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2421A - 복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2421A
KR20160102421A KR1020167016516A KR20167016516A KR20160102421A KR 20160102421 A KR20160102421 A KR 20160102421A KR 1020167016516 A KR1020167016516 A KR 1020167016516A KR 20167016516 A KR20167016516 A KR 20167016516A KR 20160102421 A KR20160102421 A KR 20160102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urethane
adhesive layer
les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7426B1 (ko
Inventor
히로아키 슈
Original Assignee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2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5Acrylic resin particles, e.g. polymethyl methacrylate or ethylene-acrylate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72Cured, e.g. vulcanised,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4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08J23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08J2475/08Polyurethanes from 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설치된 이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이접착층은, 폴리우레테인과, 상기 폴리우레테인을 가교시킬 수 있는 가교제와, 불휘발성 염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이 1000N/mm2 이상 5000N/mm2 이하인, 복층 필름.

Description

복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MULTILAYERED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복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에는, 다양한 광학 필름이 이용된다. 이와 같은 광학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자,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대전 방지층, 방현층, 방오층 등의 다른 다양한 기능을 갖는 임의의 부재에 첩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광학 필름은, 첩합하는 부재와의 접착력이 높을 것이 요망된다.
그렇지만, 광학 필름 중에는, 접착성이 반드시 높지는 않은 것이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광학 필름의 표면에, 그 광학 필름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는 층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 층은 「이접착층(易接着層)」이라고 불리는 층이다. 이접착층은, 그 이접착층을 구비하는 필름을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를 개재시켜 임의의 부재와 첩합할 때에, 그 필름의 접착력을 보강하여, 보다 강고하게 접착시키는 기능을 갖는 층이다. 이접착층에 대해서는, 우레테인 수지에 의해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9-274390호 공보
최근, 이접착층에는 보다 한층 높은 접착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이접착층은, 고습도 환경에 장시간 두면 접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으므로, 고습도 환경에 있어서도 접착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이접착층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 접착성이 우수하고 그 접착성을 고습도 환경에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이접착층을 구비하는 복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기재 필름과 이 기재 필름 상에 설치된 이접착층을 구비하는 복층 필름으로서, 이접착층이 폴리우레테인, 가교제 및 불휘발성 염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고, 또한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이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것이,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그 접착성을 고습도 환경에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설치된 이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이접착층은, 폴리우레테인과, 상기 폴리우레테인을 가교시킬 수 있는 가교제와, 불휘발성 염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이 1000N/mm2 이상 5000N/mm2 이하인, 복층 필름.
〔2〕 상기 기재 필름이,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1〕에 기재된 복층 필름.
〔3〕 상기 가교제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복층 필름.
〔4〕 상기 조성물이 입자를 포함하는,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층 필름.
〔5〕 상기 조성물이 젖음제를 포함하는,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층 필름.
〔6〕 상기 폴리우레테인이 폴리에터계 폴리우레테인인,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층 필름.
〔7〕 기재 필름 상에, 폴리우레테인과, 상기 폴리우레테인을 가교시킬 수 있는 가교제와, 불휘발성 염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조성물의 막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이 1000N/mm2 이상 5000N/mm2 이하인, 복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접착성이 우수하고 그 접착성을 고습도 환경에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이접착층을 구비하는 복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형태 및 예시물 등을 나타내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및 예시물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 및 그의 균등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의 양방을 포함한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의 양방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란, 별도로 예고하지 않는 한,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입자경 분포를 측정하고, 측정된 입자경 분포에 있어서 소경측으로부터 계산한 누적 체적이 50%가 되는 입자경을 채용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필름 또는 층의 면내 리타데이션은, 별도로 예고하지 않는 한, (nx-ny)×d로 표시되는 값이다. 여기에서, nx는, 필름 또는 층의 두께 방향에 수직한 방향(면내 방향)으로서 최대의 굴절률을 제공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ny는, 필름 또는 층의 상기 면내 방향으로서 nx의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d는, 필름 또는 층의 막 두께를 나타낸다. 별도로 예고하지 않는 한, 상기의 리타데이션의 측정 파장은 550nm이다. 상기의 리타데이션은, 시판되는 위상차 측정 장치(예를 들어, 오지계측기기사제, 「KOBRA-21 ADH」, 포토닉 래티스사제, 「WPA-micro」) 또는 세나르몬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이란, 강직한 부재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수지제의 필름과 같이 가요성을 갖는 부재도 포함한다.
[1. 복층 필름의 개요]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기재 필름과, 이 기재 필름 상에 설치된 이접착층을 구비한다. 또한, 이접착층은, 폴리우레테인과, 이 폴리우레테인을 가교시킬 수 있는 가교제와, 불휘발성 염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상기의 폴리우레테인, 가교제 및 불휘발성 염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하, 적절히 「우레테인 조성물」이라고 부른다.
[2. 기재 필름]
기재 필름으로서는, 통상, 수지 필름을 이용한다.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임의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고,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를, 이하, 적절히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라고 부른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는, 투명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및 경량성 등이 우수하여 광학 필름에 적합하다.
또한, 기재 필름은, 1층만을 포함하는 단층 구조의 필름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복층 구조의 필름이어도 된다. 기재 필름이 복층 구조를 갖는 경우, 기재 필름이 구비하는 층 중 1층 이상이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재 필름의 적어도 1개의 최외층이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는 접착성이 낮은 경향이 있지만, 이 낮은 접착성을 이접착층에 의해 보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재 필름이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본 발명의 이점을 유효하게 살릴 수 있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중합체의 구조 단위 중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이며, 주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 및 측쇄에 지환식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기계적 강도,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주쇄에 지환식 구조를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포화 지환식 탄화수소(사이클로알케인) 구조, 불포화 지환식 탄화수소(사이클로알켄, 사이클로알킨)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기계 강도,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사이클로알케인 구조 및 사이클로알켄 구조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사이클로알케인 구조가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수는, 1개의 지환식 구조당,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개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개 이하의 범위이다. 이것에 의해, 기재 필름의 기계 강도, 내열성, 및 성형성이 고도로 균형잡혀 적합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중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도 되고,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중의 지환식 구조를 갖는 구조 단위의 비율이 이 범위에 있으면, 기재 필름의 투명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노보넨계 중합체, 단환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 환상 공액 다이엔계 중합체, 바이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노보넨계 중합체는, 투명성과 성형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노보넨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임의의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수소화물;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임의의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 수소화물은, 투명성, 성형성, 내열성, 저흡습성, 치수 안정성, 경량성 등의 관점에서 특히 적합하다. 여기에서 「(공)중합체」란, 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양방을 포함한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바이사이클로[2.2.1]헵트-2-엔(관용명: 노보넨), 트라이사이클로[4.3.0.12,5]데카-3,7-다이엔(관용명: 다이사이클로펜타다이엔), 7,8-벤조트라이사이클로[4.3.0.12,5]데카-3-엔(관용명: 메타노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 테트라사이클로[4.4.0.12,5.17,10]도데카-3-엔(관용명: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 및 이들 화합물의 유도체(예를 들어, 환에 치환기를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어 알킬기, 알킬렌기, 극성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복수개가 환에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극성기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어, 헤테로원자, 또는 헤테로원자를 갖는 원자단 등을 들 수 있다. 헤테로원자로서는, 예를 들어,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 규소 원자, 할로젠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극성기의 구체예로서는, 카복실기, 카보닐옥시카보닐기, 에폭시기, 하이드록실기, 옥시기, 에스터기, 실란올기, 실릴기, 아미노기, 나이트릴기, 설폰산기 등을 들 수 있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개환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헵텐, 사이클로옥텐 등의 모노 환상 올레핀류 및 그의 유도체; 사이클로헥사다이엔, 사이클로헵타다이엔 등의 환상 공액 다이엔 및 그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개환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개환 중합체, 및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의 개환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단량체를 공지된 개환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 중합 또는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부가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뷰텐 등의 탄소수 2∼20의 α-올레핀 및 이들의 유도체; 사이클로뷰텐, 사이클로펜텐, 사이클로헥센 등의 사이클로올레핀 및 이들의 유도체; 1,4-헥사다이엔, 4-메틸-1,4-헥사다이엔, 5-메틸-1,4-헥사다이엔 등의 비공액 다이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α-올레핀이 바람직하고, 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부가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의 부가 중합체, 및 노보넨 구조를 갖는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단량체의 부가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단량체를 공지된 부가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 중합 또는 공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단환의 환상 올레핀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헥센, 사이클로헵텐, 사이클로옥텐 등의 단환을 갖는 환상 올레핀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환상 공액 다이엔계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1,3-뷰타다이엔, 아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공액 다이엔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를 환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중합체; 사이클로펜타다이엔, 사이클로헥사다이엔 등의 환상 공액 다이엔계 모노머의 1,2- 또는 1,4-부가 중합체; 및 이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바이닐 지환식 탄화수소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바이닐사이클로헥센, 바이닐사이클로헥세인 등의 바이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모노머의 중합체 및 그의 수소화물; 스타이렌, α-메틸스타이렌 등의 바이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모노머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중합체에 포함되는 방향환 부분을 수소화시켜 이루어지는 수소화물; 바이닐 지환식 탄화수소계 모노머, 또는 바이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모노머와 이들 바이닐 방향족 탄화수소계 모노머에 대해서 공중합 가능한 임의의 모노머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 등의 공중합체의, 방향환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블록 공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블록 공중합체, 트라이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 이상의 멀티블록 공중합체, 및 경사블록 공중합체 등을 들 수도 있다.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통상 1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이상이며, 통상 10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8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 이하이다. 여기에서, 상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용매로서 사이클로헥세인을 이용하여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폴리아이소프렌 또는 폴리스타이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단, 시료가 사이클로헥세인에 용해되지 않는 경우에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의 용매로서 톨루엔을 이용해도 된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이와 같은 범위에 있을 때, 복층 필름의 기계적 강도 및 성형 가공성이 고도로 균형잡혀 적합하다.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수 평균 분자량(Mn))는, 통상 1.2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8 이상이며, 통상 3.5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7 이하이다. 분자량 분포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중합체의 생산성을 높여,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저분자량 성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완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온 폭로 시의 완화를 억제할 수 있어, 기재 필름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 포함되는 중합체는, 광탄성 계수 C의 절대치가 10×10-12Pa-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10-12Pa-1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10-12Pa-1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탄성 계수 C는, 복굴절을 Δn, 응력을 σ로 했을 때, 「C=Δn/σ」로 표시되는 값이다. 중합체의 광탄성 계수를 상기 범위로 거두는 것에 의해, 기재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의 격차를 작게 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포화 흡수율은, 바람직하게는 0.03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하이다. 포화 흡수율이 상기 범위이면, 기재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의 경시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안정되고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포화 흡수율은, 시험편을 일정 온도의 물 중에 일정 시간 침지하여 증가한 질량을, 침지 전의 시험편의 질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통상은, 23℃의 물 중에 24시간 침지하여 측정된다. 중합체에 있어서의 포화 흡수율은, 예를 들어, 중합체 중의 극성기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의 범위로 조절할 수 있다. 포화 흡수율을 보다 낮추는 관점에서, 상기의 중합체는, 극성기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한, 중합체 이외에 임의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임의의 성분의 예를 들면,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가소제; 형광 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내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활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단,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양은, 일반적으로는 50%∼100%, 또는 70%∼100%이다. 특히,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를 이용한 경우, 그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는 높은 소수성을 갖지만, 이접착층에 의해 친수성이 높은 임의의 부재와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이 이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관점에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에 포함되는 중합체의 양이, 예를 들어 80%∼100%, 보다 상세하게는 90%∼100%가 되도록, 그 임의의 성분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에는, 실질적으로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수지에 입자를 포함시켜도, 입자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상태로부터의 기재 필름의 헤이즈의 상승폭이 0.05% 이하의 범위인 양까지는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는, 많은 유기 입자 및 무기 입자와의 친화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양의 입자를 포함하는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를 연신하면, 공극이 발생하기 쉽고, 그 결과로서, 헤이즈의 현저한 상승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대로, 기재 필름은, 1층만을 구비하는 단층 구조의 필름층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복층 구조의 필름층이어도 된다. 기재 필름을 복층 구조의 필름층으로 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특성을 갖는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이 2층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경우, 1종류의 필름층을 2층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상이한 2종류 이상의 필름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기재 필름에는, 전술한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 이외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설치해도 된다.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 이외로 이루어지는 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흠집 방지, 반사 방지, 대전 방지, 방현, 방오 등의 기능을 갖는 필름층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은, 1mm 두께 환산으로의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광선 투과율은, JIS K0115에 준거하여, 분광광도계(닛폰분광사제, 자외가시근적외 분광광도계 「V-57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은, 1mm 두께에서의 헤이즈가, 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헤이즈는, JIS K7361-1997에 준거하여, 닛폰덴쇼쿠공업사제 「탁도계 NDH-300A」를 이용하여, 5개소 측정하고, 그로부터 구한 평균치이다.
기재 필름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μm 이하이다. 기재 필름의 두께 변동폭은, 장척 방향 및 폭 방향에 걸쳐서, 상기 평균 두께의 ±3%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변동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기재 필름의 리타데이션 등의 광학 특성의 격차를 작게 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이 포함하는 휘발성 성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하이다. 휘발성 성분의 양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어, 기재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의 경시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또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안정되고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휘발성 성분이란, 분자량 200 이하의 물질이다. 휘발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잔류 단량체 및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휘발성 성분의 양은, 분자량 200 이하의 물질의 합계로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석하는 것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제한은 없다. 기재 필름은, 당해 기재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를 공지된 필름 성형법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필름 성형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캐스트 성형법, 압출 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용융 압출법이, 잔류 휘발성 성분의 양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어 지구 환경의 관점, 작업 환경의 관점, 및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용융 압출법으로서는, 다이스를 이용하는 인플레이션법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생산성이나 두께 정밀도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T 다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이 2층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경우, 기재 필름의 제조 방법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따로따로 제조한 필름층을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첩합하여 기재 필름을 제조해도 된다.
접착제는, 첩합하는 필름층을 형성하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접착제의 예로서는, 아크릴계 접착제, 우레테인계 접착제, 폴리에스터계 접착제, 폴리바이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변성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폴리바이닐알킬에터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계 접착제, 염화바이닐-아세트산 바이닐계 접착제, SEBS(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계 접착제, SIS(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공중합체)계 접착제, 에틸렌-스타이렌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접착제, 에틸렌-(메트)아크릴산 메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산 에스터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μm 이하이다.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2층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기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예를 들어, 공압출 T 다이법, 공압출 인플레이션법, 공압출 라미네이션법 등의 공압출 성형법; 드라이 라미네이션 등의 필름 라미네이션 성형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어떤 필름층의 표면에, 다른 필름층을 구성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코팅하는 코팅 성형법 등을 이용하여, 2층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기재 필름을 제조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제조 효율의 관점, 및 기재 필름 중에 용매 등의 휘발성 성분을 잔류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공압출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공압출 성형법 중에서도, 공압출 T 다이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더욱이, 공압출 T 다이법으로는 피드 블록 방식과 멀티 매니폴드 방식을 들 수 있지만, 필름층의 두께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는, 멀티 매니폴드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은, 연신 처리가 실시되지 않은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연신 처리가 실시된 연신 필름이어도 된다. 또한, 기재 필름이 2층 이상의 층을 구비하는 경우, 미리 연신 처리가 실시된 필름층을 첩합하여 연신 필름을 얻어도 되고, 공압출 등에 의해 얻어진 복층 구조의 연신전 필름에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연신 필름을 얻어도 된다.
연신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1축 연신법, 2축 연신법의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연신 방법의 예를 들면, 1축 연신법의 예로서는, 필름 반송용의 롤의 주속의 차를 이용하여 장척 방향으로 1축 연신하는 방법;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여 폭 방향으로 1축 연신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2축 연신법의 예로서는, 고정하는 클립의 간격을 벌리는 장척 방향의 연신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의 확장 각도에 의해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동시 2축 연신법; 필름 반송용의 롤 사이의 주속의 차를 이용하여 장척 방향으로 연신한 후, 그의 양단부를 클립으로 파지하고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여 폭 방향으로 연신하는 축차 2축 연신법 등의 2축 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예를 들어, 폭 방향 또는 장척 방향으로 좌우 상이한 속도의 이송력, 또는 인장력 또는 인취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여, 필름의 폭 방향에 대해서 평행도 아니고 수직도 아닌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하는 경사 연신법을 이용해도 된다.
연신에 이용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종1축 연신기, 텐터 연신기, 버블 연신기, 롤러 연신기 등을 들 수 있다. 연신 온도는, 연신되는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Tg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Tg-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Tg+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g+50℃) 이하이다. 연신 배율은, 사용하는 기재 필름의 광학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인 연신 배율은, 통상 1.0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1배 이상이며, 통상 10.0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배 이하이다.
[3. 이접착층]
이접착층은, 폴리우레테인, 가교제 및 불휘발성 염기를 포함하는 우레테인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이와 같은 우레테인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이접착층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임의의 부재에 첩합하는 경우에,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이접착층은, 우수한 접착성을 고습도 환경에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3.1. 폴리우레테인]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은, 통상 1000N/mm2 이상, 바람직하게는 1200N/mm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400N/mm2 이상이며, 통상 5000N/mm2 이하, 바람직하게는 4000N/mm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N/mm2 이하이다.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의 인장 탄성률을 갖는 폴리우레테인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접착층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이접착층이 과도하게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접착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이접착층에서는, 일반적으로, 낮은 인장 탄성률을 갖는 중합체가 이용되고 있었다. 이는,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착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이접착층은, 접착면의 요철에 응하여 변형될 수 있을 정도로 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접착층에서는, 종래와는 반대로 비교적 높은 인장 탄성률을 갖는 폴리우레테인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높은 접착성을 실현하고 있다.
전술한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은, 가교제 및 불휘발성 염기 등의 성분과 혼합되기 전에 측정되는 값이다.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의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시료로서 폴리우레테인의 수분산체(필요에 따라서 용액을 이용해도 된다)를 준비한다. 이 수분산체를, 건조 후 막 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유리 용기에 흘려 넣는다.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50℃에서 3시간, 및 120℃에서 20분간 건조시켜, 폴리우레테인의 시트를 얻는다.
얻어진 폴리우레테인의 시트를, JIS K7162에 따라, 덤벨형으로 타발하여, 시험편을 얻는다.
이 시험편에 대해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5mm/분으로 인장 시험을 행하고,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SS 커브)의 기울기로부터 인장 탄성률을 측정한다.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은, 예를 들어, 당해 폴리우레테인의 모노머의 종류 및 비율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인장 탄성률의 제어 방법의 구체예를 들면, 폴리우레테인의 원료가 되는 모노머 중, 후술하는 (2) 폴리에터 폴리올, (3) 폴리에스터 폴리올, (4) 폴리에터 에스터 폴리올, 및 (5)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등의 매크로폴리올의 종류 및 투입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을 조정할 수 있다.
폴리우레테인으로서는, 예를 들어, (i) 1분자 중에 평균 2개 이상의 활성 수소를 함유하는 성분과, (ii)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우레테인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테인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i) 성분 및 상기 (ii) 성분을 우레테인화 반응시켜 얻은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프리폴리머를, 쇄연장제를 이용하여 쇄연장하고, 물을 가하여 분산체로 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우레테인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프리폴리머는, 상기 (i) 성분 및 상기 (ii) 성분을,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과잉의 조건 하에서 우레테인화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우레테인화 반응은, 반응에 불활성이고 물과의 친화성이 큰 유기 용매 중에서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프리폴리머의 쇄연장 전에는, 해당 프리폴리머를 중화시켜도 된다. 또한,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프리폴리머의 쇄연장 방법으로서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함유 프리폴리머와 쇄연장제를, 필요에 따라서 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때, 쇄연장제로서는, 물, 수용성 폴리아민, 글리콜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i) 성분으로서는, 수산기성의 활성 수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분자 중에 평균 2개 이상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i)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하기의 (1) 폴리올 화합물, (2) 폴리에터 폴리올, (3) 폴리에스터 폴리올, (4) 폴리에터 에스터 폴리올, 및 (5)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들 수 있다.
(1) 폴리올 화합물:
폴리올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1,2-뷰틸렌 글리콜, 1,3-뷰틸렌 글리콜, 2,3-뷰틸렌 글리콜, 1,4-뷰틸렌 글리콜, 1,5-펜테인다이올, 네오펜틸 글리콜, 1,6-헥세인 글리콜, 2,5-헥세인다이올,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2,2,4-트라이메틸-1,3-펜테인다이올, 트라이사이클로데케인다이메탄올,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메탄올, 2,2-다이메틸프로페인다이올, 1,4-뷰테인다이올, 1,6-헥세인다이올, 1,8-옥타메틸렌다이올, 글리세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등을 들 수 있다.
(2) 폴리에터 폴리올:
폴리에터 폴리올로서는, 상기의 폴리올 화합물의 알킬렌 옥사이드 부가물; 알킬렌 옥사이드와 환상 에터(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개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 공중합체, 1,4-뷰테인다이올 공중합체;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 글리콜, 폴리옥타메틸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터 폴리올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옥시프로필렌에터)폴리올,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에터)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3) 폴리에스터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로서, 예를 들어, 다가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과 상기 (1) 폴리올 화합물을, 수산기 과잉의 조건에서 중축합시켜 얻어진 것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다가 카복실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디프산, 석신산, 세바크산, 글루타르산,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아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의 다이카복실산; 트라이멜리트산 등의 트라이카복실산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터 폴리올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렌 글리콜-아디프산 축합물, 뷰테인다이올-아디핀 축합물, 헥사메틸렌 글리콜-아디프산 축합물, 에틸렌 글리콜-프로필렌 글리콜-아디프산 축합물, 또는 글리콜을 개시제로 하여 락톤을 개환 중합시킨 폴리락톤 다이올 등을 들 수 있다.
(4) 폴리에터 에스터 폴리올:
폴리에터 에스터 폴리올로서, 예를 들어, 에터기 함유 폴리올 또는, 이것과 다른 글리콜의 혼합물을 상기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은 다가 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과 혼합하여 알킬렌 옥사이드를 반응시켜 이루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터기 함유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2) 폴리에터 폴리올이나 다이에틸렌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터 에스터 폴리올의 구체예로서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아디프산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5)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로서는, 예를 들어, 일반식 HO-R-(O-C(O)-O-R)X-OH(단, 식 중, R은 탄소 원자수 1∼12의 포화 지방산 폴리올 잔기를 나타낸다. 또한, X는 분자의 구조 단위의 수를 나타내고, 통상 5∼50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포화 지방족 폴리올과 치환 카보네이트(예를 들어, 탄산 다이에틸, 다이페닐 카보네이트 등)를, 수산기가 과잉이 되는 조건에서 반응시키는 에스터 교환법; 상기 포화 지방족 폴리올과 포스젠을 반응시키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서, 그 후 추가로 포화 지방족 폴리올을 반응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들 (i) 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 (i) 성분과 반응시키는 (ii) 성분(즉,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1분자 중에 평균 2개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화합물은, 지방족 화합물이어도 되고, 지환식 화합물이어도 되고, 방향족 화합물이어도 된다.
지방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탄소 원자수 1∼12의 지방족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2,4-트라이메틸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HDI) 등을 들 수 있다.
지환식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탄소 원자수 4∼18의 지환식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4-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메틸사이클로헥실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IPDI), 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HMDI)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TDI), 4,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ii) 성분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상기의 (i) 성분 및 (ii) 성분은,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용도에 따라 적절한 것을 임의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i) 성분으로서는, 가수분해되기 어려운 결합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 폴리에터 폴리올 및 (5)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2) 폴리에터 폴리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i) 성분으로서 (2) 폴리에터 폴리올을 이용한 폴리우레테인은 「폴리에터계 폴리우레테인」이라고 불린다. 또한, (i) 성분으로서 (5)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이용한 폴리우레테인은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테인」이라고 불린다. 이들 폴리에터계 폴리우레테인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우레테인은, 가수분해되기 어려운 에터 결합 또는 카보네이트 결합을 갖는다. 그 때문에, 고습도 환경에서 폴리우레테인이 열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이접착층의 인장 탄성률의 경시적인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습도 환경에 있어서의 접착성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폴리우레테인은, 그의 분자 구조에 산 구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산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테인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계면활성제의 양이 적어도, 수중에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접착층의 내수성의 개선이 기대된다. 이것을 자기 유화형이라고 하고, 계면활성제가 없어도 분자 이온성만으로 수중에 폴리우레테인의 입자가 분산 안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산 구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테인은, 계면활성제가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소량으로 끝나므로, 기재 필름과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다.
산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카복실기(-COOH), 설포기(-SO3H) 등의 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산 구조는, 폴리우레테인에 있어서 측쇄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말단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산 구조는, 1종류를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산 구조의 양으로서는, 우레테인 조성물에 있어서의 산가로서 바람직하게는 20mgKOH/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mgKOH/g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50mgKOH/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mgKOH/g 이하이다. 산가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폴리우레테인의 수분산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이접착층의 내수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폴리우레테인에 산 구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메틸올 알칸산을, 상기 (2) 내지 (4)에 기재한 (i) 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와 치환하는 것에 의해, 미리 폴리에터 폴리올, 폴리에스터 폴리올, 폴리에터 에스터 폴리올 등에 카복실기를 도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되는 다이메틸올 알칸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메틸올 아세트산, 다이메틸올 프로피온산, 다이메틸올 뷰티르산 등을 들 수 있다. 다이메틸올 알칸산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우레테인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우레테인이 포함하는 산 구조의 일부 또는 전부는, 불휘발성 염기에 의해 중화되어 있다. 산 구조가 중화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복층 필름은, 고온 하에 노출된 열이력을 가져도, 광학 재료로서의 특성을 유지하거나 임의의 부재와 강한 접착력으로 접착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산 구조를 중화시켜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서, 또는 계면활성제의 양이 적어도, 폴리우레테인의 입자를 수중에 분산시키는 것은 가능하다.
폴리우레테인이 포함하는 산 구조 중, 중화되는 산 구조의 비율은, 20% 이상이 바람직하고, 50%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 구조 중 20% 이상이 중화되는 것에 의해, 복층 필름이 고온 하에 노출된 열이력을 가져도, 광학 재료로서의 특성을 유지하거나 임의의 부재와 강한 접착력으로 접착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우레테인은, 가교제와의 반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극성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기로서는, 카복실기, 카보닐옥시카보닐기, 에폭시기, 하이드록실기, 옥시기, 에스터기, 실란올기, 실릴기, 아미노기, 나이트릴기, 설포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틸올기, 수산기, 카복실기 및 아미노기가 바람직하고, 수산기 및 카복실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카복실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테인 중의 극성기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0001당량/1k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당량/1kg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당량/1kg 이하이다.
폴리우레테인으로서는, 수계 우레테인 수지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이용해도 된다. 수계 우레테인 수지는, 폴리우레테인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며, 통상, 폴리우레테인 및 필요에 따라서 포함되는 임의의 성분이 수중에 분산되어 있는 조성물이다. 수계 우레테인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ADEKA사제의 「아데카 본타이터」 시리즈, 미쓰이화학사제의 「올레스터」 시리즈, DIC사제의 「본딕」 시리즈, 「하이드란(WLS201, WLS202 등)」 시리즈, 바이엘사제의 「임프라닐」 시리즈, 카오사제의 「포이즈」 시리즈, 산요화성공업사제의 「산프렌」 시리즈,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의 「슈퍼플렉스」 시리즈, 구스모토화성사제의 「NEOREZ(네오레즈)」 시리즈, 루브리졸사제의 「Sancure」 시리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테인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우레테인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우레테인 상태는 임의이며, 입자상이 되어 분산되어 있어도 되고, 용매 등의 다른 성분에 용해되어 있어도 된다. 폴리우레테인은, 이들 상태 중에서도, 입자상이 되어 분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폴리우레테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의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 0.01μm∼0.4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3.2. 가교제]
가교제는, 폴리우레테인이 갖는 반응성의 기와 반응하여 결합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폴리우레테인을 가교시킬 수 있다. 이 가교에 의해, 이접착층의 기계적 강도, 접착성 및 내습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상, 가교제는, 상기 산 구조로서 포함되는 카복실기 및 그의 무수물기, 및 (i) 성분과 (ii) 성분의 반응 후에 미반응으로 남은 수산기 등과 같은, 폴리우레테인에 포함되는 극성기와 반응하여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테인이 갖는 반응성의 기와 반응하여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작용기를 1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교제로서는, 폴리우레테인이 갖는 카복실기 또는 그의 무수물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구체예를 들면, 에폭시 화합물,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 옥사졸린 화합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교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1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다작용의 에폭시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물에 용해성이 있거나, 또는 물에 분산되어 에멀션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기가 물에 용해성을 가지거나 또는 에멀션화될 수 있는 것이면, 우레테인 조성물이 수계 수지인 경우에, 그 수계 수지의 도포성을 양호하게 하여, 이접착층의 제조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수계 수지란, 중합체 등의 고형분을, 물 등의 수계의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된 상태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말한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1,4-뷰테인다이올, 1,6-헥세인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1몰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2몰의 에터화에 의해 얻어지는 다이에폭시 화합물;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등의 다가 알코올류 1몰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2몰 이상의 에터화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폭시 화합물; 프탈산, 테레프탈산, 옥살산, 아디프산 등의 다이카복실산 1몰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2몰의 에스터화에 의해 얻어지는 다이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폭시 화합물의 예를 들면, 1,4-비스(2',3'-에폭시프로필옥시)뷰테인, 1,3,5-트라이글리시딜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1,3-다이글리시딜-5-(γ-아세톡시-β-옥시프로필)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터류,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터류,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 에터류, 다이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터, 1,3,5-트라이글리시딜(2-하이드록시에틸)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글리세롤 폴리글리세롤 에터류 및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폴리글리시딜 에터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의 예를 시판품으로 들면, 나가세켐텍스사제의 「데나콜(데나콜 EX-521, EX-614B 등)」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에폭시 화합물의 양은, 폴리우레테인 100중량부에 대해, 통상 2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중량부 이상이며, 통상 4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에폭시 화합물의 양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에폭시 화합물과 폴리우레테인의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므로, 이접착층의 기계적 강도를 적절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미반응의 에폭시 화합물의 잔류를 적게 할 수 있어 이접착층의 기계적 강도를 적절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테인의 극성기와 당량이 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양에 대해, 에폭시 화합물의 양은,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2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4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6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배 이하이다. 여기에서, 폴리우레테인의 극성기와 당량이 되는 에폭시 화합물의 양이란, 폴리우레테인의 극성기의 전량과 과부족 없이 반응할 수 있는 에폭시 화합물의 이론량을 말한다. 폴리우레테인의 극성기는, 에폭시 화합물의 에폭시기와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에폭시 화합물의 양을 상기 범위로 거두는 것에 의해, 극성기와 에폭시 화합물의 반응을 적절한 정도로 진행시켜, 이접착층의 기계적 강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로서는, 1분자 내에 카보다이이미드기를 2 이상 갖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은, 원료로서 유기 모노아이소사이아네이트, 유기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유기 트라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유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들 유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예로서는, 방향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지방족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유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갖는 유기기로서는, 방향족 및 지방족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되고, 또한, 방향족의 유기기 및 지방족의 유기기를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반응성의 관점에서, 지방족의 유기기를 갖는 유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통상,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은, 유기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축합 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유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의 구체예를 들면, 4,4'-다이페닐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페닐다이메틸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4-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4-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6-톨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사이클로헥세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자일릴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2,2,4-트라이메틸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4,4'-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1,3-페닐렌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유기 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아이소포론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페닐 아이소사이아네이트, 사이클로헥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뷰틸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나프틸 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유기 모노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의 예를 시판품으로 들면, 닛신보케미컬사제의 「카보다일라이트(카보다일라이트 V-02, V-02-L2, SV-02, V-04, E-02 등)」 시리즈를 시판품으로서 입수 가능하다.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의 양은, 폴리우레테인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1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상이며, 통상 4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의 양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과 폴리우레테인의 반응이 충분히 진행되므로, 이접착층의 기계적 강도를 적절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미반응의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의 잔류를 적게 할 수 있어, 이접착층의 기계적 강도를 적절히 향상시킬 수 있다.
옥사졸린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I)로 표시되는 옥사졸린기를 갖는 중합체를 이용할 수 있다. 하기 식(I)에 있어서, R4, R5, R6 및 R7은,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할로젠 원자, 알킬기, 아르알킬기, 페닐기 및 치환 페닐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것인가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이 옥사졸린 화합물은, 예를 들어,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을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서 임의의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성분을, 공지된 중합법에 의해 수성 매체 중에서 용액 중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 식(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하기 식(II)에 있어서, R4, R5, R6 및 R7은, 식(I)에 있어서의 정의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R8은, 부가 중합성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비환상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의 구체예를 들면, 2-바이닐-2-옥사졸린, 2-바이닐-4-메틸-2-옥사졸린, 2-바이닐-5-메틸-2-옥사졸린, 2-아이소프로펜일-2-옥사졸린, 2-아이소프로펜일-4-메틸-2-옥사졸린, 2-아이소프로펜일-5-에틸-2-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2-아이소프로펜일-2-옥사졸린이, 공업적으로도 입수하기 쉬워 적합하다.
상기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의 양은, 옥사졸린 화합물의 제조에 이용하는 전단량체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이다. 이것에 의해, 옥사졸린 화합물을 포함하는 우레테인 조성물을 경화시킨 경우에 경화를 충분히 진행시킬 수 있어, 내구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이접착층을 얻을 수 있다.
옥사졸린 화합물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는 임의의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과 공중합 가능하고, 또한 옥사졸린기와 반응하지 않는 임의의 단량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임의의 불포화 단량체는, 전술한 단량체로부터 임의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옥사졸린 화합물의 예를 시판품으로 들면, 수용성 타입으로는, 닛폰촉매사제의 에포크로스 WS-500 및 WS-700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에멀션 타입으로는, 닛폰촉매사제의 에포크로스 K-2010, K-2020 및 K-2030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우레테인과의 반응성이 높은 수용성 타입이 바람직하다.
또한, 옥사졸린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옥사졸린 화합물의 양으로서는, 폴리우레테인이 갖는 극성기와 옥사졸린 화합물이 갖는 옥사졸린기의 몰비(극성기의 몰수/옥사졸린기의 몰수)가, 소정의 범위로 거둬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몰비가, 100/20∼100/100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의 몰비를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미반응의 극성기가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잉여의 옥사졸린기의 발생을 방지하여, 친수기가 과잉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폴리우레테인이 카복실기를 갖고, 또한 그 카복실기가 중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폴리우레테인과 옥사졸린 화합물의 반응에 있어서, 옥사졸린기와 카복실산염이 반응하기 어렵다. 그래서, 중화에 이용하는 불휘발성 염기의 종류 및 불휘발성의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그의 반응성을 컨트롤할 수 있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은, 지방족 화합물이어도 되고, 지환식 화합물이어도 되고, 방향족 화합물이어도 된다.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우레테인의 원료로서 설명한 (ii) 성분과 마찬가지의 예를 들 수 있다.
상기의 가교제 중에서도, 에폭시 화합물 및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에폭시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폭시 화합물을 가교제로서 이용하면, 이접착층의 접착성을 특히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을 가교제로서 이용하면, 우레테인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를 개선할 수 있다.
[3.3. 불휘발성 염기]
불휘발성 염기로서는, 우레테인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한 후에 건조시킬 때의 처리 조건 하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불휘발성인 염기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불휘발성이라는 것은, 통상, 불휘발성 염기의 감소분이 80% 이하인 것을 말한다. 또한, 우레테인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한 후에 건조시킬 때의 처리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80℃에서 1시간 방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불휘발성 염기는, 폴리우레테인의 산 구조를 중화시키는 중화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불휘발성 염기로서는, 무기 염기를 이용해도 되고, 유기 염기를 이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비점 100℃ 이상의 유기 염기가 바람직하고, 비점 100℃ 이상의 아민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비점 200℃ 이상의 아민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 염기는 저분자 화합물이어도 되고, 중합체여도 된다.
불휘발성 염기의 예를 들면, 무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염기로서는, 예를 들어,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AMP), 트라이에탄올아민, 트라이아이소프로판올아민(TIPA), 모노에탄올아민, 다이에탄올아민, 트라이[(2-하이드록시)-1-프로필]아민, 2-아미노-2-메틸-1,3-프로페인다이올(AMPD), 2-아미노-2-하이드록시메틸-1,3-프로페인 수산화칼륨, 아연 암모늄 착체, 구리 암모늄 착체, 은 암모늄 착체,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레인, 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틸다이메톡시실레인,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N,N-비스(트라이메틸실릴)우레아, 3-우레이도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3-아미노프로필-트리스(2-메톡시-에톡시-에톡시)실레인, N-메틸-3-아미노프로필트라이메톡시카복실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옥살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 말론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석신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디프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세바크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 도데케인이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 아이소프탈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 테레프탈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 퀴놀린, 피콜린, 피리딘, 모폴린, 피페라진, 사이클로헥실아민, 헥사메틸렌다이아민, N,N-다이메틸폼아마이드, 에틸렌다이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펜타에틸렌펜타민, 모노에탄올아민, 다이에탄올아민, 이로프로판올아민, N,N-다이에틸메탄올아민, N,N-다이메틸에탄올아민,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N-메틸-N-N-다이에탄올아민, 1,2-프로페인다이아민, 1,6-헥사메틸렌다이아민, 피페라진, 2-메틸피페라진, 2,5-다이메틸피페라진, 아이소포론다이아민, 4,4'-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다이아민, 3,3'-다이메틸-다이사이클로헥실메테인다이아민, 1,2-사이클로헥세인다이아민, 1,4-사이클로헥세인다이아민,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아미노프로필에탄올아민, 아미노헥실에탄올아민, 아미노에틸프로판올아민, 아미노프로필프로판올아민, 아미노헥실프로판올아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다이프로필렌트라이아이미다졸, 1-(2-아미노에틸)-2-메틸이미다졸, 1-(2-아미노에틸)-2-에틸이미다졸, 2-아미노이미다졸설페이트, 2-(2-아미노에틸)-벤즈이미다졸, 피라졸, 5-아미노피라졸, 1-메틸-5-아미노피라졸, 1-아이소프로필-5-아미노피라졸, 1-벤질-5-아미노피라졸, 1,3-다이메틸-5-아미노피라졸, 1-아이소프로필-3-메틸-5-아미노피라졸, 1-벤질-3-메틸-5-아미노피라졸, 1-메틸-4-클로로-5-아미노피라졸, 1-메틸-4-아시노-5-아미노피라졸, 1-아이소프로필-4-클로로-5-아미노피라졸, 3-메틸-4-클로로-5-아미노피라졸, 1-벤질-4-클로로-5-아미노피라졸, 아미노 수지(예를 들어, 1,3-다이메틸-4-클로로-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구아나민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불휘발성 염기의 양은, 폴리우레테인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5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부 이상이며, 통상 3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이다. 불휘발성 염기의 양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폴리바이닐알코올제의 편광자의 탈색의 방지를 할 수 있다.
[3.4. 입자]
우레테인 조성물은,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테인 조성물이 입자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그 우레테인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되는 이접착층의 표면 거칠기를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결착층의 표면의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복층 필름의 블로킹의 방지, 및 복층 필름을 권회할 때의 주름의 발생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입자로서는, 무기 입자, 유기 입자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된다. 단, 수분산성의 입자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의 재료를 들면, 예를 들어, 실리카, 타이타니아,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 산화물; 탄산칼슘, 탈크, 클레이, 소성 카올린, 소성 규산칼슘, 수화 규산칼슘,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 입자의 재료를 들면,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실리카의 입자는, 주름의 발생을 억제하는 능력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헤이즈를 일으키기 어렵고, 착색이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의 광학 특성에 주는 영향이 작다. 또한, 실리카는 우레테인 조성물에서의 분산성 및 분산 안정성이 양호하다. 실리카의 입자 중에서도, 비정질 콜로이달 실리카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통상 1nm 이상,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이며, 통상 5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nm 이하이다. 입자의 평균 입자경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이접착층의 미끄러짐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의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이접착층의 헤이즈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입자의 양은, 폴리우레테인 100중량부에 대해, 통상 1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이며, 통상 5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입자의 양을 상기의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복층 필름을 권회한 경우에 주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복층 필름의 백탁이 없는 외관을 유지할 수 있다.
[3.5. 젖음제]
우레테인 조성물은, 젖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젖음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우레테인 조성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할 때의 도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젖음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틸렌계 계면활성제나, 불소계 계면활성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아세틸렌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어 프로덕트 앤드 케미컬즈사제 서피놀 시리즈, 다이놀 시리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불소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DIC사제 메가팩 시리즈, 네오스사제 프타젠트 시리즈, AGC사제 서프론 시리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젖음제로서는, 덧칠성의 관점에서, 아세틸렌계 계면활성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젖음제의 배합량은, 우레테인 조성물(도포액)의 고형분량에 대해서, 통상 0.01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이며, 통상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4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다. 젖음제의 양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도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젖음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고, 더욱이 덧칠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3.6. 용매]
우레테인 조성물은, 통상, 용매를 포함한다. 용매로서는, 물 또는 수용성의 용매를 이용한다. 수용성의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피롤리돈, 다이메틸설폭사이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터, 에틸렌 글리콜 모노뷰틸 에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매로서는, 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매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용매의 양은, 우레테인 조성물의 점도를 도포에 적절한 범위로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통상은, 용매의 양은, 우레테인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를 원하는 범위로 거둘 수 있도록 설정한다. 상기의 원하는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이다. 이것에 의해, 우레테인 조성물의 취급성 및 도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3.7. 임의의 성분]
우레테인 조성물은, 상기의 가교제에 조합하여, 경화 촉진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경화 촉진제로서는, 이접착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공지된 경화 촉진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교제로서 에폭시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 경화 촉진제로서는, 제3급 아민계 화합물(4-위에 3급 아민을 갖는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기를 갖는 화합물을 제외한다), 삼불화붕소 착화합물 등이 적합하다. 또한, 경화 촉진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경화 촉진제의 양은, 폴리우레테인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0.001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중량부 이상이며, 통상 3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하이다.
우레테인 조성물은, 상기의 가교제에 조합하여, 경화 조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경화 조제로서는, 이접착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공지된 경화 조제를 이용할 수 있다. 경화 조제의 구체예를 들면, 퀴논다이옥심, 벤조퀴논다이옥심, p-나이트로소페놀 등의 옥심·나이트로소계 경화 조제; N,N-m-페닐렌비스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경화 조제; 다이알릴프탈레이트, 트라이알릴사이아누레이트, 트라이알릴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등의 알릴계 경화 조제; 에틸렌 글리콜 다이메타크릴레이트,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트라이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레이트계 경화 조제; 바이닐톨루엔, 에틸바이닐벤젠, 다이바이닐벤젠 등의 바이닐계 경화 조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경화 조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경화 조제의 양은, 가교제 100중량부에 대해서, 통상 1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이며, 통상 10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이다.
우레테인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현저하게 해치지 않는 한, 예를 들어, 내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슬립제, 안티블로킹제, 방담제, 활제, 염료, 안료, 천연유, 합성유, 왁스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3.8. 우레테인 조성물의 성상]
우레테인 조성물은, 통상, 유체상의 조성물이 되어 있다. 이 우레테인 조성물의 점도는, 15m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mPa·s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우레테인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기재 필름의 표면에 우레테인 조성물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다. 우레테인 조성물의 점도의 하한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0.25mPa·s 이상이다. 여기에서, 상기의 점도는, 음차형 진동식 점도계에 의해 25℃의 조건 하에서 측정한 값이다.
우레테인 조성물의 점도는, 예를 들어, 우레테인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매의 비율 및 입자의 입경 등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3.9. 이접착층의 제조 방법]
이접착층은, 상기의 우레테인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이다. 이 이접착층은, 통상, 기재 필름 상에, 접착제의 층 등의 다른 층을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설치된다. 이접착층은, 기재 필름의 편면에만 설치해도 되고, 양면에 설치해도 된다. 단, 이접착층을 갖는 복층 필름을 롤상으로 권회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기재 필름의 편면에만 이접착층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은, 기재 필름 상에 우레테인 조성물의 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이 우레테인 조성물의 막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기재 필름 상에 우레테인 조성물의 막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통상, 도포법을 이용한다. 도포법으로서는, 공지된 도포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도포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와이어 바 코팅법, 딥법, 스프레이법, 스핀 코팅법, 롤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커텐 코팅법, 슬라이드 코팅법, 익스트루전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테인 조성물의 막을 기재 필름 상에 형성한 후에, 당해 막을 형성하는 우레테인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우레테인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층으로서 이접착층을 얻는다. 통상, 우레테인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기 때문에, 경화시킬 때에는 용매를 건조시켜 제거한다. 건조 방법은 임의이며, 예를 들어, 감압 건조, 가열 건조 등 임의의 방법으로 행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우레테인 조성물 중에 있어서 가교 반응 등의 반응을 신속하게 진행시키는 관점에서, 가열 건조에 의해 우레테인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건조를 행하는 경우, 통상은, 폴리우레테인의 가교 반응이 진행된다.
가열에 의해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우, 가열 온도는, 용매를 건조시켜 우레테인 조성물 중의 폴리머 성분을 경화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히 설정한다. 단, 기재 필름으로서 연신 필름을 이용하고, 또한, 당해 기재 필름에 발현된 리타데이션을 변화시키고 싶지 않은 경우에는, 가열 온도는, 기재 필름에 있어서 배향 완화가 생기지 않는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가열 온도는,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재료의 유리전이온도를 Tg로 했을 때에, 바람직하게는 (Tg-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Tg+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Tg+50℃) 이하이다.
또한, 우레테인 조성물의 막을 기재 필름 상에 형성하기 전에, 기재 필름의 표면에 개질 처리를 실시하여, 기재 필름과 이접착층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에 대한 표면 개질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에너지선 조사 처리 및 약품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에너지선 조사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처리 효율의 점 등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 및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며, 코로나 방전 처리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약품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비누화 처리, 중크롬산칼륨 용액, 진한 황산 등의 산화제 수용액 중에 침지하고, 그 후, 물로 세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이접착층의 표면에는, 친수화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의 표면은, 통상,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임의의 부재와 첩합할 때의 첩합면이 된다. 그 때문에, 이접착층의 표면의 친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복층 필름과 임의의 부재의 접착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접착층에 대한 친수화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비누화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처리 효율의 점 등에서 코로나 방전 처리 및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고, 코로나 방전 처리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즈마 처리로서는, 대기압 플라즈마 처리가 바람직하다.
친수화 표면 처리에서는, 이접착층의 표면의 평균 수접촉각을 원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평균 수접촉각의 구체적인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80°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이하이며, 통상 20°이상이다. 또한, 수접촉각의 표준 편차는, 바람직하게는 0.01°∼5°이다. 이접착층의 표면이 이와 같은 수접촉각을 가지면,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편광자 등의 임의의 부재와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상기의 수접촉각은, 접촉각계를 이용하여 θ/2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평균 수접촉각은, 예를 들어, 친수화 표면 처리를 실시한 이접착층의 표면 에 있어서, 100cm2의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선택한 20점의 수접촉각을 측정하여, 이 측정치의 가산 평균에 의해 산출된다. 수접촉각의 표준 편차는, 이 측정치로부터 산출된다.
친수화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이접착층의 표면에,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기, 카복실기, 카보닐기, 아미노기, 설폰산기 등의 작용기를 도입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는, 전극의 구조로서, 와이어 전극, 평면 전극 또는 롤 전극인 것이 적합하다. 전극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철,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을 들 수 있다. 전극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박판상, 나이프 에지상, 브러시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코로나 방전 처리에서는, 방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처리 대상인 필름과 전극 사이에 유전체를 끼워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로서는, 비유전율이 1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전체의 설치 구조는, 양 극의 전극을 각각 유전체로 끼운 구조가 바람직하다. 유전체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세라믹; 실리콘 고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플라스틱; 유리; 석영; 이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이산화지르코늄, 이산화타이타늄 등의 금속 산화물; 타이타늄산바륨 등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비유전율 10 이상(25℃ 환경 하)의 고체 유전체를 개재시켜 놓는 것이, 저전압에서 고속으로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비유전율 10 이상의 고체 유전체로서는, 예를 들어, 이산화지르코늄, 이산화타이타늄 등의 금속 산화물; 타이타늄산바륨 등의 산화물;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유전체의 두께는 0.3mm∼1.5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유전체의 두께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절연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인가 전압을 높게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처리 효율을 좋게 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에서는, 처리 대상이 되는 필름과 전극의 간격은, 0.5mm∼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두께가 두꺼운 필름이어도 전극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이음매 등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을 갖는 필름이어도, 안정되게 전극 사이를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필름의 흠집나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인가 전압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전원을 소형화할 수 있고, 방전이 스트리머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의 출력은, 처리 대상면의 대미지를 가능한 한 적게 처리하는 조건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0.02kW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kW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kW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kW 이하이다. 또한, 이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저출력으로 수회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코로나 방전 처리 방법이다.
코로나 방전 처리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1W·min/m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W·min/m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W·min/m2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W·min/m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W·min/m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W·min/m2 이하이다. 처리 밀도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우레테인 조성물의 도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처리면의 파괴에 의한 접착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의 주파수는, 바람직하게는 5kHz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kHz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kHz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kHz 이하이다. 주파수를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코로나 방전 처리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코로나 방전 처리의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안정된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는 전극 주변을 케이싱으로 둘러싸고, 케이싱의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넣어, 전극부에 가스를 걸도록 하면, 방전을 보다 세세한 상태로 발생시킬 수 있다. 불활성 가스로서는, 예를 들어, 헬륨, 아르곤, 질소 등을 들 수 있다. 불활성 가스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친수화 표면 처리로서 플라즈마 처리를 행하는 경우, 플라즈마 방전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글로우 방전 처리, 플레임 플라즈마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글로우 방전 처리로서는, 진공 하에서 행하는 진공 글로우 방전 처리, 대기압 하에서 행하는 대기압 글로우 방전 처리의 어느 것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생산성의 관점에서, 대기압 하에서 행하는 대기압 글로우 방전 처리가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대기압이란, 700Torr∼780Torr의 범위이다.
글로우 방전 처리는, 상대하는 전극 사이에 처리 대상인 필름을 놓고, 장치 중에 플라즈마 여기성 기체를 도입하고, 전극 사이에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해당 기체를 플라즈마 여기시켜, 전극 사이에 있어서 글로우 방전을 행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처리된 면의 친수성이 보다 높여질 수 있다.
플라즈마 여기성 기체란, 상기와 같은 조건에 있어서 플라즈마 여기될 수 있는 기체를 말한다. 플라즈마 여기성 기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르곤, 헬륨, 네온, 크립톤, 제논 등의 희가스; 질소; 이산화탄소; 테트라플루오로메테인과 같은 플론류 및 그들의 혼합물; 아르곤, 네온 등의 불활성 가스에, 카복실기, 수산기, 카보닐기 등의 극성 작용기를 부여할 수 있는 반응성 가스를 가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여기성 기체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플라즈마 처리에 있어서의 고주파 전압의 주파수는, 1kHz∼100kHz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전압의 크기는, 전극에 인가했을 때의 전계 강도가 1kV/cm∼100kV/cm가 되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화 표면 처리로서 비누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 비누화 처리로서는, 알칼리 비누화 처리가 적합하다.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침지법, 알칼리액 도포법 등을 들 수 있고, 생산성의 관점에서 침지법이 바람직하다.
비누화 처리에 있어서의 침지법은, 알칼리액 중에 처리 대상인 필름을 적절한 조건에서 침지하여, 그 필름의 전 표면의 알칼리와 반응성을 갖는 모든 면을 비누화 처리하는 수법이다. 침지법은, 특별한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알칼리액은,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칼리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5mol/리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mol/리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mol/리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mol/리터 이하이다. 알칼리액의 액체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처리된 면의 평균 수접촉각 및 수접촉각의 표준 편차를 원하는 범위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침지 시간 등을 적절히 조정한다.
알칼리액에 필름을 침지한 후에는, 처리된 필름에 알칼리 성분이 잔류하지 않도록, 필름을 물로 충분히 세척하거나, 필름을 묽은 산에 침지하여 알칼리 성분을 중화시키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화 표면 처리로서 자외선 조사 처리를 행하는 경우,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은, 통상 100nm∼400nm이다. 또한, 자외선의 광원인 램프의 출력치는, 통상 120W 이상, 바람직하게는 160W 이상이며, 통상 240W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W 이하이다. 자외선의 조사량은, 자외선이 조사되는 대상물에 대해서의 자외선의 적산 광량의 총량으로 표기하면, 바람직하게는 100mJ/cm2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0mJ/cm2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mJ/cm2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mJ/cm2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500mJ/cm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mJ/cm2 이하이다. 적산 광량의 총량은, 자외선 조사 램프의 조도와 라인 속도(필름의 이동 속도)에 의해 정해지는 값이며, 예를 들어, 자외선 적산 조도계(아이그래픽사제: EYEUV METER UVPF-A1)로 측정할 수 있다.
[3.10. 이접착층의 두께 및 굴절률]
이접착층의 두께는, 0.005μm 이상이 바람직하고, 0.01μ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2μm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며, 또한, 5μm 이하가 바람직하고, 2μ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μ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접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기재 필름과 이접착층의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의 휨 등의 결함을 없게 할 수 있다.
기재 필름의 두께 t1과 이접착층의 두께 t2의 비 t2/t1은, 0.0003 이상이 바람직하고, 0.001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0.0025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며, 또한, 0.0100 이하가 바람직하고, 0.00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50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이 기재 필름을 1층만 구비하는 경우에는 당해 기재 필름의 두께가 두께 t1이 되고,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이 기재 필름을 2층 이상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들 기재 필름의 두께의 합계가 두께 t1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이 이접착층을 1층만 구비하는 경우에는 당해 이접착층의 두께가 두께 t2가 되고,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이 이접착층을 2층 이상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들 이접착층의 두께의 합계가 두께 t2가 된다.
기재 필름과 이접착층의 계면 굴절률차는, 0.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굴절률차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광이 투과할 때의 광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4. 그 외의 층]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기재 필름의 이접착층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임의의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임의의 층의 예를 들면, 반사 방지층, 하드 코팅층, 대전 방지층, 방현층, 방오층, 세퍼레이터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5. 복층 필름의 물성 및 치수]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전술한 이접착층을 구비하므로, 임의의 부재와의 접착력이 높다. 더욱이,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전술한 이접착층을 구비하므로, 고습도 환경에서도, 그 접착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운반 및 보존 시 등, 과혹한 환경에 장기간 놓이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이 첩합된 부재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광학 부재로서의 기능을 안정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헤이즈가,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헤이즈를 낮은 값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복층 필름을 짜넣은 표시 장치의 표시 화상의 선명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면내 또는 두께 방향으로 리타데이션을 갖는 위상차 필름이어도 된다. 구체적인 리타데이션의 범위는,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의 용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범위를 들면, 통상은, 면내 리타데이션 Re로 10nm∼500nm,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로 -500nm∼500nm의 범위로부터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면내 리타데이션 Re의 격차가, 통상 10nm 이내, 바람직하게는 5nm 이내, 더 바람직하게는 2nm 이내이다. 면내 리타데이션 Re의 격차를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액정 표시 장치용의 위상차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에, 표시 품질을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면내 리타데이션 Re의 격차는, 광입사각 0°(입사 광선과 필름의 표면이 직교하는 상태)일 때의 면내 리타데이션 Re를, 필름의 폭 방향으로 측정했을 때의, 그 면내 리타데이션 Re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다.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의 잔류 휘발성 성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하이다. 휘발성 성분의 양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어,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 및 두께 방향의 리타데이션 Rth의 경시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그의 폭 방향의 치수를, 예를 들어 1000mm∼3000mm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그의 긴 방향의 치수에 제한은 없지만, 장척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장척」의 필름이란, 필름의 폭에 대해서, 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10배 또는 그 이상의 길이를 갖고, 구체적으로는 롤상으로 권취되어 보관 또는 운반될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을 말한다.
[6. 복층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기재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과, 준비한 기재 필름 상에 이접착층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재 필름 상에 이접착층을 제조하는 공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재 필름 상에 우레테인 조성물의 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이 우레테인 조성물의 막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이 기재 필름 및 이접착층 이외의 임의의 층을 구비하는 경우, 복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임의의 시점에 있어서, 기재 필름의 이접착층과는 반대측의 면에 임의의 층을 설치하는 공정을 행해도 된다.
더욱이, 복층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임의의 시점에 있어서, 기재 필름, 이접착층 및 복층 필름을 연신하는 공정을 행해도 된다.
[7. 복층 필름의 용도]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통상,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복층 필름의 용도가 되는 광학 필름의 예를 들면,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광학 보상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전술과 같이, 임의의 부재와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그 접착성을 고습도 하에서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 이점을 유효하게 활용하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임의의 부재와 첩합하여 이용하는 용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용도의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판은, 통상, 편광자와 편광판 보호 필름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편광자에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이접착층측에서 첩합한다.
편광판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의 이접착층과 편광자를 첩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접착 시, 이접착층에 접착제층을 개재시키지 않고 직접 편광자를 첩합해도 되고, 접착제층을 개재시켜 첩합해도 된다. 더욱이, 편광자의 한쪽 면에만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첩합해도 되고, 양쪽 면에 첩합해도 된다. 편광자의 한쪽 면에만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첩합하는 경우, 편광자의 다른 쪽 면에는, 투명성이 높은 다른 필름을 첩합해도 된다.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에 아이오딘 또는 2색성 염료를 흡착시킨 후, 붕산욕 중에서 1축 연신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에 아이오딘 또는 2색성 염료를 흡착시켜 연신하고, 추가로 분자쇄 중의 폴리바이닐알코올 단위의 일부를 폴리바이닐렌 단위로 변성하는 것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더욱이, 편광자로서, 예를 들어, 글리드 편광자, 다층 편광자, 콜레스테릭 액정 편광자 등의, 편광을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리하는 기능을 갖는 편광자를 이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바이닐알코올을 포함하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이다. 편광자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μm∼80μm이다.
편광자와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로서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수성 접착제, 용제형 접착제, 2액 경화형 접착제, 광경화형 접착제, 감압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수성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바이닐알코올계의 수성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는, 1종류를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광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어,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아마이드 유도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킨 후, 추가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 화합물 및 필요에 따라서 수산기 함유 알릴 에터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 함유 올리고머로서 얻을 수 있다. 또한,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 화합물과 폴리올을 반응시킨 후, 추가로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1분자당 2개∼3개의 이중 결합을 갖고, 또한 이중 결합 1개당의 수 평균 분자량이 500∼3000인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접착 강도, 유연성, 광경화성 및 점도 등을 균형잡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광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은, 통상 30중량%∼50중량%이다. 우레테인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접착제층이 취성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접착제의 점도를 낮출 수 있고, 또한 접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뷰틸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그들 중에서도, 특히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광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은, 통상 13중량%∼40중량%이다. 하이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의 양을 상기 범위의 하한치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접착제 전체의 친수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특히 폴리바이닐알코올계 편광 필름에 대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한치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접착제층이 취성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접착제의 광경화성을 높일 수 있다.
아크릴아마이드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어,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에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N,N-다이에틸아크릴아마이드, N-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가 바람직하다.
광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아크릴아마이드의 양은, 통상 0∼30중량%, 바람직하게는 1중량%∼30중량%의 범위이다.
광경화형 접착제는, 전술한 성분에 더하여,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를 30중량%∼40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소보닐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접착제층에 내열성이 부여된다. 더욱이, 접착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도공 성능을 개량하기 위한 점도를 조정을 할 수 있다.
광경화형 접착제는,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잔톤, 플루오렌온, 벤즈알데하이드, 플루오렌, 안트라퀴논, 트라이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다이메톡시벤조페논, 4,4'-다이아미노벤조페논, 미힐러 케톤, 벤조인 프로필 에터, 벤조인 에틸 에터, 벤질 다이메틸 케탈, 1-(4-아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싸이옥산톤, 다이에틸싸이옥산톤, 2-아이소프로필싸이옥산톤, 2-클로로싸이옥산톤, 2-메틸-1-〔4-(메틸싸이오)페닐〕-2-모폴리노프로판-1-온, 2,4,6-트라이메틸벤조일다이페닐포스핀 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광경화형 접착제에 있어서의 광중합 개시제의 양은, 통상 2중량%∼10중량%이다.
접착제의 점도는, 23℃에서, 통상 20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30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mPa 이상이며, 통상 5000mPa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0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mPa 이하이다.
접착제층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5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μ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μm 이하이다.
복층 필름과 편광자를 첩합하는 방법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편광자의 한쪽 면에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를 도포한 후, 롤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편광자와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을 첩합하고, 필요에 따라서 건조 또는 자외선 등의 광의 조사를 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 및 그의 균등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양을 나타내는 「부」 및 「%」는, 별도로 예고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조작은, 별도로 예고하지 않는 한, 상온 및 상압의 조건에서 행했다.
[평가 방법의 설명]
(폴리우레테인의 탄성률의 측정 방법)
폴리우레테인의 수분산체를, 건조 후 막 두께가 100μm가 되도록, 유리 용기에 흘려 넣었다. 실온에서 24시간 방치했다. 그 후, 50℃에서 3시간, 및 120℃에서 20분간 건조시켜, 폴리우레테인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우레테인의 시트를, JIS K7162에 따라, 덤벨형으로 타발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이 시험편에 대해 인장 시험기(인스트론재팬사제 「인장시험기 5564」)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5mm/분으로 인장 시험을 행하고, 얻어진 SS 커브의 기울기로부터 인장 탄성률을 측정했다.
(초기 커터 박리 시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복층 필름의 이접착층의 표면과 제조예 2에서 제조한 편광자의 편면을,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액을 이용하여 롤 라미네이터로 첩합했다. 추가로, 편광자의 다른 편면에, 보호 필름(코니카미놀타사제 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 상품명 「KC4UYW」, 두께: 40μm)을,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액을 이용하여 첩합하는 것에 의해, 편광판을 제조했다.
그 다음에, 이 편광판의 복층 필름의 이접착층과는 반대측의 면과 유리 기판을, 점착 시트(닛토덴코사제 「LUCIACS CS9621T」)를 개재시켜 첩합하여, 샘플을 제작했다.
그 후, 샘플의 단부 및 표면으로부터 커터로 칼집을 냈다. 그리고, 샘플의 편광판을 인장하여, 박리를 시도했다.
그 결과, 복층 필름과 유리 기판 사이에 박리가 생기는 경우는, 이접착층 및 접착액은 충분한 접착 강도를 갖고 있고, 초기 커터 박리 시험의 결과를 「양」으로 평가했다. 또한, 편광자와 복층 필름 사이에 박리가 일어나는 경우는, 접착 강도가 불충분하고, 초기 커터 박리 시험의 결과를 「불량」으로 평가했다.
(습열 후 커터 박리 시험)
상기 (초기 커터 박리 시험)과 마찬가지로 하여, 유리 기판, 복층 필름, 편광자 및 보호 필름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샘플을 제작했다.
이 샘플의 일부를 60℃ 90% RH의 항온항습조 중에 정치했다. 이 샘플의 일부를 일정 시간마다 항온항습조로부터 꺼내, 상기 (초기 커터 박리 시험)과 마찬가지로 하여, 기재 필름의 박리를 시도했다.
그 결과, 항온항습조 중에서의 정치의 개시 후 500시간이 경과한 후에 있어서, 편광자와 복층 필름 사이에 박리가 생기지 않고서 복층 필름과 유리 기판 사이에 박리가 생기는 경우, 습열 후 커터 박리 시험의 결과를 「우」로 평가했다.
또한, 항온항습조 중에서의 정치의 개시 후 200시간∼500시간에 있어서, 편광자와 복층 필름 사이에 박리가 생기지 않고서 복층 필름과 유리 기판 사이에 박리가 일어나는 경우, 습열 후 커터 박리 시험의 결과를 「양」으로 평가했다.
더욱이, 항온항습조 중에서의 정치의 개시 후 200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있어서 편광자와 복층 필름 사이에 박리가 일어나는 경우, 습열 후 커터 박리 시험의 결과를 「불량」으로 평가했다.
[제조예 1: 기재 필름의 제조]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닛폰제온사제 「ZEONOR 1430」; 유리전이온도 135℃)의 펠렛을, 공기를 유통시킨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70℃에서 2시간 건조했다. 그 후, 65mm 직경의 스크류를 구비한 수지 용융 혼련기를 갖는 T 다이식의 필름 용융 압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용융 수지 온도 270℃, T 다이의 폭 500mm의 성형 조건에서, 두께 100μm, 길이 1000m의 필름을 제조했다. 이 필름은,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 필름이다.
[제조예 2: 편광자의 제조]
두께 80μm의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을, 0.3%의 아이오딘 수용액 중에서 염색했다. 그 후, 염색한 폴리바이닐알코올 필름을 4%의 붕산 수용액 및 2%의 아이오딘화칼륨 수용액 중에서 5배까지 연신한 후, 50℃에서 4분간 건조시켜, 편광자를 제조했다.
[제조예 3: 접착액의 제조]
아세토아세틸기를 포함하는 폴리바이닐알코올(닛폰합성화학공업제 「고세파이머 Z410」)에 물을 가해서 고형분 3%로 희석하여, 접착액을 제조했다.
[실시예 1]
(1-1. 수지 조성물의 제조)
폴리에터계 폴리우레테인의 수분산체(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슈퍼플렉스 870」)를 폴리우레테인의 양으로 100부와, 가교제로서 에폭시 화합물(나가세켐텍스사제 「데나콜 EX313」) 15부와, 불휘발성 염기로서 아디프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 2부와, 활재로서 실리카 입자의 수분산액(닛산화학사제 「스노우텍스 MP1040」; 평균 입자경 120nm)을 실리카 입자의 양으로 8부 및 실리카 입자의 수분산액(닛산화학사제 「스노우텍스 XL」; 평균 입자경 50nm)을 실리카 입자의 양으로 8부와, 젖음제로서 아세틸렌계 계면활성제(에어 프로덕트 앤드 케미컬즈사제 「서피놀 440」)를 고형분 합계량에 대해서 0.5중량%와, 물을 배합하여, 고형분 농도 2%의 액상의 수지 조성물 1을 얻었다.
(1-2. 복층 필름의 제조)
코로나 처리 장치(가스가전기사제)를 이용하여, 출력 300W, 전극 길이 240mm, 워크 전극간 3.0mm, 반송 속도 4m/min의 조건에서, 제조예 1에서 얻은 기재 필름의 표면에 방전 처리를 실시했다.
기재 필름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표면에, 상기의 액상의 수지 조성물 1을, 건조 두께가 0.1μm가 되도록 롤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했다. 그 후, 온도 130℃에서 60초간 가열하여, 기재 필름 상에 이접착층을 형성했다. 이것에 의해, 기재 필름 및 이접착층을 구비하는 복층 필름을 얻었다.
이 복층 필름에 대해, 전술한 방법으로, 초기 커터 박리 시험 및 습열 후 커터 박리 시험을 행했다.
[실시예 2]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가교제로서 에폭시 화합물 대신에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닛신보케미컬사제 「카보다일라이트 V-02」)을 이용했다.
이상의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층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3]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가교제로서 에폭시 화합물 대신에 옥사졸린 화합물(닛폰촉매사제 「에포크로스 WS700」)을 이용했다.
이상의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층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4]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폴리에터계 폴리우레테인의 수분산액의 종류를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슈퍼플렉스 130」으로 변경했다.
이상의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층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5]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폴리에터계 폴리우레테인의 수분산액의 종류를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슈퍼플렉스 130」으로 변경했다.
또한,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가교제로서 에폭시 화합물 대신에 카보다이이미드 화합물(닛신보케미컬사제 「카보다일라이트 V-02」)을 이용했다.
이상의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층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6]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폴리에터계 폴리우레테인의 수분산액의 종류를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슈퍼플렉스 130」으로 변경했다.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가교제로서 에폭시 화합물 대신에 옥사졸린 화합물(닛폰촉매사제 「에포크로스 WS700」)을 이용했다.
이상의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층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했다.
[비교예 1]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폴리에터계 폴리우레테인의 수분산액 대신에, 폴리에터 에스터계 폴리우레테인의 수분산액(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슈퍼플렉스 150HS」)을 이용했다. 여기에서, 폴리에터 에스터계 폴리우레테인이란, 폴리우레테인을 제조하는 모노머 중 (i) 성분으로서 폴리에터 에스터 폴리올을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테인을 말한다.
또한,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가교제로서의 에폭시 화합물을 이용하지 않았다.
이상의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층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했다.
[비교예 2]
상기 공정(1-1)에 있어서, 가교제로서의 에폭시 화합물 및 불휘발성 염기로서의 아디프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를 이용하지 않았다.
이상의 사항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복층 필름의 제조 및 평가를 행했다.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하기의 표에 나타낸다. 또한, 하기의 표에 있어서, 「ADH」란 아디프산 다이하이드라자이드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검토]
상기의 표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두 초기 커터 박리 시험의 결과가 양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고습 환경에 놓이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이접착층이 높은 접착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두 습열 후 커터 박리 시험의 결과가 양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층 필름은, 고습 환경에 있어서의 내구성이 우수하여, 고습 환경에 놓인 경우에도 장기간에 걸쳐서 높은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 상에 설치된 이접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이접착층은, 폴리우레테인과, 상기 폴리우레테인을 가교시킬 수 있는 가교제와, 불휘발성 염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이 1000N/mm2 이상 5000N/mm2 이하인, 복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이, 지환식 구조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을 구비하는 복층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가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층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입자를 포함하는 복층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젖음제를 포함하는 복층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테인이 폴리에터계 폴리우레테인인 복층 필름.
  7. 기재 필름 상에, 폴리우레테인과, 상기 폴리우레테인을 가교시킬 수 있는 가교제와, 불휘발성 염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조성물의 막을 경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테인의 인장 탄성률이 1000N/mm2 이상 5000N/mm2 이하인, 복층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167016516A 2013-12-26 2014-12-19 복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67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70289 2013-12-26
JPJP-P-2013-270289 2013-12-26
PCT/JP2014/083702 WO2015098750A1 (ja) 2013-12-26 2014-12-19 複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2421A true KR20160102421A (ko) 2016-08-30
KR102267426B1 KR102267426B1 (ko) 2021-06-18

Family

ID=5347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6516A KR102267426B1 (ko) 2013-12-26 2014-12-19 복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312076A1 (ko)
EP (1) EP3088181B1 (ko)
JP (1) JP6565681B2 (ko)
KR (1) KR102267426B1 (ko)
CN (1) CN105829106B (ko)
TW (1) TWI635155B (ko)
WO (1) WO20150987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569A (ko) * 2016-10-31 2019-07-04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다층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3796B2 (ja) * 2014-09-24 2018-08-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
JP6497063B2 (ja) * 2014-12-22 2019-04-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CN107083199B (zh) * 2016-02-15 2021-10-29 株式会社日本触媒 易粘接层形成用组合物
JP6859092B2 (ja) * 2016-02-15 2021-04-14 株式会社日本触媒 易接着層形成用組成物
JP6930544B2 (ja) * 2016-09-23 2021-09-0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CN109963712A (zh) * 2016-12-28 2019-07-02 日本瑞翁株式会社
US10821464B2 (en) * 2017-06-19 2020-11-03 The Boeing Company Common feed system for surface treatment and adhesive application
WO2019172137A1 (ja) * 2018-03-08 2019-09-1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9172136A1 (ja) * 2018-03-08 2021-02-1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05306B2 (ja) * 2018-03-30 2023-07-10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板
TWI691533B (zh) * 2019-04-19 2020-04-21 財團法人中華民國紡織業拓展會 具有高貼合性與高彈性的熱塑性聚氨酯薄膜的製備方法
JP7103507B2 (ja) 2019-10-29 2022-07-20 東洋紡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1088142A (ja) * 2019-12-05 2021-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JP2021088144A (ja) * 2019-12-05 2021-06-10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JP6767596B1 (ja) * 2020-03-27 2020-10-14 日本マタイ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
JPWO2022239648A1 (ko) * 2021-05-08 2022-11-17
WO2023032373A1 (ja) * 2021-09-01 2023-03-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9403A1 (en) * 2004-11-22 2006-05-25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cel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film
JP2009274390A (ja) 2008-05-16 2009-11-26 Nippon Zeon Co Ltd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積層フィルム
KR20120030445A (ko) * 2009-06-30 2012-03-2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층을 갖는 휘도 향상 필름, 편광판, 그들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2159666A (ja) * 2011-01-31 2012-08-23 Nippon Zeon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3199B2 (ja) * 2003-03-04 2010-05-12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白色導電性プライマー塗料組成物及び複層塗膜形成方法
JP2006201736A (ja) * 2004-08-03 2006-08-03 Jsr Corp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863485B2 (en) * 2004-12-10 2011-01-04 Omnitech Environmental, Llc Additive and vehicle for inks, paints, coatings and adhesives
JP2007331368A (ja) * 2006-05-16 2007-12-27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液晶セル、液晶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A2661997A1 (en) * 2007-03-30 2008-10-09 Nicca Chemical Co., Ltd. Aqueous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and one-component adhesive agent and laminated body that use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queous 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JP2010176022A (ja) * 2009-01-30 2010-08-12 Nippon Zeon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EP2422977B1 (en) * 2009-04-22 2015-01-21 Mitsubishi Plastics, Inc. Laminated polyester film
JP5406110B2 (ja) * 2010-04-20 2014-02-05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加工用粘着シート
JP5585359B2 (ja) * 2010-09-30 2014-09-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面光源装置
JP6025300B2 (ja) * 2010-12-14 2016-11-1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2013020120A (ja) * 2011-07-12 2013-01-31 Keiwa Inc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5024511A (ja) * 2013-07-24 2015-02-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複層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09403A1 (en) * 2004-11-22 2006-05-25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cel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film
JP2009274390A (ja) 2008-05-16 2009-11-26 Nippon Zeon Co Ltd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積層フィルム
KR20120030445A (ko) * 2009-06-30 2012-03-28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접착층을 갖는 휘도 향상 필름, 편광판, 그들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2159666A (ja) * 2011-01-31 2012-08-23 Nippon Zeon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569A (ko) * 2016-10-31 2019-07-04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다층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98750A1 (ja) 2017-03-23
TW201529797A (zh) 2015-08-01
CN105829106B (zh) 2018-06-05
TWI635155B (zh) 2018-09-11
EP3088181A1 (en) 2016-11-02
US20160312076A1 (en) 2016-10-27
CN105829106A (zh) 2016-08-03
EP3088181B1 (en) 2018-09-05
KR102267426B1 (ko) 2021-06-18
EP3088181A4 (en) 2017-08-16
JP6565681B2 (ja) 2019-08-28
WO2015098750A1 (ja)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426B1 (ko) 복층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JP5644629B2 (ja) 複層フィルム、複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5305129B2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積層フィルム
JP6477499B2 (ja) 多層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5024511A (ja) 複層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6586721B2 (ja) 積層フィルム、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2010176022A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5573708B2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0229366B (zh) 多层膜及其制造方法
JP2009242464A (ja) 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積層フィルム
JP6497063B2 (ja) 複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JP2023133318A (ja) カバー部材、カバー部材用の基材フィルム、及びそれらを具備した表示装置
JP6520038B2 (ja) 複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
JP5168427B2 (ja) 積層フィルム、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7164045A1 (ja) 複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23233958A1 (ja) 複層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偏光板、並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画像表示装置
JP2017187454A (ja) 薄膜層の厚みの測定方法、及び、複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536116B2 (ja) 複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8051894A (ja) 積層フィルム及び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