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613Y1 -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 Google Patents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613Y1
KR200238613Y1 KR2020010008959U KR20010008959U KR200238613Y1 KR 200238613 Y1 KR200238613 Y1 KR 200238613Y1 KR 2020010008959 U KR2020010008959 U KR 2020010008959U KR 20010008959 U KR20010008959 U KR 20010008959U KR 200238613 Y1 KR200238613 Y1 KR 200238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pport
coupler
coupl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만
Original Assignee
하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만 filed Critical 하태만
Priority to KR2020010008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613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된 파이프를 지주에 대하여 '+'자형으로 결합하는 파이프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파이프상 몸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구가 부착된 통상의 파이프 결합구에 있어서, 파이프 결합구의 몸체를 4개로 분리형성하되, 각각의 몸체를 서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가능케 하며, 각각의 몸체에는 그 내경과 동일한 폭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그 개구부로 지주가 삽입되어 몸체에 의해 지주가 고정되게 구성하므로서, 이미 완성된 진열장의 지주와 같은 경우에도 그 지주를 분리하지 않고도 그 측면에서 몸체를 밀착시키고,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서로의 몸체를 고정하여 결합하므로서 보다 용이한 설치 및 파이프의 연결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이며, 진열장의 형태를 변경하거나 확장시키는 경우에도 매우 신속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connecting device of separation-type pipe}
본 고안은 분리된 파이프를 지주에 대하여 '+'자형으로 결합하는 파이프 결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 결합구의 본체를 4개로 분리형성하여이미 입설된 지주에 대하여 분리된 본체 및 덮개를 결합하므로서, 입설된 지주를 상부로 들어올리거나 해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는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파이프 결합구는 파이프상 몸체의 외주면에 동일한 직경의 결합구를 직교되게 다수 형성한 것으로서, 입설된 지주 또는 횡으로 고정된 지주에 그 몸체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각각의 결합구에 결합코저 하는 파이프를 삽입하여 고정하면 하나의 지주에 대하여 다수의 파이프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파이프 결합구는 각종 진열대와 같이 프레임의 지지력에 의해 구성되는 장식장에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통상의 파이프 결합구는 그 몸체 및 결합구가 모두 일체의 파이프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주 혹은 결합되는 파이프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파이프의 단부를 거쳐 내측으로 삽입하여야 하므로, 이미 입설된 지주에 또다른 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입설된 지주를 들어올리거나 상부를 통해 몸체를 삽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된 지주에 또다른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지주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각종 마감재 및 파이프등을 해체하여 그 단부가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그 결합구를 삽입하여 고정하여야 하므로 기 완성된 진열장에 또다른 연결파이프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한 파이프 결합구의 몸체를 4개로 분리형성하여 몸체의 일측이 완전개방되게 하되, 몸체들의 결합에 의해 파이프 결합구가 완성되게 하므로서, 이미 완성된 진열장의 지주와 같은 경우에도 그 지주를 분리하지 않고도 그 측면에서 몸체를 밀착시키고,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서로의 몸체를 고정하여 결합하므로서 보다 용이한 설치 및 파이프의 연결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이며, 진열장의 형태를 변경하거나 확장시키는 경우에도 매우 신속한 효과가 있는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결합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결합구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결합구 2 : 몸체
4 : 볼트 5 : 너트
6 : 개구부 7,7' : 결합구
8 : 지주 10,10' : 결합파이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를 분리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결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파이프상 몸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구(7)(7')가 부착된 통상의 파이프 결합구(1)에 있어서,
파이프 결합구(1)의 몸체(2)를 4개로 분리형성하되, 각각의 몸체(2)를 서로 볼트(4) 및 너트(5)에 의해 체결가능케 하며,
각각의 몸체(2)에는 그 내경과 동일한 폭의 개구부(6)를 형성하여, 그 개구부(6)로 지주(8)가 삽입되어 몸체(2)에 의해 지주(8)가 고정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10'는 결합파이프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의 도시와 같이 수직 입설된 지주(8)의 외주면에 본 고안 결합구(1)의 4개로 분리형성된 몸체(2)를 위치시키되, 각 몸체(2) 일측의 개구부(6)을 통해 그 내주면에 지주(8)가 위치되게 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도 3의 도시와 같이 각 몸체(2)를 밀착하여 위치시키고, 각각의 볼트(4) 및 너트(5)에 의해 서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각각의 결합구(7)(7')에는 또다른 결합파이프(10)(10')를 삽입하여 동시에 결합하면 5방향의 축이 고정된 상태를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파이프상의 결합구(1)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주(8)의 일측단부를 통하여 삽입하였으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며 지주(8)위 단부에 또다른 파이프등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파이프를 모두 제거한 상태에서만 결합구(1)의 삽입이 가능하였으므로 하나의 결합구(1)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및 인력을 필요로 하였으나,
본 고안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1)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지주(8)의 일정부위에 4개로 분리형성된 몸체(2)를 대향되게 일치시켜 고정하면 되는 것이므로, 그 고정방법 및 결합파이프(10)(10')의 연결이 매우 용이해 지는 것이다.
이외에도 그 내주면의 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거나, 시중에서 유통되는 각각의 파이프형상과 일치되는 내주면을 형성하므로서, 보다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 결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는 몸체를 4개로 분리형성하여 이들의 결합에 의해 파이프 결합구가 완성되게 하므로서, 이미 완성된 진열장의 지주와 같은 경우에도 그 지주를 분리하지 않고도 그 측면에서 몸체를 밀착시키고,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덮개판을 고정하여 결합하므로서 보다 용이한 설치 및 파이프의 연결 및 결합이 가능한 것이며, 진열장의 형태를 변경하거나 확장시키는 경우에도 매우 신속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파이프상 몸체의 외주면에 다수의 결합구(7)(7')가 부착된 통상의 파이프 결합구(1)에 있어서,
    파이프 결합구(1)를 4개의 몸체(2)로 분리형성하되, 각각의 몸체(2)를 서로 볼트(4) 및 너트(5)에 의해 체결가능케 하며,
    각각의 몸체(2)에는 그 내경과 동일한 폭의 개구부(6)를 형성하여, 그 개구부(6)로 지주(8)가 삽입되어 몸체(2)에 의해 지주(8)가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KR2020010008959U 2001-03-30 2001-03-30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KR200238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959U KR200238613Y1 (ko) 2001-03-30 2001-03-30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959U KR200238613Y1 (ko) 2001-03-30 2001-03-30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613Y1 true KR200238613Y1 (ko) 2001-10-10

Family

ID=7309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959U KR200238613Y1 (ko) 2001-03-30 2001-03-30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6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84B1 (ko) 2008-06-26 2010-07-22 주식회사 요수엔지니어링 파이프의 십자 연결용 조인트
WO2019194367A1 (ko) * 2018-04-02 2019-10-10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684B1 (ko) 2008-06-26 2010-07-22 주식회사 요수엔지니어링 파이프의 십자 연결용 조인트
WO2019194367A1 (ko) * 2018-04-02 2019-10-10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07935A1 (zh) 一种双层床立柱和横梁的连接结构及使用该结构的双层床
JP2000028055A (ja) 連結エレメント
WO2008156935A2 (en) System for securing concrete form panels
KR200238613Y1 (ko)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US5964546A (en) Split separable joint apparatus and method
KR200213676Y1 (ko) 분리형 파이프 결합구
US5609436A (en) Coupling structure
EA000810B1 (ru) Несущий каркас с раскосами 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ми узлами
JP2001164744A (ja) 仮設構造物の構築方法と構築用接続金具
KR101867301B1 (ko) 가설물용 연결구
KR20180124660A (ko) 파형관 연결장치
US114152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first and second hose coupling, and a locking device
KR101070288B1 (ko) 분리 가능한 밴드를 구비한 파이프 이음장치
KR20090119339A (ko) 파이프고정용 클램프
JP3180878U (ja) パイプ組立体用クランプ装置、仮設足場パイプ用クランプ装置、パイプ組立体及び仮設足場
JP5364493B2 (ja) ヘッダー固定具、及び、ヘッダー固定構造
KR101200900B1 (ko) 고장력 커플링
JP2003176895A (ja) ヘッダー及びその固定構造
CN218233828U (zh) 一种装配式桁架节点
CN219411230U (zh) 一种便于拆卸的钢结构连接架
KR100704248B1 (ko) 내진형 관 연결구
KR102196115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가설물용 연결구
KR20010026729A (ko) 경사체결구조를 갖는 삼방향밸브
JP7422009B2 (ja) 鉄筋端部の連結方法、及び、連結用のガイド治具
KR200335352Y1 (ko) 파이프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