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7764A - 막형성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 피막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막형성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 피막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7764A
KR20160037764A KR1020150133107A KR20150133107A KR20160037764A KR 20160037764 A KR20160037764 A KR 20160037764A KR 1020150133107 A KR1020150133107 A KR 1020150133107A KR 20150133107 A KR20150133107 A KR 20150133107A KR 20160037764 A KR20160037764 A KR 20160037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orming composition
group
mol
cured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3657B1 (ko
Inventor
마사히로 마스지마
요시히로 사와다
마사토시 마에다
Original Assignee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 오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7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7/123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과제]
200℃ 이하의 저온에서도 경화하고, 탈가스가 억제된 경화 피막을 부여하는 막형성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 피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과, 제4급 암모늄염인 열산 발생제를 함유한다. 식 중, R1은 에폭시기 또는 옥세타닐기를 함유하는 기이고, R2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첨자 m 및 n은, 상기 폴리실록산 중의 전 구조 단위에 대한 상기 첨자가 붙여진 구조 단위의 몰 백분율을 나타내고, m은 50~90몰%이며, n은 10~50몰%이고, 단, m 및 n의 합계는 100몰%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 피막의 제조방법은, 상기 막형성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조성물 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조성물 층 형성 공정과, 상기 조성물 층을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는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4

Description

막형성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 피막의 제조방법{FILM-FORMING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CURED COA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막형성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 피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시장치가 구비된 유기 EL 소자나 액정 표시 소자 등의 표시 소자, 또는 광 반도체 장치가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LED), 태양전지 소자, CCD, CMOS 등의 광 반도체 소자를 봉지하기 위한 봉지제로서, 에폭시 화합물, 실리콘 수지, 환상 올레핀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3 등을 참조).
일본 특개 2011-174023호 공보 일본 특개 2011-063686호 공보 일본 특개 2012-209375호 공보
이러한 봉지제에는 여러가지 특성이 요구된다. 표시 소자나 광 반도체 소자 등의 광 디바이스에 대한 열적인 데미지가 억제되도록, 봉지제는, 200℃ 이하의 저온에서도 경화하고, 두껍고 균일한 경화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점이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광 디바이스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봉지제는 탈가스가 억제되고 있는 점도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200℃ 이하의 저온에서도 경화하고, 탈가스가 억제된 경화 피막을 제공하는 막형성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 피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분기 구조를 가지는 특정의 폴리실록산과 제4급 암모늄염인 열산(熱酸) 발생제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됨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하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과 제4급 암모늄염인 열산 발생제를 함유하는 막형성성 조성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식 중, R1은 에폭시기 또는 옥세타닐기를 함유하는 기이고, R2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첨자 m 및 n은, 상기 폴리실록산 중의 전 구조 단위에 대한 상기 첨자가 붙여진 구조 단위의 몰 백분율을 나타내고, m은 50~90몰%이며, n은 10~50몰%이고, 단, m 및 n의 합계는 100몰%이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상기 막형성성 조성물로부터 이루어지는 조성물 층을 기판상에 형성하는 조성물 층 형성 공정과, 상기 조성물 층을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포함하는, 경화 피막의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200℃ 이하의 저온에서도 경화하고, 탈가스가 억제된 경화 피막을 제공하는 막형성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 피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경화 피막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 모식도이다.
<막형성성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과 제4급 암모늄염인 열산 발생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200℃ 이하의 저온에서도 경화하고, 탈가스가 억제된 경화 피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표시장치가 구비된 유기 EL 소자나 액정 표시 소자 등의 표시 소자, 또는 광 반도체 장치가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LED), 태양전지 소자, CCD, CMOS 등의 광 반도체 소자의 봉지에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을 함유한다. 상기 폴리실록산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a1)에 있어서, R1은, 에폭시기 또는 옥세타닐기를 함유하는 기이며, 바람직하게는 말단에 에폭시기 또는 옥세타닐기를 함유하는 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독시알킬기, 3-옥세타닐메틸옥시알킬기, 또는 3-알킬-3-옥세타닐메틸옥시알킬기(여기서,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에서 R2에 대해 예시하는 기를 들 수 있다.)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독시프로필기, 3-옥세타닐메틸옥시프로필기, 또는 3-에틸-3-옥세타닐메틸옥시프로필기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리시독시프로필기이다. 상기 일반식(a1)에 있어서, 복수개의 R1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 R1은, 서로 동일하거나 달라도 무방하다.
상기 일반식(a1)에 있어서, R2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6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5의 아릴기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0의 아릴기이다. 알킬기인 R2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으며, 메틸기 및 에틸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아릴기인 R2로서는, 예를 들면, 페닐기, 비페닐기, 플루오레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및 나프틸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닐기이다. 상기 일반식(a1)에 있어서, 복수개의 R2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달라도 무방하다.
상기 일반식(a1)에 있어서, 첨자 m 및 n은, 상기 폴리실록산 중의 전 구조 단위에 대한 상기 첨자가 붙여진 구조 단위의 몰 백분율을 나타내고, m은 50~90몰%이며, n은 10~50몰%이고, 단, m 및 n의 합계는 100몰%이다. m은 70~90몰%, n은 10~3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1000~8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4000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수득되는 경화 피막은 탈가스가 더욱 억제된 것이 되기 쉽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것을 말한다.
상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은, 예를 들면, 첨자 m 또는 n이 붙여진 각 구조 단위에 대응하는 알콕시실란끼리를, 산촉매, 물, 및 유기용제의 존재하에서 가수분해 및 탈수축합시키는 방법으로 조제할 수 있다.
[제4급 암모늄염인 열산 발생제]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제4급 암모늄염인 열산 발생제를 함유함으로써, 저온에서의 경화성이 우수하다. 상기 열산 발생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열산 발생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200℃ 이하의 가열로 산을 발생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열산 발생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K-PURE(등록상표) TAG-2678, K-PURE CXC-1614, K-PURE CXC-1612, K-PURE CXC-1733, K-PURE CXC-1821, K-PURE TAG-2700, K-PURE TAG-2689, K-PURE TAG-2690, K-PURE CXC-1738, K-PURE CXC-1802-60(모두 King Industries사 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에 대한 상기 열산 발생제의 첨가량은, 0.1~1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200℃ 이하의 저온에서의 경화성이 더욱 향상하기 쉽다.
[유기용제]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유기용제를 함유해도 된다. 유기용제를 포함함으로써, 막형성성 조성물의 도포성이나, 막형성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경화 피막의 막 두께를 조정하기 쉬워진다. 유기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유기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IPA),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아세톤, 디에틸케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종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3-메톡시-3-메틸-1-부탄올(설피드) 등의 모노에테르계 글리콜류; 테트라히드로퓨란, 디옥산 등의 환상 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MBA), 에틸디글리콜아세테이트(EDGAC) 등의 에테르계 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의 고형분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중량%이며, 유기용제에 의한 영향을 내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무용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함유해도 된다. 계면활성제를 포함함으로써, 막형성성 조성물의 도포성, 평탄화성, 및 전개성이 향상하기 쉬워져, 도포 후에 형성되는 조성물 층의 도포 얼룩의 발생이 감소하기 쉬워진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실리콘계의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막형성성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10000중량ppm,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0000중량pp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5000중량ppm의 범위이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그 외의 성분]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공지의 반응성 희석제, 표면 조정제, 소포제, 경화 조정제(경화 억제제 또는 경화촉진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반응성 희석제를 함유하는 경우, 무용제의 조성물, 즉, 상기 유기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로서 조제할 수 있어 유기용제에 의한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반응성 희석제로서는, 양이온 중합성 모노머, 양이온 중합성 올리고머 등의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양이온 중합성기를 가지는 유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기로서는,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옥소라닐기를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성기를 가지는 유기 규소 화합물이어도 되고, 그 예로서는, 양이온 중합성기를 가지는 오르가노실란, 양이온 중합성기를 가지는 오르가노실록산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에 대한 상기 반응성 희석제의 첨가량은, 0.1~40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막형성성 조성물의 도포성이나, 막형성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경화 피막의 막 두께를 조정하기 쉽다.
<경화 피막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경화 피막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로부터 이루어지는 조성물 층을 기판상에 형성하는 조성물 층 형성 공정과, 상기 조성물 층을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포함한다. 이하, 도 1(A)~도 1(D)을 참조하여, 경화 피막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도 1(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경화 피막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 모식도이다.
우선,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디바이스(1)가 탑재된 기판(2)을 준비한다. 광 디바이스(1)는, 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나 액정 표시 소자 등의 표시 소자,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태양전지 소자, CCD, CMOS 등의 광 반도체 소자 등이다. 기판(2)은, 예를 들면, 이면측 보호층 등이다. 또한 기판(2)은, 광 디바이스(1)의 수광면측 또는 발광면측에 적층되는 표면측 보호층 등이어도 된다. 또한, 기판(2)에는, 태양전지 등이 탑재되어 있어도 된다.
다음에,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디바이스(1)가 탑재된 측의 기판(2)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조성물 층(3)을 형성한다. 막형성성 조성물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주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광 디바이스(1)가 조성물 층(3)으로 피복된다.
다음에,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성물 층(3)이 적층된 기판(2)을 전기로 등의 가열로(4) 내에 놓아두어, 조성물 층(3)을 가열한다. 그 결과,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형성성 조성물이 열경화하여, 기판(2)의 표면에 경화 피막(5)이 형성된다. 광 디바이스(1)는, 경화 피막(5)에 의해서 봉지된다. 가열 온도는, 200℃ 이하의 온도이며, 180℃ 이하의 온도가 바람직하고, 150℃ 이하의 온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열 온도의 하한은, 경화 피막(5)이 형성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8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막형성성 조성물은, 200℃ 이하의 저온에서도 경화하여, 경화 피막(5)를 제공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경화 피막(5)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경화 피막(5)은, 탈가스가 억제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11]
(막형성성 조성물의 조제)
표 1~4에 나타낸 대로, 소정량의 폴리머, 산 발생제, 및 경우에 따라 바인더를 용제 중에서 혼합하여, 고형분 농도가 50중량%의 막형성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한,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량의 폴리머, 산 발생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무용제의 막형성성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또, 복수의 폴리머를 이용하는 경우, 표 중에는 혼합 중량비를 병기하였다. 또한, 폴리머 E에 대해서는, 첨자 m1과 n1의 비(m1/n1)를 표 중에 병기하였다.
표 1~5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자세한 사항은 하기와 같다.
폴리머 A: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폴리머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폴리머 B: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폴리머
[화학식 3]
Figure pat00003
폴리머 C: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폴리머
[화학식 4]
Figure pat00004
폴리머 D: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수지(상품명: 콘포세란 E202C, 아라카와 화학공업(주) 제)
폴리머 E: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폴리머(중량 평균 분자량: 3000)
[화학식 5]
Figure pat00005
(식 중, 첨자 m1 및 n1은, 폴리머 E 중의 전 구조 단위에 대한 상기 첨자가 붙여진 구조 단위의 몰 백분율을 나타내며, m1=50~90몰%이고, n1=10~50몰%이며, 단, m1 및 n1의 합계는 100몰%이다.)
폴리머 F: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폴리머(중량 평균 분자량: 3000)
[화학식 6]
Figure pat00006
(식 중, 첨자 m2, n2, 및 n3는, 폴리머 F 중의 전 구조 단위에 대한 상기 첨자가 붙여진 구조 단위의 몰 백분율을 나타내며, m2=50몰%, n2=1몰%, n3=49몰%이다.)
폴리머 G: 폴리[(2-옥시라닐)-1,2-시클로헥산디올]2-에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에테르(단, 폴리[(2-옥시라닐)-1,2-시클로헥산디올]잔기와 2-에틸-2-(히드록시메틸)-1,3-프로판디올 잔기의 비는 3:1이다.)
폴리머 H: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폴리머
[화학식 7]
Figure pat00007
산 발생제 A: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광(光) 산 발생제
[화학식 8]
Figure pat00008
바인더 B: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바인더
[화학식 9]
Figure pat00009
산 발생제 C: K-PURE TAG-2678(열산 발생제, King Industries사 제)
산 발생제 D: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열산 발생제
[화학식 10]
Figure pat00010
산 발생제 E: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열산 발생제
[화학식 11]
Figure pat00011
산 발생제 F: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열산 발생제
[화학식 12]
Figure pat00012
산 발생제 G: K-PURE CXC-1821(열산 발생제, King Industries사 제)
용제 A: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용제 B: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용제 C: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용제 D: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첨가제 A(반응성 희석제): X-22-163(양 말단형 에폭시 변성 실리콘 오일, 신에츠 화학공업 주식회사 제)
첨가제 B(반응성 희석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글리시딜에테르
첨가제 C(반응성 희석제):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경화 피막의 제조)
·열 경화
조제한 막형성성 조성물을, 스핀 코터, 스핀리스 코터, 또는 스크린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상에, 최종 막 두께가 1.0~15.0㎛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다음에, 샘플을 핫 플레이트상에 놓고, 80~200℃에서 5~120분간, 프리베이크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종형 베이크 로(상품명: TS8000MV, 도쿄오카 공업주식회사 제)에서 N2 중, 80~200℃에서 30분간 가열함으로써, 열경화시키고, 경화 피막을 얻었다.
·UV 경화
조제한 막형성성 조성물을, 스핀 코터, 스핀리스 코터, 또는 스크린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유리 기판상에, 최종 막 두께가 1.0~15.0㎛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다음에, 샘플을 핫 플레이트상에 놓고, 90℃에서 5분간, 프리베이크 처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자외선 조사 장치(HMW-532D, ORC사 제)를 이용하여 999J/m2의 노광량으로 ghi선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샘플을 핫 플레이트상에 놓고, 90~200℃에서 5분간, PEB 처리를 가하여, 경화 피막을 얻었다.
(잔막율 평가)
수득된 경화 피막을 용제(아세톤)에 60분간 침지하고, 표면 형상 측정 장치(상품명: Dektak 3ST, 알박사 제)를 이용하여, 용제 침지 후의 경화 피막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측정 전의 경화 피막의 두께를 기준으로 잔막율을 산출하여, 저온 경화 특성의 지표로 하였다.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다.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양): 잔막율 98% 이상, ×:(불량): 잔막율 98% 미만
(중량 감소 평가)
수득된 경화 피막에 대해서, 열 분석장치 TG8120(상품명, RIGAKU사 제)를 이용하여, 시차열-열중량 동시측정(TG-DTA)을 실시하였다. 측정 전의 경화 피막의 중량을 기준으로 100℃에 있어서의 중량 감소를 산출하여, 탈가스 특성의 지표로 하였다.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폴리머

발생제
폴리머에
대한 산발생제 첨가량
용제
잔막율(%) 중량
감소
(%)
경화
방법
150℃ 180℃ 200℃
비교예
1
A - - A × × × 1.7
경화
비교예
2
B - - B × × × 1.9
경화
비교예
3*
C A 5.0% C 2.4 UV
경화
비교예
4*
C A 5.0% C 2.2 UV
경화
비교예
5
D C 1.0% D 2.3
경화
* 추가로 바인더 B를 첨가하였다. 폴리머에 대한 바인더 B의 첨가량은 10.0%였다.


폴리머

발생제
폴리머에
대한 산발생제 첨가량
용제
잔막율(%) 중량
감소
(%)
경화
방법
150℃ 180℃ 200℃
실시예
1
E
(90/10)
C 1.0% D <0.1
경화
실시예
2
E
(90/10)
C 1.0% D <0.1
경화
실시예
3
E
(70/30)
C 1.0% D <0.1
경화
실시예
4
E
(50/50)
C 1.0% D <0.1
경화


폴리머

발생제
폴리머에
대한 산발생제 첨가량
용제
잔막율(%) 중량
감소
(%)
경화
방법
150℃ 180℃ 200℃
실시예
5
F C 1.0% D <0.1
경화
비교예
6
G/H=
50/50
C 1.0% D 0.9
경화
비교예
7
H C 1.0% D 1.3
경화


폴리머

발생제
폴리머에
대한 산발생제 첨가량
용제
잔막율(%) 중량
감소
(%)
경화
방법
150℃ 180℃ 200℃
비교예
8
E
(90/10)
A 5.0% C × <0.1
경화
비교예
9
E
(90/10)
D 5.0% C × <0.1
경화
비교예
10
E
(90/10)
E 5.0% C × × × -
경화
비교예
11
E
(90/10)
F 1.0% C × × × <0.1
경화


폴리머

발생제
첨가제 폴리머에 대한
첨가량

잔막율(%)
중량
감소
(%)
경화
방법
산발생제 첨가제 100℃ 150℃ 180℃ 200℃
실시예
6
E
(70/30)
G A 0.1% 17% <0.1
경화
실시예
7
E
(70/30)
G B 0.1% 22% <0.1
경화
실시예
8
E
(70/30)
G C 0.1% 40% <0.1
경화
표 1~5로부터 명백하듯이, 실시예의 막형성성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과, 제4급 암모늄염인 열산 발생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잔막율 평가 및 중량 감소 평가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우수하였다. 이에 비해, 비교 예의 막형성성 조성물은, 상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 및, 제4급 암모늄염인 열산 발생제의 적어도 한쪽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잔막율 평가 및 중량 감소 평가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열위하였다.
1 광 디바이스
2 기판
3 조성물 층
4 가열로
5 경화 피막

Claims (3)

  1. 하기 일반식(a1)으로 나타내는 폴리실록산과, 제4급 암모늄염인 열산 발생제를 함유하는 막형성성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3

    (식 중, R1은 에폭시기 또는 옥세타닐기를 함유하는 기이고, R2는 알킬기 또는 아릴기이며, 첨자 m 및 n은, 상기 폴리실록산 중의 전 구조 단위에 대한 상기 첨자가 붙여진 구조 단위의 몰 백분율을 나타내고, m은 50~90몰%이며, n은 10~50몰%이고, 단, m 및 n의 합계는 100몰%이다.)
  2. 청구항 1에 기재된 막형성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조성물 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는 조성물 층 형성 공정과,
    상기 조성물 층을 가열하는 가열 공정을 포함하는, 경화 피막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열 공정에서의 가열 온도가 200℃ 이하인 경화 피막의 제조 방법.
KR1020150133107A 2014-09-29 2015-09-21 막형성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 피막의 제조방법 KR102483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8278 2014-09-29
JPJP-P-2014-198278 2014-09-29
JP2015097556A JP6523780B2 (ja) 2014-09-29 2015-05-12 膜形成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硬化被膜の製造方法
JPJP-P-2015-097556 2015-05-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764A true KR20160037764A (ko) 2016-04-06
KR102483657B1 KR102483657B1 (ko) 2023-01-03

Family

ID=5586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107A KR102483657B1 (ko) 2014-09-29 2015-09-21 막형성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 피막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523780B2 (ko)
KR (1) KR102483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9943B2 (ja) 2017-12-13 2020-06-17 ナミックス株式会社 導電性ペースト
CN113337207B (zh) * 2021-05-21 2022-04-05 浙江大学衢州研究院 一种纳米增强的环保型有机硅防污抗菌涂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2182017A (ja) * 2021-05-27 2022-12-08 双葉電子工業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有機el素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6204A (ja) * 2006-01-25 2007-09-06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膜材料、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1063686A (ja) 2009-09-16 2011-03-31 Shin-Etsu Chemical Co Ltd 光半導体素子封止用組成物
JP2011174023A (ja) 2010-02-25 2011-09-08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光半導体封止用樹脂組成物とこれを使用した光半導体装置
KR20120022616A (ko) * 2010-08-06 2012-03-12 에이제토 엘렉토로닉 마티리알즈 가부시키가이샤 실록산 수지 조성물의 경화 피막 형성 방법
JP2012209375A (ja) 2011-03-29 2012-10-25 Mitsubishi Plastics Inc 太陽電池用封止材・表面保護材積層体
JP2013086313A (ja) * 2011-10-14 2013-05-13 Tokyo Ohka Kogyo Co Ltd パターン形成方法
KR101751714B1 (ko) * 2011-04-12 2017-06-28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실록산 수지 함유 도포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6500A4 (en) * 2004-04-16 2010-03-24 Jsr Corp COMPOSITION FOR SEALING AN OPTICAL SEMICONDUCTOR, OPTICAL SEMICONDUCTOR SEALING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SEALING AN OPTICAL SEMICONDUCTOR
JP2007106798A (ja) * 2005-10-11 2007-04-26 Jsr Corp 光半導体封止用組成物、光半導体封止材および光半導体封止用組成物の製造方法
JP5454762B2 (ja) * 2008-02-06 2014-03-26 東亞合成株式会社 カチオン硬化性組成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6204A (ja) * 2006-01-25 2007-09-06 Shin Etsu Chem Co Ltd 反射防止膜材料、基板、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011063686A (ja) 2009-09-16 2011-03-31 Shin-Etsu Chemical Co Ltd 光半導体素子封止用組成物
JP2011174023A (ja) 2010-02-25 2011-09-08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光半導体封止用樹脂組成物とこれを使用した光半導体装置
KR20120022616A (ko) * 2010-08-06 2012-03-12 에이제토 엘렉토로닉 마티리알즈 가부시키가이샤 실록산 수지 조성물의 경화 피막 형성 방법
JP2012209375A (ja) 2011-03-29 2012-10-25 Mitsubishi Plastics Inc 太陽電池用封止材・表面保護材積層体
KR101751714B1 (ko) * 2011-04-12 2017-06-28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실록산 수지 함유 도포 조성물
JP2013086313A (ja) * 2011-10-14 2013-05-13 Tokyo Ohka Kogyo Co Ltd パターン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3657B1 (ko) 2023-01-03
JP6523780B2 (ja) 2019-06-05
JP2016069624A (ja)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234B1 (ko) 실록산계 수지 조성물
KR101412945B1 (ko) 광 소자용 밀봉재 및 광 소자 밀봉체
CN105722939A (zh) 有机硅粘接剂组合物和固体摄像器件
WO2012093589A1 (ja) 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TWI691588B (zh) 有機el元件用面密封材及其硬化物
JP2007119568A (ja) 高分子量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の製造方法、該高分子量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を含む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で封止された光半導体装置
KR102483657B1 (ko) 막형성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경화 피막의 제조방법
US9765190B2 (en) Polysilsesquioxane based encapsulating material composition for UV-LED and use of phosphoric acid based catalyst therefor
TW201319167A (zh) 硬化性樹脂組成物、光學構件組、其製造方法及使用其的固態影像元件
KR102102672B1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WO2020116340A1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太陽電池の製造方法
KR101749349B1 (ko) 아미노산 발생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 조성물
KR20150065578A (ko) 실리카계 피막 형성용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실리카계 피막의 제조 방법
KR20140141500A (ko) 오픈 구조의 폴리헤드랄 올리고머릭 실세스퀴옥산(poss)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07332248A (ja) 太陽電池用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KR20140141878A (ko) 개질된 폴리실록산계 공중합체, 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코팅 플라스틱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개질된 폴리실록산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140141350A (ko) 가스 배리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6148870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KR102457375B1 (ko) 조성물 및 실리카질막의 제조 방법
CN112608600B (zh) 包含硅氧烷树脂的硬化性树脂组合物及其硬化物、硅氧烷树脂的制造方法
KR101552656B1 (ko) 변성 실리콘 수지 조성물
KR101968224B1 (ko) 실리카 막의 제조방법, 실리카 막 및 전자소자
CN112996849B (zh) 聚硅氧烷组合物
KR20160115845A (ko)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JP2011042762A (ja) 透明封止材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