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826A -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826A
KR20150134826A KR1020140062116A KR20140062116A KR20150134826A KR 20150134826 A KR20150134826 A KR 20150134826A KR 1020140062116 A KR1020140062116 A KR 1020140062116A KR 20140062116 A KR20140062116 A KR 20140062116A KR 20150134826 A KR20150134826 A KR 20150134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leeve
engaging
protrusion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4826A/ko
Publication of KR2015013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자의 특허 제10-134660호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결합슬리브(108)와 결합돌출부(109)는 선단긴밀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를 제공하여, 결합작업을 곤란하게 하지 않게 하면서도 결합부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게 하여 결합부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며, 선단결합부의 긴밀한 결합으로 결합부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며, 선단결합부가 횡방향으로의 저지력을 발휘하여 횡방향으로의 구부러짐을 방지하여, 결합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함으로서 기다란 모서리부재를 짧게 형성시켜 결합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소형의 사출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설비 경제를 도모할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A inner corner member of a concrete form}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자의 특허 제10-134660호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금속제 콘크리트 거푸집은 일반적로 평판벽재와 내측 모서리부재로 구성되는 바, 내측 모서리부재는 평판벽재와 평판벽재 사이의 모서리부 내측에 설치되어 콘크리트구조물의 내측 모서리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거푸집을 금속판으로 형성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모서리부재의 제조가 지극히 곤란하다. 그렇다고 이러한 내측 모서리부재를 합성수지로 형성시키려 하면 내측 모서리부재의 길이가 제질 짧은 것이 60cm이고 긴 것은 90cm 또는 120cm의 길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긴 길이의 모서리부재를 사출 성형시키려 하면 금형의 대형화 및 사출장치의 대형화를 필요로 하여 6위와 같은 모서리부재의 소요량이 많지 아니하여 길이가 60cm를 초과하는 90cm 또는 120cm 길이의 모서리부재 생산을 위한 초 대형 금형과 이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할 수 있게 하는 초대형 사출성형기의 구비가 용이한 일이 아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그 길이가 60cm 또는 30cm인 모서리부재를 사출 성형시키고, 그 이상의 기다란 모서리부재는 사출 성형된 부재를 단순 연결 접합하여 사용되어 왔던 바, 이와 같이, 짧은 모서리부재를 접합하면 그 연결부위에 단차가 생길 염려가 있을 뿐 아니라, 이웃하는 거푸집과의 연결 부위에서 구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중대한 결점이 있다.
모든 거푸집은 이웃하는 다른 거푸집과의 결합을 위해 상하 방향으로 150mm의 간격으로 연결핀삽입구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서리부재 또한 150mm의 간격으로 연결핀삽입구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거푸집의 길이는 600mm, 900mm 또는 1200mm의 길이로 제작되어야 하는 바, 따라서 거푸집을 300mm의 길이로 형성시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면, 필연적으로 그 연결부에 상기 연결핀삽입구가 설치되어야 하고, 그리하면 연결되는 상위 모서리부재에 1/2 삽입구를 형성시키고 하위 모서리부재에 1/2 삽입구를 형성시켜 연결상태에서는 온전한 크기의 연결핀삽입구가 형성되게 할 수 밖에 없다. 그리하면 연결핀삽입구가 위와 같이 2분되어 충분한 강성을 가지지 못하여 이에 접합되는 거푸집과의 연결 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선 특허 제10-134660호 발명으로, 본체의 단부에 걸치되는 돌출결합부의 경계선상에 본체에 설치되는 1/2삽입구와 돌출결합부에 설치되는 1/2삽입구가 더불아 하나의 온전한 크기의 연결핀 삽입구가 형성되게 하고 이에 결합되는 타 본체의 슬리브에 형성되는 1/2상입구가 위 온전 삽입구의 얇은쪽 부위에 겹쳐지게 하여서 되는 모서리부재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 발명의 모서리 부재 또한 연결부위에서의 연결핀삽입구가 비록 반쪽 두께일 망정 1/2로 분할되어 취약성을 면할 수 없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본 발명자의 선 발명 모서리부재는 연결부가 슬리브와 슬리브를 수납하는 수납부로 구성되는바, 이러한 슬리브와 수납부는 그 길이를 길게 형성시키면 결합 작업이 불편 내지는 곤란하게 되어 슬리브와 결합부의 길이를 짧게 형성시킬 수밖에 없고, 또, 슬리브와 결합부는 그 결합 작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상태를 심하게 긴밀하게 형성시킬 수 없어 유격이 존재하기 마련이며 그리하여 결합부에서 어느 정도 구부러지는 현상을 감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결점이 있었고, 그리하여 구부러짐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직경이 600mm인 모서리부재는 일거에 사출성형시키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의 위 선 특허 발명의 경우에도 모서리부재가 연결부위에서 구부러지면서도 대형의 사출기를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며, 특히, 위 선 발명은 600mm 길이 사출용 금형과 300mm 길이의 사출용 금형을 중복 마련하지 않으면 아니되는 설비 비용 과부담의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분할되게 사출 성형시켜 합체로 되게 하는 모서리부재가 합체 부위에서 구부러짐이 적게 하여 각 개 단위 모서리부재를 30cm로 짧게 형성시킬 수 있게 하며 그리하여 30cm 길이의 모서리부재 사출용 소형 금형으로 소형의 사출기로 모서리부재를 제조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에 결합슬리브가 형성되고 타측에 결합돌출부를 형성시켜서 되는 모서리부재에 있어서,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에 선단긴밀결합부를 형성시킴으로서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 사이의 결합상태에 유격이 있다 하더라도 선단부에 형성된 긴밀결합부가 결합부위에서의 구부러짐 현상을 감소시키게 하려 한다. 그리고 위의 선단긴밀결합부는, 결합슬리브의 단부에 설치되는 수납부와, 결합돌출부의 외면 뿌리의 연결핀삽입부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에 긴밀하게 끼워지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모서리부재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결합슬리브의 단부에 수납부가 형성되게 하고, 결합돌출부는 그 뿌리 외측 부위에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돌출부를 가지게 되어, 이웃하는 모서리부재가,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로 결합되는 외에,
결합슬리브 단부의 수납부에 결합돌출부의 뿌리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가 긴밀하게 끼워져 들어가면서 횡방향으로의 걸림 현상을 제공하여 결합부위의 구부러짐을 저지하는 작용을 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상기의 돌출부가 결합돌출부의 외면 뿌리의 연결핀삽입부 부분에 설치되어 연결핀삽입부 부위의 두께를 온전하게 하여 연결핀삽입부 부분의 취약성을 해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의 단부가 긴밀하게 결합되어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할 뿐 아니라, 특히 수납부와 돌출부는 횡방향으로의 저지턱 기능을 가지게 되어 결합부위의 구부러짐을 효과적으로 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 사이에 그 결합의 용이성을 위해 유격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유격을 형성시킨다 하더라도 그 선단부가 긴밀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부에서의 구부러짐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돌출부와 결합슬리브의 길이가 결합슬리브에 형성시킨 수납부의 깊이만큼 연장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결합부의 결합 상태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0cm 길이의 짧은 모서리부재를 끼워 결합하여 연결하더라도 곧은 모서리 부재를 얻을 수 있게 하여, 대형의 금형과 대형의 사출기 시설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어 설비 경제를 도모하게 한다.
도1은 모서리 부위의 거푸집 설치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모서리부재의 연결 상태도 및 요부 발췌 확대사시도
두 개 이상의 모서리부재를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로 결합시키려면, 결합돌출부가 결합슬리브 내로 끼워져 들어가야 하는데,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의 길이가 짧으면 쉽게 끼워 결합할 수 있지만 그 길이가 짧으면 결합상태가 불량하여 결합부위에서 구부러짐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의 길이는 길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를 길게 형성시키더라도, 그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 사이에 유격이 적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의 길이는 길게 형성시키고 또 유격이 적게 형성시키면, 결합 작업이 곤란하고 그렇다고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의 길이를 짧게 형성시키고 또 유격이 크게 형성시키면 결합 작업은 수월하나 결합부위에서 구부러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의 길이와 또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 사이의 유격 정도 조정은 매우 중요한 일이나, 결합이 불가능하면 아예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어느 정도 유격을 둘 수밖에 없고 그리하여 어느 정도의 구부러짐은 인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의 길이를 길게 하고 결합슬리브와 결합돌출부 사이의 유격을 비교적 크게 하면서도 연결부에서 구부러짐이 적게 되는 모서리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내측모서리성형면(101, 102)과, 내측모서리성형면(101, 102)에 잇대어 형성되고 평판벽재(가, 나)가 접하여지는 평판벽재결합부(103, 104)와, 양 평판벽재결합부(103, 104) 사이의 대각선지지벽(105)으로 구성되며, 상기 평판벽재결합부(103, 104)는 평판벽재(가, 나)를 결합하기 위하여 등거리(15cm)로 형성되는 연결핀삽입구(106)를 가지며, 상기 대각선지지벽(105)은 통공(107)을 가져서, 연결핀을 통공(107)을 통하여 내측으로 넣어 내측으로부터 끼워 연결핀삽입구(106)를 통하여 외측으로 나오게 하고 외측으로 나온 연결핀에 쐐기를 끼워 평판벽재(가, 나)를 결합하게 하며, 양 단부에 결합슬리브(108)와 결합돌출부(109)를 가지는 모서리부재(100)에 있어서,
본 발명은, 결합슬리브(108)와 결합돌출부(109)에 선단긴밀결합부를 가지는 모서리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단긴밀결합부는 결합슬리브(108)의 단부에 형성되는 수납부(1)와, 결합돌출부(109)의 외면 뿌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에 긴밀하게 수납되는 돌출부(2)로 되는 모서리부재를 제공한다. 즉, 상기 수납부(1)와 수납부(1)에 수납되는 돌출부(2)는 유격이 없는 긴밀한 결합 보강구조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긴밀구조는 결합부위의 구부러짐 방지에 중대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돌출부(2)가 결합돌출부(109)의 외면 뿌리 부위의 연결핀삽입구(106)외측으로 설치되어 돌출부(2)가 연결핀삽입구(106)를 내측에 포함하여 연결핀삽입구(106)의 주변 두께를 온전하게 하여서 되는 모서리부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결합돌출부(109)나 결합슬리브(108)의 길이가 되는 결합부의 길이가 결합슬리브(108)의 밑둥과 수납부(1)를 형성시킴에 따라 형성되는 측벽(11)의 합으로 형성되게 하여 결합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길이가 길어진 결합부는 결합부에서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하여 결합부위에서의 구부러짐 방지 효과를 상승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결합부위를 길게 형성시킨다 하더라도, 결합슬리브(108)에 결합돌출부(109)를 결합할 때에, 결합돌출부(109)가 측벽(11) 부위에 결합되는 단계에서는 측벽(11) 부위가 외향으로는 저항력이 적은 외향 탄력성을 가지어 결합부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돌출부(2)가 수납부(2)에 긴밀히 끼워 결합되므로 결합된 부위에서 횡방향(다)으로의 굴곡은 저지되며, 그리하여 결합부의 구부러짐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은, 결합단부에 결합부의 길이를 길게 형성시키더라도 결합슬리브(108)에 결합돌출부(109) 사이의 유격을 비교적 크게 형성시킬 수 있어 결합슬리브(108)에 결합돌출부(109)를 끼우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측벽(11)에 형성시킨 경사벽(111)은 이에 결합되는 모서리부재가 대각선지지벽(105)쪽으로 구부러지는 일을 방지한다.
결합 단부인 상기 수납부(1)와 돌출부(2)를 유격 없이 아주 긴밀하게 결합되게 형성시킨다 하더라도 수납부(1)와 돌출부(2)는 그 길이가 짧아 결합 작업에 곤란성을 제공하지 아니하면서도 단부의 결합을 공고히 하여 연결부에서의 구부러짐을 크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에서 나아가, 상기 수납부(1)와 돌출부(2)가 양측 평판벽재결합부(103, 104)에만 형성시켜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부재를 제공한다. 즉, 내측모서리면성형부(101, 102)의 길이는 이를 길게 형성시켜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하면 이에 결합되는 다른 모서리부재는 내측, 즉, 대각선지지벽(105) 측으로 굴신하려는 응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응력에 대응하는 보강구조는 대각선지지벽(105)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대각선지지벽(105)은 통공(107)을 가지며 분할부는 이러한 통공(107)을 분할하면서 형성될 수밖에 없어, 그 구조가 취약하여 상기 보강구조를 형성시킴이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보강구조를 양측 평판벽재결합부(103, 104)에만 형성시켜서 되는 모서리부재를 제공한다.
1. 횡방향저지턱
2. 수납부
3. 돌출부
100....모서리부재
101, 102.... 내측모서리성형면
103, 104.... 평판벽재결합부
105.....대각선지지벽
106.....연결핀삽입구
107.....통공
108.....결합슬리브
109.....결합돌출부

Claims (4)

  1. 내측모서리성형면(101, 102)과, 내측모서리성형면(101, 102)에 잇대어 형성되고 평판벽재(가, 나)가 접하여지는 평판벽재결합부(103, 104)와, 양 평판벽재결합부(103, 104) 사이의 대각선지지벽(105)으로 구성되며, 양 단부에 결합슬리브(108)와 결합돌출부(109)를 가지는 모서리부재(100)에 있어서,
    결합슬리브(108)와 결합돌출부(109)는 선단긴밀결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선단긴밀결합부는, 결합슬리브(108)에 설치되는 수납부(1)와, 결합돌출부(109)의 외면 뿌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1)에 긴밀하게 수납되는 돌출부(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결합돌출부(109)의 외면 뿌리 부위에 설치되는 상기 돌출부(2)는 연결핀삽입구(106)외측으로 설치되어 돌출부(2)가 연결핀삽입구(106)를 내측에 포함하여 연결핀삽입구(106)의 주변 두께를 온전하게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와 상기 돌출부(3)가, 양측 평판벽재결합부(103, 104)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KR1020140062116A 2014-05-23 2014-05-23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KR20150134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116A KR20150134826A (ko) 2014-05-23 2014-05-23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116A KR20150134826A (ko) 2014-05-23 2014-05-23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826A true KR20150134826A (ko) 2015-12-02

Family

ID=54883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116A KR20150134826A (ko) 2014-05-23 2014-05-23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48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4394A (zh) * 2016-04-28 2016-07-27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清水斜墙转接清水斜板的空间阴角体系及其施工方法
KR102588569B1 (ko) * 2023-02-07 2023-10-12 윤병주 벽체 인코너 및 벽체와 천정 모서리 거푸집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4394A (zh) * 2016-04-28 2016-07-27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清水斜墙转接清水斜板的空间阴角体系及其施工方法
CN105804394B (zh) * 2016-04-28 2017-12-2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清水斜墙转接清水斜板的空间阴角体系及其施工方法
KR102588569B1 (ko) * 2023-02-07 2023-10-12 윤병주 벽체 인코너 및 벽체와 천정 모서리 거푸집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7271B2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位置保証装置
JP5988627B2 (ja) 流体輸送接続装置、該接続装置を備える回路、および該接続装置の着脱方法
CN106639160B (zh) 一种钢筋套筒
JP6272912B2 (ja) 結合手段
US20070204441A1 (en) Buckle
EP2493031B1 (en)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it
JP2020188014A (ja) 電源コネクタ
US9011095B2 (en) Latching device for a pump housing and pump
KR200452849Y1 (ko) 철근연결구
JP2007531486A (ja) ベースプレートと固定部分とから成る取付けユニットを備えたブスバーシステム
KR20160111905A (ko)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KR20150134826A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 모서리 부재
KR20150145505A (ko) 철근 원터치 커플러
BR102013001157A2 (pt) elemento de acoplamento e elemento de destravamento para o elemento de acoplamento
KR101516423B1 (ko)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388B1 (ko)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US11401964B2 (en) Detachable handle fastening coupling for working implements
CN107017516B (zh) 连接器
US10107694B2 (en) Sensor arrangement, sensor arrangement system and set of sensor arrangement elements
JP6179451B2 (ja) コネクタ
KR20150004637A (ko) 대구경 철근 이음구
KR101229584B1 (ko) 호스클램프
KR101768822B1 (ko) 전선 고정용 커플러
KR102378130B1 (ko) 틈새부위 마감처리를 위한 삽입장치
US10167984B2 (en) Pipe connector and pipe-connected embedded box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