 설계" 변경의 필요없이, 하나 이상의 써멀 엘리먼트들로 구성되는 열전 컴포넌트의 열전달 특성에 대한 조작(manipulation)을 허용한다. 따라서, 브리지 엘리먼트와 도핑 층 사이의 최소화된 접촉 영역은 접촉 영역에서의 전류 밀도의 증가를 초래하고, 그러므로 상기 접촉 영역에서의 열 흡수 또는 방출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냉각 용량이 특정 집적회로에서의 열 방출의 공간적 분포 뿐만 아니라 열 방출의 세기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냉각 어레이의 전력 요구(power demand)의 감소를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에서, 제1 도핑 층 또는 제2 도핑 층 위에 놓이는 브리지 엘리먼트(53, 58, 59, 73, 83, 84, 92)의 섹션 길이(x), 제1 도핑 층 또는 제2 도핑 층의 길이(y) 및 제1 도핑 층 또는 제2 도핑 층의 폭(z)은 0.2 < x/y < 0.5 및 z > x의 조건을 따르고, y와 z는 예를 들어 1 pm 내지 1 cm 사이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치수가 작을수록 제작하기가 더 어렵고, 더 비싸지만, 물론 가능하다. 더 큰 치수도 가능하다. x, y 및 z의 치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의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주된 양상(main aspect)은 단위 면적당 냉각 전력 및 냉각 전력 분배이다. 따라서, x, y 및 z의 값들은 상기 조건이 충족되는 한 열전 컴포넌트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전 컴포넌트는 기판 위에 또는 기판 내에 배치된다. 기판 위에 배치된 열전 컴포넌트는 집적회로로부터 방출된 열을 주변 공기 또는 냉각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다. 기판 내에 배치된 열절 컴포넌트는 집적회로의 내부로부터 그것의 표면으로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열전 컴포넌트의 냉각 섹션은 제1 및 제 2 접촉 영역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들로 구성되고 및/또는 제1 및 제 2 접촉 영역 사이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로 구성되고 부가적인 써멀 엘리먼트들이 개별 써멀 엘리먼트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써멀 엘리먼트들의 직렬 연결에서, 써멀 엘리먼트의 제1 도핑 층과 제2 도핑 층은 브리지 엘리먼트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써멀 엘리먼트의 제1 도핑 층은 추가 브리지 엘리먼트에 의해 인접하는 써멀 엘리먼트의 제2 도핑 층에 연결되고, 제2 도핑 층은 추가 브리지 엘리먼트에 의해 다른 인접하는 써멀 엘리먼트들과 연결된다. 이 경우에, 직렬 연결의 써멀 엘리먼트들의 개별 써멀 엘리먼트들은 개별 부가적인 써멀 엘리먼트들과 병렬로 연결되도록 의도될 수 있다. 후자는 냉각 용량의 국부적인 증가를 제공한다.
브리지 엘리먼트와 제1 및 제2 도핑 층 사이의 접촉 영역은 크기 면에서 서로 다르게 의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브리지 엘리먼트는 제1 도핑 층 및 제2 도핑 층에만 부분적으로 놓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1 도핑 층의 접촉 영역은 제2 도핑 층의 접촉 영역과 크기가 다르다. 접촉 영역의 크기는 써멀 엘리먼트마다 다르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나의 냉각 섹션 내에서 모든 접촉 영역들은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냉각 섹션에 따른 접촉 영역의 크기는 연속적으로 증가하거나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서로 옆에 및/또는 서로 위에 기판 내에 배치되는 수개의 열전 컴포넌트들이 존재하며, 및/또는 수개의 인접한 열전 컴포넌트들은 기판 위에 배치된다. 서로 옆에 배치된 열전 컴포넌트들은 그 영역에 걸친 냉각 용량의 분배를 허용한다. 서로 위에 배치된 열전 컴포넌트들은 집적회로의 내부로부터 그 표면으로의 방출된 열의 개선된 수송을 허용한다. 집적회로의 표면의 냉각은 기판 위에 서로 옆에 배치된 열전 컴포넌트들을 통해 부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전 컴포넌트는 필요할 경우 냉각 디바이스와 접촉될 수 있다. 각각의 열전 컴포넌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접촉 영역과 2개의 접촉 영역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냉각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 섹션은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들로 구성된다. 수개의 열전 컴포넌트들은 국부적으로 선택적 냉각을 허용하기 위해 서로 다른 레벨의 기판에 배치되거나 또는 동일 레벨에 서로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기판 내의 하부 위치의 적어도 하나의 써멀 엘리먼트 및 기판 내의 상부 위치의 하나의 써멀 엘리먼트가 열 채널(heat channel)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의도될 수 있다. 이러한 열 채널은 써멀 엘리먼트에 의해 방출되는 열의 소산을 허용하고, 금속이 특히 열과 관련하여 전도성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불필요한 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유전체 매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빠른 열 수송을 구현하기 위해 금속으로 구성된다. 후자의 경우에, 열 채널은 분명히 원하지 않는 단락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수개의 열전 컴포넌트들이 서로 위에 배치되는 것이 의도되는데, 적어도 하나의 영구 또는 스위칭 가능한 VIA-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접촉 영역을 가지며, VIA-연결부의 스위칭은 제어 유닛을 통해 발생한다. VIA-연결부(VIA =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수직 상호연결 접속)는 집적회로의 2개 레벨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다. 이런 VIA 연결은 영구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집적회로의 도처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회로 경로로서 설계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또는 다른 스위칭 가능한 컴포넌트를 포함함으로써 스위칭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집적회로를 통한 열 수송은 제어 유닛에 의해 조정될 수 있고, 동시에 냉각 어레이의 전력 요구가 최적화될 수 있고, 선택된 열전 컴포넌트는 요구에 따라 온 또는 오프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수개의 냉각 섹션들은 제1 및 제2 접촉 영역 사이에서 평행하게 진행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각각의 냉각 섹션에는 다른 냉각 섹션과 독립적으로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적어도 2개의 냉각 섹션들은 서로 수평각(α)으로 진행할 수 있거나, 적어도 2개의 냉각 섹션들은 서로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거리(periodically alternating distance)로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옆에 배치된 냉각 섹션들은 특정 영역에 걸친 냉각 용량의 분배를 허용한다. 써멀 엘리먼트의 제1 및 제2 도핑 층 위에 부분적으로 놓이는 브리지의 특징에 기인하여, 더 높은 냉각 용량을 갖는 영역 및 더 낮은 냉각 용량을 갖는 영역이 하나의 냉각 섹션을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서로 어떤 각도로 진행하는 냉각 섹션의 도움으로, 냉각 용량은 냉각 섹션들 사이의 더 짧은 거리를 갖는 영역에서보다 냉각 섹션들 사이의 더 긴 거리를 갖는 영역에서보다 높기 때문에, 게다가 국부적으로 더 높은 냉각 용량이 도달될 수 있다. 또한, 국부적으로 증가된 냉각 용량은 서로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거리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냉각 섹션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냉각 섹션들의 써멀 엘리먼트들 사이의 최소 거리의 영역은 항상 가장 높은 냉각 용량을 갖는 영역이다.
냉각 섹션의 2개의 써멀 엘리먼트들 사이 또는 2개의 냉각 섹션들 사이 또는 2개의 냉각 섹션들의 2개의 세그먼트들 사이의 수평각은 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30°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사이가 된다.
또한, 열전 컴포넌트의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들 또는 냉각 섹션들이 기판 내에서 서로 위에 배치되는 것이 의도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 컴포넌트는 반드시 기판 레벨로 감소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개의 기판 레벨까지 확장되거나 또는 걸쳐 있을 수 있다.
또한, 냉각 어레이는 열전 컴포넌트가 제1 접촉 영역 및 수개의 제2 접촉 영역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냉각 섹션이 각각 제1 접촉 영역과 제2 접촉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촉 영역은 수개의 제2 접촉 영역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냉각 섹션이 제1 접촉 영역과 제2 접촉 영역 각각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개의 냉각 섹션들은 스타 구조의 형태로 제1 접촉 영역으로부터 제2 접촉 영역으로 또는 제1 접촉 영역을 둘러싸는 수개의 제2 접촉 영역들로 연장된다.
냉각 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들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적어도 2개의 냉각 섹션들 사이에 배치되어, 제어 유닛과 상호 작용하여 (국부) 냉각 용량을 조정한다. 냉각 용량의 단순한 모니터링은 분명히 온도 센서로도 가능하다. 냉각 어레이 및 온도 센서들의 언급된 실시예들의 도움으로, 냉각 능력의 효과적인 조정(regulation)은 위치 및 냉각 용량에 관하여 최적화되어 달성될 수 있고, 동시에 전력 수요를 최적화한다.
제어 유닛은 수개의 열전 컴포넌트들 중 하나 또는 수개의 냉각 섹션들 중 하나의 선택적인 전압 공급을 위한 회로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이 의도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엘리먼트는 또한 개별 열전 컴포넌트 또는 개별 냉각 섹션들을 온 또는 오프로 스위칭함으로써 국부적으로 선택적인 냉각 용량을 허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유닛은 블로킹 다이오드를 통해 열전 컴포넌트에 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어 유닛은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 다른 열전 컴포넌트들과 관련하여 동시에 또는 시차 간격(staggered intervals)으로 블로킹 다이오드를 통해 열전 컴포넌트에 전압을 공급하는 수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유닛은 국부 및 임시 냉각 용량의 효과적인 조정을 허용한다. 또한, 제어 유닛은 기존의 스위칭 가능한 VIA-연결부를 서로 독립적으로 온 또는 오프 스위칭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고주파 펄스 발생기 및 상기 고주파 펄스 발생기에 의해 트리거 될 수 있는 카운팅 유닛을 갖는 프로그램 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열전 컴포넌트들 사이의 VIA-연결부는 카운팅 유닛의 카운터 값과 관련하여 제어 유닛에 의해 스위칭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냉각 용량의 시간-제어된 조정이 가능하고, 주기적 활성화, 즉 하나 이상의 열전 컴포넌트들 또는 냉각 섹션들의 전압 공급이 가능하다.
종래기술에 기초한 실시예에서, 써멀 엘리먼트의 제1 도핑 층은 특히 n-도핑 반도체 소재로 제조된 n-도핑 층이고, 제2 도핑 층은 특히 p-도핑 반도체 소재로 제조된 p-도핑 층이다. 반도체 소재는 갈륨 아세나이드(gallium arsenide)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silicon carbide)일 수 있다. 브리지 엘리먼트는 고도로 도핑된 폴리 실리콘,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회로의 추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차폐(shielding) 층이 존재하는데, 열전 컴포넌트의 더 따뜻한(warmer) 측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차폐 층은 유전체 기판과 열전 컴포넌트의 더 따뜻한 측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방지한다. 차폐 층은 전기적 절연 소재를 포함하며, 절연 소재는 높은-k 및/또는 낮은-k 유전체 매체, 특히 실리콘 디옥사이드(silicon dioxide), AgO, Ti02, HfO2 또는 Al2O3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회로는 열전 컴포넌트의 더 차가운(cooler) 측의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엘리먼트와 접촉하고 열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층을 특징으로 한다. 열전 엘리먼트의 냉각 능력은 이러한 냉각 층의 도움으로 더욱 잘 분포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서, 집적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유닛(functional unit)을 포함하도록 의도될 수 있으며, 상기 기능 유닛은 열전 컴포넌트 사이 및/또는 하나 이상의 열전 컴포넌트들의 냉각 섹션들 사이에 배치되거나 및/또는 냉각 섹션의 더 따뜻한(warmer) 또는 더 차가운(cooler) 측에 배치된다.
상기 기능 유닛은,
- 센서, 특히 열 센서 또는 광학 센서,
- 정류기, 특히 다이오드,
- 스위칭 엘리먼트, 특히 트랜지스터, 바람직하게는 IGFET, NMOS, PMOS, VMOS와 같은 MOSFET,
- 제어 엘리먼트,
- 프로그램 가능한 디바이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FPGA 또는 PLD와 같은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 DRAM, ROM, SRAM과 같은 메모리 엘리먼트,
- 태양 전지판(solar panel),
- 레이저 다이오드,
- 발광 다이오드 또는
- 마이크로 스트립(micro strip)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 유닛은 집적회로를 형성하는 상기 마이크로전자 컴포넌트들로 구성되지만, 이미 집적회로 내에 특정 기능성(functionality)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적 회로는 0.5 pA 내지 500 mA, 특히 1 mA 내지 200 mA, 바람직하게는 20 μA 내지 120 μA,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pA 내지 1 μA의 총 전류(total electric currents)에 대해 설계된다.
또한, 중간층(intermediate layer)이 기판 내에서 서로 위에 배치되는 열전 컴포넌트들 사이에 배치되어, 열전 컴포넌트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한다. 이 거리는 바람직하게 5nm 내지 12nm가 된다.
또한, 제1 및 제2 도핑 층 및 브리지 엘리먼트가 접착층에 의해 기판과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대응하여,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냉각 섹션들에 있어서, 제1 도핑 층, 제2 도핑 층 및 브리지 엘리먼트가 각각 접착층에 의해 기판과 연결된다. 이러한 접착층은 개별 층들의 용해(dissolution)를 방지한다. 그것은 고체 소재로 제조된 중간 층이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열전 컴포넌트가 기판 위에 또는 기판의 상부 층 중 하나에 배치되고, 집적회로의 마이크로전자 컴포넌트들에 의해 생성된 열이 전압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열전 컴포넌트는 기판 위에 또는 기판의 상부 층에 배치되며, 이는 펠티어 엘리먼트로서 사용되지 않아 집적회로의 능동 냉각을 제공하지만, 열전 발전기로서 사용된다. 즉, 집적회로의 폐열로 인한 온도 차이를 전압으로 변환한다(제벡 효과). 따라서, 생성된 전압은 열전 컴포넌트들의 실행 또는 제어 유닛의 실행에 기여할 수 있다.
앞서 제공된 설명에 추가하여, 과학적 출판물들 "기하학적 요인에 따른 새로운 열전 냉각 모듈의 성능", Journal of Electronic Materials, Vol. 44, No. 6 및 "수치 방법을 이용한 열전 소재의 성능에 대한 기하학적 인자의 영향", Journal of Electronic Materials, Vol. 44, No. 6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의 도움으로 추가로 설명된다.
도 1은 2개의 냉각 엘리먼트들(cooling elements)을 갖는 집적회로의 열전 컴포넌트(thermoelectric component)에 대한 회로도,
도 2는 열전 컴포넌트의 가능한 장착 위치에 대한 원근법의 개략도,
도 3은 냉각 흐름의 온도-시간 다이어그램,
도 4는 열전 컴포넌트 및 냉각 엘리먼트의 개별 컴포넌트들에 대한 개략도,
도 5는 2개의 냉각 엘리먼트들을 갖는 제1 실시예의 층 구성,
도 6은 3개의 냉각 엘리먼트들을 갖는 층 구성,
도 7은 열전 발생기(thermoelectric generator)로서 2개의 냉각 엘리먼트들을 갖는 층 구성, 및
도 8은 총 4개의 냉각 엘리먼트들을 갖는 제4 실시예의 층 구성을 도시한다.
도 1은 열전 컴포넌트(thermoelectric component)(1)의 어셈블리를 위한 개별 컴포넌트들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트리거 유닛(trigger unit)(2)이 트리거 라인(3)을 통해 2개의 트랜지스터(4)들과 연결되고, 트리거 유닛(2)과 트랜지스터(4)들에는 전압원에 의해 양 전위(positive potential)(5)가 공급된다. 트리거 유닛(2)과 트랜지스터(4)는 제어 유닛의 부분이다. 트랜지스터(4)의 출력측에서, 라인(6)은 2개의 보호(protective) 다이오드(7, 8)들을 통과하여 냉각 엘리먼트(15)로 각각 분기한다. 냉각 엘리먼트(15)들은 열전 컴포넌트의 써멀 엘리먼트들 또는 냉각 섹션들이다. 예를 들어, 보호 다이오드(7, 8)들은 쇼트키 보호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전류 흐름을 냉각 엘리먼트(15)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두 냉각 엘리먼트(15)들은 일측의 제로 전위(zero potential)(9)와 연결되고, 타측의 2개의 보호 다이오드(7, 8)들을 통해 트랜지스터(4)들에 의해 전압이 인가된다.
전원 공급에 기인하여, 냉각 엘리먼트(15)들이 마이크로전자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컴포넌트들의 냉각을 위한 냉각을 발생시키는 것이 달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회로도의 모든 컴포넌트들이 집적회로에 부가적으로 통합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러한 통합은 도 4 내지 도 8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한번, 바람직하게는 수차례 발생할 수 있다. 발생하는 냉각은 본질적으로 공지된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에 기인한다. 펠티어 효과의 기초는 전도대들(conduction bands)의 상이한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두 소재들(materials), 특히 브리지 엘리먼트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일측의 p-도핑 반도체 소재(p-doped semiconducting material) 및 타측의 n-도핑 반도체 소재의 접촉이다. 전기(electricity)가 차례로 배치되는 반도체 소재의 두 접촉점(contact points)을 통과할 때, 인접한 반도체 소재의 고에너지 전도대로 전자들(electrons)을 운반하기 위해 접촉점 중 하나에서 열 에너지가 흡수되어야 하므로, 냉각 효과가 발생한다. 다른 접촉점에서 전자들은 높은 에너지 레벨에서 낮은 에너지 레벨로 떨어지므로, 이 경우에 냉각은 전자들이 n-도핑 반도체에서 p-도핑 반도체로 전자들이 이동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도 2는 집적회로(10)를 원근법의 개략도로 도시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들의 구조가 통합된다. 예를 들어, 상당한 양의 열이 발생하는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높은 전력 소비로 인하여, 완전한 집적회로(10)의 추가적인 냉각은 냉각 시스템 및 팬을 통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집적회로 내에서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적회로의 개별 층 사이에 배치되거나, 집적회로(10)의 최저 또는 최고 위치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엘리먼트(15)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열전 컴포넌트(1)를 집적회로(10) 내에 통합하는 것을 제안한다. 하지만, 예를 들면, 상기 집적회로가 상응하는 제어 로직에 의해 일시적으로 스위칭 온 및 오프되는 수개의 병렬 실행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될 때, 이를테면 온도의 현저한 상승이 발생하고 부분적인 셧다운 또는, 필요하다면, 냉각이 요구되는 경우, 집적회로 내의 개별 컴포넌트들의 바로 아래에 수개의 열전 컴포넌트(1)들을 배치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이 집적회로(10) 내에 다중 배치로 통합되면, 각각의 개별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그런 열전 컴포넌트(1)에 할당될 수 있고, 그것은 간단한 구조를 특징으로 할 수 있지만, 도 4 내지 도 8에 따라 더 복잡하게 구조화될 수도 있다. 도 2는 단지 개략적인 도면에서 점선에 의해 열전 컴포넌트(1)의 하나의 위치를 도시하지만, 임의로 선택되었고 임의로 집적회로(10)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냉각 엘리먼트(15)에 대한 통상적인 냉각 흐름의 온도-시간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냉각 엘리먼트(15)의 온도는, 온도가 약 -15°의 값으로 추가로 안정화될 때까지, 0℃ 이상에서 -30℃ 이하의 온도로 강하한다. 극단적 냉각 온도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 냉각 엘리먼트(15)에는 -30°의 온도에 도달하는 시점(x)까지의 활성 위상(active phase)에서 전압이 공급된다. 다음에, 냉각 엘리먼트(15)는 휴지 위상(resting phase)으로 이동되는 반면, 냉각 효과를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른 것 이후의 제2 또는 추가 냉각 엘리먼트(15)에 전력이 공급된다. 수개의 개별 냉각 엘리먼트(15)들을 사용함으로써, 활성 위상(16) 동안의 최대 온도 강하가 집적회로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냉각 엘리먼트(15)는 휴지 위상(17) 동안 주변 온도로 조정된다. 그런 방식으로 수개의 냉각 엘리먼트(15)들이 사용되는 한, -15℃ 이하의 냉각을 구현하기 위해 냉각 엘리먼트(15)의 온도 조정에도 불구하고 연속적인 냉각이 달성될 수 있다.
도 4는 현 상황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집적회로 내에서 구현될, 적어도 하나의 냉각 엘리먼트(15)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 컴포넌트(1)의 어셈블리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의 써멀 엘리먼트(29)들은 도 1의 냉각 엘리먼트(15)에 대응한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정상 환경에서 양의 전압이 공급되는 제1 접촉 영역(20)이 형성된다. 한편, 제2 접촉 영역(21)은 제로 전위(zero potential)에 접속되고, 제2 접촉 영역(21)은 냉각 엘리먼트(15)의 접촉(contacting)이 가능해지도록 치수화된다(dimensioned). 집적회로 내의 열전 컴포넌트(1)은 제로 전위에 대한 접촉부(contact)로서의 의미를 갖는 제1 접촉 영역(22)으로 구성되고,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을 특징으로 한다. 전압 공급은 제1 접촉 영역(20)을 통해, 전력 공급을 위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스위칭되어 기동(starting)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병렬로 스위칭되는 2개의 트랜지스터(24, 25)들에 의해 발생한다. 전류는 부가적인 회로 엘리먼트(26)를 통해 차단될 수 있다. 전류의 차단이 발생할 수 있는데, 집적회로의 일부가 영구적으로 비활성이거나 또는 목표된(targeted) 열전 컴포넌트(1)이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집적회로 내의 온도 상승 중에 스위칭 온 될 수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열전 컴포넌트(1) 내의 전류는 제1 접촉 영역(22),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 및 제2 접촉 영역(23)을 통해 발생한다. 제1 접촉 영역(22)은 냉각 섹션을 통해 제2 접촉 영역(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3개의 서로 다른 연결들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접촉 영역(22)은 등거리의 거리에 배치된 수개의 병렬 실행 냉각 섹션을 통해 제2 접촉 영역(23)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개별 냉각 섹션(27, 28)들은 써멀 엘리먼트(29)들로 구성된다. 냉각 섹션(27, 28)들이 등거리의 거리(equidistant distances)로 평행하게 진행될 때, 영역에 대한 일정한 온도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부가적인 센서 엘리먼트(33)들이 개별 냉각 섹션(27, 28)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어, 제1 접촉 영역(22)으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 또는 결합시키는 것과 같이, 현재 온도 기울기(gradients)에 의존하는 스위칭 프로세스를 트리거한다. 제1 접촉 영역(22), 제2 접촉 영역(23), 냉각 섹션(27, 28)들 및 써멀 엘리먼트(29)들은 서로의 위에 층들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냉각 섹션(28) 및 제2 냉각 섹션(30)이 존재하도록 각도(α)로 냉각 섹션들을 배치하는 가능성이 있으며, 주어진 각도 및 냉각 섹션(28, 30)들 사이의 가변하는 거리에 기인하여, 더 빠른 냉각이 제1 접촉 영역(22)의 근방에서 달성되는 반면, 현저하게 느린 냉각이 성장하는(growing) 거리로, 특히 제2 접촉 영역(23)의 근방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구성은 제2 실시예를 나타내며, 또한 다중 배치로 서로의 위에 층들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2개의 열전 냉각 섹션(31, 32)들을 통해 제1 접촉 영역(22)을 제2 접촉 영역(23)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2개의 열전 냉각 섹션(31, 32)들의 주기적으로 변하는 거리에 기인하여, 가변 온도 강하가 달성된다. 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4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온도 센서(33)들이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온도 센서(33)는 제어 유닛을 통해 냉각 섹션(31, 32)들의 선택적 전압 공급을 허용한다.
도 5는 일반적으로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29)들이 반도체 칩에서 서로 옆에 및/또는 서로 위에 배치될 수 있는 층 배치(layered arrangement)의 써멀 엘리먼트(29)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여기서, 한편으로는 펠티어 효과를 사용하고,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29)들을 통해 집적회로의 영역을 의도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직렬 또는 병렬로 개별 써멀 엘리먼트(20)를 전기적으로 실행하는 추가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2개의 전기적 접촉 영역(50, 51)들로, 개별 써멀 엘리먼트(29)를 추가의 써멀 엘리먼트(29)들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거나 전압 공급을 위해 상기 접촉 영역(50, 51)들을 사용하는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전체 배치는 기판(52) 내에 임베디드(embedded) 되는데, 기판(52)은 복수의 유사한 써멀 엘리먼트(29)들을 유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의 개별 마이크로전자 컴포넌트들을 추가로 유지할 수 있어, 목표된 냉각이 많은 열을 방출하는 영역들에서 발생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구조에 대한 써멀 엘리먼트(29)들의 직접 할당이 의도될 수 있다.
써멀 엘리먼트(29)는 접촉 영역(54, 55)을 통해 p-도핑 또는 n-도핑 반도체 소재에 연결되는 제1 상부 브리지 엘리먼트(53)의 2개의 접촉 영역(50, 51)에 추가로 구성된다. p-도핑 반도체 소재(56)는 하부 브리지 엘리먼트(58)를 통해 제1 접촉 영역(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면, n-도핑 반도체 소재(57)는 제2 하부 브리지 엘리먼트(59)를 통해 제2 전기적 접촉 영역(51)에 접속된다. 전류의 방향에 의존하여, 반도체 소재(56, 57)들의 역방향(reverse) 도핑이 발생할 수 있다. 써멀 엘리먼트(29)의 각각의 개별 컴포넌트는 접착층(60, 61, 62, 63, 64)을 통해 기판(52)에 연결된다.
또한, 써멀 엘리먼트(29)의 이러한 기본적인 배치는 독특한 특징을 나타내는데, 즉 두 도핑 반도체 소재들(56,57)이 다른 치수를 갖는 접촉 영역(54, 55)들을 통해 상부 브리지 엘리먼트(53)와 연결되어, 도핑 반도체 소재(56, 57)들의 형태를 채용할 필요없다. 접촉 영역(54, 55)들은 반도체 소재(56, 57)들이 상부 브리지(53)에 대해 정렬되지 않게 배치됨으로써 이미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영역(54, 55)들이 커질수록, 열 수송이 작아지는 룰(rule)이 적용된다. 열 소산은 제1 도핑 반도체 소재(56)의 노출 영역(65, 66)들 또는 제2 도핑 반도체 소재(57)의 각각의 영역(67, 68)들을 통해 발생한다. 이러한 써멀 엘리먼트(29)의 간단한 구조는 또한 추가의 더 복잡한 실시예들에 대한 기초가 된다.
도 6은 개략도로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29)들로 구성되는 열전 냉각 어레이(70)의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또한, 냉각 어레이(70)는, 서로 다른 냉각 어레이(70)들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전압 공급을 위해 사용되는 제1 접촉 영역(71) 및 제2 접촉 영역(72)을 특징으로 한다. 제1 n-도핑 반도체 소재(74) 및 제2 p-도핑 반도체 소재(75)는 상부 브리지 엘리먼트(73)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은 상이한 크기의 접촉 영역(76, 77)들을 통해 발생한다. 이에 대한 배경은, 통과 전류를 고려할 때 작은 접촉 영역(76)은 예를 들어 기판(78)으로부터 방출되는 것보다 많은 열을 방출하는 반면, 큰 접촉 영역(77)은 기판 (78) 내로 더 적은 열을 방출한다는 것이다. 제1 n-도핑 반도체 소재는 접촉 영역(79)을 통해 제2 n-도핑 반도체 소재(80)에 추가로 연결되는 반면, p-도핑 반도체 소재(75)는 접촉 영역(81)을 통해 추가의 p-도핑 반도체 소재(82)에 연결된다. 두 개의 계단식(step-lined) n-도핑 또는 p-도핑 반도체 소재(74, 75, 80, 82)들에 기인하여, 더 높은 냉각 용량이 달성된다.
제1 p-도핑 반도체 소재(74, 75)들(예를 들어, Bi2Te3, BN, TiN, SiGeN, PbTeN)가 기재(base material)로서 사용되며, 동일한 소재들이 제2 n-도핑 반도체 소재(80, 82)들에 대한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도핑 반도체 소재 및 n-도핑 반도체 소재에 사용될 기재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의 작동 온도에 의존한다. 제2 n-도핑 반도체 소재(80, 82)는 도전층을 통한 전류 흐름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하부 브리지 엘리먼트(83, 84)를 통해 제1 접촉 영역(71) 또는 제2 접촉 영역(72)과 각각 다시 연결된다. 하부 브리지 엘리먼트(83, 84)들은 접착층(87, 88)을 통해 기판(78)과 연결되는 반면, 제1 도핑 반도체 소재(74, 75)들은 접착층(89, 90)을 통해 연결되며, 상부 브리지 엘리먼트(73)는 접착층(91)을 통해 기판(79)과 연결된다. 여기에 도시된 대안은 부가적으로 제1 p-도핑 반도체 소재(93)와 제2 n-도핑 반도체 소재(94)를 연결하고, 다시 접착층(95, 96, 97)들을 통해 기판(78)과 연결되는 추가의 브리지 엘리먼트(92)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3 도핑 반도체 소재(93, 94)들의 직접적인 전기적 접촉은, 다른 배치와 대조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제3 반도체 소재들(93, 94)들은 유전체인 기판(78) 내에 임베디드 된다. 제2 도핑 반도체 소재(80)와 제3 도핑 반도체 소재(93) 사이의 거리(A)와 제2 도핑 반도체 소재(82)와 제3 도핑 반도체 소재(94) 사이의 거리(B)는 동일하지 않도록 선택되었지만, 매우 작게 유지되어, 기판(78)은 -30° 부근의 온도에 대해 이런 짧은 거리에 대해 전도성이 되고, 따라서 부가적인 써멀 엘리먼트(98)의 전압 공급이 발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는데, 온도의 후속 상승(subsequent rise)의 얻어지는 효과에도, 추가의 냉각에 기인하여, 약 -30°의 냉각으로, 약 -30°의 온도가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이 달성될 수 있다.
도 7은 제벡 효과(Seebeck effect)에 따른 열전 발생기(100)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다. 열전 발생기(100)는 접촉 영역(104, 105)을 통해 제1 n-도핑 반도체 소재 (102) 및 제1 p-도핑 반도체 소재(103)에 연결되는 상부 브리지 엘리먼트(101)로 구성된다. 제1 도핑 반도체 소재(102, 103)들은 제2 n-도핑 반도체 소재(106) 및 제2 p-도핑 반도체 소재(107)에 연결된다. 이 경우에, 제1 반도체 소재(102, 103)들 및 각각의 제2 반도체 소재(106, 107)들은 완전히 접촉한다. 제2 반도체 소재(106, 107)들은 하부 브리지 엘리먼트(108)를 통해 제1 접촉 영역(110) 및 제2 접촉 영역(111)과 연결된다. 접촉 영역(110, 111)들은 다시 개별적인 열전 발생기 엘리먼트(100)들을 연결하거나 전압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하부 브리지 엘리먼트(108 및 109)들은 접착층(112, 113)을 통해 기판(116)과 연결되고 제2 도핑 반도체 소재(106, 107)들은 접착층(114, 115)을 통해 기판(116)과 연결되는 반면, 상부 브리지 엘리먼트(101)는 접착층(117)을 통해 기판(116)과 연결된다.
도 8은 서로 냉각 어레이(120)를 형성하도록 설정되는 써멀 엘리먼트들의 다중 배치를 개략도로 도시한다. 제1 써멀 엘리먼트(121)는 제2 써멀 엘리먼트(123)와 연결되어, 브리지 엘리먼트(122)를 통해 연결된다. 각각의 개별 써멀 엘리먼트(121, 123)의 어셈블리는 도 4에 따른 써멀 엘리먼트의 어셈블리에 대응한다. 전압 공급은 제1 접촉 영역(124) 및 제2 접촉 영역(125)을 통해 발생한다. 두 접촉 영역(124, 125)들은 써멀 엘리먼트의 4중 배치가 사용가능하도록 유전체 화합물 층(126, 127)을 통해 2개의 추가 써멀 엘리먼트(128, 129)와 연결된다. 이런 경우에, 2개의 상부 써멀 엘리먼트(121, 123)들은 2개의 하부 써멀 엘리먼트(128, 129)들과 마찬가지로 직렬로 스위칭된다. 또한, 상부 써멀 엘리먼트(121, 123)들은 전기적 화합물 층(126, 127)을 통해 하부 써멀 엘리먼트(128, 129)들과 병렬로 스위칭되므로, 임의의 써멀 엘리먼트(121, 123, 128, 129)들이 활성화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의 장점은 하부 배치의 써멀 엘리먼트(128, 129)들이 대응하는 냉각을 통해서만 스위칭 온되어, 지연 연결에 기인하여 더 낮은 시동 전류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4개의 모든 써멀 엘리먼트(121, 123, 128, 129)들은 기판(130)에 통합되고, 각각 접착층들을 통해 기판(130)과 연결된다.
이 경우에, 열전기 발생기(100)는 집적회로에 의해 생성된 폐열(waste heat)에 기인하여 추가적인 전압 발생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생성된 폐열은 제벡 효과에 기인하여 열전 발생기(100)에서의 전압 발생을 초래하며, 써멀 엘리먼트들의 공급을 위해 집적회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열전 발생기(100)는 바람직하게 얻어지는 폐열을 사용하기 위해 집적회로의 상부 층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1 : 열전 컴포넌트 2 : 트리거 유닛
3 : 트리거 라인 4 : 트랜지스터
5 : 양 전위 6 : 라인
7 : 보호 다이오드 8 : 보호 다이오드
9 : 제로 전위 10 : 집적회로
15 : 냉각 엘리먼트 16 : 활성 위상(active phase)
17 : 휴지 위상(rest phase) 20 : 제1 접촉 영역
21 : 제2 접촉 영역 22 : 제1 접촉 영역
23 : 제2 접촉 영역 24 : 트랜지스터
25 : 트랜지스터 26 : 회로 엘리먼트
27 : 냉각 섹션 28 : 냉각 섹션
29 : 써멀 엘리먼트(thermal element) 30 : 냉각 섹션
31 : 냉각 섹션 32 : 냉각 섹션
33 : 센서 50 : 접촉 영역
51 : 접촉 영역 52 : 기판
53 : 브리지 엘리먼트 54 : 접촉 영역
55 : 접촉 영역 56 : 반도체 소재
57 : 반도체 소재 58 : 브리지 엘리먼트
59 : 브리지 엘리먼트 60 : 접착층
61 : 접착층 62 : 접착층
63 : 접착층 64 : 접착층
65 : 영역 66 : 영역
67 : 영역 68 : 영역
70 : 냉각 어레이 71 : 접촉 영역
72 : 접촉 영역 73 : 브리지 엘리먼트
74 : 반도체 소재 75 : 반도체 소재
76 : 접촉 영역 77 : 접촉 영역
78 : 기판 79 : 접촉 영역
80 : 반도체 소재 81 : 접촉 영역
82 : 반도체 소재 83 : 브리지 엘리먼트
84 : 브리지 엘리먼트 85 : 접착층
86 : 접착층 87 : 접착층
88 : 접착층 89 : 접착층
90 : 접착층 91 : 접착층
92 : 브리지 엘리먼트 93 : 반도체 소재
94 : 반도체 소재 95 : 접착층
96 : 접착층 97 : 접착층
98 : 써멀 엘리먼트 100 : 열전 발생기
101 : 브리지 엘리먼트 102 : 반도체 소재
103 : 반도체 소재 104 : 접촉 영역
105 : 접촉 영역 106 : 반도체 소재
107 : 반도체 소재 108 : 브리지 엘리먼트
109 : 브리지 엘리먼트 110 : 접촉 영역
111 : 접촉 영역 112 : 접착층
113 : 접착층 114 : 접착층
115 : 접착층 116 : 기판
117 : 접착층 120 : 냉각 섹션
121 : 써멀 엘리먼트 122 : 브리지 엘리먼트
123 : 써멀 엘리먼트 124 : 접촉 영역
125 : 접촉 영역 126 : 화합물 층
127 : 화합물 층 128 : 써멀 엘리먼트
129 : 써멀 엘리먼트 130 : 기판
A : 거리 B : 거리

Claims (29)

  1. 냉각 어레이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 컴포넌트(thermoelectric component)(1)의 구현을 위한 도핑(doped) 및 구분(distinguished) 영역을 갖는 유전체 기판으로 구성되는, 바람직하게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냉각 장치를 위한,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에 있어서,
    상기 열전 컴포넌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접촉 영역(contact area)(22), 적어도 하나의 제2 접촉 영역(23) 및 적어도 하나의 냉각 섹션(cooling section)(27, 28, 30, 31, 32)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섹션(27, 28, 30, 31, 32)은 제1 접촉 영역(22)과 제2 접촉 영역(23) 사이에 배치되어, 제어 유닛을 통해 제1 접촉 영역(22)과 제2 접촉 영역(23)에 의해 전압이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써멀 엘리먼트(thermal element)(29)로 구성되며,
    상기 써멀 엘리먼트(29)는 브리지 엘리먼트(53, 58, 59, 73, 83, 84, 92)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으로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핑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핑 층으로 구성되고, 브리지 엘리먼트(53, 58, 59, 73, 83, 84, 92)는 제1 도핑 층 및/또는 제2 도핑 층 위에만 부분적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도핑 층 또는 제2 도핑 층 위에 놓이는 브리지 엘리먼트(53, 58, 59, 73, 83, 84, 92)의 섹션 길이(x), 제1 도핑 층 또는 제2 도핑 층의 길이(y) 및 제1 도핑 층 또는 제2 도핑 층의 폭(z)은 0.2 < x/y < 0.5 및 z > x의 조건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각 섹션(27, 28, 30, 31, 32)은 제1 접촉 영역(22)과 제2 접촉 영역(23) 사이에 직렬로 각각 연결되는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29)들로 이루어지고, 및/또는
    냉각 섹션(27, 28, 30, 31, 32)은 제1 접촉 영역(22)과 제2 접촉 영역(23) 사이에 직렬로 각각 연결되는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29)들로 이루어지고, 부가적인 써멀 엘리먼트(29)들이 개별 써멀 엘리먼트(29)들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브리지 엘리먼트와 제1 및 제2 도핑 층 사이의 접촉 영역(50, 51, 54, 55, 71 , 72, 76, 77, 79, 81)들은 크기 면에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 컴포넌트(1)는 기판(52, 78) 위에 또는 기판(52, 78)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개의 열전 컴포넌트(1)들이 서로 옆에 및/또는 기판 내에서 서로 위에 배치되고, 및/또는
    수개의 인접하는 열전 컴포넌트(1)들이 기판(52, 78)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개의 열전 컴포넌트(1)들이 서로 위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영구 또는 스위칭 가능한 VIA-연결부(수직 상호연결 접속: Vertical Interconnect Access)에 의해 연결되며, VIA-연결부의 스위칭은 제어 유닛을 통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개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이 제1 접촉 영역(22)과 제2 접촉 영역(23) 사이에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은 다른 냉각 섹션들과 독립적으로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 수평각(horizontal angle)(α)으로 진행하는 적어도 2개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이 존재하거나 또는 서로 주기적으로 교번하는 거리(periodically alternating distance)로 진행하는 적어도 2개의 냉각 섹션들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섹션(27, 28, 30, 31, 32)의 2개의 써멀 엘리먼트(29)들 사이 또는 2개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 사이 또는 2개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의 2개의 세그먼트들 사이의 수평각은 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30°내지 4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 컴포넌트(1)의 수개의 써멀 엘리먼트(29)들 또는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은 기판(52, 78) 내에서 서로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접촉 영역(22)과 수개의 제2 접촉 영역(23)들이 존재하고, 적어도 하나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은 각각 제1 접촉 영역(22)과 수개의 제2 접촉 영역(23)들 사이에 배치되고, 및/또는 제1 접촉 영역(22)은 수개의 제2 접촉 영역(23)들에 의해 둘러싸이고, 적어도 하나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은 각각 제1 접촉 영역(22)과 제2 접촉 영역(23)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개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은 제1 접촉 영역(22)으로부터 스타 구조의 형태로 제1 접촉 영역(22)을 둘러싸는 제2 접촉 영역(23)으로 또는 제1 접촉 영역(22)을 둘러싸는 수개의 제2 접촉 영역(23)들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33)들이 제어 유닛과 상호 작용하는 적어도 2개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수개의 열전 컴포넌트(1)들 중 하나 또는 수개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 중 하나의 선택적인 전압 공급을 위한 회로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17.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블로킹(blocking) 다이오드를 통해 열전 컴포넌트에 전압을 공급하는 트랜지스터(24, 25)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어 유닛은 병렬로 연결되고 각각 다른 열전 컴포넌트(1)들과 관련하여 동시에 또는 시차 간격(staggered intervals)으로 블로킹 다이오드를 통해 열전 컴포넌트에 전압을 공급하는 수개의 트랜지스터(24, 25)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서로 독립적으로 기존의 스위칭 가능한(existing switchable) VIA-연결부들을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유닛은 고주파 펄스 발생기 및 상기 고주파 펄스 발생기에 의해 트리거 될 수 있는 카운팅 유닛을 갖는 프로그램 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적어도 2개의 열전 컴포넌트(1)들 사이의 VIA-연결부는 카운팅 유닛의 카운터 값과 관련하여 제어 유닛에 의해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써멀 엘리먼트(29)의 제1 도핑 층은 n-도핑 층이며, 써멀 엘리먼트(29)의 제2 도핑 층은 p-도핑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리지 엘리먼트(53, 58, 59, 73, 83, 84, 92)는 고도의 폴리실리콘(highly polysilicon),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 컴포넌트(1)의 더 따뜻한(warmer) 측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폐(shielding) 층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폐 층은 전기적 절연 소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소재는 높은-k 및/또는 낮은-k 유전체 매체(dielectric medium), 특히 실리콘 디옥사이드, AgO, Ti02, HfO2 또는 Al2O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열전 컴포넌트(1)의 더 차가운(cooler) 측의 적어도 하나의 브리지 엘리먼트(53, 58, 59, 73, 83, 84, 92)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냉각 층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5.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적 회로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유닛(functional unit)을 포함하며, 상기 기능 유닛은 열전 컴포넌트(1) 사이 및/또는 열전 컴포넌트(1)의 냉각 섹션(27, 28, 30, 31, 32)들 사이에 배치되거나 및/또는 냉각 섹션(27, 28, 30, 31, 32)의 더 따뜻한(warmer) 또는 더 차가운(cooler)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능 유닛은,
    - 센서, 특히 열 센서 또는 광학 센서,
    - 정류기, 특히 다이오드,
    - 스위칭 엘리먼트, 특히 트랜지스터, 바람직하게는 IGFET, NMOS, PMOS, VMOS와 같은 MOSFET,
    - 제어 엘리먼트,
    - 프로그램 가능한 디바이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FPGA 또는 PLD와 같은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 DRAM, ROM, SRAM과 같은 메모리 엘리먼트,
    - 태양 전지판,
    - 레이저 다이오드,
    - 발광 다이오드 또는
    - 마이크로 스트립(micro stri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전 컴포넌트(1)는 기판(52, 78) 위에 또는 기판(52, 78)의 상부 층 중 하나에 배치되고, 마이크로전자 컴포넌트들의 폐열이 전압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8.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적 회로는 0.5 pA 내지 500 mA, 특히 1 mA 내지 200 mA, 바람직하게는 20 μA 내지 120 μA,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pA 내지 1 μA의 총 전류(total electric currents)에 대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층(intermediate layer)이 기판(52, 78) 내에서 서로 위에 배치되는 열전 컴포넌트(1)들 사이에 배치되어, 열전 컴포넌트(1)들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회로 냉각 어레이.
KR1020167036633A 2014-06-02 2015-06-01 냉각 어레이를 갖는 집적회로 KR201700133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PCT/EP2014/061335 2014-06-02
PCT/EP2014/061335 WO2015185082A1 (en) 2014-06-02 2014-06-02 Integrated, three-dimensional cell configuration, integrated cooling array and cell-based integrated circuit
PCT/EP2015/001109 WO2015185204A1 (en) 2014-06-02 2015-06-01 Integrated circuit with cooling ar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331A true KR20170013331A (ko) 2017-02-06

Family

ID=5089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633A KR20170013331A (ko) 2014-06-02 2015-06-01 냉각 어레이를 갖는 집적회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180145241A1 (ko)
EP (1) EP3149785A1 (ko)
JP (2) JP2017525133A (ko)
KR (1) KR20170013331A (ko)
CN (2) CN106463606A (ko)
AP (1) AP2017009669A0 (ko)
AU (1) AU2015271243A1 (ko)
BR (1) BR112016028369A2 (ko)
CA (2) CA2949931A1 (ko)
EA (1) EA201650136A1 (ko)
IL (2) IL249179A0 (ko)
MA (1) MA40285A (ko)
MX (1) MX365124B (ko)
SG (3) SG11201609840XA (ko)
TR (1) TR201700279T1 (ko)
WO (2) WO2015185082A1 (ko)
ZA (1) ZA2016088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5893A (zh) * 2016-12-25 2017-05-10 北京工业大学 一种芯片内部将热能转化成电能的模块
US10586138B2 (en) * 2017-11-02 2020-03-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thermoelectric quick response code branding
US10430620B2 (en) 2018-02-26 2019-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thermoelectric image branding
JP7065308B2 (ja) * 2018-04-10 2022-05-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熱量測定方法および発熱量測定装置
JP7217401B2 (ja) * 2018-08-08 2023-02-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発熱量測定方法および発熱量測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4439A (en) 2000-02-04 2002-01-23 Ibm Thermal management of integrated circuits
KR20060102223A (ko) 2005-03-23 2006-09-27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 및 그를 채용한 응용기기
US20090321909A1 (en) 2008-06-27 2009-12-31 Qualcomm Incorporated Active Thermal Control for Stacked IC Devices
US20130255741A1 (en) 2007-08-29 2013-10-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tructure and method for coupling heat to an embedded thermoelectr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45549A (ja) * 1988-03-26 1989-09-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法
JP3173853B2 (ja) * 1991-08-02 2001-06-04 株式会社エコ・トゥエンティーワン 熱電変換素子
JP3214664B2 (ja) * 1995-05-25 2001-10-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超伝導素子および温度制御器を備えた高周波装置
JP3956405B2 (ja) * 1996-05-28 2007-08-08 松下電工株式会社 熱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H11233986A (ja) * 1998-02-12 1999-08-27 Sony Corp 半導体装置
JP4131029B2 (ja) * 1998-02-18 2008-08-13 松下電工株式会社 熱電変換モジュール
JP4146032B2 (ja) * 1999-05-31 2008-09-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ッチ装置およびこの半導体スイッチ装置を用いた電力変換装置
IL136275A0 (en) 2000-05-22 2001-05-20 Active Cool Ltd Active cooling system for cpu and semiconductors also enabling thermal acceleration
US6559538B1 (en) * 2000-10-20 2003-05-06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a built-in thermoelectric cooling mechanism
JP3462469B2 (ja) * 2000-12-15 2003-11-05 Smc株式会社 円形冷却プレート用異形サーモ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円形冷却プレート
IL147394A0 (en) 2001-12-30 2002-08-14 Active Cool Ltd Thermoelectric active cooling system for a computer processor with reduced audible noise and emi noise audio noise
JP2003332640A (ja) * 2002-05-16 2003-11-21 Seiko Instruments Inc ペルチェ素子モジュール
US7034394B2 (en) * 2003-10-08 2006-04-25 Intel Corporation Microelectronic assembly having thermoelectric elements to cool a die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880345B1 (en) * 2003-11-04 2005-04-19 Intel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an electronic component
CN1297802C (zh) * 2004-02-12 2007-01-31 李韫言 一种全硅集成流量传感器及其制造方法
JP4485865B2 (ja) * 2004-07-13 2010-06-23 Oki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523617B2 (en) 2004-10-22 2009-04-28 Nextreme Thermal Solutions, Inc. Thin film thermoelectric devices for hot-spot thermal management in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s
US7544883B2 (en) * 2004-11-12 2009-06-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thermoelectric cooling device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same
US8318519B2 (en) * 2005-01-11 2012-11-27 SemiLEDs Opto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handling a semiconductor wafer assembly
JP2007095897A (ja) * 2005-09-28 2007-04-12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4799204B2 (ja) * 2006-02-09 2011-10-2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温度センサ素子、表示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KR20080062045A (ko) * 2006-12-29 2008-07-03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시모스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5249662B2 (ja) * 2008-07-23 2013-07-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電変換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8728846B2 (en) * 2008-08-20 2014-05-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ertical thermoelectric structures
US20110094556A1 (en) * 2009-10-25 2011-04-28 Digital Angel Corporation Planar thermoelectric generator
JP2011146474A (ja) * 2010-01-13 2011-07-28 Sony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441092B2 (en) * 2010-12-06 2013-05-14 Stmicroelectronics Pte. Ltd. Thermoelectric cooler system, method and device
JP2014086330A (ja) * 2012-10-25 2014-05-12 Fujitsu Ltd 小型電源モジュール及び半導体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4439A (en) 2000-02-04 2002-01-23 Ibm Thermal management of integrated circuits
KR20060102223A (ko) 2005-03-23 2006-09-27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 및 그를 채용한 응용기기
US20130255741A1 (en) 2007-08-29 2013-10-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tructure and method for coupling heat to an embedded thermoelectric device
US20090321909A1 (en) 2008-06-27 2009-12-31 Qualcomm Incorporated Active Thermal Control for Stacked IC Devic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기하학적 요인에 따른 새로운 열전 냉각 모듈의 성능", Journal of Electronic Materials, Vol. 44, No. 6
"수치 방법을 이용한 열전 소재의 성능에 대한 기하학적 인자의 영향", Journal of Electronic Materials, Vol. 44, No. 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5204A1 (en) 2015-12-10
CN106471633A (zh) 2017-03-01
SG11201609840XA (en) 2016-12-29
JP2017525133A (ja) 2017-08-31
SG10201810804PA (en) 2018-12-28
BR112016028369A2 (pt) 2018-01-16
MX2016015966A (es) 2017-03-16
IL249178A0 (en) 2017-01-31
MA40285A (fr) 2017-04-05
TR201700279T1 (tr) 2017-10-23
CN106463606A (zh) 2017-02-22
CA2949938A1 (en) 2015-12-10
WO2015185082A1 (en) 2015-12-10
JP2017525135A (ja) 2017-08-31
CA2949931A1 (en) 2015-12-10
AU2015271243A1 (en) 2017-01-12
EA201650136A1 (ru) 2017-05-31
US20180145241A1 (en) 2018-05-24
MX365124B (es) 2019-05-24
SG11201609841YA (en) 2016-12-29
IL249179A0 (en) 2017-01-31
AP2017009669A0 (en) 2017-01-31
ZA201608808B (en) 2019-03-27
EP3149785A1 (en)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3331A (ko) 냉각 어레이를 갖는 집적회로
US6981380B2 (en) Thermoelectric cooling for microelectronic packages and dice
US6563227B1 (en)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integrated circuit
US7654311B2 (en) Thermal management of systems having localized regions of elevated heat flux
US8166769B2 (en) Self-cooled vertical electronic component
US7290596B2 (en) Thermal management of systems having localized regions of elevated heat flux
US9516790B2 (en) Thermoelectric cooler/heater integrated in printed circuit board
KR20130061487A (ko) 열전 냉각 패키지 및 이의 열관리 방법
US20120103379A1 (en) Thermoelectric generator including a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a meandering p-n system
US7825324B2 (en) Spreading thermoelectric coolers
US20150179543A1 (en) Three-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providing thermoelectric cooling and methods for cooling such integrated circuit structures
US9748228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ooling three-dimensional integrated circuits
US951524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on-chip thermoelectricity generation
WO2009119175A1 (ja) 半導体装置
KR100984112B1 (ko) 수평형 박막 열전모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열소자 패키지
US20170256696A1 (en) Thermoelectric generator
US10043962B2 (en) Thermoelectric cooling using through-silicon vias
KR101088937B1 (ko) 플립-칩 반도체 장치들을 위한 열전기 냉각기
US8395255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ooling function component
US9202771B2 (en) Semiconductor chip structure
US9773717B1 (en) Integrated circuits with peltier cooling provided by back-end wiring
OA18537A (en) Integrated circuit with cooling array
JP2007214285A (ja) 半導体装置
JPH06318736A (ja) 薄膜ペルチェ熱電素子
WO2024010483A1 (ru) Твердотельное охлаж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