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487A -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폴리실록산 배합물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폴리실록산 배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487A
KR20160031487A KR1020167000985A KR20167000985A KR20160031487A KR 20160031487 A KR20160031487 A KR 20160031487A KR 1020167000985 A KR1020167000985 A KR 1020167000985A KR 20167000985 A KR20167000985 A KR 20167000985A KR 20160031487 A KR20160031487 A KR 20160031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elastomer
polymer composition
hydroxyl
terminated polysiloxane
crosslinkabl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191B1 (ko
Inventor
스티븐 에이치. 크리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3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08K5/57Organo-ti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26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natural or synthetic rub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6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하기를 포함하는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a)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b)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 (c)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 및 (d) 축합 촉매. 그와 같은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그와 같은 폴리머 조성물을 가교결합하는 방법, 및 수득한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 자체가 또한 기재되어 있다. 그와 같은 조성물은 다양한 제조 물품에서, 특히 와이어 및 케이블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폴리실록산 배합물{POLYOLEFIN ELASTOMER AND POLYSILOXANE BLENDS}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원은 미국 가출원 번호 61/838,991(2013년 6월 25일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와 폴리실록산과의 가교결합성 및 가교결합된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어떤 측면은 수분-경화 기술을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폴리실록산의 가교결합성 및 가교결합된 배합물에 관한 것이다.
도입
일반적으로, 낮은 결정도 및 저밀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연성 및 가요성이다. 그러나, 언급된 그것의 비-가교결합된 상태들에서, 이들 폴리머는 유동하고 폴리머의 결정상의 용융점 초과의 온도에서 치수 안정성을 잃을 것이다 . 추가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폴리머의 밀도 및 결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되는 용융점 및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더 연성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더 낮은 용융점을 갖는 경향이 있다.
그것의 용융점 초과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치수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 상기 폴리머는 가교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실란, 퍼옥사이드, 또는 전자 빔 경화 공정을 통해 수행될 당해기술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좋지 못한 영구압축변형률 값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개선은 가교결합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분야에서 요구된다.
요약
하나의 구현예는 하기를 포함하는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이다: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 및
축합 촉매.
또 하나의 구현예는 하기를 포함하는 공정이다:
(a)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 및 축합 촉매와 조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와 상기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결합시키고 그렇게 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예는 하기를 포함하는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b)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 (c)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 및 (d) 축합 촉매. 추가 구현예는 그와 같은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그와 같은 폴리머 조성물을 가교결합하는 방법, 및 수득한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 자체에 관한 것이다. 그와 같은 조성물은 다양한 제조 물품에서, 특히 와이어 및 케이블 산업에서 이용될 수 있다.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기재된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중 하나의 성분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즉, 엘라스토머 폴리올레핀 폴리머)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는 점탄성을 갖는 폴리머를 나타내고, 열경화성 또는 열가소성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폴리머의 다수 (즉, 50 몰 퍼센트 ("mol%") 초과) 성분으로서 올레핀 모노머 또는 올레핀 모노머의 조합을 갖는 엘라스토머이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올레핀 함량은 적어도 60 mol%, 적어도 70 mol%, 적어도 80 mol%, 적어도 90 mol%, 적어도 99 mol%, 또는 100 mol%일 수 있다. "폴리머"는 동일 또는 상이한 유형의 모노머를 반응시켜 (즉 중합하여) 제조된 거대분자 화합물을 의미한다. "폴리머"는 단독중합체 및 인터폴리머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독중합체"는 단일 모노머 유형으로부터 유도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머를 나타내지만, 단독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다른 성분, 예컨대 사슬 이동제의 잔류 양을 제외하지 않는다. "인터폴리머"는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모노머 유형의 중합으로 제조된 폴리머를 의미한다. 이러한 일반 용어는 공중합체 (2 개의 상이한 모노머 유형으로부터 제조된 폴리머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통 이용됨), 및 2 개 초과의 상이한 모노머 유형으로부터 제조된 폴리머 (예를 들면, 삼원중합체 (3개의 상이한 모노머 유형) 및 테트라폴리머 (4개의 상이한 모노머 유형))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에틸렌/알파-올레핀 ("α-올레핀") 엘라스토머일 수 있고, 이것은, 하나 이상의 유형의 디엔 모노머 (예를 들면, "EPDM" 엘라스토머)를 본원에서 임의로 또한 중합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는 다수 에틸렌 성분 및 소수 (즉, 50 mol% 미만) 공단량체 성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에틸렌 및 α-올레핀 공단량체를 본원에서 중합한 인터폴리머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균일한 분지형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균일한 분지형, 실질적으로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일 수 있다.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성분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α-올레핀 모노머는 C3-20 (즉, 3 내지 20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짐) 선형, 분지형, 또는 사이클릭 α-올레핀류를 포함한다. C3-20 α-올레핀류의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프로펜,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및 1-옥타데센. α-올레핀류는 사이클릭 구조 예컨대 사이클로헥산 또는 사이클로펜탄을 또한 가질 수 있고, 이것은 α-올레핀 예컨대 3-사이클로헥실-1-프로펜 (알릴 사이클로헥산) 및 비닐 사이클로헥산을 생기게 한다. 예증적인 에틸렌/α-올레핀 엘라스토머는 하기를 포함한다: 에틸렌/프로필렌, 에틸렌/부텐, 에틸렌/1-헥센, 에틸렌/1-옥텐, 에틸렌/스티렌, 에틸렌/프로필렌/1-옥텐, 에틸렌/프로필렌/부텐, 및 에틸렌/부텐/1-옥텐.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하기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α-부텐 공중합체, 에틸렌/α-헥센 공중합체, 에틸렌/α-옥텐 공중합체, EPDM, 또는 그것의 2 이상의 조합. 다양한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에틸렌/α-부텐, 에틸렌/α-헥센, 에틸렌/α-옥텐, 또는 그것의 2 이상의 조합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에틸렌/α-옥텐 공중합체이다.
본원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0.85 내지 0.93 g/cm3, 0.86 내지 0.92 g/cm3, 0.86 내지 0.91 g/cm3, 또는 0.87 내지 0.902 g/cm3 범위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된 폴리머 밀도는 ASTM 국제 ("ASTM") 방법 D792에 따라 결정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0.1 내지 50 g/10 분, 0.5 내지 40 g/10 분, 또는 1 내지 30 g/10 분 범위의 용융 지수 (I2)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서 제공된 융융 지수는 ASTM 방법 D1238에 따라 결정된다. 다르게 지적되지 않으면, 용융 지수는 190 ℃ 및 2.16 Kg에서 결정된다 (I2 라고로 알려짐).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무니 점도 ML 1+4 @ 121 ℃ 또는 125 ℃를 1 내지 90, 1 내지 70, 또는 1 내지 30 범위로 가질 수 있다. 무니 점도는 ASTM D1646에 따라 결정되고, 여기서 M은 무니를 나타내고, L은 큰 회전자를 나타내고, 1은 1-분 예열 시간을 나타내고, 4는 판독된 모터를 개시한 후 4-분 마크를 나타내고, 그리고 121 또는 125 ℃는 시험 온도를 나타낸다.
상기-기재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생산 공정은 광범위하고, 변하고 당해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상기 기재된 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생산하는 임의의 종래의 또는 이후에 발견된 생산 공정은 본원에서 기재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상업적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ENGAGETM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예를 들면, ENGAGETM 8100, 8003, 8400, 8401, 8411, 8480, 8842, 8200, 7447, 또는 7467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AFFINITYTM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 및 NORDELTM IP EPDM 엘라스토머, 이들 모두는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 USA)로부터 이용가능함. 추가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EXACTTM 플라스토머, 및 VISTALONTM EPDM 고무를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ExxonMobil Chemical, Houston, TX, USA로부터 이용가능하다.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상기-기재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임의의 2개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포함한다. 그와 같은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은 불포화된 가수분해성 실란 모노머를 이미-중합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상에 그라프팅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라프팅된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만들어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내에 편입될 수 있다. 적합한 불포화된 가수분해성 실란 모노머는 중합을 위해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모노- 또는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한다. 그와 같은 불포화된 가수분해성 실란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는, 비제한적으로, 비닐 알콕시실란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등)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중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의 편입은 임의의 공지된 또는 이후에 발견된 공중합 또는 그라프팅 기술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로써, 가수분해성 실란 모노머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예를 들면, ENGAGETM 8401)를 불포화된 알콕시실란 (예를 들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및 퍼옥사이드 (예를 들면, TRIGONOXTM 101,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과 조합하여 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상에 그라프팅될 수 있다. 기간 (예를 들면, 15-30 분) 동한 혼합한 후, 혼합물은 상승된 및 증가하는 온도 (예를 들면, 160 ℃ 내지 220 ℃)에서 압출될 수 있다. 공중합이든지 그라프팅이든지, 반응에 이용된 불포화된 가수분해성 실란 모노머의 양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불포화된 가수분해성 실란 모노머의 조합된 중량을 기준으로 약 0.5 내지 약 10 중량 퍼센트 ("wt%"), 약 1 내지 약 5 wt%, 또는 약 1 내지 약 2 wt%의 범위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은 추가로,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을 포함한다. "실리콘"으로도 공지된 폴리실록산은 실록산-기반 모노머 잔기 반복 단위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폴리머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실록산"은 하기의 구조를 갖는 모노머 잔기 반복 단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R1 및 R2는 독립적인 하이드로카르빌 모이어티이다. 폴리실록산은 또한 하기와 같은 분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이것은 실리콘 화학에서 "Q" 그룹으로서 공지되어 있거나,
Figure pct00003
이것은 실리콘 화학에서 "T" 그룹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하이드로카르빌"은 탄화수소 (예를 들면, 알킬 그룹, 예컨대 메틸, 또는 아릴 그룹, 예컨대 페닐)로부터 수소를 제거하여 형성된1가 그룹을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구현예에서, 실록산 모노머 잔기는 임의의 디알킬, 디아릴, 디알카릴, 또는 디아랄킬 실록산일 수 있고, 이것들은 동일 또는 상이한 알킬, 아릴, 알카릴, 또는 아랄킬 모이어티를 갖는다. 구현예에서, 각각의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20, C1 내지 C12, 또는 C1 내지 C6 알킬, 아릴, 알카릴, 또는 아랄킬 모이어티이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R1 및 R2는 동일 또는 상이한 수의 탄소 원자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각각의 R1 및 R2 에 대한 하이드로카르빌 그룹은 포화된 및 임의로 곧은-사슬인 알킬 그룹이다. 추가로, 그와 같은 구현예에서 알킬 그룹은 각각의 R1 및 R2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 R1 및 R2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알킬 그룹의 비-제한적인 예는 메틸, 에틸, 1-프로필, 2-프로필, 1-부틸, 이소부틸, t-부틸, 또는 그것의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실록산은 하이드록실 종결된다. 일반적으로,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은 폴리머 사슬의 말단기로서 하이드록실 그룹을 포함하다. 하이드록실 그룹으로 종결되는 임의의 폴리실록산이 본원에서 이용될 수 있고 추가의 모이어티, 예컨대 하이드록실알킬 그룹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프로필-종결된 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종결 그룹을 포함한다. 실라놀-종결된 폴리실록산은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의 또 하나의 예이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폴리실록산은 하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 ("PDMS"),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에틸-메틸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 추가로, 폴리실록산은 2 이상 유형의 폴리실록산의 혼합물일 수 있다. 어떤 구현예에서, 폴리실록산은 하이드록실-종결된 PDMS이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실록산은 적어도 20,000 g/mol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고 최대 150,000 g/mol일 수 있다. 추가로,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실록산은25 ℃에서 0.965 g/cm3 내지 0.985 g/cm3 범위의 밀도를 가질 수 있다. 게다가, 본원에서 이용된 폴리실록산은 25 ℃에서 1,000 내지 200,000 센티스톡 ("cSt") 범위로 동점도를 가질 수 있다. 실리콘의 점도는 ASTM D445에 따라 본원에서 결정된다. 추가로, 폴리실록산은 적어도 0.01 wt%, 적어도 0.02 wt%, 또는 적어도 0.03 wt%의 하이드록실 작용성을 가질 수 있고 폴리실록산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최대 0.1 wt%일 수 있다.
적합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폴리실록산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DMS-S45, 50,000 cSt의 점도를 갖는 실라놀-종결된 폴리디메틸 실록산 (abcr GmbH & Co., Karsruhe, Germany 로부터 이용가능)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의 또 하나의 성분은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이다. 폴리알콕시 실란 성분은 실란 원자에 공유결합된 적어도 2 및 최대 4개의 알콕시 그룹을 갖는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는 테트라알콕시 실란 화합물이다. 적합한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물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테트라메톡시 실란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라고로 알려짐), 테트라에톡시 실란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라고로 알려짐), 등.
전술한 바와 같이, 축합 촉매는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내에 포함된다. 축합 촉매는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과의 수분 가교결합 반응을 촉진하는 임의의 화합물일 수 있다. 축합 촉매는 금속, 예컨대 주석, 아연, 철, 납, 및 코발트의 카복실레이트; 유기 염기, 무기산, 및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촉매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DBTDL"), 디부틸주석 디아세테이트, 디옥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제1 주석 아세테이트, 제1 주석 카프릴레이트, 납 나프테네이트, 아연 카프릴레이트, 코발트 나프테네이트, 에틸 아민, 디부틸 아민, 헥실아민, 피리딘, 무기산, 예컨대 황산 및 염산, 뿐만 아니라 유기산, 예컨대 설폰산 (예를 들면, 톨루엔 설폰산), 아세트산, 스테아르산 및 말레산. 다양한 구현예에서, 촉매는 주석-기반 촉매 및 설폰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촉매는 주석 카복실레이트일 수 있다. 더욱이, 어떤 구현예에서, 촉매는 DBTDL이다.
상기-기재된 성분은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에서 가변 농도로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와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의 조합된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90 wt%, 약 20 내지 약 70 wt%, 또는 30 내지 50 wt%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와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의 조합된 중량을 기준으로 약 10 내지 약 90 wt%, 약 30 내지 약 80 wt%, 또는 50 내지 70 wt% 범위의 양으로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추가로,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는 100 중량부의 상기 조합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5 부 / 수지 100 ("phr"), 약 0.2 내지 3 phr, 또는 0.5 내지 1.5 phr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축합 촉매는 100 중량부의 상기 조합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을 기준으로 약 0.05 내지 0.5 phr, 약 0.1 내지 약 0.3 phr, 또는 0.15 내지 0.25 phr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은 다른 첨가제를 또한 함유할 수 있고, 이 첨가제는 비제한적으로, 하기를 포함한다: 가공 조제, 충전제, 커플링제, 자외선 흡수제 또는 안정제, 정전기방지제, 핵제, 슬립제, 가소제, 윤활제, 점도 제어제, 점착부여제, 블로킹 방지제, 계면활성제, 신전유, 산 스캐빈져, 난연제, 및 금속 탈활성제. 충전제 이외의 첨가제는 전형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또는 그 미만 내지 10 중량% 또는 그 초과 범위의 양으로 사용된다. 충전제는 일반적으로 더 많은 양으로 부가되지만, 그 양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또는 그 미만만큼 적은 양 내지 65 중량% 또는 그 초과의 범위일 수 있다. 충전제의 예시적 예는, 15 nm보다 큰 전형적인 산술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점토, 침강 실리카 및 실리케이트, 발연 실리카, 탄산칼슘, 분쇄 미네랄, 알루미늄 트리하이드록사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및 카본블랙을 포함한다.
또 하나의 임의의 첨가제는 거품 형성이 가능한 아조 발포제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첨가제는 부드러운, 가요성, 저-밀도 거품 형성을 가능케한다. 그와 같은 아조 발포제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아조디카본아미드 및 p,p'-옥스비스(벤젠설포닐 하이드라자이드)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아조 발포제는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 중량% 범위의 양으로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의 제조
상기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거나 이후에 발견된 임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상기 성분은 고온에서 용융-혼합되어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을 형성시킬 수 있다. 임의의 종래 또는 이후에 발견된 용융 혼합 장비 (예를 들면, 브라벤더 혼합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또한 압출기에서 용융-혼합될 수 있다.
적합한 제조 공정의 예는,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고온 (예를 들면, 200℃)으로 설정된 혼합기에 부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후,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을 혼합기에 부가하고 기간 (예를 들면, 50 rpm에서 5분) 동안 혼합시킨다. 다음으로, 폴리알콕시 실란 상용화제를 혼합기에 부가한 다음 추가 기간 (예를 들면, 2-3 분) 동안 혼합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축합 촉매를 혼합기에 부하되고 추가 기간 (예를 들면, 2-3 분) 동안 혼합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득한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을 가교결합 전에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다른 성분들을 동시에 용융-혼합시키면서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공정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불포화 가수분해성 실란 모노머 및 (상기와 같은) 퍼옥사이드와 조합시키고, 방금 기재된 잔여 성분과 혼합기 중에서 혼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절차에 의해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동시적인 그라프트 중합 및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이 형성되게 된다.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은 임의의 공지되거나 또는 이후에 발견된 수분-가교결합 방법을 통하여 가교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은 기간 (예를 들면, 8 시간) 동안 고온 (예를 들면, 60℃)에서 수조 중에 액침될 수 있다.
수득한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은 70, 25, 또는 -25°C 중 임의 온도에서 측정하였을 때 70% 미만, 65% 미만, 60 % 미만, 55 % 미만, 또는 50 % 미만의 영구압축변형률(compression set)을 가질 수 있다. 영구압축변형률은 본원에서 국제 표준화 기구 ("ISO") 방법 815에 따라 측정된다.
수득한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은 70 미만, 65 미만, 60 미만, 또는 65 미만의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쇼어 경도는 본원에서 독일 공업 규격 위원회 ("DIN") 방법 A 53505 (3 sec.)에 따라 측정된다.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은 0.1 내지 15 MPa, 또는 0.5 내지 7.5 MPa 범위의 인장 강도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인장 강도는 본원에서 ISO 37 T2에 따라 측정된다.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은 100 내지 1,000%, 또는 200 내지 500% 범위의 파단 연신율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파단 연신율는 본원에서 ISO 37 T2에 따라 측정된다.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은 22시간 동안 70℃에서 IRM 903에서 내유성(oil resistance)에 대해 시험하였을 때, 300 중량% 미만의 용적 팽윤(volume swell)을 나타낼 수 있다. 용적 팽윤은 본원에서ISO 1817에 따라 측정된다.
코팅된 컨덕터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하여 컨덕터 및 절연 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이 제조될 수 있다. "케이블" 및 "전원 케이블"은 덮개(sheath), 예를 들면, 절연 커버링 및/또는 보호 외부 재킷 내,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또는 광섬유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케이블은 전형적으로 공통의 절연 커버링 및/또는 보호 재킷 내, 함께 결합된 2 이상의 와이어 또는 광섬유이다. 덮개 내 개별 와이어 또는 섬유는 커버되지 않고(bare), 커버되거나 절연될 수 있다. 조합 케이블은 전기 와이어 및 광섬유 둘 모두를 함유할 수 있다. 전형적인 케이블 디자인은 USP 5,246,783, 6,496,629 및 6,714,707에 예시되어 있다. "컨덕터"는 열, 빛 및/또는 전기를 전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와이어(들) 또는 섬유(들)를 지칭한다. 컨덕터는 단일-와이어/섬유 또는 다중-와이어/섬유일 수 있고 가닥(strand) 형태 또는 관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컨덕터의 비-제한적인 예는 금속, 예컨대 은, 금, 구리, 탄소, 및 알루미늄, 또는 2금속 합금을 포함한다. 컨덕터는 또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된 광 섬유일 수 있다.
그와 같은 케이블은, 다양한 유형의 압출기 (예를 들면, 1축 또는 2축 유형)를 사용하여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을 컨덕터 상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중재(interceding) 층 상으로 압출시켜서 제조될 수 있다. 종래 압출기에 대한 설명은 USP 4,857,600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압출 및 따라서 압출기의 예는 USP 5,575,965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압출 후에, 압출된 케이블을 압출 다이 하류의 가열된 경화 구역 내로 이동시켜서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의 가교결합을 보조하고 그렇게 하여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가열된 경화 구역은 50 내지 100℃ 범위의 온도에서 유지된 수조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압출된 케이블을 개별의 가열된 사우나 챔버 중에서 오프라인 경화시킬 수 있거나, 공기 중에서 주위 온도에서 경화시킬 수 있다.
저-전압 또는 중간-전압 케이블일 수 있는 교류 케이블이 본 개시 내용에 따라서 제조될 수 있다.
시험 방법
쇼어 경도
3 x 2-mm 두께의 성형된 시료를 사용하여 DIN A 53505 (3 sec) (비교 샘플 CS7-16 및 샘플 S1-10) 또는 ASTM D2240 (비교 샘플 CS1-6)에 따라 쇼어 (A 및 D) 경도를 측정한다.
인장 특성
ISO 37 T2에 따라 인장 강도 및 인장 연신율을 측정한다.
밀도
밀도는 ASTM D 792에 따라 측정한다.
용융 지수
용융 지수, 또는 I2는 ASTM D 1238, 조건 190℃/2.16 kg에 따라 측정하고, 10분 당 용리된 그램으로 기록한다.
영구압축변형률
영구압축변형률은 ISO 815에 따라 측정한다.
용적 팽윤
용적 팽윤은 본원에서 70℃에서 22 시간 동안 IRM 903을 사용하여 ISO 1871에 따라 측정한다.
결정도 & 용융점
결정도 및 용융점을 메틀러 톨레도 DSC822e에 대한 하기 조건을 사용하여 시차주사열량계 (DSC)에 의해 측정한다:
개시: -60 ℃
등온: 5분.
가열 속도: 10 ℃/분
가열 종료: 200 ℃
등온: 5분
냉각 속도: 10℃/분
퍼지 가스: 질소
퍼지 흐름: 50 ml/분
샘플 중량: 대략 8 mg
이들의 측정을 위해, ~8 mg의 샘플을 샘플 챔버에 위치시킨 다음, 분당 10℃의 속도에서 200℃로 가열한다. 그 후, 샘플을 10℃/분에서 -60℃로 냉각시킨다. 그 후, 제2 가열 곡선을 -60℃에서 최대 200℃까지 기록한다. 가열 속도는 또한 10℃/분이다. 제2 가열 궤적으로부터, 용융 피크 면적으로부터 계산된 흡열 용융 피크 및 융해열 ΔH 둘 모두를 기록한다. 수지 결정도는 100% 결정도 값으로서 292 J/g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시약
아래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하기 시약이 이용된다:
ENGAGETM 7467는 약 0.862 g/cm3의 밀도, 약 12 %의 결정도, 약 34 ℃의 용융점, 및 약 1.2의 용융 지수를 갖는 에틸렌/부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이고,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ENGAGETM 8100는 약 0.870 g/cm3의 밀도, 약 18 %의 결정도, 약 60 ℃의 용융점, 및 약 1의 용융 지수를 갖는 에틸렌/옥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이고,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ENGAGETM 8200는 약 0.870 g/cm3의 밀도, 약 19 %의 결정도, 약 59 ℃의 용융점, 및 약 5의 용융 지수를 갖는 에틸렌/옥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이고,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ENGAGETM 8400는 약 0.870 g/cm3의 밀도, 약 21 %의 결정도, 약 65 ℃의 용융점, 및 약 30의 용융 지수를 갖는 에틸렌/옥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이고,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ENGAGETM 8401는 약 0.885 g/cm3의 밀도, 약 25 %의 결정도, 약 80 ℃의 용융점, 및 약 30의 용융 지수를 갖는 에틸렌/옥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이고,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ENGAGETM 8480는 약 0.902 g/cm3의 밀도, 약 33 %의 결정도, 약 99 ℃의 용융점, 및 약 1의 용융 지수를 갖는 에틸렌/옥텐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이고, The Dow Chemical Company (Midland, MI,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DMS-T46는 트리메틸실록시-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이고 (abcr GmbH & Co. (Karsruhe, Germ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DMS-S45는 실라놀-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이고 (abcr GmbH & Co. (Karsruhe, Germany)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테트라에톡시 실란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 라고로 알려짐)는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는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비닐트리메톡시실란는 Sigma-Aldrich (St. Louis, MO,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TRIGONOXTM 101는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이고 AkzoNobel N.V. (Amsterdam, Netherlands)로부터 이용가능하다.
실시예
실시예 1 - 가교결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비교)
상기 개괄된 시험 방법에 따라 6개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분석한다. 비교 샘플 1 (CS1)는 ENGAGETM 7467이다. 비교 샘플 2 (CS2)는 ENGAGETM 8100이다. 비교 샘플 3 (CS3)는 ENGAGETM 8200이다. 비교 샘플 4 (CS4)는 ENGAGETM 8400이다. 비교 샘플 5 (CS5)는 ENGAGETM 8401이다. 비교 샘플 6 (CS6)는 ENGAGETM 8480이다. 분석 결과는 아래의 표 1에서 제공된다.
표 1 - 가교결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특성
Figure pct00004
NM = 측정되지 않음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가교결합되지 않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고온 및 저온에서 좋지 못한 (높은) 영구압축변형률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2 - 실란-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비교)
먼저 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제조하여 3개의 실란-가교결합된 (Si-XL)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비교 샘플 (CS7-9)을 제조한다.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15 내지 30 분 동안 1.5 중량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VTMOS") 및 0.1 중량 % 트리가녹스 101과 혼합시키고, 그 후 반응성 성분을 엘라스토머 내로 흡수시킨다. 그 후, 엘라스토머를 하기 온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1축 압출기 상에서 압출시킨다: 160℃, 180℃, 190℃, 200℃, 220℃ 및 220℃ 근방의 용융 온도. RPM 및 체류 시간은, 퍼옥사이드를 충분히 분해시키고 VTMOS를 그라프팅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다 (전형적으로 약 30 rpm 및 4 내지 7 분의 체류 시간). 그 후, 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펠렛화시킨다.
그 후, 수득한 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가교결합시킨다. 가교결합은, 먼저 10분 동안 190℃의 온도에서 작동된 성형 프레스 중에서 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2-mm 성형된 플레이트를 제조함에 의해 수행된다. 다음으로, 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성형된 플레이트를 8 시간 동안 60℃에서 수조 중에 위치시킨 다음, 밤새 평형화시킨다.
CS7은 개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 ENGAGETM 8200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CS8은 개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 ENGAGETM 8400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CS9는 개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로 ENGAGETM 8401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수득한 실란-가교결합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상기 시험 방법에 따라 분석한다. 결과가 하기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표 2 - Si - XL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특성
Figure pct00005
실시예 1의 가교결합되지 않은 비교 샘플 (CS1-6)과 비교하여, 용적 팽윤 및 실온 영구압축변형률에서 개선이 확인된다; 그러나, 고온 및 저온 영구압축변형률 데이타는 높은 채로 남아있다.
실시예 3 - 트리메틸실록시 -종결된 폴리실록산과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배합물 (비교)
ENGAGETM 8401 또는 실란-그라프팅된 ENGAGETM 8401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제형에 따라 트리메틸실록시-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 ("TMS-PDMS")과 배합시켜서 4개의 비교 샘플 (CS10-13)을 제조한다. 실란-그라프팅된 ENGAGETM 8401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것과 동일하지만, 가교결합 단계를 거치지 않은 것이다.
표 3 - 비교 샘플 CS10-13의 조성
Figure pct00006
먼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소형 브라벤더 내부 혼합기로 옮겨서 CS10-13을 제조한다. 그 후, TMS-PDMS를 혼합기에 부가하고, 50 rpm에서 5 분 동안 200℃에서 완전히 혼합시킨다. 다음으로, (적용가능하다면) 테트라에톡시 실란 중에 부가하고, 추가 2-3분 동안 다시 혼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적용가능하다면)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중에 부가하고, 추가 2-3분 동안 다시 혼합시킨다. 그 후, 혼합물을 제거하고, 성형 프레스에 위치시켜서 190℃에서 10분 동안 2-mm 플레이트로 성형시킨다. CS12 및 CS13을 실시예 2에서의 상기 가교결합 절차에 적용한다. CS10-13을 상기 시험 방법에 따라 분석한다. 결과가 하기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표 4 - 비교 샘플 CS10-13의 특성
Figure pct00007
NM = 측정되지 않음
NP = 플레이트를 성형시키기 불가능함
표 4에서 확인되듯이, TMS-PDMS를 사용하여도 고온 또는 저온 영구압축변형률이 개선되지 않았다.
실시예 4 - 실라놀 -종결된 폴리실록산과 비- 실란 - 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배합물 (비교)
실시예 3에서의 상기 배합 절차 및 실시예 2에 기재된 가교결합 절차를 사용하여 20 g의 ENGAGETM 8401을 30 g의 실라놀-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 (DMS-S45), 0.1 g의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및 0.5 g의 테트라에톡시 실란과 배합하여 비교 샘플 (CS14)을 제조한다. 수득한 배합물을 상기 시험 방법에 따라 분석한다. 결과가 하기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표 5 - 비교 샘플 CS14의 특성
Figure pct00008
표5에서 확인되듯이, 비-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여도 고온 또는 저온 영구압축변형률이 개선되지 않았다.
실시예 5 - 촉매 또는 상용화제 없이, 실라놀 -종결된 폴리실록산과 실란 - 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배합물 (비교)
실시예 3에 기재된 배합 절차를 사용하여 20 g의 실란-그라프팅된 ENGAGETM 8401 (실시예 2에서 제조됨)을 30 g의 실라놀-종결된 폴리디메틸실록산 (DMS-S45)과 배합시켜서 비교 샘플 (CS15)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배합물에 실시예 2에 기재된 가교결합 절차를 실시한다. 수득한 배합물을 상기 시험 방법에 따라 분석한다. 결과가 하기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표 6 - 비교 샘플 CS15의 특성
Figure pct00009
표 6에서 확인되듯이, 수분 경화 촉매 및 상용화제의 부재 하에 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실라놀-종결된 폴리실록산을 배합 및 경화시켜도 고온 또는 저온 영구압축변형률 데이터는 개선되지 않는다.
실시예 6 - 실라놀 -종결된 폴리실록산없이 , 촉매 및 상용화제와 실란 - 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배합물 (비교)
실시예 3에 기재된 배합 절차를 사용하여 50 g의 실란-그라프팅된 ENGAGETM 8401 (실시예 2에서 제조된)을 0.1 g의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및 0.5 g의 테트라에톡시 실란과 배합시켜서 비교 샘플 (CS16)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배합물에 실시예 2에 기재된 가교결합 절차를 실시한다. 수득한 배합물을 상기 시험 방법에 따라 분석한다. 결과가 하기 표 7에 제시되어 있다.
표 7 - 비교 샘플 CS16의 특성
Figure pct00010
표 7에서 확인되듯이, 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축합 촉매 및 상용화제를 사용하고 실라놀-종결된 폴리실록산의 부재 하에 배합 및 경화시켜도 고온 또는 저온 영구압축변형률 데이타는 개선되지 않는다.
실시예 7 - 실라놀 -종결된 폴리실록산 , 촉매 및 상용화제와 실란 - 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배합물
먼저 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교결합 없이) 제조하여, 하기 표 8에 기재된 제형에 따라 10개의 샘플 (S1-10)을 제조한다. 그 후, 실시예 3에서의 상기 배합 절차를 사용하여 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실라놀-종결된 폴리실록산 (DMS-S45), 축합 촉매, 및 폴리알콕시 실란 상용화제와 배합한다. 배합 후에, 혼합물을 혼합기로부터 제거하고, 혼합물을 8시간 동안 60℃의 온도에서 수조 중에 위치시켜서 경화시킨다. 그 후, 가교결합된 조성물을 밤새 평형화시킨다.
표 8 - 비교 샘플 CS10-13의 조성
Figure pct00011
샘플 S1 내지 S10을 상기 시험 방법에 따라 분석한다. 결과가 하기 표 9에 제시되어 있다.
표 9 - 샘플 S1-10의 특성
Figure pct00012
NM = 측정되지 않음
표 8에서 확인되듯이, 실란-그라프팅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실라놀-종결된 폴리실록산, 축합 촉매, 및 폴리알콕시 실란 상용화제의 가교결합된 배합물은 심지어 고온 및 저온에서도 개선된 영구압축변형률 데이타를 제공한다. 추가로, 그와 같은 조성물은 특히 실라놀-종결된 폴리실록산의 양이 증가할수록 원하는 유연도를 제공한다.

Claims (10)

  1. 하기를 포함하는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 및
    축합 촉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은 적어도 20,000 g/mol의 분자량을 가지며; 상기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은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와 상기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의 조합된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 퍼센트 범위의 양으로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실란-그라프팅된 에틸렌/α-올레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와 상기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의 조합된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 퍼센트 범위의 양으로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는 테트라알콕시 실란이고, 상기 축합 촉매는 주석-기반 또는 설폰산 축합 촉매이고; 상기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는 100 중량부의 상기 조합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을 기준으로 0.1 내지 5 부 / 수지 100 ("phr") 범위의 양으로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내에 존재하고; 상기 축합 촉매는 100 중량부의 상기 조합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을 기준으로 0.05 내지 0.5 phr의 양으로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결합시켜 제조된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로서, 상기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은 -25 ℃에서, 70 ℃에서, 또는 둘 모두에서 측정된 60 % 미만의 영구압축변형률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은 60 미만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
  6. 컨덕터; 및
    상기 컨덕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폴리머 층을 포함하는 코팅된 컨덕터로서,
    상기 폴리머 층의 적어도 일부분은 청구항 5의 상기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로 구성된, 코팅된 컨턱터.
  7. 하기를 포함하는 방법:
    (a) 가수분해성 실란 그룹을 갖는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 및 축합 촉매와 조합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와 상기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결합시키고 그렇게 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은 적어도 20,000 g/mol의 분자량을 가지며; 상기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은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와 상기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의 조합된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 퍼센트 범위의 양으로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내에 존재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실란-그라프팅된 에틸렌/α-올레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와 상기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의 조합된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90 중량 퍼센트 범위의 양으로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방법.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는 테트라알콕시 실란이고; 상기 축합 촉매는 주석-기반 또는 설폰산 축합 촉매이고; 상기 폴리알콕시 실란 화합제는 100 중량부의 상기 조합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을 기준으로 0.1 내지 5 부 / 수지 100 ("phr") 범위의 양으로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내에 존재하고; 상기 축합 촉매는 100 중량부의 상기 조합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하이드록실-종결된 폴리실록산을 기준으로 0.05 내지 0.5 phr의 양으로 상기 가교결합성 폴리머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방법.
  10.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은 -25 ℃에서, 70 ℃에서, 또는 둘 모두에서 측정된 60% 미만의 영구압축변형률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교결합된 폴리머 조성물은 60 미만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방법.

KR1020167000985A 2013-06-25 2014-06-02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폴리실록산 배합물 KR102299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38991P 2013-06-25 2013-06-25
US61/838,991 2013-06-25
PCT/US2014/040488 WO2014209543A1 (en) 2013-06-25 2014-06-02 Polyolefin elastomer and polysiloxane ble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487A true KR20160031487A (ko) 2016-03-22
KR102299191B1 KR102299191B1 (ko) 2021-09-10

Family

ID=5098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985A KR102299191B1 (ko) 2013-06-25 2014-06-02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폴리실록산 배합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513609B2 (ko)
EP (1) EP3013905B1 (ko)
JP (1) JP6543244B2 (ko)
KR (1) KR102299191B1 (ko)
CN (1) CN105452384B (ko)
BR (1) BR112015030634B1 (ko)
CA (1) CA2914928C (ko)
MX (1) MX2015017029A (ko)
TW (1) TWI676655B (ko)
WO (1) WO2014209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7914A1 (en) * 2014-04-15 2015-10-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silicone composition
KR102602891B1 (ko) * 2015-04-30 2023-11-17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올레핀의 실란 가교결합을 위한 경화 조절 첨가제로서 하이드록실-말단화된 pdms
EP3239195A1 (en) * 2016-04-27 2017-11-01 Borealis AG Crosslinked polymer composition for cable accessories
EP3469602A1 (en) * 2016-06-14 2019-04-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Moisture-curable compositions comprising silane-grafted polyolefin elastomer and halogen-free flame retardant
JP2018089937A (ja) * 2016-12-07 2018-06-14 化成工業株式会社 螺旋状層構造体、及び螺旋状層構造体の製造方法
CN110506076B (zh) * 2017-04-14 2023-01-31 3M创新有限公司 弹性体组合物、弹性体、制备弹性体的方法和胶带
RU2769510C2 (ru) * 2017-07-31 2022-04-01 Дау Глоубл Текнолоджиз Ллк Влагоотверждаем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оляции провода и кабеля и слоёв оболочки
JP6901387B2 (ja) * 2017-12-12 2021-07-14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グラスラン
US10150868B1 (en) * 2018-03-28 2018-12-11 Dow Global Technologies Llc Flooding composition with polysiloxane
MX2021000044A (es) * 2018-06-29 2021-03-25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mposicion retardante de llama curable por humedad para aislamiento de alambres y cables y capas de revestimiento.
RU2770612C1 (ru) 2018-10-02 2022-04-19 Бореалис Аг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е сшивание привитых пластомеров
US20220298345A1 (en) * 2019-11-11 2022-09-2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meric compositions for optical fiber cable components
CN110819113A (zh) * 2019-11-19 2020-02-21 江苏郎定电力有限公司 一种裸导线导热绝缘包覆料及其制备方法
CN114369246B (zh) * 2021-12-07 2023-05-16 广州集泰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氢化聚丁二烯改性硅树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1485A (ja) * 2009-03-23 2012-09-13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化学硬化性一体型ウォームエッジスペーサ及びシール
JP2013505332A (ja) * 2009-09-16 2013-02-14 ユニオン カーバイド ケミカルズ アンド プラスティックス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 架橋された溶融成形品およびその生産のための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8356A (en) * 1980-09-30 1981-09-08 Dow Corning Corporation Polysiloxane emulsion elastomers reinforced with emulsified organo-silicone copolymers
JPH0346154Y2 (ko) * 1985-08-28 1991-09-30
JPH066661B2 (ja) * 1985-12-18 1994-01-26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耐熱性エチレン−α−オレフイン系共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
JP2640129B2 (ja) * 1987-12-24 1997-08-13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
CA2018002A1 (en) 1989-10-03 1991-12-08 Judith Stein Curable silicone caulk compositions
JP2862919B2 (ja) 1989-11-10 1999-03-03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塗料用硬化性組成物
CA2105264C (en) 1992-09-08 2002-05-07 Yasushi Nakakura Resin compositions, production process thereof, and products using the resin compositions
TW273561B (ko) 1993-10-21 1996-04-01 Sumitomo Bakelite Co
US5492760A (en) 1994-12-05 1996-02-20 At Plastics Inc. Water tree resistant, moisture curable insulation composition for power cables
WO1998010724A1 (en) 1996-09-13 1998-03-19 Dupont Canada Inc. Silicone-containing polyolefin film
WO1998018873A1 (fr) * 1996-10-31 1998-05-07 Kaneka Corporation Composition durcissable pour revetement de finition et articles recouverts de cette composition
BR9713411A (pt) * 1996-11-25 2000-04-18 Dupont Dow Elastomers Llc Composição de mistura polimérica termoplástica e processo para preparar um artigo moldado
CA2342788C (en) * 1998-08-20 2008-10-14 Kaneka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JP2001271570A (ja) * 2000-03-24 2001-10-05 Central Glass Co Ltd 電磁遮蔽ガラス
JP4061824B2 (ja) * 2000-07-25 2008-03-19 三井化学株式会社 ゴム組成物
US6803417B2 (en) * 2001-10-11 2004-10-12 Dupont Dow Elastomers L.L.C. Polyolefin powder, processes for making and using slush molded articles made from the same
US20070116907A1 (en) * 2005-11-18 2007-05-24 Landon Shayne J Insulated glass unit possessing room temperature-cured siloxane sealant composition of reduced gas permeability
CN102040841B (zh) 2010-12-29 2012-07-04 东莞市普凯塑料科技有限公司 一种动态硫化无卤阻燃硅橡胶/聚烯烃热塑性弹性体
WO2012106401A1 (en) * 2011-02-04 2012-08-0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ross-linkable polyolefin composition for formed textured skin appl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1485A (ja) * 2009-03-23 2012-09-13 ダウ コーニ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化学硬化性一体型ウォームエッジスペーサ及びシール
JP2013505332A (ja) * 2009-09-16 2013-02-14 ユニオン カーバイド ケミカルズ アンド プラスティックス テクノロジー エルエルシー 架橋された溶融成形品およびその生産のための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5017029A (es) 2016-04-25
US10513609B2 (en) 2019-12-24
KR102299191B1 (ko) 2021-09-10
BR112015030634B1 (pt) 2021-10-13
EP3013905B1 (en) 2022-11-02
TWI676655B (zh) 2019-11-11
TW201504353A (zh) 2015-02-01
CN105452384A (zh) 2016-03-30
WO2014209543A1 (en) 2014-12-31
EP3013905A1 (en) 2016-05-04
CA2914928C (en) 2021-06-22
CN105452384B (zh) 2020-11-27
BR112015030634A2 (pt) 2020-10-27
US20160108239A1 (en) 2016-04-21
JP6543244B2 (ja) 2019-07-10
CA2914928A1 (en) 2014-12-31
JP2016522306A (ja)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191B1 (ko)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및 폴리실록산 배합물
KR101740080B1 (ko) 가교된 용융 성형 물품의 제조 방법
EP2307484B1 (en) Silicone-thermoplastic polymer reactive blends and copolymer products
TWI576382B (zh) 熱塑性半導電組成物
BR112015028377B1 (pt) Composiqao polimerica reticulavel
US20190309117A1 (en) Moisture-Curable Compositions Comprising Silane-Grafted Polyolefin Elastomer and Halogen-Free Retardant
KR20150063388A (ko) 개질 에틸렌-기재 중합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936567B (zh) 电线和电缆涂料用发泡聚烯烃组合物
CN111971328B (zh) 用于导线和缆线涂层的非泡沫聚烯烃组合物
KR102540460B1 (ko) 와이어 및 케이블 절연 층 및 재킷 층을 위한 수분 경화성 조성물
KR20220100900A (ko) 광학 섬유 케이블 구성요소를 위한 중합성 조성물
CA3103712A1 (en) Moisture-curable flame retardant composition for wire and cable insulation and jacket layers
WO2020139537A1 (en) Solid crosslinked polyolefin compositions for wire and cable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