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301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301A
KR20160124301A KR1020150053924A KR20150053924A KR20160124301A KR 20160124301 A KR20160124301 A KR 20160124301A KR 1020150053924 A KR1020150053924 A KR 1020150053924A KR 20150053924 A KR20150053924 A KR 20150053924A KR 20160124301 A KR20160124301 A KR 20160124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peripheral
crack sensing
layer
sens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189B1 (ko
Inventor
전희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3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189B1/ko
Priority to US14/944,686 priority patent/US10026793B2/en
Priority to CN201610227270.5A priority patent/CN106057853B/zh
Publication of KR2016012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01L27/325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7/323
    • H01L27/324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H01L2227/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부재,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댐, 상기 복수개의 댐 중 제1 댐의 일부와 상기 유기 발광 부재를 덮고 있는 박막 봉지층, 상기 표시 영역의 박막 봉지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 감지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크랙 감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전극과 그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층과 이를 구동하는 화소 회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부재를 포함하며, 하나의 전극인 캐소드(cathode)로부터 주입된 전자(electron)와 다른 전극인 애노드(anode)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를 형성하고, 여기자가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부재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유기 발광 부재를 봉지(encapsulation)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며, 유리 기판과 실런트로 봉지하거나, 유기막과 무기막을 한층 이상 교대로 적층한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TFE)으로 봉지하고 있다.
이러한 박막 봉지층을 이루는 막 중 용액 공정으로 형성되는 유기막은 경화되기 전까지는 유동성을 가지는 유기물이며, 과도포된 경우에는 표시 영역을 벗어나 흘러 넘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 영역의 주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댐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 중 댐에 크랙(crack)이 발생할 경우, 크랙을 통해 유기물이 주변 영역으로 유출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불량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댐에 발생하는 크랙을 보다 완벽하게 검출하여 불량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부재,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댐, 상기 복수개의 댐 중 제1 댐의 일부와 상기 유기 발광 부재를 덮고 있는 박막 봉지층, 상기 표시 영역의 박막 봉지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 감지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크랙 감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은 상기 복수개의 댐 중 상기 화소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댐은 상기 복수개의 화소를 둘러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크랙 감지 부재는 상기 제1 댐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부 크랙 감지선, 상기 주변 영역의 박막 봉지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상부 크랙 감지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크랙 감지선은 상기 터치 감지 부재와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부재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상기 반도체 및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층간 절연막, 상기 층간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덮고 있는 화소 보호막, 상기 화소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격벽,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층간 절연막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과 상기 제1 상부 크랙 감지선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댐은 상기 화소 보호막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화소 보호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주변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봉지층의 일부 층은 상기 제1 주변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주변 보호막과 상기 박막 봉지층을 관통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댐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댐을 둘러싸고 있는 제2 댐, 상기 제2 댐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댐을 둘러싸고 있는 제3 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댐은 상기 제1 주변 보호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주변 보호막, 상기 제2 주변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주변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댐은 상기 제1 주변 보호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주변 보호막, 상기 제3 주변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주변 격벽, 상기 제2 주변 격벽 위에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크랙 감지 부재, 상기 제3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3 크랙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크랙 감지 부재는 상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하부 크랙 감지선, 상기 제2 주변 격벽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상부 크랙 감지선, 상기 제2 하부 크랙 감지선과 상기 제2 상부 크랙 감지선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크랙 감지 부재는 상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3 하부 크랙 감지선, 상기 스페이서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상부 크랙 감지선, 상기 제3 하부 크랙 감지선과 상기 제3 상부 크랙 감지선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제3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주변 보호막 및 상기 제2 주변 격벽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제3 연결 부재는 상기 제3 주변 보호막, 상기 제3 주변 격벽 및 상기 스페이서를 관통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크랙 감지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제1 댐의 전체 영역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여 유기막의 유출 발생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 부재와 동일한 층에 제1 상부 크랙 방지선을 형성함으로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제1 댐 전체 영역의 크랙을 검출할 수 있는 제1 크랙 감지 부재를 형성할 수 있어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댐에 대응하는 영역에 크랙 방지 부재를 모두 형성함으로써 유기물의 유출을 보다 완벽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및주변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 부재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터치 감지 부재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및주변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발명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 상에" 또는 "~ 위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1개의 커패시터(capacitor)를 구비하는 2 트랜지스터 1 커패시터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에 복수개의 트랜지스터와 하나 이상의 커패시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거나 기존의 배선이 생략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 부재의 등가 회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터치 감지 부재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P), 표시 영역(P)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영역(S)을 포함하는 기판(110), 기판(110)의 표시 영역(P)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화소(PX)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부재(200), 기판(110)의 주변 영역(S)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댐(D1, D2, D3), 유기 발광 부재(200)와 복수개의 댐 중 제1 댐(D1)의 일부를 덮고 있는 박막 봉지층(300), 표시 영역(P)의 박막 봉지층(300) 위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 감지 부재(400), 제1 댐(D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크랙 감지 부재(5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부재(200)는 복수개의 신호선(121, 171, 172), 복수개의 신호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행렬(matrix)의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의 화소(PX)를 포함한다.
신호선(121, 171, 172)은 스캔 신호(Sn)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스캔선(121), 스캔선(121)과 교차하며 데이터 신호(Dm)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데이터선(171), 그리고 구동 전압(ELVDD)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구동 전압선(172)을 포함한다. 스캔선(121)은 대략 행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데이터선(171)과 구동 전압선(172)은 대략 열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각 화소(PX)는 복수개의 신호선(121, 171, 17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트랜지스터(T1, T2),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D)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T1, T2)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T1),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T2)을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캔선(12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데이터선(171)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구동 트랜지스터(T2)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스캔선(121)에 인가되는 스캔 신호(Sn)에 응답하여 데이터선(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Dm)를 구동 트랜지스터(T2)에 전달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 또한 제어 단자,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가지는데, 제어 단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에 연결되어 있고, 입력 단자는 구동 전압선(1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 단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제어 단자와 출력 단자 사이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지는 구동 전류(Id)를 흘린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와 입력 단자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제어 단자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스위칭 트랜지스터(T1)가 턴 오프(turn off)된 뒤에도 이를 유지한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애노드(anode), 공통 전압(ELVSS)에 연결되어 있는 캐소드(cathode)를 가진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는 구동 트랜지스터(T2)의 구동 전류(Id)에 따라 세기를 달리하여 발광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2)는 n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 또는 p 채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그리고, 트랜지스터(T1, T2),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의 연결 관계는 바뀔 수 있다.
한편, 제1 댐(D1)은 복수개의 댐 중 화소(PX)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제1 댐(D1)은 복수개의 화소(PX)를 둘러싸고 있다. 제2 댐(D2)은 제1 댐(D1)과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댐(D1)을 둘러싸고 있고, 제3 댐(D3)은 제2 댐(D2)과 이격되어 있으며 제2 댐(D2)을 둘러싸고 있다. 제1 댐(D1), 제2 댐(D2) 및 제3 댐(D3)은 박막 봉지층(300)을 이루는 유기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댐, 제2 댐 및 제3 댐의 3개의 댐을 형성하였으나,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댐은 1개 또는 4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감지 부재(400)는 제1 방향(Y)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제1 터치 전극(410),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X)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터치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개의 제2 터치 전극(420)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410)은 마름모 형상의 전극 패턴이 제1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X축 좌표값을 감지하는 제1 터치 신호가 전달되는 Rx 전극(Receiver electrode)에 해당한다. 이러한 제1 터치 전극(410)은 마름모 형상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제1 터치 중첩부(415)를 가진다.
복수개의 제2 터치 전극(420)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2 터치 전극(420)은 마름모 형상의 전극 패턴을 가진다.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 사이에는 인접한 제2 터치 전극(42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4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제2 터치 전극(420)은 Y축 좌표값을 감지하는 제2 터치 신호가 전달되는 Tx 배선(Transmitter electrode)에 해당한다. 제1 터치 전극(410)의 제1 터치 중첩부(415) 위에는 터치 절연 부재(430)가 형성되어 있다. 터치 절연 부재(430)는 제1 터치 전극(410)과 제2 터치 전극(420)을 절연하기 위해 제1 터치 전극(410)과 연결선(425)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터치 전극(410), 제2 터치 전극(420), 연결선(425)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산화 아연) 또는 In2O3(Indium Oxide) 등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 또는 은나노 와이어(AgNW)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좌표값을 감지하고, 이를 외부 구동 회로로 전달하여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1,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때, 구동 트랜지스터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적층 구조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0) 위에는 버퍼층(120)이 형성되어 있다. 기판(110)은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120)은 다결정 규소를 형성하기 위한 결정화 공정 시 기판(110)으로부터 불순물을 차단하여 다결정 규소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기판(110)을 평탄화시켜 버퍼층(120) 위에 형성되는 반도체(135)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버퍼층(120)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P)의 버퍼층(120) 위에는 반도체(13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반도체(135)는 다결정 규소 또는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티타늄(Ti), 하프늄(Hf),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탄탈륨(Ta), 게르마늄(Ge), 아연(Zn), 갈륨(Ga), 주석(Sn) 또는 인듐(In)을 기본으로 하는 산화물, 이들의 복합 산화물인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nGaZnO4), 인듐―아연 산화물(Zn―In―O), 아연―주석 산화물(Zn―Sn―O) 인듐―갈륨 산화물 (In―Ga―O), 인듐―주석 산화물(In―Sn―O), 인듐―지르코늄 산화물(In―Zr―O), 인듐―지르코늄―아연 산화물(In―Zr―Zn―O), 인듐―지르코늄―주석 산화물(In―Zr―Sn―O), 인듐―지르코늄―갈륨 산화물(In―Zr―Ga―O), 인듐―알루미늄 산화물(In―Al―O), 인듐―아연―알루미늄 산화물(In―Zn―Al―O), 인듐―주석―알루미늄 산화물(In―Sn―Al―O), 인듐―알루미늄―갈륨 산화물(In―Al―Ga―O), 인듐―탄탈륨 산화물(In―Ta―O), 인듐―탄탈륨―아연 산화물(In―Ta―Zn―O), 인듐―탄탈륨―주석 산화물(In―Ta―Sn―O), 인듐―탄탈륨―갈륨 산화물(In―Ta―Ga―O), 인듐―게르마늄 산화물(In―Ge―O), 인듐―게르마늄―아연 산화물(In―Ge―Zn―O), 인듐―게르마늄―주석 산화물(In―Ge―Sn―O), 인듐―게르마늄―갈륨 산화물(In―Ge―Ga―O), 티타늄―인듐―아연 산화물(Ti―In―Zn―O), 하프늄―인듐―아연 산화물(Hf―In―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135)가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온 등의 외부 환경에 취약한 산화물 반도체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층이 추가될 수 있다.
반도체(135)는 채널(1355)과, 채널(1355)의 양측에 형성된 소스 영역(1356) 및 드레인 영역(1357)으로 구분된다. 반도체(135)의 채널(1355)은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의 도핑 불순물로 채널 도핑이 되어 있으며, 반도체(135)의 소스 영역(1356) 및 드레인 영역(1357)은 채널 도핑보다 도핑 불순물의 도핑 농도를 많게 한 접촉 도핑이 되어 있는 접촉 도핑 영역일 수 있다.
반도체(135) 위에는 이를 덮는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41)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게이트 절연막(141) 위에는 게이트 전극(125)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25)은 스캔선(121)의 일부이며, 채널(1355)과 중첩한다.
게이트 전극(125) 위에는 이를 덮는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게이트 절연막(142)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주변 영역(S)의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는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은 제1 댐(D1)의 하부에 위치하며, 표시 영역(P)을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좌측에 형성된 좌측에 형성된 제1 하부 크랙 감지선과 우측에 형성된 제1 하부 크랙 감지선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에 형성된 제1 하부 크랙 감지선은 좌측에서 한바퀴 돌고 있으며, 우측에 형성된 제1 하부 크랙 감지선은 우측에서 한바퀴 돌고 있으므로, 좌측에 형성된 제1 하부 크랙 감지선은 단면도상 2개의 배선으로 표시되고, 우측에 형성된 제1 하부 크랙 감지선은 단면도상 2개의 배선으로 표시된다.
제1 댐(D1)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경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에도 손상이 가해진다. 따라서,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 연결선(511)의 저항이 커지고, 이에 따라 감지 연결선(511)에 연결되어 있는 화소(PX)는 색상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불량 색상의 화소를 통해, 주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을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 위에는 이를 덮는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되어 있다. 층간 절연막(160)은 제1 게이트 절연막(141) 및 제2 게이트 절연막(142)과 마찬가지로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2)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P)의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소스 전극(176) 및 드레인 전극(177)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전극(176)과 드레인 전극(177)은 각각 소스 영역(1356) 및 드레인 영역(1357)과 연결되어 있다. 반도체(135), 게이트 전극(125), 소스 전극(176) 및 드레인 전극(177)은 구동 트랜지스터(T2)를 이룬다.
표시 영역(P)의 소스 전극(176) 및 드레인 전극(177) 위에는 이를 덮는 화소 보호막(18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 영역(S)의 층간 절연막(160) 위에는 이를 덮는 주변 보호막(182, 183, 184)이 형성되어 있다. 주변 보호막(182, 183, 184)은 패터닝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주변 보호막(182), 제2 주변 보호막(183) 및 제3 주변 보호막(184)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P)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차례로 제1 주변 보호막(182), 제2 주변 보호막(183) 및 제3 주변 보호막(18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주변 보호막(182), 제2 주변 보호막(183) 및 제3 주변 보호막(184)은 표시 영역(P)을 둘러싸고 있다. 주변 보호막(182, 183, 184) 중 화소(PX)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제1 주변 보호막(182)은 제1 댐(D1)에 해당한다.
화소 보호막(181) 위에는 ITO 또는 IZO 따위의 투명 도전체로 만들어진 화소 전극(710)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전극(710)은 화소 보호막(181)에 형성된 접촉 구멍(81)을 통해서 구동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17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의 애노드가 된다.
화소 보호막(181) 및 화소 전극(710)의 가장자리부 위에는 화소 격벽(351)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 격벽(351)은 화소 전극(710)을 노출하는 화소 개구부(51)를 가진다. 화소 격벽(351)은 폴리아크릴계(polyacrylates) 또는 폴리이미드계(polyimides) 등의 수지와 실리카 계열의 무기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주변 영역(S)의 제2 주변 보호막(183) 및 제3 주변 보호막(184) 위에는 각각 제1 주변 격벽(352) 및 제2 주변 격벽(35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주변 격벽(352)은 제2 주변 보호막(183)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주변 격벽(353)은 제3 주변 보호막(184)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주변 보호막(183)과 제1 주변 격벽(352)은 함께 제2 댐(D2)을 이루고있으므로, 제2 댐(D2)의 높이(h2)는 제1 주변 보호막(182)만으로 이루어진 제1 댐(D1)의 높이(h1)보다 높다. 따라서, 표시 영역(P)의 유기물이 제1 댐(D1)을 넘는 경우에도 제2 댐(D2)이 유기물의 넘침을 차단할 수 있다.
화소 격벽(351)의 화소 개구부(51)에는 유기 발광층(720)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발광층(720)은 발광층, 정공 수송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수층으로 형성된다. 유기 발광층(720)이 이들 모두를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애노드인 화소 전극(710) 위에 위치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표시 영역(P)의 화소 격벽(351) 및 유기 발광층(720) 위에는 공통 전극(730)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 전극(73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의 캐소드가 된다. 화소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공통 전극(730)은 함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D)를 이룬다.
제2 주변 격벽(353) 위에는 스페이서(SP)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SP)는 제2 주변 격벽(353)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SP)는 폴리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sin) 등의 유기물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적층막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3 주변 보호막(184), 제2 주변 격벽(353) 및 스페이서(SP)는 함께 제3 댐(D3)을 이루고 있으므로, 제3 댐(D3)의 높이(h3)는 제2 주변 보호막(183)과 제1 주변 격벽(352)으로 이루어진 제2 댐(D2)의 높이(h2)보다 높다. 따라서, 표시 영역(P)의 유기물이 제1 댐(D1) 및 제2 댐(D2)을 넘는 경우에도 제3 댐(D3)이 유기물의 넘침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보다 완벽하게 유기물이 주변 영역(S)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영역(P)의 공통 전극(730) 위에는 박막 봉지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박막 봉지층(300)은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제1 유기층(310), 제1 무기층(320), 제2 유기층(330) 및 제2 무기층(340)을 포함한다.
제1 유기층(310)은 화소 보호막(181) 및 화소 격벽(351)을 덮어 봉지하고 있으며, 제1 무기층(320)은 제1 유기층(310), 제1 댐(D1), 제2 댐(D2) 및 제3 댐(D3)을 모두 덮어 봉지하고 있다. 제2 유기층(330)은 제1 무기층(320)을 덮으면서 제1 댐(D1) 상부까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무기층(340)은 제2 유기층(330) 및 제1 무기층(320)을 모두 덮어 봉지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막 봉지층(300)이 제1 유기층(310), 제1 무기층(320), 제2 유기층(330) 및 제2 무기층(340)의 4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표시 영역(P)의 박막 봉지층(300) 위에는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 영역(S)의 박막 봉지층(300) 위에는 제1 상부 크랙 감지선(52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상부 크랙 감지선(520)은 제1 댐(D1)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영역(P)을 둘러싸고 있다.
제1 상부 크랙 감지선(520)은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제1 상부 크랙 감지선(520) 및 터치 감지 부재(400)을 보호하기 위해 제1 상부 크랙 감지선(520), 터치 감지 부재(400) 및 박막 봉지층(300) 위에는 이를 덮는 덮개막(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주변 보호막(182)과 그 상부의 제1 무기층(320), 제2 유기층(330) 및 제2 무기층(340)에는 제1 연결 부재(53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부재(530)는 제1 주변 보호막(182), 제1 무기층(320), 제2 유기층(330) 및 제2 무기층(340)을 관통하고 있으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과 제1 상부 크랙 감지선(520)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 제1 상부 크랙 감지선(520), 그리고 제1 연결 부재(530)는 제1 크랙 감지 부재(500)를 이룬다.
이와 같이, 제1 댐(D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상부 크랙 감지선(520)은 제1 댐(D1)의 상부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으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은 제1 댐(D1)의 하부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고, 제1 연결 부재(530)는 제1 댐(D1)의 높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크랙 감지 부재(500)는 제1 댐(D1)의 전체 영역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유기물의 유출을 보다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크랙 감지 부재만을 형성하였으나, 제2 댐 및 제3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각각 제2 크랙 감지 부재 및 제3 크랙 감지 부재를 형성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및 주변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크랙 감지 부재 및 제3 크랙 감지 부재을 더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2 댐 및 제3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제2 크랙 감지 부재 및 제3 크랙 감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댐 및 제3 댐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다.
주변 영역(S)의 제2 게이트 절연막(142) 위에는 제2 하부 크랙 감지선(610) 및 제3 하부 크랙 감지선(81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하부 크랙 감지선(610)은 제2 댐(D2)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510)을 둘러싸고 있고, 제3 하부 크랙 감지선(810)은 제3 댐(D3)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 하부 크랙 감지선(610)을 둘러싸고 있다. 제2 댐(D2) 및 제3 댐(D3)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경우 제2 하부 크랙 감지선(610) 및 제3 하부 크랙 감지선(810)에도 손상이 가해지므로 크랙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하부 크랙 감지선(610) 및 제3 하부 크랙 감지선(810) 위에는 이를 덮는 층간 절연막(16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변 영역(S)의 박막 봉지층(300) 위에는 제2 상부 크랙 감지선(620) 및 제3 상부 크랙 감지선(82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상부 크랙 감지선(620)은 제2 댐(D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3 상부 크랙 감지선(820)은 제3 댐(D3)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상부 크랙 감지선(620) 및 제3 상부 크랙 감지선(820)은 제1 터치 전극(410) 및 제2 터치 전극(42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층간 절연막(160), 제2 댐(D2), 제1 무기층(320) 및 제2 무기층(340)에는 제2 연결 부재(630)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 부재(630)는 층간 절연막(160), 제2 댐(D2), 제1 무기층(320) 및 제2 무기층(340)을 관통하고 있으며 제2 하부 크랙 감지선(610)과 제2 상부 크랙 감지선(620)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제2 하부 크랙 감지선(610), 제2 상부 크랙 감지선(620), 그리고 제2 연결 부재(630)는 제2 크랙 감지 부재(600)를 이룬다.
이와 같이, 제2 하부 크랙 감지선(610)은 제2 댐(D2)의 하부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고, 제2 상부 크랙 감지선(620)은 제2 댐(D2)의 상부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으며, 제2 연결 부재(630)는 제2 댐(D2)의 높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크랙 감지 부재(600)는 제2 댐(D2)의 전체 영역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유기물의 유출을 보다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160), 제3 댐(D3), 제1 무기층(320) 및 제2 무기층(340)에는 제3 연결 부재(830)가 형성되어 있고, 제3 연결 부재(830)는 층간 절연막(160), 제3 댐(D3), 제1 무기층(320) 및 제2 무기층(340)을 관통하고 있으며 제3 하부 크랙 감지선(810)과 제3 상부 크랙 감지선(820)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제3 하부 크랙 감지선(810), 제3 상부 크랙 감지선(820), 그리고 제3 연결 부재(830)는 제3 크랙 감지 부재(800)를 이룬다.
이와 같이, 제3 하부 크랙 감지선(810)은 제3 댐(D3)의 하부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고, 제3 상부 크랙 감지선(820)은 제3 댐(D3)의 상부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으며, 제3 연결 부재(830)는 제3 댐(D3)의 높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크랙 감지 부재(800)는 제3 댐(D3)의 전체 영역에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유기물의 유출을 보다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10: 기판 181: 화소 보호막
182: 제1 주변 보호막 183: 제2 주변 보호막
184: 제3 주변 보호막 351: 화소 격벽
352: 제1 주변 격벽 353: 제2 주변 격벽
510: 제1 하부 크랙 감지선 520: 제1 상부 크랙 감지선
530: 제1 연결 부재 610: 제2 하부 크랙 감지선
620: 제2 상부 크랙 감지선 630: 제2 연결 부재
810: 제3 하부 크랙 감지선 820: 제3 상부 크랙 감지선
830: 제3 연결 부재

Claims (12)

  1.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부재,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댐,
    상기 복수개의 댐 중 제1 댐의 일부와 상기 유기 발광 부재를 덮고 있는 박막 봉지층,
    상기 표시 영역의 박막 봉지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터치 감지 부재, 그리고
    상기 제1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크랙 감지 부재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댐은 상기 복수개의 댐 중 상기 화소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댐은 상기 복수개의 화소를 둘러싸고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제1 크랙 감지 부재는
    상기 제1 댐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하부 크랙 감지선,
    상기 주변 영역의 박막 봉지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댐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상부 크랙 감지선
    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제1 상부 크랙 감지선은 상기 터치 감지 부재와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부재는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반도체,
    상기 반도체 및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게이트 절연막,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층간 절연막,
    상기 층간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덮고 있는 화소 보호막,
    상기 화소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화소 격벽,
    상기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은 상기 제2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층간 절연막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과 상기 제1 상부 크랙 감지선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제1 댐은
    상기 화소 보호막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화소 보호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주변 보호막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봉지층의 일부 층은 상기 제1 주변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주변 보호막과 상기 박막 봉지층을 관통하고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제1 댐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댐을 둘러싸고 있는 제2 댐,
    상기 제2 댐과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댐을 둘러싸고 있는 제3 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댐은 상기 제1 주변 보호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주변 보호막, 상기 제2 주변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주변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댐은 상기 제1 주변 보호막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주변 보호막, 상기 제3 주변 보호막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주변 격벽, 상기 제2 주변 격벽 위에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제2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크랙 감지 부재,
    상기 제3 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제3 크랙 감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2 크랙 감지 부재는
    상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하부 크랙 감지선,
    상기 제2 주변 격벽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상부 크랙 감지선,
    상기 제2 하부 크랙 감지선과 상기 제2 상부 크랙 감지선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크랙 감지 부재는
    상기 제1 하부 크랙 감지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제3 하부 크랙 감지선,
    상기 스페이서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상부 크랙 감지선,
    상기 제3 하부 크랙 감지선과 상기 제3 상부 크랙 감지선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제3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주변 보호막 및 상기 제2 주변 격벽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제3 연결 부재는 상기 제3 주변 보호막, 상기 제3 주변 격벽 및 상기 스페이서를 관통하고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50053924A 2015-04-16 2015-04-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62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24A KR102362189B1 (ko) 2015-04-16 2015-04-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4/944,686 US10026793B2 (en) 2015-04-16 2015-11-18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201610227270.5A CN106057853B (zh) 2015-04-16 2016-04-13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924A KR102362189B1 (ko) 2015-04-16 2015-04-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301A true KR20160124301A (ko) 2016-10-27
KR102362189B1 KR102362189B1 (ko) 2022-02-11

Family

ID=57128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924A KR102362189B1 (ko) 2015-04-16 2015-04-16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26793B2 (ko)
KR (1) KR102362189B1 (ko)
CN (1) CN106057853B (ko)

Cited B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247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20180054385A (ko) * 2016-11-15 2018-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112200A (ko) * 2017-03-31 2018-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131011A (ko) * 2017-05-31 2018-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131761A (ko) * 2017-06-01 2018-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80136082A (ko) * 2017-06-14 2018-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20190000026A (ko) * 2017-06-21 2019-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190003184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09147A (ko) * 2017-07-18 2019-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27981A (ko) * 2017-09-07 2019-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47452A (ko) * 2017-10-27 2019-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48983A (ko) * 2017-10-31 2019-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64254A (ko) * 2017-11-30 2019-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65757A (ko) * 2017-12-04 2019-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73061A (ko) * 2017-12-18 2019-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표시장치
KR20190073919A (ko) * 2017-12-19 2019-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90076093A (ko) * 2017-12-21 2019-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90077870A (ko) * 2017-12-26 2019-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81005A (ko) * 2017-12-28 2019-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105640A (ko) * 2017-02-01 2019-09-17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CN110264891A (zh) * 2019-07-18 2019-09-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0522608B2 (en) 2016-12-06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00039271A (ko) * 2018-10-05 2020-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082566A (ko) * 2018-12-31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US10720604B2 (en) 2018-10-26 2020-07-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71305B2 (en) 2017-11-23 2021-11-09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JP2021184388A (ja) * 2017-10-31 2021-12-02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US11462605B2 (en) 2019-08-07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230088669A (ko) * 2017-06-30 2023-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360B1 (ko) * 2015-05-12 2022-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46857B1 (ko) * 2015-05-26 2022-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763616B1 (ko) * 2015-07-29 2017-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7162032A (ja) * 2016-03-07 2017-09-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70133812A (ko) * 2016-05-26 2017-12-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1926526B1 (ko) 2016-06-30 2018-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1650B1 (ko) * 2016-07-26 2023-1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3910B1 (ko) * 2016-08-31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검사방법
KR102650012B1 (ko) * 2016-09-07 2024-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74086B1 (ko) * 2016-09-30 2019-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KR20180060851A (ko) 2016-11-29 2018-06-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825839B2 (en) * 2016-12-02 2020-11-03 Innolux Corporation Touch display device
KR102397900B1 (ko) * 2016-12-08 2022-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816456B (zh) * 2016-12-16 2019-12-2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显示器
KR20180076689A (ko) * 2016-12-28 2018-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775173B (zh) * 2017-02-07 2019-12-2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CN106933431B (zh) * 2017-02-15 2020-05-1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触控显示基板及触控显示装置
JP6830011B2 (ja) * 2017-03-01 2021-02-1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el表示装置
CN106981584B (zh) * 2017-03-20 2019-11-26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CN106951125B (zh) * 2017-03-30 2019-09-13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JP2020533613A (ja) 2017-07-18 2020-11-19 京東方科技集團股▲ふん▼有限公司Boe Technology Group Co.,Ltd. 表示パネル、表示装置、表示パネルのシーラント層における亀裂を検知する方法、および表示パネルを製造する方法
CN107742635B (zh) * 2017-09-27 2020-07-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KR102374754B1 (ko) 2017-09-27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9728031B (zh) * 2017-10-31 2020-03-2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显示器及移动通信设备
CN109860410A (zh) * 2017-11-30 2019-06-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封装方法、显示装置
CN108364987B (zh) * 2018-02-24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0233161B (zh) * 2018-03-05 2022-09-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和检测方法、显示装置
US11800755B2 (en) 2018-03-30 2023-10-24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CN108511503B (zh) * 2018-05-28 2020-11-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致发光显示面板、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CN108847451A (zh) * 2018-06-12 2018-11-2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oled器件及其制备方法
CN109119445B (zh) * 2018-08-27 2021-09-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208848933U (zh) * 2018-08-29 2019-05-1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JP7150527B2 (ja) * 2018-08-31 2022-10-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9256487B (zh) * 2018-09-12 2020-09-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WO2020065750A1 (ja) * 2018-09-26 2020-04-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及び表示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12753060B (zh) * 2018-09-28 2023-03-24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633093B1 (ko) * 2018-10-01 2024-0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473459B (zh) * 2018-10-15 2020-06-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发光二极管器件的封装结构及其制作方法
KR20200053991A (ko) 2018-11-09 2020-05-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82641B1 (ko) * 2018-11-30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728063B (zh) * 2019-01-08 2021-02-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US11271185B2 (en) * 2019-02-27 2022-03-08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structure having a dam and gap
KR20200121400A (ko) 2019-04-15 2020-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0096174A (zh) * 2019-04-18 2019-08-0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触控屏结构及其制作方法
CN110071227A (zh) * 2019-04-19 2019-07-30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N110109573B (zh) * 2019-05-27 2023-02-24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组件及触控显示面板
KR20200138544A (ko) * 2019-05-31 2020-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335886A (zh) * 2019-06-21 2019-10-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
KR20200145976A (ko) * 2019-06-21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39305B2 (en) * 2019-07-24 2022-02-0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10037299A (ko) * 2019-09-27 2021-04-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44356A (ko) * 2019-10-14 2021-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45554A (ko) * 2019-10-16 2021-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49245A (ko) 2019-10-24 2021-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070459A (ko) 2019-12-04 2021-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0993659B (zh) * 2019-11-29 2022-1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显示装置
KR20210070456A (ko) * 2019-12-04 2021-06-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82729A (ko) * 2019-12-26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210085121A (ko) * 2019-12-30 2021-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표시장치
CN111338499B (zh) 2020-01-22 2022-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和显示装置
KR20210104398A (ko) * 2020-02-17 2021-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307867B (zh) * 2020-02-21 2022-1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裂痕检测方法、显示装置
KR20210143960A (ko) * 2020-05-20 2021-1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086577A (zh) * 2020-09-08 2020-12-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TWI727900B (zh) * 2020-10-06 2021-05-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
KR20220056284A (ko) * 2020-10-27 2022-05-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220063790A (ko) * 2020-11-09 2022-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75519A (ko) * 2020-11-30 2022-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86917A (ko) * 2020-12-17 2022-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와 이를 이용한 멀티 스크린 표시 장치
JP7145992B2 (ja) * 2021-01-19 2022-10-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3360024B (zh) * 2021-06-18 2024-04-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裂纹检测方法
CN116864507A (zh) * 2022-03-25 2023-10-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360A (ko) * 2002-01-15 2004-02-1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소자부의 배리어성 박막 밀봉 구조, 표시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 소자부의 제조 방법
KR20080012127A (ko) * 2006-08-0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7426A (ko) * 2012-10-30 2014-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45444A (ko) * 2013-06-13 2014-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6799A (en) 1990-07-12 1993-03-23 Drexel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 protective barrier material for pinholes and tear strength
JP4317113B2 (ja) * 2003-10-30 2009-08-19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平板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060111009A1 (en) * 2004-11-24 2006-05-25 Taiwan Micro Display Corp. System and method of batch manufacturing a display face plate array
KR100873080B1 (ko) * 2007-05-10 2008-12-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1634791B1 (ko) * 2008-11-28 2016-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53880B1 (ko) * 2012-11-29 2014-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996796B (zh) * 2014-04-29 2015-07-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基板和oled器件
US9614183B2 (en) * 2015-04-01 2017-04-04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with crack detection and crack propagation prevention circuit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360A (ko) * 2002-01-15 2004-02-1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소자부의 배리어성 박막 밀봉 구조, 표시 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 소자부의 제조 방법
KR20080012127A (ko) * 2006-08-01 2008-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7426A (ko) * 2012-10-30 2014-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45444A (ko) * 2013-06-13 2014-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8247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20180054385A (ko) * 2016-11-15 2018-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832484B2 (en) 2016-12-06 2023-11-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522608B2 (en) 2016-12-06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043550B2 (en) 2016-12-06 2021-06-2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90105640A (ko) * 2017-02-01 2019-09-17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표시 장치
KR20180112200A (ko) * 2017-03-31 2018-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131011A (ko) * 2017-05-31 2018-1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301100B2 (en) 2017-05-31 2022-04-1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80131761A (ko) * 2017-06-01 2018-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 및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80136082A (ko) * 2017-06-14 2018-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20190000026A (ko) * 2017-06-21 2019-0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230088669A (ko) * 2017-06-30 2023-06-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03184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070179A (ko) * 2017-07-18 2022-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09147A (ko) * 2017-07-18 2019-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093211A (ko) * 2017-07-18 2021-07-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27981A (ko) * 2017-09-07 2019-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47452A (ko) * 2017-10-27 2019-05-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48983A (ko) * 2017-10-31 2019-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1184388A (ja) * 2017-10-31 2021-12-02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US11171305B2 (en) 2017-11-23 2021-11-09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11706941B2 (en) 2017-11-23 2023-07-18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90064254A (ko) * 2017-11-30 2019-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65757A (ko) * 2017-12-04 2019-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73061A (ko) * 2017-12-18 2019-06-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표시장치
KR20220128605A (ko) * 2017-12-18 2022-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표시장치
KR20190073919A (ko) * 2017-12-19 2019-06-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90076093A (ko) * 2017-12-21 2019-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20190077870A (ko) * 2017-12-26 2019-07-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81005A (ko) * 2017-12-28 2019-07-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956989B2 (en) 2017-12-28 2024-04-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dam members
KR20200039271A (ko) * 2018-10-05 2020-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444264B2 (en) 2018-10-26 2022-09-1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0720604B2 (en) 2018-10-26 2020-07-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825686B2 (en) 2018-10-26 2023-1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peripheral crack detection circuit
KR20200082566A (ko) * 2018-12-31 2020-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 발광 표시 장치
CN110264891A (zh) * 2019-07-18 2019-09-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11462605B2 (en) 2019-08-07 2022-10-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57853B (zh) 2021-08-13
KR102362189B1 (ko) 2022-02-11
CN106057853A (zh) 2016-10-26
US10026793B2 (en) 2018-07-17
US20160307971A1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430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3293764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test unit
KR10207214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941340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a shielding electrode with reduced crosstalk
KR2021009582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793060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a storage capacitive plate and a driving voltage line formed on the sam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83911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92924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1797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13911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9183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9860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1012312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11726B1 (ko) 표시 장치
KR20190066648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4549A (ko) 표시 장치
KR2013001522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35765B1 (ko) 디스플레이 유닛
US2015004263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5001995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215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2817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04820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20140115191A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5341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