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1905A -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1905A
KR20160111905A KR1020167013914A KR20167013914A KR20160111905A KR 20160111905 A KR20160111905 A KR 20160111905A KR 1020167013914 A KR1020167013914 A KR 1020167013914A KR 20167013914 A KR20167013914 A KR 20167013914A KR 20160111905 A KR20160111905 A KR 2016011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s
joint
industrial
rack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점규
Original Assignee
금성에이스산업(주)
배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0786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1190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에이스산업(주), 배점규 filed Critical 금성에이스산업(주)
Publication of KR2016011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58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without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33Hollow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5Composite members, i.e. made up of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는 집게부에 보강 후부가 형성되고, 그러한 보강 후부 형성에 의해,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이 경량화되면서도 그 강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조인트와 파이프가 수평이 되도록 조인트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고, 기존의 조립식 랙 시스템인 일명 일렉트 또는 파이프 랙킹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들과 그대로 호환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INDUSTRIAL SHELF FORMING RACK SYSTEM AND PIPE JOINT APPLIED TO INDUSTRIAL SHELF FORMING RACK SYSTEM}
본 발명은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은 복수 개의 파이프를 파이프용 조인트를 이용하여 그 적용되는 현장 상황 등에 맞게 자유자재의 형태로 선반 등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은 스테인리스 파이프 또는 강관에 플라스틱 수지를 피복시킨 후 각종 조인트를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요구되는 구조물을 자유롭게 형성하는 시스템으로, 일명 일렉트 또는 파이프 랙킹 시스템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다.
이러한 산업용 선반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0912569호(등록일자: 2009.08.10, 발명의 명칭: 물품거치대)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의하면, 철 재질로 파이프 및 파이프용 조인트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선반 자체의 하중이 크고 그 조립 및 핸들링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의하면, 파이프의 외측을 철재 파이프로 고정하므로 파이프와 조인트의 연결부 단차가 발생하여, 부품 박스 등 적재 대상체를 파이프 위에 올릴 때 부품 박스 등의 적재 대상체가 조인트와 파이프 위에 걸쳐지는 경우가 있어 그 적재 대상체가 수평으로 얹혀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파이프와 조인트 외측의 단차를 없애기 위해, 파이프 내측에 조인트 지지구를 형성하게 하여 파이프와 조인트를 수평이 되도록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수평이 되도록 하였으나, 기존 조인트 부품과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되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이러한 철 재질의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의 문제를 해소하고,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을 경량화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재질로 변경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왔으나, 이러한 알루미늄 재질로 파이프용 조인트를 제조하는 경우, 파이프용 조인트의 강성이 철 재질로 제조된 경우에 비해 떨어져서 산업용 선반으로 이용되기 부적합한 단점이 있었고,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로 파이프용 조인트를 제조하되, 기존의 조립식 랙 시스템인 일명 일렉트 또는 파이프 랙킹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들과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필요성도 함께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경량화되면서도 그 강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조인트와 파이프가 수평이 되도록 조인트 구조를 개선시켜 접합부 보강부 및 보강부 안내 홈을 형성한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루미늄 재질로 파이프용 조인트를 제조하되, 기존의 조립식 랙 시스템인 일명 일렉트 또는 파이프 랙킹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들과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은 복수 개의 파이프;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시켜주는 복수 개의 파이프용 조인트;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에 의해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됨으로써, 요구되는 형태로 산업용 선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복수 개의 파이프용 조인트에 의해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됨으로써 요구되는 형태로 산업용 선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집는 집게부; 및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의 타 측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에는 상기 집게부가 상기 파이프를 집을 때 응력 집중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집게부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 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에 의하면,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파이프용 조인트와 파이프로 구성되고, 파이프용 조인트의 집게부에 보강 후부가 형성됨으로써, 파이프용 조인트 중 제작이 요구되는 산업용 선반에 적합한 파이프용 조인트가 채택되어 각 파이프를 연결함으로써 다양한 산업용 선반이 자유자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이 경량화되면서도 그 강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조인트와 파이프가 수평이 되도록 조인트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에 의하면, 파이프용 조인트의 집게부에 보강 후부가 형성됨으로써, 파이프용 조인트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더라도 보강 후부에 의해 그 강성이 보강됨으로써, 별도로 파이프를 제작할 필요없이 기존의 철 재질의 파이프가 그대로 호환되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파이프용 조인트에 연결될 수 있는 등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가 기존의 조립식 랙 시스템인 일명 일렉트 또는 파이프 랙킹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들과 그대로 호환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에 의하면, 보강 돌기와 보강 홈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파이프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가 서로 결합될 때 보강 돌기와 보강 홈이 서로 맞물려 그러한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함과 함께,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파이프용 조인트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산업용 선반의 일부에 대한 일 예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산업용 선반의 일부에 대한 다른 예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 파이프용 조인트가 파이프와 결합되기 전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 파이프용 조인트가 파이프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2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3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4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5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6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7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8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9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0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1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2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2 파이프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상측 부재를 밑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3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3 파이프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상측 부재를 밑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4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산업용 선반의 일부에 대한 일 예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의해 형성된 산업용 선반의 일부에 대한 다른 예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 파이프용 조인트가 파이프와 결합되기 전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 파이프용 조인트가 파이프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2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3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4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5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6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7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8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9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0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1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2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2 파이프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상측 부재를 밑에서 바라본 저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3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3 파이프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상측 부재를 밑에서 바라본 저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제 14 파이프용 조인트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은 복수 개의 파이프(10)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를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시켜주는 복수 개의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에 의해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됨으로써, 요구되는 형태로 산업용 선반(100, 2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은 스테인리스와 철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파이프(10)와, 상기 각 파이프(10)를 연결시켜주는 복수 개의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를 포함하고, 상기 각 파이프(10)가 상기 각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에 의해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됨으로써, 요구되는 형태로 산업용 선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가 요구되는 길이로 각각 절단된 다음 아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형태의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 중 요구되는 사잇각을 이루는데 적합한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산업용 선반(100, 200)이 적용되는 공간 등에 적합하도록 요구되는 형태로 상기 산업용 선반(100, 200)이 자유자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에서 상기 파이프(10)를 집는 집게부에는 상기 집게부가 상기 파이프(10)를 집을 때 응력 집중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집게부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 후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는 복수 개의 파이프(10)가 복수 개의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에 의해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됨으로써 요구되는 형태로 산업용 선반(100, 20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중 어느 하나를 집는 집게부; 및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의 타 측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에는 상기 집게부가 상기 파이프(10)를 집을 때 응력 집중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집게부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 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 후부는 상기 집게부가 상기 파이프(10)를 집을 때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 후부는 상기 집게부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인 상기 집게부의 양 측 말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보강 후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가 가볍고 다루기 쉬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가 응력 집중으로 인해 파손되지 아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 후부에 의해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의 강성이 향상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가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더라도 기존의 조립식 랙 시스템인 일명 일렉트 또는 파이프 랙킹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들, 예를 들어 철 재질의 파이프와 호환이 가능할만큼의 강성 확보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각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파이프용 조인트(110)는 상측 부재(111)와 하측 부재(115)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측 부재(111)와 상기 하측 부재(115)가 서로 결합되어 이용된다. 이러한 상기 상측 부재(111)와 상기 하측 부재(115)가 분리된 형태였다가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파이프용 조인트(110)로 이용되는 사항은 이하의 다른 파이프용 조인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세히, 상기 상측 부재(111)는 상측 부재 몸체(112)와, 상기 상측 부재 몸체(112)의 전면에 형성되는 상측 집게(113)와, 상기 상측 집게(113)의 양 측 말단부에 상기 상측 집게(113)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 후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 부재(115)는 하측 부재 몸체(116)와, 상기 하측 부재 몸체(116)의 전면에 형성되는 하측 집게(117)와, 상기 하측 집게(117)의 양 측 말단부에 상기 하측 집게(117)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 후부(118)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부재 몸체(112)와 상기 하측 부재 몸체(116)를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 등의 결합 수단(119)에 의해 상기 상측 부재 몸체(112)와 상기 하측 부재 몸체(116)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상측 부재 몸체(112)와 상기 하측 부재 몸체(116)의 전면에서는 상기 상측 집게(113)와 상기 하측 집게(117)가 그 전면의 파이프(10)를 물게 되고, 상기 상측 부재 몸체(112)와 상기 하측 부재 몸체(116)의 후면에는 다른 파이프(1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부재 몸체(112)와 상기 하측 부재 몸체(116)가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로, 상기 상측 집게(113)와 상기 하측 집게(117)가 상기 집게부로, 상기 상측 부재 몸체(112)와 상기 하측 부재 몸체(116)의 후면에 상기 파이프(10)가 삽입되는 부분이 상기 파이프 연결부로 각각 정의될 수 있다.
제 2 파이프용 조인트(120)를 포함한 이하의 파이프용 조인트들도 상기 제 1 파이프용 조인트(110)처럼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로 이루어지고, 볼트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 결합 완료된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 번호 12는 상기 파이프(10)의 내측에 상기 파이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함몰 형성된 보강부 안내 홈이고, 도면 번호 11은 상기 파이프(10)의 외측에 상기 파이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돌출 형성된 접합부 보강부이다. 상기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 내면에는 상기 파이프(10)의 상기 접합부 보강부(11)와 맞물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결합이 수평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함과 함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상기 파이프(10)가 삽입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접합부 보강부(11)와 보강부 안내 홈(12)이 형성됨에 따라, 파이프(10)와 상기 제 1 파이프용 조인트(110)가 수평을 이루면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파이프용 조인트(12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21)와,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집게부(122)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124)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122)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집게부(122)의 양 측 말단부에 보강 후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124)는 구(sphere) 형태로 이루어져서 후술되는 제 9 파이프용 조인트(190)의 구체 연결부(192) 등을 통해 파이프(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파이프용 조인트(13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31)와,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집게부(132)와, 복수 개, 여기서는 두 개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134)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132)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집게부(132)의 양 측 말단부에 보강 후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134)게 동시에 두 개의 파이프(10)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3 파이프용 조인트(130)에 의해서는 세 개의 파이프(10)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4 파이프용 조인트(14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41)와,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집게부(142)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144)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142)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집게부(142)의 양 측 말단부에 보강 후부(143)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144)는 상기 집게부(142)처럼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41)의 타 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중 다른 하나를 집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144)에서도 응력이 집중되는 양 측 말단부에 보강 후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제 4 파이프용 조인트(140)는 양 측에서 집게 형태로 각각 파이프(10)를 집을 수 있는 형태가 되고, 서로 직교되는 파이프(10)들을 집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5 파이프용 조인트(15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51)와,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집게부(152)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154)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152)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집게부(152)의 양 측 말단부에 보강 후부(153)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154)는 상기 집게부(152)처럼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51)의 타 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중 다른 하나를 집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154)에서도 응력이 집중되는 양 측 말단부에 보강 후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제 5 파이프용 조인트(150)는 양 측에서 집게 형태로 각각 파이프(10)를 집을 수 있는 형태가 되고, 서로 교차되는 파이프(10)들을 집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6 파이프용 조인트(16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61)와,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61)의 양 측 말단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 파이프(10)가 하나씩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162, 163)를 포함한다. 일 측의 파이프 연결부(162)는 구(sphere) 형태로 이루어져서 후술되는 제 9 파이프용 조인트(190)의 구체 연결부(192) 등을 통해 파이프(10)와 연결될 수 있고, 타 측의 파이프 연결부(163)는 상기 파이프(10)가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7 파이프용 조인트(17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71)와,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집게부(172)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174)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172)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집게부(172)의 양 측 말단부에 보강 후부(173)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174)에는 상기 파이프(1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집게부(172)가 상기 파이프 연결부(174)에 대해 45°정도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 7 파이프용 조인트(170)는 경사진 형태로 연결되는 파이프(10)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8 파이프용 조인트(180)는 수직으로 굽은 형태의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81)와,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81)의 양 측 말단에 각각 형성되어 각각 파이프(10)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182, 183)를 포함한다. 상기 제 8 파이프용 조인트(180)에 의해 두 개의 파이프(10)가 서로 수직이 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9 파이프용 조인트(19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91)에 상기 제 2 파이프용 조인트(120)의 상기 파이프 연결부(124) 등처럼 구 형태로 이루어진 파이프 연결부가 연결되어 스위블(swivel)처럼 요구되는 각도로 자유자재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체 연결부(192)가 형성된다. 도면 번호 193은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191)에서 상기 구체 연결부(192)가 형성된 측의 타 측에 형성되어 파이프(10)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이다.
상기 제 10 파이프용 조인트(20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201)와,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집게부(202)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204)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202)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집게부(202)의 양 측 말단부에 보강 후부(203)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204)는 상기 집게부(202)처럼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201)의 타 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중 다른 하나를 집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204)에서도 응력이 집중되는 양 측 말단부에 보강 후부(2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0 파이프용 조인트(200)는 양 측에서 집게 형태로 각각 파이프(10)를 집을 수 있는 형태가 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파이프(10)들을 집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1 파이프용 조인트(21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211)와,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집게부(212)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214)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212)에서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집게부(212)의 양 측 말단부에 보강 후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214)는 상기 파이프(10)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집게부(212)가 상기 파이프 연결부(214)에 대해 45°정도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 11 파이프용 조인트(210)는 경사진 형태로 연결되는 파이프(10)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214)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외면 돌기(215)가 형성된다. 상기 외면 돌기(21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파이프 연결부(214)가 파이프(10) 내에 삽입될 때 그러한 삽입을 안내함과 함께 상기 파이프(10) 내부의 맞물리는 보강부 안내 홈(도 3의 12)에 결착되어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사항은 파이프(10)에 파이프 연결부가 삽입되는 형태의 다른 파이프용 조인트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2 파이프용 조인트(22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221)에 상기 제 2 파이프용 조인트(120)의 상기 파이프 연결부(124) 등처럼 구 형태로 이루어진 파이프 연결부가 연결되어 스위블(swivel)처럼 요구되는 각도로 자유자재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체 연결부(222)가 형성된다. 도면 번호 223은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221)에서 상기 구체 연결부(222)가 형성된 측의 타 측에 형성되어 파이프(10) 내부로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이다.
상기 제 12 파이프용 조인트(220)는 서로 분리 가능한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부재의 저면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상측 보강 돌기(225)와, 상기 상측 보강 돌기(225)와 이격된 위치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되는 상측 보강 홈(226)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상측 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하측 부재의 상단면에는 상기 상측 보강 돌기(22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되는 하측 보강 홈과, 상기 상측 보강 홈(2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하측 보강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보강 돌기와 보강 홈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가 서로 결합될 때 보강 돌기와 보강 홈이 서로 맞물려 그러한 결합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함과 함께,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제 12 파이프용 조인트(220) 자체의 강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러한 보강 돌기와 보강 홈 구조는 파이프(10) 내부에 뒷부분이 삽입되는 형태의 다른 파이프용 조인트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고,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번호 227과 228은 상기 상측 부재와 상기 하측 부재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살빼기 홈이고, 도면 번호 229는 볼트 등의 결합 수단이 관통될 수 있는 관통 홀이고, 도면 번호 224는 외면 돌기이다.
상기 제 13 파이프용 조인트(230)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231)와,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231)의 양 측 말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232, 233)를 포함한다. 일 측의 파이프 연결부(232)는 구(sphere)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 9 파이프용 조인트(190)의 구체 연결부(192) 등을 통해 파이프(10)와 연결될 수 있고, 타 측의 파이프 연결부(233)는 상기 파이프(10)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235는 상측 보강 홈이고, 도면 번호 234는 상측 보강 돌기이며, 도면 번호 236은 살빼기 홈이고, 도면 번호 237은 상기 일 측 파이프 연결부(232)에 형성되어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의 결합 시 그러한 결합을 안내하는 조립 가이드 핀이고, 도면 번호 238은 외면 돌기이다.
상기 제 14 파이프용 조인트(240)는 수직으로 굽혀진 형태를 이루는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241)와,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241)의 양 측 말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242, 243)를 포함한다. 상기 각 파이프 연결부(242, 243)는 각각 다른 파이프(10) 내부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244는 외면 돌기이다.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이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와 파이프(10)로 구성되고,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의 집게부에 보강 후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110 내지 240) 중 제작이 요구되는 산업용 선반에 적합한 파이프용 조인트가 채택되어 각 파이프(10)를 연결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다양한 산업용 선반이 자유자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이 경량화되면서도 그 강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조인트와 파이프가 수평이 되도록 조인트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가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더라도 보강 후부에 의해 그 강성이 보강됨으로써, 별도로 파이프를 제작할 필요없이 기존의 철 재질의 파이프가 그대로 호환되어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에 연결될 수 있는 등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가 기존의 조립식 랙 시스템인 일명 일렉트 또는 파이프 랙킹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들과 그대로 호환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에 의하면, 경량화되면서도 그 강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조인트와 파이프가 수평이 되도록 조인트 구조를 개선시킬 수 있고, 파이프용 조인트가 기존의 조립식 랙 시스템인 일명 일렉트 또는 파이프 랙킹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들과 그대로 호환 가능하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Claims (8)

  1. 복수 개의 파이프; 및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시켜주는 복수 개의 파이프용 조인트;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에 의해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됨으로써, 요구되는 형태로 산업용 선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에서 상기 파이프를 집는 집게부에는 상기 집게부가 상기 파이프를 집을 때 응력 집중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집게부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 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3. 복수 개의 파이프가 복수 개의 파이프용 조인트에 의해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됨으로써 요구되는 형태로 산업용 선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집는 집게부; 및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의 타 측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에는 상기 집게부가 상기 파이프를 집을 때 응력 집중으로 인한 파손이 방지되도록 상기 집게부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보강 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후부는 상기 집게부의 양 측 말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용 연결부는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의 타 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다른 하나를 집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는 서로 분리 가능한 상측 부재와 하측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부재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상측 보강 돌기와, 상기 상측 보강 돌기와 이격된 위치에서 일정 깊이로 함몰되는 상측 보강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부재의 상단면에는 상기 상측 보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되는 하측 보강 홈과, 상기 상측 보강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하측 보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8. 복수 개의 파이프가 복수 개의 파이프용 조인트에 의해 각각 요구되는 사잇각으로 연결됨으로써 요구되는 형태로 산업용 선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의 일 측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집는 집게부; 및
    상기 파이프용 조인트 몸체의 타 측에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중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파이프 연결부;를 포함하고,
    기존의 조립식 랙 시스템인 일명 일렉트 또는 파이프 랙킹 시스템에 사용되는 부품들과 호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KR1020167013914A 2014-07-12 2014-07-12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KR201601119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6289 WO2016010166A1 (ko) 2014-07-12 2014-07-12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7000070U Division KR200486505Y1 (ko) 2014-07-12 2014-07-12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905A true KR20160111905A (ko) 2016-09-27

Family

ID=550786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7000070U KR200486505Y1 (ko) 2014-07-12 2014-07-12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KR1020167013914A KR20160111905A (ko) 2014-07-12 2014-07-12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7000070U KR200486505Y1 (ko) 2014-07-12 2014-07-12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0486505Y1 (ko)
CN (1) CN205813980U (ko)
WO (1) WO201601016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388A1 (ko) * 2018-04-17 2019-10-24 금성에이스산업(주)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 및 상기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을 구성하는 평면 형태 외관 형성 사각 랙 파이프 및 랙 파이프 연결용 사각 조인트
WO2019221322A1 (ko) * 2018-05-18 2019-11-21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랙 시스템용 사각 알루미늄 프로파일, 랙 조인트 및 수직 연결 부재
WO2020050430A1 (ko) * 2018-09-03 2020-03-12 한보일렉트(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KR20200002594U (ko) * 2019-05-21 2020-12-01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
KR20210060620A (ko) * 2019-04-22 2021-05-26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랙 시스템용 연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7181B (zh) * 2017-07-26 2019-04-21 林義河 Combined frame
CN107504028A (zh) * 2017-08-16 2017-12-22 谢代英 一种管接头组件及包括它的组合式架体
KR102034019B1 (ko) * 2018-03-22 2019-10-18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
KR200490362Y1 (ko) * 2018-04-02 2019-11-04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KR200492423Y1 (ko) 2019-05-09 2020-10-13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랙 시스템용 패널형 적치물 지지 장치
KR20200000564U (ko) 2020-02-20 2020-03-11 한보일렉트(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0383B2 (ja) * 2004-03-30 2009-05-27 日鐵住金建材株式会社 横桟取付金具及び防護柵
JP5149495B2 (ja) * 2006-08-25 2013-02-20 昭和電工株式会社 複数のパイプの連結方法
KR20090030692A (ko) * 2007-09-20 2009-03-25 배점규 파이프용 조인트
KR100912569B1 (ko) 2007-09-20 2009-08-21 배점규 물품거치대
JP5528742B2 (ja) * 2009-08-31 2014-06-25 ローランド株式会社 パイプホルダー
JP5753188B2 (ja) * 2010-11-15 2015-07-22 スペーシア株式会社 パイプジョイント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388A1 (ko) * 2018-04-17 2019-10-24 금성에이스산업(주)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 및 상기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을 구성하는 평면 형태 외관 형성 사각 랙 파이프 및 랙 파이프 연결용 사각 조인트
KR20190002666U (ko) * 2018-04-17 2019-10-25 금성에이스산업(주)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 및 상기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을 구성하는 평면 형태 외관 형성 사각 랙 파이프 및 랙 파이프 연결용 사각 조인트
US11412852B2 (en) 2018-04-17 2022-08-16 G.S.Ace Industry Co., Ltd. Planar exterior pipe rack system, and planar exterior forming square rack pipe and rack pipe connecting square joint which constitute planar exterior pipe rack system
WO2019221322A1 (ko) * 2018-05-18 2019-11-21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랙 시스템용 사각 알루미늄 프로파일, 랙 조인트 및 수직 연결 부재
WO2020050430A1 (ko) * 2018-09-03 2020-03-12 한보일렉트(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KR20210060620A (ko) * 2019-04-22 2021-05-26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랙 시스템용 연결기
KR20200002594U (ko) * 2019-05-21 2020-12-01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랙 구조물에 적용되는 회전형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505Y1 (ko) 2018-05-29
WO2016010166A1 (ko) 2016-01-21
CN205813980U (zh) 2016-12-21
KR20170003978U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05Y1 (ko)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US8651300B2 (en) Sectional rack
WO2016133455A1 (en) Furniture parts comprising a male part and a female part of a joint
US9714728B2 (en) Tube fitting and tube fitting set having the same
US20140224515A1 (en) Transition Splice for Cable Routing System
US20140062081A1 (en) Pipe connector
KR102453525B1 (ko) 구조용 커플러
JP6247046B2 (ja) 温室及び温室用骨組み材
CN107454919B (zh) 一触式钢筋绑扎夹子
JP2018504561A (ja) クリップナットおよびクリップナットとナットとの組み合わせを組み立てる方法
WO2011059962A4 (en) Interlocking tubing clamps
US11412852B2 (en) Planar exterior pipe rack system, and planar exterior forming square rack pipe and rack pipe connecting square joint which constitute planar exterior pipe rack system
KR101205237B1 (ko) 경량 안전시스템용 비계 파이프
CN103476297B (zh) 用于壁柜的墙壁组装的方法
KR20220072684A (ko) 산업용 선반 파이프 연결 시스템
KR20140128853A (ko) 철근 커플러
KR101289374B1 (ko) 구조물용 조인트
US20070172312A1 (en) Coupling for joining connection tubes of an exercise apparatus
US20130180801A1 (en) Scaffold
KR101876192B1 (ko) 프레임 연결구
KR20150134826A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KR101576773B1 (ko) 철근 연결 장치
JP5835946B2 (ja) パイプユニットの連結構造及び分割管継手
KR20120049475A (ko) 판넬에 구비되는 체결핀
KR101255244B1 (ko) 조립 가능한 경량 비계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