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799A - 배선 기구용 장착 프레임,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 기구용 장착 프레임,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799A
KR20160003799A KR1020157033797A KR20157033797A KR20160003799A KR 20160003799 A KR20160003799 A KR 20160003799A KR 1020157033797 A KR1020157033797 A KR 1020157033797A KR 20157033797 A KR20157033797 A KR 20157033797A KR 20160003799 A KR20160003799 A KR 20160003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rame
wiring mechanism
beams
front surface
switc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0252B1 (ko
Inventor
사브리나 람레
노보루 하시모토
가쓰야 이마이
기와무 시바타
신페이 야마다
하야토 이오카
다쓰지 가와구치
아이코 사사키
도시유키 다키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2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 H02G3/123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flush mounting in thin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장착 프레임(1)은, 한 쌍의 제1 빔(11)과 한 쌍의 제2 빔(12)을 포함하고 이것들은 프레임형을 형성된다. 제1 빔(11)은, 스위치 본체(100)가 한 쌍의 제1 빔 사이에 장착되는 윈도 구멍(18)과 대향하고, 건축 자재에 배치된 구멍의 가장자리에 이면을 닿게 하는 상태로 건축 자재에 고정된다. 제2 빔(12)은, 제1 빔(11)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제2 빔 사이에 위치하는 윈도 구멍(18)과 대향한다. 제2 빔(12)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삽입되는 관통공(15a, 15b)이 설치된다. 제1 빔(11) 및 제2 빔(12)은, 건축 자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관통공(15)이 설치된 영역 내의 제2 빔(12)의 전면이, 건축 자재의 표면측에 대응하는 측 상의 영역 내의 제1 빔(11)의 앞면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배선 기구용 장착 프레임,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장치{WIRING-FIXTURE MOUNTING FRAME, ACTUATOR, AND SWITCH DEVICE}
본 발명은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레버, 및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은 피아노 레버 스위치와 같은 배선 기구를 유지하면서, 벽면에 형성된 매립용의 구멍에 배선 기구의 후부를 수납한 상태로 벽에 장착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의 전방에는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플레이트에는 피아노 레버 스위치의 레버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 제2004―296231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은, 벽면에 형성된 매립용 구멍의 주변부에 배면 측을 닿게 하는 상태로 벽(건축 자재)에 장착되어 있다. 이것은 배선 기구의 전면이 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한다. 배선 기구의 전면이 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양이 커지면, 기구 전체의 미적 디자인이 떨어진다. 따라서 배선 기구의 전면이 벽면(건축 자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양을 더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선 기구의 전면이 건축 자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양을 적게 하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레버, 및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은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2개의 제1 빔 및 2개의 제2 빔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제1 빔은, 배선 기구가 장착되는 개구부(opening)의 양쪽에 위치한다. 상기 2개의 제1 빔은 건축 자재에 배치된 구멍의 가장자리에 이면을 닿게 하는 상태로 상기 건축 자재에 고정된다. 상기 2개의 제2 빔은, 상기 2개의 제1 빔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의 대향하는 양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은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은, 상기 건축 자재에 장착될 때, 상기 유지부가 배치되는 각각의 제2 빔의 전면이, 상기 제1 빔이 상기 건축 자재의 전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 빔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레버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전면을 포함하는 앞벽 및 상기 앞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한다. 상기 앞벽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측벽의 후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레버의 주위를 에워싸는 플레이트 커버의 전면으로부터 각각의 제2 빔의 전면까지의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위치 장치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상기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의 유지부에 유지되는 배선 기구, 및 상기 배선 기구의 전면에 장착되는 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레버, 및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배선 기구의 전면이 건축 자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양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을 사용한 배선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에 배선 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에 배선 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에 배선 기구가 장착된 상태를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을 사용한 배선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을 사용한 배선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에 배선 기구의 스위치 본체가 장착된 상태의 하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을 사용한 배선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예의 스위치 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다른 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기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서의 A14―A14 단면도이다.
도 15는 참고 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을 사용한 배선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참고 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에 배선 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참고 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에 배선 기구가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참고 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에 배선 기구가 장착된 상태를 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참고 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참고 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을 사용한 배선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참고 예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을 사용한 배선 기구의 하면도이다.
이하,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을 구비한 배선 기구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선 기구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이하, 장착 프레임이라고 함)(1), 스위치 장치의 역할을 하는 피아노 레버 스위치(10), 플레이트(4)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의 기준의 프레임은, 도 1에서의 상하 좌우 전후의 방향을 규정한다.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되는 매립형의 배선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예는 와이드 핸들 스위치(이른바 피아노 레버 스위치)를 예시하지만, 매립형의 배선 기구가 사용되는 한, 와이드 레버 스위치 이외의 스위치나, 콘센트와 같은 스위치 이외의 배선 기구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10)는, 스위치 본체(100)와 레버(11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는, 직사각형 상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에는 푸시버튼(10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푸시버튼(101)이 눌려질 때마다, 스위치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된 접점(도시하지 않음)의 상태(예를 들면, 접점의 개폐 상태)가 전환할 수 있도록 접점의 전환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의 좌측에는, 상하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에, 투광성을 가지는 투광성 램프 커버(102)가 장착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100)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일 때 점등하는 램프(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다. 램프의 발광은 램프 커버(102)를 투과하여 전방에 출사된다.
스위치 본체(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 각각에는,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 프레임(1)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탭(tap)(103)이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벽에 있어서, 2개의 장착 탭(103)이 설치된 부분 근처에는 슬릿(slit)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장착 탭(103)이 설치된 부분(이 부분을 가동 편(movable piece)(104)이라고 함)의 전단(front end)은 스위치 본체(100)에 캔틸레버 방식(cantilever manner)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편(104)의 후부(rear portion)에 설치된 돌기(105)를 누름으로써, 가동 편(104)에 설치된 2개의 장착 탭(103)을, 스위치 본체(100)의 내측(중심 측)으로 수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의 좌측에는, 조작 레버(110)를 지지하기 위한 원기둥형의 2개의 샤프트(106)가 램프 커버(102)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의 후부에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하기 위한 2개의 전선 삽입공(107)이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도 4에서는 우측의 2개만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100)의 내부에는, 접점의 2개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속결 접속 단자(quick connection body)가 수납되어 있고, 이 접속 단자에 전선 삽입공(107)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심선(core wire)이 접속된다.
스위치 본체(100)는 주지의 종래기술이다. 따라서, 스위치 본체(100)의 상세한 구조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10)는, 전면(112a)을 가지는 앞벽(112)과 앞벽(112)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관형(tubular) 측벽(113)이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성형체로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앞벽(112)은, 푸시버튼(101)의 앞면보다 충분히 큰 치수를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110)의 전면(112a)의 우측에는, 상하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조작 레버(1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타원형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투광판(111)이 매립되어 있다. 조작 레버(110)의 이면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램프 커버(102)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광판(111)에 인도하는 프리즘(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다. 접점이 개방한 상태에서는, 스위치 본체(100)에 수납된 램프의 광이 투광판(111)을 조사하고, 따라서 스위치(10)의 위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관형 측벽(113)은, 4개의 측벽에 의해 박스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측벽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관형 측벽(113)의 내에서 가장 뒤에 위치하는 후단부(113a)로부터 앞벽(112)의 전면(112a)까지의 높이(H1)가 가장 높아지도록 구성된다.
조작 레버(110)의 이면(후면)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샤프트(106)와 대향하는 부분에, 샤프트(106)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베어링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110)는, 상기 베어링부에 샤프트(106)를 유지시킴으로써,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의 일단측(좌측)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110)의 우측을 후방으로 누르면, 조작 레버(110)는 샤프트(106)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조작 레버(110)의 배면에 설치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푸시버튼(101)을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1)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장착 프레임(1)은, 금속판 부재로부터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장착 프레임(1)은 배선 기구의 역할을 하는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되는 개구부(18)를 구비하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형성된다. 장착 프레임(1)은, 길이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으로 개구부(18)의 대향하는 양쪽에 배치되는 2개의 제1 빔(11), 이 2개의 제1 빔(11)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개구부(18)의 대향하는 양쪽에 배치되는 2개의 제2 빔(12)을 구비한다. 즉, 2개의 제1 빔(11)과 2개의 제2 빔(12)으로 에워싸인 공간이 개구부(18)으로 되어 있다.
2개의 제1 빔(11)의 각각에는 제1 빔(11)을 건축 자재(200)(예를 들면, 벽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는 삽입공(13)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빔(11)의 후면은 건축 자재(200)의 표면에 닿는다(도 6 참조). 또한, 2개의 제1 빔(11)의 각각에는, 삽입공(13)보다 상하 방향 외측(개구부(18)와는 반대측)에,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 나사 구멍(14)이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제1 빔(11)은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opposing end)(11d)를 포함한다. 대향 단부(11d)는 전방으로 굴곡되어 제1 빔 돌기(11e)를 형성한다.
2개의 제2 빔(12)은,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12b) 및 대향 단부(12b)의 양쪽에 위치하는 외측 단부(12c)를 포함한다. 외측 단부(12c)는 후방으로 90°굴곡되어 제2 빔 돌기(12d)를 형성한다. 제2 빔(12)의 제2 빔 돌기(12d)는 제2 빔 돌기(12d)의 방향이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제2 빔 돌기(12d)의 각각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각각 삽입되는 복수 개(예를 들면, 8개)의 관통공(15a, 15b)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15a, 15b)은 배선 기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의 역할을 한다.
관통공(15a, 15b)은, 제1 관통공(15a) 및 제1 관통공(15a)보다 상하 방향으로 더 긴 제2 관통공(15b)을 포함한다. 제1 관통공(15a) 각각은,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에 대응하는 개구 면적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1 관통공(15a)에 스위치 본체(100)의 양측 각각에 설치된 2개의 장착 탭(103)이 삽입되므로, 스위치 본체(100)의 전단부가 개구부(18)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빔(11)과 제2 빔(12) 간의 경계부에는 복수의 굴곡부(K)를 포함한다. 굴곡부(K) 각각은, 제1 빔(11)의 전면(11a)보다 제2 빔(12)의 전면(12a) 쪽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1 빔(11)의 전면(11a)과 제2 빔(12)의 전면(12a)과의 사이에는 단차(step)(D1)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빔(11) 및 상기 제2 빔(12)은, 상기 건축 자재(200)에 장착될 때, 관통공(15a, 15b)이 설치된 각각의 제2 빔(12)이, 제1 빔(11)이 건축 자재(200)의 전면에 장착되는 각각의 제1 빔(11)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굴곡부(K)는, 제1 빔(11)과의 경계부에 있어서 90°굴곡되고, 제2 빔(12)과의 경계부에 있어서 90°굴곡된다. 따라서, 2개의 제2 빔(12)의 대향하는 방향, 즉 좌우 방향에서의 굴곡부(K)의 폭(K1)이 금속판 부재의 두께(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빔 돌기(12d)의 폭 D2)와 동일해지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굴곡부(K)를 형성해도 2개의 제2 빔(12)이 이격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각각의 제2 빔(12)에는 개구부(18) 측의 각각의 굴곡부(K)의 근방에 노치(notch)(12e)가 형성된다. 노치(12e)는 제2 빔 돌기(12d)까지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된다.
이 장착 프레임(1)은, 건축 자재(200)에 설치된 매립용의 구멍(201)의 가장자리에 제1 빔(11)의 배면(이면)을 닿게 하는 상태로(도 6 참조), 건축 자재(200)에 매립된 스위치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건축 자재(200)에 대하여 고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측 및 하측의 제1 빔(11)의 삽입공(13)을 각각 관통하는 2개의 볼트(B)가 스위치 박스 SB의 나사 구멍 SB1에 고정된다. 스위치 박스 SB가 매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클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장착 프레임(1)을 건축 자재(200)에 고정한다.
또한, 장착 프레임(1)의 제1 빔(11)의 코너부에는 걸림부(11b)가 형성된다. 걸림부(11b)는, 제1 빔(11)의 전면의 면 방향(좌우 방향이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편(extending piece)으로서, 다른 장착 프레임(1)의 걸림부(11b)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장착 프레임(1)을 좌우 방향으로 병설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각의 걸림부(11b)의 근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11c)가 형성된다. 이 돌기(11c)는, 걸림부(11b)에 부가될 때의 돌출량이 관통공(15a, 15b)의 전후 방향 폭보다 길어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로써, 돌기(11c)가 규제부로서 작용하여 각각의 걸림부(11b)가 다른 장착 프레임(1)의 관통공(15a, 15b)에 깊게 삽입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1)의 전면측에 장착되는 장식용 플레이트(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4)는,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보디(2)와 이 플레이트 보디(2)를 덮도록 플레이트 보디(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 커버(3)를 구비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보디(2)는, 2개의 수평편(21)과 2개의 수직편(2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 보디(2)는 합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수평편(21)과 2개의 수직편(22)으로 에워싸인 개구부(20)는, 플레이트 보디(2)가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 프레임(1)의 개구부(18)를 전후 방향으로 중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수평편(21)의 각각에는,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2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수직편(22) 각각에는, 길이 방향(상하 방향)으로 중앙부와 양쪽에, 각각 직사각형의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도 1에서의 하측)의 수평편(21)에는, 하단부의 좌우 양측에, 전방 및 아래쪽에 개방된 오목부(25)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커버(3)는, 전면(30a)을 가지는 앞벽(front wall)(30)과 앞벽(30)의 주위를 덮는 측벽(31)을 포함한다. 앞벽(30) 및 측벽(31)은 합성 수지 성형체로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앞벽(3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볼 때 4 코너가 만곡된 직사각형상이다. 앞벽(30)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전방으로 팽창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벽(30)의 중앙에는, 직사각형의 창(32)이 관통하고 있다. 또한, 앞벽(30)의 배면에는, 플레이트 보디(2)에 설치된 복수의 관통공(24)의 각각에 대응하는 부분에, 관통공(24) 내에 삽입되어 앞벽(30)의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는 걸림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측벽(31)은, 앞벽(3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앞벽(30)을 중심으로 연장하는 전단을 포함한다. 이 측벽(31)은, 전방을 향해 외측에 경사지도록 구성된다(도 7 및 도 8 참조). 측벽(31)에는, 플레이트 보디(2)의 오목부(25)와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장착 프레임(1)을 사용하여 스위치(10)를 건축 자재(200)에 장착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 프레임(1)에 장착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장착 프레임(1)과 스위치 본체(100)를 손에 쥐고서, 가동 편(104)이 설치된 우측부에 비해 좌측부가 전방(장착 프레임(1)에 가까운 측)으로 되도록 스위치 본체(100)를 경사지게 한다. 그런 다음, 스위치 본체(100)의 앞 부분을 장착 프레임(1)의 후방으로부터 개구부(18) 내에 삽입한다. 개구부(18) 내에 경사지게 하여 삽입된 스위치 본체(100)의 좌측면에 있는 2개의 장착 탭(103)을, 좌측의 제2 빔(12)에 형성된 관통공(15a, 15b)에 각각 삽입한다. 이 상태로부터,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부를 전방으로 누르면,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면에 설치된 2개의 장착 탭(103)이 우측의 제2 빔(12)에 닿게 된다. 이에 의해 가동 편(104)이 내측으로 굴곡된다.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부를 전방으로 더 누르면,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면에 있는 장착 탭(103)이, 우측의 제2 빔(12)에 형성된 관통공(15a, 15b)에 삽입된다.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면에 있는 장착 탭(103)이, 우측의 제2 빔(12)에 있는 관통공(15a, 15b)에 삽입되면, 가동 편(104)이 굴곡 전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좌우 양측의 장착 탭(103)이 대응하는 관통공(15a, 15b)에 걸릴 때,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 프레임(1)에 유지된 상태로 된다.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의 전방부가 개구부(18)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면에 있는 돌기(105)를 가압하여, 우측면의 장착 탭(103)을 내측으로 수축되게 한다. 그런 다음,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부를 후방으로 당기면,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된다.
건축 자재(200)에 형성된 구멍(201)으로부터, 건축 자재(200)의 이면 측에 배선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표면측으로 인출한다. 그런 다음, 이 전선을 스위치 본체(100)의 전선 삽입공(107)에 삽입하여, 스위치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된 접속 단자에 전선을 접속한다.
건축 자재(200)의 구멍(201)에 스위치 본체(100)의 후부를 수납하고, 구멍(201)의 가장자리에 각각의 제1 빔(11)의 배면을 닿게 하는 상태로 유지한다. 그런 다음, 삽입공(13)에 삽입되는 나사를, 스위치 박스(도시하지 않음)의 나사 구멍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장착 프레임(1)을 건축 자재(200)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에, 조작 레버(110)를 전방으로부터 스위치 본체(100)에 접근해 조작 레버(110)의 이면에 설치된 베어링부에 스위치 본체(100)의 샤프트를 끼워넣는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10)를 스위치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한다.
장착 프레임(1)의 전방에 플레이트 보디(2)를 씌워 플레이트 보디(2)의 삽입공(23)에 삽입된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 프레임(1)의 나사 구멍(14)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 보디(2)를 장착 프레임(1)에 장착한다.
그 후, 플레이트 보디(2)의 전방에 플레이트 커버(3)를 씌워 플레이트 커버(3)의 걸림 부재를 대응하는 관통공(24)에 삽입하고, 걸림 부재를 관통공(24)의 주위에 당겨 걸음으로써, 플레이트 커버(3)를 플레이트 보디(2)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 커버(3)가 플레이트 보디(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플레이트 커버(3)가, 창(32)으로부터 노출되는 조작 레버(110)를 제외하고, 장착 프레임(1), 플레이트 보디(2), 스위치 본체(100) 및 건축 자재(200)의 구멍(201)을 전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플레이트 커버(3)가 플레이트 보디(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110)는, 플레이트 커버(3)의 창(32)을 통해 전방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앞벽(112)의 전면(112a)으로부터 측벽(113)의 후단부(113a)까지의 높이(H1)는, 조작 레버(110)의 주위를 에워싸는 플레이트 커버(3)의 앞벽(30)(전면(30a))으로부터 제2 빔(12)의 전면(12a)까지의 길이(L1)와 동일해지도록 구성된다. 플레이트 커버(3)의 전면(30a)으로부터 제2 빔(12)의 전면(12a)까지의 길이(L1)와 동일하다는 것은, 플레이트 보디(2)를 나사로 고정하였을 때에, 플레이트 커버(3)의 표면(전면(30a)보다 낮지 않다는 것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높이는 조작 레버(110)가 1㎜±0.5㎜, 바람직하게는 1㎜±0.2㎜ 정도 플레이트 커버(3)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높이를 말한다.
플레이트 커버(3)를 플레이트 보디(2)로부터 분리해 내는 경우, 선단이 평평한 공구(예를 들면, 플랫 헤드 스크류드라이버)를 플레이트 커버(3)의 오목부와 플레이트 보디(2)의 오목부(25)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한다. 이때 공구가 트위스트한다. 이로써, 플레이트 커버(3)의 하부가 부상하여, 플레이트 커버(3)의 아래쪽에 있는 걸림 부재가 관통공(2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플레이트 커버(3)를 전방(플레이트 보디(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걸림 부재가 관통공(24)으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의해 플레이트 커버(3)를 플레이트 보디(2)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를 3개까지 장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1)에 대하여 스위치 본체(100)가 1개만 장착되는 경우, 장착 프레임(1)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에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된다. 장착 프레임(1)에 대하여 3개의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개구부(18) 내에 3개의 스위치 본체(100)가 상하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열되도록 장착된다. 도 2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1)의 중앙에 장착된 스위치 본체(100)의 상측 및 하측에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된다. 따라서,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를 1개 또는 3개 장착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다.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가 1개만 장착되는 경우, 각각의 제2 빔(12)의 중앙 부근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2개의 관통공(15a)에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가 3개 장착되는 경우, 각각의 제2 빔(12)의 중앙 부근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2개의 관통공(15a)에, 중앙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제2 빔(12)에 있어서, 가장 위의 관통공(15a)과 위로부터 2번째의 광폭의 관통공(15b)에, 상측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제2 빔(12)에 있어서, 가장 아래의 관통공(15a)과 아래로부터 2번째의 광폭의 관통공(15b)에, 하측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를 2개 장착하는 경우에는, 개구부(18) 내에서 2개의 상하 방향의 단부 간의 간극만큼 간격을 두고 2개의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되므로,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위치를 알기 어렵다. 더 구체적으로, 제2 빔(12)에 있어서, 위로부터 2번째의 광폭의 관통공(15b)과 위로부터 3번째의 관통공(15a)에, 한쪽의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또한, 제2 빔(12)에 있어서, 아래로부터 2번째의 광폭의 관통공(15b)과 아래로부터 3번째의 관통공(15a)에, 다른 쪽의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이 장착 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스위치 본체(100)의 상측과 하측이 간극만큼 간격이 있으므로,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위치가 직감적으로 알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 프레임(1)에 장착할 때,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최초에 장착되는 제2 빔(12)(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의 제2 빔(12))의 전면에,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의 역할을 하는 오목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17)는,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를 2개 장착하는 경우에,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각각의 스위치 본체(100)의 좌측단에 설치된 램프 커버(102)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17)와 램프 커버(102)가 인접하도록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 프레임(1)에 장착함으로써, 장착 프레임(1)에 대하여 2개의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하는 경우라도,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효과를 서술한다.
(1) 제1 빔(11)이 건축 자재의 전면 측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 빔(11)의 전면(11a)보다, 유지부의 역할을 하는 관통공(15a, 15b)이 설치된 각각의 제2 빔(12)의 전면(12a) 쪽이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빔(11)의 전면(11a)과 제2 빔(12)의 전면(12a)이 전후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관통공(15a, 15b)에 유지된 스위치 본체(100) 및 레버(110)의 전면을 더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이 건축 자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양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배선 기구 전체에서 건축 자재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을 박형화할 수 있다.
(2) 2개의 제2 빔(12)에서,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12b)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12c)가 후방으로 굴곡되는 제2 빔 돌기(12d)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2 빔 돌기(12d)를 형성함으로써 굴곡하는 방향에서의 유연성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3) 굴곡부(K)는, 2개의 제2 빔(12)이 대향하는 방향에서의 굴곡 폭(K1)이 금속판 부재의 두께(예를 들면, 제2 빔 돌기(12d)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 D2)와 동일해지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제2 빔(12)이 서로 이격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4) 제2 빔(12)의 각각의 굴곡부(K)의 주위에서 개구부(18)의 측에 노치(12e)가 형성된다. 노치(12e)가 형성됨으로써 개구부(18)가 예리한 모서리를 가지는 것이 억제되므로, 응력 집중의 발생이 억제되며, 즉 응력이 노치(12e) 전체에 분산되므로, 제2 빔(12)이 이격되는 것이 억제된다.
(5) 2개의 제1 빔(11)은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11d)가 전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제1 빔 돌기(11e)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빔 돌기(11e)를 형성함으로써 대향 단부(11d)의 굴곡 방향에서의 유연성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6) 조작 레버(110)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전면을 포함하는 앞벽(112)과 이 앞별(112)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벽(113)을 포함한다. 앞벽(112)의 전면(112a)으로부터 측벽(113)의 후단부(113a)까지의 높이(H1)는, 조작 레버(110)의 주위를 에워싸는 플레이트 커버(3)의 앞벽(30)(전면(30a)으로부터 제2 빔(12)의 전면(12a)까지의 길이(L1)와 동일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얇은 플레이트 커버(3)를 사용한 경우라도, 플레이트 커버(3)의 앞벽(30)(전면)으로부터 조작 레버(110)가 극단적으로 전방에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 레버(110)가 플레이트 커버(3)의 전면(30a)으로부터 1㎜±0.5㎜, 바람직하게는 1㎜±0.2㎜ 정도의 높이만큼 전방으로 연장한다. 대신,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10)가 플레이트 커버(3)의 전면(30a)과 동일 평면(0+0.5㎜ 이내, 바람직하게는 0+0.2㎜ 이내)으로 되는 구성이라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되는 배선 기구로서, 피아노 레버 스위치를 예시했지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소(seesaw) 조작 레버(120)를 구비한 스위치를 채용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20)는, 좌우 방향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요동 가능하게 스위치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20)의 우측단이 후방에 압입된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120)의 좌측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120)의 좌측단을 후방에 가압하여 넣으면, 조작 레버(120)가 좌우 방향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요동하고, 조작 레버(120)의 우측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접점이 온으로부터 오프(또는 오프로부터 온)로 전환된다. 또한, 조작 레버(120)의 우측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120)의 우측단을 후방으로 누르면, 조작 레버(120)가 좌우 방향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요동하고, 조작 레버(120)의 좌측단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조작 레버(120)의 요동 동작에 따라, 접점이 오프로부터 온(또는 온으로부터 오프)으로 전환된다.
시소 조작 레버(120)를 구비한 스위치 본체(100)가 본 실시예의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된 경우라도, 조작 레버(120)의 전단 부분이 건축 자재(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양을, 종래의 장착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 빔 돌기(11e)를 굴곡 형성하였으나, 제1 빔 돌기(11e)를 형성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노치(12e)를 제2 빔 돌기(12d)까지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서 형성하였다. 대신, 예를 들어,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빔 돌기(12d)까지 도달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2 빔 돌기(12d)까지 도달하도록 노치(12e)를 형성함으로써, 응력이 노치(12e) 전체에 분산된다. 이로써, 제2 빔(12)이 이격되는 것이 더욱 억제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노치(12e)를 형성하였으나, 노치(12e)를 형성하지 않고, 개구부(18)가 예를 들면, 예리한 모서리를 포함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노치(12e)의 형상에 대해서는 다각형 또는 원호형으로 변경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특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도 11,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빔 돌기(12d)의 후단에 개방되도록 컷아웃(12f)을 형성해도 된다. 컷아웃(12f)은 프레스 성형 시에 후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절삭된다. 이 구성에서는, 각각의 제2 빔 돌기(12d)에 2개의 컷아웃(12f)을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제2 빔(12)이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2 빔(12)이 확장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컷아웃(12f)의 수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컷아웃(12f)은, 상하 방향에서의 컷아웃의 폭이 후단측(개구측)으로 좁아지게 되도록 하여(전방측의 컷아웃의 폭 W1 > 후단측의 컷아웃의 폭 W2)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폭 W2는 제2 빔 돌기(12d)의 좌우 방향의 폭 D2(판 두께)보다 좁게 형성된다(D2>W2).
상기 실시예에서는 특히 언급하고 있지 않지만, 도 11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제2 빔 돌기(12d)의 후단측에서 대향 코너부(12g)가 라운딩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위치 본체(100)와 같은 배선 기구를 제2 빔 돌기(12d) 사이에 삽입할 때, 대향 코너부(12g)가 상기 배선 기구의 삽입을 저해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제2 빔 돌기(12d) 간의 배선 기구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굴곡부(K)는, 2개의 제2 빔(12)이 대향하는 방향에서의 굴곡 폭(K1)이 금속판 부재의 두께(예를 들면, 제2 빔 돌기(12d)의 좌우 방향에서의 폭 D2)와 동일해지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 및 각각의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시켜도 된다.
[참고예]
이하에,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의 참고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을 사용한 배선 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배선 기구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이하, 장착 프레임이라고 함)(1)과 배선 기구인 피아노 레버 스위치(10)(스위치 본체(100) 및 조작 레버(110)로 이루어지는)와 플레이트(4)(플레이트 보디(2) 및 플레이트 커버(3)와 이루어지는)를 구비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5에서의 상하 좌우 전후의 각각의 방향을 규정한다.
먼저,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되는 매립형의 배선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 기구의 역할을 하는 와이드 레버의 스위치(이른바 피아노 레버 스위치)를 예시하지만, 매립형의 배선 기구이면, 와이드 레버 이외의 스위치나, 콘센트 등의 스위치 이외의 배선 기구라도 상관없다.
스위치(10)는 스위치 본체(100)와 조작 레버(110)를 포함한다.
도 15 내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는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에는 푸시버튼(101)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푸시버튼(101)이 눌려질 때마다, 스위치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된 접점(도시하지 않음)의 상태(예를 들면, 접점의 개폐 상태)가 전환할 수 있도록 접점의 전환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의 좌측에는, 상하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투광성을 가지는 투광 램프 커버(102)가 장착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100)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점등하는 램프(도시하지 않음)가 수납되어 있고, 램프의 발광은 램프 커버(102)를 투과하여 전방에 출사된다.
스위치 본체(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 프레임(1)에 장착하기 위한 2개의 장착 탭(103)이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벽에는, 2개의 장착 탭(103)이 설치된 부분의 주위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장착 탭(103)이 설치된 부분(이 부분을 가동 편(104)이라고 함)의 전단은 스위치 본체(100)에 의해 캔틸레버 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편(104)의 후부에 설치된 돌기(105)를 누름으로써, 가동 편(104)에 설치된 2개의 장착 탭(103)을, 스위치 본체(100)의 내측으로 수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의 좌측에는, 조작 레버(110)를 지지하기 위한 원기둥형의 2개의 샤프트(106)가 램프 커버(102)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의 후부에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하기 위한 2개의 전선 삽입공(107)이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본체(100)의 내부에는, 접점의 양측 단자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속결 구조의 접속 단자가 수납되어 있고, 이 접속 단자에 전선 삽입공(107)으로부터 삽입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 본체(100)는 종래기술에 주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구조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레버(110)는 푸시버튼(101)의 앞면보다 충분히 큰 치수를 가지는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110)의 전면의 우측에는, 상하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조작 레버(1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타원형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투광판(111)이 매립되어 있다. 조작 레버(110)의 이면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램프 커버(102)로부터 조사된 광을 투광판(111)에 인도하는 프리즘(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다. 접점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스위치 본체(100)에 수납된 램프의 광이 투광판(111)을 조사하고, 이에 따라 스위치(10)의 위치가 표시된다.
조작 레버(110)의 이면(후면)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샤프트(106)와 대향하는 부분에, 샤프트(106)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베어링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110)는, 베어링부에 샤프트(106)를 유지시킴으로써,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의 일단측(좌측)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110)의 우측을 후방으로 누르면, 조작 레버(110)는 샤프트(106)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조작 레버(110)의 배면에 설치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푸시버튼(101)을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1)에 대해서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장착 프레임(1)은 합성 수지 또는 금속판에 의해 형성된다. 장착 프레임(1)은 배선 기구의 역할을 하는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되는 개구부(18)를 구비한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형성된다. 이 장착 프레임(1)은, 길이 방향(도 15의 상하 방향)으로 개구부(18)의 대향하는 양쪽에 배치되는 2개의 제1 빔(11), 및 이 2개의 제1 빔(11)의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좌우 방향)으로 개구부(18)의 대향하는 양쪽에 배치되는 2개의 제2 빔(12)을 구비한다. 즉, 2개의 제1 빔(11)과 2개의 제2 빔(12)에 의해 에워싸인 공간이 개구부(18)로 되어 있다.
2개의 제1 빔(11)의 각각에는, 제1 빔(11)을 건축 자재(2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는 삽입공(13)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빔(11)의 이면측은 건축 자재(예를 들면, 벽재)(200)의 표면에 닿는다(도 19 참조). 또한, 2개의 제1 빔(11)의 각각에는, 삽입공(13)의 외측에, 좌우 방향의 중앙에 나사 구멍(14)이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제2 빔(12)의 각각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삽입되는 복수 개(예를 들면, 8개)의 관통공(15)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15)은 배선 기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의 역할을 한다. 즉, 스위치 본체(100)의 양측에 2개씩 설치된 장착 탭(103)이 각각 대응하는 관통공(15)에 삽입되므로, 스위치 본체(100)의 전단부가 개구부(18)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된다(도 16 내지 도 18 참조).
제1 빔(11)의 앞면보다 제2 빔(12)의 전면 쪽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1 빔(11)의 전면과 제2 빔의 전면과의 사이에는 단차(D1)가 설치되어 있다(도 17 참조). 더 구체적으로, 제1 빔(11) 및 제2 빔(12)은, 건축 자재(200)에 장착될 때, 제1 빔(11)이 건축 자재(200)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 빔(11)의 앞면보다, 관통공(15)이 설치된 각각의 제2 빔(12)의 전면 쪽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제1 빔(11)의 배면(후면)에는, 개구부(18)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리브(rib)(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16)의 좌측단은 좌측의 제2 빔(12)에 연결되어, 리브(16)의 우측단은 우측의 제2 빔(12)에 연결되어 있다. 제1 빔(11)과 제2 빔(12) 사이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차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장착 프레임(1)의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지만, 리브(16)가 제1 빔(11)과 제2 빔(12)을 연결하므로, 장착 프레임(1)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 장착 프레임(1)은, 건축 자재(200)에 설치된 매립용의 구멍(201)의 가장자리에 제1 빔(11)의 배면(이면)을 닿게 하는 상태에서(도 19 참조), 건축 자재(200)에 매립된 스위치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건축 자재(200)에 대하여 고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측 및 하측의 제1 빔(11)의 삽입공(13)을 통해 각각 연장하는 2개의 볼트(도시하지 않음)가 스위치 박스의 나사 구멍에 고정된다. 그렇지만, 스위치 박스가 매립되어 있지 않은 경우, 종래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클램프(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장착 프레임(1)을 건축 자재(200)에 고정한다.
다음에, 장착 프레임(1)의 전면측에 장착되는 장식용 플레이트(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4)는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되는 플레이트 보디(2), 및 이 플레이트 보디(2)를 덮도록 플레이트 보디(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 커버(3)를 구비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보디(2)는 2개의 수평편(21)과 2개의 수직편(22)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 보디(2)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수평편(21)과 2개의 수직편(22)과 에워싸인 개구부(20)는, 플레이트 보디(2)가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 프레임(1)의 개구부(18)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23)이 2개의 수평편(21)의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수직편(22)의 길이 방향(상하 방향)에서의 중앙부와 양 측부에, 직사각형의 관통공(24)이 형성되어 있다. 한쪽(도 15에서의 하측)의 수평편(21)에는, 하단부의 좌우 양측에, 전방 및 아래쪽에 개방된 오목부(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커버(3)는 앞벽(30)과 측벽(31)을 포함한다. 앞벽(30)과 측벽(31)은 합성 수지 성형체로서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벽(30)은, 전후 방향에서 볼 때 4 코너가 만곡된 직사각형상이며,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해 전방으로 팽창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앞벽(30)의 중앙에는, 직사각형의 창(32)이 관통하고 있다. 앞벽(30)의 배면에는, 플레이트 보디(2)에 설치된 복수의 관통공(24) 내에 삽입되어 앞벽(30)의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는 걸림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측벽(31)은, 앞벽(3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앞벽(30)을 중심으로 연장하는 전단을 포함한다. 이 측벽(31)은, 전방을 향해 외측에 경사지도록 구성된다(도 20 및 도 21 참조). 측벽(31)에는, 플레이트 보디(2)의 오목부(25)와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33)가 설치되어 있다(도 21 참조).
본 실시예의 장착 프레임(1)을 사용하여 스위치(10)를 건축 자재(200)에 장착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 프레임(1)에 장착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는 장착 프레임(1)과 스위치 본체(100)를 손에 쥐고서, 가동 편(104)이 설치된 우측부에 비해 좌측부가 전방(장착 프레임(1)에 더 가까운 측)으로 되도록 스위치 본체(100)를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장착 프레임(1)의 후방으로부터 개구부(18) 내에 스위치 본체(100)의 앞부분을 삽입한다. 개구부(18) 내에 경사지게 삽입된 스위치 본체(100)의 좌측면에 있는 2개의 장착 탭(103)을, 좌측의 제2 빔(12)에 형성된 관통공(15)에 각각 삽입한다. 이 상태로부터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부를 전방으로 누르면,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면에 설치된 2개의 장착 탭(103)이 우측의 제2 빔(12)에 닿게 된다. 이에 의해, 가동 편(104)이 내측으로 굴곡한다.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부를 더 전방으로 누르면,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면에 있는 장착 탭(103)이, 우측의 제2 빔(12)에 형성된 관통공(15)에 삽입된다.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면에 있는 장착 탭(103)이, 우측의 제2 빔(12)에 있는 관통공(15)에 삽입되면, 가동 편(104)이 굴곡 전의 상태로 되돌아온다. 좌우 양측의 장착 탭(103)이 대응하는 관통공(15)에 걸릴 수 있는 것에 의해,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 프레임(1)에 유지된 상태로 된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 프레임(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위치 본체(100)의 전방부가 개구부(18)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해 내는 경우,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면에 있는 돌기(105)를 가압하여, 우측면의 장착 탭(103)을 내측에 수축되게 한다. 그런 다음, 스위치 본체(100)의 우측부를 후방으로 당기면,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 프레임(1)으로부터 분리된다.
건축 자재(200)에 형성된 구멍(201)으로부터, 건축 자재(200)의 이면에 배선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표면측으로 인출한다. 그런 다음, 이 전선을 스위치 본체(100)의 전선 삽입공(107)에 삽입하여, 스위치 본체(100)의 내부에 수납된 접속 단자에 전선을 접속한다.
건축 자재(200)의 구멍(201)에 스위치 본체(100)의 후부를 수납하여, 구멍(201)의 가장자리에 각각의 제1 빔(11)의 배면을 닿게 하는 상태로 스위치 본체(100)가 유지된다. 그런 다음, 삽입공(13)에 삽입된 나사를, 스위치 박스(도시하지 않음)의 나사 구멍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장착 프레임(1)을 건축 자재(200)에 대하여 고정시킨다.
다음에, 조작 레버(110)를 전방으로부터 스위치 본체(100)에 접근해 조작 레버(110)의 이면에 설치된 베어링부에 스위치 본체(100)의 샤프트를 끼워넣는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10)를 스위치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한다.
장착 프레임(1)의 전방에 플레이트 보디(2)를 씌워 플레이트 보디(2)의 삽입공(23)에 삽입된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장착 프레임(1)의 나사 구멍(14)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플레이트 보디(2)를 장착 프레임(1)에 장착한다.
그 후, 플레이트 보디(2)의 전방에 플레이트 커버(3)를 씌워 플레이트 커버(3)의 걸림 부재를 대응하는 관통공(24)에 삽입하고, 걸림 부재를 관통공(24)의 주위에 당겨 걸음으로써, 플레이트 커버(3)를 플레이트 보디(2)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 커버(3)가 플레이트 보디(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플레이트 커버(3)가, 창(32)으로부터 노출되는 조작 레버(110)를 제외하고, 장착 프레임(1), 플레이트 보디(2), 스위치 본체(100) 및 건축 자재(200)의 구멍(201)을 전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플레이트 커버(3)가 플레이트 보디(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110)는, 플레이트 커버(3)의 창(32)을 통해 전방으로부터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레이트 커버(3)를 플레이트 보디(2)로부터 분리해 내는 경우, 선단이 평평한 공구(예를 들면, 플랫 헤드 스크류드라이버)를 오목부(33)와 오목부(25)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한다. 이로써, 플레이트 커버(3)의 하부가 부상하여, 플레이트 커버(3)의 아래쪽에 있는 걸림 부재가 관통공(24)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런 다음, 플레이트 커버(3)를 전방(플레이트 보디(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모든 걸림 부재가 관통공(24)으로부터 분리되고, 플레이트 커버(3)를 플레이트 보디(2)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를 3개까지 장착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1)에 대하여 스위치 본체(100)가 1개만 장착되는 경우, 장착 프레임(1)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중앙 부근에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된다. 장착 프레임(1)에 대하여 3개의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개구부(18) 내에 3개의 스위치 본체(100)가 상하 방향으로 간극 없이 배열되도록 장착된다. 도 16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1)의 중앙에 장착된 스위치 본체(10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된다. 따라서,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를 1개 또는 3개 장착하는 경우에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다.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가 1개만 장착되는 경우, 각각의 제2 빔(12)의 중앙 부근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2개의 관통공(15)에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가 3개 장착되는 경우, 제2 빔(12)의 앙 부근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2개의 관통공(15)에, 중앙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제2 빔(12)에 있어서, 가장 위의 관통공(15)과 위로부터 2번째의 광폭의 관통공(15)에, 상측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제2 빔(12)에 있어서, 가장 아래의 관통공(15)과 아래로부터 2번째의 광폭의 관통공(15)에, 하측 위치에 장착되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를 2개 장착하는 경우에는, 개구부(18) 내에서 2개의 상하 방향의 단부 간의 간극만큼 간격을 두고 2개의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되므로,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위치를 알기 어렵다. 더 구체적으로, 제2 빔(12)에 있어서, 위로부터 2번째의 광폭의 관통공(15b)과 위로부터 3번째의 관통공(15a)에, 한쪽의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아래로부터 2번째의 광폭의 관통공(15b)과 아래로부터 3번째의 관통공(15a)에, 다른 쪽의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장착된다. 이 장착 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스위치 본체(100)의 상측과 하측이 간극만큼 간격이 있으므로,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위치가 직감적으로 알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 프레임(1)에 장착할 때,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최초에 장착되는 제2 빔(12)(본 실시예에서는 좌측의 제2 빔(12))의 전면에,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마크의 역할을 하는 오목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17)는, 장착 프레임(1)에 스위치 본체(100)를 2개 장착하는 경우에, 소정 위치에 장착되고 각각의 스위치 본체(100)의 좌측단에 설치된 램프 커버(102)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17)와 램프 커버(102)가 인접하도록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 프레임(1)에 장착함으로써, 장착 프레임(1)에 대하여 2개의 스위치 본체(100)를 장착하는 경우라도,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1)은, 2개의 제1 빔(11)과 2개의 제2 빔(12)과 프레임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1 빔(11)은, 배선 기구의 역할을 하는 스위치 본체(100)가 장착되는 개구부(18)의 양쪽에 배치되고, 건축 자재(200)에 형성된 구멍(201)의 가장자리에 이면을 닿게 하는 상태에서 건축 자재(200)에 고정된다. 2개의 제2 빔(12)은, 2개의 제1 빔(11)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개구부(18)의 양쪽에 배치된다. 2개의 제2 빔(12)의 각각에는, 스위치 본체(100)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설치된다(본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본체(100)의 장착 탭(103)이 삽입되는 관통공(15)이 제공된다). 제1 빔(11) 및 제2 빔(12)은, 건축 자재(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 빔(11)이 건축 자재(200)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 빔(11)의 앞면보다, 유지부가 설치된 각각의 제2 빔(12)의 전면이 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부가 설치된 각각의 제2 빔(12)의 전면은, 제1 빔(11)이 건축 자재(200)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 빔(11)의 앞면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유지부가 설치된 각각의 제2 빔(12)의 전면과 제1 빔(11)이 건축 자재(200)의 표면측에 배치되는 제1 빔(11)의 앞면이 전후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위치 본체(100)의 전면을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선 기구의 전면이 건축 자재(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양을 작게 할 수 있고, 배선 기구 전체로서 건축 자재(200)의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을 박형화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에서는, 제1 빔(11)과 제2 빔(12) 간의 경계 부분에 복수의 리브(16)가 설치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1 빔(11)의 배면에는, 개구부(18)의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리브(16)가 설치된다. 리브(16)의 좌측 단은 좌측의 제2 빔(12)에 연결되고 있고, 리브(16)의 우측 단은 우측의 제2 빔(12)에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빔(11)과 제2 빔(12) 사이에 단차가 설치되어 있다. 그럼에도, 리브(16)가 제1 빔(11)과 제2 빔(12)을 연결하므로, 장착 프레임(1)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1: 장착 프레임(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2: 플레이트 보디
3: 플레이트 커버
4: 플레이트
10: 스위치(배선 기구)
11: 제1 빔
11e: 제1 빔 돌기
12: 제2 빔
12d: 제2 빔 돌기
12e: 노치
13: 삽입공
15a, 15b: 관통공(유지부)
18: 개구부
30: 앞벽
100: 스위치 본체(기구 본체)
103: 장착 탭
110; 조작 레버(레버)
112: 앞벽
113: 측벽
120: 조작 레버(레버)
200: 건축 자재
201: 구멍
K: 굴곡부
D1: 단차
H1: 높이
L1: 길이

Claims (10)

  1. 프레임형으로 형성되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으로서,
    배선 기구가 장착되는 개구부의 양쪽에 위치하고, 건축 자재에 배치된 구멍의 가장자리에 이면(rear surface)을 닿게 하는 상태로 상기 건축 자재에 고정되는 2개의 제1 빔; 및
    상기 2개의 제1 빔이 대향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의 양쪽에 위치하고, 상기 배선 기구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각각 구비하는 2개의 제2 빔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은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은, 상기 건축 자재에 장착될 때, 상기 유지부가 배치되는 각각의 제2 빔의 전면(front surface)이, 상기 제1 빔이 상기 건축 자재의 전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 빔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2 빔은,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를 후방으로 굴곡하여 형성되는 제2 빔 돌기를 포함하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 간의 경계에 배치된 복수의 굴곡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굴곡부는 전후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도록 굴곡되며,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은, 상기 건축 자재에 장착될 때, 상기 유지부가 배치되는 각각의 제2 빔의 전면이,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제1 빔이 상기 건축 자재의 전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제1 빔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빔 각각은 상기 개구부에 더 가까운 제2 빔 측에서 각각의 굴곡부에 위치하는 노치(notch)를 포함하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4. 제1항 또는 제2항을 인용하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제2 빔 돌기 중 대응하는 돌기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과 상기 제2 빔 간의 경계에 배치된 복수의 굴곡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굴곡부는 전후 방향으로 단차를 형성하도록 굴곡되며,
    상기 제1 빔 및 상기 제2 빔은, 상기 건축 자재에 장착될 때, 상기 유지부가 배치되는 각각의 제2 빔의 전면이, 상기 굴곡부에 의해, 상기 제1 빔이 상기 건축 자재의 전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상기 제1 빔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 각각은, 상기 2개의 제2 빔이 대향하는 방향에서의 폭이 상기 금속판 부재의 두께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 빔은 서로 대향하는 대향 단부가 전방으로 굴곡되어 형성되는 제1 빔 돌기를 포함하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7. 제2항 또는 제2항을 인용하는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빔 돌기 각각은 후단측에 개구되는 컷아웃(cutout)을 포함하는,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은, 상기 후단측의 개구폭이 상기 금속판 부재의 두께보다 얇은,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는 배선 기구의 기구 본체에 장착되는 레버로서,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전면을 포함하는 앞벽; 및
    상기 앞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벽
    를 포함하고,
    상기 앞벽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측벽의 후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레버의 주위를 에워싸는 플레이트 커버의 전면으로부터 각각의 제2 빔의 전면까지의 길이와 동일해지도록 설정되는, 레버.
  10. 스위치 장치로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
    상기 배선 기구 장착 프레임의 유지부에 유지되는 배선 기구; 및
    상기 배선 기구의 전면에 장착되는 레버
    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57033797A 2014-01-31 2015-01-28 배선 기구용 장착 프레임,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장치 KR101830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16846 2014-01-31
JPJP-P-2014-016846 2014-01-31
JPJP-P-2014-230455 2014-11-13
JP2014230455 2014-11-13
PCT/JP2015/000377 WO2015115099A1 (ja) 2014-01-31 2015-01-28 配線器具用取付枠、ハンドル、及び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799A true KR20160003799A (ko) 2016-01-11
KR101830252B1 KR101830252B1 (ko) 2018-02-20

Family

ID=53756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797A KR101830252B1 (ko) 2014-01-31 2015-01-28 배선 기구용 장착 프레임,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2) JP6074699B2 (ko)
KR (1) KR101830252B1 (ko)
PH (1) PH12015502781B1 (ko)
TW (1) TWI543220B (ko)
WO (1) WO201511509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19Y1 (ko) * 2018-08-13 2019-11-08 조경군 스위치 및 통신용 모듈 공용 브라켓
KR200490417Y1 (ko) * 2018-08-13 2019-11-11 조경군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 장착용 공용 브래킷
KR20230000747U (ko)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범용 스위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5673B1 (ja) * 2017-03-29 2017-12-13 音羽電機工業株式会社 電源線接続装置
JP7312962B2 (ja) * 2018-06-29 2023-07-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用取付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231A (ja) 2003-03-26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6400B2 (ja) * 2008-08-25 2012-05-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の取付枠及びスイッチ装置
JP2010050065A (ja) * 2008-08-25 2010-03-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スイッチの取付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イッチ装置
JP4965531B2 (ja) * 2008-08-25 2012-07-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イッチの取付枠及び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231A (ja) 2003-03-26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419Y1 (ko) * 2018-08-13 2019-11-08 조경군 스위치 및 통신용 모듈 공용 브라켓
KR200490417Y1 (ko) * 2018-08-13 2019-11-11 조경군 스위치 모듈 및 통신 모듈 장착용 공용 브래킷
KR20230000747U (ko)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신아시스템 범용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45726B2 (ja) 2017-06-14
TWI543220B (zh) 2016-07-21
JP6074699B2 (ja) 2017-02-08
PH12015502781A1 (en) 2016-03-21
JP2017050296A (ja) 2017-03-09
WO2015115099A1 (ja) 2015-08-06
JPWO2015115099A1 (ja) 2017-03-23
TW201546851A (zh) 2015-12-16
KR101830252B1 (ko) 2018-02-20
PH12015502781B1 (en)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252B1 (ko) 배선 기구용 장착 프레임, 액추에이터, 및 스위치 장치
JP5491837B2 (ja) 速結端子装置
JP5589020B2 (ja) 電子機器
US20190252808A1 (en) Terminal block
JP4244924B2 (ja) 鍵盤楽器のケース体構造
JP5816862B2 (ja) スイッチ装置
JP5584572B2 (ja) コンセント
JP6406594B2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スイッチおよびスイッチ装置
JP4965857B2 (ja) 扉付きコンセント
JP6355051B2 (ja) 配線器具用取付枠、操作ハンドル、及びスイッチ装置
JP6485785B2 (ja) 配線器具用取付枠、操作ハンドル、及び配線装置
WO2015115039A1 (ja) 配線器具用取付枠
JP2011049030A (ja) リレー用ソケット
JP2016096625A (ja) 配線器具用取付枠
JP4247312B2 (ja) 電子機器
JP2014120209A (ja) スイッチ
JP2018186027A (ja) スイッチ取付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
JP6572445B2 (ja) 電気機器
JP2002334635A (ja) ブレーカ装置
JP2020047386A (ja) 押しボタン式スイッチ並びに操作盤
JP2007242471A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2003346932A (ja) 電線接続端子
JP2008192325A (ja) 押しボタン装置
JP2005135819A (ja) コンセントの安全カバー用弾力部品
KR20150041102A (ko)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