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325A - 방담성 조성물, 방담층 및 방담성 필름 - Google Patents

방담성 조성물, 방담층 및 방담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325A
KR20160063325A KR1020167006526A KR20167006526A KR20160063325A KR 20160063325 A KR20160063325 A KR 20160063325A KR 1020167006526 A KR1020167006526 A KR 1020167006526A KR 20167006526 A KR20167006526 A KR 20167006526A KR 20160063325 A KR20160063325 A KR 20160063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oidal silica
fogging
antifogging
mass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952B1 (ko
Inventor
다카시 고토우
Original Assignee
세키수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수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수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08J7/047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4Forming anti-misting or drip-proof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8Hydrophi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0/00Agriculture-related 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담성 및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 그리고 투명성이 우수하고, 필름에 도포했을 때에 필름끼리의 밀착이 억제되는 방담성 조성물, 당해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 및 당해 방담층이 형성된 방담성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고리형으로 결합된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와,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사슬형으로 결합된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고,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과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하여,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5 ∼ 85 질량% 이고,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5 ∼ 95 질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담성 조성물, 방담층 및 방담성 필름 {ANTI-FOGGING COMPOSITION, ANTI-FOGGING LAYER AND ANTI-FOGGING FILM}
본 발명은 방담성 조성물, 방담층 및 방담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여러 가지 분야에서 필름 등의 제품에 방담성을 부여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농업 분야에서는, 농업용 작물을 재배하는 경우, 시장성 및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 염화비닐 필름이나,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체로 한 특수 필름 등의 농업용 필름에 의해 피복하여 유용 작물을 재배하는 하우스 재배나 터널 재배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상기 서술한 농업용 필름에는, 장기간 사용해도 광선 투과성이 저하되지 않는 것이나, 필름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 수적을 재배 작물에 낙하시키지 않고 필름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한다는, 이른바 방담성이 요구된다.
필름에 방담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필름을 형성하는 합성 수지 조성물에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방담제를 혼련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혼련된 방담제가 수지 표면으로 블리드 아웃됨으로써 필름에 방담성을 발현시키는 방법인데, 당해 방법에 의하면, 필름으로부터의 방담제의 블리드 아웃이 빠르기 때문에, 필름을 하우스에 전장 (展張) 후 1 년만 경과하면 방담성의 효과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해소된, 농업용 필름에 방담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액상의 방담성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필름에 액상의 방담성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합성 수지 표면에 콜로이달 실리카나 (특허문헌 1 참조), 콜로이달 알루미나 등의 (특허문헌 2 참조) 무기 미립자를 도포하여 방담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방법에서는, 필름의 방담성, 즉, 초기 방담성이나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이 충분하지 않고, 또 투명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 무기 미립자가 도포된 도포면의 밀착성이 강하기 때문에, 필름끼리의 블로킹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초기 방담성 및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 그리고 투명성이 우수하고, 필름에 도포했을 때에 필름끼리의 밀착 (블로킹) 이 억제되는 방담성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보 제 3473987 호 일본 특허 공보 제 4944311 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초기 방담성 및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 그리고 투명성이 우수하고, 필름에 도포했을 때에 필름끼리의 밀착이 억제되는 방담성 조성물, 당해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 및 당해 방담층이 형성된 방담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고리형으로 결합된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와,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사슬형으로 결합된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고,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과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하여,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5 ∼ 85 질량% 이고,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5 ∼ 95 질량% 인 방담성 조성물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방담성 조성물, 방담층 및 방담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1.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고리형으로 결합된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와,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사슬형으로 결합된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고,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과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하여,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5 ∼ 85 질량% 이고,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5 ∼ 95 질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조성물.
2.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과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가, 방담성 조성물을 100 질량% 로 하여 0.5 ∼ 15 질량% 인, 상기 항 1 에 기재된 방담성 조성물.
3. 친수성 수지 및 소수성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상기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방담성 조성물.
4. 추가로,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의 질량 (MA) 와,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 및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 (MB) 의 비 (MA)/(MB) 가 0.2 ∼ 3.0 인, 상기 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담성 조성물.
5. 상기 항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
6. 합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상기 항 5 에 기재된 방담층이 형성된 방담성 필름.
7.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은, 폴리올레핀 수지,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상기 항 6 에 기재된 방담성 필름.
8. 농업용 필름인, 상기 항 6 또는 7 에 기재된 방담성 필름.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은, (A)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고리형으로 결합된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와, (B)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사슬형으로 결합된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고,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과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하여,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5 ∼ 85 질량% 이고,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5 ∼ 95 질량% 이다. 상기 방담성 조성물은,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와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상기 특정 비율로 함유하기 때문에, 당해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이 초기 방담성 및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투명성을 나타낸다.
또, 방담성 조성물이 상기 서술한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기 때문에,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이 합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방담성 필름은, 당해 방담성 필름끼리의 밀착 (블로킹) 이 억제되어, 조출 (繰出) 작업을 실시할 때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 방담성,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방담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당해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을 구비하는 방담성 필름의 밀착이 억제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한 방담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 방담층 및 방담성 필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방담성 조성물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은,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고리형으로 결합된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와,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사슬형으로 결합된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고,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과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하여,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5 ∼ 85 질량% 이고,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5 ∼ 95 질량% 이다.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는,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고리형으로 결합된 콜로이달 실리카이다. 즉,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는, 수 개 내지 십수 개의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펄 넥클리스와 같이 고리형으로 응집된 콜로이달 실리카이다.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는, 1 차 입자가 고리형으로 응집되어 있으면 되고, 넥클리스상의 고리로부터 분기된 분기 사슬이 있어도 된다. 또, 1 차 입자에 의해 형성되는 고리는, 완전한 원형 또는 타원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일그러진 형상의 고리여도 된다. 상기 넥클리스 콜로이달 실리카의 형상은,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할 수 있다.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를 형성하는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5 ∼ 30 ㎚ 가 바람직하고, 8 ∼ 2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경이 상기 범위의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방담성이 우수한 방담성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JIS Z 8830 에 준거한 BET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는, 1 차 입자가 결합하여, 70 ∼ 200 ㎚ 의 길이로 늘어서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80 ∼ 150 ㎚ 의 길이로 늘어서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길이는, 1 차 입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2 차 입자의 고리 한 바퀴의 길이이다.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길이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방담성 조성물이 보다 방담성이 우수하다.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길이는, 전자 현미경에 의해 사진 촬영하고, 촬영된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 한 바퀴의 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시판품으로는, 닛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 상품명 :「ST-PS-S」, 「ST-PS-M」, 「ST-PS-SO」, 「ST-PS-S-K」, 「ST-PS-MO」를 들 수 있다.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는,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수 개 내지 십수 개 사슬형으로 결합된 콜로이달 실리카이며, 고리형 구조를 갖지 않는 콜로이달 실리카이다.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는, 1 차 입자가 사슬형으로 응집되어 있으면 되고,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지 사슬형이어도 된다.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형상은,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할 수 있다.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형성하는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5 ∼ 20 ㎚ 가 바람직하고, 10 ∼ 15 ㎚ 가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입자경이 상기 범위의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방담성 조성물이 투명성이 우수하다.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JIS Z 8830 에 준거한 BET 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는, 1 차 입자가 결합하여, 30 ∼ 150 ㎚ 의 길이로 늘어서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 100 ㎚ 의 길이로 늘어서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길이는, 1 차 입자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사슬형 2 차 입자의 주사슬의 길이와 분지 사슬의 길이의 합계의 길이이다.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길이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방담성 조성물이 투명성이 우수하다.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길이는, 전자 현미경에 의해 사진 촬영하고, 촬영된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주사슬의 길이와 분지 사슬의 길이를 측정하여 합계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시판품으로는, 닛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인 「스노텍스-UP」시리즈 등을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품명 :「ST-UP」, 「ST-OUT」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에 사용되는 콜로이달 실리카는,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과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하여,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5 ∼ 85 질량% 이고,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5 ∼ 95 질량% 이다.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0 ∼ 80 질량% 이고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20 ∼ 9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0 ∼ 75 질량% 이고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25 ∼ 9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0 ∼ 30 질량% 이고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70 ∼ 90 질량%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0 ∼ 20 질량% 이고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80 ∼ 90 질량%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콜로이달 실리카의 배합비를 상기 배합비로 함으로써, 방담성 조성물의 초기 방담성,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당해 방담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방담성 필름끼리의 밀착도 억제되어, 이들 특성이 특히 우수한 방담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과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는, 방담성 조성물을 100 질량% 로 하여 0.5 ∼ 15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10 질량%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가 지나치게 많으면 백탁화되어 외관이 나빠질 우려가 있고, 지나치게 적으면 양호한 방담 효과를 발현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 및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는,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물에 분산된 제품 그 자체, 또는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실리카 분말을 물에 분산시켜 수성 졸로 한 것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액상으로 사용된다. 액상 분산매로는, 물을 포함하는 친화성 내지 수 혼합성 용매가 있으며, 물 ;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1 가 알코올류 ;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류 ; 벤질알코올 등의 고리형 알코올류 ; 셀로솔브아세테이트류 ;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액상 분산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병용하여 사용해도 된다.
(다른 성분)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은,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 및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고 있으면, 추가로,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무기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콜로이달 알루미나, 구상 콜로이달 실리카, 실리콘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은,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 및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합성 수지 필름에 강고하게 밀착시키기 위해, 바인더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바인더 성분으로는, 소수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당해 소수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아크릴 변성 우레탄 수지, 우레탄 변성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방담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방담층의 내수성 및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 면에서 소수성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유리 전이 온도가 30 ∼ 85 ℃ 인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30 ∼ 85 ℃ 인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5 ∼ 20 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는, 예를 들어, 탄소수 4 ∼ 20 의 불포화 결합을 갖는 올레핀계 단량체를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부타디엔, 이소부텐,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메트)아크릴계 단량체와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및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아니온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수성 조성물 또는 에멀션의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로는, 방담층의 합성 수지 필름과의 밀착성, 내수성 및 표면 강도 (내찰상성) 가 우수한 점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아니온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에멀션이 바람직하고, 방담층의 내수성 및 내찰상성이 더욱 향상되고, 또한 방담성을 발현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방담성이 지속되는 점에서, 실란올기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계의 아니온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에멀션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바인더 성분으로는, 친수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당해 친수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아세트산비닐계 수용성 수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방담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방담층의 내수성 및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 면에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EVOH) 가 바람직하다. 이들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이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바인더 수지의 질량 (MA) 와,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 및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 (MB) 의 비 (MA)/(MB) 가 0.2 ∼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MA)/(MB) 가 0.2 이상이면, 상기 방담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방담층이 보다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MA)/(MB) 가 3.0 이하임으로써, 상기 방담성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방담층을 구비하는 방담성 필름은 보다 높은 방담성을 발휘할 수 있어,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의 필름끼리의 밀착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MA)/(MB) 는 0.2 ∼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 0.6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은 또한 계면 활성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계면 활성제를 함유함으로써, 도포성이 우수한 방담성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무기 필러,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산화 방지제, 활제, 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 등을 통상적인 양으로 배합할 수 있다.
무기 필러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의 산화물, 수산화물, 탄산염, 규산염, 및 그 복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클레이 (카올린 클레이, 소프트 클레이, 하드 클레이, 소성 클레이, 납석 클레이), 탤크 (활석, 프렌치 초크), 아스베스토스 (크리소타일, 크로시돌라이트, 암모나이트, 안소필라이트, 트레몰라이트, 액티놀라이트), 마이카, 벤토나이트, 세리사이트, 제올라이트, 아타풀자이트, 속돌 가루, 슬레이트 가루, 장석 가루, 규회석, 산성백토, 트리폴리석, 질석, 함수 또는 무수의 침강성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등으로 대표되는 규산염, 하이드로탈사이트류 (함수 또는 무수 알루미늄/마그네슘 염기성 탄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알루미늄/Zn 염기성 탄산염, 황산염, 질산염, 인산염), 삼산화안티몬, 산화마그네슘,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알루미늄 (함수 또는 무수) 등의 산화물,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경질 탄산칼슘, 교질 탄산칼슘 또는 침강성 탄산칼슘, 호분, 초크, 위칭, 산석), 탄산마그네슘 (침강성, 함수 및 무수) 등의 탄산염, 황산바륨 (바라이트 가루), 침강성 황산바륨, 황산칼슘 (석고, 연석고 또는 침강성), 블랑 픽스 (blanc fixe) 등의 황산염, 라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의 수산화물, 카본 블랙 (퍼니스, 채널, 램프, 서멀, 아세틸렌), 그라파이트, 탄소 섬유, 탄소구, 무연탄 가루 등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물질, 구리, 알루미늄, 브론즈, 납, 아연, 스틸 등의 금속의 분말, 섬유, 위스커 혹은 와이어, 또는 섬유상, 구상, 발포, 플라이애시구, 시라스 벌룬 등의 유리 물질, 바륨페라이트, 마그네타이트, 이황화몰리브덴, 티탄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벤조페논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페닐살리실레이트계 등의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또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광 안정제로는, 방담성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배합되는 여러 가지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4-아세톡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딘)아디페이트,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벤젠-1,3,5-트리카르복실레이트 등의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는,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tert-부틸-4-에틸페놀),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활제 내지 열 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왁스, 유동 파라핀, 비스아미드,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아연, 지방족 알코올,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바륨, 리시놀레산바륨,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말레이트, 유기 인산 금속염, 유기 포스파이트 화합물, 페놀류, β-디케톤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각종 첨가제는 각각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첨가제의 배합량은, 방담성 조성물의 성능을 악화시키지 않는 범위, 통상은 방담성 조성물 100 질량부당 10 질량부 이하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 바인더 성분, 물, 및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첨가하고, 호모게나이저 등의 교반 장치에 의해 교반 혼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2. 방담층
본 발명은 상기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이기도 하다. 당해 방담층은, 상기 방담성 조성물을 후술하는 합성 수지 필름 등의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방담층의 두께는, 도포 후의 방담성 조성물의 고형분의 두께로서, 0.1 ∼ 5 ㎛ 정도가 바람직하고, 0.2 ∼ 3 ㎛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합성 필름 등의 표면에 방담성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방담성 조성물을 닥터 블레이드 코트법, 롤 코트법, 딥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로드 코트법,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브러시 도장 등의 공지된 도포 방법을 들 수 있다. 도포된 방담성 조성물을 건조시킴으로써, 방담층을 형성할 수 있다. 건조 방법은 자연 건조 또는 강제 건조 중 어느 방법을 채용해도 되고, 강제 건조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30 ∼ 1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00 ℃ 의 온도 범위에서 건조시키면 된다. 또, 강제 건조로는 가열 건조를 들 수 있으며, 당해 가열 건조로는, 열풍 건조법, 적외선 건조법, 원적외선 건조법 등을 들 수 있다.
3. 방담성 필름
본 발명은 합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상기 방담층이 형성된 방담성 필름이기도 하다. 합성 수지 필름에 상기 방담층을 형성함으로써, 초기 방담성,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필름끼리의 밀착이 억제된 방담성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염화비닐 수지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농업용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투명성, 내후성 및 경제성 면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합성 수지 필름 상에 방담층을 형성할 때의 방담성 조성물의 도포 방법, 도포 조건, 방담층의 두께 등은, 상기 방담층에 있어서 설명한 방법에 의하면 된다.
합성 수지 필름과 방담층의 접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합성 수지 필름의 표면에, 미리 플라즈마 방전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등의 전처리를 실시해 두어도 된다.
상기 방담성 필름은 농업용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담성 필름은 초기 방담성 및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 그리고 투명성이 우수하고, 또한 필름에 도포했을 때에 필름끼리의 밀착이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농업용 필름으로서 작물 재배용 하우스, 터널 등에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다.
상기 방담성 필름을 농업용 필름으로서 사용하여 하우스에 전장하는 경우, 방담층이 하우스의 내측이 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전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담층이 하우스의 내측이 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방담성 필름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 수적이 재배 작물에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방담성 필름은, 방담층이 합성 수지 필름의 양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방담층이 합성 수지 필름의 양면에 형성된 방담성 필름을 농업용 필름으로서 사용하여 하우스에 전장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우스의 내측이 되는 면에 형성된 방담층에 의해, 수적이 재배 작물에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데다가, 또한 하우스의 외측이 되는 면에 형성된 방담층에 의해 하우스 외면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담성 조성물은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와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특정 비율로 함유하기 때문에, 당해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이, 초기 방담성 및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이 우수하고, 또한 높은 투명성을 나타낸다.
또, 방담성 조성물이 상기 서술한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기 때문에,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이 합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방담성 필름은, 당해 방담성 필름끼리의 밀착 (블로킹) 이 억제되어, 조출 작업을 실시할 때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 방담성, 방담 성능의 장기 지속성 및 투명성을 겸비한 방담성 조성물을 얻을 수 있으며, 당해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을 구비하는 방담성 필름은 밀착이 억제되어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방담성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담성 필름의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방담성 필름의 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합성 수지 필름의 조제)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 다우 케미컬사 제조, 상품명 「엘리트 5100」, 밀도 0.920 g/㎤, MFR 0.8 g/10 분), 적외선 흡수제 (무기 필러 : 쿄와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DHT-4A」), 및 광 안정제 (HALS : BASF 재팬사 제조, 상품명 「TINUVIN783」) 를 표 1 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혼합하고, 25 ㎜φ 다이를 구비하는 단층 인플레이션 성형 장치 (HAAKE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성형 온도 170 ℃, 블로비 2.0 의 조건에서 압출 성형하여, 두께 150 ㎛ 의 합성 수지 필름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조제한 합성 수지 필름의 편면에, 표 1 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콜로이달 실리카, 계면 활성제로서 비이온 계면 활성제 (에어 프로덕츠 앤드 케미컬즈사 제조 : 상품명 「서피놀 465」), 및 분산매로서 탈이온수를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방담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하여 조제한 방담성 조성물을, #7 바 코터를 사용하여 합성 수지 필름 상에 도포하였다. 방담성 조성물이 도포된 합성 수지 필름을 80 ℃ 의 오븐 중에서 1 분간 유지하고, 방담성 조성물의 액상 분산매를 휘산시켜 방담층으로 함으로써, 방담성 필름을 조제하였다. 방담성 필름을 형성하는 방담층의 피막의 두께는 약 2 ㎛ 였다.
실시예 2 ∼ 6 및 비교예 1 ∼ 6
방담성 조성물의 배합을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담성 필름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7 및 8
표 2 의 바인더 수지를 사용하고, 방담성 조성물의 배합을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방담성 필름을 조제하였다.
조제된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6 의 방담성 필름에 대하여, 이하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투명성 시험> (헤이즈 측정)
JIS K 7105 에 준거한 측정 방법에 의해, 닛폰 덴쇼쿠 공업사 : MDH2000 을 사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 17 이하
△ : 17 을 초과하고, 24 이하
× : 24 를 초과함
<안티블로킹 시험>
JIS P 8147 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테스터 산업 주식회사 : AB-502 마찰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하기 측정 조건에 의해 경사 각도를 측정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즉, 13 ㎝ × 20 ㎝ 의 시험편을, 도막면이 상방에 오도록 하여 양단을 테이프로 고정하였다. 또, 1000 ㎎ (6.3 ㎝ × 10.2 ㎝) 의 슬라이딩편(片)에, 10 ㎝ × 11 ㎝ 의 시험편을 도막면이 하방에 오도록 하여 테이프로 첩부하였다. 2 개의 시험편의 도포면끼리가 스치도록 세팅하고, 슬라이딩편이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경사 각도를 측정하였다.
◎ : 25 이하
○ : 25 를 초과하고 35 이하
△ : 35 를 초과하고 45 이하
× : 45 를 초과함
<방담성 시험> (초기 방담성)
물을 넣은 수조의 상부에, 시험편의 도포면이 수조측이 되도록, 수면에 대해 30°의 각도를 주어 시험편을 설치하였다. 수조 내의 수면과 시험편의 하단의 거리를 30 ㎝ 로 하였다. 이 상태에서, 외기온 20 ℃, 수온 40 ℃ 의 조건하에서 1 시간 유지하고, 시험편의 표면에 부착된 수적이 흘러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계측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 15 분 이하
○ : 15 분을 초과하고 25 분 이하
△ : 26 분을 초과하고 35 분 이하
× : 35 분을 초과함
<방담성 시험> (장기 지속성)
물을 넣은 수조의 상부에, 시험편의 도포면이 수조측이 되도록, 수면에 대해 30°의 각도를 주어 시험편을 설치하였다. 수조 내의 수면과 시험편의 하단의 거리를 30 ㎝ 로 하였다. 이 상태에서, 외기온 20 ℃, 수온 40 ℃ 의 조건하에서 40 일간 유지하고, 시험편의 표면에 수적이 부착되어 있는 면적을 5 일, 10 일, 20 일, 30 일, 40 일의 시점에서 계측하고,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 : 수적의 부착 면적이 시험편 면적의 10 % 이하
△ : 수적의 부착 면적이 시험편 면적의 10 % 를 초과하고 50 % 이하
× : 수적의 부착 면적이 시험편 면적의 50 % 를 초과함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1 : 방담성 필름,
2 : 합성 수지 필름,
3 : 방담층

Claims (8)

  1.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고리형으로 결합된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와, 콜로이달 실리카의 1 차 입자가 사슬형으로 결합된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를 함유하고,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과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를 100 질량% 로 하여,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5 ∼ 85 질량% 이고,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이 15 ∼ 95 질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과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가, 방담성 조성물을 100 질량% 로 하여 0.5 ∼ 15 질량% 인 방담성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친수성 수지 및 소수성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방담성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의 질량 (MA) 와, 상기 넥클리스상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 및 상기 사슬형 콜로이달 실리카의 고형분 질량의 합계 (MB) 의 비 (MA)/(MB) 가 0.2 ∼ 3.0 인 방담성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담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방담층.
  6. 합성 수지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제 5 항에 기재된 방담층이 형성된 방담성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수지 필름은, 폴리올레핀 수지,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방담성 필름.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농업용 필름인 방담성 필름.
KR1020167006526A 2013-09-30 2014-09-26 방담성 조성물, 방담층 및 방담성 필름 KR102182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5638 2013-09-30
JP2013205638A JP5474246B1 (ja) 2013-09-30 2013-09-30 防曇性組成物、防曇層及び防曇性フィルム
PCT/JP2014/075666 WO2015046443A1 (ja) 2013-09-30 2014-09-26 防曇性組成物、防曇層及び防曇性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325A true KR20160063325A (ko) 2016-06-03
KR102182952B1 KR102182952B1 (ko) 2020-11-25

Family

ID=5074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526A KR102182952B1 (ko) 2013-09-30 2014-09-26 방담성 조성물, 방담층 및 방담성 필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74246B1 (ko)
KR (1) KR102182952B1 (ko)
WO (1) WO2015046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4246B1 (ja) * 2013-09-30 2014-04-16 積水フィルム株式会社 防曇性組成物、防曇層及び防曇性フィルム
JPWO2016153050A1 (ja) * 2015-03-25 2018-01-11 積水フィルム株式会社 防曇性組成物及び防曇性フィルム
JP2018170976A (ja) * 2017-03-31 2018-11-08 住化積水フィルム株式会社 農業用フィルム
JP6943664B2 (ja) * 2017-07-20 2021-10-06 株式会社ネオス 防曇塗料組成物及び防曇塗膜ならびに防曇物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4311B1 (ko) 1969-12-29 1974-11-27
JPH07327522A (ja) * 1994-06-08 1995-12-19 C I Kasei Co Ltd 防曇性農業用被覆材
JP2003049003A (ja) * 2001-02-05 2003-02-21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JP2003253242A (ja) * 2001-12-25 2003-09-10 Sekisui Film Kk 塗布防曇剤および農業用フィルム
JP2004099695A (ja) * 2002-09-06 2004-04-02 Sekisui Film Kk 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4311B2 (ja) * 2001-04-27 2012-05-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JP5474246B1 (ja) * 2013-09-30 2014-04-16 積水フィルム株式会社 防曇性組成物、防曇層及び防曇性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4311B1 (ko) 1969-12-29 1974-11-27
JPH07327522A (ja) * 1994-06-08 1995-12-19 C I Kasei Co Ltd 防曇性農業用被覆材
JP3473987B2 (ja) 1994-06-08 2003-12-08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防曇性農業用被覆材
JP2003049003A (ja) * 2001-02-05 2003-02-21 Sekisui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JP2003253242A (ja) * 2001-12-25 2003-09-10 Sekisui Film Kk 塗布防曇剤および農業用フィルム
JP2004099695A (ja) * 2002-09-06 2004-04-02 Sekisui Film Kk 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74246B1 (ja) 2014-04-16
WO2015046443A1 (ja) 2015-04-02
KR102182952B1 (ko) 2020-11-25
JP2015065951A (ja) 201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7963B2 (ja) 相乗効果を示す抗菌性材料
JP2021091603A (ja) 抗菌性ガラス組成物、それを含むガラス、およびポリマー物品
KR20160063325A (ko) 방담성 조성물, 방담층 및 방담성 필름
KR101391044B1 (ko) 친환경 금속 표면처리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금속 가공품
WO2014010625A1 (ja) 農業用多層フィルム
JP5063668B2 (ja) 梨地状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JP2016130274A (ja) 防曇性組成物及び防曇性フィルム
JP5693765B1 (ja) 防曇性組成物、防曇層及び防曇性フィルム
JP6799548B2 (ja) 無色銅含有材料
WO2016153050A1 (ja) 防曇性組成物及び防曇性フィルム
JP2003049003A (ja)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JP4944311B2 (ja) 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DE60108882T2 (de) Antistatische ionomer-mischung
JP2006248043A (ja) 農業用フィルム
JP2017052918A (ja) 防曇性組成物及び防曇性フィルム
JP2018065990A (ja) 防曇性組成物及び防曇性フィルム
JP2018170976A (ja) 農業用フィルム
JP3898771B2 (ja)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
JP2004099695A (ja) 塗布防曇剤及び農業用フィルム
TW200835729A (en) Lead-free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and extruded object based on lead-free vinyl chloride
JPH0753747A (ja) 農業用フィルム
JP2008247678A (ja) 酸化亜鉛系微粒子およびその用途
JP6518170B2 (ja) 農業用フッ素含有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農業用被覆資材
JP2005126647A (ja) 防曇剤および農業用フィルム
JPH04271729A (ja) 農業用軟質塩化ビニル系樹脂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