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201B1 - 웨지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웨지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201B1
KR102142201B1 KR1020187019448A KR20187019448A KR102142201B1 KR 102142201 B1 KR102142201 B1 KR 102142201B1 KR 1020187019448 A KR1020187019448 A KR 1020187019448A KR 20187019448 A KR20187019448 A KR 20187019448A KR 102142201 B1 KR102142201 B1 KR 102142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late
transverse direction
sliding
central
wedge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617A (ko
Inventor
하랄트 바이겔트
Original Assignee
하랄트 바이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랄트 바이겔트 filed Critical 하랄트 바이겔트
Publication of KR2018009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32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 B21D28/325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other articles of special shape using cam or wedge mechanisms, e.g. aerial c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4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wed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 Toys (AREA)
  • Mounting, Exchange, And Manufacturing Of Dies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가압력을 수평 선형 작업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웨지 드라이브(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웨지 드라이브(1)은 슬라이더 부재(2), 구동 부재(4) 및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receptacle)(3)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2)는 상기 구동 부재(4)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 사이에 수직하게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2)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은 슬라이딩 판 대형(5, 6, 7)이 위치되는 두 개의 안내 부재(2, 3)로서 설계되며, 상기 슬라이딩 판 대형(sliding plate formation)은 슬라이딩 방향(X)으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2)의 선형 안내를 위해 설계된다.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두 개의 안내 부재(2, 3) 중 제1 안내 부재의 상기 두 개의 안내 부재(2, 3) 중 제2 안내 부재를 가리키는 그 측부 상에 제공되는 중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판 대형(5, 6, 7)은 상기 두 개의 안내 부재(2, 3) 중 제2 안내 부재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방향(X)에 대해 수직한 횡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부재(7)는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 사이에 횡 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2 안내 부재(2, 3)는 횡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는 두 개의 단차부를 갖고, 상기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상기 횡 방향(Y)으로 작용하는 형태 맞춤부(form fit)를 갖는 두 개의 단차부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맞추어진다.

Description

웨지 드라이브
본 발명은 특히 100 kN 이상의 높은 수직 가압력(vertical press force)을 제1항의 전제부(preamble)에 따른 수평 선형 작업 운동(working movement)으로 변환하기 위한 웨지 드라이브(wedge driv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웨지 드라이브는 주로 매우 높은 힘의 소비(expenditure of force)와 최대 정밀도로 형성되어야만 하는 물질을 이용한 형성 공정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웨지 드라이브의 주요 적용 분야는 자동차 산업이다. 이 경우, 웨지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차량의 몸체를 제조하기 위해, 특히 예를 들어, 판금 부품(sheet metal part)을 트리밍(trimming), 펀칭(punching) 또는 변형(deforming)시키는 것과 같은, 거대한 판금 부품의 공정을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판금 부품의 공정을 위해, 1000 kN을 쉽게 초과할 수 있는 매우 높은 작업 압력의 작업 운동이 실행되어야만 한다. 동시에, 이러한 작업 운동은 매우 높은 정밀도로 수행되어야만 하며, 이에 의해서만 여기서 제조된 차량 몸체 부품의 요구되는 맞춤(fit) 정확도가 보장될 수 있다.
일반적인 웨지 드라이브는 차량 몸체 부품의 제조를 위한 상기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데 매우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웨지 드라이브는 여기서 가압 공구(pressing tool)로서 사용된다. 가압 공구는 웨지 드라이에 수직 방향으로 매우 높은 가압력을 가하는 프레스(press)를 포함한다. 이 목적으로 사용되는 형성 공정 및 웨지 드라이브에 의존하여, 프레스가 웨지 드라이브에 가하는 수직 가압력은, 적어도 100 kN이며, 특히 적어도 500 kN 이며, 특히 1000 및 50000 kN 사이이다. 웨지 드라이브는 웨지 드라이브가 이러한 가압력에 저항할 수 있고, 웨지 드라이브에 수직 가압력이 가해지는 수직 가압 운동을 수평 선형 작업 운동으로 전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작업 운동으로, 웨지 드라이브의 특정한 특성에 의존하여 웨지 드라이브에 가해진 수직 가압력보다 일정 비율만큼 더 낮은 작업력(working force)이 작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웨지 드라이브의 필수적인 특징(essential feature)인 웨지 드라이브만이 형성 공정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작업 운동이 효과적으로 선형이라는 점이다.
가압 공구에서의 이에 대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일반적인 웨지 드라이브는 구동 부재, 슬라이더 부재 및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은 프레스의 수직 운동에 의해 작용되는 수직 가압력을 흡수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은 프레스가 수직 가압 운동을 가하는 프레스의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 상의 고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구동 부재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로부터 수직 거리에 고정된 위치, 특히 그 목적을 위해 제공된 가압 공구의 베이스 부재 상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슬라이더 부재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과 구동 부재 사이에 수직으로 위치되고 또한 선형적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에 고정된다. 작동 환경에서, 그것은 가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지탱 힘(bearing force)에 대해 구동 부재 상에 지탱되고, 역시 구동 부재 상에서 선형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구동 안내의 선형 방향과 안내 장치(guiding device)의 선형 방향의 각도가 의도적으로(purposeflly) 선택될 수 있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과 슬라이더 부재 사이의 안내 장치뿐만 아니라, 선형 구동 안내가 구동 부재와 슬라이더 부재 사이에도 제공된다. 구동 안내는 구동 슬라이딩 방향(drive sliding direction)으로 구동 부재를 따라 슬라이더 부재의 선형 안내 방향(linear guiding direction)을 보장하도록 설계되며, 안내 장치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의 선형 안내 방향을 보장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구동 슬라이딩 방향 및 슬라이딩 방향은 서로에 대해 또한 수직 방향에 대해 각도를 형성하며 또한 이들 모두는 수직 방향 또한 위치해 있는 평면에 위치된다. 구동 슬라이딩 방향이 슬라이딩 방향과 형성하는 각도는 일반적으로 30도 내지 120도 사이의 범위에 있다. 만약, 이러한 일반적인 웨지 드라이브가 의도된 이러한 목적을 위해 가압 공구에 삽입되고, 또한 프레스가 가압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구동 부재는 여전히 이동 불가능함에 반해, 이동 가능한 프레스 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은 구동 부재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은 안내 장치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에 연결되고 구동 안내에 의해 구동 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더 부재의 수평 선형 작업 운동을 유발하고 또한 이에 따라 선형 수평 작업 운동을 수행한다. 수직 가압 운동의 수평 작업 운동으로의 변환은 슬라이딩 방향 및 구동 슬라이딩 방향이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 >0도의 각도를 형성한다는 사실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 방향 또는 구동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 방향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방향과 구동 슬라이딩 방향 사이에서도 상이한 각도를 갖는 웨지 드라이브가 선행 기술에 의해 공지되었다. 웨지 드라이브의 이 각도는 성분(component)의 경사 각도(inclination angle) 또는 가공될 차량 몸체 부품과 관련하여 선택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동차 산업은 5도의 증가에 동의한다. 37도 이하의 하측 경사 각도를 갖는 플렌지가 트리밍되어야만 할 경우, 예를 들어, 50 내지 55도의 작업 운동의 방향을 갖는 웨지 드라이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으로의 슬라이더 부재의 슬라이딩 경로의 길이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이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경로 길이를 따라 이동할 때 이 각도의 설정에 의해 결정된다. 게다가, 수직 가압력으로부터 수평 작업력으로의 힘의 전달의 범위는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에 의해, 수평 방향(작업 운동의 방향)이 반드시 필연적으로 수직 방향에 대해 90도인 것은 아니나 수직 방향에 대해 40도 내지 130도 사이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웨지 드라이브의 구현의 주요 문제점은 이러한 방식으로 높은 가압력이 웨지 드라이브 상에 가해질 때 가능한 한 정확한 보장될 수 있는 선형 작업 운동이 슬라이더 부재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 사이 또는 슬라이더 부재와 구동 부재 사이의 안내의 설계로 구성된다. 특히 작업 운동을 수행하는 슬라이더 부재가 작업 운동을 수행하는 수평 방향에 대해 수직성분 성분과 함께 로딩될 때 작업 운동이 가능한 한 정확하게 선형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 부재에 고정된 형성 다이(forming die)가 형성 공정 중에 성분의 만곡된 표면에 부딪히는 것처럼, 이러한 로드는 웨지 드라이브가 성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때 매우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선형 작업 운동에 대해 가로지르게 발생하는 힘이 발생하고, 예를 들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비스듬하게 베벨링 또는 작업 단계가 수행되는 동안, 이 힘은 작업 운동의 선형성이 손상되지 않고 웨지 드라이브에 의해 이상적으로 흡수될 수 있다.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과 슬라이더 부재 사이의 안내 장치는 작업 운동을 가능한 한 정확한 선형을 따르게 하기 위해 특히 중요하다.
충분히 정확한 안내와 동시에 충분한 하중 지지 용량(load-bearing capacity)을 보장하기 위한 방식으로 안내 장치를 설계하기 위한 다양한 가능성이 선행 기술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안내 장치의 구현을 위한 일반적인 웨지 드라이브의 적용의 기본 원칙은 항상,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이 슬라이더 부재 상에 수직 힘을 가할 때 슬라이드 판 대형 내의 슬라이더 부재의 중심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안내 장치가 슬라이드 판 대형(sliding plate formation)과 함께 구현되고, 슬라이드 판은 모따기(chamfer)되고 서로를 향해 지향(orient)도록 구성된다. 것에 있다. 선행 기술에서, 이러한 안내 장치는 그것이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한, 프리즘 형상 또는 열장이음(dovetail)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웨지 드라이브는 분명히 그것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분히 충족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웨지 드라이브의 제조는 안내 장치의 모따기된 안내 표면(chamfered guiding surface)으로 인해 매우 복잡하고 비용-집약적이다. 그러나 웨지 드라이브 제조에 따른 소비(expenditure) 및 비용(cost)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응하게 모따기된 안내 표면을 포기하는 것은 웨지 드라이브의 정밀도 및 하중 지지 용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이러한 웨지 드라이브는 더 이상 성분의 정밀한 제조에 사용될 수 없으므로 실현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선행 기술은 그 목적을 위해 필수적인 매우 높은 소비와 매우 높은 비용 없이 정밀하게 작동 가능한 웨지 드라이브가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는 기본 원칙을 결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목표로 하는 기술적인 목적은 가능한 한 쉽고 비용-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동시에 선의 방식으로 상술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웨지 드라이브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대한 본 발명의 해결책으로서, 본 발명은 제1항의 특징을 갖는 웨지 드라이브를 제안한다. 웨지 드라이브는 슬라이더 부재, 구동 부재 및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슬라이더 부재는 구동 부재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된다. 슬라이더 부재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의 선형 안내를 위한 안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슬라이드 판 대형이 위치되는 두 개의 안내 부재로서 설계된다. 안내 장치는 슬라이드 판 대형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방향은 수직 방향에 대해 10도 및 80도 사이의, 특히 20도 및 70도 사이의 각도를 가진다. 안내 장치는 두 개의 안내 부재 중 제1 안내 부재의 제2 안내 부재를 가리키는 그 측부 상에 제공되는 중앙 부재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판 형성은 측부 슬라이딩 판으로서 설계되고 두 개의 안내 부재 중 제2 안내 부재에 고정되는 적어도 두 개의 슬라이딩 판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중앙 부재는 슬라이더 부재에 고정될 수 있고 측부 슬라이딩 판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부재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에 고정될 수 있고 측부 슬라이딩 판은 슬라이더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측부 슬라이딩 판은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 수직하고 특히 수직 방향에 대해 역시 수직한 횡 방향(cross direction)으로 이격되고, 중앙 부재는 측부 슬라이딩 판 사이에 횡 방향으로 위치된다. 따라서, 측부 슬라이딩 판은 중앙 부재를 감싸며(rim), 이것은 횡 방향으로 보여진다. 바람직하게는 측부 슬라이딩 판은 제2 안내 부재와 별도로 제조되는 슬라이딩 판으로서 설계되고 제2 안내 부재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나사가 고정을 수행할 수 있다. 측부 슬라이딩 판은 높은 마찰력이 수반되지 않고 제1 안내 부재가 그것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예를 들어, 측부 슬라이딩 판은 동(bronze)으로 제조된 슬라이딩 판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중앙 부재는, 예를 들어, 제1 안내 부재와 일체로 맞추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주조 부품과 같은, 예를 들어 제1 안내 부재를 갖는 단일-부품 성분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중앙 부재 및 제1 안내 부재가 단일-부품 구성으로서 일체로 제조되는 방식으로 중앙 부재가 구현됨에 따라, 웨지 드라이브의 제조는 특히 단순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중앙 부재는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제1 안내 부재 상에 고정되는 성분인, 제1 안내 부재와 별개 성분(separate component)로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부재는 중앙 슬라이딩 판으로서 설계되어, 제2 안내 부재가 가능한 한 작은 마찰로 중앙 슬라이딩 판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슬라이딩 판은 동으로 제조된 슬라이딩 판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중앙 슬라이딩 판으로서의 중앙 부재의 설계에 의해, 두 개의 안내 부재 사이에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로의 슬라이더 부재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동안의 마찰은 특히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제2 안내 부재는 황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단차부(step)를 가지며,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 각각은 횡 방향으로 작용하는 형태 맞춤부(form fit)를 갖는 두 개의 단차부 중 하나에 각각 인접하게 맞추어진다. 따라서 두 개의 단차부 모두는 횡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대향된다. 따라서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 중 제1 측부 슬라이딩 판은 두 개의 단차부 중 제1 단차부의 표면 섹션 상에 그 표면의 섹션이 지탱되고,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 중 제2 측부 슬라이딩 판은 두 개의 단차부 중 제2 단차부의 표면 섹션 상에 그 표면의 섹션이 지탱된다. 만약 힘이 제1 단차부를 향해 횡 방향으로 제1 측부 슬라이딩 판에 작용되면, 형태 맞춤부는 제1 측부 슬라이딩 판이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만약 힘이 제2 단차부를 향해 횡 방향으로 제2 측부 슬라이딩 판에 작용되면, 형태 맞춤부는 제2 측부 슬라이딩 판이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 측부 슬라이딩 판과 제2 단차부 사이의 형태 맞춤부가 중앙 부재가 횡 방향을 따라 음의 방향(negative direction)으로 제2 슬라이딩 판에 힘을 가할 때 제2 측부 슬라이딩 판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안, 형태 맞춤부는 중앙 부재가 횡 방향을 따라 양의 방향(positive direction)으로 제1 측부 슬라이딩 판에 힘을 가할 때 제1 측부 슬라이딩 판이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한다. 형태 맞춤부는 제2 가이드 부재에 설계되는 단차부에 의해 각각 보장되고 특히 높이 차이가 각각 평면이고 슬라이딩 방향과 횡 방향으로 걸쳐지는(span across) 두 개의 표면 섹션 사이에 제공되며, 이 높이 차이는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고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하며 특히 슬라이딩 방향과 가로지르는 횡 방향(transverse cross direction)으로 걸쳐지는, 가로지르는 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평면 표면에 의해 구현된다. 따라서, 중앙 부재가 제1 안내 부재에 연결됨으로써 횡 방향을 따라 양의 방향뿐만 아니라 음의 방향의 두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에 대해서도 보호되고, 특히 이 안내 부재와 단일 부품(one-piece)으로서 설계된 동안, 제1 측부 슬라이딩 판과 제1 단차부 사이의 형태 맞춤부는 횡 방향을 따라 양의 방향에 단일 지향성(unidirectionally)으로 작동하며, 제2 측부 슬라이딩 판과 제2 단차부 사이의 형태 맞춤부는 횡 방향을 따라 음의 방향에 단일 지향성으로 작동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형태 맞춤부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to prevent from a movement with a form fit")란 항상 사용된 물질이 가능하게 할 때 운동이 회피되는 것을 항상 의미함을 주의하여야 한다. 더욱이, 형태 맞춤부는 형태 맞춤을 제공하기 위해 접촉하는 각 부재의 표면 또는 측부 슬라이딩 판 및 단차부의 표면 또는 표면 섹션의 레벨에서 발생하는 힘의 적용을 의미하며, 그렇지 않으면 각 부재가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한 회전 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부재가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각 부재는 형태 맞춤부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접촉한다는 것을, 여기서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자명한 사실(self-evident fact)로 인식함이 언급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형태 맞춤부는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한 회전 축에 대한 부재의 회전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 횡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 또는 모든 슬라이딩 판, 특히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 및/또는 중앙 부재로서 제공되는 중앙 슬라이딩 판은 한 개의 부품 성분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웨지 드라이브의 하중 지지 용량과 정밀도는 따라서 좀더 향상될 수 있고 제조 단가는 따라서 좀더 감소될 수 있다.
가압력에 의한 상당한 하중 하에서도 그 특성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는 따라서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갖고 슬라이더 부재의 정밀한 선형 작업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슬라이더 부재의 정밀한 선형 안내를 가능하게 한다. 특성의 상호 작용은 특히 중앙 부재가 제1 안내 부재 상에 두 개의 방향으로 안정한 제1 횡 방향으로 유지되고, 측부 슬라이딩 판이 그것의 형태 맞춤부에 의해 제2 안내 부재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동안 중앙 부재는 측부 슬라이딩 판 사이에 횡 방향으로 위치되고, 특히 측부 슬라이딩 판 상에 직접 지탱되며, 중앙 부재와 측부 슬라이딩 판은 바람직하게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는 사실에 기초한다. 따라서, 측부 슬라이딩 판은 중앙 부재를 위해 횡 방향으로 작동하며, 중앙 부재가 안전하게 안내되는 안내 프레임을 형성한다. 중앙 부재가 횡 방향으로 측부 슬라이딩 판에 의해 안전하게 안내되고 측부 슬라이딩 판은 제2 안내 부재 상에서 안전하게 안내되며 중앙 부재가 제1 안내 부재 상에서 안전하게 안내됨에 따라, 제1 안내 부재는 따라서 제2 안내 부재에 대해 안전하게 안내, 즉 슬라이더 부재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을 향하는 횡 방향으로 안전하게 안내된다. 횡 방향으로의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로의 슬라이더 부재의 운동은 따라서 최소한 가능한 한 멀리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 부재의 작업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수직 방향으로 횡 방향에 대해 프레스가 수직하게 가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는 따라서 그 특성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슬라이더 리셉터클에 대한 슬라이더 부재의 선형 수평 안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의 특성의 상호 작용은, 슬라이더 부재가 작업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슬라이더 부재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 사이에 횡 방향으로 존재하는, 매우 작은 간격, 특히 2/100 mm 미만의 간격만으로도 웨지 드라이브의 간단하고 매우 정밀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의 이러한 특성은 안내 장치를 위해 매우 적은 수의 성분이 사용될 수 있어 안내 장치가 횡 방향으로 안정적이라는 점에 의해 입증되며, 성분은 형태 맞춤부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 및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 상에 지지되며, 특히 슬라이딩 판 대형의 각 슬라이딩 판은 횡 방향으로 작동하는 형태 맞춤부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 또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 상에 직접 지지된다. 종래의 웨지 드라이브에서, 슬라이드 판 대형은 횡 방향으로 다른 슬라이딩 판 다음에 위치되는 많은 수의 슬라이딩 판을 갖는다. 슬라이딩 판의 제조 공정 동안, 제조 공차가 필연적으로 존재하므로 횡 방향으로 나란히 있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판의 배열은 제조 공차의 합에 기인하는 간격을 필연적으로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에 있어서, 제조 공차로 인한 간격은 횡 방향으로 작동하는 형태 맞춤부에 의해 측부 슬라이딩 판이 제2 안내 부재 상에 지지되고 중앙 부재가 측부 슬라이딩 판 사이에 횡 방향으로 위치됨에 따라 적어도 가능한 한 멀리 회피될 수 있고, 따라서, 웨지 드라이브를 장착할 때, 측부 슬라이딩 판 사이의 거리가 중앙 부재의 폭에 매우 정확하게 적용될 때까지 정확히 한 개의 슬라이딩 판을 의도적으로 연마(grinding)함으로써 횡 방향으로 측부 슬라이딩 판 사이의 거리가 중앙 부재의 폭에 따라 횡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앙 부재가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 모두에 직접 지탱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므로 측부 슬라이딩 판과 중앙 부재 사이에 추가 부재의 삽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추가적인 간격이 당연히 회피될 수 있다. 더욱이, 추가 부재의 생산을 위한 제조 단가가 따라서 회피될 수 있다. 안내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과 중앙 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중앙 부재 상에 제공되는, 복귀 스트로크 섹션(return stroke section)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안내 장치의 상기 각 부재는 특히 단일-부품 부재로서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공된 복귀 스트로크 섹션은 중앙 부재, 특히 중앙 부재로서 제공되는 중앙 슬라이딩 판과 단일 부품으로서 일체로 설계될 수 있다. 안내 장치의 슬라이딩 판 대형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과 중앙 부재로서 제공되는 중앙 슬라이딩 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이후에 측부 슬라이딩 판과 중앙 슬라이딩 판의 기하학적 수치의 특히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횡 방향으로의 간격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특히 오직 슬라이딩 판만이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로의 슬라이더 부재의 슬라이딩 안내를 위해 필요한 슬라이딩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안내 장치가 특히 슬라이딩 판 대형의 슬라이딩 판을 가질 수 있다. 중앙 슬라이딩 판이 제1 안내 부재와 함께 횡 방향을 따라 양 및 음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 맞춤부를 형성한다는 사실은, 중앙 슬라이딩 판이 중앙 부재로서 제공될 때, 웨지 드라이브의 상기 유리한 성질을 제공하는데 또한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양방향으로 작용하는 형태 맞춤부는 중앙 슬라이딩 판이 단일 부품으로 설계되어 제조 공차가 오로지 단일 성분의 제작에만 기인하게 됨으로써, 중앙 슬라이딩 판과 제1 안내 부재 사이의 간격이 특히 낮게 유지될 경우 제1 안내 부재와 중앙 슬라이딩 판 사이의 간격 없이 특히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 부재는 횡 방향으로 0,04 mm 미만의 간격으로, 특히 0,02 mm 미만의 간격으로, 특히 0,01 mm 미만의 간격으로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 상에 직접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횡 방향으로 특히 낮은 간격은 제1 안내 부재와 제2 안내 부재 사이에 보장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에 대해 횡 방향으로 0,04 mm 미만의 간격을 갖고, 특히 슬라이더 길이 내부에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에 대해 0,02 mm 미만의 간격을 갖는, 슬라이더 부재가 안내되어 슬라이딩 방향으로 슬라이딩 부재 리셉터클을 따라 슬라이딩 길이를 따라 슬라이드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과 슬라이더 부재 사이의 안내 장치의 이 특별한 무-간격 구현은 오로지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의 설계에 의해서만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의 도움으로 매우 정밀한 작업 운동을 수행하는 능력과 관련된 상기 장점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안내 장치는 제1 안내 부재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딩 길이를 따라 제2 안내 부재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슬라이드 길이는 횡 방향으로 슬라이더 부재의 연장의 적어도 0,5 배, 특히 0,5 내지 3 배이다. 웨지 드라이브의 견고한 건설은 따라서 동시에 웨지 드라이브가 특히 매우 높은 가압력을 흡수하기에 적절함에 의해 보장되고, 또한 더 나아가 충분한 슬라이딩 길이가 보장될 수 있어 슬라이더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충분히 긴 거리로 작업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판 대형은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슬라이딩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섹션에서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한 일정한 단면 섹션을 갖는다.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을 따르는 슬라이더 부재의 특히 규칙적이고 매우 정확한 선형 안내는 따라서 전체 슬라이딩 길이를 넘어 보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복귀 스트로크 섹션이 제2 안내 부재를 가리키는 중앙 부재의 측부 상에 제공되며, 복귀 스트로크 섹션은 중앙 부재를 넘어 횡 방향으로 돌출되고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을 따라 섹션 내에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유지 섹션(retaining section)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복귀 스트로크 섹션은 중앙 부재 상에 별도로 고정된 판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귀 스트로크 섹션은 중앙 부재와 단일 부품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부재는 복귀 스트로크 섹션을 갖는 중앙 슬라이딩 판으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유지 섹션은 제1 안내 부재로부터 이격된다. 기술된 실시 예에서, 복귀 스트로크 섹션이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로부터 슬라이더 부재에 복귀 스트로크 힘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복귀 스트로크 동안 슬라이더 부재의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에 의한 안내가 특히 효과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가 통상 가압 공구에서 사용되며,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은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고려해야만 한다. 통상,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는 작업 스트로크 동안 수직 방향으로 하측으로의 운동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과 구동 부재 사이의 수직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가 선형 수평 작업 운동을 하도록 강제된다. 복귀 스트로크 동안,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는 작업 스트로크, 즉, 통상 수직하게 상측을 향하는 작업 스트로크과 비교했을 때 반대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동한다. 중앙 부재 상에 복귀 스트로크 섹션을 제공함에 따라,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이 고정된 구동 부재에 대해 수직 방향의 상대적인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작동 운동에 반대로 수행되는 복귀 운동으로서, 복귀 스트로크 동안 슬라이더 부재가 복귀 운동을 하도록 강제되는 것이 특히 효과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복귀 스트로크 섹션은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을 따라 섹션 내에 횡 방향으로 유지 섹션을 가지고 각각 연장되며, 측부 슬라이딩 판은 각각 제1 안내 부재 및 복귀 스트로크 섹션 사이에 적어도 섹션 내에 각각 위치된다. 작업 스트로크 동안, 측부 슬라이딩 판은 제1 안내 부재에 작업력을 가한다; 복귀 스트로크 동안, 유지 섹션과 측부 슬라이딩 판 사이에 복귀 스트로크 힘이 작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복귀 스트로크 섹션은 제1 안내 부재로부터 측부 슬라이딩 판을 넘어 제2 안내 부재를 향해 연장되고, 유지 섹션은 각각 측부 슬라이딩 판과 제2 안내 부재 사이에 횡 방향으로 섹션을 따라 각각 연장한다. 각 유지 섹션은 따라서 그것과 협력하는 측부 슬라이딩 판과 제2 안내 부재 사이에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 및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섹션을 따라 연장한다. 이 실시 예에서, 복귀 스트로크 섹션은 특히 견고한, 예를 들어 복귀 스트로크 섹션이 저 목적을 위해 제공된 제2 안내 부재의 리세스(recess)에 위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안내 부재 사이에 복귀 스트로크 힘의 전달은 그 다음 측부 슬라이딩 판이 고정된 제2 안내 부재와 측부 슬라이딩 판 사이에 유지 섹션이 위치되는 횡 방향으로 섹션을 따라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안내 부재는 슬라이더 부재로서 그리고 제2 안내 부재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로서 설계될 수 있다. 그 다음, 웨지 드라이브의 이러한 설계를 위해,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특히 낮은 유형을 구현할 때, 복귀 스트로크 섹션을 위해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 내에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리세스는 슬라이더 부재 내에 필요가 없으므로 슬라이더 부재는 작은 치수로서 건설될 수 있고 종래의 웨지 드라이브에 대해 공지된 바와 같이 복귀 스트로크를 지지하는 추가적인 복귀 스트로크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각 측부 슬라이딩 판은 제2 안내 부재 상에 적어도 두 개의 지탱 표면에 지탱된다. 각 측부 슬라이딩 판의 제1 지탱 표면은 횡 방향으로 또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하고, 각 슬라이딩 표면은 그것의 제1 지탱 표면이 고정 수단에 의해 제2 안내 부재에 대해 가압된다. 또한, 각 측부 슬라이딩 판은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제2 지탱 표면을 갖는다. 더 나아가, 각 측부 슬라이딩 판은 중앙 부재에 지탱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을 갖는다. 각 측부 슬라이딩 판의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은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며,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과 제2 지탱 표면은 서로 대면하는 각 측부 슬라이딩 판의 두 개의 대향하는 측부에 위치되고 측부 슬라이딩 판의 제1 지탱 표면은 특히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과 제2 지탱 표면 사이에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공간에서 배타적으로 연장한다. 기술된 실시 예에서, 한 편으로는 횡 방향으로 또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지탱 표면을 따라 고정 수단에 의해 각 측부 안내 판이 제2 안내 부재를 향해 가압되므로 작업 스트로크 동안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로부터 슬라이더 부재까지 매우 신뢰성 있는 힘 전달이 보장되고, 따라서, 작업 스트로크 동안 웨지 드라이브의 적절한 사용 중에 발생하는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한 측부 슬라이딩 판의 하중의 경우, 제2 안내 부재와 측부 슬라이딩 판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이 신뢰성 있게 회피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측부 슬라이딩 판은 각각 제1 지탱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2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을 갖고, 작업 스트로크 동안에는 제2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에 전달되고, 작업 운동 동안 가압력이 제2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 상의 슬라이더 부재는 슬라이더 부재에 전달되며, 작업 운동 동안 슬라이더 부재는 그것에 의해 지탱되는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더 나아가, 각각 가로지르는 횡 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각 측부 슬라이딩 판 상에 제2 지탱 표면과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한 편으로는 중앙 부재와 측부 슬라이딩 판의 접촉을 보장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제2 안내 부재와 측부 슬라이딩 판의 접촉을 보장하며, 중앙 부재와 제2 안내 부재 사이에서 횡 방향으로 측부 슬라이딩 판이 안내됨으로써 횡 방향으로 안내 장치의 간격이 작업 스트로크 동안 방지되도록 보장된다. 특히, 각 측부 슬라이딩 판은 제2 안내 부재의 단차부 상의 그것의 제2 지탱 표면을 지지할 수 있다. 측부 슬라이딩 판을 포함하고 제2 안내 부재 및 중앙 부재의 접촉이 보장되는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과 지탱 표면을 수단으로 하는 안내 장치의 안내 특성은, 측부 슬라이딩 판이 제2 안내 부재 및 중앙 부재 상에 놓일 때, 특히 유리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본 명세서의 "두 개의 부재의 지탱"(bearing of two element)이라는 표현은 두 개의 부재가 최대 0,01 mm로 서로 이격되는 것임이 항상 이해되어야만 함을 주의해야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 측부 슬라이딩 판의 제1 지탱 표면은 제2 지탱 표면보다 크고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보다 크다. 작업 스트로크 동안 측부 슬라이딩 판에 의해 전달되는 힘은 결과적으로 매우 큰 제1 지탱 표면에 의해 특정한 신뢰성 있고 균일한 방법으로 제1 안내 부재에 전달된다. 제2 지탱 표면과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은 횡 방향으로 두 개의 안내 부재 서로의 안내를 제공한다. 이 목적을 위해, 큰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했다; 그러나, 작동 스트로크 동안 발생하는 힘을 전달하기 위한, 특히 하나의 접촉 표면, 즉, 재공될 접촉 표면보다, 즉, 제1 지탱 표면보다 작은 제2 지탱 표면과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지탱 표면은 횡 방향으로 또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걸쳐지는 평면에 걸쳐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2 지탱 표면과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은 각각 가로지르는 횡 방향과 슬라이딩 방향으로 걸쳐지는 포면에 걸쳐진다. 작업 스트로크 동안 특히 신뢰성 있는 힘의 전달과 특히 신뢰성 있는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한 안내는 지탱 표면과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의 적절한 평면 구성에 의해 보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각 측부 슬라이딩 판은 제2 안내 부재 상에 지탱되는 제3 지탱 표면을 가지며, 제3 지탱 표면은 제1 지탱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횡 방향으로 제2 지탱 표면으로부터 연장한다. 제2 안내 부재에 대한 측부 슬라이딩 판의 보다 향상된 안내는 보장되고 따라서 제2 안내 부재 상의 측부 슬라이딩 판의 보다 향상된 고정이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차부와 관련된 측부 슬라이딩 판에 지탱되는 단차부는 제1 및 제3 지탱 표면 사이에 연장하며, 제2 지탱 표면은 단차부의 높이 차이를 형성하는 단차부의 표면 상에 지탱된다. 단차부의 높이 차이를 형성하는 표면은 가로지르는 횡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연장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가로지르는 횡 방향과 슬라이딩 방향으로 걸쳐지는 평면으로서 설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3 지탱 표면은 가로지르는 횡 방향으로 또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걸쳐지는 평면에 걸쳐짐으로써 제2 안내 부재 상에 측부 슬라이딩 판의 특히 안정적인 지지와 따라서 고정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측부 슬라이드 판은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과 제1 지탱 표면 사이에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귀 스트로크 지탱 표면을 갖는다. 중앙 부재 상에 제공되는 복귀 스트로크 섹션은 복귀 스트로크 중에 발생하는 힘이 전달될 수 있는 복귀 스트로크 지탱 표면, 복귀 스트로크 섹션을 지탱(bear on)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복귀 스트로크 지탱 표면은 횡 방향으로 또한 슬라이딩 방향으로 걸쳐진 표면에 걸쳐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복귀 스트로크 지탱 표면은 제1 지탱 표면보다 작으며, 복귀 스트로크 동안 발생하는 힘만이 복귀 스트로크 표면에 의해 전달되므로, 이 힘은 작업 스트로크 동안 발생하여 제1 지탱 표면에 의해 전달될 힘에 비해 매우 작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 인해, 특히 가능한 한 가장 작은 복귀 스트로크 지지 표면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웨지 드라이브의 특히 작은 크기가 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웨지 드라이브를 구현하기 위해, 작은 크기를 유지하는 것은 웨지 드라이브의 필연적으로 매우 견고한 구성으로 인해 전통적으로 도달하기 어려운 특히 바람직한 목표를 구성함을 주의하여야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 부재는 중앙 슬라이딩 판으로서 설계되고 제1 안내 부재에 고정되며, 제1 안내 부재는 중앙 슬라이딩 판에 대면하는 그 표면 상에 횡 방향을 따르는 단차 표면 형상(stepped surface shape)을 포함한다. 횡 방향을 따르는 단차 표면 형상이란,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한 횡 단면도(cross-sectional view)에서 표면 형상이 횡 방향에 의존하여 연장하는 단차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횡 방향에 의존하여, 단차부는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고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된다. 중앙 슬라이딩 판은 중앙 슬라이딩 판의 제1 안내 부재를 가리키는 그 표면 상에 제1 안내 부재의 단차 표면 형상에 대응하는 표면을 가지며, 제1 안내 부재와 중앙 슬라이딩 판 사이에서 횡 방향으로 작동하는 형태 맞춤부는 서로 대응하는 표면 형상에 의해 보장된다. 이에 의해, 중앙 슬라이딩 판은 적어도 제1 안내 부재의 단차 표면 형상과 접촉하는 섹션에서 그 단차 표면 형상을 가진다. 이에 의해, 대응하는 표면 형상은 그것이 중앙 슬라이딩 판과 제1 안내 부재 사이에 횡 방향을 따라 양 방향 형태 맞춤부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것은 형상 맞춤부가 양의 방향으로 횡 방향을 따라 중앙 슬라이딩 판에 힘이 작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음의 방향으로 횡 방향을 따라 중앙 슬라이딩 판에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제1 안내 부재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중앙 슬라이딩 판의 운동을 방해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안내 부재의 단차 표면 형상은 안내 부재의 세 개의 고정 표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제1 고정 표면은 제2 및 제3 고정 표면 사이에 횡 방향으로 위치된다. 제1 고정 표면은 횡 방향으로 걸쳐지고 슬라이딩 방향으로 걸쳐지는 평면에 걸쳐진다. 제2 및 제3 고정 표면은 각각 가로지르는 횡 방향으로 걸쳐지고 슬라이딩 방향으로 걸쳐지는 표면에 걸쳐진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횡 방향으로의 중앙 슬라이딩 판의 안내는 제2 및 제3 고정 표면에 의해 두 개의 방향으로 보장되며, 이는 중앙 슬라이딩 판과 제1 안내 부재 사이의 접촉이 횡 방향으로 그리고 슬라이딩 방향으로 다시 연장하는 제2 및 제3 고정 표면과 그것들 사이에 위치되는 제1 고정 표면의 형상에 의해 기인하며, 힘이 횡 방향을 따라 양 뿐만 아니라 음의 방향으로도 작용되는 경우에도 중앙 슬라이딩 판이 각각 제2 및/또는 제3 고정 표면 상에 지탱되기 위해 접촉함으로써 횡 방향을 따르는 중앙 슬라이딩 판의 운동이 방지된다. 기술된 실시 예에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 표면으로부터 제2 안내 부재까지 연장하는 제2 및 제3 고정 표면이 제공되며, 중앙 슬라이딩 판은 제2 및 제3 고정 표면 사이에 위치되고, 중앙 슬라이딩 판은 그것의 대응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세 개의 세 개의 고정 표면 상에 지탱되고 중앙 슬라이딩 판은 고정 수단에 의해 제1 고정 표면을 향해 가압된다. 이 실시 예에서, 세 개의 고정 표면은 따라서 중앙 슬라이딩 판의 섹션이 위치되는 리세스를 형성한다. 기술된 실시 예는 따라서 특히 견고한 설계를 가질 수 있고, 대량의 제2 안내 부재에 제공된 대응하는 리세스에 의해, 중앙 슬라이딩 판 또는 제1 안내 부재에 필요한 복잡한 기계 작동 없이 이 리세스에 중앙 슬라이딩 판이 그 대응하는 표면 형상과 함께 삽입될 수 있으므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중앙 슬라이딩 판이 고정 수단에 의해 제1 고정 표면을 향해 가압되는 동안, 안내 장치의 안내 특성을 더 향상시키는, 중앙 슬라이딩 판의 세 개의 고정 표면에 의해 형성된 리세스 내에서의 신뢰성 있는 유지 또한 보장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고정 표면의 표면은 제2 및 제3 고정 표면의 일반적인 표면보다 적어도 두 배 크며 따라서 제2 및 제3 고정 표면에 의한 것보다 제1 고정 표면에 의해 더 큰 힘이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이 고려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최소 크기를 갖는 특히 견고한 웨지 드라이브가 여기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판 대형은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과 중앙 슬라이딩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편으로는, 안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제조 공차가 고려되어야 하는 간격을 갖는 오직 몇 개의 성분만이 제공되므로, 안내 장치의 간격은 따라서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조 단가는 따라서 특히 낮게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더 부재를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로 선형적으로 안내하는 안내 장치는 슬라이딩 판 대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안내 부재와 제2 안내 부재가 슬라이딩 판 대형의 슬라이딩 판과 접촉하는 모든 표면과 특히 또한 슬라이딩 판이 서로 접촉하는 모든 표면은 슬라이더 부재를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에 안내하기 위해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또는 가로지르는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평평한 표면으로서 설계된다. 두 개의 안내 부재가 각각 슬라이딩 판과 접촉함에 따라 서로에 대해 배타적으로 수직한 표면을 제공함으로써, 예를 들어 3축 밀링 기계(triaxial milling machine)와 같은, 웨지 드라이브를 구현하기 위한 상당히 저렴한 제조 공구가 따라서 사용될 수 있게 되므로, 웨지 드라이브의 제조는 특히 간단해질 수 있다. 이러한 특히 저렴한 제조 공구는 서로 비스듬하게 서 있는 표면을 실현하는 것을 허용하지는 않지만, 제조 공구가 오직 횡 방향으로 수직하게 또는 가로지르는 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는 표면을 제한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성분의 설계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술된 실시 예에서, 모든 표면이 제1 안내 부재와 제2 안내 부재가 슬라이딩 판 대형의 슬라이딩 판과 서로 접촉하는 사실에 기인하여, 수직 가압력에 대한 안내는 횡 방향으로 슬라이더 부재의 작업 운동 동안 발생하는 힘에 대한 안내와 마찬가지로 보장될 수 있다. 특히, 가로지르는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표면의 일반적인 표면은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표면의 일반적인 표면보다 더 클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스트로크에서 발생하는 작업 운동을 유발하는 힘은 횡 방향을 따르는 작업 운동 동안 작용하는 힘보다 더 크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특히, 가로지르는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표면의 일반적인 표면은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표면의 일반적인 표면보다 적어도 두 배 크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더 부재는 제1 안내 부재로서 설계되고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은 제2 안내 부재로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작은 크기는 따라서 적용될 수 있고 중앙 부재를 둘러싸는 측부 슬라이딩 판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에서 슬라이더 부재로의 힘의 전달을 특히 균일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측부 슬라이딩 판은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하고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 길이가 서로 상이하며, 즉, 그 길이가 적어도 10 mm일 때, 가로지르는 횡 방향에서, 0,01 mm 미만만큼 상이하다. 가로지르는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그 길이를 참조하여 이러한 측부 슬라이딩 판의 이상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특히 공차-없는(clearance-free) 안내 장치를 보장한다.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의 상기 연장 길이가 연장의 바람직한 길이를 위해 예를 들어, 밀러(miller)와 같은, 정확히 하나의 공구에 의해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이 조정되는 단일 공정 단계에서 측부 슬라이딩 판의 이러한 매우 정밀한 동일한 설계가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측부 슬라이딩 판은 각각 제1 안내 부재, 중앙 부재 및 제2 안내 부재 상에 지탱되며, 중앙 부재는 제1 안내 부재 상에 그리고 측부 슬라이드 판 상에 및 특히 제2 안내 부재 상에 지탱된다. 안내 장치의 안내 특성은 인접한 맞춤(close fit)에 의해 보장되는 접촉과 관련하여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 부재는 제2 안내 부재로부터 이격된다. 이 실시 예는 중앙 부재의 연장이 가로지르는 횡 방향으로 매우 정확하게 조정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따라서 특히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앙 부재는 또한 제2 안내 부재 상에 지탱된다. 이 실시 예에서, 작업 스트로크 동안 힘의 전달의 보장이 특히 적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더 슬라이딩 판이 슬라이더 부재 상과 구동 부재 상의 구동 슬라이딩 판 상에 제공되며, 슬라이더 슬라이딩 판과 구동 슬라이딩 판은 구동 슬라이딩 방향으로 구동 부재를 따라 슬라이더 부재의 선형 안내를 위한 구동 안내하기 형성하며, 구동 슬라이딩 방향은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하고, 구동 슬라이딩 방향은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적어도 20도의 각도를 형성하며, 특히 30도 내지 120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슬라이더 부재 상의 구동 부재를 대면하는 측부 상에 슬라이더 슬라이딩 판을 제공하고 구동 부재 상의 슬라이더 부재를 대면하는 측부 상에 구동 슬라이딩 판을 제공함으로써, 안내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선형 안내가 추가로 보조될 수 있는 구동 안내가 보장될 수 있다. 구동 슬라이딩 방향이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하는 사실은 특히 그것에 기여하며, 특히 슬라이딩 방향 또한 이 평면에 위치한다. 대응하는 각도가 구동 슬라이딩 방향과 슬라이딩 방향 사이에 제공된다는 사실은 수직 가압 운동에 의해 생성되는 수직 가압력의 수평 작업 운동으로의 전환을 보장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웨지 드라이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되며, 측부 슬라이딩 판의 연장 길이가 정의하는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하고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의 두께는, 측부 슬라이딩 판이 웨지 드라이브에 장착될 때, 동시에 그리고 공동으로 공구에 의해 조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 측부 슬라이딩 판이 웨지 드라이브에 장착될 때 횡 방향을 따라 이 측부 슬라이딩 판의 연장의 길이가 정의하는 정확히 하나의 측부 슬라이딩 판의 폭은 횡 방향으로의 제2 안내 부재의 단차부와 중앙 부재의 연장의 길이 및 횡 방향으로의 다른 측부 슬라이딩 판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조정된다. 측부 슬라이딩 판의 두께의 동시 조정으로 인해, 특히 작업 스트로크 동안 슬라이더 부재의 균일한 선형 안내가 보장될 수 있다. 그 다음,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의 두께의 동시 조정으로 인해, 균일한 선형 안내를 적용하기 위한 조건인, 측부 슬라이딩 판 사이와 측부 슬라이딩 판을 따라 안내 장치 내의 가로지르는 횡 방향에서 높이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단차부 사이의 거리와 중앙 부재 및 다른 측부 슬라이딩 판의 연장 길이에 의존하여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 중 정확히 하나의 폭을 조장함에 따라, 웨지 드라이브의 구현은 저 완성된 성분, 특히 슬라이더 부재,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 중앙 부재 및 다른 측부 슬라이딩 판이 횡 방향으로 그것들의 크기가 측정되고 그 다음 특정 측부 슬라이딩 판의 폭이 이 크기에 의도적으로 맞추어짐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안내 장치에 의해 횡 방향을 따라 특히 좋은 안내가 따라서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네 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이하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의 실시 예의 상이한 각도에서의 개략도를 상이한 개략도(schematic diagram)로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실시 예의 제1 성분의 개략도를 개략도로서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실시 예의 추가 성분의 개략도를 개략도로서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실시 예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섹션의 섹션을 개략도로서 도시한다.
도 5는 추가 실시 예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섹션의 섹션을 개략도로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1)의 실시 예가 상이한 각도에서의 상이한 개략도로서 도 1a, 1b 및 1c를 포함하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1에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과 구동 부재(4) 사이에 수직하게 위치되는 슬라이더 부재(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1)가 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안내 장치는, 세 개의 슬라이딩 판, 즉 중앙 슬라이딩 판(7)과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으로 구성되고, 슬라이더 부재(2)를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과 연결하는, 슬라이딩 판 대형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슬라이더 부재(2)는 구동 부재(4)를 대면하는 슬라이더 부재(2)의 측부 상에 위치되는 슬라이더 슬라이딩 판(22)을 포함하는 구동 안내에 의해 구동 부재(4)와 연결된다. 더 나아가, 슬라이더 부재(2)는 복귀 스트로크 동안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이 구동 부재(4)로부터 멀어지도록 수직하게 이동되는 동안에도 슬라이더 부재(2)를 구동 부재(4)와 연결된 채로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복귀 스트로크 장치(21)에 의해 구동 부재(4)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1)의 기본 구조가 따라서 도 1에서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 구동 부재(4)는 이 경우에는 고정 나사(400)인, 고정 수단에 의해, 가압 공구의 하측 부재에 고정된다. 도 1에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은, 예를 들어, 나사 같은, 고정 수단에 의해 가압 공구의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가시적인 피드스루(visible feedthrough)를 갖는다. 작동 중에, 그것은 작업 스트로크 동안 구동 부재(4)가 고정된 하측 부재에 대해 수직하게 이동한다. 작업 스트로크 동안,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는 하측 부재를 향해, 즉, 구동 부재(4)를 향해 이동하는 반면, 복귀 스트로크 동안, 이동 가능한 가압 부재는 하측 부재로부터, 즉, 구동 부재(4)로부터 멀어지도록 수직하게 이동한다.
슬라이더 부재(2)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 사이의 안내 장치가 수직 방향에 대해 약 3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슬라이딩 방향(X)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을 따르는 슬라이더 부재(2)의 선형 안내를 보장함을 도 1에서 보일 수 있다. 구동 안내는 수직 방향에 대해 약 80도의 각도를 형성하는 구동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구동 부재(4)를 따르는 슬라이더 부재(2)의 선형 안내를 보장한다. 구동 슬라이딩 방향과 슬라이딩 방향(X)는 서로 약 50도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것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이 구동 부재(4)를 향해 수직하게 이동될 때 슬라이더 부재(2)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과 구동 부재(4) 사이의 수평 선형 작동 운동을 수행하는, 도 1에서 보일 수 있는 웨지 드라이브(1)의 이러한 건설적인 조립(constructive assembly)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이다. 복귀 스트로크 장치(21)는 복귀 스트로크 동안, 즉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이 구동 부재(4)로부터 멀어지도록 수직하게 이동될 때,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과 구동 부재(4) 사이에서 슬라이더 부재(2)가 수평 선형 복귀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동시에 보장하며, 이 복귀 운동은 작업 스트로크 동안 선형 작업 운동의 음의 재생(negative reproduction)을 구성한다. 이에 의해, 복귀 스트로크 장치(21)가 슬라이더 부재(2)에 단단하게 고정되고 구동 부재(4) 상에 위치되는 대응하는 슬라이딩 돌출부에 맞물림으로써 복귀 스트로크 동안 슬라이더 부재(2)가 항상 구동 부재(4)와 연결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1)의 실시 예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에 단단하게 고정된 제1 지지 부재(31)와 제2 지지 부재(32)를 더 포함한다. 제2 지지 부재(32)가 슬라이더 부재(2)에 고정된 중앙 슬라이딩 판(7)을 위한 제한 정지부(limit stop)를 제공함에 따라 제2 지지 부재(32)는 복귀 스트로크 동안 슬라이더 부재(2)의 복귀 운동을 제한한다. 제1 지지 부재(31)는 복귀 스프링, 예를 들어 가스 압력 스프링의 지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복귀 스프링은 제1 지지 부재(31) 상에 지지되고 작동 스트로크 동안 압축되며 슬라이더 부재(2)가 복귀 스트로크 동안 중앙 슬라이딩 판(7)이 그것에 고정된 채로 제2 지지 부재(32) 상에 그것이 지탱되는 그것의 출발 위치로 되돌아가는 사실에 기여한다.
도 1, 2, 3 및 4를 함께 검토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1)의 표현된 실시 예의 안내 장치의 구조와 기능이 특히 명확해진다. 안내 장치는 중앙 슬라이딩 판(7)과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5)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딩 판 대형을 포함한다.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제2 안내 부재처럼 작동하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에 고정되고, 중앙 슬라이딩 판(7)은 제1 안내 부재처럼 작동하는 슬라이더 부재(2)에 고정된다. 기술된 실시 예에서, 슬라이딩 판 대형의 중앙 슬라이딩 판(7)은 따라서 중앙 부재(7)를 형성한다. 슬라이더 부재(2)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이 슬라이딩 판(5, 6, 7)과 접촉하는 모든 표면 및 슬라이딩 판(5, 6)이 서로 접촉하는 모든 표면은 평면에 걸쳐 있는, 즉, 횡 방향(Y)에 대해 수직하게 또는 가로지르는 횡 방향(Z)에 대해 수직하게 각각 연장하는 평평한 표면(even surface)으로서 설계됨을 도면에서 근본적으로 보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로지르는 횡 방향(Z)은 횡 방향(Y)에 대해 수직하고 또한 슬라이딩 방향(X)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슬라이더 부재(2)에의 중앙 슬라이딩 판(7)의 고정은 특히 도 2 및 4를 함께 참조했을 때 특히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 슬라이더 부재(2)는 세 개의 고정 표면(71, 72, 73)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 표면 형상을 갖는다. 제1 고정 표면(71)은 제2 및 제3 고정 표면(72, 73) 사이에 횡 방향으로 위치된다. 제1 고정 표면(72)은 횡 방향(Y)과 슬라이딩 방향(X)으로 걸쳐지는 평면을 가로질러 걸쳐진다. 제2 및 제3 고정 표면(72, 73)은 각각 가로지르는 횡 방향(Z)과 슬라이딩 방향(X)으로 걸쳐지고 또한 평평(even)하다. 중앙 슬라이딩 판은 슬라이더 부재(2)의 단차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반면, 중앙 슬라이딩 판(7)은, 슬라이더 부재(2)를 대면하는 그 측부에, 직사각형의 섹션을 나타내는, 슬라이딩 방향(X)에 대해 수직한 단면 섹션을 갖는다. 중앙 슬라이딩 판(7)은 따라서 세 개의 고정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슬라이더 부재(2)의 리세스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중앙 슬라이딩 판(7)의 횡 방향으로의 크기는 모든 세 개의 고정 표면 상에 그것의 전체 표면이 지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중앙 슬라이딩 판(7)은 도 2에 도시된 중앙 슬라이딩 판(7)의 피드스루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나사 결합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2)와 연결된다. 대응하는 나사가 도 4에 도시된다. 중앙 슬라이딩 판(7)은 이 나사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2)의 제1 고정 표면(71)을 향해 가압된다. 중앙 슬라이딩 판(7)과 슬라이더 부재(2) 사이의 매우 탄력성 있고(resilient) 단단한 연결은 슬라이더 부재(2)를 향해 나사(700)에 의해 중앙 슬라이딩 판(7)에 가해지는 가압력과 세 개의 고정 표면(71, 72, 73)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 표면 형상에 의한 중앙 슬라이딩 판(7)의 횡 방향(Y)으로의 단단한 고정의 조합된 효과에 의해 보장된다.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 상에 측부 슬라이딩 판(5, 6)의 고정은 도 3과 4를 함께 참조했을 때 특히 명확하게 보일 수 있다.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은 횡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단차부를 가지며, 각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두 개의 단차부 중 각각 하나에 지탱된다. 이에 의해, 각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 상의 제1 지탱 표면(51, 61), 제2 지탱 표면(52, 62) 및 제3 지탱 표면(52, 62)에 지탱된다. 측부 슬라이딩 판(5, 5)의 제2 지탱 표면(52, 62)은 각각 슬라이딩 방향(X)과 가로지르는 횡 방향(Z)으로 걸쳐지며 각 단차부의 높이 차이를 형성하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의 표면 상에 지탱된다. 측부 슬라이딩 판(5, 5)은 측부 슬라이딩 판(5, 5)의 제1 지탱 표면(51, 61) 및 제3 지탱 표면(53, 63)과 함께 나사(500, 600)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을 향해 각각 가압된다. 측부 슬라이딩 판(5, 6)이 그것의 제1 및 제3 지탱 표면(51, 61, 53, 63)과 함께 나사(500, 600)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을 향해 가압되고 동시에 단차부의 높이 차이를 형성하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의 표면 상에 그것의 제2 지탱 표면(52, 52)에 의해 지탱되며, 표면은 또한 평평하고 가로지르는 횡 방향(Z)과 슬라이딩 방향(X)으로 걸쳐진다는 사실에 의해, 슬라이딩 판(5, 6) 또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에 대해 상대적인 횡 방향(Y)을 따르는 슬라이딩 판(5, 6)의 상대적인 운동이 최적으로 회피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1)의 실시 예의 단일 부재는, 특히 도 4에서 보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중앙 슬라이딩 판(7)이 직접 중앙 슬라이딩 판(7)을 횡 방향으로 둘러싸는 측부 슬라이딩 판(5, 6)의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56) 상에 지탱되는 방식으로 서로 맞추어진다. 도시된 레이어(drawing layer)에 대해 수직한 도 4에 따른 단면을 위해 연장하는 슬라이딩 방향(X)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을 따르는 슬라이더 부재(2)의 슬라이딩의 경우, 중앙 슬라이딩 판(7)은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의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65)을 따라 슬라이드한다. 중앙 슬라이딩 판(7)이 두 개의 슬라이딩 판(5, 6) 상에 횡 방향으로 그 대향하는 두 개의 측부에 의해 지탱되고 더 나아가 측부 슬라이딩 판은 횡 방향으로 각 하나의 측부 상에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65)을 가지며, 횡 방향으로 그 대향하는 측부 상에 제2 지탱 표면(52, 62)을 갖는 사실에 의해, 중앙 슬라이딩 판(7)은 따라서 중앙 슬라이딩 판(7)이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에 대해 상대적으로 횡 방향(Y)으로 감지 가능하게 이동됨 없이 측부 슬라이딩 판(5, 6) 사이에서 견고하게 안내된다. 또한 중앙 슬라이딩 판(7)이 슬라이더 부재(2) 및 형태 맞춤부와 두 개의 방향으로 횡 방향(Y)을 따라 연결되고 고정됨에 따라, 슬라이더 부재(2)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된 실시 예는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2)가 횡 방향(Y)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에 대한 운동을 수행함 없이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 상에서 슬라이딩 방향(X)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2)의 선형 안내를 보장한다.
중앙 슬라이딩 판(7)의 복귀 스트로크 섹션(74)은 특히 도 1과 4를 함께 참조할 때 특히 보일 수 있다. 복귀 스트로크 섹션(74)은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을 따르는 섹션을 따라 횡 방향에서 각각 연장하는 두 개의 유지 섹션(retaining section)을 가지며, 그것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과 각 측부 슬라이딩 판(5, 6) 사이의 가로지르는 횡 방향(Z)에 대해 단면 섹션을 따라 이 섹션에 위치된다.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따라서 중앙 슬라이딩 판(7)의 복귀 스트로크 섹션의 유지 섹션 상에 복귀 스트로크 지탱 표면(54, 64)에 각각 지탱된다. 여기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이 구동 부재(4)로부터 멀어지도록 상측으로 수직하게 이동되는 동안의 복귀 스트로크의 경우,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은 또한 유지 섹션과 복귀 스트로크 지탱 표면(54, 64)을 따라 중앙 슬라이딩 판(7)과 측부 슬라이딩 판(54, 64) 사이의 접촉부를 따라 상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고, 따라서 슬라이더 부재(2)는 중앙 슬라이딩 판(7)이 제2 지지 부재(32) 상에 지탱되는 그 시작 위치로 돌아가도록 강제되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1)의 추가 실시 예의 슬라이딩 방향(X)에 대해 수직한 단면 섹션이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5에 따른 실시 예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의 본질적인 차이는, 중앙 부재(7)가 슬라이더 부재(2)와 함께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는 점, 즉, 슬라이더 부재(2)와 중앙 부재(7)가, 이 경우 주조 금속 몸체(cast metal body)와 같이, 일체로 제조된 성분으로서 설계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4에 따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도 5에 따른 실시 예에서 슬라이더 부재(2)의 안정적인 선형 안내는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 상에 슬라이딩 방향(X)을 따라 또한 보장되며, 중앙 부재(7)는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 사이에 횡 방향(Y)으로 위치되고,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0,02 mm보다 작은 매우 작은 간격으로 중앙 부재(7) 상에 그것의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56)과 함께 각각 지탱된다. 도 1 내지 4에 따른 실시 예와 같이, 도 5에 따른 실시 예에서, 작업 스트로크 동안 발생하는 가압력은 측부 슬라이딩 판(5, 6)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2)에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에 의해 또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이 힘 전달은 제1 지탱 표면(51, 61)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로부터 측부 슬라이딩 판(5, 6)으로 작용하며, 그 다음 측부 슬라이딩 판(5, 6)으로부터 제1 지탱 표면(51, 61)에 평행하게 연장하고 제1 지탱 표면(51, 61)에 대향되는 측부 슬라이딩 판(5, 6)의 단부에, 가로지르는 횡 방향(Z)에 대해 위치되는두 개의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2)에 전달된다. 가로지르는 횡 방향(Y)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2)와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 사이의 안내의 선형성에 대해 문제가 있는 힘(problematic force)은 도 5에 따른 실시 예의 안내 장치에 의해 흡수되며,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그것의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65)을 따라 중앙 부재(7)를 안내하며 그 자체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의 단차부 상에 그것의 제2 지탱 표면(52, 62)와 함께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에 가로지르는 횡 방향(Y)에서 형태 맞춤된다.
더 나아가, 복귀 스트로크 섹션(74)은 도 5에 따른 실시 예에서 제공되는 별개 성분으로서 설계된다. 이 복귀 스트로크 섹션(74)은 나사(700)에 의해 중앙 부재(7)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두 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 중 어느 하나를 따라 가로지르는 횡 방향(Y)을 따르는 섹션과 함께 각각 연장하는 두 개의 유지 섹션을 갖는다. 도 1 내지 4에 따른 실시 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측부 슬라이딩 판(5, 6)에 그 상대적인 위치로 중앙 부재(7)에 복귀 스트로크 섹션(74)이 배치됨에 따라, 복귀 스트로크가 작업 스트로크 이후 수행되는 경우, 슬라이더 부재(2)가 작업 스트로크가 수행되기 전에 그것의 시작 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강제되는 것이 보장되며, 이 시작 위치는, 설명된 실시 예에 없고, 중앙 부재(7)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32) 상에 지탱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귀 스트로크 섹션(74)은, 복귀 스트로크 섹션(74)이 측부 슬라이딩 판(5, 6)을 따라 섹션 내에서 슬라이드하는 복귀 스트로크 동안 그 표면에 매우 작은 마찰력이 가해지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독립된 슬라이딩 판으로서 설계된다. 기술된 실시 예에서, 복귀 스트로크 섹션(74)은 동으로 제조된 슬라이딩 판으로서 설계된다.
1 웨지 드라이브
2 슬라이더 부재
3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
4 구동 부재
5 측부 슬라이딩 판
6 측부 슬라이딩 판
7 중앙 슬라이딩 판
21 복귀 스트로크 장치
22 슬라이더 슬라이딩 판
31 제1 지지 부재
32 제2 지지 부재
51, 61 제1 지탱 표면
52, 62 제2 지탱 표면
53, 63 제3 지탱 표면
54, 64 복귀 스트로크 지탱 표면
55, 65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
71 제1 고정 표면
72 제2 고정 표면
73 제3 고정 표면
74 복귀 스트로크 섹션
400 고정 나사
500 나사
600 나사
700 나사

Claims (23)

  1. 수직 가압력을 수평 선형 작업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웨지 드라이브(1)로서,
    상기 웨지 드라이브(1)은 슬라이더 부재(2), 구동 부재(4) 및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receptacle)(3)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 부재(2)는 상기 구동 부재(4)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 사이에 수직하게 위치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2)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은 슬라이딩 판 대형(sliding plate formation)(5, 6, 7)이 위치되는 2개의 안내 부재(2, 3)로서 설계되며,
    상기 슬라이딩 판 대형은 슬라이딩 방향(X)으로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2)의 선형 안내를 위해 설계된 안내 장치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2개의 안내 부재(2, 3) 중 제1 안내 부재의 상기 2개의 안내 부재(2, 3) 중 제2 안내 부재를 가리키는 그 측부 상에 제공되는 중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판 대형(5, 6, 7)은 상기 2개의 안내 부재(2, 3) 중 제2 안내 부재에 고정되고 슬라이딩 방향(X)에 대해 수직한 횡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부재(7)는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 사이에 횡 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제2 안내 부재(2, 3)는 횡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는 2개의 단차부를 갖고,
    상기 수직 가압력이 전달되는 적어도 2개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 각각은 횡 방향(Y)으로 작용하는 형태 맞춤부(form fit)를 갖는 2개의 단차부 중 하나에 각각 맞추어지며,
    상기 제1 안내 부재(2, 3)와 상기 제2 안내 부재(2, 3)가 상기 슬라이더 부재(2)를 상기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 판 대형(5, 6, 7)의 상기 슬라이딩 판과 접촉하는 모든 표면은, 횡 방향(Y)에 대해 수직하거나 가로지르는 횡 방향(Z)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평평한 표면으로서 설계되고,
    각각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적어도 상기 제2 안내 부재(2, 3) 상의 2개의 지탱 표면(bearing surface)(51, 52, 61, 62)에 지탱되며,
    상기 제1 지탱 표면(51, 61)은 횡 방향(Y)으로 연장하고, 상기 측부 슬라이딩 표면(5, 6)은 고정 수단(500, 600)에 의해 상기 제2 안내 부재(2, 3)을 향해 그것의 제1 지탱 표면(51, 61)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제2 지탱 표면(52, 62)은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며,
    각각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상기 중앙 부재 상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65)에 지탱되고,
    상기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65)은 횡 방향(Y)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며,
    상기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65)과 상기 제2 지탱 표면(52, 62)은 서로 대면하는 상기 각각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의 2개의 대향하는 측부 상에 위치되고, 또한
    상기 각각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의 상기 제1 지탱 표면(51, 61)은 상기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65)과 상기 제2 지탱 표면(52, 62) 사이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역 내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재(7)는,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 상에 횡 방향(Y)으로 0.04 mm 미만의 간격으로 직접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제1 안내 부재(2, 3)가 슬라이딩 방향(X)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딩 길이를 따라 상기 제2 안내 부재(2, 3)를 향해 슬라이드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상기 슬라이딩 길이는 횡 방향(Y)으로의 상기 슬라이더 부재(2)의 연장의 적어도 0.5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판 대형(5, 6, 7)은, 슬라이딩 방향(X)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슬라이딩 길이를 갖는 적어도 1개의 슬라이딩 섹션에서,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일정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 부재(2, 3)를 가리키는 중앙 부재(7)의 측부 상에 복귀 스트로크 섹션(return stroke section)이 제공되며,
    이 복귀 스트로크 섹션은 상기 중앙 부재를 넘어 횡 방향(Y)으로 돌출하고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을 따라 섹션 안에서 횡 방향(Y)으로 연장하는 2개의 유지 섹션(retaining sec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트로크 섹션(74)은 상기 제1 안내 부재(2, 3)로부터 상기 제2 안내 부재(2, 3)를 향해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을 넘어 연장하며,
    상기 유지 섹션은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과 상기 제2 안내 부재(2, 3) 사이에 횡 방향(Y)으로 섹션을 따라 각각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탱 표면(51, 61)은 횡 방향(Y)과 슬라이딩 방향(X)에 걸쳐지는(span across) 평면에 걸쳐지고,
    상기 제2 지탱 표면(52, 62)과 상기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65)은 가로지르는 횡 방향(Z)과 슬라이딩 방향(X)에 걸쳐지는 평면에 각각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8.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상기 제2 안내 부재 상에 지탱되는 제3 지탱 표면(53, 63)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지탱 표면(53, 63)은 상기 제1 지탱 표면(51, 61)로부터 멀어지도록 횡 방향에서 상기 제2 지탱 표면(52, 62)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탱 표면(53, 63)은 횡 방향(Y)에 걸쳐지고 슬라이딩 방향(X)에 걸쳐지는 표면에 걸쳐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10.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상기 슬라이딩 판 지탱 표면(55, 65)과 상기 제1 지탱 표면(51, 61) 사이에서 횡 방향(Y)으로 연장하고, 횡 방향(Y)과 슬라이딩 방향(X)에 걸쳐지는 평면에 걸쳐지는, 복귀 스트로크 지탱 표면(54, 64)(return stroke bearing surface)을 포함하며,
    상기 복귀 스트로크 지탱 표면(54, 64)은 상기 제1 지탱 표면(51, 61)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재(7)는 상기 슬라이딩 판 대형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앙 슬라이딩 판(7)으로서 설계되며,
    상기 제1 안내 부재(2, 3)는 상기 중앙 슬라이딩 판(7)과 대면하는 그의 표면 상에 횡 방향(Y)을 따라 단차 표면 형상을 갖고, 상기 중앙 슬라이딩 판(7)은 상기 제1 안내 부재(2, 3)을 가리키는 그의 표면 상에 상기 단차 표면 형상에 대응하는 표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안내 부재와 상기 중앙 슬라이딩 판(7) 사이에서 횡 방향(Y)으로 작동하는 형태 맞춤부가 서로 대응하는 표면 형상에 의해 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부재(2, 3)의 상기 단차 표면 형상은 상기 안내 부재(2, 3)의 3개의 고정 표면(71, 72, 73)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 표면(71)은 제2 및 제3 고정 표면(72, 73) 사이에 횡 방향(Y)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 고정 표면(71)은 횡 방향(Y)에 걸쳐지고 슬라이딩 방향(X)에 걸쳐지는 평면에 걸쳐 연장되고, 또한
    상기 제2 및 상기 제3 고정 표면(72, 73)은 가로지르는 횡 방향(Z)에 걸쳐지고 슬라이딩 방향(X)에 걸쳐지는 평면에 각각 걸쳐지며,
    상기 중앙 슬라이딩 판(7)은 상기 제2 및 상기 제3 고정 표면(72, 73)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중앙 슬라이딩 판(7)은 그의 대응하는 표면 형상을 갖는 상기 3개의 고정 표면(71, 72, 73) 상에 지탱되고 고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제1 고정 표면(71)을 향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상기 제3 고정 표면(72, 73)은 상기 제1 고정 표면(71)으로부터 상기 제2 안내 부재(2, 3)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중앙 부재(7)와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장치는 상기 중앙 부재(7)와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6)과 별개 성분(component)으로서 설계되는 복귀 스트로크 섹션(7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재는 중앙 슬라이딩 판(7)으로서 설계되고 상기 슬라이딩 판 대형(5, 6, 7)은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6)과 상기 중앙 슬라이딩 판(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부재(2)는 상기 제1 안내 부재(2, 3)로서 설계되고,
    상기 슬라이더 부재 리셉터클(3)은 상기 제2 안내 부재(2, 3)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슬라이딩 방향(X)에 대해 수직한 방향과 횡 방향(Y)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그의 연장 길이가 0.01 mm 미만으로 상이하며,
    상기 연장 길이는 적어도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은 상기 제1 안내 부재(2, 3), 상기 중앙 부재(7) 및 상기 제2 안내 부재(2, 3) 상에 각각 지탱되며,
    상기 중앙 부재(7)는 상기 제1 안내 부재(2, 3)와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 상에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부재(7)는 상기 제1 안내 부재(2, 3)와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5, 6) 및 상기 제2 안내 부재(2, 3) 상에 지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21.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 슬라이딩 판(22)이 상기 슬라이더 부재(2) 상에 제공되고 구동 슬라이딩 판이 상기 구동 부재(4) 상에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더 슬라이딩 판(22)과 상기 구동 슬라이딩 판은 구동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구동 부재(4)를 따라 상기 슬라이더 부재(2)의 선형 안내를 위한 구동 안내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 슬라이딩 방향은 횡 방향(Y)에 대해 수직한 평면에서 연장하며,
    상기 구동 슬라이딩 방향은 슬라이딩 방향(X)에 대해 적어도 2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지 드라이브(1).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웨지 드라이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측부 슬라이딩 판의 연장 길이가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수직하고 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정의하는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의 두께는,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이 상기 웨지 드라이브에 장착될 때, 공구에 의해 동시에 그리고 공동으로 조정되는,
    웨지 드라이브를 제조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측부 슬라이딩 판의 연장 길이가 횡 방향을 따라 정의하는 상기 측부 슬라이딩 판 중 정확히 하나의 폭은, 이 측부 슬라이딩 판이 상기 웨지 드라이브에 장착될 때, 횡 방향으로의 제2 안내 부재의 단차부 사이의 거리와 횡 방향으로의 중앙 부재의 연장 길이 및 나머지 측부 슬라이딩 판의 연장 길이를 고려하여 조정되는,
    웨지 드라이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87019448A 2015-12-21 2016-12-21 웨지 드라이브 KR1021422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5106966.9 2015-12-21
DE202015106966.9U DE202015106966U1 (de) 2015-12-21 2015-12-21 Keiltrieb
PCT/EP2016/082204 WO2017108968A1 (de) 2015-12-21 2016-12-21 Keiltri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617A KR20180097617A (ko) 2018-08-31
KR102142201B1 true KR102142201B1 (ko) 2020-08-06

Family

ID=55358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448A KR102142201B1 (ko) 2015-12-21 2016-12-21 웨지 드라이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80369893A1 (ko)
EP (1) EP3393693B1 (ko)
KR (1) KR102142201B1 (ko)
CN (1) CN108430664B (ko)
BR (1) BR112018012375A2 (ko)
DE (1) DE202015106966U1 (ko)
ES (1) ES2841575T3 (ko)
MX (1) MX2018007665A (ko)
WO (1) WO2017108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5106966U1 (de) 2015-12-21 2016-01-28 Harald Weigelt Keiltrieb
DE202017100989U1 (de) 2017-02-22 2017-04-21 Fibro Gmbh Keiltrieb mit optimierter Führung
CN111389951B (zh) * 2020-03-26 2020-12-25 燕山大学 一种管材滚胀成形液压机
DE202021101852U1 (de) * 2021-04-07 2021-04-30 Fibro Gmbh Keiltrieb mit einstellbarer Arbeits- und Montagestellung
DE102022108067B3 (de) 2022-04-05 2023-04-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Werkzeugschieber und Verfahren zum Montieren und/oder Demontieren
DE202023101869U1 (de) 2023-04-13 2023-06-22 F I B R O Gmbh Keiltrieb mit optimierter Anordnung der Gleitfläch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3112A1 (de) * 2014-03-06 2015-09-10 voestalpine Gießerei Linz GmbH Werkzeugschieb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7296A (en) * 1992-01-09 1996-01-30 Connell Limited Partnership Univers cam unit
DE19753549C2 (de) * 1997-12-03 2000-02-17 Harald Weigelt Keiltrieb
JP3757635B2 (ja) * 1998-08-26 2006-03-2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カム装置
DE19860178C1 (de) 1998-12-24 2000-05-11 Harald Weigelt Keiltrieb zur Umlenkung einer vertikalen Preßkraft
ES2223331T3 (es) 2000-03-17 2005-03-01 Sankyo Oilless Industry, Inc. Corredera de leva y unidad de leva que la utiliza.
US6990844B1 (en) * 2004-07-27 2006-01-31 Anchor Lamina America, Inc. Narrow aerial and die-mount cams
DE102007045703A1 (de) * 2007-09-24 2009-04-09 Harald Weigelt Keiltrieb mit Schieberaufnahme
JP5448520B2 (ja) * 2009-03-27 2014-03-19 三協オイルレス工業株式会社 カム装置のカムスライダー用緩衝材の取付構造
DE102010018534A1 (de) * 2010-04-27 2011-10-27 Läpple Werkzeugbau GmbH Vorrichtung zum Formen eines Werkstücks
US20170014888A1 (en) 2014-03-06 2017-01-19 Voestalpine Giesserei Linz Gmbh Tool slide
DE112015000008B4 (de) 2014-03-06 2016-03-10 Voestalpine Giesserei Linz Gmbh Werkzeugschieber
DE102014102993B4 (de) 2014-03-06 2016-05-12 Voestalpine Giesserei Linz Gmbh Werkzeugschieber
CN104907392A (zh) * 2014-12-17 2015-09-16 上海新朋联众汽车零部件有限公司 带有可动冲头的斜楔机构
CN204842662U (zh) * 2015-06-28 2015-12-09 富士瑞鹄技研(芜湖)有限公司 一种新型压料翻边机构
DE202015106966U1 (de) 2015-12-21 2016-01-28 Harald Weigelt Keiltrie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03112A1 (de) * 2014-03-06 2015-09-10 voestalpine Gießerei Linz GmbH Werkzeugschie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30664A (zh) 2018-08-21
WO2017108968A1 (de) 2017-06-29
DE202015106966U1 (de) 2016-01-28
BR112018012375A2 (pt) 2018-12-04
KR20180097617A (ko) 2018-08-31
EP3393693B1 (de) 2020-10-14
MX2018007665A (es) 2019-07-04
EP3393693A1 (de) 2018-10-31
ES2841575T3 (es) 2021-07-08
CN108430664B (zh) 2020-12-29
US20180369893A1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201B1 (ko) 웨지 드라이브
KR101230185B1 (ko) 슬라이더 수용 수단을 구비한 웨지 드라이브
RU24048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клин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CN100396430C (zh) 直线导轨的安装方法及其安装结构
US9233409B2 (en) Press die
JP2012511433A (ja) くさび駆動ユニット
US20170014888A1 (en) Tool slide
US20170014890A1 (en) Tool slide
US20210220892A1 (en) Bending device
US20170014889A1 (en) Tool slide
US9266222B2 (en) Clamping/releasing flange
KR20200125984A (ko) 조정 가능한 안내 장치를 가진 웨지 구동부
JP4762277B2 (ja) 金型交換用位置決め装置
CN210997694U (zh) 立式车铣加工中心刀夹锁紧装置
JP6000628B2 (ja) 金型ツール・ホルダー及びその一対の調整ブロックの製造方法
CN110121411B (zh) 楔式驱动器以及制造优化导引的楔式驱动器的方法
JP6990616B2 (ja) スライド式支承体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スライド式支承体の固定用の介装部材
JP2007247773A (ja) リニアガイド装置およびその位置決め方法
JP3218883U (ja) プレスブレーキ用金型セット
CN110918783B (zh) 具有两个工具半部的大型工具
CN217070367U (zh) 压力机和冲孔设备
CN211490074U (zh) 一种锁紧机构
CN218575478U (zh) 折弯装配设备
CN105108684A (zh) 定位装置
CN213915620U (zh) 一种冲压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