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62Y1 -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62Y1
KR200490362Y1 KR2020180001433U KR20180001433U KR200490362Y1 KR 200490362 Y1 KR200490362 Y1 KR 200490362Y1 KR 2020180001433 U KR2020180001433 U KR 2020180001433U KR 20180001433 U KR20180001433 U KR 20180001433U KR 200490362 Y1 KR200490362 Y1 KR 200490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ipe
side extension
body side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538U (ko
Inventor
김일규
Original Assignee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에이스산업(주) filed Critical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to KR2020180001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62Y1/ko
Priority to PCT/KR2018/008463 priority patent/WO2019194367A1/ko
Publication of KR201900025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5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가 조인트 분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가 조인트 분할 몸체와, 몸체측 연장부와, 몸체측 보강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가 경량 재질로 제작되더라도 강성이 보강되어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음과 함께, 파손 확률도 감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A pipe connection joint and a joint division member constituting the pipe connection join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랙 시스템은 산업 현장 상황 등에 맞게 자유자재의 형태로 선반 등의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을 위해 복수 개의 파이프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를 연결시켜 주는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가 구성된다.
이러한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가 적용된 산업용 랙 시스템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종래 및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에 의하면,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자체를 경량화하기 위하여 재질을 철에서 알루미늄으로 변경하여 제조하였으나, 철 재질로 제조된 경우에 비해 강성이 약해짐으로 인해, 하나의 상기 파이프를 집으면서 연결되는 부분과 다른 하나의 상기 파이프 내에 삽입되는 부분 사이에서 응력이 집중되면서 파손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가 임의로 파손됨으로 인해 산업용 랙 시스템에 적재된 제품이 낙하되어 제품이 손상됨과 함께, 작업자가 작업 도중 적재된 제품의 낙하에 의한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0912569 호, 등록일자 :2009.08.10., 발명의 명칭 : 물품거치대
본 고안은 경량 재질로 제작되더라도, 강성이 보강되어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음과 함께 파손 확률을 감소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는 조립식으로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산업용 구조물 형성을 위해 복수 개의 파이프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그 일 면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를 집을 수 있는 집게부가 형성된 조인트 분할 몸체;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중 상기 집게부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을 채우는 반원체 형태로 형성된 몸체측 연장부; 및 그 일 면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으로 연장되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타측의 일부를 채우면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측 연장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몸체측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는 조립식으로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산업용 구조물 형성을 위해 복수 개의 파이프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그 일 면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를 집을 수 있는 집게부가 형성된 조인트 분할 몸체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중 상기 집게부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을 채우는 반원체 형태로 형성된 몸체측 연장부와, 그 일 면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으로 연장되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타측의 일부를 채우면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측 연장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몸체측 보강부와, 상기 몸체측 연장부 및 상기 몸체측 보강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몸체측 연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측 연장부와, 그 일 면은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파이프측 보강부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측 경사부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에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방향으로 일정 부분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측 경사부와 연결되는 파이프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측 보강부에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를 연결시키는 몸체측 경사면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쪽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수직의 연장된 가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측 보강부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및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를 연결시키는 파이프측 경사면은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 쪽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하중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하중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켜 지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 중 하나의 상기 몸체측 보강부 및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 중 다른 하나의 상기 몸체측 경사부가 각각 맞물리고,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 중 하나의 상기 파이프측 보강부 및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파이프측 경사부가 각각 맞물림으로써, 한 쌍의 상기 집게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파이프를 집으면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에 의하면,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가 조인트 분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가 조인트 분할 몸체와, 몸체측 연장부 및 몸체측 보강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가 경량 재질로 제작되더라도 강성이 보강되어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음과 함께 파손 확률도 감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가 파이프에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가 파이프에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3 은 도 2의 AA'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인트 분할 부재를 뒤집은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를 수직으로 세운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BB'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분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결합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2는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를 수직으로 세운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CC'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가 파이프에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가 파이프에 연결된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3 은 도 2의 AA'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조인트 분할 부재를 뒤집은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를 수직으로 세운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의 분해된 모습을 보이는 분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결합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는 조립식으로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산업용 구조물 형성을 위해 복수 개의 파이프(1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 중 하나는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 중 다른 하나는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는 조립식으로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산업용 구조물 형성을 위해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와,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와, 제 1 몸체측 보강부(1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는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와,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와, 제 1 몸체측 경사부(125) 및 제 1 파이프측 경사부(1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는 그 일 면에 상기 파이프(10)의 일부를 집을 수 있는 제 1 집게부(112)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는 전체적으로 반원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중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가 형성된 후면과 반대 방향인 전면에 상기 제 1 집게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일부를 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중 상기 제 1 집게부(112)가 형성된 전측 말단부의 외면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의 바닥면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경사진 제 1 경사 외면(117)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는 하나의 상기 파이프(10)에 연결된 상태로 다른 하나의 상기 파이프(10)에 연결되어 적재 대상체의 하중을 견디게 되는데, 상기 적재 대상체를 적재시킬 때나 적재된 상기 적재 대상체를 이동시키는 경우, 다른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상기 제 1 집게부(112)에 지속적인 외력이 가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제 1 집게부(112)가 변형되거나, 반복적인 변형에 의해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경사 외면(117)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외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에 비해 상기 제 1 집게부(112)의 강성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집게부(112)의 보강을 위해 상기 제 1 집게부(112) 중 상기 파이프(10)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굽혀진 형상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제 1 집게부(112)의 양 측 말단부에 제 1 집게 보강부(118)가 추가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집게 보강부(118)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상기 제 1 집게부(112)의 두께를 추가로 증가시켜 상기 제 1 집게부(112)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집게부(112)에 상기 제 1 집게 보강부(118)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의 재질을 철 및 스테인리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량인 알루미늄 재질로도 적용 가능하게 된다.
도면 번호 119는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가 볼트 등의 별도 결합 수단(15)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결합 수단(15)이 상기 적재 대상체 및 다른 구성품들과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결합 수단(15)의 머리가 내삽되도록 일정 깊이 함몰된 제 1 함몰 홈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는 상기 파이프(10)의 원형과 대응되도록 반원체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다른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이프(10)의 외곽이 평면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의 외곽 형상도 상기 파이프(10)의 외곽 형상과 대응되도록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파이프(10)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사이의 단차가 발생되지 아니하고, 그에 따라, 상기 파이프(10)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사이에 상기 적재 대상체의 일부 또는 이물질 등이 끼워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는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중 상기 제 1 집게부(112)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는 도 7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중 상기 제 1 집게부(112)가 형성된 전측과 반대 방향인 후측으로 일정 길이 길게 연장되되,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 측을 채우는 반원체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의 외경은 상기 파이프(10)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파이프(10)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의 외측이 상기 파이프(10)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파이프(10)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의 연결 시 상기 파이프(10)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의 높이차가 발생되지 않고, 그에 따라, 상기 적재 대상체가 기울어진 상태로 적재되거나, 상기 적재 대상체가 이동 시 상기 파이프(10) 및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의 단차에 의해 걸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는 그 일 면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에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는 그 외면이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와 연결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가 채운 일 측이 아닌 타 측의 일부를 채우면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와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와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가 연결되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적이 반원 형태가 되면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만 형성된 경우의 단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가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의 재질로 철 및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은 알루미늄 등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는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및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와 함께 일체형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와 별도로 성형된 후 볼트 체결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는 전반적으로 반구 형태로 형성되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시일 뿐,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가 보강될 수 있는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의 전반적인 형태가 오면체, 육면체 등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에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및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를 연결시키는 제 1 몸체측 경사면(123)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쪽에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의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수직의 연장된 가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는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는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외면이 상기 파이프(10)의 내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와 함께 상기 파이프(1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는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의 말단에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와 수직이 되도록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의 중심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을 채우는 반원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는 그 일 면은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는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사이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에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를 연결시키는 제 1 파이프측 경사면(124)은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쪽에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가 상기 파이프(10)에 연결된 상태에서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상부에 적재되는 상기 적재 대상체의 하중은 상기 파이프(10)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에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에 전달되는데,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면(124)이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면, 상기 하중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하중이 경사진 형태의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면(124)에 고루 분포되면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면(124)이 상기 하중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켜 지탱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하중에 대한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의 지지 강성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는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와 함께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와는 별도로 성형된 후,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와 볼트 체결,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는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및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는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중 평면 형태로 형성된 저면에서 상공으로 돌출되고, 그 외면은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의 외면과 대응되면서 상기 파이프(10)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부(126)는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쪽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부(126)는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에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방향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와 맞물리면서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는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와, 제 2 몸체측 연장부(133)와, 제 2 몸체측 보강부(134)와, 제 2 파이프 연장부(135)와, 제 2 파이프측 보강부(136)와, 제 2 몸체측 경사부(145) 및 제 2 파이프측 경사부(14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몸체측 보강부(134)에서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 및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를 연결시키는 제 2 몸체측 경사면(143)은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 쪽에서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의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수직의 연장된 가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파이프측 보강부(136)에서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연장부(135)를 연결시키는 제 2 파이프측 경사면(144)은 상기 제 2 파이프측 연장부(135) 쪽에서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가 연결되면,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연장부(135)가 서로 맞물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집게부(112)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를 구성하는 제 2 집게부(132)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파이프(10)의 일부를 집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 중 상기 제 2 집게부(132)가 형성된 전측 말단부의 외면은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의 바닥면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경사진 제 2 경사 외면(13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집게부(132)는 상기 제 2 집게부(132)의 보강을 위해 상기 제 2 집게부(132) 중 상기 파이프(10)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굽혀진 형상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는 상기 제 2 집게부(132)의 양 측 말단부에 제 2 집게 보강부(138)가 추가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파이프(10)는 상기 산업용 랙 시스템의 골격을 이루고, 그 내부가 빈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는 파이프 본체(11)와, 상기 파이프 본체(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 1 집게부(112) 및 상기 제 2 집게부(132)에 결합되는 결합용 돌출부(12)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용 돌출부(12)는 상기 파이프 본체(11)에서 외측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결합용 돌출 몸체(13)와, 상기 결합용 돌출 몸체(13)의 양 측 말단이 각각 일정 길이 각 측면으로 돌출된 결합용 돌출 걸림체(14)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T"자 단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 1 집게부(112) 및 상기 제 2 집게부(132)가 상기 결합용 돌출부(12)의 일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집게부(112) 및 상기 제 2 집게부(132)가 상기 결합용 돌출부(12)를 집으면서 결합될 경우,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39는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가 볼트 등의 별도 결합 수단(15)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결합 수단(15)이 상기 적재 대상체 및 다른 구성품들과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결합 수단(15)의 머리가 내삽되도록 일정 깊이 함몰된 제 2 함몰 홈이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가 연결되면,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 및 상기 제 2 몸체측 경사부(145),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경사부(146),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 및 상기 제 2 몸체측 보강부(134),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부(126)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보강부(136)가 서로 맞물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 및 상기 제 2 몸체측 경사부(145),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연장부(135),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경사부(146),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 및 상기 제 2 몸체측 보강부(134),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부(126)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보강부(136)가 서로 맞대어지면서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맞대어지고,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연장부(135)는 서로 수평 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10)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는 상기 파이프(10)의 내부와 수직 방향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연장부(135)는 상기 파이프(10)의 내부와 수평 방향으로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 및 상기 파이프(10)가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몸체측 경사부(145)의 경사면이 상기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를 구성하는 상기 몸체측 경사면(123)과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파이프측 경사부(146)의 경사면이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를 구성하는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면(124)과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가 연결될 때, 각각의 경사진 부분이 서로 맞대어지면서 연결되어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의 밀착성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21은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10)의 내부 상측과 끼워맞춤되도록 하는 제 1 상측 끼워맞춤체이고, 도면 번호 122는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10)의 내부 하측과 끼워맞춤되도록 하는 제 1 하측 끼워맞춤체이다.
도면 번호 141은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 및 상기 제 2 몸체측 보강부(13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10)의 내부 상측과 끼워맞춤되도록 하는 제 2 상측 끼워맞춤체이고, 도면 번호 142는 상기 제 2 파이프측 연장부(135)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10)의 내부 하측과 끼워맞춤되도록 하는 제 2 하측 끼워맞춤체이다.
상기 제 1 상측 끼워맞춤체(121), 상기 제 2 상측 끼워맞춤체(141), 상기 제 1 하측 끼워맞춤체(122), 상기 제 2 하측 끼워맞춤체(142)는 상기 파이프(10) 내부의 최대 직경부에서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 방향의 연장된 가상선 상에 각각 위치된다.
한편,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가 서로 맞대어지면,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에 형성된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면(123)은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면(123)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 외면과 맞대어지고,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면(123)과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 외면이 나사산 형태로 꼬이면서 맞대어짐으로써,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면(123)과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 외면 사이의 밀착성이 증가됨과 함께, 상기 적재 대상체의 수직 방향 하중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의 지지 강성이 증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는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 등의 연결 수단(15) 및 너트 등의 고정 수단(16)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가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연결 수단(15)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의 중앙부에 관통된 제 1 관통 홀(128)을 관통하고,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의 중앙부에 관통된 제 2 관통 홀(148)을 관통한 다음, 상기 고정 수단(16)이 상기 연결 수단(15)의 말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함몰 홈(119) 및 제 2 함몰 홈(139)은 상기 연결 수단(15)의 머리부 및 상기 고정 수단(16)이 함몰될 수 있도록 직경 및 깊이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연결 수단(15) 및 상기 고정 수단(16)의 위치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면 번호 127 및 147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의 무게가 경량화되도록 일정 깊이로 함몰시킨 제 1 경량 홀 및 제 2 경량 홀이다.
도면 번호 129 및 149는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가 서로 맞대어질 때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제 1 정렬 확인체 및 제 2 정렬 확인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의 연결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중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와 연결되는 하나의 상기 파이프(10)를 선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결합용 돌출부(12)에 상기 제 1 집게부(112) 및 상기 제 2 집게부(132)를 집으면서 상기 연결 수단(15) 및 상기 고정 수단(16)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를 가체결한다.
여기서, 상기 가체결은 요구되는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이 아니라,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가 분리되지 않고 서로 연결만 되도록 상기 연결 수단(15)에 상기 고정 수단(16)이 일정 부분 결합된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 및 상기 제 2 몸체측 경사부(145),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연장부(135),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경사부(146),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 및 상기 제 2 몸체측 보강부(134),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부(126)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보강부(136)가 서로 맞대어지는지 확인하고, 상기 정렬 확인체 및 상기 제 2 정렬 확인체가 정렬되는지 확인하면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를 체결시킨다.
그런 다음,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 중 상기 제 1 집게부(112) 및 상기 제 2 집게부(132)에 집혀진 상기 파이프(10)를 제외한 다른 상기 파이프(10)의 내부에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 및 상기 제 2 몸체측 경사부(145),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연장부(135),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경사부(146),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 및 상기 제 2 몸체측 보강부(134),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부(126)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보강부(136)를 삽입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10)가 연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로 설명했지만,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는 동일한 형상이므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는 모두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1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130)가 모두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로 정의됨에 따라,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111)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131)는 모두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집게부(112) 및 상기 제 2 집게부(132)는 모두 집게부(112, 132)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113) 및 상기 제 2 몸체측 연장부(133)는 모두 몸체측 연장부(113, 133)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114) 및 상기 제 2 몸체측 보강부(134)는 모두 몸체측 보강부(114, 134)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115)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연장부(135)는 모두 파이프측 연장부(115, 135)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116)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보강부(136)는 모두 파이프측 보강부(116, 136)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면(123) 및 상기 제 2 몸체측 경사면(143)은 모두 몸체측 경사면(123, 143)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면(124)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경사면(144)은 모두 파이프측 경사면(124, 144)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125) 및 상기 제 2 몸체측 경사부(145)는 모두 몸체측 경사부(125, 145)로 정의되고,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부(126) 및 상기 제 2 파이프측 경사부(146)는 모두 파이프측 경사부(126, 146)로 정의된다.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는 그 일 면에 상기 파이프(10)의 일부를 집을 수 있는 상기 집게부(112, 132)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는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 중 상기 집게부(112, 132)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몸체측 보강부(114, 134)는 상기 몸체측 보강부(114, 134) 중 그 일 면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측 보강부(114, 134) 중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115, 135)는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 및 상기 몸체측 보강부(114, 13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측 보강부(116, 136)는 상기 파이프측 보강부(116, 136) 중 그 일 면은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에 연결되고, 상기 파이프측 보강부(116, 136) 중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115, 135)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115, 135)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115, 135)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측 경사부(125, 145)는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115, 135)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측 경사부(126, 146)는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 쪽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115, 135)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측 보강부(114, 134)에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를 연결시키는 상기 몸체측 경사면(123, 143)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 쪽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 쪽으로 갈수록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의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수직의 연장된 가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측 보강부(116, 136)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 및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115, 135)를 연결시키는 상기 파이프측 경사면(124, 144)은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115, 135) 쪽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 쪽으로 갈수록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 중 하나의 상기 몸체측 보강부(114, 134) 및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 중 다른 하나의 상기 몸체측 경사부(125, 145)가 각각 맞물림으로써, 한 쌍의 상기 집게부(112, 132)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파이프(10)를 집으면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가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111, 131)와, 상기 몸체측 연장부(113, 133)와, 상기 몸체측 보강부(114, 134)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100)를 구성하는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110, 130)가 경량 재질로 제작되더라도 강성이 보강되어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음과 함께, 파손 확률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름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를 수직으로 세운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분할 부재의 모습을 보이는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CC' 부분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는 조립식으로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산업용 구조물 형성을 위해 복수 개의 파이프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조인트 분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 중 하나는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210),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210)는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211)와, 제 1 몸체측 연장부(213)와, 제 1 몸체측 보강부(214)와, 제 1 파이프측 연장부(215)와, 제 1 파이프측 보강부(216)와, 제 1 몸체측 경사부(225)와, 제 1 파이프측 경사부(226)와, 제 1 보강 리브(251) 및 제 1 리브 홈(25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211)는 그 일 면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를 집을 수 있는 제 1 집게부(212)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는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211) 중 상기 제 1 집게부(212)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214)는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214) 중 일 면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211)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214) 중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211)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211)에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215)는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 및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214)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216)는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216) 중 일 면은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파이프측 보강부(216) 중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215)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215)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215)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몸체측 경사부(225)는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211) 및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215)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파이프측 경사부(226)는 상기 제 1 몸체측 연장부(213) 쪽에서 상기 제 1 파이프측 연장부(215)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1 보강 리브(251)는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211) 및 상기 제 1 몸체측 보강부(214) 중 적어도 하나에서 형성되되,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211)의 평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21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210)의 강성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리브 홈(252)은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몸체(211)의 면을 따라서 상기 제 1 보강 리브(251)와 일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보강 리브(251)와 대응되는 형태로 일정 깊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210)와 맞물리면서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는 제 2 조인트 분할 몸체와, 제 2 몸체측 연장부와, 제 2 몸체측 보강부와, 제 2 파이프측 연장부와, 제 2 파이프측 보강부와, 제 2 몸체측 경사부와, 제 2 파이프측 경사부와, 제 2 보강 리브 및 제 2 리브 홈을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210) 및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가 맞대어지면서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가 구성될 때, 상기 제 1 보강 리브(251) 및 제 2 리브 홈, 상기 제 1 리브 홈(252) 및 제 2 보강 리브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210) 및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의 밀착성이 상대적으로 증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210) 및 상기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의 연결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강 리브(251) 및 제 2 리브 홈, 상기 제 1 리브 홈(252) 및 제 2 보강 리브가 서로 맞물리게 되면서, 상기 제 1 조인트 분할 부재(210) 및 제 2 조인트 분할 부재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되어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가 경량 재질로 제작되더라도 강성이 증가되어 파손 확률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견딜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 : 파이프
100 :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110 : 조인트 분할 부재
111 : 조인트 분할 몸체
113 : 몸체측 연장부
114 : 몸체측 보강부
115 : 파이프측 연장부
116 : 파이프측 보강부
125 : 몸체측 경사부
126 : 파이프측 경사부

Claims (5)

  1. 조립식으로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산업용 구조물 형성을 위해 복수 개의 파이프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그 일 면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를 집을 수 있는 집게부가 형성된 조인트 분할 몸체;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중 상기 집게부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을 채우는 반원체 형태로 형성된 몸체측 연장부; 및
    그 일 면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으로 연장되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타측의 일부를 채우면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측 연장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몸체측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는
    상기 몸체측 연장부 및 상기 몸체측 보강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몸체측 연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측 연장부; 및
    그 일 면은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파이프측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측 보강부에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를 연결시키는 몸체측 경사면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쪽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수직의 연장된 가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측 보강부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및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를 연결시키는 파이프측 경사면은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 쪽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하중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하중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켜 지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는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측 경사부;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에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방향으로 일정 부분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측 경사부와 연결되는 파이프측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5. 조립식으로 산업용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는 산업용 랙 시스템을 구성하고, 상기 산업용 구조물 형성을 위해 복수 개의 파이프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그 일 면에 상기 파이프의 일부를 집을 수 있는 집게부가 형성된 조인트 분할 몸체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중 상기 집게부가 형성된 면과 다른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을 채우는 반원체 형태로 형성된 몸체측 연장부와, 그 일 면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으로 연장되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타측의 일부를 채우면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측 연장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몸체측 보강부와, 상기 몸체측 연장부 및 상기 몸체측 보강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몸체측 연장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측 연장부와, 그 일 면은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 연결된 면과 다른 면은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몸체측 연장부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 파이프측 보강부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측 경사부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에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 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에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방향으로 일정 부분 돌출 형성되고, 상기 몸체측 경사부와 연결되는 파이프측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측 보강부에서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및 상기 몸체측 연장부를 연결시키는 몸체측 경사면은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쪽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의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수직의 연장된 가상선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측 보강부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및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를 연결시키는 파이프측 경사면은 상기 파이프측 연장부 쪽에서 상기 몸체측 연장부 쪽으로 갈수록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하중이 수직 방향으로 전달되더라도 상기 하중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켜 지탱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조인트 분할 몸체,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 중 하나의 상기 몸체측 보강부 및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 중 다른 하나의 상기 몸체측 경사부가 각각 맞물리고,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 중 하나의 상기 파이프측 보강부 및 상기 조인트 분할 부재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파이프측 경사부가 각각 맞물림으로써, 한 쌍의 상기 집게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파이프를 집으면서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KR2020180001433U 2018-04-02 2018-04-02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KR200490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433U KR200490362Y1 (ko) 2018-04-02 2018-04-02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PCT/KR2018/008463 WO2019194367A1 (ko) 2018-04-02 2018-07-26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433U KR200490362Y1 (ko) 2018-04-02 2018-04-02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538U KR20190002538U (ko) 2019-10-11
KR200490362Y1 true KR200490362Y1 (ko) 2019-11-04

Family

ID=68101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433U KR200490362Y1 (ko) 2018-04-02 2018-04-02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0362Y1 (ko)
WO (1) WO20191943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83Y1 (ko) * 2020-11-03 2022-05-12 금성에이스산업(주)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705Y1 (ko) 2003-07-23 2003-10-10 채수인 파이프 연결구
WO2012066801A1 (ja) 2010-11-15 2012-05-24 スペーシア株式会社 パイプジョイン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613Y1 (ko) * 2001-03-30 2001-10-10 하태만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KR100912569B1 (ko) 2007-09-20 2009-08-21 배점규 물품거치대
KR20140002196U (ko) * 2012-10-09 2014-04-17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연결 조인트
WO2016010166A1 (ko) * 2014-07-12 2016-01-21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705Y1 (ko) 2003-07-23 2003-10-10 채수인 파이프 연결구
WO2012066801A1 (ja) 2010-11-15 2012-05-24 スペーシア株式会社 パイプジョイ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4367A1 (ko) 2019-10-10
KR20190002538U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6218B2 (en) Column base fitting and column base structure using it
US10753082B2 (en) Structural member joint and structure
EP1982924A1 (en) Pallet container
CN106515349B (zh) 稳定器支承结构
KR200486505Y1 (ko)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 및 상기 산업용 선반 형성 랙 시스템에 적용되는 파이프용 조인트
US8863978B2 (en) Pallet container
KR200490362Y1 (ko)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CN108035443B (zh) 一种双钢板剪力墙与楼板的连接方法
KR20080074226A (ko) 내력 프레임
JP2018031206A (ja) 杭頭接合部
KR200491006Y1 (ko)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 및 상기 평면 형태 외관 파이프 랙 시스템을 구성하는 평면 형태 외관 형성 사각 랙 파이프 및 랙 파이프 연결용 사각 조인트
JPS6333291A (ja) タンク装置
KR20200000564U (ko)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KR20090000936U (ko) 파렛트랙 구조물용 보강비임 구조.
JP2020111930A (ja) 木質梁接合構造
KR20160000312A (ko) 비계
JP6588721B2 (ja) ばら物貯槽
JP6379464B2 (ja) 接合構造
JP3859408B2 (ja) 鋼管コンクリート柱と鉄筋コンクリート梁との接合部構造
BR112020000587B1 (pt) Contêiner com base em palete e método para a produção de um perfil oco de formato triangular a partir de um perfil de base de formato quadrado em uma haste em treliça tubular de uma estrutura em treliça tubular para um contêiner com base em palete
KR102505657B1 (ko) 보부재의 보강구조 및 보부재의 보강방법
JP5303512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BR112014020466B1 (pt) recipiente de palete
JP3237013U (ja) パレット
KR102150464B1 (ko) 클린칭 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