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346A - 플렉시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26346A KR20160026346A KR1020140114669A KR20140114669A KR20160026346A KR 20160026346 A KR20160026346 A KR 20160026346A KR 1020140114669 A KR1020140114669 A KR 1020140114669A KR 20140114669 A KR20140114669 A KR 20140114669A KR 20160026346 A KR20160026346 A KR 201600263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lyte
- electrode
- monomer
- metal fiber
- current coll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01M4/806—Nonwoven fibrous fabric containing only fib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섬유형 집전체 및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에 결합된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에 열 중합 및 가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한 액상 프리전해질을 제공하고, 열을 가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이 상기 전극과 일체화되면서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과 양극 집전체로 이루어진 양극, 음극 활물질과 음극 집전체로 이루어진 음극,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분리막으로 구성되며, 전해액이 음극, 양극 및 분리막에 침습되어 이온 통로로서 기능한다. 최근 소형 및 중대형 전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리튬 이차 전지는 전해액으로서 유기 전해액을 사용한다. 유기 전해액은 알칼리 수용액을 사용하는 기존의 전지보다 2 배 이상의 높은 기전력을 나타내며, 그 결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전지이다.
그러나, 최근 리튬 이차 전지에서 상기 유기 전해액의 안정성이 문제되면서, 유기 전해액을 대체하는 고체 전해질이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이 전기적 절연과 높은 이온 전도성을 갖기 위해서는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 중 전해질의 균일한 겔화 또는 고형화와, 이에 따른 전해질과 활물질 사이의 젖음성이 중요하다.
전해질의 겔화 또는 고형화는 통상 고온의 열처리를 통해 수행되며, 이 경우, 고온으로 인해 고분자 전해질이 열화되기 쉽고,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 저온 공정을 수행할 경우 전해질의 균일한 겔화 또는 고체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해질의 균일한 겔화 또는 고체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해질과 활물질 사이의 젖음성도 좋지 않아 용량의 저하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온 열공정에 의해서도 전극 전범위에 걸쳐 균일하고 빠르게 겔 또는 고체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는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고분자 전해질과 집전체가 일체화되어 수명이 향상된 플렉시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은, 금속 섬유형 집전체 및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에 결합된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에 열 중합 및 가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한 액상 프리전해질을 제공하고, 열을 가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이 상기 전극과 일체화되면서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은, 전해질 염, 전해질 용매, 가교 가능한 단량체, 및 열에 의해 가교 및 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구에 의해 상기 단량체를 겔화 또는 고체화되도록 하는 열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 가능한 단량체는,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1 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또는 에톡실레이티드 비스 페놀 에이 디메타크릴레이트(ethoxylated bis phenol A di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단량체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극성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methacrylate), 에틸메타크릴레이트 (ethylmethacrylate), 부틸메타크릴레이트 (butylmeth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 (methyl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 (butyl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meth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비닐아세테이트 (vinylacetate), 비닐클로라이드 (vinylchloride) 및 비닐풀루오라이드 (vinylflu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질 단량체의 용매는 고리형 또는 비고리형 에테르, 아미드, 에스테르, 선형 카보네이트, 환형 카보네이트,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열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 퍼옥사이드(acetylperoxide), 디라우릴 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di-tert-butyl peroxide),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t-butyl peroxy-2-ethyl-hexanoate), 큐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 hydroperoxide),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히드로과산화물, 2,2'-아조비스(2-시아노부탄),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AIBN(2,2'-Azobis(iso-butyronitrile)) 또는 AMVN(2,2'-Azobisdimethyl-Valeronitril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는 30 ℃ 내지 100 ℃의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는 상기 전극을 외장재에 넣기 이전에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을 제공하여 수행된다. 상기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는 상기 전극을 외장재에 넣은 이후에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을 제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은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한 후 상기 외장재 내에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넣는다. 상기 활물질과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은 서로 혼합되어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에 함께 함입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에 활물질이 혼합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 내에 일체화된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에 모두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1 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의 혼합물이 가교 및 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구에 의해 고분자화된 매트릭스, 전해질 염 및 전해질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의 적어도 일부가 해당 전극의 표면을 감쌈으로써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는 부직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네트워크인 금속 섬유형 집전체와 활물질이 혼합된 전극에 고분자, 전해질 용매, 가교가능한 단량체 및 리튬염으로 이루어진 액상 프리전해질이 제공된 후 고온 공정이 수행되며, 이때 금속 섬유형 집전체가 열 전달 통로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전극의 전체 범위에서 액상 전해질이 균일하고 신속하게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을 갖는 전극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네크워크 구조를 갖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의 기공을 통해 제공된 액상 프리전해질이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와 일체화된 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여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와 상기 전해질 사이에 우수한 젖음성을 확보하여 전극 내부 저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구조와 전해질 상호간 결합력과 활물질에 대한 집전체의 속박력이 향상되어 원하는 형태로 전지의 외형 가공과 변형이 가능한 플렉시블 이차 전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및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및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및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단계,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한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금속 섬유는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니켈, 티타늄,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의 섬유체로서, 실질적으로 1 ㎛ 이상의 전 길이 범위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신장된 금속체이다. 상기 금속 섬유는 우수한 열전달율을 가지며, 금속이 갖는 내열성, 가소성 및 전기 전도성을 가지면서, 섬유 특유의 직조 및 부직포 가공 공정이 가능한 이점을 동시에 갖는다.
상기 금속 섬유들은 용기 내에서 금속 또는 합금을 용탕 상태로 유지하고, 압축 가스 또는 피스톤과 같은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의 사출공을 통하여 상기 용탕을 대기 중에 분출시켜 급냉 응고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는, 금속 섬유들은 공지의 집속 인발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출공의 개수, 크기 및/또는 사출된 용융 금속의 비상을 제어함으로써 금속 섬유들의 두께, 균일도, 부직포와 같은 조직 및 그 종횡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를 구성하는 금속 섬유들은 전술한 제조 방법뿐만 아니라, 다른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및 개략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전극의 제공 단계(S11), 액상 프리전해질(liquid pre-electrolyte)의 제공 단계(S12),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의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 스택 또는 권취 단계(S14), 및 외장재 밀봉 단계(S15)를 포함한다. 전극 형성 단계(S11)의 제조된 양극(또는, 캐소드; 110)과 음극(또는, 애노드; 120)은 복수의 금속 섬유들이 서로 접촉되어 도전성 네트워크 및 열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이란 용어는 겔화 및 고체화된 전해질을 형성하기 위한 전구체를 포함하는 액상 원료를 지칭한다.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는, 복수의 금속 섬유들이 랜덤 배열되어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휘어지거나 꺾여 서로 엉킴으로써 서로 기계적으로 체결되고, 기공(porosity)을 갖는 하나의 도전성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상기 도전성 네트워크는 부직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금속 섬유들은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서로 다른 종류의 금속 또는 길이가 다른 금속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는 종래의 금속 포일형 집전체와 달리 양 주면이 서로 연통되어 단일한 활성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 자체로 전극을 구성하는 경우, 양 주면이 별개의 활성 전극을 구성하는 금속 포일형 집전체에 비하여 에너지 밀도가 더 향상될 수 있다.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는 1 ㎛ 내지 200 ㎛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의 두께가 1 ㎛ 미만이면, 균일한 두께나 강도를 갖는 금속 섬유들의 성형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전술한 열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금속 섬유들의 인위적인 배열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의 두께가 2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금속 섬유의 체적당 표면적이 감소하여 표면적 증가에 따른 전지 성능의 향상을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활물질(112, 122)의 속박 효과가 적어 사용 중 활물질(112, 122)이 전극(110, 120)으로부터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그 결과 사용에 따라 전지의 비가역 용량이 증가되어 전지의 수명이 열화될 수 있다.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는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니켈, 티타늄, 구리 또는 이의 합금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110)의 경우,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는 높은 전위 영역에서 산화되지 않는 알루미늄 또는 이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음극(120)의 경우, 금속 섬유형 집전체(121)는 낮은 작동 전위에서 전기화학적으로 비활성인 구리, 스테인레스강,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의 일 면에 판상 금속 포일(미도시)이 더 결합될 수도 있다.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와 금속 포일은 서로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양극(110)과 음극(120)이 모두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의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양극(110)과 음극(120) 중 어느 하나만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 내에 활물질(112, 122)을 함침하거나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의 금속 섬유들 상에 활물질을 코팅하여 전극(110, 120)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b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 내에 해당 활물질(112, 122)이 함침된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활물질(110, 120)은 바인더 및 적합한 용매와 함께 혼합되어 슬러리 형태로 함침된 후, 건조될 수 있다.
양극(110)의 활물질(112)은, 코발트, 구리, 니켈, 망간, 티타늄 및 몰리브데늄 중 적어도 2 이상을 포함하고, O, F, S, 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예를 들면, Li[Ni, Mn, Co]O2와 같은 3 성분계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그러나, 양극 활물질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공지의 활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음극(120)의 활물질(122)은 저결정 탄소 또는 고결정 탄소와 같은 탄소계 재료일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는, 예를 들면, 연화 탄소(soft carbon) 또는 경화 탄소(hard carbon)일 수 있다. 상기 고결정성 탄소는, 예를 들면, 천연 흑연(natural graphite), 키시 흑연(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 피치계 탄소 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 구체(meso-carbon microbeads), 중간상 피치(Mesophase pitches), 석유 또는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와 같은 고온 소성 탄소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음극 활물질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용량화가 가능한, 실리콘, 주석과 같은 리튬과 얼로잉 또는 삽입/탈착이 가능한 여하의 활물질 재료일 수 있다.
액상 프리전해질의 제공 단계(S12)에서, 액상 프리전해질(130P)은, 겔 전해질 또는 고체 전해질을 형성하기 이전의 액상 전해질 전구체를 지칭한다. 액상 프리전해질(130P)은 전해질 염, 전해질 용매, 가교 가능한 단량체 및 상기 단량체를 가교 및/또는 중합하기 위한 열 개시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액상 프리전해질(130P)는 점성 및 탄성 제어를 위해 비가교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가교 교분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코-헥사플로로프로필렌(polyvinylidene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 chlolide)인 선형 고분자; 및 폴리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poly[methoxy polyethylene glycol methacrylate]) 또는 폴리2-메톡시 에틸 글리시딜 에테르(poly[2-methoxy ethyl glycidyl ether])인 가지형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1 종의 화합물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프리전해질(130P)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 내에 해당 활물질(112, 122)이 함침된 이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방법으로 준비된 전극(110,120)의 일 측 표면 또는 전체 표면에 액상 프리전해질(130P)이 주액 또는 코팅되거나, 전극(110,120)을 액상 프리전해질(130P)이 담겨 있는 조(bath) 내에 침지함으로써 액상 프리전해질(130P)을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 내의 기공들을 통해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 내에 함입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전술한 활물질의 슬러리와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130P)을 혼합 슬러리 형태로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 내에 함께 함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혼합 슬러리가 조(bath) 내에 수용되고,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가 상기 조 내부를 경과하는 방식으로 상기 혼합 슬러리가 함침되거나,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 상에 상기 혼합 슬러리를 도포한 후 닥터 블레이드 또는 롤러를 이용해 상기 혼합 슬러리를 금속 섬유형 집전체 내부로 코팅하는 방식으로 함입시킬 수도 있다.
액상 프리전해질(130P)은 전해질 염으로서 리튬염인 LiCl, LiBr, LiI, LiPF6, LiClO4, LiBF4, LiCF3SO3, LiAsF6, LiSbF6, LiAlCl4, LiB10Cl10, LiCF3CO2, CH3SO3Li, CF3SO3Li, LiN(C2F5SO2)2, LiN(CF3SO2)2, LiC(CF3SO2)3, LiC4BO8 및 (CF3SO2)2NLi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리튬염은 리튬 아세틸 에세테이트, 클로로보란리튬, 저급지방족카르본산리튬 또는 테트라페닐붕산리튬일 수도 있으며, 이온화가 가능한 다른 염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해질 염은, 활물질 상에 견고한 고체 전해질 피막(solid electrolyte interface)을 형성하기 위하여 NaClO4, KClO4, NaPF6, KPF6, NaBF4, KBF4, NaCF3SO3, KCF3SO3, NaAsF6 및 KAsF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알카리 금속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해질 용매는 고리형 또는 비고리형 에테르, 아세트 아미드와 같은 아미드, 에스테르, 선형 카보네이트, 환형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는 술포렌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카프로락톤, σ-발레로락톤 및 ε-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가 있다.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의 구체적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1,2-부틸렌 카보네이트, 2,3-부틸렌 카보네이트, 1,2-펜틸렌 카보네이트, 2,3-펜틸렌 카보네이트,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할로겐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다른 공지의 액상 전해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가교 가능한 단량체는,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1 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폴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polyethyleneglycol diacrylate), 디비닐벤젠 (divinylbenzene), 폴리에스테르디메타크릴레이트 (polyesterdimethacrylate), 디비닐에테르 (divinylether), 트리메틸올프로판 (trimethylolpropane),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및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ethoxylated bisphenol A di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methacrylate), 에틸메타크릴레이트 (ethylmethacrylate), 부틸메타크릴레이트 (butylmeth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 (methyl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 (butyl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meth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비닐아세테이트 (vinylacetate), 비닐클로라이드 (vinylchloride) 및 비닐풀루오라이드 (vinylflu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량체를 열에 의해 가교 또는 고분자화하여 겔 또는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매트릭스를 형성하기 위한 열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 퍼옥사이드(acetylperoxide), 디라우릴 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di-tert-butyl peroxide),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t-butyl peroxy-2-ethyl-hexanoate), 큐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 hydroperoxide)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와 같은 유기과산화물류 또는 히드로과산화물류 및 2,2'-아조비스(2-시아노부탄),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AIBN(2,2'-Azobis(iso-butyronitrile)) 및 AMVN(2,2'-Azobisdimethyl-Valeronitrile)와 같은 아조 화합물류가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열 개시제는 전체 액상 프리전해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5 중량부% 만큼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열 개시제가 5 중량%를 초과하면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을 전극 내로 주액하는 도중에 겔화가 너무 빨리 일어나거나 미반응 중합 개시제가 남아 나중에 전지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중합 개시제가 0.01 중량% 미만이면 겔 또는 고체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액상 프리전해질(130P)은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에 기초하는 다공성의 전극(110, 120)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 영역에도 존재하게 된다. 이 경우, 액상 프리전해질(130P)은 전극(110, 120) 내에 존재하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 및 활물질(112, 122)을 완전하게 감쌀 수 있다.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에서는, 전극(110, 120)의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액상 프리전해질이 열 중합 및/또는 가교 개시제에 의해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130)이 형성된다.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는 30 ℃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가열 온도가 30 ℃미만일 때에는 액상 프리전해질(130P)의 겔화 또는 고체화가 진행되지 않고, 가열 온도가 100℃보다 클 경우에는 액상 프리전해질(130P)이 휘발되거나 열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130)의 형성은 상술한 전극(110,120) 및 고분자 전해질(130)에 직접 열풍, 유도 코일 가열, 적외선 조사, 또는 핫 플레이트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에서,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는 전극 내에서 금속 섬유의 높은 열 전도율에 기초하는 열 전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높은 열전도율을 갖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에 의한 상기 열 전달 네트워크는 실질적으로 전극(110, 120)의 전체 부피를 점유하기 때문에, 전극(110, 120)의 가열시 전극(110, 120)의 전체 부피에 걸쳐 온도 편차가 실질적으로 없다. 따라서,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에서, 액상 프리전해질(130P)의 열 개시제에 의해 단량체가 전극(110, 120)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균일하게 가교 및 중합되어 겔화 또는 고체화되고, 전해질 용매에 분산된 전해질 염이 상기 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130) 내에 균일하게 함침된다.
또한,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에서,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의 높은 열 전도율은 전극(110, 120)의 내부와 외부에 큰 온도 차이를 두지 않더라도 단위 시간당 더 많은 열량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열 온도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저온 범위에서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액상 프리전해질(130P)이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에서 휘발되어 형성된 고분자 전해질이 설계된 조성비와 다른 조성비를 갖거나 열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일 온도에서는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130P)을 더욱 신속하게 겔화 또는 고체화를 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는 진공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상 프리전해질(130P)의 젖음성은 더욱 향상되고, 그 결과 고분자 전해질(130)과 전극(110,120) 사이의 접촉 저항을 더욱 낮추고, 전지의 내부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공 상태에서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진공 챔버가 요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분자 전해질(130)의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 이후에는, 고분자 전해질(130)과 일체화된 전극(110, 120)을 일정 압력으로 압착함으로써, 전극(110, 120)의 두께를 감소시키고, 고분자 전해질(130)의 젖음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는,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 이후에, 급속 냉각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액상 프리전해질(130P)의 겔화 또는 고체화를 완료시킬 수 있다.
후속하여, 스택 또는 권취 단계(S1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양극(110) 및 음극(120)을 교대로 스택하거나 복수 회 권취함으로써, 전극 조립체(100A)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110, 120)의 표면은 이미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130)이 완전히 감싸고 있으므로, 양극(110)과 음극(120) 사이에 배치되는 분리막이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완벽한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추가적인 다공성 분리막이 양극(110)과 음극(1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양극(110), 음극(120) 및 양극(110)과 음극(120) 사이에 분리막을 스택 또는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S14) 이후에, 상기 전극 조립체에 액상 프리전해질(130P)을 함입시키고(S12), 상기 전극 조립체에 대하여 이후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13)를 수행할 수도 있다.
외장재 밀봉 단계(S15)에서는, 파우치와 같은 외장재(140)에 상술한 스택 또는 권취된 전극 조립체(100A)를 넣고 밀봉한다. 양극(110)에는 양극 리드 탭(113)이, 음극(120)에는 음극 리드 탭(123)이 미리 부착될 수 있으며, 양극 리드 탭(113) 및 음극 리드 탭(123)은 외장재(140)의 외측으로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110)과 음극(120) 모두에 대하여 동일한 공정이 적용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양극(110)과 음극(120) 중 어느 하나의 전극에 대해서만 도 1a에 개시된 제조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액상 프리전해질을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130)을 사용함으로써, 외장재(140)의 내부에 액체 전해질이 존재하지 않아 전해질(130)의 외장재(140) 밖으로 누수 염려가 없어,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전지의 경우 사용시 외력에 의한 형상의 빈번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극 내부의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가 전극 전체의 변형이 있더라고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있는 플렉시블 전지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와 함께 겔 또는 고체 전해질이, 종래의 액체 전해질에 비하여, 금속 섬유형 집전체와 활물질 사이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도록 더욱 큰 외부 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전지의 변형에도 불구하고 전지의 수명이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극의 가요성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전지 팩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원통형 및 각형 전지로 전지 팩을 제조할 경우 전지와 전지 사이에 전지 용량과 무관한 데드 볼륨(dead volume)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이차 전지를 제공하게 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및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은 전극 형성 단계(S21), 스택 또는 권취 단계(S22), 외장재 제공 단계(S23), 액상 고분자 전구체 제공 단계(S24), 및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2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금번 실시예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전극 형성 단계(S21)를 통해준비된 양극(110)과 음극(120)에 대하여, 스택 또는 권취 단계(S22)에서는, 양극(110)과 음극(120) 사이에 다공성 분리막(150)을 개재하고 이들을 스택하거나 또는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100A)를 형성한다. 도 1a 및 도 1b을 참조하여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다공성 분리막이 생략될 수 있었지만,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서는 양극(110)과 음극(120)은 아직 고분자 전해질(130)로 감싸진 것이 아니므로, 다공성 분리막(150) 없이 스택하거나 또는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100A)를 형성하는 경우 양극(110)과 음극(120)이 서로 단락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분리막(150)은 전해액이 채워질 공간이 다수 존재하여 이온 전달이 용이한 다공성 재료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분리막(150)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설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로, 폴리에틸렌나프탈렌,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등가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열거된 재료들은 예시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분리막(150)으로서 폴리올레핀 계열도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막(150)은 섬유 또는 막(membrane)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섬유 형태의 분리막은 다공성 웹(web)을 형성하는 부직포를 포함하며, 장섬유로 구성된 스폰본드(Spunbond) 또는 멜트 블로운(Melt blown)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막(150)의 기공 크기 및 기공도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기공도는 30 % 내지 95 %가 바람직하며. 기공 평균 직경은 0.01 ㎛ 내지 10 ㎛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공 크기 및 기공도가 각각 0.01 ㎛ 및 대략 30 %보다 작을 경우 액상 전해액 전구체의 이동 저하로 충분한 전해질 함침이 어렵다. 상기 기공 크기 및 기공도가 대략 10 ㎛ 및 95 %보다 클 경우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양극(110)과 음극(120)이 내부 단락될 가능성이 높다.
분리막(150)의 두께는 크게 제한이 없으나, 1 ㎛ 내지 100 ㎛ 범위 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50 ㎛ 범위 내이다. 분리막(150)의 두께가 1 ㎛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기가 어렵고, 10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저항층으로 작용하여 출력 전압을 강하시킨다.
외장재 제공 단계(S23)에서는, 예를 들면, 파우치 외장재(140)가 제공될 수 있다. 파우치 외장재(140)는 내부의 금속 포일을 중심으로, 양측에 절연층으로 마감된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 외장재(140)는 봉투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상술한 전극 조립체(100A)와 액상 프리전해질을 함께 수용하게 된다.
액상 프리전해질 제공 단계(S24)에서는, 외장재(140)에 전극 조립체(100A)를 넣고 상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 유기 용매, 리튬 염 및 열 가교 개시제를 포함하는 액상 프리전해질(130P)을 넣는다. 외장재(140)는 일측이 외부로 개방되어, 고분자 전해질(130)의 겔화 또는 고체화 공정 중 각종 가스 등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25)에서는, 전극 조립체(100A) 및 액상 프리전해질(130P)가 수용된 외장재(140)에 열을 가하여 전극(110, 120), 분리막(150) 및 액상 프리전해질(130P)가 다른 구성 요소와 일체화되면서 겔화 또는 고체화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30 ℃ 내지 100 ℃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25)에서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121)가 다수의 전기적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열적 네트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전극(110, 120)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열적 도전 통로를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극(110, 120)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액상 프리전해질(130P)의 균일한 겔화 또는 고체화가 달성된다. 또한, 분리막(150)의 기공 내에 존재하는 액상 프리전해질(130P)도 겔화 또는 고체화됨으로써, 전극(110, 120) 및 분리막(150)이 고분자 전해질(130)에 의해 일체화되고, 가요성 및 유연성이 배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25)는 진공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후속 공정에서,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130)과 일체화된 전극(110, 120)을 수용하는 외장재(140)를 압착함으로써, 전지 자체의 두께를 낮추고 고분자 전해질(130)의 젖음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25) 이후에, 급속 냉각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상술한 고분자 전해질(130)의 겔화 또는 고체화가 완료될 수도 있다.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S25) 이후에는, 외장재 밀봉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외장재 밀봉 단계에서는 외장재(140) 중 개방되어 있던 영역을 열융착 방식이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완전하게 밀봉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양극(110) 및 음극(120)에 각각 접속된 양극 리드 탭(113) 및 음극 리드 탭(123)이 외장재(140)의 외측으로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양극(110)과 음극(120)이 모두 금속 섬유형 집전체를 포함하는 구조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양극(110)과 음극(120)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전극, 예를 들면, 음극만이 금속 섬유형 집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중 전극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전극(110a, 110b, 110c)으로서 양극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극(110a)은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와 입자 형태의 활물질(112)을 포함하며,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130)이 제공된다.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직선과 구부러진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는 곱슬 모양 또는 나선 모양과 같은 다른 규칙적 및/또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도 있다.
전술한 직선, 구부러진 형태, 또는 다른 규칙적 및/또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는 전극(110a) 내에서, 서로 물리적 접촉을 통하여 금속 특유의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열 전도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상기 열 전도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가 휘어지거나 꺽여 서로 엉키고 접촉 또는 결합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에 기공(porosity)을 가지면서도 기계적으로 견고하며, 섬유적 특성 때문에 가요성(flexible)을 가질 수 있다.
입자 형태의 활물질(112)은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에 의해 제공되는 열 전도 네트워크 내에 속박되며, 활물질(112)이 상기 열 전도 네트워크에 강하게 속박되도록,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를 형성하는 도전성 네트워크 내의 기공의 크기 및 기공률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기공의 크기 및 기공률의 조절은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의 전체 전극(110a) 내에서 활물질(112)과의 혼합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130)은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 및 활물질(112) 사이에 제공되는 기공에 강하게 속박되며, 또한 입자 형태의 활물질(112)의 계면 전체에 걸쳐 접촉된 형태를 한다. 따라서, 고분자 전해질(130)은 활물질(112)에 대한 젖음성/접촉성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고분자 전해질(130)과 활물질(112) 사이의 접촉 저항이 감소되고 전기 전도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10b)에는 열 전도 네트워크에 입자 형태의 활물질(112)이 강하게 속박되도록 결착재(binder)(114)가 더 첨가될 수 있다. 결착재(114)는, 예를 들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테트라불화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스틸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우레탄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EPDM)와 같은 폴리머계 재료일 수 있다. 이들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해질(130)에 용해되지 않으면서 전기화학적 환경하에서 소정의 결합력을 가지면서 안정성을 갖는 재료면 가능하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110c)에는 전기 전도도가 향상되도록 도전재(115)가 더 첨가될 수 있다. 도전재(115)는, 예를 들면, 카본 블랙, 아세틸렌블랙, 케첸블랙 및 초미세 그라파이트 입자와 같은 파인 카본(fine carbon), 나노 금속 입자 페이스트, 또는 ITO(indium tin oxide) 페이스트 또는 탄소 나노 튜브와 같은 비표면적이 크고 저항이 낮은 나노 구조체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110c)에서는, 활물질(112)에 상응하는 미세 크기를 갖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111)가 도전재(115)의 역할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도전재(115)의 첨가에 따른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전극(110a, 110b, 110c) 내에 다공성 세라믹 입자들이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예를 들면, 다공성 실리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세라믹 입자는 전극(110a, 110b, 110c) 내로 고분자 전해질(130)이 함침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차 전지(100)는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130)을 갖는 전극 조립체(100A)와, 이를 감싸는 전지 외장재(140)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00A)는 양극(110)과 음극(120)과 그 사이에 고분자 전해질(130)을 개재하여 권취된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양극(110)과 음극(120)이 적층된 판상의 적층형 전극 조립체(100A)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양극(110)와 음극(120) 사이에는 고분자 전해질(130) 이외에 다공성 분리막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00A)의 양극(110) 및 음극(120)에는 각각 양극 리드 탭(113) 및 음극 리드 탭(113)이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과 같은 용접이나 도전성 접착제에 의하여 통전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들 리드 탭(113,123)은 전극 조립체(100A)가 권취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전극 조립체(100A)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전지 외장재(140)는 전극 조립체(100A)가 수납될 수 있는 공간부(143)가 형성되어 있는 외장재 본체(141), 및 외장재 본체(141)와 적어도 일변이 접하여 있는 외장재 커버(142)를 포함한다. 외장재 커버(14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일 측변을 제외한 외장재 본체(141)의 3변 가장자리를 따라서 외장재 커버(142)와의 접합을 위한 밀봉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전지 외장재(140)는, 예를 들면, 제 1 절연층(140b)/금속층(140a)/제 2 절연층(140c)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렉시블 이차 전지를 구현하기 위해 변형에 대한 내구성이 큰 재료 및 구조가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장재 본체(141)와 외장재 커버(142)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봉부(144)를 열융착시키면, 서로 접하는 밀봉부(144)의 제 2 절연층(140c)들이 서로 접착되어 전지 외장재(140)가 밀봉된다.
밀봉부(144) 중 외장재 본체(141)와 외장재 커버(142)가 연결되어 있는 변과 반대편에 위치한 밀봉부를 통해서 전극 조립체(100A)의 양극 리드 탭(113)과 음극 리드 탭(123)이 인출될 수 있다. 리드 탭(113,123)에는 절연성 소재로 만들어진 보호 테이프(116)가 부착되어 리드 탭(113,123)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양극 리드 탭(113)과 음극 리드 탭(123)에는 보호회로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이차 전지(100)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고, 또한 외부 단락 시 이차 전지(100)가 위험한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110; 양극 111; 양극 금속 섬유형 집전체
112; 양극 활물질 113; 양극 리드탭
120; 음극 121; 음극 금속 섬유형 집전체
122; 음극 활물질 123; 음극 리드탭
130P; 액상 프리전해질 130; 고분자 전해질
110; 양극 111; 양극 금속 섬유형 집전체
112; 양극 활물질 113; 양극 리드탭
120; 음극 121; 음극 금속 섬유형 집전체
122; 음극 활물질 123; 음극 리드탭
130P; 액상 프리전해질 130; 고분자 전해질
Claims (18)
- 금속 섬유형 집전체 및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에 결합된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에 열 중합 및 가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한 액상 프리전해질을 제공하고, 열을 가하여 상기 전극과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이 상기 전극과 일체화되면서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은, 전해질 염, 전해질 용매, 가교 가능한 단량체, 및 열에 의해 가교 및 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구에 의해 상기 단량체를 겔화 또는 고체화되도록 하는 열 개시제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가능한 단량체는,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1 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는, 트리메틸올프로판 에톡실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ethoxylate triacrylate),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poly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또는 에톡실레이티드 비스 페놀 에이 디메타크릴레이트(ethoxylated bis phenol A di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된 1종의 단량체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단량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ethylmethacrylate), 에틸메타크릴레이트 (ethylmethacrylate), 부틸메타크릴레이트 (butylmethacrylate), 메틸아크릴레이트 (methylacrylate), 부틸아크릴레이트 (butyl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아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acrylate),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메타크릴레이트 (ethylene glycol methylether meth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 (acrylonitrile), 비닐아세테이트 (vinylacetate), 비닐클로라이드 (vinylchloride) 및 비닐풀루오라이드 (vinylfluor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단량체의 용매는 고리형 또는 비고리형 에테르, 아미드, 에스테르, 선형 카보네이트, 환형 카보네이트,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개시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 퍼옥사이드(acetylperoxide), 디라우릴 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di-tert-butyl peroxide),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t-butyl peroxy-2-ethyl-hexanoate), 큐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 hydroperoxide),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히드로과산화물, 2,2'-아조비스(2-시아노부탄),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AIBN(2,2'-Azobis(iso-butyronitrile)) 또는 AMVN(2,2'-Azobisdimethyl-Valeronitrile)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는 30 ℃ 내지 100 ℃의 범위 내에서 수행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이 형성된 상기 전극을 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는 상기 전극을 외장재에 넣기 이전에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을 제공하여 수행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 또는 고체화 단계는 상기 전극을 외장재에 넣은 이후에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을 제공하여 수행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고,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한 후 상기 외장재 내에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넣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물질과 상기 액상 프리전해질은 서로 혼합되어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에 함께 함입되는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며, 상기 양극 및 음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 섬유형 집전체에 활물질이 혼합된 전극 조립체; 및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 내에 일체화된 겔화 또는 고체화된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에 모두 일체화되는 이차 전지.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은,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2 개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와 1 개의 관능기를 갖는 극성 단량체의 혼합물이 가교 및 중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구에 의해 고분자화된 매트릭스, 전해질 염 및 전해질 용액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의 적어도 일부가 해당 전극의 표면을 감쌈으로써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이 생략된 이차 전지.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섬유형 집전체는 부직포 구조를 갖는 이차 전지.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4669A KR101666714B1 (ko) | 2014-08-30 | 2014-08-30 | 플렉시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EP15835753.3A EP3188301B1 (en) | 2014-08-30 | 2015-07-22 | Flexibl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JP2017511909A JP6545791B2 (ja) | 2014-08-30 | 2015-07-22 | フレキシブル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PCT/KR2015/007596 WO2016032126A1 (ko) | 2014-08-30 | 2015-07-22 | 플렉시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CN201580047658.0A CN106663835B (zh) | 2014-08-30 | 2015-07-22 | 柔性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
ES15835753T ES2733511T3 (es) | 2014-08-30 | 2015-07-22 | Batería secundaria flexible y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la misma |
US15/507,298 US10497963B2 (en) | 2014-08-30 | 2015-07-22 | Flexibl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4669A KR101666714B1 (ko) | 2014-08-30 | 2014-08-30 | 플렉시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26346A true KR20160026346A (ko) | 2016-03-09 |
KR101666714B1 KR101666714B1 (ko) | 2016-10-14 |
Family
ID=5539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4669A KR101666714B1 (ko) | 2014-08-30 | 2014-08-30 | 플렉시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497963B2 (ko) |
EP (1) | EP3188301B1 (ko) |
JP (1) | JP6545791B2 (ko) |
KR (1) | KR101666714B1 (ko) |
CN (1) | CN106663835B (ko) |
ES (1) | ES2733511T3 (ko) |
WO (1) | WO201603212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31277A1 (ko) * | 2018-05-31 | 2019-12-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383213B2 (en) | 2016-03-15 | 2022-07-12 | Honda Motor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
US11171324B2 (en) | 2016-03-15 | 2021-11-09 | Honda Motor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producing a composite product |
US20180151887A1 (en) * | 2016-11-29 | 2018-05-31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Coated lithium metal negative electrode |
US11081684B2 (en) | 2017-05-24 | 2021-08-03 | Honda Motor Co., Ltd. | Production of carbon nanotube modified battery electrode powders via single step dispersion |
CN108963330B (zh) * | 2017-05-26 | 2020-11-13 | 北京师范大学 | 一种含有无机纳米颗粒的可凝胶化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8933284B (zh) * | 2017-05-26 | 2020-11-06 | 北京师范大学 | 一种柔性全固态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
CN108933287B (zh) * | 2017-05-26 | 2020-11-13 | 北京师范大学 | 一种用于锂离子电池的可凝胶化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
WO2018214971A1 (zh) | 2017-05-26 | 2018-11-29 | 北京师范大学 | 一种含有醚类化合物的可凝胶化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8933286B (zh) * | 2017-05-26 | 2020-11-06 | 北京师范大学 | 一种含有环状醚类化合物的可凝胶化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8963333B (zh) * | 2017-05-26 | 2020-11-13 | 北京师范大学 | 一种具有可调的强度和/或转变温度的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8933275B (zh) * | 2017-05-26 | 2020-11-13 | 北京师范大学 | 一种用于锂硫电池的可凝胶化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
WO2018214972A1 (zh) | 2017-05-26 | 2018-11-29 | 北京师范大学 | 一种柔性全固态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
CN108963389B (zh) * | 2017-05-26 | 2020-11-13 | 北京师范大学 | 一种用于锂空气电池的可凝胶化体系及其制备方法和应用 |
US20190036102A1 (en) | 2017-07-31 | 2019-01-31 | Honda Motor Co., Ltd. | Continuous production of binder and collector-less self-standing electrodes for li-ion batteries by using carbon nanotubes as an additive |
US10658651B2 (en) | 2017-07-31 | 2020-05-19 | Honda Motor Co., Ltd. | Self standing electrodes and methods for making thereof |
US11201318B2 (en) | 2017-09-15 | 2021-12-14 | Honda Motor Co., Ltd. | Method for battery tab attachment to a self-standing electrode |
US11121358B2 (en) | 2017-09-15 | 2021-09-14 | Honda Motor Co., Ltd. | Method for embedding a battery tab attachment in a self-standing electrode without current collector or binder |
US11233242B2 (en) | 2017-11-14 | 2022-01-25 | Lg Energy Solution, Ltd. | Positive electrode slurry composition, and posi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hich include the composition |
CN108258322B (zh) * | 2018-01-11 | 2020-03-17 | 电子科技大学 | 一种可自愈合柔性电池及其制备方法 |
CN108242555B (zh) * | 2018-01-11 | 2020-06-26 | 电子科技大学 | 可自吸附柔性电池及其制备方法 |
KR102690250B1 (ko) * | 2018-09-20 | 2024-07-3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
KR102510293B1 (ko) * | 2018-09-20 | 2023-03-14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고체 고분자 전해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고분자 전해질 |
JP6983147B2 (ja) * | 2018-12-26 | 2021-12-1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固体電池用電極および固体電池 |
US11535517B2 (en) | 2019-01-24 | 2022-12-27 | Honda Motor Co., Ltd. | Method of making self-standing electrodes supported by carbon nanostructured filaments |
JP7283919B2 (ja) * | 2019-02-20 | 2023-05-30 | I&Tニュ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 固体電解質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の電極、蓄電デバイス、および蓄電デバイスの正極層又は負極層の製造方法 |
US11325833B2 (en) | 2019-03-04 | 2022-05-10 | Honda Motor Co., Ltd. | Composite yarn and method of making a carbon nanotube composite yarn |
US11352258B2 (en) | 2019-03-04 | 2022-06-07 | Honda Motor Co., Ltd. | Multifunctional conductive wire and method of making |
CN111933864B (zh) * | 2019-04-25 | 2022-12-20 | 聚电材料股份有限公司 | 能量储存装置 |
WO2020252600A1 (en) * | 2019-06-21 | 2020-12-24 |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 Stretchable electrochemical cell |
US11539042B2 (en) | 2019-07-19 | 2022-12-27 | Honda Motor Co., Ltd. | Flexible packaging with embedded electrode and method of making |
JP7426039B2 (ja) * | 2019-08-20 | 2024-02-01 |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の電極、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の電極に用いるための集電体 |
CN114450836A (zh) * | 2019-09-30 | 2022-05-06 | Cps科技控股有限公司 | 具有氧化纤维添加剂的活性材料以及具有该活性材料的电极和电池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4159A (ja) * | 1998-06-05 | 1999-12-24 | Mitsubishi Chemical Corp |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30133624A (ko) * | 2012-05-29 | 2013-12-09 | (주)오렌지파워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9136A (ja) * | 1996-01-22 | 1997-07-31 | Toshiba Battery Co Ltd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US5688293A (en) | 1996-05-15 | 1997-11-18 | Motorola, Inc. | Method of making a gel electrolyte bonded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cell |
JPH10208733A (ja) * | 1997-01-27 | 1998-08-07 |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 非水電解質電池用電極の製造法 |
JP3458049B2 (ja) * | 1997-04-25 | 2003-10-20 | 株式会社リコー | イオン伝導性高分子固体電解質および該固体電解質を含む電気化学素子 |
JPH11111265A (ja) * | 1997-09-30 | 1999-04-23 | Asahi Glass Co Ltd | ポリマー電解質二次電池 |
JPH11204137A (ja) * | 1998-01-20 | 1999-07-30 | Mitsubishi Chemical Corp | リチウム二次電池 |
JP3850977B2 (ja) * | 1998-03-31 | 2006-11-29 | 三洋電機株式会社 | 高分子固体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
US6143445A (en) * | 1998-08-07 | 2000-11-07 | Ferment; George R. | Composite electrodes containing chopped conductive fibers |
JP3974371B2 (ja) * | 2001-10-19 | 2007-09-12 | シロウマサイエンス株式会社 | ポリマーゲル電解質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
JP4352972B2 (ja) * | 2004-04-02 | 2009-10-28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電極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電池 |
JP4844849B2 (ja) * | 2008-04-23 | 2011-12-28 | ソニー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KR101088073B1 (ko) * | 2010-10-16 | 2011-12-01 | 주식회사 샤인 | 금속 장섬유를 포함하는 전극 구조를 갖는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JP2012195182A (ja) * | 2011-03-17 | 2012-10-11 | Sanyo Electric Co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及びその電極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
KR101774793B1 (ko) * | 2011-07-28 | 2017-09-07 | 주식회사다스 |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
-
2014
- 2014-08-30 KR KR1020140114669A patent/KR10166671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7-22 JP JP2017511909A patent/JP654579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7-22 CN CN201580047658.0A patent/CN10666383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7-22 ES ES15835753T patent/ES2733511T3/es active Active
- 2015-07-22 US US15/507,298 patent/US1049796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7-22 EP EP15835753.3A patent/EP3188301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5-07-22 WO PCT/KR2015/007596 patent/WO201603212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54159A (ja) * | 1998-06-05 | 1999-12-24 | Mitsubishi Chemical Corp | 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KR20130133624A (ko) * | 2012-05-29 | 2013-12-09 | (주)오렌지파워 | 리튬 이차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31277A1 (ko) * | 2018-05-31 | 2019-12-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 제조방법 |
KR20190136613A (ko) * | 2018-05-31 | 2019-12-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 전지 제조방법 |
US11600863B2 (en) | 2018-05-31 | 2023-03-07 | Lg Energy Solution,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gel polymer electroly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7529663A (ja) | 2017-10-05 |
US10497963B2 (en) | 2019-12-03 |
CN106663835B (zh) | 2020-05-26 |
EP3188301A4 (en) | 2018-01-24 |
CN106663835A (zh) | 2017-05-10 |
EP3188301A1 (en) | 2017-07-05 |
EP3188301B1 (en) | 2019-04-10 |
WO2016032126A1 (ko) | 2016-03-03 |
JP6545791B2 (ja) | 2019-07-17 |
ES2733511T3 (es) | 2019-11-29 |
KR101666714B1 (ko) | 2016-10-14 |
US20170288255A1 (en) | 2017-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6714B1 (ko) | 플렉시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690515B1 (ko) | 개선된 굴곡강도를 가지는 전극 조립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 | |
KR101592355B1 (ko) | 플렉시블 집전체를 이용한 이차전지 및 플렉시블 집전체의 제조방법 | |
KR100449761B1 (ko) | 전해액의 분해반응이 억제된 리튬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EP2706605B1 (en) | Electrode assembly having a novel structure and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 |
JP4074418B2 (ja) | 薄膜型リチウム二次電池 | |
JP2012195314A (ja)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JP2005044663A (ja) | 固体電解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6139604A (ja) | 耐熱性多孔層形成用組成物、耐熱性多孔層を含む分離膜、分離膜を用いた電気化学電池、および分離膜の製造方法 | |
JP5734527B2 (ja) | ケーブル型二次電池 | |
JP2020109773A (ja) | 電極組立体の分離膜 | |
KR20170113333A (ko) |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 |
US20020034691A1 (en)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 |
KR102700980B1 (ko) | 고분자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 |
KR101811328B1 (ko) |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 | |
KR101742652B1 (ko) |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 | |
JP2008091343A (ja) | 固体電解質、リチウムイオン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812577B1 (ko) |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 | |
KR101954134B1 (ko) | 분리막 및 분리막의 제조 방법 | |
KR101684589B1 (ko) | 양극 활물질 2차 입자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1323153B1 (ko) | 신규 구조 전극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
KR101773364B1 (ko) |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지 | |
KR101655279B1 (ko) | 급속 충방전이 가능한 양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150081936A (ko) | 양극 활물질 2차 입자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