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019B1 -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 - Google Patents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019B1
KR102034019B1 KR1020180033308A KR20180033308A KR102034019B1 KR 102034019 B1 KR102034019 B1 KR 102034019B1 KR 1020180033308 A KR1020180033308 A KR 1020180033308A KR 20180033308 A KR20180033308 A KR 20180033308A KR 102034019 B1 KR102034019 B1 KR 102034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ight
height adjustment
rack system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1316A (ko
Inventor
홍연탁
Original Assignee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에이스산업(주) filed Critical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03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019B1/ko
Publication of KR2019011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1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47B57/2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consisting of clamping means, e.g. with sliding bolts or sliding we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23Arrangements of article supporting rollers on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가 상기 하우징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산업 현장에 따라 산업용 랙 시스템과 롤러 트랙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의 높이가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에 대해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으로써,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한 롤러 트랙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A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an industrial rack system and a housing member adapted to a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industrial rack system}
본 발명은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랙 시스템은 복수 개의 파이프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연결시켜 주는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조립하여 산업 형장 상황 등에 맞게 자유자재의 형태로 선반등의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롤러 트랙은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롤러 프레임과, 상기 롤러 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이송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이송 롤러들 위를 이동 대상체가 이동될 수 있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다.
즉,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에 적재되어 있던 물품들 중 요구되는 장소로 이동이 필요한 상기 이동 대상체를 이동시킬 때 상기 롤러 트랙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대상체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산업용 랙 시스템 및 롤러 트랙에 의하면, 상기 롤러 트랙를 구성하는 상기 이송 롤러들 상부로 상기 이동 대상체가 이동될 때,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에 설치된 감속기에 의해 상기 이동 대상체가 감속됨으로써, 이동 중 타 물체와 충돌되어 파손 또는 손상이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감속기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그러나, 종래 및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에 의하면, 산업용 랙 시스템 및 롤러 트랙의 구조 및 형상이 작업 현장에서 요구되거나, 허용될 수 있는 공간의 제약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됨으로 인해, 작업 현장에 따라 상기 이동 대상체에 대한 상기 감속기의 상대적인 이격 거리가 다양화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감속기를 사용하기 위해선 각 작업 현장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감속기가 맞춤식으로 제작되거나, 상기 감속기와 상기 이동 대상체 사이에 별도의 치구를 제작하여 추가함으로써, 상기 감속기와 상기 이동 대상체 사이의 요구되는 이격 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감속기와 상기 이동 대상체의 이격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곳은 상기 감속기의 설치 없이 작업자가 상기 이동 대상체를 감속시킴으로써, 치구의 추가 제작 비용 및 시간 소요와 함께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789201호, 등록일자 : 2017.10.17., 발명의 명칭 : 스테인레스 파이프 조관기 라인 설비용 웜 감속기의 웜 축 구동방법 공개특허 제 10-2016-0129301호, 공개일자 : 2016년 11월 09일., 발명의 명칭 : 롤러 트랙용 감속 롤러 장치
본 발명은 산업 현장에 따라 산업용 랙 시스템과 롤러 트랙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다양한 롤러 트랙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그 높이가 연속적으로 조절되는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우징 부재는 복수 개의 파이프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연결시켜 주는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조립하여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과,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에 배치되고 그 상부로 이동 대상체가 이동될 수 있는 롤러 트랙 사이에 설치되는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이동 대상체의 감속을 위한 감속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관통된 측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측면을 덮는 제 1 덮개와, 상기 제 1 덮개가 덮힌 측면과 반대 방향인 타 측면을 덮는 제 2 덮개로 형성되고, 상기 감속 부재는 상기 제 1 덮개를 관통한 다음, 상기 하우징 몸체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덮개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회전축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덮개를 관통한 다음, 상기 하우징 몸체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덮개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이 요구되는 감속비로 감속되도록 하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1 회전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동 대상체의 이동 중 접촉되고, 상기 제 1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의 미리 설정된 감속비에 의해 형성되는 감속력을 상기 이동 대상체에 전달시키는 감속 휠과, 상기 제 2 회전축에 연결되고, 자중에 의한 관성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축이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는 복수 개의 파이프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연결시켜 주는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조립하여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과,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에 배치되고 그 위로 이동 대상체가 이동될 수 있는 롤러 트랙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이동 대상체의 감속을 위한 감속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관통된 측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측면을 덮는 제 1 덮개와, 상기 제 1 덮개가 덮힌 측면과 반대 방향인 타 측면을 덮는 제 2 덮개로 형성되고, 상기 감속 부재는 상기 제 1 덮개를 관통한 다음, 상기 하우징 몸체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덮개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회전축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덮개를 관통한 다음, 상기 하우징 몸체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덮개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이 요구되는 감속비로 감속되도록 하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1 회전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동 대상체의 이동 중 접촉되고, 상기 제 1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의 미리 설정된 감속비에 의해 형성되는 감속력을 상기 이동 대상체에 전달시키는 감속 휠과, 상기 제 2 회전축에 연결되고, 자중에 의한 관성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축이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높이 조절 몸체와, 상기 높이 조절 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부재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부재 및 상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연결 부재 몸체와, 상기 연결 부재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를 집으면서 연결되는 높이 조절측 집게부와, 상기 높이 조절측 집게부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일부와 연결되는 파이프측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상대적인 높이의 가변 범위에 대응되는 길이로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그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이프에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대적인 높이가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요구되는 높이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측 집게부가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를 집게 되면,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에 의하면,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가 하우징 부재와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재가 하우징과 상기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산업 현장에 따라 산업용 랙 시스템과 롤러 트랙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의 높이가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에 대해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으로써,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한 롤러 트랙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가 산업용 랙 시스템과 롤러 트랙 사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가 파이프에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 중 제 1 연결부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BB'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가 산업용 랙 시스템과 롤러 트랙 사이에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가 파이프에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분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 중 제 1 연결부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B'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100)는 복수 개의 파이프(11)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1)를 연결시켜 주는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2)를 조립하여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10)과,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10)에 배치되고 그 위로 이동 대상체(30)가 이동될 수 있는 롤러 트랙(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이동 대상체(30)의 감속을 위한 감속 부재(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110)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11)에 대한 상기 하우징(110)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 부재(120)를 포함하는 하우징 부재(101)와, 상기 하우징 부재(101) 및 상기 파이프(11)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105)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105)에 대한 상기 하우징(110)의 상대적인 높이의 가변 범위에 대응되는 길이로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형성되되,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그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이프(11)에 상기 연결 부재(105)가 연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105)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1)에 대한 상기 하우징 부재(101)의 상대적인 높이가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 부재(101)는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100)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10)과 높이 조절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그 내부에 상기 이동 대상체(30)의 감속을 위한 감속 부재(13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 몸체(111)와,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관통된 측면을 덮는 덮개(117, 118)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117, 118)는 상기 이동 대상체(30)의 감속을 위한 상기 구성품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일 측면을 덮는 제 1 덮개(117)와, 상기 제 1 덮개(117)가 덮힌 측면과 반대 방향인 타 측면을 덮는 제 2 덮개(118)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덮개(117) 및 상기 제 2 덮개(118)는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28은 상기 하우징 몸체(111)와 상기 덮개(117, 118)가 결합되도록 하는 볼트 등의 결합 수단이고, 도면 번호 129는 상기 제 1 덮개(117)와, 상기 하우징 몸체(111) 및 상기 제 2 덮개(118)를 순차적으로 관통한 상기 결합 수단의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111) 및 상기 덮개(117, 118)를 고정시키는 너트 등의 고정 수단이다.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외측 중 상기 연결 부재(105)가 연결되는 전방 외측면은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외면에서 일정 깊이 함몰된 형태로 되어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전측 상부 및 하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무게 중심 방향으로 일정 기울기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외면 경사부(1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측은 상기 하우징 몸체(111)를 기준으로 상기 연결 부재(105)가 위치된 방향이고, 후측은 상기 연결 부재(105)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이고, 상부는 상기 하우징 몸체(111)를 기준으로 상기 이동체가 위치된 방향이고, 하부는 상기 이동체가 위치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정의하고, 이하 설명에서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한다.
상기 이동 대상체(30)는 이동 시 자중에 따른 진동 및 충격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이동 대상체(30)와 접촉된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100)는 전달되는 상기 이동 대상체(30)의 진동 및 충격을 견디면서 자중도 지탱하게 되는데,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100)가 상기 이동 대상체(30)와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이동 대상체(30)의 진동, 충격 및 자중에 항복되어, 외력이 발생되는 지점인 상기 이동 대상체(30)에서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있는 부분(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연결된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전측 부분)부터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외면 경사부(112)는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상부 및 하부 외측에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상면 및 하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에 비해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보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이동 대상체(30)가 반복적으로 접촉되더라도 상기 이동 대상체(30)에 의한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면 경사부(112)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상면 및 하면과 연결되어,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상부 및 하부를 덮게 됨으로써,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전측에는 상기 하우징 부재(101)가 상하로 이동 중 상기 연결 부재(105)에 걸려 상기 하우징 부재(101)의 상하 이동 가능 높이를 제한시키는 하는 높이 제한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 제한부(113)는 상기 외면 경사부(112)가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전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외면 경사부(112)가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전측과 연결되면서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와 같이 돌출된 상기 높이 제한부(113)에 상기 연결 부재(105)가 이동 중 걸리면서 상기 하우징 부재(101)의 이동 높이가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높이 제한부(113)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부재(101)의 상하 이동 가능 높이를 각각 제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10), 더 정확하게는 상기 하우징 몸체(111)는 상기 하우징 부재(101)가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2)와 연결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조인트측 돌출부(114)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조인트측 돌출부(114)는 상기 하우징(110)이 외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이어지는 조인트 결합용 돌출 몸체(115)와, 상기 조인트 결합용 돌출 몸체(115)의 상부의 양측 말단이 각각 일정 길이 각 측면으로 돌출된 조인트 결합용 돌출 걸림체(116)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 T" 자 단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105)와 견고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2)에서 충격 등에 의한 상기 하우징(110)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인트측 돌출부(114)는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10) 중 상기 파이프(11)가 미설치되는 부분에서 상기 이동 대상체(30)를 감속시킬 때를 대비한 것으로 이럴 경우,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100)가 상기 파이프(11)에 연결되지 아니하고,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인트측 돌출부(114)는 상기 연결 부재(105)가 연결될 일 면을 제외한 다른 면에서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 몸체(111) 중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연결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인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후측부 및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100)가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2)에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도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속 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 위치되면서 이동 중인 상기 이동 대상체(30)를 미리 설정된 감속비로 감속시키는 것이다.
상기 감속 부재(130)는 상기 제 1 덮개(117)를 관통한 다음, 상기 하우징 몸체(111)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덮개(118)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제 1 회전축(131)과, 상기 제 1 회전축(131)에 결합되는 제 1 기어(132)와, 상기 제 1 회전축(131)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덮개(117)를 관통한 다음, 상기 하우징 몸체(111)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덮개(118)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제 2 회전축(133)과, 상기 제 2 회전축(133)과 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132)와 맞물려 상기 제 1 회전축(131)의 회전이 요구되는 감속비로 감속되도록 하는 제 2 기어(134)와, 상기 제 1 회전축(131)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동 대상체(30)의 이동 중 접촉되고, 상기 제 1 기어(132) 및 상기 제 2 기어(134)의 미리 설정된 감속비에 의해 형성되는 감속력을 상기 이동 대상체(30)에 전달시키는 감속 휠(136)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속 부재(130)는 상기 제 2 회전축(133)에 연결되고, 자중에 의한 관성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축(133)이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무게추(13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무게추(135)의 자중에 의한 관성에 따라 상기 제 2 회전축(133)이 동일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2 회전축(133)과 결합된 상기 제 2 기어(134)도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기어(134)와 맞물린 상기 제 1 기어(132), 상기 제 1 기어(132)와 결합된 상기 제 1 회전축(131) 및 상기 제 1 회전축(131)과 연결된 상기 감속 휠(136) 역시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감속 휠(136)과 접촉되는 상기 이동 대상체(30)도 감속 비율이 변동되지 아니하고, 부드럽게 감속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이동 대상체(30)의 감속 비율이 변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 대상체(30) 및 상기 이동 대상체(30) 내에 수용된 제품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손상이 발생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무게추(135)에 의해 동일한 감속 비율로 연속적으로 감속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손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2 회전축(133) 및 상기 제 2 기어(134)는 요구되는 감속비에 따라 복수 개 설치 가능하고, 상기 무게추(135) 역시 이동되는 상기 이동 대상체(30)의 이동 가능한 무게에 따라 대응되도록 복수 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속 휠(136)은 상기 이동 대상체(30)와 접촉되면서 상기 상기 이동 대상체(30)의 진동 및 충격이 흡수되면서 완화될 수 있도록 고무 등의 재질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번호 137은 상기 감속 휠(136)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상기 제 1 회전축(13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휠측 고정핀이다.
도면 번호 138은 상기 무게추(135)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상기 제 2 회전축(133)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무게추측 고정핀이다.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110)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11)에 대한 상기 하우징(110)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는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10)을 구성하는 상기 파이프(11)에 대한 상기 하우징(110)의 상대적인 높이의 가변 범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그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높이가 고정된 상기 파이프(11)에 대한 상기 하우징 부재(101)의 상대적인 높이가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상세히,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는 상기 하우징(110)에 밀착되는 높이 조절 몸체(121)와, 상기 높이 조절 몸체(1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부재측 돌출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 몸체(12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몸체(111)의 전측 외면에서 연결된다.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122)는 도 5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단면적을 이루며 형성되고, 후술되는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 152)와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122)는 상기 높이 조절 몸체(121)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부재측 돌출 몸체(123)와,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 몸체(123)의 양측 말부에서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 몸체(123)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 부재측 돌출 걸림체(124)를 포함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 T" 자 단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 부재(105)와 견고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105)에서 충격 등에 의한 상기 하우징 부재(101)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는 볼트 등의 하우징 몸체측 연결 수단(127)에 의해 상기 하우징 몸체(111)에 연결되고, 도면 번호 125는 상기 하우징 몸체측 연결 수단(127)의 머리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에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된 하우징 몸체측 함몰홈이다.
상기 연결 부재(105)는 상기 하우징 부재(101) 및 상기 파이프(11)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연결 부재(105)는 연결 부재 몸체(141, 151)와, 상기 연결 부재 몸체(141, 151)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122)를 집으면서 연결되는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 152)와, 상기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 152)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11)의 일부와 연결되는 파이프측 집게부(143, 153)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요구되는 높이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 152)가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122)를 집게 되면, 상기 연결 부재(105)에 대한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위치가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105)는 결합의 편의성을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되고, 볼트 등의 연결 부재측 결합 수단(165)에 의해 결합되어 한 쌍의 상기 연결 부재(105)가 되면서 상기 연결 부재(105)에 대한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 부재(105)는 제 1 연결 부재(140)와 제 2 연결 부재(15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는 제 1 연결 부재 몸체(141)와, 제 1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와, 제 1 파이프측 집게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는 제 2 연결 부재 몸체(151)와, 제 2 높이 조절측 집게부(152)와, 제 2 파이프측 집게부(1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 부재 몸체(141)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 몸체(151)가 상기 연결 부재 몸체(141, 151)로,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 및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집게부(152)가 상기 높이 조절측 집게부로, 상기 제 1 파이프측 집게부(143)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집게부(153)가 상기 파이프측 집게부(143, 153)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측 결합 수단(165)은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를 결합시키는 것이고, 도면 번호 166은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를 관통한 상기 연결 부재측 결합 수단(165)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의 결합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연결 부재측 고정 수단으로, 너트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부재 몸체(141)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에 연결되는 후측에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11)에 연결되는 전측에 상기 제 1 파이프측 집게부(14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1 연결 부재 몸체(141)에는 제 1 높이 조절측 돌출체(161)와, 제 1 측벽(144)과, 제 1 파이프측 돌출체(162)와, 제 1 경사면(145)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돌출체(161)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 몸체(141)의 상부에서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되, 후술되는 제 2 파이프측 돌출체(164)와 맞물리도록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측벽(144)은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돌출체(161)로부터 수직으로 연결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측벽(144)과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돌출체(161)은 상기 제 1 연결 부재 몸체(141) 상에 "ㄱ"자 형태로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 1 파이프측 돌출체(162)는 상기 제 1 연결 부재 몸체(141)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집게부(14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되, 후술되는 제 2 높이 조절측 돌출체(163)와 맞물리도록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경사면(145)은 상기 제 1 연결 부재 몸체(141)에서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를 마주보는 쪽에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돌출체(161)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돌출체(162)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1 경사면(145)에는 상기 제 1 경사면(145)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연결 부재측 결합 수단(165)이 삽입되는 제 1 관통 홀(147)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 홀(147)은 상기 제 1 연결 부재 몸체(141)의 강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연결 부재 몸체(141)에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상기 제 1 경사면(145)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파이프측 집게부(143)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파이프(11)가 형성된 전측에서 상기 파이프(11)와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는 상기 제 1 파이프측 집게부(143)가 형성된 전측과 반대 방향인 후측에서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12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연결 부재 몸체(151)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에 연결되는 후측에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집게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11)에 연결되는 전측에 상기 제 2 파이프측 집게부(15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2 연결 부재 몸체(151)에는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돌출체(163)와, 제 2 측벽(154)과, 상기 제 2 파이프측 돌출체(164)와, 제 2 경사면(155)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돌출체(163)는 상기 제 2 연결 부재 몸체(151)의 상부에서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집게부(152)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파이프측 돌출체(162)와 맞물리도록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측벽(154)은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돌출체(163)로부터 수직으로 연결된 일정 면적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측벽(154)와,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돌출체(163)은 상기 제 2 연결 부재 몸체(151) 상에 "ㄱ"자 형태로 돌출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 2 파이프측 돌출체(164)는 상기 제 2 연결 부재 몸체(151)의 상부에서 상기 제 2 파이프측 집게부(15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돌출체(161)와 맞물리도록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경사면(155)은 상기 제 2 연결 부재 몸체(151)에서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를 마주보는 쪽에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돌출체(163)에서 상기 제 2 파이프측 돌출체(164) 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 2 경사면(155)은 상기 제 2 경사면(155)과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연결 부재측 결합 수단(165)이 삽입되는 제 2 관통 홀(157)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 홀(157)은 상기 제 2 연결 부재 몸체(151)의 강성을 고려하여 상기 제 2 연결 부재 몸체(151)에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상기 제 1 경사면(155)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 홀(147) 및 상기 제 2 관통 홀(157)이 상기 제 1 경사면(145) 및 상기 제 2 경사면(155)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가 상기 연결 부재측 연결 수단(165) 및 상기 연결 부재측 고정 수단(166)에 연결될 때, 상기 제 1 경사면(145) 및 상기 제 2 경사면(155)이 서로 맞물리면서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가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파이프측 집게부(153)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파이프(11)가 형성된 전측에서 상기 파이프(11)와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집게부(152)는 상기 제 2 파이프측 집게부(153)가 형성된 전측과 반대 방향인 후측에서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12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집게부(143)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집게부(153)는 상기 파이프(11)의 일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파이프(11)는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10)의 골격을 이루고 그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13)와, 상기 파이프 본체(13)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2)와, 상기 제 1 파이프측 집게부(143)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집게부(153)에 결합되는 결합용 돌출부(14)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용 돌출부(14)는 상기 파이프 본체(13)에서 외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결합용 돌출 몸체(15)와, 상기 결합용 돌출 몸체(15)의 상부의 양 측 말단이 각각 일정 길이 각 측면으로 돌출된 결합용 돌출 걸림체(16)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T"자 단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 1 파이프측 집게부(143)는 상기 결합용 돌출부(14)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파이프측 집게부(143)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집게부(153)가 상기 결합용 돌출부(14)를 집으면서 결합될 경우, 상기 연결 부재(105)가 상기 파이프(11)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 및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집게부(152)가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122)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집게부(142) 및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집게부(152)가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122)를 집으면서 결합될 경우,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상기 연결 부재(105)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가 서로 맞대어지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대비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가 회전된 상태로 맞대어지면, 상기 제 1 경사면(145) 및 상기 제 2 경사면(155)이 맞대어지면서 연결 방향이 가이드된 후에, 상기 제 1 높이 조절측 돌출체(161)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돌출체(164)가 맞대어지고, 상기 제 1 파이프측 돌출체(162) 및 상기 제 2 높이 조절측 돌출체(163)가 맞대어진 다음, 상기 연결 부재측 결합 수단(165) 및 상기 연결 부재측 고정 수단(166)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10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외측면에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이동될 수 있도록 그 값이 표시된 높이 표시체(126)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에는 상하 방향의 각 중앙부에 상기 높이 표시체(126)에 표시된 상기 값과의 정렬을 위한 제 1 정렬 표시선(148) 및 제 2 정렬 표시선(158)이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10)에 적용되는 상기 파이프(11)의 종류가 4가지이면, 각각의 상기 파이프(11)의 직경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조절되어야 할 높이를 상기 높이 표시체(126)에 미리 표시해 두고, 상기 정렬 표시선과 상기 높이 표시체(126)를 정렬시키게 됨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 조절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100)의 설치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100)를 준비한다.
그런 다음, 상기 연결 부재측 결합 수단(165) 및 상기 연결 부재측 고정 수단(166)을 이용하여 상기 파이프(11)에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를 가체결(요구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이 아니라,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가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느슨하게 결합된 상태의 체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감속 부재(130)를 장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감속 부재(130)가 장착된 상기 하우징(110)의 전측면에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를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 부재(101)를 구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하우징 부재(101)를 상기 연결 부재(105)에 연결한다.
이 때, 상기 파이프(11)의 직경이 표준화된 직경이면, 상기 하우징 부재(101)에 결합된 상기 높이 표시체(126)를 확인하고, 상기 제 1 정렬 표시선(148) 또는 상기 제 2 정렬 표시선(158)과 상기 높이 표시체(126)를 정렬하고, 상기 파이프(11)의 직경이 비표준화된 직경이면,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10)에 대한 상기 이동 대상체(30)의 이격된 높이를 확인하여 상기 하우징 부재(101)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가체결 상태인 상기 연결 부재측 결합 수단(165) 및 상기 연결 부재측 고정 수단(166)을 체결하여 상기 파이프(11)에 상기 제 1 연결 부재(140) 및 상기 제 2 연결 부재(150)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100)가 상기 하우징 부재(101)와 상기 연결 부재(105)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재(101)가 상기 하우징(110)과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산업 현장에 따라 산업용 랙 시스템(10)과 상기 롤러 트랙(2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100)의 높이가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10)에 대해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으로써,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한 상기 롤러 트랙(20)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부재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부재는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 몸체(211)와, 상기 하우징 몸체(211)의 관통된 측면을 덮는 덮개(117, 118)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산업용 랙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상대적인 높이의 가변 범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그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높이가 고정된 상기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대적인 높이가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높이 조절 몸체(221)와, 상기 높이 조절 몸체(221)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연결 부재측 함몰부(22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측 함몰부(222)는 상기 높이 조절 몸체(221)에서 내측으로 일정 길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부재측 함몰체(223)와, 상기 연결 부재측 함몰체(223)의 말부에서 상기 연결 부재측 함몰체(223)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함몰되는 연결 부재측 돌출 함몰체(2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를 구성하는 연결 부재는 높이 조절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측 돌출부가 상기 연결 부재측 함몰부(222)에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파이프에 고정된 상기 연결 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높이가 연속적으로 조절됨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한 상기 하우징 부재의 높이도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상기 연결 부재측 함몰부(222)를 포함함에 따라, 다른 구성품들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됨으로써 보관 등이 용이해 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에 의하면, 산업 현장에 따라 산업용 랙 시스템과 롤러 트랙 사이의 이격 거리가 상이하더라도,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의 높이가 산업용 랙 시스템에 대해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음으로써, 크기 및 형태가 다양한 롤러 트랙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101 : 하우징 부재
105 : 연결 부재
110 : 하우징
120 : 높이 조절 부재
130 : 감속 부재
140 : 제 1 연결 부재
150 : 제 2 연결 부재

Claims (5)

  1. 복수 개의 파이프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연결시켜 주는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조립하여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과,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에 배치되고 그 상부로 이동 대상체가 이동될 수 있는 롤러 트랙 사이에 설치되는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이동 대상체의 감속을 위한 감속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관통된 측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측면을 덮는 제 1 덮개와,
    상기 제 1 덮개가 덮힌 측면과 반대 방향인 타 측면을 덮는 제 2 덮개로 형성되고,
    상기 감속 부재는
    상기 제 1 덮개를 관통한 다음, 상기 하우징 몸체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덮개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회전축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덮개를 관통한 다음, 상기 하우징 몸체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덮개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이 요구되는 감속비로 감속되도록 하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1 회전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동 대상체의 이동 중 접촉되고, 상기 제 1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의 미리 설정된 감속비에 의해 형성되는 감속력을 상기 이동 대상체에 전달시키는 감속 휠과,
    상기 제 2 회전축에 연결되고, 자중에 의한 관성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축이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을 구성하는 상기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상대적인 높이의 가변 범위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그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높이가 고정된 상기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대적인 높이가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높이 조절 몸체와,
    상기 높이 조절 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부재측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는
    상기 높이 조절 몸체에서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부재측 돌출 몸체와,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 몸체의 양측 말단부에서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 몸체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 부재측 돌출 걸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부재.
  4. 복수 개의 파이프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연결시켜 주는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조립하여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과,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에 배치되고 그 위로 이동 대상체가 이동될 수 있는 롤러 트랙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이동 대상체의 감속을 위한 감속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상대적인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형성된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관통된 측면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일측면을 덮는 제 1 덮개와, 상기 제 1 덮개가 덮힌 측면과 반대 방향인 타 측면을 덮는 제 2 덮개로 형성되고,
    상기 감속 부재는 상기 제 1 덮개를 관통한 다음, 상기 하우징 몸체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덮개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1 회전축에 결합되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1 회전축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덮개를 관통한 다음, 상기 하우징 몸체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덮개를 관통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제 2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과 결합되고, 상기 제 1 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이 요구되는 감속비로 감속되도록 하는 제 2 기어와, 상기 제 1 회전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이동 대상체의 이동 중 접촉되고, 상기 제 1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의 미리 설정된 감속비에 의해 형성되는 감속력을 상기 이동 대상체에 전달시키는 감속 휠과, 상기 제 2 회전축에 연결되고, 자중에 의한 관성에 의해 상기 제 2 회전축이 동일한 속도를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밀착되는 높이 조절 몸체와, 상기 높이 조절 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 부재측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부재 및 상기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연결 부재 몸체와,
    상기 연결 부재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를 집으면서 연결되는 높이 조절측 집게부와,
    상기 높이 조절측 집게부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의 일부와 연결되는 파이프측 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상대적인 높이의 가변 범위에 대응되는 길이로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그 길이 방향으로 동일한 단면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이프에 상기 연결 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연결 부재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에 대한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대적인 높이가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요구되는 높이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측 집게부가 상기 연결 부재측 돌출부를 집게 되면, 상기 연결 부재에 대한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외측면에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가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이동될 수 있도록 그 값이 표시된 높이 표시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KR1020180033308A 2018-03-22 2018-03-22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 KR102034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308A KR102034019B1 (ko) 2018-03-22 2018-03-22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308A KR102034019B1 (ko) 2018-03-22 2018-03-22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16A KR20190111316A (ko) 2019-10-02
KR102034019B1 true KR102034019B1 (ko) 2019-10-18

Family

ID=6842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308A KR102034019B1 (ko) 2018-03-22 2018-03-22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0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956B1 (ko) 2020-02-24 2021-07-19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롤러 가이드
KR20210107331A (ko) 2020-02-24 2021-09-01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용 툴 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83Y1 (ko) * 2014-06-17 2014-09-03 (주) 아이렉스케이엔피 선반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1898U (ko) * 1994-09-14 1996-04-15 사면투시형 쇼케이스의 슬라이드식 선반
WO2016010166A1 (ko) * 2014-07-12 2016-01-21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KR20160129301A (ko) 2015-04-30 2016-11-09 금성에이스산업(주) 롤러 트랙용 감속 롤러 장치
KR101789201B1 (ko) 2017-02-10 2017-11-20 (주) 한양테크 스테인레스 파이프 조관기 라인 설비용 웜 감속기의 웜 축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283Y1 (ko) * 2014-06-17 2014-09-03 (주) 아이렉스케이엔피 선반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956B1 (ko) 2020-02-24 2021-07-19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롤러 가이드
KR20210107331A (ko) 2020-02-24 2021-09-01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용 툴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1316A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20594B (zh) 一种标定系统及其标定支架
KR102034019B1 (ko)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 및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높이 조절 구조에 적용되는 하우징 부재
JP6698688B2 (ja) 第1のチューブ状のコンポーネントと第2のコンポーネントの恒久的な接合のための溶接アッセンブリ
EP2326466B1 (de) Luftkissenplattform zum tragen eines manipulatorarms und verfahrbarer roboter
US5873480A (en) Electronic rack and mounting frame
EP1690722B1 (en) Mount apparatus mounting structure
CN111660027B (zh) 一种容错率高的l型金属片自动焊接装置
KR101654338B1 (ko) 간주형 제진장치
EP3517355B1 (en) Power seat sliding apparatus
KR101896093B1 (ko) 3방향 클램프 용접을 위한 회전형 용접 클램핑 장치
WO2008075894A1 (en) Rail-based transportation apparatus
EP3564571A1 (en) Gimbal frame and gimbal having same, and photographing device
JP2007170168A (ja) 鉄骨構造物
US6189685B1 (en) Guide rail support bracket for conveyor system
US20180139863A1 (en) Rack system for supporting a computing device
JP2013217051A (ja) 接合部構造
JP6687581B2 (ja) 水平多関節型ロボットの校正システムおよび校正方法
KR102366425B1 (ko) 로봇암 확장용 크로스조인트조립체
US9366385B2 (en) Telescopic-cover fixture
JP2014240235A (ja) 制御装置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構造に用いられる片持ち部材
JP5706685B2 (ja) コンプライアンス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ロボットアームの構造
JP6739503B2 (ja) ボルト連結具
US20180271283A1 (en) Overturn preventing device
JP5453527B2 (ja) 細長部材
JP4494953B2 (ja) 移動棚のサド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