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383Y1 -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 Google Patents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383Y1
KR200495383Y1 KR2020200003955U KR20200003955U KR200495383Y1 KR 200495383 Y1 KR200495383 Y1 KR 200495383Y1 KR 2020200003955 U KR2020200003955 U KR 2020200003955U KR 20200003955 U KR20200003955 U KR 20200003955U KR 200495383 Y1 KR200495383 Y1 KR 200495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andle member
profile
handle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043U (ko
Inventor
홍연탁
Original Assignee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에이스산업(주) filed Critical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to KR2020200003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38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0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0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3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53Handles or handle attachments facilitating operation, e.g. by children or burden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상기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에 의하면, 프로파일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 1 손잡이 부재 및 제 2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가 제 1 본체부와, 제 1 손잡이측 연결부 및 제 1 고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제 2 본체부와, 제 2 손잡이측 연결부 및 제 2 고리 연결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상기 프로파일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 및 상기 제 2 손잡이측 연결부가 일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가 서로 걸리는 형태로 이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와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의 분리도 방지될 수 있게 장점이 있다.
또한, 개시되는 상기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에 의하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제작 후 서로 결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금형비가 절감됨은 물론, 제작 원가도 낮출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프로파일용 핸드그립{Handgrip for profile}
본 고안은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에 관한 것이다.
핸드그립은 이동이 필요한 이동 대상체에 마땅히 손으로 잡을 곳이 없거나, 이동 대상체를 훼손하지 아니하고 이동해야 할 경우, 상기 이동 대상체에 결합되어 손잡이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핸드그립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은 복수 개가 서로 조립되어 산업 선반 등의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하는 산업용 랙 시스템에 적용되고, 그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와, 상기 파이프 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측 말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에 연결되어 상기 프로파일을 훼손시키지 아니하면서도 상기 프로파일의 요구되는 위치에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은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된 제 1 손잡이 부재와,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의 일측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 2 손잡이 부재와, 상기 이동 대상체에 연결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로 구성되는데, 종래의 상기 핸드 그립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와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대면되도록 위치되고, 그 위치가 유지된 상태로 결합되어야 하는데, 결합 작업이 수행되는 동안 작은 외력만으로도 임의로 분리되거나 서로 어긋나게 위치됨으로 인해 작업 시간이 길게 소요되거나, 2인 1조로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 제 10-2016-0055179 호, 공개일자 : 2016.05.17., 발명의 명칭 : 손잡이
본 고안은 제 1 손잡이 부재와 제 2 손잡이 부재를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의 분리도 방지될 수 있는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은 복수 개가 서로 조립되어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와, 상기 파이프 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측 말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상기 연장체 중 하나를 덮으면서 상기 파이프 본체에 연결되는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연장체 중 다른 하나를 덮으면서 상기 파이프 본체에 연결되는 제 2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는 상기 프로파일과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면서 그 일측면이 개방된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를 연결시키는 제 1 손잡이측 연결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돌출되는 제 1 고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는 상기 제 1 본체부와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본체부와 대면되는 측면이 개방된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의 내측 중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와 대응되는 곳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 손잡이측 연결부와, 상기 제 2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돌출되는 제 2 고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상기 프로파일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 및 상기 제 2 손잡이측 연결부가 일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가 서로 걸리는 형태로 이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의 임의 분리가 방지됨과 함께 상기 프로파일에 대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에 의하면, 상기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이 프로파일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 1 손잡이 부재 및 제 2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가 제 1 본체부와, 제 1 손잡이측 연결부 및 제 1 고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제 2 본체부와, 제 2 손잡이측 연결부 및 제 2 고리 연결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상기 프로파일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 및 상기 제 2 손잡이측 연결부가 일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가 서로 걸리는 형태로 이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와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의 분리도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에 의하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제작 후 서로 결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금형비가 절감됨은 물론, 제작 원가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에 프로파일이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을 수직으로 절단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을 분해한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을 구성하는 제 1 손잡이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을 구성하는 제 2 손잡이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을 구성하는 제 1 손잡이 부재와 제 2 손잡이 부재가 어긋나게 연결된 것을 수평으로 절단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8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 9는 도 7의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고리 형태로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제 2 삽입체가 제 1 장공 홈에서 이동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에 프로파일이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수직으로 절단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을 분해한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을 구성하는 제 1 손잡이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을 구성하는 제 2 손잡이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을 구성하는 제 1 손잡이 부재와 제 2 손잡이 부재가 어긋나게 연결된 것을 수평으로 절단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8은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의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고리 형태로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제 2 삽입체가 제 1 장공 홈에서 이동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100)은 복수 개가 서로 조립되어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11)와, 상기 파이프 본체(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와, 상기 돌출부(12)의 양측 말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체(13)를 포함하는 프로파일(1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 1 손잡이 부재(101)와 제 2 손잡이 부재(10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는 금형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성형되고,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제작 가능하고 그에 따라, 금형 제작비 및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의 제작 원가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파일용 핸드그립(100)은 결합 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는 한 쌍의 상기 연장체(13) 중 하나를 덮으면서 상기 파이프 본체(11)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 1 본체부(110)와, 제 1 손잡이측 연결부(125)와, 제 1 고리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본체부(110)는 회전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프로파일(10)과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면서 그 일측면이 개방된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본체부(110)는 제 1 수평 본체(111)와, 제 1 일측 수직 본체(112)와, 제 1 타측 수직 본체(113)와 제 1 일측 집게체(114)와, 제 1 타측 집게체(11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는 그 내부가 빈 상태로 상기 프로파일(10)과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프로파일(10)의 상공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일측 수직 본체(112)는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일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프로파일(10)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로파일(10)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타측 수직 본체(113)는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타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프로파일(10)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일측 수직 본체(112)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일측 집게체(114)는 상기 제 1 일측 수직 본체(112)의 말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11)의 외측면과 한 쌍의 상기 연장체(13)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파일(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타측 집체게는 상기 제 1 타측 수직 본체(113)의 말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11)의 외측면과 한 쌍의 상기 연장체(13)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일측 집게체(114)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본체부(11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 1 일측 집게체(114) 및 상기 제 1 타측 집게체(115)가 상기 프로파일(10)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본체부(110) 및 상기 프로파일(10)의 이동 등을 위해 작업자가 손가락을 인입할 수 있는 공간이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와, 상기 제 1 일측 수직 본체(112) 및 상기 제 1 타측 수직 본체(11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125)는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제 1 삽입체(126)와, 제 1 장공 홈(128)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삽입체(126)는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일측 말단부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장공 홈(128)은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타측 말단부에서 장공 형태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1 장공 홈(128)은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27은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1 삽입체(126)의 외측면과 서로 연결되면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삽입체(126)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제 1 강성 보강체이다.
상기 제 1 강성 보강체(127)는 상기 제 1 삽입체(126)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 이격되면서 복수 개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삽입체(126)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삽입체(126)가 상기 제 2 장공 홈(148)에 여러 번 삽입 및 이격이 반복되거나, 상기 제 2 장공 홈(148) 내에서 상기 제 1 삽입체(126)가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 1 삽입체(126)가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체(126)는 후술되는 제 2 장공 홈(148)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장공 홈(128)에는 후술되는 제 2 삽입체(146)가 삽입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120)는 상기 제 1 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제 1 고리측 돌출체(121)와, 제 1 고리측 걸림(122)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120)는 제 1 고리측 지지체(1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는 일정 면적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의 상면은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상측 저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의 저면은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하측 상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122)체는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장공 홈(128) 쪽으로 굽혀지면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 및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122)체는 수직으로 굽혀져 전체적으로는 ㄴ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고리측 지지체(123)는 상기 제 1 본체부(11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와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122)체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 및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122)체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고리측 지지체(123)는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의 외측과 연결된 상태로 소정 길이 돌출되다가 그 말단부에서 굽혀지면서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122)체의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 및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122)체와 같이 ㄴ자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19은 소정 면적의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으로 돌출되되, 그 일부분이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1 수평 본체(111)측 지지체이다.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측 지지체 중 일부는 그 내부가 빈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연결시켜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측 지지체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 및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와 맞물릴 때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그 내부가 빈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상단부 및 하단부 사이를 연결시켜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를 함께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측 지지체는 상기 제 1 삽입체(126)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는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연장체(13) 중 다른 하나를 덮으면서 상기 파이프 본체(11)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 2 본체부(130)와, 제 2 손잡이측 연결부(145)와, 제 2 고리 연결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본체부(130)는 회전된 ㄷ자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프로파일(10) 및 상기 제 1 본체부(110)와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본체부(110)와 대면되는 측면이 개방된 것이다.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는 상기 제 1 본체부(110)의 개방된 측면과 상기 제 2 본체부(130)의 개방된 측면이 서로 접촉되면서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본체부(130)는 제 2 수평 본체(131)와, 제 2 일측 수직 본체(132)와, 제 2 타측 수직 본체(133)와, 제 2 일측 집게체(134)와, 제 2 타측 집게체(135)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는 그 내부가 빈 상태로 상기 프로파일(10)과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프로파일(10)의 상공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일측 수직 본체(132)는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일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프로파일(10)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로파일(10)과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타측 수직 본체(133)는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타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프로파일(10)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일측 수직 본체(132)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일측 집게체(134)는 상기 제 2 일측 수직 본체(132)의 말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11)의 외측면과 한 쌍의 상기 연장체(13) 중 다른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파일(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타측 집게체(135)는 상기 제 2 타측 수직 본체(133)의 말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11)의 외측면과 한 쌍의 상기 연장체(13) 중 다른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일측 집게체(134)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1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본체부(13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제 2 일측 집게체(134) 및 상기 제 2 타측 집게체(135)가 상기 프로파일(10)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본체부(130) 및 상기 프로파일(10)의 이동 등을 위해 상기 작업자가 손각락을 인입할 수 있는 공간이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와, 상기 제 2 일측 수직 본체(132) 및 상기 제 2 타측 수직 본체(133)에 의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일측 집게체(114)와, 상기 제 1 타측 집게체(115)와, 상기 제 2 일측 집게체(134) 및 상기 제 2 타측 집게체(135)가 상기 프로파일(10)과 각각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본체부(110) 및 상기 제 2 본체부(13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는 손가락 또는 이동용 끈 등을 인입하여 상기 손가락 또는 이동용 끈 등이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와, 상기 제 1 일측 수직 본체(112) 및 상기 제 1 타측 수직 본체(1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와, 상기 제 2 일측 수직 본체(132) 및 상기 제 2 타측 수직 본체(13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관통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를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에 연결된 상기 프로파일(10)도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손가락 또는 이동용 끈 등의 관통 방향이 상기의 관통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되어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 2 손잡이측 연결부(145)는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의 내측 중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125)와 대응되는 곳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125)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 2 삽입체(146)와, 제 2 장공 홈(148)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삽입체(146)는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타측 말단부 내측면 중 상기 제 1 장공 홈(128)과 대면되는 곳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장공 홈(148)은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일측 말단부 중 상기 제 1 삽입체(126)와 대면되는 곳에서 장공 형태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2 장공 홈(148)은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47은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2 삽입체(146)의 외측면과 서로 연결되면서 돌출되어 상기 제 2 삽입체(146)의 강성을 보강시키는 제 2 강성 보강체이다.
상기 제 2 강성 보강체(147)는 상기 제 2 삽입체(146)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 각도 이격되면서 복수 개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방향에 대해 상기 제 2 삽입체(146)의 강성을 보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삽입체(146)가 상기 제 1 장공 홈(128)에 여러 번 삽입 및 이격이 반복되거나, 상기 제 1 장공 홈(128) 내에서 상기 제 2 삽입체(146)가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 2 삽입체(146)가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연결될 때 상기 제 1 삽입체(126)는 상기 제 2 장공 홈(148)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삽입체(146)는 상기 제 1 장공 홈(128)에 삽입되되, 상기 제 1 장공 홈(128)에 대한 상기 제 2 삽입체(146)의 위치 및 상기 제 2 장공 홈(148)에 대한 상기 제 1 삽입체(126)의 위치가 동시에 가변될 수 있게 삽입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삽입체(126)가 상기 제 2 장공 홈(148)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삽입체(146)가 상기 제 1 장공 홈(128)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삽입체(126)가 상기 제 2 장공 홈(148)의 타측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삽입체(146)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장공 홈(128)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는 각각의 개방된 측면이 서로 밀착되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서 대면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다가,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또는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에 외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 1 삽입체(126)가 상기 제 2 장공 홈(148)의 타측 내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 2 삽입체(146)가 상기 제 1 장공 홈(128)의 일측 내면에서 이격되면, 상기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는 각각의 개방된 측면이 서로 어긋나는 형태로 밀착된다.
상기 제 2 장공 홈(148)의 타측 내면에서 이격된 상기 제 2 장공 홈(148)의 일측 내면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 1 장공 홈(128)의 일측 내면에서 이격된 상기 제 2 삽입체(146)는 상기 제 1 장공 홈(128)의 타측 내면에 밀착될 때까지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140)는 상기 제 2 본체부(130)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제 2 고리측 돌출체(141)와, 제 2 고리측 걸림체(1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140)는 제 2 고리측 지지체(1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141)는 일정 면적의 평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본체부(130)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 쪽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141)의 상면은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상측 저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141)의 저면은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하측 상면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142)는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141)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122)체 쪽으로 굽혀지면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 및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122)체는 수직으로 굽혀져 전체적으로는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고리측 지지체(143)는 상기 제 2 본체부(13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141)와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142)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141) 및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142)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2 고리측 지지체(143)는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141)의 외측과 연결된 상태로 소정 길이 돌출되다가 그 말단부에서 굽혀지면서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142)의 외측으로 확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141) 및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142)와 같이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상기 프로파일(10)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125) 및 상기 제 2 손잡이측 연결부(145)가 일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120)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140)가 서로 걸리는 형태로 이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의 연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의 임의 분리가 방지됨과 함께 상기 프로파일(10)에 대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서로 연결될 때, 상기 제 1 삽입체(126)는 상기 제 2 장공 홈(148)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2 삽입체(146)는 상기 제 1 장공 홈(128)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1 삽입체(126)가 상기 제 2 장공 홈(148)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삽입체(146)가 상기 제 1 장공 홈(128)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서로 어긋나게 대면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120)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140)가 이격되면서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120)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140)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러다가, 상기 제 1 삽입체(126)가 상기 제 2 장공 홈(148)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삽입체(146)가 상기 제 1 장공 홈(128)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동일 위치에서 대면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120)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140)가 근접되다가 상기 제 1 본체부(110)의 내측면과,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121) 및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122)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142)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122)체 및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142)가 서로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120)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140)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서로 어긋나게 대면된다는 것은,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의 각각의 개방된 측면이 서로 어긋나게 밀착되는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삽입체(126)가 상기 제 2 장공 홈(148)의 타측 내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제 2 삽입체(146)가 상기 제 1 장공 홈(128)의 일측 내면에서 이격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동일 위치에서 대면된다는 것은,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의 각각의 개방된 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면서 밀착되는 것이고,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삽입체(126)가 상기 제 2 장공 홈(148)의 타측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 2 삽입체(146)가 상기 제 1 장공 홈(128)의 일측 내면에 밀착되는 것을 말한다.
도면 번호 139은 소정 면적의 플레이트가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길이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으로 돌출되되, 그 일부분이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2 수평 본체(131)측 지지체이다.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측 지지체 중 일부는 그 내부가 빈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연결시켜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를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측 지지체 중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 및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와 맞물릴 때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그 내부가 빈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의 상단부 및 하단부 사이를 연결시켜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를 함께 지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수평 본체(131)측 지지체는 상기 제 1 수평 본체(111)측 지지체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 2 삽입체(146)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 부재(150)는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상기 프로파일(10)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를 결합시키는 것이고, 결합 수단(151)과, 결합 고정체(15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수단(151)은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볼트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고정체(152)는 상기 결합 수단(151)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그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수단(151)과 체결되는 것으로 너트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일측 집게체(114)와, 상기 제 1 타측 집게체(115)와, 상기 제 2 일측 집게체(134) 및 상기 제 2 타측 집게체(135)가 상기 프로파일(10)을 각각 집으면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수단(151)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 고정체(15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로파일(10)에 대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 부재(150)는 한 개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두 개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결합 수단(151) 중 하나는 상기 제 1 일측 수직 본체(112)에 형성된 제 1 일측 홀(116) 및 상기 제 2 일측 수직 본체(132)에 형성된 제 2 일측 홀(136)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제 2 일측 수직 본체(132)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결합 고정체(152) 중 하나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 수단(151)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 1 일측 수직 본체(112)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제 1 타측 수직 본체(113)에 형성된 제 1 타측 홀(117) 및 상기 제 2 일측 수직 본체(132)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제 2 타측 수직 본체(133)에 형성된 제 2 타측 홀(137)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제 2 타측 수직 본체(133)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결합 고정체(152)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되면, 상기 프로파일(10)에 연결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상기 결합 부재(150)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 수단(151)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 고정체(152)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결합 수단(151)이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 및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 고정체(152)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프로파일용 핸드그립(100)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가 상기 제 1 본체부(110)와,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125) 및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상기 제 2 본체부(130)와, 상기 제 2 손잡이측 연결부(145)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14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상기 프로파일(10)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125) 및 상기 제 2 손잡이측 연결부(145)가 일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120)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140)가 서로 걸리는 형태로 이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와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의 분리도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101)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105)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금형으로 제작 후 서로 결합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금형비가 절감됨은 물론, 제작 원가도 낮출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에 의하면, 상기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이 프로파일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제 1 손잡이 부재 및 제 2 손잡이 부재가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의 분리도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프로파일
100 :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101 : 제 1 손잡이 부재
110 : 제 1 본체부
120 : 제 1 고리 연결부
125 : 제 1 손잡이측 연결부
105 : 제 2 손잡이 부재
130 : 제 2 본체부
140 : 제 2 고리 연결부
145 : 제 2 손잡이측 연결부
150 : 결합 부재

Claims (6)

  1. 복수 개가 서로 조립되어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와, 상기 파이프 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양측 말단에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상기 연장체 중 하나를 덮으면서 상기 파이프 본체에 연결되는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와 연결되고, 한 쌍의 상기 연장체 중 다른 하나를 덮으면서 상기 파이프 본체에 연결되는 제 2 손잡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는
    상기 프로파일과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면서 그 일측면이 개방된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를 연결시키는 제 1 손잡이측 연결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돌출되는 제 1 고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는
    상기 제 1 본체부와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본체부와 대면되는 측면이 개방된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의 내측 중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와 대응되는 곳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 2 손잡이측 연결부와,
    상기 제 2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돌출되는 제 2 고리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상기 프로파일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 및 상기 제 2 손잡이측 연결부가 일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가 서로 걸리는 형태로 이차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의 임의 분리가 방지됨과 함께 상기 프로파일에 대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의 연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는
    상기 제 1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 1 고리측 돌출체와,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의 말단부로부터 굽혀지면서 연장되는 제 1 고리측 걸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는
    상기 제 2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 쪽으로 돌출되는 제 2 고리측 돌출체와,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의 말단부로부터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체 쪽으로 굽혀지면서 연장되는 제 2 고리측 걸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부는
    상기 프로파일과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프로파일의 상공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수평 본체와,
    상기 제 1 수평 본체의 일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프로파일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로파일과 연결되는 제 1 일측 수직 본체와,
    상기 제 1 수평 본체의 타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프로파일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일측 수직 본체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제 1 타측 수직 본체와,
    상기 제 1 일측 수직 본체의 말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의 외측면과 한 쌍의 상기 연장체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제 1 일측 집게체와,
    상기 제 1 타측 수직 본체의 말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의 외측면과 한 쌍의 상기 연장체 중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일측 집게체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제 1 타측 집게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본체부는
    상기 프로파일과 나란하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프로파일의 상공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수평 본체와,
    상기 제 2 수평 본체의 일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프로파일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로파일과 연결되는 제 2 일측 수직 본체와,
    상기 제 2 수평 본체의 타측 말단부로부터 상기 프로파일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2 일측 수직 본체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제 2 타측 수직 본체와,
    상기 제 2 일측 수직 본체의 말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의 외측면과 한 쌍의 상기 연장체 중 다른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프로파일에 연결되는 제 2 일측 집게체와,
    상기 제 2 타측 수직 본체의 말단에서 돌출되고, 상기 파이프 본체의 외측면과 한 쌍의 상기 연장체 중 다른 하나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일측 집게체와 함께 상기 프로파일에 연결되 제 2 타측 집게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잡이측 연결부는
    상기 제 1 수평 본체의 일측 말단부 내측면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 1 삽입체와,
    상기 제 1 수평 본체의 타측 말단부에서 장공 형태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제 1 장공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손잡이측 연결부는
    상기 제 2 수평 본체의 타측 말단부 내측면 중 상기 제 1 장공 홈과 대면되는 곳에서 개방된 측면 쪽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제 2 삽입체와,
    상기 제 2 수평 본체의 일측 말단부 중 상기 제 1 삽입체와 대면되는 곳에서 장공 형태로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제 2 장공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서로 연결될 때, 상기 제 1 삽입체는 상기 제 2 장공 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2 삽입체는 상기 제 1 장공 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 1 삽입체가 상기 제 2 장공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삽입체가 상기 제 1 장공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서로 어긋나게 대면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가 이격되면서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제 1 삽입체가 상기 제 2 장공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삽입체가 상기 제 1 장공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동일 위치에서 대면되도록 이동되면,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가 근접되다가 상기 제 1 본체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 및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체 및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가 서로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 및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리 연결부는
    상기 제 1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와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체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 1 고리측 돌출체 및 상기 제 1 고리측 걸림체가 지지되도록 하는 제 1 고리측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리 연결부는
    상기 제 2 본체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와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 2 고리측 돌출체 및 상기 제 2 고리측 걸림체가 지지되도록 하는 제 2 고리측 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용 핸드그립은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상기 프로파일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그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 수단과,
    상기 결합 수단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그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 수단과 체결되는 결합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수단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상기 결합 고정체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프로파일에 대해 상기 제 1 손잡이 부재 및 상기 제 2 손잡이 부재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KR2020200003955U 2020-11-03 2020-11-03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KR200495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55U KR200495383Y1 (ko) 2020-11-03 2020-11-03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955U KR200495383Y1 (ko) 2020-11-03 2020-11-03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43U KR20220001043U (ko) 2022-05-10
KR200495383Y1 true KR200495383Y1 (ko) 2022-05-12

Family

ID=8158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955U KR200495383Y1 (ko) 2020-11-03 2020-11-03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38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6263A1 (en) 2001-03-26 2002-10-03 Easy-Con Ltd. Device for facilitating manual gripping of pipes and connectors
WO2019194367A1 (ko) 2018-04-02 2019-10-10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WO2020218628A1 (ko) 2019-04-22 2020-10-29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랙 시스템용 연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834A (en) * 1991-11-27 1993-01-12 Crist Weston W Irrigation pipe handle
KR20130002930U (ko) * 2011-11-08 2013-05-16 주식회사 대현상공 레버형 문손잡이
EP2848159B1 (de) 2013-09-13 2017-04-05 Dmg Mori Seiki Aktiengesellschaft Grif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6263A1 (en) 2001-03-26 2002-10-03 Easy-Con Ltd. Device for facilitating manual gripping of pipes and connectors
WO2019194367A1 (ko) 2018-04-02 2019-10-10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WO2020218628A1 (ko) 2019-04-22 2020-10-29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랙 시스템용 연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043U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377B1 (ko) 철근 커플러
AU2005300063B2 (en) Tool rack set fastener
KR200486505Y1 (ko)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US20120049553A1 (en) Gripper with central support
KR101286664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구조체
KR101702958B1 (ko) 기둥용 거푸집 장치
KR200495383Y1 (ko)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KR20090068517A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101173239B1 (ko) 가구 프레임용 코너 결합구
KR200358585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101784444B1 (ko) 코너브라켓
JP3118043U (ja) 三脚
JP2015124884A (ja) 配線・配管材支持具及び固定部材
JP5465767B1 (ja) コッタピン用割ピンの着脱工具
KR20180124660A (ko) 파형관 연결장치
JP6286086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及び固定部材
KR200466776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형 클램프
JP3673780B2 (ja) ラック用連結部材
JP2017002526A (ja) 連結構造
KR102468890B1 (ko) 분리핀을 구비한 파티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파티션
KR200417340Y1 (ko) 커튼봉 고정구
KR20100005084U (ko) 스냅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KR102011332B1 (ko) 욕실용 수건걸이
KR101494647B1 (ko)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KR200320783Y1 (ko) 케이블 랙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