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705Y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705Y1
KR200329705Y1 KR20-2003-0023755U KR20030023755U KR200329705Y1 KR 200329705 Y1 KR200329705 Y1 KR 200329705Y1 KR 20030023755 U KR20030023755 U KR 20030023755U KR 200329705 Y1 KR200329705 Y1 KR 200329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 connecting
pipe connector
split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인
Original Assignee
채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수인 filed Critical 채수인
Priority to KR20-2003-0023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7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8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n abutting connection of at least one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08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for pipes being in an angled relationship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분할 형성된 파이프 연결구의 분할형태와 조립구조를 개량하여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분할 형성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외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 1분할부재와 상기 삽입공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제 2분할부재로 이루어져서 상기 제 1분할부재와 제 2분할부재를 맞대어 조립하면 전측 및 후측에 서로 방향이 다른 전측 및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형성되되, 일치된 삽입공과 나사홈을 통해 렌치볼트가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분할부재와 제2 분할부재는 각각 전측 파이프 연결부를 기준으로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90도 각도에 일체로 형성되어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측의 파이프 연결부의 외측면에 체결된 고정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A PIPE CONNECTOR}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분할 형성된 파이프 연결구의 분할형태와 조립구조를 개량하여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안으로 특허등록 제390210호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파이프 연결구는, 분할 형성된 양쪽 분할부재 각각에 외측면에서 볼트와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어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분할된 형태가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었다.
종래 고안은 이와 같은 조립구조와 분할형태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작업상 불편한 점이 있었다.
첫째, 너트를 삽입홈에 삽입하고 볼트를 너트에 결합하는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했으므로 작업하기가 불편하였고, 분할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너트가 체결된 상태가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않았으며 외부 충격에 쉽게 너트가 풀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분할된 형태가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었기 때문에 각각의 분할부재를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여야 했으므로 조립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견고성이 떨어지며, 미관상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할 형성된 파이프 연결구의 한 쪽 분할부재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볼트만을 사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분할부재 몸체에 볼트가 결합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되며, 한 쪽 분할부재에만 삽입공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삽입공이 없는 다른 쪽 분할부재가 보이게 되므로써 외관상 미려한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고,
둘째, 파이프 연결구의 분할 형태를 2개 이상의 파이프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2개 이상의 파이프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한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고,
세째, 파이프 연결부에 고정공을 형성하여 고정구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 연결부에 연결된 파이프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된 파이프 연결구가 파이프에서 흘러내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구를 이용하여 파이프 연결구의 높낮이 조정이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파이프 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로서 배면에서 본 모습,
도 3는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분리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 파이프 연결구
10a, 20a, 30a, 30a', 40a : 제1 분할부재
10b, 20b, 30b, 40b : 제2 분할부재
11 : 삽입공 12 : 나사홈
13, 23, 33 : 전측 파이프 연결부
14, 24, 25, 34, 35, 36, 44, 45 : 후측 파이프 연결부
15 : 렌치볼트 16 : 고정구
17 : 고정공 18 : 선반재치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분할 형성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외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 1분할부재와 상기 삽입공과 마주보는 내측면에나사홈이 형성된 제 2분할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분할부재와 제2 분할부재를 맞대어 조립하면 전측 및 후측에 서로 방향이 다른 전측 및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형성되되,
일치된 삽입공과 나사홈을 통해 렌치볼트가 체결,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제1 분할부재와 제2 분할부재는 각각 전측 파이프 연결부를 기준으로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90도 각도에 일체로 형성되어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분할부재는 전측 파이프 연결부를 기준으로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90도 각도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 분할부재는 전측 파이프 연결부를 기준으로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180도 각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분할부재 2개와 제2 분할부재 1개가 상호 맞대어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분할부재는 전측 파이프 연결부를 기준으로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90도 각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분할부재 4개가 상호 맞대어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서, 상기 전측 파이프 연결부의 외측면에 체결된 고정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 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파이프 연결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로서 배면에서 본 모습이고, 도 3는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 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는 제1 분할부재(10a)와 제2 분할부재(10b)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분할부재(10a, 10b)는 상호 맞대면 파이프의 중간부위를 감싸질 수 있도록 상,하 관통되어 반원형으로 된 전측 파이프 연결부(13)와, 파이프의 단부를 감싸줄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되어 일단이 막혀진 후측 파이프 연결부(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 후측 파이프 연결부(13, 14) 사이에는 렌치볼트(15)가 삽입되는 삽입공(11)이 제1 분할부재(10a)의 외측면에서 내측면까지 관통되어 있고, 제 2 분할부재(10b)에는 상기 삽입공(11)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나사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홈(12)은 제2 분할부재(10b)의 내측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된 홈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2 분할부재(10b)의 외측면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파이프 연결구(10)는 세워져 있는 파이프의 중간부위에 전측 파이프 연결부(13)가 상호 맞대어지고, 후측 파이프 연결부(14)에 파이프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렌치볼트(15)를 제1 분할부재(10a)의 삽입공(11)에 삽입하여 제2분할부재(10b)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홈(1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파이프를 상호 연결시킨다. 이렇게 한쪽의 분할부재에는 삽입공(11)이 형성되고, 맞대어지는 다른쪽 분할부재에는 나사홈(12)이 형성되어 렌치볼트(15)만으로 분할부재가 고정되는 구조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든 파이프 연결구에 적용된다.
또, 제 1, 제2 분할부재중 한쪽 분할부재에는 전측 파이프 연결부(13) 외측면에 형성된 고정공(17)에 고정구(16)가 나사결합되어 전측 파이프 연결부(13)에 위치되는 파이프의 외주연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구(16)는 파이프 연결구(10)가 파이프에 조립된 상태에서 파이프가 회전되는 것과 파이프 연결구(10) 자체가 파이프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구(16)를 해제시켜서 전측 파이프 연결부(13)에 파이프가 감싸여진 상태에서 상,하 자유롭게 파이프 연결구(10)가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후측 파이프 연결부(14)에 파이프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파이프 연결구(10)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16)도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든 파이프 연결구에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분할부재(10a, 10b)는 각각 후측 파이프 연결부(14)와 동일한 구조로 반대편에도 또 다른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측 파이프 연결구(13)의 좌,우 양편에 후측 파이프 연결구(14)가 형성되어 일직선상으로 파이프를 상호 연결시킬 수도 있다.(도 7 참조)
도 4 내지 도 6은 여러 형태로 분할 형성된 파이프 연결구를 보인 것으로, 먼저, 도 4에 도시한 파이프 연결구(20)를 설명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파이프 연결구(10)에 또 다른 방향으로 파이프 연결부가 하나 더 형성된 것으로, 파이프 연결구(20)도 역시 제1 분할부재(20a)와 제2 분할부재(20b)로 분할되어 있는 데, 분할된 형태가 평면상에서 전측 파이프 연결부(23)를 기준으로 하여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24, 25)의 중심부에서 분할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분할부재(20a, 20b) 각각에 전측 파이프 연결부(23)와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24, 25)가 90도 각도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즉, 제1, 제2 분할부재(20a, 20b)가 "ㄱ" 형태로 되어 제1 분할부재(20a)의 전측 파이프 연결부(23)가 1/4 형성되고, 제2 분할부재(20b)의 전측 파이프 연결부(23)는 3/4 분할 형성되어 맞대어지면 전측 파이프 연결부(23)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분할 형태로 제1, 제2 분할부재(20a, 20b)가 이루어진 파이프 연결구(20)를 사용하여 파이프를 제 2분할부재(20b)의 전측 파이프 연결부(23)에 삽입한 상태에서 직각방향으로 2개의 파이프를 후측 파이프 연결부(24, 25)에 삽입하여 제1 분할부재(20a)를 제2 분할부재(20b)에 맞대어서 바로 렌치볼트(15)로 제 1 분할부재(20a)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하면 간단하게 파이프를 연결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평면도로서, 상기에서 설명한 제 1분할부재(20a)와 동일한 구조로 된 제1 분할부재(30a, 30a') 2개 와, 전측 파이프 연결부(33)를 기준으로 양편에 후측 파이프 연결부(34, 35)가 형성된 제2 분할부재(30b) 1개로 구성되어 3개로 분할된 파이프 연결구(30)가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 연결구(30)는 2개의 제1 분할부재(30a, 30a')가 후측 파이프 연결부(36)가 상호 맞대어지고, 이렇게 맞대어진 제1 분할부재(30a, 30a') 각각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34, 35)와 제2 분할부재(30b)에 형성된 후측 파이프 연결부(34, 35)가 상호 맞대어져서 전측 파이프 연결부(33)에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에서 T자 형태로 파이프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상호 맞대어지는 제1 분할부재(30a, 30a')중에 한쪽 분할부재에는 삽입공을, 다른쪽 분할부재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렌치볼트(15)로 고정되고, 제2 분할부재(30b)에 형성된 나사홈에 각각의 제1 분할부재(30a,30a')가 렌치볼트(15)로 고정된다.
한편, 제 1분할부재(30a,30a') 2개와 맞대어지는 제2 분할부재(30b)를 또 다른 제 1분할부재(30a,30a') 2개로 대체하게 되면, 즉 제 1분할부재 4개로 분할된 형태의 또 다른 파이프 연결구가 구성되므로 전측 파이프 연결부에 파이프가 연결된 상태에서 파이프 4개를 십자형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참조부호 18은 선반재치구로서 상부에 선반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후측 파이프 연결부 외측면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나사결합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분리사시도로서,파이프 연결구(40)가 제1 분할부재(40a)와 제2 분할부재(40b)로 전측 파이프 연결부가 없는 형태로 파이프 연결부(44, 45)만 각각 양단부에 형성되어 각각의 분할부재 몸체가 절곡된 것으로, 방향을 달리하여 파이프를 연결시킬 수 있고, 연결된 부위가 곡선부를 이루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여러 형태로 분할 형성된 파이프 연결구를 사용하여 파이프와 파이프를 상호 연결시켜서 다수개의 입방체 형태로 된 진열장을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진열장을 조립함에 있어서, 지주봉 역할을 하는 파이프의 최상단이나 최하단에 조립되는 파이프 연결구의 전측 파이프 연결부는 상부 또는 하부가 통공되지 않는 막혀진 구조로 하여 삽입된 파이프의 상,하단이 보이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 의하면,
첫째, 분할 형성된 파이프 연결구의 한 쪽 분할부재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볼트만을 사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고, 분할부재 몸체에 볼트가 결합되므로 견고하게 고정되며, 한 쪽 분할부재에만 삽입공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삽입공이 없는 다른 쪽 분할부재가 보이게 되므로 외관이 좋게 되고,
둘째, 파이프 연결구의 분할 형태를 2개 이상의 파이프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2개 이상의 파이프를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립 및 해체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되며,
세째, 파이프 연결부에 고정공을 형성하여 고정구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 연결부에 연결된 파이프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된 파이프 연결구가 파이프에서 흘러내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고,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구를 이용하여 파이프 연결구의 높낮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다.

Claims (5)

  1. 분할 형성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외측면에 삽입공이 형성된 제 1분할부재와 상기 삽입공과 마주보는 내측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제 2분할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분할부재와 제2 분할부재를 맞대어 조립하면 전측 및 후측에 서로 방향이 다른 전측 및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형성되되,
    일치된 삽입공과 나사홈을 통해 렌치볼트가 체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부재와 제2 분할부재는 각각 전측 파이프 연결부를 기준으로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90도 각도에 일체로 형성되어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부재는 전측 파이프 연결부를 기준으로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90도 각도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 분할부재는 전측 파이프 연결부를 기준으로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180도 각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분할부재 2개와 제2 분할부재 1개가 상호 맞대어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파이프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부재는 전측 파이프 연결부를 기준으로 2개의 후측 파이프 연결부가 90도 각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분할부재 4개가 상호 맞대어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파이프 연결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는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 파이프 연결부의 외측면에 체결된 고정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20-2003-0023755U 2003-07-23 2003-07-23 파이프 연결구 KR200329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755U KR200329705Y1 (ko) 2003-07-23 2003-07-23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755U KR200329705Y1 (ko) 2003-07-23 2003-07-23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705Y1 true KR200329705Y1 (ko) 2003-10-10

Family

ID=49339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755U KR200329705Y1 (ko) 2003-07-23 2003-07-23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7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367A1 (ko) * 2018-04-02 2019-10-10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WO2023079610A1 (ja) * 2021-11-04 2023-05-11 Sus株式会社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367A1 (ko) * 2018-04-02 2019-10-10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KR20190002538U (ko) * 2018-04-02 2019-10-11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KR200490362Y1 (ko) 2018-04-02 2019-11-04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및 상기 파이프 연결용 조인트를 구성하는 조인트 분할 부재
WO2023079610A1 (ja) * 2021-11-04 2023-05-11 Sus株式会社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2463B1 (en) Connecting device for tubular elements
US5839248A (en) Frame assembly
KR200476249Y1 (ko)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IL74479A (en) Connects rods to create a spatial structure
US5095677A (en) Combination for use in mounting a modular system
KR200329705Y1 (ko) 파이프 연결구
US7472990B2 (en) Tool-free glasses frame and legs assembly
KR102094641B1 (ko) 6-웨이 커넥터모듈
KR100660467B1 (ko) 트러스 구조물용 죠인트부재
KR101968052B1 (ko) 사각관용 커넥터 모듈
KR200489569Y1 (ko) 가구 프레임용 파이프의 결합구조
KR200219509Y1 (ko) 조립식 진열장의 파이프 연결부재
KR960001263Y1 (ko) 유리판 받침턱이 형성된 조립식 진열장의 파이프연결구
KR102046454B1 (ko) 커넥터 및 그것을 이용한 골격 구조물
RU21931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деталей мебели
JPH0736526Y2 (ja) パイプ用コネクター
KR100390201B1 (ko) 조립식 진열구조물의 연결구
KR200207356Y1 (ko) 천정설치구조물용 천정지지구조체
USD1034921S1 (en) Pipe-to-fitting connection
JPH0348407Y2 (ko)
JP3104984U (ja) 交差するパイプの軸を同一平面上で連結できる接続金具
KR100455517B1 (ko) 허니콤구조의 상품진열대
KR200302425Y1 (ko) 조립식 구조물용 테라
KR20070104790A (ko) 조립식 구조물
RU2293891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убчатых элем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