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409A - 이방 점착성 시트 - Google Patents

이방 점착성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409A
KR20160044409A KR1020150131456A KR20150131456A KR20160044409A KR 20160044409 A KR20160044409 A KR 20160044409A KR 1020150131456 A KR1020150131456 A KR 1020150131456A KR 20150131456 A KR20150131456 A KR 20150131456A KR 20160044409 A KR20160044409 A KR 20160044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resin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208B1 (ko
Inventor
마스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9J7/02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2201/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착체에 강고하게 접착하고, 피착체의 불필요하거나 첩합을 수정할 때에, 피착체로부터 간단히 박리할 수 있는 점착 시트를 제공한다. 기재나 점착제에 제약을 받지 않고, 또한 박리하는 방향에 따라 상이한 박리성을 갖는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공한다. 기재(1)의 적어도 한쪽 면에 요철 구조의 단면을 갖는 수지층(2)과, 수지층(2)의 요철 구조를 메우는 점착제층(3)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이방 점착성 시트(10)로서, 수지층(2)의 요철 구조의 패턴 형상에 이방성이 있음과 함께, 점착제층(3)의 표면이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가 5㎛ 이하이며, 평활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이방 점착성 시트{ANISOTROPIC ADHESIVE SHEET}
본 발명은 박리하는 방향에 따라 상이한 박리성을 나타내고, 특정 방향에 대한 강고한 접착성과, 특정 방향 이외의 방향에 대한 우수한 박리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이방 점착성 시트에 관한 것이다.
점착 시트나 점착 테이프 등의 점착 제품은 많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사용 용도에 맞추어, 적당한 점착력의 점착제를 선정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영구적으로 접착시키는 용도로는 점착력이 강한 점착제가 사용되고, 재박리되는 용도로는 점착력이 약한 점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벽지, 윈도우 필름(유리창용 필름), 마킹 시트 등의 점착 제품에 있어서는, 점착력이 강한 점착제가 필요로 되는데, 부착 위치를 수정할 때, 첩합시에 기포나 이물질이 끼어들었을 때, 및 점착 제품을 바꿔 붙일 때 등에 용이하게 박리하고자 하는 상반되는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바펜이나 시일, 각종 점착 테이프에 대해서는 불필요시에 제거했을 때, 점착제가 피착체에 잔존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수신인명 라벨이나 택배편의 운송장 등이 첩착된 골판지 상자나 봉투 등의 포장 용기에 대해서는 종래는 수신인명 라벨 등이 첩착된 채로 폐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개인 정보의 누설을 방지하고자 하는 이유 등에 의해, 수신인명 라벨 등의 개인 정보를 기재한 부분을 간단히 박리하고, 골판지 상자 등의 포장 용기를 폐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광학 필름이나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금속판이나 강판용 보호 시트 등은 피착체에 첩합하여 사용할 때에는 박리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불필요시에는 피착체로부터 간단히 박리할 수 있는(경박리화되어 있는) 점착 시트가 요망되고 있다. 즉, 영구적으로 접착시키는 용도 및 재박리되는 용도에 있어서, 피착체에 대해 강고하게 접착하고, 피착체가 불필요하거나 첩합을 수정할 때에 피착체로부터 간단히 박리할 수 있는 점착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접착성과 박리성의 양립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여러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가열 처리로 접착력이 저하 내지 상실되도록 한 가열 박리형 점착 시트로서 기재 상에 발포제 함유 점착제층을 형성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방사선 조사에 의해 점착제를 경화시켜, 점착력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점착 테이프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착 시트는 자외선 조사 장치나 가열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곳에서는 경박리화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박리하는 방향에 따라 점착력이 상이한 점착 시트도 몇 가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3에는 부분적으로 배향 및 결정화된 엘라스토머를 사용한 감압 점착 제품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기재 및/또는 점착제층 중 적어도 한 층 중에, 이방 형상의 강체 입자 및/또는 섬유가 배향되어 분산되어 있는 이방 박리성 점착 테이프가 소개되어 있다. 이들 제안은 경박리화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설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작업성이 우수하지만, 점착제 재료가 특정 물질로 한정되기 때문에, 점착제의 특성 범위가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이방 가요성을 갖는 지지체를 사용한 이방 점착성 성형품이 제안되어 있다. 이방 가요성을 갖는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으로, 점착제의 재료 자체는 특정 물질에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의 특성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 이점이 있는 반면, 지지체의 구조가 한정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고실용신안공보 소50-01387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1969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5023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898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018227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피착체에 대해 강고하게 접착되고, 불필요하거나 첩합을 수정할 때에 피착체로부터 간단히 박리할 수 있는 점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박리하는 방향에 따라 상이한 박리성을 나타내고, 특정 방향에 대한 강고한 접착성과, 특정 방향 이외의 방향에 대한 우수한 박리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기재와 점착제층 사이에 수지층을 형성하고, 수지층의 점착제층과 접하는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점착 시트의 점착력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수지층 표면의 요철 구조의 패턴에 이방성을 부여함으로써, 박리 방향에 따라 박리력(점착력)이 상이한 점착 시트가 생기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요철 구조의 단면을 갖는 수지층과, 당해 수지층의 요철 구조를 메우는 점착제층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로서, 당해 수지층의 요철 구조의 패턴 형상에 이방성이 있음과 함께,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이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가 5㎛ 이하이며, 평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의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T1)와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T2)의 비율(K)이 K=T1/T2=0.2∼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피착체를 유리판으로 했을 때, 상기 수지층의 볼록 형상을 따른 방향의 점착력(τ1)과 상기 수지층의 볼록 형상에 직교한 방향의 점착력(τ2)의 비율(R)이 R=τ1/τ2=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방 점착성 시트는 박리하는 방향에 따라 상이한 박리성을 나타내고, 특정 방향에 대한 강고한 접착성과, 특정 방향 이외의 방향에 대한 우수한 박리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이로써, 피착체에 대해 강고하게 접착하고, 불필요하거나 첩합을 수정할 때에, 피착체로부터 간단히 박리할 수 있는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방 점착성 시트는 기재 및 점착제의 재료의 종류에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이방 점착성 시트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a)∼(c)는 각각 본 발명의 이방 점착성 시트의 점착제층을 적층하기 전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적 사시도이다.
도 3(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이방 점착성 시트를 사용한 제품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방 점착성 시트의 개념을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 이방 점착성 시트(10)는 기재(1)의 타방의 표면에 수지층(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층(2)의 표면에는 점착제층(3)이 형성되어 있다. 수지층(2)은 점착제층(3)측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있다. 도 1(a)의 경우, 수지층(2)의 하부(2a)가 기재(1)의 표면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수지층(2)의 상부(2b)만이 요철 구조를 갖고 있다. 도 1(b)의 경우, 수지층(2)은 기재(1)의 표면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수지층(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서는 점착제층(3)이 기재(1)의 표면에 접촉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방 점착성 시트(10)에 사용되는 기재(1)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종이, 수지 필름, 수지 시트, 금속 함유 시트, 무기물 함유 시트, 또는 이들을 적층한 시트 등을 전부 사용할 수 있다. 종이 기재로는, 상질지, 클레이 코트지, 아트 코트지, 수지 코트지, 글라신지,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의 기재로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아크릴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등의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수지 시트의 기재로는, 폴리올레핀 시트, 염화비닐 시트, 폴리에스테르 시트, 폴리아미드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함유 시트로는, 알루미늄박, 구리박, 스테인리스박 등의 금속박, 금속박과 수지 필름의 적층 시트, 알루미늄 증착 시트 등의 금속 증착 시트(증착 필름이어도 된다), 금속 입자를 함유한 수지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무기물(화합물) 함유 시트로는, 알루미나 증착 시트, 실리카 증착 시트라는 무기물 증착 시트(증착 필름이어도 된다) 등을 들 수 있다.
기재(1)의 재질이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용 용도에 맞춘 재질, 두께이면 된다. 이 때문에,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시트 및 필름의 용어는 특별히 두께의 구별 없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일방의 용어가 타방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지층(2)의 도공성 및 밀착성 향상을 위해, 기재(1)의 수지층(2)측의 표면에 필요에 따라,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에 의한 표면 개질이나, 앵커 코트제의 도부 등의 이접착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기재(1)의 수지층(2)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용도에 따른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점착 테이프의 용도로는, 실리콘 등의 이형제를 도포하여 이형제층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윈도우 필름의 용도로는, 하드 코트제나 오염 방지제, 적외선(열선) 커트제나 자외선 커트제 등의 도포층을 형성해도 된다. 라벨, 벽지, 시일, 바펜, 스티커 등의 용도로는, 각종 인쇄층이나, 수상층, 보호층 등에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방 점착성 시트(10)에 사용되는 수지층(2)은 이방 점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해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도 2에 본 발명의 이방 점착성 시트의 점착제층을 적층하기 전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도 2(a)에서는 수지층(2)의 상부(2b)의 단면 형상이 대략 반원 형상의 볼록 형상을 하고 있다. 도 2(b)에서는 수지층(2)의 상부(2b)의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볼록 형상을 하고 있다. 도 2(c)에서는 수지층(2)의 상부(2b)의 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 형상의 볼록 형상을 하고 있다. 도 2의 각 도면은 도 1(a)와 같이, 수지층(2)의 하부(2a)가 연속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지만, 도 1(b)과 같이, 수지층(2)이 불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방 점착성 시트(10)는 수지층(2)이 점착제층(3)측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또한 이 요철 구조의 패턴이 이방성(세로, 가로 또는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요철 구조의 패턴 형상이 상이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방 점착성 시트의 점착력은 점착제와 피착체의 계면의 접착력(1)과, 점착제층 내부의 점착제층을 변형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응력(2)의 합산 값으로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착제층을 변형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응력(2)을 박리 방향에 따라 차이를 둠으로써, 이방 점착성을 발휘시키는 것을 컨셉으로 하고 있다. 수지층(2)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점착제층(3)의 두께를 바꾸어, 이방 점착성 시트(10)를 박리할 때,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점착제층의 체적을 변화시켜, 박리하는 방향에 따라 점착력에 차이가 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수지층(2)에 사용하는 수지의 저장 탄성률은 점착제층(3)에 사용하는 점착제의 저장 탄성률보다 큰 것이 필요하다.
수지층(2)에 사용하는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요철 구조를 형성,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올레핀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초산비닐 수지, 질화면(니트로셀룰로오스), 알키드 수지, 페놀 수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기재(1)에 수지층(2)을 형성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면 되고, 기재(1)에 수지 도료를 코팅하는 방법이나, 기재(1)에 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적층하는 방법(압출 라미네이트법), 미리 수지 시트를 제작하여, 기재(1)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층하는 방법(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방 점착성 시트(10)는 수지층(2)이 점착제층(3)측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갖고, 또한 이 요철 구조의 패턴이 이방성(세로, 가로 또는 비스듬히 보았을 때의 요철 구조의 패턴 형상이 상이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방성을 갖는 요철 구조의 패턴 형상으로는 장척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1)의 흐름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줄무늬 형상(세로 줄무늬 형상이나 가로 줄무늬 형상)으로 볼록부(또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패턴 형상이 가장 일반적이다. 이 밖에, 장척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1)의 흐름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에 줄무늬 형상으로 볼록부(또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패턴 형상이나, 원주상의 오목 패턴을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에 불연속적으로 나열한 패턴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2)에 이방성을 갖는 요철 구조의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예를 들면, 기재(1) 상에 용융한 수지를 압출하고, 패턴을 형성한 냉각 롤로 눌러, 냉각 롤의 패턴을 전사하는 방법, 기재(1) 상에 수지 도료를 그라비아 공법으로 패턴 도공하는 방법, 기재(1) 상에, 열가소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 수지를 균일하게 도공하고, 패턴을 자른 형태를 가압하여 패턴 형상을 수지 표면에 전사하는 방법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수지층(2)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패턴의 형상이나 패턴부의 오목 부분의 깊이, 점착제의 피막 물성 등에 의해, 적당한 두께를 선정하면 된다. 수지층(2)의 두께는 3∼50㎛ 정도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미만에서는 박리 방향에 의한 점착력의 차이가 발현되기 어렵고, 50㎛를 초과하면, 비용면에서 불리해져, 수지층(2)의 가공성이 떨어지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수지층(2)의 점착제층(3)과 접하는 표면에, 점착제층의 투묘력 향상을 위해,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등에 의한 표면 개질이나, 앵커 코트층을 형성하는 등의 이접착 처리를 행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방 점착성 시트(10)에 사용되는 점착제층(3)은 피착체 표면에 접착되고, 사용시에는 강고하게 접착되며, 사용 후, 또는 불필요하거나 첩합을 수정할 때에는 가볍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사용시에 강고하게 접착하기 위해, 점착제층(3)의 표면은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3)의 표면의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가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착체에 대한 밀착성이 나빠지거나 피착체에 이방 점착성 시트(10)를 첩합할 때, 기포가 혼입될 우려가 있다.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 사용 용도에 맞춘 점착제를 사용하면 된다. 점착제층(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100㎛ 정도로 하는 경우가 많다. 점착제층(3)의 두께가 5㎛ 미만이면, 수지층(2)의 요철 구조를 메우는 것이 곤란하고, 100㎛를 초과하면 성능면에서는 문제 없지만, 가격이 높아지는 것이 문제가 된다.
수지층(2)의 두께, 점착제층(3)의 두께 및 수지층(2)의 패턴(오목부의 깊이나 폭, 간격 등) 형상에 의해, 이방 점착성의 정도(수지층(2)의 볼록 형상을 따른 방향의 점착력(τ1)과 수지층(2)의 볼록 형상에 직교한 방향의 점착력(τ2)의 비율(R))가 변화한다. 이방 점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수지층(2)의 두께, 점착제층(3)의 두께 및 수지층(2)의 패턴 형상의 설계가 중요해진다. 이방 점착성 시트(10)는 점착제층(3)의 표면이 평활한 점에서, 수지층(2)이 두꺼운 부분에서의 점착제층(3)의 두께가 수지층(2)이 없는 부분, 또는 수지층(2)이 얇은 부분에 비해, 얇아진다. 점착제층(3)의 두꺼운 부분과 얇은 부분이 혼재함으로써, 이방 점착성을 발현하고 있다. 이 점착제층(3)의 두께의,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T1)와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T2)의 비율(K)은 K=T1/T2=0.2∼0.8인 것이 바람직하다. K가 0.2 미만일 때나 0.8을 초과할 때는 이방 점착성이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점착제는 주제만으로 이루어지는 1액형 점착제여도 되고, 주제와 경화제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2액형 점착제여도 된다.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 등의 밀착성 향상제나, 점착 특성의 개선을 위한 점착 부여제(택키파이어), 내구성 향상을 위한 산화 방지제나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 효과를 부여하는 대전 방지제, 경화 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 점착 시트의 착색이나 차광성 부여를 위한 안료나 필러 등을 첨가해도 된다.
점착제층(3)에 첨가하는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 부여제로는, 로진계, 쿠마론인덴계, 테르펜계, 석유계, 페놀계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3)의 형성 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재(1)와 수지층(2)이 적층된 시트에, 리버스 코팅, 콤마 코팅, 그라비아 코팅, 슬롯 다이 코팅, 메이어 바 코팅, 에어 나이프 코팅 등의, 공지의 도공 방법을 이용하여 점착제를 도포하고, 그 후, 건조·경화를 행하면 된다.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서는, 자외선 등의 방사선을 조사해도 된다. 또한, 점착제의 경화를 촉진하기 위해 소정의 온도에서 에이징(양생)을 행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이방 점착성 시트는 박리하는 방향에 따라 점착력이 상이한 것이 특징이다. 피착체를 유리판으로 했을 때, 수지층(2)의 볼록 형상을 따른 방향에서의 점착력(τ1)과 수지층(2)의 볼록 형상에 직교한 방향에서의 점착력(τ2)의 비율(R)이 R=τ1/τ2=0.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R이 0.5를 초과하는 경우(바꾸어 말하면, τ2가 τ1의 2배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 시트를 사용할 때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과, 불필요하거나 첩합을 수정할 때의 박리성의 양립이 어려워진다. 또한, 점착 시트를 사용할 때의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과 불필요하거나 첩합을 수정할 때의 박리성의 양립을 생각했을 경우, R이 작은 쪽이 바람직하지만, R이 0.1 미만이면 이방성의 정도가 지나치게 커서 박리 방향의 허용 각도가 좁아질 우려가 있다.
점착제층(3)의 표면에는 점착제층(3)을 보호할 목적으로 박리 필름이나 박리지를 첩합하거나 기재(1)의 수지층(2)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실리콘 등의 이형제를 처리하고, 롤(테이프) 권취한 형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에 박리 필름(박리지)을 첩합한 제품예와 롤(테이프) 권취한 형상의 제품예의 모식적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a)는 점착제층(3)의 표면을 박리제층(4)이 덮도록, 지지체(5)의 한쪽 면에 박리제층(4)을 형성한 박리 시트(20)를 이방 점착성 시트(10)에 첩합한 예이다. 도 3(b)는 기재(1)의 수지층(2)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박리제층(4)을 형성하고, 롤 권취로 하면, 점착제층(3)의 표면을 박리제층(4)이 덮도록 한 예이다. 또한, 점착 시트, 점착 테이프, 점착 필름이라는 용어는 종종 롤 권취 유무, 두께나 폭 등에 따라 구별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 시트 및 이방 점착성 시트라는 용어는 특별히 구별 없이 광의로 사용되는 것으로, 점착 테이프, 점착 필름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수지층(2)의 요철 구조의 오목부를 점착제층(3)으로 메울 필요가 있는 점에서, 기재(1)와 수지층(2)이 적층된 시트에, 직접 점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수지층(2)의 요철 구조나 점착제의 점도(중합도)에 따라서는, 이형 필름 또는 이형지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기재(1)와 수지층(2)이 적층된 시트의 수지층(2)의 면에 첩합해도 된다. 또한, 테이프 형상의 제품의 경우에는 기재(1)의 표면에 이형 처리를 실시한 기재(1)와 수지층(2)이 적층된 시트의 기재(1)측 표면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테이프 권취를 해도 된다. 요철 구조의 단면을 갖는 수지층(2)과, 수지층(2)의 요철 구조를 메우는 점착제층(3)을 기재(1)의 양면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두께가 50㎛인 한쪽 면에 이접착 처리를 실시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도요보(주) 제조 에스테르 A-1597)의 이접착 처리면에, 자외선 경화형 하드 코트 코팅제(다이니치 세이카 공업(주) 제조 세이카빔(등록 상표) PET HC-301)를 건조 후의 두께가 8㎛가 되도록 메이어 바로 도포하고, 100℃의 열풍 순환식 오븐에서 1분간 건조시켜, 용제를 제거하였다. 그 후, 하드 코트 코팅제의 도포면에 브러시(빗살 굵기 1㎜, 간격 0.7㎜의 헤어 브러시)를 문지름으로써, 도공 흐름 방향에 줄무늬 형상의 균일한 홈(세로 줄무늬 패턴)을 형성한 후, 자외선 조사기(메탈 할라이드 램프 사용)로 적산 광량 1500mJ/㎠의 조건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하드 코트 코팅제를 경화하였다. 얻어진 홈 패턴을 형성한 하드 코트 코팅층에, 점착제(입뽀샤 유지 공업(주) 제조 아크릴계 점착제(AS-409) 100중량부에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주) 제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코로네이트(등록 상표) HL) 3중량부를 첨가)를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폴리에스테르 필름 표면으로부터 점착제층의 표면까지의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의 열풍 순환식 오븐에서 2분간 건조시켜, 점착제 중의 용제를 제거하였다. 그 후, 점착제층의 표면에, 두께가 25㎛인 PET 필름 기재에 실리콘계 박리제를 처리한 세퍼레이터(미츠비시 수지(주) 제조 다이아호일 MRF-25)를 첩합하여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이방 점착성 시트를 50℃의 열풍 순환식 오븐에서 5일간 보온함으로써, 에이징을 행하고 점착제를 경화시켜, 실시예 1의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점착제로서 입뽀샤 유지 공업(주) 제조 아크릴계 점착제(AS-409) 100중량부에, 닛폰 폴리우레탄 공업(주) 제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코로네이트(등록 상표) HL) 1중량부를 첨가한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제층의 두께를 16㎛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하드 코트 코팅제의 도포면에, 브러시(헤어 브러시)를 문지름으로써, 도공 흐름에 대해 직각 방향에 줄무늬 형상의 균일한 홈(가로 줄무늬 패턴)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의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점착제층의 두께를 12㎛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의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하드 코트 코팅층을 실시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하드 코트 코팅제의 도포면에, 브러시(헤어 브러시)를 문지름으로써, 도공 흐름 방향 및 도공 흐름에 대해 직각 방향에, 각각 줄무늬 형상의 균일한 홈(격자 무늬 패턴)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점착제층의 두께를 9㎛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의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이하, 평가 시험의 방법 및 결과에 대해 나타낸다.
<이방 점착성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점착력의 측정 방법>
이방 점착성 시트 또는 점착 시트로부터, 도공 흐름 방향에 대해, 평행 방향(세로)과 수직 방향(가로)의 샘플(폭 25㎜, 길이 150㎜)을 채취한다. 샘플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2kg의 고무 롤러를 사용하여 유리판에 첩합한다. 23℃×50%RH의 시험 환경에서 1시간 방치 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분의 박리 속도로 180°의 방향에 샘플을 박리했을 때의 강도를 측정하고, 이것을 샘플 점착력(N/25㎜)으로 하였다.
<점착제의 표면 조도(산술 평균 표면 조도(Ra)) 측정 방법>
샘플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점착제층 표면의 표면 조도(산술 평균 표면 조도(Ra))를 레이저 현미경(올림푸스(주) 제조 LEXT OLS4000)으로 배율 5배로 비접촉으로 측정하여, n=3의 측정의 평균값을 샘플의 표면 조도로 하였다.
얻어진 실시예 1∼4의 이방 점착성 시트 및 비교예 1∼3의 점착 시트에 대해, 측정한 측정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및 표 2의 「패턴층」이란, 하드 코트 코팅제로 형성한 수지층이다.
비교예 1, 2에 대해서는 수지 패턴의 이방성이 없기 때문에, R은 편의상, 점착력(세로)/점착력(가로)으로 하였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표 1, 표 2에 나타낸 측정 결과로부터, 이하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이방 점착성 시트는 세로·가로의 박리하는 방향에 따라 상이한 점착력(박리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수지층을 형성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수지층에 격자 무늬를 형성한 비교예 2의 점착 시트는 세로·가로의 박리하는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느 쪽이나 거의 동등한 점착력(박리성)이 되었다. 또한, 점착제층의 표면이 평활하지 않은(추가로 점착제층의 두께의,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T1)와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T2)의 비율(K)이 0.1인) 비교예 3의 점착 시트도 세로·가로의 박리하는 방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느 쪽이나 거의 동등한 점착력(박리성)이 되었다.
본 발명은 사용시에는 피착체에 강고하게 접착하고, 피착체가 불필요하거나 첩합을 수정할 때에 피착체로부터 간단히 박리할 수 있는 이방 점착성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방 점착성 시트는 기재나 점착제의 재질에 제약을 받지 않고, 또한 박리하는 방향에 따라 상이한 박리성을 갖는 것이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벽지, 윈도우 필름(유리창용 필름), 마킹 시트, 라벨, 바펜, 점착 테이프, 수신인명 라벨, 택배편 운송장, 광학 필름이나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금속판이나 강판용 보호 시트 등의 각종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1…기재, 2…수지층, 2a…수지층의 하부, 2b…수지층의 상부, 3…점착제층, 4…박리제층, 5…박리 시트의 지지체, 10…이방 점착성 시트, 20…박리 시트.

Claims (3)

  1. 기재의 적어도 한쪽 면에 요철 구조의 단면을 갖는 수지층과, 당해 수지층의 요철 구조를 메우는 점착제층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시트로서, 당해 수지층의 요철 구조의 패턴 형상에 이방성이 있음과 함께,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이 산술 평균 표면 조도(Ra)가 5㎛ 이하이며, 평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점착성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의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T1)와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T2)의 비율(K)이 K=T1/T2=0.2∼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점착성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착체를 유리판으로 했을 때, 상기 수지층의 볼록 형상을 따른 방향의 점착력(τ1)과 상기 수지층의 볼록 형상에 직교한 방향의 점착력(τ2)의 비율(R)이 R=τ1/τ2=0.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 점착성 시트.
KR1020150131456A 2014-10-15 2015-09-17 이방 점착성 시트 KR101876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0585 2014-10-15
JP2014210585A JP6243313B2 (ja) 2014-10-15 2014-10-15 異方粘着性シー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817A Division KR102004172B1 (ko) 2014-10-15 2018-07-03 이방 점착성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409A true KR20160044409A (ko) 2016-04-25
KR101876208B1 KR101876208B1 (ko) 2018-07-09

Family

ID=557671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56A KR101876208B1 (ko) 2014-10-15 2015-09-17 이방 점착성 시트
KR1020180076817A KR102004172B1 (ko) 2014-10-15 2018-07-03 이방 점착성 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817A KR102004172B1 (ko) 2014-10-15 2018-07-03 이방 점착성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43313B2 (ko)
KR (2) KR101876208B1 (ko)
CN (1) CN105524565B (ko)
TW (1) TWI6801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8041B2 (ja) * 2017-03-31 2021-07-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7141606B2 (ja) * 2017-03-31 2022-09-2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の使用方法
US11883842B2 (en) * 2017-04-14 2024-01-30 Polynt Composites USA, Inc.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ating objects
WO2019065874A1 (ja) * 2017-09-29 2019-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粘着フィルム
CN111164173A (zh) * 2017-09-29 2020-05-15 日东电工株式会社 透明粘合膜
CN112552839B (zh) * 2019-09-25 2024-03-15 麦克赛尔株式会社 粘着带
CN111599264B (zh) * 2020-06-10 2021-11-16 北京英格条码技术发展有限公司 一种高效不干胶标签模切排废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0540Y2 (ko) 1973-06-06 1976-07-31
JPH0616524B2 (ja) 1984-03-12 1994-03-02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ウエハ固定用接着薄板
JPH01299884A (ja) * 1988-05-28 1989-12-04 Tomoegawa Paper Co Ltd ダイボンディング接着テープ
JPH0718227A (ja) 1993-06-29 1995-01-20 Toray Dow Corning Silicone Co Ltd 異方粘着性成形品
US5866249A (en) 1995-12-18 1999-02-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based on partially oriented and partially crystallized elastomer
JP4049442B2 (ja) * 1998-04-15 2008-02-20 住化プラステック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390913B2 (ja) * 1999-06-25 2009-12-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用スレッドとそれを用いた偽造防止用紙
JP2004189847A (ja) * 2002-12-10 2004-07-08 Sekisui Chem Co Ltd 異方剥離性粘着テープ
JP4803827B2 (ja) * 2007-06-04 2011-10-26 日東電工株式会社 剥離ライナーおよび該ライナーを備える感圧接着シート
JP5232575B2 (ja) * 2008-09-04 2013-07-10 王子エフテックス株式会社 剥離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剥離紙を用いた粘着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巻回体
JP5855465B2 (ja) * 2012-01-10 2016-02-09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工業製品
JP2013170197A (ja) * 2012-02-20 2013-09-02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
JP6127508B2 (ja) * 2012-12-28 2017-05-17 北川工業株式会社 剥離基材及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43313B2 (ja) 2017-12-06
CN105524565B (zh) 2020-03-03
KR20180080708A (ko) 2018-07-12
KR101876208B1 (ko) 2018-07-09
CN105524565A (zh) 2016-04-27
JP2016079263A (ja) 2016-05-16
TW201619320A (zh) 2016-06-01
KR102004172B1 (ko) 2019-07-26
TWI680174B (zh) 2019-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172B1 (ko) 이방 점착성 시트
KR101968935B1 (ko)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JP585546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工業製品
KR101613111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AU2015227248A1 (en) Tamper evident films
JPWO2006006265A1 (ja) 自己粘着性フィルム
KR101836212B1 (ko)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CN103201780A (zh) 标签以及制作该标签的方法
KR20190054062A (ko) 박리 시트
WO2007094163A1 (ja) 自動車マーキング用粘着シート
JP6521538B2 (ja) 異方粘着性シート
WO2010047232A1 (ja) スクリーン印刷用粘着シート、スクリーン印刷粘着シート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JP647644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被着体密着フィルムが貼着された工業製品
JP4863895B2 (ja) 耐汚染性接着フィルム及び耐汚染性構造体
CN210667489U (zh) 多层膜组合物、物流标签和贴有标签的包装
JP6130476B2 (ja) 被着体密着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着された光学部品、工業製品
JP6976802B2 (ja) ラベル用ラミネートフィルムおよびラベル
BR112020022385A2 (pt) laminados adesivos e método para fabricar laminados adesivos
WO2018104996A1 (ja) 貼着部材
JP6249862B2 (ja) キャリアシート及び積層体
KR20190012228A (ko) 감압 점착 시트
CN114106727A (zh) 柔性保护膜及其制备方法
KR101441003B1 (ko) 접착력이 향상된 양면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17134232A (ja) ラベル、ラベルの製造方法、ラベル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