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448A - 터치 패널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448A
KR20160148448A KR1020160065551A KR20160065551A KR20160148448A KR 20160148448 A KR20160148448 A KR 20160148448A KR 1020160065551 A KR1020160065551 A KR 1020160065551A KR 20160065551 A KR20160065551 A KR 20160065551A KR 20160148448 A KR20160148448 A KR 20160148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area
magnifying glass
touch pane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치바
준 다카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Publication of KR20160148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009Energy-transferring means or control lines for movable machine parts; Control panels or boxes; Control parts
    • B23Q1/0045Control panels or box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6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monitoring or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10Plc systems
    • G05B2219/13Plc programming
    • G05B2219/13031Use of touch scree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377Touch screen, with representation of buttons, machine on scree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2Operator till task planning
    • G05B2219/32128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6Nc in input of data, input key till input tape
    • G05B2219/36168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5Virtual magnifying lens, i.e. window or frame movable on top of displayed information to enlarge it for better reading or sel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가공 장치의 터치 패널 장치에 있어서, 수고를 들이지 않으며, 작업 효율도 저하시키지 않고, 원하는 입력란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입력란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111)과, 복수의 입력란 중 오퍼레이터가 데이터의 입력을 소망하여 접촉한 입력란을 확대 표시하는 확대 표시 수단(112)과, 확대 표시된 입력란으로부터 가공 조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113)으로 터치 패널 장치(100)를 구성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 장치{TOUCH PANEL DEVICE}
본 발명은 가공 장치에 탑재되는 터치 패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터치 조작 패널이 주류로 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터치 조작 패널은, 데이터 입력 화면 상에, 입력 수단인 키보드도 표시하기 때문에, 입력란의 표시가 작아진다. 따라서, 원하는 입력란과는 상이한 입력란에 입력하여 버리는 등의 조작성의 문제가 있고, 또한, 입력란이 복수개 있으면, 입력 중에 입력란을 잃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컨대, 선택된 입력란을 확대 표시하거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팝업으로서 표시하거나 하는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187544호 공보
그러나, 어떤 입력란을 확대 표시하면, 그것에 인접하는 입력란이 가려져 버려, 가려져 버린 그 입력란에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는, 확대 화면을 일단 닫고 나서, 가려져 있던 입력란을 다시 선택할 필요가 있어,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입력란의 위치와 입력 항목을 결부시켜 감각적으로 기억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팝업이 일정 장소에 표시되면, 입력란의 위치로부터 감각적으로 입력 항목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입력 항목을 확인하는 수고가 생겨, 작업 효율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입력 중에 입력란을 잃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력 중인 입력란을 채색하거나 색 프레임으로 둘러싸거나 하는 고안도 이루어져 있지만, 데이터의 입력은, 여러 가지 환경 하에서 행해지는 것이며, 어떤 전등 아래에서는 색을 확실히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가공 장치의 터치 패널 장치에 있어서, 수고를 들이지 않으며, 작업 효율도 저하시키지 않고, 원하는 입력란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공 장치에 구비된 터치 패널 장치로서, 복수의 입력란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입력란 중 오퍼레이터가 데이터의 입력을 소망하여 접촉한 입력란을 확대 표시하는 확대 표시 수단과, 확대 표시된 입력란으로부터 가공 조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구비한 터치 패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 장치에서는, 데이터의 입력을 원하는 입력란을 오퍼레이터가 터치하면, 확대 표시 수단이, 입력란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영역을 확대 표시하기 때문에, 잘못된 입력란에의 데이터 입력을 방지하며, 입력 중에 데이터 입력란을 잃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터가 입력란의 위치와 입력 항목을 결부시켜 기억하고 있었다고 해도, 확대 표시된 입력란 자체의 위치가 움직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원래의 위치에서 입력할 수 있어, 감각적으로 입력 항목을 인식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란을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색깔 전등 등의 아래에서도 한눈에 입력란을 인식할 수 있어, 입력란을 잃어 버리는 일이 없다.
도 1은 터치 패널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터치 패널 장치가 탑재되는 절삭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터치 패널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터치 패널 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확대경의 표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의 (a)는 확대경이 이동하기 전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b)는 확대경이 이동한 후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은 터치 패널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CPU(101)와, ROM(102)과, RAM(103)과, 터치 패널(104)과, HDD(105)와, I/O(106)가 버스(107)에 의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CPU(101)는, ROM(102)이나 RAM(103)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고, 필요에 따라 RAM(103)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RAM(103)에 데이터를 기억시키거나 한다. HDD(105)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며, HDD(105)에는, 터치 패널(104)에의 표시 처리를 행하는 프로그램, 터치 패널(104)에 표시시키는 데이터 등이 기록되어 있다. I/O(106)는, 입출력 기기와 인터페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러 가지 입출력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한다.
이 터치 패널 장치(100)는,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 절삭 장치(1)에 탑재된다. 이 절삭 장치(1)는, 척 테이블(7)에 유지된 웨이퍼(W)를 절삭 수단(3a, 3b)에 의해 절삭 가공하는 장치이다. 절삭 가공의 조건은, 터치 패널 장치(100)의 터치 패널(104)에서 입력할 수 있다.
이 절삭 장치(1)에 있어서 절삭되는 웨이퍼(W)는, 다이싱 테이프(T)를 통해 링형의 프레임(F)에 지지된다. 척 테이블(7)은, 다이싱 테이프(T)를 통해 웨이퍼(W)를 흡인 유지한다. 또한, 척 테이블(7)의 주위에는 프레임(F)을 고정하는 클램프부(6)가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F)은 클램프부(6)에 의해 고정된다.
척 테이블(7) 및 클램프부(6)는, 절삭 이송 수단(2)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이송된다. 절삭 이송 수단(2)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20)와, 볼 나사(20)와 평행하게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21)과, 볼 나사(20)의 일단에 연결된 모터(22)와, 볼 나사(2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내부에 가지며 바닥부가 가이드 레일(21)에 미끄럼 접촉하는 이동 베이스(24)로 구성되고, 모터(22)가 볼 나사(20)를 회동시킴으로써, 이동 베이스(24)가 가이드 레일(21)에 가이드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 베이스(24)의 상방에는 척 테이블(7) 및 클램프부(6)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23)을 구비하고, 이동 베이스(24)의 X축 방향의 이동과 함께 척 테이블(7) 및 이동 베이스(24)도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절삭 수단(3a, 3b)은, 회전 가능한 절삭 블레이드(30)와, 피가공물을 촬상하여 절삭하여야 하는 위치를 검출하는 촬상 수단(31)과, 절삭 블레이드(30)에 절삭수를 공급하는 절삭수 노즐(32)을 구비하고 있다. 절삭 수단(3a)을 구성하는 절삭 블레이드(30)와 절삭 수단(3b)을 구성하는 절삭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는 Y축 방향으로 대면하고 있다.
절삭 수단(3a, 3b)은, 각각이 절입 이송 수단(5)에 의해 구동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절입 이송 수단(5)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50)와, 볼 나사(5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51)과, 볼 나사(50)의 일단에 연결된 모터(52)와, 볼 나사(5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내부에 가지며 측부가 가이드 레일(51)에 미끄럼 접촉하는 승강 베이스(53)로 구성되고, 모터(52)가 볼 나사(50)를 회동시킴으로써, 승강 베이스(53)가 가이드 레일(51)에 가이드되어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승강 베이스(53)의 하부에는 절삭 수단(3a, 3b)이 고정되고, 승강 베이스(53)의 Z축 방향의 이동과 함께 절삭 수단(3a, 3b)도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절삭 수단(3a) 및 절삭 수단(3a)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절입 이송 수단(5)과, 절삭 수단(3b) 및 절삭 수단(3b)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절입 이송 수단(5)은, 각각이 인덱스 이송 수단(4)에 의해 구동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인덱스 이송 수단(4)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 나사(40)와, 볼 나사(40)와 평행하게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레일(41)과, 볼 나사(40)의 일단에 연결된 모터(42)와, 볼 나사(40)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를 내부에 가지며 측부가 가이드 레일(41)에 미끄럼 접촉하는 이동 베이스(43)로 구성되고, 모터(42)가 볼 나사(40)를 회동시킴으로써, 이동 베이스(43)가 가이드 레일(41)에 가이드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동 베이스(43)의 측부에는 절입 이송 수단(5)을 구비하고, 이동 베이스(43)의 Y축 방향의 이동과 함께 절입 이송 수단(5) 및 절삭 수단(3a, 3b)도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척 테이블(7)에 유지된 웨이퍼(W)의 절삭 시는, 먼저, 촬상 수단(31)에 의해 그 표면이 촬상되어 절삭하여야 하는 위치가 검출된다. 그리고, 검출된 절삭하여야 하는 스트리트와 절삭 블레이드(30)의 Y축 방향의 위치 맞춤이 인덱스 이송 수단(4)에 의해 이루어진 후, 척 테이블(7)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절입 이송 수단(5)이 절삭 수단(3a, 3b)을 강하시켜, 회전하는 절삭 블레이드(30)를 검출된 스트리트에 절입시킨다. 1개의 스트리트를 절삭한 후는, 인덱스 이송 수단(4)이 절삭 수단(3a, 3b)을 각각 스트리트 간격씩 Y축 방향으로 인덱스 이송하여, 동일한 절삭을 행한다. 또한, 일방향의 스트리트가 전부 절삭된 후, 척 테이블(7)을 90도 회전시켜, 동일한 절삭을 행하면, 스트리트가 종횡으로 절삭되어 개개의 칩으로 분할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터치 패널 장치(100)의 기능을 나타낸 것으로, 터치 패널(104)에 복수의 입력란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표시부)(111)과, 오퍼레이터가 데이터의 입력을 소망하여 접촉한 입력란을 확대 표시하는 확대 표시 수단(확대 표시부)(112)과, 확대 표시된 입력란으로부터의 입력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표시하며 확대 표시된 입력란으로부터 입력된 가공 조건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입력 수단(입력부)(113)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수단은, 도 1에 나타낸 HDD(105)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CPU(101)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절삭 장치(1)를 기동시키면, 표시 수단(111)이, 터치 패널(104)에, 가공 조건의 입력을 재촉하는 화상, 예컨대 도 4에 나타내는 입력 화면(120)을 표시한다. 이 입력 화면(120)은, 「Device」 에어리어(121)와, 「Cut setting」 에어리어(122)와, 「Auto Setup」 에어리어(123)와, 「Auto down」 에어리어(124)와, 소프트웨어 키보드 에어리어(125)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화면(120)에 있어서는, 좌측의 열에 항목명(126)이 표시되고, 항목명(126)의 우측에는, 각 항목명에 대응하는 수치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란(127)이 표시되어 있다. 도 4의 예에 있어서의 각 입력란(127)은, 직사각 형상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각 입력란(127)의 형상은, 이 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란이 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프트웨어 키보드 에어리어(125)는 표시되지 않는다.
「Device」 에어리어(121)는, 도 2에 나타낸 절삭 장치(1)에 있어서의 절삭 대상의 피가공물의 사양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다. 예컨대, 항목명 「No.」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절삭하는 디바이스의 번호가 입력된다. 또한, 항목명 「Work size(Round)」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도 1에 나타낸 웨이퍼(W)의 외주의 길이가 입력되고, 항목명 「Work size(Ch1)」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도 1에 나타낸 웨이퍼(W)의 Ch1 방향의 사이즈가 입력되며, 항목명 「Work size(Ch2)」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도 1에 나타낸 웨이퍼(W)의 Ch2 방향의 사이즈가 입력되고, 항목명 「Work thickness」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웨이퍼(W)의 두께의 값이 입력된다.
「Cut setting」 에어리어(122)는, 절삭 가공 시의 절삭 장치(1)의 동작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며, 예컨대, 항목명 「Z1 Blade height」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도 2에 나타낸 제1 절삭 수단(3a)을 구성하는 절삭 블레이드(30)의 Z축 상의 높이 위치의 값이 입력되고, 항목명 「Z2 Blade height」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도 2에 나타낸 제1 절삭 수단(3b)을 구성하는 절삭 블레이드(30)의 Z축 상의 높이 위치의 값이 입력되며, 항목명 「Feed Speed」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도 2에 나타낸 절삭 이송 수단(2)에 의한 척 테이블(7)의 X축 방향의 이송 속도의 값이 입력된다.
「Auto Setup」 에어리어(123)는, 각 절삭 수단(3a, 3b)의 Z축 방향의 기준 위치의 자동 설정(이하, 「셋업」이라고 칭함)의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며, 예컨대, 항목명 「Interval(dis)Z1」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절삭 수단(3a)의 셋업을 행하는 인터벌로서 절삭한 거리의 값이 입력되고, 항목명 「Interval(line)Z1」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절삭 수단(3a)의 셋업을 행하는 인터벌로서 절삭한 스트리트수의 값이 입력된다.
「Auto down」 에어리어(124)는, 절삭 가공 시의 각 절삭 수단(3a, 3b)의 하강 거리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이며, 예컨대 항목명 「Z1 Down length」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절삭 수단(3a)의 하강 시의 하강 거리가 입력되고, 항목명 「Z2 Down length」에 대응하는 입력란에는, 절삭 수단(3b)의 하강 시의 하강 거리가 입력된다.
오퍼레이터가 특정 입력란을 건드리면, 소프트웨어 키보드 에어리어(125)에는, 각 입력란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키보드가 입력 수단(113)에 의해 표시된다. 예컨대, 수치의 입력을 요구하는 입력란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선택된 경우는, 텐 키가 표시되고, 알파벳의 입력을 요구하는 입력란이 오퍼레이터에 의해 선택된 경우는, 도 4에 나타낸 알파벳 키가 표시된다. 텐 키와 알파벳 키의 쌍방을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입력 수단(113)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입력란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때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표시시키지 않고, 입력란이 선택된 경우에만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표시시킨다.
오퍼레이터가, 어떤 입력란(127)을 터치하면, 도 3에 나타낸 확대 표시 수단(112)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된 입력란(127)을 확대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확대 표시의 처리는, 도 4에 나타낸 표시 화면(120)에 있어서의 확대경(129)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이며, 도 5에 나타내는 확대경 표시 루틴의 흐름도에 따라 행해진다. 이하에서는, 도 5의 흐름도를 따라 확대 표시 처리를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확대 표시 수단(112)은, 어느 하나의 입력란이 터치되었는지의 여부를 항상 감시하고 있다(단계 S1). 그리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어느 하나의 입력란이 터치되면, 확대 표시 수단(112)은, 먼저, 터치된 입력란의 좌표 정보와 사이즈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 이 좌표 정보 및 사이즈 정보는, 도 1에 나타낸 RAM(103)에 미리 기억되어 있고, 확대 표시 수단(112)은, RAM(103)으로부터 그 정보를 판독하여 인식한다. 좌표 정보는, 예컨대, 도 4의 입력 화면(120) 상의 횡방향을 X축, 종방향을 Y축으로 하는 X-Y 좌표계의 X 좌표 및 Y 좌표의 수치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사이즈 정보는, 입력란이 직사각형인 경우는, 횡방향 및 종방향의 길이로서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확대 표시 수단(112)은, 터치된 입력란을 확대 표시한 경우에 그 확대 표시된 입력란이 확대경(129)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이 판단에 있어서는, 예컨대, 확대경(129)의 직경과, 확대 표시 후의 입력란의 사이즈를 비교한다. 확대경(129)의 직경은, RAM(103)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한편, 입력란이 확대 표시된 경우의 사이즈는, 확대 표시 수단(112)이, 확대 전의 입력란의 장변의 길이(도 4의 예에서는 횡방향의 길이)에 미리 정해진 배율(예컨대 1.8배)을 곱함으로써 구해진다. 또한, 확대경(129)의 직경 및 입력란의 배율의 값은, 오퍼레이터가 터치 패널(104)로부터 입력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의 예에서는, 확대경(129)을 원형으로 하고 있지만, 확대경(129)의 형상은, 소프트웨어 키보드(125)를 표시하기 위한 스페이스만 확보되어 있으면, 사각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좋고, 또한, 크기도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확대경이 직사각형인 경우는, 입력란이 확대 표시된 후의 장변의 길이와, 그 장변과 동일 방향의 확대경의 변의 길이를 비교하여, 입력란이 직사각형의 확대경으로부터 비어져 나오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확대된 입력란의 장변보다 확대경(129)의 직경 쪽이 커서, 입력란이 확대경(129)으로부터 비어져 나올 우려가 없다고 확대 표시 수단(112)이 판단한 경우는, 입력란의 중심을 확대경 표시의 중심으로 한다(단계 S4). 또한, 입력란의 중심의 좌표는, 예컨대 RAM(103)에 미리 기억된 입력란의 4코너의 각 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구해진다.
한편, 확대된 입력란의 장변보다 확대경(129)의 직경 쪽이 작아서, 입력란이 확대경(129)으로부터 비어져 나올 우려가 있다고 확대 표시 수단(112)이 판단한 경우는, 입력란의 커서 위치를 확대경(129)의 중심으로 설정한다(단계 S5). 또한, 입력란의 커서 위치는, 입력 수단(113)에 의해 인식되어 있다.
단계 S4 또는 단계 S5 후, 확대 표시 수단(112)은, 단계 S4 또는 단계 S5에 있어서 설정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의 화상도 포함시킨 확대경의 화상을 취득한다. 이 화상에는, 커서가 표시된다(단계 S6).
그리고, 확대 표시 수단(112)은, 단계 S6에서 취득한 화상을 미리 정해진 배율로 확대 처리한 확대 화상을 형성하고, 그 화상 정보를, 도 4에 나타낸 확대경(129)으로서 터치 패널(104)에 표시한다(단계 S7). 이때, 확대 표시 수단(112)은, 터치된 입력란에 커서(128)를 표시한다. 또한, 단계 S6에 있어서 화상을 취득할 때에는, 확대경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입력란만의 화상, 입력란 및 그에 대응하는 입력 항목의 화상, 복수의 입력란을 포함하는 화상, 복수의 입력란과 복수의 입력 항목을 포함하는 화상 등, 여러 가지 화상을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이러한 바리에이션 중에서 어떤 화상을 선택할지에 대한 정보는, 미리 RAM(103) 등에 기억시켜 두어도 좋고, 오퍼레이터가 터치 패널(104)로부터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단계 S7에서는, 단계 S6에서 취득한 화상, 즉, 입력란만을 확대한 화상, 입력란 및 그에 대응하는 입력 항목을 확대한 화상, 복수의 입력란을 확대한 화상, 복수의 입력란과 복수의 입력 항목을 확대한 화상 중에서 선택된 화상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확대 표시 수단(112)은, 도 4의 확대경(129)과 같이, 확대경(129) 중에 복수의 입력란이 표시되도록 확대 영역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확대 표시에 의해 인접하는 입력란이 가려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미 확대경(129)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란(127) 이외가 터치된 경우는, 확대경(129)을 화면 상으로부터 없애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2). 한편, 입력란(127) 이외가 터치될 때까지는, 확대경(129)이 표시된 상태가 유지된다.
확대경(129)을 움직일 필요가 생긴 경우는, 확대 표시 수단(112)은,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확대경을, 일단 없애는 일없이,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a)에 나타내는 표시 화면(130)에서는, 「Work size(ch1)」에 대응하는 입력란(131)에의 데이터의 입력은 종료되어 있고, 「Work size(ch2)」에 대응하는 입력란(132)에 대한 데이터의 입력도 종료되어 커서(136)가 입력란(132)의 마지막에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다음에 「Work thickness」에 대응하는 입력란(133)에 값을 입력할 때에는, 확대경(135)을 하방으로 어긋나게 하고 나서,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한, 「Work thickness」의 하방의 「Tape thickness」에 대응하는 입력란에 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도, 그 입력란이 표시되어 있지 않아, 도 6의 (a)의 확대경(135)에서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없기 때문에, 확대경을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입력란의 번호 및 위치는, RAM(103) 등에 미리 기억되어 있어, 확대경(129)의 하부가 터치되면, 확대 표시 수단(112)은, 다음 번호의 입력란을 중심으로 하는 확대경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표시 처리는, 도 5의 흐름도의 단계 S3∼S7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오퍼레이터가 확대경(129)의 하부, 예컨대 도 6의 (a)의 확대경(135)에 있어서의 입력란(132)의 하방의 임의의 위치를 터치하면, 확대경의 중심이 입력란 1개분만큼 이동하여, 도 6의 (b)의 표시 화면(1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Work thickness」에 대응하는 입력란(133)을 중심으로 하여 확대경(145)이 표시된다. 커서(144)도, 입력란(133)으로 이동한다. 또한, 확대경이 이동하면, 입력란(134)도 확대경(145)에 표시되어, 입력란(134)도 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는, 오퍼레이터가 확대경(129)의 상부를 터치하면, 확대 표시 수단(112)은, 확대경(129)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확대 표시 수단(112)은, 하나 위의 위치의 입력란을 중심으로 하는 확대경을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확대 표시 수단(112)은, 확대경을 화면으로부터 없애는 일없이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높고, 입력하여야 하는 난을 잃어 버리는 일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터치 패널 장치를 절삭 장치에 탑재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다른 가공 장치에 탑재할 수도 있다. 그 경우는, 화면 표시의 입력 항목이 변경된다.
100: 터치 패널 장치
101: CPU 102: ROM 103: RAM 104: 터치 패널
105: HDD 106: I/O 107: 버스
111: 표시 수단 112: 확대 표시 수단 113: 입력 수단
1: 절삭 장치
2: 절삭 이송 수단
20: 볼 나사 21: 가이드 레일 22: 모터 23: 회전 수단
24: 이동 베이스
3a, 3b: 절삭 수단
30: 절삭 블레이드 31: 촬상 수단 32: 절삭수 노즐
4: 인덱스 이송 수단
40: 볼 나사 41: 가이드 레일 42: 모터 43: 이동 베이스
5: 절입 이송 수단
50: 볼 나사 51: 가이드 레일 52: 모터 53: 승강 베이스
6: 클램프부
7: 척 테이블
W: 웨이퍼 T: 다이싱 테이프 F: 프레임
120: 입력 화면
121: 「Device」 에어리어 122: 「Cut setting」 123: 「Auto Setup」 에어리어
124: 「Auto down」 에어리어 125: 소프트웨어 키보드 에어리어
126: 항목명 127: 입력란 128: 커서 129: 확대경
130: 표시 화면 131∼134: 입력란 135: 확대경 136: 커서
140: 표시 화면 144: 커서

Claims (3)

  1. 가공 장치에 구비된 터치 패널 장치로서,
    복수의 입력란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복수의 입력란 중 오퍼레이터가 데이터의 입력을 소망하여 접촉한 입력란을 확대 표시하는 확대 표시 수단과,
    확대 표시된 입력란으로부터 가공 조건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구비한 터치 패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가공 장치는 절삭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복수의 입력란은 절삭 장치를 기동한다고 표시되며, 디바이스 에어리어(area)와, 컷트 셋팅 에어리어와, 오토 셋업 에어리어와, 오토 다운 에어리어와, 소프트웨어 키보드 에어리어를 포함하는 것인 터치 패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에어리어, 상기 컷트 셋팅 에어리어, 상기 오토 셋업 에어리어, 상기 오토 다운 에어리어는, 각각 복수의 항목명과 그 항목명에 대응하는 복수의 입력란을 포함하고,
    오퍼레이터가 선택된 입력란에 터치하면 그 입력란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확대경이 표시되는 것인 터치 패널 장치.
KR1020160065551A 2015-06-16 2016-05-27 터치 패널 장치 KR201601484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20917A JP6518141B2 (ja) 2015-06-16 2015-06-16 タッチパネル装置
JPJP-P-2015-120917 2015-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448A true KR20160148448A (ko) 2016-12-26

Family

ID=57467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551A KR20160148448A (ko) 2015-06-16 2016-05-27 터치 패널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85493B2 (ko)
JP (1) JP6518141B2 (ko)
KR (1) KR20160148448A (ko)
CN (1) CN106257393B (ko)
DE (1) DE102016210207A1 (ko)
MY (1) MY177236A (ko)
SG (1) SG10201604206XA (ko)
TW (1) TWI7164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56880B2 (en) * 2013-10-28 2019-10-29 Fuji Corporation Processing machine and processing machine line
JP6594359B2 (ja) 2017-01-31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44900B2 (ja) * 2017-02-17 2021-03-17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装置及び入力方法
JP7110637B2 (ja) * 2018-03-19 2022-08-02 株式会社リコー 表示入力装置、画像形成装置、画面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65108B2 (ja) * 2018-06-05 2023-10-19 株式会社ディスコ 処理装置
US11061383B1 (en) * 2020-02-14 2021-07-13 Dmg Mori Co., Ltd. Display control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7544A (ja) 1998-12-22 2000-07-04 Seiko Epson Corp 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5888A1 (en) * 2003-02-11 2004-08-12 Padgitt David Gary Method for displaying the contents of a collection of media objects
US7328411B2 (en) * 2004-03-19 2008-02-05 Lexmark International, Inc. Scrollbar enhancement for browsing data
CN101356493A (zh) * 2006-09-06 2009-01-28 苹果公司 用于照片管理的便携式电子装置
US8689132B2 (en) * 2007-01-07 2014-04-01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electronic documents and lists
KR20080078291A (ko) * 2007-02-23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라우저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단말기
KR20080068491A (ko) * 2007-01-19 2008-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JP4849412B2 (ja) * 2007-05-15 2012-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入力表示装置
JP5118445B2 (ja) * 2007-11-09 2013-01-16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装置
US8797364B2 (en) * 2009-10-23 2014-08-05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6116167B2 (ja) * 2012-09-14 2017-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920680A1 (en) * 2013-03-14 2015-09-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Virtual magnifying lens touch graphic effect for mobile devices
JP6058575B2 (ja) * 2014-03-19 2017-01-11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ウォータージェット切断方法及びウォータージェット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7544A (ja) 1998-12-22 2000-07-04 Seiko Epson Corp データ入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6210207A1 (de) 2016-12-22
SG10201604206XA (en) 2017-01-27
US10185493B2 (en) 2019-01-22
CN106257393A (zh) 2016-12-28
JP6518141B2 (ja) 2019-05-22
US20160370905A1 (en) 2016-12-22
JP2017004454A (ja) 2017-01-05
TWI716404B (zh) 2021-01-21
CN106257393B (zh) 2021-01-12
MY177236A (en) 2020-09-09
TW201706828A (zh)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8448A (ko) 터치 패널 장치
TWI404153B (zh) 晶圓之加工結果管理方法
US10222780B2 (en) Control device for machine tool
JP6604715B2 (ja) レーザー加工装置
JP2016157400A (ja) タッチパネルで工作機械の軸制御を行う数値制御装置
JP2013191618A (ja) 加工装置
JP2009206206A (ja) 加工装置
US10048844B2 (en) Operating method for inspecting equipment
JP6108806B2 (ja) 加工装置
JP6566719B2 (ja) 加工装置
JP6433178B2 (ja) 加工装置
JP2017091441A (ja) 操作タッチパネル装置
JP7321038B2 (ja) 加工装置
CN109213415B (zh) 终端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JP7450350B2 (ja) 切削装置
US11768478B2 (en) Processing apparatus
JP6844900B2 (ja) 加工装置及び入力方法
JP2009187417A (ja) 作業時間記録装置、作業時間記録方法及び作業時間記録プログラム
JP7408235B2 (ja) 加工装置
JP2014024150A (ja) 加工装置及び加工装置の取扱説明書
KR20220068912A (ko) 가공 장치
JP2022037382A (ja) 加工装置
JP2022116492A (ja) 加工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23068917A (ja) 加工装置
JP2023087942A (ja) 支持部材配置決定装置、支持部材配置決定方法、支持部材配置決定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