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608A -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및 연료 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및 연료 전지 스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4608A KR20160074608A KR1020167013245A KR20167013245A KR20160074608A KR 20160074608 A KR20160074608 A KR 20160074608A KR 1020167013245 A KR1020167013245 A KR 1020167013245A KR 20167013245 A KR20167013245 A KR 20167013245A KR 20160074608 A KR20160074608 A KR 201600746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cell
- separator
- main surface
- single cell
- cell sing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3—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internal manifol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6—Vias, i.e. connectors passing through the separator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Sealing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M8/0282—In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97—Arrangements for joining electrodes, reservoir layers, heat exchange units or bipolar separators to each o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57—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both reactants being gaseous or vaporis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01M2300/0074—Ion conductive at high temperat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02E60/52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연료 전지 단셀과 세퍼레이터의 접합 및 봉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및 연료 전지 스택을 제공한다.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은, 연료 전지 단셀과 관통공을 갖는 판상의 금속제 세퍼레이터와, 상기 연료 전지 단셀과,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를 접합하고, Ag 를 함유하는 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부를 구비하고, 접합부가, 상기 연료 전지 단셀과,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제 1 주면 사이로부터 상기 관통공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료 전지 단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2 주면보다 낮고,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상기 관통공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2 주면의 일부를 덮는, 유리를 함유하는 봉지재로 이루어지는 봉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및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전해질에 고체 산화물을 사용한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이하, 「SOFC」또는 간단히 「연료 전지」라고 기재하는 경우도 있다) 가 알려져 있다. SOFC 는, 예를 들어, 판상의 고체 전해질층의 각 면에 연료극과 공기극을 구비한 연료 전지 단셀을 다수 적층한 스택 (연료 전지 스택) 을 갖는다. 연료극 및 공기극 각각에, 연료 가스 (예를 들어, 수소) 및 산화제 가스 (예를 들어, 공기 중의 산소) 를 공급하고, 고체 전해질층을 개재하여 화학 반응시킴으로써, 전력이 발생한다.
연료 전지 셀은, 일반적으로, 연료 가스와 산화제 가스가 존재하는 구획을 구분하는 세퍼레이터에 접속되어, 사용된다. 이 때문에, Ag납이나 유리로 연료 전지 단셀과 세퍼레이터를 접합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Ag납으로 접합한 경우, Ag납 중을 수소와 산소가 확산되어 결합함으로써, 보이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보이드가 발생하면 Ag납 중에 가스가 지나는 길이 생겨, 가스가 리크될 가능성이 있다. 또, 유리로 접합한 경우, 접합 부분에서의 수소와 산소의 확산은 방지할 수 있지만, 접합 강도가 약하고, 연료 전지 스택의 제조시에 유리의 접합 부분이 박리되거나, 균열되거나 하여, 가스가 리크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연료 전지 단셀과 세퍼레이터의 접합 및 봉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및 연료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은,
공기극, 연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고체 전해질층을 갖는 연료 전지 단셀과,
제 1 주면, 제 2 주면, 그리고 이들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판상의 금속제 세퍼레이터와,
상기 연료 전지 단셀과,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제 1 주면을 접합하고, Ag 를 함유하는 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로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연료 전지 단셀과,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제 1 주면 사이로부터 상기 관통공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료 전지 단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2 주면보다 낮고,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상기 관통공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2 주면의 일부를 덮는, 유리를 함유하는 봉지재로 이루어지는 봉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합부가 「연료 전지 단셀과,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제 1 주면 사이로부터 관통공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갖는다. 이 때문에, 금속제 세퍼레이터와 연료 전지 단셀에서의 단차가, 돌출부에 의해 경감된다 (단차의 일부가 메워진다). 이 결과, 접합부를 봉지하는 봉지부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방지되고, 접합부를 봉지부에서 보다 확실하게 봉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부가,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제 2 주면 (상면) 보다 높으면, 반대로 단차 (段差) 가 커져, 봉지부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 금속제 세퍼레이터가 연료 전지 단셀에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응력이 인가된 경우에, 봉지부의 변형이 방지되어, 봉지부가 균열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봉지부가 접합부보다 관통공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접합부가 직접 산화제 가스에 접촉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접합부에 대한 산소의 접촉이 저지된다. 이 결과, 접합부 중으로의 산소의 확산이 억제되어,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보이드를 방지할 수 있다.
(2)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료 전지 단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주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가,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제 1 주면 (하면) 보다 높으면, 단차가 보다 경감되어, 봉지부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3)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가 1.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Al 을 함유하고,
상기 접합부가 1 체적% 이상 25 체적% 이하인, Al 의 산화물 또는 복합 산화물을 함유하고,
상기 봉지부가 Al2O3 환산으로,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Al 을 함유해도 된다.
금속제 세퍼레이터, 접합부, 봉지부 각각이 Al 을 함유함으로써 친화성이 양호해지고, 봉지부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금속제 세퍼레이터가 1.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Al 을 함유하고, 접합부가 1 체적% 이상 25 체적% 이하인, Al 의 산화물 또는 복합 산화물을 함유하며, 봉지부가 Al2O3 환산으로,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Al 을 함유함으로써, 봉지부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접합 및 봉지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4) 상기 Al 의 산화물 또는 복합 산화물이 Al2O3, Al 함유 스피넬형 산화물, 또는 멀라이트를 가져도 된다.
이들 Al 의 산화물을 사용하여, 친화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5) 연료 전지 스택은, (1) ∼ (4) 의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을 복수 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합 및 봉지의 신뢰성이 향상된 연료 전지 스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 전지 단셀과 세퍼레이터의 접합 및 봉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및 연료 전지 스택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10)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10) 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 은 연료 전지 셀 (40) 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연료 전지 셀 (40) 의 프레임 (A) 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50) 의 상면도이다.
도 6 은 연료 전지 셀 (40x) 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연료 전지 셀 (40a) 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연료 전지 셀 (40b) 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연료 전지 셀 (40b) 의 프레임 (A) 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10) 의 모식 단면도이다.
도 3 은 연료 전지 셀 (40) 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연료 전지 셀 (40) 의 프레임 (A) 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50) 의 상면도이다.
도 6 은 연료 전지 셀 (40x) 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연료 전지 셀 (40a) 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연료 전지 셀 (40b) 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연료 전지 셀 (40b) 의 프레임 (A) 내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연료 전지 스택) (10)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10) 는, 연료 가스 (예를 들어, 수소) 와 산화제 가스 (예를 들어, 공기 (상세하게는 공기 중의 산소)) 의 공급을 받아 발전된다.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10) 는, 엔드 플레이트 (11, 12), 연료 전지 셀 (40(1) ∼ 40(4)) 이 적층되고, 볼트 (21, 22(22a, 22b), 23(23a, 23b)) 및 너트 (35) 로 고정된다.
도 2 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10) 의 모식 단면도이다.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10) 는, 연료 전지 셀 (40(1) ∼ 40(4)) 을 적층하여 구성되는 연료 전지 스택이다. 여기서는, 이해 용이성을 위해, 4 개의 연료 전지 셀 (40(1) ∼ 40(4)) 을 적층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20 ∼ 60 개 정도의 연료 전지 셀 (40) 을 적층하는 경우가 많다.
엔드 플레이트 (11, 12), 연료 전지 셀 (40(1) ∼ 40(4)) 은, 볼트 (21, 22(22a, 22b), 23(23a, 23b)) 에 대응하는 관통공 (31, 32(32a, 32b), 33(33a, 33b)) 을 갖는다. 엔드 플레이트 (11, 12) 는, 적층되는 연료 전지 셀 (40(1) ∼ 40(4)) 을 가압, 유지하는 유지판이고, 또한 연료 전지 셀 (40(1) ∼ 40(4)) 로부터의 전류의 출력 단자이기도 하다.
도 3 은, 연료 전지 셀 (40) 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연료 전지 셀 (40) 의 프레임 (A) 내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 는, 연료 전지 단셀 (44) 과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50)) 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셀 (40) 은,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와 연료 전지 단셀 (44) 을 갖고, 인터커넥터 (41, 45), 집전체 (42a, 42b), 프레임부 (43) 를 구비한다.
연료 전지 단셀 (44) 은, 고체 전해질층 (56) 을 공기극 (캐소드, 공기극층이라고도 한다) (55), 및, 연료극 (애노드, 연료극층이라고도 한다) (57) 으로 끼워 구성된다. 고체 전해질층 (56) 의 산화제 가스 유로 (47) 측, 연료 가스 유로 (48) 측 각각에, 공기극 (55), 연료극 (57) 이 배치된다.
공기극 (55) 으로는, 페로브스카이트계 산화물 (예를 들어, LSCF (란탄스트론튬코발트철산화물), LSM (란탄스트론튬망간산화물) 을 사용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층 (56) 으로는, YSZ, ScSZ, SDC, GDC, 페로브스카이트계 산화물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연료극 (57) 으로는 금속이 바람직하고, Ni 및 Ni 와 세라믹의 서멧을 사용할 수 있다.
인터커넥터 (41, 45) 는, 연료 전지 단셀 (44) 사이의 도통을 확보하고, 또한 연료 전지 단셀 (44) 사이에서의 가스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는, 도전성을 갖는 판상의 부재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이다.
또한, 연료 전지 단셀 (44) 사이에는, 1 개의 인터커넥터 (41 혹은 45) 가 배치된다 (직렬로 접속되는 두 개의 연료 전지 단셀 (44) 사이에 하나의 인터커넥터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최상층 및 최하층의 연료 전지 단셀 (44) 각각에서는, 인터커넥터 (41, 45) 대신에 도전성을 갖는 엔드 플레이트 (11, 12) 가 배치된다.
집전체 (42a) 는, 연료 전지 단셀 (44) 의 공기극 (55) 과 인터커넥터 (41) 사이의 도통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인터커넥터 (41) 에 형성된 볼록부이다. 집전체 (42b) 는, 연료 전지 단셀 (44) 의 연료극 (57) 과 인터커넥터 (41) 사이의 도통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통기성을 갖는 니켈 펠트나 니켈 메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프레임부 (43) 는 산화제 가스, 연료 가스가 흐르는 개구 (46) 를 갖는다. 이 개구 (46) 는 기밀하게 유지되고, 또한 산화제 가스가 흐르는 산화제 가스 유로 (47), 연료 가스가 흐르는 연료 가스 유로 (48) 로 구분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프레임부 (43) 는, 공기극 프레임 (51), 절연 프레임 (52),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연료극 프레임 (54) 으로 구성된다.
공기극 프레임 (51) 은, 공기극 (55) 측에 배치되는 금속제의 프레임체로, 중앙부에는 개구 (46) 를 갖는다. 그 개구 (46) 에 의해, 산화제 가스 유로 (47) 를 구획한다.
절연 프레임 (52) 은, 인터커넥터 (41, 45)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프레임체로, 예를 들어, Al2O3 등의 세라믹스나 마이카, 버미큘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개구 (46) 를 갖는다. 그 개구 (46) 에 의해, 산화제 가스 유로 (47) 를 구획한다. 구체적으로는, 절연 프레임 (52) 은, 인터커넥터 (41, 45) 사이에 있어서, 일방의 면이 공기극 프레임 (51) 에, 타방의 면이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절연 프레임 (52) 에 의해, 인터커넥터 (41, 45) 사이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는, 관통공 (58) 을 갖는 프레임상의 금속제의 박판 (예를 들어, 두께 : 0.1 ㎜) 이고, 연료 전지 단셀 (44) 의 고체 전해질층 (56) 에 장착되고, 또한 산화제 가스와 연료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금속제의 프레임체이다.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에 의해, 프레임부 (43) 의 개구 (46) 내의 공간이, 산화제 가스 유로 (47) 와 연료 가스 유로 (48) 로 구획되어, 산화제 가스와 연료 가스의 혼합이 방지된다.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상면 (제 2 주면) 과 하면 (제 1 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 (58) 내에, 연료 전지 단셀 (44) 의 공기극 (55) 이 배치된다.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가 접합된 연료 전지 단셀 (44) 을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이라고 한다. 또한, 이 상세는 후술한다.
연료극 프레임 (54) 은, 절연 프레임 (52) 과 동일하게, 연료극 (57) 측에 배치되는 절연 프레임이고, 중앙부에는 개구 (46) 를 갖는다. 그 개구 (46) 에 의해, 연료 가스 유로 (48) 를 구획한다.
공기극 프레임 (51), 절연 프레임 (52),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연료극 프레임 (54) 은, 볼트 (21, 22(22a, 22b), 23(23a, 23b)) 가 삽입되거나, 혹은 산화제 가스나 연료 가스가 유통되는 관통공 (31, 32(32a, 32b), 33(33a, 33b)) 을 각각의 주변부에 갖는다.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50) 의 상세)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 전지 단셀 (44) 과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사이에 접합부 (61), 봉지부 (62) 가 배치되고,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50) 을 구성한다. 관통공 (58) 을 따라,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하면과 고체 전해질층 (56) 의 상면이 접합부 (61) 에서 접합되고, 봉지부 (62) 에서 봉지된다.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는, 주성분으로, 철 (Fe), 크롬 (Cr) 을 함유하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며, Al 을 함유한다. 이 결과,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표면에 알루미나의 피막이 형성되어, 내산화성이 향상된다. 또, 모두 Al 을 함유하는 접합부 (61) 의 Ag납, Al 을 함유하는 금속성 세퍼레이터 (53) 이기 때문에, 봉지부 (62) 의 유리와의 친화성이 양호해지고, 접합의 강도, 봉지의 기밀성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계면과의 간극이 없는 봉지) 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이것이 후술하는 돌출부 (611) 에 의한 단차의 경감과 더불어, 봉지부 (62) 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을 방지한다. 또한, 이 상세는 후술한다.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는 1.5 질량% 이상 10 질량% 미만 (일례로서, 3 질량%) 의 Al 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함유량이 1.5 질량% 미만인 경우, 접합부 (61) 에서의 접합 (유리 접합) 시에, 알루미나의 피막과 유리가 일부 반응됨으로써 Al 이 고갈되기 쉬워져, 내산화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Al 첨가량이 1 wt% 미만에서는 짧은 시간에 Al 이 고갈되기 때문에 내산화성 효과 자체를 기대할 수 없다). Al 고갈에 대한 내성의 관점에서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는, 2 wt% 이상의 Al 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가 10 질량% 이상의 Al 을 함유하면 단단해져, 가공 및 응력 완화가 곤란해진다. 또, Al 함유량이 1.5 질량% 이상이면,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알루미나 피막과 접합부 (61) (Ag납) 중의 Al 을 함유하는 산화물이 친화되어 앵커재로서 작용하여, 접합이 강화된다.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는 0.5 ㎜ 이하 (예를 들어, 0.1 ㎜)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0.5 ㎜ 를 초과하면,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10) (연료 전지 스택) 를 형성할 때에, 연료 전지 단셀 (44) 과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를 접속하는 접합부 (61) 나 봉지부 (62) 에 인가되는 응력이 완화되지 않아, 접합부 (61) 나 봉지부 (62) 가 손상될 (균열될) 우려가 있다.
접합부 (61) 는 관통공 (58) 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되고, 연료 전지 단셀 (44) 과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하면 (제 1 주면) 을 접합하는 것으로, 접합부 본체 (611), 돌출부 (612) 로 구분된다. 접합부 본체 (611) 는, 연료 전지 단셀 (44) 과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하면 (제 1 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부위이다. 돌출부 (612) 는, 연료 전지 단셀 (44) 과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하면 (제 1 주면) 사이로부터 돌출된 부위이다 (폭 (D) 의 돌출). 접합부 본체 (611) 는, 예를 들어, 2 ∼ 6 ㎜ 의 폭, 10 ∼ 80 ㎛ 의 두께를 갖는다. 돌출부 (612) 는, 예를 들어, 100 ㎛ ∼ 500 ㎛ 의 폭 (D), 10 ∼ 160 ㎛ 의 높이 (H3) (두께) 를 갖는다.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와 연료 전지 단셀 (44) 에는 단차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이 단차에서 기인하여, 봉지부 (62) 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도 6 은, 돌출부 (612) 를 갖지 않는 접합부 (61x) 를 사용함으로써, 형상 불량의 봉지부 (62x) 가 형성된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50) 을 나타낸다.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와 연료 전지 단셀 (44) 의 단차에서 기인하여, 봉지부 (62x) 가 2 개로 분리되고,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관통공 (58) 벽면 및 접합부 (61) 의 내주면이 봉지부 (62x) 로 덮여 있지 않다. 즉,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및 접합부 (61) 에 대한 봉지 재료의 친화성의 관계도 있어, 봉지 재료가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및 접합부 (61) 의 측면 (단차) 에서 밀려 봉지부 (62x) 가 2 개로 분리된다. 이 결과, 접합부 (61x) 에 산화제 가스가 직접 접촉하여, 접합부 (61x) 내에 보이드가 발생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와 연료 전지 단셀 (44) 에서의 단차가 돌출부 (612) 에 의해 경감된다 (단차의 일부가 메워진다). 이 결과, 접합부 (61) 를 봉지하는 봉지부 (62) 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방지되어, 접합부 (61) 를 봉지부 (62) 에서 보다 확실하게 봉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체 전해질층 (56) 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돌출부 (612) 의 높이 (H3) 가,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하면 (제 1 주면) (H1) 보다 높고,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상면 (제 2 주면) (H2) 이하이다. 돌출부 (612) 의 높이 (H3) 가,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하면의 높이 (H1) 보다 높으면, 높이 (H1) 보다 낮은 경우와 비교하여 단차가 보다 경감되어, 봉지부 (62) 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한편, 돌출부 (612) 가,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상면보다 높으면, 반대로 단차가 커져 봉지부 (62) 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접합부 (61) 는, Al 의 산화물 또는 복합 산화물을 함유한 Ag 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납재 (Ag납) 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Ag 에 환원 분위기에서도 안정적인, Al2O3, Al 함유 스피넬형 산화물 (MgAl2O4 등), 멀라이트 (산화알루미늄과 이산화규소의 화합물) 를 필러로서 첨가한 것, 또는, Ag 에 적어도 Al 을 첨가한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조합해도 된다.
접합 공정에 있어서, 공기극 (55) 에 사용하는 재료는 진공이나 환원 분위기에서 특성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납재가 대기하에서 납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g 는, 대기 분위기에서도 납땜 온도에서 산화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Ag납을 사용하면, 연료 전지 단셀 (44) 과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를 대기 분위기에서 접합할 수 있다.
접합부 (61) 중의 Al 의 산화물 또는 복합 산화물이,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표면의 알루미나 피막과 친화되어 앵커재로서 작용하므로,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동시에 젖음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납땜시에, Ag납이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로부터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합부 (61) 가 납 늘어짐이나 위치 어긋남을 일으켜, 봉지부 (62) 와의 접촉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도, Ag납 표면의 Al 의 산화물 또는 복합 산화물과 Al 을 함유하는 유리가 친화성을 가짐으로써, Ag납과 봉지재의 계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합부 (61) 중의 Al 의 산화물 또는 복합 산화물의 첨가량은, 1 체적%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체적% 이상), 25 체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체적% 이하) 이하이다. 첨가량이 25 체적% 를 초과하면, 접합부 (61) 중의 Ag 사이의 네킹이 약해져, 강도가 약해진다.
봉지부 (62) 는, 예를 들어, 1 ∼ 4 ㎜ 의 폭, 80 ∼ 200 ㎛ 의 두께를 갖고, 관통공 (58) 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서, 접합부 (61) 보다 관통공 (58) 측(내주측) 에 배치되고,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관통공 (58) 내에 있는 산화제 가스와 관통공 (58) 외에 있는 연료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 전지 단셀 (44) 과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사이를 봉지한다. 봉지부 (62) 가 접합부 (61) 보다 관통공 (58) 측에 배치됨으로써, 접합부 (61) 가 산화제 가스에 접촉되는 경우가 없어져, 산화제 가스 유로 (47) 측으로부터 접합부 (61) 로의 산소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결과,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해 접합부 (61) 에 보이드가 발생하여 가스가 리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지부 (62) 는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와 연료 전지 단셀 (44)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봉지부 (62) 에 작용하는 열 응력이, 인장 응력이 아니라 전단 응력이 된다. 이 때문에, 봉지재가 균열되기 어려워지고, 또 봉지부 (62) 와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혹은 연료 전지 단셀 (44) 의 계면에서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어, 봉지부 (62) 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봉지부 (62) 는, 유리를 함유하는 봉지재로 구성되어 있고, Al2O3 환산으로 1 w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wt% 이상), 30 w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wt% 이하) 의 Al 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량이 1 wt% 보다 적으면,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알루미나 피막이나 접합부 (61) 가, Ag납과 친화성이 없어져, 봉지 (열처리) 시에, Ag납이 밀리기 쉬워진다. Al2O3 의 첨가량이 30 wt% 보다 많으면, 열팽창 계수가 낮아지고,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와의 열팽창차에 의해 봉지재가 균열될 우려가 있다.
봉지부 (62) 는,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관통공 (58) 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되고, 또한 돌출부 (612) 와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상면 (제 2 주면) 의 일부를 덮는다. 봉지부 (62) 가, 돌출부 (612) 로부터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상면까지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합 및 봉지의 신뢰성이 보다 향상된다.
(변형예 1)
변형예 1 을 설명한다. 도 7 은, 변형예 1 에 관련된 연료 전지 셀 (40a) 의 단면도이다.
연료 전지 셀 (40a) 에서는, 접합부 (61) 의 돌출부 (612) 의 높이 (H3) 가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하면 (제 1 주면) (H1) 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와 연료 전지 단셀 (44) 에서의 단차가 돌출부 (612) 에 의해 경감되어, 봉지부 (62) 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방지된다.
(변형예 2)
변형예 2 를 설명한다. 도 8 은, 변형예 2 에 관련된 연료 전지 셀 (40b) 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연료 전지 셀 (40b) 의 프레임 (A) 내의 확대 단면도이다.
연료 전지 셀 (40b) 에서는, 접합부 (61) 의 돌출부 (612) 의 높이 (H3) 가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하면 (제 1 주면) 의 높이 (H1) 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와 연료 전지 단셀 (44) 에서의 단차가 돌출부 (612) 에 의해 경감되고, 봉지부 (62) 의 형성 불량 (유리의 함몰) 이 방지된다.
또, 연료 전지 셀 (40b) 에서는, 관통공 (58) 근방에서 접합부 본체 (611) 의 높이 (H3) 가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의 하면 (제 1 주면) 의 높이 (H1) 보다 낮고, 금속제 세퍼레이터 (53) 와의 사이에 간극 (S) 이 있다. 이와 같은 간극 (S) 이 있어도, 그 두께가 어느 정도 작으면 (예를 들어, 20 ㎛ 이하), 봉지부 (62) 에 의한 봉지의 실질적인 장해는 되지 않는다. 즉, 두께가 작은 간극 (S) 은 유리의 함몰 등의 원인은 되지 않는다. 간극 (S) 의 안쪽은 봉지재로 채워지지 않고 공동 (空洞) 이 될 가능성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간극 (S) 이 있어도, 그 용적 (단면적) 이 충분히 작으면 (예를 들어, 높이 20 ㎛ 이하로, 안길이 200 ㎛ 이하), 공동 내에 유지되는 가스 (대기 등) 의 양이 적기 때문에, 접합부 (61) 에 보이드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지는 않는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확장, 변경 가능하며, 확장, 변경된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 : 고체 산화물형 연료 전지
11, 12 : 엔드 플레이트
21, 22 : 볼트
31, 32 : 관통공
35 : 너트
40 : 연료 전지 셀
41, 45 : 인터커넥터
42a, 42b : 집전체
43 : 프레임부
44 : 연료 전지 단셀
46 : 개구
47 : 산화제 가스 유로
48 : 연료 가스 유로
50 :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51 : 공기극 프레임
52 : 절연 프레임
53 : 금속제 세퍼레이터
54 : 연료극 프레임
55 : 공기극
56 : 고체 전해질층
57 : 연료극
58 : 관통공
61 : 접합부
611 : 접합부 본체
612 : 돌출부
62 : 봉지부
11, 12 : 엔드 플레이트
21, 22 : 볼트
31, 32 : 관통공
35 : 너트
40 : 연료 전지 셀
41, 45 : 인터커넥터
42a, 42b : 집전체
43 : 프레임부
44 : 연료 전지 단셀
46 : 개구
47 : 산화제 가스 유로
48 : 연료 가스 유로
50 :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51 : 공기극 프레임
52 : 절연 프레임
53 : 금속제 세퍼레이터
54 : 연료극 프레임
55 : 공기극
56 : 고체 전해질층
57 : 연료극
58 : 관통공
61 : 접합부
611 : 접합부 본체
612 : 돌출부
62 : 봉지부
Claims (5)
- 공기극, 연료극, 및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고체 전해질층을 갖는 연료 전지 단셀과,
제 1 주면, 제 2 주면, 그리고 이들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 사이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 판상의 금속제 세퍼레이터와,
상기 연료 전지 단셀과,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제 1 주면을 접합하고, Ag 를 함유하는 납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부를 구비하는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로서,
상기 접합부가, 상기 연료 전지 단셀과,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제 1 주면 사이로부터 상기 관통공측으로 돌출되어 이루어지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료 전지 단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2 주면보다 낮고,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상기 관통공을 따라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제 2 주면의 일부를 덮는, 유리를 함유하는 봉지재로 이루어지는 봉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연료 전지 단셀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 1 주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가 1.5 질량% 이상 10 질량% 이하인 Al 을 함유하고,
상기 접합부가 1 체적% 이상 25 체적% 이하인, Al 의 산화물 또는 복합 산화물을 함유하고,
상기 봉지부가 Al2O3 환산으로,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인 Al 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l 의 산화물 또는 복합 산화물이 Al2O3, Al 함유 스피넬형 산화물, 또는 멀라이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을 복수 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스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224096 | 2013-10-29 | ||
JP2013224096A JP6013304B2 (ja) | 2013-10-29 | 2013-10-29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単セル,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 |
PCT/JP2014/005383 WO2015064067A1 (ja) | 2013-10-29 | 2014-10-23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単セル,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4608A true KR20160074608A (ko) | 2016-06-28 |
KR101870055B1 KR101870055B1 (ko) | 2018-06-22 |
Family
ID=5300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3245A KR101870055B1 (ko) | 2013-10-29 | 2014-10-23 |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및 연료 전지 스택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164286B2 (ko) |
EP (1) | EP3065208B1 (ko) |
JP (1) | JP6013304B2 (ko) |
KR (1) | KR101870055B1 (ko) |
CN (1) | CN105684201B (ko) |
CA (1) | CA2928319C (ko) |
DK (1) | DK3065208T3 (ko) |
WO (1) | WO201506406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83233B2 (ja) * | 2014-02-19 | 2018-02-21 |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 燃料電池 |
JP6268209B2 (ja) * | 2016-02-26 | 2018-01-24 |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 燃料電池発電単位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 |
JP6511195B2 (ja) * | 2016-11-22 | 2019-05-15 |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 電気化学反応単位、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および、電気化学反応単位の製造方法 |
JP6518821B1 (ja) * | 2018-06-06 | 2019-05-22 | 日本碍子株式会社 | セルスタック装置 |
CN208444898U (zh) * | 2018-06-13 | 2019-01-29 | 宁波索福人能源技术有限公司 | 一种平板式固体氧化物燃料电池堆 |
JP6934492B2 (ja) * | 2019-07-29 | 2021-09-15 | 日本碍子株式会社 | 燃料電池セル |
EP4071279A4 (en) * | 2019-12-03 | 2023-12-20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ELECTROCHEMICAL DEVICE |
JP7194155B2 (ja) * | 2020-10-20 | 2022-12-21 | 森村Sofc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
JP7317082B2 (ja) * | 2021-08-24 | 2023-07-28 | 森村Sofc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セパレータ付電気化学反応単セル、および、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31692A (ja) * | 1999-05-20 | 2000-11-30 | Tokyo Gas Co Ltd | 保持薄板枠付き平板型単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
JP2004319286A (ja) * | 2003-04-16 | 2004-11-11 | Tokyo Gas Co Ltd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作製方法 |
JP2009009802A (ja) * | 2007-06-27 | 2009-01-15 | Ngk Spark Plug Co Ltd | 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3047667A1 (ja) * | 2011-09-30 | 2013-04-04 | Toto株式会社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装置 |
KR101669376B1 (ko) * | 2012-08-31 | 2016-10-25 | 니뽄 도쿠슈 도교 가부시키가이샤 | 세퍼레이터 부착 연료 전지 셀, 그 제조 방법, 및 연료 전지 스택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46690A (ja) | 1989-07-14 | 1991-02-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実装方法 |
JP5198799B2 (ja) * | 2007-05-25 | 2013-05-15 |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 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 |
JP2010021038A (ja) * | 2008-07-11 | 2010-01-28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スタック |
US7855030B2 (en) * | 2009-05-01 | 2010-12-21 | Delphi Technologies, Inc. | Inhibitor for prevention of braze migration in solid oxide fuel cells |
JP5751978B2 (ja) * | 2011-08-02 | 2015-07-22 |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 燃料電池ユニット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 |
-
2013
- 2013-10-29 JP JP2013224096A patent/JP6013304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10-23 DK DK14858941.9T patent/DK3065208T3/en active
- 2014-10-23 CA CA2928319A patent/CA2928319C/en active Active
- 2014-10-23 KR KR1020167013245A patent/KR1018700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0-23 WO PCT/JP2014/005383 patent/WO2015064067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0-23 CN CN201480057914.XA patent/CN105684201B/zh active Active
- 2014-10-23 EP EP14858941.9A patent/EP3065208B1/en active Active
- 2014-10-23 US US15/032,344 patent/US1016428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31692A (ja) * | 1999-05-20 | 2000-11-30 | Tokyo Gas Co Ltd | 保持薄板枠付き平板型単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
JP3466960B2 (ja) | 1999-05-20 | 2003-11-17 | 東京瓦斯株式会社 | 保持薄板枠付き平板型単電池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
JP2004319286A (ja) * | 2003-04-16 | 2004-11-11 | Tokyo Gas Co Ltd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作製方法 |
JP2009009802A (ja) * | 2007-06-27 | 2009-01-15 | Ngk Spark Plug Co Ltd | 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3047667A1 (ja) * | 2011-09-30 | 2013-04-04 | Toto株式会社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装置 |
KR101669376B1 (ko) * | 2012-08-31 | 2016-10-25 | 니뽄 도쿠슈 도교 가부시키가이샤 | 세퍼레이터 부착 연료 전지 셀, 그 제조 방법, 및 연료 전지 스택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684201B (zh) | 2018-04-10 |
US10164286B2 (en) | 2018-12-25 |
CN105684201A (zh) | 2016-06-15 |
CA2928319A1 (en) | 2015-05-07 |
JP2015088264A (ja) | 2015-05-07 |
EP3065208A1 (en) | 2016-09-07 |
JP6013304B2 (ja) | 2016-10-25 |
KR101870055B1 (ko) | 2018-06-22 |
CA2928319C (en) | 2018-02-27 |
EP3065208A4 (en) | 2017-05-17 |
US20160276680A1 (en) | 2016-09-22 |
WO2015064067A1 (ja) | 2015-05-07 |
EP3065208B1 (en) | 2018-07-18 |
DK3065208T3 (en) | 2018-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0055B1 (ko) | 세퍼레이터가 부착된 연료 전지 단셀, 및 연료 전지 스택 | |
KR101669376B1 (ko) | 세퍼레이터 부착 연료 전지 셀, 그 제조 방법, 및 연료 전지 스택 | |
KR101912024B1 (ko) | 연료 전지 및 연료 전지 스택 | |
JP6199697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単セル,燃料電池スタ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5727428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 | |
JP2019185883A (ja) | 燃料電池 | |
JP6169429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 |
JP6185316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スタック | |
JP2016062655A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単セル | |
JP5727431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 | |
JP6118230B2 (ja) | 燃料電池スタック | |
US20100304265A1 (en) | Solid oxide fuel cell | |
JP6667278B2 (ja) |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 |
US20120015285A1 (en) | Solid oxide fuel cell | |
JP5727432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 | |
JP7023898B2 (ja) | 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 |
JP6286222B2 (ja) | 燃料電池スタック | |
JP5727429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 | |
JP5727430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 | |
WO2016175231A1 (ja) | 燃料電池スタック | |
KR101230090B1 (ko) | 밀봉재를 이용하여 단전지를 고정한 연료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20140036372A (ko) | 연료 전지용 연결재 및 이를 포함하는 구조체 | |
JP2012084469A (ja) | 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