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776Y1 -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형 클램프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형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776Y1
KR200466776Y1 KR2020100009673U KR20100009673U KR200466776Y1 KR 200466776 Y1 KR200466776 Y1 KR 200466776Y1 KR 2020100009673 U KR2020100009673 U KR 2020100009673U KR 20100009673 U KR20100009673 U KR 20100009673U KR 200466776 Y1 KR200466776 Y1 KR 200466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b
clamp
binding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136U (ko
Inventor
박승하
Original Assignee
박승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하 filed Critical 박승하
Priority to KR2020100009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77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1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1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7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임 도구 또는 클램프(clamp)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양한 재질의 기둥에 판체나 봉체 등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도구뿐만 아니라 건축물 건설공사, 가설공사, 토목공사, 하수도공사 또는 하천공사 등의 공사현장에서, 파이프간의 접속 또는 파이프와 다른 부재와의 접속 등에 사용되는 도구에 관한 실용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가구, 교구 및 놀이터기구 등을 작업자가 조립하거나 분리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해주고 조립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 및 운반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반원형의 몸통, 결합부, 체결부로 구성되는 주몸체와, 반원형의 몸통, 상대결합부, 체결부로 구성되는 부몸체와, 물체결착부가 상기의 주몸체 또는 부몸체에 부착되어 있고, 주몸체 또는 부몸체에 선택적으로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몸체의 결합부는 주몸체 말단부분, 결착봉 및 결착봉과 주몸체를 연결하는 결착봉연결부로 구성되어 있고, 부몸체의 상대결합부는 주몸체가 결합되는 방향과 교각 또는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파인홈과, 주몸체가 부몸체와 결합하여 피고정물로 축소되는 방향으로 제2파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형 클램프{the assemblable clamp with user's easy attaching and departing}
본 고안은 조임 도구 또는 클램프(clamp)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양한 재질의 기둥에 판체나 봉체 등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는 도구뿐만 아니라 건축물 건설공사, 가설공사, 토목공사, 하수도공사 또는 하천공사 등의 공사현장에서, 파이프간의 접속 또는 파이프와 다른 부재와의 접속 등에 사용되는 도구에 관한 실용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가구, 교구 및 놀이터기구 등을 작업자가 조립하거나 분리하기 위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부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해주고 조립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 및 운반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클램프(clamp)는 건축물 또는 공작물을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조임 도구, 죔쇠를 의미하는 포괄적인 개념의 용어이다.
따라서 클램프가 사용되는 곳은 매우 다양하며, 가깝게는 가구에서부터 더 멀게는 건축, 토목 용의 부자재에 사용하는 것까지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파이프용 클램프, 강관비계 클램프, 거푸집 난간 파이프 클램프, 건축비계용 클램프 등 다양한 형태 및 다양한 기술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 2000-0006289는 파이프용 클램프 및 클램프장치를 제시하여 파이프에 대하여 매우 큰 압착력으로 결합할 수 있고, 파이프 연결작업을 우수한 효율로 실행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노동력을 대폭 경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등록특허 10-0524147은 건축비계공사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데 이용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부품수와 조립공정을 줄일 수가 있고 또 제작이 용이하며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파이프 연결작업시 작업인력을 줄일 수 있으면서 작업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건축비계용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상기의 선행기술들을 종래의 클램프에 비하여, 그 기능과 효율이 향상된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들이 각자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클램프들은 클램프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클램프를 제조하는 공정도 여러 단계로서 복잡하며, 클램프를 그 구조대로 제조하는 것도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제 클램프 작업시에도 작업력 향상되는 효과를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기술들은 건축비계 또는 파이프 등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용도 및 다양한 목적에 필요한 죔쇠로서의 기능성이 필요한 상황에서 그 기능성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클램프의 제조공정을 현저히 단순화하여 클램프의 제조시 공정의 복잡함을 해소하고, 또한 클램프를 조립식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하여 어떠한 재질로도 제조가 가능하게 하며, 특히 작업시 클램프를 사용하는 경우 클램프의 탈부착을 쉽게 할 수 있는 구성을 취하여 작업자의 능률을 현저히 높일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클램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원형의 몸통, 결합부, 체결부로 구성되는 주몸체와,
반원형의 몸통, 상대결합부, 체결부로 구성되는 부몸체와,
물체결착부가 상기의 주몸체 또는 부몸체에 부착되어 있고,
주몸체 또는 부몸체에 선택적으로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몸체의 결합부는 주몸체 말단부분, 결착봉 및 결착봉과 주몸체를 연결하는 결착봉연결부로 구성되어 있고,
부몸체의 상대결합부는 주몸체가 결합되는 방향과 교각 또는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파인홈과,
주몸체가 부몸체와 결합하여 피고정물로 축소되는 방향으로 제2파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를 제공한다.
종래의 클램프가 주몸체와 부몸체를 벌려 피고정물에 결착할 때 그 개방각이 작아서 작업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쉽게 결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고안은 조립형 클램프로서 주몸체와 부몸체의 개방각이 현저히 커서 작업하기가 매우 쉬워지고 불편한 작업상황에서도 쉽게 클램프 작업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고안은 주몸체와 부몸체 또는/및 물체결착부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고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어서 그 제작공정이 단순하고 제작비용도 현저히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클램프는 피고정물에 결착시키는 작업도 쉽게 되지만 결착된 클램프의 결착력도 높아서 어떠한 외부의 물리적 변화에서도 결착이 해소되지 않을 정도의 결착 효과도 현저히 높다.
도 1은 본 고안의 주몸체의 일예.
도 2는 본 고안의 부몸체의 일예.
도 3은 보 고안의 부몸체의 일예
도 4는 본 고안의 물체결착부의 일예.
도 5는 본 고안의 물체결착부의 또 다른 일예.
도 6는 본 고안의 물체결착부의 또 다른 일예.
도 7은 보 고안의 주몸체의 사시도 일예.
도 8은 본 고안의 부몸체의 사시도 일예.
도 9는 본 고안의 주몸체와 부몸체의 결합과정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주몸체와 부몸체의 결합과정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주몸채와 부몸체가 완전히 결합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그 제조가 용이하고 비계, 파이프, 기둥 등의 피고정물에 쉽게 결착과 탈착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클램프 즉 죔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클램프의 주몸체, 부몸체, 물체결착부로 이루어지되 각각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클램프의 주몸체, 부몸체, 물체결착부는 금형 또는 단조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작업시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클램프의 주몸체는 부몸체와 결합하여 피고정물에 결착되는 주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클램프의 사용시에 주몸체는 부몸체와 결합하어 피고정물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피고정물의 크기 즉 직경이나 단면적이 큰 경우 종래의 클램프는 그 주몸체와 부몸체가 분리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작업하기 어려운 공간, 예컨대, 협소한 공간 또는 작업자의 작업기능을 제한하는 높은 지역, 사다리 사용공간 등의 공간에서는 피고정물에 클램프를 결착하기가 매우 어렵고 과도한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혁신적으로 해결한 것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클램프인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램프의 주몸체와 부몸체를 결합하는 부분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들이 나타난다.
본 고안의 주몸체와 부몸체는 암수의 결합과 유사한 방법으로 결합부를 제공한다. 주몸체의 결합부는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부몸체의 상대결합부는 삽입을 허용하게 하는 방식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주몸체는 몸통(100)과 결합부(110)와 체결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주몸체의 결합부는 주몸체의 말단부분(111) 및 주몸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진 결착봉(112)과 주몸체와 돌출봉을 연결하면서 외부의 힘을 지탱해주는 결착봉연결부(113)로 형성되어 있다.
주몸체는 부몸체와 결합하여 관형이나 봉형 또는 각형의 기둥을 잡아서 고정하는 부분으로 각 기둥의 단면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기둥의 단면이 원형인 점을 감안하여 원형이 주로 되겠지만 필요한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주몸체는 다양한 형태의 기둥에 결착되어 고정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기둥에 접촉하여 결착되는 부분은 마찰력이 잘 형성될 수 있는 구조 즉 접촉면적이 넓을수록 바람직하다.
주몸체의 말단부분은 주몸체의 끝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형상은 아래에서 설명할 부몸체의 결합부분과 결합시에 잘 맞아떨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몸체의 말단부분은 부몸체와 결합했을 때에 클램프의 전체적 형태의 일체성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주몸체의 말단부분은 평평한 형상, 오목한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평평하거나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또한, 주몸체의 말단부분은 결착봉연결부와 연결되면서 동시에 결착봉연결부를 지지해주는 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 주몸체의 말단부분은 결착봉연결부와 연결된 부분 외의 부분이 평평한 형상, 오목한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형상으로 되는 것이 좋다. 이런 오목한 형상으로 인하여 후에 설명할 결합될 부몸체의 말단부분과 원활하게 이음 연결이 됨과 동시에 결합력이 강화되며 부몸체의 말단부분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가 있다.
주몸체의 결착봉연결부와 연결된 결착봉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착봉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되 주몸체와 부몸체가 결착되어 부착되는 기둥의 선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구조로서 주몸체와 부몸체가 결합되면서 기둥을 조일 때 강한 힘을 발휘할 수가 있다.
또한 결착봉은 단면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막대기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형이 좋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한 결착봉은 양쪽 또는 한쪽으로 결착걸쇠부(114a, 114b)가 형성된 형태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클램프의 작업시에 부몸체의 파인홈의 걸림턱(213)에 걸리면서 인력을 작용하게 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게 한다.
결착걸쇠부는 상기한 바처럼 양쪽 또는 한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착봉연결부와 교각의 형태로 나타나며 바람직하게는 직교의 형태가 좋다.
교각의 형태로 하더라도 클램프의 재질에 따라 충분히 인력을 버틸 수가 있으며 결착될 기둥의 형태 또는 작업이 불편한 장소에 따라 클램프의 결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결착걸쇠부의 형상은 단면적으로 원형, 타원형, 다각형 형상 등 다양하게 채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 좋다. 이런 결착걸쇠부는 결착봉의 한쪽 또는 양쪽에 돌출되어 있어 결착될 기둥의 형태 또는 작업이 불편한 장소에서도 쉽게 기둥에 결착될 수가 있는 것이다.
결착걸쇠부가 한쪽 또는 양쪽에 돌출되어 있는 기술적 특징으로 이와 대응하는 부몸체의 걸림턱의 기술적특징이 도출된다. 예를 들어, 한쪽에만 돌출되는 결착걸쇠부는 부몸체의 걸림턱 또한 하나 이상만 있으면 되는 것이어서 힘이 많이 드는 작업에서 용이하게 클램프를 기둥에 결착시켜 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결착걸쇠부가 양쪽에 돌출되는 것은 더욱 효과적으로 부몸체의 걸림턱과 결부되어 인력의 고른 분배의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안정적인 결착력을 나타내 준다.
그리고 본 고안의 가장 주목할 만한 기술적 특징은 주몸체의 말단부분의 형상과 결착봉연결부, 결착봉 및 결착봉의 결착걸쇠부의 형상 및 구조에 있다. 클램프의 주몸체와 부몸체가 결합될 때의 개각(도 9에서의 1,000, 벌림각, opening angle)에 있어 종래의 클램프는 개각이 매우 작아(90도 이하) 작업시에 클램프를 기둥이나 피고정물에 결착할 때 많은 불편함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개각이 매우 커(90도 이상 180도 이하)로 되어 작업시 불편함을 현저히 제거하고 노동력을 현저히 경감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별한 기술적 특징은 부몸체의 상대결합부에 있다.
또한 부몸체는 주몸체와 유사한 형상의 몸통(200)과 상대결합부(210) 및 체결부(22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부몸체의 상대결합부는 주몸체의 결합부와 고리 연결되듯이 결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몸체는 주몸체에 대향하는 부분으로서 주몸체와 결합되어 하나의 클램프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부몸체는 그 양 끝에 상대결합부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부몸체와 완전히 체결하기 의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부몸체는 주몸체와 결합하여 관형이나 봉형 또는 각형의 기둥(피고정물)을 잡아서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각 기둥의 단면형태에 따라 원형, 타원형, 다각형형 또는 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기둥의 단면이 원형인 점을 감안하여 원형이 주로 되겠지만 필요한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부몸체는 다양한 형태의 기둥에 결착되어 고정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기둥에 접촉하여 결착되는 부분은 마찰력이 잘 형성될 수 있는 구조 즉 접촉면적이 넓을수록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몸체의 상대결합부(210)는 본 고안의 큰 기술적 특징으로서 주몸체의 결합부와 결합하여 피고정물에 결착된다.
부몸체의 상대결합부는 주몸체의 결착걸쇠부가 걸려서 결합되도록 홈이 파인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 주몸체의 결착걸쇠부가 홈을 통하여 결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파인 홈은 주몸체가 부몸체에 결합되는 방향의 교각(엇갈림 각) 또는 직교의 방향으로 있는 제1의 파인 홈(211)이 형성되어 있되 주몸체의 결착걸쇠부가 걸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또한 주몸체의 결착걸쇠부가 결합되고 피고정물로 오므라드는 부분에 제2의 파인 홈(212)이 형성되어 있되 주몸체의 결착걸쇠부가 완전히 오므라들 수 있도록 구도로 되어 있다.
한 편 본 고안의 하나의 태양은 부몸체의 제1의 파인 홈 가장자리의 양쪽 즉 부몸체의 외부방향으로 양쪽 전부가 개방이 되어 있거나 또는 한쪽에 홈의 지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기술적 특징이다.
이렇게 제1 파인 홈 가장자리의 양쪽이 개방되어 있으면 주몸체가 결합될 때 어떠한 방향 및 각도로도 결합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 1 파인 홈의 한쪽에 홈지붕(214)이 형성된 경우는 주몸체가 결합되어 피고정물에 결착되어 있는 경우는 안정적인 결착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더불어 상기한 양쪽 개방형이든 한쪽 홈지붕형이든 주몸체가 완전한 각도로 벌어져서 작업자의 작업을 곤란하게 하는 어떠한 작업환경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본 고안의 클램프를 안정적으로 결착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파인 홈 형태로는 도 3에서 보는 같이 파인 홈이 부몸체의 횡단면으로 완전히 관통된 형태가 아닌 홈전체가 T 자 형태로 파여 있되 주몸체의 결착걸쇠부가 안착되어 완전히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파인 홈(211)은 T자의 상부인 일(一)자의 형태로서 부몸체의 횡단면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으며 주몸체의 결착걸쇠부가 걸릴수 있는 걸림턱(2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 2 파인 홈(212)은 T자의 하부인 1 자의 형태로서 주몸체의 결착걸쇠부 연결부가 안착되어 완전히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주몸체가 완전한 각도로 벌어져서 작업자의 작업을 곤란하게 하는 어떠한 작업환경에서도 쉽고 간편하게 본 고안의 클램프를 안정적으로 결착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부몸체의 체결부(220)는 주몸체의 체결부와 나사, 리벳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체결부 숫돌기(221)가 돌출하여 형성된 구조로 된 것이 좋다.
이러한 체결부돌기는 주몸체의 체결부 암돌기(121)와 맞춰지는 기능을 하며 또한 본 고안의 클램프 작업을 할 경우에 체결수단으로 마지막 결착작업을 할 때 클램프가 어긋나거나 삐뚤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부몸체의 체결부는 나사 또는 리벳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주몸체의 체결부와 체결되므로 상기한 체결부 숫돌기와 체결부 암돌기는 주몸체와 부몸체가 바뀌어서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나사 리벳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므로 체결부 내부 구조는 체결 수단의 구조에 맞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주몸체 및 부몸체의 체결부는 양쪽 모두 관통된 구조 또는 한쪽만 관통된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어 자유로운 방향과 각도에서 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주몸체와 부몸체는 각각 별도로 또는 한쪽에만 물체결착부(300)가 형성될 수 있되 바람직하게는 한쪽에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이와 같은 물체결착부는 주몸체 또는 부몸체에 조립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주몸체와 부몸체의 몸통에 나사, 리벳 등 체결수단으로 물체결착부가 조립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물체결착부는 물체(피결착체)에 결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판, 관, 봉 등 결착되는 물체의 성질에 따라 그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결착되는 방향에 따라서 주몸체 또는 부몸체의 바깥 부분에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물체결착부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물체결착부는 손잡이형으로 형성되고 구멍이 형성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으며, 평평한 판형의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파이프와 같은 관형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물체결착부의 구조는 주몸체와 부몸체가 피고정물에 결합한 상태와 수평한 상태 또는 수직한 상태 또는 일정한 각을 이루는 형태로 주몸체 또는 부몸체와 하나가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형 물체결착부는 그 중간에 구멍이 형성된 것은 그 구멍이 원형 또는 타원형 등 일(一)자형 등 자유롭게 형성되어 있어 피결합물체의 나사구멍과 대향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형의 구조를 취하는 물체결착부도 판과 직각으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판이 올려져서 결착될 때 그 결착이 매우 효과적이고 유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형 물체결착부는 파이프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그 단면을 봤을 때 내부는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부는 다각형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주몸체 또는 부몸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고정구멍(400)을 형성하였다. 이 고정구멍은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서 피고정물에 본 고안의 클램프를 고정시킬 때 클램프가 피고정물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클램프를 피고정물에 고정시키는 하나의 과정은 도 10 에서 도 11 과정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피고정물의 외주면에 접하게 부몸체를 위치시키고 나머지 주몸체를 피고정물의 반대쪽으로 접근시켜 결합시킨다.
이때 부몸체 결합부의 제 1 파인 홈에 결착봉을 삽입하면서 결착걸쇠부로 제1 파인 홈에 걸리면서 끼워지도록 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착걸쇠부가 제1파임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주몸체를 피고정물 방향으로 오므리면서 주몸체와 부몸체의 체결부를 서로 맞끼워서, 즉 체결부암돌기와 수돌기가 서로 맞끼워지면서 고정이 되고 이후에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완전히 결합하게 된다.
본 고안은 목재, 가구, 교구, 놀이터 기구 등을 제작, 판매,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또한 본 고안은 건축산업, 가공산업, 토목산업 등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는 공작물을 제조, 판매, 유통하는 산업에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다.
100 : 주몸체 몸통 110 : 결합부
111 : 주몸체 말단 112 : 결착봉
113 : 결착봉연결부 114a, 114b : 결착걸쇠부
120 : 체결부 121 : 체결부 암돌기
200 : 부몸체 몸통 210 : 상대결합부
211 : 제1 파인 홈 212 : 제 2파인 홈
213 : 걸림턱 300 : 물체결착부
400 : 고정구멍

Claims (4)

  1. 피고정물에 결합되어 소정의 물체를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반원형의 몸통, 결합부, 체결부로 구성되는 주몸체와,
    반원형의 몸통, 상대결합부, 체결부로 구성되는 부몸체와,
    물체결착부가 상기의 주몸체 또는 부몸체에 부착되어 있고,
    주몸체 또는 부몸체에 선택적으로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주몸체의 결합부는 주몸체 말단부분, 결착봉 및 결착봉과 주몸체를 연결하는 결착봉연결부로 구성되어 있고,
    부몸체의 상대결합부는 주몸체가 결합되는 방향과 교각 또는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파인홈과,
    주몸체가 부몸체와 결합하여 피고정물로 축소되는 방향으로 제2파인홈이 형성되며,
    주몸체 결합부의 결착봉은 결착걸쇠부가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구성이고,
    부몸체의 제1파인홈은 파인 홈 가장자리의 한쪽에 홈지붕이 형성되어 주몸체와 부몸체가 결합되어 피고정물에 안정적으로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물체결착부는 손잡이형, 판형, 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2020100009673U 2010-09-15 2010-09-15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형 클램프 KR200466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73U KR200466776Y1 (ko) 2010-09-15 2010-09-15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형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673U KR200466776Y1 (ko) 2010-09-15 2010-09-15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형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36U KR20120002136U (ko) 2012-03-23
KR200466776Y1 true KR200466776Y1 (ko) 2013-05-06

Family

ID=46179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673U KR200466776Y1 (ko) 2010-09-15 2010-09-15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형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7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280A (ko) 2014-12-03 2016-06-14 주식회사 이피엘 원형 지주의 측면 고정용 다기능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89Y1 (ko) * 2013-04-08 2014-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턴버클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난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250Y1 (ko) 2006-09-13 2006-11-30 주식회사폴리피아 착탈이 용이한 클램프
KR200433259Y1 (ko) 2006-09-15 2006-12-08 이관희 케이블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250Y1 (ko) 2006-09-13 2006-11-30 주식회사폴리피아 착탈이 용이한 클램프
KR200433259Y1 (ko) 2006-09-15 2006-12-08 이관희 케이블 고정용 원터치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7280A (ko) 2014-12-03 2016-06-14 주식회사 이피엘 원형 지주의 측면 고정용 다기능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136U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776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조립형 클램프
KR20150073546A (ko) 콘크리트 파일연결구
JP3164320U (ja) 足場固定具
KR200472268Y1 (ko) 파이프 압착 체결기
JP5356981B2 (ja) 足場用パネル連結具
KR101552321B1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KR200452023Y1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KR200495383Y1 (ko)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KR200454303Y1 (ko) 원터치식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한 파이프 행거
JP2019094650A (ja) 天井下地構造
KR101506481B1 (ko) 견고하고 간편한 조립수단을 구비한 조립식 구조물용 사각파이프
KR101505169B1 (ko) 수직대와 횡대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연결구
CN205591357U (zh) 一种可伸缩的建筑施工用连接装置
CN205370585U (zh) 半隧道模板边框专用夹具
JP2011106126A (ja) 補充パネル付き作業足場
KR100802027B1 (ko) 건축 구조물용 곡선 조립체
EP2713063B1 (en) Mechanical joint for reversible coupling of two or more elements and joining
JP2021008767A (ja) 支柱連結用ロックピンのロック解除治具
CN203843739U (zh) 一种沙发金属连接件的辅助组装夹具
TWI531313B (zh) 連結夾具結構
CN211103754U (zh) 一种小孔用钢丝挡圈装配工具
JP6771782B2 (ja) 連結構造
JP3137986U (ja) 水糸保持金具
GB2553000A (en) A ladder system
KR200352969Y1 (ko) 조립식 하우스 파이프의 조인트 연결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