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423B1 -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423B1
KR101516423B1 KR1020130127361A KR20130127361A KR101516423B1 KR 101516423 B1 KR101516423 B1 KR 101516423B1 KR 1020130127361 A KR1020130127361 A KR 1020130127361A KR 20130127361 A KR20130127361 A KR 20130127361A KR 101516423 B1 KR101516423 B1 KR 101516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pipe
vertical pipe
forming
horizont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심일
Original Assignee
윤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심일 filed Critical 윤심일
Priority to KR1020130127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계의 수직파이프(20)와 수평파이프(10)를 연결할 시 사용되는 연결구(1)의 구성과 제조방법을 개선시켜서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체결되면서 수평파이프(10)가 흔들림 없이 수직파이프(20)에 연결되며, 고정핀(40)이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한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1)를 구성 및 제조함에 있어서 양측의 측면부재(2)가 일체로 연결되게 벤딩된 선단절곡부(3)의 전면으로 수직파이프(2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호형의 면접부(8)를 가압 성형하여 수직파이프(20)와 수평파이프(10)의 결합 시 수직파이프(20)의 외주면과 연결구(1)가 면접되도록 하고, 고정핀(40)의 하단이 관통되는 연결구(1)의 하부 결합공(7)에 양측의 측면부재(2)에서 연장된 안내편(9)을 내측으로 만곡지게 성형하여 수직파이프(20)와 수평파이프(10)의 결합 시 연결구(1)의 상부 결합공(6)을 통해서 고정플레이트(30)의 체결공(31)에 관통된 고정핀(40)이 수직으로 곧게 기립되도록 안내하여 고정핀(40)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구성과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용이하면서 월등한 내구성과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뛰어난 효능을 발휘하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The scaffold horizontal pipe end connection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비계의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연결할 시 사용되는 연결구의 구성과 제조방법을 개선시켜서 보다 간단하게 용이하게 체결되면서 수평파이프가 흔들림 없이 수직파이프에 연결되며, 고정핀이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한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계(飛階)는 지면에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된 수개의 수직파이프와 수개의 수직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 설치된 수개의 수평파이프로 이루어져서 건설현장이나 조선소 등의 각종 산업현장의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일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임시가설물로서, 이러한 비계의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의 연결을 위해서 통상 수직파이프의 일정 높이마다 방사상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가 용접 등에 의해서 고정 설치되고, 수평파이프의 단부에는 전면이 수직파이프의 외주면에 접하며 상하 가운데에 고정플레이트가 내입되는 내입홈이 형성되면서 상하로 고정플레이트가 내입홈에 내입 시 고정플레이트의 체결공과 일치되는 상하부 결합공이 형성된 연결구가 용접 고정되며, 이때 연결구의 상하부 결합공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토록 결합 설치된 고정핀이 고정플레이트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가 연결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92718호(2005년 6월 7일자 공고), 공개특허 2009년 제102509호(2009년 9월 30일자 공개), 공개특허 2010년 제37242호(2010년 4월 9일자 공개)에 게재된 바와 같이 전단부가 수직파이프에 접하면서 고정핀이 상하로 관통되게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상판 및 하판이 전방으로는 개방되며 후방으로는 수평파이프의 단부가 용접 고정되는 설치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측면에서 볼 때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이하 "가로형 연결구"라 칭함)되거나,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9년 제33034호(1999년 8월 5일자 공개)나 등록실용신안 제179329호(2000년 4월 15일자 공고)에 게재된 바와 같이 평판을 세로로 세워서 가운데를 평면상으로 볼 때 "M"자 내지 "W"자로 절곡하여 양측으로 수평파이프의 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측면부재를 구비하며, 양측 측면부재의 전면에는 수직파이프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가 내입되는 내입홈을 구비하며, 양측 측면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이격되어 고정플레이트의 체결공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핀이 상하로 슬라이드 관통되는 결합공을 구비하도록 구성(이하 "세로형 연결구"라 칭함)되었으나, 상기 가로형 연결구는 비계의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의 결합 시 가장 응력을 많이 받는 수직파이프에 각각 접하는 상판과 하판이 별도로 이격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과 함께 평판 형태의 상판과 하판에 고정핀이 관통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플레이트에 결합 시 상판의 결합공을 관통한 고정핀의 하단이 고정플레이트의 체결공을 관통한 후 하판의 결합공에 관통될 시 고정핀의 하단이 하판의 결합공에 정확하게 중심을 맞추어 체결되지 않으므로 고정핀의 결합이 어려워서 전체적으로 비계의 설치시간이 장기화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상기 세로형 연결구의 경우 수직파이프에 접하는 선단부가 좌우 양측의 측면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M"자 등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가로형 연결구에 비하여 그 내구성이 월등한 이점은 가지지만, 이 역시 고정핀을 결합할 시 상부 결합공과 하부 결합공의 형상이 동일하여 고정플레이트의 체결공의 중심이 상하부 결합공의 중심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시 고정핀이 수직에서 기울어지게 체결되거나, 선단부를 절곡 형성하므로 수직파이프와 접하는 선단부의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의 돌출 정도가 정확하도록 제작하기 어려워서 선단부가 수직파이프에 접할 시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접하게 됨으로써 수직파이프에 수직파이프가 삐뚤어지게 연결 고정되어 비계의 조립 후 발판 등의 설치가 곤란해지는 등 다수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어 왔던 것이다.
KR 10-0492718 B1 2005. 6. 7. KR 10-2009-0102509 A 2009. 9. 30. KR 10-2010-0037242 A 2010. 4. 9. KR 20-1999-0033034 U 1999. 8. 5. KR 20-0179329 Y1 2000. 4. 15.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를 종래 세로형 연결구로 구성 및 제조함에 있어서 양측의 측면부재가 일체로 연결되어 벤딩된 선단부의 전방으로 수직파이프와 면접되는 호형의 면접부를 가압 형성하고, 고정핀의 하단이 관통되는 연결구의 하부 결합공에 양측의 측면부재에서 내측으로 만곡지게 안내편을 연장 형성 하여 연결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선단부 전방의 면접부에 의해서 수평파이프를 수직파이프에 안정적으로 연결 고정시키며, 고정플레이트의 체결공과 연결구의 상하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의 결합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되, 상기 연결구의 구성은 평면에서 볼 때 "M"자 형태로 절곡시킨 선단절곡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절곡되게 일체로 형성된 좌우의 양측 측면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양측 측면부재는 후방으로 비계의 수평파이프가 결합 고정되도록 마주보며 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양측 측면부재의 전방에 선단절곡부의 상하 가운데로 비계의 수직파이프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가 내입되도록 수평으로 절개 형성된 내입홈이 구비되며, 상기 양측 측면부재의 상하부에 마주보는 측면부재와 각각 이격되어 내입홈으로 결합된 고정플레이트의 체결공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핀이 상하로 슬라이드 관통되게 형성된 상·하부 결합공이 각각 구비되며, 이때 상기 선단절곡부의 전면에 수직파이프의 외주면과 면접되게 수직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가압 형성된 호형의 면접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핀의 하단이 관통되는 하부 결합공에 양측의 측면부재에서 내측으로 만곡지게 일체로 형성된 안내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구의 제조방법은 평판 형태의 철판을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블랭킹하여 가운데에 내입홈성형공이 관통 형성되며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날개편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 날개편을 더 길게 성형하여 안내편성형부가 되도록 성형하는 몸체성형단계를 거친 후, 평판 형태의 몸체 좌우 양측 단부를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호형으로 동일하게 상향 절곡하여 만곡결합부를 성형하는 만곡결합부성형단계를 거친 다음, 몸체의 중앙에 전후 일직선상으로 상향되게 절곡된 선단절곡부를 형성하면서 선단절곡부를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하향 가압하여 몸체 중앙의 선단절곡부를 중심으로 만곡결합부가 형성된 몸체의 양측 단부가 상향 절곡되도록 해서 몸체 양측으로 측면부재를 각각 성형하는 1차절곡성형단계를 거치며, 이후 만곡결합부를 각각 갖는 양측 측면부재의 연결부인 몸체 중앙의 선단절곡부를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W"자 형태(=선단절곡부를 전방으로 위치토록 하고 양측 측면부재의 만곡결합부를 후방으로 위치토록 할 시 평면에서 볼 때 "M"자 형태)를 갖도록 재차 절곡 성형하면서 상형을 측면부재의 만곡결합부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양측 측면부재 및 만곡결합부의 변형을 방지토록 성형하는 2차절곡성형단계를 거친 다음, 양측 측면부재의 중앙 선단절곡부의 전면을 수직파이프와 동일한 반경을 갖도록 만곡 형성된 하형에 의해서 가압하여 수직파이프와 면접되는 호형의 면접부를 형성하면서 상형을 측면부재의 만곡결합부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양측 측면부재 및 만곡결합부의 변형을 방지토록 성형하는 면접부가압성형단계를 거쳐서 연결구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인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 평면에서 볼 때 선단부가 "M"자로 절곡되고 양측으로 후방에 수평파이프가 결합 고정되는 만곡결합부를 갖는 세로형 연결구에서 선단절곡부의 전방으로 프레스 가압에 의해서 수직파이프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면접부를 형성하고, 양측 측면부재의 하부에 이격되게 형성되어 수직파이프의 고정플레이트 체결공에 관통 체결되는 고정핀이 상하로 슬라이드 관통되는 하부 결합공에 양측 측면부재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만곡진 안내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선단절곡부와 면접부를 성형 시 상형으로 양측 측면부재의 만곡결합부를 고정시켜서 변형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연결구를 수평파이프의 단부에 결합 고정시킨 후 수직파이프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를 연결구의 내입홈에 내입시킨 다음, 고정핀을 연결구의 상부 결합공으로 관통 후 고정플레이트의 체결공과 연결구의 하부 결합공으로 끼움 결합하게 되면, 연결구의 선단절곡부에 형성된 내입홈의 상하 면접부가 수직파이프의 외주면에 면접촉하게 되어 수직파이프에 수평파이프가 삐뚤어지지 않고 보다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내구성이 높은 비계를 설치할 수 있으며, 연결구에 수평파이프를 결합 고정할 시에도 양측 측면부재의 만곡결합부가 수평파이프에 밀착 결합되어 용접 등의 고정 후 수평파이프에서 연결구의 이탈을 월등히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핀의 결합 시 연결구 하부 결합공 양측으로 만곡진 안내편에 의해서 고정핀이 곧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하고, 비계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연결구가 결합된 수평파이프와 수직파이프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연결구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연결구의 제조방법을 보인 개략적인 블록도
도 6a 내지 6e는 도 5의 연결구 제조방법에서 각 단계별 세부적인 공정 상태를 보인 공정도
본 발명은 지면에서부터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된 수개의 수직파이프와 수개의 수직파이프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 설치된 수개의 수평파이프로 이루어져서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일을 할 수 있도록 한 임시가설물인 비계를 설치함에 있어서 비계의 수직파이프와 수평파이프의 연결 시 사용되는 수평파이프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도면과 더불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파이프(10)의 단부에 결합 설치되어 수직파이프(20)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고정플레이트(30)와 고정핀(40)으로 체결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구(1)는 비계의 수직파이프(20)와 수평파이프(10)를 연결시키는 수단으로 고정플레이트(30) 및 고정핀(40)과 더불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파이프용 연결구(1)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에 세로로 세워진 측면부재(2)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양측 측면부재(2)의 전방 선단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 "M"자 형태로 절곡된 선단절곡부(3)가 형성되어 양측 측면부재(2)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양측 측면부재(2)의 후방으로는 수평파이프(10)가 결합 고정되도록 마주보며 만곡진 호형의 만곡결합부(4)가 구성되며, 이때 상기 양측 측면부재(2)의 전방에 형성된 선단절곡부(3)의 상하 가운데에는 비계의 수직파이프(20)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30)가 내입되도록 수평으로 절개된 내입홈(5)이 형성되며, 양측 측면부재(2)의 상부와 하부는 마주보며 각각 이격되어 내입홈(5)으로 결합된 고정플레이트(30)의 체결공에 끼움 고정되는 고정핀(40)이 상하로 슬라이드 관통되는 상부 결합공(6) 및 하부 결합공(7)이 각각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연결구(1)는 도 2에서와 같이 양측 측면부재(2)의 가운데 선단부에 위치하는 선단절곡부(3)의 전면으로 수직파이프(20)의 외주면과 면접되게 수직파이프(2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호형의 면접부(8)가 가압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파이프(20)와 수평파이프(10)의 결합 시 연결구(1)의 면접부(8)에 의해서 연결구(1)의 선단절곡부(3)가 수직파이프(20)의 외주면에 면 접촉되므로 연결구(1)가 수직파이프(20)의 외주면에서 흔들림 없이 밀착이 이루어져서 수평파이프(10)가 삐뚤어지게 연결되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구(1)는 도 3에서와 같이 양측 측면부재(2)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결합공(7)에는 내입홈(5)으로 결합된 고정플레이트(30)의 체결공(31)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핀(40) 하단이 수직으로 곧게 결합되도록 양측 측면부재(2)에서 하향 연장된 안내편(9)이 각각 마주보며 내측으로 만곡지게 일체로 형성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파이프(20)와 수평파이프(10)의 결합 시 연결구(1)의 안내편(9)에 의해서 고정플레이트(30)의 체결공(31)을 통과한 고정핀(40)의 하단을 안내하여 고정핀(40)을 좌우로 흔들거나 하는 등의 별도 조작을 행하면서 결합하지 않아도 밀어 넣기만 하면 자연적으로 곧게 직립되면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1)의 제조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을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몸체(1-1)를 성형하는 몸체성형단계(S1)와, 몸체(1-1)의 양측 단부에 호형의 만곡결합부(4)를 성형하는 만곡결합부성형단계(S2)와, 몸체(1-1) 중앙을 가압하여 양측에 후방으로 측면부재(2)가 절곡되게 성형하는 1차절곡성형단계(S3)와, 양측 측면부재(2)의 연결부인 선단절곡부(3)를 폭이 좁게 성형하는 2차절곡성형단계(S4)와, 선단절곡부(3)의 전면에 수직파이프(20)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면접부(8)를 가압 성형하는 면접부가압성형단계(S5)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제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1)의 제조방법에서 각 단계별로 세부공정을 살펴보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성형단계(S1)에서는 평판 형태의 철판을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블랭킹(blanking)하여 몸체(1-1)를 성형하되, 몸체(1-1)의 가운데에 내입홈성형공(5-1)이 관통 형성되도록 성형하며, 몸체(1-1)의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날개편(9-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되 전방 또는 후방 중 일방향의 양측 날개편(9-0)을 반대방향의 양측 날개편(9-0)보다 더 길게 성형하여 안내편성형부(9-1)가 형성되도록 성형한다.
상기 만곡결합부성형단계(S2)에서는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성형단계(S1)를 거쳐서 제작된 평판 형태의 몸체(1-1) 좌우의 양측 단부를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호형으로 동일하게 상향 절곡하여 몸체(1-1)의 양단으로 연결구(1)의 성형 후 수평파이프(10)가 결합 고정되는 만곡결합부(4)가 생성되도록 성형하는 것이다.
이후 1차절곡성형단계(S3)에서는 도 6c에서와 같이 양측 단부에 만곡결합부(4)가 생성된 몸체(1-1)의 중앙으로 전후 일직선상으로 상향되게 절곡된 선단절곡부(3)를 형성하면서 선단절곡부(3)를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하향 가압하여 몸체(1-1) 중앙의 선단절곡부(3)를 중심으로 만곡결합부(4)가 형성된 양측 단부가 상향 절곡되도록 해서 몸체(1-1) 양측으로 각각 측면부재(2)를 각각 성형하도록 한 다음, 도 6d에서와 같이 2차절곡성형단계(S4)에서는 1차절곡성형단계(S3)에서 생성된 몸체(1-1) 중앙의 선단절곡부(3)를 프레스금형에 의해 "W"자 형태로 좁아지게 재차 절곡 성형하면서, 상형을 측면부재(2)의 만곡결합부(4)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양측 측면부재(2) 및 만곡결합부(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토록 성형하되, 2차절곡성형단계(S4)에 의해서 연결구(1)의 외형이 갖추어지며, 이러한 연결구(1)는 도 2에서와 같이 선단절곡부(3)를 전방으로 위치토록 하면서 양측 측면부재(2)의 만곡결합부(4)를 후방으로 위치토록 할 시 선단절곡부(3)의 형상이 평면에서 볼 때 도 4에서와 같이 개략 "M"자 형태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후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접부가압성형단계(S5)에서는 기존 연결구가 수직파이프(20)와 수평파이프(10)의 결합 시 수직파이프(20)의 외주면에 선단절곡부(3)가 수직으로 선 접촉하게 되던 것을 보강하기 위해 2차절곡성형단계(S4)를 거쳐서 선단절곡부(3)가 형태를 갖추도록 한 후 양측 측면부재(2)의 중앙 선단절곡부(3)의 전면을 수직파이프(20)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만곡되게 형성된 하형에 의해서 가압하여 수직파이프(20)와 면 접촉하도록 호형의 면접부(8)를 형성하면서, 상형을 측면부재(2)의 만곡결합부(4)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성형 시 양측 측면부재(2)와 만곡결합부(4)의 변형을 방지토록 성형하여 최종적으로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1)를 제조토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 및 제조된 본 발명인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1)는 먼저 언급한 바와 같이 양측 측면부재(2)를 상하 가운데로 수직파이프(20)의 고정플레이트(30)가 결합되는 내입홈(5)이 형성된 선단절곡부(3)에 의해서 일체로 구성된 세로형 연결구(1)에서 하부 결합공(7)에 마주보며 내측으로 만곡지게 양측 측면부재(2)에서 연장 형성된 안내편(9)을 구비하여 연결구(1)의 상부 결합공(6)을 관통하여 고정플레이트(30)의 체결공(31)에 체결되는 고정핀(40)의 하단부를 안내하여 고정핀(40)의 체결 시 별도의 조작 없이 밀어 넣기만 하면 자연적으로 수직 상태로 곧게 기립되도록 안내하여 수직파이프(20)의 고정플레이트(30)와 수평파이프(10)의 연결구(1)가 정확하게 고정핀(40)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연결구(1)의 선단절곡부(3) 전면에 수직파이프(2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면접부(8)를 구비하여 수직파이프(20)의 고정플레이트(30)를 수평파이프(10)의 연결구(1)에 형성된 내입홈(5)으로 결합 시 고정핀(40)으로 연결구(1)의 상부 결합공(6)과 고정플레이트(30)의 체결공(31) 및 연결구(1)의 하부 결합공(7)을 관통하여 결합하게 되면, 연결구(1)의 선단절곡부(3) 전면의 면접부(8)가 수직파이프(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수직파이프(20)에 결합된 수평파이프(10)가 흔들리거나 연결구(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연결구(1)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작한 후 양측 측면부재(2)의 후방에 마주보며 만곡지게 형성된 만곡결합부(4)에 수평파이프(10)의 단부를 끼움 결합 후 용접 등으로 고정시킨 다음, 수직파이프(20)에 고정된 고정플레이트(30)가 연결구(1)의 내입홈(5)으로 내입되게 결합하여 선단절곡부(3)의 면접부(8)가 수직파이프(2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이후 도 1에서와 같이 연결구(1)의 상부 결합공(6)을 통해서 고정핀(40)을 관통시켜 고정플레이트(30)의 체결공(31)을 관통시킨 후 연결구(1)의 하부 결합공(7)으로 안내편(9)에 의해서 안내되도록 하여 수직파이프(20)와 수평파이프(10)를 연결 고정시켜서 전체 비계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주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그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연결구 2:측면부재
3:선단절곡부 4:만곡결합부
5:내입홈 6:상부 결합공
7:하부 결합공 8:면접부
9:안내편 10:수평파이프
20:수직파이프 30:고정플레이트
31:체결공 40:고정핀
S1:몸체성형단계 S2:만곡결합부성형단계
S3:1차절곡성형단계 S4:2차절곡성형단계
S5:면접부가압성형단계 1-1:몸체
5-1:내입홈성형공 9-0:날개편
9-1:안내편성형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평판 형태의 철판을 블랭킹하여 가운데에 내입홈성형공(5-1)이 관통 형성되도록 성형하며, 전후 양측으로 돌출된 날개편(9-0)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되 일측 날개편(9-0)을 더 길게 성형하여 안내편성형부(9-1)가 되도록 한 몸체(1-1)를 성형하는 몸체성형단계(S1)와,
    몸체성형단계(S1)를 거쳐 성형된 몸체(1-1) 좌우의 양측 단부를 프레스에 의해서 호형으로 동일하게 상향 절곡하여 만곡결합부(4)를 성형하는 만곡결합부성형단계(S2)와,
    만곡결합부성형단계(S2)를 거친 후 몸체(1-1)의 중앙에 전후 일직선상으로 상향되게 절곡된 선단절곡부(3)를 형성하며, 선단절곡부(3)를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하향 가압하여 몸체(1-1) 중앙의 선단절곡부(3)를 중심으로 만곡결합부(4)가 형성된 몸체(1-1)의 양측 단부가 상향 절곡되도록 해서 몸체(1-1) 양측으로 측면부재(2)를 각각 성형하는 1차절곡성형단계(S3)와,
    1차절곡성형단계(S3)에 의해서 생성된 선단절곡부(3)를 프레스금형에 의해서 "W"자 형태로 좁아지게 재차 절곡 성형하며, 상형을 측면부재(2)의 만곡결합부(4)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양측 측면부재(2) 및 만곡결합부(4)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성형하는 2차절곡성형단계(S4)를 거쳐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2차절곡성형단계(S4) 이후 선단절곡부(3)의 전면을 수직파이프(2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만곡지게 형성된 하형에 의해서 가압하여 수직파이프(20)의 외주면과 면접되는 호형의 면접부(8)를 성형하며, 상형을 측면부재(2)의 만곡결합부(4)와 대응되게 형성하여 양측 측면부재(2) 및 만곡결합부(4)의 변형을 방지하면서 성형하는 면접부가압성형단계(S5)를 더 거쳐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제조방법.
KR1020130127361A 2013-10-24 2013-10-24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51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361A KR101516423B1 (ko) 2013-10-24 2013-10-24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361A KR101516423B1 (ko) 2013-10-24 2013-10-24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6423B1 true KR101516423B1 (ko) 2015-05-04

Family

ID=5339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361A KR101516423B1 (ko) 2013-10-24 2013-10-24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42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665B1 (ko) * 2018-11-06 2019-08-06 주식회사 엠유스틸테크 시스템 비계용 수평재 연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9167811A (ja) * 2018-03-23 2019-10-03 Krh株式会社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JP2019194425A (ja) * 2018-04-25 2019-11-07 Krh株式会社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KR20200050800A (ko) 2018-11-02 2020-05-12 김연학 비계 파이프 연결구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240010181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엠케이엔지니어링 시스템 비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882A (ja) * 1993-09-13 1995-03-28 Aruinko Kk 足場等の部材連結装置
KR200179329Y1 (ko) * 1999-11-16 2000-04-15 이춘기 조립식 비계장치의 수평재용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882A (ja) * 1993-09-13 1995-03-28 Aruinko Kk 足場等の部材連結装置
KR200179329Y1 (ko) * 1999-11-16 2000-04-15 이춘기 조립식 비계장치의 수평재용 연결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67811A (ja) * 2018-03-23 2019-10-03 Krh株式会社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JP7231925B2 (ja) 2018-03-23 2023-03-02 Krh株式会社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JP2019194425A (ja) * 2018-04-25 2019-11-07 Krh株式会社 仮設足場用連結構造体
KR20200050800A (ko) 2018-11-02 2020-05-12 김연학 비계 파이프 연결구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148465B1 (ko) * 2018-11-02 2020-08-26 김연학 비계 파이프 연결구 제조금형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007665B1 (ko) * 2018-11-06 2019-08-06 주식회사 엠유스틸테크 시스템 비계용 수평재 연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0096294A1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엠유스틸테크 시스템 비계용 수평재 연결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10181A (ko) 2022-07-15 2024-01-23 주식회사 엠케이엔지니어링 시스템 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423B1 (ko) 비계의 수평파이프용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CN106639160B (zh) 一种钢筋套筒
JP4885321B1 (ja) 配管固定具、配管固定方法、配管固定具の製造方法
US20140033493A1 (en) Semi-Circular Alignment Features of an Elastic Averaging Alignment System
EP2874249A1 (en) Pin contact comprising a contact body produced as a stamped bent part and a solid contact pin
EP2493031B1 (en)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it
EP2778443A1 (en) Clip
JP5909283B2 (ja) クロスランナコネクタ、および吊り天井格子
CN103814182A (zh) 连接钢条的单触式快速接头
WO2007131351A1 (en) Improved connections for suspended ceiling system
CN203456624U (zh) 连接端子
CN107355671A (zh) 一种拼装结构
CN108258549B (zh) 一种公母端相同的自插连接器
KR20110001140U (ko) 거푸집 결합용 클램프
JP2007234421A (ja) コネクタ
KR200478704Y1 (ko) 파이프 결속장치
CN111306974B (zh) 用于机动车辆的热交换器及相应的制造方法
CN107046200B (zh) 基板用连接器和基板用连接器的制造方法
CN108679053B (zh) 一种设备连接组件
JP3778340B2 (ja) ベルト連結具
JP2002056938A (ja) コネクタの支持構造
KR101850067B1 (ko) 조립식 트레이용 측판
KR102110224B1 (ko) 연결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파일연결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210976556U (zh) 一种脚手架的水平横杆
JP200624474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