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900A - 공구 이송대 - Google Patents

공구 이송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900A
KR20160129900A KR1020167027679A KR20167027679A KR20160129900A KR 20160129900 A KR20160129900 A KR 20160129900A KR 1020167027679 A KR1020167027679 A KR 1020167027679A KR 20167027679 A KR20167027679 A KR 20167027679A KR 20160129900 A KR20160129900 A KR 20160129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guide
conveying
groove
gripp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커스 마이어
Original Assignee
푀스트알피네 기서라이 린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푀스트알피네 기서라이 린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푀스트알피네 기서라이 린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29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9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21D28/325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using cam or wedge mechanisms, e.g. aerial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4Particular arrangements for handling and holding in place complete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4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wed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 B30B15/026Mounting of dies, platens or press 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베드(2) 및 이송 몸체(3)를 구비하는, 공구 이송대에 관한 것으로, 이송 몸체(3)는 제한된 범위까지 이송 베드(2) 상에 가이드 방식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홈(5)이 이송 몸체(3) 내에 또는 이송 베드(2) 내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응하는 수단으로서, 이송 몸체(3) 또는 이송 베드(2)의 가이드 몸체(15)가, 홈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방식으로 지지되며; 그리고 가이드 몸체(15)는, 레일형 또는 슬랫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자체의 폭의 일부분이 이송 몸체(3) 또는 이송 베드(2) 내의 홈(31) 내로 단단하게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공구 이송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구 이송대{TOOL SLIDE}
본 발명은 공구 이송대에 관한 것이다.
웨지 구동기로서 또한 지칭되는 공구 이송대들이, 공지된다.
웨지 구동기는, 금속 가공에서의, 예를 들어 성형 프레스들에서의, 공구들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웨지 구동기들은 일반적으로, 펀칭 절차 또는 다른 변형 절차를 실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들 또는 공구들에 연결된다. 통상적인 웨지 구동기는, 이송 요소 및 이송 가이드 요소를 포함하는, 상측 가이드 부분, 및 구동 요소를 포함하는 하측 가이드 부분을, 또는 그 반대를, 구비한다. 이송 가이드 요소 측면에서, 웨지 구동기들은, 대략 수직의 압착력을 가하는 구동기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구동 요소 측면에서, 공구 또는 프레스 내의 웨지 구동기들은, 기계가공될 작업물이 직접적으로 또는 상응하는 지지 디바이스에 의해 그 위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DE 26 40 318 B2는, 성형 프로세스를 위해 수직 압착력을 자체에 비스듬히 작용하는 힘으로 변환하기 위한, 웨지 구동기를 개시한 바 있다. 이러한 웨지 구동기는, 대응하는 작업 프레스의 수직력이 자체에 작용하는, 구동 웨지 및, 힘을 수평 방향으로 전달하는, 이송 웨지(slide wedge)로 구성된다. 구동 웨지 및 이송 웨지는, 라운드형 협력 구역 위에서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롤러 위에서 이동한다.
DE 24 39 217 A1은, 접촉 표면들이 지붕 형상 또는 홈통 형상(trough-shaped)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지붕 또는 홈통이 웨지의 전체 압력 흡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프리즘형 웨지 가이드부를 갖는 웨지 프레스를 개시한 바 있다.
DE 23 29 324 B2는, 프리즘형 웨지 가이드부를 갖는 웨지의 원치 않는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갖는 웨지 프레스를 개시한 바 있다.
통상적으로, 차량 차체 산업에서 사용되는, 매달린 웨지 구동기들은, 구동기, 이송대, 및 이송 리세스(slide recess)로 구성된다. 이송 리세스의 상측부에는, 이송 리세스를 하방으로 누르는, 수직력이 작용하게 된다. 구동기는, 압력이 이송 리세스 상에 가해질 때, 이송 리세스 내에 고정되는 이송대가 수직의 작용 방향과 상이한 임의의 원하는 방향으로 눌려지도록, 공구 내에 확고하게 고정된다.
매달린 웨지 구동기들은 빈번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설계에서, 이송대는, 이송대가 이송 리세스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자체의 가이드부 내에 매달리게 된다. 구동기는, 하측 부분 내에 단단하게 지지되며 그리고 이송대의 작용 방향을 사전 한정한다. 프레스의 하향 스트로크에 의해, 감압된 이송대는, 구동기 상에서 멈추게 되며 그리고 이송 리세스의 연속 운동에 의한 작용 방향으로 구동기 표면을 가로질러 미끄럼 이동한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되는 웨지 구동기들은, 빈번하게 사용되는 이송대들이 단지 짧은 수명을 가지며 그리고 그들의 구조적 설계 때문에 극심한 마모에 종속되는, 단점들을 갖는다. 이들은 따라서, 짧은 수명 이후에 이들이 마모 현상을 경험하기 때문에 수직 압착력의 정밀한 변환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고, 이는 금속 가공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허용 공차를 야기함에 따라, 빈번하게 교체되어 야만 한다.
DE 197 53 549 C2는, 연속적인 산업 생산 프로세스에서 생산될 수 있으며 그리고 긴 수명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는, 웨지 구동기를 개시한 바 있다. 이송 리세스 내에서 이송대를 가이드하기 위해, 경사진 스트립들(inclined strips)이 제공되며, 경사진 스트립들은, 청동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경사진 스트립들 내에 장착되는 흑연으로 이루어진 이송 요소들을 구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수직 압착력을 변환하기 위한 이러한 웨지 구동기는, 구동기, 이송대 및 이송 리세스를 구비하고; 구동기는 프리즘형 가이드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구동기 상에서 이송대의 이동 경로가 이송 리세스 상에서 이송대의 이동 경로보다 더 짧고, 여기서 이동 경로들의 서로에 대한 비율이 적어도 1 내지 1.5이며 그리고 이동 경로들 사이의 각도(α)가 50° 내지 70° 이다. 이러한 종류의 이송대에서, 구동 요소는 프리즘형 표면을 구비하며, 이때 프리즘형 표면의 측면들은 외측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웨지 구동기는, 이송 요소 및 구동 요소의 각각의 개별적인 홈 내의, 2개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강제 복원 브라켓들(forced retrieval brackets)을 갖는다. 이송 요소를 자체의 출발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요소가 파손되면, 이때 이러한 브라켓들은, 스프링 파손이 일어날 때, 이송 요소의 복원을 보장하며, 따라서 나사 결합 스탬프 요소들(screwed-on stamp elements)이 뜯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송 요소는, 경사진 스트립들 및 구속 나사들에 의해 이송 가이드 요소에 체결되며, 그리고 이송 가이드 요소에 대해 경사진 스트립들을 따라 이동하게 될 수 있다.
US 5,101,705 A는, 이송 요소가 경사진 스트립들 상에 매달리거나 또는 이송 가이드 요소에 경사진 스트립들에 의해 체결되는, 다른 웨지 구동기를 개시한 바 있다. 이 경우에, 서로에 대해 의지하는 플레이트들 및 체결을 위해 요구되는 요소들이, 이송 요소와 이송 가이드 요소 사이의 필요한 틈새를 보장하기 위해 정밀하게 연마되어야 한다. 이송 가이드 요소 및 이송 요소가 경사진 스트립들 및 나사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이러한 웨지 구동기에서 그리고 또한 다른 공지의 웨지 구동기들에서, 모든 인장력이 나사들 내로 도입되어, 그 결과 특히 나사들의 및 나사들을 둘러싸는 재료들의 팽창이 일어나는 순간에, 서로에 대해 이동하고 있는 이송 가이드 요소들 이송 요소들의 틈새에 부정적인 영향이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이러한 구역에서의 마모가 이러한 구역에서의 공구의 뒤틀림으로 인해 특히 증가하기 때문에, 후속적으로 감소된 수명을 초래한다. 또한, 이송 요소가 가열될 때, 이러한 관점에서 경사진 스트립들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이송 요소가 횡방향으로 팽창할 수 없는 불리함이 있다는 것이 나타난다. 이는 마찬가지로 공구 상의 증가된 마모를 초래한다.
EP 1 197 319 A1은, 이송 요소 및 이송 가이드 요소가 안내 브라켓들에 의해 함께 유지되는, 웨지 구동기를 개시한 바 있다. 결과적으로, 이 웨지 구동기는, 요구되는 틈새를 보장하기 위해 정밀하게 연마될 이러한 2개의 요소를 연결하는, 부가적인 경사진 스트립들 또는 다른 요소들에 대한 필요가 없다. 부가적으로, 웨지 구동기 및 공구가 가열될 때에도, 생산 허용 공차뿐만 아니라 동반하는 재료의 팽창 또한 가이드 브라켓에 의한 연결에 의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틈새에 관한 부정적인 영향이 없다. 웨지 구동기의 수명은 따라서, 마찬가지로 더 이상 부정적으로 영향의 받거나 단축되지 않는다. 연마의 제거에도 불구하고, 높은 정도의 주행 정밀도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가이드 브라켓들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이송 가이드 요소 내에 맞물리게 되며, 따라서 가이드 브라켓들은, 형상 결합 맞물림에 의해 이송 요소를 이송 가이드 요소에 매달리게 한다.
이 결과, 한편으로 마모에 민감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나사들이 가열될 때 틈새에 상기한 부정적인 영향을 야기할 수 있는. 나사들에 의한 이송 가이드 요소에 대한 체결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DE 10 2007 045 703 A1은, 이송 리세스를 가지며, 비둘기 꼬리형 또는 프리즘형 가이드 디바이스가 이송 요소와 이송 요소 리세스 사이에 제공되는 것인, 웨지 구동기를 개시한 바 있다. 이러한 문헌은, 작용 스트로크로서 지칭되는 프레스 공구의 대략 수직의 접근 운동에 의해, 자체의 후방 위치에 놓이는 이송 요소가, 강성 돌출 구동 요소 상에 멈추게 되며, 그리고 강성 돌출 구동 요소에 의해 지지되고, 작용 방향으로 지향되는 자체의 경사진 위치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이동 가능한 이송 요소는 따라서, 단지 프레스 공구에 의해서만 구동되며 그리고, 스탬핑 또는 성형 작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방으로 또는 외측을 향해 움직이게 된다. 프레스 공구가 자체의 하측 흡입 지점 너머로 이동한 그리고 자체의 2개의 부분이 다시 서로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하는, 후방 스트로크에서, 일반적으로 이동 가능한 이송 요소는, 대응하도록 설계되는 스프링 탄성 요소에 의해, 자체의 출발 위치로 다시 미끄럼 이동하며, 그 후 프로세스는 다시 시작될 수 있다. 이송 요소의 복원을 위해 요구되는 인출력이 일반적으로 실제 작용력 및 이송 요소의 중량의 2% 내지 10% 사이라고, 진술된다. 이 경우에, 압착력의 크기에 대한 결정적인 인자들은, 이송 표면들로서 지칭되는, 압력을 전달하는 표면들의 치수들, 이송 요소 리세스 내의 선형 가이드부들의 개별적인 경사들, 구동 요소의 경사, 영역들과 경사들의 상호 작용, 및 이송 요소 자체의 설계이어야 한다. 전달될 압력은 일반적으로, 100 kN 미만 내지 최대 수만 kN 사이이다.
또한, 이송 요소 리세스 내의 선형 가이드부는 이동 가능한 이송 요소를 유격 없이 가이드 해야 하며 그리고 그렇게 함으로써, 강력한 압착력을 지탱해야만 하고 긴 수명을 달성한다고, 진술된다. 0.02 mm의 허용 공차가, 이동 가능한 이송 요소의 주행 정밀도에 대한 허용 공차로서, 설정된다.
또한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러한 웨지 구동기들 또는 이송대들은, 결과적으로 구동기, 이송 몸체 및 이송 베드로 구성되는, 이송 조립체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송 몸체는, 구속 요소들에 의해 이송 베드에 체결되며, 더불어 이송 몸체는, 구동기와 이송 베드 사이에 미끄럼 방식으로 매달리게 된다. 이송 베드 및 구동기 상의 대응하는 경사진 표면들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되며, 따라서 이송 몸체는, 이송 베드 및 구동기가 합쳐질 때, 2개의 부분 사이에서 밀려 나가게 된다. 이상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매우 강력한 힘들이 이 경우에 발생하기 때문에, 대응하는 가이드부가 제공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공지의 유형의 가이드부는, 커버 스트립형 가이드부, 가이드 브라켓형 가이드부, 가이드 기둥형 가이드부, 및 비둘기 꼬리형 가이드부(DE 10 2007 045 703 A1)이다.
이러한 가이드부들의 압도적인 다수는, 이송대의 외표면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 힘의 전달 및 안내가 최적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한편으로, 이송 표면들에 의한 메인 이송 가이드는, 따라서, 힘의 적은 전달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내측을 향해 편향되어야만 한다. 부가적으로, 이는 흔히, 더 많은 공간을 요구하며 그리고 변형들이 작동력들(작용력 및 인출력)의 도입으로 인해 관찰될 수 있다.
공지의 비둘기 꼬리형 가이드를 구비하는 경우, 유격이 빈번하게 재가공되어야만 하며, 이는 이송대가 완전히 분해될 것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불리하다. 나아가, 모든 다른 이송대들에서, 설치 및 제거가 매우 복잡하며 그리고 노동 집약형이다. 다른 한편, 이는, 단지, 전체 이송 몸체에서 후방을 향해서만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대형 이송대에서, 이송 몸체의 큰 중량 및 극도로 제한된 설치 공간으로 인해, 큰 질량체들이 크레인의 도움으로 좁은 가이드부 내로 이동되어야만 한다. 브라켓 이송대들을 구비하는 경우, 측부로의 공간이 설치 및 제거를 위해 제거되어야만 하며, 따라서, 특정의 적용들에 대해, 이송대의 최적 위치가 달성될, 신뢰할 수 있는 보증이 존재하지 않는다.
DE 10 2012 014 546 A1은, 웨지 구동기로서; 웨지 구동기는, 이송 요소 리세스, 이동 가능한 이송 캐리지(movable slide carriage), 및 구동 요소를 구비하며 그리고 이송 캐리지와 구동 요소 사이에 이송 표면들을 갖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이송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이송 캐리지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리세스 사이에 유격 없는 상태(play-free state)를 달성하기 위해, 작용 공구의 설치 도중에 압착력을 조절가능하게 시뮬레이션하는, 인장 디바이스가 제공되는 것인, 웨지 구동기를 개시한 바 있다. 이 문헌에 따르면, 높은 허용 공차 정밀도가, 즉, 한편으로 이송 캐리지 및 이송 요소 리세스를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구동기를 포함하는, 이송대의 상부 부분이 공구 내에 장착될 때, 달성되어야만 하며; 이는, 작업 공구가 이송대 상에 장착될 때, 즉 구멍 펀치와 같은 작업 공구가 이송대 상에 장착될 때, 이송대들이 시뮬레이션된 압착력에 의해 함께 유지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공지의 공구 이송대들에서, 설치 및 제거가 매우 복잡하며 그리고 시간을 소모한다는 점이 불리하다. 다른 한편, 이러한 종류의 이송대들은, 단지, 전체 이송 몸체에서 후방을 향해서만 설치될 수 있으며; 특히 대형 이송대들에서, 이는, 이송 몸체의 중량으로 인해, 매우 큰 질량체들이 크레인의 도움으로 좁은 가이드부 내로 이동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어렵다. 부가적으로, 대부분의 통상적인 공구 이송대들은, 즉 브라켓 가이드부를 갖는 이송대들은, 설치 및 제거를 위한 상당한 양의 공간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효율을 개선하는 가운데, 전체 크기 및 힘 전달에 관한 최적의 특성들을 갖는 이송 가이드부를 창출하는 것이다.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들을 구비하는 공구 이송대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수정들이 종속항들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대가, 이송 베드, 이송 몸체, 및 구동기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이송 몸체는 이송 베드 상에 지지되고; 이송 몸체를 이송 베드 상에 또는 내에 지지하기 위해, 종방향 연장 홈이 제공되며 그리고 가이드 몸체(15)가 이러한 종방향 연장 홈 내로 연장되고; 가이드 몸체(15)는, 가이드 몸체를 홈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적당한 수단에 의해 미끄럼 방식으로 홈 내에 유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경우의 가이드 몸체는, 이송 몸체와 하나의 부품이 아니며, 대신에 이송 몸체 내의 홈 내에 놓이고; 단부 상의 홈 개구에, 이러한 홈은 바람직하게, 가이드 몸체가 홈 내에 축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을 갖는다. 횡단 방향에서, 가이드 몸체(15)는 바람직하게, 이송 몸체 내에 지지되는 종방향 에지를 따라, 홈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없도록 하는, 두꺼운 부분 또는 확대 부분을, 가이드 몸체가 구비하는 방식으로, 홈 내에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가이드 몸체는 또한, 홈 내부에서 종방향 에지를 따라 두꺼워지거나 확대되며, 따라서 홈 내에 제공되는 적당한 수단이 마찬가지로, 가이드 몸체가 횡방향으로 홈 밖으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송 몸체 및 이송 베드는, 단지 서로에 대해 축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자연스럽게, 반대의 지지가 또한 가능하며 그리고, 부가적으로 매달린 이송대에 대해, 또한 자연스럽게 이러한 배치 형태의 기립 이송대를 구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자연스럽게, 예를 들어 어댑터 또는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홈 내부의 차단 요소들을 또한 구비할 수 있는) 홈의 단부에서 차단 요소를 제거함에 의해, 가이드 몸체는, 이송 몸체 내에서 자체를 지지하는 홈 밖으로 축 방향으로 빠져 나오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몸체 및 이송 베드를 서로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그리고 또한, 예를 들어 마모의 경우에, 이에 의해 가이드 몸체를 교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 몸체와 이송 베드 사이의 이송 가이드부는, 프리즘형으로, 특히 비둘기 꼬리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프리즘형 또는 비둘기 꼬리형 실시예에 부가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유격(guide play)이 경사진 표면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더불어 별도의 이송 요소가 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이러한 가이드부는, 구동기, 이송 몸체, 및 이송 베드로 구성되며, 더불어 이송 몸체가 이송 베드에 미끄럼 방식으로 매달리게 되는, 공지의 이송 조립체에서 사용된다. 이송 쌍들(Sliding pairs)이, 구동기와 이송 몸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프리즘형 또는 비둘기 꼬리형 실시예와 더불어, 이송 베드는, 예를 들어, 비둘기 꼬리형 텅(tongue)을 수용하기 위한 비둘기 꼬리형 리세스를 구비하며, 더불어 이송 요소가 비둘기 꼬리형 텅의 외측면 상에 그리고 실제 이송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이송 요소는, 경사진 표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진 표면은, 이 경우에, L-자형 이송 요소의 홈측 짧은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홈은, 대응하는 표면을, 특히 대응하는 경사진 표면을 갖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조절을 위한 경사진 표면은 또한, 이송 요소의 내측 표면 상에 위치하게 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비둘기 꼬리형 텅 상에 작용할 수 있고, 비둘기 꼬리형 텅은 이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응하는 경사진 표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송 요소들 양자 모두 또는 단지 하나의 이송 요소만이, 경사진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송 요소를 경사진 표면의 방향을 따라 (일반적으로 세장형 이송 스트립들의 종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킴에 의해, 이송 베드와 이송 몸체 사이의 가이드 유격이 변화하게 된다.
이 경우에 L-자형 이송 요소는 또한, 서로에 대해 L-자형으로 배열되는, 개별적인 이송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는 설치 노력의 양을 증가시킨다.
특히, 이송 요소들 양자 모두 경사진 표면을 갖는 경우에, 이송 몸체에 대한 이송 베드의 조절이 또한, 반대 방향으로 이송 스트립들을 미끄럼 이동시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프리즘은, 이송 몸체와 하나의 부품이 아니지만, 대신에 이송 몸체 위로 돌출하는 프리즘형 가이드 몸체의 형태로,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이송 몸체 내에 지지된다.
이 결과, 프리즘형 가이드부는, 이송 몸체가 이때 이송 베드로부터 위로 쉽게 들어 올려지는 것을 또는 그 반대를 허용하도록, 후방부에서 미끄럼 이동하게 될 수 있고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가이드 몸체는 심지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몸체로부터의 프리즘형 가이드 몸체의 분리가, 재료가 대체로 그들의 용도에 더 잘 어울리게 사용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재료가 미끄럼 특성을 나타내도록, 재료에 관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기초하게 되는 예에 의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 이송대의 절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송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부분 절개도이며;
도 3은, 이송 스트립들의 조절을 동반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대의 이송 베드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조절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5는 스트립들의 다른 조절 상태에 관해 도 3에 따른 이송 베드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조절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부분적으로 빠져 나온 가이드 프리즘과 함께, 이송 베드 및 이송 몸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8은, 가이드 프리즘이 분해됨과 더불어, 이송 베드로부터 위로 들어 올려진 이송 몸체를 갖는, 도 7에 따른 이송 조립체를 도시하며;
도 9는, 틈새 치수를 갖는 가운데, 바닥의 구동기 및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프리즘형 가이드부와 함께, 올려진 상태의 공구 이송대를 도시하고;
도 10은, 생산 유발 편향(production-induced offset)이 틈새 치수 및 구동기의 중심도(centering)에 의해 조절되는, 합체된 상태의 도 7에 따른 공구 이송대를 도시하며;
도 11은, 조절 가능한 스트립들에 의한 가이드 유격의 조절 이후에 고정된 틈새 치수를 갖는, 합체된 상태의 도 7에 따른 공구 이송대를 도시하고;
도 12는, 플러그 파지부(bayonet catch)를 갖는 파지 요소를 구비하는, 공구 이송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3은 도 12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따른 실시예를 도 13에 따른 A-A 선을 따르는 종방향 단면도로 도시하며;
도 15는, 도 12에 따른 공구 이송대에 대한 분해도이고;
도 16은, 분해된 때의 도 15에 따른 공구 이송대를 도시하며;
도 17은 파지 요소의 평면도이고;
도 18은 파지 요소의 측면도이며;
도 19는 파지 요소의 다른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7에 관한 평면도에서 파지 요소를 도시하며;
도 21은 스러스트 요소를 갖는 파지 요소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종래기술에 따른 커버 스트립형 가이드부를 갖는 이송대를 도시하며;
도 23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둥형 가이드부를 갖는 이송대를 도시하고;
도 24는, 종래기술에 따른 브라켓형 가이드부를 갖는 이송대를 도시하며;
도 25는, 종래기술에 따른 비둘기 꼬리형 가이드부를 갖는 이송대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 이송대(1)가, 이송 베드(2), 이송 몸체(3), 및 구동기(4)를 구비한다.
도시된 경우에, 이송 몸체(3)는, 이송 베드(2) 상에 매달리도록 배열되며; 이송 몸체(3)는 구동기(4)로부터 위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구동기(4)는 일반적으로 제1 공구 절반부(도시된 경우에서 아래쪽의 것) 상에 배치되는 가운데, 이송 몸체(3)는, (위쪽의) 상응하는 제2 공구 절반부(미도시) 상의 이송 베드(2) 위에 배치된다.
이송 베드(2)는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세장형 직사각형 홈(5)을 구비하고; 세장형 직사각형 홈(5) 다음에, 나사 구멍들(6)이 대응하는 나사들(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홈 및 홈의 경계를 한정하는 인접한 표면들(7)은, 표면들(7) 상에 놓이며 하나의 L-자형 다리(9)에 의해 홈 내로 연장되는, L-자형 이송 스트립들(8)을 위한 지탱 표면을 형성한다. L-자형 이송 스트립들(8)은, 나사 구멍들(6) 내로의 삽입을 위한 장착 나사들의 나사 체결을 위한, 장착 구멍들(10)을 구비한다. L-자형 이송 스트립들(8)은, 홈 중심을 향해 지향되는 경사진 표면들(11)을 구비하며, 그로 인해 경사진 표면들이 경사진 표면들 사이에 프리즘형 중간 공간의 경계를 한정한다. 이송 몸체(3)를 향해, L-자형 이송 스트립들은, 평면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도시된 x축(13)에 대해 수직으로 지향되는, 이송 표면들(12)을 구비한다. 표면들(12)을 향해, 이송 몸체(3)는, L-자형 이송 스트립들(8)을 위한 미끄럼 대응부로서 형성되는, 대응하는 이송 표면들 또는 이송 스트립들(14)을 구비한다. 수직 축에 대칭으로, 가이드 몸체(15)가 이송 스트립들(14) 사이에서 상방으로 그리고 홈(5) 내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몸체(15)는, 세장형 프리즘형 표면들(16)을 갖는 가이드 프리즘을 구비하며, 세장형 프리즘형 표면들에 의해, 가이드 몸체는 L-자형 이송 스트립들의 표면들(11)에 대해 접촉하게 된다.
가이드 몸체(15)는 이 경우에, 홈(5) 내로 돌출하는 구역에서 프리즘 형태로 밖으로 확대되며 그리고 이송 몸체(3) 내에서 T-자형 구역(30)에 의해 지지되는, 세장형, 레일형 또는 스터드형 구성요소로서 형성된다. 이송 몸체(3)는 이를 위한 T-자형 홈(31)을 구비하며 그리고, 이송 표면들(14)에 인접하게, 표면 밖으로 개방되며 그리고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지향되는 방향에서 T-자형 구역(34) 내로 확대되는, 좁은 구역(32)을 구비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몸체(15)는, 홈 내의 넓은 구역에서 횡단막대형 구역으로 대응하는 T-자형 형태로 확대되는, 좁은 스터드형 구역(35)을 구비한다.
도시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수정에서, 이송 몸체(3) 내에서의 가이드 몸체(15)의 확고한 가이드 및 유지를 제공하기 위해, 대략 T-자형 실시예를 사용하는 대신에, 예를 들어, 가이드 몸체의 종방향 구간에 대한 단면의 둥근 형상 확대부, 삼각형 확대부 또는 프리즘형 확대부, 및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좁은 구역으로부터 넓은 구역 밖으로 확대되는 임의의 다른 형상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대응하게, 홈(5) 내에 위치하게 되는 가이드 프리즘(15a) 또한, 확대가, 이송 베드 내에서의 이송 몸체의 매달린 배열을 보증할, 보장을 제공하는 한, 프리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 몸체는, X축(13)에 대해 경사지게 되며 그리고 구동기(4)의 프리즘형 가이드 표면들(18)에 대응하는, 구동기를 향해 지향되는, 다른 이송 스트립들(17)을 구비한다. 스트립들(17)은, 이들이 이송 몸체에 연결되기 때문에, 공구의 상측 부분 및 하측 부분이 합체될 때, 표면들(18)과 작동적인 연결 상태에 놓이게 되는, 승강 가능한 이송 스트립들을 구성한다.
L-자형 이송 스트립들(8)의 가이드 표면들 및 스트립들(14)의 대응하는 표면들(12)이 x축(13)에 대해 수직이며 그리고 가이드 프리즘(15)에 대해 또한 수직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는 소위 평면형 가이드부로 지칭된다.
이송 몸체와 구동기 사이의 경사진 대응하는 이송 요소들(17, 18)은, 소위 프리즘형 가이드부를 형성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도 2 참조, 동일한 부분들이 동일한 참조 부호들에 의해 지시됨), 공구 이송대(1)는 마찬가지로, 이송 베드(2) 및 이송 몸체(3)로 구성된다(구동기(4)는 미도시).
도시된 경우에, 이송 몸체(3)는 이송 베드(2) 상에 매달린 형태로 위치하게 되며; 이송 몸체(3)는 구동기(4)로부터 위로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이송 베드(2)는 대략 상자 형상이며 그리고 세장형 홈(5)을 구비하고; 홈(5)은, 수렴 형태로 연장되며 그리고 결과적으로 비둘기 꼬리형 홈 단면을 형성하는, 홈 측벽들(19)을 구비한다. 홈(5)의 경계를 한정하는 표면들(7)은 (원문 그대로) 서로로부터 수렴하며 그리고, 홈 측벽들(19)에 대략 수직으로 그리고 홈 바닥(5a)의 개별적인 표면들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표면들(7)은, 좁고 짧은 L-자형 다리(9)에 의해 홈 내로 연장되는, 자체에 접촉하는, L-자형 이송 스트립들(8)을 구비한다. L-자형 이송 스트립들은, 평면형이며 그리고 수직축에 대해 경사진 형태로 발산하도록 형성되는, 이송 몸체(3)를 향해 지향되는 이송 표면들(12) 및 표면들(7)을 향해 지향되는 접촉 표면들(11)을 구비한다. 이러한 표면들(12)은, 이송 몸체(3)의 대응하는 이송 표면들(14) 상에서 미끄럼 이동한다.
이송 몸체(3)의 이송 표면들(14)은 결과적으로 지붕 형상의 형태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이송 몸체(3)의 가이드 프리즘(15)은, 중간에서 수직축에 대해 대칭의 형태로 중앙에 위치하게 되도록, 배치되며; 그리고 프리즘형 표면들(16)은, 이송 스트립들(8)의 짧은 L-자형 다리들(9)에 대해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표면들(16, 14)은 이 경우에, 표면들(11, 12)과 같이 동일한 각도를 둘러싸며 그리고, 도시된 예에서 대략 서로에 대해 수직이다.
도 2의 부분 절개도에서, 홈(31) 내의 가이드 몸체(15)는, 나사(37)를 동반하는 커버 디스크(36)에 의해 축 방향으로 빠져 나오는 것으로부터 고정되고; 나사(37)는 이송 몸체 내로 나사 결합되며 그리고 디스크(36)는 홈(31)의 부분들 및 그 내부에 지지되는 가이드 몸체(15)를 덮는다. 이러한 고정은 또한,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도 제공된다.
가이드 몸체(15)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37)를 동반하는 커버 디스크(36) 대신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형상 결합 고정 요소(40)가 제공된다. 파지 요소(40)는 납작한 실린더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2개의 대향하는 플러그 텅(41: bayonet tongue) 및 제2 평면 상의 돌출 플랜지(42: overhanging flange)를 갖는, 플러그형 파지부(bayonet-like catch)를 구비한다. 플러그 텅(41)은 이 경우에 특히, 파지 요소(40)의 만곡된 둘레벽들(44) 상에 위치하게 되며, 반면에 돌출 플랜지(42)는 자유단에 형성되며 그리고 파지 요소(40)의 납작한 벽(45) 너머로 돌출한다.
플러그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텅들(41)을 갖도록 구비되는 파지부는, 홈(46) 내에 맞물리며 그리고 그에 따라 상이한 접촉 표면들에서 자체의 뒤에 위치하게 되는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텅, 가이드 부재)을 고정한다.
예를 들어, 텅은, 일단 파지 요소의 중심에 그리고 일단 돌출 플랜지에서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형 파지부는, 특정 각도(예를 들어, 90°)까지 파지 요소(40)를 회전시킴에 의해, 제1 레벨 상의 플러그형 기하 형상이 해방되며, 즉 텅들(41)이 홈(46) 밖으로 나오게 되며, 그리고 파지 요소가 이어서 장착 위치로부터 화살표 방향(43)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파지 요소(40)는, 특히 돌출 플랜지(42)의 반경 방향 둘레벽(49) 내의 내공(48) 내에 위치하게 되는, 가요성 스러스트 요소(47)에 의해 장착 위치에 자기 잠금 고정되는 것으로 형성된다. 장착 위치에서, 가요성 스러스트 요소(47)는,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킴에 의해 스러스트 요소가 단지 파지 요소(40) 만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대향하는 노치 또는 내공(50) 내에 맞물린다.
요구 조건들에 의존하여, 가이드 몸체(15)는, 이송 몸체(3)의 통상적인 주물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단조 강철들이, 얘를 들어 예측되는 힘에 의존하여,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자연스럽게, 특히 높은 마모 저항을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물리적 기상 증착(PVD) 방법을 사용하여) 단단한 코팅을 갖는 가이드 몸체를 제공하는 것이 또는 경화된 것으로서 가이드 몸체를 구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특히 이송 베드와 이송 몸체 사이에서, 공구 이송대의 정확한 조립 및 안내를 달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송 베드 내에서의 이송 몸체의 안내가, 조절 가능해야만 하며, 또는, 더욱 정확하게, 이송 스트립들(8) 및 프리즘(15)이 서로에 대해 조절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스트립들(8) 내의 장착 구멍들(10)이, 스트립들이 장착 나사들(20)을 따라 그리고 그에 따라 조절 방향(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길쭉한 구멍들로서 형성된다.
방향(21)을 따르는 이송 스트립들(8)의 이동은, 이송 스트립들(8) 또는 L-자형 다리들(9)의 그리고 가이드 프리즘(15)의 표면들 사이에 어쩌면 존재하는 틈새들 또는 공간들에 관해, 아직 아무것도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종방향 구간 또는 방향들(21)에 관해, L-자형 이송 스트립들(8)의 L-자형 다리들(9)의 접촉 표면들(11)이 경사지게 된다. 이는, 이들이 그들의 종방향 구간에 걸쳐 두께에 관해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사진 표면은, 예를 들어, 1 내지 5도의 기울기를 갖는다.
L-자형 이송 스트립들(8)의 L-자형 다리들(9) 상의 경사진 접촉 표면들(11)은, 가이드 프리즘(15)의 대응하는 표면들(16)을 향해 지향하게 된다.
경사진 표면(11) 때문에, 따라서 방향(21)을 따르는 미끄럼 이동이, L-자형 다리들(9)과 표면들(16)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도록 또는 제거되도록 야기한다. 이 경우, 이송 스트립들(8) 양자 모두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 또는 단지 하나의 이송 스트립(8)이 이동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유격을 조절하기 위해, 웨지형 또는 웨지 형상 경사진 표면이, L-자형 다리들(9)의 내측 표면들(22), 즉 홈 측벽들(19)을 향해 지향하게 되는 표면들(22),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적어도 표면들(22)의 접촉부 근처에서, 홈 측벽들(19)은, 대응하는 웨지형 또는 웨지 형상 경사진 표면들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향(21)을 따르는 미끄럼 이동이, 이송 스트립들(8)이 가이드 프리즘(15)을 향해 또는 가이드 프리즘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야기한다. 이는 동시에, 이송 스트립들이, 횡단 방향으로, 즉 방향(23)으로, 서로에 대해 더 가까워지거나 또는 더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야기하기 때문에, 길쭉한 구멍들(10)은 이 경우, 이들이 또한 나사들(20) 둘레에서 방향(23)으로의 부유식 지지(floating support)를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된다.
이송 스트립들(8)을 가이드 프리즘(15)에 맞추기 위해 그리고 또한 그에 따라 이송 베드 내에서 이송 몸체의 정확한 위치를 맞추기 위해, 예를 들어, 길쭉한 구멍들(10)(도 5) 내에서 나사들(20)의 정지 위치로부터의 조절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 조절(도 5 및 도 6)에서, 예를 들어, 가이드 프리즘(15)의 홈 중심(24)과 이송 스트립들(8)의 대응하는 벽 사이에 틈새(25)가 존재한다.
이때 L-자형 이송 스트립들(8)이, 길쭉한 구멍들과 나사들이 예를 들어 중앙 위치에 위치하게 되도록, 방향(21)으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면(도 3), 이때 틈새(25)는 경사진 표면들(11)에 의해 감소하게 된다(도 4).
이는 또한, 이송대의 상측 부분 내의 이송 몸체를 동반하는 이송 베드와 하측 부분 내의 구동기 사이의 생산 유발 편향을 조절하기 위해, 평면형 가이드부(도 1)를 갖는 공구 이송대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도 9 내지 도 11).
이를 위해, 이송 베드는 이송 몸체와 함께, 이송 스트립들(8)과 가이드 프리즘(15) 사이에 유격을 갖도록 공구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L-자형 다리들(9)의 그리고 가이드 프리즘(15)의 대응하는 표면들 사이의 틈새 치수들은 각각, 경사진 표면의 기울기, 제조 허용 공차, 및 이송 부분들의 서로에 대한 위치에 의존하는, 제1 틈새 치수를 갖는 개별적인 틈새를 구비한다. 가이드 스트립들(17)이 구동기(4) 상에 배치된 이후에, 한쪽의 이송 몸체와 함께하는 이송 베드와 다른 쪽의 구동기 사이의 생산 유발 편향이 보상된다. 이송대는 스스로 중심을 잡는다. 이러한 중심에 놓인 상태에서, L-자형 이송 스트립들(8)은, 최종적으로 접촉 상태에서 가이드 유격 및 틈새가 제거되도록, 여전히 추가로 미끄럼 이동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심지어 프레스의 합체 상태에서도, 극도로 엄격한 허용 공차가 이동 가능한 이송 스트립들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송 베드(2) 및 이송 몸체(3)를 구비하는, 공구 이송대에 관한 것으로, 이송 몸체(3)는 제한된 범위까지 이송 베드(2) 상에 미끄럼 이동 방식으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홈(5)이 이송 몸체(3) 내에 또는 이송 베드(2) 내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응하는 수단으로서, 이송 몸체(3) 또는 이송 베드(2)의 가이드 몸체(15)가, 홈 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미끄럼 이동 방식으로 지지되며; 그리고 가이드 몸체(15)는, 레일형 또는 슬랫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자체의 폭의 일부분이 이송 몸체(3) 또는 이송 베드(2) 내의 홈(31) 내로 단단하게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인, 공구 이송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이드 몸체(15)가 이송 몸체 내에 지지되는 종방향 에지를 따라 두꺼운 부분 또는 확대된 부분(34)을 갖는 것인, 공구 이송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좁은 스터드형 구역(35)으로부터 종방향 에지(26)를 향한 방향에서 횡단막대형 구역(36)으로 T-자형 형태로 확대되는 가이드 몸체(15)를 갖는 것인, 공구 이송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이드 몸체가 그 내부에 고정되는 홈(31)의 축 방향 개구의 영역에서, 가이드 몸체(15)가 차단 수단(36, 37)에 의해 축 방향 미끄럼 이동에 대해 고정되는 것인, 공구 이송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가이드 몸체(15)가, 세장형의 레일형 또는 스터드형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며; 가이드 몸체(15)가, 홈(5) 내로 돌출하는 구역 내로 프리즘 형태로 확대되도록 형성되고; 홈(5) 내에 지지되는 프리즘형 가이드부(15a)가 제공되며; 그리고 가이드 몸체(15)가, 이송 스트립들(8)의 대응하는 표면들(11)에 대항하는 프리즘형 표면들(16)에 의해 홈(5) 내에 지지되는 것인, 앞선 항들 중 하나에 따른 공구 이송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후방 또는 전방을 향해 미끄럼 이동함에 의해 제거되도록 그리고 삽입되도록 하는 가이드 몸체의 능력이 가이드 몸체가 쉽게 설치되고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는 점이 유리하다.
1: 공구 이송대 2: 이송 베드
3: 이송 몸체 4: 구동기
5: 세장형의 직사각형 홈 6: 나사 구멍
7: 경계 한정 표면 8: L-자형 이송 스트립
9: L-자형 다리 10: 장착 구멍
11: 접촉 표면 12: 이송 표면
13: x축 14: 이송 스트립
15: 가이드 몸체 15a: 가이드 프리즘
16: 세장형의 프리즘형 표면 17: 이송 스트립
18: 이송 표면 19: 홈 측벽
20: 장착 나사 21: 방향
22: 접촉 표면 23: 방향
24: 중심선 25: 틈새
26: 종방향 에지 30: T-자형 구역
31: T-자형 홈 32: 좁은 구역
34: T-자형 구역 35: 스터드형 구역
36: 커버 디스크 37: 나사
40: 고정 요소/파지 요소 41: 플러그 텅
42: 플랜지 43: 화살표 방향
44: 둘레벽 45: 자유단
46: 홈 47: 스러스트 요소
48: 내공 49: 둘레벽
50: 노치/내공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이송 베드(2) 및 이송 몸체(3)를 구비하는 공구 이송대로서, 상기 이송 몸체(3)는 제한된 방식으로 상기 이송 베드(2) 상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홈(5)이 상기 이송 몸체(3) 내에 또는 상기 이송 베드(2) 내에 제공되며, 그리고, 상응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이송 몸체(3) 또는 상기 이송 베드(2)의 가이드 몸체(15)가, 홈 내에서 축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인, 공구 이송대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15)는, 레일형 또는 슬랫형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자체의 폭의 일부분이 상기 이송 몸체(3) 또는 상기 이송 베드(2) 내의 홈(31) 내로 단단하게 삽입되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이송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몸체 내에 지지되는 종방향 에지를 따라, 상기 가이드 몸체(15)는 두꺼운 부분 또는 확대된 부분(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이송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15)는, 좁은 스터드형 구역(35)으로부터 종방향 에지(26)를 향한 방향에서 횡단막대형 구역(36)으로 T-자형 형태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이송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몸체가 그 내부에 고정되는 홈(31)의 축 방향 개구의 영역에서, 상기 가이드 몸체(15)는 차단 수단(36, 37)에 의해 축 방향 미끄럼 이동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이송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15)는, 세장형의 레일형 또는 스터드형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몸체(15)는, 상기 홈(5) 내로 돌출하는 구역 내로 프리즘 형태로 확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홈(5) 내에 지지되는, 프리즘형 가이드부(15a)가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가이드 몸체(15)는, 이송 스트립들(8)의 대응하는 표면들(11)에 대항하는 프리즘형 표면들(16)에 의해 상기 홈(5) 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이송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몸체를 고정하기 위해, 형상 결합 파지 요소(40)가 제공되고; 상기 파지 요소(40)는, 플러그형 파지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이송 몸체 (3) 상의 대응하는 플러그형 파지 수단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이송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요소(40)는, 상기 이송 몸체(3) 내의 개별적인 홈(46)과 각각 협력하도록 형성되는, 2개의 대향하는 플러그 텅(4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이송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요소(40)는 납작한 실린더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플러그 텅들은 상기 파지 요소(40)의 만곡된 둘레벽들(44) 상에 위치하게 되고, 반면에 돌출 플랜지(42)가 상기 파지 요소(40)의 자유단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파지 요소(40)의 납작한 벽(45) 너머로 돌출하며; 그리고 상기 파지 요소(40)는, 상이한 접촉 표면들에서, 자체의 뒤에 위치하게 되는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텅, 가이드 부재)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이송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파지부는, 특정 각도까지 상기 파지 요소(40)를 회전시킴에 의해, 제1 레벨 상의 플러그형 기하 형상이 해방되도록, 즉 상기 텅들(41)이 상기 홈(46) 밖으로 나오게 되도록, 그리고 상기 파지 요소(40)가 이어서 장착 위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이송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요소(40)는, 상기 돌출 플랜지(42)의 반경 방향 둘레벽(49) 내의 내공(48) 내에 위치하게 되는, 가요성 스러스트 요소(47)에 의해 장착 위치에 자기 잠금 고정 형태로 배열되며, 그리고 장착 위치에서, 상기 가요성 스러스트 요소(47)는, 단지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킴에 의해 상기 파지 요소(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대향하는 노치 또는 내공(5) 내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이송대.
KR1020167027679A 2014-03-06 2015-03-05 공구 이송대 KR201601299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02993.3A DE102014102993B4 (de) 2014-03-06 2014-03-06 Werkzeugschieber
DE102014102993.3 2014-03-06
PCT/EP2015/054662 WO2015132355A1 (de) 2014-03-06 2015-03-05 Werkzeugschie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900A true KR20160129900A (ko) 2016-11-09

Family

ID=5267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679A KR20160129900A (ko) 2014-03-06 2015-03-05 공구 이송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014889A1 (ko)
EP (1) EP3113892B1 (ko)
JP (1) JP2017508626A (ko)
KR (1) KR20160129900A (ko)
CN (1) CN106457351A (ko)
DE (1) DE102014102993B4 (ko)
WO (1) WO20151323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6966U1 (de) 2015-12-21 2016-01-28 Harald Weigelt Keiltrieb
DE202017100989U1 (de) 2017-02-22 2017-04-21 Fibro Gmbh Keiltrieb mit optimierter Führung
DE102018111366B4 (de) 2018-05-14 2024-03-07 F I B R O Gmbh Keiltrieb mit justierbarer Führungsvorrichtung
DE102022108067B3 (de) 2022-04-05 2023-04-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Werkzeugschieber und Verfahren zum Montieren und/oder Demontiere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2920A (en) * 1973-06-08 1976-11-23 Langenstein & Schemann Aktiengesellschaft Wedge press
DE2329324B2 (de) * 1973-06-08 1975-11-27 Langenstein & Schemann Ag, 8630 Coburg Keilpresse mit einer Einrichtung zur Verhinderung unerwünschter Bewegungen des Keiles
DE2439217A1 (de) * 1974-08-16 1976-03-04 Langenstein & Schemann Ag Keipresse mit einer keilfuehrung
DE2640318A1 (de) * 1976-08-09 1978-03-16 Weingarten Ag Maschf Keiltrieb zur umleitung einer vertikalen presskraft in eine fuer den umformvorgang hierzu winklig wirkende kraft
EP0484588B1 (en) * 1990-11-09 1995-03-22 UMIX Co., Ltd. Die including slide cam
DE19753549C2 (de) * 1997-12-03 2000-02-17 Harald Weigelt Keiltrieb
JP3757635B2 (ja) * 1998-08-26 2006-03-2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カム装置
EP1197319B2 (de) * 2000-10-13 2013-02-13 voestalpine Giesserei Linz GmbH Keiltrieb
DE10340509A1 (de) * 2003-09-03 2005-03-3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eiltriebwerkzeug mit zueinander verstellbaren Elementen zum schneidlosen Formen eines Blechwerkstückes in einer Presse
US6990844B1 (en) * 2004-07-27 2006-01-31 Anchor Lamina America, Inc. Narrow aerial and die-mount cams
US7191635B2 (en) * 2004-11-18 2007-03-20 Danly Iem, Llc Press mounted cam
DE102005029140B4 (de) * 2005-06-23 2008-04-03 Elke Weigelt Werkzeugbefestigungseinrichtung für einen Keiltrieb
DE102007045703A1 (de) * 2007-09-24 2009-04-09 Harald Weigelt Keiltrieb mit Schieberaufnahme
US8430385B2 (en) * 2007-09-24 2013-04-30 Harald Weigelt Wedge drive with slider receiving means
DE102008061420B9 (de) * 2008-12-10 2011-02-10 voestalpine Gießerei Linz GmbH Keiltrieb
JP2011140048A (ja) * 2010-01-08 2011-07-21 Sankyo Oilless Industry Inc カム装置
JP5210365B2 (ja) * 2010-09-17 2013-06-12 株式会社ユアビジネス プレス成形用金型
KR101139272B1 (ko) * 2011-02-16 2012-04-26 주식회사 루보 캠슬라이드의 편심구동방지수단이 구비된 에어리얼 캠 유니트
DE102012014546A1 (de) * 2012-07-21 2014-01-23 Strack Norma Gmbh & Co. Kg Keil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14889A1 (en) 2017-01-19
WO2015132355A1 (de) 2015-09-11
EP3113892B1 (de) 2020-05-06
CN106457351A (zh) 2017-02-22
EP3113892A1 (de) 2017-01-11
DE102014102993A1 (de) 2015-10-22
DE102014102993B4 (de) 2016-05-12
JP2017508626A (ja)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3952B2 (en) Pushing out a plate-shaped workpiece part that has been cut free
KR20160129900A (ko) 공구 이송대
KR20160129901A (ko) 공구 이송대
KR20160131062A (ko) 공구 이송대
EP2853316B1 (en) Upper mould and lower mould temporary joint method
US7114364B2 (en) Cam slider
KR102142201B1 (ko) 웨지 드라이브
CN109862972B (zh) 用于压弯机的可调节压模
JP2006102887A (ja) ワーククランプ装置
JP6159223B2 (ja) 切断装置
EP2151285B1 (en) Cam device
JP4905730B2 (ja) 等荷重フローティングクランプブロックを用いた挟持装置
EP1884298B1 (en) Device for locking a tool on a machine tool, particularly a plate bending press
US20130307205A1 (en) Clamping/releasing flange
KR101567149B1 (ko) 턴브로치 장치
JPS62292214A (ja) 棒鋼圧延機のガイド移動装置
JP5838916B2 (ja) 切断装置及び切断装置における上刃ホルダの取外し方法
CN116652041A (zh) 浮动定位组件和包括该浮动定位组件的钣金模具
CN112074355B (zh) 具有摩擦减小装置的下部工具
CN109202481B (zh) 一种高效加工燕尾槽的夹具
KR100796306B1 (ko) 지지대와 다이 어셈블리의 슬라이드 본체 사이에 롤러를포함하는 단조기
KR20170002240A (ko) 브이홈 가공기의 기준면 셋팅장치 및 그 셋팅방법
KR20190073194A (ko) 소재지지장치 및, 소재이동장치
KR20090105163A (ko)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모재 절곡장치
JP2007144465A (ja) プレス金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