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250A -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및 표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250A
KR20160085250A KR1020167010804A KR20167010804A KR20160085250A KR 20160085250 A KR20160085250 A KR 20160085250A KR 1020167010804 A KR1020167010804 A KR 1020167010804A KR 20167010804 A KR20167010804 A KR 20167010804A KR 20160085250 A KR20160085250 A KR 20160085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transparent
face material
transparent fac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5525B1 (ko
Inventor
사토시 니이야마
마사히로 이노우에
가즈시게 오타
유 노지리
히토시 츠시마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85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5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5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02F2001/133331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표시 장치를 유리판 등의 투명 지지체에 첩합할 때에 첩합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표시 품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는, 제 1 면과 제 2 면을 갖는 투명 면재 (2) 와, 투명 면재 (2) 의 제 1 면 (2a) 의 주연부, 제 2 면 (2b) 의 주연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차광부 (3) 와, 투명 면재 (2) 의 제 1 면 (2a) 에 형성된 제 1 점착층 (4) 과,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에 형성되고, 제 1 점착층 (4) 의 형성 영역보다 작은 면적의 형성 영역에 형성된 제 2 점착층 (5) 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및 표시 장치{TRANSPARENT FACE PLATE WITH ADHESIVE LAYER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등의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보호할 목적으로, 점착층을 구비한 투명 면재를 표시 패널에 첩합 (貼合)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Electroluminescence) 표시 장치를 유기 EL 표시 장치라고 약기한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에는, 표시 패널과 첩합했을 때 표시 패널과 점착층 사이에 기포가 잔존하기 어려운 특성을 갖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가 제안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11/148990호 명세서
최근, 표시 장치를, 그 표시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점포의 쇼윈도, 오피스의 벽면 유리 등에 첩합하는 사용 형태가 검토되고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통행인은 점포나 오피스의 외부로부터 유리를 통하여 표시를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를 간판, 광고 등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표시 장치를 유리에 첩합하려고 하면, 투명 면재의 점착층이 형성된 측과 반대측의 면에 추가로 접착재를 배치해야 한다. 그 경우, 표시 장치의 첩합 작업이 번거로워짐에 더하여, 표시 장치를 유리에 대해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또, 첩합의 방식에 따라 표시 품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벽면 유리 등에 첩합하는 경우에는, 시공 용이성 및 원상 회복 용이성 등도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표시 장치를 유리판 등의 투명 지지체에 첩합할 때의 첩합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표시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를 구비하고, 표시 품위가 우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는, 제 1 면과 제 2 면을 갖는 투명 면재와, 상기 투명 면재의 제 1 면의 주연부, 제 2 면의 주연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차광부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1 면에 형성된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점착층의 형성 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형성 면적에 형성된 제 2 점착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1 면의 전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가 상기 제 2 면의 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점착층은, 상기 차광부에 둘러싸인 영역과, 상기 차광부의 일부와 평면적으로 겹치는 영역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 및 상기 제 2 점착층의 전단 탄성률은, 102 ∼ 105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표시 장치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와,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의 제 1 면에 첩합된 투명 지지체와,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의 제 2 면에 첩합된 표시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가, 제 1 면과 제 2 면을 갖는 투명 면재와, 상기 투명 면재의 제 1 면의 주연부, 제 2 면의 주연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차광부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1 면에 형성된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점착층의 형성 면적보다 작은 면적의 형성 면적에 형성된 제 2 점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 지지체가 상기 제 1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투명 면재에 첩합되고, 상기 표시 장치 본체가 상기 제 2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투명 면재에 첩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지지체, 및 상기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면재의 계면 밀착력은, 상기 제 2 점착층과 상기 표시 장치 본체, 및 상기 제 2 점착층과 상기 투명 면재 (2) 의 계면 밀착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지지체의 계면 밀착력은, 상기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면재의 계면 밀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명 면재의 제 2 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점착층의 형성 영역 이외의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표시 장치 본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2 면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의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차광부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표시 장치를 유리판 등의 투명 지지체에 첩합할 때의 첩합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함께, 표시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를 구비하고, 표시 품위가 우수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 도 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 요소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구성 요소에 따라 치수의 축척을 상이하게 하여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투명」이란, 면재와 표시 장치 본체의 표시면을 점착층을 개재하여 공극 없이 첩합한 후에, 표시 장치 본체의 표시 화상의 전체 또는 일부가 광학적인 변형을 거의 받지 않고 면재를 통하여 시인할 수 있는 양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 본체로부터 면재에 입사되는 광의 일부가 면재에 의해 흡수, 반사되는 것, 또는 광학적인 위상의 변화 등에 의해 면재의 가시선 투과율이 낮은 것이라고 하더라도, 면재를 통하여 광학적인 변형이 거의 없이 표시 장치 본체의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것이면 「투명」하다고 할 수 있다.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는, 제 1 면 (2a) 과 제 2 면 (2b) 을 갖는 투명 면재 (2), 차광부 (3), 제 1 점착층 (4), 제 2 점착층 (5), 제 1 보호 필름 (6) 및 제 2 보호 필름 (7) 을 구비하고 있다. 차광부 (3) 는,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점착층 (4) 은, 투명 면재 (2) 의 제 1 면 (2a)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점착층 (5) 은, 제 1 점착층 (4) 보다 작은 형성 면적을 가지며,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에 형성되어 있다.
(투명 면재)
투명 면재 (2) 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의 심재가 되며, 후술하는 표시 장치 본체를 투명 지지체에 첩합할 때 표시 장치와 투명 지지체 사이에 개재시키는 판상의 부재이다. 투명 면재 (2) 의 예로서, 유리판,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표시 장치 본체로부터의 사출광이나 반사광에 대해 투명성이 높은 점은 물론, 내광성, 저복굴절성, 높은 평면 정밀도, 내표면 찰상성,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관점에서, 투명 면재 (2) 로서 유리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투명 면재 (2) 로서, 제 1 점착층 (4) 및 제 2 점착층 (5) 을 구성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광에 대해 높은 투과율을 갖는 관점에서도, 유리판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유리판의 예로서, 소다라임 유리 등의 유리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유리판으로서, 철분이 보다 낮고, 청색기가 적은 고투과 유리 (통칭으로서 백판 유리라고도 불린다) 가 보다 바람직하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표면재로서 강화 유리를 사용해도 된다. 특히 얇은 유리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학 강화를 실시한 유리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면재 (2) 를 제 1 점착층 (4) 을 개재하여 투명 지지체에 첩합할 때, 투명 면재 (2) 의 전체 또는 그 일부를 만곡시키는 경우가 있고, 그 때 투명 면재 (2) 의 파손을 방지하는 측면에서도 화학 강화가 실시된 유리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판의 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투명성이 높은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투명 면재 (2) 에는, 제 1 점착층 (4) 및 제 2 점착층 (5) 의 계면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표면 처리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투명 면재 (2) 의 표면을 실란 커플링제로 처리하는 방법, 플레임 버너에 의한 산화염 (酸化炎) 에 의해 산화규소 박막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면재 (2) 의 형상은, 첩합하고자 하는 표시 장치 본체의 평면 형상에 맞춰서 결정하면 되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례로서 사각형이다. 투명 면재 (2) 의 두께는, 기계적 강도, 투명성 등의 점에서, 유리판이면 0.2 ∼ 2.0 ㎜ 정도가 바람직하다. 관찰자에게 표시가 안쪽으로 들어가 보이는 감각 (즉, 깊이감) 을 강하게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투명 면재 (2) 의 두께는, 0.2 ∼ 0.7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판이면, 투명 면재 (2) 의 두께는 0.1 ∼ 1.0 ㎜ 정도가 바람직하다. 관찰자에게 표시의 깊이감을 강하게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투명 면재 (2) 의 두께는 0.1 ∼ 0.3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차광부)
차광부 (3) 는, 표시 장치 본체를 첩합했을 때 표시 장치 본체의 화상 표시 영역 이외의 영역 (즉, 화상 표시 영역의 외측의 영역) 이 보이지 않도록, 표시 장치 본체에 접속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등의 배선 부재 등을 숨기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차광부 (3) 는, 투명 면재 (2) 의 2 개의 면 (2a, 2b) 중, 표시 장치 본체를 첩합하는 측의 면인 제 2 면 (2b) 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광부 (3)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면재 (2) 의 법선 방향에서 볼 때, 차광부 (3) 는, 사각형의 투명 면재 (2) 의 4 변을 따르는 주연부에 프레임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부 (3) 의 내측의 개구 영역은, 표시 장치 본체를 첩합했을 때 표시 장치 본체의 화상 표시 영역과 거의 일치한다.
투명 면재 (2) 가 유리판인 경우, 흑색 안료를 함유하는 세라믹 인쇄 등의 인쇄법을 사용하여 차광부 (3) 를 형성하면, 차광성이 높아 바람직하다. 투명 면재 (2) 로서 화학 강화 유리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차광 잉크로서 유기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인쇄시의 투명 면재 (2) 의 소성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단, 차광부 (3) 는, 반드시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 것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별도로 제작한 차광부 (3) 와 투명 면재 (2) 를 첩합시켜도 된다. 그 밖에, 여러 가지 박막 형성법이나 투명 면재의 표면 개질 처리법을 사용하여 차광부 (3) 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점착층)
제 1 점착층 (4) 은,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예를 들어 윈도 유리 등의 투명 지지체와 첩합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점착층 (4) 은, 투명 면재 (2) 의 2 개의 면 (2a, 2b) 중, 투명 지지체와 첩합하는 측의 면인 제 1 면 (2a) 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점착층 (4) 은, 투명 면재 (2) 의 제 1 면 (2a) 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제 1 면 (2a) 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 1 점착층 (4) 이 제 1 면 (2a) 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으면,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가 투명 지지체에 강고하게 첩합됨과 함께, 제 1 점착층 (4) 이 존재하고 있는 영역과 존재하고 있지 않은 영역의 경계가 시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 1 점착층 (4) 은, 후술하는 액상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킨 투명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투명 면재 (1) 와 제 1 점착층 (4) 사이에 터치 센서 (도시 생략) 를 형성해도 상관없다.
제 1 점착층 (4) 의 전단 탄성률은, 102 ∼ 105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3 ∼ 104 ㎩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점착층 (4) 의 전단 탄성률이 102 ㎩ 이상이면, 제 1 점착층 (4) 의 형상을 유지하기 쉽다. 또, 제 1 점착층 (4) 의 전단 탄성률이 102 ㎩ 이상이면, 투명 면재 (2), 및 투명 면재 (2) 의 제 2 점착층 (5) 에 첩합 형성된 부재를 투명 지지체에 충분히 고정시킬 수 있고,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와 투명 지지체를 첩합할 때, 제 1 점착층 (4) 이 첩합시의 압력 등에 의해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제 1 점착층 (4) 의 전단 탄성률이 105 ㎩ 이하이면,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와 투명 지지체의 첩합시에 기포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그 기포가 단시간에 소실되어 잔존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 1 점착층 (4) 의 두께는 0.1 ∼ 2.0 ㎜ 정도가 바람직하고, 0.2 ∼ 0.8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점착층 (4) 의 두께가 0.1 ㎜ 이상이면, 투명 지지체측으로부터의 외력에 의한 충격 등을 제 1 점착층 (4) 이 효과적으로 완충하여, 표시 장치 본체를 보호할 수 있다. 또, 투명 지지체와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사이에 제 1 점착층 (4) 의 두께를 초과하지 않는 이물질이 혼입되어도, 제 1 점착층 (4) 의 두께가 크게 변화하지 않아, 광투과 성능에 대한 영향이 적다. 제 1 점착층 (4) 의 두께가 2.0 ㎜ 이하이면, 제 1 점착층 (4) 을 개재하여 투명 면재 (2) 를 투명 지지체에 첩합하기 쉬워,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지지 않는다.
제 1 점착층 (4) 의 원료가 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광경화성을 갖는 경화성 화합물 (Ⅱ), 광중합 개시제 (C2), 및 필요에 따라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를 함유하는 액상의 조성물이다.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시에 조성물 중의 경화성 화합물 (Ⅱ) 와 경화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수산기를 갖는 올리고머이다.
(경화성 화합물 (Ⅱ))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의 경화성 화합물 (Ⅱ) 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시에 경화 반응을 일으키는 경화성 화합물의 1 종 이상으로 구성된다. 경화성 화합물의 적어도 1 종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시에 반응하지 않는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Ⅱa) 이다. 경화성 화합물 (Ⅱ) 가 화합물 (Ⅱa) 를 함유하면, 경화성 화합물 (Ⅱ) 를 단독으로 경화 반응시킨 경화물 중에 수산기가 존재한다. 수산기의 존재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비경화성 올리고머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따라서, 경화시에 반응하지 않는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Ⅱa) 는, 경화 반응 후에 미반응의 수산기가 존재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화합물 (Ⅱa) 의 수산기의 일부가 경화 반응해도, 다른 부분이 경화 반응하지 않고 미반응 상태로 남으면 된다.
경화시에 반응하지 않는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Ⅱa) 는, 경화 반응에 기여하는 경화성기를 가짐과 함께 수산기를 갖는 것이면 되고, 모노머여도 되고, 반복 단위를 갖는 올리고머여도 된다. 미경화시의 광경화성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하기 쉽게 하는 점에서는, 경화성기를 갖고, 또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화합물 (Ⅱa) 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화합물 (Ⅱ) 는, 경화성기를 갖고, 또한 수 평균 분자량이 1000 ∼ 100000 인 올리고머 (A') 의 1 종 이상과, 경화성기를 갖고, 또한 분자량이 125 ∼ 600 인 모노머 (B') 의 1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경화성 화합물 (Ⅱ) 를 사용하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바람직한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 이 경우, 모노머 (B') 의 적어도 일부로서, 경화성기 및 수산기를 갖고, 분자량이 125 ∼ 600 인 모노머 (B3)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리고머 (A') 또는 모노머 (B') 의 경화성기로는, 부가 중합성의 불포화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등), 불포화기와 티올기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화 속도가 빠른 점 및 투명성이 높은 제 1 점착층 (4) 이 얻어지는 점에서, 아크릴로일옥시기 및 메타크릴로일옥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기가 바람직하다.
올리고머 (A') 에 있어서의 경화성기와 모노머 (B') 에 있어서의 경화성기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비교적 고분자량의 올리고머 (A') 에 있어서의 경화성기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모노머 (B') 에 있어서의 경화성기보다 반응성이 낮아지기 쉽다. 그 때문에, 모노머 (B') 의 경화가 먼저 진행되어 급격하게 조성물 전체의 점성이 높아져, 경화 반응이 불균질해질 우려가 있다. 양자의 경화성기의 반응성의 차이를 작게 하고, 균질한 제 1 점착층 (4) 을 얻기 위해, 올리고머 (A') 의 경화성기를 비교적 반응성이 높은 아크릴로일옥시기로 하고, 모노머 (B') 의 경화성기를 비교적 반응성이 낮은 메타크릴로일옥시기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경화 반응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키거나 제 1 점착층 (4) 의 점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올리고머 (A') 와 모노머 (B') 의 경화성기를 모두 아크릴로일옥시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리고머 (A'))
올리고머 (A') 의 수 평균 분자량은 1000 ∼ 100000 이고, 10000 ∼ 70000 이 바람직하다. 올리고머 (A') 의 수 평균 분자량이 이 범위이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 올리고머 (A') 의 수 평균 분자량은, GPC 의 측정에 의해 얻어진,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 평균 분자량이다. 또한, GPC 의 측정에 있어서, 미반응의 저분자량 성분 (모노머 등) 의 피크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피크를 제외하고 수 평균 분자량을 구한다.
올리고머 (A') 로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성, 제 1 점착층 (4) 의 기계적 특성의 점에서, 경화성기를 1 분자당 평균 1.8 ∼ 4 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리고머 (A') 로는, 우레탄 결합을 갖는 우레탄 올리고머,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의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우레탄 사슬의 분자 설계 등에 의해 경화 후의 수지의 기계적 특성, 면재와의 밀착성 등을 폭넓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우레탄 올리고머 (A2) 가 바람직하다.
우레탄 올리고머 (A2) 는,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프레폴리머를 얻은 후, 프레폴리머의 이소시아네이트기에 모노머 (B2) 를 반응시키는 방법으로 합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공지된 화합물,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2009/016943호 팜플렛에 기재된 우레탄계 올리고머 (a) 의 원료로서 기재된 폴리올 (ⅰ),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 (ⅱ)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명세서 중에 포함된다.
올리고머 (A') 의 함유 비율은, 경화성 화합물 (Ⅱ) 의 전체 (100 질량%), 즉 올리고머 (A') 와 모노머 (B') 의 합계 (100 질량%) 중, 20 ∼ 90 질량% 가 바람직하고, 30 ∼ 8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올리고머 (A') 의 비율이 20 질량% 이상이면, 제 1 점착층 (4) 의 내열성이 양호해진다. 올리고머 (A') 의 비율이 90 질량% 이하이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성, 투명 면재 (2) 와 제 1 점착층 (4) 의 밀착성이 양호해진다.
(모노머 (B'))
모노머 (B') 의 분자량은 125 ∼ 600 이고, 140 ∼ 400 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B') 의 분자량이 125 이상이면, 감압 수단을 사용하여 제 1 점착층 (4) 을 형성할 때 모노머의 휘발이 억제된다. 모노머 (B') 의 분자량이 600 이하이면, 투명 면재 (2) 와 제 1 점착층 (4) 의 밀착성이 양호해진다. 모노머 (B') 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성, 제 1 점착층 (4) 의 기계적 특성의 점에서, 경화성기를 1 분자당 1 ∼ 3 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B') 의 함유 비율은, 경화성 화합물 (Ⅱ) 의 전체 (100 질량%), 즉 올리고머 (A') 와 모노머 (B') 의 합계 (100 질량%) 중, 10 ∼ 80 질량% 가 바람직하고, 20 ∼ 7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모노머 (B') 는, 경화성기를 갖고, 또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B3) 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B3) 은,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또, 모노머 (B3) 을 함유시키면, 투명 면재 (2) 와 제 1 점착층 (4) 의 양호한 밀착성이 얻어지기 쉽다.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B3) 으로는, 2-하이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모노머 (B3) 의 함유 비율은, 경화성 화합물 (Ⅱ) 의 전체 (100 질량%), 즉 올리고머 (A') 와 모노머 (B') 의 합계 (100 질량%) 중, 10 ∼ 60 질량% 가 바람직하고, 20 ∼ 5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모노머 (B3) 의 함유 비율이 10 질량% 이상이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안정성 향상, 및 투명 면재 (2) 와 제 1 점착층 (4) 의 밀착성 향상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기 쉽다.
모노머 (B') 는, 하기의 모노머 (B4)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질량비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B3) 의 함유량보다 모노머 (B4) 의 함유량이 많으면, 감압 분위기하에서 표시 장치 본체와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첩합한 후, 이것을 대기압 분위기하로 되돌렸을 때, 제 1 점착층 (4) 에 생긴 기포가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모노머 (B4) 를 함유시키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모노머 (B4) 는, 탄소수 8 ∼ 22 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알킬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으로 구성된다. 모노머 (B4) 로는, n-데실아크릴레이트, n-도데실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이소옥타데실아크릴레이트, n-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 n-베헤닐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n-도데실아크릴레이트 또는 n-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또는 n-옥타데실메타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모노머 (B4) 의 함유 비율은, 경화성 화합물 (Ⅱ) 의 전체 (100 질량%), 즉 올리고머 (A') 와 모노머 (B') 의 합계 (100 질량%) 중, 5 ∼ 50 질량% 가 바람직하고, 15 ∼ 4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모노머 (B4) 의 함유 비율이 5 질량% 이상이면, 모노머 (B4) 의 충분한 첨가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
(광중합 개시제 (C2))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광중합 개시제 (C2) 로는, 아세토페논계, 케탈계, 벤조인 또는 벤조인에테르계, 포스핀옥사이드계, 벤조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또는 퀴논계 등의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으며, 포스핀옥사이드계, 또는 티오크산톤계의 광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고, 광중합 반응 후에 착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포스핀옥사이드계가 특히 바람직하다. 고강도의 광조사에 의한 광중합 반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아세토페논계의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면, 경화 속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광중합 개시제 (C2) 의 함유량은, 경화성 화합물 (Ⅱ) 의 전체, 즉 올리고머 (A') 와 모노머 (B') 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0.01 ∼ 1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5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경화시에 조성물 중의 경화성 화합물 (Ⅱ) 와 경화 반응하지 않는 수산기를 갖는 올리고머이다.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1 분자당 수산기 수는 0.8 ∼ 3 개가 바람직하고, 1.8 ∼ 2.3 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수산기 1 개당 수 평균 분자량 (Mn) 은 400 ∼ 8000 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1 개당 수 평균 분자량이 400 이상이면,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극성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아,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의 경화성 화합물 (Ⅱ) 와의 양호한 상용성이 얻어지기 쉽다. 수산기 1 개당 수 평균 분자량이 8000 이하이면, 경화성 화합물 (Ⅱ) 에서 유래하는 수산기와,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수산기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경화 후에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얻어지기 쉽다. 상호 작용에는 수소 결합이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는, 1 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수산기를 함유하는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예로는, 고분자량의 폴리올 등을 들 수 있으며,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로는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디올, 폴리옥시프로필렌트리올, 또는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알킬렌디올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수산기 1 개당 수 평균 분자량 (Mn) 은 400 ∼ 8000 이 바람직하고, 600 ∼ 5000 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1,4-부탄디올 등의 지방족 디올의 잔기와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또는 세바크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잔기를 갖는 지방족계 폴리에스테르디올을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로는 1,6-헥산디올 등의 디올 잔기를 갖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또는 지방족 고리형 카보네이트의 개환 중합체 등의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의 수산기 1 개당 수 평균 분자량 (Mn) 은 400 ∼ 8000 이 바람직하고, 800 ∼ 6000 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수 평균 분자량은, JIS K 1557-1 (2007년판) 에 준거하여 측정한 수산기가 A (KOH ㎎/g) 와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1 분자 내의 수산기의 수 B 로부터, 하기 식 (1) 에 의해 산출한 값이다.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분자량 = 56.1 × B × 1000/A … (1)
경화 후의 제 1 점착층 (4) 의 탄성률이 보다 낮아지기 쉬운 점에서,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로서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올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올의 옥시프로필렌기의 일부를 옥시에틸렌기로 치환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올리고머 (A') 가,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 사용하여 합성된 우레탄 올리고머이고, 비경화성 올리고머 (D) 가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인 것이 상용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경화시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안정되게 하고, 경화 후의 제 1 점착층 (4) 으로부터 비경화성 올리고머 (D) 가 분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올리고머 (A') 와 비경화성 올리고머 (D) 가, 동일 구조 또는 유사 구조의 분자 사슬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의 올리고머 (A') 를 합성할 때의 원료로서, 폴리올 등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이하, 수산기 함유 화합물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을 사용함과 함께, 동일한 수산기 함유 화합물을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올리고머 (A') 가,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 사용하여 합성된 우레탄 올리고머인 경우,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을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올리고머 (A') 의 원료로서의 수산기 함유 화합물과,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로서 사용하는 수산기 함유 화합물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양자의 분자 사슬이, 공통된 반복 단위를 갖는 등, 부분적으로 공통된 구조를 가짐과 함께, 양자의 극성을 동일한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의 조정 방법은, 예를 들어 극성기를 도입함으로써 극성을 높이는 방법, 옥시프로필렌기의 일부를 옥시에틸렌기로 치환함으로써 극성을 높이는 방법, 수산기 1 개당 분자량을 작게 함으로써 극성을 높이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올리고머 (A') 가, 옥시프로필렌기의 일부를 옥시에틸렌기로 치환한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올 (a')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원료로 사용하여 합성된 우레탄 올리고머인 경우, 옥시에틸렌기를 갖지 않는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올로서, 수산기 1 개당 분자량이 상기 폴리올 (a') 보다 작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올을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일례로서, 옥시프로필렌기의 일부를 옥시에틸렌기로 치환한 폴리옥시프로필렌디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프레폴리머를 얻은 후, 모노머 (B2) 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올리고머 (A2) 를 올리고머 (A') 로서 함유하고, 우레탄 올리고머 (A2) 의 원료와 동일한, 옥시프로필렌기의 일부를 옥시에틸렌기로 치환한 폴리옥시프로필렌디올을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로서 함유하고, 또한 모노머 (B') 로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B3) 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올리고머 (A') 가,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와 동일한 분자 구조를 부분적으로 가지면, 조성물 중의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상용성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모노머 (B') 가 수산기를 가짐으로써, 경화성 화합물 (Ⅱ) 의 경화 후의 분자 구조 중의 수산기와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분자 구조 중의 수산기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경화물 안에서 비경화성 올리고머 (D) 가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예로서, 옥시프로필렌기의 일부를 옥시에틸렌기로 치환한 폴리옥시프로필렌디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프레폴리머를 얻은 후, 모노머 (B2) 와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 올리고머 (A2) 를 올리고머 (A') 로서 함유하고, 옥시에틸렌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지 않은 폴리옥시프로필렌디올로서, 우레탄 올리고머 (A2) 의 원료인 폴리옥시프로필렌디올보다 분자량이 작은 것을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로서 함유하고, 또한 모노머 (B') 로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B3) 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있어서도, 조성물 중의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양호한 상용성을 얻을 수 있어, 경화물 안에서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를 안정적으로 존재시킬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의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는, 감압 분위기하에서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와 투명 지지체를 첩합한 후, 대기압 분위기하로 되돌렸을 때, 투명 지지체와 제 1 점착층 (4) 의 계면에 생긴 기포가 소실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의 단축에 기여한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중의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소정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지나치게 많으면 제 1 점착층 (4) 의 경화가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제 1 점착층 (4) 의 경화가 불충분하면, 경화 후의 제 1 점착층 (4) 으로부터 제 1 보호 필름 (6) 을 박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전체 (100 질량%) 중, 10 ∼ 70 질량% 의 범위 내에서 이들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른 성분과의 밸런스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B3) 과 알킬기를 갖는 모노머 (B4) 를 함유하고, 모노머 (B3) 의 함유량 (질량 기준) 인 1 에 대해, 모노머 (B4) 의 함유량이 0.6 ∼ 2.5 이고, 연쇄 이동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전체 (100 질량%) 중에서 30 ∼ 70 질량% 가 바람직하고, 40 ∼ 7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연쇄 이동제도 기포가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의 단축에 기여한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연쇄 이동제를 경화성 화합물 (Ⅱ) 전체의 100 질량부에 대해 1 질량부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고, 모노머 (B4) 의 함유량이 모노머 (B3) 보다 적은 경우,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함유량은, 층상부 형성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에서 40 ∼ 70 질량% 가 바람직하고, 50 ∼ 7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모노머 (B3) 의 함유량 (질량 기준) 인 1 에 대해, 모노머 (B4) 의 함유량이 1 ∼ 4 이고, 또한 연쇄 이동제를, 경화성 화합물 (Ⅱ) 전체의 100 질량부에 대해 1 질량부 이하의 범위에서 함유하는 경우,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함유량은,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전체 중에서 5 ∼ 55 질량% 가 바람직하고, 10 ∼ 5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 40 질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모노머 (B4) 또는 연쇄 이동제를 첨가하면 경화 속도가 느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점에서 이들의 함유량은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모노머 (B3) 의 함유량 (질량 기준) 인 1 에 대해, 모노머 (B4) 의 함유량의 질량비가 0.6 미만이고, 또한 연쇄 이동제도 함유하지 않는 경우,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함유량은 40 ∼ 70 질량% 가 바람직하고, 50 ∼ 70 질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 화합물 (Ⅱ), 비경화성 올리고머 (D) 및 광중합 개시제 (C2) 이외에, 필요에 따라 중합 금지제, 광경화 촉진제, 연쇄 이동제, 광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라디칼 포획제 등), 산화 방지제, 난연화제, 접착성 향상제 (실란 커플링제 등), 안료, 또는 염료 등의 각종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중합 금지제, 광안정제 또는 산화 방지제 등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합 개시제보다 적은 양의 중합 금지제를 함유함으로써,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경화 후의 층상부의 분자량도 조정할 수 있다. 또, 산화 방지제를 함유함으로써 경화 후의 광경화성 수지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합계량은, 경화성 화합물 (Ⅱ) 의 전체, 즉 올리고머 (A') 와 모노머 (B') 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1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첨가제 중에서도, 연쇄 이동제는, 양호한 경화 속도를 얻는 데에 있어서는 함유시키지 않거나 또는 소량만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쇄 이동제를 함유시키면, 투명 지지체와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의 첩합시에 생긴 기포가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지는 경향이 있고, 기포를 양호하게 소실시키는 효과를 얻는 데에 필요한 비경화성 올리고머 (D) 의 첨가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연쇄 이동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의 첨가량은, 경화성 화합물 (Ⅱ) 의 전체, 즉 올리고머 (A') 와 모노머 (B') 의 합계 100 질량부에 대해 1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 1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광경화시키고 나서 투명 면재에 도포하거나, 미경화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투명 면재에 도포하고 나서 광경화시키거나 하여 제 1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제 2 점착층)
제 2 점착층 (5) 은,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표시 장치 본체와 첩합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점착층 (5) 은, 투명 면재 (2) 의 2 개의 면 (2a, 2b) 중, 표시 장치 본체와 첩합하는 측의 면인 제 2 면 (2b)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점착층 (5) 은, 제 1 점착층 (4) 보다 작은 형성 면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점착층 (4) 이 투명 면재 (2) 의 제 1 면 (2a) 의 전역에 형성되어 있음에 반해, 제 2 점착층 (5) 이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의 일부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즉,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은, 제 2 점착층 (5) 이 형성된 영역과, 제 2 점착층 (5)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갖는다.
제 2 점착층 (5) 의 구성 재료는, 제 1 점착층 (4) 의 구성 재료와 동일해도 되고, 제 1 점착층 (4) 의 구성 재료와 상이해도 된다. 제 2 점착층 (5) 은,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첩합되기 때문에, 표시 패널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보다 경미한 첩합 압력에 있어서 공극을 남기지 않고 첩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 경화성 화합물 중의 비경화 성분의 함유량을 늘리거나 연쇄 이동제의 함유량을 조정한다. 또, 제 2 점착층 (5) 에는, 제 1 점착층 (4), 및 투명 면재 (2) 를 투과한 외광이 입사되기 때문에, 제 1 점착층 (4) 보다 적은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해도 된다. 제 2 점착층 (5) 의 두께는, 제 1 점착층 (4) 의 두께와 동일해도 되고, 제 1 점착층 (4) 의 두께와 상이해도 된다. 제 2 점착층 (5) 의 전단 탄성률은, 제 1 점착층 (4) 의 전단 탄성률과 동일해도 되고, 제 1 점착층 (4) 의 전단 탄성률과 상이해도 된다. 제 2 점착층 (5) 은, 표시 장치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와 같이 표시면으로의 투명 면재의 첩합 형성에 있어서 표시 화상의 균일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보다 탄성률이 작은 점착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제 2 점착층 (5) 의 구성 재료를 사용하거나 제 2 점착층 (5) 의 두께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점착층 (5) 은,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중, 프레임상의 차광부 (3) 에 둘러싸인 영역과, 차광부 (3) 의 일부와 평면적으로 겹치는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 2 점착층 (5) 은, 표시 장치 본체의 화상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부분과 첩합되기 때문에, 차광부 (3) 에 둘러싸인 영역, 즉 차광부 (3) 보다 내측의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 2 점착층 (5) 이 차광부 (3) 의 일부와 평면적으로 겹치는 경우, 제 2 점착층 (5) 이 차광부 (3) 의 일부와 평면적으로 겹치는 영역은, 제 2 점착층 (5) 과 차광부 (3) 의 위치를 맞출 때의 얼라이먼트 마진으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제 2 점착층 (5) 과 차광부 (3) 의 위치 맞춤이 다소 어긋났다고 하더라도, 제 2 점착층 (5) 은, 차광부 (3) 에 둘러싸인 영역 내에 용이하게 형성된다. 이로써, 표시 장치 본체가 투명 면재 (2) 에 충분히 높은 강도로 고정됨과 함께, 제 2 점착층 (5) 의 가장자리가 차광부 (3) 에 가려져, 제 2 점착층 (5) 의 가장자리가 보임에 따른 표시 품위의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없다.
(제 1 보호 필름 및 제 2 보호 필름)
제 1 보호 필름 (6) 과 제 2 보호 필름 (7) 은, 미사용시에 제 1 점착층 (4) 또는 제 2 점착층 (5) 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사용시에는 제 1 점착층 (4) 또는 제 2 점착층 (5) 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때문에, 제 1 보호 필름 (6) 및 제 2 보호 필름 (7) 에는, 제 1 점착층 (4) 또는 제 2 점착층 (5) 과 강고하게는 밀착하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이 관점에서, 제 1 보호 필름 (6) 및 제 2 보호 필름 (7) 으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불소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점착층 또는 제 2 점착층의 밀착성이 비교적 낮은 기재 필름이, 제 1 점착층 (4) 또는 제 2 점착층 (5) 에 접하도록 하는 보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보호 필름 (6) 및 제 2 보호 필름 (7) 의 점착면의 점착력은, 아크릴판에 대한 박리 속도 300 ㎜/분에서의 180 도 박리 시험에 있어서의 50 ㎜ 폭의 시험체에서 0.01 ∼ 1 N 이 바람직하고, 0.02 ∼ 0.6 N 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보호 필름 (6) 또는 제 2 보호 필름 (7) 의 바람직한 두께는, 사용하는 수지에 따라 상이하지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비교적 유연한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0.03 ∼ 0.2 ㎜ 가 바람직하고, 0.06 ∼ 0.1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가 0.03 ㎜ 이상이면, 점착층으로부터 보호 필름을 박리할 때 보호 필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두께가 0.2 ㎜ 이하이면, 박리시에 보호 필름이 휘기 쉽고, 박리시키기 쉽다.
제 1 점착층 (4) 및 제 2 점착층 (5) 으로부터의 박리를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1 보호 필름 (6) 및 제 2 보호 필름 (7) 에, 제 1 점착층 (4) 및 제 2 점착층 (5) 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실리콘 (silicone) 등의 이형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제 1 점착층 (4) 및 제 2 점착층 (5) 으로부터의 박리시에 제 1 보호 필름 (6) 및 제 2 보호 필름 (7) 의 단부 (端部) 를 유지하기 쉽도록, 투명 면재 (2) 보다 큰 제 1 보호 필름 (6) 및 제 2 보호 필름 (7) 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장치)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B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3 에서는 백라이트 (17) 부분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간략화해서 기재하고 있다.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10) 는, 표시 장치 본체 (11),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및 투명 지지체 (12) 를 구비하고 있다. 투명 지지체 (12) 는, 제 1 점착층 (4) 이 형성된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의 제 1 면 (1a) 에 첩합되어 있다. 표시 장치 본체 (11) 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의 제 2 면 (1b) 에 첩합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 지지체 (12) 는, 예를 들어 점포나 오피스 등에 사용되는 윈도 유리이다. 표시 장치 본체 (11) 는,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는, 도 2 에 나타내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로부터 제 1 보호 필름 (6) 과 제 2 보호 필름 (7) 을 박리한 것이다. 투명 면재 (2) 는, 제 1 점착층 (4) 을 개재하여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되어 있다. 표시 장치 본체 (11) 는, 제 2 점착층 (5) 을 개재하여 투명 면재 (2) 에 첩합되어 있다. 또한, 투명 면재 (2) 의 투명 지지체 (12) 측에 터치 센서 (도시 생략) 를 형성한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그 경우에는, 투명 지지체 (12) 의 외측에서 접촉하여 표시 장치 (10) 를 조작할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 본체 (11) 는, 액정 패널 (14) 과 1 쌍의 편광판 (15, 16) 과 백라이트 (17) (조명 장치) 와 프레임 (18) 과 케이스 (19) 를 구비한다. 액정 패널 (14) 은 1 쌍의 유리 기판 (21, 22) 과, 이들 유리 기판 (21, 22) 사이에 봉입된 액정 (도시 생략) 을 구비한다. 액정 패널 (14) 의 구동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인플레인ㆍ스위칭 (In-Plane Switching) 등의 횡전계 방식의 액정 패널을 들 수 있다. 1 쌍의 유리 기판 (21, 22) 은, 박막 트랜지스터 (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 라고 약기한다.) 를 구비한 TFT 소자 기판과, 컬러 필터를 구비한 컬러 필터 기판으로 구성된다.
1 쌍의 편광판 (15, 16) 은, 액정 패널 (14) 의 양면에 액정 패널 (14) 을 협지하도록 첩합되어 있다. 그 밖에, 각 편광판 (15, 16) 과 액정 패널 (14) 사이에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도 있다. 1 쌍의 편광판 (15, 16) 중, 백라이트 (17) 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편광판 (16) 이 제 2 점착층 (5) 을 개재하여 투명 면재 (2) 에 첩합됨으로써, 액정 패널 (14) 은, 투명 지지체 (12) 에 고정되어 있다.
백라이트 (17) 는, 발광 다이오드 (LED) 등의 발광 소자 (23) 와, 도광판 (24) 과, 필요에 따라 프리즘 시트, 광확산 시트 등의 1 장 또는 복수 장의 광학 필름 (25) 과, 미러 (26) 를 구비한다. 발광 소자 (23) 로부터 사출된 광은, 도광판 (24) 에 입사되어 내부를 도광하는 동안에 미러 (26) 에 의해 반사되고, 광학 필름 (25) 을 통하여 액정 패널 (14) 을 향하여 사출된다. 광학 필름 (25) 은, 도광판 (24) 으로부터 사출된 광의 강도를 균일화하거나 시야각을 변경하거나 광의 이용 효율을 개선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 때문에, 광학 필름 (25) 과 액정 패널 (14) 은, 필요에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액정 패널 (14) 은 비교적 경량이기 때문에,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개재하여 액정 패널 (14) 의 화상 표시 영역의 부분을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하는 것만으로 투명 지지체 (12) 에 지지된다. 그러나, 액정 패널 (14) 의 사이즈가 커지면, 백라이트 (17) 의 중량이 커지는 경우가 있어, 비록 액정 패널 (12) 과 백라이트 (17) 가 고정되어 있었다고 해도, 액정 패널 (14) 을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한 것만으로 표시 장치 본체 (11) 의 전체를 투명 지지체 (12) 에 지지시키기는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표시 장치 본체 (11) 의 구성 요소 중, 백라이트 (17) 는, 액정 패널 (14) 과는 별도로 투명 지지체 (12) 에 지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라이트 (17) 를 투명 지지체 (12) 에 지지시키는 구성으로서,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백라이트 (17) 는, 단면이 L 자 형상인 지지 부재 (28) (앵글) 에 의해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에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17) 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부재 (28) 는,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상의 차광부 (3) 에 양면 점착 테이프 (29)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백라이트 (17) 는 프레임 (18) 에 고정되고, 프레임 (18) 은 케이스 (19) 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 (19) 는, 볼트 (30) 에 의해 지지 부재 (28) 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백라이트 (17) 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개재하여 투명 지지체 (12) 에 고정되어 있다.
표시 장치 본체 (11) 를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하는 순서로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로부터 제 1 보호 필름 (6) 을 박리하고,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한 후, 제 2 보호 필름 (7) 을 박리하고,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된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상에 표시 장치 본체 (11) 를 첩합하면 된다. 또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로부터 제 2 보호 필름 (7) 을 박리하고,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표시 장치 본체 (11) 에 첩합한 후, 제 1 보호 필름 (6) 을 박리하고,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가 첩합된 표시 장치 본체 (11) 를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해도 된다. 투명 지지체 (12) 에 대한 첩합시에,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혹은 표시 장치 본체 (11) 가 첩합된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전체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만곡시키면서 첩합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만곡의 용이함에서,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만을 먼저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된 표시 장치 본체 (11) 를 투명 지지체 (12) 로부터 박리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도 만곡시키면서 첩합물을 박리하는 경우가 있으며, 먼저 표시 장치 본체 (11) 를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로부터 박리하고, 그 후에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투명 지지체 (12) 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 제 1 점착층 (4) 과 투명 지지체 (12), 및 제 1 점착층 (4) 과 투명 면재 (2) 의 계면 밀착력은, 제 2 점착층 (5) 과 표시 장치 본체 (11), 및 제 2 점착층 (5) 과 투명 면재 (2) 의 계면 밀착력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를 박리한 후, 투명 지지체 (12) 상에 제 1 점착층 (4) 이 잔존하는 경우가 없어, 투명 지지체 (12), 즉 윈도 유리가 표시 장치 본체 (11) 를 첩합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 1 점착층 (4) 과 투명 지지체 (12) 의 계면 밀착력은, 제 1 점착층 (4) 과 투명 면재 (2) 의 계면 밀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밀착력의 대소 관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제 1 점착층 (4) 및 제 2 점착층 (5) 의 구성 재료로서, 경화성 화합물 중의 모노머 (B3) 과 모노머 (B4) 의 비율, 비경화 성분이나 연쇄 이동제의 함유량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피착체가 유리판인 경우에는, 모노머 (B4) 에 대한 모노머 (B3) 의 비율을 크게 하거나 비경화 성분의 함유량을 억제함으로써 계면 밀착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또, 연쇄 이동제의 함유량을 높임으로써 유리면에 대한 밀착력을 크게 할 수도 있다.
(작용 및 효과)
본 실시형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에 있어서는, 투명 면재 (2) 의 제 1 면 (2a) 에 투명 지지체 (12) 와 첩합하기 위한 제 1 점착층 (4) 이 형성되고,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에 표시 장치 본체 (11) 를 첩합하기 위한 제 2 점착층 (5) 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표시 장치 본체 (11) 를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할 때, 투명 면재 (2) 상에 새로 접착재 등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 표시 장치 본체 (11) 의 첩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10) 에 의하면,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1) 에 화상 표시 영역의 주위를 둘러싸는 차광부 (3) 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 차광부를 형성하지 않고, 액정 패널 (14) 에 접속된 배선 부재 등을 숨길 수 있다. 특히, 제 1 실시형태의 경우, 차광부 (3) 가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광부 (3) 와 화상 표시면의 깊이 방향의 거리가 가깝다. 그 때문에, 차광부 (3) 로 이루어지는 액자 부분에 대해 표시가 쑥 들어가 보이는 경우가 없어, 액자 부분과 화상 표시면의 단차에 의해 표시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의 전역에 차광부 (3) 를 덮을 정도로 제 2 점착층 (5) 을 크게 형성하고, 제 2 점착층 (5) 에 의해 지지 부재 (28) 를 고정시키는 구성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제 2 점착층 (5) 과 표시 장치 본체 (11) 를 첩합했을 때에 생기는 기포를 소실시키기 쉽게 하기 위해, 제 2 점착층 (5) 의 전단 탄성률을 종래 일반의 점착층보다 낮아지도록 조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백라이트 (17) 의 중량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28) 를 제 2 점착층 (5) 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 점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는,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의 중앙 가까이의 일부에 제 2 점착층 (5) 을 형성하여 차광부 (3) 를 노출시킨 다음, 지지 부재 (28) 를 양면 점착 테이프 (29) 에 의해 차광부 (3) 에 고정시키고 있다. 그 결과, 백라이트 (17)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본체 (11) 를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5 및 도 6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의 기본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투명 면재에 있어서, 차광부가 형성된 면이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도 5 및 도 6 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도 1 ∼ 도 4 와 공통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31) 는 투명 면재 (2), 차광부 (3), 제 1 점착층 (4), 제 2 점착층 (5), 제 1 보호 필름 (6) 및 제 2 보호 필름 (7) 을 구비하고 있다. 차광부 (3) 는, 투명 면재 (2) 의 제 1 면 (2a) 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점착층 (4) 은, 투명 면재 (2) 의 제 1 면 (2a) 의 전역에 차광부 (3) 를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점착층 (5) 은, 제 1 점착층 (4) 보다 작은 형성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점착층 (5) 이 형성된 영역의 면적 및 형상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즉, 제 2 점착층 (5) 은, 투명 면재 (2) 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투명 면재 (2) 를 통해 보았을 때, 프레임상의 차광부 (3) 에 둘러싸인 영역과, 차광부 (3) 의 일부와 평면적으로 겹치는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 밖의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31) 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표시 장치 (32) 는, 표시 장치 본체 (11) 와,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31) 와, 투명 지지체 (12) 를 구비하고 있다. 투명 지지체 (12) 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31) 의 제 1 면 (31a) 에 첩합되어 있다. 표시 장치 본체 (11) 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31) 의 제 2 면 (31b) 에 첩합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투명 지지체 (12) 는, 예를 들어 점포나 오피스 등에 사용되는 윈도 유리이고, 표시 장치 본체 (11) 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이다.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31) 는, 도 4 에 나타내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31) 로부터 제 1 보호 필름 (6) 과 제 2 보호 필름 (7) 을 박리한 것이다. 투명 면재 (2) 는, 제 1 점착층 (4) 을 개재하여 투명 지지체 (12) 에 첩합되어 있다. 표시 장치 본체 (11) 는, 제 2 점착층 (5) 을 개재하여 투명 면재 (2) 에 첩합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표시 장치 본체의 첩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표시의 시인성의 저하가 억제되는 등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제 2 실시형태는, 차광부 (3) 가 투명 면재 (2) 의 제 1 면 (2a) 에 형성됨으로써, 백라이트 (17) 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 (28) 가 투명 면재 (2) 의 제 2 면 (2b) 에 직접 첩합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즉,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지지 부재 (28) 는, 차광부 (3) 를 개재하지 않고, 투명 면재 (2) 를 구성하는 유리판 또는 수지판의 표면에 직접 첩합된다. 그 때문에, 제 2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차광부 (3) 를 개재하여 앵글 (28) 을 투명 면재 (2) 에 고정시키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에 비해, 앵글 (28) 과 투명 면재 (2) 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어, 표시 장치 본체의 고정의 신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의 차광부로서, 사각형상의 투명 면재의 4 변 전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상의 차광부의 예를 들었지만, 반드시 4 변 전부를 둘러싸는 프레임상의 차광부가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대향하는 상하 또는 좌우의 2 변을 따라 배치된 차광부를 사용해도 된다. 또,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투명 지지체로서, 점포나 오피스 등에 사용되는 윈도 유리의 예를 들었지만, 윈도 유리 대신에, 예를 들어, 실내를 구획하는 유리 파티션 등의 가동식 부재를 투명 지지체로 하여, 이것에 표시 장치 본체를 첩합해도 된다.
또, 표시 장치 본체로서, 도 3 ∼ 도 6 에 있어서 액정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액정 디스플레이 외에,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디스플레이 등을 사용해도 된다. 그 밖에,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및 표시 장치의 각 구성 요소의 형상, 개수, 배치, 재료 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전자 페이퍼 디스플레이 등의 각종 표시 장치, 및 이것을 투명 지지체에 첩합할 때에 사용하는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2013년 11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236910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의 전체 내용을 여기에 인용하고, 본 발명의 명세서의 개시로서 받아들이는 것이다.
1, 31 :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2 : 투명 면재,
3 : 차광부,
4 : 제 1 점착층,
5 : 제 2 점착층,
10, 32 : 표시 장치,
11 : 표시 장치 본체,
12 : 투명 지지체,
14 : 액정 패널,
17 : 백라이트 (조명 장치),
28 : 지지 부재 (앵글)

Claims (10)

  1. 제 1 면과 제 2 면을 갖는 투명 면재와,
    상기 투명 면재의 제 1 면의 주연부, 제 2 면의 주연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차광부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1 면에 형성된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점착층의 형성 영역보다 작은 면적의 형성 영역에 형성된 제 2 점착층을 구비한,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이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1 면의 전역에 형성된,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가 상기 제 2 면의 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점착층이, 상기 차광부에 둘러싸인 영역과, 상기 차광부의 일부와 평면적으로 겹치는 영역에 걸쳐 형성된,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 및 상기 제 2 점착층의 전단 탄성률이, 102 ∼ 105 ㎩ 인,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5.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와,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의 제 1 면에 첩합된 투명 지지체와,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의 제 2 면에 첩합된 표시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가, 제 1 면과 제 2 면을 갖는 투명 면재와, 상기 투명 면재의 제 1 면의 주연부, 제 2 면의 주연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형성된 차광부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1 면에 형성된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점착층의 형성 영역보다 작은 면적의 형성 영역에 형성된 제 2 점착층을 구비하고,
    상기 투명 지지체가 상기 제 1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투명 면재에 첩합되고,
    상기 표시 장치 본체가 상기 제 2 점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투명 면재에 첩합된,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지지체, 및 상기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면재의 계면 밀착력은, 상기 제 2 점착층과 상기 표시 장치 본체, 및 상기 제 2 점착층과 상기 투명 면재 (2) 의 계면 밀착력보다 큰,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지지체의 계면 밀착력은, 상기 제 1 점착층과 상기 투명 면재의 계면 밀착력보다 작은, 표시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면재의 제 2 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점착층의 형성 영역 이외의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표시 장치 본체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추가로 구비한,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1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2 면에 고정된,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가 상기 투명 면재의 상기 제 2 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차광부에 고정된, 표시 장치.
KR1020167010804A 2013-11-15 2014-11-05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및 표시 장치 KR102285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36910 2013-11-15
JP2013236910 2013-11-15
PCT/JP2014/079371 WO2015072380A1 (ja) 2013-11-15 2014-11-05 粘着層付き透明面材およ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250A true KR20160085250A (ko) 2016-07-15
KR102285525B1 KR102285525B1 (ko) 2021-08-03

Family

ID=5305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804A KR102285525B1 (ko) 2013-11-15 2014-11-05 점착층이 형성된 투명 면재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386664B2 (ko)
JP (1) JP6528685B2 (ko)
KR (1) KR102285525B1 (ko)
CN (1) CN105764686B (ko)
TW (1) TW201525097A (ko)
WO (1) WO2015072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13405B2 (ja) * 2014-07-07 2018-10-31 Agc株式会社 両面粘着フィルム、粘着層付き透明面材、および積層体
JP2017227767A (ja) * 2016-06-22 2017-12-28 旭硝子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7227768A (ja) * 2016-06-22 2017-12-28 旭硝子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80052810A (ko) * 2016-11-10 2018-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8233654A1 (zh) * 2017-06-21 2018-12-27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装饰面板
US10564473B2 (en) 2017-07-13 2020-02-18 AGC Inc.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apparatus
WO2019069611A1 (ja) * 2017-10-06 2019-04-11 Agc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7192346B2 (ja) * 2017-12-20 2022-12-20 Agc株式会社 粘着層付き透明面材および表示装置
US10866443B2 (en) 2017-12-20 2020-12-15 AGC Inc. Adhesive layer-equipped transparent plate and display device
CN112002223A (zh) * 2020-08-11 2020-11-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盖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2053633B (zh) * 2020-09-16 2022-07-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847A (ja) * 2002-03-04 2003-09-10 Seiko Epson Corp 両面粘着シート及びカバーウインドウ
JP2008299088A (ja) * 2007-05-31 2008-12-11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その製造方法、該光学シート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2011027975A (ja) * 2009-07-24 2011-02-10 Asahi Glass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機能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WO2011148990A1 (ja) 2010-05-26 2011-12-01 旭硝子株式会社 粘着層付き透明面材、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30050917A (ko) * 2010-03-10 2013-05-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점착 시트
US20130342971A1 (en) * 2012-06-21 2013-12-26 Joshua Michael Jacobs Edge armored display cover plate
JP2014153544A (ja) * 2013-02-08 2014-08-25 Sanko Sangyo Co Ltd 光輝印刷物及び光輝印刷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1720A (ja) * 1989-11-21 1991-07-11 I C I Japan Kk 液晶表示素子及び装置
JP2008083263A (ja) * 2006-09-26 2008-04-10 Nissha Printing Co Ltd 携帯型表示装置用保護板
US7666511B2 (en) * 2007-05-18 2010-02-23 Corning Incorporated Down-drawable, chemically strengthened glass for cover plate
KR101463640B1 (ko) 2007-07-30 2014-11-19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것을 사용한 투명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0953654B1 (ko) * 2008-06-26 2010-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5257B1 (ko) * 2008-10-27 2010-06-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2951B1 (ko) * 2009-03-27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TWI481634B (zh) 2009-05-20 2015-04-21 Asahi Glass Co Ltd A hardened resin composition, a transparent lamin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2482122A1 (en) 2009-09-25 2012-08-01 Asahi Glass Company, Limite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9116380B2 (en) * 2010-11-30 2015-08-25 Nitto Denko Corporation Display panel device having touch input function
JP2012121978A (ja) * 2010-12-08 2012-06-28 Toray Advanced Film Co Ltd 粘着シート及び表示装置
JP5569379B2 (ja) * 2010-12-09 2014-08-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保護板付き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0353520B2 (en) * 2011-11-07 2019-07-16 Oji Holdings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capacitive touch panel, capacitive touch panel
US20140335316A1 (en) * 2011-12-13 2014-11-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panel with front plate, and display device
KR101974478B1 (ko) 2012-01-09 2019-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적층체, 표시장치용 윈도우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085929B2 (en) * 2012-08-24 2015-07-21 Rome JOHNS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electronically tinting windows
JP6035599B2 (ja) * 2012-09-14 2016-11-30 株式会社トッパンTdkレーベル 両面粘着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5847A (ja) * 2002-03-04 2003-09-10 Seiko Epson Corp 両面粘着シート及びカバーウインドウ
JP2008299088A (ja) * 2007-05-31 2008-12-11 Toppa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その製造方法、該光学シート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2011027975A (ja) * 2009-07-24 2011-02-10 Asahi Glass Co Ltd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機能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た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KR20130050917A (ko) * 2010-03-10 2013-05-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용 점착 시트
WO2011148990A1 (ja) 2010-05-26 2011-12-01 旭硝子株式会社 粘着層付き透明面材、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30080775A (ko) * 2010-05-26 2013-07-15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층 형성 투명 면재, 표시 장치 및 그들의 제조 방법
US20130342971A1 (en) * 2012-06-21 2013-12-26 Joshua Michael Jacobs Edge armored display cover plate
JP2014153544A (ja) * 2013-02-08 2014-08-25 Sanko Sangyo Co Ltd 光輝印刷物及び光輝印刷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5525B1 (ko) 2021-08-03
CN105764686B (zh) 2018-03-06
JP6528685B2 (ja) 2019-06-12
US20190293989A1 (en) 2019-09-26
CN105764686A (zh) 2016-07-13
US20160252769A1 (en) 2016-09-01
JPWO2015072380A1 (ja) 2017-03-16
US10386664B2 (en) 2019-08-20
TW201525097A (zh) 2015-07-01
WO2015072380A1 (ja)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6664B2 (en) Adhesive layer-equipped transparent plate and display device
JP5811143B2 (ja) 表示装置
JP5811142B2 (ja) 表示装置
KR101819770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JP5757288B2 (ja) 粘着層付き透明面材、表示装置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839635B1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이것을 사용한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JP6413405B2 (ja) 両面粘着フィルム、粘着層付き透明面材、および積層体
JP6206167B2 (ja) 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層付き透明面材
JP2015060000A (ja) 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