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29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295A
KR20160011295A KR1020140091977A KR20140091977A KR20160011295A KR 20160011295 A KR20160011295 A KR 20160011295A KR 1020140091977 A KR1020140091977 A KR 1020140091977A KR 20140091977 A KR20140091977 A KR 20140091977A KR 20160011295 A KR20160011295 A KR 2016001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ata
gate
driver
es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600B1 (ko
Inventor
김수진
반영일
강선구
손선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600B1/ko
Priority to US14/608,657 priority patent/US9633589B2/en
Priority to CN201510400813.4A priority patent/CN105280131B/zh
Publication of KR2016001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5Reduction of instantaneous peaks of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66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field effect transistors as prote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배선, 상기 데이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를 경유하여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배선,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에 위치하고, 상기 경유하는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배선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ESD 회로, 상기 제2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를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게이트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생성된 게이트 신호가 전송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기로부터 게이트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전기 습윤 표시 장치(Electro Wetting Display Device),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기 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등 다양한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화소들에 게이트 신호를 제공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화소들에 데이터 신호들을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를 포함한다. 화소들은 게이트 신호들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들을 제공받는다. 화소들은 데이터 신호들에 대응하는 계조를 표시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게이트 구동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들이 배선부를 통해 게이트 구동부에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는 게이트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이때, 외부와의 마찰 등에 의해 외부의 정전기가 배선부를 통해 게이트 구동부에 제공되어 게이트 구동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기로부터 게이트 구동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배선, 상기 데이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를 경유하여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배선,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에 위치하고, 상기 경유하는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배선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ESD 회로, 상기 제2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를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게이트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1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생성된 게이트 신호가 전송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ESD 회로의 입력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ESD 회로는,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ESD 회로는, 상기 ESD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로직 전압 레벨을 갖는 제3 배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ESD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그라운드 전압 레벨을 갖는 제4 배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1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3 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1 애노드 단자는 상기 ESD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2 애노드 단자는 상기 제4 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2 캐소드 단자는 상기 ESD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을 통해 상기 ESD 회로로 유입된 정전기가 음(negative)의 정전기인 경우, 상기 음의 정전기는 상기 제2 다이오드를 경유하여 상기 제4 배선으로 방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3 배선 및 상기 제4 배선 사이에 제1 다이오드 및 제2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되는, 파워 크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을 통해 상기 ESD 회로로 유입된 정전기가 양(positive)의 정전기인 경우, 상기 양의 정전기는 상기 턴온된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파워 크램프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4 배선으로 방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 및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선은 외부 단자로부터 상기 제1 단자로 연결되는 제1 배선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상기 제2 단자로 연결되는 제2 배선부, 상기 제2 단자로부터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로 연결되는 제3 배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배선의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ESD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2 배선이 경유하지 않는 제2 데이터 구동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데이터 구동부들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2 데이터 구동부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구동부들은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의 위치 및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 신호는 수직 개시 신호, 제1 클락 신호, 또는 제2 클락 신호일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에 게이트 구동부로 유입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하는 ESD 회로를 구비하여, 정전기에 의한 게이트 구동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데이터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제2 데이터 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ESD 회로의 회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300), 데이터 구동부(100), 게이트 구동부(200) 및 구동 회로 기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과 구동 회로 기판(400) 사이에는 데이터 구동부(100)가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300) 내부에는 게이트 구동부(200)가 포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300)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들(PX11~PXnm)이 형성된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비 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300)은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게이트 구동 배선(CSL) 및 게이트 구동 배선(CSL)을 통해 게이트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게이트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게이트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GL1~GLn) 및 복수의 게이트 배선들(GL1~GLn)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들(DL1~DLm)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배선(CSL)은 구동 회로 기판(400)에 실장된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로부터 게이트 구동 신호를 게이트 구동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구동 신호는 게이트 구동부(200)가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게이트 구동 배선(CSL)은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게이트 구동부(200)로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배선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게이트 구동 배선(CSL)은 타이밍 컨트롤러와 게이트 구동부(200)를 연결하는 배선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배선(CSL)은 제1 데이터 구동부(110)를 경유하여 게이트 구동부(200)로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데이터 구동부(100)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게이트 구동부(200)는 게이트 구동 배선(CSL)을 통해 제공된 게이트 구동 신호들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0)는 게이트 배선들(GL1~GLn)을 통해 순차적으로 그리고 행 단위로 화소들에 게이트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소들(PX11~PXnm)은 게이트 신호들에 응답하여 행 단위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부(200)는 비표시 영역(ND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구동부(200)는 비표시 영역(NDA)에 내장 또는 집적되는 형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00)는 비표시 영역(NDA)에 ASG(Amorphous Silicon TFT Gate driver circuit)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0)는 실시예에 따라 비표시 영역(NDA)의 양측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데이터 구동부(100)는 표시 패널(300) 및 구동 회로 기판(4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00)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제공받고, 데이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구동 신호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데이터 구동부(100)로 공급되는 제어 신호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구동부(100)와 타이밍 컨트롤러는 데이터 구동 배선(DSL)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 결과, 데이터 구동부(100)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데이터 구동 배선(DSL)을 통해 데이터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00)는 생성한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배선들(DL1~DLm)을 통해 화소들(PX11~PXnm)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00)는 게이트 구동 배선(CSL)이 경유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110) 및 게이트 구동 배선(CSL)이 경유하지 않는 복수의 제2 데이터 구동부들(120-1~120-k)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게이트 구동 배선(CSL)이 경유해야 하므로, 게이트 구동 배선(CSL)의 배치를 위한 더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 구동 배선(DSL)은 제1 배선, 게이트 구동 배선(CSL)은 제2 배선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제1 소스 구동칩(112) 및 제1 연성회로기판(1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스 구동칩(112)은 제1 연성회로기판(111)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제2 데이터 구동부들(120-1~120-k)은 복수의 제2 소스 구동칩들(122-1~122-k) 및 복수의 제2 연성회로기판들(121-1~121-k)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소스 구동칩들(122-1~122-k)은 복수의 제2 연성회로기판들(121-1~121-k) 상에 일대일 대응하여 실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및 제2 소스 구동칩들(112, 122-1~122-k)은 표시 영역(DA)의 상부에 인접한 비 표시 영역(NDA)에 칩 온 글래스(COG: Chip on Glass) 방식으로 실장될 수도 있다. 다만, 제1 및 제2 소스 구동칩들(112, 122-1~122-k)의 실장되는 방식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한 방식 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화소들(PX11~PXnm)은 게이트 배선들(GL1~GLn)과 데이터 배선들(DL1~DLm)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소들은 서로 교차하는 m개의 열들 및 n개의 행들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m 및 n은 0보다 큰 정수일 수 있다.
화소들(PX11~PXnm)은 각각 대응하는 게이트 배선들(GL1~GLn)과 대응하는 데이터 배선들(DL1~DLm)에 연결될 수 있다. 각 화소들(PX11~PXnm)은 대응하는 게이트 배선들(GL1~GLn)을 통해 제공되는 게이트 신호들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데이터 배선들(DL1~DLm)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 결과, 각각의 화소는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계조를 표시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하나의 게이트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제1 게이트 구동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게이트 구동부(200)는 비표시 영역(ND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제1 게이트 구동부(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2 데이터 구동부들(120-1~120-k)의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제2 데이터 구동부들(120-1~120-k) 중 최좌측(120-1) 또는 최우측(120-k)에 위치한 제2 데이터 구동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구동부(200)가 비표시 영역(NDA)의 좌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제2 데이터 구동부들(120-1~120-k) 중 최좌측에 위치한 제2 데이터 구동부(120-1)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는 복수의 게이트 구동부들(201, 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제1 게이트 구동부(20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들(201, 202)은 비표시 영역(NDA)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들(201, 202)에 각각 대응하여 제1 데이터 구동부들(110, 115)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들(110, 115)은 제2 데이터 구동부들(120-1~120-k)의 최좌측 및 최우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들(201, 202)이 비표시 영역(ND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경우, 제1 데이터 구동부들(110, 115)은 제2 데이터 구동부들(120-1~120-k)의 최좌측 및 최우측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데이터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데이터 구동부(110)와 제2 데이터 구동부(120-1)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DSL)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배선(DSL)은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제1 데이터 구동부(110) 또는 제2 데이터 구동부(120-1)로 데이터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CS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제1 배선(DSL) 및 제2 배선(CSL)을 동시에 포함하는 반면, 제2 데이터 구동부(120-1)는 제1 배선(DSL)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제1 배선(DSL) 및 제2 배선(CSL)과 모두 연결되는 반면, 제2 데이터 구동부(120-1)는 제1 배선(DSL)과만 연결될 수 있다.
본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제1 배선(DSL) 및 하나의 제2 배선(CSL)이 연결된 제1 데이터 구동부(110)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복수의 제1 배선들 및 복수의 제2 배선들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ESD 회로(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ESD 회로(500)란, 정전기를 방전 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회로를 나타낼 수 있다. ESD 회로(500)는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 포함된 소스 구동칩(112)에 위치하여 제2 배선(CSL)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배선(CSL)은 크게 외부 단자로부터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입력 단자(130)로 연결되는 제1 배선부(a1), 해당 입력 단자(130)로부터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출력 단자(140)로 연결되는 제2 배선부(a2), 해당 출력 단자(140)로부터 게이트 구동부(200)로 연결되는 제3 배선부(a3)으로 나뉠 수 있다. 이때, 제2 배선(CSL) 중 제2 배선부(a2)은 제1 데이터 구동부(110) 내부의 소스 구동칩(112)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2 배선(CSL)의 제2 배선부(a2)과 소스 구동칩에 위치한 ESD 회로(500)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로부터 제2 배선(CSL)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가 ESD 회로(500)를 통해 방전되어, 정전기 유입에 의한 게이트 구동부(20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렇듯, 게이트 구동부(2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ESD 회로(500)를 게이트 구동부(200)에 위치시키지 않고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 위치시킴은,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사이즈가 게이트 구동부(200)의 사이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제1 데이터 구동부(110) 내부에는 ESD 회로(500)가 구비될 수 있는 충분한 영역이 확보될 수 있다.
ESD 회로(500)가 게이트 구동부(200)가 아닌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 포함되는 경우, 게이트 구동부(200)의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또는, ESD 회로(500)가 게이트 구동부(200)가 실장된 비표시 영역(NDA)에 포함되는 경우,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ESD 회로(500)가 비표시 영역(NDA)이 아닌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 포함되는 경우,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이 줄어들어,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100)는 데이터 구동부(100)로 유입된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한 ESD 회로(50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 별도의 ESD 회로(500)를 추가할 필요 없이, 제2 배선(CSL)을 미리 구비되어있는 ESD 회로(500)의 입력 단자와 연결함으로써 제2 배선(CSL)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정전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ESD 회로(500)나 소자를 제1 데이터 구동부에 추가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ESD 회로(500) 및 제2 배선(CSL)을 위한 더미 영역(60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 영역(600)은,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사이즈, 연결된 배선 수, 배선의 위치, 입력/출력 단자의 수 및 단자의 위치 등을 조절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1 데이터 구동부 및 제2 데이터 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구동부(110)는 제2 배선(CSL) 및 ESD 회로(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는 더미 영역(60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더미 영역(600)이란, 제2 배선(CSL) 및 ESD 회로(500)의 배치를 위하여 형성된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마진(Margin)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그 결과,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내부 구조는 제2 데이터 구동부(120-1)의 내부 구조와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구동부(110)와 제2 데이터 구동부(120-1)는 연결된 제1 배선들(DSL1~DSLi)의 수 및 제1 배선들(DSL1~DSLi)의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데이터 구동부(110)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20-1)의 사이즈가 동일한 경우,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 연결된 제1 배선들(DSL1~DSLi)의 수 및 제1 배선들(DSL1~DSLi)의 위치가 제2 데이터 구동부(120-1)와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는 i개의 제1 배선들(DSL1~DSLi)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i개의 제1 배선들(DSL1~DSLi)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일측에 정렬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데이터 구동부(120-1)에는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j개의 제1 배선들(DSL1~DSLj)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i는 0보다 크고, j보다 작은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데이터 구동부(110)와 제2 데이터 구동부(120-1)는 사이즈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데이터 구동부(110)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20-1)에 연결된 제1 배선들(DSL1~DSLi)의 수가 동일한 경우,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사이즈는 제2 데이터 구동부(120-1)의 사이즈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구동부(110) 및 제2 데이터 구동부(120-1) 각각에 i개의 제1 배선들(DSL1~DSLi)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가로 너비(l1)는 제2 데이터 구동부(120-1)의 가로 너비(l2)보다 길 수 있다. 이는, 제1 데이터 구동부(110) 내부에 제2 배선(CSL) 및 ESD 회로(500)가 배치될 더미 영역(600)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때, i개의 제1 배선들(DSL1~DSLi)은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일측에 정렬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 구동부(110)의 타측에 더미 영역(6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듯,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 연결되는 제1 배선들(DSL1~DSLi)의 수 및 위치를 조절하거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제1 데이터 구동부(110) 내부에 더미 영역(6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더미 영역(6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CSL)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ESD 회로(60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제2 배선(CSL)은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구동 신호에 대응하여 제1 데이터 구동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 신호는 수직 개시 신호(STV), 제1 클락 신호(CK), 및 제2 클락 신호(CK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배선(CSL)은 수직 개시 신호(STV)를 전달하는 수직 개시 신호 배선(CSL1), 제1 클락 신호(CK)를 전달하는 제1 클락 배선(CSL1) 및 제2 클락 신호(CKB)를 전달하는 제2 클락 배선(CSL3)을 포함한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게이트 구동 신호들의 종류 및 수에 대응하여 제2 배선(CSL)에 포함되는 신호 배선들의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에 도시된 ESD 회로의 회로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은 제2 배선을 통해 유입된 음의 정전기가 ESD 회로(500)를 통해 방전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7은 제2 배선(CSL)을 통해 유입된 양의 정전기가 ESD 회로(500)를 통해 방전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배선(CSL)은 ESD 회로(500)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배선(CSL)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는 ESD 회로(500)의 입력 단자(604)를 통해 ESD 회로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ESD 회로(50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ESD 회로(50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또는 사이리스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스위칭 소자로서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는 ESD 회로(5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ESD 회로(500)는 ESD 회로(500)의 입력 단자(604)를 기준으로 병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다이오드(601, 6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ESD 회로(500)는 ESD 회로(500)의 입력 단자(604)를 기준으로 병렬로 접속된 제1 다이오드(601) 및 제2 다이오드(6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다이오드(601)의 제1 캐소드 단자는 로직 전압 레벨(VCC)을 갖는 제3 배선(SL3)과 연결되며, 제1 애노드 단자는 ESD 회로(500)의 입력 단자(604)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다이오드(602)의 제2 애노드 단자는 그라운드 전압 레벨(VSS)을 갖는 제4 배선(SL4)과 연결되며, 제2 캐소드 단자는 ESD 회로(500)의 입력 단자(604)와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ESD 회로(500)는 파워 크램프(60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크램프(603)는 양의 정전기를 방전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ESD 회로(5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배선(CSL)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가 음의 정전기인 경우, ESD 회로(500)의 제2 다이오드(602)가 턴 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의 정전기가 제2 다이오드(602)의 제2 캐소드 단자로 유입된 경우, 제2 다이오드(602)는 턴온될 수 있다. 그 결과, 음의 정전기는 ESD 회로(500)의 제2 다이오드(602)를 경유하여 제4 배선(SL4)을 통해 그라운드 전압 레벨(VSS)로 방전될 수 있다. 이렇듯 제2 배선(CSL)을 통해 유입된 음의 정전기는 제2 다이오드(602) 및 제4 배선(SL4)을 통해 그라운드 전압 레벨(VSS)로 방전되므로, 음의 정전기가 게이트 구동부(200)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배선(CSL)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가 양의 정전기인 경우, ESD 회로(500)의 제1 다이오드(601)가 턴 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양의 정전기가 제1 다이오드(601)의 제1 애노드 단자로 유입된 경우, 제1 다이오드(601)는 턴 온될 수 있다. 양의 정전기는 턴 온된 제1 다이오드(601)를 거쳐 제1 다이오드(601)의 제1 캐소드 단자와 연결된 제3 배선(SL3)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배선(SL3)으로 유입된 양의 정전기는 제3 배선(SL3)과 연결된 파워 크램프(603)를 턴 온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양의 정전기는 턴 온된 파워 크램프(603)를 통해 제4 배선(SL4)으로 유입되어, 그라운드 전압 레벨(VSS)로 방전될 수 있다. 이렇듯 제2 배선(CSL)을 통해 유입된 양의 정전기는 제1 다이오드(601), 제3 배선(SL3), 파워 크램프(603) 및 제4 배선(SL4)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그라운드 전압 레벨(VSS)로 방전되므로, 양의 정전기가 게이트 구동부(200)로 유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제1 데이터 구동부
111: 제1 연성 회로 기판
112: 제1 소스 구동 칩
DSL: 제1 배선
CSL: 제2 배선
a1: 제2 배선의 제1 배선부
a2: 제2 배선의 제2 배선부
a3: 제2 배선의 제3 배선부
500: ESD 회로
600: 더미 영역
130: 입력 단자
140: 출력 단자

Claims (18)

  1. 데이터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제1 데이터 구동부;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를 경유하여 게이트 구동 신호를 전송하는, 제2 배선;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에 위치하고, 상기 경유하는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배선을 통해 유입된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ESD 회로;
    상기 제2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를 경유하여 수신된 상기 게이트 구동 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1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생성된 데이터 신호 및 상기 생성된 게이트 신호가 전송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ESD 회로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SD 회로는,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다이오드인,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ESD 회로는,
    상기 ESD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로직 전압 레벨을 갖는 제3 배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ESD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그라운드 전압 레벨을 갖는 제4 배선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회로인,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1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3 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제1 애노드 단자는 상기 ESD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2 애노드 단자는 상기 제4 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제2 캐소드 단자는 상기 ESD 회로의 상기 입력 단자와 연결된,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을 통해 상기 ESD 회로로 유입된 정전기가 음(negative)의 정전기인 경우, 상기 음의 정전기는 상기 제2 다이오드를 경유하여 상기 제4 배선으로 방전되는,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ESD 회로는,
    상기 제3 배선과 상기 제4 배선 사이에, 상기 제1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다이오드와 병렬로 연결된, 파워 크램프; 를 더 포함하는 회로인,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을 통해 상기 ESD 회로로 유입된 정전기가 양(positive)의 정전기인 경우, 상기 양의 정전기는 상기 턴온된 제1 다이오드, 상기 제3 배선 및 상기 파워 크램프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4 배선으로 방전되는, 표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자 및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선은,
    외부 단자로부터 상기 제1 단자로 연결되는 제1 배선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상기 제2 단자로 연결되는 제2 배선부, 상기 제2 단자로부터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로 연결되는 제3 배선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의 상기 제2 배선부는 상기 ESD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이 경유하지 않는, 복수의 제2 데이터 구동부들; 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복수의 제2 데이터 구동부들 중 최외각에 위치하는 제2데이터 구동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에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와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제2 게이트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구동부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데이터 구동부들은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의 위치 및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에 집적되는, 표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 신호는 수직 개시 신호, 제1 클락 신호, 또는 제2 클락 신호인, 표시 장치.
KR1020140091977A 2014-07-21 2014-07-21 표시 장치 KR10231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977A KR102317600B1 (ko) 2014-07-21 2014-07-21 표시 장치
US14/608,657 US9633589B2 (en) 2014-07-21 2015-01-29 Display device having ESD circuit
CN201510400813.4A CN105280131B (zh) 2014-07-21 2015-07-09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977A KR102317600B1 (ko) 2014-07-21 2014-07-2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295A true KR20160011295A (ko) 2016-02-01
KR102317600B1 KR102317600B1 (ko) 2021-10-27

Family

ID=5507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977A KR102317600B1 (ko) 2014-07-21 2014-07-2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33589B2 (ko)
KR (1) KR102317600B1 (ko)
CN (1) CN10528013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331A (ko) * 2017-11-02 2019-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675183A (zh) * 2020-05-15 2021-11-19 敦泰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的系统级静电放电保护电路与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8017B2 (en) * 2017-01-31 2020-03-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102489595B1 (ko) * 2017-12-15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칩 온 필름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877523B (zh) * 2018-06-29 2021-04-0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TWI683301B (zh) * 2019-02-18 2020-01-2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以及畫面顯示方法
KR102656012B1 (ko) 2019-03-19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디스플레이 패널 및 수리 방법.
CN110148592B (zh) * 2019-05-21 2020-12-1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包含其的显示装置
CN110890021A (zh) * 2019-11-05 2020-03-1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2908243A (zh) * 2021-03-31 2021-06-04 福州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驱动电路、阵列基板及显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6478A1 (en) * 2001-07-23 2003-01-23 Liu Meng Huang Electrostatic discharge cell of integrated circuit
JP2007065457A (ja) * 2005-09-01 2007-03-15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投射型液晶表示装置
KR20070068030A (ko) * 2005-12-26 2007-06-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70080440A (ko) * 2006-02-07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90041622A (ko) * 2007-10-24 2009-04-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30054678A (ko) * 2011-11-17 2013-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8505B1 (ko) 1996-12-14 1999-09-01 윤종용 보호 회로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KR100634833B1 (ko) 2004-03-30 2006-10-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KR101043678B1 (ko) 2004-06-30 2011-06-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7012938A (ja) * 2005-06-30 2007-01-18 Seiko Epson Corp 集積回路装置
US20070069237A1 (en) * 2005-09-29 2007-03-29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Systems for provid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JP4586739B2 (ja) * 2006-02-10 2010-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及び電子機器
US7456432B2 (en) * 2006-11-20 2008-11-25 Tpo Displays Corp. System having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344207B (en) * 2007-11-30 2011-06-21 Vanguard Int Semiconduct Corp Semiconductor device
KR20100055193A (ko) * 2008-11-17 201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집적 회로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993404B1 (ko) * 2009-03-23 2010-11-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정전기 보호회로 및 이를 구비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5503208B2 (ja) * 2009-07-24 2014-05-2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TWI416703B (zh) * 2009-11-24 2013-11-21 Wintek Corp 電子裝置
KR20110062170A (ko) * 2009-12-02 201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710661B1 (ko) * 2010-04-29 2017-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US8698137B2 (en) * 2011-09-14 2014-04-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20130029532A (ko) * 2011-09-15 2013-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기능을 구비한 표시 장치
KR101985921B1 (ko) * 2012-06-13 2019-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30143335A (ko) 2012-06-21 2013-12-3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6478A1 (en) * 2001-07-23 2003-01-23 Liu Meng Huang Electrostatic discharge cell of integrated circuit
JP2007065457A (ja) * 2005-09-01 2007-03-15 Nec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投射型液晶表示装置
KR20070068030A (ko) * 2005-12-26 2007-06-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70080440A (ko) * 2006-02-07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90041622A (ko) * 2007-10-24 2009-04-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30054678A (ko) * 2011-11-17 2013-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331A (ko) * 2017-11-02 2019-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3675183A (zh) * 2020-05-15 2021-11-19 敦泰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的系统级静电放电保护电路与方法
CN113675183B (zh) * 2020-05-15 2024-01-30 敦泰电子股份有限公司 显示驱动电路的系统级静电放电保护电路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19826A1 (en) 2016-01-21
CN105280131B (zh) 2020-10-20
KR102317600B1 (ko) 2021-10-27
US9633589B2 (en) 2017-04-25
CN105280131A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1295A (ko) 표시 장치
JP5973123B2 (ja) ゲート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KR100993420B1 (ko) 액정표시장치
US10692460B2 (en) Display driving circuit,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US10096294B2 (en)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75905B1 (ko) 스캔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950943B1 (ko) 정전 보호 회로를 가지는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9626901B2 (en) Display device
EP3561801B1 (en) Display panel
US20180033806A1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KR102040659B1 (ko) 스캔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112714B1 (ko) 보호 회로, 어레이 기판 및 디스플레이 패널
KR2014007243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40650B1 (ko) 스캔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070120266A (ko)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30102863A (ko) 게이트 드라이버 및 그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360171B1 (ko) 구동 드라이버
KR102238637B1 (ko) 표시장치
KR102364340B1 (ko) 표시장치
KR20160092592A (ko) 표시 기판
KR102127974B1 (ko) 표시장치
KR102009890B1 (ko) 표시장치
KR20070071705A (ko) 액정표시장치
KR102090199B1 (ko) 표시 장치
KR20220096695A (ko) 먹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