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819A -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819A
KR20160129819A KR1020160143415A KR20160143415A KR20160129819A KR 20160129819 A KR20160129819 A KR 20160129819A KR 1020160143415 A KR1020160143415 A KR 1020160143415A KR 20160143415 A KR20160143415 A KR 20160143415A KR 20160129819 A KR20160129819 A KR 20160129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member
film
decoloring
solution
pola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369B1 (ko
Inventor
이범석
강형구
장응진
나균일
최두진
이병선
윤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6012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23K26/402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involving non-metallic material, e.g. iso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30Organic material
    • B23K2103/42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50Inorganic material, e.g. metals, not provided for in B23K2103/02 – B23K2103/2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9/04PVOH, i.e. polyvinyl alcoh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층이 형성된 편광 부재를 탈색 용액에 침지시켜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외관 교정 단계를 포함하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METHODS FOR MANUFACTURING FOR POLARIZING ELEMENT, POLARIZING ELEMENT ROLL AND SINGLE SHEET TYPE POLARIZING ELEMENT HAVING LOCALLY BLEACHING AREAS}
본 명세서는 2014년 03월 26일에 한국 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출원 제10-2014-0035619호, 제10-2014-0035614 및 2014년 06월 30일에 한국 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출원 제10-2014-0080491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편광 부재, 편광 부재 롤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장착 및/또는 발색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 편광 부재 롤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발광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편광판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이하, PVA)계 필름에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킨 후, 붕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가교하고, 연신하는 방법으로 배향시켜 제조된 PVA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 필름을 적층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디스플레이 장치는 점점 더 슬림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대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화면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베젤(bezel)부 및 테두리 두께를 최소화하는 경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의 구현을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카메라 등과 같은 부품이 장착되고 있는 추세이며, 디자인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제품 로고나 테두리 영역에 다양한 컬러를 부여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편광판의 경우, 편광판의 전 영역에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가 염착되어 있어 편광판이 짙은 흑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편광판이 위치하는 영역에 다양한 컬러를 부여하기 어렵고, 카메라와 같은 부품 위에 편광판이 위치할 경우, 편광판에서 광량의 50% 이상을 흡수하여 카메라 렌즈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편광판의 일부 영역을 펀칭 또는 절삭하여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경우, 편광판을 펀칭 또는 절삭하는 과정에서 편광판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편광판의 두께가 점점 얇아지고 있는 최근 추세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또한, 편광판 손상 없이 펀칭이나 절삭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펀칭 또는 절삭되는 영역이 편광판의 모서리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나, 이 경우, 베젤부 영역을 축소하고자 하는 최근 디자인 경향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물리적인 펀칭이나 절삭 공정 없이 부품 장착 및/또는 발색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층이 형성된 편광 부재를 탈색 용액에 침지시켜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외관 교정 단계를 포함하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마스크 필름에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마스크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마스크 필름으로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 등과 같은 올레핀계 필름;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등과 같은 비닐 아세테이트계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코팅층은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성 아크릴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 편광 부재의 타면에 임시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임시보호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 등과 같은 올레핀계 필름;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등과 같은 비닐 아세테이트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부분 탈색 단계에서 사용되는 탈색 용액은 pH 11 내지 14인 강염기 용액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산화나트륨(NaOH), 황산화나트륨(NaSH), 아지트화나트륨(NaN3), 수산화칼륨(KOH), 황산화칼륨(KSH) 및 티오황산칼륨(KS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탈색제를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색 용액 내의 탈색제 농도는 1 중량% 내지 30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20 중량%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15 중량% 정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분 탈색 단계는, 10℃ 내지 70℃의 탈색 용액 내에서 1초 내지 6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 이후에 마스크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외관 교정 단계는 편광 부재를 가교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교 용액은 붕산, 붕사와 같은 붕소 화합물, 숙신산, 글루타르산 및 시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외관 교정 단계는 편광 부재를 중화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중화 용액에 포함되는 중화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없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중화 용액은 황산, 질산, 인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염산, 글루타르산 및 숙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화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 상기 외관 교정 단계 이후에 상기 편광 부재를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건조는 직경이 100 Φ 내지 500 Φ, 바람직하게는 150 Φ 내지 300 Φ인 가열롤(heating roll)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가열 롤의 온도는 30℃ 내지 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 정도일 수 있다. 또한 가열 롤을 사용한 건조 시간은 1초 내지 6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30초 정도일 수 있다. 건조 단계에서는 가열롤 통과 없이 건조 오븐을 통과시켜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건조 온도는 25℃ 내지 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정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 상기 외관 교정 단계 이후에 상기 편광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광학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편광 부재 롤로부터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부재를 매엽형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광 부재의 탈색 영역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탈색 영역의 위치를 기초로 절단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절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매엽형 편광 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매엽형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펀칭이나 절삭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화학적 탈색 방식을 통해 원하는 위치에 탈색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편광판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연속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정 효율이 우수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탈색 단계 이후에 외관 교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탈색 공정에서 팽윤 현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광 부재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외관 교정 단계 이후에 편광 부재를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편광 부재의 변형을 추가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엽형 편광 부재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절단을 레이저로 수행할 경우, 종래의 금형이나 나이프를 이용한 편광 부재 절단과 달리 편광 부재의 형태를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어 디자인 자유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매엽형 편광 부재 절단 시에 탈색 영역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편광 부재를 절단할 경우, 편광판 내에서 탈색 영역의 위치가 달라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량 발생율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편광판은, 부품이 장착되는 부분이나 발색하고자 하는 영역에 투명에 가까운 편광 해소 영역을 가져, 장착되는 부품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다양한 색 및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 부재 제조 방법의 제1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 부재 제조 방법의 제2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 부재 제조 방법의 제3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은 도 2, 도 3 및 도 4에서의 레이저 홀 가공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5 에서의 레이저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 따라 각각 제조된 편광 부재의 부분 탈색 부위의 외관 변형 정도를 레이저 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 제조 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은,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S10);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마스크층이 형성된 편광 부재를 탈색 용액에 침지시켜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S30); 및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외관 교정 단계 (S4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부분 탈색"이란, 마스크층의 천공부에 의하여 노출되는 편광부재 영역이 탈색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분 탈색에 의하여 탈색되는 편광 부재의 영역은 편광 부재의 국지적 탈색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 외관 교정 단계를 거친 편광 부재를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S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권취하여 장척의 편광 부재 롤로 제조하는 단계(S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장척의 편광 부재 롤로부터 매엽형의 편광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S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은 필요에 따라, 부분 탈색 단계 이후, 외관 교정 단계 이후 또는 세정 및 건조 단계 이후에 마스크층 및 임시보호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S10)에 있어서, 상기 편광 부재는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이거나, 또는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투명 고분자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필름 적층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 부재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일면에 투명 고분자 필름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는 그 두께가 1㎛ 내지 50㎛ 정도, 예를 들면 10㎛ 내지 30㎛ 정도 또는 1㎛ 내지 10㎛ 정도일 수 있으며, 상기 투명 고분자 필름의 두께는 1㎛ 내지 100㎛ 정도, 예를 들면, 10㎛ 내지 70㎛ 정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광 부재로는 장척(長尺)의 편광자 필름 또는 편광자 필름과 투명 고분자 필름의 적층체가 롤 형상으로 감겨져 있는 필름 롤 상태의 편광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와 같은 필름 롤로부터 편광 부재를 권출함으로써 공정 내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PVA 편광자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하거나, 또는 시판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는,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염착시키는 단계,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가교시키는 단계, 및 상기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가 염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연신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착 단계, 가교 단계 및 연신 단계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그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염착 단계는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함유하는 염착 용액이 담긴 염착조에 함침시키거나,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함유하는 염착 용액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염착 용액의 용매로는 일반적으로 물이 사용되지만, 물과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매가 혼합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염착 용액 내의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의 함량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6 중량부 내지 0.25 중량부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착 용액에는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 외에 염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조제가 추가로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리튬,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 아연, 요오드화 알루미늄, 요오드화 납,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바륨, 요오드화 칼슘, 요오드화 주석, 요오드화 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요오드화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제의 함량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정도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 대 요오드화 화합물의 중량비가 1:5 내지 1: 10 정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염착 단계는 25℃ 내지 40℃ 정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염착조 침지 시간은 30초 내지 120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가교 단계는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가 염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가교 용액을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은 침지, 도포, 분무 등의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교 용액은 붕산, 붕사 등과 같은 붕소 화합물; 글리옥살; 글루타르알데히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가교제를 포함하는 용액이며, 상기 가교 용액의 용매로는 물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물과 함께 물과 상용성을 갖는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가교 용액 내의 가교제의 함량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정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교 온도 및 가교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교제의 함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교 온도는 45℃ 내지 60℃정도일 수 있으며, 가교 시간은 30초 내지 120초 정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신 단계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편광자의 연신 방법들, 예를 들면, 습식 연신이나 건식 연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연신 배율은 4배 내지 10배 정도, 연신 온도는 45℃ 내지 60℃ 정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신 단계는 상기 염착 단계 또는 가교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신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단독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기재 필름을 적층한 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기재 필름을 함께 연신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후자의 방법은 두께가 얇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예를 들면, 60㎛ 이하의 PVA 필름)을 연신하는 경우, 연신 과정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10㎛ 이하의 박형 PVA 편광자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재 필름으로는, 20℃ 내지 85℃ 온도 조건하에서 최대 연신 배율이 5배 이상인 고분자 필름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에스테르계 필름,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공압출 필름,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가 함유된 공중합체 수지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셀룰로오스계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최대 연신 배율은 파단이 발생하기 직전의 연신 배율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매개로 적층할 수도 있고, 별도의 매개물 없이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얹어놓는 방식으로 적층할 수도 있다. 또는,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를 공압출하는 방법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코팅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기재 필름은 연신이 완료된 후에 편광자로부터 이탈시켜 제거할 수도 있으나, 제거하지 않고,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기재 필름은 후술할 임시보호필름, 마스크 필름 또는 편광자 보호 필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와 투명 고분자 필름이 적층된 필름 적층체를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경우,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일면에 투명 고분자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명 고분자 필름으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riAcethyl Cellulose; 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투명 고분자 필름의 부착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필름의 합지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와 같은 수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등과 같은 열경화성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등과 같은 광 양이온 경화형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과 같은 광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들과 같이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접착제를 매개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와 투명 고분자 필름을 접착한 후 열 또는 활성에너지선 등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일면에 보호 필름을 합지하여 편광자의 외관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의 일면에 투명 고분자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에는 투명 고분자 필름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면에 보호 필름을 합지한다. 상기 보호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 등과 같은 올레핀계 필름;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등과 같은 비닐 아세테이트계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 필름을 편광자의 외관 보호 역할을 수행한 후에는 박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편광 부재가 편광자의 일면에 마스크 필름이 적층되어 있고, 타면에 보호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 보호필름을 박리한 후,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편광 부재가 제공되면,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마스크층은 마스크 필름 또는 코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편광 부재의 일면에 기재 필름이나 투명 고분자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마스크층은 상기 필름들이 부착되지 않은 면에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자의 일면에 보호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 보호 필름을 박리한 후에 마스크층을 형성한다.
마스크층으로 마스크 필름을 사용할 경우, 상기 마스크층 형성 단계(S20)은 마스크 필름에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마스크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마스크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 등과 같은 올레핀계 필름;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등과 같은 비닐 아세테이트계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마스크 필름의 두께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10㎛ 내지 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정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 필름에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는 필름 천공 방법들, 예를 들면, 금형 가공, 나이프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천공부의 형상을 자유롭게 가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레이저 가공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레이저 가공은,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레이저 가공 장치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레이저 장치의 종류, 출력, 레이저 펄스 반복율 등과 같은 레이저 가공 조건은 필름의 재질이나 두께, 천공부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레이저 가공 조건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마스크 필름으로 두께가 30㎛ 내지 100㎛인 폴리올레핀 필름을 사용할 경우에는, 중심 파장이 9㎛ 내지 11㎛ 정도인 이산화탄소(CO2)레이저 장치 또는 중심 파장이 300nm 내지 400nm 정도인 자외선(UV) 장치 등을 사용하여 천공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레이저 장치의 최대 평균 출력은 0.1W 내지 30W 정도일 수 있으며, 펄스 반복율은 0kHz 내지 50kHz 정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천공부 형성 단계는 편광 부재에 마스크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전 또는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마스크 필름에 천공부를 미리 형성한 후에, 천공부가 형성된 마스크 필름을 편광 부재에 부착할 수도 있고(도 2 참조), 마스크 필름을 편광 부재에 부착한 후에 천공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도 3 참조).
한편,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마스크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필름의 합지 방법들, 예를 들면, 마스크 필름과 편광 부재를 점착층을 통해 부착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과 같은 점착제를 마스크 필름 또는 편광 부재 상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마스크 필름으로 자가 점착력이 있는 필름들(예를 들면, EVA 필름, PVAC 필름, PP 필름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점착층 형성 없이 마스크 필름을 편광 부재의 일면에 바로 부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층이 코팅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스크층 형성 단계(S20)는,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편광 부재의 일면에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시키거나, 열 또는 자외선, 전자선 등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코팅층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는, 레이저에 의해 식각될 수 있고, 알칼리 용액에 용해되지 않는 것이면 되고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로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분산성 아크릴 공중합체 등과 같은 수분산성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는, 시판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들, 예를 들면, 포지티브 타입 포토레지스트 또는 네가티브 타입의 포토레지스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포 방법, 예를 들면, 바 코팅, 스핀 코팅, 롤 코팅, 나이프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경화는 도포된 수지 조성물에 열을 가하거나, 자외선, 전자선 등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00nm 내지 500n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경우, 천공부 가공 시에 PVA 편광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탈색 공정 이후에 코팅층을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코팅층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코팅층의 일부 영역에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증발시키는 방법 또는 포토리소그라피법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팅층의 일부를 증발시키는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레이저 장치들, 예를 들면, 중심 파장이 300nm 내지 400nm 정도인 자외선 레이저 장치, 중심 파장이 1000nm 내지 1100nm 정도인 적외선 레이저 장치, 또는 중심 파장이 500nm 내지 550nm 정도인 그린 레이저 장치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되는 레이저 장치의 종류, 레이저 출력 및 펄스 반복율 등과 같은 레이저 가공 조건은 코팅층의 종류, 두께, 형성하고자 하는 천공부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상기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레이저 가공 조건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코팅층이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천공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편광 부재의 일면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천공부에 해당하는 영역의 에너지선을 선택적으로 노광한 후, 현상액을 이용하여 현상하는 방법으로 천공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광은 자외선 등과 같은 광원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고, 레이저 등과 같은 에너지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레이저를 이용해 노광을 실시할 경우, 노광을 위해 별도의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천공부의 형상을 비교적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200nm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한 경우, 최대 평균 출력 0.1W 내지 10W정도의 중심파장 300nm 내지 400nm의 자외선 레이저를 사용하여 노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레이저의 동작 펄스 반복율은 30kHz 내지 100kHz 정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현상은 사용된 감광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현상액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후술할 탈색 용액을 현상액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별도의 현상 단계는 수행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천공부는 탈색시키고자 하는 영역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면 되고, 그 형태나 형성 위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천공부는 카메라와 같은 부품이 장착되는 위치에 상기 부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품 로고가 인쇄되는 영역에 제품 로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편광 부재의 테두리 부분에 컬러를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편광 부재의 테두리 부분에 액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상기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편광 부재의 타면에 임시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는, 후술할 부분 탈색 단계(S30)에서 편광 부재를 보호하기 위해 편광 부재의 마스크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 임시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이며 임시보호필름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탈색 단계 이전에 임시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시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임시보호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 등과 같은 올레핀계 필름;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등과 같은 비닐 아세테이트계 필름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임시보호필름과 편광 부재의 부착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필름의 합지 방법, 예를 들면, 임시보호필름과 편광 부재를 점착층을 통해 부착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에폭시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등과 같은 점착제를 임시보호필름 또는 편광 부재 상에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임시보호필름으로 자가 점착력이 있는 필름들(예를 들면, EVA 필름, PVAC 필름, PP 필름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점착층 형성 없이 임시보호필름을 편광 부재에 바로 부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천공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이 형성된 편광 부재를 탈색 용액에 침지시켜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 부재를 탈색 용액에 침지시켜 탈색 공정을 수행한다. 침지 공정을 이용할 경우, 처리되는 시간이 짧아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처리 시간을 조정하기 어려운 도포 공정과 달리, 온도나 농도 등이 변경되었을 때 적절하게 처리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침지 공정을 이용하여 탈색 공정을 수행할 경우, 필요에 따라, 처리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탈색 용액은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탈색시킬 수 있는 탈색제를 포함하는 용액이며, 이때, 상기 탈색제는,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를 탈색시킬 수 있는 탈색제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NaOH), 황산화나트륨(NaSH), 아지트화나트륨(NaN3), 수산화칼륨(KOH), 황산화칼륨(KSH) 및 티오황산칼륨(KS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색 용액 내의 탈색제의 농도는 1 중량% 내지 30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20 중량%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15 중량% 정도일 수 있다. 탈색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탈색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탈색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팽윤에 의해 편광 부재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탈색제의 농도가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탈색 효율의 증가량이 미미하여 경제성이 떨어진다.
한편, 상기 탈색 용액의 용매로 물 또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이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색 용액은 pH 11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4인 강염기 용액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강염기 용액을 사용할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과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 사이의 붕산 가교 결합이 파괴되어 탈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부분 탈색 단계는, 10℃ 내지 70℃의 탈색 용액 내에서 1초 내지 6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색 용액의 온도와 침지 시간이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탈색용액에 의해 편광자의 팽윤 및 이수가 발생하여 편광자에 굴곡이 발생하거나, 원하지 않는 영역까지 탈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탈색 용액에 천공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이 형성된 편광 부재를 침지시키면, 천공부를 통해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에 탈색 용액이 접촉하게 되고, 그 결과 천공부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탈색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부분 탈색 공정이 완료되면, 필요에 따라, 탈색 용액을 세척하는 단계(미도시)를 실시할 수 있다. 탈색 용액이 편광 부재에 잔류하게 되면, 후 공정에서 잔류된 탈색 용액으로 인해, 원하지 않는 영역에 편광자 탈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세척은, 알코올 또는 산성 수용액, 또는 순수에 편광 부재를 침지시키거나, 알코올 또는 산성 수용액, 또는 순수를 편광 부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산성 용액으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수용액, 아디프산 수용액, 붕산 수용액, 인산 수용액, 락트산 수용액, 황산 수용액, 질산 수용액 또는 이들의 혼합 용액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척 단계는 1초 내지 18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3초 내지 60초 정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 이후에, 필요에 따라, 마스크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층의 제거 단계는 편광 부재로부터 마스크층을 박리시키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마스크층으로 마스크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본 단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스크층으로 코팅층을 사용한 경우에는 본 단계를 실시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마스크층의 제거 단계는 박리롤 등을 이용하여 편광 부재로부터 마스크층을 박리시키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스크층을 제거하는 단계는 후술하는 외관 교정 단계(S40)나 세정 및 건조 단계 이후에 실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외관 교정 단계(S40)를 수행한다. 탈색 용액에 침지시켜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경우, 탈색 용액에 의해 탈색 부분에 팽윤이 발생하여 편광 부재의 형태가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단계는 상기와 같이 변형된 편광 부재의 형태를 회복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즉, 외관 교정 단계는 탈색 용액에 의해 변형된 편광 부재의 외관을 회복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외관 교정 단계는 편광 부재를 가교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외관 교정 단계는 가교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교 용액은 붕산, 붕사 등과 같은 붕소 화합물; 및 숙신산, 글루타르산, 시트르산 등과 같은 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가교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예를 들면, 0.001 중량% 내지 20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003 중량% 내지 15 중량%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10 중량% 정도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교제로 붕소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교제의 함량이 0.001 중량% 내지 5 중량% 정도일 수 있으며, 가교제로 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교제의 함량이 0.001 중량% 내지 1 중량% 정도일 수 있다. 가교제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공정 수율, 편광판 외관 품질, 광학 특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하게 나타난다. 한편, 상기 가교 용액의 용매로는 물(순수)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편광판의 물성 및 색상 등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가교 용액에 요오드화 칼륨, 요오드화 리튬,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 아연, 요오드화 알루미늄, 요오드화 납,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바륨, 요오드화 칼슘, 요오드화 주석, 요오드화 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요오드화 화합물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오드화 화합물의 함량은 3 중량% 내지 5 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편광자의 내열성이나 색상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교 처리 시의 가교 용액의 온도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10℃ 내지 70℃정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5℃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정도일 수 있다. 상기 가교 용액의 온도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탈색 처리로 인한 편광 부재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편광 부재의 광학 물성이나 외관품질 등이 저하될 수 있고, 심한 경우, 편광 부재의 변형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 처리 시간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1초 내지 120초,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90초, 더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60초 정도일 수 있다. 가교 처리 시간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탈색으로 인한 편광 부재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 범위를 벗어날 경우, 편광 부재의 광학 특성이나 품질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편광 부재의 형태 변형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교제가 포함된 가교 용액에 편광 부재를 침지시킬 경우, 가교 용액 내에 포함된 붕소 화합물 또는 산에 의해 PVA 필름의 폴리비닐알코올 사슬들을 서로 결합되면서 편광 부재의 변형이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탈색 단계 이후에 상기와 같은 가교 처리를 수행할 경우, 가교 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탈색 부분의 치수 변형율이 10% 내지 70%, 일반적으로는 20% 내지 60% 정도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외관 교정 단계는 편광 부재를 중화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외관 교정 단계는 중화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화 용액은 중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중화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제한없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화 용액은 황산, 질산, 인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염산, 글루타르산 및 숙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화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중화제의 함량은, 중화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예를 들면, 0.001 중량% 내지 20 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0.003 중량% 내지 15 중량%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10 중량% 정도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또는 시트르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화제의 함량이 0.01 중량% 내지 10 중량% 정도일 수 있다. 중화제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공정 수율, 편광판 외관 품질, 광학 특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하게 나타난다. 한편, 상기 중화 용액의 용매로는 물(순수)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화 용액의 온도 및 중화 처리 시간은 각각 전술한 가교 용액의 온도 및 가교 처리 시간에 대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화 처리 시 중화 용액의 온도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5 내지 7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화 처리 시간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3초 내지 30초 정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화 용액에 편광 부재를 침지시킬 경우, 탈색 단계(S30)에서 사용된 염기 용액의 양이온이 중화 처리에 의해 제거되면서 탈색에 의해 변형된 편광 부재의 외관 변형이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외관 교정 단계는 가교 처리 단계 및 중화 처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화 처리 단계를 수행한 후에 가교 처리 단계를 수행할 수 있고, 이 경우 중화 처리에 의해 외관 변형을 교정하고 가교 처리를 통해 이를 고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탈색 단계 이후에 상기와 같은 외관 교정 단계를 수행할 경우, 외관 교정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탈색 부분의 치수 변형율이 10% 내지 70%, 일반적으로는 20% 내지 60% 정도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탈색 처리를 하면 편광 부재의 두께가 탈색 처리 이전 대비 5% 내지 30% 정도 두꺼워지게 되고, 주변부와의 두께 차이 때문에 탈색 부위가 솟아 있는 형태로 편광 부재의 외관이 변형된다. 탈색 단계 이후에 외관 교정 단계를 수행하면 편광 부재의 두께가 다시 5% 내지 30% 정도까지 감소하는 효과가 있어 탈색 단계 이전과 유사한 수준의 두께를 나타내어 주변부와의 두께 차이가 줄어들면서 외관 교정의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탈색 단계 이후에 중화 처리 단계를 수행할 경우, 순수 세정만 수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탈색 부위가 솟아 있는 형태로 변형되는 정도가 약 7% 내지 22% 정도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탈색 처리 후 편광 부재의 수축 변형으로 인해 편광 부재의 탈색 부위 중 솟아 있는 형태로 변형된 면의 반대면이 주변부 대비 가라앉는 형태를 보이나, 탈색 단계 이후에 외관 교정 단계를 수행하면 이러한 현상이 완화됨으로써 외관 교정의 효과를 보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탈색 단계 이후에 중화 처리 단계를 수행할 경우, 순수 세정만 수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주변부 대비 아래로 처지는 외관 변형 정도가 약 60% 내지 80% 정도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은 외관 교정 단계가 완료된 후에, 필요에 따라, 상기 편광 부재를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S50)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단계는 편광 부재에 잔류하는 가교 용액 및/또는 중화 용액을 세척하고, 탈색 용액으로 인한 편광 부재의 외관 변형을 추가로 교정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편광 부재의 세정 및 건조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세정 및 건조 단계는 편광 부재가 세정 롤 및 가열 롤을 통과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가열 롤은 직경이 100Φ 내지 500Φ, 바람직하게는 150Φ 내지 300Φ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가열 롤의 온도는 30℃ 내지 150℃ 정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50℃ 정도일 수 있다. 또한 가열 롤을 사용한 건조 시간은 1초 내지 60초 정도, 바람직하게는 1초 내지 30초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상기 세정 및 건조 단계에서의 가열 롤의 직경과 온도에 따라 편광 부재의 외관 변형의 교정 효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열 롤의 직경 및 온도가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경우, 편광 부재의 외관 변형이 가장 효과적으로 교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 단계에서는 가열롤 통과 없이 건조 오븐을 통과시켜 건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건조 온도는 25℃ 내지 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정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세정 및 건조단계에서 상기 건조는 상기 편광 부재를 건조 오븐에 통과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편광 부재의 표면 평활도를 추가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관 교정 단계 이후에 PVA 편광자의 일면에 평탄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탄화층은 탈색 용액이 접촉된 면(즉, 마스크층이 형성되었던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1㎛ 내지 1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정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필요에 따라, 상기 외관 교정 단계 이후에 상기 편광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광학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학층은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 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층일 수도 있고, 휘도향상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층일 수도 있으며, 하드 코팅층, 반사방지층, 접착층, 점착층과 같은 기능성층일 수도 있고,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광학층은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 면에 직접 부착 또는 형성될 수도 있고,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의 일면에 필름이나 코팅층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기 필름이나 코팅층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광학층의 형성 방법은, 형성하고자 하는 광학층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광학층 형성 방법들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그 방법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상기 편광 부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제공한다. 상기 국지적 탈색 영역은 편광 해소 영역일 수 있다. 상기 편광 해소 영역은, 가시광선 영역인 400nm 내지 8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450nm에서 750nm의 파장 대역에서의 단체 투과도가 80% 이상이고,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편광 해소 영역은 편광도가 10% 이하이고, 5%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해소 영역의 단체 투과도가 높고 편광도가 낮을수록 시인성이 향상되어, 상기 영역에 위치하게 될 카메라 렌즈 등의 성능 및 화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단체 투과도"는 편광판의 흡수축의 투과도와 투과축의 투과도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어진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단체 투과도" 및 "편광도"는 JASCO사의 V-7100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된 값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조된 본 발명의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는 장척의 필름 형태일 수 있으며, 이를 권취함으로써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롤을 제조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편광 부재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구현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도 2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편광 부재 제조 방법의 제1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은,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마스크 필름 및 임시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필름에 천공부를 가공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필름, 편광자 및 임시 보호필름을 합지하여 필름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 적층체를 탈색조에 침지시켜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 상기 필름 적층체에서 마스크 필름 및 임시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자의 외관을 교정하는 단계(가교조에 침지시켜 가교 처리하는 단계 및/또는 중화 처리시키는 단계)를; 및 상기 외관 교정 단계를 거친 편광자를 세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자를 권취하여 편광 부재 롤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필름 적층체에서 마스크 필름 및 임시보호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는 필요에 따라 외관 교정 단계나 세정 및 건조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가 권취된 롤(110'), 마스크 필름이 권취된 롤(120) 및 임시보호필름이 권취된 롤(120') 각각으로부터 편광자, 마스크 필름 및 임시보호필름을 권출시킨다. 각각의 공정은 하나의 공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별개의 공정에서 진행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마스크 필름에 천공부를 가공하는 단계 및 마스크 필름, 편광자 및 임시 보호필름을 합지하여 필름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2에는 마스크 필름의 천공부 가공이 편광자, 마스크 필름 및 임시보호필름의 합지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광자, 마스크 필름 및 임시 보호필름을 합지한 후에, 천공부 가공을 수행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천공부 가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홀 가공 장치(2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형이나 나이프를 이용하여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레이저 홀 가공 장치(200)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것이라면 그 구성요소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레이저(210), 반사거울(220, reflection mirror), F-Theta Lens(230), 빔 익스펜더(251, beam expender), 빔 쉐이퍼(252, beam shaper) 및 기재(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레이저 홀 가공장치의 적용 대상이며, 이 경우, 마스크 필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빔 쉐이퍼(252)과 빔 익스펜더(251)는 반사거울(220)과 F-Theta Lens(230)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반사거울(220)과 F-Theta Lens(230)사이에 하나만 위치하도록 표시되어 있으나, 빔 쉐이퍼(252) 및 빔 익스펜더(251) 중 어느 하나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두 개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레이저 홀 가공장치(200, 200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 6a에 나타내었다. 도 6a은 후술하는 도 3 및 도 4의 레이저 홀 가공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일 수 있다. 한편, 레이저 홀 가공장치(200)를 이용하여 천공부를 가공할 경우, 천공부에 해당하는 영역은 레이저에 의해 절취선이 형성된 상태이나, 마스크 필름에서 이탈된 상태는 아니다. 따라서, 천공부에 해당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마스크 필름 편을 제거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상기 필름편의 제거는 박리롤(140)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천공부 가공이 필름 합지 전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필름 합지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천공부가 형성된 마스크 필름/편광자/임시보호필름의 필름 적층체(130)이 형성되면, 상기 필름 적층체를 탈색 용액이 담겨져 있는 탈색조(400)에 침지시켜 편광자를 부분 탈색시킨다. 탈색 과정이 완료되면, 필름 적층체에서 마스크 필름 및 임시보호필름을 박리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박리는 박리롤(150)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박리된 마스크 필름 및 임시보호필름은 별도의 롤(160)에 권취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순서와 달리, 마스크 필름 및 임시보호필름의 박리는 외관 교정 단계 이후에 진행되거나 세정 및 건조 단계 이후에 진행될 수도 있다.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자는 중화 용액이 담겨져 있는 중화조(500)에 침지시켜 중화처리하거나, 가교 용액이 담겨져 있는 가교조(510)에 침지시켜 가교 처리를 실시한다. 혹은 중화 처리 및 가교 처리를 모두 진행할 수도 있다. 중화 처리 및/또는 가교 처리가 완료되면, 편광자를 세정롤(620)과 가열롤(660)들을 통과시켜 세정하고,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건조된 편광자를 롤에 권취시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 롤을 제조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롤에 권취시키기 전에,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학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및/또는 하드 코팅층, 반사방지층, 접착층 또는 점착층과 같은 광학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편광 부재 제조 방법의 제2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은,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 및 마스크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 필름에 천공부를 가공하는 단계; 상기 편광 부재 및 마스크 필름을 합지하여 필름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름 적층체를 탈색조에 침지시켜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 상기 필름 적층체에서 마스크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외관 교정 단계 이후 혹은 세정 및 건조 단계 이후에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를 중화조 또는 가교조에 침지, 또는 중화조 침지한 후에 가교조에 침지시켜 외관 교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가교 처리된 편광 부재를 세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권취하여 편광 부재 롤을 제조할 수 있다.
먼저,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가 권취된 롤(110) 및 마스크 필름이 권취된 롤(120)로부터 편광 부재 및 마스크 필름을 각각 권출시킨다.
그런 다음, 마스크 필름에 천공부를 가공하는 단계 및 마스크 필름과 편광 부재를 합지하여 필름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도 3에는 마스크 필름의 천공부 가공이 편광 부재와 마스크 필름의 합지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광 부재와 마스크 필름의 합지 전에 천공부 가공을 수행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천공부 가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홀 가공 장치(2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형이나 나이프를 이용하여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레이저 홀 가공 장치 (200)를 이용하여 천공부를 가공할 경우, 천공부에 해당하는 영역은 레이저에 의해 절취선이 형성된 상태이나, 마스크 필름에서 이탈된 상태는 아니다. 따라서, 천공부에 해당하는 영역에 존재하는 마스크 필름편을 제거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상기 필름편의 제거는 박리롤(140)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천공부 가공이 필름 합지 전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필름 합지 후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천공부가 형성된 마스크 필름/편광 부재의 필름 적층체(130)이 형성되면, 상기 필름 적층체를 탈색 용액이 담겨져 있는 탈색조(400)에 침지시켜 편광 부재를 부분 탈색시킨다. 탈색 과정이 완료되면, 필름 적층체에서 마스크 필름을 박리시켜 제거한다. 이때, 상기 박리는 박리롤(150) 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박리된 마스크 필름은 별도의 롤(160)에 권취될 수 있다.(마스크 필름 박리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관 교정 단계 또는 세정 및 건조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후 편광자는 중화 용액이 담겨져 있는 중화조(미도시)에 침지시켜 중화처리하거나 가교 용액이 담겨져 있는 가교조(510)에 침지시켜 가교처리하고, 중화 및/또는 가교 처리가 완료되면, 편광 부재를 세정롤(620)과 가열롤(660)들에 통과시켜 세정하고,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건조된 편광 부재를 롤에 권취시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 롤을 제조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편광 부재 롤에 권취시키기 전에, 편광 부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학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및/또는 하드 코팅층, 반사방지층, 접착층 또는 점착층과 같은 광학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중화조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외관 교정 단계는 중화조에 침지하는 단계 및/또는 가교조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편광 부재 제조 방법의 제3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은,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지 코팅층에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천공부가 형성된 수지 코팅층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탈색조에 침지시켜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를 가교조에 침지시켜 가교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가교 처리된 편광 부재를 세정 및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권취하여 편광 부재 롤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교 처리하는 단계는 중화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중화 처리하는 단계로 대체될 수 도 있다.
먼저,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부착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가 권취된 롤(110)로부터 편광 부재를 권출한다.
그런 다음, 상기 편광자의 투명 고분자 필름이 부착되지 않은 면에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1200), 광 또는 열 등을 이용하여 경화(1400)시켜 수지 코팅층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수지 코팅층에 천공부를 가공한다. 이때, 상기 천공부 가공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홀 가공 장치(20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천공부가 형성된 수지 코팅층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가 형성되면, 상기 편광 부재를 탈색 용액이 담겨져 있는 탈색조(400)에 침지시켜 부분 탈색시킨다. 탈색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편광 부재를 가교 용액이 담겨져 있는 가교조(500)에 침지시켜 가교처리하고, 가교 처리가 완료되면, 편광 부재를 세정롤(620)과 가열롤(660)들에 통과시켜 세정하고, 건조시킨다. 이 때, 가교 용액 대신에 중화 용액을 사용하여 중화 처리할 수도 있으며, 가교 처리와 중화 처리를 모두 수행하여도 무방하다. 그런 다음, 상기 건조된 편광 부재를 롤에 권취시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 롤을 제조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편광 부재 롤에 권취시키기 전에, 편광 부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광학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및/또는 하드 코팅층, 반사방지층, 접착층 또는 점착층과 같은 광학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편광 부재 롤로부터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매엽형 편광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매엽형 편광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롤로부터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부재를 칩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롤로부터 편광 부재를 권출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절단 단계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레이저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형이나 나이프를 이용하여 편광 부재를 절단할 경우, 절단된 편광 부재에서 탈색 영역이 동일한 위치를 갖도록 조절하는 것이 쉽지 않아, 불량 발생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하여 절단할 경우, 금형이나 나이프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편광 부재의 형상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편광 부재를 절단할 경우, 편광 부재의 네 모서리의 형상을 서로 다르게 한다든지, 직선이 아닌 곡선 형상으로 절단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 부재의 탈색 영역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탈색 영역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절단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절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색 영역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는 CCD 카메라와 같은 비전(VISION) 장치(30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탈색 영역의 위치는, 예를 들면, 탈색 영역의 중앙과 같은 특정 위치일 수 있다. 한편, 필수적인 것은 아니나, 절단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비전(VISION) 장치(3000)는 탈색 영역의 위치 외에도 편광 부재의 말단 위치 또는 진행 방향 등을 인식하도록 설정되거나, 또는 편광 부재의 말단 위치나 진행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비전 장치(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탈색 영역의 위치를 이용하여, 편광 부재의 절단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 단계는 비전 장치(3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산 장치(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설정된 절단 위치 정보는 레이저 장치(4000)로 전송된다. 그런 다음, 레이저 장치(4000)에서 상기 절단 위치 정보대로 편광 부재를 절단한다. 또한, 레이저 장치(4000)의 구체적인 구조를 도 6b에 나타내었다. 도 6b는 도 5의 레이저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편광 부재를 절단할 경우, 탈색 영역의 위치로부터 절단 위치가 설정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매엽형 편광 부재에 있어서 탈색 영역의 위치가 동일하게 되고, 그 결과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품질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편광 부재가 절단되면, 박리롤(500) 등을 이용하여 절단된 매엽형 편광 부재(7000)와, 나머지 부분(6000)을 분리시킴으로써 매엽형 편광 부재(7000)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매엽형 편광 부재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매엽형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국지적 탈색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편광 해소 영역일 수 있으며, 편광 해소 영역의 단체 투과도 및 편광도는 전술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광판의 편광 해소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단체 투과도가 40% 내지 47%인 것이 바람직하며, 41% 내지 46%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편광판의 편광 해소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편광도가 99%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편광 해소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본래의 편광판 기능을 함으로써, 상기 범위와 같은 우수한 광학 물성을 나타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 편광판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상차 필름, 하드 코팅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부착되어 있는 전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 패널, 플라즈마 패널 및 유기발광 패널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및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LED)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및 이 액정 패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편광판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예를 들어,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없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의 편광 해소 영역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일 수 있다.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도가 향상되고 편광도가 해소된 편광 해소 영역에 카메라 모듈을 위치시킴으로써, 카메라 렌즈부의 시인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과정 1. 연신된 편광소자에 일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riAcethyl Cellulose; TAC) 필름을 UV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하고, 반대면에는 편광 소자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PET 필름을 접착하지 않은 상태로 편광 소자와 합판한다. 편광 소자에 사용되는 PVA 필름은 Kuraray 社의 상용품을 사용하였다.
과정 2. 편광 필름의 표면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보호용 PET 필름을 사용하여 마스크 필름을 제작하였다. 보호용 PET 필름은 PET/ 점착제/ 이형필름이 합지되어 있는 구조로, 레이저 설비를 사용하여 원하는 부위에 천공부를 형성하였다. 천공부가 형성된 마스크 필름의 이형필름을 벗겨내고, 과정 1 에서 제조된 편광 소자에 접착되지 않은 상태로 붙어 있던 PET 필름을 제거하여 편광 소자를 노출시킨 후 마스크 필름을 점착체를 이용하여 편광 소자에 부착하여 편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과정 3. KOH(수산화칼륨) 10% 용액에 과정 2에 따라 제조된 편광 부재를 침지시킨 후에 시트르산(citric acid) 3% 용액으로 중화 처리하는 단계를 거친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KOH 용액의 온도는 50℃, 처리 시간은 15초 조건으로 침지하였으며, 침지 후에는 필름을 20℃의 순수로 세정 한 후 25의 시트르산 3% 용액에 10초 간 침지시켜 중화 처리를 실시했다. 중화 처리 후에도 잔류된 산 용액을 제거하기 위해 20℃의 순수로 세정을 실시하였다. 중화 처리 이후에는 마스크층을 제거하고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50℃ 조건에서 30초 간 건조 오븐을 통과시켜 건조를 진행하였다.
<비교예 1>
중화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편광 부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편광 부재에 비교하여,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편광 부재의 부분 탈색 부위의 외관 변형 정도가 완화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탈색 부분의 부푼 정도를 비교한 결과이며, 구체적으로, 레이저 현미경으로 탈색 부분이 부풀어 올라 솟아오른 높이를 측정한 결과이다.
한편, 도 8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탈색 부분의 처진 정도를 비교한 결과이며, 구체적으로, 레이저 현미경으로 탈색 부분이 주변부에 비해 처진 깊이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 및 도8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와 같이, 부분 탈색 단계 이후에 외관 교정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편광 부재의 외관 변형을 완화하여 결과적으로 치수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10': PVA 편광자 롤
110 : 편광 부재 롤
120 : 마스크 필름 롤
120': 임시보호필름 롤
130 : 필름 적층체
140 : 박리 롤
150 : 박리 롤
160 : 권취 롤
170 :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 롤
180 :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
200, 2000 : 레이저 홀 가공 장치
210, 2100, 4100 : 레이저
220, 2200, 4200 : 반사거울 (스케너 미러: X/Y축)
230, 2300, 4300 : F-Theta Lens
2310: 집광 렌즈
240, 2400, 4400 : 기재
251, 2501, 4501 : 빔 익스펜더 (beam expender)
252, 2502, 4502 : 빔 쉐이퍼 (beam shaper)
260: 스캐너
300 : 라미네이팅 롤
400 : 탈색조
500 : 중화조
510 : 가교조
600 : 세정 및 건조조
620 : 세정 롤
640 : 건조조
660 : 가열 롤
1200 : 수지 조성물
1400 : 광 또는 열
3000 : 비전(VISION) 장치
4000 : 레이저 장치
5000 : 박리 롤
6000 : 매엽형 편광 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7000 : 매엽형 편광 부재

Claims (28)

  1. 요오드 및 이색성 염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크층이 형성된 편광 부재를 탈색 용액에 침지시켜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외관 교정 단계를 포함하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마스크 필름에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마스크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필름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필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 필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필름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필름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편광 부재의 일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층의 일부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고분자 수지 조성물 또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레이저 가공을 통해 수행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부재의 타면에 임시보호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필름,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 필름,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필름 또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필름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색 용액은 pH 11 내지 14인 강염기 용액인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색 용액은 수산화나트륨(NaOH), 황산화나트륨(NaSH), 아지트화나트륨(NaN3), 수산화칼륨(KOH), 황산화칼륨(KSH) 및 티오황산칼륨(KS2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탈색제를 포함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색 용액 내의 탈색제 농도가 1 중량% 내지 30 중량%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는, 10℃ 내지 70℃의 탈색 용액 내에서 1초 내지 60초 동안 수행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용액을 포함하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탈색시키는 단계 이후에 마스크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외관 교정 단계는 편광 부재를 가교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용액은 붕산, 붕사, 숙신산, 글루타르산, 및 시트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외관 교정 단계는 편광 부재를 중화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 용액은 황산, 질산, 인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염산, 글루타르산 및 숙신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중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탈색된 편광 부재의 외관 교정 단계는 가교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 및 중화 용액에 침지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교정 단계 이후에 상기 편광 부재를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건조는 직경이 100Φ 내지 500Φ인 가열롤(heating roll)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롤의 온도는 30℃ 내지 150℃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및 건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건조는 상기 편광 부재를 건조 오븐에 통과시키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교정 단계 이후에 상기 편광 부재의 적어도 일면에 광학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층은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휘도향상필름,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층, 접착층 또는 이들의 조합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25. 청구항 1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26. 청구항 25에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롤로부터 편광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부재를 칩 형상으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편광 부재의 탈색 영역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탈색 영역의 위치를 기초로 절단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및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절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60143415A 2014-03-26 2016-10-31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02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614 2014-03-26
KR1020140035619 2014-03-26
KR20140035614 2014-03-26
KR20140035619 2014-03-26
KR1020140080491 2014-06-30
KR20140080491 2014-06-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822A Division KR20150111879A (ko) 2014-03-26 2015-03-25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819A true KR20160129819A (ko) 2016-11-09
KR102002369B1 KR102002369B1 (ko) 2019-07-23

Family

ID=54195982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789A KR20150111878A (ko) 2014-03-26 2015-03-25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50041324A KR101953171B1 (ko) 2014-03-26 2015-03-25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20150041822A KR20150111879A (ko) 2014-03-26 2015-03-25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60143438A KR101964602B1 (ko) 2014-03-26 2016-10-31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20160143415A KR102002369B1 (ko) 2014-03-26 2016-10-31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70027923A KR101964604B1 (ko) 2014-03-26 2017-03-03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789A KR20150111878A (ko) 2014-03-26 2015-03-25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50041324A KR101953171B1 (ko) 2014-03-26 2015-03-25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KR1020150041822A KR20150111879A (ko) 2014-03-26 2015-03-25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KR1020160143438A KR101964602B1 (ko) 2014-03-26 2016-10-31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편광판 및 화상표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923A KR101964604B1 (ko) 2014-03-26 2017-03-03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359553B2 (ko)
EP (2) EP3125007B1 (ko)
JP (8) JP6366712B2 (ko)
KR (6) KR20150111878A (ko)
CN (3) CN105229506B (ko)
TW (3) TWI620961B (ko)
WO (3) WO201514755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244A (ko) * 2015-06-25 2018-01-3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의 제조 방법
WO2020040569A1 (ko) * 2018-08-22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스크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그 편광판
WO2020040570A1 (ko) * 2018-08-22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스크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WO2020040568A1 (ko) * 2018-08-22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스크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210107665A (ko) * 2018-12-25 2021-09-0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675109B2 (en) 2019-09-30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0449B2 (ja) 2013-11-14 2016-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US10359553B2 (en) 2014-03-26 2019-07-23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having locally depolarized area, and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same
JP6214594B2 (ja) *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15864B2 (ja) *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215865B2 (ja) *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JP6215261B2 (ja) *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子、長尺状の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713189B2 (ja) 2014-06-27 2020-06-24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フィルム積層体
JP6215262B2 (ja) *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子の製造方法
JP6514464B2 (ja) * 2014-09-03 2019-05-15 日東電工株式会社 非偏光部を有する偏光子の製造方法
JP6604714B2 (ja) * 2014-09-03 2019-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JP6450545B2 (ja) * 2014-09-03 2019-01-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JP6621579B2 (ja) * 2014-09-03 2019-12-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該偏光フィルム積層体を用いた非偏光部を有する偏光子の製造方法
JP2016053633A (ja) * 2014-09-03 2016-04-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6517484B2 (ja) * 2014-09-12 2019-05-22 日東電工株式会社 非偏光部を有する偏光子の製造方法
JP6555864B2 (ja) * 2014-09-12 2019-08-07 日東電工株式会社 非偏光部を有する偏光子の製造方法
JP6138755B2 (ja) * 2014-12-24 2017-05-3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JP6152127B2 (ja) 2015-02-16 2017-06-2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7533182B (zh) * 2015-05-13 2020-12-11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片的制造方法
JP7163000B2 (ja) * 2015-06-25 2022-10-31 日東電工株式会社 非偏光部を有する偏光子
JP6872309B2 (ja) * 2015-06-25 2021-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
JP6412476B2 (ja) * 2015-09-28 2018-10-2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422415B2 (ja) 2015-09-28 2018-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351559B2 (ja) * 2015-09-28 2018-07-0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704230B2 (ja) * 2015-09-30 2020-06-03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偏光子の検査方法、検査システムおよび製造方法
JP6604805B2 (ja) * 2015-09-30 2019-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検査方法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6695670B2 (ja) * 2015-09-30 2020-05-20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6872312B2 (ja) * 2015-09-30 2021-05-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JP6556008B2 (ja) * 2015-09-30 2019-08-07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偏光子の検査方法
JP6619619B2 (ja) * 2015-11-04 2019-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偏光子の製造方法
US10302983B2 (en) * 2016-03-29 2019-05-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input/output device, and data processor
KR20180064602A (ko) * 2016-12-05 2018-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절단 장치 및 편광판 절단 방법
EP3339008A1 (en) 2016-12-21 2018-06-27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and an optical lens
KR20180081197A (ko) * 2017-01-05 2018-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제조방법 및 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JP7178776B2 (ja) * 2017-09-15 2022-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272957B2 (ja) * 2017-10-27 2023-05-1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フィルム
CN115469392A (zh) * 2017-10-27 2022-12-13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膜的制造方法及偏光膜
CN111279231A (zh) * 2017-10-27 2020-06-1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膜及其制造方法
KR102126053B1 (ko) * 2017-12-19 2020-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126054B1 (ko) * 2017-12-21 2020-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7191578B2 (ja) * 2018-08-01 2022-12-1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020973A (ja) * 2018-08-01 2020-02-0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0024240A (ja) * 2018-08-06 2020-02-13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
KR102161885B1 (ko) * 2018-08-20 2020-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WO2020066125A1 (ja) * 2018-09-25 2020-04-0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偏光板を含む画像表示装置
CN111257987A (zh) * 2018-11-30 2020-06-09 夏普株式会社 偏光板、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N113167963B (zh) * 2018-12-11 2023-08-11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膜及其制造方法
WO2020137839A1 (ja) * 2018-12-25 2020-07-02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125563A (zh) * 2019-04-30 2019-08-16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除偏振片碘分子层的方法
WO2020242517A1 (en) * 2019-05-28 2020-12-03 Google Llc Oled display with locally transmissive polarizer
CN112114395A (zh) * 2019-06-20 2020-12-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偏光片、显示模组、终端和偏光片的制备方法
JP7292130B2 (ja) * 2019-06-28 2023-06-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及び偏光子の製造装置
KR20220038354A (ko) * 2019-07-31 2022-03-2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576988B1 (ko) * 2019-08-02 2023-09-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488407B (zh) * 2019-08-05 2021-09-03 深圳市三利谱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局部具有偏振差异的偏光片及其制备方法
KR102593639B1 (ko) * 2020-03-09 2023-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10115604A (ko) 2020-03-13 2021-09-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5127A (ko) 2020-04-07 2021-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제조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20010686A (ko) 2020-07-17 2022-01-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036403A (ko) * 2020-09-14 2022-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91795B1 (ko) * 2021-04-19 2023-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자,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7337617A (zh) 2021-06-09 2024-01-02 三菱电机株式会社 柔性印刷基板
CN113777689B (zh) * 2021-09-24 2023-07-18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去偏光方法、偏光板及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756A (en) * 1977-10-05 1980-01-01 Fergason James L Process for increasing display brightness of liquid crystal displays by bleaching polarizers using screen-printing techniques
US4396646A (en) * 1981-07-20 1983-08-02 Polaroid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patterned polarizers
KR20100125537A (ko) * 2009-05-21 2010-12-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의 제조방법, 편광격자 스크린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KR20120046035A (ko) * 2010-10-29 2012-05-09 애플 인크. 전자 장치용의 편광기 윈도 및 불투명 마스킹 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KR20130080869A (ko) * 2009-05-01 2013-07-1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및 적층체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5581A (en) * 1943-12-09 1948-07-20 Polaroid Corp Treatment of polarizing polyvinyl alcohol-iodine sorption complex image with boric acid
US4420552A (en) * 1981-03-16 1983-12-13 Richard M. Peck Method of producing printed images with a color facsimile printing device
US4466704A (en) * 1981-07-20 1984-08-21 Polaroid Corporation Patterned polarizer having differently dyed areas
JPS5821705A (ja) * 1981-08-03 1983-02-08 Hitachi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JPS5862381A (ja) 1981-10-08 1983-04-13 Akihiro Niihata 浮ぶ下掛水車の,水力発電装置
JPS5862381U (ja) 1981-10-23 1983-04-26 日東電工株式会社 固定表示用偏光板
JPS6036563B2 (ja) 1982-03-29 1985-08-21 日東電工株式会社 部分偏光フイルムの製法
JPS5865076A (ja) 1982-07-15 1983-04-18 株式会社旭化成テキスタイル バツクスキン調織物
JPS6321990A (ja) 1986-07-07 1988-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エツト抜染方法
JPS63265203A (ja) 1987-04-23 1988-11-01 Nippon Kayaku Co Ltd 立体テレビ用偏光膜積層体及びその製法
US5537144A (en) 1990-06-11 1996-07-16 Revfo, Inc. Electro-optical display system for visually displaying polarized spatially multiplexed images of 3-D objects for use in stereoscopically viewing the same with high image quality and resolution
US5327285A (en) 1990-06-11 1994-07-05 Faris Sadeg M Methods for manufacturing micropolarizers
JPH095519A (ja) 1995-06-20 1997-01-10 Nippon Kayaku Co Ltd 偏光板
JP2002040247A (ja) * 2000-07-21 2002-02-06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281261B2 (ja) * 2000-09-21 2009-06-17 住友化学株式会社 ヨウ素系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58051A (ja) 2001-03-05 2002-09-11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593827B2 (ja) 2001-05-28 2010-12-08 西工業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0467807B1 (ko) * 2001-10-09 2005-01-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촉매를 함유하는 기능성 벽지
CN100394223C (zh) * 2003-04-21 2008-06-11 日东电工株式会社 偏振镜及其制造方法、偏振片、光学薄膜和图像显示装置
AU2004285410B2 (en) * 2003-08-06 2011-04-14 Senomyx, Inc. Novel flavors, flavor modifiers, tastants, taste enhancers, umami or sweet tastants, and/or enhancers and use thereof
JP2005084506A (ja) * 2003-09-10 2005-03-31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光学積層体
EP1555549A3 (en) 2004-01-19 2006-08-02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Fabrication process of color filters, inks, color filters, and image displays using the color filters
JP4623500B2 (ja) 2004-01-19 2011-02-02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TWI264597B (en) * 2004-03-12 2006-10-21 Optimax Tech Corp Preprocess method for a plastic film in a polarizing plate
JP2005266502A (ja) 2004-03-19 2005-09-29 Fuji Photo Film Co Ltd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211213A (ja) 2004-05-21 2010-09-24 Nitto Denko Corp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US20060048798A1 (en) 2004-09-09 2006-03-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of cleaning optical substrates
TWI388888B (zh) 2005-03-10 2013-03-11 Nippon Kayaku Kk 碘系偏光膜、其製造方法及使用該碘系偏光膜之偏光板以及使用該偏光板之液晶顯示裝置
US20080192345A1 (en) 2005-03-10 2008-08-14 Noriaki Mochizuki Iodine Polarizing Film,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JPWO2007043385A1 (ja) * 2005-10-12 2009-04-16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垂直配向型液晶表示装置
US20070141244A1 (en) 2005-12-19 2007-06-21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making a polarizer plate
JP5553468B2 (ja) * 2006-10-05 2014-07-16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943361B2 (ja) * 2007-03-08 2012-05-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補償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072747B2 (ja) * 2007-07-25 2012-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1802070B (zh) 2007-08-31 2012-07-18 日本合成化学工业株式会社 交联剂、交联聚合物及其用途
JP2009098636A (ja) 2007-09-27 2009-05-07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073589B2 (ja) * 2007-12-13 2012-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221164B2 (ja) * 2008-02-15 2013-06-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US20090219465A1 (en) * 2008-02-29 2009-09-03 Infinite Z, Inc. Polarizing Display Device
TWI541569B (zh) * 2008-03-31 2016-07-11 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偏光板的製造裝置及製造方法
JP5198164B2 (ja) 2008-06-23 2013-05-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アルカリ鹸化ポリマーフィルムの製造方法、アルカリ鹸化ポリマー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
KR101011482B1 (ko) * 2008-07-12 2011-01-31 주식회사 에이원마이크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라인 컷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디스플레이 패널 제조방법
US20100125537A1 (en) * 2008-11-20 2010-05-20 Baeke John 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surance
KR20100087837A (ko) 2009-01-29 2010-08-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 이의 제조방법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JP2010189814A (ja) * 2009-02-19 2010-09-02 Asahi Kasei Fibers Corp 薬液含浸シート
US20160025910A1 (en) 2009-05-01 2016-01-28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polarizer
KR20100125558A (ko) 2009-05-21 2010-12-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의 제조방법, 편광격자 스크린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KR20100125560A (ko) 2009-05-21 2010-12-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의 제조방법, 편광격자 스크린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JP5798921B2 (ja) 2009-08-21 2015-10-21 帝人株式会社 射出成形用加飾シート
KR101704555B1 (ko) 2010-04-16 2017-02-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자의 제조방법
US9040129B2 (en) 2010-04-26 2015-05-26 Fujifilm Corporation Protective film of polarizer, polarizer and method for producing 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1135638A1 (ja) * 2010-04-30 2011-11-03 Iwata Shuji 表示素子と表示装置
CN102311552A (zh) * 2010-06-10 2012-01-11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制备偏振片的方法
TW201213096A (en) 2010-09-20 2012-04-01 Benq Materials Corp Film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of applying the same
JP2012126127A (ja) 2010-11-22 2012-07-05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並びに、光学フィルム積層体
JP5652951B2 (ja) 2011-01-20 2015-01-14 日本化薬株式会社 重合性樹脂組成物より得られる層を設けた高耐久性偏光板
US8525405B2 (en) 2011-08-19 2013-09-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glass polarizers
KR101937280B1 (ko) * 2011-11-15 2019-01-10 가부시키가이샤 아데카 연신 광학 보상 필름
JP5616318B2 (ja) * 2011-12-12 2014-10-2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の製造方法
KR101688288B1 (ko) 2012-04-24 2016-12-20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제조 방법
US20150146294A1 (en) * 2012-05-23 2015-05-28 Konica Minolta, Inc. Polarizing plate, fabrication method fo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EP2735600B1 (en) 2012-07-18 2018-01-17 DIC Corporation Nematic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ing same
KR20150046204A (ko) 2012-08-24 2015-04-29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가변 굴절률 광 추출 층 및 그의 제조 방법
JP5615987B2 (ja) 2013-02-07 2014-10-2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光学積層体
JP2014191050A (ja) * 2013-03-26 2014-10-06 Nitto Denko Corp 偏光子のレーザー加工方法
JP6036563B2 (ja) 2013-06-14 2016-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貯湯式給湯機
KR20150037550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판 및 그 제조 방법
US9618669B2 (en) 2013-11-08 2017-04-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polarizer windows
US20150160390A1 (en) 2013-12-10 2015-06-11 Apple Inc. Display Having Polarizer with Unpolarized Strip
KR20150086159A (ko) * 2014-01-17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자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자 및 편광판
US10359553B2 (en) 2014-03-26 2019-07-23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having locally depolarized area, and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same
JP6215864B2 (ja)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子、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181111B2 (ja) 2014-06-27 2017-08-16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6003105A1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국지적으로 편광 해소 영역을 갖는 편광판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
US20170254939A1 (en) * 2014-10-06 2017-09-07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using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1756A (en) * 1977-10-05 1980-01-01 Fergason James L Process for increasing display brightness of liquid crystal displays by bleaching polarizers using screen-printing techniques
US4396646A (en) * 1981-07-20 1983-08-02 Polaroid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patterned polarizers
KR20130080869A (ko) * 2009-05-01 2013-07-15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및 적층체
KR20100125537A (ko) * 2009-05-21 2010-12-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격자 스크린의 제조방법, 편광격자 스크린 및 이것이 구비된 3차원 화상표시장치
KR20120046035A (ko) * 2010-10-29 2012-05-09 애플 인크. 전자 장치용의 편광기 윈도 및 불투명 마스킹 층을 갖는 디스플레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1244A (ko) * 2015-06-25 2018-01-3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의 제조 방법
TWI709479B (zh) * 2015-06-25 2020-11-11 日商日東電工股份有限公司 偏光件之製造方法、偏光件、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WO2020040569A1 (ko) * 2018-08-22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스크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그 편광판
WO2020040570A1 (ko) * 2018-08-22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스크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WO2020040568A1 (ko) * 2018-08-22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스크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200022090A (ko) *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스크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TWI738040B (zh) * 2018-08-22 2021-09-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遮罩膜、偏光板及其製備方法以及影像顯示裝置
US11623420B2 (en) 2018-08-22 2023-04-11 Lg Chem,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using mask film and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by same
KR20210107665A (ko) * 2018-12-25 2021-09-0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자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675109B2 (en) 2019-09-30 2023-06-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539371A (ja) 2016-12-15
US20160299271A1 (en) 2016-10-13
CN105229505B (zh) 2018-01-16
CN105247395B (zh) 2018-09-14
EP3125006B1 (en) 2019-11-13
WO2015147551A1 (ko) 2015-10-01
WO2015147553A1 (ko) 2015-10-01
EP3125007B1 (en) 2021-05-05
TWI620961B (zh) 2018-04-11
TW201602653A (zh) 2016-01-16
US20160377777A1 (en) 2016-12-29
JP6820873B2 (ja) 2021-01-27
TWI611221B (zh) 2018-01-11
KR20150111871A (ko) 2015-10-06
US10359553B2 (en) 2019-07-23
EP3125007A1 (en) 2017-02-01
KR20150111879A (ko) 2015-10-06
CN105229506B (zh) 2018-07-03
WO2015147552A1 (ko) 2015-10-01
JP2019144600A (ja) 2019-08-29
EP3125006A1 (en) 2017-02-01
JP2018010322A (ja) 2018-01-18
EP3125007A4 (en) 2017-11-15
CN105229505A (zh) 2016-01-06
KR101964604B1 (ko) 2019-04-02
JP2018088004A (ja) 2018-06-07
JP6839060B2 (ja) 2021-03-03
JP2016538599A (ja) 2016-12-08
JP2017500606A (ja) 2017-01-05
KR101964602B1 (ko) 2019-04-02
CN105229506A (zh) 2016-01-06
KR20160128980A (ko) 2016-11-08
TW201602654A (zh) 2016-01-16
TW201602652A (zh) 2016-01-16
JP6336075B2 (ja) 2018-06-06
KR102002369B1 (ko) 2019-07-23
TWI589939B (zh) 2017-07-01
CN105247395A (zh) 2016-01-13
US10429560B2 (en) 2019-10-01
KR20170028349A (ko) 2017-03-13
US10436960B2 (en) 2019-10-08
EP3125006A4 (en) 2017-11-15
JP2021015288A (ja) 2021-02-12
KR20150111878A (ko) 2015-10-06
JP2018088005A (ja) 2018-06-07
US20160299272A1 (en) 2016-10-13
KR101953171B1 (ko) 2019-02-28
JP6366712B2 (ja)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369B1 (ko) 국지적 탈색 영역을 포함하는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편광 부재 롤의 제조 방법 및 매엽형 편광 부재의 제조 방법
JP7069245B2 (ja) 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401377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脱色溶液
WO2015199217A1 (ja) 長尺状の偏光子の製造方法
TW201706640A (zh) 偏光件
KR102161885B1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JP2020024240A (ja) 偏光子の製造方法
KR102161886B1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KR20200021335A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편광판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